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503B1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sual effects using auditoriu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sual effects using auditor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503B1
KR102121503B1 KR1020180126316A KR20180126316A KR102121503B1 KR 102121503 B1 KR102121503 B1 KR 102121503B1 KR 1020180126316 A KR1020180126316 A KR 1020180126316A KR 20180126316 A KR20180126316 A KR 20180126316A KR 102121503 B1 KR102121503 B1 KR 102121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unit
por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5361A (en
Inventor
소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라클미디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라클미디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라클미디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126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503B1/en
Publication of KR2020004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3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5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Abstract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시각적 효과 표시 장치는 각 객석의 일측에 위치한 표시부의 통신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각 표시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Disclosed is a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using a seat and a method therefor. The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sets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display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each seat, and generate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each display portion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Figure R1020180126316
Figure R1020180126316

Description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sual effects using auditorium}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sual effects using auditorium}

본 발명은 객석을 이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visual effect using an auditorium.

공연이나 이벤트 등에서 극적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무대효과를 연출한다. 예를 들어, 무대효과를 위하여 불이나 물을 사용하거나 레이저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무대효과는 주로 공연이나 이벤트 및 광고가 이루어지는 곳에 한정된다.Various stage effects are produced to give dramatic effects in performances and events. For example, fire or water is used or a laser is used for the stage effect. However, most stage effects are mainly limited to performances, events and advertisements.

등록특허공보 제10-1851841호 "특수효과 무대장치"Patent Registration No. 10-1851841 "Special effect stage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 객석에 설치된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visual effect using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each seat.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장치의 일 예는, 각 객석의 일측에 위치하고 통신 어드레스를 부여받은 표시부; 표시부의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xample of a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using a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located on one side of each seat and given a communication addres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display unit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display unit; And a network unit connecting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방법의 일 예는, 각 객석에 위치한 표시부를 이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객석의 일측에 위치한 표시부의 통신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각 표시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example of a visual effect display method using a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method of displaying a visual effect using a display unit located in each seat, on one side of each seat Setting a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located display unit;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each display unit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연이나 이벤트 등에서 무대효과의 연출 범위를 객석까지 확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tage of the stage effect in the performance or event to the audienc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공연장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객석의 일부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표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효과 표시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효과 표시장치의 네트워크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의 위치와 통신 어드레스를 맵핑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시각적 표시 장치의 이중화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and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enu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audience sea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to 6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network structure of a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pping a location of a display unit and a communication add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ual structure of a vis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isual effect display method using an auditor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a visual effec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공연장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enu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연장은 무대(110)와 함께 객석(100,200)을 포함한다. 객석(100,200)은 공연장에 따라 부채꼴,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올림픽 경기장처럼 수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객석 또는 소규모 공연장과 같이 수십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객석 등 객석의 수용규모가 다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venue includes a stage (110) and auditoriums (100,200). The auditoriums 100 and 200 may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fan shape, an oval shape, a square shape, a pentagonal shape, or a circular shape, depending on the venu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audience may vary, such as a seat that can accommodate tens of thousands, such as an Olympic stadium, or a seat that can accommodate dozens, such as a small venue.

본 실시 예는 공연장의 모양이나 형태 또는 그 규모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객석(100,200)이 존재하는 모든 곳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림픽 경기장뿐만 아니라 극장이나 야외 공연장 등 다양한 객석에 본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r shape of the venue or its scale, and can be applied to all where the seats 100 and 200 exist. For example,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various audiences, such as a theater or an outdoor theater, as well as an Olympic stadium.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객석의 일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some examples of seats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객석에는 시각적 효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00)가 존재한다. 표시부(300)는 관객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각 의자(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300)는 각 의자(310)의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부(300)는 객석에 의자 위치와 무관하게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표시부(300)의 배치 형태와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 there is a display unit 300 for displaying a visual effect in the auditorium. The display unit 300 may be positioned between each chair 310 so as not to disturb the viewer's view. Alternatively, the display unit 300 may be located behind each chair 310. As another example, the display unit 300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regardless of a chair position in the seat. The present embodiment is only one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and the arrangement form and location of the display unit 300 may be variously modified.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표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4 to 6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표시부(300)는 빛을 방출하는 표시패널(400)과, 객석의 일측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420)와, 표시패널(400)과 고정부(420)를 연결하는 일정길이의 연결부(4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to 6 together, the display unit 300 includes a display panel 400 that emits light, a fixing unit 420 that can be fixed to one side of an audience, and a display panel 400 and a fixing unit ( 42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410 of a predetermined length.

표시패널(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40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16개의 LED 소자(402)를 포함하는 표시패널(400)을 도시하고 있다. 실시 예에 따라, LED 소자(402) 앞에는 빛의 방출 각도를 결정하는 렌즈가 위치할 수 있다. 표시패널(400)에 포함되는 LED 소자(402)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The display panel 400 includes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LED) element 402. This embodiment shows a display panel 400 including 16 LED elements 40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lens for determining an emission angle of light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LED element 402.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LED elements 402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40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embodiments.

표시패널(400)은 관객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가로 및 세로 150mm 정도로 구현할 수 있다. 표시패널(400)의 크기 및 모양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The display panel 400 may be implemented to be about 150 mm horizontally and vertically so as not to disturb the viewer's view. The size and shape of the display panel 400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embodiments.

고정부(420)는 집게 형태로 구현되어 객석에 위치한 판이나 봉 등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표시부(300)가 객석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집게 형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표시패널(400)은 나사나 접착제 등 종래의 다양한 고정수단을 통해 객석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420)는 집게 형태가 아닌 다양한 모양의 체결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4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tongs and fixed to a plate or rod located in the seat. This embodimen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300 includes a clamp-type fixing portion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auditorium,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400 may be provided through various conventional fixing means such as screws or adhesives. Can be fixed in the auditorium. Alternatively, the fixing part 420 may be embodied as fastening means of various shapes rather than tongs.

연결부(410)는 일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410)를 이용하여 표시부(410)는 객석의 의자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여 관객이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관객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400)와 연결부(410)는 힌지(500) 등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4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Using the connection portion 410, the display portion 41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chair of the audience so that the audience is not covered by the audience when seated. The display unit 400 and the connection unit 410 may be connected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hinge 500 or the like.

도 4 내지 도 6의 표시부(3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300)는 다양한 형태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300)는 표시패널(420)만으로 구성되고, 표시패널(420)이 바로 의자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300 of FIGS. 4 to 6 is only one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play unit 3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r structures according to embodiments.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00 may be variously changed, such as consisting only of the display panel 420 and the display panel 420 fixed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hair.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효과 표시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시각적 효과 표시장치(700)는 제어부(710), 네트워크부(720) 및 표시부(7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700 includes a control unit 710, a network unit 720, and a display unit 730.

표시부(730)의 외부 구조의 일 예는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객석에 위치하는 표시부(730)의 개수는 매우 많으므로, 이를 일일이 스위치 등으로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각 표시부(730)를 제어명령에 따라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부(720)를 구성하고, 각 표시부(730)에 통신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표시부(730)는 통신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과,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730 is as described in FIGS. 4 to 6. Since the number of display units 730 located in the auditorium is very large, there is a limit to controlling them individually with a switch or the like.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s the network unit 720 to quickly control each display unit 73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nd assigns a communication address to each display unit 730. The display unit 7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storing a communication address and receiving a control command, and a configuration of a processor, a memory, and the like.

일정 간격으로 객석에 설치된 표시부(730)를 통해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석에 설치된 각 표시부(730)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소처럼 활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객석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730)의 위치와 표시부(730)의 통신 어드레스 사이의 맵핑관계가 미리 파악되어 저장될 필요가 있다. 표시부(730)의 위치와 통신 어드레스 사이의 맵핑방법의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Various images can be generated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730 installed in the audience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various images may be displayed on the audience by using each display unit 730 installed in the audience as a pixel of the display device. To this end,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730 and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display unit 730 needs to be identified and stored in advance. An example of a mapping method between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730 and the communication address is illustrated in FIG. 9.

네트워크부(720)는 제어부(710)와 표시부(73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네트워크부(720)의 상세 구성의 일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The network unit 720 configures a network including the control unit 710 and the display unit 730.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unit 720 is illustrated in FIG. 8.

제어부(710)는 각 표시부(73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부(720)를 통해 각 표시부에 전달한다. 제어부(710)는 각 표시부(730)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소자의 온/오프, LED 소자의 색상이나 밝기 등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각 표시부(730)의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표시부(730)에 전달한다. The control unit 710 generate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each display unit 730 and transmits them to each display unit through the network unit 720. The control unit 710 uses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each display unit 730 to control commands for controlling on/off of at least one LED element, color or brightness of the LED elements, etc., present in each display unit 730,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each display unit 730. (73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효과 표시장치의 네트워크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structure of a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부(7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허브(8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제어부(820,822)를 포함한다. 포트제어부(820,822)가 하나만 존재할 경우에 허브(810)는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network unit 720 includes at least one hub 810 and at least one port control unit 820,822. When only one port control unit 820 or 822 exists, the hub 810 may be omitted.

허브(810)는 제어부(800)로부터 통신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통신 어드레스에 따라 제어명령을 제1 포트제어부(820) 또는 제2 포트제어부(822)로 전달한다. 제어명령을 각 포트제어부(820,822)에 전달하기 위하여, 허브(810)는 각 포트제어부(820,822)에 연결된 표시부(830,832,834,836)의 통신 어드레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명령에 포함된 통신 어드레스가 제1 포트제어부(820)에 연결된 표시부(830,832)이면, 허브(810)는 제어명령을 제1 포트제어부(820)로 전달한다. When the hub 810 receives a control comm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address from the control unit 800, the hub 810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port control unit 820 or the second port control unit 822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address. In order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each port control unit 820,822, the hub 810 may store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display units 830,832,834,836 connected to each port control unit 820,822. 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is the display units 830 and 832 connected to the first port control unit 820, the hub 810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port control unit 820.

다른 예로, 신속한 제어명령의 전달을 위하여, 제1 포트제어부(820)에 연결된 각 표시부(830,832)의 통신 어드레스와 제2 포트제어부(822)에 연결된 각 표시부(834,836)의 통신 어드레스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일정 범위의 주소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허브(810)는 각 표시부의 통신 어드레스를 저장 관리할 필요없이 각 그룹의 주소 범위에 대한 정보만을 알고 있으면 된다. 즉, 제1 그룹의 범위 내 통신 어드레스를 포함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이를 제1 포트제어부(820)로 전달하고 제2 그룹의 범위 내 통신 어드레스를 포함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이를 제2 포트제어부(822)로 전달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for rapid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each display unit 830,832 connected to the first port control unit 820 and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each display unit 834,836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control unit 822 are sequentially increased. Can belong to a range of address groups. In this case, the hub 810 only needs to know information about the address range of each group without having to store and manage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each display unit. That is, when a control comm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address within a range of the first group is received, it is transferred to the first port control unit 820 and when a control comm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address within the range of the second group is received, the second port control unit 822 ).

또 다른 예로, 제어명령은 포트제어부(820,822)의 선택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00)가 포트제어부(820,822)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하면, 허브(810)는 포트제어부(820,822)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제1 포트제어부(820) 또는 제2 포트제어부(822)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허브(810)는 표시부에 부여된 통신 어드레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command may include information for selection of the port control units 820 and 822. When the control unit 80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 control units 820 and 822, the hub 810 sends a control comman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 control units 820 and 822 to the first port control unit 820 or the 2 can be delivered to the port control unit 822. In this case, the hub 810 does not need to store or man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address given to the display unit.

포트제어부(820,822)는 복수 개의 포트를 포함한다. 각 포트는 복수 개의 표시부(830,832,834,836)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포트가 30개이고, 각 포트당 500개의 표시부가 연결된다면, 하나의 포트제어부(820,822)에 연결 가능한 표시부(830,832,834,836)의 최대 개수는 15,000개이다. 객석에 설치된 표시부(830,832,834,836)의 개수에 따라 포트제어부(820,822)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Port control unit (820,822) includes a plurality of ports. Each por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830,832,834,836). For example, if there are 30 ports and 500 display units are connected to each port, the maximum number of display units 830,832,834,836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port control unit 820,822 is 15,000. The number of port control units 820 and 822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splay units 830, 832, 834 and 836 installed in the auditorium.

표시부(830,832,834,836)의 고장이나 장애가 다른 표시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표시부(830,832,834,836)는 통신선로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표시부(830,832,834,836)의 전원 공급 또한 병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트제어부(820,822)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명령에 포함된 통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표시부(830,832,834,836)가 존재하는 포트로 제어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s 830,832,834,836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mmunication lines so that failures or failures of the display units 830,832,834,836 do not affect other display units. In addition, power supply of each display unit 830,832,834,836 can also be made in parallel. Upon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the port control units 820 and 822 may output a control command to a port on which the display units 830,832,834 and 836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addresses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exist.

일 실시 예로, 제어명령은 포트번호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830,832,834,836)의 통신 어드레스는 연결된 포트제어장치(820,822)의 포트번호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생성되어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포트제어부(820,822)는 제어명령 또는 통신 어드레스에 포함된 포트번호를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출력할 포트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포트제어장치(820,822)는 종래의 허브나 라우터 등과 같이 포트별 연결된 표시부(830,832,834,836)의 통신 어드레스에 대한 주소 테이블을 미리 정의하여 가지고 있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command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port number.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addresses of the display units 830,832,834,836 may be generated and allocated in a form including the port numbers of the connected port control devices 820,822. In this case, the port control units 820 and 822 can easily identify the port to output the control command using the control command or the port number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address. In another embodiment, the port control devices 820 and 822 may have previously defined an address table for a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display units 830,832,834,836 connected by port, such as a conventional hub or router.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의 위치와 통신 어드레스를 맵핑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pping a location of a display unit and a communication add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객석에 배치된 표시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소처럼 취급될 수 있다. 표시부가 객석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경우에, 각 표시부를 제어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석에 가로 500개, 세로 30개의 표시부가 존재한다면, 이는 15,000(500 * 30)의 화소가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처럼 취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에 행렬로 각 화소의 위치를 관리하듯이, 본 실시 예에서도 각 표시부의 위치 정보를 행렬로 관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display unit disposed in the seat may be treated as a pixel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display unit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eat, various images can be displayed by controlling each display unit. For example, if there are 500 horizontal and 30 vertical display units in the audience, it can be treated as a display device having 15,000 (500 * 30) pixels. In the case of a display device, as in the case of managing the position of each pixel in a matrix,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 unit can be managed in a matrix.

예를 들어, 특정 위치(예를 들어, 좌상단)의 표시부를 기준으로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행렬로 배치할 수 있다. 객석의 모양이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부채꼴이거나 오각형인 경우에도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이를 평면으로 펼쳤을 때 상대적 위치를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a relativ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may be arranged in a matrix based on the display unit of a specific location (eg, upper left). Even when the shape of the auditorium is fan-shaped or pentagonal, as shown in FIG. 1 or 2, when the plane is unfolded in a plane based on a specific location, the relative location may be represented as a matrix.

통신 어드레스는 표시부의 각 위치와 맵핑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표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행렬(900)과 통신 어드레스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l)에 위치한 통신 어드레스 Ak,l는 (k,l)에 위치한 표시부의 통신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가 객석에서 k번째 행의 l번째 열에 위치한 표시부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 행렬 (k,l)에 위치한 통신 어드레스 Ak,l를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address can be stored and managed by mapping each location of the display unit. The matrix 900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communication address can be mapped and stored and manage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address A k,l located at (k,l) means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display unit located at (k,l). Therefore, when the controller wants to control the display unit located in the l-th column of the k-th row in the audience, the control command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A k,l located in the matrix (k,l).

포트제어부(910)의 각 포트(912,914,916)는 동일 행 또는 동일 열에 위치한 표시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k행에 위치한 복수의 표시부는 포트제어부(910)의 k번째 포트(914)에 연결되고, k-1행에 위치한 복수의 표시부는 포트제어부(910)의 k-1번째 포트(9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포트제어부(910)의 포트 위치는 표시부가 위치한 공간상의 행과 맵핑된다. 제어부는 k 행에 위치한 표시부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트제어부(910)의 k포트에 대한 정보를 제어명령에 포함시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포트제어부(910)는 포트별 통신 어드레스의 학습과정이나 주소 테이블 등의 관리 없이 바로 해당 포트로 제어명령을 신속하게 출력할 수 있다. Each port 912,914,916 of the port control unit 910 may be connected to a display unit located in the same row or column.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located in the k row is connected to the k-th port 914 of the port control unit 910, and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located in the k-1 row is the k-1th port of the port control unit 910 ( 912). In this case, the port position of the port control unit 910 is mapped to a row in the space where the display unit is located. When the control unit wants to control the display unit located in the k row,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k port of the port control unit 910 in a control command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ort control unit 910 can quickly output a control command to the corresponding port without directly managing a communication process for each port or managing an address table.

다른 예로, 제어부는 포트별 제어명령을 그룹핑하여 전달할 수 있다. 즉, (k-1)행과 k행에 위치한 다수의 표시부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 제어부는 (k-1)행에 위치한 표시부에 대한 제어명령과 k행에 위치한 표시부에 대한 제어명령을 각각 그룹핑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트제어부(910)는 각 행의 표시부에 대한 제어명령을 신속하게 출력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group and transmit control commands for each port. That is, when generating and transmitting control commands for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ocated in the (k-1) and k row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located in the (k-1) row and the display unit located in the k row. Control commands for each can be grouped and delivered. In this case, the port control unit 910 can quickly output a control command to the display unit of each row.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시각적 표시 장치의 이중화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ual structure of a vis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를 메인제어부(1000)와 서브제어부(1002)로 이중화하고, 허브 또한 메인허브(1010)와 서브허브(1012)로 이중화할 수 있다. 메인허브(1010)와 서브허브(1012)는 메인제어부(1000)와 서브제어부(1002)에 모두 연결되고, 각 포트제어부(1020,1022)는 메인허브(1010)와 서브허브(1012)에 모두 연결된다. 메인제어부(1000)에 장애나 고장이 발생하면, 시스템은 메인제어부(1000)에서 서브제어부(1002)로 자동 절체되고, 서브제어부(1002)가 메인이 되어 제어역할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메인허브(1010)에 장애나 발생하면, 서브허브(1012)로 자동 절체되어 중단없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0, the control unit may be dualized to the main control unit 1000 and the sub-control unit 1002, and the hub may also be dualized to the main hub 1010 and the sub-hub 1012. The main hub 1010 and the sub-hub 1012 are connected to both the main control unit 1000 and the sub-control unit 1002, and each port control unit 1020, 1022 is connected to both the main hub 1010 and the sub-hub 1012. Connected. When a failure or failure occurs in the main control unit 1000, the system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000 to the sub-control unit 1002, and the sub-control unit 1002 becomes the main and performs a control role. Likewise, if a failure occurs in the main hub 1010, it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sub-hub 1012 to provide uninterrupted servic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isual effect display method using an auditor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710)는 표시부(730)에 통신 어드레스를 설정한다(S1100). 통신 어드레스는 표시부(730)의 공간상의 위치와 맵핑하여 저장 관리될 수 있다. 제어부(710)는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객석에 위치한 표시부(730)를 제어한다(S1100). 제어부(710)는 객석의 표시부를 마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처럼 취급하여 각종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control unit 710 sets a communication address in the display unit 730 (S1100). The communication address may be stored and managed by mapping it to a location on the display 730 in space. The control unit 710 controls the display unit 730 located in the seat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S1100). The control unit 71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display various images by treating the display portion of the audience as if it were a pixel of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explanation, not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각 객석의 일측에 위치하고 통신 어드레스를 부여받은 표시부;
표시부의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허브;
상기 허브와 연결되고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제어부; 및
상기 포트제어부의 각 포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부를 연결하는 통신선로;를 포함하고,
각 포트제어부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일정 범위의 주소 그룹에 속한 표시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주소 그룹의 주소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어명령에 포함된 통신 어드레스가 속한 주소그룹에 따라 상기 제어명령을 전송할 포트제어부를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행렬로 배치하고, 상기 행렬과 상기 통신 어드레스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를 디스플레장치의 화소로 취급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장치.
A display unit located on one side of each seat and given a communication addres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display unit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display unit; And
Includes; a network unit for connecting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network unit,
At least one hub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t least one port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hub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orts; And
It includes; a communication line connecting each port of the port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display unit;
Each port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display unit belonging to a certain range of address groups that are sequentially increased.
The hub includes information on the address range of the address group, identifies a port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address group to which the communic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belongs,
The control unit may arrange a relativ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in a matrix, map and store the matrix and the communication address, and use the matrix to control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as a pixel of a display device. Visual effect indica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객석 일측에 부착을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일정 길이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A display panel including at least one LED element;
Fixing part for attachment to one side of the auditorium; And
And a fixed length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xing portion and the display pane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LED 소자의 앞에 위치하여 빛의 방출 각도를 결정하는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lens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LED element to determine a light emission angle; a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using a seat,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통신선로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s a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using the audien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mmunication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가 설치된 공간상의 위치와 통신 어드레스의 관계를 기초로 원하는 위치의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using a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ortion at a desired location is controlled based on a relationship between a location on a space where the display portion is installed and a communication address.
제 1항에 있어서,
객석에서 동일 행 또는 동일 열에 위치한 표시부는 상기 포트제어부의 동일한 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Display device located in the same row or the same column in the audience is connected to the same port of the port control unit Visual effect display device using the audience.
각 객석에 위치한 표시부를 이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객석의 일측에 위치한 표시부의 통신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각 표시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허브와 연결되고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포트제어부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일정 범위의 주소 그룹에 속한 표시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주소 그룹의 주소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포함된 통신 어드레스가 속한 주소그룹에 따라 상기 제어명령을 전송할 포트제어부를 파악하고,
상기 통신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는,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행렬로 배치하고, 상기 행렬과 상기 통신 어드레스를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를 디스플레장치의 화소로 취급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방법.
In the method of displaying a visual effect using the display portion located in each seat,
Setting a communication address of a display unit located on one side of each seat; And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control signals for each display unit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A plurality of port control units connected to a hub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ort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display units belonging to a range of address groups that are sequentially increased,
The hub includes information on the address range of the address group, and upon receiving a control command, identifies a port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address group to which the communic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belongs,
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address includes arrang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display unit as a matrix, and mapping and storing the matrix and the communication address,
The generating and outputting of the control signal includes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by treating the display unit as a pixel of a display device using the matrix, and displaying a visual effect using a sea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는,
표시부의 공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맵핑하여 각 표시부의 통신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sett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And mapping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patial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to store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each display unit.
제 8항에 있어서,
객석에서 동일 행 또는 동일 열에 위치한 표시부는 포트제어부의 동일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표시부가 위치한 행 또는 열에 대한 포트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석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play unit located in the same row or column in the seat is connected to the same port of the port control unit,
The generating of 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including port information for a row or column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located, and displaying the visual effect using the auditorium.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KR1020180126316A 2018-10-22 2018-10-22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sual effects using auditorium KR1021215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316A KR102121503B1 (en) 2018-10-22 2018-10-22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sual effects using auditor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316A KR102121503B1 (en) 2018-10-22 2018-10-22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sual effects using auditor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361A KR20200045361A (en) 2020-05-04
KR102121503B1 true KR102121503B1 (en) 2020-06-17

Family

ID=7073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316A KR102121503B1 (en) 2018-10-22 2018-10-22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sual effects using auditor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50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2323A1 (en) * 2003-06-11 2005-03-24 Dicks Gerald G. Chair
JP2009530186A (en) * 2006-03-21 2009-08-27 クレイン カンパニー Seat control system
KR101822968B1 (en) *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Direction system for concert including cheer ro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841B1 (en) 2016-01-13 2018-04-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special effects stage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2323A1 (en) * 2003-06-11 2005-03-24 Dicks Gerald G. Chair
JP2009530186A (en) * 2006-03-21 2009-08-27 クレイン カンパニー Seat control system
KR101822968B1 (en) *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Direction system for concert including cheer r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361A (en)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4028B2 (en) Calib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iled displays
US8890770B2 (en) Multi-channel LED sign module
JP5138041B2 (en) Ambient light for image display
US8552929B2 (en) Flexible pixel hardware and method
CN102461182B (en) 3d projection system
US20050052375A1 (en) Configurable large-area display system and control unit u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JPH11126044A (en) Display system
US11347466B2 (en) Wireless content delivery for a tiled LED display
KR200901235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KR102247264B1 (en) Performance directing system
KR20150066930A (en) Method for generating images of multi-projection theater and image manege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30057309A (en) Method for performance directing using light emitting device for chiiring and system using thereof
KR1021215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sual effects using auditorium
RU2467403C2 (en) Display
EP1655712A2 (en) Flexible pixel string hardware and method cross references to related applications
CN110111688A (en) A kind of display panel, display methods and display system
KR102247269B1 (en) Performance directing system
US10002561B1 (en) Perceptually configured array of addressable electromagnetic emitter elements
JP2017072819A (en) Display system and building provided with display system
EP1361557A1 (en) Large-sized image display device
KR102252424B1 (en) LED Lighting System for Embodying Media Facade
KR101944297B1 (en) Advertising system using smart window
US2021039739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figuring Display Screen
KR101029238B1 (en) A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led lamp disposed in freedom and system thereof
CN213424477U (en) Control cabinet and LED interac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