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661B1 -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661B1
KR102128661B1 KR1020180145048A KR20180145048A KR102128661B1 KR 102128661 B1 KR102128661 B1 KR 102128661B1 KR 1020180145048 A KR1020180145048 A KR 1020180145048A KR 20180145048 A KR20180145048 A KR 20180145048A KR 102128661 B1 KR102128661 B1 KR 10212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sub
block
blockchain
cryptocur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830A (ko
Inventor
장준화
장은하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8014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6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Abstract

기존의 메인 블록체인에 서브 블록체인을 연결하여 수행되는 암호화폐 거래 등에 있어서 블록체인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은, 제1 암호화폐의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메인 블록을 생성 및 승인하고, 이전 메인 블록과 연결하는 제1 메인 블록체인; 및 상기 제1 암호화폐의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제1 서브 블록을 생성 및 승인하고, 이전 서브 블록과 연결하는 제1 서브 블록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은,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고객들 간의 제1 암호화폐에 대한 제1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상기 제1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서브 블록의 생성 및 승인을 진행하여 상기 제1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하고, 상기 확정된 제1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메인 블록체인에 동기화시키는 제1 체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2 Layer Block Chain System}
본 발명은 블록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폐 거래 등을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전자 금융 거래는 개인이 은행, 정부 등 신뢰할 수 있는 기관과 거래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이는 중앙 집중형 구조의 금융 시스템으로서 중앙 서버가 금융 거래에 대한 증명 및 관리 역할을 담당한다.
최근에 제시된 금융 시스템은 블록체인(Block Chain)에 기초한 암호화폐를 사용하며,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가 거래내역을 공유 및 보관하는 분권형(Decentralized) 구조로 구현되어 있다.
상술한 블록체인 기술은 2008년에 공개된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의 "비트코인: 피어-투-피어 전자화폐 시스템(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System)" 논문에서 처음 제시된 것으로서, 암호화폐의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등을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 발생, 해당 거래가 담긴 블록생성, 네트워크상의 참여자들의 블록승인, 및 해당 거래의 완료를 위해 승인된 블록을 기 생성된 블록에 연결하는 블록연결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 생성시 이전 블록의 해쉬값을 포함시켜 이전블록에 연결하고, 각 노드들이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데이터의 변경이 불가능하고,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어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블록체인기술에서 암호화폐 거래가 가능한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트랜잭션 처리시간이 오래 걸리고(예컨대, 트랜잭션당 비트코인은 10분 이상의 처리시간 요소, 이더리움은 13 내지 15초가 소요됨), 분기 블록의 영향으로 최소 6 내지 7개의 블록이 연결된 후에야 트랜잭션이 확정되므로 최종거래 처리시간까지 더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암호화폐 거래를 중계하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는 이러한 블록체인의 처리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거래소가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거래를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내부 거래 방식은 거래의 신속성을 보장하지만 해킹에 쉽게 노출되고, 투명성 보장이 어려워 거래소의 과도한 수수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4749호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2016.10.06 공개)
본 발명은 기존의 메인 블록체인에 서브 블록체인을 연결하여 수행되는 암호화폐 거래 등에 있어서 블록체인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를 별도의 블록체인에서 처리하여 거래 투명성을 보장하고, 보안을 강화하여 해킹위험을 감소시키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타입의 암호화폐간 교환 거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타입의 암호화폐간의 거래 처리시 각 타입 별로 정해진 포맷에 부합하도록 블록포맷을 변환할 수 있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은, 제1 암호화폐의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메인 블록을 생성 및 승인하고, 이전 메인 블록과 연결하는 제1 메인 블록체인; 및 상기 제1 암호화폐의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제1 서브 블록을 생성 및 승인하고, 이전 서브 블록과 연결하는 제1 서브 블록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은,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고객들 간의 제1 암호화폐에 대한 제1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상기 제1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서브 블록의 생성 및 승인을 진행하여 상기 제1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하고, 상기 확정된 제1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메인 블록체인에 동기화시키는 제1 체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내에서의 암호화폐 거래 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암호화폐 거래소 내의 해킹위험을 감소시키고, 암호화폐의 도난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타입의 암호화폐간의 거래 이외에도 서로 다른 타입의 암호화폐간의 거래도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는 물론 시스템 적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타입의 암호화폐간의 거래 처리시 각 타입 별로 정해진 포맷에 부합하도록 블록정보를 변환할 수 있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인 커넥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블록변환부에 의한 블록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서로 다른 포맷을 갖는 서브블록의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메인 블록체인(110) 및 메인 블록체인(110)에 연결되는 서브 블록체인(120)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메인 블록체인(110)은 암호화폐의 발행 및 이전을 위하여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메인 블록(114)을 생성하여 트랜잭션 내역을 저장한다. 메인 블록체인(110)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실행을 위하여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트랜잭션 내역들이 포함된 메인 블록(114)은 블록 승인을 획득한 후, 메인 블록체인(110)에 참여하는 노드(112)들에게 공유하고, 이전에 생성된 메인 블록(116)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메인 블록(114)에 대한 승인은 메인 블록(114)의 넌스(Nonce)값을 찾는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 방식 또는 지분에 따른 지분증명(POS: Proof of Shake) 방식일 수 있다.
서브 블록체인(120)은 암호화폐의 이전을 위하여 발생되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서브 블록(126)을 생성하여 암호화폐 이전에 대한 트랜잭션 내역을 저장한다. 서브 블록체인(120)은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을 위하여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서브 블록체인(120)은 서브 블록(126)을 생성하는 체인 커넥터(124)를 포함한다. 체인 커넥터(124)는 서브 블록체인(120) 내에서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해당 트랜잭션이 포함된 서브 블록(126)을 생성한다. 체인 커넥터(124)는 상기 생성된 서브 블록(126)에 대한 블록 승인을 진행하고, 이전 서브블록(128)에 서브 블록(126)을 연결함으로써 트랜잭션을 확정한다. 체인 커넥터(124)는 확정된 트랜잭션 결과를 메인 블록체인(120)에 전달하여 서브 블록체인(120)의 트랜잭션을 메인 블록체인(110)에 동기화시킨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커넥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커넥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커넥터(124)는 블록관리부(210) 및 통신부(220)를 포함하고, 블록관리부(210)는 블록생성부(212), 블록승인부(214), 및 블록연결부(216)를 포함한다.
블록생성부(212)는 암호화폐의 이전을 위하여 발생되는 거래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서브 블록(126)을 생성하여 거래 트랜잭션 내역을 저장한다. 상기 거래 트랜잭션은 암호화폐의 판매자와 구매자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인 커넥터(1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관리하는 계약관리부(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 트랜잭션은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한 고객이 발생시킬 수 있다.
블록승인부(214)는 블록생성부(212)에 의해 생성된 서브 블록(126)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승인한다. 블록 승인은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는 서브 노드(122)가 일정 수준이 넘어가는 경우 빠른 실행을 위한 POA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TPS 보장을 전제로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는 서브 노드(122)들을 통한 POW, POS, DPOS 등의 다양한 승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블록연결부(216)는 블록승인부(214)에 의해 블록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완료된 블록(126)을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한 서브 노드(122)들에게 공유하고, 이전 서브블록(128)과 연결시킴으로써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시킨다. 이때, 서브 블록(126)의 공유는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한 모든 서브 노드(122)들을 포함할 수 있고, 블록 공유 권한이 부여된 일부 서브 노드에게만 공유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연결부(216)는 확정된 거래 트랜잭션을 메인 블록체인(110)의 메인 블록(114)에 동기화시킨다. 블록연결부(216)는 일정 주기로 트랜잭션 결과 동기화를 진행시킬 수 있고, 일정 트랜잭션이 확보되는 것을 조건으로 트랜잭션 결과 동기화를 진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거래 트랜잭션 및 서브 블록(126)을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는 서브 노드(126)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한다.
제1 실시예
제1 서브 블록체인의 고객 간에 제1 암호화폐에 대한 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제1 암호화폐 거래가 제1 서브 블록체인에서 처리되고, 제1 메인 블록체인에 동기화되는 제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메인 블록체인은 제1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제1 메인 블록체인(110)을 포함하고, 서브 블록체인은 제1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제1 서브블록체인(12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 체인 커넥터는 제1 체인 커넥터(124)로 정의하고,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서 생성되는 서브 블록은 제1 서브 블록으로 정의하며, 제1 메인 블록체인(110)에서 생성되는 메인 블록은 제1 메인 블록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서 제1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해, 제1 암호화폐의 이전이 가능한 전자지갑을 통해 제1 거래 트랙잭션이 발생되면,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제1 서브 블록(126)을 생성하여 블록 승인을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래 트랜잭션은 제1 암호화폐의 판매자와 구매자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는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한 고객일 수 있다. 제1 서브블록(126)의 승인은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는 노드(122)가 일정 수준이 넘어가는 경우 빠른 실행을 위한 POA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TPS 보장을 전제로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는 노드들을 통한 POW, POS, DPOS 등의 다양한 승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제1 서브블록(126)의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완료된 제1 서브블록(126)을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한 노드(122)들에게 공유하고, 이전 서브 블록(128)과 연결시킴으로써 제1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시킨다. 상기 제1 서브 블록(126)은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한 모든 노드(122)들 사이에서 공유되거나, 블록 공유 권한이 부여된 일부 노드에게만 공유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체인 커넥터(124)는 확정된 제1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메인 블록체인(110)의 메인 블록(114)에 동기화시킨다. 상기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일정 주기로 제1 거래 트랜잭션 결과 동기화를 진행시킬 수 있고, 일정 트랜잭션이 확보되는 것을 조건으로 제1 거래 트랜잭션 결과 동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
제1 메인 블록체인(110)의 경우 거래 트랜잭션의 처리 및 확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예컨대, 비트코인은 트랜잭션당 10분 소요, 이더리움은 13 내지 15초 소요), 최소 6 내지 7개의 제1 메인 블록(114)이 연결되어야만 거래 트랜잭션의 확정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암호화폐에 대한 제1 거래 트랜잭션의 처리 및 확정이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제1 거래 트랜잭션의 처리 및 확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빠른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암호화폐 거래의 경우 모든 거래가 블록체인을 통해 수행되기 때문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대규모 해킹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의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제1 서브 블록체인의 고객 간에 제1 암호화폐에 대한 거래 및 제1 암호화폐와 다른 제2 암호화폐에 대한 거래가 각각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제1 암호화폐 거래 및 제2 암호화폐 거래가 제1 서브 블록체인에서 처리되고, 제1 암호화폐 거래는 제1 메인 블록체인에 동기화되고 제2 암호화폐 거래는 제2 메인 블록체인에 동기화되는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메인 블록체인이 제1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제1 메인 블록체인(110)과 제2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제2 메인 블록체인(140)을 포함하고, 서브 블록체인이 제1 암호화폐 거래 및 제2 암호화폐 거래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1 서브 블록체인(12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서브 블록체인(120)은 제1 메인 블록체인(110) 및 제2 메인 블록체인(140)에 연결되고, 제1 암호화폐 거래 및 제2 암호화폐의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이다. 제2 메인 블록체인(130)에서 생성되는 메인 블록은 제1 메인 블록체인(110)에서 생성된 제1 메인 블록(116)과 구별하기 위해 제2 메인 블록(146)으로 정의한다.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서 전자지갑을 통해 제1 암호화폐 이전에 대한 제1 거래 트랙잭션이 발생되면 제1 서브 블록(126)을 생성하여 블록 승인을 획득하고, 제2 암호화폐 이전에 대한 제2 거래 트랙잭션이 발생되면 제2 서브 블록(610)을 생성하여 블록 승인을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거래 트랜잭션은 제1 암호화폐의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발생될 수 있고, 제2 거래 트랜잭션은 제2 암호화폐의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거래 트랜잭션은 제1 서브 블록 체인(120)에 참여한 고객이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서브 블록(126) 및 제2 서브 블록(610)의 승인은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는 노드(122)가 일정 수준이 넘어가는 경우 빠른 실행을 위한 POA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TPS 보장을 전제로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는 노드들을 통한 POW, POS, DPOS 등의 다양한 승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제1 서브 블록(126)의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완료된 제1 서브 블록(126)을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한 노드(122)들에게 공유하고, 제1 서브 블록(128)과 연결시킴으로써 제1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시킨다. 또한,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제2 서브 블록(610)의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완료된 제2 서브 블록(610)을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한 노드(122)들에게 공유하고, 이전 제2 서브 블록(612)과 연결시킴으로써 제2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서브 블록(126) 및 제2 서브 블록(610)은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한 모든 노드(122)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고, 블록 공유 권한이 부여된 일부 노드에게만 공유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서브 블록(126) 및 제2 서브 블록(610)은 동일 포맷의 블록일 수 있고, 이전 서브 블록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체인 커넥터(124)는 확정된 제1 거래 트랜잭션을 제1 메인 블록체인(110)의 제1 메인 블록(114)에 동기화시킨다. 또한, 제1 체인 커넥터(124)는 확정된 제2 거래 트랜잭션을 제2 메인 블록체인(140)의 제2 메인 블록(146)에 동기화시킨다. 이때,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일정 주기로 제1 및 제2 거래 트랜잭션 결과 동기화를 진행시킬 수 있고, 일정 트랜잭션이 확보되는 것을 조건으로 제1 및 제2 거래 트랜잭션 결과 동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브 블록체인(12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암호화폐, 즉 제1 암호화폐뿐만 아니라 제2 암호화폐 거래를 처리 및 확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암호화폐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암호화폐 거래가 블록체인을 통해 수행되기 때문에 대규모 해킹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제1 서브 블록체인의 고객과 제1 서브 블록체인과 다른 제2 서브 블록체인의 고객 간에 제1 암호화폐에 대한 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제1 암호화폐 거래가 제1 서브 블록체인 및 제2 서브 블록체인에서 처리되고, 제1 암호화폐 거래가 제1 메인 블록체인에 동기화되는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메인 블록체인이 제1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제1 메인 블록체인(110)을 포함하고, 서브 블록체인이 제1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제1 서브블록체인(120) 및 제2 서브 블록체인(13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서, 제2 서브 블록체인(130)은 제2 체인 커넥터(134)를 포함한다.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서 제1 체인 커넥터(124)가 제1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한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서브 블록의 생성 및 승인을 진행하여 해당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하고, 제2 서브 블록체인(130)에서 제2 체인 커넥터(134)가 제1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한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서브 블록의 생성 및 승인을 진행하여 해당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하는 내용은 제1 실시예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고 있는 고객(트랜잭션 발생자)과 제2 서브 블록체인(130)에 참여하고 있는 고객 사이에 제1 암호화폐의 이전에 대한 제3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제3 거래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제3 거래 트랜잭션을 포함한 제1 서브 블록(126)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거래 트랜잭션은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고 있는 고객과 2 서브 블록체인(130)에 참여하고 있는 고객 사이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발생할 수 있다.
제1 체인 커넥터(124)가 생성한 제1 서브 블록(126)을 제2 체인 커넥터(134)로 전송하면, 제2 체인 커넥터(134)는 제3 거래 트랜잭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제1 서브 블록(126)을 승인한다.
상기 제1 서브 블록(126)의 전송은 상기 제1 체인 커넥터(124)가 상기 제2 서브 블록체인(130)에 참여한 노드에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전송받은 제2 서브 블록체인(130)의 노드들은 상기 제2 체인 커넥터(134)에 순차 전송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제1 서브 블록(126)의 승인은 제2 서브 블록체인(130)에 참여하는 노드(132)가 일정 수준이 넘어가는 경우 빠른 실행을 위한 POA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TPS 보장을 전제로 제2 서브 블록체인(130)에 참여하는 노드들을 통한 POW, POS, DPOS 등의 다양한 승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체인 커넥터(134)는 제1 서브 블록(126)의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결과를 제1 체인 커넥터(124)로 전송하고, 승인 완료된 제1 서브 블록(126)을 이전 블록과 연결시킴으로써 제3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시킨다.
제2 체인 커넥터(134)에서 제1 체인 커넥터(124)로의 전송은 상기 제1서브 블록(126)의 전송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제2 체인 커넥터(134)로부터 블록승인 결과가 수신되면 제1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한 노드들에게 승인된 제1 서브 블록(126)을 공유하고, 이전 블록(128)에 연결시킨다.
상기 제1 체인 커넥터(124) 또는 제2 체인 커넥터(134) 중 어느 하나는 확정된 제3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메인 블록체인(110)의 메인 블록(116)에 동기화시킨다. 상기 제1 체인 커넥터(124) 또는 제2 체인 커넥터(134) 중 어느 하나는 일정 주기로 제3 거래 트랜잭션 결과 동기화를 진행시킬 수 있고, 일정 트랜잭션이 확보되는 것을 조건으로 제3 거래 트랜잭션 결과 동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메인 블록체인(110)에 연결되는 서로 다른 서브 블록체인(120, 130) 간에도 암호화폐의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거래 트랜잭션의 처리 및 확정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은 물론, 시스템의 적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예
제1 서브 블록체인의 고객과 제2 서브 블록체인 고객 간에 제1 암호화폐 및 제2 암호화폐 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제1 암호화폐 거래 및 제2 암호화폐 거래가 제1 서브 블록체인 및 제2 서브 블록체인에서 처리되고, 제1 암호화폐 거래 내역은 제1 메인 블록체인에 동기화되고 제2 암호화폐 거래 내역은 제2 메인 블록체인에 동기화되는 제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메인 블록체인이 제1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제1 블록체인(110) 및 제2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제2 블록체인(140)을 포함하고, 서브 블록체인이 제1 메인 블록체인(110)에 연결되고 제1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제1 서브블록체인(120) 및 제2 메인 블록체인(140)에 연결되고 제2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제3서브 블록체인(15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서, 제3 서브 블록체인(150)은 제3 체인 커넥터(154)를 포함한다.
제1 체인 커넥터(124)가 제1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한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서브 블록의 생성 및 승인을 진행하여 해당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하는 내용 및 제3 체인 커넥터(154)가 제2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한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서브 블록의 생성 및 승인을 진행하여 해당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하는 내용은 제1 실시예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고 있는 고객과 제3 서브 블록체인(150)에 참여하고 있는 고객 사이에 제1 암호화폐와 제2 암호화폐를 교환하는 제4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제4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제1 서브 블록(126)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거래 트랜잭션은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와 제3 서브 블록체인(150)에 참여하고 있는 고객 사이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4 서브 트랜잭션은 제1 암호화폐 및 제2 암화화폐 간의 교환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제4 서브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제1 서브 블록(126)은 제3 서브 블록체인(150)에 의해서도 검증되어야 한다. 하지만, 제3 서브 블록체인(150)은 처리 가능한 포맷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서브블록(126)을 검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블록의 포맷이 상이한 경우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제1 서브블록(126)을 제3 서브 블록체인(150)이 검증할 수 있는 제3 서브블록(71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체인 커넥터(124)의 블록관리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록변환부(2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인 커넥터(124)의 블록변환부(218)는 제1 서브블록(126)을 제3 서브블록(710)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변환부(21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변환 시 제1 서브블록(216)의 헤더영역 내에 제1 서브 블록(216)에는 포함되어 있고 제3 서브 블록(710)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잉여정보(822)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영역(810)을 생성하고, 제1 서브블록(126)의 헤더영역(820) 내에 존재하는 잉여정보(822)를 더미영역(810)으로 이동 배치함으로써 제1 서브블록(126)을 제3 서브블록(71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서브블록(126)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으로 구성되고, 제3 서브블록(710)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으로 구성되는 경우, 블록변환부(218)는 제3 서브블록(710)에만 포함되고 제1 서브블록(126)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정보들인 Beneficiary, Logs Bloom, Difficulty, Extra Data, Gas Limit, Gas Used, Mix Hash, State Root, Transaction Root, 및 Receipt Root와 같은 정보들을 잉여정보로 정의하고, 별도의 더미영역을 생성한 후 해당 잉여정보들을 더미영역으로 이동배치함으로써 제1 서브 블록(126)을 제3 서브 블록(710)으로 변환한다.
다른 예로, 블록변환부(218)는 블록변환 시 제1 서브 블록(126)에 제3 서브 블록(710)의 헤더영역에는 포함되어 있고 제1 서브블록(126)의 헤더영역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부족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부족정보를 미리 정해진 값으로 할당함으로써 제1 서브블록(126)을 제3 서브블록(71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서브블록(126)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을 갖고, 제3 서브블록(710)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을 갖는 경우 블록변환부(218)는 제3 서브블록(710)의 헤더영역에는 포함되어 있고 제1 서브블록(126)의 헤더영역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정보들인 Beneficiary, Logs Bloom, Difficulty, Extra Data, Gas Limit, Gas Used, Mix Hash, State Root, Transaction Root, 및 Receipt Root와 같은 정보들을 부족정보로 정의하고, 해당 부족정보들에 미리 정해진 값을 할당함으로써 제1 서브 블록(126)을 제3 서브 블록(71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체인 커넥터(124)가 제1 서브 블록(126)을 제3 서브 블록(710)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제1 서브 블록(126)을 제3 체인 커넥터(154)로 전송하고 제3 체인 커넥터(154)가 제1 서브 블록(126)을 제3 서브 블록(710)으로 변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3 체인 커넥터(154)가 도 2에 도시된 블록변환부(218)를 추가로 포함하게 되고, 제3 체인 커넥터(154)의 블록변환부(218)는 제1 체인 커넥터(124)로부터 제1 서브 블록(126)이 수신되면 이를 제3 서브 블록(710)으로 변환한다. 제1 서브 블록(126)을 제3 서브 블록(710)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체인 커넥터(124) 및 제3 체인 커넥터(154) 모두가 블록변환부(218)를 포함하고, 제1 체인 커넥터(124)의 블록변환부(218)는 제1 서브 블록(126)을 미리 정해진 포맷의 기준블록(미도시)로 변환하여 제3 체인 커넥터(154)의 블록변환부(218)로 전송하면 제3 체인 커넥터(154)의 블록변환부(218)가 기준 블록을 제3 서브 블록(710)으로 변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체인 커넥터(124)가 변환 완료된 제3 서브 블록(710)을 제3 체인 커넥터(154)로 전송하면, 제3 체인 커넥터(154)는 제3 서브 블록(710)을 승인한다. 이때, 제3 서브 블록(710)의 승인은 제3 서브 블록체인(150)에 참여하는 노드(152)가 일정 수준이 넘어가는 경우 빠른 실행을 위한 POA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TPS 보장을 전제로 제1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는 노드들을 통한 POW, POS, DPOS 등의 다양한 승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3 체인 커넥터(154)는 제3 서브 블록(710)의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결과를 제1 체인 커넥터(124)로 전송하고, 승인 완료된 제3 서브블록(710)을 이전 제3 서브 블록(712)과 연결시킴으로써 제3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3 체인 커넥터(154)는 확정된 제3 거래 트랜잭션을 제2 메인 블록체인(140)의 메인 블록(146)에 동기화시킨다. 상기 제3 체인 커넥터(154)는 일정 주기로 제3 거래 트랜잭션 결과 동기화를 진행시킬 수고, 일정 트랜잭션이 확보되는 것을 조건으로 제3 거래 트랜잭션 결과 동기화를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체인 커넥터(124)는 제3 체인 커넥터(154)로부터 블록승인 결과가 수신되면 승인된 제3 서브 블록(710)에 대응되는 제1 서브 블록(126)을 이전 제1 서브 블록(128)에 연결시킨다. 이후, 제1 체인 커넥터(124)는 확정된 제3 거래 트랜잭션을 제1 메인 블록체인(110)의 메인 블록(116)에 동기화시킨다.
이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정류의 암호화폐 거래를 처리하는 서브 블록체인(120, 130)들 간에도 서로 다른 종류의 암호화폐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거래 트랜잭션의 처리 및 확정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은 물론, 시스템의 적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운영 시스템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도 구현되어 컴퓨터 또는 서브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110: 제1 메인 블록체인 120: 제1 서브 블록체인
122: 제1 서브노드 124: 제1 체인 커넥터
210: 블록관리부 212: 블록생성부
214: 블록승인부 216: 블록연결부
217: 계약관리부 218: 블록변환부
220: 통신부

Claims (14)

  1. 제1 암호화폐의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메인 블록을 생성 및 승인하고, 이전 메인 블록과 연결하는 제1 메인 블록체인; 및
    상기 제1 암호화폐의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제1 서브 블록을 생성 및 승인하고, 이전 서브 블록과 연결하는 제1 서브 블록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은,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고객들 간의 제1 암호화폐에 대한 제1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상기 제1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서브 블록의 생성 및 승인을 진행하여 상기 제1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하고, 상기 확정된 제1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메인 블록체인에 동기화시키는 제1 체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 커넥터는,
    제1 암호화폐용 전자지갑을 통해 상기 제1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상기 제1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상기 제1 서브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생성부;
    미리 정해진 검증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서브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제1 서브 블록을 승인하는 블록승인부; 및
    상기 승인된 제1 서브 블록을 이전 서브 블록에 연결시켜 상기 제1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하고, 상기 확정된 제1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메인 블록체인의 상기 제1 메인 블록에 동기화시키는 블록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 커넥터는,
    상기 제1 거래 트랜잭션 및 상기 제1 서브 블록을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한 노드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2 암호화폐의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2 메인 블록을 생성 및 승인하는 제2 메인 블록체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인 커넥터는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고객들 간의 제2 암호화폐에 대한 제2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상기 제2 거래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상기 제2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2 서브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블록체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암호화폐의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2 서브 블록의 생성 및 승인을 진행하는 제2 체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서브 블록체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체인 커넥터는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제1 고객과 상기 제2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제2 고객 간에 상기 제1 암호화폐에 대한 제3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상기 제3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상기 제1 서브 블록에 대한 승인을 진행하여 상기 제3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 커넥터는 상기 제3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상기 제1 서브 블록을 상기 제2 체인 커넥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체인 커넥터는 상기 제3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상기 제1 서브 블록을 이전 서브 블록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 커넥터 및 상기 제2 체인 커넥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확정된 제3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메인 블록체인에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제2 암호화폐의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2 메인 블록을 생성 및 승인하는 제2 메인 블록체인; 및
    상기 제2 메인 블록체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암호화폐의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제3 서브 블록의 생성 및 승인을 진행하는 제3 체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3 서브 블록체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인 커넥터는,
    상기 제1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제1 고객과 상기 제3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제2 고객 간에 상기 제1 암호화폐와 상기 제2 암호화폐의 교환에 대한 제4 거래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상기 제4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서브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4 거래 트랜잭션이 확정되면 상기 제4 거래 트랜잭션이 포함된 상기 제1 서브 블록을 이전 서브 블록에 연결시키고, 상기 확정된 제4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메인 블록체인에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 커넥터는 상기 제4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상기 제1 서브 블록의 포맷을 상기 제3 서브 블록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3 체인 커넥터로 전송하는 블록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인 커넥터는 상기 제4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상기 제1 서브 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제4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상기 제1 서브 블록의 포맷을 상기 제3 서브 블록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블록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인 커넥터는 상기 제4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상기 제3 서브 블록에 대한 승인을 진행하여 상기 제4 거래 트랜잭션을 확정하고, 승인 결과를 상기 제1 체인 커넥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인 커넥터는 상기 제4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상기 제3 서브 블록이 승인되면, 상기 제4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상기 제3 서브 블록을 이전에 생성된 서브 블록에 연결시키고, 상기 확정된 제4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제2 메인 블록체인과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변환부는,
    상기 제1 서브 블록 내에 상기 제3 서브 블록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잉여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제1 서브 블록에 더미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더미영역에 상기 잉여정보를 이동 배치하여 상기 제1 서브 블록을 상기 제3 서브 블록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변환부는,
    상기 제1 서브 블록 내에 상기 제3 서브 블록에만 포함되어 있는 부족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부족정보에 미리 정해진 값을 할당하여 상기 제1 서브 블록을 상기 제3 서브 블록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KR1020180145048A 2018-11-22 2018-11-22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KR10212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048A KR102128661B1 (ko) 2018-11-22 2018-11-22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048A KR102128661B1 (ko) 2018-11-22 2018-11-22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30A KR20200059830A (ko) 2020-05-29
KR102128661B1 true KR102128661B1 (ko) 2020-06-30

Family

ID=7091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048A KR102128661B1 (ko) 2018-11-22 2018-11-22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8756B (zh) * 2021-12-15 2023-09-08 合肥工业大学 基于双层区块链的电力点对点交易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131B1 (ko) 2016-04-28 2017-02-13 주식회사 라피 이종간 블록체인 연결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검증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3B1 (ko) 2015-02-25 2016-11-04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KR102017739B1 (ko) * 2017-05-12 2019-09-03 박경옥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 생성 방법
KR101964692B1 (ko) * 2017-05-12 2019-04-02 주식회사 엑스블록시스템즈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이용한 데이터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131B1 (ko) 2016-04-28 2017-02-13 주식회사 라피 이종간 블록체인 연결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검증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30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56859B (zh) 基于区块链的金融产品交易共识方法、节点及系统
TWI746949B (zh) 基於區塊鏈的隱私交易及其應用方法和裝置
CN108009811B (zh) 一种面向云际计算环境价值交换的跨链通信方法
JP7021747B2 (ja) 決済システム、決済方法、利用者装置、決済プログラム
KR102277998B1 (ko) 전자 어음 관리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TWI716140B (zh) 基於區塊鏈的資料處理方法和裝置
KR10257343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에너지 거래 플랫폼 및 그 방법
TWM543413U (zh) 利用區塊鏈技術進行交易的網路借貸平台
CN111327648B (zh) 基于区块链智能合约的处理方法和系统
CN112583917B (zh) 一种基于cscp的混合链构建方法
CN113989047A (zh) 基于区块链的资产发布方法及装置、电子设备
AU2019204713A1 (en) Transferring digital tickets based on blockchain networks
CN109089428A (zh) 用于改善区块链资产交易中的安全性的系统以及方法
EP3933642A1 (en) Managing transactions in multiple blockchain networks
EP3937050B1 (en) Managing transactions in multiple blockchain networks
US11651458B2 (en) Method for generating target contract and terminal device
TW202026979A (zh) 基於區塊鏈的資料處理方法和裝置
CN111049806B (zh) 一种联合权限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EP3933641B1 (en) Managing transactions in multiple blockchain networks
Manimaran et al.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 for e-bidding system
CN111461881A (zh) 数据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128661B1 (ko) 이중 레이어 블록체인 시스템
Li et al. POLYBRIDGE: A crosschain bridge for heterogeneous blockchains
CN111797171A (zh) 一种基于区块链跨链技术的数据同步系统
CN108764922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对象交易和验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