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256B1 - 이동식 열전발전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열전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256B1
KR102124256B1 KR1020180120118A KR20180120118A KR102124256B1 KR 102124256 B1 KR102124256 B1 KR 102124256B1 KR 1020180120118 A KR1020180120118 A KR 1020180120118A KR 20180120118 A KR20180120118 A KR 20180120118A KR 102124256 B1 KR102124256 B1 KR 102124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transfer
thermoelectric element
thermoelectric
transf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364A (ko
Inventor
김철호
정인교
이석현
서준일
이상석
Original Assignee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2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35/3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H01L35/32
    • H01L35/3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열전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열전발전기는 열원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서 전달하도록 구현되는 열전달부, 열전소자의 저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전소자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방출시키도록 구현되는 방열부와 열전달부, 방열부와 연결되어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현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열전발전기{Movable thermoelectric generator}
본 발명은 이동식 열전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용 전용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서 이동성을 가지고 전력원으로 활용가능한 이동식 열전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 전기 에너지 생산 방식에 반한 새로운 기술적 접근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발전 방식이 두 상태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는 열전 방식(thermoelectric generation)이다. 열전 발전은 동력 생산을 위해 인위적으로 열을 만드는 형태의 발전이 아니라, 열에서 최종 소비 에너지 형태인 전기를 만드는 직접 변환 기술이다.
열전 기술은 우리로 하여금 생활 주위 곳곳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온도 차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줄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열전(thermoelectric)이란, 열과 전기 사이의 에너지 변환을 의미하며 열전변환소자(또는 열전 소자)의 양쪽에 온도 차이가 있을 때 열의 흐름에 의해 직접 전기가 발생하거나 반대로 열전변환소자에 전기를 흘리면 소자의 양쪽에서 온도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고 전자의 경우를 열전 발전, 후자의 경우를 열전 냉각이라고 한다.
열전 발전의 경우, 소음이나 진동이 없으며 기계적 접촉으로 인한 부품 마멸이 없다는 점도 장점이다. 이로 인해 시스템의 수명이 길고 신뢰성이 높다. 반면 효율이 기존 방법에 비해 낮다는 점과 시스템 가격이 높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열전 발전 효율을 높이고, 저렴하게 열전 발전이 가능한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열전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 발전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이동식 열전발전기는 열원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서 전달하도록 구현되는 열전달부, 열전소자의 저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전소자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방출시키도록 구현되는 방열부와 상기 열전달부, 상기 방열부와 연결되어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현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달부는 제1 열전달부와 제2 열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전달부는 상기 열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받는 부분으로서 상기 열원과 직접적으로 마주보고, 상기 제2 열전달부는 상기 제1 열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열을 열전 소자의 고온부와 접촉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가능한 열전 발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 발전 효율을 높이고, 저렴하게 열전 발전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열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열판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생산 안정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열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열전 현상을 기반으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된다.
열전 현상은 열과 전기 사이의 에너지 변환 현상으로, 가역이 가능하다. 즉, 열전 현상은 전기를 기반으로 온도 차이를 만들 수 있고, 반대로 온도 차이를 기반으로 전기를 만들 수도 있다.
변환 소자의 양단에 온도 차이가 있을 때 소자 내부에 전하가 이동함으로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은 제벡(Seeback)효과라고 하고 이러한 제벡 효과를 기반으로 열전 현상이 발생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열전 발전은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 양단에 온도차가 있을 때 기전력이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열전 발전은 회수 가치가 없다고 생각되는 150℃ 이하의 열에서도 가능하고, 산업 폐열 등을 전기 에너지로 회수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의 일환으로 방출되는 열을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재활용하는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열전 발전기는 1) 동적으로 움직이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소음이 없고, 2) 열을 바로 전기로 바꾸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비가 거의 필요 없기 때문에 저효율의 불리한 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 현상을 이용한 제품들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IDTechEX에 따르면 열전에너지 하베스트 시장은 2012년 3,168만 달러에서 2022년에 7억 4,600만 달러로 연평균 37% 성장할 전망이다. 세계 유명 자동차 회사들은 자동차에 폐열을 열전소자를 이용해 전기로 바꾸고, 다시 엔진의 보조 전력으로 사용하거나 차량시트 냉난방 등에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해 자동차 연료 효율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Flame Stower사는 제백효과를 이용한 열전변환소자를 적용하여 USB 충전기를 개발하였다. 출력은 2.5W이다. BioLite사의 CampStove제품은 나무연료로 스토브/취사하면서 동시에 핸드폰 등 소형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연속출력 2W이다.
열전 현상을 이용하는 소형 이동식 열전발전기는 상용 전용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몽골과 아프리카 같은 지역의 유목민들은 난방용 열원을 이용하여 발전하면 주거지의 작은 조명과 라디오 등의 통신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캠핑, 레저 등의 열기가 확산되고 있고, 이동식 모바일기기의 대중화로 야외에서 휴대용 전원을 필요로 하는 장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동용 보조전원으로 휴대용 배터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용량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형 이동식 열전 발전기는 캠핑 등의 야외활동시에 모바일 기기의 보조 전원으로 적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열전 발전기의 구조가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열전 발전기는 열전달부(200), 방열부(240), 열전 소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부(200)는 열원(예를 들어, 가스버너, 토치)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서 전달하는 구조일 수 있다. 열전달부(200)는 열전 소자(220)의 고온부와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열전달부(200)는 집열판 구조로서 열을 모아서 열전 소자(220)의 고온부에 전달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방열부(240)는 열전 소자(220)의 저온부와 연결되어 열전 소자(220)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열원을 사용하여 열전달부(200)에 열을 가하면, 열이 열전 소자(220)의 고온부(hot side)에 도달하게 된다. 열전 소자(220)의 발전을 위해서는 고온부와 저온부의 온도차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방열부는 열의 방출을 원활하게 하도록 히트 파이프가 장착된 냉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 소자(220)는 열전달부(200), 방열부(240)와 연결되어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열전 소자(220)의 고온부와 저온부와의 온도 차이를 기반으로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 소자(220)의 용량은 대략 180도 온도차에서 출력 5W급 두 개를 사용하여 10W급일 수 있다.
전력 관리부는 생성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전력 관리부는 온도차에 따른 열전 소자의 출력 전압이 변화되므로 열전 발전기의 출력을 표준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가 열전 소자(220)의 고온부와 저온부에 설치되어 온도차에 따른 출력을 측정할 수 있고, 배터리를 충전하여 필요시에 전원 공급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열판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열원에서 전달되는 열을 모아서 열전 소자의 고온부에 전달하기 위한 집열판 구조가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집열판 구조는 제1 열전달부(310)와 제2 열전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전달부(310)는 열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받는 부분으로서 열원과 직접적으로 마주보고 있을 수 있다. 제1 열전달부(310)는 열원접촉층(303), 제1 열전달축(306) 및 단열구조(309)로 구현될 수 있다.
열원접촉층(303)은 열원과 직접적으로 마주보고 만나는 층으로서 열원의 형태와 넓이 등을 고려하여 모양이 결정될 수 있다. 열원에서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받기 위해 열원의 형상을 고려하여 해당 층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열원이 가스레인지인 경우 가스레인지의 화구를 고려한 화구보다 약간 넓은 크기로 원 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전달축(306)은 열원접촉층(303)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제2 열 전달부(320)로 전달하기 위한 축 구조일 수 있다. 제1 열전달축(306)의 하단은 열원접촉층(303)과 만나고, 제1 열전달축(306)의 상단은 제2 연전달부(320)의 제2 열전달축(325)과 이어질 수 있다.
제1 열전달축(306)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1 열전달축(306)의 상단으로 갈수록 좁은 면적에 열이 모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열의 전달을 빠르게 하되, 제1 열전달축(306)의 면적은 최소로 하여 제1 열전달축(306)에서의 열의 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다.
단열구조(309)는 제1 열전달축(306)에서 발생되는 열의 외부로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단열구조는 제1 열전달축(306)의 모양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제2 열전달부(320)는 제1 열전달부(310)를 통해 전달된 열을 열전 소자의 고온부와 접촉시키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제2 열전달부(320)는 제2 열전달축(320)과 제3 열전달축(335) 및 복수의 하위 열전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전달축(320)은 제1 열전달축(306)과 만나는 동일한 방향의 전달축일 수 있고, 제3 열전달축(335)은 열전소자의 고온부로 열을 전달하는 복수의 하위 열전달층의 중심을 통과하는 열전달축일 수 있다.
제2 열전달축(320)은 제1 열전달축(306)을 통해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열전달축(320)은 제1 열달축(306)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열전달축(320)의 하단에는 제1 열전달축(306)의 상단이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홈을 통해 많은 면적으로 열손실이 없이 빠르게 제2 열전달축(320)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제2 열전달축(320)으로 전달된 열은 제3 열전달축(335)을 통해 열전 소자(325)의 고온부로 전달될 수 있다. 제3 열전달축(335)은 제2 열전달축(320) 및 열전소자(325)와 수직으로 만날 수 있다.
제3 열전달축과 제2 열전달축이 만나는 면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열전달축의 외부면을 제3 열전달축의 개수를 고려하여 복수의 면으로 분할하여 제3 열전달축과 제2 열전달축이 만나는 면을 통해 제3 열전달축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제3 열전달축은 열전소자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열전소자(325)와 만나는 면이 가장 넓은 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열이 제3 열전달축을 통해 열전소자의 고온부로 열손실없이 전달될 수 있다.
제2 열전달축과 제3 열전달축의 외부에도 제2 열전달축과 제3 열전달축의 형상을 고려한 단열부가 구현되어 있어서 제2 열전달축과 제3 열전달축을 통해 전달된 열이 공기 중으로 전달되어 발생되는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열전소자의 저온부와 연결되어 온도 차이를 만들기 위한 방열부가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열부는 빠르게 열을 방출하기 위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방열부는 최대한의 방열면을 확보하면서 방열면을 통해 열이 빠르게 외부로 방출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방열부는 제1 방열 구조(410) 및 제2 방열 구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구조(410)은 열전소자의 저온부와 만나는 면으로서 열전소자의 저온부를 덮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방열 구조(410)는 복수의 제2 방열구조(420)과 연결되어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방열 구조(420)는 지그재그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지그재그 구조 상에 열 방출 홀이 형성되어서 열 방출 홀 상에서 공기의 순환을 통해 열이 식혀지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열 구조(410)는 역V자 형태를 가지는 제1 하위 방열층(415), 제1 하위 방열층(415)을 냉각시키는 제1 하위 냉각층(450)을 포함할 수 있다. 역V자 형태에서 2개의 선분이 인접하여 역V자 형태의 꼭지점 부분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하위 냉각층(450)은 제1 하위 방열층(415)과 인접하여 제1 하위 방열층(415)을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하위 냉각층(450)은 제1 하위 방열층(415)을 구성하는 2개의 선분을 냉각하기 위해 제1 하위 방열층(415)을 구성하는 2개의 선분과 접하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하위 방열층(415)은 열 전도율이 큰 소재로 구현되고, 제1 하위 냉각층(450)은 비열이 상대적으로 큰 소자로 구현되어 상대적으로 제1 하위 방열층(415)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여 제1 하위 방열층(415)을 냉각시키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제2 방열 구조(420)는 제1 방열 구조(410)와 연결되어 추가 열을 방출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제2 방열 구조(420)의 제2 하위 방열층(425)은 제1 하위 방열층(415)과 반대로 V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생산 안정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열전 소자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열전 소자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은 1차 충전 베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1차 충전 베터리는 전력을 저장하고, 임계 충전량(550) 이상이 되는 경우, 전력의 공급을 시작할 수 있다. 임계 충전량(550)은 공급되는 열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열전 소자의 고온부와 저온부의 온도 차이(510)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임계 충전량(550)은 제1 값으로 결정되고, 열전 소자의 고온부와 저온부의 온도 차이(510)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임계 충전량(550)은 제2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온도 차이에 따라 이후에 추가적으로 충전될 충전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량에 따라 1차 충전 베터리를 통해 전력의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차이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여부 및 열전 소자의 고온부의 온도를 고려하여 전력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차이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1차 충전 베터리는 임계 충전량(550)을 증가시키고 일정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온도 차이가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1차 충전 베터리는 임계 충전량(550)을 감소시키고 일정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열전 소자의 고온부의 온도의 변화(520)를 고려하여 증가, 임계 범위 유지, 감소인지 여부를 고려하여 1차 충전 베터리의 임계 충전량(550)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증가일 경우, 임계 충전량(550)이 적응적으로 증가되고, 임계 범위 유지인 경우, 임계 충전량(550)이 유지되고, 감소일 경우, 임계 충전량(550)이 적응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이동식 열전발전기는,
    열원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서 전달하도록 구현되는 열전달부;
    열전소자의 저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전소자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방출시키도록 구현되는 방열부; 및
    상기 열전달부, 상기 방열부와 연결되어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현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부는 제1 열전달부와 제2 열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전달부는 상기 열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받는 부분으로서 상기 열원과 직접적으로 마주보고,
    상기 제2 열전달부는 상기 제1 열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열을 상기 열전 소자의 고온부와 접촉시키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1 열전달부는 제1 열전달축 및 단열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전달축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로서 상기 상단으로 갈수록 좁은 면적에 열이 모아지는 구조이고,
    상기 단열구조는 상기 제1 열전달축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제2 열전달부는 제2 열전달축과 제3 열전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열전달축은 상기 제1 열전달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열전달축을 통해 열을 전달받고,
    상기 제2 열전달축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열전달축의 상단이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열전달축은 상기 제2 열전달축 및 상기 열전소자와 수직으로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열전발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전달축의 외부면은 상기 제3 열전달축의 개수를 고려하여 복수의 면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3 열전달축은 상기 열전소자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 열전달축과 상기 제3 열전달축의 외부에 상기 제2 열전달축과 상기 제3 열전달축의 형상을 고려한 단열부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열전 발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제1 방열 구조 및 복수의 제2 방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열구조는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부와 만나는 면으로서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부를 덮는 형태이고,
    상기 제1 방열 구조는 상기 복수의 제2 방열 구조와 연결되어 열을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방열 구조는 지그재그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그재그 구조 상에 열 방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열전 발전기.
KR1020180120118A 2018-10-09 2018-10-09 이동식 열전발전기 KR102124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118A KR102124256B1 (ko) 2018-10-09 2018-10-09 이동식 열전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118A KR102124256B1 (ko) 2018-10-09 2018-10-09 이동식 열전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364A KR20200040364A (ko) 2020-04-20
KR102124256B1 true KR102124256B1 (ko) 2020-06-17

Family

ID=7046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118A KR102124256B1 (ko) 2018-10-09 2018-10-09 이동식 열전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25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648A (ko) * 2001-07-06 2003-01-15 박양석 휴대용 열전 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364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77876A1 (en) Spatially optimized thermoelectric module
US20070056622A1 (en) Computer with thermoelectric conversion
JP2021506092A (ja) 電気自動車用電池パック冷却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自動車用電池パックシステムの冷却方法
US20120153636A1 (en) Passively Cooled Lightweight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US20040177877A1 (en) Geometrically optimized thermoelectric module
KR20140144802A (ko) 전기차용 배터리의 열관리 장치
KR102017715B1 (ko) 휴대용 열발전 장치
US20190145286A1 (en) Method for thermoelectric energy generation
KR20140073703A (ko) 폐 에너지 회수 발전장치
KR102248103B1 (ko) 열전 소자를 적용한 차량 파워 모듈
KR102124256B1 (ko) 이동식 열전발전기
US201000379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Solar Energy
KR102062631B1 (ko) 열전 발전 모듈
US8618406B1 (en)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64417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dissipation of LED lamp for vehicle
CN103051250A (zh) 一种光伏组件温差发电的降温方法
CN114701351B (zh) 一种可发电的散热器水箱及汽车
KR20170036885A (ko) 열전 발전 장치
JP2007072846A (ja) 熱電気変換機能を有するコンピューター
CN203105035U (zh) 一种应用于光伏控制器的半导体散热装置
JP2008143432A (ja) 車載用電源装置
US20090272418A1 (en) Thermoelectric generator device
Pohekar et al. Automotive Waste Heat Harvesting for Electricity Generation using Thermoelectric Generator A Review
US20160163947A1 (en) Structure for mounting thermoelectric generation element module
JP3142173U (ja) 熱電気変換機能を有するコンピュ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