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590B1 -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590B1
KR102122590B1 KR1020180110005A KR20180110005A KR102122590B1 KR 102122590 B1 KR102122590 B1 KR 102122590B1 KR 1020180110005 A KR1020180110005 A KR 1020180110005A KR 20180110005 A KR20180110005 A KR 20180110005A KR 102122590 B1 KR102122590 B1 KR 102122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facility
building
equip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1246A (en
Inventor
손재익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590B1/en
Publication of KR2020003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2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5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시설물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 관리한다.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통신망, 각각의 건물에 설치되는 다양한 시설물 장비들의 동작 상태들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 시설물 장비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 시설물 장비들의 동작 상태나 시설물의 환경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어느 하나의 시설물 장비에서 장애 발생 시, 관리자에게 장애 발생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도록 처리하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 복수 개의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 및 웹 브라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리를 처리함으로써, 시설물 관리 운영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합리적인 시설 관리 체계의 수립과 표준화된 업무 운영을 통하여 건물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시설 관리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시설 자산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an integrated ICT-bas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variou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acilities. The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is a real-time communication network, a plurality of sensors that detect the operating states of various facility equipment installed in each building, a facility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equipment, and an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equipment or the environmental state of the facility. Use a remote monitoring device that monitors and manages to notify the administrator in real time when a failure occurs in any one facility equipment, a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that manages multiple facilities, and a web browser-based facility management solution It includes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nag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by using a mobile terminal, the establishment of the facility management operation process, the establishment of a reasonabl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standardized business operations to reduce the cost of building operation, and the effect of facility management It can increase and maximize the value of facility assets.

Description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건물 등의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시설물에서의 화재, 누수, 설비 및 장비 장애 등의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제공받아서 신속하게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는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an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integrally manage a facility such as a building, using a remote monitor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ire, leak, facility in the facility and When an event such as an equipment failure occurs, the mobile terminal and its method for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facilitie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at receive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and process the event quickly will be.

일반적으로 시설물 예컨대, 건물들은 공조 시스템, 전력 공급 시스템, 화재 방재 시스템, 엘리베이터, 조명 시스템, 냉난방 시스템, 출입문 시스템, 가스 누출 감지 시스템, 정화조 시스템, 물 공급 및 배수 시스템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시설물 설비 및 장비들을 구비하고 있다. 시설물은 다양한 시설물 설비 및 장비들을 통합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여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건물 관리에 관한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고 건물을 체계적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건물들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각각의 건물에 구비된 설비 및 장비들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In general, facilities such as air conditioning systems, power supply systems, fire protection systems, elevators, lighting systems, air conditioning systems, door systems, gas leak detection systems, septic tank systems,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s, etc. It is equipped with. Facilities are managed by establishing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at integrates and manages various facilities and equipment. This facility management system records complex and diverse information on building management and supports the systematic maintenance of buildings. In additio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manages multiple buildings in one system so that facilities and equipment provided in each building can be monitored simultaneously in real time.

예를 들어,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건물 정보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공사 관리, 업체 관리 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관리를 위해 시행하는 시설 관리, 설비 관리, 청소 관리, 용역 관리 등을 수행하고, 각 관리 정보를 기록한다.For example,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performs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equipment management, work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company management, as well as facility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cleaning management, and service management for facility management. And record each management information.

이에 따라,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자나 현장 담당자가 혼자서 건물과 모든 기계 장치들을 관리하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건물이 점차 고층화, 대형화되고 있어, 각종 기계 장치들의 체계적인 관리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으며, 건물의 관리를 위한 근로자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As a result,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for managers or site managers who manage buildings to manage buildings and all machinery by themselves. In addition, as buildings are gradually becoming taller and larger, systematic management of various mechanical devices is becoming more difficult, and the demand for workers for managing buildings is increasing.

여기서, 관리자는 건물 관리를 위해 배치되어 건물의 관리를 계획하고 전체적인 관리 및 조율을 하는 반면, 관리자가 혼자 건물의 모든 부분을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업무 분야마다 근로자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행정, 회계, 시설, 보안, 미화 등의 업무 분야가 있고, 각 업무 분야마다 근로자가 배치되어 각자 맡은 일을 처리함으로써, 체계적인 건물 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Here, managers are assigned for building management to plan and overall management and coordination of buildings, whereas managers cannot manage all parts of the building alone, so workers are assigned to each work area. For example, there are business fields such as administration, accounting, facilities, security, and beautification, and workers are assigned to each business field to handle their duties, and systematic building management is achieved.

특히, 건물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는 그 건물, 대지 및 건축 설비를 건축법의 규정에 적합하도록 유지 관리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유지 관리 업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지 관리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계획에는 일상적인 점검과 수선에 관한 사항이 있다.In particular, the owner or manager of a building is obliged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building, site, and construction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Building Code. In order to perform maintenance tasks quickly and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first establish a maintenance plan. These plans include routine inspection and repair.

또한, 이러한 집합 건물을 유지 관리할 때, 안전상의 위해 요소나, 급격한 기능 저하를 가져올 우려가 있는 변형, 균열, 누수 등 결함을 조기에 파악하여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n addition, when maintaining such a collective building,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defects such as deformation, cracks, leaks, etc., which may lead to safety hazards or rapid deterioration, and establish appropriate measures.

그러나, 건물의 유지 관리는 정량적으로 기준화된 것이 아니므로, 경험적 판단을 요하는 경우가 많으나 적절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점검 기준 및 평가, 판정 기준을 마련하여 각 기준에 따라 유지 관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maintenance of buildings is not standardized quantitatively, it is often required to make empirical judgment, but in order to achieve proper and objective evaluation, inspection standards, evaluation, and judgment criteria are prepared and maintained according to each standard. It is desirable to do.

더구나, 건물의 유지 보수 단계에서 중요한 요소는 유지 보수의 주기 및 수선 비용을 예측하는 것이다. 현재 유지 보수의 주기 및 수선 비용 예측은 관리자의 판단과 건물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장기 수선 계획에 의존하여 결정되고 있다. 즉, 건물의 건축 연차에 따라 일괄적으로 건물 내 시설들 모두를 관리하기 때문에, 보수나 관리가 필요치 않은 시설들에 대해서도 인력 및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Moreover, an important factor in the maintenance phase of a building is predicting the maintenance cycle and repair costs. Current maintenance cycles and repair cost estimates are based on managers' judgments and long-term repair plans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building-specific characteristics. That is, since all the facilities in the building are collectively managed according to the building's construction year, manpower and costs are being consumed even for facilities that do not require maintenance or management.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7979호(공개일 2011년 02월 23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7979 (Publication Date: February 23, 201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91814호(공고일 2013년 09월 05일)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91814 (Publication date 05 September 2013)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1467063호(공고일 2014년 12월 03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67063 (December 03, 2014)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0990981호(공고일 2010년 10월 29일)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0990981 (announcement date October 29,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시설물들을 정보 통신 기술(ICT) 기반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과 연동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interworking with a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시설물에 대응하여 구비하는 시설물 장비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받고, 이에 대응하여 시설물 장비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vent occurs in the facility equipment provided in response to one facility, receives alarm information about the event occurrence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and correspondingly, ICT-based facility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facility equipment It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복수 개의 건물들 각각에 구비되어 건물 운영에 따른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시설물 장비들을 모니터링하여 건물을 통합 관리하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와 원격 모니터링 장치 각각과 상호 연동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시설물 관리 서비스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받아서 건물 및 시설물 장비들을 통합 관리하고,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건물 및 시설물 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전송받아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원격 제어 신호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 가능하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mobile terminal for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building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monitor a plurality of facility equipments providing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to integrate the building Using a managed web browser-based facility management solution, it is interlocked with each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and remote monitoring device.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ed from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and manages the building and facility equipments in an integrated manner. When an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building and facility equipments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remote control signal to a remote monitoring device so that quick action can be taken by receiving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vent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는, 복수 개의 건물들 각각에 구비되어 건물 운영에 따른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시설물 장비들과, 하나의 상기 건물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시설물 장비들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시설물 장비의 동작 상태에 따른 정보를 수집, 저장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와, 상기 건물의 환경 상태 및 상기 시설물 장비의 동작 상태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과,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감지 정보를 받아들이고, 상기 시설물 장비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건물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적어도 상기 건물들 각각에 대한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에 따른 관리 정보를 등록, 추가, 수정, 삭제 및 검색 처리하고, 시설물 관리에 따른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에 대한 일정 기간의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관리 항목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처리하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해 제공된다.The mobile terminal for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feature is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buildings and provides a plurality of facility equipment that provide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and corresponding to one of the buildings A facility control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s each of the facility equipments to collect and sto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equipment, and a plurality of sensors to detect the environment state of the building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equipment, respectively The sensors are connected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remote monitoring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s sensing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sensors,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facility equipment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 Integrated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the building and the facility equipment, at least according to the building management, rental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equipment management, work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energ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manager management for each of the buildings Management information is registered, added, modified, deleted and searched, management parts according to facility management are classified into management items, and a management index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calculated for management items to control the management of buildings according to management items. It is provided for a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for determining priorities and processing to apply to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이 특징의 모바일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하여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건물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에 대한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 및 관리하고, 상기 관리 정보를 등록, 추가, 수정, 삭제 및 검색하는 시설물 관리부; 및 상기 센서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어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알람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알람 정보를 통해 발생된 이벤트 내용을 확인하도록 하고, 이벤트가 발생된 상기 시설물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of this feature monitors and manag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building and the facility equipment by accessing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based on a web brows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gisters, adds, modifies, and delet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And search facility management unit; And when an event is generated from any one of the sensor and the facility equipment and alarm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the event content generated through the alarm information is checked and the facility equipment where the event occurs is controlled. It includes; a remote control for generat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관리부는;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 연결되어 시설물 관리를 위한 공지 사항, 작업 관리, 시설 점검, 설비 점검, 순찰 관리, 근태 관리, 업무 일지 및 비상 연락을 적어도 처리한다.In one embodiment of this feature,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It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to handle at least notices for facility management, work management, facility inspection, facility inspection, patrol management,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journaling, and emergency communication.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처리부는;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된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로 전달하도록 하여, 이벤트가 발생된 상기 시설물 장비를 원격 제어하도록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processing unit;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to remotely control the facility equipment where the event has occurr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과 연동해서 정보 통신 기술(ICT) 기반으로 복수 개의 시설물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시설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원격지에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작업 현황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and manages variou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conjunction with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o that the facility manager can manage facilities in real time at a remote location. It is easy to grasp the status of work.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웹 브로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 접속하여 시설물 관리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서 원격지에서 시설물의 상황 및 시설물 장비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며, 이를 통해 시설물 관리 운영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합리적인 시설 관리 체계의 수립과 표준화된 업무 운영을 통하여 건물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시설 관리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시설 자산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ess a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using a web browser-based facility management solution, receiv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facility management, and monitor the situ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y equipment in real time at a remote loca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building operatio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acility management, and maximize the value of facility assets by establishing a facility management operation process, establishing a rational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standardizing business operations.

또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하나의 시설물에 구비되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에 설치된 다양한 기능의 시설물 장비들의 동작 상태나 시설물의 환경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벤트 발생 시, 관리자 또는 담당자에게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in real tim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y equipment of various functions installed in the facility or the environmental state of the facility in real time by using a remote monitoring device provided in one facility, and when an event occurs, a manager or a person in charge It can quickly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by sending alarm information to events in real time.

또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관리자의 작업 지시와 공지사항을 확인하여, 현장 담당자가 실시간으로 요청된 작업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속하게 조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work instructions and announcements of the manager, and the on-site representative can check the requested work in real time, thereby enabling quick action.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웹 브로우저 기반으로 시설물 관리를 통합 처리함으로써, 누구나 교육을 받지 않아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sed without any training by integrating facility management based on a web browser that does not need to install a separate applicatio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시설물 유지 관리 정보화를 통하여 입주자에게 쾌적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 근무자에게는 편리한 운영 방안을 제공하며, 리노베이션을 통한 건물 경영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fortable use environment for tenants through information on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provide a convenient operation method for workers, and improve the economics of building management through renov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에 도시된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a 내지 도 5p은 도 4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shown in Figure 1,
3A to 3F are views showing a setting screen of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shown in FIG. 2,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ure 1,
5A to 5P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4;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shown in Figure 1,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managing facilities using a management index for management items in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is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웹 브라우저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300)의 사용자 예컨대, 시설물의 관리자, 책임자, 건물주, 현장 담당자 등이 구비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폰 및 태블릿 PC 등을 통해 시설물 및 시설물 장비를 관리, 모니터링 및 제어하도록 제공된다.Referring to FIG. 1,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for example, a manager of a facility, a manager, a building owner, and a site manager using a web browser-base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olution. It is provided to manage, monitor and control facilities and facility equipment through smart phones, tablet phones and tablet PCs.

즉,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정보 통신 기술(ICT) 기반으로 복수 개의 시설물(10a ~ 10n)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 관리하고, 하나의 시설물에 구비되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10a ~ 10n)에 설치된 다양한 기능의 시설물 장비(230)들의 동작 상태나 시설물(10a ~ 10n)의 환경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시설물(10a ~ 10n) 및 어느 하나의 시설물 장비(230)에서 이벤트 발생 시, 모바일 단말기(300)의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시설물은 예를 들어, 건물 등을 포함한다.That is,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various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facilities 10a to 10n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provided in one facility ) To monitor in real tim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of various functions installed in the facility 10a to 10n or the environmental status of the facility 10a to 10n, and the facility 10a to 10n and any one When an event occurs in the facility equipment 230 of the user, it processes to transmit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ent in real time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Facilities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or example, buildings.

또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300)를 통해 시설물(10a ~ 10n)에 대한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등을 통합 처리하고, 모바일 단말기(300)의 사용자에 대한 작업 관리, 점검 관리, 근태 관리, 순찰 관리 및 업무 일지 작성 등을 처리한다.In additio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management, rental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equipment management, work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energy for facilities (10a ~ 10n) through a mobile terminal 300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management and the like are integrated, and work management, inspection management,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patrol management, and journaling f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are processed.

또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시설물 관리에 따른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관리 항목에 따른 시설물(10a ~ 10n)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처리한다.In addition,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management parts according to facility management into management items, calculates a management index for management items, and prioritizes management targets of facilities 10a to 10n according to management items. The ranking is determined and processed to be applied to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통신망(4), 복수 개의 센서(220), 복수 개의 시설물 장비(230), 시설물 제어 장치(210),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 및 모바일 단말기(30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4, a plurality of sensors 220, a plurality of facility equipment 230, a facility control device 210, a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and facility integration control It includes a server 100 and a mobile terminal 300.

구체적으로, 시설물 즉, 건물(10a, 10n)들 각각에는 다양한 기능의 시설물 장비(230)가 설치되거나 구비된다. 건물(10a, 10n)들은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하고,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건물(10a, 10n)을 관리하거나, 복수 개의 건물(10a, 10n)들이 지역 등에 따라 그룹 단위로 관리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of the facilities, that is, the buildings 10a and 10n, the facility equipment 230 having various functions is installed or provided. Buildings 10a, 10n are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and at least one building 10a, 10n is managed by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or a plurality of buildings 10a, 10n are grouped according to regions, etc. Can be managed.

통신망(4)은 예컨대, 유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통신망(4)은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 및 모바일 단말기(300)들 각각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와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가 상호 연결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와 모바일 단말기(300)가 상호 연결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4 includes, for example,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s provided such that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and the mobile terminals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perform mutual data communic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and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are interconnected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mote monitoring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Wi-Fi, Bluetooth, Zigbee, etc.) The devi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300 are interconnected.

시설물 장비(230)는 건물(10a ~ 10n)들 각각에 구비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시설물 장비(230)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에 의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요한 장비나 설비들 예를 들어, 냉난방 공조기, 화재 방재 장치, 출입문 보안 장치, 발전기, 엘리베이터, 물탱크, 환풍기, 전력 공급 설비, 조명 장치, 가스 공급 장치, 정화조, 배수 펌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시설물 장비(230)들은 시설물 제어 장치(210)에 의해 제어되고, 각각의 센서(220)들에 의해 동작 상태가 감지된다.Facility equipment 230 is provided in each of the buildings (10a ~ 10n) to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Facility equipment 230 is equipment or facilities that require real-time monitoring by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for example, air conditioning and air conditioning, fire prevention devices, door security devices, generators, elevators, water tanks, ventilators, power supply facilities, Lighting devices, gas supply devices, septic tanks, drain pumps, and the like. The facility equipment 230 is controlled by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and an operation state is sensed by each sensor 220.

센서(22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건물(10a ~ 10n)의 내외부 환경 및 건물(10a ~ 10n)에 설치되는 다양한 시설물 장비(230)들의 동작 상태들을 감지한다. 즉, 센서(220)는 시설물 제어 장치(210)의 제어를 받아서 예를 들어, 건물 내의 화재, 침수, 온도, 습도, 가스 농도, 대기 성분 등을 감지하거나, 시설물 장비(23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한다. 센서(220)는 예를 들어, 화재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누수 센서, 수위 센서, 정전 센서, 가스 누출 센서 등을 포함한다. 또 센서(220)에는 건물의 내외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220)는 건물(10a ~ 10n)과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으로부터 실시간으로 감지된 감지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와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제공한다.A plurality of sensors 220 are provided to sense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each building 10a to 10n and the operating states of various facility equipments 230 installed in the buildings 10a to 10n. That is, the sensor 220 is controlled by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for example, detects fire, flooding, temperature, humidity, gas concentration, atmospheric components, etc. in a building, or detects an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Detect. The sensor 220 includes, for example, a fire detec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leak sensor, a water level sensor, a power failure sensor, a gas leak senso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ensor 220 may include a camera for acquiring image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The sensor 220 provides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in real time from each of the buildings 10a to 10n and the facility equipment 230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and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시설물 제어 장치(210)는 예컨대,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DDC(Direct Digital Controller) 등으로 구비되어, 입력되거나 설정된 정보 또는 원격 제어에 따라 시설물 장비(230)들을 제어하고, 센서(220)로부터 감지 정보를 받아서 실시간으로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시설물 제어 장치(210)는 통신망(4)을 통해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로 시설물 장비(23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또 시설물 제어 장치(210)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서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시설물 장비(230)들을 제어한다.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 direct digital controller (DDC), and controls the facility equipment 230 according to input or set information or remote control, and from the sensor 220 Receives detection information and stores status information for each operating state of facility equipment 230 in real time.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transmits in real time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to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n addition,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and controls each facility equipment 230 in response thereto.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센서(220)로부터 감지 정보를 받아서 모바일 단말기(300)로 제공하여 건물(10a ~ 10n)의 내외부 환경을 원격 모니터링하도록 하고, 시설물 장비(230)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센서(220)로부터 감지 정보를 받아서 어느 하나의 시설물 장비(230)에 장애가 발생되거나, 건물(10a ~ 10n) 내외부에서 급격한 환경 변화가 발생되면, 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300)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준다.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모바일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receives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220 and provides it to the mobile terminal 300 to remotely monitor the inside and outside environments of the buildings 10a to 10n, and monit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in real time. Do it. When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220 and a failure occurs in any one facility equipment 230, or when a sudden environmental change occurs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s 10a to 10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indicates that the event has occurred. When a remot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웹 브로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복수 개의 건물(10a ~ 10n)들 각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러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은 현장 업무를 간소화와 고객 지원 업무를 표준화하고 고객 지원의 신속성, 투명성 및 다각성을 강화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모바일 기반의 표준화된 메뉴를 지원하며,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와 연동하여 통합 관리가 가능하다.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예를 들어,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을 처리하여 통신망(4)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300)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is equipped with a web browser-based facility management solution, and through this, manages various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uildings 10a to 10n. The facility management solution of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simplifies field work, standardizes customer support work, enhances the speed, transparency, and diversification of customer support, improves efficiency, supports a mobile-based standardized menu, , Integrated management is possible in conjunction with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processes, for example, building management, lease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equipment management, work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energ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manager management, etc., and uses a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At 300, various information is provided.

여기서 건물 관리는 해당 건물에 대한 건물명, 건물 주소지, 건물 면적, 층수, 건물 구조, 주차장 규격 등을 포함하는 건물 정보와, 건물의 각층에 구비되는 설비와 장비의 종류, 각 층의 용도 등을 포함하는 층별 정보 및, 건물의 전체 도면, 전기실, 동력실 등의 내부 설계 도면 등에 대한 도면 이름, 도면 번호 등을 포함하는 도면 정보 등을 등록, 수정, 추가, 삭제 및 검색 관리한다. 임대 관리는 해당 건물에 대한 임대 계약, 임대 이력, 임대료 현황 및 공실 현황 등을 등록, 수정, 추가, 삭제 관리한다. 시설 관리는 설비명, 설비 규격, 설치 일자, 설치 층수, 설치 구역, 관리 파트, 제작 회사, 용도 등을 포함하는 시설 현황과, 수시 점검과 예방 점검 등의 업무 구분, 접수 내용, 관리 파트, 처리 상태, 처리 내용, 작업자, 관리 파트 등을 포함하는 시설 이력 정보 및, 점검 일자, 요청 사항, 접수 내용, 관리 파트 처리 상태 및 처리 내용, 작업자 및 관리 파트, 시설물 파트별 통계 등을 포함하는 시설별 집계 정보 등을 등록, 수정, 추가 및 삭제 관리한다. 장비 관리는 장비명, 장비 규격, 적정 재고량, 제조사, 사용 기간, 구입 일자, 소유자 등을 포함하는 장비 현황 정보와, 업무 구분, 접수 내용, 관리 파트, 처리 상태, 처리 내용, 작업자 등을 포함하는 장비 이력 정보 및, 장비별 집계 등을 등록, 수정, 추가 및 삭제 관리한다. 작업 관리는 작업 접수 현황, 작업 요청, 작업 처리 결과, 수시 작업, 순찰 점검, 시설 점검 및 업무 일지 등을 등록, 수정, 추가, 삭제 및 검색하도록 한다. 자재 관리는 자재 입고, 출고 및 재고 현황 등을 등록, 수정, 추가 및 삭제관리한다. 에너지 관리는 검침 사용량 등록, 검침 정보 현황 및 에너지 사용 분석 등을 관리한다. 공사 관리는 공사 내역, 부서별 공사 실적 등을 등록, 관리한다. 그리고 관리자 관리는 파트별, 설비별, 장비별 및 부서별 관리자 등록, 협력업체 등록, 월/년별 작업 계획 등록, 순찰 코스 등록, 일별 및 월별 근태 현황 등을 관리한다.Here, the building management includes building information for the building, building address, building area, number of floors, building structure, parking lot standards, and types of equipment and equipment provid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usage of each floor. It registers, modifies, adds, deletes, and manages search information such as drawing name, drawing number, etc., for each floor information to be performed, and drawings of the entire building, internal design drawings such as an electric room, a power room, and the like. The rental management registers, modifies, adds, and deletes rental contracts, rental history, rental status, and vacancy status for the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includes facility name, facility standard, installation date, number of floors installed, installation area, management parts, production company, usage, etc., and business divisions such as frequent inspections and preventive inspections, reception contents, management parts, and processing status Aggregate information for each facility, including facility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processing contents, workers, and management parts, and inspection dates, requests, reception contents, management part processing status and processing contents, statistics for workers and management parts, facility parts, etc. Manage, register, modify, add and delete etc. Equipment management includes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equipment name, equipment specifications, proper inventory, manufacturer, period of use, date of purchase, owner, etc., and job classification, reception contents, management parts, processing status, processing contents, workers, etc. Register, modify, add, and delete equipment history information and equipment-specific aggregates. Job management registers, modifies, adds, deletes, and retrieves the status of job reception, job requests, job processing results, occasional work, patrol checks, facility checks, and journals. Material management registers, modifies, adds and deletes materials receipt, goods issue, and inventory status. Energy management manages meter reading usage, meter reading information and energy usage analysis. The construction management registers and manages the construction details and construction performance by department. In addition, manager management manages manager registration by part, facility, equipment and department, partner registration, monthly/year work plan registration, patrol course registration, daily and monthly attendance status, and so on.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에 따른 시설물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관리 파트에는 예를 들어, 건축, 관리, 기계, 통신, 방재, 미화, 상황실, 주차, 안내 등이 포함되고, 관리 항목에는 각 관리 대상에 대한 수시 점검, 법정 점검, 예방 점검, C/S(Customer Service) 점검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관리 지수는 일정 기간 동안 예를 들어, 1 년 단위로 관리 항목별 이벤트가 발생된 횟수에 이벤트별 대처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다.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classifies facility management parts according to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building management, rental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equipment management, work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energ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manager management, etc. Calculate the management index for Korea. Here, the management part includes, for example, construction, management, machinery, communication, disaster prevention, beautification, situation room, parking, guidance, etc., and management items include frequent checks, statutory checks, preventive checks, and C/S (Customer Service) inspec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index is calculated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underestimation of the coping cost for each event to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event for each management item for a certain period, for example, for one year.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산출된 관리 지수를 이용하여 관리 항목에 따른 시설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관리 파트별로 관리 인력을 배치하거나, 관리 파트별로 관리 비용을 산출하여 예산에 적용하거나, 또는 시설물 관리 용역업체의 입찰 시에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determines the priority of management targets of facilities according to management items using the calculated management index.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arranges management personnel for each management par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calculates management costs for each management part, and applies it to a budget, or provides a reference for bidding of a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er.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관리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매년 단위로 관리 지수의 변동율을 산출하여 이벤트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변동률이 긍정적인 경우이면, 관리 지수와 우선 순위 등의 다른 시설물에 적용하게 하고, 부정적인 경우이면, 이벤트 발생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여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자동화 기술에 적용하도록 한다.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calculate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on a yearly basis as the management period has elaps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event, and if the rate of change is positive, apply it to other facilities such as the management index and priority. If it is negative, prepare countermeasures for event occurrence and apply it to automation technology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또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각 건물들의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부터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관리자(또는 담당자)나 건물주가 실시간으로 해당 건물(10a ~ 10n)과 시설물 장비(230)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또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모니터링 중 건물(10a ~ 10n)에서의 화재, 누수 등과 시설물 장비(230)에서의 장애 등 이벤트가 발생되면, 통신망(4)을 통하여 콜센터(미도시됨)와 모바일 단말기(300)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건물을 임대한 고객의 고객 단말기(미도시됨)로부터 C/S 요청이 접수되면, 관리자 또는 담당자의 모바일 단말기(300)로 C/S 요청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처리되도록 알려준다.In addition,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in real time from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of each building, and the manager (or a person in charge) or the owner of the building receives the corresponding building (10a ~ 10n) and facility equipment 230 in real time. A variety of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In addition,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is connected to a call center (not sh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when an event such as a fire in a building (10a to 10n), a leak, or a failure in the facility equipment 230 occurs during monitoring. The mobile terminal 300 may transmit alarm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event has occurred. In addition, when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receives a C/S request from a customer terminal (not shown) of a customer renting a building, prompt response to the C/S request is made to the mobile terminal 300 of the manager or the person in charge. Inform them to be processed.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비된다. 모바일 단말기(300)는 시설물의 관리자, 담당자, 현장 담당자, 건물주, 책임자 등이 구비한다. 모바일 단말기(300)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접속하여 시설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300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a portable computer, a smart phone, a tablet phone, or a tablet PC. The mobile terminal 300 is provided by a manager, a person in charge of the facility, a person in charge of the site, a landlord, and a person in charge. The mobile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through a web browser to receive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모바일 단말기(300)는 웹 브라우저 기반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접속하여 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받고, 이를 통해 시설물의 상황 및 시설물 장비들의 동작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한다. 모바일 단말기(300)는 시설물 장비(230)들에 이벤트가 발생되면,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알람 정보를 받아서 이벤트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에 접속하여 이벤트가 발생된 시설물 장비(230)에 대한 동작 상태에 따른 설정 정보(예를 들어, 센서 설정, 트리거 온, 오프 설정, 전원 온, 오프 설정 등)를 변경하거나 조절하는 등의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이벤트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지록 해당 시설물 장비(230)를 원격 제어한다.The mobile terminal 300 accesses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using a web browser base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or facility management, and through this, remotely monitors the situ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y equipment. When the event occurs in the facility equipment 230,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the alarm information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checks the event-related information, and accesses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ccess the event. By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such as changing or adjus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or example, sensor setting, trigger on, off setting, power on, off setting, etc.)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where the occurrence occurs The facility equipment 230 is remotely controlled to take action on the event.

또 모바일 단말기(300)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작업 지시, 업무 연락, 공지 사항 등이 등록되면, 이를 획인하여 관리자 또는 담당자가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300)의 구체적인 기능은 다음의 도 4 내지 도 5p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300, when a work instruction, business contact, notices, etc. are registered in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it is approved and processed so that a manager or a person in charge can quickly take action. Detailed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S. 4 to 5 below.

따라서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웹 브로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300)로 시설물 관리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시설물(10a ~ 10n)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른 관리 항목들에 대해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관리하도록 적용하고, 전년 대비 관리 지수의 변동률을 파악하여 시설물에 적용하거나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며, 통신 가능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를 이용하여 시설물(10a ~ 10n)에서의 이벤트 발생 시, 신속하게 모바일 단말기(300)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Accordingly,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facility management to the mobile terminal 300 using a web browser-based facility management solution, and calculates a management index for management items to calculate the facility ( 10a ~ 10n), prioritize and manage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events occurring in the event, determine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pply it to facilities or prepare measures, and communicate with remote monitoring devices ( 200), when an event occurs in the facilities 10a to 10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promptly notified.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Specific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에 도시된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S. 3A to 3F are views showing a setting screen of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shown in FIG. 2.

도 2 내지 도 3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Remote monitoring System)(200)는 건물(10a ~ 10n)의 긴급 상황 발생 시에 관리자나 담당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설물 제어 장치(210)와 센서(22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건물 내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른 이벤트(예를 들어, 화재, 누전, 누수, 온도 및 습도 변화 등)가 발생되거나, 각각의 시설물 장비(230)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장애 발생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되면, 통신망(4)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300)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전송한다. 또 본 발명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모바일 단말기(300)로부터 시설물 장비(23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2 to 3F,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facilities to enable an administrator or a person in charge to respond quickl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buildings 10a to 10n. The device 210 and the sensors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generate an event (eg, fire, short circuit, water leakage,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etc.)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or each facility equipment 230 ) When an event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ilure occurs in any one of them, the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ent occurren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n addition,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when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acility equipment 230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이를 위해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4)을 통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로부터 시설물 장비(230)들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시설물 장비(230)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 예를 들어, 시설물 장비(230)의 센서 설정, 트리거 온, 오프 설정, 전원 온, 오프 설정 등)들이 설정된다. 즉,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의해 아이디, 비밀번호, 보안번호 등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관리자가 시설물 장비(230)들을 설정하도록 사용자 인증 처리하고,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과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와의 연결 상태에 따른 입출력 단자와 트리거 온, 오프 등을 설정하고, 연결된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에 대한 초기 동작 상태를 설정하며,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에 대한 실시간 상태를 감시할지 여부를 설정한다.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와 연결된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에 대한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시설물 장비(230)들 중 시설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미도시됨)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서 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설정 정보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300)와 상호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여 알람 정보를 전송하거나, 원격 제어 신호를 받아들인다.To this end,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as shown in Figures 3a to 3f,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facility equipment 230 from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equipment 230, for example, sensor setting, trigger on, off setting, power on, off setting, etc.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is set. That is,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processes the user authentication so that the administrator of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sets facility equipment 230 by using the ID, password, and security number by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 Set the input/output terminal and trigger on and off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us of each of the facility equipments 230 and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set the initial operating state for each of the connected facility equipments 230, and It sets whether to monitor the real-time status of each of the equipment 230.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may check the connection status of each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connected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in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In addition,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receives an image from a camera (not shown) that acquires an image of the facility among the facility equipment 230 and provides the facility monitoring system 100 to monitor the image.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processes mutual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300 by setting information to transmit alarm information or accept a remote control signal.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20))는 무선 통신부(204), 인터페이스부(206), 전원부(208) 및 제어부(20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4, an interface unit 206, a power supply unit 208, and a control unit 202.

전원부(208)는 교류 전원(AC IN)을 공급받아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의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08)는 약 3.3 V 또는 약 5 V의 직류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하여 무선 통신부(204), 인터페이스부(206) 및 제어부(202)로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08 receives AC power (AC IN) to supply power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The power supply unit 208 supplies DC power of about 3.3 V or about 5 V as a driving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4, the interface unit 206, and the control unit 202.

유무선 통신부(204)는 통신망(4)을 통해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와 연결되고,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의해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의 설정 정보를 설정하도록 처리한다. 또 유무선 통신부(204)는 통신망(4)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고,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모바일 단말기(300)와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4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and processes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by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In additio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4 is connected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mmunication network 4, for example, Wi-Fi, Bluetooth, Zigbee, etc.,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2. The data is process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300.

인터페이스부(206)는 복수 개의 입출력 포트(port)들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06)는 입력 포트를 통해 시설물 및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센서(220)들과 연결되고, 출력 포트를 통해 시설물 제어 장치(210)와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부(206)는 입력 포트를 통해 센서(220)로부터 감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인터페이스부(206)는 유무선 통신부(204)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 포트를 통해 원격 제어 신호를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전송한다.The interface unit 206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output ports. The interface unit 206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nsors 220 provided in each of the facility and facility equipment 230 through an input port, and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through an output port. The interface unit 206 receives real-tim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220 through an input port.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4, the interface unit 206 transmits the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through the output port.

그리고 제어부(202)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02)는 구동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208)를 제어한다. 제어부(202)는 유무선 통신부(204)가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와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300)들과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02)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로부터 시설물 장비(230) 및 센서(220)들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02)는 인터페이스부(206)로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건물(10a ~ 10n) 내외부의 환경 및 시설물 장비(23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별하고, 이벤트가 발생되었으면 유무선 통신부(204)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300)로 이벤트 발생을 알려주는 알람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알람 정보는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SNS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 제어부(202)는 유무선 통신부(204)로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인터페이스부(206)를 통해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원격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o process various operations of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That is,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he power unit 208 to supply driving power.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4 to perform mutual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and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300.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o set the facility equipment 230 and the sensors 220 from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When the detec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interface unit 206, the control unit 202 determine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one of the environment and facility equipments 230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s 10a to 10n. It is controlled to transmit alarm information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to the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4. At this time, the alarm information may be provided using, for example, a text message or an SNS messenger. In addition, when a remote control signal is received by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4,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o output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through the interface unit 206.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사물 인터넷(IOT) 시스템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300)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센서(220)와 시설물 제어 장치(210)에 연결되어 건물(10a ~ 10n) 내외부의 환경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시설물 장비(230)의 고장 시, 모바일 단말기(300)로 알람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해당 건물의 이벤트 발생 위치와, 시설물 장비(230)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고, 모바일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 장비(230)의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등 원격 제어하게 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is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required for facility management,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nsors 220 and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for building (10a ~ 10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nvironment inside or outside or when the facility equipment 230 breaks down, the alarm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where the manager generates the event loc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state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By remote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such as supplying/blocking power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equipment 230 using the mobile terminal 300,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an emergency.

따라서 본 발명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최소 관리 인력으로도 최적화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가능하며, 특히 야간에 최소 인원만 남고 퇴근을 하므로, 출입문 개폐 상태와 시설물 장비 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어서 비상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erforming an optimized task even with a minimum management manpower, and particularly, since only a minimum number of people leave for work at nigh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and facility equipment state can be immediately identified. You can respond quickly to emergencie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건물의 화재 연기 감지 및 시설 장비 장애 시, 스마트 폰 문자 알람을 통해 모든 관리자가 긴급 상황에 빨리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For example,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elps all managers to respond quickly to an emergency through a smart phone text alarm in the event of fire smoke detection and facility equipment failure in a building.

특히 백화점, 대형 쇼핑몰 등 많은 사람들이 붐비는 곳에서는 화재가 나도 즉시 알 수 없어 대피 시간을 놓치거나 연기로 인해 많은 피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 방재실에 상시 근무자가 있어도 다른 층에서 문제가 생기면, 즉시 알 수 없으며, 특히 야간에는 최소 인원만 당직 근무하며, 설비 전문가가 아닌 신입 직원이나 경비원들은 건물의 설비가 정상인지 아닌지 장애 상황을 확인하기 어렵다.Especially in places where many people are crowded,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large shopping malls, it is urgent to take countermeasure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know immediately even if there is a fire. Also, even if there is a regular worker in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if there is a problem on the other floor, it is not immediately known. Especially, at night, only a minimum number of employees work on duty. New employees or security guards who are not experts in facilities check whether the facilities in the building are normal or not. It is difficult to do.

만약, 설비 전문가가 외근/퇴근이나 휴가 중인 경우라도 설비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장애 문자 알람을 동시에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장 근무자에게 전화로 대응 지시를 할 수 있다. 또 보안 경비 분야에서도 관리 건물의 출입문 침입에 대한 상황을 지역별, 건물별, 층별로 문자 안내를 받을 수 있다.If the facility specialist is out of work/work or on vacation, the facility can receive a text message when a failure occurs, so the field worker can be instructed to respond by telephone. In addition, in the security security field, it is possible to receive text guidance by region, building, and floor for the situation of the entrance to the management building.

또 본 발명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구형/신형 시설물에 상관없이 센서 입력 접점에 연결하면, 관리자의 퍼스널 컴퓨터와 스마트 폰 등으로 알람 문자를 동시에 받을 수 있어 건물 관리 및 시설물 관리에 최적의 시스템이 구현 가능하다. 또한 전국에 분산된 관리 건물의 위치, 건물명, 건물 층수, 장비명 등으로 문자 알람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sensor input contact regardless of the old/new facility, and can simultaneously receive the alarm text with the administrator's personal computer and smart phone, so it is an optimal system for building management and facility management. This is feasible. In addition, you can receive text alarms based on the location, building nam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and equipment nam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allowing remote monitoring and management.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5a 내지 도 5n은 도 4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and FIGS. 5A to 5N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of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

도 4 내지 도 5n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300)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시설물 관리 서비스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받아서 건물(10a ~ 10n) 및 시설물 장비(230)들을 통합 관리하고,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건물(10a ~ 10n) 및 시설물 장비(23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전송받아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원격 제어 신호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 전송한다.4 to 5N, the mobile termina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ed from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and the buildings (10a ~ 10n) and facility equipment 230 Integrated management, and when an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buildings (10a ~ 10n) and facility equipment 230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the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ent occurrence i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to promptly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to take action.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300)는 통신망(4)을 통해 복수 개의 건물들 각각에 구비되어 건물 운영에 따른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시설물 장비(230)들을 모니터링하여 건물을 통합 관리하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와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 각각과 상호 연동된다.The mobile terminal 300 is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buildings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a web browser-based management of the building by monitoring a plurality of facility equipment 230 that provide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Using the facility management solution, it is interlocked with each of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and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300)는 통신부(302), 제어부(304), 시설물 관리부(306), 원격 제어 처리부(308) 및 저장부(31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02, a control unit 304, a facility management unit 306, a remote control processing unit 308 and a storage unit 310.

통신부(302)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으로 구비되고, 통신망(4)을 통해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 및 모바일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제어부(304)의 제어를 받아서 이들 간에 상호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02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etc., and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and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to control the control unit 304. Receive and process mutual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m.

시설물 관리부(306)는 통신부(302)를 통해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접속하여, 시설물 관리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등록하여 건물 및 시설물 장비(230)들에 대한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 및 관리하고, 다양한 항목의 관리 정보를 추가, 수정, 삭제 및 검색하도록 처리한다. 또 시설물 관리부(306)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로부터 등록된 작업 지시 등을 확인하여 조치한 후, 그에 따른 작업 내역을 입력하도록 처리한다.The facility management unit 306 connects to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2, and inputs or register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facility management to monitor and manage management information for buildings and facility equipment 230 And, it manages to add, modify, delete, and search management information of various items. In addition,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306 checks and measures the registered work instruction from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and processes the inputted work details.

원격 제어 처리부(308)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어느 하나의 센서(220) 또는 시설물 장비(230)에 장애가 발생되거나, 건물(10a ~ 10n) 내외부에서 급격한 환경 변화가 발생되어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람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알람 정보를 통해 발생된 이벤트 내용을 확인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관리자가 현장을 방문하도록 하거나, 이벤트를 해결하기 위해 이벤트가 발생된 시설물 장비(230)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모바일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The remote control processing unit 308 is a failure of any one sensor 220 or facility equipment 230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or a sudden environmental change occur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s 10a to 10n, causing an event to occur. When the alarm information to be sent is transmitted,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 check the content of the event generated through the alarm information, and if necessary, to allow the administrator to visit the site or to fix the event, the facility equipment (230) where the event occurred )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Accordingly,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when a remot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저장부(310)는 시설물 관리부(306)에 의해 생성되는 관리 정보와 작업 내역,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알람 정보, 원격 제어 처리부(308)에 의해 생성되는 원격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310)는 시설물 관리부(306)에 의해 작업 처리된 내용이나 자료(예컨대, 사진, 동영상 등)를 더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10 includes management information and work history generated by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306, alarm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information on a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remote control processing unit 308, and the like. To save. The storage unit 310 may further store contents or data (eg, photos, videos, etc.) processed by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306.

그리고 제어부(304)는 모바일 단말기(3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304)는 통신부(302), 시설물 관리부(306), 원격 제어 처리부(308) 및 저장부(310)를 제어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와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 각각과 상호 연동하여 상술한 기능들을 처리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4 controls to process various ope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300. That is, the control unit 304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302,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306, the remote control processing unit 308, and the storage unit 310 to mutually interact with each of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and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In conjunction, it processes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3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접속하고, 회사 코드, 아이디, 비밀 번호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시설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A, the mobile terminal 300 accesses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using a web browser-based facility management solution, and uses a company code, ID, password, etc. Facilities management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 the certification process.

모바일 단말기(3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연결되어 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공지 사항, 작업 관리, 시설 점검, 설비 점검, 순찰 관리, 근태 관리, 업무 일지, 비상 연락 등의 기능을 처리한다.Mobile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as shown in Figure 5b, various functions for facility management, for example, announcements, work management, facility inspection, facility inspection, patrol management, time and attendance It handles functions such as management, journaling, and emergency communication.

여기서 작업 관리는 도 5c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에게 접수된 작업 요청의 처리 여부를 등록, 관리한다. 작업 관리는 예정된 작업이나 고객 요청이 발생된 작업의 경우, 관리자가 작업한 내역 예를 들어, 접수 일자, 작업 파트, 요청 사항, 처리 여부, 작업자, 완료 일자 및 시간, 처리 내역, 처리 전후에 대한 사진 등을 기입 및 등록한다.Here, as illustrated in FIGS. 5C to 5E, the job management registers and manages whether to process the job request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In the case of a scheduled job or a job in which a customer request has occurred, the job management is performed by the administrator, for example, the date of receipt, work part, request, processing status, worker, completion date and time, processing history, before and after processing. Fill in and register photos.

시설 점검은 도 5f 내지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설별 예정된 점검 리스트를 작성하여 일일 단위로 시설 점검 내역 예를 들어, 점검 파트 선택, 점검 상태, 점검 사항, 시설 상태의 사진, 점검 일자 등을 등록한다. 설비 점검은 설비에 대한 상세 내역 및 작업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설비 점검은 관리자가 부여한 설비 코드를 입력 및 검색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이력을 확인한다.As shown in FIGS. 5F to 5G, the facility inspection history is prepared on a daily basis by preparing a scheduled inspection list for each facility, for example, selection of inspection parts, inspection status, inspection items, pictures of the facility status, inspection dates, and the like. To register. Facility inspection can check the detailed and work details of the facility. Equipment inspection checks the history of the equipment by entering and searching the equipment code assigned by the administrator.

설비 점검은 도 5h 내지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담당자가 많은 설비를 관리할 경우, 설비에 대한 상세 정보 및 정비 이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5H to 5J, when the facility manager manages many facilities, the facility inspection is provided to easily check detailed information and maintenance history of the facilities.

순찰 관리는 도 5k 내지 도 5l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지정한 순찰 코스 내역이 표시되고, 순찰자는 순찰 코스에 부착된 QR 코드 인식 및 워터마크 기술을 적용하여 기록한다. 순찰 관리는 순찰이 완료되면, 관리자가 순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고서를 제공한다. 근태 관리는 QR 코드 인식 및 워터마크 기술을 적용하여 출퇴근 내역을 기록 및 확인한다.As shown in FIGS. 5K to 5L, the patrol course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administrator is displayed, and the patrol is recorded by applying QR code recognition and watermark technology attached to the patrol course. Patrol management provides a report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patrol when the patrol is completed.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records and checks the commute by applying QR code recognition and watermark technology.

근태 관리는 도 5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퇴근 정보가 등록되면, 출근 시간 및 사용자의 이름이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워터마크를 생성하여 기록된다. 업무 일지는 시설 담당자들의 작업 일치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As shown in FIG. 5M, when commuting information is registered, a watermark is generated and recorded such that the commuting time and the user's name cannot be forged. A journal is provided so that facility managers can enter work matches.

업무 일지는 도 5n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전체 내용 예를 들어, 작성 일자, 작성자, 처리 파트, 금일 작업, 금일 처리, 예정 작업, 지시 사항 및 특이 사항 등을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비상 연락은 시설에 대한 장애 발생 시, 담당자 및 유지보수 업체 등의 장애 복구에 필요한 연락처를 등록하여 신속하게 연락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As shown in FIG. 5N, the journal is provided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search and check the entire contents, for example, the date of creation, the author, the processing part, today's work, today's processing, scheduled work, instructions, and specifics. . In addition, emergency contact is provided so that in the event of a facility failure, it is possible to quickly contact by registering the contac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covery of a failure such as a person in charge and maintenance company.

또 모바일 단말기(300)는 도 5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알람 정보가 전송되면, 알람 정보를 메시지 형태 등으로 표시하고, 센서(220)와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 이벤트 발생 등을 알려준다. 이에 모바일 단말기(300)는 도 5p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센서(220),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300, as shown in Figure 5o, when the alarm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and displays the alarm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message, each of the sensor 220 and facility equipment 230 It informs about the operation status and event occurrence.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300 generate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each of the corresponding sensor 220 and facility equipment 230 and outputs it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as shown in FIG. 5P.

그리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And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건물 관리, 시설물 관리, 출입 관리, 순찰 관리, 냉동 창고 관리, 병원 주사액 냉장고 관리, 정화조 수위 관리, 물탱크 수위 관리 등에서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6,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fields, for example, building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access management, patrol management, freezer management, hospital injection liquid refrigerator management, septic tank level management, water tank In order to manage facilities in water level management, etc., we provide a web browser-based facility management solution.

구체적으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시설물 관리 처리부(130), 모니터링 처리부(140), 관리 지수 산출부(150), 우선 순위 결정부(160), 변동률 평가부(170) 및 데이터베이스(18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facility management processing unit 130, a monitoring processing unit 140, a management index calculation unit 150, a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0, and a change rate And an evaluation unit 170 and a database 180.

통신부(110)는 통신망(4)에 연결되어 복수 개의 시설물 제어 장치(210)와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300)들과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통신부(110)는 예를 들어, 유무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라우터, 스위칭 허브 및 중계기 등을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4 and processe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210 and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300.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for example,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router, a switching hub, and a repeater.

제어부(120)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20)는 통신부(110), 시설물 관리 처리부(130), 모니터링 처리부(140), 관리 지수 산출부(150), 우선 순위 결정부(160), 변동률 평가부(170) 및 데이터베이스(180)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시설물 예컨대, 건물(10a ~ 10n)들과 건물들 각각에 구비되는 시설물 장비(230)들을 통합 관리한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o process all operations of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That is, 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facility management processing unit 130, a monitoring processing unit 140, a management index calculation unit 150, a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0, a variation rate evaluation unit 170 and a database ( 180) to control a plurality of facilities, for example, buildings 10a to 10n and facility equipment 230 provided in each of the buildings.

시설물 관리 처리부(130)는 복수 개의 건물(10a ~ 10n)들 각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관리한다. 시설물 관리 처리부(130)는 예를 들어,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관리 항목 및 관리 파트별로 생성, 등록하여 통신망(4)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300)로 제공한다.The facility management processing unit 130 manages various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uildings 10a to 10n. The facility management processing unit 130 generate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management items and management parts, for example, building management, rental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equipment management, work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energ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manager management. Register and provide it to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모니터링 처리부(140)는 각 건물(10a ~ 10n)들의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부터 시설물 장비(230)들의 동작 상태에 따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관리자 또는 담당자가 실시간으로 해당 건물(10a ~ 10n)과 시설물 장비(230)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 관리한다. 모니터링 처리부(140)는 모니터링 중 건물(10a ~ 10n) 내외부의 환경 또는 시설물 장비(23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통신망(4)을 통하여 콜센터(미도시됨)와 모바일 단말기(300)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람 정보를 전송한다. 모니터링 처리부(140)는 고객 단말기(미도시됨)로부터 시설물 점검, 유지 보수 등의 고객 지원(C/S) 서비스가 요청되면, 모바일 단말기(300)로 C/S 요청 사항을 전달하여 해당 담당자에게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40 receive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from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of each building 10a to 10n in real time, so that an administrator or a person in charge manages the corresponding building 10a to 10n. Various information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170 to monitor and manage the facility equipment 230. When an event occurs in the environment or facility equipment 230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10a to 10n during monitoring,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40 transmits an event to the call center (not shown) and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t transmits the alarm information indicating that it has occurred. When the customer service (C/S) service such as facili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is request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not shown),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40 delivers the C/S request to the mobile terminal 300 to the corresponding person in charge. Inform them to expedite processing.

관리 지수 산출부(150)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다양한 관리 항목들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예컨대, 1 년 단위)의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관리 지수 산출부(150)는 예를 들어, 건물에 대한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에 따른 시설물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 각각을 선택하여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관리 파트에는 예를 들어, 건축, 관리, 기계, 통신, 방재, 미화, 상황실, 주차, 안내 등이 포함되고, 관리 항목에는 각 관리 대상에 대한 수시 점검, 법정 점검, 예방 점검, C/S(Customer Service) 점검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관리 지수는 일정 기간 즉, 1 년 단위로 관리 항목별 이벤트가 발생된 횟수에 이벤트별 대처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다. 이러한 관리 지수는 건물(10a ~ 10n)의 관리 항목들 중 건물(10a ~ 10n)의 연한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성이 높은 항목에 더 비중을 두어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management index calculation unit 150 calculates a management index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in units of one year) for various management item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To this end, the management index calculation unit 150 manages facility management parts according to, for example, building management for buildings, rental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equipment management, work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energ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manager management. It is classified by item and selects each of management items to calculate the management index. Here, the management part includes, for example, construction, management, machinery, communication, disaster prevention, beautification, situation room, parking, guidance, etc., and management items include frequent checks, statutory checks, preventive checks, and C/S (Customer Service) inspec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index is calculated by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underestimation of the coping cost for each event to a certain period, that is, the number of times an event for each management item occurs in a unit of one year. These management indices are intended to be managed by placing more weight on items with high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events according to the age of buildings 10a to 10n among management items of buildings 10a to 10n.

이 실시예에서 관리 지수 산출부(150)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관리 지수를 산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management index calculation unit 150 calculates the management index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8091521405-pat00001
Figure 112018091521405-pat00001

여기서, S는 각 관리 항목에 대한 관리 지수이고, Ek는 전체 관리 시설물 장비에 대한 과거의 일정 기간 즉, 이전 1 년 단위에서 발생되는 관리 항목별 이벤트 발생 횟수를 나타내고, Ea는 이전 일정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관리 항목별 이벤트 발생 횟수의 평균값을 나타내며, 그리고 W는 이벤트 처리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나타낸다. 이 때, 가중치는 건물의 연한에 따른 감가 상각, 유지 보수 비용 등에 따라 1 내지 5 사이의 소수점 한자리의 유리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가중치의 중앙값은 2.5이고, 가중치가 1인 경우는 이벤트 처리 비용이 상대적으로 최소인 경우이고, 가중치가 5인 경우는 이벤트 처리 비용이 상대적으로 최대인 경우이다.Here, S is a management index for each management item, E k represents the number of event occurrences for each management item occurring in the previous one-year unit for the entire management facility equipment, and E a is the previous constant period It represents the average value of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events for each management item generated during the period, and W represents the weight according to the underestimation of the event processing cost. At this time, the weight has a rational value of one decimal place between 1 and 5 depending on the depreciation, maintenance cost, etc. according to the age of the building. For example, when the median value of the weight is 2.5 and the weight is 1, the event processing cost is relatively minimum, and when the weight is 5, the event processing cost is relatively maximum.

우선 순위 결정부(160)는 산출된 관리 지수들을 이용하여 관리 항목들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우선 순위 결정부(16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이벤트 발생에 대비하여 관리자나 현장 담당자 등의 인력을 배치하도록 제공된다. 즉, 우선 순위는 관리 파트별로 관리 인력을 배치하거나, 관리 파트별로 관리 비용을 산출하여 예산에 적용하거나, 또는 시설물 관리 용역업체의 입찰 시에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The priority determining unit 160 determines the priority of the management target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management items using the calculated management indices. The priority determining unit 160 is provided to arrange personnel such as managers or field personnel in preparation for an ev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That is, the priority is provided so that management personnel can be arranged for each management part, the management cost is calculated for each management part, and applied to a budget, or referred to when bidding for a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er.

변동률 평가부(170)는 산출된 관리 지수들 각각에 대해 전년과 대비해서 관리 지수 변동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관리 지수 변동률을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건물의 연한 경과에 따라 관리 지수의 증감 여부를 평가한다.The rate of change evaluation unit 170 calculate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for each of the calculated management indexe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compares the calculated management index change rate with the inflation rate of the previous yea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management index according to the age of the building. To evaluate.

이 실시예에서 변동률 평가부(170)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각 관리 지수 변동률을 산출하고, 이를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평가한다.In this embodiment, the rate of change evaluation unit 170 calculates the rate of change of each management index by Equation 2 below, and evaluates it by comparing it with the inflation rat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Figure 112018091521405-pat00002
Figure 112018091521405-pat00002

여기서 Sk+1은 각 관리 항목에 대한 올해 관리 지수를 나타내고, Sk는 이전 년도의 관리 지수를 나타내며, I(Inflation)는 올해의 물가 상승률을 나타낸다. 또 관리 지수 변동률은 올해를 기준 시점으로 하고, 작년을 비교 시점으로 하여, 각 관리 지수의 전년 대비 증가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율을 의미한다.Here, S k+1 represents the management index of the year for each management item, S k represents the management index of the previous year, and I (Inflation) represents the inflation rate of the year. In addition,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refers to the ratio for comparing the increase of each management index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ith this year as the reference point and last year as the comparison point.

따라서 변동률 평가부(170)는 관리 지수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긍정적으로 평가되면 즉,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크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작으면, 현재 관리 지수와 우선 순위를 다른 시설물에 적용하도록 하고,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부정적으로 평가되면 즉,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크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크면, 관리자가 해당 관리 지수에 대한 이벤트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여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하여 시스템 자동화를 구현한다.Therefore, the rate of change evaluation unit 170 compare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with the rate of inflation, and if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exceeds the rate of inflation and is positively evaluated, that i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is greater than the rate of inflation and the management index of the year is the management index of last year. If it is smaller, the current management index and priority should be applied to other facilities, and if the management index change rate exceeds the inflation rate and is negatively evaluated, that is, the management index change rate is greater than the inflation rate. If the management index of this year is larger than the management index of last year, system automation is implemented by allowing the manager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event for the management index and prepare countermeasures to apply it to facility management.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관리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매년 단위로 관리 지수의 변동율을 산출하여 이벤트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변동률이 긍정적인 경우이면, 관리 지수와 우선 순위 등의 다른 시설물에 적용하게 하고, 부정적인 경우이면, 이벤트 발생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여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자동화 기술에 적용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on a yearly basis as the management period elapses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event, and if the rate of change is positive, the management index and priority, etc. It should be applied to other facilities, and in the case of negative cases, measures for event occurrence should be prepared and applied to automation technology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acilities.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8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서 시설물 관리 처리부(130), 모니터링 처리부(140), 관리 지수 산출부(150), 우선 순위 결정부(160) 및 변동률 평가부(170)의 처리 과정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들을 읽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180)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으나,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And the database 180 i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the facility management processing unit 130, the monitoring processing unit 140, the management index calculation unit 150, the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60 and the rate of change evaluation unit 170 It store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ing process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be read. The database 18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outside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but may be provided inside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이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180)는 적어도 건물 정보(181), 시설물 장비 정보(182), 관리자 정보(183), 관리 정보(184), 관리 지수 정보(185), 우선 순위 정보(186) 및 변동률 정보(187)를 저장한다.The database 18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building information 181, facility equipment information 182, manager information 183, management information 184, management index information 185, priority information 186, and change rate information. (187).

건물 정보(181)에는 예를 들어, 건물명, 건물 코드, 건물 주소, 소유주, 건물 면적, 대지 면적, 지상 및 지하 연면적, 건물 층수, 건물 구조, 주차장 규모, 건물 높이, 조경 면적, 행정 구역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시설물 장비 정보(182)에는 예를 들어, 설비명, 설비 규격, 장비명, 장비 규격, 설치 구역, 관리 파트, 제작 회사, 용도, 시설 이력 정보, 장비 이력 정보, 담당자, 작업 요청 현황, 업무 구분, 작업 접수 내용, 작업 접수 일자 및 시간, 작업 처리 결과, 순찰 점검 내용, 시설 점검 내용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관리자 정보(183)에는 예를 들어, 관리 파트, 부서명, 관리자명, 연락처, 관리 설비명, 관리 장비명, 작업 계획, 순찰 점검 코스, 근태 현황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관리 정보(184)에는 예를 들어,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다. 관리 지수 정보(185)에는 관리 지수 산출부(150)에 의해 각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포함한다. 우선 순위 정보(186)에는 우선 순위 결정부(160)에 의해 결정된 관리 항목들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변동률 정보(187)에는 변동률 평가부(170)에 의해 산출된 관리 지수 변동률을 포함한다.The building information 181 includes, for example, building name, building code, building address, owner, building area, land area, ground and underground floor area, building floor number, building structure, parking lot size, building height, landscaping area, administrative area, etc. Information is included. The facility equipment information 182 includes, for example, facility name, facility standard, equipment name, equipment standard, installation area, management part, manufacturing company, use, facility history information, equipment history information, person in charge, work request status, job classification, It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job reception contents, date and time of job reception, job processing results, patrol inspection contents, and facility inspection contents. The manager information 183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for example, a management part, department name, manager name, contact information, management facility name, management equipment name, work plan, patrol inspection course, and time and attendance status. The management information 184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according to building management, rental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equipment management, work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energ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manager management. The management index information 185 includes a management index for each management item by the management index calculation unit 150. The priority information 186 includes priority information of a management target of a building according to management items determined by the priority determining unit 160. And the rate of change information 187 include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calculated by the rate of change evaluation unit 170.

이러한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시설물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시설물 관리 운영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합리적인 시설 관리 체계의 수립과 표준화된 업무 운영을 통하여 건물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시설 관리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시설 자산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stablishes the facility management operation process using the facility management solution of the facility, reduces building operation cos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reasonabl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standardized business operation, and I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maximize the value of facility assets.

따라서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시설물 유지 관리 정보화를 통하여 입주자에게 쾌적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 근무자에게는 편리한 운영 방안을 제공하며, 리노베이션을 통한 건물 경영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fortable use environment for tenants through information on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provide a convenient operation method for workers, and increase the economics of building management through renovation.

계속해서,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Subsequently, a process of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단계 S400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가 시설물 즉, 건물(10a ~ 10n)들 각각에 대한 정보와, 각각의 건물(10a ~ 10n)에 구비되는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부터 해당 건물에 설치된 다양한 시설물 장비(230)들에 대한 정보 및 관리자에 대한 정보 등을 등록하여 시설물 통합 관리를 처리한다. 이 때,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각각의 건물(10a ~ 10n)에 구비된 복수 개의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부터 해당 건물의 시설물 장비(230)들의 동작 상태에 따른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다양한 정보들을 생성, 가공 및 관리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400,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includes information about each of facilities, that is, buildings 10a to 10n, and each building 10a to 10n) registers information on various facility equipments 230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information on the manager, etc., from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provided in the building to process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At this time,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transmits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of the building from the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210 provided in each building 10a to 10n in real time. It receives, generates, processes and manages various information.

단계 S402에서 모바일 단말기(300)가 통신망(4)을 통해 웹 브라우저 기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접속하면, 단계 S404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시설물 관리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300)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설치없이 웹 브라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접속하고,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걸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시설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모바일 단말기(300)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선택하거나 검색하여 확인한다.In step S402, when the mobile terminal 300 accesses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using a web browser-based or appl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n step S404,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performs various operations according to facility manageme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In this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300 accesses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using a web browser-based facility management solution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and the facility of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through a user authentication process Management services can be provided. In step S406, the mobile terminal 300 selects or searches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to confirm.

단계 S408에서 센서(220)들 각각이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의 동작 상태나, 건물(10a ~ 10n)의 내외부 환경 상태 등을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 제공한다. 단계 S410에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감지 정보를 통해 어느 하나의 시설물 장비(230)나 건물(10a ~ 10n)에서 장애, 화재 등의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이 판별되면, 단계 S412에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기(300)로 알람 정보를 전송한다.In step S408, each of the sensors 220 detects the operating state of each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buildings 10a to 10n, and provides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In step S410, if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determines that an event such as a failure or fire has occurred in any one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or the buildings 10a to 10n through the detection information,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in step S412 ( 200) transmits alarm information to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단계 S414에서 모바일 단말기(300)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알람 정보가 수신되면, 알람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내용을 확인하여 시설물 장비(230) 또는 건물(10a ~ 10n)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관리자가 현장을 방문하도록 하거나, 시설물 장비(23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 전송한다.In step S414, when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alarm information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it checks the event contents included in the alarm information to monitor the state of the facility equipment 230 or the buildings 10a to 10n, If necessary, the administrator may visit the site or transmit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acility equipment 230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단계 S416에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모바일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단계 S418에서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시설물 제어 장치(210)는 원격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시설물 장비(230)를 제어한다.In step S416,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200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in step S418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Accordingly, the facility control device 210 controls the corresponding facility equipment 230 in response to a remote control signal.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가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비되고, 이 프로그램은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저장 장치(미도시됨)에 저장된다.And Figure 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dure for managing the facility using the management index for the management items in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cedure is provided as a computer program processed by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and this program is stored in a storage device (not shown) of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단계 S500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가 시설물 관리를 위한 복수 개의 관리 항목들을 선택하여 단계 S502에서 각각의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관리 지수 산출부(150)를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다양한 관리 항목들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예컨대, 1 년 단위)의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관리 지수 산출부(150)는 예를 들어, 건물에 대한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에 따른 시설물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 각각을 선택하여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관리 파트에는 예를 들어, 건축, 관리, 기계, 통신, 방재, 미화, 상황실, 주차, 안내 등이 포함되고, 관리 항목에는 각 관리 대상에 대한 수시 점검, 법정 점검, 예방 점검, C/S 점검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관리 지수는 상술한 수학식 1에 의해 일정 기간 즉, 1 년 단위로 관리 항목별 이벤트가 발생된 횟수에 이벤트별 대처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다.Referring to FIG. 8, in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selects a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for facility management in step S500 and manages each management item in step S502 Calculate the index. In this embodiment,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uses the management index calculation unit 150 to calculate a management index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for one year) for various management items for facility management. To this end, the management index calculation unit 150 manages facility management parts according to, for example, building management for buildings, rental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equipment management, work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energ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manager management. It is classified by item and selects each of management items to calculate the management index. Here, the management part includes, for example, construction, management, machinery, communication, disaster prevention, beautification, situation room, parking, guidance, etc., and management items include frequent checks, statutory checks, preventive checks, and C/S And inspections. In addition, the management index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underestimation of the coping cost for each event to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event for each management item in a certain period according to Equation 1 described above.

단계 S504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산출된 관리 지수들을 이용하여 관리 항목들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우선 순위 결정부(160)를 이용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이벤트 발생에 대비하여 관리자나 현장 담당자 등의 인력을 배치하도록 제공된다.In step S504,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determines the priority of the management target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management items using the calculated management indices. In this embodiment,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is provided to arrange personnel such as managers or field personnel in preparation for event occurrence according to the priority determined using the priority determining unit 160.

단계 S506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변동률 평가부(170)를 이용하여 산출된 관리 지수들 각각에 대해 전년과 대비해서 관리 지수 변동률을 산출한다. 단계 S508에서 변동률 평가부(170)는 산출된 변동률을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건물의 연한 경과에 따라 관리 지수의 증감 여부를 평가한다.In step S506,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100 calculates the management index fluctuation rat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for each of the management indices calculated using the fluctuation rate evaluation unit 170. In step S508, the rate of change evaluation unit 170 compares the calculated rate of change with the inflation rat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evaluates whether the management index increases or decreases over the age of the building.

평가 결과, 변동률 평가부(170)가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긍정적으로 평가되면 즉,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크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작으면, 이 수순은 단계 S510으로 진행하여, 현재 관리 지수와 우선 순위를 다른 시설물에 적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변동률 평가부(170)가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부정적으로 평가되면 즉,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크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크면, 이 수순은 단계 S512로 진행하여, 관리자가 해당 관리 지수에 대한 이벤트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고, 단계 S514에서 이를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하여 시스템 자동화를 구현한다.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if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compare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with the rate of inflation, and if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exceeds the rate of inflation and is positively evaluated, that i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is greater than the rate of inflation, and the management index of the year was managed last year. If it is smaller than the index,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S510 to apply the current management index and priority to other facilities. And if the rate of change evaluation unit 170 compare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with the rate of inflation,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exceeds the rate of inflation and is evaluated negatively, that i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is greater than the rate of inflation, and the management index of the year is higher than the management index of last year. If it is large,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S512, so that the manager can determine the cause of the event for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index to prepare a countermeasure, and apply it to facility management in step S514 to implement system automation.

물론 평가 결과, 변동률 평가부(170)가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 이하이면, 관리 지수 변동률에 따른 관리 비용이 물가 상승률 보다 작기 때문에 관리 지수의 변동률을 평가할 의미가 없다.Of course,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if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is less than the rate of inflation by compar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with the rate of inflation, it is meaningful to evaluate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because the management cost according to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is less than the rate of inflation. non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although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has been described,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changes are possible.

2 :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4 : 통신망
100 :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
200 : 원격 모니터링 장치
210 : 시설물 제어 장치
220 : 센서
230 : 시설물 장비
300 : 모바일 단말기
2: Facility Management System
4: communication network
100: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200: remote monitoring device
210: facility control device
220: sensor
230: facility equipment
300: mobile terminal

Claims (3)

복수 개의 건물들 각각에 구비되어 건물 운영에 따른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시설물 장비들과, 하나의 상기 건물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시설물 장비들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시설물 장비의 동작 상태에 따른 정보를 수집, 저장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와, 상기 건물의 환경 상태 및 상기 시설물 장비의 동작 상태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과,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감지 정보를 받아들이고, 상기 시설물 장비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건물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적어도 상기 건물들 각각에 대한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에 따른 관리 정보를 등록, 추가, 수정, 삭제 및 검색 처리하고, 시설물 관리에 따른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에 대한 일정 기간의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관리 항목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처리하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하여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건물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에 대한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 및 관리하고, 상기 관리 정보를 등록, 추가, 수정, 삭제 및 검색하고,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등록된 작업 지시에 따른 작업 내역을 입력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 연결되어 시설물 관리를 위한 공지 사항, 작업 관리, 시설 점검, 설비 점검, 순찰 관리, 근태 관리, 업무 일지 및 비상 연락을 적어도 처리하는 시설물 관리부; 및
상기 센서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어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알람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알람 정보를 통해 발생된 이벤트 내용을 확인하도록 하고, 이벤트가 발생된 상기 시설물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는,
시설물 관리를 위한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 각각을 선택하여 관리 항목들 각각에 대해 일정 기간 단위로 관리 항목별 이벤트가 발생된 횟수에 이벤트별 대처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관리 지수를 산출하는 관리 지수 산출부;
산출된 상기 관리 지수들을 이용하여 관리 항목들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 및
산출된 상기 관리 지수들 각각에 대해 전년과 대비해서 관리 지수 변동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을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건물의 연한 경과에 따라 상기 관리 지수의 증감 여부를 평가하는 변동률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A plurality of facility equipment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uildings to provide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and on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each of the facility equipments to control the facility equipment Facility control device for collecting and s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a plurality of sensors for sensing the environmental state of the building and the operating state of each of the facility equipment, and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e detection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sensors It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through a remote monitoring device and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accepts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acility equipment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and integrat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the building and the facility equipment to at least the Register, add, modify, delete and search manag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building management, rental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equipment management, work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energ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manager management for each building, and facility management Management par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management items, and a management index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calculated for management items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management targets of buildings according to management items, and to be applied to facili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In the mobile terminal for a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to:
Connect to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based on a web brows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monitor and manage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building and the facility equipment, register, add, modify, delete and search the management information, and integrate the facility Processed to input the work details according to the registered work instruction from the control server, and connected to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to announce the facility management, work management, facility inspection, facility inspection, patrol management,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journal and A facility management unit that handles emergency communication at least; And
When an event is generated from any one of the sensor and the facility equipment and alarm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alarm information is checked and the facility equipment where the event occurs is controlled. Includes a remote contro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The facility integrated control server,
The management parts for facility management are classified by management items, and each management item is selected to apply weight to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management items for each management item in a certain period for each management item. A management index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management index;
A priority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priority of a building management target according to management items using the calculated management indices; And
For each of the calculated management indices, the rate of change of the management index is calculat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the calculated rate of change in the management index is compared with the inflation rate of the previous year to evaluate whether the management index increases or decreases over the course of the building Evaluation unit; Mobile terminal for a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처리부는;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된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로 전달하도록 하여, 이벤트가 발생된 상기 시설물 장비를 원격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mote control processing unit;
A mobile terminal for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to remotely control the facility equipment where an event has occurred.
KR1020180110005A 2018-09-14 2018-09-14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KR1021225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005A KR102122590B1 (en) 2018-09-14 2018-09-14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005A KR102122590B1 (en) 2018-09-14 2018-09-14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246A KR20200031246A (en) 2020-03-24
KR102122590B1 true KR102122590B1 (en) 2020-06-12

Family

ID=7000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005A KR102122590B1 (en) 2018-09-14 2018-09-14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5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449B1 (en) * 2020-04-10 2021-11-05 (주)오픈웍스 Equipment Power Monitor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45732B1 (en) * 2020-11-27 2022-09-22 대한민국 History managing solution for climate change monitering apparatus
KR102511561B1 (en) * 2022-12-22 2023-03-17 (주)삼오관리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pert dispatch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658796B1 (en) * 2023-10-04 2024-04-18 주식회사 바이솔루션 Unmanned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user convenie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82B1 (en) * 2013-03-18 2014-11-25 대한민국 Horticultural faci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981B1 (en) 2008-06-12 2010-10-29 박장호 Method for network-based facilities integration management and system thereto
KR20110017979A (en) 2009-08-17 2011-02-2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Buildimg management system using message of sms
KR101322339B1 (en) * 2012-02-10 2013-10-28 주식회사 광명전기 The apparatus and method of direct monitoring application moudule with smartphone
KR101467063B1 (en) 2012-12-14 2014-12-0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Building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Sever and Managing Method Thereof
KR101291814B1 (en) 2013-02-22 2013-09-05 주식회사 미션소프트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in real time
KR20150068520A (en) * 2013-12-11 2015-06-22 이규한 Monitoring Method of Booster Pump System Using A Smart Device
KR101944961B1 (en) * 2016-11-11 2019-04-17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Based Internet Of Thing Plat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82B1 (en) * 2013-03-18 2014-11-25 대한민국 Horticultural faci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246A (en)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588B1 (en)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KR102122590B1 (en)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US11461850B1 (en) Determining insurance policy modifications using informatic sensor data
KR102122589B1 (en) Method for processing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US11792039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space graphs including software components
US9818158B1 (en) Utilizing credit and informatic data for insurance underwriting purposes
US20220414614A1 (en) Systems for Actively Monitoring Lift Devices and Maintaining Lif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7002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maintenance management of vertical transportation equipment
US201400324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roperty
KR101044264B1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US20150066782A1 (en) Computer monitoring, servicing, and management of remote equipment and assets
US20190122129A1 (en) System to monitor and process water-related data
US11495122B2 (en) Automated bulk location-based actions
CA3106434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space graphs
US11436682B2 (en) Property damage risk evaluation
KR20180009849A (en) Managing system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ethod thereof
WO2024040738A1 (en) Smart park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latform
Shah et al. Vehicle Service Management and Live Monitoring with Predictive Maintenance System
JP2017211896A (en) Information browsing system
US11818801B2 (en) System to monitor and process risk relationship sensor data
KR20130117626A (en) Satellite management control system
EP2136323B1 (en) Assignment of alarms
KR20240000166A (en)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CN117303147A (en) Elevator Internet of things monitoring system, method and terminal based on Zigbee and bi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