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371B1 -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 Google Patents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371B1
KR102128371B1 KR1020180161607A KR20180161607A KR102128371B1 KR 102128371 B1 KR102128371 B1 KR 102128371B1 KR 1020180161607 A KR1020180161607 A KR 1020180161607A KR 20180161607 A KR20180161607 A KR 20180161607A KR 102128371 B1 KR102128371 B1 KR 10212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output
piezoelectric elements
sensor syst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3450A (en
Inventor
차영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6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371B1/en
Publication of KR20200073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4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 H01L41/11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렬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로 배열되는 압전 소자를 구비한 압전부; 상기 행렬구조에서 각각의 행들에 배열된 압전 소자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 소자들 중 일부가 가압되면 전압값을 출력시키는 제1출력부; 상기 행렬구조에서 각각의 행들에 배열된 압전 소자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 소자들 중 일부가 가압되면 전압값을 출력시키는 제2출력부; 및 상기 제1 및 제2출력부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 전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piezoelectric unit having a piezoelectric element arranged in a plurality to form a matrix structure; A first output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piezoelectric elements arranged in respective rows in the matrix structure to output a voltage value when som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pressed; A second output unit that electrically connects piezoelectric elements arranged in respective rows in the matrix structure and outputs a voltage value when som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pressed; And it provides a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comprising a reference voltag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s.

Figure R1020180161607
Figure R1020180161607

Description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본 발명은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 소자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하지 않으면서도 터치 부위를 분류할 수 있는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capable of classifying touch regions without being individu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물질로 이루어진 소자는 압력이 가해지면 전압을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압전 소자이다. A device made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aterial is a typical piezoelectric device that generates voltage when pressure is applied.

일반적으로, 압전 소자는 기계적 응력을 걸면 전압이 발생하고 반대로 전압을 걸면 일그러짐이 발생하는 수정이나 압전 세라믹스 등을 사용한 소자로,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변화하고(압전 효과),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성질을 가진다.In general, a piezoelectric element is a device that uses crystal or piezoelectric ceramics, etc., which generates voltage when mechanical stress is applied and distorts when applied voltage, and changes in voltage when applied (piezoelectric effect). It has the property of shrinking.

압전 소자로서, 옛날부터 알려져 있는 수정이나 티탄산바륨을 소결한 압전 세라믹도 있지만,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은 티탄산 지르콘산납(약하여 PZT)이며, 라이터나 가스 기구의 점화 장치에서 볼 수 있다.As a piezoelectric element, there are also known piezoelectric ceramics obtained by sintering crystal or barium titanate known from the past, but the most widely used is lead zirconate titanate (weak PZT), which can be found in ignition devices of lighters and gas appliances.

종래의 압전 소자가 활용된, 압전 소자 기반의 터치센서 어레이에서 같은 행과 열을 묶어서 센싱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묶여있는 라인에서 같은 신호가 발생하여 터치부위를 분류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터치부위를 분류하기 위해 복수의 PVDF 소자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여야만 했다. In the case of using the sensing method by bundling the same row and column in a piezoelectric element-based touch sensor array in which a conventional piezoelectric element is utilized, it is difficult to classify the touch area because the same signal is generated in the bundled line. Therefore, in order to classify the touch area, it had to be used by individually connect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VDF elements.

특허문헌 1에는 힘 및 압력에 의해 전기 전도도와 같은 물리적인 특성이 변하는 압전 재료 또는 가변저항 재료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작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신호를 3차원으로 확장시키도록 3차원 신호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개시되어 있다. In Patent Document 1, a touch screen is manufactured using a piezoelectric material or a variable resistance material whos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electrical conductivity are changed by force and pressure, so that 3D signal processing is possible to expand the signal of the touch screen in 3D. A touch screen is disclosed.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연결방식은 어레이가 증가할수록 센싱 포트가 증가해야 하고, 터치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신호값을 산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nection method, as the array increases, the sensing port must increas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each signal value must be calculated in order to confirm the touch area.

KR 10-2008-0064431A(2008. 07. 03)KR 10-2008-0064431A (July 03, 2008)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압전 소자 기반의 터치센서 어레이에서 압전 소자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하지 않으면서도 터치 부위를 분류할 수 있는 센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or system capable of classifying touch regions without individually connecting to each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in the piezoelectric element-based touch sensor array. will b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은 행렬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로 배열되는 압전 소자를 구비한 압전부; 상기 행렬구조에서 각각의 행들에 배열된 압전 소자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 소자들 중 일부가 가압되면 전압값을 출력시키는 제1출력부; 상기 행렬구조에서 각각의 행들에 배열된 압전 소자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 소자들 중 일부가 가압되면 전압값을 출력시키는 제2출력부; 및 상기 제1 및 제2출력부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 전압을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ezoelectric unit having a piezoelectric element arranged in a plurality to form a matrix structure; A first output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piezoelectric elements arranged in respective rows in the matrix structure to output a voltage value when som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pressed; A second output unit that electrically connects piezoelectric elements arranged in respective rows in the matrix structure and outputs a voltage value when som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pressed; And a reference voltag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출력부 각각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기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ignal converter that converts analog values output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to digital signals.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은 상기 신호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제1 및 제2출력부의 디지털 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압전 소자 중 가압된 일부의 압전 소자의 정보를 제공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icroprocessor that receives digital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converted through the signal converter and enables information on a part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that are pressurized among the piezoelectric elements. It can contai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압전 소자는 모두 같은 극성이 일 면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압전부의 일 면에서 가압 시에 같은 극성의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are all arranged so that the same polarity faces one surface, so that a voltage of the same polarity may be generated when pr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출력부는 상기 압전부의 일 면에 구비되는 상기 압전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2출력부는 상기 압전부의 다른 일 면에 구비되는 상기 압전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utput part is 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part, and the second output part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part. It can be 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전 소자 중 하나가 가압되는 경우, 해당 상기 압전 소자 중 하나가 배열되어 있는 행렬의 제1 및 제2출력부의 값은 서로 크기는 같고 극성은 반대인 전압값이 출력될 수 있다. Preferably, when on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is pressed, voltag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of the matrix in which on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arranged are the same as each other and opposite in polarity. .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압전부의 양 면에 실리콘이 코팅 설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silicon is coated on both sides of the piezoelectric unit.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은 압전부의 양 면에 제1 및 제2출력부가 각각 설치되어서, 제1 및 제2출력부의 신호값에 따라서, 터치부분을 검출할 수 있게 한다. In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unit, so that a touch portion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signal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은 압전 소자의 양 면에 실리콘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압전 소자를 터치하는 경우에, 압전 소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압력이 효율적으로 압전 소자에 전달될 수 있다.In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lic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whereby when a user touches the piezoelectric element, damage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can be minimized, and a pressing force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압전부에 제1출력부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압전부에 제2출력부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4는 사용자가 압전부를 가압하는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센서의 출력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6은 압전 소자의 양 면에 실리콘이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irst output unit in the piezoelectric unit of FIG. 1;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cond output unit in the piezoelectric unit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piezoelectric part.
5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of the sensor by the user's press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silic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piezoelectric ele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part" for a component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given or mixed only considering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meaning or a rol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itself.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ar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전부(10)에 제1출력부(20)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압전부(10)에 제2출력부(30)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irst output unit 20 in the piezoelectric unit 10 of FIG. 1.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econd output unit 30 in the piezoelectric unit 10 of FIG. 1.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100)의 구조에 대하여 서술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100)은 다중 배열(Multi-array)인 멀티플렉서(Multiplexer, MUX) 센싱 기술로 이해될 수 있다.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a multi-array multiplexer (MUX) sensing technology.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100)은 압전부(10), 제1 및 제2출력부(30) 및 기준 전압(40)을 포함한다.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ezoelectric unit 10,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30, and a reference voltage 40.

압전부(10)는 압전 소자(13)를 구비하는데, 압전 소자(13)는 행렬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로 배열된다. 예를 들면, 압전 소자(13)는 레이저 커팅에 의해 제작된 멀티 어레이(Multi-array)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전 소자는 일례로, PVDF(Polyvinylidene fluoride)일 수 있다. The piezoelectric unit 10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13,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s 13 are arranged in a plurality to form a matrix structure. For example, the piezoelectric element 13 may be formed in a multi-array form manufactured by laser cutt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for exampl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압전 소자(13)는 5행과 4열로 이루어진, (5,4)형 행렬일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크기의 행렬일 수 있다. 1 to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zoelectric element 13 may be a (5, 4) matrix of 5 rows and 4 colum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matrix having various sizes.

복수 개의 압전 소자(13)는 모두 같은 극성이 일 면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압전부(10)의 일 면에서 가압 시에 같은 극성의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13 are all arranged so that the same polarity faces one surface, and when pressed on on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unit 10, voltages of the same polarity may be generated.

제1출력부(20)는 행렬구조에서 각각의 행들에 배열된 압전 소자(13)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 소자(13)들 중 일부가 가압되면 전압값을 출력시킨다. The first output unit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s 13 arranged in respective rows in a matrix structure to output a voltage value when som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13 are pressed.

제1출력부(20)는 일례로, 압전부(10)의 윗면에 배치된 압전 소자(13) 각각의 전극을 행 별로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5행 각각에 좌우 화살표 방향으로 제1출력부(20)가 형성되는 예가 도시된다. For example, the first output unit 20 may be 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electrod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13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unit 10 for each row. Referring to FIG. 2,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output unit 20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arrow directions in each of the 5 rows is illustrated.

제1출력부(20)는 각각이 후술하는 기준 전압(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Each of the first output units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reference voltage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2출력부(30)는 상기 행렬구조에서 각각의 행들에 배열된 압전 소자(13)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 소자(13)들 중 일부가 가압되면 전압값을 출력시킨다. The second output unit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s 13 arranged in respective rows in the matrix structure to output a voltage value when som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13 are pressed.

제2출력부(30)는 일례로, 압전부(10)의 아랫면에 배치된 압전 소자(13) 각각의 전극을 열 별로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4열 각각에 상하 화살표 방향으로 제2출력부(30)가 형성되는 예가 도시된다.The second output unit 30 is, for example, may be 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electrode of each piezoelectric element 13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unit 10 for each column. Referring to FIG. 3,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output unit 30 is formed in the up and down arrow directions in each of the four columns is illustrated.

제2출력부(30)는 각각이 후술하는 기준 전압(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Each of the second output units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reference voltage 40 to be described later.

제1출력부(20)는 압전부(10)의 윗면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13)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제2출력부(30)는 압전부(10)의 아랫면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13)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압전 소자(13) 중 하나가 가압되는 경우, 해당 상기 압전 소자(13) 중 하나가 배열되어 있는 행렬의 제1 및 제2출력부(30)의 값은 서로 크기는 같고 극성은 반대인 전압값이 출력될 수 있다. The first output unit 20 is 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1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unit 10, and the second output unit 30 is piezoelectric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unit 10. It can be 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element (13). Due to this, when on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13 is pressed, th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30 of the matrix in which on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13 are arranged have the same size and opposite polarities. The phosphorus voltage value can be output.

제1 및 제2출력부(30)는 도 2 및 도 3에는 화살표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화살표 방향으로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예시일 뿐, 도 1에서와 같이, 화살표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된 전선일 수 있다. 제1 및 제2출력부(3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신호 변환기(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30 are represented by arrows in FIGS. 2 and 3, but this is only an example for expressing voltage gener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as shown in FIG. 1,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rrow. It may be a wire show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gnal convert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1.

기준 전압(40)은 상기 제1 및 제2출력부(3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준 전압(40)은 Vreference일 수 있다. 기준 전압(40)은 일례로 0 내지 5 V 값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2.5 V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준 전압(40)은 제1 및 제2출력부(30)에 각각 연결되고, 기준 전압(40) 및 제1 및 제2출력부(30) 사이에는 저항이 배치될 수 있다.The reference voltage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30. The reference voltage 40 may be Vreference. The reference voltage 40 may be, for example, a value of 0 to 5 V, preferably 2.5 V. As illustrated in FIG. 1, the reference voltage 4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30, respectively, and a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40 and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30. Can be.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100)은 신호 변환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변환기(50)는 제1 및 제2출력부(30) 각각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도록 한다. 일례로, 신호 변환기(50)는, 제1 및 제2출력부(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디지털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er)인 전자 회로일 수 있다.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converter 50. The signal converter 50 converts analog values output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30 into digital signals. For example, the signal converter 50 may be a device that converts analog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30 into digital signals, and preferably converts analog electrical signals into digital electrical signals. , It may be an electronic circuit that is an A/D converter (Analog-to-digital converter).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100)은 신호 변환기(50)를 통해 변환된 제1 및 제2출력부(30)의 디지털 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압전 소자(13) 중 가압된 일부의 압전 소자(13)의 정보를 제공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도 2의 제1출력부(20) 중에서 2번째 행의 신호값을 제공받고, 도 3의 제2출력부(30) 중에서 3번째 열의 신호값을 제공받으면, 2행, 3열 위치의 압전 소자(13)가 터치되고 가압되었다는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digital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30 converted through the signal converter 50, so that som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13 pressurized. A microprocessor 60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device 13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if the microprocessor 60 receives the signal value of the second row among the first output units 20 of FIG. 2 and the signal value of the third column among the second output units 30 of FIG. 3,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that the piezoelectric element 13 in the 2 row and 3 column positions is touched and pressed.

도 4는 사용자가 압전부(10)를 가압하는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에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센서의 출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piezoelectric unit 10, and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of the sensor by the user's pressure.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압전부(10)의 상면을 터치하여 가압하게 되면(터치 On 상태), 터치 지점의 상면에는 (+) 극의 신호가 출력되고, 터치 지점의 아랫면에는 (-) 극의 신호가 출력된다. 반대로, 터치 해제 상태가 되면(터치 Off 상태), 터치 지점의 상면에는 (-) 극의 신호가 출력되고, 터치 지점의 아랫면에는 (+) 극의 신호가 출력된다. As shown in FIG. 4, when a user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unit 10 and presses it (touch On state), a signal of a (+) pole is outp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point, and (( -) The pole signal is output. Conversely, when the touch is released (touch Off state), a signal of a negative pole is output on the top surface of the touch point, and a signal of a positive pole is outpu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uch point.

한편, 상면 중 일 압전 소자(13)가 터치되어 가압되면 제1출력부(20)의 같은 행에 위치하나 터치되지 않은 다른 압전 소자(13)는 제1출력부(20)의 신호값은 같으나 제2출력부(30)의 신호값은 발생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when one piezoelectric element 13 of the upper surface is touched and pressed, the other piezoelectric element 13 that is not touched is located in the same row of the first output unit 20 but has the same signal value of the first output unit 20. The signal value of the second output unit 30 does not occur.

도 6은 압전부(10)의 양 면에 실리콘(15)이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압전부(10)의 양 면에 실리콘(15)이 코팅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압전 소자(13)를 터치하는 경우에, 압전 소자(13)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압력이 효율적으로 압전 소자(13)에 전달될 수 있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silicon 15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iezoelectric unit 10. Since the silicon 15 is coated on both sides of the piezoelectric part 10, when the user touches the piezoelectric element 13, damage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13 can be minimized, and the pressing force is effectively a piezoelectric element. (13).

본 발명의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100)은, 로봇핸드와 같은 부분에 부착하여 인공스킨으로 활용 가능하고, 유연성을 장점으로 하기에 유연 터치스크린으로 발전 가능하다.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rtificial skin by attaching it to a portion such as a robot hand, and can be developed into a flexible touch screen because of its flexibility.

이상에서 설명한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1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100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ight b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
10:압전부 13:압전 소자 15:실리콘
20:제1출력부
30:제2출력부
40:기준전압
50:신호 변환기
60:마이크로 프로세서
100: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DESCRIPTION OF SYMBOLS 10 Piezoelectric part 13 Piezoelectric element 15 Silicone
20: first output unit
30: second output unit
40: Reference voltage
50: signal converter
60: microprocessor

Claims (7)

행렬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로 배열되는 압전 소자를 구비한 압전부;
상기 행렬구조에서 각각의 행들에 배열된 압전 소자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 소자들 중 일부가 가압되면 전압값을 출력시키는 제1출력부;
상기 행렬구조에서 각각의 행들에 배열된 압전 소자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 소자들 중 일부가 가압되면 전압값을 출력시키는 제2출력부; 및
상기 제1 및 제2출력부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압전 소자는 모두 같은 극성이 일 면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압전부의 일 면에서 가압 시에 같은 극성의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
A piezoelectric unit having piezoelectric elements arranged in a plurality to form a matrix structure;
A first output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piezoelectric elements arranged in respective rows in the matrix structure to output a voltage value when som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pressed;
A second output unit that electrically connects piezoelectric elements arranged in respective rows in the matrix structure and outputs a voltage value when som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pressed; And
And a reference voltag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are all arranged so that the same polarity faces one surface, the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a voltage of the same polarity when pr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출력부 각각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d a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nalog value output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into a digital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제1 및 제2출력부의 디지털 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압전 소자 중 가압된 일부의 압전 소자의 정보를 제공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A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further comprising a microprocessor that receives the digital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units converted through the signal converter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 part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that are pressurized among the piezoelectric elements. Sensor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부는 상기 압전부의 일 면에 구비되는 상기 압전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2출력부는 상기 압전부의 다른 일 면에 구비되는 상기 압전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utput unit is 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unit, and the second output unit is 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unit.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 중 하나가 가압되는 경우, 해당 상기 압전 소자 중 하나가 배열되어 있는 행렬의 제1 및 제2출력부의 값은 서로 크기는 같고 극성은 반대인 전압값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n on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is pressed, the flexible piezoelectric el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ions of the matrix in which on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arranged have the same magnitude and opposite polarity. Array sensor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부의 양 면에 실리콘이 코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압전 어레이 센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ilic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iezoelectric portion.
KR1020180161607A 2018-12-14 2018-12-14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KR1021283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607A KR102128371B1 (en) 2018-12-14 2018-12-14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607A KR102128371B1 (en) 2018-12-14 2018-12-14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50A KR20200073450A (en) 2020-06-24
KR102128371B1 true KR102128371B1 (en) 2020-06-30

Family

ID=7112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607A KR102128371B1 (en) 2018-12-14 2018-12-14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3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8977A (en) * 2020-08-25 2020-11-27 工科思维技术(深圳)有限公司 High-sensitivity flexible wearable sensor arra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3915B2 (en) 2021-08-20 2023-12-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ctive piezoelectric sheet with piezoelectric microstructures
WO2023087324A1 (en) * 2021-11-22 2023-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Piezoelectric device, vibration panel and haptic feedback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504A (en) * 2006-06-14 2007-12-27 Denso Corp Piezoelectric membrane sensor
KR101258897B1 (en) 2010-11-19 2013-04-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Curved tectil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4235133A (en) * 2013-06-04 2014-12-1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Piezoelectric sensor and pressure det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95B1 (en) 2007-01-05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osition for forming photosensitive polymer complex and preparation method of photosensitive polymer complex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using the composition
KR101484609B1 (en) * 2013-05-07 2015-01-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actile Sensor for Detecting 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504A (en) * 2006-06-14 2007-12-27 Denso Corp Piezoelectric membrane sensor
KR101258897B1 (en) 2010-11-19 2013-04-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Curved tectil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4235133A (en) * 2013-06-04 2014-12-1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Piezoelectric sensor and pressure detec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8977A (en) * 2020-08-25 2020-11-27 工科思维技术(深圳)有限公司 High-sensitivity flexible wearable sensor arra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50A (en)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371B1 (en) Flexible piezoelectric array sensor system
KR101811214B1 (en) Flexible pressure sensor using an amorphous metal, and flexible bimodal sensor for simultaneously sensing pressure and temperature
US9921654B2 (en) Tactile sense presentation device
JP2018005903A5 (en)
TWI408036B (en) Sheet-like touch sensor system
JP6675011B2 (en) Sensor device and sensing method based on electroactive material
JP6896857B2 (en) Piezoelectric sensor devices and applications
KR101708113B1 (en) Highly sensitive pressure sensor
US106841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pain
CN104406627A (en) Wearable flexible touch sensor of artificial hand and touch detection system thereof
CN108760105B (en) Bionic hair sensing structure with adjustable angle
CN204214475U (en) A kind of prosthetic hand Wearable flexible touch sensation sensor and sense of touch pick-up unit thereof
EP2823896A3 (en) Electrostatic capacitance transducer, probe, and subject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US10067014B1 (en) Force sensor
JP5504391B2 (en) Tactile sensor array
JP6103148B2 (en) Input terminal
JP5854143B2 (en) Pressure sensor
CN108814769B (en) Sensor, system, pressure detection circuit, method and electronic skin
KR102559962B1 (en) Touch panel
DK181377B1 (en) Tactile sensor, matrix of tactile sensor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TWI567611B (en) Force sensor and force touching module
WO2009007047A2 (en) Piezoelectric device for detecting or generating forces and torques in multiple directions
CN108227982A8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9061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information
CN116075704A8 (en) Force s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