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646B1 - Laptop cradle for using in the lying state - Google Patents

Laptop cradle for using in the lying st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646B1
KR102122646B1 KR1020180077869A KR20180077869A KR102122646B1 KR 102122646 B1 KR102122646 B1 KR 102122646B1 KR 1020180077869 A KR1020180077869 A KR 1020180077869A KR 20180077869 A KR20180077869 A KR 20180077869A KR 102122646 B1 KR102122646 B1 KR 10212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ptop
plate
fixing
guide
note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8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4687A (en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이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호 filed Critical 이기호
Priority to KR1020180077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646B1/en
Publication of KR2020000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6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6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023/049Desk stand for laptop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가 개시된다. 개시된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는 좌식탁자; 상기 좌식탁자에 회전되어 상기 좌식탁자에 겹치도록 인입되거나 상기 좌식탁자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인출되게 설치되는 회전지지판; 및, 상기 회전지지판에 설치되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isclosed is a laptop cradle for use. The disclosed laptop stand for lying down uses a left table; A rotating support plate which is rotated on the seating table and is installed to be drawn to overlap the seating table or to be drawn out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seating table; And a laptop fixing unit installed on the rotating support plate and vertically inserting and fixing the main body of the laptop to allow the user to use the laptop in a lying state.

Description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Laptop cradle for using in the lying state}Laptop cradle for using in the lying state}

본 발명은 누워서 사용하는 와식(臥式)형 노트북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방바닥, 거실, 마루, 침대 등에 편하게 바로 누워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p-type laptop cradle used to lie down,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ptop cradle used to lie down, allowing a user to lie down on the floor, living room, floor, bed, etc., using a laptop.

최근 휴대가 간편하다는 이유로 인하여 노트북, 넷북 등의 전자기기의 보급이 늘어나서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다. Recently, due to the convenience of portability, the spread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laptops and netbooks has increased, and many people are using it.

예를 들어, 노트북은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를 약칭한 것으로서, 개인이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노트 크기로 축소하여 제작된 컴퓨터를 말한다 상기한 노트북은 그 제작 특성을 통해 휴대하면서 필요시 언제 어디서든 문서작성 및 정보의 입, 출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For example, a notebook is a computer abbreviated to a notebook computer, and refers to a computer that is manufactured by reducing the size of a notebook to be used while an individual carries it.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can be input and output.

이러한 노트북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트북 거치대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노트북 거치대에 대해 등록실용신안 20-0469864호, 등록실용신안 20-0456534호, 등록특허 10-1256882호, 공개특허 10-2007-006910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These notebooks are often placed on a laptop cradle to be more convenient for users to use, and for these laptop cradles,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umber 20-0469864,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umber 20-0456534, and the registered patent 10-1256882 are us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69100 and the like.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노트북 거치대는 사용자가 테이블등에 놓고 사용자가 앉아서 사용하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허리, 어깨, 목 등에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laptop cradle was developed to be used by the user sitting on a table or the like, and when continuously used, it could cause pain in the back, shoulders, and neck.

즉, 기존의 노트북 거치대는 사용자가 가장 편한 누운 자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In other words, there was a pity that the existing laptop cradle had a structure that could not be used in the most comfortable lying position.

등록실용신안 20-0469864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9864 등록실용신안 20-0456534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6534 등록특허 10-1256882호Patent No. 10-1256882 공개특허 10-2007-0069100호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6910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바로 누운 자세에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ptop stand for lying down and having an improved form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use it in a lying position.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테이블로써의 기능도 함께 병행하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ptop stand for lying down and having an improved form so that the user can use it in a lying state, and also function as a ta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는 좌식탁자; 상기 좌식탁자에 회전되어 상기 좌식탁자에 겹치도록 인입되거나 상기 좌식탁자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인출되게 설치되는 회전지지판; 및, 상기 회전지지판에 설치되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aptop cradle used for lying dow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eft table; A rotating support plate which is rotated on the seating table and is installed to be drawn to overlap the seating table or to be drawn out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seating table; And a laptop fixing unit installed on the rotating support plate and vertically inserting and fixing the main body of the laptop to allow the user to use the laptop in a lying state.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지지판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 및, 상기 고정가이드에 전후 위치조정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 고정장착하도록 하는 조정가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notebook fixing unit, a fixing guide installed on the distal end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An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fixed by adjusting the front-rear position on the fixed guide, and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ment guide to vertically fit the body of the notebook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xed guide.

상기 좌식탁자는 접이식 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접이식 다리의 끝단에는 이동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The seating table has a folding leg, and a movable wheel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olding leg.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에 고정된 노트북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팔을 상기 좌식탁자의 밑으로 뻗어 마우스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패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ouse pad unit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table and allowing a user using a laptop fixed to the laptop fixing unit to extend an arm under the seating table to operate a mouse. .

상기 마우스패드부는,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의 말단에 겹쳐지거나 직각상태가 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우스패드; 및,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패드가 상기 회동바에 겹쳐지고, 상기 회동바가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회동바가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으로부터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쇠;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use pad portion, the pivot bar is fold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table; A mouse pad rotatably installed on the end of the pivot bar or at a right angle; And,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table, the mouse pad overlaps the pivoting bar, and the pivoting bar is superim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table, the pivoting bar is prevented from rotat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tabl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한편, 본 발명의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측방으로 수평되게 연장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상하 높이조정가능하도록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된 스탠드형 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고정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aptop crad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ortion supported on the ground, a vertical frame vertic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and horizontally extend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and vertically high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Stand type support frame composed of a horizontal frame to be adjustable; And a laptop fixing uni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and vertically inserting and fixing the main body of the laptop to allow the user to use the laptop in a lying state.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말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가이드; 및, 상기 고정가이드에 위치조정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 고정장착하도록 하는 조정가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aptop fixing unit, a fixing guide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n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fixed by adjusting the position in the fixed guide, the guide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ed guide to vertically fit the body of the notebook in the space between the fixed guide.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는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편안하게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좌식생활이 어렵고, 허리디스크, 목디스크 질병 등 전신이 불편한 환자 또는, 의자에 앉거나 서서 생활하는 직장인이나 학생들이 누워 쉬면서 편하게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laptop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comfortably use the laptop while lying down. It is difficult to have a sedentary lifestyle, and the patient with an uncomfortable whole body, such as a back disc or neck disc disease, or sits or stands on a chair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for office workers and students to lie down and relax while using a laptop.

즉, 기존의 노트북 거치대는 노트북을 앉아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허리나 어깨를 구부리는 불편한 자세를 유발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고개를 숙이는 자세에 의해 거북목 형태의 불편한 자세를 유발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쉽게 피로함을 느끼고 장시간 사용시에는 몸의 자세에 대한 불균형을 이루어 각종 질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가장 편하게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어, 노트북의 장시간 사용에도 쉽게 피로하지 않고 편안하게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existing laptop cradle is a structure in which a laptop can be used to sit down, causing an uncomfortable posture to bend the waist or shoulders, and an uncomfortable posture in the form of a turtle neck by inclining the head to view the display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asy to feel fatigue and can be exposed to various diseases by imbalance of the posture of the body when used for a long time, but when the laptop cradle used for lying dow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user can comfortably use the laptop while lying down. There is an effect that you can use the notebook comfortably without fatigue easily even for long periods of use.

아울러, 본 발명은 노트북 고정유닛을 지지하는 회전지지판이 좌식탁자에 힌지회전되도록 구성되어, 회전지지판을 좌식탁자에서 인출하거나 입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노트북 고정유닛을 사용하지 않을 때, 회전지지판을 좌식탁자에 인입시켜 전체적인 노트북 거치대의 부피를 줄여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회전지지판을 좌식탁자에서 펼쳐 인출시킨 후, 노트북을 누운 상태에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otating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laptop fixing unit is hinged to the left table, and configured to allow the rotating support plate to be pulled out or input from the left table, and when the laptop fixing unit is not used, the rotating support pl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 state where the laptop is lying down after being drawn into a left-side table and stored in a reduced volume of the entire laptop stand.

아울러, 본 발명은 좌식탁자에 식탁이나 공부상 테이블로서의 기능도 함께 병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좌식탁자의 접이식 다리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있어,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를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위치이동시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function as a table or study table on the left-side table, and the movable legs are provided on the folding legs of the left-side table, so that the laptop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mov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노트북 거치대가 사용상태로 형태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노트북고정유닛이 삭제된 상태에서 회전지지판이 좌식탁자 하면에 겹쳐지도록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에서 노트북 고정유닛이 회전지지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서 노트북 고정유닛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노트북 고정유닛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a), 조립된 상태(b)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노트북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대한 사용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노트북 거치대에서 수평지지바의 일부와 노트북 고정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대한 사용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ptop cradle for u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laptop cradle for u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ptop cradle of FIG. 2 is transformed into a use stat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support plate is superim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table in the state where the notebook fixing unit is deleted in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ptop fixing unit is separated from the rotating support plate in the laptop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rear of the notebook fixing unit in the laptop crad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eparate state (a), the assembled state (b) of each component of the notebook fix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use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laptop crad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front of the notebook in Figure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ptop cradle for u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ample of use for a laptop cradle for use lying dow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and the notebook fixing unit separated from the notebook holder shown in FIG. 10,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ptop cradle for u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emplary use diagram of a laptop cradle used for lying dow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contents ar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an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xemplary diagram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area illustrated at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refore,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attribut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for illustrating a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of the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lthough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comprises' and/or'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In describing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and understand the invention. However, a reader with knowledge in this field to the ext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can recognize that these various specific contents can be used without them.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cases,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nd which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haos from coming into account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10)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the laptop cradle 10 used for lying dow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1 실시 예에 다른 노트북 거치대(10)는 좌식탁자(110), 회전지지판(115), 노트북 고정유닛(130), 마우스패드부(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notebook cradl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t table 110, a rotating support plate 115, a notebook fixing unit 130, and a mouse pad unit 150.

좌식탁자(110)는 좌식테이블, 좌식상 등과 같이 사용자가 앉아서 사용하는 탁자로서, 탁자플레이트(111)와, 이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는 접이식 다리(1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seating table 110 is a table used by a user to sit down, such as a seating table or a seating tabl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table plate 111 and folding legs 113 provided at corners of the bottom of the table plate 111. do.

여기서, 접이식다리(113)는 좌식탁자에 맞게 300mm~500mm 범위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320mm의 길이를 적용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각각의 접이식다리(113)의 말단에는 좌식탁자(110)의 이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동바퀴(113a)가 구비된다. Here, the folding leg 113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ength in the range of 300mm to 500mm to fit the seating table, and in this embodiment, a length of 320mm was appli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vable wheel 113a is provided at the end of each folding leg 113 to increase the mobility of the seat table 110.

회전지지판(115)은 힌지(h1)에 의해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 테두리에서 회전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지지판(115)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테두리에 겹쳐놓을 수도 있고, 회전지지판(115)을 도 1 및 도 3과 같이, 탁자플레이트(111)에 직각되게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힌지(h1)를 중심으로 90도 회전시켜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rotation support plate 115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t the lower edge of the table plate 111 by the hinge h1. 2 and 4,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may be superim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11, and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may be perpendicular to the table plate 111, as shown in FIGS. It is configured to be rotated 90 degrees around the hinge (h1) so as to protrude outward.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제1슬롯부재(115a)와 제2슬롯부재(115b)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제1슬롯부재(115a)와 제2슬롯부재(115b) 사이에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slot member 115a and the second slot member 115b are configured to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distal end of the rotation support plate 115. The laptop fix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ot member 115a and the second slot member 115b.

구체적으로 제1슬롯부재(115a)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

Figure 112018066018363-pat00001
"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지지판(115)의 끝단 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제2슬롯부재(115b)는 "
Figure 112018066018363-pat00002
"로 이루어지며 제1슬롯부재(115a)와 이격되게 회전지지판(115)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slot member 115a, as shown in Figures 5 and 6, "
Figure 112018066018363-pat00001
"It is made of a ruler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end side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the second slot member 115b is"
Figure 112018066018363-pat00002
It is made of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lot member (115a).

제1슬롯부재(115a)와 제2슬롯부재(115b)는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각각 회전지지판(115)의 하면과의 사이에 끼움홈(s)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slot member 115a and the second slot member 115b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distal ends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and fitting grooves s are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s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as possible.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탁자플레이트(111) 하면에 "

Figure 112018066018363-pat00003
"으로 된 처짐방지부재(119)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처짐방지부재(119)는 탁자플레이트(111) 하면과의 사이에 삽입홈(119a)을 형성하여, 회전지지판(115)이 도 2나 도 4와 같이, 탁자 플레이트(111)의 하면에 겹쳐지도록 인입된 상태(보관상태)에서,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가 삽입홈(119a)에 삽입되어,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가 자중에 의해 쳐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present invention i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11"
Figure 112018066018363-pat00003
The deflection preventing member 119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The deflection preventing member 119 forms an insertion groove 119a between the table plate 111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4, in a state in which the table plate 111 is inserted so as to overlap the lower surface (storage state), the distal end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9a, and the distal end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is self-weight. It prevents being hit by.

노트북 고정유닛(130)은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노트북(20)의 본체(21)를 수직하게 끼운 형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노트북 고정유닛(130)은 회전지지판(115)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The notebook fixing unit 130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and is configured to fix the main body 21 of the notebook 20 in a vertically fitted form. The notebook fix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plate 115.

도 1,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노트북 고정유닛(130)은 고정가이드(132), 조정가이드(135) 및 고정볼트(13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1, 5 to 8, the notebook fix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guide 132, an adjustment guide 135 and a fixing bolt 138.

고정가이드(132)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수평고정판(133)과, 이 수평고정판(133)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일체로 연장되는 수직고정판(1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fixing guide 132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fixing plate 133 and a vertical fixing plate 134 vertically an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ixing plate 133 to be formed in a "b" shape.

조정가이드(135)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고정가이드(132)와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고정가이드(132)에 대해 전후 위치조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고정가이드(132)와의 사이공간에 노트북(20)의 본체(21)를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djustment guide 135 is made of a "b" shape,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a state overlapped with the fixed guide 132, is configured to be fixed by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relative to the fixed guide 132, the fixed guide ( 132)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main body 21 of the notebook 20 in the vertical space.

조정가이드(135)는 수평고정판(133)의 하면에 겹쳐지도록 고정되는 결합판(136)과, 이 결합편(136)의 끝단 양측에는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판(137)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adjustment guide 135 includes a coupling plate 136 fixed to overlap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ixing plate 133, and a pair of protruding plates 137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iece 136 It is configured to.

한 쌍의 돌출판(137)은 수직고정판(134)과 나란히 병렬로 배치되며, 한 쌍의 돌출판(137)과 수직고정판(134) 사이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노트북(20)의 본체(21)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137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and the body 21 of the notebook 20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137 and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by vertically fitting.

고정볼트(138)는 나비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조정가이드(135)를 고정가이드(132)에 위치조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The fixing bolt 138 is formed in the form of a butterfly bolt, and is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adjustment guide 135 by positioning it on the fixing guide 132.

본 발명에서,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는 볼트체결홀(n, 도6 참조)이 형성되고, 고정가이드(132)의 수평고정판(133)에는 제1볼트통과홀(133a, 도 7참조)이 형성되며, 조정가이드(135)의 결합판(136)에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를 갖는 장공형태의 제2볼트통과홀(136a)이 형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bolt fastening hole (n, see FIG. 6)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tation support plate 115, and the first bolt passing hole 133a (see FIG. 7)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fixing plate 133 of the fixing guide 132. This is formed, the coupling plate 136 of the adjustment guide 135 is formed with a second bolt through hole 136a in the form of a long ho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은 고정가이드(132)의 수평고정판(133)과 조정가이드(135)의 결합판(136)을 겹친 상태에서, 겹쳐진 수평고정판(133)과 결합판(136)을 회전지지판(115)의 하면에 겹쳐지도록 한 쌍의 슬롯부재(115a,115b)에 형성된 양측의 끼움홈(s)에 끼워 삽입시킨 후, 고정볼트(138)를 제2볼트통과홀(136a) 및 제1고정볼트(133a)에 통과시키고, 볼트체결홀(n)에 나사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수평고정판(133)과 결합판(136)이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게 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fixing plate 133 of the fixing guide 132 and the coupling plate 136 of the adjusting guide 135 overlap, and the overlapping horizontal fixing plate 133 and the coupling plate 136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s on both sides formed in the pair of slot members 115a and 115b so as to overlap the bottom surface, the fixing bolt 13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lt passing hole 136a and the first fixing bolt 133a. ), and screwed into the bolt fastening hole (n) and tightened, so that the horizontal fixing plate 133 and the coupling plate 136 can be fixed in an overlapped state at the distal end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이때, 제2볼트통과홀(136a)이 장공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결합판(136)을 수평고정판(133)에 대해 폭방향으로 전후 이동시켜 위치조정한 후, 고정볼트(138)를 조여 수평고정판(133)과 결합판(136)을 회전지지판(115)에 고정시켜 줌으로써, 노트북(20)의 본체(20) 두께에 맞게 수직고정판(134)과 돌출판(137)의 사이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bolt passing hole 136a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late 136 is moved back and forth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ixing plate 133, and then the horizontal fixing plate is tightened by tightening the fixing bolt 138 By fixing the 133 and the coupling plate 136 to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the gap between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and the protruding plate 137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20 of the notebook 20. .

한편, 본 발명은 한 쌍의 돌출판(137)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직고정판(134)과 한 쌍의 돌출판(137) 사이에 노트북(20)의 본체(21)를 끼워 고정하는 경우, 도 9와 같이, 한 쌍의 돌출판(137) 사이에 노트북 터치패드(22)가 노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노트북 터치패드(22)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ir of protrusion plates 137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main body 21 of the notebook 20 is fixed between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and the pair of protrusion plates 137.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the notebook touchpad 22 may be exposed between the pair of protrusions 137,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notebook touchpad 22.

아울러, 한 쌍의 돌출판(137)의 상하길이는 노트북(20)의 본체(21)의 키보드부(24)가 형성되지 않은 하부의 상하길이 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노트북(20)의 키보드(24)가 한 쌍의 돌출판(137)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완전히 노출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키보드부(24)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137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lower portion where the keyboard portion 24 of the main body 21 of the notebook 20 is not formed, so that the keyboard 20 of the notebook 20 ( Since 24) is configured to be completely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a pair of protruding plates 137, the user can use the keyboard unit 24 more conveniently.

또한, 도 8과 같이, 노트북(20)의 본체(21)가 수직고정판(134)과 한 쌍의 돌출판(137)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노트북(20)의 디스플레이부(25)는 본체(21)에 대해 소정각도로 각도조정하여, 바로 누워 있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25)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hile the main body 21 of the notebook 20 is sandwiched between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and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137, the display unit 25 of the notebook 20 is The angle of the main body 21 can be adjusted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user lying on the floor can easily see the display unit 25.

본 발명은 노트북(20)의 본체(21)의 두께에 맞게 수직고정판(134)과 돌출판(137)의 사이간격을 조정하여 조정가이드(135) 및 고정가이드(132)를 회전지지판(115)에 고정볼트(138)로 고정시킨 다음, 노트북(20)의 본체(21)를 간격조정된 수직고정판(134)과 한 쌍의 돌출판(137) 사이에 끼워서 고정시킨 후 도 3 및 도 8과 같이, 회전지지판(115)을 탁자플레이트(111)에 대해 외측으로 직각되게 돌출되도록 조작해 노트북(20)의 키보드부(24)가 바로 누운 사용자의 명치 부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노트북(20)을 편하게 바로 누운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spacing between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and the protruding plate 137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21 of the notebook 20, so that the adjusting guide 135 and the fixing guide 132 rotate the support plate 115 After fixing with a fixing bolt 138, the main body 21 of the notebook 20 is sandwiched between the vertically fixed vertical fixing plate 134 and a pair of protruding plates 137, and then fixed. Likewise,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is manipulated to protrude perpendicularly to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table plate 111 so that the keyboard portion 24 of the laptop 2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user's face lying down, and then the laptop ( 20) can be used in a comfortable lying state.

본 발명의 마우스패드부(150)는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 고정유닛(130)에 고정거치된 노트북(20)을 사용할 때, 노트북(20)과 연결된 마우스를 보다 편리하게 조작하는 패드로서 이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mouse pad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pad for more conveniently operating the mouse connected to the notebook 20 when using the notebook 20 fixedly mounted on the notebook fixing unit 130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lying down. It is a configuration to do.

구체적으로, 마우스패드부(150)는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고정된 회전지지부(151)와, 이 회전지지부(151)에 대해 피봇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탁자플레이트(111)에 대해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된 회동바(153)와, 이 회동바(153)의 말단에 회전되게 설치되되, 회동바(153)에 겹쳐지거나 또는 직각을 이루는 범위에서 회전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우스패드(15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mouse pad portion 150 is formed to be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151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11, and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151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table plate 111 The rotation bar 153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use pad 155 that is installed to be rotat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bar 153, and overlaps or rotates at a right angle to the rotation bar 153. It is composed.

도 8을 참조하면, 마우스패드부(150)는 도 8의 (a)와 같이, 회동바(153)를 탁자플레이트(111)에 대해 직각되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마우스패드(155)를 회동바(153)의 말단에 직각되게 조작하여 사용상태가 되도록 한 후, 사용자가 바로 누운상태에서 노트북(20)을 사용하면서 팔을 탁자플레이트(111) 밑으로 펴서 마우스패드(155)에 마우스를 올려놓고 마우스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회동바(153)의 길이는 접이식 다리(113)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사용상태시, 도 8의 (a)와 같이, 마우스패드(155)가 바닥에 대해 약간 떨어져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식 다리(113)를 320mm로 구성하는 경우, 회동바(153)의 길이는 250mm로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mouse pad unit 150 rotates the mouse pad 155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bar 153 is rotated perpendicularly to the table plate 111 as shown in FIG. 8(a). After operating at a right angle to the end of the (153) to be in a use state, while the user is lying down, while using the laptop (20), spread out his arms under the table plate (111) and place the mouse on the mouse pad (155). Mouse operation is 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rotation bar 153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folding leg 113, and when in use, as shown in FIG. 8(a), the mouse pad 155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Can be. For example, when the folding leg 113 is configured to 320 mm, the length of the pivoting bar 153 may be configured to 250 mm.

반면, 마우스패드부(1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8의 (b)와 같이, 마우스패드(155)를 회동바(153)에 겹치고, 회동바(153)를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겹치지는 보관상태가 되도록 조작해 둘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use pad portion 150 is not used, as shown in FIG. 8(b), when the mouse pad 155 overlaps the rotation bar 153, and the rotation bar 153 of the table plate 111 Can be manipulated to be in a storage state that overlaps.

마우스패드부(150)는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설치되는 잠금쇠(15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use pad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lamp 157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11.

잠금쇠(157)는 도어잠금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전진 조작에 따라, 도 8의 (b)와 같이, 마우스패드(155)가 회동바(153)에 겹치고, 회동바(153)가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겹쳐지는 보관상태에서, 회동바(153)가 탁자플레이트(111)에 대해 펼쳐지지 않도록 회동바(153)를 회동을 금지시키는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반면, 사용자가 잠금쇠(157)를 잠금쇠(157)를 후퇴시켜 회동바(153)의 회동규제를 해제해줌으로써, 회동바(153)를 탁자플레이트(111)에 대해 직각되게 회동시키고, 마우스패드(155)를 회동바(153)의 말단에 직각되게 회전시켜 사용상태로 조작가능하도록 해줄 수 있다. The lock 157 may be composed of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user's forward operation, as shown in FIG. 8 (b), the mouse pad 155 overlaps the rotation bar 153, and the rotation bar 153 is a table In the storage state overlapping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111, the locking bar 153 can be locked so as not to be unfolded against the table plate 111 so that the rotation bar 153 is prevented from rotating, whereas the user By turning the lock 157 to retract the lock 157 to release the rotation regulation of the rotation bar 153, the rotation bar 153 is rotated perpendicularly to the table plate 111, and the mouse pad 155 is rotated. Rotating at a right angle to the end of the rotation bar 153 can be made operable in use.

이처럼, 본 발명은 노트북 고정유닛(130)에 노트북(20)의 본체(21)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하고, 회전지지판(115)을 탁자플레이트(115)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시켜(다시 말해, 회전지지판(115)을 탁자플레이트(115)에 대해 인출되도록 펼쳐서), 사용자가 좌식탁자(110)의 일측방에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 고정유닛(130)에 고정거치된 노트북(20)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vertically inserting the main body 21 of the notebook 20 into the notebook fixing unit 130, and rotating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table plate 115 (in other words, , By rotating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to be withdrawn relative to the table plate 115), the user 20 conveniently fixed to the laptop 20 fixed to the laptop fixing unit 130 in a state where the user lies directly on one side of the seat table 110 Can be used.

한편, 노트북(20)이 노트북 고정유닛(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지지판(115)을 도 2와 같이, 탁자플레이트(115)의 하면 측으로 인입되도록 회전하여 접어줌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회전지지판(115) 및 노트북 고정유닛(130)에 걸리지 않고 방해없이 편안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notebook 20 is fixed to the notebook fixing unit 130, the user rotates and folds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so that it enters the lower side of the table plate 115, as shown in FIG. Without being caught by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and the laptop fixing unit 130, it is possible to rise comfortably without obstruction.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10)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노트북을 거치해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시간 편안한 자세에서 안정적으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날씨가 추울 때에는 바로 누운상태에서 담요나 침구 등을 덮어 따뜻하게 몸을 보온시키면서 편하게 노트북을 사용할 수도 있게 해준다. The laptop cra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reliably use the laptop in a comfortable position for a long time because the laptop is mounted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laptop while lying down, as well as lying down when the weather is cold. Covers blankets or bedding while keeping warm to keep your body warm.

아울러, 본 발명은 좌식탁자(110)의 탁자플레이트(111)의 하면에 마우스패드부(150)가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바로 누워서 노트북(20)을 사용할 때, 팔을 탁자플레이트(111)의 내측으로 뻗어서 가장 편안자세에서 마우스의 이용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use pad unit 150 is configur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11 of the leg table 110, when the user is lying down and using the laptop 20, the arm of the table plate 111 It can be extended inwards to make the mouse accessible in the most comfortable position.

한편,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노트북 고정유닛(130)은 고정가이드(132)의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일측부에 접철식 용지걸이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용지걸이대(140)는 힌지(145)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제1관절바(141) 및 제2관절바(143)로 이루어지며, 제1관절바(141)의 말단에는 힌지축(146)이 구비되고, 이 힌지축(146)이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피봇가능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1 and 6, the laptop fixing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foldable paper hanger 140 on one side of the upper rear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of the fixing guide 132. Paper hanger 140 is made of a pair of first joint bar 141 and second joint bar 143 connected by a hinge 145, the hinge shaft 146 at the end of the first joint bar 141 This is provided, the hinge shaft 146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rear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is configured to be pivotable.

따라서, 용지걸이대(140)는 제1관절바(141) 및 제2관절바(143)가 서로 접어진 상태로 도 1과 같이, 수직고정판(134)에 겹쳐져 보관위치에 있거나, 사용자가 제1관절바(141) 및 제2관절바(143)를 수직고정판(134)에 대해 우측으로 펼쳐서 도 6과 같이 수직고정판(134)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조작한 후, 제2관절바(143)에 집게(미도시) 등의 부재를 이용해 원고나, 메모, 인쇄종이 등의 용지를 걸어두어 노트북(20)을 통한 문서 작업등을 용이하게 해낼 수 있다. Therefore, the paper holder 140 is in the storage position overlapped with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as shown in Figure 1, the first joint bar 141 and the second joint bar 143 are folded to each other, or the user is the first After the joint bar 141 and the second joint bar 143 are extend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ixation plate 134 and manipulated to extend outside the vertical fixation plate 134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joint bar 143 Using a member such as tongs (not shown), a document such as a manuscript, a memo, or printing paper can be hung to facilitate document work through the notebook 20.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용지걸이대(140)는 제1관절바(141)의 말단에 형성된 힌지축(146)이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제1관절바(141)의 말단에 형성된 힌지축(146)을 수직고정판(134)의 후면 상단의 타측부에 이동설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타측부에는 힌지축(146)이 결합가능한 결합공이 형성되어, 이 결합공에 힌지축(146)을 삽입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타측부에는 힌지축(146)을 수직고정판(134)의 후면 상단의 일측부에 결합고정하여 사용하다가, 힌지축(146)을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일측부에서 분리한 후, 힌지축(146)을 수직고정판(134) 후면 상단의 타측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해 용지걸이대(140)의 설치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용지걸이대(140)를 수직고정판(134)에 대해 좌측으로 펼쳐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aper hange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shaft 146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joint bar 141 is supposed to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rear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1, the hinge shaft 146 formed at the end of the joint bar 141 may be configured to be used by moving and installing the other side of the upper rear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In this case, a coupling hole to which the hinge shaft 146 can be coupl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top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and is configured to insert and hinge the hinge shaft 146 into the coupling hole, and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rear top The other side of the hinge shaft 146 is used by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rear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and then, after separating the hinge shaft 146 from one side of the upper rear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the hinge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aper holder 140 by coupling the shaft 146 to the coupl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top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the paper holder 140 is extend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It can be configured for use.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a laptop cradle used for lying dow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1 실시 예의 노트북 거치대는 좌식탁자(110)에 회전지지판(115)이 구비되고, 이 회전지지판(115)에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온돌방등의 방바닥에 누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였으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스탠드형 지지프레임(200) 상에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설치되어 침대 상에서 사용자가 바로 누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laptop cradle of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upport plate 115 on the seating table 110, and a laptop fixing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so that the user can lie on the floor of a room such as a heated room. The form, however, differs in that the laptop crad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laptop fixing unit 130 is installed on a stand-type support frame 200 so that the user can lay on the bed and use it.

즉, 제 2 실시 예의 노트북 고정유닛(130)은 제 1 실시 예의 고정유닛(130)과 동일하며, 이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스탠드형 지지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구조에 특징이 있다. That is, the laptop fixing unit 13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xing unit 13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is laptop fixing unit 130 is characterized in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on the stand-type support frame 200.

스탠드형 지지프레임(200)은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210)와, 이 베이스(210)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20)과, 이 수직프레임(220)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프레임(220)으로부터 측방으로 수평연장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stand-type support frame 200 includes a base 210 supported on the ground, a vertical frame 220 vertically installed from the center of the base 210, and vertically movable along the vertical frame 2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frame 230 that is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vertical frame 220 to the side.

베이스(210)는 삼각판부(212)와, 이 삼각판부(212)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3개의 연장바(2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삼각판부(212)의 외측으로 3개의 연장바(214)가 연장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지면과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base 2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iangular plate portion 212 and three extension bars 214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an edge of the triangular plate portion 212. Since the three extension bars 214 ar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triangular plate portion 212, the supporting force with the ground can be improved.

수직프레임(220)은 삼각판부(212)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며, 원형봉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vertical frame 220 is vertically extended from the center of the triangular plate portion 212, and is formed in a circular rod shape.

수직프레임(220)은 슬라이딩부재(231), 회전링(232), 및 수평지지바(2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vertical frame 2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liding member 231, a rotating ring 232, and a horizontal support bar 234.

슬라이딩부재(231)는 상하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수직프레임(220)이 삽입되어 수직프레임(22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딩부재(231)의 일측에는 조임볼트(231a)가 구비되며, 이 조임볼트(231a)는 슬라이딩부재(231)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나사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조임볼트(231a)를 조여주는 경우, 조임볼트(231a)의 끝단이 수직프레임(220)을 가압하여 슬라이딩부재(231)가 수직프레임(220)에 대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고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된다. Sliding member 231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that is opened up and down, the vertical frame 220 is inserted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sliding along the vertical frame 220. One side of the sliding member 231 is provided with a tightening bolt (231a), the tightening bolt (231a) is configured to screw the sliding member 231 in a form that penetrat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tightening bolt (231a) When tightening, the end of the tightening bolt 231a presses the vertical frame 220 so that the sliding member 231 i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220 without flowing down.

회전링(232)은 슬라이딩부재(231)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부재(231)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외측으로 수평지지바(234)가 연장형성되도록 구성된다. The rotating ring 232 is installed on the sliding member 231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sliding member 231,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extends outward.

수평지지바(234)는 회전링(232)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수평지지바(234)의 말단부에는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고정설치된다. 아울러, 수평지지바(234)는 슬라이딩부재(231)의 높이조정에 따라 높이가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is configured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rotating ring 232 to the outside, and the laptop fixing unit 130 is fixedly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In addition,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sliding member 231.

제 1 실시 예에서는 회전지지판(115)의 말단부에 고정가이드(132) 및 조정가이드(135)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었으나, 제 2 실시 예에서는 수평지지바(234)의 끝단부에 고정가이드(132) 및 조정가이드(135)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xed guide 132 and the adjustment guide 135 are detachably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115,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xed guid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132 and the adjustment guide 135 may be installed detachably.

본 실시 예에서 수평지지바(234)는 제1사각파이프(234a)와 제2사각파이프(234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square pipe 234a and a second square pipe 234b.

제1사각파이프(234a)의 후단은 회전링(232)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제1사각파이프(234a)는 제2사각파이프(234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길이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사각파이프(234b)에는 나사홀(235)이 형성되어, 조임볼트(미도시)를 나사홀(235)을 통해 조여줌으로써, 제1사각파이프(234a)와 제2사각파이프(234b)의 길이조정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rear end of the first square pipe 234a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ing 232, and the first square pipe 234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quare pipe 234b and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and adjustable in length. It is configured to. A screw hole 235 is formed in the second square pipe 234b, and by tightening the fastening bolt (not shown) through the screw hole 235, the first square pipe 234a and the second square pipe 234b are tightened. It is configured to fix the length adjustment condition.

아울러, 제2사각파이프(234b)의 말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18066018363-pat00004
" 형태로 이루어진 슬롯부재(236)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슬롯부재(236)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홈(s)에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제2사각파이프(234b)의 말단부에는 볼트의 체결이 가능한 볼트체결홀(n)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square pipe (234b)"
Figure 112018066018363-pat00004
The slot member 236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the form. It is configured to insert the notebook fixing unit 130 into the fitting groove 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ot member 236, and the second square pipe 234b. The end portion of the bolt is configured to form a bolt fastening hole (n) capable of fastening.

상기한 구성으로, 고정가이드(132)의 수평고정판(133)과 조정가이드(135)의 결합판(136)을 겹친 상태에서, 겹쳐진 수평고정판(133)과 결합판(136)이 제2사각파이프(234b)의 하면에 겹쳐지도록 슬롯부재(236)의 끼움홈(s)에 끼워 삽입시킨 다음,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볼트(138)를 결합판(136)에 형성된 제2볼트통과홀(136a) 및 수평고정판(133)에 형성된 제1볼트통과홀(133a)에 통과시킨 후, 제2사각파이프(234b)의 말단에 형성된 볼트체결홀(n)에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결합판(136)과 수평고정판(133)이 수평지지바(234)의 말단부 즉, 제2사각파이프(234b)의 말단부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fixing plate 133 of the fixing guide 132 and the coupling plate 136 of the adjusting guide 135 are overlapped, the overlapping horizontal fixing plate 133 and the coupling plate 136 are the second square pipes. After inserting it into the fitting groove s of the slot member 236 so as to overlap with the lower surface of (234b),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xing bolt 138 is formed on the coupling plate 136, the second bolt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bolt passing hole 133a formed in the through hole 136a and the horizontal fixing plate 133, the bolt is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n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quare pipe 234b to be coupled. The plate 136 and the horizontal fixing plate 133 may be position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that is,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square pipe 234b.

이때, 제2볼트통과홀(136a)이 장공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결합판(136)을 수평고정판(133)에 대해 폭방향으로 전후 이동시켜 위치조정한 후, 고정볼트(138)를 조여 수평고정판(133)과 결합판(136)을 수평지지바(234)에 고정시켜 줌으로써, 노트북(20)의 본체(20) 두께에 맞게 수직고정판(134)과 돌출판(137)의 사이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bolt passing hole 136a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late 136 is moved back and forth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ixing plate 133, and then the horizontal fixing plate is tightened by tightening the fixing bolt 138 By fixing the 133 and the coupling plate 136 to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the gap between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and the protruding plate 137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20 of the notebook 20. have.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고정가이드(132)과 조정가이드(135)를 수평지지바(234)에 고정되도록 결합시킨 다음, 노트북 고정유닛(130)의 수직고정판(134)과 한 쌍의 돌출판(137) 사이 공간에 노트북(20)의 본체(21)를 수직하게 끼워 고정장착하고, 슬라이딩부재(231)의 높낮이 및 수평지지바(234)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침대에 누운 사용자의 명치 부근에 노트북 본체(21)의 하단이 근접하도록 한 후, 침대(30) 상에 누워서 편안하게 노트북(2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ombines the fixing guide 132 and the adjusting guide 135 to be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and then the vertical fixing plate 134 of the laptop fixing unit 130 and a pair of protruding plates ( 137) The main body 21 of the notebook 20 is vertically inserted and fixed in the interspace, and the height of the sliding member 231 and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are adjusted appropriately, so that the user lying on the bed After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21 is brought close to the vicinity, the notebook 20 can be comfortably used by lying on the bed 30.

이때, 베이스부(210) 일측의 연장바(214)는 침대(30)의 밑으로 삽입되어, 수직프레임(220)이 침대(30)의 측단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extension bar 214 on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210 is inserted under the bed 30, so that the vertical frame 220 is preferably positioned to be disposed close to the side end of the bed 30.

한편, 사용자는 노트북(20)의 사용이 완료된 후, 침대(30)에서 일어나고자 하는 경우, 수평지지바(234)를 슬라이딩부재(231)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대략 90도)시켜 수평지지바(234) 및 노트북 고정유닛(130)이 사용자가 일어날때 방해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시켜 놓고 일어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wake up from the bed 30 after the use of the laptop 20 is completed, the horizontal support bar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sliding member 231 (about 90 degrees). When the user 234 and the notebook fixing unit 130 is placed in an area that does not interfere, it may occur.

아울러, 노트북(20)이 노트북고정유닛(130)에 고정되어 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를 노트북 본체(21) 측으로 접어주면 전원이 자동으로 꺼치므로, 효율적으로 노트북을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notebook 20 is fixed and mounted on the notebook fixing unit 130, when the display unit 25 is folded to the notebook body 21, power is automatically turned off, so that the notebook can be efficiently managed. .

이처럼, 제 2 실시 예의 노트북 거치대는 사용자가 침대에서 바로 누워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피로회복은 물론이고 누워서 쉬면서 노트북을 사용하기 때문에 업무능률도 향상될 수 있으며, 학업이나 직장, 사회생활에서 지친 피로를 풀면서 앉는 것을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laptop cradle of the second embodiment allows a user to more conveniently lie down on the bed directly, so as to recover from fatigue of the user and use the laptop while lying down, work efficiency can also be improved. , It can be useful for those who have a hard time sitting down to relieve tiredness in social life.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간이 협소하여 베이스부(210)를 설치하기 힘든 경우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벽에 경첩형태의 브라켓(미도시)을 설치하고, 이 경첩브라켓에 수평지지바(234)의 후단 즉, 제1사각파이프(234a)의 후단을 고정설치하여 수평지지바(234)를 벽에 대해 회전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base portion 210 due to the small spac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hinge-type bracket (not shown) on the wall, and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on the hinge bracket ), that is, the rear end of the first square pipe 234a is fixedly installed,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wall.

즉, 제 2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210), 수직프레임(220), 슬라이딩부재(231), 회전링(232)의 구성이 삭제되고, 수평지지바(234)를 벽면에 설치된 경첩형 브라켓에 좌우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노트북 고정유닛(130)을 벽쪽으로 근접하게 회전시켜 놓고, 사용시, 노트북 고정유닛(130)을 보관위치에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portion 210, the vertical frame 220, the sliding member 231, the rotating ring 232 is deleted, the horizontal support bar 234 is installed on the wall hinge-type bracket When not in use, the notebook fixing unit 130 is rotated close to the wall when not in use, and when used, the notebook fixing unit 130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storage position to be used.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laptop cradle used for lying dow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제 3 실시 예는 제 2 실시 예에 비해 스탠드형 지지프레임(200)의 베이스(210')의 형태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베이스(21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The third embodiment differs only in the form of the base 210' of the stand-type support frame 200 as compared with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so only the base 210' will be described.

제 2 실시 예에서 베이스(210)는 삼각판부(212)와, 이 삼각판부(212)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3개의 연장바(214)를 포함하는 구성이었으나, 제 3 실시 예에서 베이스(210')는 4개의 연장바(216)가 "+"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4개의 연장바(216)가 연결되는 중심에는 수직프레임(220)이 수직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ase 210 was configured to include a triangular plate portion 212 and three extension bars 214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an edge of the triangular plate portion 212, bu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base 210 ′ is configured such that four extension bars 216 form a “+” shape, and a vertical frame 220 may be vertically installed at the center to which the four extension bars 216 are connect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acts as illustrated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modifications and corrections and equival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좌식탁자
111...탁자플레이트
113...접이식 다리
113a...이동바퀴
115...회전지지판
130...노트북 고정유닛
132...고정가이드
133...수평고정판
134...수직고정판
135...조정가이드
136...결합판
137...돌출판
138...고정볼트
140...용지걸이대
141...제1관절바
143...제2관절바
150...마우스패드부
151..회전지지부
153...회동바
155...마우스패드
157...잠금쇠
210...베이스부
212...삼각판부
214...연장바
220...수직프레임
230...수평프레임
231...슬라이딩부재
232...회전링
234...수평지지바
110...Seat table
111...Table Plate
113...folding legs
113a... traveling wheel
115...Rotating support plate
130...Notebook fixing unit
132...Fixed Guide
133...Horizontal fixed version
134...Vertical Fixture
135...Adjustment guide
136...combination plate
137...
138...Fixed bolt
140...paper hanger
141...the first joint bar
143...second joint bar
150...Mouse pad
151..Rotating support
153...Rotating bar
155...mouse pad
157...lock
210...base part
212...triangular plate
214...Extended Bar
220...vertical frame
230...horizontal frame
231...Sliding member
232... swivel ring
234... horizontal support bar

Claims (7)

좌식탁자;
상기 좌식탁자에 회전되어 상기 좌식탁자에 겹치도록 인입되거나 상기 좌식탁자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인출되게 설치되는 회전지지판; 및,
상기 회전지지판에 설치되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지지판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 및,
상기 고정가이드에 전후 위치조정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 고정장착하도록 하는 조정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가이드는 수평고정판과, 상기 수평고정판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일체로 연장되는 수직고정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정가이드는 하단이 상기 고정가이드와 겹쳐지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 끝단 양측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지지판의 하면에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제1슬롯부재와 제2슬롯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고정판과 상기 돌출판의 사이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수평고정판과 상기 결합판이 겹쳐진 상태로 상기 제1슬롯부재와 상기 제2슬롯부재에 형성된 양측의 끼움홈에 삽입시킨 후, 고정볼트를 상기 서로 겹쳐진 수평고정판과 결합판에 관통시키고 상기 회전지지판에 형성된 볼트체결홀에 나사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상기 고정가이드와 상기 조정가이드가 상기 회전지지판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트북의 본체는 상기 수직고정판과 상기 한 쌍의 돌출판 사이에 끼워 고정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판 사이로 상기 노트북 본체의 터치패드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판의 상하길이는 상기 노트북 본체의 키보드부가 형성되지 않은 하부은 상기 노트북 본체 하부의 상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노트북의 키보드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판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완전히 노출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Sitting table;
A rotating support plate which is rotated on the seating table and is installed to be drawn to overlap the seating table or to be drawn out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seating table; And,
It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upport plate, the laptop fixing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use the laptop in a state lying down by vertically inserting the main body of the laptop;
The notebook fixing unit,
A fixing guide installed at an end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And,
It is installed to be fixed by adjusting the front-rear position on the fixed guide, and an adjustment guide to vertically fit and mount the main body of the notebook in a space between the fixed guide and includes.
The fixing guide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fixing plate and a vertical fixing plate extending integrally vertically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fixing plate,
The adjustment guide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plate having a lower end overlapping the fixing guide, and a pair of protruding plates extending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coupling plate,
A first slot member and a second slot member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fte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fixing plate and the protruding plate, the horizontal fixing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on both sides formed in the first slot member and the second slot member, and the fixing bolts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The fixing guide and the adjusting guide ar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rotating support plate by penetrating the overlapped horizontal fixing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and screwing and tightening the bolt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rotating support plate.
The main body of the notebook is fixedly mounted between the vertical fixing plate and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and configured to expose the touch pad of the notebook body between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portion where the keyboard portion of the laptop body is not formed is small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aptop body, so that the keyboard portion of the laptop is not obscured by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A laptop stand for lying dow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expos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식탁자는 접이식 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접이식 다리의 끝단에는 이동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table is provided with a foldable leg, and a laptop stand used for lying down, characterized in that a mobile wheel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oldable le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에 고정된 노트북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팔을 상기 좌식탁자의 밑으로 뻗어 마우스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a mouse pad part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table so that a user using a laptop fixed to the laptop fixing unit extends an arm under the seating table to operate a mouse. A laptop stand for lying dow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패드부는,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의 말단에 겹쳐지거나 직각상태가 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우스패드; 및,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패드가 상기 회동바에 겹쳐지고, 상기 회동바가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회동바가 상기 좌식탁자의 하면으로부터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The mouse pad portion,
A rotating bar foldably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 table;
A mouse pad rotatably installed on the end of the pivot bar or at a right angle; And,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table, the mouse pad overlaps the pivoting bar, and the pivoting bar is superim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table, so that the pivoting bar is prevented from rotat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table. Laptop stand for use lying down, characterized in that.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측방으로 수평되게 연장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상하 높이조정가능하도록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된 스탠드형 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서 고정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바로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노트북 고정유닛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 및,
상기 고정가이드에 전후 위치조정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노트북의 본체를 수직하게 끼워 고정장착하도록 하는 조정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가이드는 수평고정판과, 상기 수평고정판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일체로 연장되는 수직고정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정가이드는 하단이 상기 고정가이드와 겹쳐지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 끝단 양측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면에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제1슬롯부재와 제2슬롯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고정판과 상기 돌출판의 사이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수평고정판과 상기 결합판이 겹쳐진 상태로 상기 제1슬롯부재와 상기 제2슬롯부재에 형성된 양측의 끼움홈에 삽입시킨 후, 고정볼트를 상기 서로 겹쳐진 수평고정판과 결합판에 관통시키고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볼트체결홀에 나사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상기 고정가이드와 상기 조정가이드가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트북의 본체는 상기 수직고정판과 상기 한 쌍의 돌출판 사이에 끼워 고정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판 사이로 상기 노트북 본체의 터치패드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판의 상하길이는 상기 노트북 본체의 키보드부가 형성되지 않은 하부은 상기 노트북 본체 하부의 상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노트북의 키보드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판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완전히 노출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서 사용하는 노트북 거치대.
A stand-type support frame composed of a base part supported on the ground, a vertical frame installed vertically to the base part, and a horizontal frame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vertical frame and vertically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 And,
Included in the horizontal frame is a laptop fixing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use the laptop in a lying down state by vertically inserting and fixing the main body of the laptop.
The notebook fixing unit,
A fixing guide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n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fixed by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n the fixed guide, and an adjustment guide to vertically fit and mount the main body of the notebook in the space between the fixed guide;
The fixing guide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fixing plate and a vertical fixing plate extending integrally vertically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fixing plate,
The adjustment guide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plate having a lower end overlapping the fixing guide, and a pair of protruding plates extending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coupling plate,
A first slot member and a second slot member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fte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fixing plate and the protruding plate, the horizontal fixing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on both sides formed in the first slot member and the second slot member, and the fixing bolts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The fixing guide and the adjusting guide ar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by passing through the overlapping horizontal fixing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and screwing and tightening the bolt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frame,
The main body of the notebook is fixedly mounted between the vertical fixing plate and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and configured to expose the touch pad of the notebook body between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portion where the keyboard portion of the laptop body is not formed is small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aptop body, so that the keyboard portion of the laptop is not obscured by the pair of protruding plates. A laptop stand for lying dow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exposed.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지를 걸어두도록 하는 접철식 용지걸이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A laptop sta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lding paper hang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guide to hang the paper.


KR1020180077869A 2018-07-04 2018-07-04 Laptop cradle for using in the lying state KR1021226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869A KR102122646B1 (en) 2018-07-04 2018-07-04 Laptop cradle for using in the lying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869A KR102122646B1 (en) 2018-07-04 2018-07-04 Laptop cradle for using in the lying st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87A KR20200004687A (en) 2020-01-14
KR102122646B1 true KR102122646B1 (en) 2020-06-26

Family

ID=6915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869A KR102122646B1 (en) 2018-07-04 2018-07-04 Laptop cradle for using in the lying st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64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853Y1 (en) 2001-06-28 2001-10-17 (주)디포그 The support board installing device for in stalling supplementang device on computer table
JP2011224072A (en) 2010-04-16 2011-11-10 Kanji Inoue Personal computer table
KR101091790B1 (en) * 2011-07-08 2011-12-13 김홍균 Computer desk with fold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226B1 (en) 2007-05-31 2008-05-23 이선경 Laptop computer holder detachable to steering wheel
KR100924616B1 (en) * 2007-10-29 2009-10-30 옥은호 Multipurpose desk
KR200456534Y1 (en) 2010-01-16 2011-11-04 (주)한국랩 Holder for Notebook Computer
KR200469864Y1 (en) 2012-10-23 2013-11-11 김민성 Notebook Computer Supportor
KR101256882B1 (en) 2012-12-18 2013-05-02 이원희 Apparatus for supporting notebook computer
KR101782211B1 (en) * 2015-07-23 2017-09-26 임진광 Reading desk for using in the lying st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853Y1 (en) 2001-06-28 2001-10-17 (주)디포그 The support board installing device for in stalling supplementang device on computer table
JP2011224072A (en) 2010-04-16 2011-11-10 Kanji Inoue Personal computer table
KR101091790B1 (en) * 2011-07-08 2011-12-13 김홍균 Computer desk with fo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87A (en)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5813B2 (en) Laptop folding table
US20070012827A1 (en) Portable support device
US7118080B2 (en) Multi-functional adjustable computer support stand
US20090321605A1 (en) Laptop Stand
US8627523B2 (en) Portable variable-position headboard apparatus
US9591921B2 (en) Recliner laptop desk
KR101422175B1 (en) Table having display-panel
US20020017595A1 (en) Ergonomic laptop computer support assembly
WO2015141996A1 (en) Mechanism switchable between desk and chair
KR102122646B1 (en) Laptop cradle for using in the lying state
WO2004084671A1 (en) A support for sleeping in travel
KR20110029240A (en) The computer table combined the chair
CN108323976A (en) A kind of portable chair cushion and a kind of chair
JP4672922B2 (en) Swivel chair
KR101486800B1 (en) chair for fishing
JP2017064308A (en) Chair type simple toilet bowl
CN205824552U (en) Support
KR101091790B1 (en) Computer desk with folding
CN205831498U (en) A kind of flexible restoring organ
JP3973653B2 (en) Chair-type simple toilet
KR20130090238A (en) Big memo moment folding chair for embedding style
CN219165999U (en) Multi-functional chair that can multi-angle be expanded
JP2008113784A (en) Mounting table for 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CN211232221U (en) Display support of ergonomic computer cabin
KR20160020071A (en) Portable paper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