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503B1 -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503B1
KR102124503B1 KR1020180168434A KR20180168434A KR102124503B1 KR 102124503 B1 KR102124503 B1 KR 102124503B1 KR 1020180168434 A KR1020180168434 A KR 1020180168434A KR 20180168434 A KR20180168434 A KR 20180168434A KR 102124503 B1 KR102124503 B1 KR 102124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vulnerable
user terminal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민
한수연
조수연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럭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럭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럭시티
Priority to KR102018016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503B1/ko
Priority to US17/417,535 priority patent/US20220074760A1/en
Priority to PCT/KR2019/017382 priority patent/WO202013876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503B1/ko
Priority to US17/463,033 priority patent/US2022019642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5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shape and object relations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제 유저들의 관광에 대한 행동 패턴 및 관광 시의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취약계층의 관광 현황을 효율적으로 관제하고 이를 바탕으로 취약계층에 대한 관광 정보를 제공하거나, 행정 기관에 지역의 재설계 및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취약계층의 유저가 착용하고, 유저가 위치한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유저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센싱한 센싱 정보를 포함한 관제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에 송출하는 유저 단말; 유저 단말로부터 수집된 관제 정보를 가공하되, 취약계층 타입별로 각 취약계층이 일 영역을 관광 시 취약계층의 관광을 위한 안내 정보로 활용 가능하도록 가공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생성하여 취약계층별로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및 유저 단말의 관광 정보 제공 요청 신호를 수신 시, 정보 가공부에 의하여 생성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유저 단말에 제공하되, 유저 단말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 계정 별 취약계층의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계정에 대응되는 취약계층에 관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TOUR OF VULNERABLE SOCIAL GROUP BASED ON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장애인, 노약자 및 유아동반 가족 등 교통 및 시설 이용에 있어서의 취약계층에 대한 관광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취약계층의 유저가 소지한 단말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관광지에서의 유저의 행동 패턴 및 감정 정보를 관제하고, 관제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유저 및 시설의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유저에게 취약계층별로 유의미한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특정 지역에서의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물 개선 및 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길찾기, 맛집 정보, 숙박 업소 정보 등 사용자가 모르는 장소에 방문하여 방문지를 여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추출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는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특징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라는 점에 있다. 사용자가 주로 검색한 내용에 맞는 방문지에 대한 여행 상품 및 관광 상품을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쿼리에 매칭되는 방문지에 대한 여행 상품, 교통 정보 및 이용 가능한 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는 단순히 사용자의 쿼리에 대응되는 정보라는 점에서, 사용자가 노약자 등 취약계층인 경우, 해당 대상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맞춤화된 교통 정보 및 시설 이용 정보 등의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10-1899465호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사용자 주변의 여행지에서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게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10-2008-0080688호에서는 시각 장애인을 위하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이용 가능한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고려되는 사용자의 상황이 지극히 제한적이고,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보다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서 단편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어, 특히 장애인, 노약자, 유아동반부모 등 취약계층이 특정 방문지를 방문 시, 방문지에 대한 여행 전 및 여행 중에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해 여전히 취약계층이 특정한 곳을 방문하는 여행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매우 어렵고, 해당 취약계층을 위한 여행 시의 안전한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해당 서비스의 실용성이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취약계층이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로 어떤 관광 행동 패턴을 보이는지, 예를 들어 어떤 시설에 대한 이용이 자주 발생하는지, 어떤 이동 경로를 선호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유저에게 유의미한 관광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특히 행정 기관 등은 취약계층에 대한 관광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지역의 시설물 등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취약계층에 대한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실제 유저들의 관광에 대한 행동 패턴 및 관광 시의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취약계층의 관광 현황을 효율적으로 관제하여, 이를 바탕으로 관광 가이드 정보를 유저에게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다른 서비스보다 취약계층에게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유저들의 해당 지역에서의 실제 관광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특수 시설이 필요한 취약계층의 관광에 있어서 해당 시설에 대한 효율적인 이용 및 접근이 가능하도록 지역의 재설계 및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취약계층의 유저가 착용하고, 유저가 위치한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유저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센싱한 센싱 정보를 포함한 관제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에 송출하는 유저 단말;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수집된 관제 정보를 가공하되, 취약계층 타입별로 각 취약계층이 일 영역을 관광 시 취약계층의 관광을 위한 안내 정보로 활용 가능하도록 가공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생성하여 취약계층별로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및 유저 단말의 관광 정보 제공 요청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정보 가공부에 의하여 생성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되, 유저 단말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 계정 별 취약계층의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계정에 대응되는 취약계층에 관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저 단말은, 유저 단말에 탑재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수집이 가능한 센서 및 타이머로부터 측정된 유저가 위치한 영역의 위치 정보 각각에 대한 체류 시간 정보, 위치 정보의 변동값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가 특정 영역에 체류한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유저의 기설정된 주기 동안의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관제 정보로 수집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는, 다수의 유저 단말에 의하여 수집된 관제 정보들 중, 일 영역에 대한 체류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한 선호 체류 장소 정보를 취약계층별로 수집하여 취약계층별 선호 체류 장소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다수의 유저 단말에 의하여 수집된 위치 정보들 중, 기설정된 주기 동안의 이동 경로 정보의 일치율에 의하여 도출된 선호 이동 경로 정보를 취약계층별로 수집하여 취약계층별 선호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저 단말은, 유저 단말의 촬영 장치가 촬영한 유저의 FOV(Field Of View)에 대한 촬영 이미지들 중, 상기 FOV에 포함된 객체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촬영 이미지인 제1 이미지를 관제 정보로서 수집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는, 다수의 유저 단말로부터 수집된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기 저장된 이용 시설 이미지와의 비교 프로세스를 통해 식별하여 객체에 대응되는 이용 시설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이용 시설 정보들 중 도출된 횟수 순으로 기설정된 제1 임계 순서 이내의 이용 시설 정보들을 선호 시설 정보로 생성한 뒤, 생성된 선호 시설 정보를 취약계층별로 분류함으로써 취약계층별 선호 시설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제공부는, 일 지역 내에 설치된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 정보를 이용하여, 일 지역 내에 구비된 시설 정보들 중, 상기 선호 시설 정보에 포함된 시설 정보를 이점 정보로서, 상기 선호 시설 정보에 미포함된 시설 정보를 취약 정보로서 분류하여 행정 기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저 단말은, 유저가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유저의 뇌파를 측정 가능한 뇌파분석기와 연동되어 있어 유저 단말에 탑재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수집이 가능한 센서 및 타이머와 연동되어 유저의 위치 및 시점에 따른 뇌파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는, 유저 단말로부터 수집된 유저의 위치, 시점 및 뇌파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의 위치 및 시점에서의 유저의 감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별 감정 정보를 생성하고, 다수의 유저 단말로부터 수집된 유저의 상황별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별 시설에 대한 선호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유저의 상황별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별로 시설에 대한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으로 기설정된 제2 임계 순서 이내의 시설을 이점 정보로서, 선호도가 낮은 순으로 기설정된 제3 임계 순서 이내의 시설을 취약 정보로서 분류하여 행정 기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유저의 상황별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별로 시설에 대한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으로 기설정된 제4 임계 순서 이내의 시설을 선호 시설 정보로서 각 취약계층에 매칭되는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 GIS 센서, 타이머 및 별도의 뇌파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취약계층이 직접 지역을 방문하여 관광을 수행 시 수집되는 정보로서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관광 정보를 재가공하여 유저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에 의하면, 유저는 다른 취약계층의 유저들이 실제 해당 관광 시 이용할 수 있고, 이용이 용이하고 효과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관광을 수행하게 되기 때문에, 단순한 정보 제공에 비해서 매우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받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저의 실제 행동 패턴 및 유저가 해당 장소에서 느끼는 감정 정보를 기반으로 관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행정 기관 등에 참고 정보로 제공하기 때문에, 특수 시설이 필요한 취약계층에 대한 관광 서비스에 있어서 행정 기관이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 등을 지역에 맞춰 개선하거나, 도시 계획을 재설계하도록 하여, 취약계층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관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제 정보가 관리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제 정보가 관리되는 화면의 예.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저 단말이 촬영한 이미지가 활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행정 기관에 제공되는 정보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황별 감정 정보가 활용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함)의 구성 블록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유저 단말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것으로서, 각 단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기능에 따라서 별도의 단말로 구성되거나 정보 처리 단말, 정보 저장 단말 등 데이터 처리 기능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량에 따라서 하나의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은 적어도 유저 단말(20) 및 관제 서버(10)로 구성되며, 관제 서버(10)는 정보 관리부(11) 및 정보 제공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관리 및 저장되는 모든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3)에서 관리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유저 단말(20)은 취약계층의 유저가 착용하고, 유저가 위치한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유저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센싱한 센싱 정보를 포함한 관제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에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보 제공부(12)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제공받는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보의 제공은, 유저 단말(20)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접속 가능한 웹페이지를 통해 유저 단말(20)의 출력 수단에 정보가 출력되고 유저 단말(20)의 입력 수단에 대한 유저 계정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 유저 단말(20)에는 특정 유저 인터페이스가 실행/출력될 수 있다.
유저 단말(20)은 그 착용 개념으로도 정의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착용 또는 소지 가능한 단말로서, 스마트폰, 미아방지 목걸이,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웨어러블 카메라가 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지역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등의 단말이 한정된 기능 수행을 위해 유저 단말(2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유저 단말(20)은 기능 수행을 위하여,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수집이 가능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등의 위치 정보 수집을 위한 센서 및 시간의 측정이 가능한 타이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20)은 카메라 등 유저가 소지 또는 착용 시 유저의 전방 또는 인근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관제 정보는, 기본적으로 유저가 위치한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상술한 센서 장치들을 이용하여 수집된 유저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정보에 대한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 유저가 존재한 시간, 특정 위치에 대해서 유저 단말(20)이 촬영한 이미지 등이 독립적 또는 결합적으로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관제 정보가 외부에 송출됨은 정보 관리부(11)에 유저 단말(20)과 관제 서버(1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서 관제 정보가 전송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정보 관리부(11)는, 유저 단말(20)로부터 수집된 관제 정보를 가공하되, 취약계층 타입별로 각 취약계층이 일 영역을 관광 시 취약계층의 관광을 위한 안내 정보로 활용 가능하도록 가공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생성하여 취약계층별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취약계층 관광 정보는, 기본적으로 취약계층별로 해당 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안내 시설 또는 취약계층에 따라서 안내받아야 할 이동 경로 상의 특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는 취약계층별로 관리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휠체어 사용, 정신 지체, 시각 장애, 청각 장애, 노인, 유아 동반 등 취약계층으로 취급되는 다양한 타입이 취약계층으로 정의되며 해당 계층별로 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취약계층은 상술한 분류 이외에, 정신 지체의 종류 및 정도 등의 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 중/소분류의 개념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취약계층 관광 정보는 유저 단말(20)을 통한 유저의 입력에 따라서 출력되는 정보이다. 본 발명에서 유저 단말(20)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기능의 개념은, 유저 단말의 터치 스크린, 버튼 등을 통해 유저가 특정 정보에 대한 입력 및 특정 메뉴 또는 아이콘 등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행 시 해당 입력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서 입력수단은 시각적 입력수단, 음성 입력수단, 물리적 입력수단 등 다양한 입력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취약계층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정보의 출력 행위 역시 입력 개념과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다. 즉 시각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시각적 출력,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한 음성 출력, 햅틱 출력 수단 또는 진동 출력 수단을 통한 촉각적(물리적) 출력 등이 상술한 취약계층에 따라서 다르게 기능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출력 행위는 본 발명에서 정보의 제공 행위와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취약계층 관광 정보는 취약계층 타입별로 해당 방문지에서 이용 가능한 교통 정보, 취약계층 타입별로 이용 가능한 인력 및 편의시설 정보, 취약계층 타입별로 해당 방문지를 향하거나 방문지 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경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경우, 해당 방문지에서 교통 수단들 중 휠체어 수용 공간이 존재하는 교통 수단, 휠체어 이동이 가능한 경사로가 포함된 편의시설, 휠체어 대여 시설, 이동 경로 등이 선별되어 취약계층 관광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교통 정보는 방문지 내에서 이용 가능하거나 거주지에서 방문지까지 이용 가능한 자동차, 휠체어, 유모차 등 취약계층이 탑승 및/또는 이용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해당 교통 수단의 이용 장소, 이용 시간, 이용 방법 등에 대한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력 정보는, 해당 방문지 내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도움 또는 사고 발생 시 이에 대한 대처가 가능한 인력 정보로서, 수화 통역사, 장애 안내 인력 등에 대한 이용 장소, 이용 시간, 이용 방법에 대한 정보가 그 예이다.
한편 편의시설은, 방문지 내에서 유저가 이용 가능한 모든 시설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식당, 숙박 시설, 레저 시설(액티비티 시설), 정보 안내 시설, 경찰서 등의 행정 시설, 화장실, 엘리베이터 등의 이동 시설, 출입문(자동문 또는 회전문 등), 휠체어 이송 시설, 수유실, 신호등 등 취약계층이 방문지 방문 시 안전 또는 편의를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시설을 포함한다. 즉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는, 해당 편의시설의 위치, 이용 시간, 이용 방법 등에 대한 모든 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이동 경로 정보는, 도보 또는 교통 수단을 통해서 유저가 이동할 수 있는 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동 경로 정보는 상술한 다른 정보와 마찬가지로, 각 경로의 장소 정보(바람직하게는 각 경로의 GPS 정보 또는 거리, 경로의 목적지 및 분기 점 등 경로를 설정 또는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든 정보), 이용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미리 방문지별로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유저의 위치 및 취약계층에 따라서 상술한 예와 같이 자동으로 구성되어 취약계층 관광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더욱 취약계층에게 유의미한 정보로 가공하여 제공하기 위해서, 정보 관리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수집된 관제 정보를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13)에 취약계층 관광 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취약계층별로 해당 정보를 구분하여 관리하도록 한다. 물론, 모든 관광 정보는 취약계층에 따라서 둘 이상의 취약계층에 따라서 중복되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정보 제공부(12)는, 정보 가공부(11)에 의하여 생성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20)에 제공하되, 유저 단말(20)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 계정 별 취약계층의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계정에 대응되는 취약계층에 관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취약계층별로 관리되는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정보 관리부(11) 또는 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유저 계정에 따라서 식별된 유저의 취약계층 타입 정보에 따라서 선별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수행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설명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유저 단말(20)에 적어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수집이 가능한 센서 및 타이머가 포함되는 경우, 유저 단말(20)은 유저가 위치한 영역의 위치 정보 각각에 대한 체류 시간 정보, 위치 정보의 변동값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가 특정 영역에 체류한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유저의 기설정된 주기 동안의 이동 경로 정보를 관제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위치 정보 각각에 대한 체류 시간 정보가 관제 정보로 수집되면, 유저가 특정 위치에서 얼마나 머물렀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유저가 해당 위치에 설치된 시설 및 풍경 등에 대해서 선호도를 갖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의 시간별 변동값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기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일) 동안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정보 관리부(11)는, 각 유저 단말(20)들로부터 상기의 관제 정보를 수집하게 되며, 다수의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수집된 관제 정보들 중, 일 영역에 대한 체류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한 선호 체류 장소 정보를 취약계층별로 수집하여 취약계층별 선호 체류 장소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한다.
즉, 다수의 유저 단말(20)이 유사하게 오래 체류한 위치의 경우, 각 취약계층별로 이를 수집하면 취약계층별로 해당 장소에 오래 머무르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장소를 취약계층별로 선호 체류 장소로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수집된 위치 정보들 중, 기설정된 주기 동안의 이동 경로 정보의 일치율에 의하여 도출된 선호 이동 경로 정보를 취약계층별로 수집하여 취약계층별 선호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일정한 시간 동안 유저 단말(20)이 이동한 경로가 중복되는 경우, 이를 취약계층별로 수집하게 되면, 취약계층별로 중복되는 이동 경로가 도출될 수 있고, 이러한 이동 경로는 특정 취약계층에 대해서 이동이 용이하거나 유저들이 이동하기 원하는 경로로서 정의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취약계층별 선호 이동 경로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선호 체류 장소 및 선호 이동 경로는 단순한 정보 제공 시에 의미가 없는, 즉 쓸모 없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유저들이 실제로 많이 이용하고 체류하는 장소가 해당 취약계층에게 유의미한 정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제 정보가 관리되는 화면의 예이다. 해당 화면은 관제 서버(10)의 관리 단말(미도시) 등에 출력되는 화면으로서, 관광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관리자 계정에 의하여 접근 가능한 인터페이스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해당 화면은 취약계층별로 정의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상술한 인터페이스에서 취약계층을 전환 시 서로 다른 정보가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맵(200)에 있어서, 유저 단말(20)의 위치 정보의 변동값을 이용하여, 특정 장소에 유저가 체류한 시간에 대한 정보(203, 204, 205, 206)가 출력되어 다수의 유저가 어느 장소에 오래 체류했는지 그 절대값 및 상대값을 확인할 수 있어, 선호 체류 장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20)의 위치 정보의 변동값을 이용하여, 유주들이 이동 경로(201, 202)를 파악하고, 이를 다수의 유저에 대해서 중첩시켜, 다수의 유저가 이동한 이동 경로(202) 및 소수의 유저가 이동한 이동 경로(201)로 구분하고, 이를 통해 선호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유저 단말(20)에 적어도 유저의 FOV(Field Of View)를 촬영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유저가 바라보는 시선과 동일한 방향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의 카메라 등이 장착된 경우, 유저 단말(20)은 유저 단말(20)의 촬영 장치가 촬영한 유저의 FOV에 대한 촬영 이미지들 중, FOV에 포함된 객체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촬영 이미지인 제1 이미지를 관제 정보로서 수집한다.
상술한 기능 수행을 위해서 유저 단말(20)에는 이미지로부터 픽셀 등의 분석을 통한 경계값 등의 도출 프로세스 및 이를 이용한 객체의 식별을 위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유저 단말(20)은 이미지를 연속적/주기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이때 촬영 이미지에서 객체를 각각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가 특정 시간, 즉 제1 임계 시간(예를 들어 5분)을 초과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정의하여 관제 정보로서 수집하게 된다. 이때 제1 이미지는 제1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동안 촬영된 모든 이미지, 특정 시간(최초, 중간 또는 최후의 시점)에 대응되는 촬영 이미지가 될 수 있거나, 해당 객체만의 이미지, 즉 촬영 이미지로부터 객체에 대한 이미지만을 분리한 이미지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정보 관리부(11)는, 각 유저 단말(20)들로부터 상기의 관제 정보를 수집하게 되며, 다수의 유저 단말(20)로부터 수집된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기 저장된 이용 시설 이미지와의 비교 프로세스를 통해 식별하여 객체에 대응되는 이용 시설 정보를 도출한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베이스(13)에는 이용 시설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각 이용 시설별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용 시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취약계층이 이용 가능한 특정 시설, 장비 등 취약계층을 위한 모든 대소형의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정보 관리부(11)는 도출된 이용 시설 정보들 중 도출된 횟수 순으로 기설정된 제1 임계 순서(예를 들어 5개) 이내의 이용 시설 정보들을 선호 시설 정보로 생성한 뒤, 생성된 선호 시설 정보를 취약계층별로 분류함으로써 취약계층별 선호 시설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각 취약계층별로 제1 임계 순서(예를 들어 5개)의 이용 시설 정보가 해당 지역에서의 선호 시설 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예가 도 4 및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저 단말이 촬영한 이미지가 활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먼저 참조하면, 촬영 이미지(210)에는 다수의 객체(212, 211)가 포함되어 있는데, 물론 촬영 이미지(210)는 일 유저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때 특정 객체(211)가 다른 객체에 비하여 촬영 이미지(210)에 포함되는 시간이 오래되는 경우 이는 해당 유저가 해당 객체를 유심히 바라보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단말(20)은 상술한 예에 있어서 해당 객체만의 이미지, 즉 촬영 이미지로부터 객체에 대한 이미지만을 분리한 이미지(2110)를 제1 이미지(2111)로 정의하고, 이를 포함하는 관제 정보를 정보 관리부(11)에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예에 있어서 관제 정보에는 해당 제1 이미지(2111)가 측정된 시간 및 위치 정보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역시 촬영 이미지(220)가 다수개 측정되며,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기능 수행에 따라서, 도 4와 다른 정보가 생성된다. 즉, 촬영 이미지의 경우 해당 이미지에 대한 정보에 GIS 정보, 즉 유저 단말(20)의 위치 정보와 타이머에서 측정한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미지,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의 이동 경로 및 시간(이동 시간, 시점, 체류 시간 등을 포함)이 파악될 수 있고, 해당 이동 경로 상에서 유저가 바라보고 있는 객체에 대한 정보 등을 관제 정보(221)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관리부(11)는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코스평가 정보(222), 즉 제공되는 취약계층에 대한 편의 시설 등에 대한 유저들의 사용률 및 선호 정보를 파악하여, 유저가 어느 시설 등을 주로 이용하거나 관심있게 본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제1 및 제2 실시예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새롭고 다양한 기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이렇게 제공되는 정보는 도 2의 흐름과 같이 도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제 정보가 관리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20), 미아 방지 목걸이(21), 착용 가능한 카메라(22), 후술하는 뇌파분석기(23) 등에서 수집되는 관제 정보가 정보 관리부(11)에 전송된다.
이때 정보 관리부(11)는 상술한 기능 수행에 따라서 관제 정보를 가공하여 취약계층 관광 정보(110)를 생성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할 수 있으며, 취약계층 관광 정보(110)에는 예를 들어 상술한 선호 체류 장소(111), 선호 이동 경로(112) 및 선호 시설(이용 시설, 113)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상술한 정보 제공부(12)에 의하여, 이러한 정보들은 취약계층별로 노인(121), 시각 장애인(122) 등 취약계층(120)에게 제공될 것이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생성된 취약계층 관광 정보는 행정 기관 단말(30)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부(12)는, 일 지역 내에 설치된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 정보를 이용하여, 일 지역 내에 구비된 시설 정보들 중, 상기의 선호 시설 정보에 포함된 시설 정보를 이점 정보로서, 상기의 선호 시설 정보에 미포함된 시설 정보를 취약 정보로서 분류하여 행정 기관 단말(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행정 기관은 취약계층별 유저들이 주로 방문하는 시설에 대한 정보를 상술한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들 중, 유저가 주로 이용하는 시설을 이점 정보로서 제공받아서 해당 이점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즉 이동 경로 등을 개선하여 해당 시설을 더욱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선호하지 않는 시설 정보를 취약 정보로서 이용하여, 해당 시설에 대한 개선 및 재배치 계획 등을 수립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행정 기관이 유저들의 실제 이용 패턴에 대응하여 취약계층에 대한 관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유도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행정 기관에 제공되는 정보의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의 취약계층에 대해서, 특정 시설에 대한 선호 정보들을 파악하게 되면, 그 순서가 도출될 것이고, 선호 시설 정보(231)에 포함되는 시설들에 대한 정보를 이점 정보로서, 가장 낮은 순위로서 선호 시설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시설(232)등에 대한 정보를 취약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20)은 예를 들어 뇌파분석기와 연동될 수 있다. 뇌파분석기는 유저가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일반적인 디바이스를 아니나, 예를 들어 지역 방문 시 유저의 선택에 따라서 착용 가능하도록 행정 기관에서 제공하여 유저가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단말(20)에 상술한 기능 수행을 위해서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에는 뇌파분석기와 연동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뇌파분석기를 착용한 후 공간을 경험 시, 인체의 뇌파를 통해서 인체가 느끼는 감정을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행복감의 정도, 긍정적 느낌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유저 단말(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뇌파분석기와 연동되어 있어 유저 단말(20)에 탑재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수집이 가능한 센서 및 타이머와 연동되어 유저의 위치 및 시점에 따른 뇌파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되는 뇌파 정보는 예를 들어 뇌파 그 자체에 대한 데이터 또는 감정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정보 관리부(11)는, 유저 단말(20)로부터 수집된 유저의 위치, 시점 및 뇌파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의 위치 및 시점에서의 유저의 감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별 감정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다수의 유저 단말(20)로부터 수집된 유저의 상황별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별 시설에 대한 선호 정보를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유사한 프로세스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제공부(12)는 상술한 흐름과 유사하게, 유저의 상황별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별로 시설에 대한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으로 기설정된 제4 임계 순서(예를 들어 5) 이내의 시설을 선호 시설 정보로서 각 취약계층에 매칭되는 유저 단말(20)에 전송하여, 이용 패턴뿐 아니라 감정 패턴까지 이용하여 더욱 정확하게 추천 가능한 관광 정보를 유저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행정 기관 단말(30)과의 기능 흐름과 유사하게, 정보 제공부(12)는, 유저의 상황별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별로 시설에 대한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으로 기설정된 제2 임계 순서(예를 들어 3) 이내의 시설을 이점 정보로서, 선호도가 낮은 순으로 기설정된 제3 임계 순서(예를 들어 4) 이내의 시설을 취약 정보로서 분류하여 행정 기관 단말(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황별 감정 정보가 활용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뇌파분석기(23)에서 생성된 뇌파 정보(감정 정보)가 유저 단말(20)에 전송되면, 유저 단말(20)에서는 이를 유저 단말(20)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정보와 결합하여 정보 관리부(11)에 전송한다.
정보 관리부(11)는 이를 이용하여 상황별 감정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여, 다수의 유저 단말(20)로부터 이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240)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별 시설에 대한 선호 시설(250)에 대한 정보를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유사한 프로세스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취약계층의 유저가 착용하고, 유저가 위치한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유저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센싱한 센싱 정보를 포함한 관제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에 송출하는 유저 단말;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수집된 관제 정보를 가공하되, 취약계층 타입별로 각 취약계층이 일 영역을 관광 시 취약계층의 관광을 위한 안내 정보로 활용 가능하도록 가공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생성하여 취약계층별로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및
    유저 단말의 관광 정보 제공 요청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정보 관리부에 의하여 생성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되, 유저 단말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 계정 별 취약계층의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계정에 대응되는 취약계층에 관한 취약계층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저 단말은,
    유저 단말에 탑재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수집이 가능한 센서 및 타이머로부터 측정된 유저가 위치한 영역의 위치 정보 각각에 대한 체류 시간 정보, 위치 정보의 변동값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가 특정 영역에 체류한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유저의 기설정된 주기 동안의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관제 정보로 수집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는,
    다수의 유저 단말에 의하여 수집된 관제 정보들 중, 일 영역에 대한 체류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한 선호 체류 장소 정보를 취약계층별로 수집하여 취약계층별 선호 체류 장소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다수의 유저 단말에 의하여 수집된 위치 정보들 중, 기설정된 주기 동안의 이동 경로 정보의 일치율에 의하여 도출된 선호 이동 경로 정보를 취약계층별로 수집하여 취약계층별 선호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유저 단말은,
    유저가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유저의 뇌파를 측정 가능한 뇌파분석기와 연동되어 있어 유저 단말에 탑재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수집이 가능한 센서 및 타이머와 연동되어 유저의 위치 및 시점에 따른 뇌파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는,
    유저 단말로부터 수집된 유저의 위치, 시점 및 뇌파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의 위치 및 시점에서의 유저의 감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별 감정 정보를 생성하고, 다수의 유저 단말로부터 수집된 유저의 상황별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별 시설에 대한 선호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유저의 상황별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별로 시설에 대한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으로 기설정된 제2 임계 순서 이내의 시설을 이점 정보로서, 선호도가 낮은 순으로 기설정된 제3 임계 순서 이내의 시설을 취약정보로서 분류하여 행정 기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은,
    유저 단말의 촬영 장치가 촬영한 유저의 FOV(Field Of View)에 대한 촬영 이미지들 중, 상기 FOV에 포함된 객체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촬영 이미지인 제1 이미지를 상기 관제 정보로서 수집하고,
    상기 정보 관리부는,
    다수의 유저 단말로부터 수집된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기 저장된 이용 시설 이미지와의 비교 프로세스를 통해 식별하여 객체에 대응되는 이용 시설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이용 시설 정보들 중 도출된 횟수 순으로 기설정된 제1 임계 순서 이내의 이용 시설 정보들을 선호 시설 정보로 생성한 뒤, 생성된 선호 시설 정보를 취약계층별로 분류함으로써 취약계층별 선호 시설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일 지역 내에 설치된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 정보를 이용하여, 일 지역 내에 구비된 시설 정보들 중, 상기 선호 시설 정보에 포함된 시설 정보를 이점 정보로서, 상기 선호 시설 정보에 미포함된 시설 정보를 취약 정보로서 분류하여 행정 기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유저의 상황별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별로 시설에 대한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도가 높은 순으로 기설정된 제4 임계 순서 이내의 시설을 선호 시설 정보로서 각 취약계층에 매칭되는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
KR1020180168434A 2018-12-10 2018-12-24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 KR102124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434A KR102124503B1 (ko) 2018-12-24 2018-12-24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
US17/417,535 US20220074760A1 (en) 2018-12-10 2019-12-10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 information using universal map
PCT/KR2019/017382 WO2020138765A1 (ko) 2018-12-24 2019-12-10 유니버설 지도를 이용한 유저별 지리 정보 및 분석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7/463,033 US20220196428A1 (en) 2018-12-10 2021-08-31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 information using universal m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434A KR102124503B1 (ko) 2018-12-24 2018-12-24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503B1 true KR102124503B1 (ko) 2020-06-19

Family

ID=7113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434A KR102124503B1 (ko) 2018-12-10 2018-12-24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5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514A (ko) * 2005-06-23 2006-12-28 엄현덕 전자카드 발행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50137307A (ko) * 2014-05-29 2015-12-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50143971A (ko) * 2014-06-13 2015-12-24 (주)달팽이 위치 기반의 여행용 빅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514A (ko) * 2005-06-23 2006-12-28 엄현덕 전자카드 발행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50137307A (ko) * 2014-05-29 2015-12-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50143971A (ko) * 2014-06-13 2015-12-24 (주)달팽이 위치 기반의 여행용 빅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Navigating visually impaired travelers in a large train station using smartphone and bluetooth low energy
Sobnath et al. Smart cities to improve mo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visually impaired
Tong et al. The principles of pedestrian route choice
US2015037940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based on environmental data
Ilarri et al. A review of the role of sensors in mobile context-aware recommendation systems
Fang et al. What about people in pedestrian navigation?
Lee et al. Automatic physical activity and in‐vehicle status classification based on GPS and accelerometer data: A hierarchical classification approach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Kamble et al. Bus tracking and monitoring using RFID
Yang et al. People-centric service for mHealth of wheelchair users in smart cities
Yang et al. Cooperative traffic signal assistance system for non-motorized users and disabilities empowered by computer vision and edge artificial intelligence
Kahraman et al. An intelligent indoor guidance and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EP36373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ragopoulou et al. Classification of movement data concerning user's activity recognition via mobile phones
Huang et al. Context modeling and processing in Location Based Services: researc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Kotte et al. Concept of an enhanced V2X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with a cost function–based pedestrian model
Kishore et al. CENSE: A cognitive navigation system for people with special needs
Diou et al. A methodology for obtaining objective measurements of population obesogenic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
Detjen et al. An emergent design framework for accessible and inclusive future mobility
KR102124503B1 (ko) 유저 단말 기반의 취약계층 관광 관제 시스템
US106068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135315B1 (ko) IoT 기반의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Lyu et al. Technological devices to help older people beyond the home: an inventory and assessment focusing on the neighborhood and city scales
US11047705B2 (en) Predictive navigation system
Padmanaban et al. Increasing the density of local landmarks in wayfinding instructions for the visually impaired
Han Indoor Localization for Personalized Ambient Assisted Living of Multiple Users in Multi-Floor Smart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