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448B1 - Dental implants with biodegradable metal - Google Patents

Dental implants with biodegradable met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448B1
KR102120448B1 KR1020190084423A KR20190084423A KR102120448B1 KR 102120448 B1 KR102120448 B1 KR 102120448B1 KR 1020190084423 A KR1020190084423 A KR 1020190084423A KR 20190084423 A KR20190084423 A KR 20190084423A KR 102120448 B1 KR102120448 B1 KR 10212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main
rear end
biodegradation
alveola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희지
Original Assignee
장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희지 filed Critical 장희지
Priority to KR102019008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448B1/en
Priority to PCT/KR2019/008949 priority patent/WO202001792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inserted into alveolar bo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ntal implant with a biodegradable metal which can remove the risk of side effects by placing a separate biodegradable material with the implant to improve a bone fusion rate between the implant and the alveolar bone during implant placement.

Description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s with biodegradable metal} Dental implants with biodegradable metals {Dental implants with biodegradable metal}

본 발명은 치조골에 삽입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임플란트의 식립 시 임플란트와 치조골의 골융합속도를 향상시키도록 별도의 생분해성 물질을 임플란트와 함께 식립하여 부작용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that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a biodegradable metal that can remove the risk factor of side effects by placing a separate biodegradable material together with the implant to improve the bone fusion rate between the implant and the alveolar bone during implant placement It relates to a dental implant having a.

치과용 임플란트는, 자연치아가 상실되었을 때,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즉, 임플란트 시술은,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Dental implants refer to a series of procedures for implanting artificial teeth when natural teeth are lost. In other words, the implant procedure is to fix the artificial tooth after planting a fixture made of titanium, etc., which has no rejection in the human body, to the alveolar bone from which the tooth has escaped, so as to replace the lost root (root). This is a procedure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teeth.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 시 사용되는 구성 요소로는, 소정의 드릴을 이용하여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와,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한다.In general, as a component used in the implantation procedure, a fixture that is placed as an artificial root using a predetermined drill, an abutment coupled to the fixture, and an abutment fixed to the fixture It includes an abutment screw and an artificial tooth coupled to the abutment.

여기서, 임플란트의 한 구성 요소인 픽스츄어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홀에 식립되는 구성으로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견고하게 식립되어야 한다.Here, the fixture,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implant, is a structure that is placed in a drill hole formed in the alveolar bone using a drill or the like at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is being operated, and plays a role of an artificial root. Therefore, the fixture should be firmly placed in the alveolar bone.

이와 같은 이유로, 픽스츄어의 외면에는 드릴홀을 형성하는 치조골의 내측벽 부분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식립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식립 나사산은 치조골에 인입되어 픽스츄어와 치조골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For this reason, an implant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to be firmly coupled to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forming the drill hole. The implanted screw thread is introduced into the alveolar bone so that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can be firmly combined to strengthen the fixation force of the fixture.

이처럼, 임플란트 시술은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이어 골융합이 진행되면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고, 최종적으로 인공치아(보철물)를 씌우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이다.As such, the implant procedure is to proceed to the stage of placing the fixture on the alveolar bone using a drill, and then, when the bone fusion proceeds, the abutment is combined with the fixture, and finally the artificial tooth (prosthesis) is covered.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는, 식립 나사산 주변의 치조골에의 혈액 공급량이 부족하고 픽스츄어와 치조골 간의 골융합 면적이 부족하여 치유를 위한 수개월의 골융합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치조골에 대한 골융합이 밀도있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픽스츄어와 치조골 간의 골융합 면적 부족의 경우이거나, 픽스츄어 식립 초기에 픽스츄어와 치조골 간 골융합이 형성된 경우라도, 몇 년의 사용시간 동안 음식 저작 등으로 과도한 교합압 등이 가해지면 픽스츄어 주변 치조골이 손상되어 픽스츄어의 흔들림 발생 및 탈락 등 임플란트 시술 실패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However, the implant fix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insufficient blood supply to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implanted screw thread, and the area of bone fusion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is insufficient, so even after several months of bone fusion period for healing, bone fusion to the alveolar bone has elapsed. It can also happen if it is not going to be dense.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insufficient bone fusion area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or even when bone fusion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is formed at the initial stage of the fixture, if excessive bite pressure is applied due to food chewing, etc. for several years of use, around the fixture Damage to the alveolar bone can cause major implant failures such as shaking and dropping of the fixture.

따라서, 환자에게 임플란트를 식립한 이후 신생뼈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치조골 손상을 최소화하며, 픽스츄어의 식립 나사산 주변 치조골에의 혈류량을 높여줄 수 있는 임플란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mplant that promotes the creation of new bones after the implant is placed in a patient, minimizes alveolar bone damage, and increases the blood flow to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placement thread of the fixture.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2134호 (2012.03.16.)1.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22134 (2012.03.16.)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6330호 (2017.05.23.)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56330 (2017.05.23.) 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8146호 (2010.10.06.)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08146 (2010.10.06.)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임플란트 시술 시 픽스츄어의 식립 과정과 신생골 생성 과정 및 골융합 과정에서 식립 나사산 주변의 치조골에의 접촉 면적이나 혈액 공급량이 부족하여 골파괴나 뼈의 생성부족 및 치조골 손상 등이 일어나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견고하게 치조골에 골융합되는 새로운 구성의 픽스츄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물질을 구비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bone fracture or bone loss due to insufficient contact area or blood supply to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implantation thread during the implantation process, new bone formation process, and bone fusion process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aterial including a fixture having a new composition that is fusionally fused to the alveolar bone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failure of the implant procedure due to insufficient production and damage to the alveolar bone.

또한, 본 발명은, 미리 확보된 환자의 치조골 또는 치아에 관한 3D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픽스츄어 바디, 식립 나사산 및 이에 형성되는 생분해 물질 결착부와 생분해부를 금속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그 제작성 및 임플란트 시술 과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생분해성 물질을 구비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3D image data on the alveolar bone or teeth of a patient secured in advance, by fixing the fixture body, the placement thread and the biodegradable material binding portion and biodegradation portion formed thereon by using a metal 3D printer integrally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implant with a biodegradable material capable of dramatically reducing the processability of the fabrication and implant.

아울러, 본 발명은, 환자의 치조골 손상을 최대한 줄이고 티타늄이나 지르코늄 재질의 픽스츄어 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된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생분해성 물질이 뼈속에서 서서히 녹으면서 뼈의 주요 성분인 칼슘과 인을 주변에 불러모은 뒤 이를 뼈와 비슷한 모양과 조직으로 변화시킨 후 최종적으로 새로운 뼈와 똑같은 조직으로 변하게 만드는 성질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 후 성공 확률을 높이고, 픽스츄어와 치조골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골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생분해성 물질을 구비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damage to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as much as possible, and the biodegradable substances such as magnesium or magnesium alloy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tanium or zirconium fixture body are gradually melted in the bone, and calcium and phosphorus, the main components of the bone, are dissolved. After gathering them around, transforming them into bone-like shapes and tissues, and finally transforming them into the same tissues as new bone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 after the implant procedure and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aterial capable of enhancing the binding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외주면에 식립 나사산이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보조생분해부;를 포함하고,A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that is provided with an implant screw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implanted in an alveolar bone; And an auxiliary biodegradable part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상기 보조생분해부는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선단 생분해부; 및 상기 몸체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삽입시 잇몸과 인접한 치조골과 접촉되어 상기 몸체 후단의 유격을 방지하는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 수 있다.The auxiliary biodegradable portion is a tip biodegradable portion coupled to the tip of the body; And a biodegradable metal having at least one of a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adjacent to the gum upon insertion of the body to prevent play of the rear end of the body.

또한, 상기 후단 생분해부는 상기 몸체 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의 직경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so as to protrude than the body.

또한, 상기 후단 생분해부는 피시술자의 치조골 결손 부위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alveolar bone defect site of the subject.

또한, 상기 몸체는 측면에 상기 보조생분해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결착홈; 상기 몸체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밴드 형상을 이루는 제2 결착홈; 상기 몸체의 일부가 함입된 원형 또는 타원 단면을 갖는 제3 결착홈; 및 상기 몸체의 일부가 함입된 다각형 단면을 갖는 제4 결착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auxiliary biodegradable portion on the side, the receiving groove, a first binding groove formed in a band shap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 second binding groove forming a band shape surrounding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 third binding groove having a circular or elliptical cross section in which a part of the body is embedded; And a fourth binding groov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in which a part of the body is embedded.

또한, 상기 선단 생분해부는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도록 양단 또는 일측이 개방되며 측면이 동심원 또는 나사산 모양의 주름진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 생분해부는 상기 몸체의 선단과 나사결합된 후 압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선단 생분해부와 결합하는 몸체의 외측면은 격자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r one side is opened so that the tip biodegradable portion is coupled to the tip of the body, and the side is formed in a concentric or threaded corrugated tube shape, and the tip biodegradable portion is screwed with the tip of the body and fixed by a pressing method.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coupled to the tip biodegradable portion may be a lattice structure.

또한, 상기 후단 생분해부는 상기 몸체의 후단에 결합되도록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이 동심원 또는 나사산 모양의 주름진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단 생분해부는 상기 몸체와 나사결합된 후 압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선단 생분해부와 결합하는 몸체의 외측면은 격자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biodegradable rear end portion are opened to be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a side surface is formed in a concentric or threaded corrugated tube shape, and the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is screwed to the body and fixed by a pressing method, and the tip e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coupled with the biodegradable portion may have a lattice structure.

또한, 상기 선단 및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 방향으로 그 내경이 일정하고, 상기 내경이 일정한 선단 및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상기 몸체의 선단 또는 후단은 그 외경이 일정할 수 있다.Further,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s has a constant inner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uter diameter of the front end or rear end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xed end and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s may be constant. .

또한, 상기 선단 및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may have an opening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또한, 상기 몸체의 선단측에 하단이 개방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함입된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채워지는 메인생분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생분해부 및 상기 보조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생분해성금속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is open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body and the receiving space is embedd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dy; And a main biodegradable portion at least partially fill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t least one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and the auxiliary biodegradable portion may include a biodegradable metal.

또한, 상기 몸체의 선단, 상기 메인생분해부의 첨두, 및 상기 선단 생분해부의 첨두 중 적어도 하나는 환자의 상악동을 구분하는 점막을 상기 상악동 측으로 들어올리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tip of the body, the tip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and the tip of the tip biodegradabl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lift the mucosal membrane separating the maxillary sinus of the patient toward the maxillary sinus.

또한, 상기 생분해성 금속은 순수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스트론튬(strontium), HA(Hydroxy Apatite), 은(Ag), 니오븀(niobium), 이트륨(yttrium), 지르코늄(zirconium), 아연 및 칼슘 중 1종 이상을 혼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odegradable metal includes pure magnesium or a magnesium alloy, and the magnesium alloy includes strontium, HA (Hydroxy Apatite), silver (Ag), niobium, yttrium, and zirconium. , One or more of zinc and calcium can be mixed.

또한, 상기 메인생분해부 및 상기 보조생분해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성형되거나, 상기 몸체와 상기 메인생분해부, 및 보조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3D 프린터 또는 콜드 스프레이를 이용한 공법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생분해성 금속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iodegradable part and the auxiliary biodegradable part are molded by a die casting method in the receiving space, or at least one of the body, the main biodegradable part, and the auxiliary biodegradable part is integrally molded by a method using a metal 3D printer or cold spray. Can be provided with a biodegradable metal.

또한, 상기 몸체는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측면에 형성되는 몸통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body through-hole formed on the side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communicate.

또한, 상기 메인생분해부는, 상기 생분해성 금속이 부존재하는 메인생분해부 함몰부; 및 상기 메인생분해부 함몰부가 확장되어 형성되는 함몰부 확장부 중 적어도 메인생분해부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생분해부 함몰부는 상기 몸통 관통공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of the biodegradable metal is present; And at least a main biodegradation portion depression among the depressions formed by expanding the main biodegradation depression portion, and the main biodegradation depression portion may be disposed to face the body through hole.

또한, 상기 메인생분해부는, 상기 몸통 관통공을 채우는 메인생분해부 확장부; 상기 메인생분해부 확장부에서 상기 몸체 외부로 확장 형성되어 돌출되는 메인생분해부 돌출부; 상기 메인생분해부 확장부와 상기 메인생분해부 돌출부의 확장된 부분 또는 돌출된 부분에 내부로 함몰되는 메인생분해부 오목부 중 적어도 메인생분해부 확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expansion portion for filling the body through hole; A main biodegradation part protruding part extending from the main biodegradation part extending out of the body;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an extended portion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and an extended portion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recessed inside the protruding portion.

또한, 상기 메인생분해부는 상기 선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may gradually increase in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tip direction.

또한, 상기 메인생분해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후단 측의 수용공간 천장의 일부와 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may contact a portion of the ceil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on the rear end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선단 생분해부는 그 측면을 관통하는 선단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선단 관통공은 상기 몸통 관통공 및 상기 메인생분해부 함몰부 중 적어도 상기 몸통 관통공과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p biodegradable portion may include a tip through hole penetrating its side surface, and the tip through hole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the body through hole of the trunk through hole and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recessed portion.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치조골로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나사산의 길이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나사산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de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direction of insertion into the alveolar bone, and the length of the thread extending from the body gradually increases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body to the edge of the thread is increased. It can be kept constant.

본 발명은 티타늄 재질로 구비된 몸체의 외주면에 인체 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특징을 갖는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이를 통칭하여 '생분해부'라 한다)을 채워넣어, 인체 내에 식립된 몸체로부터 서서히 분해되면서 그 자리에 신생 뼈가 생성되어 치조골과 몸체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magnesium or magnesium alloy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biodegradation unit') having a biodegradable characteristic that decomposes in the human bod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made of titanium, while gradually decomposing from the body placed in the body New bones are created in place, so that the alveolar bone and the body can be firmly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주변 치조골에의 혈류량을 증대시켜 뼈의 양이 많아지고 치조골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여 임플란트 치료기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치조골과 몸체 상호간의 골융합을 더욱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blood flow to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implant, increasing the amount of bone, maintaining a healthy state of the alveolar bone, shortening the implant treatment period, and further enhancing bone fusion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body. .

도 1은 본 발명이 치조골에 식립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몸체와 메인생분해부를 나타낸 투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와 메인생분해부를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용공간 및 메인생분해부의 여러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와 관통공의 여러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몸체와 관통공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몸체와 관통공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몸체와 나사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몸체와 관통공의 일실시예를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몸체와 관통공의 일실시예를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몸체의 다른 실시예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수용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몸체가 상악동에 식립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보조생분해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보조생분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보조생분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생분해부와 몸체의 결합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생분해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몸체와 나사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몸체와 제2 생분해부가 결합되는 일실시예 및 메인생분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body and main biodegradabl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body and the through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through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through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ody and the thread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body and the through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 body and a through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maxillary sinus.
17 is a side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19 are sid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and 21 are sid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bination of the second biodegradable portion and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side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econd biodegradabl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dy and the threads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body and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치과용 및 일반 외과 임플란트에 이용될 수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터널(internal), 익스터널(external), 및 일체형 연결 방식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픽스쳐(몸체)가 직선형인 형태, 치근형(쐐기형)인 형태, 또는 항아리형 형태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dental and general surgical implants. Dental implants can be applied to both internal, external, and integral connections. In addition, the fixture (body) can be applied to both a straight shape, a root shape (wedge shape), or a jar shap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몸체(10), 및 메인생분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the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10 and a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몸체(1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환자의 잇몸(2)을 절개한 후 치조골(4)에 식립될 수 있다. 몸체(10)가 치조골(4)에 식립될 때, 몸체(10)와 치조골(4) 상호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몸체(1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11)이 나선형으로 몸체(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0 is formed to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can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4 after cutting the patient's gum 2. When the body 10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4, the threads 11 are spi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alveolar bone 4 It can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side.

몸체(10)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 인공치아(6)와 결합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 환자 개개인의 잇몸과 치아 형태에 맞게 제작을 하는 맞춤형 지대주인 커스텀 어버트먼트일수 있다. The body 10 may be screwed with an abutment. It can be combined with the abutment artificial teeth (6). It can be a custom abutment, a tailor-made abutment that is tailored to the shape of the gums and teeth of each patient.

몸체(10) 중 치조골(4)에 식립되는 부분을 선단,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부분을 후단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몸체(10)의 선단측에는 하단이 개방되며 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함입된 수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S)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상이나, 다각형 기둥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portion of the body 10 that is placed on the alveolar bone 4 will be referred to as a front end, and a portion combined with the abutment as a rear end. A lower end is open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body 10 and a receiving space S embedd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dy 10 may be formed. The accommodation space S may preferably have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column shape.

수용공간(S)은, 도 5를 참조하면, 기둥 형상 외에 단면적이 선단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공간(S)은 세로 방향으로 단턱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d)와 같이, 수용공간(S)은 후단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수용공간(S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ccommodation space S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or wider toward the tip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column shape. The accommodation space S may be formed to be stepp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d), the accommodation space S may include a protrusion accommodation space S0 protruding in a rear end direction.

몸체(10)는 수용공간(S)의 내면에 내측면요철부(S1) 및 천정면요철부(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내측면요철부(S1)와 천정면 요철부(S2)는 수용공간(S)의 내부 표면적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내측면요철부(S1)는 암나사산 등의 특정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면요철부(S1)는 수용공간(S)의 내측 벽에 배치될 수 있고, 천정면요철부(S2)는 수용공간(S)의 천정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 irregularities (S1) and the ceiling surface irregularities (S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S). The inner surface concavo-convex portion S1 and the ceiling surface concavo-convex portion S2 may have various shapes that can increase the inner surface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The inner surface irregularities S1 may be formed in a specific shape such as a female thread. The inner surface irregularities S1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and the ceiling surface irregularities S2 may be disposed at the ceiling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내측면요철부(S1)와 천정면 요철부(S2)는 수용공간(S)의 면적을 증가시켜 골융합 면적이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몸체(10)와 치조골(4)의 결합력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concavo-convex portion S1 and the ceiling surface concave-convex portion S2 may increase the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to increase the area of bone fusion. Thereby,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alveolar bone 4 can be further improved.

몸체(10)는 그 선단에 배치되는 테두리요철부(S3)를 구비할 수 있다. 테두리요철부(S3)는 몸체(10) 하단부 둘레를 따라 삼각 문양, 파도 문양, 톱니 문양 등 여러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테두리요철부(S3)는 몸체(10)의 식립 시 치조골(4)을 절삭하는 기능인 셀프 텝핑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body 10 may have a rim uneven portion S3 disposed at the tip. The rim irregularities S3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ular pattern, a wave pattern, and a sawtooth patter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The rim irregularities (S3) may have a self-tapping function, which is a function of cutting the alveolar bone 4 when the body 10 is placed.

메인생분해부(100)는 몸체(10)의 수용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생분해부(100)는 수용공간(S)과 일체가 되거나, 수용공간(S)의 일부가 되거나, 수용공간(S)의 외부로 돌출 될 수 있는 등, 수용공간(S)과의 배치는 다양할 수 있다.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of the body 10.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is integrated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S, such as being integral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S, being a part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or protruding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It can vary.

메인생분해부(100)는, 도 5(a)와 같이, 수용공간(S)의 천장 중 일부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는 치조골 조각이나 혈액 등이 몸체(10)와 메인생분해부(100) 사이를 채워져, 메인생분해부(100)와의 접하는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may be started from a part of the ceil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as shown in FIG. 5(a). This may fill the gap between the body 10 and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such as alveolar bone fragments or blood, thereby improv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메인생분해부(100)는 몸체(10)의 선단을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뿔형 형상 또는,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뿔형 형상은 메인생분해부(100)가 수용공간(S)의 후단 방향은 일체이면서 선단 방향으로 갈수록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형성(도 3 참조)되거나, 수용공간(S)과 일체이면서 형성(도 5(b) 참조)될 수 있다.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or a spiral shape in which its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tip of the body 10. This conical shape is formed while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is formed with an empty space between the rear end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S and an empty space therebetween (see Fig. 3), or integral with the receiving space S (See FIG. 5(b)).

메인생분해부(100)는 선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는 선단 방향의 메인생분해부(100)가 치조골과 접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메인생분해부(100) 소멸 후에 몸체(10)의 기계적 강도를 강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인생분해부(100)의 단면적의 점진적 증가의 예로 도 5의 (c) 및 (d)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may gradually increase in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tip. This may increase the area in which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in the distal direction contacts the alveolar bone, and may provide an effect of strengthen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body 10 after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disappears. Examples of the gradual increas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are illustrated in FIGS. 5C and 5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5(d)의 돌출 수용공간(S0)은 몸체(10)의 기계 강도에 영향을 주는 이외에, 메인생분해부(100)와 나사결합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즉 돌출 수용공간(S0)은 암나사로 형성되고, 메인생분해부(100)의 돌출부분(돌출 수용공간(S0)에 대응하는 부분)은 수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affect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body 10, the protruding receiving space S0 of FIG. 5(d) may be a portion that is screwed with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That is, the protruding receiving space S0 is formed of a female screw, and the protruding portio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receiving space S0) of the main biodegradable unit 100 may be formed of a male screw.

메인생분해부(100)의 선단 부위는 도 5처럼 평평하거나, 반원형, 타원형 등과 같이 라운드질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상악동 점막을 들어 올리는데 유리할 수 있다. 메인생분해부(100)의 선단 부위는 홈이 생성되거나 요철이 생성되어, 치조골과의 단면적을 넓힐 수 있다.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100 may be flat, as shown in FIG. 5, or rounded, such as a semicircle or oval. This may be advantageous for lifting the mucous membrane of the maxillary sinus described below.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may have grooves or irregularities, there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with the alveolar bone.

메인생분해부(10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구강 내에서 생분해될 수 있다. 메인생분해부(100)는 구강내, 특히, 치조골(4)과 융합되어 생분해될 수 있다.The main biodegradable unit 100 may be biodegradable in the oral cavity over time.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may be biodegradable in the oral cavity, in particular, fused with the alveolar bone 4.

메인생분해부(100)는 생분해성 금속을 구비하거나, 생분해성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iodegradable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biodegradable metal or may be composed of a biodegradable metal.

생분해성 금속은, 생체 내에서 녹지 않는 일반적인 금속 소재에 반해, 일정 기간 경과하면 생체 내에서 녹아서 소멸하는 성질을 가지는 금속을 의미한다. 본 생분해성 금속은 마그네슘, 칼슘, 망간, 철, 아연, 규소, 이트륨, 스트론튬(strontium), 은(Ag), 지르코늄, 니오븀(niobium),가돌리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The biodegradable metal refers to a metal having a property of dissolving and disappearing in vivo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contrast to a general metal material that does not melt in vivo. The biodegradable metal may include at least one metal or metal alloy of magnesium, calcium, manganese, iron, zinc, silicon, yttrium, strontium, silver (Ag), zirconium, niobium, gadolinium have.

메인생분해부(100)는 생분해성 금속 중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마그네슘 합금은 마그네슘에 스트론튬(strontium), 은(Ag), 니오븀(niobuim), 이트륨, 지르코늄, HA(Hydroxy Apatite), 아연, 및 칼슘 중 1종 이상을 혼합한 금속 재질일 수 있다.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is preferably a magnesium or magnesium alloy is used among the biodegradable metal. In this case, the magnesium alloy may be a metal material in which at least one of strontium, silver (Ag), niobuim, yttrium, zirconium, HA (Hydroxy Apatite), zinc, and calcium is mixed with magnesium.

메인생분해부(100)는 몸체(10)의 수용공간(S)에서 서서히 녹으면서 뼈의 주요성분인 칼슘과 인을 주변에 불러 모아 뼈를 생성하거나 뼈와 비슷한 모양과 조직으로 변화시키며 수용공간(S)의 내외측면과 변화된 조직이 접촉됨으로써 몸체(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gradually dissolves in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body 10 and collects calcium and phosphoru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bone, around to create bone or change into a bone-like shape and tissue, and receive space ( The contact force of the body 10 can be improved by contac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 with the changed tissue.

다양한 실험에 의하면, 생분해성 금속이 소멸된 자리에 신생 골이 대체될 뿐만 아니라, 생분해성 금속의 주위의 치조골이 결손된 부위에 신행 골이 생성되어, 치조골 결손 부위가 골조직으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분해성 금속이 골 증식을 향상시키는 이유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생분해성 금속에 의해 증식 또는 생성된 골조직은 남아있는 생분해성 금속(메인생분해부(100)) 또는 몸체(10)와 더 단단히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은 생분해성 금속이 혈액이나 잔여 치조골, 조직, 조직액 등의 피시술자의 신체와의 반응 면적이 클수록, 골 증식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조골은 골 생성이 잘 되도록 하며, 골 증식 속도를 높이는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잔여 치조골은 메인생분해부(100)에 접하도록 하고, 치조골과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사이의 결손 부위에 잔여 치조골이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various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the new bone is re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biodegradable metal disappears, but also a new bone is generated in the region where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biodegradable metal is deficient, so that the alveolar bone defect site is changed into bone tissue. . It appears that the biodegradable metal is due to the reason for improving bone prolifer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bone tissue proliferated or produced by the biodegradable metal is more firmly coupled with the remaining biodegradable metal (main biodegradable portion 100) or the body 10. In addition,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larger the reaction area of the biodegradable metal with the subject's body, such as blood or residual alveolar bone, tissue, and tissue fluid, the better the bone proliferation. Also, alveolar bone seems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good bone formation and speed up bone growth.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aining alveolar bone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and that the remaining alveolar bone is disposed in a defective portion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몸체(10)는 몸체(10)의 외부와 수용공간(S)을 연통하는 몸통 관통공(12)을 복수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몸통 관통공(12)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거나,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ody through holes 12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10 and the receiving space S. The plurality of trunk through holes 12 may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r may be arranged in an irregular pattern.

몸통 관통공(12)은 내부에 메인생분해부(100)가 배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도 6(a) 참조), 인접한 메인생분해부(100)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생분해부(100)는 몸통 관통공(12) 주위에 함몰되어 생분해성 금속이 부존재하는 메인생분해부 함몰부(102)를 구비할 수 있다(도 6(b) 참조). 메인생분해부 함몰부(102)는 그 표면적을 늘이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생분해부(100)를 더 함몰되도록 하는 함몰부 확장부(104)(도 6(c)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through-hole 12 is not only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is not disposed therein (see FIG. 6(a)), but may be extended to the adjacent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That is,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main biodegradation unit depression 102 in which a biodegradable metal is absent because it is recessed around the body through-hole 12 (see FIG. 6(b) ).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depression 10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increase its surface area. For example, a depression portion 104 (see FIG. 6(c)) to further depress the main biodegradation portion 100 may be provided.

메인생분해부(100)가 배치되지 않은 몸통 관통공(12), 메인생분해부 함몰부(102), 및/또는 함몰부 확장부(104)를 통해 혈액이 수용공간(S)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인생분해부(100)와 반응하여 새로운 뼈가 수용공간(S)과 몸통 관통공(12)에 채워지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몸통 관통공(12) 또는 수용공간(S)에 형성된 신생 골은 몸체(10)의 외측 치조골(4)과 연결하여 몸체(10)와 치조골(4)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Blood may be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S) through the body through-hole 12 in which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is not disposed,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depression 102, and/or the depression expansion unit 104. .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in which the new bone is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S and the through-hole 12 by reacting with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The new bone formed in the body through hole 12 or the accommodation space S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alveolar bone 4 of the body 10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alveolar bone 4.

도 6(c)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로, 메인생분해부(100)는 몸통 관통공(12)을 채우는 메인생분해부 확장부(106)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생분해부 확장부(106)는 몸체(010) 외부로 돌출되는 메인생분해부 돌출부(107)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생분해부(100)는 확장 또는 돌출된 부분에 내부로 함몰된 메인생분해부 오목부(108)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c),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may include a main biodegradation unit expansion unit 106 filling the body through-hole 12.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extension 106 may include a main biodegradation unit projection 107 protruding out of the body 010.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may include a main biodegradation unit recess 108 recessed inside the expanded or protruding portion.

메인생분해부(100)의 메인생분해부 함몰부(102) 및/또는 함몰부 확장부(104)는 급히 수용공간(S)에 신생 골이 형성되도록 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메인생분해부 확장부(106), 메인생분해부 돌출부(107), 및/또는 메인생분해부 오목부(108)는 시간상 여유가 있으며 신생 골이 치밀하게 형성되도록 할 때 사용될 수 있다.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100, the depressed portion 102 and/or the depressed portion expanded portion 104 may be used when a new bone is rapidly form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and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expanded portion ( 106), the main biodegradation protrusions 107, and/or the main biodegradation recesses 108 have time to spare and can be used to make the new bones densely formed.

메인생분해부(100)는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몸체(10)의 수용공간(S)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의 재질이 티타늄, 또는 지르코늄일 경우 먼저 수용공간(S)을 성형한 후 메인생분해부(100)를 이루는 생분해성 금속을 용융시켜 수용공간(S)에 채워넣을 수 있다.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may be integrally molded into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body 10 by a die casting method. For example, when the material of the body 10 is titanium or zirconium, the receiving space S may be first molded and then the biodegradable metal forming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may be melted and filled into the receiving space S. have.

메인생분해부(100) 및 몸체(10)는 금속 3D프린팅 공법, 콜드 스프레이 공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100 and the body 1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etal 3D printing method, a cold spray method, or the like.

도 7을 참조하면 몸통 관통공(12)은 몸체(10)의 외주면에서 수용공간(S)까지 연통되되, 몸체(10)의 외측면을 접하도록 지나는 가상의 접선(L)을 기준으로 일정각도(a)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통 관통공(12)이 이루는 각도는 몸체(10)를 치조골(4)에 식립할 때 몸체(10)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 the body through-hole 12 is communica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to the receiving space (S), a certain angle based on the virtual tangent (L) passing through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a) It may be formed to form a slope. The angle formed by the body through hole 12 may be set to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ody 10 when the body 10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4.

상기의 일정각도(a)는 몸체(1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예각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10)의 식립시 발생하는 치조골(4)의 잔여물이 몸통 관통공(12)을 통과하여 수용공간(S)으로 유입되어 수용공간(S)에 새로운 뼈가 생성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constant angle (a) is preferably set to be an acute angle range based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ody 10. This will shorten the time for the formation of new bone in the receiving space (S) as the residue of the alveolar bone (4), which occurs when the body 10 is placed, passes through the body through hole (12) and enters the receiving space (S). Can be.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나사산(11)에는 나사산(11)을 관통하는 나사산홀(11-1)이 나사산(11)을 따라 다수개 구비할 수 있다. 나사산 홀(11-1)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패턴과 불규칙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나사산홀(11-1)로 인해 나사산(11)을 사이에 두는 치조골(4)들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나사산홀(11-1)에 새로운 뼈가 채워짐으로써 몸체(10)와 치조골(4)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The thread 1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ead holes 11-1 passing through the thread 11 along the thread 11. The threaded holes 11-1 may have a pattern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n irregular pattern. Due to the threaded hole 11-1, the alveolar bones 4 that sandwich the thread 11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s the new bone is filled in the threaded hole 11-1,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alveolar bone 4 is improved.

나사산(11)은 연장된 나사산(11)의 일부를 절개하는 나사산절단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나사산절단부(11-2)는 나사산의 가장자리로부터 몸체(10)의 인접한 부분까지 배치되는 소정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삼각형, 사다리꼴 모양으로 절개될 수 있다. 나사산절단부(11-2)는 나사산(11)의 연장되는 길이를 따라 다수 개 이격배치될 수 있다. The thread 11 may include a thread cutting portion 11-2 that cuts a part of the extended thread 11. The thread cutting portion 11-2 has a predetermined shape that is arranged from the edge of the thread to an adjacent portion of the body 10, and can be preferably cut into a triangular or trapezoidal shape. The thread cutting portions 1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ded length of the thread 11.

한편, 몸체(10)에는 나사산절단부(11-2)와 수용공간(S)을 연통시켜주기 위한 나사산 관통홀(11-3)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 관통홀(11-3)은 몸통 관통공(12)처럼 일정각도 경사를 유지하며 몸체(10)를 관통할 수 있다. 작용효과는 몸통 관통공(12)과 대응하므로 상세한 성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a thread through hole 11-3 for communicating the thread cutting portion 11-2 and the accommodation space S may be formed through the body 10. The threaded through hole 11-3 can penetrate the body 10 while maintaining a certain angle of inclination like the body through hole 12. Since the action effect corresponds to the body through hole 12, a detailed statement is omitted.

이러한 본 발명의 몸통 관통공(12) 나사산홀(11-1), 나사산절단부(11-2) 및 나사산 관통홀(11-3)의 구성으로 인해 몸체(10)와 치조골(4)의 결합력 향상 및 메인생분해부(100)와 치조골(4)의 골융합을 더욱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즉, 새롭게 생성되는 뼈(치조골)가 몸체(10)와 수용공간(S) 사이에 메쉬 형상과 같은 구조를 형성하여 몸체(10)와 치조골(4)의 결합력 및 지지력은 매우 높아질 수 있다.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through-hol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ad hole 11-1, the thread cutting part 11-2, and the thread through hole 11-3,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alveolar bone 4 is improved. And bone fusion between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and the alveolar bone 4. That is, the newly generated bone (alveolar bone) forms a structure such as a mesh shap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receiving space S, so that the bonding force and support forc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alveolar bone 4 can be very high.

따라서, 음식 섭취를 위해 형성되는 환자의 지속적인 교합압이나 구강 내에 발생하는 치주염증에 의한 치조골(4) 손상 및 임플란트 탈락, 흔들림 등의 실패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failures such as damage to the alveolar bone 4 due to periodontal inflammation occurring in the oral cavity or persistent occlusal pressure of the patient formed for food intake and implant dropping and shaking.

또한, 몸체(10)를 식립할 때 삭제되는 치조골(4) 조각이 몸체(10)와 수용공간(S)에 수용됨으로써 새롭게 생성되는 뼈와 함께 융합되어 부작용, 염증 등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ragments of the alveolar bone 4, which are deleted when the body 10 is placed, are accommodated in the body 10 and the accommodation space S, and fused together with the newly generated bon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occurrence of side effects and inflammation. .

본 발명의 몸체(10)의 그 직경이 다양해질 수 있는데, 염증 등으로 뼈가 흡수되어 몸체(10)가 식립되어야 할 치조골(4)이 부족하거나, 상악동, 하치조신경 등 해부학적 구조물로 인해서 직경이 얇은 몸체(10)를 사용하는 경우 내부를 메인생분해부(100)로 채워, 임플란트의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ue to inflammation or the like, the bone 10 is absorbed and the body 10 lacks the alveolar bone 4 to be implanted, or due to anatomical structures such as the maxillary sinus and the lower jaw nerve. When the body 10 having a thin diameter is used, the inside may be filled with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to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implant.

가령 상기와 같은 치조골(4)에 식립되는 몸체(10)의 필수 사양이 일정 두께 이하로써 일정 길이 이하로 채택되어야 할 경우, 본 발명의 몸체(10)를 식립하게 되면, 치조골(4)과의 골융합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짧고 직경이 작은 몸체(10)도 채택하여 치조골(4)에 식립할 수 있다. 아울러, 수용공간(S)에 구비된 메인생분해부(100)의 분해를 통해 새로운 뼈의 생성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ssential specifications of the body 10 to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4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adopted to a certain length or less as a certain thickness, when the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the alveolar bone 4 and Since the bone fusion area can be maximized, a relatively short and small-diameter body 10 is also adopted to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4. In addition, through the decomposition of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mote the creation of new bone.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몸체(10)는 외주면에 결합되는 보조생분해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10)의 외주면은 요철이나 그물망, 격자 구조 등 그 표면적을 늘리는 구조일 수 있으며, 보조생분해부(200) 또한 이와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보조생분해부(200)와 몸체(10)의 결합력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12 to 15, the body 10 may include an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may be a structure that increases its surface area, such as an unevenness, a mesh, or a lattice structure, and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may also be formed with a corresponding structure. Due to this structur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and the body 10 may be further improved.

보조생분해부(200)가 몸체(10)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몸체(10)가 치조골(4)에 식립될 때, 보조분해부(200)가 치조골(4)과 접촉되면서 식립되고, 보조분해부(200)의 주성분이 치조골(4)에 빠르게 흡수될 수 있다. 보조생분해부(200)는 몸체(10)뿐만 아니라, 나사산(11)에도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when the body 10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4, the auxiliary decomposition unit 200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4, and the auxiliary decomposition The main component of the part 200 can be rapidly absorbed by the alveolar bone 4.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 as well as the threads 11.

보조생분해부(200) 또한, 구강 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분해될 수 있으며, 인체 조직 내에서 시간에 따라 생분해되는 물질, 특히, 생분해성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이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보조생분해부(200)는 생분해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생분해부(200)의 생분해성 금속은 앞서 설명한 메인생분해부(100)의 생분해성 금속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may also be biodegradable over time in the oral cavity,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biodegradable over time in human tissue, particularly, a biodegradable metal, or may include such a material. That is,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may include a biodegradable metal. The biodegradable metal of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may correspond to the biodegradable metal of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보조생분해부(200)는 몸체(10)의 주변에 치조골(4)에서 생성되는 신생뼈의 혈류를 촉진시키고, 동시에 구강 내에서 생분해되도록 하여 몸체(10)와 치조골(4)의 결합력을 확대하여 몸체(10)의 식립 강도를 높여줄 수 있다.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promotes blood flow of the new bone generated in the alveolar bone 4 around the body 10,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biodegradation in the oral cavity to enlarg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alveolar bone 4 The implant strength of the body 10 may be increased.

몸체(10)의 외주면에는 보조생분해부(200)와 결합되기 위한 구성인 수용홈(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3)은 몸체(10)의 외주면과 나사산(11)에 다수 형성되며, 홈과 같이 함입된 형상을 가지거나 몸체(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3)은 드릴링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의 방법에 한정하지 않으며, 몸체(10)가 주물 가공 방식으로 성형되는 경우 수용홈(13)은 성형빼기가 가능한 한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a receiving groove 13, which i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with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may be further formed. The receiving groove 13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number of threads 11, may have an embedded shape such as a groove or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10. The receiving groove 13 may be formed by drilling,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ethod, and when the body 10 is molded by a casting process, the receiving groove 13 may be formed within a limit that can be molded and removed. have.

보조생분해부(200)는 몸체(10) 또는 나사산(11)에 밴드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auxiliary biodegradable unit 20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 or the thread 11 in a band shape.

수용홈(13)은 몸체(1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결착홈(13-1)과 몸체(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밴드 형상을 이루는 제2 결착홈(13-2) 및 몸체(10)의 일부가 함입된 원형 또는 타원단면을 갖는 제3 결착홈(13-3, 13-5), 다각형 형상을 갖는 제4 결착홈(1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13)의 형상은 상기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용이한 설계변경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The receiving groove 13 is a first binding groove 13-1 formed in a band shape surround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second binding groove 13 forming a band shape surrounding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2) and at least one of a third binding groove (13-3, 13-5) having a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in which a part of the body 10 is embedded, and a fourth binding groove (13-4) having a polygonal shape It can contain.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13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hape,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easy design change.

또한, 수용홈(13)은 나사산(11)에 형성될 수 있는데, 몸체(10)와 인접한 나사산(11)의 해당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홈(13)에 보조생분해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10)가 치조골(4)에 식립되면, 몸체(10)의 삽입시 몸체(10) 및 나사산(11)과 치조골(4)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발생하는데, 이 공간에 치조골(4)에 새로운 뼈가 생성되면서 몸체(10)와 치조골(4)간의 유격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해당 부위에 염증이나 부작용이 발생하는 현상도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 13 may be formed in the thread 11, may b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thread 11 adjacent to the body 10. That is, when the body 10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4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3, the body 10 and the thread 11 and the alveolar bone when the body 10 is inserted A predetermined space is generated between (4), and as a new bone is generated in the alveolar bone 4 in this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body 10 and the alveolar bone 4 from occurring. In addition,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also prevent the phenomenon of inflammation or side effects in the area.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용홈(13)은 몸체(10)의 외주면과 나사산(11)의 가장자리 및 나사산(11)과 나사산(11) 사이의 골(11a)을 따라 연속적 또는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3)이 나사산의 가장자리에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치조골(4)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치조골(4)과 나사산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receiving groove 13 may be formed continuously or only part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edge of the thread 11 and the valley 11a between the thread 11 and the thread 11. . When the receiving groove 13 is irregularly formed on the edge of the thread,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4 increases, so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lveolar bone 4 and the thread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5를 참조하면 수용홈(13)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15, the receiving groove 13 may have various shapes.

수용홈(13)은 도 15(a)의 제1 결착홈(13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착홈(13a)은 나사산(11)과 나사산의 골(11a)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홈으로 형성되고, 보조생분해부(200)가 채워질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13 may include a first binding groove 13a in FIG. 15(a). The first binding groove 13a may be formed as a groove so that a portion of the thread 11 and the bone 11a of the thread are cut, and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may be filled.

수용홈(13)의 다른 실시예로, 수용홈(13)은 도 15(b)의 제2 결착홈(13b)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제2 결착홈(13b)에는 내측에 홈이 더 형성되어 생성되는 뼈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몸체(10)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receiving groove 13, the receiving groove 13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binding groove (13b) of Figure 15 (b). In the second binding groove 13b, a groove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sid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generated bone to secure the bonding force of the body 10.

수용홈(13)의 다른 실시예로, 수용홈(13)은 도 15(c)의 제3 결착홈(13c)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제3 결착홈(13c)은 함입되는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고, 해당 부위에 새롭게 생성되는 뼈가 채워지면 몸체(10)를 견고하게 지지해줌으로써, 몸체(10)가 삽입된 치조골(4)에서 쉽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receiving groove 13, the receiving groove 13 may include a third binding groove 13c of FIG. 15(c). This third binding groove (13c) is formed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implant, and when the newly created bone is filled in the area, by firmly supporting the body (10), the body (10) is inserted alveolar bone (4) It can prevent easy withdrawal.

몸체(10)와 보조생분해부(200)는 나사결합, 억지끼움, 압착, 용접 등의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액체로 이루어진 보조생분해부(200)에 몸체(10)의 표면을 적시는 디핑(dipping) 기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body 10 and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may be combined by a coupling method such as screwing, interference fitting, compression, welding, etc., and wet the surface of the body 10 on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made of liquid. It can be produced by dipping.

보조생분해부(200)를 몸체(10)에 증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결착홈과 보조생분해부(200)의 결합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A method of depositing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on the body 10 may be used, and in this method, sputtering deposition may be used. This method can also be applied to the bonding method of the binding groove and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수용홈(13)에 보조생분해부(200)가 삽입 또는 결합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데, 결착홈(10)의 외형에 대응되는 보조생분해부(200)를 압착 또는 TIG용접, 레이져 용접, 전기저항 SPOT 용접, MIG 용접, CMT 프로세스 용접, FSW 용접, 금속 3D 프린팅, 및 콜드 스프레이(cold spray)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접 공정으로 진행될 경우에는 몸체(10)의 제조과정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method in which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is inserted or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3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pressing or assisting the TIG welding or laser pressing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binding groove 10. It can be used in any one of welding, electric resistance SPOT welding, MIG welding, CMT process welding, FSW welding, metal 3D printing, and cold spray. When the welding process is performed,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ime of the body 10 may be shortened.

분말 형태의 보조생분해부(200)를 분사시켜 티타늄 재질의 몸체(10)에 결착시키는 콜드 스프레이(Cold spray) 기법을 통해 이종 재질인 수용홈(13)과 보조생분해부(200)를 융합시킬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fuse the heterogeneous material receiving groove 13 and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through a cold spray technique in which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in powder form is attached to the body 10 made of titanium by spraying it. have.

보조생분해부(200)의 구성된 물질로 인해 새로운 뼈의 생성에 유리한 인 또는 칼슘을 주변으로 불러모아 신생 뼈의 생성을 도와 많은 양의 강한 뼈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조생분해부(200)가 분해되어 사라진 부위 만큼 더 넓어진 뼈부착 부위가 생성될 수 있다.Due to the material composed of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phosphorus or calcium,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generation of new bone, can be gathered around to help the creation of new bone, so that a large amount of strong bone can be generated. As a result,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may be decomposed to generate a bone attachment site that is wider than the disappeared site.

메인생분해부(100), 보조생분해부(200), 및 몸체(1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은 금속 3D프린팅 공법이나 콜드 스프레이(Cold Spray)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and the body 1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etal 3D printing method or a cold spray.

일반적으로 사람의 얼굴 뼈에는 몇 개의 빈 동굴처럼 형성된 상악동(8)이 존재한다. 상악동(8)의 하부에는 치조골(4)이 형성되고, 치조골(4)의 두께는 사람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가진다. 임플란트의 정상적인 시술(즉, 몸체(10)의 치조골(4)에 대한 정상적인 식립)을 위해서는 치조골(4)의 두께가 적어도 10mm 내지 10mm 정도 확보되어야 하지만, 환자에 따라서는 치조골(4)의 두께가 얇아 별도의 상악동 거상술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악동 거상술은, 상악동 점막 파열 등으로 인해 축농증, 수술시간, 치유 기간의 연장 및 추가 수술비의 증가 등의 부작용을 발생할 수 있다.Generally, there are several hollow caves (8) formed in the human face bone. The alveolar bone 4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xillary sinus 8, and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bone 4 has a different thickness depending on the person.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bone 4 should be secured at least about 10 mm to 10 mm for the normal procedure of the implant (ie, the normal placement of the alveolar bone 4 of the body 10), but depending on the patient,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bone 4 is Because it is thin, it may be necessary to perform separate maxillary sinus lifting. However, maxillary sinus stenosis may cause side effects such as sinusitis, operative time, prolongation of healing period, and increase in additional surgical cost due to rupture of the maxillary sinus mucosa.

도 16을 참조하면, 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용홈(13) 중 적어도 일부는 피시술자의 상악동(8)인 부위에 침투될 수 있도록, 몸체(10)가 상악에 식립될 수 있다. 즉, 상악동에 배치되는 수용홈(13)에 결착되는 보조생분해부(200)는 상술한 환자의 상악동(8) 내에서 분해될 수 있다. 상악동의 점막을 들어 올리며 배치된 몸체(10)에 인접한 상악동인 부분은 일종의 치조골 결손 부위처럼 해석될 수 있다. 환자의 치조골(4)의 두께가 몸체(10)의 식립 길이보다 작을 경우, 수용홈(13)이 몸체(10)의 외주면 중 환자의 상악동(8) 내부로 침투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보조생분해부(200)가 상악동(8) 내부에서 분해될 수 있다. 이러한 상악동에 배치된 보조생분해부(200)는 결손된 부위를 신생 골이 잘 증식되도록 할 수 있다. 식립 과정에서 절삭되어 상악동 내부에 배치된 치조골(4)의 뼛조각들은 새로운 뼈(4a)의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body 10 may be implanted in the maxilla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can penetrate into a region that is the maxillary sinus 8 of the subject. That is,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attached to the receiving groove 13 disposed in the maxillary sinus may be disassembled in the maxillary sinus 8 of the patient described above. The part of the maxillary sinus adjacent to the body 10 placed while lifting the mucous membrane of the maxillary sinus can be interpreted as a kind of alveolar bone defect. When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bone 4 of the patient is smaller than the implantation length of the body 10, the receiving groove 13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that penetrates into the maxillary sinus 8 of the patient, thereby assisting biodegradation. The part 200 may be disassembled inside the maxillary sinus 8.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disposed in the maxillary sinus may allow the new bone to proliferate well in the defective area. The cut pieces of the alveolar bone 4 that are cut in the implantation process and placed inside the maxillary sinus may promote the formation of new bones 4a.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시술 시, 별도의 상악동 거상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더라도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erformed, separate maxillary sinus lift surgery may not be performed. Even so, the success rate of the implant procedure can be increased.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보조생분해부(200)는 몸체(10)의 선단(치조골(4)에 삽입되는 몸체(1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치조골(4)과 접촉된 상태로 식립되는 선단 생분해부 및 몸체(10)의 후단(잇몸 또는 치조골(4) 부위의 몸체(10)의 타측단)에 결합되는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17 to 23,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body 10 (one side end of the body 10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4) and placed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4 It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biodegradable portion and the rear end of the body 10 (the other end of the body 10 of the gum or alveolar bone 4) coupled to the rear end.

보조생분해부(200) 중 선단 생분해부의 일종인 제1 생분해부(210)는 환자의 절개된 잇몸(2)을 통해 미리 치조골(4)에 드릴링된 구멍을 통해 식립될 수 있다. 제1 생분해부(210)는 식립되면서 상악동(8)을 구분하도록 구비된 점막(31)을 상악동(8) 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The first biodegradation unit 210, which is a type of the tip biodegradation unit among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s 200, may be implanted through a hole drilled in the alveolar bone 4 through the incised gum 2 of the patient. As the first biodegradation unit 210 is placed, the mucous membrane 31 provided to distinguish the maxillary sinus 8 may be lifted toward the maxillary sinus 8.

이때, 몸체(10)의 삽입시 환자의 점막(30)이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제1 생분해부(210)의 하단부(도면상 상단부, 첨두)는 평평하거나 소정의 곡률반경을 그리며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inserting the body 10, so as not to damage the patient's mucous membrane 30, such as tear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iodegradable portion 210 (top portion in the drawing, peak) is flat or draws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It can be formed to be round.

제1 생분해부(210)가 몸체(10)의 선단에 결합되는 방식은 압착, 용접, 금속 3D 프린팅, 콜드 스프레이, 나사결합, 억지끼움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보조생분해부(200)와 몸체(10)의 결합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The method in which the first biodegradation unit 210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10 may be combined by compression, welding, metal 3D printing, cold spraying, screw coupling, interference fitting, etc., and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It is possible to select any one of the coupling method of the body 10.

제1 생분해부(210)의 높이는 환자의 치조골(4)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다양한 높이를 갖는 제1 생분해부(210)를 구비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생분해부(200)를 몸체(10)의 선단에 밀집시키거나, 취약한 부분에 밀집시켜 보조생분해부(200)의 양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first biodegradable portion 21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bone 4 of the patient, and the first biodegradable portion 210 having various heights may be provided to be changed and us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In addition,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can be densely adjusted to the tip of the body 10 or densely vulnerable to adjust the amount of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제1 생분해부(210)는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치조골(4)과 접촉되는 일면은 나사산 형상을 가짐으로, 몸체(10)의 식립시 잔존하는 치조골(4)의 조각을 원활하게 수용하여 뼈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e first biodegradation unit 210 may have various cross sections. Since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4 has a thread shape, the fragment of the alveolar bone 4 remaining when the body 10 is placed can be smoothly accommodated to assist in bone formation.

보조생분해부(200) 중 후단 생분해부인 제2 생분해부(220)는 치조골의 결손이 심한 부위에 배치되어, 치조골 결손 부위를 신생 골이 잘 증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서, 제2 생분해부(220)는 몸체(10) 후단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Of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which is a rear end biodegradation unit, is disposed in a region where the alveolar bone is defective, so that the new bone is proliferated well in the alveolar bone defect. As a result,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prevent the play at the rear end of the body 10.

보조생분해부(200)는 몸체(10)의 나사산(11)의 골(11a)을 따라 권취되는 제3 생분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생분해부(230)는 구강내에서 생분해되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마그네슘을 포함한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3 생분해부(230)는 작은 직경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용수철 코일과 같이 미리 제작되어 시술전 몸체(10)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00 may include a third biodegradation unit 230 wound along the bone 11a of the thread 11 of the body 10. The third biodegradable unit 23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biodegradable in the oral cavity, and may be made of a magnesium alloy including magnesium. The third biodegradable portion 23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mall diameters, and may be pre-made as a coiled coil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10 prior to the procedure.

도 20을 참조하면 보조생분해부(200)의 선단 생분해부는 몸체(10)의 선단에 장착되며, 측면에 주름관 형상을 갖는 제4 생분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front end biodegradable part of the auxiliary biodegradable part 200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body 10, and may include a fourth biodegradable part 240 having a corrugated tube shape on the side surface.

제4 생분해부(240)는 외측면이 주름진 관 모양을 가지며, 몸체(10)의 선단에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상의 컵 생분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4 생분해부(240)는 주름관 형상으로 신축성을 구비하여 길이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개방되지 않는 제4 생분해부(240)의 타측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그리는 반원 형상, 타원 형상, 또는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has a corrugated tube shape with an outer surface, and may have a cup biodegradable portion having an open shape on one si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body 10.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may be stretched in a corrugated pipe shape to facilitate length adjustment.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that is not opened may be formed in a semicircle shape, an ellipse shape, or a flat shape draw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제4 생분해부(240)와 몸체(10)의 선단은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제4 생분해부(240)의 내부가 암나사 형상이고, 이에 대응하는 몸체(10)의 선단은 수나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ends of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and the body 10 may be screwed together. That is, the inside of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is a female screw shape, and the tip of the body 10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formed in a male screw shape.

제4 생분해부(240) 외측의 주름관 형상 또는 모양은 동심원 또한 나사산 형상일 수 있다.The shape or shape of the corrugated pipe outside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may be a concentric circle or a thread shape.

시술자는 시술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제4 생분해부(240)의 장착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4 생분해부(240)와 몸체(10)의 결합은 금속 3D 프린팅, 콜드 스프레이, 압착, 압연, 압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억지끼움 되는 경우 몸체(10)의 선단 일부에는 나사산(11)이 형성되지 않아, 제4 생분해부(240)의 억지끼움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생분해부(240)의 결합방법은 상기의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operator can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fourth biodegradable unit 240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before the procedure. The combination of the fourth biodegradable part 240 and the body 10 may use metal 3D printing, cold spraying, compression, rolling, and extrusion methods. In the case of the interference fit, the thread 11 is not formed on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10, so the interference fit of the fourth biodegradable part 240 may be achieved. The method of combining the fourth biodegradation unit 24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ethod.

제4 생분해부(240)가 이루는 직경은 몸체(10)를 치조골(4)에 삽입할 때 치조골(4)에 미리 형성하는 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제4 생분해부(240)가 상악동(8) 측으로 침투되면서 점막을 손상없이 밀어올려 신생뼈가 생성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When th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4, the diameter formed by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is preferably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previously formed in the alveolar bone 4, thereby causing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As the 240 is infiltrated into the maxillary sinus 8, the mucous membrane is pushed up without damage, and a space in which new bones can be generated can be provided.

도 21을 참조하면 제4 생분해부(240)는 몸체(10)의 선단이 노출되도록 상하측이 개방된 형상의 관 생분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몸체(10)의 선단은 제4 생분해부(24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결합 방식은 나사결합 이외에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may include a tube biodegradable portion having an open top and bottom side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body 10 is exposed. 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body 10 may be screwed with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In addition to the screwing method, various coupling methods mentioned above may be used.

몸체(10)에 제4 생분해부(240)가 결합될 때의 직경과 몸체(10)가 이루는 직경이 동일하도록 제4 생분해부(240)와 결합되는 몸체(10)의 선단 일부는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T°만큼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tip of the body 10 coupled with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has a diameter such that the diameter when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is coupled to the body 10 and the diameter formed by the body 10 are the same. It may be formed to be tapered by T° to be small.

몸체(10)와 제4 생분해부(240)가 나사결합하는 경우, 몸체(10)의 제4 생분해부(240)가 결합되는 선단 부분은 수나사로서 골지름 및 바깥지름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하고, 암나사로서의 제4 생분해부(240)의 안지름 및 골지름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몸체(10) 선단 부분의 외경 및 제4 생분해부(240)의 내경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10)와 제4 생분해부(240)가 일반적인 나사 조임 또는 억지끼움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사 조임의 경우 몸체(10)의 외경과 제4 생분해부(240)의 내경은 서로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억지 끼움의 경우 몸체(10)의 외경은 제4 생분해부(240)의 내경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body 10 and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are screwed, the tip portion to which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of the body 10 is coupled is a male screw,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outer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diameter and the corrugation of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as a female screw are the s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ternatively, the outer diameter of the tip portion of the body 1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are preferably the s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may enable the body 10 and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to be screwed or forcibly fitted. In the case of screw tighten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substantially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in the case of interference fit,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0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It is preferred to be larger.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특별히 언급하거나 나사산이나 나사골을 포함하여 해석되어져야 할 경우 외에, 내경, 외경, 및 직경은 나사산이나 나사골 부분을 제외한 지름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the clai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r to be interpreted including threads or threads, inner diameter, outer diameter, and diameter mean diameters excluding threads or threads.

제4 생분해부(240)의 외측은 몸체(10) 외측의 테이퍼진 각도와 동일하거나, 일직선일 수 있다.The outer side of the fourth biodegradable portion 240 may be the same as the tapered angle of the outer side of the body 10, or may be straight.

도 22 및 23을 참조하면 제2 생분해부(220)는 몸체(10)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생분해부(220) 또한 상하방향이 개방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외측면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생분해부(220)의 외측면에 형성된 주름은 동심원 또는 나선 모양일 수 있다. 제2 생분해부(220)의 외측면은 몸체(10)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나사산 형상일 수 있다.22 and 23,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be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10. The second biodegradable portion 220 may also have an open ring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rinkl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wrinkl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be concentric circles or spiral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be a threa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body 10.

제2 생분해부(220)는 몸체(10)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제2 생분해부(220)와 몸체(10)의 결합은 나사결합 외에 억지끼움 등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The second biodegradable unit 220 may be screwed with the body 10.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and the body 10 may be combined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the aforementioned methods, such as interference fitting, in addition to screwing.

제2 생분해부(220)와 몸체(10)의 결합 시 결합 부위에 굴곡면이 생기지 않도록, 몸체(10) 후단 일부의 직경은 몸체(10)가 이루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길이 방향으로 몸체(10) 후단의 외경은 일정하고 제2 생분해부(220)의 내경은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몸체(10)와 제2 생분해부(220)가 일반적인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거나, 억지끼움이 용이하도록 될 수 있다. 몸체(10) 후단의 외경은 제2 생분해부(22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and the body 10 are engaged, a diameter of a part of the rear end of the body 10 may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at formed by the body 10 so that a curved surface is not formed at the bonding site. In this case, the outer diameter of the rear end of the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stant,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be constant. Thereby, the body 10 and the second biodegradable portion 220 may be combined by a general screw connection or may be easily fitted. The outer diameter of the rear end of the body 10 is preferably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제2 생분해부(220)의 외경은 몸체(10)의 중심부와 대응하도록 후단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커지거나 일정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be gradually increased or constant in a rear end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the body 10.

치조골(4)의 최외곽은 쉽게 소실될 수 있다. 이에 임플란트 식립시, 몸체(10)의 후단은 결손 부위가 많은 치조골에 배치될 수 있다. 식립된 몸체(10) 후단과 치조골 결손 부위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정 간격에 따른 공간에 이물질이나 음식물 등이 끼어서 염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제2 생분해부(220)는 그 형상으로 결손 부위를 메꿀 수 있으며, 그 기능에 의해 신속한 골융합 작용을 일으켜, 위 부작용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The outermost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4 can be easily lost. Accordingly, when the implant is placed, the rear end of the body 10 may be disposed in the alveolar bone with many defects. A predetermined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implanted body 10 and the alveolar bone defect site. Side effects such as inflammation may occur due to foreign matter or food stuck in the spac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biodegradable portion 220 may fill the defective portion in its shape, and by its function, cause a rapid bone fusion action, thereby preventing or reducing stomach side effects.

제2 생분해부(220)의 직경은 몸체(10)의 후단이 이루는 직경 보다 더 클 수 있다. 제2 생분해부(220) 직경이 몸체(10) 직경 보다 큰 경우, 몸체(10)의 후단과 치조골(4)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억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second biodegradable portion 220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formed by the rear end of the body 10. When the diameter of the second biodegradable portion 22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10, a gap between the rear end of the body 10 and the alveolar bone 4 may not be generated, or may be suppressed or reduced.

예를 들어, 기존의 몸체(10)에 제2 생분해부(220)를 결합하여, 임플란트의 외관에 굴곡면이 생기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생분해부(220)는 몸체(10)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몸체(10) 보다 돌출된 제2 생분해부(220)는 잇몸에 인접한 치조골의 결손 부위를 메꿀 수 있어, 결손 부위와 몸체(10)의 유격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손 부위의 골 생성을 더 촉진시킬 수 있다.For example, by combining the second biodegradable portion 220 to the existing body 10,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exterior of the implant. That is, the second biodegradable portion 220 may be coupled to protru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The second biodegradable portion 220 protruding from the body 10 can fill a defective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adjacent to the gum, thereby preventing or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defective portion and the body 10, and generating bone in the defective portion. It can promote more.

제2 생분해부(220)의 형상은 치조골(4)의 개방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결손된 치조골(4)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속한 골융합 작용을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hape of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 shape of the alveolar bone 4, prevent the exposed alveolar bone 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e a shape for rapid bone fusion action Can be.

제2 생분해부(220)는 피시술자의 치조골 결손 부위를 채우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생분해부(220)의 하단은 사선을 이루거나, 반구형상, 사각형상, 역삼각형 형상 등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피시술자의 치조골 결손 부위에 접하도록 제2 생분해부(220)를 형성하여, 골 생성이 잘 되도록 하면서 최종적으로 임플란트의 기계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biodegradable portion 22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hape that fills the alveolar bone defect site of the subject.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diagonal line, a hemispherical shape, a square shape, an inverted triangle shape, and the like. That i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defect sit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nd to maintain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implant while allowing good bone formation.

도 24를 참조하면 몸체(10)의 직경은 치조골(4)로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도록 연장형성되며, 나사산(11)은 이와 반대로 몸체(10)의 후단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나사산(11)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수직선을 'L'이라고 가정하며, 몸체(10)의 후단과 인접한 나사산(11)의 끝단과 가상의 수직선L 까지의 거리 D1과 몸체(10)의 선단과 인접한 나사산(11)의 끝단과 가상의 수직선L 까지의 거리 D2의 거리는 동일한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24, the diameter of the body 10 is formed to extend to have a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in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direction of insertion into the alveolar bone 4, and the thread 11, on the contrary, from the rear end of the body 10 It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the length of the thread (11).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virtual vertical line traversing the center of the body 10 is'L', the distance D1 between the end of the thread 11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body 10 and the virtual vertical line L and the body 10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thread 11 and the virtual vertical line L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D2 may correspond to the same distance.

이는 몸체(10)가 치조골(4)에 식립되는 경우 치조골(4)의 삭제되는 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상기의 나사산(11)에도 나사산홀(11-1)이 일정패턴 또는 불규칙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몸체(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s has the purpose of minimizing the amount of alveolar bone (4) being deleted when the body (10)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4). The threaded hole 11-1 is also formed in the above-mentioned thread 11 so as to have a constant pattern or an irregular pattern,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of the body 10.

도 25를 참조하면, 몸체(10) 수용공간(S)에 메인생분해부(100)가 수용되고, 몸체(10)의 상단에 제2 생분해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의 상단에는 제2 생분해부(220)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고정로드(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로드(16)의 외측면에는 나사산(16-1)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5,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is accommodated in the body 10 accommodation space S, and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body 10.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parate fixing rod 16 that can be screwed to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rod 16 is a thread (16-1) ) May be formed.

몸체(10)의 선단에 수용된 메인생분해부(100)는 몸체(1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지지생분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4)에 몸체의 삽입홀을 형성하는데, 이때, 삽입홀의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된 경우 지지생분해부(110)가 치조골(4)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골생성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accommodat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10 may include a support biodegradation unit 110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10. The insertion hole of the body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4 for the implantation of the body 10. At this time, when the depth of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deeper, the supporting biodegradation unit 110 maintains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4 to form the bone Creation can proceed smoothly.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5를 참고한다.26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S. 1 to 25.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는 몸체(10)를 포함하며, 메인생분해부(100), 선단 생분해부(240), 및 후단 생분해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25의 대응되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Referring to FIG. 26,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a front end biodegradation unit 240, and a rear end biodegradation unit 220. . For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refer to the description of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in FIGS. 1 to 25.

몸체(10)는 외부에 나사산(11)을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10 may have a thread 11 on the outside.

선단 생분해부(24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방향인 몸체(10)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고, 후단 생분해부(220)는 몸체(10)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선단 생분해부(240) 및 후단 생분해부(220)는 앞서 설명한 제4 생분해부(240) 및 제2 생분해부(220)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The front end biodegradable part 24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10 in the direction of being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rear end biodegradable part 220 may be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10. The front end biodegradation unit 240 and the rear e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fourth biodegradation unit 240 and the second biodegradation unit 220 described above.

선단 생분해부(240) 및 후단 생분해부(22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biodegradation unit 240 and the rear e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have an opening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후단 생분해부(220)는 그 측면을 관통하는 후단 관통공(22)을 구비할 수 있다. 선단 생분해부(240)는 그 측면을 관통하는 선단 관통공(21)을 구비할 수 있다. 선단 관통공(21) 및 후단 관통공(22) 각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밴드형 등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선단 또는 후단 관통공(21, 22)이 다수가 모여서, 선단 및 후단 생분해부(240, 220)의 외주면에 격자 구조 또는 메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rear end biodegradation unit 220 may include a rear end through hole 22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The tip biodegradable portion 240 may include a tip through hole 21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Each of the front end through hole 21 and the rear end through hole 22 may have a circular, elliptical, square, or band shape, and a large number of these front end or rear end through holes 21 and 22 are gathered to biodegrad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 lattice structure or a mesh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ortions 240 and 220.

선단 관통공(21) 및 후단 관통공(22)은 선단 생분해부(240) 및 후단 생분해부(220)가 치조골이나 혈액 등의 피시술자의 조직에 더 많이 접하도록 할 수 있다.The front end penetration hole 21 and the rear end penetration hole 22 may allow the front end biodegradation unit 240 and the rear end biodegradation unit 220 to contact more tissues of a person to be treated, such as an alveolar bone or blood.

선단 관통공(21)은 앞서 설명한 몸체(10)의 몸통 관통공(12)과 연통될 수 있으며, 메인생분해부(100)의 함몰부(102)와도 연통될 수 있다.The tip through hole 21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body through hole 12 of the body 10 described above, and may als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depression 102 of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100.

몸체(10)의 선단, 메인생분해부(100)의 첨두, 및 선단 생분해부(240)의 첨두 중 적어도 하나는 환자의 상악동을 구분하는 점막을 상악동 측으로 들어올리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두는 몸체(10) 선단 방향에 배치된 부분을 의미한다.At least one of the tip of the body 10, the tip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100, and the tip of the tip biodegradable portion 240 is preferably formed to be rounded to lift the mucous membrane that distinguishes the maxillary sinus of the patient toward the maxillary sinus. The peak refers to a portion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10.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부를 구비한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Or mor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implementations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possible.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 : 몸체 11 : 나사산
12 : 관통공 13 : 수용홈
100 : 메인생분해부 200 : 보조생분해부
210 : 제1 생분해부 220 : 제2 생분해부
10: body 11: thread
12: through hole 13: receiving groove
100: main biodegradation unit 200: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210: first biodegradation unit 220: second biodegradation unit

Claims (19)

외주면에 식립 나사산이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보조생분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생분해부는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선단 생분해부; 및
상기 몸체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삽입시 잇몸과 인접한 치조골과 접촉되어 상기 몸체 후단의 유격을 방지하는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 및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측면이 동심원 또는 나사산 모양의 주름진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 생분해부는 양단 또는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후단 생분해부는 양단이 개방되며,
상기 주름진 관 형상의 상기 선단 및 후단 생부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몸체와 나사결합된 후 압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선단 및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는 몸체의 외측면은 격자 구조인,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A body provided with an implanted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Includes; auxiliary biodegradable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The auxiliary biodegradable part
A biodegradable front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And
It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rear end biodegradation unit to prevent the play of the rear end of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adjacent to the gum when the body is inserted,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is formed in a concentric circle or a threaded corrugated tube shape,
Both ends or one side of the tip biodegradable portion is open,
Both ends of the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are opened,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rear end dissection of the corrugated tube is screwed to the body and fixed by a pressing metho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coupled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is a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which is a lattice structure.
외주면에 식립 나사산이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생분해성 금속을 구비하는 보조생분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생분해부는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선단 생분해부; 및
상기 몸체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삽입시 잇몸과 인접한 치조골과 접촉되어 상기 몸체 후단의 유격을 방지하는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 및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상기 후단 생분해부에 결합하는 상기 몸체의 후단의 외경은 상기 몸체의 상기 보조생분해부가 결합하지 않는 부분의 외경 보다 작고,
상기 선단 및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 방향으로 그 내경이 일정하고,
상기 내경이 일정한 선단 및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상기 몸체의 선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외경이 일정한,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A body provided with an implanted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It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nd includes an auxiliary biodegradable portion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The auxiliary biodegradable part
A biodegradable front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And
It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rear end biodegradation unit to prevent the play of the rear end of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adjacent to the gum when the body is inserted,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The outer diameter of the rear end of the body coupled to the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ortion to which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portion of the body does not engage,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has a constant inner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having a constant outer diameter of at least one of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front end and a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having a constant inner diameter.
외주면에 식립 나사산이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생분해성 금속을 구비하는 보조생분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생분해부는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선단 생분해부; 및
상기 몸체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삽입시 잇몸과 인접한 치조골과 접촉되어 상기 몸체 후단의 유격을 방지하는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선단 및 상기 선단 생분해부의 첨두 중 적어도 하나는 환자의 상악동을 구분하는 점막을 상기 상악동 측으로 들어올리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A body provided with an implanted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It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nd includes an auxiliary biodegradable portion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The auxiliary biodegradable part
A biodegradable front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And
It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rear end biodegradation unit to prevent the play of the rear end of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adjacent to the gum when the body is inserted,
At least one of the tip of the tip of the body and the tip of the biodegradable portion is formed to be rounded to lift the mucous membrane that separates the maxillary sinus of the patient toward the maxillary sinus, a dental implant with biodegradable meta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측면에 상기 보조생분해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결착홈;
상기 몸체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밴드 형상을 이루는 제2 결착홈;
상기 몸체의 일부가 함입된 원형 또는 타원 단면을 갖는 제3 결착홈; 및
상기 몸체의 일부가 함입된 다각형 단면을 갖는 제4 결착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ody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portion on the side,
The receiving groove,
A first binding groove formed in a band shape surround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 second binding groove forming a band shape surrounding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 third binding groove having a circular or elliptical cross section in which a part of the body is embedded; And
A dental implant with biodegradable met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fourth binding groov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in which a part of the body is embed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및 후단 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biodegradable portion having an opening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a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선단측에 하단이 개방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함입된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채워지는 메인생분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생분해부는 생분해성금속을 구비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receiving space that is opened at a lower en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body and is embedd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dy; And
It further includes a main biodegradation unit at least partially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biodegradable metal, a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생분해부의 첨두는 환자의 상악동을 구분하는 점막을 상기 상악동 측으로 들어올리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9,
The tip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is formed to be rounded to lift the mucous membrane that separates the maxillary sinus of the patient toward the maxillary sinus, a dental implant with biodegradable met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금속은 순수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스트론튬(strontium), HA(Hydroxy Apatite), 은(Ag), 니오븀(niobium), 이트륨(yttrium), 지르코늄(zirconium), 아연 및 칼슘 중 1종 이상을 혼합한, 생분해성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9,
The biodegradable metal includes pure magnesium or a magnesium alloy,
The magnesium alloy is strontium (strontium), HA (Hydroxy Apatite), silver (Ag), niobium (niobium), yttrium (yttrium), zirconium (zirconium), a mixture of one or more of zinc and calcium, biodegradable metal Equipped dental implan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생분해부 및 상기 보조생분해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성형되거나,
상기 몸체와 상기 메인생분해부, 및 보조생분해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3D 프린터 또는 콜드 스프레이를 이용한 공법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생분해성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9,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and the auxiliary biodegradable portion are molded in the receiving space by a die casting method,
At least one of the main body, the main biodegradation unit, and the auxiliary biodegradation unit is a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that is integrally molded by a method using a metal 3D printer or a cold spra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측면에 형성되는 몸통 관통공을 구비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9,
The body has a body through hole formed on the side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communicate, a dental implant with biodegradable meta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생분해부는,
상기 생분해성 금속이 부존재하는 메인생분해부 함몰부; 및
상기 메인생분해부 함몰부가 확장되어 형성되는 함몰부 확장부 중 적어도 메인생분해부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생분해부 함몰부는 상기 몸통 관통공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13,
The main biodegradable unit,
A main biodegradable depression portion in which the biodegradable metal is absent; And
At least one of the main biodegradation portion recessed portion of the depressed portion expansion portion formed by expanding the main biodegradation portion depression,
The main biodegradation portion recessed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body through-hole, a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생분해부는,
상기 몸통 관통공을 채우는 메인생분해부 확장부;
상기 메인생분해부 확장부에서 상기 몸체 외부로 확장 형성되어 돌출되는 메인생분해부 돌출부; 및
상기 메인생분해부 확장부와 상기 메인생분해부 돌출부의 확장된 부분 또는 돌출된 부분에 내부로 함몰되는 메인생분해부 오목부 중 적어도 메인생분해부 확장부를 구비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13,
The main biodegradable unit,
A main biodegradation part expansion part filling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A main biodegradation part protruding part extending from the main biodegradation part extending out of the body; And
A dental implant with biodegradable metal, comprising at least a main biodegradable portion extension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extended portion and an extended portion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protruding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of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recessed inside the protruding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생분해부는 상기 선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9,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the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as it goes toward the tip.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생분해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후단 측의 수용공간 천장의 일부와 접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9,
The main biodegradable portion is a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ceil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on the rear end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생분해부는 그 측면을 관통하는 선단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선단 관통공은 상기 몸통 관통공 및 상기 메인생분해부 함몰부 중 적어도 상기 몸통 관통공과 연통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14,
The tip biodegradable portion has a tip through hole penetrating its side surface,
The tip through hole is a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at least the body through hole of the body through hole and the main biodegradation portion depress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치조골로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나사산의 길이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나사산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ody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de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direction of insertion into the alveolar bone,
The length of the thread extending from the body is gradually increased, the dental implant having a biodegradable metal that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body to the edge of the thread.
KR1020190084423A 2018-07-19 2019-07-12 Dental implants with biodegradable metal KR102120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23A KR102120448B1 (en) 2019-07-12 2019-07-12 Dental implants with biodegradable metal
PCT/KR2019/008949 WO2020017924A1 (en) 2018-07-19 2019-07-19 Dental implant provided with biodegradable met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23A KR102120448B1 (en) 2019-07-12 2019-07-12 Dental implants with biodegradable met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448B1 true KR102120448B1 (en) 2020-06-08

Family

ID=7108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423A KR102120448B1 (en) 2018-07-19 2019-07-12 Dental implants with biodegradable met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44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077A (en) * 2003-05-01 2004-11-09 학교법인 영남학원 Calcium metaphosphate coated dental impla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108146A (en) 2009-03-27 2010-10-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implant fixture and method for menufacturing the dental implant fixture
KR101122134B1 (en) 2011-07-11 2012-03-1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xture of Dental Implant
KR101163621B1 (en) * 2010-12-23 2012-07-06 주식회사 룡플란트 Fixture for implant
KR20170056330A (en) 2015-11-13 2017-05-23 (주) 웹스 Biodegradable Implant Structure
US9795427B2 (en) * 2013-11-05 2017-10-24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Articles comprising reversibly attached screws comprising a biodegradable composition,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uses thereof
JP2018079067A (en) * 2016-11-16 2018-05-24 慶達科技股▲ふん▼有限公司 Tooth root impla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077A (en) * 2003-05-01 2004-11-09 학교법인 영남학원 Calcium metaphosphate coated dental impla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108146A (en) 2009-03-27 2010-10-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implant fixture and method for menufacturing the dental implant fixture
KR101163621B1 (en) * 2010-12-23 2012-07-06 주식회사 룡플란트 Fixture for implant
KR101122134B1 (en) 2011-07-11 2012-03-1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xture of Dental Implant
US9795427B2 (en) * 2013-11-05 2017-10-24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Articles comprising reversibly attached screws comprising a biodegradable composition,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uses thereof
KR20170056330A (en) 2015-11-13 2017-05-23 (주) 웹스 Biodegradable Implant Structure
JP2018079067A (en) * 2016-11-16 2018-05-24 慶達科技股▲ふん▼有限公司 Tooth root impl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7970B2 (en) Asymmetric dental implant
EP1876992B1 (en) Dental implantology device
JP5167341B2 (en) Dental implant
CN102596095B (en) There is the porous implant device tool improving core
JP5453413B2 (en) Small dental implants
CA2941664C (en) Dental implant
JP6682444B2 (en) Dental implant
JP2015514496A (en) Dental implant
KR20060135786A (en) Anchoring element for use in bone
JP2014503261A (en) Improved extension membrane
KR20190046762A (en) Teeth implants with inverted tapered bodies for sockets after potential extraction
CN103550002A (en) Artificial dental abutment, artificial dental multi-part implanting system and implanting method
JP2021505257A (en) Dental implant fixture
KR102059960B1 (en) Implant having a biodegradation material
JP2008245994A (en) Dental implant fixture
KR102120448B1 (en) Dental implants with biodegradable metal
TWI594733B (en) Implant-expander for expanding the bone crest of a patient
KR102093545B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102145298B1 (en) Membrane for medical treatment and membrane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905579B1 (en) Implant fixture
KR102059964B1 (en) Implant having a biodegradation material
KR20140077128A (en)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WO2009075459A1 (en) Dental implant fixture
EP1576935A1 (en) Endosseous dental implant
KR20190117091A (en) Implant fixture with enhanced combination force by connection h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