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305B1 - Pipe supporting device - Google Patents
Pipe suppor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3305B1 KR102123305B1 KR1020180115195A KR20180115195A KR102123305B1 KR 102123305 B1 KR102123305 B1 KR 102123305B1 KR 1020180115195 A KR1020180115195 A KR 1020180115195A KR 20180115195 A KR20180115195 A KR 20180115195A KR 102123305 B1 KR102123305 B1 KR 1021233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tion
- cutting
- sections
- trestle
- vibration damp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는, 배관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가대부; 및 일면은 구조물 상에 장착되고 타면은 상기 가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제진부의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가대부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restle provided to support piping; And one surface is mounted on the structure and the oth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mount portion vibration damping portion for reducing the vibration of the structure; including, part of the vibration damping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vibration of the structure, the mount portion It can be displaced in the lateral or transverse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진부의 탄성 거동을 통해서 가대부의 변형을 유발하는 항복 응력에 도달할 가능성을 낮춰서 가대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ing suppo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ing support device that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mount by lowering the possibility of reaching the yield stress causing deformation of the mount through the elastic behavior of the damping unit.
건축구조물의 내외부에는 물, 가스 등의 공급을 위한 각종의 배관이 설치된다.Various piping for supplying water, gas, etc. i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structure.
이때, 배관이 천장 또는 벽면으로부터 늘어지거나 할 경우, 출입자와의 충돌사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pipe is stretched from the ceiling or the wall surface, it may lead to a collision with the accessor.
따라서, 건축구조물의 내외부에 배관을 설치할 때에는 지지 장치 또한 함께 설치하여 지지 장치의 지지를 통해 배관을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시키고 있다.Therefore, when installing the piping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structure, a supporting device is also installed to fix the piping to the ceiling or wall through the support of the supporting device.
한편, 지진 발생시에는 건축구조물 자체뿐만 아니라 건축구조물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배관에도 상당한 충격이 미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not only the building structure itself, but also the piping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structure has a significant impact.
이때, 지진 발생시의 충격으로 인하여 배관이 손상되는 경우, 단순 배관 손상으로 그치지 않고 누수 또는 가스 누설 등이 따르게 되므로 침수 또는 화재 등으로 인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pipe is damaged due to an impact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a large amount of damage due to flooding or fire may occur because leakage or gas leakage is not limited to simple pipe damage.
이러한 이유로 최근 건축구조물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2993호(공고일: 2010. 06. 10.)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내진 기능을 갖는 배관 지지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For this reason, a piping support device having a seismic function a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62993 (Announcement date: 2010. 06. 10.) has recently been applied to building structures.
내진 기능을 갖는 배관 지지 장치는 지진 발생 시 유동하므로 이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어 지진으로 인한 지지대상 배관의 손상이 일부 방지된다.Since the piping support device having a seismic function flows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shock is alleviated by this, thereby preventing some damage to the support pipe due to the earthquake.
그러나, 종래 내진 기능을 갖는 배관 지지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한 것이어서 제조가 번거로워 제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지진 발생시 유동 방향 및 유동 폭이 제한적이어서 충격 완화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므로 지지대상 배관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ipe support device having a seismic function has a complicated structure, which is complicated to manufacture, and thus ha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efficiency is lowered.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damage to the pipe to be supported occurs.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지진 발생 시 다방향으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에 의해 충격이 분산, 흡수, 소멸되어 지진으로 인한 지지대상 배관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지지 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For the above reasons, in the field, attempts to develop a piping support device that enables the flow to flow smoothly in multiple directions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reby preventing shock from being dissipated, absorbed, and dissipat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ipe to be supported due to the earthquake. have.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inventor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제진부에 전달된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시켜 가대부에 설치된 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piping support device that can reduce the vibration of the structure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control unit to prevent damage to the piping installed on the mount.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제진부의 탄성 거동을 통해서 가대부의 변형을 유발하는 항복 응력에 도달할 가능성을 낮춰서 가대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서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을 효과적으로 소산 또는 저감시킬 수 있는 배관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i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mount by lowering the possibility of reaching the yield stress causing deformation of the mount through the elastic behavior of the vibration damper, and effectively dissipat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tructure by external impact, or It is to provide a piping support device that can be reduced.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진도 3.0-7.0 범위에서 기존 가대 대비 최대응력을 약 50-60% 감소시킬 수 있고, 제진부의 종/횡방향 탄성 거동으로 기존 가대 대비 평균 반력을 약 12% 감소시킬 수 있는 배관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i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o reduce the maximum stress by about 50-60% compared to the existing trestle in the range of magnitude 3.0-7.0, and to reduce the average reaction force by about 12% compared to the existing trestle by the longitudinal/transverse elastic behavior of the damper. It is to provide a pipe support device capable of.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제진부의 최적 설계를 통하여 제진부의 비틀림을 방지하면서 허용 최대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관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piping support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maximum allowable load while preventing distor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part through optimal design of the vibration damping p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는, 배관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가대부; 및 일면은 구조물 상에 장착되고 타면은 상기 가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제진부의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가대부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ount provided to support piping; And one surface is mounted on the structure and the oth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mount portion vibration damping portion for reducing the vibration of the structure; including, part of the vibration damping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vibration of the structure, the mount portion It can be displaced in the lateral or transverse direction.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진부는, 상기 가대부가 연결되는 연결 구획; 상기 연결 구획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절단 구획; 및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 상에 고정되는 고정 구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에 의해서 상기 연결 구획 및 상기 고정 구획 사이의 공간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연결 구획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vibration damping unit, the connecting section is connected to the trestle; A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disposed outside the connecting section; And a fixing section disposed outside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nd fixed on the structure. The space between the connecting section and the fixing section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so that the connecting section is formed. It can be displaced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결 구획은 원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외측면이 만곡된 'I' 형상으로 마련된 제1 절단 구획; 상기 제1 절단 구획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호 형상으로 마련된 제2 절단 구획; 및 상기 제2 절단 구획보다 상기 연결 구획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호 형상으로 마련된 제3 절단 구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상기 연결 구획의 외주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2 절단 구획 및 상기 제3 절단 구획이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connecting section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 first cutting section provided in an'I' shape with a curved outer surface; A second cutting sec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tting section and provided in an arc shape; And a third cutting sec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ng section than the second cutting section and provided in an arc shape, wherein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re formed to be radially spac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section, and The second cutting section and the third cutting section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adjacent first cutting sections.
일 측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기 연결 구획 및 상기 고정 구획이 서로 연결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연결 구획에 연결된 부분 및 상기 고정 구획에 연결된 부분은 각각 호 형상으로 마련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고정 구획에 연결된 부분의 호 길이에 상응하는 각도와 상기 연결 구획에 연결된 부분의 호 길이에 상응하는 각도의 비는 1 내지 1.6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connecting section and the fixing s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pace between the first cutting section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ection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cutting section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ortions connected to the fixed section are each provided in an arc shape, and the angle corresponding to the arc length of the portions connected to the fixed s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utting sectio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arc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ection. The ratio of angle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may be 1 to 1.6.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2 절단 구획은 상기 제3 절단 구획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제3 절단 구획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제3 절단 구획이 상기 연결 구획의 외주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econd cutting section is provided longer than the third cutting section, the third cutting section is provided in plural, and a plurality of third cutting sections are arranged to be radially spac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section Can be.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결 구획은 다각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상기 연결 구획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상기 연결 구획의 코너 및 상기 제1 절단 구획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제2 절단 구획; 및 상기 제2 절단 구획의 외측에 배치된 제3 절단 구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상기 연결 구획의 외측을 따라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connecting section is provided in a polygon,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the first cutting section disposed outside the connecting section; A second cutting section bent to surround a corner of the connecting section and an outer side of the first cutting section; And a third cutting section disposed outside the second cutting section.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section.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각각 'ㄱ'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상기 연결 구획의 제1 측 및 제2 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 절단 구획; 상기 연결 구획의 제2 측 및 제3 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 절단 구획; 상기 연결 구획의 제3 측 및 제4 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 절단 구획; 및 상기 연결 구획의 제4 측 및 제1 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4 절단 구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 중 인접하게 배치된 절단 구획의 일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re each provided in an'a' shape or an'b' shape, and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re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connection section. 1 cutting compartment; A second cutting section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side and the third side of the connection section; A third cutting section formed to surround the third and fourth sides of the connecting section; And a fourth cutting section formed to surround the fourth side and the first side of the connection section, and a portion of the cutting sections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의하면, 제진부에 전달된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시켜 가대부에 설치된 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bration of the structure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damping unit can be reduced to prevent damage to the piping installed on the mount.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의하면, 제진부의 탄성 거동을 통해서 가대부의 변형을 유발하는 항복 응력에 도달할 가능성을 낮춰서 가대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서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을 효과적으로 소산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rough the elastic behavior of the vibration damping par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mount by lowering the possibility of reaching the yield stress causing deformation of the mount, and vibration generated in the structure by external impact Can be effectively dissipated or reduced.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의하면, 진도 3.0-7.0 범위에서 기존 가대 대비 최대응력을 약 50-60% 감소시킬 수 있고, 제진부의 종/횡방향 탄성 거동으로 기존 가대 대비 평균 반력을 약 12%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ximum stress in the range of 3.0-7.0 in intensity can be reduced by about 50-60% compared to the existing trestle, and the average reaction force compared to the existing trestle is reduced by the longitudinal/transverse elastic behavior of the damper. Can be reduced by 12%.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의하면, 제진부의 최적 설계를 통하여 제진부의 비틀림을 방지하면서 허용 최대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ximum allowable load can be increased while preventing the torsion of the vibration isolator through optimal design of the vibration isolator.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지진파형의 분석 결과를 도시한다.
도 10(a) 및 (b)는 진도가 1.0-2.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 그래프이다.
도 11은 진도가 3.0-4.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 그래프이다.
도 12(a) 및 (b)는 진도가 3.0-4.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를 도시한다.
도 13은 진도가 3.0-4.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에 대한 수치 해석이다.
도 14는 진도가 5.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 그래프이다.
도 15(a) 및 (b)는 진도가 5.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를 도시한다.
도 16은 진도가 5.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에 대한 수치 해석이다.
도 17은 진도가 6.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 그래프이다.
도 18(a) 및 (b)는 진도가 6.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를 도시한다.
도 19는 진도가 6.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에 대한 수치 해석이다.
도 20은 진도가 7.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 그래프이다.
도 21(a) 및 (b)는 진도가 7.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를 도시한다.
도 22는 진도가 7.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에 대한 수치 해석이다.
도 23(a) 내지 (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서 탄성 거동을 도시한다.
도 24(a) 내지 (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서 탄성 거동을 도시한다.
도 25(a) 내지 (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서 θ1=40°인 경우 θ2에 따른 최대변위, 스프링 상수 및 최대허용하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plan view of a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4 is a plan view of a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6 is a plan view of a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8 is a plan view of a pi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9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arthquake waveform.
10(a) and (b) are graphs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1.0-2.0.
11 is a graph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3.0-4.0.
12 (a) and (b) show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3.0-4.0.
13 i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3.0-4.0.
14 is a graph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5.0.
15(a) and (b) show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5.0.
16 i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5.0.
17 is a graph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6.0.
18(a) and (b) show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6.0.
19 i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6.0.
20 is a stress distribution graph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7.0.
21 (a) and (b) show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7.0.
22 i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7.0.
23(a) to 23(c) show the elastic behavior in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4(a) to 24(c) show the elastic behavior of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25(a) to 25(c) are graphs showing changes in maximum displacement, spring constant and maximum allowable load according to θ2 when θ1=40° in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structures or functions hinder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any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 in other embodiments. Unless there is an objection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in any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e overlapping range.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2 is a plan view of a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 또는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0)는 가대부(미도시) 및 제진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1 or 2, the
상기 가대부는 배관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trestle portion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pipe.
예를 들어, 가대부는 'U'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unt may be provided in a'U' shaped frame.
가대부의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대부의 제3 프레임은 제1 프레임의 하단 및 제2 프레임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가대부의 제3 프레임 상에 배관이 놓일 수 있다.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f the mount stand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third frame of the mount portion is disposed to connec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rame to each other, and piping may be placed on the third frame of the mount portion.
또한, 가대부에는 제진부(100)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진부(100)의 일면은 구조물 상에 고정되고, 제진부(100)의 타면은 가대부에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one surface of the
예를 들어, 제진부(10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진부(100) 중 하나는 가대부의 제1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제진부(100) 중 다른 하나는 가대부의 제2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특히, 제진부(100)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너지를 소산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이때, 제진부(100)의 일부가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너지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어 가대부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구체적으로, 제진부(100)는 연결 구획(110), 복수 개의 절단 구획(120) 및 고정 구획(13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연결 구획(110)에는 가대부가 연결될 수 있다.A trestle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또한, 연결 구획(1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100)의 중앙에 배치된 구획으로서,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120)은 연결 구획(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utting
또한, 복수 개의 절단 구획(1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100)에서 양면을 관통하도록 절단된 구획으로서, 예를 들어 제1 절단 구획(122), 제2 절단 구획(124) 및 제3 절단 구획(126)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utting
특히, 복수 개의 절단 구획(120)은 제진부(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cutting
상기 제1 절단 구획(122)은 외측면이 만곡된 'I'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1 절단 구획(122)의 상부 및 제1 절단 구획(122)의 하부는 연결 구획(110)의 중심점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 절단 구획(122)의 상부 및 제1 절단 구획(122)의 하부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제1 절단 구획(122)의 중앙부는 제1 절단 구획(122)의 상부 및 제1 절단 구획(122)의 하부와 연결되어, 제1 절단 구획(122)의 중심을 향하여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전술된 제1 절단 구획(122)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절단 구획(122)은 연결 구획(110)의 외주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예를 들어, 제진부(100)에는 총 4개의 제1 절단 구획(122)이 구비될 수 있고, 연결 구획(110)을 중심으로 4개의 제1 절단 구획(122)이 서로 9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결 구획(11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 절단 구획(122)이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 total of four
상기 제2 절단 구획(124) 및 제3 절단 구획(126)은 제1 절단 구획(122)으로부터 연결 구획(110)의 외주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제2 절단 구획(124) 및 제3 절단 구획(126)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제2 절단 구획(124) 및 제3 절단 구획(126)은 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구체적으로, 제2 절단 구획(124)은 제3 절단 구획(126)보다 연결 구획(110)으로부터 멀리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절단 구획(126)이 제2 절단 구획(124)보다 연결 구획(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제2 절단 구획(124)의 호 길이가 제3 절단 구획(126)의 호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c length of the
예를 들어, 제3 절단 구획(126)의 호 길이는 제2 절단 구획(124)의 호 길이의 절반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rc length of the
이때, 제3 절단 구획(126)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3 절단 구획(126)은 연결 구획(110)의 외주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예를 들어, 제3 절단 구획(126)은 2개로 마련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 2개의 제3 절단 구획(126)이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wo
한편, 제2 절단 구획(124)의 양단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의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Meanwhile, both ends of the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 2개의 제3 절단 구획(126)이 배치된 경우, 하나의 제3 절단 구획(126)의 일단은 제1 절단 구획(122)의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타단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 중심축(X1)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제3 절단 구획(126)의 일단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 중심축(X1)을 향하여 연장되고, 타단은 제1 절단 구획(122)의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wo
이때,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 중심축(X1)은 연결 구획(100)의 중심점(O)과 만날 수 있고, 중심축(X1)을 기준으로 제1 절단 구획(122), 제2 절단 구획(124) 및 제3 절단 구획(126)이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axis (X1)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연결 구획(110) 및 고정 구획(13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 구획(110)에 연결된 부분 및 고정 구획(130)에 연결된 부분은 각각 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ortion connected to the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 구획(110)에 연결된 부분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의 하부가 이격된 부분을 가리키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고정 구획(130)에 연결된 부분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의 상부가 이격된 부분을 가리킬 수 있다.Specifically, a portion connected to the
이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100)에서 연결 구획(110) 및 고정 구획(130) 사이의 공간에 복수 개의 절단 구획(120)이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서 연결 구획(110) 및 고정 구획(130) 사이의 공간이 탄성 변형되어, 연결 구획(110)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s a plurality of cutting
이때, 연결 구획(110) 및 고정 구획(130) 사이의 공간이 보다 안정적으로 탄성 변형되게 하기 위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고정 구획(130)에 연결된 부분의 호 길이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 구획(110)에 연결된 부분의 호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make the space between the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고정 구획(130)에 연결된 부분의 호 길이(L1) 및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 구획(110)에 연결된 부분의 호 길이(L2)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2, the arc length L1 of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xed
연결 구획(110)의 중심점(O)으로부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고정 구획(130)에 연결된 부분까지의 거리 또는 연결 구획(110)의 중심점(O)으로부터 제1 절단 구획(122)의 상부까지의 거리는 R1이고, 연결 구획(110)의 중심점(O)으로부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 구획(110)에 연결된 부분까지의 거리 또는 연결 구획(110)의 중심점(O)으로부터 제1 절단 구획(122)의 하부까지의 거리는 R2인 경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고정 구획(130)에 연결된 부분의 호 길이(L1)는 R1 X θ1이 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 구획(110)에 연결된 부분의 호 길이(L2)는 R2 X θ2가 될 수 있다.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 of the
이때, θ1은 연결 구획(110)의 중심점(O)과 제1 절단 구획(122)의 상부에서 일단을 잇는 선과 연결 구획(110)의 중심점(O)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의 상부에서 일단을 잇는 선의 사잇각을 가리키고, θ2는 연결 구획(110)의 중심점(O)과 제1 절단 구획(122)의 하부에서 일단을 잇는 선과 연결 구획(110)의 중심점(O)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의 하부에서 일단을 잇는 선의 사잇각을 가리킬 수 있다.At this time, θ1 is the
다시 말해서, θ1은 L1을 결정 짓는 변수가 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고정 구획(130)에 연결된 호 길이에 상응하는 각도가 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θ2는 L2를 결정 짓는 변수가 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122)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 구획(110)에 연결된 호 길이에 상응하는 각도가 될 수 있다.In other words, θ1 may be a variable that determines L1, and may be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arc connected to the fixed
이때, θ1과 θ2의 비는 1 내지 1.6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atio of θ1 and θ2 may be 1 to 1.6.
R1이 100㎜이고, R2가 68㎜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R1 is 100 mm and R2 is 68 mm,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below.
θ1이 40°이라면, θ2는 25° 내지 40°가 될 수 있다.If θ1 is 40°, θ2 may be 25° to 40°.
이때, θ1이 40°이고 θ2가 25°라면, θ1과 θ2의 비는 1.6이 될 수 있고, θ1이 40°이고 θ2가 30°라면, θ1과 θ2의 비는 1.3이 될 수 있고, θ1이 40°이고 θ2가 40°라면, θ1과 θ2의 비는 1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θ1 is 40° and θ2 is 25°, the ratio of θ1 and θ2 may be 1.6, and if θ1 is 40° and θ2 is 30°, the ratio of θ1 and θ2 may be 1.3, and θ1 is If 40° and θ2 is 40°, the ratio of θ1 and θ2 may be 1.
전술된 바와 같이 θ1과 θ2의 비가 1 내지 1.6이 될 경우, 바람직하게 θ1과 θ2의 비가 1.3이 될 경우, 제진부(100)의 허용 최대하중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atio of θ1 and θ2 is 1 to 1.6, preferably when the ratio of θ1 and θ2 is 1.3, the maximum allowable load of the damping
한편, 복수 개의 절단 구획(120)의 외측에는 고정 구획(130)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fixed
상기 고정 구획(130)은 제진부(100)를 구조물에 하는 구획으로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100)에서 복수 개의 절단 구획(120)의 방사상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xed
예를 들어, 고정 구획(130)에 볼팅을 함으로써 제진부(100)가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For example, by bolting the fixed
이에 의해서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이 구조물에 고정된 고정 구획(130)을 통해서 제진부(100)에 전달될 수 있다.As a result, vibration generated in the structure may be transmitted to the
이때, 제진부(100)가 연결 구획(110), 복수 개의 절단 구획(120) 및 고정 구획(130)을 포함함으로써, 제진부(100)에 전달된 진동에 의해서 연결 구획(110) 및 고정 구획(130) 사이의 공간이 탄성 변형되어 연결 구획(110)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제진부(100)의 탄성 거동에 의해서 제진부(100)에 전달된 진동이 저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진부(100)의 허용 최대하중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대부가 항복 응력에 도달할 가능성을 낮춰서 가대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도 3.0-7.0 범위에서 기존 배관 지지 장치(이하, 기존 가대) 대비 최대응력을 약 50-60% 감소시킬 수 있고, 제진부(10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탄성 거동으로 기존 가대 대비 평균 반력을 약 12% 감소시킬 수 있다.Due to the elastic behavior of the
이상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된다.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4 is a plan view of a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3 또는 4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20)는 가대부(미도시) 및 제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3 or 4, the
상기 가대부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0)에 포함된 가대부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가대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진부(200)에 대하여만 상술된다.Since the mount portion is the same as the mount portion included in the
상기 제진부(200)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너지를 소산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The
이때, 제진부(200)의 일부가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너지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어 가대부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구체적으로, 제진부(200)는 연결 구획(210), 복수 개의 절단 구획(220) 및 고정 구획(23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연결 구획(210)에는 가대부가 연결될 수 있다.A trestle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또한, 연결 구획(2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200)의 중앙에 배치된 구획으로서,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연결 구획(210)이 사각형으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연결 구획(21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inafter, a case where the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220)은 연결 구획(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utting
또한, 복수 개의 절단 구획(2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200)에서 양면을 관통하도록 절단된 구획으로서, 예를 들어 제1 절단 구획(222), 제2 절단 구획(224) 및 제3 절단 구획(226)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utting
특히, 복수 개의 절단 구획(220)은 제진부(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cutting
상기 제1 절단 구획(222)은 연결 구획(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제1 절단 구획(222)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절단 구획(222)은 연결 구획(210)의 외측을 따라서 이격 배치되어, 연결 구획(21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또한, 제1 절단 구획(222)은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제1 절단 구획(222)의 면적은 연결 구획(21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ea of the
상기 제2 절단 구획(224) 및 제3 절단 구획(226)은 연결 구획(210)의 외측을 따라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2 절단 구획(224)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22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전술된 바와 같이 제진부(200)에 4개의 제1 절단 구획(222)이 구비되므로, 제진부(200)에는 4개의 제2 절단 구획(224)이 구비될 수 있고, 4개의 제2 절단 구획(224)은 연결 구획(210)의 외측을 따라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our
상기 제2 절단 구획(224)은 연결 구획(210)의 코너 및 제1 절단 구획(222)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2 절단 구획(224)의 일부는 연결 구획(210)의 코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제2 절단 구획(224)의 다른 일부는 제2 절단 구획(224)의 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제1 절단 구획(222)의 외측을 따라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2 절단 구획(224)의 또 다른 일부는 제2 절단 구획(224)의 일부의 타단으로부터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222)의 외측을 따라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상기 제2 절단 구획(224)의 외측에는 제3 절단 구획(226)이 배치될 수 있다.A
상기 제3 절단 구획(226)은 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 절단 구획(224)의 외측에서 제진부(200)의 외곽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제3 절단 구획(226)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3 절단 구획(226)은 총 8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 구획(21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서 제1 절단 구획(222)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제3 절단 구획(226)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222) 사이의 공간에 2개의 제3 절단 구획(226)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때, 연결 구획(210)과 제1 절단 구획(222) 사이의 공간, 제1 절단 구획(222)과 제2 절단 구획(224) 사이의 공간, 또는 제2 절단 구획(224)과 제3 절단 구획(226)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연결 구획(210) 및 고정 구획(23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e between the
이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200)에서 연결 구획(210) 및 고정 구획(230) 사이의 공간에 복수 개의 절단 구획(200)이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서 연결 구획(210) 및 고정 구획(230) 사이의 공간이 탄성 변형되어, 연결 구획(210)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cutting
한편, 복수 개의 절단 구획(220)의 외측에는 고정 구획(230)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fixed
상기 고정 구획(230)은 제진부(200)를 구조물에 하는 구획으로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200)에서 복수 개의 절단 구획(220)의 외측, 특히 제진부(200)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xed
예를 들어, 고정 구획(230)에 볼팅을 함으로써 제진부(200)가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mping
이에 의해서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이 구조물에 고정된 고정 구획(230)을 통해서 제진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As a result, vibration generated in the structure may be transmitted to the
이때, 제진부(200)가 연결 구획(210), 복수 개의 절단 구획(220) 및 고정 구획(230)을 포함함으로써, 제진부(200)에 전달된 진동에 의해서 연결 구획(210) 및 고정 구획(230) 사이의 공간이 탄성 변형되어 연결 구획(210)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제진부(200)의 탄성 거동에 의해서 제진부(200)에 전달된 진동이 저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진부(200)의 허용 최대하중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대부가 항복 응력에 도달할 가능성을 낮춰서 가대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Due to the elastic behavior of the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6 is a plan view of a pip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5 또는 6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30)는 가대부(미도시) 및 제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5 or 6, the
상기 가대부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0, 20)에 포함된 가대부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가대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진부(300)에 대하여만 상술된다.Since the trestle par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trestle part included in the
특히, 제진부(30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20)에 포함된 제진부(200)의 경량형이다.In particular, the
상기 제진부(300)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너지를 소산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The
이때, 제진부(300)의 일부가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너지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어 가대부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구체적으로, 제진부(300)는 연결 구획(310), 복수 개의 절단 구획(320) 및 고정 구획(33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연결 구획(310)에는 가대부가 연결될 수 있다.A trestle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또한, 연결 구획(3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300)의 중앙에 배치된 구획으로서,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연결 구획(310)이 사각형으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연결 구획(31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inafter, a case where the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320)은 연결 구획(3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utting
또한, 복수 개의 절단 구획(3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300)에서 양면을 관통하도록 절단된 구획으로서, 예를 들어 제1 절단 구획(322), 제2 절단 구획(324) 및 제3 절단 구획(326)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utting
특히, 복수 개의 절단 구획(320)은 제진부(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cutting
상기 제1 절단 구획(322)은 연결 구획(3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제1 절단 구획(322)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절단 구획(322)은 연결 구획(310)의 외측을 따라서 이격 배치되어, 연결 구획(31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또한, 제1 절단 구획(322)은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제1 절단 구획(322)의 면적은 연결 구획(31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ea of the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20)에 포함된 제진부(200)보다 경량화가 되도록, 제진부(300)에 포함된 제1 절단 구획(322)의 면적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area of the
상기 제2 절단 구획(324) 및 제3 절단 구획(326)은 연결 구획(310)의 외측을 따라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2 절단 구획(324)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32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전술된 바와 같이 제진부(300)에 4개의 제1 절단 구획(322)이 구비되므로, 제진부(300)에는 4개의 제2 절단 구획(324)이 구비될 수 있고, 4개의 제2 절단 구획(324)은 연결 구획(310)의 외측을 따라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our
상기 제2 절단 구획(324)은 연결 구획(310)의 코너 및 제1 절단 구획(322)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2 절단 구획(324)의 일부는 연결 구획(310)의 코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제2 절단 구획(324)의 다른 일부는 제2 절단 구획(324)의 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제1 절단 구획(322)의 외측을 따라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2 절단 구획(324)의 또 다른 일부는 제2 절단 구획(324)의 일부의 타단으로부터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322)의 외측을 따라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art of the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20)에 포함된 제진부(200)보다 경량화가 되도록, 제진부(300)에 포함된 제2 절단 구획(324)의 면적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of the
상기 제2 절단 구획(324)의 외측에는 제3 절단 구획(326)이 배치될 수 있다.A
상기 제3 절단 구획(326)은 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 절단 구획(324)의 외측에서 제진부(300)의 외곽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제3 절단 구획(326)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3 절단 구획(326)은 총 8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 구획(31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서 제1 절단 구획(322)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제3 절단 구획(326)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322) 사이의 공간에 2개의 제3 절단 구획(326)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20)에 포함된 제진부(200)보다 경량화가 되도록, 제진부(300)에 포함된 제3 절단 구획(326)의 면적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of the
이때, 연결 구획(310)과 제1 절단 구획(322) 사이의 공간, 제1 절단 구획(322)과 제2 절단 구획(324) 사이의 공간, 또는 제2 절단 구획(324)과 제3 절단 구획(326)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연결 구획(310) 및 고정 구획(33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e between the
이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300)에서 연결 구획(310) 및 고정 구획(330) 사이의 공간에 복수 개의 절단 구획(320)이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서 연결 구획(310) 및 고정 구획(330) 사이의 공간이 탄성 변형되어, 연결 구획(310)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cutting
한편, 복수 개의 절단 구획(320)의 외측에는 고정 구획(330)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fixed
상기 고정 구획(330)은 제진부(300)를 구조물에 하는 구획으로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300)에서 복수 개의 절단 구획(320)의 외측, 특히 제진부(300)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xed
예를 들어, 고정 구획(330)에 볼팅을 함으로써 제진부(300)가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For example, by bolting the fixed
이에 의해서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이 구조물에 고정된 고정 구획(330)을 통해서 제진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As a result, vibration generated in the structure may be transmitted to the
이때, 제진부(300)가 연결 구획(310), 복수 개의 절단 구획(320) 및 고정 구획(330)을 포함함으로써, 제진부(300)에 전달된 진동에 의해서 연결 구획(310) 및 고정 구획(330) 사이의 공간이 탄성 변형되어 연결 구획(310)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이러한 제진부(300)의 탄성 거동에 의해서 제진부(300)에 전달된 진동이 저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진부(300)의 허용 최대하중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대부가 항복 응력에 도달할 가능성을 낮춰서 가대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Due to the elastic behavior of the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and FIG. 8 is a plan view of a pi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도 7 또는 8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40)는 가대부(미도시) 및 제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7 or 8, the
상기 가대부는 제1 내지 3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10, 20, 30)에 포함된 가대부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가대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진부(400)에 대하여만 상술된다.Since the trestle par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trestle part included in the
상기 제진부(400)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너지를 소산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The
이때, 제진부(400)의 일부가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너지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어 가대부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구체적으로, 제진부(400)는 연결 구획(410), 복수 개의 절단 구획(420) 및 고정 구획(43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연결 구획(410)에는 가대부가 연결될 수 있다.A trestle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또한, 연결 구획(4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4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420)은 연결 구획(4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utting
또한, 복수 개의 절단 구획(4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400)에서 양면을 관통하도록 절단된 구획으로서, 예를 들어 제1 절단 구획(422), 제2 절단 구획(424), 제3 절단 구획(226) 및 제4 절단 구획(228)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utting
이때, 제1 절단 구획(422), 제2 절단 구획(424), 제3 절단 구획(226) 및 제4 절단 구획(228)은 각각 'ㄱ'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제1 절단 구획(422)은 연결 구획(410)의 제1 측 및 제2 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은 연결 구획(410)의 상측이 되고, 제2 측은 연결 구획(410)의 우측이 될 수 있다.The
상기 제2 절단 구획(424)은 연결 구획(410)의 제2 측 및 제3 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측은 연결 구획(410)의 하측이 될 수 있다.The
상기 제3 절단 구획(426)은 연결 구획(410)의 제3 측 및 제4 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측은 연결 구획(410)의 좌측이 될 수 있다.The
이때, 복수 개의 절단 구획(420) 중 인접하게 배치된 절단 구획의 일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art of the adjacent cutting sections among the plurality of cutting
구체적으로, 제1 절단 구획(422)의 일부가 연결 구획(410)의 제1 측에 배치되고 제1 절단 구획(422)의 나머지 일부가 연결 구획(410)의 제2 측에 배치된 경우, 제2 절단 구획(424)의 일부는 연결 구획(420)의 제2 측에서 제1 절단 구획(422)의 나머지 일부로부터 외측에 이격 배치되고, 제2 절단 구획(424)의 나머지 일부는 연결 구획(420)의 제3 측에 배치되고, 제3 절단 구획(424)의 일부는 연결 구획(420)의 제3 측에서 제2 절단 구획(424)의 나머지 일부로부터 외측에 이격 배치되고, 제3 절단 구획(424)의 나머지 일부는 연결 구획(420)의 제4 측에 배치되고, 제4 절단 구획(428)의 일부는 연결 구획(420)의 제4 측에서 제3 절단 구획(424)의 나머지 일부로부터 외측에 이격 배치되고, 제4 절단 구획(428)의 나머지 일부는 제1 절단 구획(422)의 일부로부터 내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part of the
이때, 연결 구획(410)과 제1 절단 구획(422) 사이의 공간, 제1 절단 구획(422)과 제2 절단 구획(424) 사이의 공간, 제2 절단 구획(424)과 제3 절단 구획(426) 사이의 공간, 제3 절단 구획(426)과 제4 절단 구획(428) 사이의 공간, 또는 제4 절단 구획(428)과 제1 절단 구획(422)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연결 구획(410) 및 고정 구획(43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e between the
특히, 제1 절단 구획(422)과 제2 절단 구획(424) 사이의 공간, 제2 절단 구획(424)과 제3 절단 구획(426) 사이의 공간, 제3 절단 구획(426)과 제4 절단 구획(428) 사이의 공간, 또는 제4 절단 구획(428)과 제1 절단 구획(422) 사이의 공간은 외팔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pace between the
이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400)에서 연결 구획(410) 및 고정 구획(430) 사이의 공간에 복수 개의 절단 구획(420)이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서 연결 구획(410) 및 고정 구획(430) 사이의 공간이 탄성 변형되어, 연결 구획(410)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utting
한편, 복수 개의 절단 구획(420)의 외측에는 고정 구획(430)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fixed
상기 고정 구획(430)은 제진부(400)를 구조물에 하는 구획으로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제진부(400)에서 복수 개의 절단 구획(4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xed
예를 들어, 고정 구획(430)에 볼팅을 함으로써 제진부(400)가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mping
이에 의해서 구조물에서 발생된 진동이 구조물에 고정된 고정 구획(430)을 통해서 제진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As a result, vibration generated in the structure may be transmitted to the
이때, 제진부(400)가 연결 구획(410), 복수 개의 절단 구획(420) 및 고정 구획(430)을 포함함으로써, 제진부(400)에 전달된 진동에 의해서 연결 구획(410) 및 고정 구획(330) 사이의 공간이 탄성 변형되어 연결 구획(410)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이러한 제진부(400)의 탄성 거동에 의해서 제진부(400)에 전달된 진동이 저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진부(400)의 허용 최대하중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대부가 항복 응력에 도달할 가능성을 낮춰서 가대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Due to the elastic behavior of the
이상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대한 해석 결과에 대하여 설명된다.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re described below.
도 9는 지진파형의 분석 결과를 도시한다.9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arthquake waveform.
도 9는 진도 8에서 인공지진파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범위 진도에서 외부 가진 시간에 따른 평균 지진 가속도는 다음과 같다.FIG. 9 shows an artificial seismic wave at
(g)Average earthquake acceleration
(g)
1.0g
(9.81㎨)RMS standard
1.0 g
(9.81㎨)
(sec)External excitation time
(sec)
지진파art
Seismic wave
이하에서는 [표 1]에 따라서 특정 진도를 발생시켜서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를 해석하였다.Below,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as analyzed by generating a specific magnitude according to [Table 1].
도 10(a) 및 (b)는 진도가 1.0-2.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 그래프이다.10(a) and (b) are graphs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1.0-2.0.
이하에서는 제진부에 일반적인 플레이트 형상이 적용된 경우를 기존 가대라고 하고,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포함된 제진부가 적용된 경우를 내진 가대라고 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a general plate shape is applied to the vibration damping unit is referred to as an existing trestle, and a case where a vibration damping unit included in the pi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is referred to as a seismic trestle.
도 10(a) 및 (b)를 참조하여, 진도가 1.0-2.0인 경우에는 내진 가대에서 지진파 조화 감쇄로 인하여 기존 가대와의 변위차가 5% 이내로 되고, 기존 가대 대비 응력이 5%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10(a) and (b), when the magnitude is 1.0-2.0, the difference in displacement from the existing stand is within 5% due to the harmonic damping of the seismic wave in the seismic stand, and the stress is increased by 5% compared to the existing stand. Confirmed.
도 11은 진도가 3.0-4.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 그래프이고, 도 12(a) 및 (b)는 진도가 3.0-4.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를 도시하고, 도 13은 진도가 3.0-4.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에 대한 수치 해석이다.11 is a graph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ses when the magnitude is 3.0-4.0, and FIGS. 12(a) and (b) show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ses when the magnitude is 3.0-4.0. 13 i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3.0-4.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3.0-4.0인 경우, 내진 가대의 경우 기존 가대 대비하여 응력 분포가 대체로 감소되었다.As illustrated in FIG. 11, when the magnitude is 3.0-4.0, the stress distribution is substantially reduced in the case of the seismic trest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ess.
도 12(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3.0-4.0인 경우, 기존 가대는 제진부 및 가대부에 전체적으로 응력 분포가 나타나는 반면, 내진 가대에서는 제진부의 일부에만, 특히 제진부에서 복수 개의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과 복수 개의 절단 구획과 연결 구획이 연결된 부분에만 응력 분포가 나타났다. 이때, 가대부에는 응력 분포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12(a) and (b), when the magnitude is 3.0-4.0, the existing trestle exhibits a stress distribution as a whole in the vibration damping section and the trestle section, whereas in the seismic trestle, only a part of the vibration damping section, in particular In the cliche, the stress distribution appeared only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nd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nd the connecting section.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ss distribution did not appear in the mount.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3.0-4.0인 경우, 기존 가대에서 변화량 백분율을 100%라고 했을 때, 내진 가대에서 변화량 백분율이 43%가 되어서 기존 가대 대비하여 내진 가대에서 57%의 최대 응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magnitude is 3.0-4.0, when the percentage of change in the existing trestle is 100%, the percentage of change in the seismic trestle becomes 43%, so that the maximum stress of 57% in the seismic trestle compared to the existing trestle It was confirmed that this decreasing effect was exhibited.
도 14는 진도가 5.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 그래프이고, 도 15(a) 및 (b)는 진도가 5.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를 도시하고, 도 16은 진도가 5.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에 대한 수치 해석이다.14 is a stress distribution graph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ses when the magnitude is 5.0, and FIGS. 15(a) and 15 (b) show the stress distributions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ses when the magnitude is 5.0, and FIG. 16 When the magnitude is 5.0, it i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5.0인 경우, 내진 가대의 경우 기존 가대 대비하여 응력 분포가 감소되었다.As shown in FIG. 14, when the magnitude is 5.0, the stress distribution is reduced in the case of the seismic trest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estle trestle.
도 15(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5.0인 경우, 기존 가대는 제진부 및 가대부에 전체적으로 응력 분포가 나타나는 반면, 내진 가대에서는 제진부의 일부에만, 특히 제진부에서 복수 개의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과 복수 개의 절단 구획과 연결 구획이 연결된 부분에만 응력 분포가 나타났다. 이때, 가대부에는 응력 분포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15(a) and (b), when the magnitude is 5.0, the existing trestle exhibits an overall stress distribution in the damping section and the trestle section, whereas in the seismic trestle, only a part of the damping section, particularly in the damping section The stress distribution appeared only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nd the part where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nd the connecting section were connected.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ss distribution did not appear in the mount.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5.0인 경우, 기존 가대에서 변화량 백분율을 100%라고 했을 때, 내진 가대에서 변화량 백분율이 17%가 되어서 기존 가대 대비하여 내진 가대에서 83%의 최대 응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16, when the magnitude is 5.0, when the percentage of change in the existing trestle is 100%, the percentage of change in the seismic trestle becomes 17%, and the maximum stress of 83% in the seismic trestle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estle. The effect was confirmed.
도 17은 진도가 6.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 그래프이고, 도 18(a) 및 (b)는 진도가 6.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를 도시하고, 도 19는 진도가 6.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에 대한 수치 해석이다.17 is a graph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6.0, and FIGS. 18(a) and (b) show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conventional trestle and seismic trestle when the magnitude is 6.0, FIG. 19 I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ses when the magnitude is 6.0.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6.0인 경우, 내진 가대의 경우 기존 가대 대비하여 응력 분포가 대체로 감소되었다.As shown in FIG. 17, when the magnitude is 6.0, the stress distribution is substantially reduced in the case of the seismic trestle compared to the existing trestle.
도 18(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6.0인 경우, 기존 가대는 제진부 및 가대부에 전체적으로 응력 분포가 나타나는 반면, 내진 가대에서는 제진부의 일부에만, 특히 제진부에서 복수 개의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과 복수 개의 절단 구획과 연결 구획이 연결된 부분에만 응력 분포가 나타났다. 이때, 진도가 5.0인 경우에 비해서, 연결 구획 내에 응력 분포가 넓게 나타나기는 했으나, 가대부에는 응력 분포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18(a) and (b), when the magnitude is 6.0, the existing trestle exhibits a stress distribution as a whole in the vibration damping section and the trestle section, whereas in the seismic trestle, only a part of the vibration damping section, especially in the vibration damping section, The stress distribution appeared only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nd the part where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nd the connecting section were connected.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ss distribution did not appear in the trestle part, although the stress distribution appeared broadly in the connection sec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intensity was 5.0.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5.0인 경우, 기존 가대에서 변화량 백분율을 100%라고 했을 때, 내진 가대에서 변화량 백분율이 42%가 되어서 기존 가대 대비하여 내진 가대에서 58%의 최대 응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19, when the magnitude is 5.0, when the percentage of change in the existing trestle is 100%, the percentage of change in the seismic trestle becomes 42%, and the maximum stress of 58% in the seismic trestle decreas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estle. The effect was confirmed.
도 20은 진도가 7.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 그래프이고, 도 21(a) 및 (b)는 진도가 7.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를 도시하고, 도 22는 진도가 7.0인 경우, 기존 가대와 내진 가대의 응력 분포에 대한 수치 해석이다.FIG. 20 is a graph of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ses when the magnitude is 7.0, and FIGS. 21(a) and 21 (b) show the stress distributions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ses when the magnitude is 7.0, and FIG. 22. I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trestle and seismic tresses when the magnitude is 7.0.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7.0인 경우, 내진 가대의 경우 기존 가대 대비하여 응력 분포가 대체로 감소되었다.As illustrated in FIG. 20, when the magnitude is 7.0, the stress distribution is substantially reduced compared to the existing trestle in the case of the seismic trestle.
도 21(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7.0인 경우, 기존 가대는 제진부 및 가대부에 전체적으로 응력 분포가 나타나는 반면, 내진 가대에서는 제진부의 일부에만, 특히 제진부에서 복수 개의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과 복수 개의 절단 구획과 연결 구획이 연결된 부분에만 응력 분포가 나타났다. 이때, 가대부에는 응력 분포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21 (a) and (b), when the magnitude is 7.0, the existing trestle exhibits an overall stress distribution on the damping section and the trestle section, whereas in the seismic trestle, only part of the damping section, especially in the damping section The stress distribution appeared only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nd the part where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nd the connecting section were connected.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ss distribution did not appear in the mount.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도가 7.0인 경우, 기존 가대에서 변화량 백분율을 100%라고 했을 때, 내진 가대에서 변화량 백분율이 41%가 되어서 기존 가대 대비하여 내진 가대에서 59%의 최대 응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22, when the magnitude is 7.0, when the percentage of change in the existing trestle is 100%, the percentage of change in the seismic trestle becomes 41%, and the maximum stress of 59% in the seismic trestle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estle stand. The effect was confirmed.
전술된 해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진도 2.0 미만일 경우에는 탄성에 의한 잔진동으로 5% 이내의 응력 가감이 발생되는 반면, 진도 3.0-7.0 범위일 경우에는, 기존 가대 대비 최대 응력이 약 50-60% 감소하였다.As shown in [Table 2], when the magnitude is less than 2.0, stress increase or decrease occurs within 5% due to the residual vibration due to elasticity, whereas in the case of the magnitude 3.0-7.0, the maximum stress is 50-50% compared to the existing trestle. Decreased.
결론적으로, 내진 가대에서 제진부의 탄성 거동을 통해서 가대부의 변형을 유발시키는 항복 응력에 도달할 가능성을 낮춰서 보다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by lowering the possibility of reaching the yield stress causing deformation of the mount through the elastic behavior of the damping unit in the seismic mount.
도 23(a) 내지 (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서 탄성 거동을 도시한다.23(a) to 23(c) show the elastic behavior in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3(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포함된 제진부의 수직방향 탄성 거동은 최대 0.25㎜가 되고, 횡방향 탄성 거동은 최대 0.1㎜가 되었다.23(a) and (b), the vertical elastic behavior of the vibration damping part included in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t most 0.25 mm, and the lateral elastic behavior is at most 0.1 mm. .
이에 의해서 기존 가대 대비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포함된 제진부의 경우 수직 반력이 12% 감소되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damping part included in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vertical reaction force was reduced by 12% compared to the existing trestle.
구체적으로, 기존 가대의 경우 평균 반력이 1.45X103N인 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포함된 제진부의 경우 평균 반력이 1.28X103N이 되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existing trestle, the average reaction force was 1.45X10 3 N, whereas in the case of the damping part included in the pi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average reaction force was 1.28X10 3 N.
도 24(a) 내지 (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서 탄성 거동을 도시한다.24(a) to 24(c) show the elastic behavior of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24(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포함된 제진부의 종방향 탄성 거동은 최대 0.40㎜가 되고, 횡방향 탄성 거동은 최대 0.40㎜가 되었다.24(a) and (b), the longitudinal elastic behavior of the vibration damping part included in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as at most 0.40 mm, and the transverse elastic behavior was at most 0.40 mm. .
이에 의해서 기존 가대 대비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포함된 제진부의 경우 수직 반력이 17% 감소되었다.As a result, the vertical reaction force was reduced by 17% in the case of the damping part included in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ompared to the existing trestle.
구체적으로, 기존 가대의 경우 평균 반력이 1.45X103N인 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 포함된 제진부의 경우 평균 반력이 1.27X103N이 되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existing trestle, the average reaction force was 1.45X10 3 N, whereas in the case of the damping part included in the pip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average reaction force was 1.27X10 3 N.
도 25(a) 내지 (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에서 θ1=40°인 경우 θ2에 따른 최대변위, 스프링 상수 및 최대허용하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25(a) to 25(c) are graphs showing changes in maximum displacement, spring constant, and maximum allowable load according to θ2 when θ1=40° in the pip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이때, θ1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에서 고정 구획에 연결된 호 길이에 상응하는 각도이고, θ2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 구획에 연결된 호 길이에 상응하는 각도이다.In this case, θ1 is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arc connected to the fixed s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utting sectio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θ2 is the length of the arc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utting sectio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s the corresponding angle.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1=40°인 경우 θ2에 따른 최대변위는 다음과 같다.25(a), when θ1=40°, the maximum displacement according to θ2 is as follows.
θ2가 20°인 경우 최대변위는 0.03272㎜가 되고, θ2가 25°인 경우 최대변위는 0.02976㎜가 되고, θ2가 30°인 경우 최대변위는 0.02712㎜가 되고, θ2가 40°인 경우 최대변위는 0.02278㎜가 되고, θ2가 50°인 경우 최대변위는 0.01960㎜가 될 수 있다.When θ2 is 20°, the maximum displacement is 0.03272 mm, when θ2 is 25°, the maximum displacement is 0.02976 mm, when θ2 is 30°, the maximum displacement is 0.02712 mm, and when θ2 is 40°, the maximum displacement Is 0.02278 mm, and when θ2 is 50°, the maximum displacement may be 0.01960 mm.
이와 같이 θ1=40°인 경우 θ2가 커질수록 최대변위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us, when θ1=40°, it can be seen that as θ2 increases, the maximum displacement decreases.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1=40°인 경우 θ2에 따른 스프링 상수는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25(b), when θ1=40°, the spring constant according to θ2 is as follows.
θ2가 20°인 경우 스프링 상수는 305.6kN/㎜가 되고, θ2가 25°인 경우 스프링 상수는 336.0kN/㎜가 되고, θ2가 30°인 경우 스프링 상수는 368.7kN/㎜가 되고, θ2가 40°인 경우 스프링 상수는 439.0kN/㎜가 되고, θ2가 50°인 경우 스프링 상수는 510.2kN/㎜가 될 수 있다.When θ2 is 20°, the spring constant becomes 305.6kN/mm, when θ2 is 25°, the spring constant becomes 336.0kN/mm, and when θ2 is 30°, the spring constant becomes 368.7kN/mm, and θ2 becomes In the case of 40°, the spring constant may be 439.0 kN/mm, and when θ2 is 50°, the spring constant may be 510.2 kN/mm.
이와 같이 θ1=40°인 경우 θ2가 커질수록 스프링 상수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when θ1=40°, the spring constant increases as θ2 increases.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1=40°인 경우 θ2에 따른 최대허용하중은 다음과 같다.25(c), when θ1=40°, the maximum allowable load according to θ2 is as follows.
θ2가 20°인 경우 최대허용하중은 1000㎏이 되고, θ2가 25°인 경우 최대허용하중은 1120㎏이 되고, θ2가 30°인 경우 최대허용하중은 1500㎏이 되고, θ2가 40°인 경우 최대허용하중은 1150㎏이 되고, θ2가 50°인 경우 최대허용하중은 1100㎏이 될 수 있다.When θ2 is 20°, the maximum allowable load is 1000kg, when θ2 is 25°, the maximum allowable load is 1120kg, when θ2 is 30°, the maximum allowable load is 1500kg, and θ2 is 40° In case the maximum allowable load is 1150 kg, and when θ2 is 50°, the maximum allowable load may be 1100 kg.
특히 θ1=40°이고 θ2가 30°인 경우, 다시 말해서 θ1과 θ2의 비가 1.3인 경우 최대허용하중이 최대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θ1=40° and θ2 is 30°, that is, when the ratio of θ1 and θ2 is 1.3,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aximum allowable load is the maximum.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에서 고정 구획에 연결된 호 길이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 구획에 연결된 호 길이의 차이가 크면, 제진부 중앙의 집중 하중에 의해서 제진부의 비틀림이 증가하여 보다 낮은 하중에서 영구 소성 변형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c length connected to the fixed s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utting section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arc length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utting section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s large, the center of the damping section is Due to the concentrated load, the torsion of the damping section increases, so that the permanent plastic deformation can be easily reached at a lower load.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the structure, device, etc. described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may be used.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10, 20, 30, 40: 배관 지지 장치
100, 200, 300, 400: 제진부
110, 210, 310, 410: 연결 구획
120, 220, 320, 420: 복수 개의 절단 구획
130, 230, 330, 430: 고정 구획10, 20, 30, 40: piping support device
100, 200, 300, 400: vibration damper
110, 210, 310, 410: connecting compartment
120, 220, 320, 420: multiple cutting compartments
130, 230, 330, 430: fixed compartment
Claims (7)
일면은 구조물 상에 장착되고 타면은 상기 가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제진부의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가대부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되며,
상기 제진부는,
상기 가대부가 연결되는 연결 구획;
상기 연결 구획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절단 구획; 및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 상에 고정되는 고정 구획;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에 의해서 상기 연결 구획 및 상기 고정 구획 사이의 공간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연결 구획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변위되는 배관 지지 장치.
A trestle provided to support the piping; And
One side is mounted on the structur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ount portion vibration damping unit for reducing the vibration of the structure;
Including,
A part of the vibration damping part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vibr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trestle part is displaced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The vibration damping unit,
A connection section to which the mount is connected;
A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disposed outside the connecting section; And
A fixing section disposed outside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nd fixed on the structure;
Including,
A pipe supporting device in which a space between the connecting section and the fixing section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nd the connecting section is displaced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연결 구획은 원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외측면이 만곡된 'I' 형상으로 마련된 제1 절단 구획;
상기 제1 절단 구획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호 형상으로 마련된 제2 절단 구획; 및
상기 제2 절단 구획보다 상기 연결 구획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호 형상으로 마련된 제3 절단 구획;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상기 연결 구획의 외주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2 절단 구획 및 상기 제3 절단 구획이 배치되는 배관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section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 first cutting section provided in an'I' shape with a curved outer surface;
A second cutting sec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tting section and provided in an arc shape; And
A third cutting sec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ng section than the second cutting section and provided in an arc shape;
Including,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re formed to be radially spac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section, and the pipe cutting device in which the second cutting section and the third cutting section ar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cutting sectio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기 연결 구획 및 상기 고정 구획이 서로 연결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연결 구획에 연결된 부분 및 상기 고정 구획에 연결된 부분은 각각 호 형상으로 마련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고정 구획에 연결된 부분의 호 길이에 상응하는 각도와 상기 연결 구획에 연결된 부분의 호 길이에 상응하는 각도의 비는 1 내지 1.6인 배관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ng section and the fixing s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pace between the first cutting section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utting sectio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ection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xing section are each provided in an arc shape,
A piping support device in which a ratio of an angle corresponding to an arc length of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xed section and an angle corresponding to an arc length of a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ection is 1 to 1.6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cutting sectio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상기 제2 절단 구획은 상기 제3 절단 구획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제3 절단 구획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제3 절단 구획이 상기 연결 구획의 외주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배관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cutting section is provided longer than the third cutting section,
The third cutting section is provided in plural, and a plurality of third cutting sections are arranged to be radially spac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section.
상기 연결 구획은 다각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상기 연결 구획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절단 구획;
상기 연결 구획의 코너 및 상기 제1 절단 구획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제2 절단 구획; 및
상기 제2 절단 구획의 외측에 배치된 제3 절단 구획;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상기 연결 구획의 외측을 따라서 이격 배치되는 배관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section is provided in a polygon,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 first cutting section disposed outside the connecting section;
A second cutting section bent to surround a corner of the connecting section and an outer side of the first cutting section; And
A third cutting section disposed outside the second cutting section;
Including,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re spaced apart from the piping support device along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section.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각각 'ㄱ'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은,
상기 연결 구획의 제1 측 및 제2 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 절단 구획;
상기 연결 구획의 제2 측 및 제3 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 절단 구획;
상기 연결 구획의 제3 측 및 제4 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 절단 구획; 및
상기 연결 구획의 제4 측 및 제1 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4 절단 구획;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절단 구획 중 인접하게 배치된 절단 구획의 일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배관 지지 장치.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is provided in an'a' shape or an'b' shape,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 first cutting section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connecting section;
A second cutting section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side and the third side of the connection section;
A third cutting section formed to surround the third and fourth sides of the connecting section; And
A fourth cutting section formed to surround the fourth side and the first side of the connection section;
Including,
A part of the plurality of cutting sections adjacent to the cutting section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piping support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5195A KR102123305B1 (en) | 2018-09-27 | 2018-09-27 | Pipe suppor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5195A KR102123305B1 (en) | 2018-09-27 | 2018-09-27 | Pipe suppor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5722A KR20200035722A (en) | 2020-04-06 |
KR102123305B1 true KR102123305B1 (en) | 2020-06-23 |
Family
ID=7028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5195A KR102123305B1 (en) | 2018-09-27 | 2018-09-27 | Pipe suppor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3305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1319B1 (en) * | 2013-09-11 | 2015-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ble bracket for transmissi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8658A (en) * | 2010-07-21 | 2010-08-10 | 성화시스템챤넬(주) | Assembly type pipe supporting frame for earthquake-proof construction |
-
2018
- 2018-09-27 KR KR1020180115195A patent/KR10212330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1319B1 (en) * | 2013-09-11 | 2015-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ble bracket for transmiss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5722A (en) | 2020-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3721B1 (en) | Earthquake-proof mold transformer | |
KR101537369B1 (en) | Hybrid damping system for mitigation of building vibration | |
US10410785B2 (en) | Cast resin transformer | |
KR101659278B1 (en) | Aseismatic molded transfomer | |
KR102332485B1 (en) | Device for earthquake-proofing of switchgear | |
CN211572063U (en) | Support for building that anti-seismic performance is good | |
US9261155B2 (en) | Compact vertical-motion isolator | |
EP3631231B1 (en) |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 |
KR102123305B1 (en) | Pipe supporting device | |
EP3312097A1 (en) | Lightweight passive attenuator for spacecraft | |
CN100497990C (en) | Steel-wire isolator | |
KR101393694B1 (en) | Friction damper | |
KR102213521B1 (en) | Earthquake-proof device | |
KR20160087447A (en) | Switchboard having earthquake proof device | |
KR20160087442A (en) | Switchboard having earthquake proof device | |
KR102013547B1 (en) | Seismic connector device for coupling cable tray | |
JP2004285599A (en) |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ructure | |
JP2018080804A (en) | Vibration control mechanism and ceiling structure | |
CN104831827A (en) | Isolation layer limit protective device of inter-layer seismic isolation structure | |
KR20160087440A (en) | Switchboard having earthquake proof device | |
KR101589380B1 (en) | Variable clamp system | |
KR102594372B1 (en) | Seismic steel pipe clamps for scaffolding | |
CN217480469U (en) | Vibration damper of building wall post | |
KR101567677B1 (en) | System for inducing yield | |
KR101294601B1 (en) | Damp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