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683B1 -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683B1
KR102125683B1 KR1020180140302A KR20180140302A KR102125683B1 KR 102125683 B1 KR102125683 B1 KR 102125683B1 KR 1020180140302 A KR1020180140302 A KR 1020180140302A KR 20180140302 A KR20180140302 A KR 20180140302A KR 102125683 B1 KR102125683 B1 KR 102125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d
building
data
clicked
rend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010A (ko
Inventor
성동권
Original Assignee
(주)올포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포랜드 filed Critical (주)올포랜드
Publication of KR2019005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는,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내부 객체를 추출하는 내부객체 추출부;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외부 객체를 추출하는 외피객체 추출부; 상기 건물외부 객체 및 상기 상기 건물내부 객체로부터 단계별 LOD 데이터를 생성하는 LOD 생성부; 상기 추출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LOD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LOD 단계에 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더링된 객체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고, 상기 렌더링된 객체 이외의 객체가 클릭되면 LOD 단계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OOM SPACE HIERARCHICALLY IN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정보를 계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실내공간정보를 상세하게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란,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말한다. 특히, 최근 이슈(issue)인 최첨단 디자인 및 친환경 에너지 저가형 건축물 설계 및 시공할 수 있게 해주며, 다차원 가상설계 건설(Virtual Design Construction, VDC)과 유사한 개념이다. 최근 국제적으로 BIM의 적용범위를 건축분야뿐만 아니라 모든 건조환경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유럽과 미국에서는 토목 및 플랜트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빌딩(Building)은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설계, 시공, 운영 및 관리를 의미하고, 정보(Information)는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하고, 모델링(Modeling)은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생산, 관리, 출판을 제공하는 통합 도구 및 플랫폼을 의미한다.
BIM은 건물을 데이터화하여 수치 데이터를 만들며, 3차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볼 수 있다. 단순한 선, 면 작업이 아닌 선의 시작과 끝점을 잇는 길이의 데이터가 발생되어지고, 면은 닫힌 면의 기준으로 면적이 데이터화 된다. 그리고 길이와 면적의 데이터를 결합하면 체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BIM은 빌딩 객체들인 벽, 슬라브, 창, 문, 지붕, 계단 등이 각각의 속성을 표현하여 서로의 관계를 인지하고 건물의 변경요소들을 즉시 건물설계에 반영한다. 설계할 건물이 정형이든 비정형이든 상관없이, 건물을 지을 때 발생되어지는 데이터에 대하여 프로젝트 별, 프로세스 별로 호환, 공유를 통해 모든 단계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활용한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지리적으로 참조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적 자료를 모아, 이들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시스템이다.
GIS는 다양한 지구표면정보의 참조를 위하여 공간적으로 위치를 표현하는 지형정보와 그 형태와 기능을 설명·보완하는 비도형 속성정보를 그래픽과 데이터베이스의 관리기능 등과 연계하여 정보를 저장, 추출, 관리, 분석하는 정보체계 관련기술로, 지형정보의 특성(속성)정보를 부가하여 지도의 공간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종합적인 분석수단이기도 하다. 공간상 위치를 점유하는 지리자료(geographic data)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attribute data)를 통합하여 처리한다. GIS는 토지정보 관리, 시설물 관리, 교통, 도시계획 및 관리, 환경, 일기예보, 농업, 재해 및 재난, 교육, 인구예측 분야 등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용목적의 관점에서 보면, GIS는 시설물관리(FM: Facility Management) 시스템과 계획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토지정보시스템(LIS: land information system)과 도시정보시스템(UIS: urban information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BIM과 GIS를 결합하고, 상호운용하기 위하여 건설분야의 BIM(IFC) 데이터와 공간정보분야의 GIS 데이터를 통합하는 통합 데이터 모델이 필요하며 그러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3차원 건물모델의 수요가 증가하고, 3차원 건물모델을 이용한 활용분야가 다양해지면서, 3차원 건물모델 및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도시모델 단위의 공간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도시모델의 경우 수많은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3차원 모델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가시화 방안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이 제한적인 성능을 가지고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대용량 3차원 객체에 대한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경우 렌더링 성능의 한계로 인해 원활한 작업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3차원 실사모델에 대한 상세 단계(LOD) 모델 구성을 통해 데이터를 경량화시키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세 단계 즉, LOD(Level Of Detail)는 보통 정보를 모델링할 때의 상세수준을 말하는 것으로 BIM 수행 시 서로 협의해야 하는 것들 중 하나이다. 상세 단계(LOD) 모델의 구성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이해 당사자들간 건설 정보를 모델링할 때 많은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상세 단계(LOD)의 기본 아이디어는 어떤 물체가 작거나 렌더링된 이미지에 기여하는 것이 없을 경우에 좀 더 간략하게 표현된 것을 사용하자는데 있다. 예를 들어, 대략 10,000개의 삼각형들로 이루어진 자세한 3차원 객체모델의 경우 관측자가 객체에 가깝게 있을 때 사용된다. 관측자가 객체에서 멀어지면 100개 정도의 삼각형으로 구성된 단순화된 모델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거리가 멀기 때문에 원본 모델과 거의 비슷하게 보여질 수 있다. 이런 방법을 이용하면 데이터의 경량화로 인해 상당한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8-0029407호(2008.04.03.)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 실내·외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건축의 실외, 실내, 층, 공간, 공간이미지, 상세속성정보 등과 같은 단계적 시각화 방법을 통해서 누구나 정보의 접근 및 해석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계층적 디스플레이방법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 실외에 존재하는 다양한 시설물, 식생, 건물 등의 정보를 탐색, 선택,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실외와 실내를 동시에 연계하는 방법 그리고 실내에 속한 다양한 정보를 층별, 공간별, 파노라마 이미지, 이미지 내의 객체 정보제공, 마지막으로 객체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계층적 디스플레이방법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는,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내부 객체를 추출하는 내부객체 추출부;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외부 객체를 추출하는 외피객체 추출부; 상기 건물외부 객체 및 상기 상기 건물내부 객체로부터 단계별 LOD 데이터를 생성하는 LOD 생성부; 상기 추출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LOD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LOD 단계에 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더링된 객체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고, 상기 렌더링된 객체 이외의 객체가 클릭되면 LOD 단계를 감소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LOD 0단계에서, 상기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LOD N단계부터 상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며, 각 층별로 상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LOD N+1단계에서, 각 층별로 렌더링된 객체를 각 층별 높이보다 크게 이격시켜 렌더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LOD N+2단계에서, 클릭된 층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영역과 클릭된 층에 구비된 각각의 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LOD N+3단계에서, 클릭된 공간에 대한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을 상기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3단계에서 클릭된 공간에 대한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을 상기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LOD N+4단계에서, 클릭된 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영역과 클릭된 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하되, 클릭된 공간에 대하여 위치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이드 이미지를 상기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5단계에서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공간 이미지를 제공하되, 상기 공간 이미지 상에 가이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 이미지 상에 제공된 가이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6단계에서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설명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은,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내부 객체 및 건물외부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건물내부 객체로부터 단계별 LOD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LOD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LOD 단계에 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더링된 객체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고, 상기 렌더링된 객체 이외의 객체가 클릭되면 LOD 단계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축 실내·외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건축의 실외, 실내, 층, 공간, 공간이미지, 상세속성정보 등과 같은 단계적 시각화 방법을 통해서 누구나 정보의 접근 및 해석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23은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전통적인 3차원 건축 시각화 방법은 지도 또는 바닥 위에서 단면도, 평면도, 입면도, 조감도 등과 같은 형태로 건축 관점에서의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은 기존 전통적인 건축 시각화 방식과 정보탐색을 위한 정보디자인 모형을 접목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정보탐색을 위한 정보디자인 모형은 아래 3가지 방식을 적용한다.
- 물리적 디자인 : 사용자의 정보탐색을 지원하는 디자인을 말한다.
- 인지적 디자인 :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 디자인을 말한다.
- 감성적 디자인 : 사용자에게 쉽고 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 디자인을 말한다.
위와 같은 정보탐색을 위한 정보디자인 모형을 건물에 도입하여 정보탐색이 용이한 인터페이스와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시각화 모델, 사용자의 직관적 반응을 통한 정보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층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대용량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BIM기반의 각종 3차원 객체(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를 저장하고, 저장된 객체들(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의 IFC데이터(BIM 데이터)를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100) 측에 제공하는 BIM서버(200)를 포함한다.
게층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빠른 렌더링 처리가 가능한 서비스용 데이터 구조로 BIM 데이터를 저장하여 구조화된 BIM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렌더링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수신부(10), 제어부(40), 건물내부 객체 추출부(50), 외피객체 추출부(60), LOD생성부(70), 저장부(8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10)는 BIM기반의 3차원 객체(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가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우선, BIM서버(200)로부터 해당 객체들(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의 IFC데이터(BIM 데이터)를 수신한다.
건물내부 객체 추출부(50)는 상기 수신 BIM데이터에서, 건물내부의 각 객체들을 추출한다. 외피객체 추출부(60)는 상기 수신된 BIM데이터에서, 건물외피 객체를 추출한다.
LOD생성부(70)는 입력된 BIM데이터를 경량화하고 단계별 LOD데이터를 생성한다. LOD데이터는 LOD 0단계부터 LOD N단계(N=1,2,3,...n, 정수)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LOD 0단계는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이며, LOD 1단계부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저장부(80)는 생성된 LOD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40)는 각 구성요소(예: 데이터 수신부(10), 건물내부 객체추출부(50), 외피객체 추출부(60), LOD생성부(70), 저장부(80))와 연동하여,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4 내지 도 23은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OD생성부(70)는 단계별 LOD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LOD 데이터는 저장부(80)에 저장된다.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LOD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LOD 단계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가시화(예: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모니터)를 통해 도 4 내지 도 28과 같은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먼저, 제어부(40)는 최초 장치가 구동되는 시점에서 LOD 0단계로 구동되며, LOD 0단계는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한다. 건물외부 객체는 특정 뷰포인트(View point)에서 볼 수 있는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도 4).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건물외부 객체를 클릭할 수 있으며, 클릭한 건물외부 객체는 다른 색상으로 변하면서(도 5) 클릭한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LOD 단계가 LOD 1단계로 증가한다.
제어부(40)는 LOD 1단계부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별로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LOD 1단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건물내부 객체를 클릭할 수 있으며, 클릭한 건물내 객체에 대한 LOD 단계가 LOD 2단계로 증가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건물내부 객체 이외의 공간을 클릭할 경우 LOD 단계는 LOD 0단계로 감소하며, 제어부(40)는 다시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LOD 2단계에서 각 층별로 렌더링된 객체를 각 층별 높이보다 크게 이격시켜 전개된 상태로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별로 렌더링된 객체가 크게 이격되어 전개되면 사용자는 각 층별 렌더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도 7의 경우 상층 렌더링에 의해 하층 렌더링이 가려져 하층 렌더링을 쉽게 확인하기 어려움).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한 층을 클릭할 수 있으며, 클릭한 층은 다른 색상으로 변하면서(도 9,11,13) 클릭한 층에 대한 LOD 단계가 LOD 3단계로 증가한다. 제어부(40)는 LOD 3단계에서 클릭한 층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도 10,12,14).
한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LOD 3단계에서, 클릭한 층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영역과, 클릭한 층에 구비된 각각의 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0 및 도 12는 렌더링 영역만 제공하고 있을 뿐 이미지 영역은 제공되지 않는다.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한 공간을 클릭할 수 있으며, 클릭한 공간은 다른 색상으로 변하면서(도 15 내지 도 17) 클릭한 공간에 대한 LOD 단계가 LOD 4단계로 증가한다. 제어부(40)는 LOD 4단계에서 클릭한 공간에 대한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을 앞서 표시한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대표 이미지 중 하나를 클릭할 수 있으며, 대표 이미지에 해당하는 공간에 대한 LOD 단계가 LOD 4단계로 증가할 수 있고 제어부(40)는 LOD 4단계에서 클릭한 공간에 대한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을 앞서 표시한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설명영역을 클릭할 수 있으며, 설명영역에 해당한 공간에 대한 LOD 단계가 LOD 5단계로 증가한다. 제어부(40)는 LOD 5단계에서 클릭한 공간을 확대한 상태로 렌더링하여 제공하며, 해당 공간에 대하여 위치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이드 이미지를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도 18).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가이드 이미지 중 하나를 클릭할 수 있으며, 가이드 이미지에 해당한 공간에 대한 LOD 단계가 LOD 6단계로 증가한다. 제어부(40)는 LOD 6단계에서 가이드 이미지에 해당하는 공간을 렌더링하여 공간 이미지로 제공하며, 공간 이미지 상에 앞서 LOD 5단계에서 표시한 가이드 이미지와 동일한 가이드 이미지가 공간 이미지 중 대응되는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도 19 내지 22).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가이드 이미지 중 하나를 클릭할 수 있으며, 가이드 이미지에 해당한 부분에 대한 LOD 단계가 LOD 7단계로 증가한다. 제어부(40)는 LOD 7단계에서 가이드 이미지에 해당하는 상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도 23).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8)

  1.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내부 객체를 추출하는 내부객체 추출부;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외부 객체를 추출하는 외피객체 추출부;
    상기 건물외부 객체 및 상기 건물내부 객체로부터 단계별 LOD 데이터를 생성하는 LOD 생성부;
    상기 추출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LOD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LOD 단계에 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더링된 객체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고, 상기 렌더링된 객체 이외의 객체가 클릭되면 LOD 단계를 감소시키며,
    LOD 0단계에서, 상기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고,
    LOD N단계부터 상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며, 각 층별로 상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며(N=1,2,3,...n, 정수),
    LOD N+1단계에서, 각 층별로 렌더링된 객체를 각 층별 높이보다 크게 이격시켜 렌더링하고,
    LOD N+2단계에서, 클릭된 층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영역과 클릭된 층에 구비된 각각의 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3단계에서 클릭된 공간에 대한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을 상기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LOD N+4단계에서, 클릭된 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영역과 클릭된 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하되,
    클릭된 공간에 대하여 위치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이드 이미지를 상기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5단계에서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공간 이미지를 제공하되,
    상기 공간 이미지 상에 가이드 이미지를 제공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 이미지 상에 제공된 가이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6단계에서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설명 이미지를 제공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
  8.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내부 객체 및 건물외부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건물외부 객체 및 상기 건물내부 객체로부터 단계별 LOD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LOD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LOD 단계에 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렌더링된 객체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고, 상기 렌더링된 객체 이외의 객체가 클릭되면 LOD 단계를 감소시키며,
    LOD 0단계에서, 상기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고,
    LOD N단계부터 상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며, 각 층별로 상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며(N=1,2,3,...n, 정수),
    LOD N+1단계에서, 각 층별로 렌더링된 객체를 각 층별 높이보다 크게 이격시켜 렌더링하고,
    LOD N+2단계에서, 클릭된 층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영역과 클릭된 층에 구비된 각각의 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80140302A 2017-11-14 2018-11-14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25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803 2017-11-14
KR20170151803 2017-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010A KR20190055010A (ko) 2019-05-22
KR102125683B1 true KR102125683B1 (ko) 2020-06-23

Family

ID=6668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02A KR102125683B1 (ko) 2017-11-14 2018-11-14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981B1 (ko) * 2023-05-24 2023-08-30 주식회사 엘에스엠케이 증강현실 기반의 시설물 점검 및 유지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705B1 (ko) * 2014-12-04 2015-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의 건물내부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9757B4 (de) 2004-02-28 2015-12-31 MTU Aero Engines AG Verfahren zum elektrochemischen Entschichten von Bauteilen, Verwendung des Verfahrens und Elektrode zum elektrochemischen Entschichten von Bauteil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705B1 (ko) * 2014-12-04 2015-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의 건물내부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981B1 (ko) * 2023-05-24 2023-08-30 주식회사 엘에스엠케이 증강현실 기반의 시설물 점검 및 유지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010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lmaki et al. Real-time hybrid virtuality for prevention of excavation related utility strikes
CN102047294B (zh) 对表示网格体的几何不规则网格数据的三维体成像的系统及方法
Germs et al. A multi-view VR interface for 3D GIS
Albourae et al. Architectural heritage visualization using interactive technologies
Santana et al. Multimodal location based services—semantic 3D city data as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Liu Three-dimensional visualized urban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KR102120680B1 (ko)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시스템
KR100915209B1 (ko) 엑스엠엘 기반의 입체 건물 입면 및 내부 자동 모델링 및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Zhu et al. Research and practice in three-dimensional city modeling
CN111080782A (zh) 基于实景三维地理信息系统的可视化系统
Al-Ansari et al. GIS applications for building 3D campus, utilities and implementation mapping aspects for university planning purposes
Bansal et al. Construction schedule review in GIS with a navigable 3D animation of project activities
Yu et al. A hybrid system of expanding 2D GIS into 3D space
Hou et al. 3D data visualization system of immersive underground laboratory
KR102125683B1 (ko)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Virtanen et al. Browser based 3D for the built environment
Mao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3D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smart city
Sani et al. Extraction and transformation of ifc data to citygml format
Han et al.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Indoor 3D Routing System.
Li et al. Modeling and visualiza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Robles-Ortega et al. Design of Topologically Structured Geo-database for Interactive Navigation and Exploration in 3D Web-Based Urban Information Systems.
Lu et al.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based on 3D GIS for park design
Van Maren et al. Integrating 3D-GIS and Virtual Realit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Karma VI system
Fu et al. 3D City Online Visualization and Cluster Architecture for Digital City
Yildiz et al. 3D MODELING OF THE ÇUKURSARAY (THE HOLLOW PALACE), ISTANBUL-TURKEY AND ITS APPLICATION FOR CAMPUS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