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275B1 - 무선 방수통신기 - Google Patents

무선 방수통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275B1
KR102119275B1 KR1020200011192A KR20200011192A KR102119275B1 KR 102119275 B1 KR102119275 B1 KR 102119275B1 KR 1020200011192 A KR1020200011192 A KR 1020200011192A KR 20200011192 A KR20200011192 A KR 20200011192A KR 102119275 B1 KR102119275 B1 KR 102119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switch
communication device
cover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규
문성준
홍세련
이채영
정성환
이종수
한승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1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무선 방수통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작전을 수행하면서 동료들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작전용 무선 방수통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는, 외부로부터 VHF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장치와,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VHF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되어 상기 VHF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이어폰 및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되며, 눌림 동작에 의하여 통신모드로 전환되고, 눌림 해제시 통신해제모드로 전환되는 PTT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방수통신기{Wireless Waterproof Communicator}
본 개시내용은 무선 방수통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작전을 수행하면서 동료들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작전용 무선 방수통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해양 한가운데에서 조난자가 발생하거나 외국 불법어선 단속 시 불법어선 선원들의 저항에 맞서 진압하기 위하여 해양경찰이나 군인들이 헬기나 보트를 타고 작전지역으로 이동한 후, 해상에서 작전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조난자를 구출하고 불법어선 선원들을 용이하게 진압하기 위하여 다수의 해경 또는 군인들이 작전을 수행하는데, 해상이라는 특성상 통신기기의 사용에 민감하다. 예를 들어, 악천후 속에서 헬기를 타고 작전지역에 뛰어들게 되면 송수신장치에 해수가 유입되면서 쉽게 고장나게 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방수기능이 들어간 장치들이 보급되면서 일정 수심 이상으로 들어가도 기기의 사용에 문제가 없으나, 통신기기와 같은 해수에 민감한 장치들은 작전을 수행하면서 통신기능이 손상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한밤중에 비가 오고 높은 파도가 치는 환경에서는 작전을 함께 수행하는 동료들과의 통신이 필수임에도 방수기능이 구비된 통신기기를 사용하면서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현장에서 사용하는 통신기기의 경우 송수신장치와 PTT(Push To Talk) 및 송수신단말장치가 전부 유선으로 결합된 상태로 작전을 수행하게 되는데, 해상에서 과격하게 움직이면서 선이 이탈되거나 선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면서 기기의 손상을 가하게 되어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송수신을 위한 송수화용단말장치 및 PTT장치가 블루투스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작전용 무선 방수통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는, 외부로부터 VHF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장치와,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VHF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되어 상기 VHF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이어폰 및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되며, 눌림 동작에 의하여 통신모드로 전환되고, 눌림 해제시 통신해제모드로 전환되는 PTT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PTT장치는,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상호 연결하는 측면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에 관통 설치되며, 눌림 동작에 의해 통신모드로 전환되는 통신스위치와, 상기 상부하우징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제어하는 제1블루투스스위치와,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스위치와 제1블루투스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1전기회로 및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1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하우징, 통신스위치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는, 상기 PTT장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하우징, 통신스위치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하우징 측면부에 형성되며, 외부충전단자를 통해 상기 제1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1단자연결부와, 상기 제1단자연결부 외측을 커버하는 제1커버부와, 상기 제1단자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하우징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하우징 내측부에서 상기 제1단자연결부 및 제1연장부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하우징 내측부에서 상기 통신스위치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상부커버와,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측면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에 관통 설치되어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상부커버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PTT장치 및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제어하는 제2블루투스스위치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스위치와 제2블루투스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2전기회로 및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내부에 설치되는 제2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커버, 전원스위치 및 제2블루투스스위치는, 상기 무선통신장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커버, 전원스위치 및 제2블루투스스위치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커버 측면부에 형성되며, 외부충전단자를 통해 상기 제2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2단자연결부와, 상기 제2단자연결부 외측을 커버하는 제2커버부와, 상기 제2단자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2커버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커버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커버 내측부에서 상기 제2단자연결부 및 제2연장부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커버 내측부에서 상기 전원스위치 및 제2블루투스스위치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PTT장치는 손목밴드에 탈부착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 주변에 유동성있는 방수재질로 도포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PTT장치 및 무선통신장치 내부의 방수구조로 인하여 해상에서 구조활동시 해수가 유입되어 기기가 고장나면서 발생하는 통신불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통신장치가 PTT장치 및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와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되지 않아도 되므로 작전수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 내부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상세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에 있어서, PTT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에 있어서, PTT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에 있어서, PTT장치 내부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는 무선통신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 3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는, 외부로부터 VHF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장치(100)와, 상기 송수신장치(100)로부터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VHF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무선통신장치(200)와, 상기 무선통신장치(200)와 블루투스 연결되어 상기 VHF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이어폰 및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300)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200)와 블루투스 연결되며, 눌림 동작에 의하여 통신모드로 전환되고, 눌림 해제시 통신해제모드로 전환되는 PTT장치(400)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송수신장치(100)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을 쉽게 듣고 통신하기 위하여 유선으로 연결된 송수화용단말장치를 통해 통신하면서 방수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동료로부터 무선 방수통신기 사용자의 송수신장치(100)로 VHF 음성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이와 유선연결된 무선통신장치(200)로 상기 음성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장치(200)는, 종래 유선을 통해 송수신장치(100)와 송수화용단말장치를 연결하여 상호 통신하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통신장치(200)를 송수신장치(100)와 상호 연결하여 통신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무선통신장치(200)와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300)를 블루투스 연결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전요원들이 헤드셋과 같은 유선장치로 인해 발생하는 활동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장치(2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300)는 무선통신장치(200)와 블루투스 연결되는데, VHF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이어폰 및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상기 이어폰을 통해 전달받은 음성신호를 인지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회신 가능한데, 특히 과도한 작전상황에서 무선 이어폰이나 마이크로폰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기구를 통해 신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은 헤드셋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를 사용자의 목이나 머리 둘레에 감싸 고정시키고 사용함으로써 쉽게 이탈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또는, 상기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충격이 가해져도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장치(200)와 무선으로 블루투스 연결되는 PTT장치(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PTT장치(400)는 통신기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누름장치를 가압하면서 사용자의 음성을 주변 동료들에게 전달할 수 있고, 가압해제하면서 통신기능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PTT장치(400)의 스위치를 가압하고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300)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성을 전달하면 무선통신장치(200)를 통해 송수신장치(100)로 음성신호가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전달되면서 무선으로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PTT장치(400)는,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410)과,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420)과, 상기 상부하우징(410)과 하부하우징(420)을 상호 연결하는 측면하우징(430)과, 상기 상부하우징(410)에 관통 설치되며, 눌림 동작에 의해 통신모드로 전환되는 통신스위치(440)와, 상기 상부하우징(410)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200)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제어하는 제1블루투스스위치(450)와, 상기 상부하우징(410)과 하부하우징(42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스위치(440)와 제1블루투스스위치(45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1전기회로(460) 및 상기 상부하우징(410)과 하부하우징(420) 내부에 설치되는 제1배터리(470)를 포함한다.
상기 PTT장치(400)는 스위치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거나 통신이 해제되는 원리이고, 그에 따라 스위치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면서 통신불능 문제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PTT장치(400)는 상부하우징(410)과 하부하우징(420) 및 그 사이에 설치되는 측면하우징(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410)에 관통 설치되며 눌림 동작에 의해 통신모드로 전환되거나 통신해제모드로 전환되는 통신스위치(44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PTT장치(400)가 무선통신장치(2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제1블루투스스위치(450)를 더 포함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블루투스스위치(450)를 눌러주면 무선통신장치(200)와 무선으로 블루투스연결되며 이를 통해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PTT장치(400)의 스위치를 가압하여 통신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PTT장치(400)는 손목밴드에 탈부착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TT장치(400)를 통하여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신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하게 하여 사용의 편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그에 대한 일 실시예로, 상기 PTT장치(400)가 손목밴드형으로 설치되어 필요시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외력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통신기능이 필요할 경우에도 손목에서 스위치를 눌러 작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통신스위치(440)와 제1블루투스스위치(450)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그 신호를 처리하는 제1전기회로(460)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전기회로(460)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PCB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전체적인 제어과정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배터리(4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PTT장치(400)는 전원장치 및 전달되는 음성의 볼륨을 높이거나 줄이기 위하여 볼륨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전원장치 및 볼륨조절장치는 통신스위치(440)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하우징(410)에 관통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하우징(430), 통신스위치(440)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450)는, 상기 PTT장치(400)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하우징(430)을 통해 상부하우징(410)과 하부하우징(420) 사이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재질을 실리콘으로 구성하여 개스킷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스위치(440)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450)의 재질을 실리콘으로 하여 상부하우징(410)과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하우징(430), 통신스위치(440)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450)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410)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하우징(430)은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데, 여기서 상기 측면하우징(430)과 통신스위치(440)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450)가 실리콘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측면하우징(430)이 상부하우징(410)에 결합되면서 상기 통신스위치(440)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450)가 상부하우징(410) 상부에 형성된 제1스위치삽입홈(411)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상부하우징(410) 상측으로부터 제1스위치삽입홈(411)을 통해 물이 유입된다고 할지라도, 일체로 형성된 측면하우징(430)에 의하여 제1전기회로(460) 및 제1배터리(470)가 위치하는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스위치(440)나 제1블루투스스위치(450)는 그 하부에 위치하며 가압스프링에 의해 제1전기회로(460)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위치 동작에도 문제없으며 해수 유입까지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하우징(420) 측면부에 형성되며, 외부충전단자를 통해 상기 제1배터리(470)를 충전하기 위한 제1단자연결부(480)와, 상기 제1단자연결부(480) 외측을 커버하는 제1커버부(490)와, 상기 제1단자연결부(480)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커버부(490)의 일측으로부터 하부하우징(420)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되는 제1연장부(491)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하우징(420) 내측부에서 상기 제1단자연결부(480) 및 제1연장부(491)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배터리(470)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부에서 충전단자를 연결하여 충전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충전단자 연결을 위한 연결부에 해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기기의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주충전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제1단자연결부(480) 및 이를 커버하는 제1커버부(490)의 일측에서 하우징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되는 제1연장부(491)와 하부하우징(420) 내측부에 방수를 위한 액상 실리콘으로 도포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하우징(410) 내측부에서 상기 통신스위치(440)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450)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하우징(410)의 제1스위치삽입홈(41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부하우징(410)의 제1스위치삽입홈(411) 내측에서 상기 통신스위치(440) 등과 맞닿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도록 하여 추가적인 방수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방수통신기에 있어서, PTT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통신장치(200)는, 상부커버(210)와,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커버(220)와, 상기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20)를 상호 연결하는 측면커버(230)와, 상기 상부커버(210)에 관통 설치되어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240)와, 상기 상부커버(210)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PTT장치(400) 및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300)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제어하는 제2블루투스스위치(250)와, 상기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2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스위치(240)와 제2블루투스스위치(25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2전기회로(260) 및 상기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20) 내부에 설치되는 제2배터리(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장치(200)의 전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있어서 PTT장치(400)와 유사한 부분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커버(230), 전원스위치(240) 및 제2블루투스스위치(250)는, 상기 무선통신장치(200)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장치(200)도 PTT장치(4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20)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의 측면커버(230)를 통해 방수가능하며, 특히 상기 측면커버(230), 전원스위치(240) 및 제2블루투스스위치(250)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210)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커버(230)와 함께 일체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전원스위치(240) 및 제2블루투스스위치(250)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커버(210)의 제2스위치삽입홈(211)에 상기 스위치들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210) 상측으로부터 제2스위치삽입홈(211)을 통해 물이 유입된다고 할지라도, 일체로 형성된 측면커버(230)에 의하여 제2전기회로(260) 및 제2배터리(270)가 위치하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스위치(240)나 제2블루투스스위치(250)는 그 하부에 위치하며 가압스프링에 의해 제2전기회로(260)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위치 동작에도 문제없으며 해수 유입까지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커버(220) 측면부에 형성되며, 외부충전단자를 통해 상기 제2배터리(270)를 충전하기 위한 제2단자연결부(280)와, 상기 제2단자연결부(280) 외측을 커버하는 제2커버부(290)와, 상기 제2단자연결부(280)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2커버부(290)의 일측으로부터 하부커버(220)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되는 제2연장부(291)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커버(220) 내측부에서 상기 제2단자연결부(280) 및 제2연장부(291)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배터리(270)에 상기 외주충전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제2단자연결부(280) 및 이를 커버하는 제2커버부(290)의 일측에서 하우징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되는 제2연장부(291)와 하부커버(220) 내측부에 방수를 위한 액상 실리콘으로 도포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커버(210) 내측부에서 상기 전원스위치(240) 및 제2블루투스스위치(250)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커버(210)의 제2스위치삽입홈(21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부커버(210)의 제2스위치삽입홈(211) 내측에서 상기 통신스위치(440) 등과 맞닿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도록 하여 추가적인 방수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전기회로(460) 및 제2전기회로(260) 주변에 유동성있는 방수재질로 도포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회로들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보호하기 위하여, 스위치 등과 같은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기회로 영역에 유동성있는 방수재질로 도포처리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차단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송수신장치
200 : 무선통신장치
210 : 상부커버
211 : 제2스위치삽입홈
220 : 하부커버
230 : 측면커버
240 : 전원스위치
250 : 제2블루투스스위치
260 : 제2전기회로
270 : 제2배터리
280 : 제2단자연결부
290 : 제2커버부
291 : 제2연장부
300 :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
400 : PTT장치
410 : 상부하우징
411 : 제1스위치삽입홈
420 : 하부하우징
430 : 측면하우징
440 : 통신스위치
450 : 제1블루투스스위치
460 : 제1전기회로
470 : 제1배터리
480 : 제1단자연결부
490 : 제1커버부
491 : 제1연장부

Claims (14)

  1. 외부로부터 VHF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장치;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VHF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무선통신장치;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되어 상기 VHF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이어폰 및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되며, 눌림 동작에 의하여 통신모드로 전환되고, 눌림 해제시 통신해제모드로 전환되는 PTT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PTT장치는,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상호 연결하는 측면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에 관통 설치되며, 눌림 동작에 의해 통신모드로 전환되는 통신스위치;
    상기 상부하우징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제어하는 제1블루투스스위치;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스위치와 제1블루투스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1전기회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1배터리;
    상기 하부하우징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외부충전단자를 통해 상기 제1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1단자연결부;
    상기 제1단자연결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단자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하우징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부에서 상기 제1단자연결부 및 제1연장부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무선 방수통신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하우징, 통신스위치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는,
    상기 PTT장치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수통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하우징, 통신스위치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수통신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부에서 상기 통신스위치 및 제1블루투스스위치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수통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상부커버;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측면커버;
    상기 상부커버에 관통 설치되어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
    상기 상부커버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PTT장치 및 무선송수화용단말장치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제어하는 제2블루투스스위치;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스위치와 제2블루투스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2전기회로; 및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내부에 설치되는 제2배터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수통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 전원스위치 및 제2블루투스스위치는,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수통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 전원스위치 및 제2블루투스스위치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수통신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외부충전단자를 통해 상기 제2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2단자연결부;
    상기 제2단자연결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제2커버부;
    상기 제2단자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2커버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커버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커버의 내측부에서 상기 제2단자연결부 및 제2연장부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수통신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부에서 상기 전원스위치 및 제2블루투스스위치와 접하는 영역에 방수용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수통신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장치는 손목밴드에 탈부착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수통신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회로 주변에 유동성있는 방수재질로 도포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수통신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기회로 주변에 유동성있는 방수재질로 도포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수통신기.
KR1020200011192A 2020-01-30 2020-01-30 무선 방수통신기 KR102119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192A KR102119275B1 (ko) 2020-01-30 2020-01-30 무선 방수통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192A KR102119275B1 (ko) 2020-01-30 2020-01-30 무선 방수통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275B1 true KR102119275B1 (ko) 2020-06-05

Family

ID=7108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192A KR102119275B1 (ko) 2020-01-30 2020-01-30 무선 방수통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38U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Trs 단말을 이용한 음성 송수신 및 녹음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163Y1 (ko) * 2001-09-20 2001-12-31 김종무 밴드형 무전기
JP2004179121A (ja) * 2002-11-29 2004-06-24 Icom Inc 無線通信機のpttスイッチ構造
KR100791097B1 (ko) * 2006-11-29 2008-01-03 시코드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원격 피티티 장치 및 핸즈프리통신시스템과 그 제공방법
JP2011010164A (ja) * 2009-06-29 2011-01-13 Panasonic Corp 携帯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163Y1 (ko) * 2001-09-20 2001-12-31 김종무 밴드형 무전기
JP2004179121A (ja) * 2002-11-29 2004-06-24 Icom Inc 無線通信機のpttスイッチ構造
KR100791097B1 (ko) * 2006-11-29 2008-01-03 시코드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원격 피티티 장치 및 핸즈프리통신시스템과 그 제공방법
JP2011010164A (ja) * 2009-06-29 2011-01-13 Panasonic Corp 携帯端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38U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Trs 단말을 이용한 음성 송수신 및 녹음 시스템
KR200496004Y1 (ko) 2020-11-24 2022-10-1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Trs 단말을 이용한 음성 송수신 및 녹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3338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quatic sports communications
US6396769B1 (en) System for housing a personal S.C.U.B.A diving audio system
CA2045241C (en) Combination head-protective helmet with local and remote voice triggered communication system
US20050123161A1 (en) System for housing an audio system in an aquatic environment
US4491699A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hostile environments
RU2713042C1 (ru) Способ модификаци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US20070086273A1 (en) Protective housing for an audio device
EP1551242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elmet
EP2194943B1 (en) System for hearing protectors
WO2007058281A1 (ja) 送受話装置
US8082010B2 (en) Wireless headset switching system
US20070049360A1 (en) Cell phone interface to personal protection device
KR102119275B1 (ko) 무선 방수통신기
KR101592422B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US3562451A (en) Microphone and headset for underwater swimmer
KR101969406B1 (ko) 방수 가능한 넥마이크 장치
KR20020035094A (ko) 트랜시이버
US3868572A (en) Au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assembly
JP2007259276A (ja) 無線通信通話ユニット
KR102417231B1 (ko) 풀 페이스 마스크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수중 통신 장치
CN203252024U (zh) 一种耳麦式可对讲头盔
KR200290420Y1 (ko) 마이크 및 스피커 폰이 부착된 방독면
GB2252231A (en) Wet-suit hood
RU2177675C2 (ru) Телефонно-микрофонная гарнитура и способ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200297341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송수신기를 장착한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