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471B1 - Apparatus for crushing woo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rushing w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471B1
KR102126471B1 KR1020190160510A KR20190160510A KR102126471B1 KR 102126471 B1 KR102126471 B1 KR 102126471B1 KR 1020190160510 A KR1020190160510 A KR 1020190160510A KR 20190160510 A KR20190160510 A KR 20190160510A KR 102126471 B1 KR102126471 B1 KR 10212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rushing
flanges
body por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동오
Original Assignee
한동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오 filed Critical 한동오
Priority to KR102019016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4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4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A wood crushing device is disclosed. The wood cru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art having an inlet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n outlet formed at a lower portion; a crushing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part and crushing wood input to the body part; and a mesh net provided inside the body part and disposed at the top of the outlet to select and supply the crushed wood to the outlet. The crushing unit comprises: a rotation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art; a plurality of flanges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and in which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xed shafts respectively formed on the plurality of flanges, detachably fixed to the fixing grooves arranged in line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freely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xed shafts and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flanges to crush wood. Accordingly, the mesh ne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replaced.

Description

목재 분쇄장치{APPARATUS FOR CRUSHING WOOD}Wood crushing device {APPARATUS FOR CRUSHING WOOD}

본 발명은 목재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운영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목재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 crus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od crushing device that can improve convenience in use and reduce operating costs.

일반적으로 목재 분쇄장치는 생활 폐목재와 건설현장 및 사업장에서 발생된 폐목재로부터 산림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나무뿌리, 가지 및 줄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폐목재를 합성목재 제조 등으로 재활용하거나 에너지회수용 연료용도 등으로 재사용하기 위해 분쇄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wood crushing equipment recycles all waste wood from domestic waste wood and waste wood generated at construction sites and business sites to tree roots, branches, and stems generated in the forestry process through the manufacture of synthetic wood or fuel for energy recovery. It is a device that grinds for reuse in applications.

종래의 목재 분쇄장치는 복수의 분쇄날들을 회전시켜 폐목재를 타격 또는 절단하여 분쇄하는데, 장시간 사용하여 분쇄날들이 일측이 마모되는 경우에 원하는 크기의 목재 분말을 얻기 어려우며, 이러한 경우에 복수의 분쇄날들 전체를 하나씩 교체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이 분쇄날들의 일측만이 마모된 상태에서 새로운 분쇄날들로 교체하는 경우에 운영상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wood grinders are used to pulverize or cut waste wood by rotating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wood powder having a desired size when the crushing blades are worn on one side by using for a long time. There was a difficulty in having to replace all of the blades one by one. Moreover, when only one side of the grinding blades was replaced with new grinding blades in a worn stat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ng cost was increased.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32587호(2007.6.14.공고)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3132587 (announcement on 14/14/200)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분쇄날들의 일측이 마모되는 경우에 마모되지 않은 분쇄날들의 타측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분쇄날들 전체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목재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od crushing device that can easi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entire grinding blades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grinding blades that are not worn can be used when one side of the grinding blades is worn due to long-term use. Is to d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와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구비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에 투입된 목재를 분쇄하는 분쇄유닛;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분쇄된 목재를 선별하여 상기 배출구로 공급하는 메쉬망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외면에 복수의 고정홈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플랜지들; 복수의 상기 플랜지들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인라인되게 배치된 상기 고정홈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축들; 및 복수의 상기 고정축들 각각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인접한 상기 플랜지들 사이에 배치되어 목재를 분쇄하는 복수의 분쇄날들을 포함하는 목재 분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ody portion having an inlet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an outle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 crushing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to crush wood input to the body portion; And a mesh network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and disposed on the top of the outlet to screen crushed wood and supply it to the outlet, wherein the crushing un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A plurality of flanges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al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on the outer surf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xing shafts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on a plurality of the flanges and are detachably fixed to the fixing grooves arranged inline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which are arrang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freely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xed shafts and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flanges to crush wood.

상기 플랜지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 삽입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플랜지의 외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되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고 갈고리형상의 상기 고정홈의 끝단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The flange is formed in a disk shape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is inserted, and the fixing groove extend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in the center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the fix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the fixing groove in a hook shape It can be fixed to the end of the jam.

상기 분쇄유닛은 일단부가 복수의 상기 플랜지들 중 양측 최외각에 위치한 상기 플랜지에 볼트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고정축의 끝단이 관통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의 끝단이 상기 제1 관통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핀에 의해 상기 고정축의 끝단이 상기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The crush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having a first through-hole in which one end is bolted to the flange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langes, and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fixing shaft is inserted through the other end. The end of the fixed shaft may be fixed to the flange by a fixing pin while the end of the shaft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 삽입되되 인접한 상기 플랜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제1 간격유지구; 및 상기 고정축이 관통 삽입되되 인접한 상기 분쇄날들 사이 또는 인접한 상기 분쇄날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날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제2 간격유지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rush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pacing holders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is inserted but disposed between adjacent flanges to maintain the spacing between the flanges; And a plurality of second gap holders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is inserted but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grinding blades or between the adjacent grinding blades and the flange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grinding blades.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되,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메쉬망이 안착되며,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쉬망을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배치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inside the body portion,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the mesh network is seated on the top, rotated around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he mesh The network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rotating frames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분쇄날들이 상기 고정축들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기립된 경우에 상기 분쇄날들과 사이에서 목재를 분쇄하는 복수의 타격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portion,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and the crushing blades stand relative to the fixed shaft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lowers for crushing wood between the crushing blades. .

복수의 상기 타격자들은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격자; 및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hitter is provided on top of the outlet and the first hitter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frames; And at least one second hitter provided under the inlet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frames.

복수의 상기 분쇄날들 각각에는 상기 고정축이 삽입됨과 동시에 복수의 타격자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xed shaft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and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hitters can be adjusted at the same time.

인접한 상기 플랜지들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인접한 상기 고정홈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분쇄날들이 상기 고정축들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기립되는 경우에 상기 분쇄날들에 접촉되어 상기 분쇄날들의 회전을 제한하는 복수의 스토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adjacent flanges, i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fixing grooves, is in contact with the crushing blades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so that the crushed blades are rotated relative to the fixed shafts to stand.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toppers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blades.

상기 스토퍼들 각각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되, 복수의 상기 플랜지들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인라인되게 배치된 제2 관통홀들에 삽입되고, 양끝단이 복수의 상기 플랜지들 중 양측 최외각에 위치한 상기 플랜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Each of the stoppers is dispos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is inserted into second through-holes formed on a plurality of the flanges and arranged inline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both ends are plural. It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flange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both sides of the flange.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분쇄된 목재를 흡인하는 흡인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aspirator that is coupled to the outlet to suck the crushed wo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플랜지들에 각각 형성되고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인라인되게 배치된 고정홈들에 분쇄날들이 결합된 고정축들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분쇄날들의 일측이 마모되고 마모되지 않은 분쇄날들의 타측을 사용하고자 분쇄날들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고정축들을 고정홈들에서 분리한 후 고정축들을 회전시켜 다시 고정홈들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분쇄날들의 위치를 변경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분쇄날들의 일측과 타측을 모두 사용할 있어 운영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n a plurality of flanges, respectively, by allowing the fixed shafts to which the grinding blades are coupled to the fixed grooves arranged inline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to be detachably fixed. When one side of the grinding blades is worn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blades in order to use the other side of the grinding blades that are not worn, the fixing shafts are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s, and then the fixing shafts are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again.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crushing blades by fixing them,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operating costs by using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rushing blad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쉬망이 안착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들을 몸체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한 쌍의 회전프레임들을 회전시키고 한 쌍의 회전프레임들을 몸체부의 내부에 결합 및 결합해제하여 메쉬망을 용이하게 설치 및 교환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otatable pair of rotating frames on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to which the mesh net is seated, rotates a pair of rotating frames and couples and uncouples a pair of rotating frames inside the body portion As a result, the mesh network can be easily installed and exchang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의 설치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들의 위치변경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ood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wood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peration of the mesh networ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assembled views of the cru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d state of the grind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wood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blad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ood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ush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denote the same member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wood cru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의 설치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조립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들의 위치변경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ood crush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wood crush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assembly state diagrams of the cru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top of the cru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and Fig. 6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onal state of the cru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wood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blad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100)는 투입구(111)와 배출구(113)를 구비한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배출구(113)의 상부에 배치되어 분쇄된 목재를 선별하는 메쉬망(120)과, 메쉬망(120)이 안착되며 회전되어 몸체부(110)의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메쉬망(120)을 몸체부(110)의 내부에 고정 및 설치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과, 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목재를 분쇄하는 분쇄유닛(140)을 포함한다.1 to 9, the wood cru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111 and an outlet 113 with a body portion 110 and a body portion 110. The mesh network 120 provided inside and disposed on the top of the outlet 113 to sort the crushed wood, and the mesh network 120 are seated and rotated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to thereby mesh the mesh network 120 ) A pair of rotating frames 130 for fixing and installing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a crushing unit 140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to crush woo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10)는 투입된 목재를 타격 및 절단하여 분쇄하는 공간을 제공한다.1 to 3, the body portion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space for crushing by striking and cutting the input wood.

몸체부(110)는 상부에 목재가 투입되는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부에 분쇄된 목재가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형성된다.The body 110 is formed with an inlet 111 through which wood is introduced and an outlet 113 through which crushed wood is discharged.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목재가 분쇄되는 분쇄공간(S)이 형성된다. 여기서 분쇄공간(S)은 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배출구(113)의 상부에 배치된 메쉬망(120)과 투입구(111) 사이의 공간이다. 분쇄공간(S) 내에 후술한 분쇄유닛(140)이 배치되며, 분쇄유닛(140)은 투입된 목재를 타격 및 절단하여 목재를 분쇄한다.A crushing space S in which wood is crushed is formed inside the body 110. Here, the grinding space S is a space provided between the mesh network 120 and the inlet 111 provided inside the body 110 and disposed above the outlet 113. The crushing unit 140 described below is disposed in the crushing space S, and the crushing unit 140 crushes the wood by hitting and cutting the input wood.

분쇄공간(S)으로 투입된 목재는 분쇄유닛(140)에 의해 분쇄된 후 메쉬망(120)을 거쳐 배출구(113)로 배출된다. 분쇄공간(S)은 후술할 분쇄유닛(140)의 분쇄날(148)들이 회전되면서 목재를 타격 및 절단할 수 있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wood input into the crushing space S is crushed by the crushing unit 14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mesh network 120 to the outlet 113. The crushing space S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strike and cut wood while the crushing blades 148 of the crushing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are rotated.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120)은 분쇄된 목재를 입자크기에 따라 선별한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쉬망(120)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메쉬망(120)이 원통형 형상의 분쇄공간(S)을 형성하기 때문이다.The mesh net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orts crushed wood according to particle size. And as shown in Figure 1, the mesh network 120 is formed to have a curved shape. This is because the mesh network 120 forms a crushing space S having a cylindrical shape.

메쉬망(120)에는 복수의 타공(121)이 형성되며, 분쇄된 목재는 타공(121)의 크기에 따라 선별되어 배출구(113)측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메쉬망(120)에 형성된 타공(121)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배출구(113)에서 배출되는 분쇄된 목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erforations 121 are formed in the mesh net 120, and the crushed wood is sor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erforations 121 and supplied to the outlet 113 side. Therefore,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perforations 121 formed in the mesh net 1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ize of the crushed wood discharged from the outlet 113.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쉬망(120)을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몸체부(110)의 양측벽이 개방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배출구(113)의 상부에 메쉬망(120)이 안착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이 마련된다. 그리고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은 메쉬망(120)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both side walls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opened so that the mesh net 120 can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and an outlet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10. A pair of rotating frames 130 on which the mesh net 120 is seated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113. In addition, each of the rotating frames 1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hape of the mesh network 120.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은 몸체부(110)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다. 또한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은 일단부가 몸체부(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몸체부(110)에 결합된다.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inside the body portion 110. 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the other end is rotated around one end a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0.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일단부는 배출구(113)의 상부에 배치되고 몸체부(11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타단부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몸체부(11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부(110)에 볼트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상부에는 메쉬망(120)이 안착될 수 있다.One end of each of the rotating frames 130 is disposed above the outlet 113 and is hinged to the body 110 to be rotatable.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rotating frame 130 is rotated around one end portion and is bolted to the body portion 110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110. In addition, a mesh network 120 may be seated on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 각각에 메쉬망(120)이 안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이 일단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타단부를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회전시키고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타단부를 몸체부(110)에 결합함으로써 메쉬망(120)을 몸체부(11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in a state in which the mesh network 120 is seated on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has a pair of rotating frames 130 around one end. ) The mesh network 120 by rotating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inside of the body 110 in the direction to approach each other and coupling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to the body 110 It can be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110.

반대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타단부를 몸체부(110)에서 결합해제하고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타단부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메쉬망(120)을 몸체부(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Conversely, as shown in FIG. 3,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is disengaged from the body portion 110, and a pair of rotation is performed around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The mesh network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10 by rotating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frames 130 within the body portion 110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메쉬망(120)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타단부를 몸체부(110)에서 결합해제하고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타단부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새로운 메쉬망(120)을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에 안착시킨 후,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타단부를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타단부를 몸체부(110)에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메쉬망(120)을 몸체부(11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sh network 120 is to be replaced, the user disengages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from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other of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After rotating the ends in the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new mesh network 120 is seated on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and then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is approached to each other By rotating and coupling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to the body portion 110, the new mesh network 120 can be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110.

이처럼,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상부에 메쉬망(120)을 안착시키고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각각의 타단부를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메쉬망(120)을 몸체부(110)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 및 교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sh network 120 is seated on the top of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and rotates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Can be easily installed and exchang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도 4a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140)은 분쇄공간(S)에 투입된 목재를 타격 및 절단하여 목재 분말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ures 4a to 7, the crushing unit 14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its and cuts the wood input to the crushing space (S) to form a wood powder.

분쇄유닛(140)은 몸체부(110)의 내부, 구체적으로 분쇄공간(S) 내에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분쇄공간(S)에 투입된 목재를 분쇄한다.The crushing unit 140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specifically, crushed wood installed in the crushing space S as it is rotated.

구체적으로, 분쇄유닛(140)은 몸체부(110)를 관통하며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141)과, 회전축(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고정 결합되며 회전축(141)과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플랜지(142)들과, 복수의 플랜지(142)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회전축(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축(144)들과, 복수의 고정축(144)들 각각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목재를 분쇄하는 복수의 분쇄날(148)들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rushing unit 140 penetrates through the body portion 110 and is fixe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41 and the rotating shaft 141 rotatably coupl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The plurality of flanges 142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141 and a plurality of fixing shafts 144 that are detachably fixed to the plurality of flanges 142 and are dispos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41 And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148 that are freely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xing shafts 144 to crush wood.

회전축(141)은 몸체부(110)에 관통결합되며 몸체부(110)의 분쇄공간(S) 내부에서 회전된다.The rotating shaft 141 is penetrated through the body portion 110 and rotated in the grinding space S of the body portion 110.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41)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100)는 몸체부(110)를 관통한 회전축(141)의 끝단에 결합된 구동부(150)를 더 포함한다. 구동부(150)는 몸체부(110)를 관통한 회전축(141)의 끝단에 고정 결합된 풀리(153)와, 벨트 또는 체인 등의 구동력 전달부재(155)를 매개로 풀리(15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51)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in order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141 at a high speed, the wood cru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rotating shaft 141 through the body portion 110 It further includes a driving unit 150 coupled to the end. The driving unit 150 is a pulley 153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141 penetrating the body 110, and a rotational force to the pulley 153 via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55 such as a belt or chain. It includes a drive motor 151 for transmission.

복수의 플랜지(142)들은 회전축(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회전축(141)에 고정 결합된다. 복수의 플랜지(142)들이 회전축(141)에 고정 결합되므로 회전축(141)이 회전되는 경우에 복수의 플랜지(142)들도 함께 회전된다.The plurality of flanges 142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41 and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41. Since the plurality of flanges 142 are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41, when the rotating shaft 141 is rotated, the plurality of flanges 142 are also rotated.

또한 회전축(141)에 고정 결합된 플랜지(142)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유닛(140)은 회전축(141)이 관통 삽입되며 인접한 플랜지(142)들 사이에 배치되어 플랜지(142)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제1 간격유지구(P1)를 더 포함한다. 즉 인접한 플랜지(142)들 사이에 제1 간격유지구(P1)를 배치하여 플랜지(142)들 사이의 간격을 상호 일정하게 유지한다.In addition,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flanges 142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41, as shown in Figures 2 and 4a, the grinding unit 140 is insert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141 is adjacent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pacing holders (P1) disposed between the flanges 142 to maintain the spacing between the flanges (142). That is, the first spacing holder P1 is disposed between adjacent flanges 142 to maintain a constant spacing between the flanges 142.

플랜지(142)들 각각은 회전축(141)이 관통 삽입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142)들 각각의 외면에는 복수의 고정홈(143)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Each of the flanges 142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141 is inser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43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langes 142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고정홈(143)은 플랜지(142)의 외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되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142)들이 회전축(141)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결합되는 경우에, 플랜지(142)들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143)들은 회전축(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인라인되게 배치된다.The fixing groove 143 extend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142 in the center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hook shape. In addition, when the flanges 142 are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4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43 formed in the flanges 142 are arranged to be inline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41.

고정축(144)들은 복수의 플랜지(142)들에 형성되고 상호 인라인되게 배치된 고정홈(143)들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축(144)들은 회전축(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또한 플랜지(142)들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고정축(144)은 갈고리형상의 고정홈(143)의 끝단에 걸려 고정된다.The fixed shafts 144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flanges 142 and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fixed grooves 143 arranged inlin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fixed shafts 144 are arrang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41 and are also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anges 142. In addition, the fixing shaft 144 is fixed to the end of the hook-shaped fixing groove 143.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41)의 회전에 의해 플랜지(142)들이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플랜지(142)들의 고정홈(143)들에 삽입된 고정축(144)들은 플랜지(142)들의 외측방향으로 원심력을 받게 되는데, 고정홈(143)들이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축(144)들이 갈고리형상의 고정홈(143)의 끝단에 걸림 결합되므로 고정축(144)들이 회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경우에도 플랜지(142)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flanges 142 are rot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141 by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41, the fixed shafts 144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143 of the flanges 142 ) Are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langes 142, the fixing grooves 143 are formed in a hook shape, and the fixing shafts 144 are engaged to the ends of the hook-shaped fixing grooves 143 so that the fixing shafts 144 ) Even if they are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due to rot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nges 142 from being separated.

한편,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144)이 갈고리형상의 고정홈(143)의 끝단에 위치되도록, 분쇄유닛(140)은 복수의 플랜지(142)들 중 양측 최외각에 위치한 플랜지(142)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부재(145)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b, so that the fixed shaft 144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hook-shaped fixing groove 143, the crushing unit 140 is a flange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both of the plurality of flanges (142)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145 coupled to each of 142.

고정부재(145)의 일단부는 복수의 플랜지(142)들 중 양측 최외각에 위치한 플랜지(142)에 볼트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45)의 타단부에는 고정축(144)의 끝단이 관통 삽입되는 제1 관통홀(146)이 형성되며, 고정축(144)의 끝단이 제1 관통홀(146)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고정핀(147)에 의해 고정축(144)의 끝단은 플랜지(14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One end of the fixing member 145 is bolted to the flanges 142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s of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langes 142. In addition, a first through hole 146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fixed shaft 144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145, and the end of the fixed shaft 144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46. The end of the fixing shaft 144 by the first fixing pin 147 is detachably fixed to the flange 142 in the state.

복수의 분쇄날(148)들은 복수의 고정축(144)들 각각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날(148)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148 are freely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xed shafts 144. In this embodiment, the grinding blade 148 is shown in a square plate shap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회전축(141) 및 플랜지(142)들이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분쇄날(148)들이 고정축(144)에 대해 자유회전할 수 있도록, 분쇄날(148)들 각각에는 분쇄날(148)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축(144)이 삽입되는 삽입홀(149)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As the rotating shaft 141 and the flanges 142 rotate, so that the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148 can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fixed shaft 144, each of the grinding blades 148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nding blade 148. At least one insertion hole 149 into which the fixed shaft 144 is inserted may be formed.

그리고 복수의 분쇄날(148)들은 고정축(144)들 각각에 고정축(14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분쇄날(148)들은 인접한 플랜지(142)들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And the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148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144 on each of the fixed shafts 144.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148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adjacent flanges 142.

또한 고정축(1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쇄날(148)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유닛(140)은 고정축(144)이 관통 삽입되며 인접한 분쇄날(148)들 사이 또는 인접한 분쇄날(148)과 플랜지(142) 사이에 배치되어 분쇄날(148)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제2 간격유지구(P2)를 더 포함한다. 즉 인접한 인접한 분쇄날(148)들 사이 또는 인접한 분쇄날(148)과 플랜지(142) 사이에 제2 간격유지구(P2)를 배치하여 분쇄날(148)들 사이의 간격을 상호 일정하게 유지한다.In addition,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grinding blades 148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shaft 144, as shown in Figures 2 and 4b, the grinding unit 140 is fixed shaft 144 The plurality of second gap holders P2 that are inserted through and are disposed between adjacent grinding blades 148 or between the adjacent grinding blades 148 and the flanges 142 to maintain the gaps between the grinding blades 148. It further includes. That is, the second spacing holder P2 is disposed between adjacent adjacent grinding blades 148 or between the adjacent grinding blades 148 and the flanges 142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grinding blades 148. .

회전축(141) 및 플랜지(142)들의 회전유무에 따른 분쇄날(148)들의 운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ovement of the grinding blades 148 according to whether the rotation shafts 141 and the flanges 142 are rotated is as follows.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144)이 분쇄날(148)들 각각에 형성된 삽입홀(149)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141) 및 플랜지(142)들이 회전되지 않으면, 분쇄날(148)들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fixed shaft 14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9 formed in each of the grinding blades 148, the rotating shaft 141 and the flanges 142 are not rotated, the grinding blade ( 148) are kept rotated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반대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144)이 분쇄날(148)들 각각에 형성된 삽입홀(149)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141) 및 플랜지(142)들이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분쇄날(148)들은 고정축(144)에 대해 자유회전되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된다.Conversely, as illustrated in FIG. 6, when the rotating shaft 141 and the flanges 142 are rotated while the fixed shaft 14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149 formed in each of the crushing blades 148, by centrifugal force The grinding blades 148 are rotated freely with respect to the fixed shaft 144 and rotated while maintaining a standing state.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분쇄공간(S)에 배치된 분쇄유닛(140)의 분쇄날(148)들이 회전되는 경우에 분쇄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10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타격자(161,163)들을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in order to increase the grinding efficiency when the grinding blades 148 of the grinding unit 140 disposed in the grinding space (S) of the body portion 110 is rotate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cru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hitters 161 and 163 install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타격자(161,163)들은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141)이 회전되어 분쇄날(148)들이 고정축(144)들에 대해 기립된 상태로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 분쇄날(148)들과 사이에서 목재를 분쇄한다. 타격자(161,163)들은 몸체부(110)의 내부에 회전축(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타격자(161,163)들 각각은 단면이 요철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itters 161 and 163 are install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and when the rotating shaft 141 is rotated so that the grinding blades 148 are rotated relative to the fixed shafts 144, the grinding blades 148 ) Between the wood. The hitters 161 and 163 are disposed long inside the body portion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41. In addition, each of the hitters 161 and 163 may have an uneven shape in cross section.

회전축(141)의 회전에 의해 분쇄날(148)들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분쇄공간(S) 내에서 회전되는 경우에 분쇄날(148)들의 끝단과 타격자(161,163)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분쇄되는 목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grinding blades 148 are standing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141 and are rotated within the grinding space S,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grinding blades 148 and the impactors 161 and 163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wood to be crushed.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타격자(161,163)들은 배출구(113)의 상부에 마련되고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격자(161)와, 투입구(111)의 하부에 마련되고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격자(163)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 타격자(163)는 회전축(141)의 중심과 제1 타격자(161)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에 대해 양측으로 두 개가 마련되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hitters 161 and 163 ar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113 and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and the first hitter 16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111. And at least one second hitter 163 provided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frames 130. Referring to FIG. 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hitter 163 is illustrated to be provid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141 and the center of the first hitter 161, bu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상기와 같이, 분쇄공간(S) 내에 투입된 목재는 분쇄날(148)들과 타격자(161,163)들에 의해 절단되고 타격되어 분쇄되며,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된 목재들은 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된 메쉬망(120)을 통해 배출구(113)로 공급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ood input into the crushing space (S) is cut and crushed by the crushing blades 148 and the blowers 161 and 163, and as shown in FIG. 7, the crushed woods have a body part ( 110) is supplied to the outlet 113 through the mesh network 120 provided inside.

분쇄공간(S) 내의 분쇄된 목재가 과다한 경우에 분쇄된 목재들이 메쉬망(120)의 타공(121)들을 막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목재 분쇄장치(100)를 정지시키고 메쉬망(120)의 타공(121)들을 막은 목재들을 제거하여야 한다.If the crushed wood in the crushing space (S) is excessive, the crushed wood can prevent the perforations 121 of the mesh network 120. In this case, the wood crushing device 100 is stopped and the mesh network 120 is perforated. The woods that blocked (121) must be removed.

따라서, 분쇄공간(S) 내의 분쇄된 목재가 메쉬망(120)을 통해 배출구(113)로 원활하게 공급되고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100)는 배출구(113)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분쇄된 목재를 흡인하는 흡인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인기(170)는 배출구(113)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분쇄공간(S) 내의 분쇄된 목재를 흡인하는 흡인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crushed wood in the crushing space (S)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outlet 113 through the mesh network 12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1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crush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aspirator 170 that is coupled to the outlet 113 in communication and suctions the crushed wood. The aspirator 170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113 and may be configured as a suction fan that sucks the crushed wood in the crushing space S.

한편, 장시간 목재 분쇄장치(100)를 운영하는 경우에 분쇄날(148)들의 일측이 마모된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날(148)의 일측에 마모된 영역(R)이 형성된다. 분쇄날(148)들이 일측이 마모된 경우에 분쇄날(148)들과 타격자(161,163)들 사이의 간격이 최초 설정한 간격보다 크게 되어 원하는 크기의 분쇄된 목재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분쇄날(148)들을 교체하거나 마모되지 않은 분쇄날(148)들의 타측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분쇄날(148)들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operating the wood grinding apparatus 100 for a long time, one side of the grinding blades 148 is worn. As shown in FIG. 8, a worn area 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rinding blade 148. When one side of the grinding blades 148 is worn, the gap between the grinding blades 148 and the hitters 161 and 163 becomes larger than the initially set gap, so that the desired size of the crushed wood cannot be obtained.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blades 148 must be changed so that the grinding blades 148 can be replaced or the other side of the grinding blades 148 that are not worn can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마모되지 않은 분쇄날(148)들의 타측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목재 분쇄장치(100)를 운영함에 있어서 운영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분쇄날(148)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use the other side of the abrasive blades 148, which are not worn, so that the operating cost can be reduced in operating the wood pulverizing apparatus 100, and the position of the crushing blades 148 is facilitated. It is configured to be changed.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148)들의 결합동작은, 분쇄날(148)들이 자유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고정축(144)들을 플랜지(142)들의 외면에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홈(143)들에 삽입하고, 고정축(144)들의 양끝단을 각각 플랜지(142)들 중 양측 최외각에 위치한 플랜지(142)에 고정부재(145)를 이용하여 고정한다.To this end,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crushing blades 14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ed shafts 144 to which the crushing blades 148 are freely rotatable are hook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langes 142. Inserted into the formed fixing grooves 143, both ends of the fixing shafts 144 are fixed using a fixing member 145 to the flanges 142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s of both sides of the flanges 142, respectively.

한편, 마모되지 않은 분쇄날(148)들의 타측을 사용하기 위해 분쇄날(148)들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144)들의 끝단에서 제1 고정핀(147)을 제거한다. 그리고 분쇄날(148)들이 결합된 고정축(144)을 고정홈(143)들에서 분리한 후 고정축(144)을 회전시켜 마모되지 않은 분쇄날(148)들의 타측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축(144)을 고정홈(143)들에 삽입하고 고정부재(145)를 이용하여 고정축(144)의 양 끝단을 각각 플랜지(142)들 중 양측 최외각에 위치한 플랜지(142)에 고정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blades 148 to use the other side of the grinding blades 148 that are not worn, as shown in FIG. 9, the first fixing pin at the ends of the fixing shafts 144 Remove (147). And after separating the fixed shaft 144 to which the grinding blades 148 are coupled from the fixing grooves 143, the rotating shaft 144 is rotated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grinding blades 148 that are not worn can be used. Then, the fixed shaft 144 is inserted into the fixed grooves 143, and both ends of the fixed shaft 144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langes 142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s of the two sides of the flanges 142 using the fixing member 145. To fix.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100)는 분쇄날(148)들의 위치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랜지(142)들의 외면에 갈고리형상의 고정홈(143)들을 형성하고, 고정축(144)들을 회전시키고 다시 고정축(144)들을 고정홈(143)들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동작만으로 분쇄날(148)들의 일단부 일측 및 타측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ood cru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ok-shaped fixing groove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langes 142 in order to be a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change the positions of the crushing blades 148 It is possible to use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inding blades 148 only by forming 143, rotating the fixed shafts 144 and inserting the fixed shafts 144 into the fixing grooves 143 to fix them. I can make 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wood cru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14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wood cru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ushing unit 14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재 분쇄장치(100)는 투입구(111)와 배출구(113)를 구비한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배출구(113)의 상부에 배치되어 분쇄된 목재를 선별하는 메쉬망(120)과, 메쉬망(120)이 안착되며 회전되어 몸체부(110)의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메쉬망(120)을 몸체부(110)의 내부에 고정 및 설치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과, 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회전축(141)과 복수의 플랜지(142)들과 복수의 고정축(144)들과 복수의 분쇄날(148)들을 구비하여 목재를 분쇄하는 분쇄유닛(140)과, 회전축(141)에 연결되어 회전축(141)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50)와,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타격자(161,163)들과, 배출구(113)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분쇄된 목재를 흡인하는 흡인기(170)와, 인접한 플랜지(142)들 사이에 설치되어 분쇄날(148)들이 고정축(144)들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 분쇄날(148)들에 접촉되어 분쇄날(148)들의 회전을 제한하는 복수의 스토퍼(180)들을 포함한다.10 and 11, the wood cru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10 and an body portion 110 having an inlet 111 and an outlet 113. The mesh network 120 provided inside and disposed on the top of the outlet 113 to sort the crushed wood, and the mesh network 120 are seated and rotated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to thereby mesh the mesh network 120 ) Is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a pair of rotating frames 130, and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the rotating shaft 141 and a plurality of flanges 142 and a plurality of fixing A crushing unit 140 for crushing wood having shafts 144 and a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148, a driving unit 150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41 to drive the rotating shaft 141, and a body portion ( 110) a plurality of hitters (161,163) installed in the interior, the aspirator 170 coupled to the outlet 113 to communicate with the crushed wood and the adjacent flanges 142 are installed between adjacent crushing blades ( It includes a plurality of stoppers 180 that contact the grinding blades 148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blades 148 when they are rotated relative to the fixed shafts 144.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10)와 메쉬망(120)과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과 분쇄유닛(140)과 구동부(150)와 복수의 타격자(161,163)들 및 흡인기(17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10)와 메쉬망(120)과 한 쌍의 회전프레임(130)과 분쇄유닛(140)과 구동부(150)와 복수의 타격자(161,163)들 및 흡인기(17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분쇄유닛(140)을 구성하는 분쇄날(148)과 스토퍼(180)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body portion 110 and the mesh net 1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rotating frames 130, a crushing unit 140, a driving unit 150, a plurality of hitters 161,163, and The aspirator 170,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mesh net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rotating frames 130, a crushing unit 140, a driving unit 150 and a plurality of blows Since it is the same as the rulers 161,163 and the aspirator 17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crushing blade 148 and the stoppers 180 constituting the difference crush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below. Shall be

분쇄유닛(140)을 구성하는 분쇄날(148)들은 고정축(144)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분쇄날(148)들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축(144)이 삽입되는 삽입홀(149)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The grinding blades 148 constituting the grinding unit 14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shaft 144, and each of the grinding blades 148 has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144 is inse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plurality of 149) may be formed.

이는 고정축(144)을 복수의 삽입홀(149)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여 분쇄날(148)들의 끝단과 타격자(161,163)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분쇄날(148)들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149)들은 고정축(144)에 분쇄날(148)들이 결함되게 함과 동시에 분쇄날(148)들의 끝단과 타격자(161,163)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is is to insert the fixed shaft 144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49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grinding blades 148 and the hitters 161 and 163 can b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49 formed in each of the grinding blades 148 make the grinding blades 148 defective on the fixed shaft 144, an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ends of the grinding blades 148 and the hitters 161 and 163. It should be possible to adjust the interval.

또한 분쇄날(148)들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홀(149)들이 형성되므로, 고정축(144)이 삽입되는 삽입홀(149)의 위치를 변경하여 분쇄날(148)들의 일단부 뿐만 아니라 타단부 일측 및 타측도 모두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grinding blades 148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49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of the grinding blades 148 is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hole 149 into which the fixed shaft 144 is inserted. In addition, both one side and the other end can be used.

한편, 회전축(141)이 회전됨에 따라 분쇄날(148)들은 고정축(144)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데, 분쇄날(148)들이 목재를 분쇄하는 동안 분쇄날(148)들이 기립상태에서 고정축(144)에 대해 상대적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범위에서 왕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원하는 크기의 분쇄된 목재를 얻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80)들은 분쇄날(148)들이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분쇄날(148)들에 접촉되어 분쇄날(148)들의 회전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rotating shaft 141 is rotated, the grinding blades 148 are rotated relative to the fixed shaft 144. While the grinding blades 148 crush wood, the grinding blades 148 are fixed shafts in a standing state ( 144) can be reciprocated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which case the time taken to obtain the desired size of crushed wood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stoppers 180 ne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grinding blades 148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grinding blades 148 so that the grinding blades 148 can remain standing.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80)들은 인접한 플랜지(142)들 사이에 설치되어 분쇄날(148)들이 고정축(144)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 분쇄날(148)들에 접촉되어 분쇄날(148)들의 회전을 제한한다.The stoppers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stalled between adjacent flanges 142 to contact the grinding blades 148 when the grinding blades 148 are rotated relative to the fixed shaft 144. 148) to limit the rotation.

스토퍼(180)들 각각은 플랜지(142)들 각각에 형성된 고정홈(143)들 사이에 플랜지(142)들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다.Each of the stoppers 180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anges 142 between the fixing grooves 143 formed in each of the flanges 142.

스토퍼(180)들 각각은 인접하는 플랜지(142)들 사이에 고정축(144)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스토퍼(180)들 각각은 회전축(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stoppers 180 may be arranged long between the adjacent flanges 14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144, and each of the stoppers 180 may also b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41. Can be deployed.

스토퍼(180)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플랜지(142)들 각각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2 관통홀(181)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142)들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관통홀(181)들은 회전축(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인라인되게 배치된다.In order to install the stoppers 180,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181 ar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langes 142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181 formed in the flanges 142 are arranged to be inline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41.

따라서, 스토퍼(180)들은 복수의 플랜지(142)들에 형성되고 회전축(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인라인되게 배치된 제2 관통홀(18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스토퍼(180)들을 고정하는데 있어 스토퍼(180)들 각각의 양끝단은 복수의 플랜지(142)들 중 양측 최외각에 위치한 플랜지(142)에 제2 고정핀(18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Thus, the stoppers 180 are formed on the plurality of flanges 142 and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s 181 arranged in-line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41. In fixing the stoppers 180, both ends of each of the stoppers 180 are detachably fixed by a second fixing pin 182 to the flange 142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langes 142. Can.

특히 분쇄날(148)들이 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에 스토퍼(180)들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80)들 각각은 분쇄날(148)들의 일측면에 접촉되며, 이때 분쇄날(148)들은 회전축(141)의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In particular, the stoppers 180 may be installed at positions where the crushing blades 148 maintain the standing state. At this time, each of the stoppers 180 ar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rinding blades 148, wherein the grinding blades 148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41.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목재 분쇄장치 110: 몸체부
120: 메쉬망 130: 한 쌍의 회전프레임
140: 분쇄유닛 141: 회전축
142: 플랜지 144: 고정축
148: 분쇄날 150: 구동부
160: 타격자 170: 흡인기
180: 스토퍼
100: wood crushing device 110: body
120: mesh network 130: a pair of rotating frames
140: grinding unit 141: rotating shaft
142: flange 144: fixed shaft
148: grinding blade 150: drive unit
160: blower 170: aspirator
180: stopper

Claims (11)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와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구비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에 투입된 목재를 분쇄하는 분쇄유닛;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분쇄된 목재를 선별하여 상기 배출구로 공급하는 메쉬망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외면에 복수의 고정홈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플랜지들;
복수의 상기 플랜지들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인라인되게 배치된 상기 고정홈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축들; 및
복수의 상기 고정축들 각각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인접한 상기 플랜지들 사이에 배치되어 목재를 분쇄하는 복수의 분쇄날들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 삽입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플랜지의 외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되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고 갈고리형상의 상기 고정홈의 끝단에 걸림 고정되는 목재 분쇄장치.
A body portion having an inlet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an outle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 crushing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to crush wood input to the body portion; And
It is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and includes a mesh network that supplies crushed wood to the outlet,
The grinding unit,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 plurality of flanges which are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wherein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on the outer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xing shafts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on a plurality of the flanges and are detachably fixed to the fixing grooves arranged inline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are dispos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Freely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xed shafts and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flanges to include a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for crushing wood,
The flange is formed in a disk shape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is inserted,
The fixing groove extend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in the center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hook shape,
The fix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the wooden crushing device is fixed to the hook end of the fix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유닛은,
일단부가 복수의 상기 플랜지들 중 양측 최외각에 위치한 상기 플랜지에 볼트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고정축의 끝단이 관통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의 끝단이 상기 제1 관통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핀에 의해 상기 고정축의 끝단이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는 목재 분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nding unit,
One en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langes are bolted to the flange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both sides, the other end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having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fixing shaft is inserted,
A wood crushing device wherein the end of the fixed shaft is fixed to the flange by a fixing pin while the end of the fixed shaft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 삽입되되 인접한 상기 플랜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제1 간격유지구; 및
상기 고정축이 관통 삽입되되 인접한 상기 분쇄날들 사이 또는 인접한 상기 분쇄날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날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제2 간격유지구를 더 포함하는 목재 분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inding unit,
A plurality of first gap holders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but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flanges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flanges; And
A wood crush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gap holders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is inserted but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crushing blades or between the adjacent crushing blades and the flange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crushing bla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되,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메쉬망이 안착되며,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쉬망을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배치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들을 더 포함하는 목재 분쇄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opposite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the mesh network is seated on the top, rotated around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he mesh Wood crush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rotating frames for placing the net on the top of the outl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분쇄날들이 상기 고정축들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기립된 경우에 상기 분쇄날들과 사이에서 목재를 분쇄하는 복수의 타격자들을 더 포함하는 목재 분쇄장치.
According to claim 4,
It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portion,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and the crushing blades are rotated relative to the fixed shafts,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wers crushing wood between the crushing blades and stand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타격자들은,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격자; 및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격자를 포함하는 목재 분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the hitters,
A first hitter provided on the outlet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frames; And
A wood crushing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striking devic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frames.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쇄날들 각각에는 상기 고정축이 삽입됨과 동시에 복수의 타격자들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홀들이 형성되는 목재 분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wood crush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so that the fixed shaft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and at the same time,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hitters can be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분쇄된 목재를 흡인하는 흡인기를 더 포함하는 목재 분쇄장치.
According to claim 1,
Wood crush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aspirator that is coupled to the outlet to suck the crushed wo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60510A 2019-12-05 2019-12-05 Apparatus for crushing wood KR1021264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510A KR102126471B1 (en) 2019-12-05 2019-12-05 Apparatus for crushing w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510A KR102126471B1 (en) 2019-12-05 2019-12-05 Apparatus for crushing w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471B1 true KR102126471B1 (en) 2020-06-24

Family

ID=7140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510A KR102126471B1 (en) 2019-12-05 2019-12-05 Apparatus for crushing w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47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587U (en) 2007-04-03 2007-06-14 有限会社 吉田機械製作所 Crusher
KR20140017060A (en) * 2012-07-30 2014-02-11 주식회사 경동 Wood crusher
KR101812141B1 (en) * 2017-06-05 2018-01-25 김태영 Sawdust crushing device for compos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587U (en) 2007-04-03 2007-06-14 有限会社 吉田機械製作所 Crusher
KR20140017060A (en) * 2012-07-30 2014-02-11 주식회사 경동 Wood crusher
KR101812141B1 (en) * 2017-06-05 2018-01-25 김태영 Sawdust crushing device for compos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8090B2 (en) Grinder
CN203598864U (en) Grass chopping-crushing machine
KR102126471B1 (en) Apparatus for crushing wood
KR100526953B1 (en) A apparatus for crushing of wood
KR101585107B1 (en) rotary type fiber cutting device
CN108380324B (en) Sheep manure treatment facility
CN212820219U (en) Multifunctional material crushing device
KR100574063B1 (en) Crusher
KR102264731B1 (en) Crushing wood apparatus capable of process timereduction
KR200433588Y1 (en) Multipurpose pulverize machine
KR101408893B1 (en) Wood crusher
KR101391860B1 (en) Plastic crusher
KR20210015351A (en) A crusher for organic waste, and an crush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182514Y1 (en) Crusher
NZ2029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inuting tree stumps
KR100306199B1 (en) Frame Grinding Device and Grinding Method
JP2007167822A (en) Pulverizer
CN210386099U (en) Smash pure machine of automation coaxial with fan
CN205288607U (en) Root of kudzu vine chipping machine
KR200407426Y1 (en) Shred sorter
KR200204230Y1 (en) Food waste crusher
KR102641213B1 (en) crusher
CN215234807U (en) A kind of comminutor
KR20200093144A (en) Crushing apparatus
JP3093644B2 (en) 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