KR102128821B1 - 다용도 탁상용 달력 - Google Patents

다용도 탁상용 달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821B1
KR102128821B1 KR1020200021379A KR20200021379A KR102128821B1 KR 102128821 B1 KR102128821 B1 KR 102128821B1 KR 1020200021379 A KR1020200021379 A KR 1020200021379A KR 20200021379 A KR20200021379 A KR 20200021379A KR 102128821 B1 KR102128821 B1 KR 10212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endar
sheet
cover
pap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북프린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북프린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북프린팅
Priority to KR102020002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B42D5/045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combined with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월별 달력지 내부에 영수증, 고지서, 사무용품 등과 같은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탁상용 달력에 관한 것으로, 전면판, 후면판, 하면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전면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되고, 전면과 후면 사이의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전면과 후면 사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개의 달력지부; 및 본체부와 달력지부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탁상용 달력{A multipurpose table calendar}
본 발명은 다용도 탁상용 달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월별 달력지 내부에 영수증, 고지서, 사무용품 등과 같은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탁상용 달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상용 달력은 책상이나 선반, 탁자 따위에 올려 두고 보는 달력으로서, 대개 작은 크기로, 밑면을 넓게 하여 바닥에 세워 놓고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80240호(2016.11.22 등록)는 조립식 수납부를 구비한 탁상달력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달력낱장; 달력낱장의 직립 상태를 지지하고 저면 광폭직립부를 구비한 서포트; 서포트 상부에 구비되어 달력낱장의 넘김을 보조하는 선회부재; 및 달력낱장의 하부에 배열되고 서포트에 결합되어 있고, 상향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호 연결된 벽체부 및 저면부를 갖는 조립식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납부의 저면부에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저면부와 전면 벽체부 경계에는 인출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슬릿에 결합되는 가이더와, 저면부와 중첩 배열되는 바디, 인출슬릿 외부에 노출된 그립, 절개슬릿을 통하여 분리되고 이음접이부를 기점으로 들리는 스토퍼를 구비한 마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0219호(2009.10.07 공개)는 삼각형 달력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삼각형 형상의 받침대와, 받침대의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스프링 형상의 회동가이드와, 받침대의 외면에 구비되고 회동가이드에 연결되되, 회동가이드를 따라 받침대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회동 되고, 표면에 달, 날, 요일이 날짜별로 표기된 달력부로 구성된 삼각형달력에 있어서, 달력부는, 일면에 달, 날, 요일이 날짜별로 표기된 날짜면과, 타면에 광고를 위한 제1광고면을 갖는 제1기재부와; 제1기재부의 다음 페이지에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 각각에 광고를 위한 제2,3광고면을 갖는 제2기재부를 포함하고, 제2기재부는, 그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1기재부를 제2기재부에 밀착 고정가능하게 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받침대의 하부에는, 메모지가 적층 수납된 메모지수납부와, 메모지수납부와 수평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물건수납부를 갖는 박스형태의 수납몸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탁상용 달력은, 각종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별도의 수납부가 구비되어 있으나,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작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게 되어 공간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수납부가 월별로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지서 또는 영수증 등 월별로 정리가 필요한 물품을 따로 수납할 수 없어서 나중에 필요한 고지서 또는 영수증 등을 찾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80240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021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월별 달력지 내부에 영수증, 고지서, 사무용품 등과 같은 각종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용도 탁상용 달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전면판, 후면판, 하면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전면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되고, 전면과 후면 사이의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전면과 후면 사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개의 달력지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달력지부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탁상용 달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달력지부는, 전면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되는 전면지; 상기 전면지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면지; 상기 전면지와 상기 후면지 사이에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전면지와 상기 후면지 사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납공간; 상기 전면지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후방으로 절첩하여 상기 개방된 부분을 덮기 위한 덮개; 및 상기 전면지와 상기 덮개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달력지부는, 상기 전면지의 상부에 형성되어 절취시키기 위한 제1 절취선; 상기 덮개에 형성되어 절취시키기 위한 제2 절취선; 상기 덮개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상기 전면지의 후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제1 접착제; 상기 제1 접착제와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상기 후면지에 접착시키기 위한 제2 접착제; 및 평상시 상기 제1 접착제와 상기 제2 접착제가 다른 곳에 접착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2개의 보호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 형성되어, 볼펜을 꽂기 위한 볼펜꽂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하면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자력을 제공하기 위한 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달력지부는, 상기 전면지에 형성되어, 수납된 물품이 보이도록 하기 위한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달력지부는, 상기 전면지의 후면에 형성되어, 수납되는 물품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달력지부는, 상기 전면지의 테두리 부분과 상기 후면지의 테두리 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신축하기 위한 신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달력지부는, 상기 덮개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테두리 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 상기 마감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제; 및 평상시 상기 접착제가 다른 곳에 접착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덮개 보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달력지부는, 상기 전면지의 전면에 형성되어, 보조적으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보조포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되는 전면지; 상기 전면지의 후방 절반에 형성되는 절반형 후면지; 상기 전면지와 상기 절반형 후면지 사이에 상부 및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물품을 수납하거나 상기 전면지를 절첩하여 삽입하기 위한 절반형 수납공간; 상기 전면지의 상단 절반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후방으로 절첩하여 상기 절반형 후면지의 상부를 덮기 위한 절반형 덮개; 및 상기 전면지와 상기 절반형 덮개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달력지부는, 전면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되는 전면지; 상기 전면지의 후방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 후면지; 상기 전면지와 상기 좌측 후면지 사이에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전면지와 상기 좌측 후면지 사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측 수납공간; 상기 전면지의 상단 좌측에 연장 형성되며, 후방으로 절첩하여 상기 전면지의 좌측과 상기 좌측 후면지 사이에 개방된 부분을 덮기 위한 좌측 덮개; 상기 전면지의 후방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후면지; 상기 전면지와 상기 우측 후면지 사이에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전면지와 상기 우측 후면지 사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우측 수납공간; 상기 전면지의 상단 우측에 연장 형성되며, 후방으로 절첩하여 상기 전면지의 우측과 상기 우측 후면지 사이에 개방된 부분을 덮기 위한 우측 덮개; 및 상기 전면지, 상기 좌측 후면지, 상기 좌측 덮개, 상기 우측 후면지, 상기 우측 덮개 각각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월별 달력지부 내부에 영수증, 고지서, 사무용품 등과 같은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달력이 차지하는 부피가 늘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지서 또는 영수증 등 월별로 정리가 필요한 물품을 해당 월별 달력지부 내부에 각각 보관할 수 있어 나중에 필요한 물품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달력의 기능 외에 수납, 사진 액자, 편지지, 편지봉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탁상용 달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달력지부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달력지부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달력지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탁상용 달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있는 볼펜꽂이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탁상용 달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4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5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6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는 달력지부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있는 달력지부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7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있는 달력지부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8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9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10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탁상용 달력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탁상용 달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용도 탁상용 달력(10)은, 본체부(100), 달력지부(200),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전면판(101), 후면판(102), 하면판(103)이 측면에서 보면 삼각 형상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테이블 등에 세워져 달력지부(200)를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달력지부(200) 보다 두껍고 견고한 재질(예를 들어, 합지, 플라스틱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전면판(101)과 하면판(103) 사이, 후면판(102)과 하면판(103) 사이 및 하면판(103)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접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달력지부(200)는, 전면과 후면 두겹으로 구성되며, 전면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되고, 전면과 후면 사이의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전면과 후면 사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달력지부(200)는, 월별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표면에 항균제를 도포하여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박멸할 수 있다.
결합부(300)는, 본체부(100)와 달력지부(200)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300)는, 스프링, 고리 등의 결합수단으로서, 본체부(100)의 상부와 달력지부(200)의 상부 사이를 결합하여, 달력지부(200)가 전후 방향으로 넘겨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다용도 탁상용 달력(10)은, 월별 달력지부(200)의 전면과 후면 사이 내부에 영수증, 고지서, 사무용품 등과 같은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달력이 차지하는 부피가 늘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고지서 또는 영수증 등 월별로 정리가 필요한 물품을 해당 월별 달력지부(200) 내부에 각각 보관할 수 있어 나중에 필요한 물품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있는 달력지부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있는 달력지부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달력지부(200)는,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을 포함한다.
전면지(201)는, 전면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되며, 후방에 후면지(202)가 구비된다.
후면지(202)는, 전면지(201)의 후방에 형성되며, 각종 이미지, 문구가 인쇄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후면지(202)는, 상부를 제외한 테두리 부분이 전면지(201)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후면지(202)는, 전면지(201)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203)은, 전면지(201)와 후면지(202) 사이에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전면지(201)와 후면지(202) 사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공간(203)은, 전면지(201)와 후면지(202)가 하나의 종이로 이루어진 경우, 종이를 봉투 형태로 접어 상부를 제외한 테두리 부분을 접착시켜 전면지(201)와 후면지(202) 사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공간(203)은, 전면지(201)와 후면지(202)가 두개의 종이로 이루어진 경우, 상부를 제외한 테두리 부분을 서로 접착시켜 전면지(201)와 후면지(202) 사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덮개(204)는, 전면지(201)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후방으로 절첩하여 전면지(201)와 후면지(202) 사이에 개방된 부분을 덮어 수납된 물품을 보호한다.
삽입홀(205)은, 전면지(201)와 덮개(204)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며, 결합부(300)에 삽입되어 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달력지부(200)는,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 제1 절취선(206), 제2 절취선(207), 제1 접착제(208), 제2 접착제(209), 보호지(210, 2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은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1 절취선(206)은, 전면지(201)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면지(201)를 절취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절취선(206)은, 전면지(201)에 구비된 삽입홀(205) 아래 근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절취선(206)은, 일정한 길이 간격으로 베어놓은 선으로서, 가위, 칼 등의 도구 없이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쉽게 절취되도록 한다.
제2 절취선(207)은, 덮개(204)에 형성되어, 덮개(204)를 절취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절취선(207)은, 덮개(204)에 구비된 삽입홀(205)과 근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절취선(207)은, 덮개(204)가 후방으로 절첩되어 전면지(201)와 후면지(202) 사이 개방된 부분을 덮고 있을 때, 전면지(201)에 구비된 제1 절취선(206)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덮개(204)에 형성되어, 덮개(204)와 전면지(201)를 동시에 절취시킬 수 있다.
제1 접착제(208)는, 덮개(204)의 일면에 형성되어, 덮개(204)를 전면지(201)의 후면 상부에 접착시킨다.
제2 접착제(209)는, 제1 접착제(208)와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1 내지 5cm)을 두고 덮개(204)의 일면에 이격 형성되며, 덮개(204)를 후면지(202)의 상부에 접착시킨다.
보호지(210, 211)는, 제1 접착제(208)와 제2 접착제(209)에 각각 부착되어, 평상시 제1 접착제(208)와 제2 접착제(209)가 다른 곳에 접착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지(210, 211)는, 필요 시에 제1 접착제(208)와 제2 접착제(209)로부터 뜯어내어, 제1 접착제(208)와 제2 접착제(209)가 각각 전면지(201)와 후면지(202)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달력지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하여 봉투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 제1 절취선(206)과 제2 절취선(207)을 통해 삽입홀(205)이 형성된 부분을 절취한 후, 보호지(210, 211)를 제거하여 덮개(204)를 전면지(201)과 후면지(202) 사이에 부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달력지부(200)는,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 꽂이수단(201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은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꽂이수단(201a)은, 전면지(201) 또는 후면지(20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볼펜 등 사무용품을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꽂이수단(201a)은, 사무용품을 꽂거나 분리시킬 때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두껍고 견고한 재질(예를 들어, 합지, 플라스틱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꽂이수단(201a)은, 사무용품을 꽂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달력지부(200)를 쉽게 넘길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탁상용 달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용도 탁상용 달력(10)은, 본체부(100), 달력지부(200), 결합부(300), 볼펜꽂이부(400), 자석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달력지부(200), 결합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볼펜꽂이부(400)는, 전면판(101)과 후면판(102) 사이에 형성되어, 볼펜을 꽂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볼펜꽂이부(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로 전면판(101)과 후면판(102) 사이에 구비되어, 본체부(100)를 세웠을 때 테이블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볼펜꽂이부(400)는, 전면판(101)과 후면판(102) 사이 일측 또는 전면판(101)과 후면판(102) 사이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볼펜꽂이부(400)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접이홈이 구비되어, 본체부(100)가 접어질 때 같이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자석부(500)는, 하면판(103)의 상면에 형성되어, 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클립 등과 같이 자력을 통해서 달라붙을 수 있도록 형성된 물건을 부착하여 보관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용도 탁상용 달력(10)을 들거나 기울이더라도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다용도 탁상용 달력(10)은, 사용하지 않는 부분을 활용하여 다양한 물건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효율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도 8에 있는 볼펜꽂이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볼펜꽂이부(400)는, 전면판(201)과 후면판(202)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볼펜을 올려놓고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볼펜꽂이부(400)는, 본체부(100)를 세웠을 때 테이블로부터 수평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걸림수단이 없는 볼펜 또는 그 외에 다른 물건을 올려 보관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탁상용 달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용도 탁상용 달력(10)은, 본체부(100), 달력지부(200), 결합부(300), 연장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달력지부(200), 결합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연장부(600)는, 전면판(101)의 하단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며, 포스트잇, 메모지 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장부(600)는, 사용시 전면판(101)의 전방으로 절첩하여 위치시키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면판(101)의 후방으로 절첩하여 하면판(103)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장부(600)는, 본체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부(100)와의 사이에 절첩홈이 형성되어,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4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달력지부(200)는,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 투명창(2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은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투명창(212)은, 전면지(201)에 형성되어, 수납공간(203)에 수납된 물품(바람직하게는, 사진)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투명창(212)은,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 등을 통해 전면지(201)에 접착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투명창(212)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지(201)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된 곳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5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달력지부(200)는,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 투명창(212), 가이드라인(2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 투명창(212)은 도 2 및 도 1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가이드라인(213)은, 전면지(201)의 후면에 형성되며, 전면지(201)와 후면지(202)의 내부로 수납되는 물품을 가이드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라인(213)은, 투명창(212)을 따라 전면지(20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창(212)을 통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기 위한 물품을 수납할 때, 투명창(212)이 구비된 위치에 정확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수납된 이후에 물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라인(213)은, 투명창(212)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수납공간(203)에 수납된 다른 물품으로 인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기 위한 물품이 가려지지 않도록 한다.
도 13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6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에 있는 달력지부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있는 달력지부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달력지부(200)는, 전면지(221), 절반형 후면지(222), 절반형 수납공간(223), 절반형 덮개(224), 삽입홀(225)을 포함한다.
전면지(221)는, 전면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지(221)는, 후면에 편지지가 인쇄될 수 있으며, 필요없는 부분을 절취하기 위해 절취선이 구비될 수 있다.
절반형 후면지(222)는, 전면지(221)의 후방 절반에 형성되며, 각종 이미지, 문구가 인쇄된 것일 수 있다.
절반형 수납공간(223)은, 전면지(221)와 절반형 후면지(222) 사이에 상부 및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물품을 수납하거나 전면지(221)를 반으로 접어 삽입하도록 한다.
절반형 덮개(224)는, 전면지(221)의 상단 절반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후방으로 절첩하여 절반형 후면지(222)의 상부를 덮어준다.
삽입홀(225)은, 전면지(221)와 절반형 덮개(224)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어, 결합부(300)에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달력지부(200)는, 전면지(221)의 후면에 편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며, 전면지(221)를 반으로 접어 절반형 수납공간(223)에 삽입하여 편지지 및 편지봉투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불필요한 부분은 절취하여 사용하도록 하며, 절반형 덮개(224)와 절반형 후면지(222) 사이는 편지를 작성한 이후에 접착시켜 밀봉하도록 한다.
도 16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7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에 있는 달력지부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달력지부(200)는, 전면지(231), 좌측 후면지(232), 좌측 수납공간(233), 좌측 덮개(234), 우측 후면지(235), 우측 수납공간(236), 우측 덮개(237), 삽입홀(238)을 포함한다.
전면지(231)는, 전면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된다.
좌측 후면지(232)는, 전면지(231)의 후방 좌측에 형성된다.
좌측 수납공간(233)는, 전면지(231)의 좌측과 좌측 후면지(232) 사이에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전면지(231)의 좌측과 좌측 후면지(232) 사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좌측 덮개(234)는, 전면지(231)의 상단 좌측에 연장 형성되며, 후방으로 절첩하여 전면지(231)의 좌측과 좌측 후면지(232) 사이에 개방된 부분을 덮어준다.
우측 후면지(235)는, 전면지(231)의 후방 우측에 형성된다.
우측 수납공간(236)은, 전면지(231)의 우측과 우측 후면지(235) 사이에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전면지(231)의 우측과 우측 후면지(235) 사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우측 덮개(237)는, 전면지(231)의 상단 우측에 연장 형성되며, 후방으로 절첩하여 전면지(231)의 우측과 우측 후면지(235) 사이에 개방된 부분을 덮어준다.
삽입홀(238)은, 전면지(231), 좌측 후면지(232), 좌측 덮개(234), 우측 후면지(235), 우측 덮개(237) 각각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결합부(300)에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달력지부(200)는, 좌측과 우측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물품 종류에 따라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으며, 2개의 봉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8 내지 도 19는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8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달력지부(200)는,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 신축부재(2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는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신축부재(214)는, 전면지(201)의 상부를 제외한 테두리 부분과 후면지(202)의 상부를 제외한 테두리 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신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신축부재(214)는, 신축 가능한 소재(예를 들어, 스판, 고무 등)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늘어나고 사용자가 잡아당긴 것을 놓으면 신축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신축부재(214)는, 평상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지(201)와 후면지(202)의 테두리 부분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후면지(202)를 잡아당기면, 도 19와 같이, 신축부재(214)가 늘어나면서 수납공간(203)이 확대되어 물품을 넣거나 빼기에 용이함은 물론,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면서 전면지(201)와 후면지(202) 사이가 찢어질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달력지부(20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축부재(214)의 신축에 의해 수납공간(203)이 확장 가능하여, 수납공간(203)에 많은 양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0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9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달력지부(200)는,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 마감부재(215), 접착제(216), 덮개 보호지(2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는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마감부재(215)는, 덮개(204)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덮개(204)의 테두리 부분을 마감한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부재(215)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덮개(204)의 날카로운 부분을 둥글게 마감 처리하여 사용자의 손이 베이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접착제(216)는, 마감부재(215)의 일면에 형성되어, 덮개(204)를 전면지(201)의 후면과 후면지(202)에 접착시킨다.
덮개 보호지(217)는, 접착제(216)에 부착되어, 평상시 접착제(216)가 다른 곳에 접착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 보호지(217)는, 필요 시에 접착제(216)로부터 뜯어내어, 접착제(216)가 전면지(201)와 후면지(202)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달력지부(200)는, 덮개(204)의 날카로운 부분을 마감하여 사용자의 손이 베이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제1 접착제(208), 제2 접착제(209)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마감부재(215)에 형성된 접착제(216)를 통해 덮개(204)를 접착시켜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1은 도 1에 있는 달력지부를 제10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달력지부(200)는, 달력지부(200)는,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 보조포켓(218)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지(201), 후면지(202), 수납공간(203), 덮개(204), 삽입홀(205)는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보조포켓(218)은, 전면지(201)의 전면에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보조적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포켓(218)은,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지(201)의 전면에 날짜 및 요일 정보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다용도 탁상용 달력
100 : 본체부
101 : 전면판
102 : 후면판
103 : 하면판
200 : 달력지부
201, 221, 231 : 전면지
201a : 꽂이수단
202 : 후면지
203 : 수납공간
204 : 덮개
205, 225, 238 : 삽입홀
206 : 제1 절취선
206 : 제2 절취선
208 : 제1 접착제
209 : 제2 접착제
210, 211 : 보호지
212 : 투명창
213 : 가이드라인
214 : 신축부재
215 : 마감부재
216 : 접착제
217 : 덮개 보호지
218 : 보조포켓
222 : 절반형 후면지
223 : 절반형 수납공간
224 : 절반형 덮개
232 : 좌측 후면지
233 : 좌측 수납공간
234 : 좌측 덮개
235 : 우측 후면지
236 : 우측 수납공간
237 : 우측 덮개
300 : 결합부
400 : 볼펜꽂이부
500 : 자석부
600 : 연장부

Claims (5)

  1. 전면판, 후면판, 하면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전면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되고, 전면과 후면 사이의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전면과 후면 사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개의 달력지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달력지부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달력지부는,
    전면에 월별 날짜 및 요일 정보가 표시되는 전면지;
    상기 전면지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면지;
    상기 전면지와 상기 후면지 사이에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전면지와 상기 후면지 사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납공간;
    상기 전면지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후방으로 절첩하여 상기 개방된 부분을 덮기 위한 덮개;
    상기 전면지와 상기 덮개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홀;
    상기 전면지의 상부에 형성되어 절취시키기 위한 제1 절취선;
    상기 덮개에 형성되어 절취시키기 위한 제2 절취선;
    상기 덮개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상기 전면지의 후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제1 접착제;
    상기 제1 접착제와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상기 후면지에 접착시키기 위한 제2 접착제; 및
    평상시 상기 제1 접착제와 상기 제2 접착제가 다른 곳에 접착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2개의 보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탁상용 달력.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 형성되어, 볼펜을 꽂기 위한 볼펜꽂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탁상용 달력.
  5. 제1항에 있어서,
    하면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자력을 제공하기 위한 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탁상용 달력.
KR1020200021379A 2020-02-21 2020-02-21 다용도 탁상용 달력 KR102128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379A KR102128821B1 (ko) 2020-02-21 2020-02-21 다용도 탁상용 달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379A KR102128821B1 (ko) 2020-02-21 2020-02-21 다용도 탁상용 달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821B1 true KR102128821B1 (ko) 2020-07-02

Family

ID=7159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379A KR102128821B1 (ko) 2020-02-21 2020-02-21 다용도 탁상용 달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86Y1 (ko) 2020-07-10 2021-07-29 서이준 탁상용 달력 멀티확장형 스탠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690B1 (ko) * 2006-10-16 2007-09-14 박정현 수납구를 가진 탁상용 캘린더
KR20090010219U (ko) 2008-04-03 2009-10-07 이광민 삼각형달력
KR200462792Y1 (ko) * 2012-07-24 2012-10-02 (주)캐빈컴 다용도 탁상달력
KR20130092179A (ko) * 2012-02-10 2013-08-20 박성곤 탁상달력
KR101680240B1 (ko) 2014-04-08 2016-11-28 모국진 조립식 수납부를 구비한 탁상달력
KR102007733B1 (ko) * 2019-05-31 2019-08-07 (주)드림애드앤프린팅그룹 수납 포켓을 갖는 탁상용 캘린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690B1 (ko) * 2006-10-16 2007-09-14 박정현 수납구를 가진 탁상용 캘린더
KR20090010219U (ko) 2008-04-03 2009-10-07 이광민 삼각형달력
KR20130092179A (ko) * 2012-02-10 2013-08-20 박성곤 탁상달력
KR200462792Y1 (ko) * 2012-07-24 2012-10-02 (주)캐빈컴 다용도 탁상달력
KR101680240B1 (ko) 2014-04-08 2016-11-28 모국진 조립식 수납부를 구비한 탁상달력
KR102007733B1 (ko) * 2019-05-31 2019-08-07 (주)드림애드앤프린팅그룹 수납 포켓을 갖는 탁상용 캘린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86Y1 (ko) 2020-07-10 2021-07-29 서이준 탁상용 달력 멀티확장형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7967B1 (en) Greeting card and display box
US20070147712A1 (en) Method of making articles for storing and organizing materials
US6024277A (en) Magnetic pocket display card
US5494366A (en) Organizer notebook
US8104795B2 (en) Expandable card form
KR102128821B1 (ko) 다용도 탁상용 달력
US6575758B1 (en) Display holder and method for using same
US5351928A (en) Easel and pad pack and method of use
WO2003007275A3 (en) Combined storage device with integrated advertising medium
WO2010118061A1 (en) Gift wear greeting card
US20070120360A1 (en) Bound component with sticker sheets
KR102007733B1 (ko) 수납 포켓을 갖는 탁상용 캘린더
US5192093A (en) Indicia card storage device
EP2872341B1 (en) Foldable pop-up article
US6161321A (en) Posting device
US8046940B2 (en) Folder with card-receiving recess
JP3136375U (ja) スタンドホルダ
JP3155585U (ja) 附箋ホルダ及び附箋ホルダセット
CN201923419U (zh) 可快速拆封的拉链式封套
CN212765385U (zh) 一种具有立体展层结构的笔记本
JP2002362076A (ja) ホルダ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208855265U (zh) 一种多功能台历
AU2007100265A4 (en) A storage article for storing sheets of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orage article
JPH08156464A (ja) ラベル付き帳票
JP2009018815A (ja) 記憶媒体収納体及び無線綴じ冊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