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065B1 - 방폭 디스플레이 안전표시등 - Google Patents

방폭 디스플레이 안전표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065B1
KR102121065B1 KR1020200019848A KR20200019848A KR102121065B1 KR 102121065 B1 KR102121065 B1 KR 102121065B1 KR 1020200019848 A KR1020200019848 A KR 1020200019848A KR 20200019848 A KR20200019848 A KR 20200019848A KR 102121065 B1 KR102121065 B1 KR 102121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flange
module
fix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모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모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모다
Priority to KR102020001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12Flameproof or explosion-proof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표시등을 포함하는, 안전표시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방폭 디스플레이 안전표시등{Illumination System}
본 발명은 방폭 디스플레이 안전표시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둡고 시끄러운 장소나 작업장에서 시각효과를 극대화하여 위험여부나 기타 중요 내용 전달을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특히 여러 작업 환경을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하여 중요 내용 전달이 용이한 방폭 디스플레이 안전표시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광, 터널, 어두운 작업장 또는 분진 등이 발생하는 작업장 내에서는 작업자들에게 상황전달이나 안내내용 전달에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사고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거나 기타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문제 상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해 안전사고나 대피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들은 방송 또는 소리나 조명 색상의 변화 등을 통해 위급한 상황이나 문제 발생여부를 작업자들에게 알려주곤 했다. 그러나 소리나 조명의 색상 변화를 이용한 종래의 기술들은 전달할 수 있는 정보는 위급상황 정도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방송을 통한 정보 안내는 작업장 환경이 소음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보 전달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시각을 활용하여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내용이 전달가능한 안내표시등이 요구되고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배경기술에 기재된 내용들은 단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작성된 것이므로,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 외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4168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어둡고 시끄러운 장소나 작업장에서 시각효과를 극대화하여 위험여부나 기타 중요 내용 전달을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특히 여러 작업 환경을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하여 중요 내용 전달이 용이한 방폭 디스플레이 안전표시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은,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표시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표시등을 지지하는 지지폴대; 작업물이 이송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측정케이스 중 일 측정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광발생기 및 상기 광발생기에 대향되는 위치의 다른 측정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기를 구비하여, 한 쌍의 상기 측정케이스의 통과경로로 유입된 작업자의 통과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위치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작업자의 통과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안전표시등의 점등조절 또는 상기 안전표시등의 문구를 변경하도록 상기 안전표시등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치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토대로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상부기준선을 벗어나 상기 이송부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안전표시등의 문구를 ‘위험’으로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안전표시등에 송신하고,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하부기준선 벗어나 상기 이송부로부터 보다 멀어지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전표시등을 소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안전표시등에 송신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상부기준선과 상기 하부기준선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안전표시등의 문구를 ‘작업중’으로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안전표시등에 송신하고, 상기 안전표시등은, 빛을 발산하며 기설정된 문구가 표시되는 전면디스플레이모듈; 빛을 발산하며 상기 전면디스플레이모듈과 동일한 문구가 표시되는 배면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전면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배면디스플레이모듈을 상기 지지폴대에 결합시키는 결합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폴대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운동하는 상부회전프레임;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의 하부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을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하부고정프레임; 및 상기 상부회전프레임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을 경첩형태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이 바닥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첩부재는,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의 분할된 부분에 횡 방향의 상측 플랜지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를 용접으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분할된 부분에 횡 방향의 하측 플랜지와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를 용접으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며, 상기 상측 플랜지와 상기 하측 플랜지를 다수의 볼트와 너트로써 체결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상측 플랜지와 상기 하측 플랜지 사이에는 횡 방향의 중간 플랜지를 구성하되, 상기 상측 플랜지와 일측 선단부에서 힌지수단으로 접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며, 상기 중간 플랜지의 내측으로 플랜지 홀더를 용접으로 결합 연장하여 구성하고 상기 플랜지 홀더는 하측부에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하측 플랜지의 밑면에 유동 가능하게 당접되게 하고, 상기 하측 플랜지의 내측 중간부위에는 상기 중간 플랜지에 고정 결합된 플랜지 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여 구성되며, 상기 힌지수단에는 행거용 경첩을 회동가능하게 연결 결합하고. 하측 플랜지의 리브와 행거용 경첩에는 관통공을 각각 형성하며, 상측 플랜지의 일측 리브에는 걸림핀을 결합시키며,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는 진동완충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완충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홈부; 상기 고정홈부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홈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하단과 접촉하는 부분에 다수개로 적층 형성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부재는,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부의 상단에 위치되는 돌출부재; 상기 돌출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부의 상단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 상기 볼트의 관통 부분을 삽입하여 상부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 및 상기 볼트를 삽입하여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보조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홈부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와 마찰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완충장치의 하부 형성되어, 상기 지지폴대로 전해지는 진동을 감소하는 진동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쇄부는, 상기 진동완충장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모듈; 상기 진동저감모듈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시트; 및 상기 진동저감시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저감시트의 하부 바닥에 구비되어 진동수를 측정하는 진동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저감모듈은, 모서리부분에 코너 부재를 복수 설치하고, 상기 코너 부재의 내부에 형성한 안착홈에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며, 상기 제 1 연결부재 및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제 3 연결부재 및 제 4 연결 부재를 세로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안착홈의 양 내측에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2,3,4 연결부재의 상단 면에 완충 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제1,2,3,4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사각형 모양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흡음 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완충 부재의 상단 면에 단열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단열 부재의 하단 면이 상기 흡음부재 상단면과 밀착하고, 상기 단열 부재의 상단 면 내측에 복수의 관로 홈을 형성하여 내부에 냉온수관을 삽입하며, 상기 단열 부재의 상단 면에 보조 흡음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흡음 부재의 상단 면에 마감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저감시트는, 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의 충격에 의한 진동을 분산시키는 시트부재;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부재에 작용한 충격을 하부로 응집시켜 전달하는 전달부재; 및 다수의 상기 전달부재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달부재로 집중되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완충모듈 및 상기 완충모듈 하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빔이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에 접하는 접촉모듈을 구비하는 분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시트부재로 작용하는 상기 진동이 분산되어 상기 가이드빔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집중되도록 가이드하는 반원형의 가이드모듈; 및 상기 가이드빔이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달되는 상기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모듈보다 연질로 형성되는 저밀도의 흡수모듈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기 및 상기 조명기기를 지지하는 지지폴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물이 이송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측정케이스 중 일 측정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광발생기 및 상기 광발생기에 대향되는 위치의 다른 측정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기를 구비하여, 한 쌍의 상기 측정케이스의 상기 통과경로로 유입된 작업자의 통과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위치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작업자의 통과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조명기기의 밝기 또는 색상을 조절하도록 상기 조명기기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치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토대로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상부기준선을 벗어나 상기 이송부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명기기의 색상을 붉은색 계통으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하부기준선 벗어나 상기 이송부로부터 보다 멀어지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조명기기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지지폴대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운동하는 상부회전프레임;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의 하부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을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하부고정프레임; 및 상기 상부회전프레임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을 경첩형태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이 바닥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첩부재는,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의 분할된 부분에 횡 방향의 상측 플랜지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를 용접으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분할된 부분에 횡 방향의 하측 플랜지와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를 용접으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며, 상기 상측 플랜지와 상기 하측 플랜지를 다수의 볼트와 너트로써 체결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상측 플랜지와 상기 하측 플랜지 사이에는 횡 방향의 중간 플랜지를 구성하되, 상기 상측 플랜지와 일측 선단부에서 힌지수단으로 접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며, 상기 중간 플랜지의 내측으로 플랜지 홀더를 용접으로 결합 연장하여 구성하고 상기 플랜지 홀더는 하측부에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하측 플랜지의 밑면에 유동 가능하게 당접되게 하고, 상기 하측 플랜지의 내측 중간부위에는 상기 중간 플랜지에 고정 결합된 플랜지 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여 구성되며, 상기 힌지수단에는 행거용 경첩을 회동가능하게 연결 결합하고. 하측 플랜지의 리브와 행거용 경첩에는 관통공을 각각 형성하며, 상측 플랜지의 일측 리브에는 걸림핀을 결합시키며, 상기 조명기기는,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지주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타측 및 하부가 개방된 개방부와, 내부하단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는 제 1레일과 내측에 위치하는 제 2레일로 형성된 이중레일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제 1레일에 결합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LED모듈과 후면에 방열판이 형성된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레일에 결합하는 고정판; 상기 제 2레일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개폐판;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부, 고정판 및 개폐판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이중레일을 차폐하는 커버; 상기 케이스의 내부상단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 3레일; 상기 제 3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어부재가 결합되는 이동판;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외부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제 1통풍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 1통풍부를 통해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 1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회로판과, 상기 회로판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다수개 결합된 LED모듈과, 상기 회로판의 후면에 결합하여 상기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식히는 방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 3레일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판이 고정되는 결합부재가 형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는 진동완충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완충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홈부; 상기 고정홈부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홈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하단과 접촉하는 부분에 다수개로 적층 형성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부재는,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부의 상단에 위치되는 돌출부재; 상기 돌출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부의 상단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 상기 볼트의 관통 부분을 삽입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 및 상기 볼트를 삽입하여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보조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홈부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와 마찰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어둡고 시끄러운 장소나 작업장에서 시각효과를 극대화하여 위험여부나 기타 중요 내용 전달을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특히 여러 작업 환경을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하여 중요 내용 전달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을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폴대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완충장치를 도시한다.
도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부를 도시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쇄부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10)은 지지폴대(100),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 컨트롤러(미도시) 및 안전표시등(6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폴대(100)는 작업장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기기(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폴대(100)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분할하여 복수의 프레임을 경첩방식으로 연결하여 조명기기(200)가 장착된 프레임이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명기기(200)는 작업장에 빛을 발산하는 구성으로서,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가 지지폴대(100)에 지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명기기는 LED모듈을 포함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발산하는 빛의 색깔이나 빛의 세기 등을 변화할 수 있다.
이송부(300)는 작업물이 이송되는 구성으로서, 가공할 원재료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송부(300)의 동작여부에 따라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조명기기(200)의 제어를 달리할 수 있다.
위치감지부(400)는 이송부(3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후술할 광을 발생시키는 광발생기 및 광발생기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광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작업자의 위치 또는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감지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미도시)는 경첩식 산업보안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1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미도시)는 위치감지부(400)를 통해 측정된 작업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조명기기(200)의 밝기 또는 색상을 조절하도록 조명기기(2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600)은, 예를 들어 석탄이송 등 이송부에 인접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경우 이송부 또는 작업장 내 위험요소나 위험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구성이다. 특히, 어둡고 시끄러운 장소나 작업장에서 시각효과를 극대화하여 위험여부나 기타 중요 내용 전달을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안전표시등(600)은 여러 작업 환경을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하며, 예를 들어 '운정중', '정지중', '위험', '대피'등 상황에 적절하게 글씨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안전표시등(600)은 앞면 및 뒷면, 즉 양면을 통해 중요 내용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표시등(600)은 작업장의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동작되기 위하여 분진 또는 내압에 의해 방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표시등(600)은 빛을 발산하며 기설정된 문구가 표시되는 전면디스플레이모듈(610), 빛을 발산하며 전면디스플레이모듈(600)과 동일한 문구가 표시되는 배면디스플레이모듈(620) 및 전면디스플레이모듈(610) 및 배면디스플레이모듈(620)을 지지폴대(100)에 결합시키는 결합연결모듈(630)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폴대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지지폴대(100)는 상부회전프레임(101)와 하부고정프레임(102)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부분에 경첩부재(A)를 구성할 수 있다. 경첩부재(A)는 상부회전프레임(101)의 분할된 부분에 횡 방향의 상측 플랜지(103)와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104)를 용접으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한다. 다수의 리브(104) 중 일측 리브(104a)에는 이중의 리브(104a)로 구성하고 이에 걸림핀(105)을 삽입 설치하여 구성한다. 횡 방향의 상측 플랜지(103) 하측에는 횡 방향의 중간 플랜지(106)를 구성하되, 상측 플랜지(103)와 일측 선단부에서 힌지수단(H)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다.
힌지수단(H)은 힌지축(107)과 이에 삽입 설치되는 양측단의 힌지 파이프(107a)와 중간에 삽입 설치되는 중간 힌지 파이프(107b) 및 아이들(idle) 힌지 파이프(107c)로 구성되고, 상기 양측 단의 힌지 파이프(107a)에는 횡 방향의 상측 플랜지(103)가 용접으로 고정 결합되고, 아이들(idle) 힌지 파이프(107c)에는 횡 방향의 중간 플랜지(106)가 용접으로 고정 결합된다.
중간 플랜지(106)의 내측으로 플랜지 홀더(108)를 용접으로 결합 연장하여 구성하고 플랜지 홀더(108)는 하측부에 걸림턱(109)을 형성한다.
하부고정프레임(102)의 분할된 부분에 횡 방향의 하측 플랜지(110)와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111)를 용접으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고, 하측 플랜지(110)의 내측 중간부위에는 중간 플랜지(106)에 용접으로 고정 결합된 플랜지 홀더(108)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 구성한다.
상측 플랜지(103)와 중간 플랜지(106) 및 하측 플랜지(110)를 체결수단으로써 다수의 볼트(112)와 너트(113)로써 체결 결합한다.
힌지수단(H)에는 행거용 경첩(114)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되, 연결 결합방법은 상기 힌지수단(H)의 중간 힌지파이프(107b)에 상기 행거용 경첩(114)을 용접으로 고정 결합한다.
하측 플랜지(110)의 리브(111)와 행거용 경첩(114)에는 관통공(115), (116)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다. 하부고정프레임(102)과 상부회전프레임(101)의 분할위치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하고, 하부고정프레임(102)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회전프레임(101)은 하부고정프레임(102)의 상측부에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지폴대(100)에서 조명기기(200)이나 지지폴대(100) 자체의 보수를 하고자 할 경우에 경첩부재(A)의 체결수단인 볼트(112)와 너트(113)를 풀고 상부회전프레임(101)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볼트(112)와 너트(113)를 풀고 행거용 경첩(114)을 상측으로 제쳐지게 한 다음 상부회전프레임(101)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 상측 플랜지(103)와 중간 플랜지(106) 및 플랜지 홀더(108)는 하측 플랜지(110)를 기점으로 회전한다. 상부회전프레임(101)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이 완료되면 힌지수단(H)인 힌지축(107)을 기점으로 상부회전프레임(101)을 절곡시켜 소정의 각도만큼 제쳐 작업자가 용이하게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부회전프레임(101)을 힌지수단(H)의 힌지축(107)을 기점으로 회동시켜 제쳐 놓게 되면 작업자는 지면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수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수작업이 완료되면 상부회전프레임(101)은 힌지수단(H)의 힌지축(107)을 기점으로 다시 역으로 제쳐 수직으로 하부고정프레임(102) 위에 세운 후 횡 방향의 상측 플랜지(103)와 중간 플랜지(106) 및 하측 플랜지(110)에 볼트(112)와 너트(113)를 체결하여 고정 설치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200)는 LED모듈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결합하여 광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배치하며, 안정기 및 수신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설치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가 편리하다.
도 8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200)는 케이스(10), 발광부(20), 고정판(30), 개폐판(40) 및 커버(5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는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지지폴대(100)에 결합되는 결합부(11)와, 타측 및 하부가 개방된 개방부(12)가 형성되며, 내부하단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는 제 1레일(13a)과 내측에 위치하는 제 2레일(13b)로 형성된 이중레일(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결합부(11)는 지면에 설치된 지지폴대(100)에 끼움결합,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방법을 통해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중레일(13)은 개방부(12)의 하부면 끝단에 형성되며 외측방향에 제 1레일(13a)과 내측방향에 제 2레일(13b)이 이중으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0)의 일측 또는 측면에는 내부에 전원공급 및 제어를 위한 케이블 등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고정판(30), 발광부(20) 및 개폐판(4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16a)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홈(16)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홈(16)에 고정나사(16a)를 결합하여 제 1레일 및 제 2레일에 결합된 커버(50), 고정판(30) 및 개폐판(40)을 압박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고정나사(16a)와 더불어 고정홈(16)에 결합하여 커버(50), 고정판(30) 및 개폐판(40)을 압박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로 변경 가능하다.
발광부(20)는 제 1레일(13a)에 결합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LED모듈(21)과 후면에 방열판(22)이 형성된다. 발광부(20)는 제 1레일(13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가 결합된 회로판(23)과, 회로판(23)의 전면에 위치하여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다수개 결합된 LED모듈(21)과, 회로판(23)의 후면에 결합하여 LED모듈(21)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식히는 방열판(22)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회로판(23)에는 외부전원이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커넥터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20)는 제 1레일(13a)내에서 위치를 이동하여 LED모듈(21)을 통해 발산되는 광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판(30)은 발광부(2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제 1레일(13a)에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판(30)은 발광부(2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면에 위치하며, 케이스(10)의 내부로 이물질 및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판(30)에는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통풍이 이루어지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망(32)이 형성된 제 2통풍부(3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통풍부(31)는 장홈, 홈 등의 형상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 형성되어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방열판(22)의 열기를 식힐 수 있다.
개폐판(40)은 제 2레일(13b)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여기서 개폐판(40)은 외부로 노출되는 양측면에 개방홈(41)을 형성하여 개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방홈(41)을 통해 폐판(4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내부를 개폐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커버(50)는 제 2레일(13b)에 삽입되는 돌출판(51)이 형성되며, 케이스(10)의 타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커버(50)는 발광부(20), 고정판(30) 및 개폐판(40)을 결합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며, 돌출판(51)이 제 2레일(13b)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10)의 하부에서 나사결합을 통해 압박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내부상단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 3레일(14)이 형성되며, 제 3레일(1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어부재(80)가 결합되는 이동판(15)이 결합된다. 여기서 제어부재(80)는 발광부(20)를 작동하기 위한 안정기 및 수신기 등으로, 전원공급과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이동판(15)에 발광부(20)와 연결되는 제어부재(80)를 결합시킨 후 제 3레일(14)을 따라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어부재(8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여 개폐판(40)을 통해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이동판(15)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70)이 더 포함된다. 이동수단(70)은 제 3레일(14) 내부에 위치하며, 이동판(15)이 고정되는 결합부재(72)가 형성된 이동부재(71)와, 케이스(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돌출되어 동부재(71)를 회전시키는 작동바(7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동부재(71)는 제 3레일(14)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도록 와이어, 끈 등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부재(72)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결합된다. 또한, 결합부재(72)는 상기 이동판(15)을 양측면에서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하며, 제 3레일(14)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작동바(73)는 합부재(72)가 일부분 매립하는 매립홈(74a)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회전축(74)과, 상기 회전축(74)의 끝단에 손잡이(7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동바(73)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72)가 일부분 매립되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재(71)는 양측면에 형성된 제 3레일(14) 중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이동부재(71)가 원활한 이동을 위해 제 3레일(14)의 끝단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부재(71)는 결합부재(7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볼스크류로 이루어지며, 볼스크류를 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바(73)가 형성하는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71)를 통해 상기 이동판(15)이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바(73)를 회전시켜 이동판(15)을 제 3레일(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측면에는, 외부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제 1통풍부(17)와, 케이스(10)의 측면에 결합되며, 제 1통풍부(17)를 통해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18)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제 1통풍부(17)는 케이스(10)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장홈 또는 홈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덮개부(18)는 제 1통풍부(17)를 수용하여,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상기 발광부(20), 상기 고정판(30), 상기 개폐판(40)을 결합한 후 상기 커버(50)를 통해 고정한다. 이때,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 및 발광부(20)를 제어하는 안정기 및 제어기등의 제어부재(80)가 이동판(15)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후 발광부(20)와 연결한다. 그리고 결합부(11)를 통해 상기 지지폴대(100)에 설치한다. 이후 사용 중 문제가 발생하면, 개폐판(4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16a)를 제거한 수 개폐판(40)을 개방하여 내부 구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커버(50)를 제거하여 손쉽게 상기 발광부(20)를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 내부에 발광부(20)와 제어부재(80)를 수용하여 오작동 및 문제점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고정판(3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16a)를 제거하여 개폐판(40) 및 고정판(30)을 개별적으로 각각 이동하여 효율적으로 케이스(10) 내부를 확인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판(15)은 이동수단(70)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이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작동바(73)를 좌/우 회전하여 이동부재(71)를 이동시킨다. 이때, 결합부재(72)을 통해 이동판(15)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동부재(71)의 이동에 따라 이동판(15)을 제 3레일(14)의 범위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판을 개방한 후 작동바를 통해 이동판의 위치를 이동시켜 케이스 내부에서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완충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하부고정프레임(102)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부고정프레임(102)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는 진동완충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진동완충장치(500)는, 하부 지지부(510), 고정홈부(520), 고정부(540), 완충부(550)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부(510)는, 하단이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단에 고정홈부(520)가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지지부(500)는, 하단면이 지면에 접촉되고, 앵커볼트가 하단면을 관통하여 지면에 체결되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지지부(510)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과 같은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홈부(520)는, 하부 지지부(510)의 상단에 형성되며, 내부로 하부고정프레임(102)의 하단을 삽입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부(520)는, 내경이 하부고정프레임(102) 하단의 외경 및 형상과 상응되게 형성되어, 하부고정프레임(102)의 하단을 삽입시킬 수 있다.
하부고정프레임(102)은, 하단이 고정홈부(520)에 삽입 고정되며, 중공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조명기기(200)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 및 조명기기(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540)는, 고정홈부(520)와 하부고정프레임(102)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고정홈부(520)와 하부고정프레임(102) 사이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540)는, 고정홈부(520)와 하부고정프레임(102) 사이를 완전히 밀착시켜 고정하므로, 고정홈부(520)와 하부고정프레임(102) 사이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540)는, 돌출부재(541), 관통홀(542), 볼트(543), 너트(544), 와셔(미도시), 마감캡(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재(541)는, 하부고정프레임(102)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고정홈부(520)의 상단에 위치된다. 돌출부재(541)는, 고정홈부(520)의 깊이와 동일한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고정프레임(10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재(541)는, 도면에서 하부고정프레임(102)의 하부 외주면에 단면이 링 형태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링 외에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재(541)는, 고정홈부(520)와의 사이를 볼트(543)와 너트(544)로 체결한 후 용접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재(541)는, 하부 지지부(510) 및 하부고정프레임(102)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과 같은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홀(542)은, 돌출부재(541)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며, 볼트(543)를 관통시킨다.
볼트(543)는, 관통홀(542)에 대응하여 고정홈부(520)의 상단에 다수개로 형성되며, 관통홀(542)을 관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볼트(543)는, 길이가 돌출부재(541)의 두께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관통홀(542)을 관통하여 상부가 노출될 수 있다.
너트(544)는, 볼트(543)의 관통 부분을 삽입하여 볼트(543)와 체결되어, 하부고정프레임(102)를 고정홈부(520)에 고정시킨다.
와셔는, 볼트(543) 및 너트(544)와 돌출부재(541) 사이에 형성되어, 볼트(543)와 너트(544)가 나사 체결되었을 경우에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너트(544)가 느슨해져 볼트(543)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마감캡은, 볼트(543)의 상부와 너트(544)를 덮어씌워 볼트(543)와 너트(54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캡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평상시에 볼트(543)의 상부와 너트(544)를 덮고 있다가, 유지 보수시에 볼트(543)와 너트(544)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캡은, 볼트(543)의 상부와 너트(544) 사이에 용접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완충부(550)는, 고정홈부(520)의 내벽에 형성되어, 지진이나 태풍 등의 외력에 의해 하부고정프레임(102)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부(550)는, 엠보싱 처리된 우레탄,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다양한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부(550)는, 하부고정프레임(10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하부 지지부(510)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진동완충장치(500)는, 고정홈부(520)의 내벽에 완충부(55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지진이나 태풍 등 외력에 의해 하부고정프레임(102)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등 기구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하부고정프레임(102) 또는 하부 지지부(5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4는 완충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완충부(550)는, 탄성부재(551), 마찰부재(552)를 포함한다.
탄성부재(551)는, 일측이 고정홈부(552)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부고정프레임(102)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551)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마찰부재(55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판 스프링이란, 길이가 각각 다른 몇 개의 철판을 겹쳐서 만든 스프링으로, 비교적 큰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판 스프링이 좌우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며, 탄성력에 의해 하부고정프레임(102)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마찰부재(552)는, 탄성부재(551)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탄성부재(551)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하부고정프레임(102)와 마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마찰부재(552)는, 쇠구슬 또는 엠보싱 처리된 우레탄으로 형성되어, 하부고정프레임(102)와의 마찰력이 증가되므로 하부고정프레임(102)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완충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완충부(550)는, 탄성부재(551), 마찰부재(552)를 포함한다.
탄성부재(551)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고정홈부(520)의 내벽에 고정 설치 되고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마찰부재(55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마찰부재(552)는, 도면에서 엠보싱 처리된 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탄성부재(551)에 고정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하부고정프레임(102)와 마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엠보싱 처리된 우레탄이 다수개로 형성되거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찰부재(552)는, 다수개의 쇠구슬로 이루어져, 코일 스프링에 고정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는 고정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고정홈부(520)는, 신축부재(521)를 포함한다.
신축부재(521)는, 하부고정프레임(102)의 하단과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고정홈부(520)에 형성되어, 고정홈부(520)로 삽입되는 하부고정프레임(102)의 하단을 감싸준다. 일 실시 예에서, 신축부재(521)는,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고정프레임(102)의 하단을 삽입하여 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신축부재(521)는, 고무, 실리콘 등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밀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하부고정프레임(102)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신축부재(521)는, 다수개를 적층 형성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고정홈부(520)의 깊이보다 고정홈부(520)에 삽입되는 하부고정프레임(102)의 하단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신축부재(521)를 다수개로 적층 형성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하부고정프레임(102)의 하단을 고정홈부(520)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7은 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고정부(540)는, 돌출부재(541), 관통홀(542), 볼트(543), 너트(544), 완충스프링(545)을 포함한다.
완충스프링(545)은, 볼트(543)를 삽입하여 형성되며, 지진이나 태풍 등의 외력에 의해 하부고정프레임(102)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보조적으로 완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스프링(545)은, 볼트(543)를 삽입하여 고정홈부(520)와 돌출부재(541) 사이에 위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하부고정프레임(102)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스프링(545)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543)를 삽입하여 볼트(543)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에 의하여 고정시켜 볼트(543)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스프링(545)은, 다수개의 볼트(54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부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부(400)는 거치대(810), 측정케이스(820), 엑츄에이터(830), 광발생기(840) 및 광수신기(85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810)는 이송부(300)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측정케이스(820)는 거치대(810)에 연결 설치되고, 작업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통과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일정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측정케이스는(820)는 단면이 'ㄷ'자 형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면에 광발생기(840) 또는 광수신기(8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측정케이스(820) 중 일 측정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광발생기(840)가, 상기 광발생기(840)에 대향되는 위치의 다른 측정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광발생기(840)로부터 발생된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기(85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액체에이터(830)는 납짝비닐의 폭에 따라 측정케이스(8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광발생기(840)은 한 쌍의 측정케이스(820-1, 820-2) 중 일 측정케이스(820-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광을 발생시키다. 광수신기(850)는 광발생기(821)에 대향되는 위치의 다른 측정케이스(820-2)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광발생기(821)로부터 발생된 광을 수신한다. 광발생기(840) 및 광수신기(850)를 이용하여 한 쌍의 측정케이스(820-1, 820-2)의 통과경로로 유입된 작업자의 통과 위치를 감지한다. 광발생기(840) 및 광수신기(850)는 복수 개로 짝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으며, 짝을 이룬 광발생기(840) 및 광수신기(850) 각각은 하나의 기준선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로 형성되는 광발생기(840) 및 광수신기(850)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송부(300)에 근접하게 위치한 광발생기(840) 및 광수신기(850)는 상부기준선(L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이송부(300)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광발생기(840) 및 광수신기(850)는 하부기준선(L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기준선(L1) 및 하부기준선(L2) 사이를 정상 작업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미도시)는 위치감지부(40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작업자의 통과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조명기기의 밝기 또는 색상을 조절하도록 상기 조명기기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미도시)는 위치감지부(400)를 통해 측정된 작업자의 위치를 토대로 작업자의 위치가 상부기준선을 벗어나 상기 이송부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조명기기(200)의 색상을 붉은색 계통으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조명기기(2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위치가 하부기준선 벗어나 이송부(300)로부터 보다 멀어지게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여 조명기기(200)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조명기기(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미도시)는 위치감지부(400)를 통해 측정된 작업자의 통과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안전표시등(600)의 점등조절 또는 안전표시등(600)의 문구를 변경하도록 안전표시등(6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미도시)는 위치감지부(400)를 통해 측정된 작업자의 위치를 토대로 작업자의 위치가 상부기준선을 벗어나 이송부(300)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안전표시등(600)의 문구를 ‘위험’으로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안전표시등(6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위치가 하부기준선 벗어나 이송부(300)로부터 보다 멀어지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표시등(600)을 소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안전표시등(6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상부기준선과 상기 하부기준선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안전표시등(600)의 문구를 ‘작업중’으로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안전표시등(6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쇄부를 도시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쇄부(1000)는 진동저감모듈(1100), 진동저감시트(1200) 및 진동측정센서(1300)를 포함한다.
진동저감모듈(1100)은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며 1차적으로 진동을 저감시킨다. 구체적으로 진동저감모듈(1100)은 사각형 모서리부분에 코너 부재를 복수 설치하고, 상기 코너 부재(1111)의 내부에 형성한 안착 홈(1112)에 제1,2 연결 부재(1113)(1114)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한다. 진동저감모듈(1100)은 제1,2 연결 부재(1113)(1114)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 홈(1115)에 제3,4 연결 부재(1116)(1117)를 세로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안착홈(1112)의 양 내측에 고정홈(1111a)을 형성하며, 제1,2,3,4 연결 부재(1113)(1114)(1116)(1117)의 상단 면에 완충 부재(1118)를 부착한다. 진동저감모듈(1100)은 제1,2,3,4 연결 부재(1113)(1114)(1116)(1117)로 이루어진 사각형 모양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흡음 부재(1119)를 삽입하며, 완충 부재(1118)의 상단 면에 단열 부재(1120)를 설치하여 단열 부재(1120)의 하단 면이 흡음부재(1119) 상단 면과 밀착한다. 단열 부재(1120)의 상단 면 내측에는 복수의 관로 홈(1122)을 형성하여 내부에 냉온수관(1123)을 삽입하며, 단열 부재(1120)의 상단 면에 보조 흡음 부재(1124)를 설치하고, 보조 흡음 부재(1124)의 상단 면에는 마감 부재(1125)가 형성된다.
진동저감시트(1200)는 진동저감모듈(1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2차적으로진동을 저감시킨다. 구체적으로 진동저감시트(1200)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구성으로서, 시트부재(1210), 전달부재(1220) 및 분산부재(1230)를 포함한다.
시트부재(1210)는 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의 충격에 의한 진동을 분산시킨다. 시트부재(1210)는 고밀도의 재질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연성 및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시트부재(1210)가 고밀도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시트부재(1210)의 상부로 충격이 작용하여 시트부재(1210)의 상태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시트부재(1210)는 충격 또는 구성요소들의 작동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며 연성이 있는 폴리에틸렌(PE), 발포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폴리스틸렌(EPS)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부재(1220)는 시트부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시트부재(1210)에 작용한 충격을 하부로 응집시켜 전달한다. 이러한, 전달부재(1220)는 시트부재(1210)로 작용하는 진동이 분산되어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집중되도록 가이드하는 반원형의 가이드모듈(1211), 가이드모듈(1211)과 비닐 성형 장치(1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이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 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가이드모듈(1211)보다 연질로 형성되는 저밀도의 흡수모듈(1212)를 구비한다. 전달부재(1220)는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전달부재(1220)는 반구의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공간의 높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달부재(1220)는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하여 시트부재(1210)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충격에 의한 진동이 응집되어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 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전달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달부재(1220)를 통하여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 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전달되는 진동수에 의하여 진동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부재(1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부재(1210)로 작용하는 충격에 의한 진동이 분산되어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 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집중되도록 가이드모듈(1211)과 흡수모듈(1212)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모듈(1211)은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서 반구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모듈(1211)는 분산부재(1230)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시트부재(12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가이드모듈(1211)로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모듈(1211)은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시트부재(1210)의 상부로 충격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분산되어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모듈(1211)로 전달될 때 진동이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과 접하는 흡수모듈(1212)로 집중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흡수모듈(1212)은 가이드모듈(1211)의 하부에 형성되며, 가이드모듈(1211)보다 저밀도로 형성되어 진동을 흡수하여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전달되는 진동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가이드모듈(1211)과 흡수모듈(1212)을 동일한 밀도의 재질로 형성하면 흡수모듈(1212)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의 양이 가이드모듈(1211)를 통해 전달하는 진동의 양과 동일하게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 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흡수모듈(1212)을 저밀도로 형성하여 가이드모듈(1211)에 의하여 전달되는 진동의 양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달부재(1220)는 시트부재(1210)와 동일하게 소음이 적게 발생할 수 있도록 충격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폴리에틸렌, 발포비닐아세테이트, 발포폴리스틸렌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부재(1230)는 다수의 전달부재(1220)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전달부재(1220)로 집중되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완충모듈(1231) 및 완충모듈(1231)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에 접하는 접촉모듈(1232)를 구비한다. 분산부재(1230)는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 다수 결합되어 시트부재(1210)와 비닐 성형 장치(1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전달부재(1220)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부재(1230)는 원기둥으로 형성되어 시트부재(1210)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고, 이러한 원기둥에 나선형의 홈을 구비하여 스프링과 같이 외력으로 원기둥의 길이를 늘려 탄성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산부재(1230)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시트부재(1210)로 작용하는 충격이 전달부재(1220)로 집중되어 진동수가 증폭되는 것을 분산시키는 완충모듈(1231)과, 완충모듈(1231)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 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에 접하며 진동측정센서(1300)가 구비되는 접촉모듈(123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분산부재(1230)는 시트부재(1210) 및 전달부재(1220)와 동일하게 연성이 있는 폴리에틸렌, 발포비닐아세테이트, 발포폴리스틸렌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부재(1230)는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부재(1210)의 상부에 충격이 발생하면 시트부재(1210)가 충격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하부로 하락할 수 있다. 이 때, 분산부재(1230)는 시트부재(1210)가 하부로 하락되므로 시트부재(1210) 하부에 결합되어 시트부재(1210)와 동일한 길이로 하부로 하락될 수 있다. 분산부재(1230)가 충격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하부로 하락될 때 나선형으로 형성된 완충모듈(1231)이 탄성에 의하여 높이가 줄어들며 다시 원상태로 형태를 유지할 때 분산되는 진동은 소멸되거나 약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부재(1230)가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 돌출되지 않으면 시트부재(1210)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진동이 전달부재(1220)로 직접 전달되어 전달부재(1220)를 통해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 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전달되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분산부재(1230)에 의하여 전달부재(1220)로 직접 전달되는 진동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분산부재(1230)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완충모듈(1231)에 의하여 이동하며 탄성이 작용할 때 진동이 제거되거나 약해져 전달부재(1220)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진동측정센서(1300)는 진동저감시트(1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진동저감시트(1200)의 하부 바닥에 구비되어 진동수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진동측정센서(1300)는 접촉모듈(1232)에 구비되어 분산부재(1230)에 작용하는 진동수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생성하는 감지부(1310), 진동수의 변화가 소정 범위 이내인 시간 동안의 측정값을 평균하여 제1 임계값을 생성하는 임계값 생성부(1320), 임계값 생성부(1320)로부터 전달되는 제1 임계값 또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제2 임계값을 측정값과 비교하는 비교부(1330)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임계값을 수신하고, 비교부(1330)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측정값이 제1 임계값 또는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감지부(1310)의 측정값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진동제어부(13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제2 임계값은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 진동완충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바람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진동제어부(1340)는, 측정값에 따라 주의, 경고, 위험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조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메인공급선(A)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어떤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메인공급선(A)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및 컨트롤러(미도시)는 하나의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공급선(A)은 복수 개의 전자장치들(예,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공급선(A)에는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들과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 지점(x, y,..)이 존재할 수 있다. 메인공급선(A)은 멀티탭 또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들이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의 전원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예: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 각각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전자장치들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메인공급선(A)에 흐르는 전류 변화만을 감지하여 복수의 전자장치들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메인공급선(A)에 형성된 전류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한 전류를 바탕으로 시간 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기초로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전자장치들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들(예: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 각각의 고유의 전력 특성을 미리 파악하고, 각 전자장치의 접점인 모선에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각 전자장치의 동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고유의 전력 특성은,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 전력 특성은, 전력이 공급되는 순간의 과도 상태의 전류 변화 형태와 위상 잡음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잡음은 전자 디바이스에게 인가되는 전류의 주파수 주성분의 주변에서 형성된다. 전류의 주파수 주성분이란, 전류 값이 피크값을 나타내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위상 잡음을 주요 사양으로 갖는 회로는 발진회로(Oscillator)가 있으며, 발진회로에서는 '위상잡음'을 고유 명사화하여 중심 주파수에서 특정 주파수 대략(Off-Set Frequency)까지의 전압 비율로 정의한다. 중심 주파수는, 전류 값이 피크값을 나타내는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주파수 주변의 주파수 성분을 전자 디바이스의 고유 전력 특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900)가 전자장치의 동작을 감지함에 있어서, 중심 주파수 주변의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해서 구별하는 위상 잡음 분석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전자장치(예: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 각각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전자장치들이 연결되는 메인공급선(A)에 설치된 센서만을 이용하여 어떤 전자 디바이스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대략적인 전기 사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측정모듈(910), 저장모듈(920) 및 판단모듈(930)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모듈(910)는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공급선(A)의 전류를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듈(910)은 큰 전류를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설치가 용이해야 한다. 따라서, 측정모듈(910)는 로고스키 코일(Rogowski Coil), 홀 센서(Hall Sens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모듈(910)는 각 전자장치의 전류 변화만을 보다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그 출력단에 캐패시터가 접지 방향으로 션트(Shunt) 연결될 수 있다. 캐패시터의 임피던스(Z)는 Z= 1/jwC 이므로 고주파에서는 접지(Ground)와 유사하게 작용하여 전압이 작아지며, 저주파에서의 전압만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가 너무 큰 경우, 전류 변화 모서리의 급격한 변화, 즉, 고주파 성분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적절한 캐패시터의 선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캐피시터는 메인공급선(A)에 연결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들 중 전류 변화 모서리의 변화가 가장 큰 전자 디바이스, 즉, 피크 전류가 가장 명확히 구별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류 변화를 확인하기에 적합한 캐피시터를 선택할 수 있다.
저장모듈(920)은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 각각이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모듈(920)은 각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경우 또는 메인공급선(A)에 연결된 전자장치의 전원(예: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이 ON되는 경우,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모듈(920)은,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 각각이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저장하거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특징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모듈(920)은 주파수 영역에서 고유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특징값으로서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 소정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오프셋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예를들어, 저장모듈(920)은 시간 영역에서 고유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특징값으로서 피크 전류와 정격 전류의비율, 정격 전류, 및 감지된 전류 변화가 안정화되는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학습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920)은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저장모듈(920)는, 각 전자장치의 정격 전류, 정격 전압, 및 정격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모듈(920)은 각 전자장치가 단위 시간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을 저장함으로써, 각 전자장치가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각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 및 복수의 전자장치들(예: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이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 각각이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측정모듈(910)을 통해 감지된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븐(100), 컨디셔너(200)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사용전력 측정장치(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전자장치들(예: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을 판별하는 과정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복수의 전자장치들이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모듈(930)은 사용전력 측정장치(900)가 측정모듈(910)를 이용하여 메인공급선(A)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를 바탕으로 시간 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판별된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 및 판별된 전자장치가 단위 시간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에 기초하여, 판별된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은,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에 전자장치가 단위 시간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을 곱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소정 시간동안 측정된 각 전자정치사용한 전력량을 누적함으로써, 복수의 전자장치들(예: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이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소정 시간동안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저장모듈(920)에 저장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경우, 측정모듈(910)를 통해 감지된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감지된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전자장치들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순간의 과도 상태의 전류 변화를 기초로, 동작하기 시작한 전자 디바이스를 판별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 통해 공급되는 전류가 제1 정상 상태로부터 제2 정상 상태로 변하는 과도 상태의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전자장치들 중에서 동작하고 있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제1 정상 상태는,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전자장치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정상 상태는,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에 연결되거나 전자장치의 전원이 켜지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의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중심 주파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를 추출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상기 감지된 전류 변화를 주파수 변환한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 및 소정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오프셋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값을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분리모듈, 상기 절단모듈, 상기 절단이송모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중심 주파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분리모듈, 절단모듈, 상기 절단이송모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오븐(100) 및 컨디셔너(200)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 및 단위시간당 사용전력량에 기초하여, 조명기기(200), 이송부(300), 위치감지부(400), 컨트롤러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23 및 2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노트화일을 도시한다.
도 23 및 24을 참조하면,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및 위치감지부(400)의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에 작업노트화일(700)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노트화일(700)은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및 위치감지부(4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장차 행하여질 점검주기, 주의사항, 점검여부, 작업종류, 작업기한, 작업조건, 작업순서, 기 작업된 작업내용 및 작업일자 등의 내용들이 기록될 수 있는 구성이다.
작업노트화일(700)은 부착부(710), 전면부(720) 및 문서부(730)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및 위치감지부(400)의 중 적어도 하나의 일영역에 부착 설치되어 문서부(730)를 교체함에 따라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및 위치감지부(400)의 중 적어도 하나의 일영역에 작업 관련 문서 등을 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타공 없이 간편하게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및 위치감지부(400)의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에 부착되도록 한다.
부착부(710)는 상측에 못을 박는 등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하측에 전면부(7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는 연결홈(7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착부(710)는 상술한 못을 이용하여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및 위치감지부(400)의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 부착 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자석을 이용하거나 벨크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등과 같이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및 위치감지부(400)의 중 적어도 하나의 일영영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전면부(720)는 하측이 부착부(7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고, 상측에 문서부(730)의 연결부위가 안착되면 상측이 후단으로 회동되어 부착부(710)의 상부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후크(H)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부착부(710)는 후면판(711), 연결홈(712) 및 제2 기어(7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면판(711)는 안내레일(611)의 측면에 부착 설치되며, 하측에 연결홈(712) 및 제2 기어(713)가 설치될 수 있고, 연결홈(712)는 후면판(711)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서 각각 전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동축(722)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제2 기어(713)는 제1 기어(72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제1 기어(723)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기어(723)와 대향하는 후면판(711)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기어홈(714)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1 기어(72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부착부(710)는 후면판(711)의 전단면에 안착되는 커버 또는 속지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면판(711)의 전단면에 안착되는 커버 또는 속지를 하측 방향으로 쓸어 펼쳐지도록 구동되는 구겨짐을 방지할 수 있는 링클(WRINKLE)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겨짐을 방지할 수 있는 링클(WRINKLE) 방지 장치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회전 롤러와 회전 롤러를 제어할 수 있는 체인을 구비하고 있어 각각 연결된 체인과 회전 롤러의 회전에 의해 커버 또는 속지를 쓸어 구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및 위치감지부(400)의 중 적어도 하나의 일영역에 설치되는 작업노트화일(700)에 포함되어 있는 구겨짐을 방지할 수 있는 링클(WRINKLE) 방지 장치가 상부 회전롤러, 하부 회전롤러, 제1 바퀴, 제2 바퀴, 구동 체인 및 회전벨트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면판(721)의 상측이 후면판(711) 방향으로 접근함에 따라 제1 기어(723)가 회전하게 되면 제1 기어(723)에 맞물린 제2 기어(713)가 제1 기어(723)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기어(713)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바퀴에 구동 체인에 의해 연결된 제1 바퀴가 제1 기어(723)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1 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하부 회전롤러가 제1 기어(723)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벨트의 전면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후면판(711)의 전단면에 안착되는 커버 또는 속지를 하측 방향으로 쓸어서 펼쳐줄 수 있다. 또한, 전면부(720)는 전면판(721), 구동축(722) 및 제1 기어(7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판(721)는 부착부(710)의 전단에 설치되고, 하측에 구동축(722) 및 제1 기어(723)가 설치될 수 있고, 구동축(722)은 전면판(721)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양단부가 연결홈(712)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제1 기어(723)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기어(723)는, 구동축(722)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축(722)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제2 기어(71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제2 기어(7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문서부(730)는 커버, 속지 및 스프링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커버는 문서부의 전면 커버를 형성할 수 있고, 속지는 문서부(730)의 전면과 후면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지면을 의미할 수 있고, 스프링은 커버의 상측과 속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일렬로 형성되는 관통홀을 따라 삽입되어 커버와 속지를 서로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속지는 일반적 달력의 월이 인쇄되는 지면들뿐만 아니라, 종이접기를 위한 형태나 모양 등이 인쇄되는 색종이 구성이 인쇄되는 지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노트화일(700)은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 지지폴대(100), 이송부(300) 및 위치감지부(400)의 중 적어도 하나의 일영역에 부착할 수 있는 어떤 공간에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안전표시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100: 지지폴대
200: 조명기기
300: 이송부
400: 위치감지부
500: 진동완충장치
600: 안전표시등

Claims (2)

  1.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표시등;
    상기 안전표시등을 지지하는 지지폴대;
    작업물이 이송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측정케이스 중 일 측정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광발생기 및 상기 광발생기에 대향되는 위치의 다른 측정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기를 구비하여, 한 쌍의 상기 측정케이스의 통과경로로 유입된 작업자의 통과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위치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작업자의 통과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안전표시등의 점등조절 또는 상기 안전표시등의 문구를 변경하도록 상기 안전표시등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치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토대로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상부기준선을 벗어나 상기 이송부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안전표시등의 문구를 ‘위험’으로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안전표시등에 송신하고,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하부기준선 벗어나 상기 이송부로부터 보다 멀어지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전표시등을 소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안전표시등에 송신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상부기준선과 상기 하부기준선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안전표시등의 문구를 ‘작업중’으로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안전표시등에 송신하고,
    상기 안전표시등은,
    빛을 발산하며 기설정된 문구가 표시되는 전면디스플레이모듈;
    빛을 발산하며 상기 전면디스플레이모듈과 동일한 문구가 표시되는 배면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전면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배면디스플레이모듈을 상기 지지폴대에 결합시키는 결합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폴대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운동하는 상부회전프레임;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의 하부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을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하부고정프레임; 및
    상기 상부회전프레임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을 경첩형태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이 바닥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첩부재는, 상기 상부회전프레임의 분할된 부분에 횡 방향의 상측 플랜지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를 용접으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분할된 부분에 횡 방향의 하측 플랜지와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를 용접으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며, 상기 상측 플랜지와 상기 하측 플랜지를 다수의 볼트와 너트로써 체결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상측 플랜지와 상기 하측 플랜지 사이에는 횡 방향의 중간 플랜지를 구성하되, 상기 상측 플랜지와 일측 선단부에서 힌지수단으로 접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며, 상기 중간 플랜지의 내측으로 플랜지 홀더를 용접으로 결합 연장하여 구성하고 상기 플랜지 홀더는 하측부에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하측 플랜지의 밑면에 유동 가능하게 당접되게 하고, 상기 하측 플랜지의 내측 중간부위에는 상기 중간 플랜지에 고정 결합된 플랜지 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여 구성되며, 상기 힌지수단에는 행거용 경첩을 회동가능하게 연결 결합하고. 하측 플랜지의 리브와 행거용 경첩에는 관통공을 각각 형성하며, 상측 플랜지의 일측 리브에는 걸림핀을 결합시키며,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는 진동완충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완충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홈부; 상기 고정홈부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홈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하단과 접촉하는 부분에 다수개로 적층 형성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부재는,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부의 상단에 위치되는 돌출부재; 상기 돌출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부의 상단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 상기 볼트의 관통 부분을 삽입하여 상부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 및 상기 볼트를 삽입하여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보조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홈부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와 마찰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완충장치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폴대로 전해지는 진동을 감소하는 진동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쇄부는,
    상기 진동완충장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모듈; 상기 진동저감모듈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시트; 및 상기 진동저감시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저감시트의 하부 바닥에 구비되어 진동수를 측정하는 진동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저감모듈은, 모서리부분에 코너 부재를 복수 설치하고, 상기 코너 부재의 내부에 형성한 안착홈에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며, 상기 제 1 연결부재 및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제 3 연결부재 및 제 4 연결 부재를 세로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안착홈의 양 내측에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2,3,4 연결부재의 상단 면에 완충 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제1,2,3,4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사각형 모양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흡음 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완충 부재의 상단 면에 단열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단열 부재의 하단 면이 상기 흡음부재 상단면과 밀착하고, 상기 단열 부재의 상단 면 내측에 복수의 관로 홈을 형성하여 내부에 냉온수관을 삽입하며, 상기 단열 부재의 상단 면에 보조 흡음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흡음 부재의 상단 면에 마감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저감시트는, 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의 충격에 의한 진동을 분산시키는 시트부재;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부재에 작용한 충격을 하부로 응집시켜 전달하는 전달부재; 및 다수의 상기 전달부재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달부재로 집중되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완충모듈 및 상기 완충모듈 하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빔이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에 접하는 접촉모듈을 구비하는 분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시트부재로 작용하는 상기 진동이 분산되어 상기 가이드빔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집중되도록 가이드하는 반원형의 가이드모듈; 및 상기 가이드빔이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달되는 상기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모듈보다 연질로 형성되는 저밀도의 흡수모듈을 구비하는, 안전표시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2. 삭제
KR1020200019848A 2020-02-18 2020-02-18 방폭 디스플레이 안전표시등 KR102121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848A KR102121065B1 (ko) 2020-02-18 2020-02-18 방폭 디스플레이 안전표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848A KR102121065B1 (ko) 2020-02-18 2020-02-18 방폭 디스플레이 안전표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065B1 true KR102121065B1 (ko) 2020-06-09

Family

ID=7108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848A KR102121065B1 (ko) 2020-02-18 2020-02-18 방폭 디스플레이 안전표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746B1 (ko) 2020-08-10 2020-12-21 장지영 플랜트용 컨베이어 벨트 및 이송 설비에 관한 안전표시장치
KR102223102B1 (ko) 2020-08-10 2021-03-17 이피에스파워(주) 플랜트용 컨베이어 벨트 및 이송 설비에 관한 안전표시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891A (ja) * 2007-08-21 2009-03-05 Iwasaki Electric Co Ltd 照明器具
JP2012174419A (ja) * 2011-02-18 2012-09-10 Kenichi Hata 照明器具移送可能型照明システム
KR200464168Y1 (ko) 2010-12-02 2012-12-13 일신산전 주식회사 시각경보 장치용 엘이디 표시장치
KR20130123774A (ko) * 2012-05-03 2013-11-13 주식회사 포스코 안전 보조 시스템
KR101722669B1 (ko) * 2016-06-16 2017-04-12 주식회사 천일 동조질량댐퍼를 이용한 내진 조명타워
KR101986339B1 (ko) * 2019-01-04 2019-06-05 삼익방폭전기 주식회사 방폭 작업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891A (ja) * 2007-08-21 2009-03-05 Iwasaki Electric Co Ltd 照明器具
KR200464168Y1 (ko) 2010-12-02 2012-12-13 일신산전 주식회사 시각경보 장치용 엘이디 표시장치
JP2012174419A (ja) * 2011-02-18 2012-09-10 Kenichi Hata 照明器具移送可能型照明システム
KR20130123774A (ko) * 2012-05-03 2013-11-13 주식회사 포스코 안전 보조 시스템
KR101722669B1 (ko) * 2016-06-16 2017-04-12 주식회사 천일 동조질량댐퍼를 이용한 내진 조명타워
KR101986339B1 (ko) * 2019-01-04 2019-06-05 삼익방폭전기 주식회사 방폭 작업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746B1 (ko) 2020-08-10 2020-12-21 장지영 플랜트용 컨베이어 벨트 및 이송 설비에 관한 안전표시장치
KR102223102B1 (ko) 2020-08-10 2021-03-17 이피에스파워(주) 플랜트용 컨베이어 벨트 및 이송 설비에 관한 안전표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065B1 (ko) 방폭 디스플레이 안전표시등
KR101352073B1 (ko) 지하에 매설되는 배전용 지중전선 연결관
CN207069374U (zh) 一种电力用防尘减震电力柜
CN210120728U (zh) 一种就地控制柜
KR102137209B1 (ko) 산업보안등용 스프링 경첩식폴대
CN110794095A (zh) 一种污染源在线监测仪
CN208918594U (zh) 一种便于安装的瓦斯报警器
CN204924350U (zh) 一种安全燃气表箱
CN210324944U (zh) 一种用于门铰链高低温实验箱
CN207149914U (zh) 一种便于搬运的组合电气柜
CN214899606U (zh) 一种便于散热的电力计量用电表箱
CN211116133U (zh) 一种煤矿瓦斯泄漏报警机构
CN211792425U (zh) 一种防爆性能优异的电气控制柜
CN210370774U (zh) 一种用于隧道防护的装置
CN211505401U (zh) 一种污染源在线监测仪
CN220453459U (zh) 一种燃气管道泄漏检测定位装置
JP5617283B2 (ja) 自動販売機
CN110608390A (zh) 一种防爆led应急照明灯
CN219412481U (zh) 一种便携式煤堆降温钻孔支架装置
CN206058557U (zh) 一种独立分成式教学箱
CN215292466U (zh) 一种基于计算机系统的煤矿采掘机的报警系统
CN213027145U (zh) 一种配电柜
CN214748096U (zh) 一种海洋平台专用的外置防火抗暴型检测探头
CN203535769U (zh) 可燃气体探测器及安防系统
CN210531496U (zh) 一种线损排查仪防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