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913B1 -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913B1
KR102126913B1 KR1020190011338A KR20190011338A KR102126913B1 KR 102126913 B1 KR102126913 B1 KR 102126913B1 KR 1020190011338 A KR1020190011338 A KR 1020190011338A KR 20190011338 A KR20190011338 A KR 20190011338A KR 102126913 B1 KR102126913 B1 KR 10212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stretchable
thermal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진
정재우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32B2305/345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성을 가지는 제1신축부재; 신축성을 가지며 일면이 신체에 접촉하는 제2신축부재; 및 상기 제1신축부재와 상기 제2신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방사하며,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가 늘어남에 따라 펼쳐지는 주름 형상을 가지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는 신축성 온열 피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Stretchable thermal cloth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장갑, 의류, 양말 등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다양한 피복에 적용가능한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햇빛, 공해, 스트레스 등은 얼굴 부위에 과다한 에너지의 흐름과 긴장을 유발시킴으로써 피부를 거칠게 하여 화장을 잘 받지 않게 함은 물론이고 피부를 급속하게 노화시키게 되며, 또한 나이가 들수록 나빠지는 혈액 순환으로 인하여 잔주름과 기미 그리고 검버섯 등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얼굴 피부 관리를 하고 있다.
손상된 피부을 회복시키거나, 노폐물 제거, 미백, 주름완화, 피부보습 등의 피부 미용의 목적으로, 영양성분 및 다양한 기능성 성분 등을 함유한 페이스트나 겔을 피부에 도포하는 팩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페이스 마스크팩 시트는, 얼굴 모양에 맞추어 제작된 시트 일면에 팩 성분이 도포되어 있어, 팩 성분을 손으로 바를 필요없이 시트를 간단히 얼굴에 붙이기만 하면 되고, 이러한 편리성 때문에, 그 수요층이 꾸준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페이스 마스크팩 시트에, 미용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가, 마스크팩 시트에 온열감을 부여하는 것이다.
즉, 페이스 마스크팩 시트에 열을 가하여, 안면 피부혈행을 개선, 모세혈관 확대 작용 등에 의한 피부 유용물질 침투 증대, 및 노폐물 제거의 효과 등을 극대화를 통하여, 보다 증진된 미용효과를 얻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신체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신체 착용시 온열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신체 착용시 발열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신체 착용시 발열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재료없이 다양한 적외선 파장을 방사할 수 있는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성을 가지는 제1신축부재; 신축성을 가지며 일면이 신체에 접촉하는 제2신축부재; 및 상기 제1신축부재와 상기 제2신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방사하며,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가 늘어남에 따라 펼쳐지는 주름 형상을 가지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는 신축성 온열 피복을 제공한다.
상기 면상 발열체는 시트 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상 발열체는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가 신장 범위안에서 최대로 늘어난 상태일 때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며,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가 수축함에 따라 주름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면상 발열체는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의 신축 범위안에서 전기 저항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면상 발열체는 근적외선, 중적외선 및 원적외선 파장을 방사할 수 있다.
상기 면상 발열체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도선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신축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2신축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신축부재, 상기 제2신축부재 및 상기 면상 발열체는 마스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성을 가지는 제2신축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신장시키는 단계; 신장된 제2신축부재의 일면에 면상 발열체를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면상 발열체상에 신축성을 가지는 제1신축부재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성 온열 피복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신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신축부재의 면적의 1.1배 내지 3배 사이의 면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신체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체 착용시 온열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재료없이 다양한 적외선 파장을 방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의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의 개념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의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1)은 제1신축부재(10), 제2신축부재(20) 및 면상 발열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신축성 온열 피복(1은 마스크, 장갑, 의류, 양말 등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다양한 피복에 적용 가능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서는 마스크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신축부재(10), 제2신축부재(20) 및 면상 발열체(30)는 마스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신축부재(10)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제1신축부재(10)는 마스크 형태로, 눈, 코, 입 주변에 배치되는 영역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신축부재(10)는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신축부재(10)는 실리콘 이외에도 신축성이 있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무해성의 가소재, 안정제가 첨가된 PVC 시트, 미가황 고무시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신축부재(10)의 크기와 재질, 두께 등은 착용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신축부재(10)는 사람의 얼굴의 크기에 맞추어 제작될 수 있다.
제1신축부재(10)의 두께는 제2신축부재(2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신축부재(10)는 면상 발열체(30)에서 방사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신축부재(20)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신축부재(20)는 신축성을 가지며 일면이 신체에 접촉할 수 있다. 제2신축부재(20)는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신축부재(20)는 실리콘 이외에도 신축성이 있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무해성의 가소재, 안정제가 첨가된 PVC 시트, 미가황 고무시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신축부재(20)의 크기와 재질, 두께 등은 착용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신축부재(20)는 사람의 얼굴의 크기에 맞추어 제작될 수 있다.
제2신축부재(20)의 두께는 제1신축부재(10)보다 얇게 형성되어, 면상 발열체에서 방사되는 열이 얼굴 또는 신체 접촉부위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신축부재(10)와 제2신축부재(20)는 동종 재질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제2신축부재(20)는 제1신축부재(10)보다 열전달 효율이 높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면상 발열체(30)는 제1신축부재(10)와 제2신축부재(20)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방사하며, 제1신축부재(10) 및 제2신축부재(20)가 늘어남에 따라 펼쳐지는 주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면상 발열체(30)는 마스크 형태로, 눈, 코, 입 주변에 배치되는 영역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면상 발열체(30)는 시트 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면상 발열체(30)는 직접 방사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면상 발열체는 실리콘 상에 수직성장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포레스트 스피닝(forest spinning)기법,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분산한 후에 이를 필터 및 압착하여 시트를 생성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는 면상 발열체(30)는 그래핀 시트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면상 발열체(30)는 제1신축부재(10) 및 제2신축부재(20)가 신장 범위안에서 최대로 늘어난 상태일 때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며, 제1신축부재(10) 및 제2신축부재(20)가 수축함에 따라 주름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장 범위란, 제1신축부재(10) 및 제2신축부재(20)의 물성에 따라 신장 가능한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제1신축부재(10) 및 제2신축부재(20)의 면적 대비 3배까지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면상 발열체(3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로 주름 상태를 가지며, 주름의 골과 마루의 높이는 최대이다. 면상 발열체(30)는 제1신축부재 및 제2신축부재에 외력이 가해져 신장될 경우, 신장 길이에 따라 주름이 펼쳐지는 상태가 된다. 면상 발열체(30)는 제1신축부재(10) 및 제2신축부재(20)가 신장 범위안에서 최대로 늘어난 상태일 때 주름이 최소화되고, 주름의 골과 마루의 높이는 최소가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1)은 신체에 장착시 늘어나더라도, 면상 발열체(3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주름 특성을 포함하지 않는 탄소 나노 튜브 면상 발열체에 외력을 가하여 100% 변형 시켰을 때 면상 발열체가 손상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주름 특성을 포함하는 탄소 나노 튜브 면상 발열체를 필름의 변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100% 변형된 상태에서 주름이 사라져 완전하게 펴져 있으며, 손상되지 않고 면상 발열체의 형태가 보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력을 제거하여 원 상태로 다시 복원시키면 주름이 다시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면상 발열체는 제1신축부재 및 제2신축부재의 신축 범위안에서 전기 저항을 유지할 수 있다. 면상 발열체는 제1신축부재 및 제2신축부재가 신장하더라도 신장 범위안에서는 전기 저항이 증가하지 않고, 소정의 오차 범위안에서 동일한 전기 저항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면상 발열체에 구현된 주름 특성으로 인한 것으로, 신체에 장착되어 늘어나더라도 면상 발열체는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발현할 수 있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주름 특성을 포함하지 않는 탄소 나노 튜브 면상 발열체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하는 동안 상대 저항이 변형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면상 발열체가 변형함에 따라 면상 발열체의 구조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도6을 참조하면, 주름 특성을 포함하지 않는 탄소 나노 튜브 면상 발열체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하는 동안 일정한 저항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저항 변화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은 면상 발열체의 발열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저항이 변하면 흐르는 전류의 양이 달라지며, 이는 면상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열량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여 예측치 못한 결과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체는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면상 발열체는 근적외선, 중적외선 및 원적외선 파장을 방사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소 나노 튜브 면상 발열체는 매우 높은 방사율을 가질수 있다. 면상 발열체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첨가제 없이 근적외선, 중적외선 및 원적외선에 걸친 다양한 파장을 방사할 수 있다.
면상 발열체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도선이 연결될 수 있다. 면상 발열체는 도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된다. 이 때, 도선은 보조배터리, 핸드폰, 휴대용 충전기기, 콘센트 등 다양한 전력 공급기기에 연결되어 면상 발열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탄소 나노 튜브는 면상 발열체는 비열이 낮아 급속 가열이 가능하며, 0.9V에서 외부 전력 공급과 함께 동시에 발열이 일어나는 것을 적외선 영상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신축성을 가지는 제2신축부재(20)에 외력을 가하여 신장시킨다. 이 때, 제2신축부재(20)를 사방으로 당겨 늘리고 이를 고정하는데, 예를 들면, 제2신축부재(20) 보다 큰 사람 얼굴 형상의 두상 마네킹을 이용하여 제2신축부재(20)를 당겨 늘려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2신축부재(20)는 신장 전 면적의 1.1배 내지 3배 사이의 면적으로 신장시킨다(S901).
다음으로, 신장된 제2신축부재(20)의 일면에 면상 발열체(30)를 접착시킨다. 이 때, 면상 발열체(20)는 직접방사법, 실리콘 상에 수직성장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포레스트 스피닝 기법,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분산한 후에 이를 필터 및 압착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기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그래핀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S902).
탄소 나노 튜브 면상발열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실시예에서는, 아세톤, 부탄올과 같은 유기용매와 페로세인(Ferrocene) 0.4-2.0 wt%, 싸이오펜(Thiophene) 1.4-9.0 wt%의 조성의 합성용액을 사용하였다. 이를 고온의 수직 합성로 상단부에서 10~100 ml/h 범위에서 주입하였으며, 또한 이송가스(H2)는 800-2000 sccm의 속도로 합성용액과 함께 주입하였다. 합성로의 온도는 1000-1500℃ 범위에서 유지 하였으며, 합성로 하단부에서는 합성된 탄소 나노 튜브 면상 발열체 시트를 1~30m/min 범위에서 권취하였다.
합성된 면상 발열체(30)는 제2신축부재(20) 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된다. 이때 사용한 접착제의 한 예시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과 같은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면상 발열체(30)에 외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40)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2신축부재(2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여 제2신축부재(20)를 복원시킨다. 접착제가 고화된 후에 제2신축부재(2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제2신축부재(20)는 원래의 크기로 복원된다. 이때 제2신축부재(20)에 부착된 면상 발열체(30)의 표면에는 주름이 형성된다. 면상 발열체의 주름은 제2신축부재(20)의 두께와 늘어난 정도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S903).
다음으로, 면상 발열체(30)상에 신축성을 가지는 제1신축부재(10)를 접착시킨다. 이때, 제2신축부재(20)와 제1신축부재(10)가 정확하게 접착하도록 함으로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S904).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신축성 온열 피복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신축성을 가지는 제2신축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신장시킨다. 이 때, 제2신축부재를 사방으로 당겨 늘리고 이를 고정하는데, 예를 들면, 제2신축부재 보다 큰 사람 얼굴 형상의 두상 마네킹을 이용하여 제2신축부재를 당겨 늘려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2신축부재는 신장 전 면적의 1.1배 내지 3배 사이의 면적으로 신장시킨다(S1201).
다음으로, 신장된 제2신축부재의 일면에 면상 발열체를 접착시킨다. 이 때, 면상 발열체는 직접방사법, 실리콘 상에 수직성장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포레스트 스피닝 기법,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분산한 후에 이를 필터 및 압착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기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그래핀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S1202).
탄소 나노 튜브 면상발열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실시예에서는, 아세톤, 부탄올과 같은 유기용매와 페로세인(Ferrocene) 0.4-2.0 wt%, 싸이오펜(Thiophene) 1.4-9.0 wt%의 조성의 합성용액을 사용하였다. 이를 고온의 수직 합성로 상단부에서 10~100 ml/h 범위에서 주입하였으며, 또한 이송가스(H2)는 800-2000 sccm의 속도로 합성용액과 함께 주입하였다. 합성로의 온도는 1000-1500℃ 범위에서 유지 하였으며, 합성로 하단부에서는 합성된 탄소 나노 튜브 면상 발열체 시트를 1~30m/min 범위에서 권취하였다.
합성된 면상 발열체는 제2신축부재 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된다. 이때 사용한 접착제의 한 예시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과 같은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면상 발열체에 외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면상 발열체상에 신축성을 가지는 제1신축부재를 접착시킨다. 이때, 제1신축부재는 제2신축부재와 같이 신장된 상태로써, 제2신축부재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신장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접착되게 함으로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S1203).
다음으로, 제1신축부재 및 제2신축부재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여 제1신축부재 및 제2신축부재를 복원시킨다. 접착제가 고화된 후에 제1신축부재 및 제2신축부재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제1신축부재 및 제2신축부재는 원래의 크기로 복원된다. 이때 제2신축부재에 부착된 면상 발열체의 표면에는 주름이 형성된다. 면상 발열체의 주름은 제2신축부재의 두께와 늘어난 정도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S120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신축성 온열 피복
10: 제1신축부재
20: 제2신축부재
30: 면상 발열체
40: 도선

Claims (10)

  1. 신축성을 가지는 제1신축부재;
    신축성을 가지며 일면이 신체에 접촉하는 제2신축부재; 및
    상기 제1신축부재와 상기 제2신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방사하며,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가 늘어남에 따라 펼쳐지는 주름 형상을 가지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면상 발열체는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가 신장 범위안에서 최대로 늘어난 상태일 때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며,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가 수축함에 따라 주름 형상으로 복원되는 신축성 온열 피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는 시트 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신축성 온열 피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범위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의 면적 대비 3배 이하의 범위인 신축성 온열 피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는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의 신축 범위안에서 전기 저항을 유지하는 신축성 온열 피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는 근적외선, 중적외선 및 원적외선 파장을 방사하는 신축성 온열 피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도선이 연결되는 신축성 온열 피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2신축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신축성 온열 피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부재, 상기 제2신축부재 및 상기 면상 발열체는 마스크 형태를 가지는 신축성 온열 피복.
  9. 신축성을 가지는 제2신축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신장시키는 단계;
    신장된 제2신축부재의 일면에 면상 발열체를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면상 발열체상에 신축성을 가지는 제1신축부재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면상 발열체는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가 신장 범위안에서 최대로 늘어난 상태일 때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며, 상기 제1신축부재 및 상기 제2신축부재가 수축함에 따라 주름 형상으로 복원되는 신축성 온열 피복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신축부재의 면적의 1.1배 내지 3배 사이의 면적으로 신장시키는 신축성 온열 피복 제조 방법.
KR1020190011338A 2019-01-29 2019-01-29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6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38A KR102126913B1 (ko) 2019-01-29 2019-01-29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38A KR102126913B1 (ko) 2019-01-29 2019-01-29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913B1 true KR102126913B1 (ko) 2020-06-25

Family

ID=7140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338A KR102126913B1 (ko) 2019-01-29 2019-01-29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392A (ko) * 2019-12-31 2021-07-08 박영균 전기 자극 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1456A (ja) * 1993-12-03 1995-06-23 Okazaki Seisakusho:Kk 発熱シート
JP2017012627A (ja) * 2015-07-03 2017-01-19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KR20170033564A (ko) * 2015-09-17 2017-03-27 김도윤 면상발열천을 이용한 온열 안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1456A (ja) * 1993-12-03 1995-06-23 Okazaki Seisakusho:Kk 発熱シート
JP2017012627A (ja) * 2015-07-03 2017-01-19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KR20170033564A (ko) * 2015-09-17 2017-03-27 김도윤 면상발열천을 이용한 온열 안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392A (ko) * 2019-12-31 2021-07-08 박영균 전기 자극 패드
KR102398636B1 (ko) 2019-12-31 2022-05-16 박영균 전기 자극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Recent progress in tactile sensors and their applications in intelligent systems
US20210176858A1 (en) Stretchable circuit substrate and article
KR102126913B1 (ko) 신축성 온열 피복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936686B (zh) 基于弹性形状记忆聚合物的柔性电子产品
CN106943147A (zh) 一种具有形状记忆功能的纤维状应变传感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233969A (zh) 一种皮肤护理面具
CN205059350U (zh) 石墨烯加热型汽车座椅
KR102141528B1 (ko) 온열 피복 및 마스크
CN110270012A (zh) 石墨烯生发装置
Ohkubo et al. Breathing clothes: artworks using the hairlytop interface
KR101706867B1 (ko) 개인 얼굴형 맞춤 변형 기능을 가지는 이너 구조물이 구비된 온열 안대
CN211583778U (zh) 一种柔性加热部及包含其的便携式自粘附电热贴
CN105313394B (zh) 一种含有二维六方晶格材料的人体接触性保护套及其制作方法以及应用
Someya et al. Electronic skins for robotics and wearables
CN203662201U (zh) 面部提拉器
CN106420152A (zh) 一种智能远红外碳纳米保健暖身贴片
CN209107712U (zh) 一种多功能产后收腹带
CN218247859U (zh) 一种美容眼膜
TWM503120U (zh) 具有拉提臉部肌膚之配戴件構造
CN220631365U (zh) 一种高原防晒护理包
US20230340719A1 (en) Graphene silicone sticky sheet and compound structure using the same.
CN209575307U (zh) 一种多功能修复面膜
KR200481053Y1 (ko) 길이 변형부재를 갖는 마스크팩
CN103908039A (zh) 一种鞋贴及其制造方法及其用途
CN203953927U (zh) 一种自带热敷功能的眼贴及脸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