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449B1 -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449B1
KR102128449B1 KR1020190092532A KR20190092532A KR102128449B1 KR 102128449 B1 KR102128449 B1 KR 102128449B1 KR 1020190092532 A KR1020190092532 A KR 1020190092532A KR 20190092532 A KR20190092532 A KR 20190092532A KR 102128449 B1 KR102128449 B1 KR 102128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sewage treatment
unit
treatment plant
final sedi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택
Original Assignee
정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택 filed Critical 정한택
Priority to KR102019009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는,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의 상부 개구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개구를 차폐하는 커버 유닛; 상기 커버 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태양광을 통한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판; 및 상기 최종침전지의 벽체에 연결되되 상기 커버 유닛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태양전지판을 이루는 부품 또는 잔재물이 받쳐 모으는 받침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Solar generator for a settling pond and sewage disposal plan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최종침전지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어서 녹조, 이끼류 등에 의한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태양광 발전에 의한 전기 생산이 가능해서 기능성을 확장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기술은 미생물을 이용한 활성슬러지 처리공정의 개발과 함께 급격히 발전하였으며, 주로 유기물 및 부유고형물 제거를 목적으로 한 하수처리장으로 운용되고 있다.
특히, 현재는 하수처리기술이 질소와 인의 제거가 가능한 고도처리 공정으로 발전되면서 다양한 변형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생물학적 하수고도처리 공정의 원리를 살펴보면, 질소 제거는 질산화 미생물에 의해 NH4+을 NO2- 또는 NO3-로 전환시키는 질산화 과정 후, 탈질 과정을 거쳐 N2 가스로 배출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인의 제거는 혐기성 조건에서 용출된 인을 호기성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인을 과잉 섭취시킨 다음, 슬러지(sludge)를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질소, 인을 제거하는 공법으로는 A2/O, 수정 바텐포(Bardenpho), VIP(Virginia Initiative Plant) 및 UCT(University of Cape Town) 공정 등이 있다.
전술한 하수처리기술을 적용한 하수처리장의 경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나 최종적으로 최종침전지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최종침전지는 호기조에서 방출되는 방출수가 침전되면서 처리되는 장소를 이룬다. 최종적으로 처리된 처리수는 방출된다.
한편, 대한민국 전역의 공공 하수처리장(폐수처리장) 중 최종침전지가 설치된 곳의 대부분은 최종침전지가 개방 운영되는 관계로 최종침전지 내에 녹조, 이끼류 등이 잘 생기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녹조, 이끼류 등은 수처리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방 운영되는 최종침전지의 경우, 격일 혹은 매일 최종침전지의 웨어(weir) 및 수로를 청소해서 녹조, 이끼류 등을 제거할 수밖에 없다.
매일 최종침전지의 녹조, 이끼류 등을 제거할 때는 최종침전지를 관리하는 전 직원이 수 시간을 들여 바닥솔로 청소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녹조, 이끼류 등은 영양염류 유입과 더불어 느린 유속으로 발생량이 증가한다. 특히, 물의 상부층에는 지속적인 햇빛 및 자외선 작용으로 더 많은 녹조가 발생한다. 겨울보다 여름에 더 많은 녹조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은 뜨거운 햇빛을 받으면 광합성 작용으로 인해 조류가 더 증가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하수처리장을 운영하면서 최종침전지의 적용은 불가피한데, 이러한 최종침전지가 개방 운영되는 관계로 녹조, 이끼류 등에 의해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8309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1905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4061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3-00041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최종침전지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어서 녹조, 이끼류 등에 의한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태양광 발전에 의한 전기 생산이 가능해서 기능성을 확장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의 상부 개구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개구를 차폐하는 커버 유닛; 상기 커버 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태양광을 통한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판; 및 상기 최종침전지의 벽체에 연결되되 상기 커버 유닛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태양전지판을 이루는 부품 또는 잔재물이 받쳐 모으는 받침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버 유닛에 마련되는 배터리 유닛; 및 상기 태양전지판과 상기 배터리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상기 배터리 유닛에 실시간으로 충전되게 상기 태양전지판과 상기 배터리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 유닛에는 상기 태양전지판이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자리 배치홈부의 깊이가 상기 태양전지판의 두께보다 짧다.
한편, 상기 목적은, 하수 원수가 유입되되 상기 하수 원수가 가지고 있는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혐기상태에서 인 방출이 일어나게 하는 혐기조(Anaerobic); 상기 혐기조의 후(後) 공정을 이루되 질산성 질소를 질소 가스로 탈질시켜서 질소를 제거하는 공정을 진행하는 무산소조(Anoxic);
상기 무산소조의 후(後) 공정을 이루되 미생물이 본래의 인 저장량보다 더 많은 양의 인을 흡수하는 인의 과잉흡수(Luxury uptake)가 일어게끔 유도하는 호기조(Oxic); 상기 호기조에서 방출되는 방출수가 저장되되 일부는 상기 혐기조로 외부반송되고 나머지는 처리수로 방류되는 최종침전지; 및 상기 최종침전지의 상부 개구에 마련되되 상기 최종침전지의 상부 개구를 차폐하되 태양광을 통한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판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태양전지판이 일측에 탑재되게 상기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며, 상기 최종침전지의 상부 개구를 차폐하는 커버 유닛; 상기 커버 유닛에 마련되는 배터리 유닛; 및 상기 태양전지판과 상기 배터리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상기 배터리 유닛에 실시간으로 충전되게 상기 태양전지판과 상기 배터리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최종침전지의 벽체에 연결되되 상기 커버 유닛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태양전지판을 이루는 부품 또는 잔재물이 받쳐 모으는 받침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닛에는 상기 태양전지판이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자리 배치홈부의 깊이가 상기 태양전지판의 두께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종침전지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어서 녹조, 이끼류 등에 의한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태양광 발전에 의한 전기 생산이 가능해서 기능성을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최종침전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태양전지판과 커버 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동작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최종침전지의 확대도, 도 3은 태양전지판과 커버 유닛의 조립도, 도 4는 도 3의 분해도, 그리고, 도 5는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150)는 최종침전지(140)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어서 녹조, 이끼류 등에 의한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태양광 발전에 의한 전기 생산이 가능해서 기능성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종전과 달리, 본 실시예처럼 최종침전지(140)의 개구를 차폐할 경우, 녹조, 이끼류 등의 발생량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최종침전지(140)의 청소작업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종전에는 최종침전지(140)에 쌓이는 녹조, 이끼류 등으로 인해 안정적 방류 수질의 확보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녹조, 이끼류 등이 잘 생기지 않거나 생기더라도 그 양이 적기 때문에 청소작업을 종래보다 줄이더라도 방류 수질이 준수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녹조, 이끼류 등이 감소해서 수질에 대한 맑은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침전지(140)에 대한 외부인 견학 시 이미지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150)를 통해 최종침전지(140)의 상부를 차폐, 특히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어서 일차적인 차폐의 기능 외에도 이차적인 전기 생산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대세로 이어지는 신재생에너지 생산으로 정부방침에 호응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15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 전에, 도 1을 참조하여 하수처리장에 대해 알아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하수처리장은 혐기조(110, Anaerobic), 무산소조(120, Anoxic), 호기조(130, Oxic) 및 최종침전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종침전지(140)에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150)가 적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150)의 설명에 앞서 하수처리장을 이루는 구성들, 즉 혐기조(110, Anaerobic), 무산소조(120, Anoxic), 호기조(130, Oxic)에 대해 먼저 간략하게 살펴본다.
하수(폐수) 원수는 혐기조(110)로 유입된다. 혐기조(110)에서는 하수 원수가 가지고 있는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혐기상태에서 인 방출이 일어난다.
하수 원수는 혐기조(110)를 거친 후 후속하여 무산소조(120)를 거친다. 무산소조(120)에서는 질산성 질소를 질소 가스로 탈질시켜서 질소를 제거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무산소조(120) 이후에는 호기조(130)를 거친다. 호기조(130)에서는 미생물이 본래의 인 저장량보다 더 많은 양의 인을 흡수하는 인의 과잉흡수(Luxury uptake)가 일어난다. 또한, 호기조(130)에서는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질산화되는 공정이 진행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무산소조(120)에서 질산성 질소를 질소 가스로 탈질시키는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끔 슬러지가 무산소조(120)로 공급된다.
이처럼 슬러지를 무산소조(120)로 다시 공급하는 것은 "내부반송(Internal Recycle)"이라고 부를 수 있다.
호기조(130)에서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질산화되는 공정이 진행되므로 호기조(130)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무산소조(120)로 반송함으로써 내부반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호기조(130)에서 방출되는 방출수는 최종침전지(140)를 거친다. 최종침전지(140)를 거친 이후에는 처리수로 배출되며, 일부는 다시 혐기조(110)로 외부반송될 수 있다.
도 1에는 최종침전지(14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최종침전지(140)의 경우, 수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최종침전지(140)의 상부 개구에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150)가 마련된다.
이러한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150)는 커버 유닛(160), 태양전지판(170) 및 받침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유닛(160)은 최종침전지(140)의 상부 개구에 마련되어 최종침전지(140)의상부 개구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유닛(160)은 불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적용되는 편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태양전지판(170)은 커버 유닛(160)의 일측에 마련되며, 태양광을 통한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게 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유닛(160)에는 태양전지판(170)이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부(165)가 형성되되 자리 배치홈부(165)의 깊이가 상기 태양전지판(170)의 두께보다 짧다. 따라서, 태양전지판(170)이 자리 배치홈부(165)에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된 이후에도 태양전지판(170)이 약간 돌출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받침 유닛(180)은 최종침전지(140)의 벽체에 연결되되 커버 유닛(16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받침 유닛(180)은 태양전지판(170) 혹은 태양전지판(170)을 이루는 부품 등이 노후 때문에 부식되거나 강풍에 의해 최종침전지(140)로 낙하하지 않게끔 태양전지판(170)을 이루는 부품 또는 잔재물이 받쳐 모으는 역할을 한다.
받침 유닛(180)으로 인해 태양전지판(170)을 이루는 부품 또는 잔재물이 최종침전지(140) 내로 낙하하지 않게 된다.
받침 유닛(180)의 설치를 위하여 최종침전지(140)의 벽체에는 받침 유닛(18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브래킷(181)이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150)에 배터리 유닛(162)과 컨트롤러(190)가 더 갖춰진다.
배터리 유닛(162)은 커버 유닛(160)에 마련된다. 그리고, 컨트롤러(190)는 태양전지판(170)과 배터리 유닛(162)에 연결되며, 태양전지판(170)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배터리 유닛(162)에 실시간으로 충전되게 태양전지판(170)과 배터리 유닛(162)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태양전지판(170)과 배터리 유닛(162)에 연결되며, 태양전지판(170)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배터리 유닛(162)에 실시간으로 충전되게 태양전지판(170)과 배터리 유닛(162)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태양전지판(170)과 배터리 유닛(162)에 연결되며, 태양전지판(170)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배터리 유닛(162)에 실시간으로 충전되게 태양전지판(170)과 배터리 유닛(162)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최종침전지(140)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어서 녹조, 이끼류 등에 의한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태양광 발전에 의한 전기 생산이 가능해서 기능성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250) 역시, 최종침전지(140)의 상부 개구 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커버 유닛(260), 태양전지판(170) 및 받침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커버 유닛(260)은 회전식 커버 유닛(260)으로 적용된다. 이를 위해, 회전식 커버 유닛(260)의 일측에는 힌지(261)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걸쇠(262)가 마련된다.
힌지(261)로 인해 회전식 커버 유닛(260)의 회전 동작이 자유로울 수 있고, 걸쇠(262)로 인해 회전식 커버 유닛(260)이 임의로 열리지 않는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최종침전지(140)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어서 녹조, 이끼류 등에 의한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태양광 발전에 의한 전기 생산이 가능해서 기능성을 확장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8은 도 7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350) 역시, 최종침전지(140)의 상부 개구 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커버 유닛(160), 태양전지판(370) 및 받침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태양전지판(370)이 커버 유닛(16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태양전지판(370)의 일측에 전동 회전부(371)가 마련된다. 전동 회전부(371)에 의해 태양전지판(370)이 회전할 수 있어서 태양의 궤적에 따라 좀 더 많은 양의 태양광을 받을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판(370)의 타측에는 전동식 회전 빗장대(372)가 마련된다. 전동식 회전 빗장대(372)는 도 7에서 도 8처럼 태양전지판(370)이 회전할 때, 동작하여 단부가 커버 유닛(160)에 지지됨으로써 태양전지판(37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최종침전지(140)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어서 녹조, 이끼류 등에 의한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태양광 발전에 의한 전기 생산이 가능해서 기능성을 확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혐기조 120 : 무산소조
130 : 호기조 140 : 최종침전지
150 :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160 : 커버 유닛 162 : 배터리 유닛
170 : 태양전지판 180 : 받침 유닛
181 : 브래킷 190 : 컨트롤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하수 원수가 유입되되 상기 하수 원수가 가지고 있는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혐기상태에서 인 방출이 일어나게 하는 혐기조(Anaerobic, 110);
    상기 혐기조(110)의 후(後) 공정을 이루되 질산성 질소를 질소 가스로 탈질시켜서 질소를 제거하는 공정을 진행하는 무산소조(Anoxic, 120);
    상기 무산소조(120)의 후(後) 공정을 이루되 미생물이 본래의 인 저장량보다 더 많은 양의 인을 흡수하는 인의 과잉흡수(Luxury uptake)가 일어게끔 유도하는 호기조(Oxic, 130));
    상기 호기조(130)에서 방출되는 방출수가 저장되되 일부는 상기 혐기조(110)로 외부반송되고 나머지는 처리수로 방류되는 최종침전지(140);
    상기 최종침전지(140)의 상부 개구에 마련되되 상기 최종침전지(140)의 상부 개구를 차폐하되 태양광을 통한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판(170)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태양전지판(170)이 일측에 탑재되게 상기 태양전지판(170)을 지지하며, 상기 최종침전지(140)의 상부 개구를 차폐하는 커버 유닛(160);
    상기 커버 유닛(160)에 마련되는 배터리 유닛(162);
    상기 최종침전지(140)의 벽체에 연결되되 상기 커버 유닛(16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태양전지판(170)을 이루는 부품 또는 잔재물이 받쳐 모으는 받침 유닛(180);
    상기 태양전지판(170)과 상기 배터리 유닛(162)에 연결되며, 상기 태양전지판(170)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상기 배터리 유닛(162)에 실시간으로 충전되게 상기 태양전지판(170)과 상기 배터리 유닛(162)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9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유닛(160)에는 상기 태양전지판(170)이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부(165)가 형성되되 상기 자리 배치홈부(165)의 깊이가 상기 태양전지판(170)의 두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92532A 2019-07-30 2019-07-30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 KR102128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32A KR102128449B1 (ko) 2019-07-30 2019-07-30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32A KR102128449B1 (ko) 2019-07-30 2019-07-30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449B1 true KR102128449B1 (ko) 2020-06-30

Family

ID=7112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532A KR102128449B1 (ko) 2019-07-30 2019-07-30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4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092A (ko) 2001-04-26 2002-11-01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19050A (ko) 2001-08-28 2003-03-0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04110U (ko) 2011-12-27 2013-07-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KR20130104266A (ko) * 2012-03-13 2013-09-25 이종은 도로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46948B1 (ko) * 2014-02-07 2014-10-06 인천광역시 태양광전지판을 이용한 악취포집 및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악취제거 탈취장치
KR101496889B1 (ko) * 2014-05-07 2015-03-05 주식회사기린산업 태양광 패널
KR101892276B1 (ko) * 2018-04-11 2018-08-27 주식회사 장산이엔지 여재 여과방식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092A (ko) 2001-04-26 2002-11-01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19050A (ko) 2001-08-28 2003-03-0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04110U (ko) 2011-12-27 2013-07-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중량 용접기용 받침장치
KR20130104266A (ko) * 2012-03-13 2013-09-25 이종은 도로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46948B1 (ko) * 2014-02-07 2014-10-06 인천광역시 태양광전지판을 이용한 악취포집 및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악취제거 탈취장치
KR101496889B1 (ko) * 2014-05-07 2015-03-05 주식회사기린산업 태양광 패널
KR101892276B1 (ko) * 2018-04-11 2018-08-27 주식회사 장산이엔지 여재 여과방식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Large-scale demonstration of the sulfate reduction autotrophic denitrification nitrification integrated (SANI®) process in saline sewage treatment
CN103159383A (zh) 农村生活污水生物处理系统
CN102730914B (zh) 一种兼氧膜生物反应器处理畜禽养殖废水的方法
CN101357813A (zh) 生活垃圾渗滤液的处理方法
KR102128449B1 (ko) 하수처리장 최종침전지 커버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장
Rich Design approach to dual-power aerated lagoons
Yuebo et al. Bacterial technology as a sustainable solution to polluted urbanized rivers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in China
CN211595185U (zh) 废水处理系统
Nakagawa et al. Field survey of a sustainable sanitation system in a residential house
Singh et al. A biodegradation based kinetic study of UASB Reactor in treating municipal wastewater through various models
CN207227206U (zh) 一种新型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03999129U (zh) 一种车载式太阳能生物转盘
TR202021985A2 (tr) Ön çökeltmesi̇z, di̇key aerobi̇k/anaerobi̇k çamur çürütmeli̇, tek üni̇te bi̇yoloji̇k atiksu aritma tesi̇si̇
CN105060623A (zh) 基于产氢产乙酸/氢自养反硝化耦合的双泥污水处理方法
Raafat et al. Application of hybrid system to upgrade existing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 case study
JPH08112600A (ja) 合併浄化槽
CN210915755U (zh) 一种适用于农村分散式污水处理的3m集成技术系统
CN204509058U (zh) 一种从前端处理生物污泥的有机废水处理系统
US11724951B2 (en) Energy efficient decentralized wastewater reuse system incorporating multiple stages of aerobic bioreactors and recirculation for organics and nitrogen reduction
CN210278453U (zh) 一种水利系统排污设备
CN213739061U (zh) 基于hsfcw-光催化mfc工艺的农村水处理系统
CN207671877U (zh) 一种固载酶的一体化生物反应器
JP2017218722A (ja) 排水浄化装置
CN203200133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装置
Radityaningrum et al. Treatment of Household Grey Water Using a Series Anaerobic Biofilter-Wet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