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181B1 - 단말 장치 및 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181B1
KR102119181B1 KR1020130143738A KR20130143738A KR102119181B1 KR 102119181 B1 KR102119181 B1 KR 102119181B1 KR 1020130143738 A KR1020130143738 A KR 1020130143738A KR 20130143738 A KR20130143738 A KR 20130143738A KR 102119181 B1 KR102119181 B1 KR 102119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handoff
channels
wireless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952A (ko
Inventor
박용현
이지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18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장치 및 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은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접속을 위한 전체 채널을 스캔하는 단계, 전체 채널 중에서 서비스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서비스 가능한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단계, 무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상태가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전체 채널 중에서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단계,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일부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근거리 무선 접속의 채널을 변경할 때에 모든 대역의 전체 채널을 스캔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채널의 스캔 시간이 절약되며, 그 만큼 핸드오프 시에 접속을 빠르게 할 수 있고, 사용자 측면에서도 핸드오프 또는 핸드오프 조건이 충족될 때마다 기존보다 빠른 접속을 할 수 있기에, 원활한 무선랜 통신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FF OF NEAR-RANGE WIRELESS ACCESS}
본 발명은 단말 장치 및 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근거리 무선 접속 시에 핸드오프(handoff)를 처리하는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무선랜(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LAN) 기술은 케이블을 이용해 단말 장치들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종래의 유선랜(Local Access Network, LAN)과는 달리, 일정 거리에 있는 단말 장치간 케이블 없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 기술이며,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의 약어인 와이파이(WiFi)는 무선랜의 별칭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하이파이오디오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지어졌다.
이러한 무선랜 서비스에 의하면 스마트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PC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단말 장치는 무선접속장치인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의 대중화와 더불어, 개방형 무선 네트워크로서 잠재성을 지닌 무선랜이 급속히 확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선랜은 학교, 공항, 호텔 등에서 도시 전체에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도 무선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이동 통신 모듈 이외에 무선랜 모듈이 더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었으며, 사용자는 무선랜 모듈이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선랜 통신이 서비스되는 무선랜 존에서는 무선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영역을 핫 스팟(Hot Spot) 또는 홈 존(Home Zone) 이라고 한다.
이러한 무선랜 서비스는 일상적인 자리의 이동이나 추가, 변경 등과 같은 기업 내의 정보통신(IT) 활동으로 발생하는 방대한 케이블 작업과 라우터의 재설정 작업 등이 필요 없도록 한 프로토콜로서 인터넷 사용을 제한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주요한 접속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랜 서비스는 비면허 대역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사용하고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단말 장치가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 통신 중에 다른 무선접속장치의 채널 또는 동일한 무선접속장치의 다른 채널로 바꿔서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 처리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 장치의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에 의하면, 무선랜 환경에서 단말 장치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멀어지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의 세기가 약해지거나 접속이 불안정해지면 기 설정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며, RSSI 세기가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비콘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등의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 장치는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의 다른 주파수 대역이나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프하기 위하여 주변 채널을 스캔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는 주위 무선 환경 중에서 지원하는 전체 채널을 스캔한 후에 서비스 가능한 채널 중에서 RSSI 세기가 일정 기준 이상인지 등의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여러 개일 경우에 기 정의된 기준에 따라 어느 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하는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그런데, 단말 장치가 핸드오프하는 시점에서 무선 환경 중 지원하는 채널의 수가 많은 경우에 모든 채널의 대역을 스캔하고 그 중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시도하는 데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접속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주변에 여러 개의 액세스 포인트가 있고, 2.4GHz와 5GHz를 모두 지원하는 듀얼밴드인 경우에 2.4GHz의 경우는 13개의 채널이 있으며, 5GHz의 경우는 19개의 채널이 있기 때문에 각 대역의 모든 채널을 스캔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처럼 해당하는 각 대역의 모든 채널을 스캔하기 위해서는 필요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어 원활한 핸드오프를 처리하는 데에 방해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11484, 공개일자 2009년 02월 02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핸드오프를 수행할 때에 미리 저장된 서비스 가능 채널에 대한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하여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일부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은,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접속을 위한 전체 채널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전체 채널 중에서 서비스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가능한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상태가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전체 채널 중에서 상기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일부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단말 장치는, 전체 채널 중에서 서비스 가능한 채널을 통해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접속을 위한 채널을 스캔하는 채널 스캔부; 상기 전체 채널 중에서 서비스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내역 정보가 저장되는 채널 정보 저장부; 무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상태가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전체 채널 중에서 상기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일부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처리하는 무선 접속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핸드오프를 수행할 때에 미리 저장된 서비스 가능 채널에 대한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하여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일부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대역의 전체 채널을 스캔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채널의 스캔 시간이 절약되며, 그 만큼 핸드오프 시에 접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측면에서도 핸드오프 조건이 충족될 때마다 기존보다 빠른 접속을 할 수 있기에, 원활한 무선랜 통신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마이크로폰(120), 카메라 모듈부(130), 사용자 입력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이 통신 가능한 각종 단말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부(111), 근거리 통신부(112), GPS(Global Position System) 수신부(113) 등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부(111)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과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통화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2)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한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부(112)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대상으로 하여 비콘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교신하며,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전체 채널 중에서 서비스 가능한 채널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한다.
여기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랜 존 내에 배치되며,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장치(100)와 유선랜 사이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고, 비콘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GPS 수신부(113)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마이크로폰(120)은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는다. 이러한 마이크로폰(120)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 통신부(111)를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130)는 후면 카메라(131)와 전면 카메라(1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 신호를 입력 받는다. 후면 카메라(131)는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 설치되며, 전면 카메라(132)는 단말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 중에서 전면 카메라(132)는 화상 통화 및 셀프 촬영에 주로 이용된다. 후면 카메라(131) 및 전면 카메라(132)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푸쉬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을 포함한다. 특히,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형성하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한다. 예컨대, 단말 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을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일종으로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를 포함하며,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 등의 각종 신호를 출력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은 대기모드, 통화모드,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52)는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부(160)에는 운영체제 프로그램(161) 등이 저장되며, 제어부(180)는 운영체제 프로그램(161)을 실행하여 단말 장치(100)를 부팅할 수 있다. 또, 메모리부(160)는 무선 통신부(110)의 근거리 통신부(112)에 의해 채널 스캔 결과에 따라 전체 채널 중에서 서비스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내역 정보가 저장되는 채널 정보 저장부(162)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한 가지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 장치(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제어부(180)는 채널 스캔부(181), 무선 접속 제어부(182)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 마이크로폰(120), 카메라 모듈부(13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등을 각각 제어하여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80)를 구성하는 채널 스캔부(181)는 무선 통신부(110)의 근거리 통신부(112)와 무선 접속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을 스캔하며, 스캔된 채널에 대한 채널 내역 정보를 메모리부(160)의 채널 정보 저장부(162)에 저장한다.
무선 접속 제어부(182)는 무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상태가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며,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면 전체 채널 중에서 채널 정보 저장부(162)의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일부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처리하도록 무선 통신부(110)의 근거리 통신부(112)를 제어한다.
또한, 무선 접속 제어부(182)는 채널 정보 저장부(162)의 채널 내역 정보에 포함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한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우선적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하며, 시도된 핸드오프가 실패하면 일부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한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차선적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접속 제어부(182)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한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우선적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하며, 시도된 핸드오프가 실패하면 채널 정보 저장부(162)의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차선적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은,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접속을 위한 전체 채널을 스캔하는 단계(S2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체 채널 중에서 서비스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03)를 더 포함한다.
서비스 가능한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단계(S205)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무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상태가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S20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전체 채널 중에서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단계(S209, S21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면 일부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S213, S217).
또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일부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S213, S215).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 및 무선랜 서비스 과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단말 장치(100)를 구성하는 제어부(180)의 채널 스캔부(181)는 무선 통신부(110)의 근거리 통신부(112)를 제어하여 무선랜 존에 배치된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할 수 있는 전체 채널을 스캔한다(S201).
이어서, 채널 스캔부(181)는 채널 스캔 결과에 따라 서비스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내역 정보를 메모리부(160)의 채널 정보 저장부(162)에 저장한다(S203).
그리고, 제어부(180)의 무선 접속 제어부(182)는 채널 스캔부(181)에 스캔된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근거리 통신부(112)가 선택된 채널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무선 접속 제어부(182)는 스캔된 채널들의 RSSI 세기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액세스 포인트 및 채널을 택일할 수 있다.
그러면, 근거리 통신부(112)는 무선 접속 제어부(182)의 제어에 따라 선택 채널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며, 무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IP 주소를 할당 받는다(S205).
그러면, 액세스 포인트는 비콘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며, 근거리 통신부(112)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이렇게, 근거리 통신부(112)가 무선랜 존에 배치된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면 단말 장치(100)는 무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무선랜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무선 접속 제어부(182)는 무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상태가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한다. 예컨대, 현재 접속된 채널의 RSSI 세기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해당 채널의 RSSI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무선 환경이 불안정한 것으로 판단하여 핸드오프를 진행하여야 할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S207).
이처럼, 무선 접속 제어부(182)에 의해 핸드오프가 결정되면 채널 스캔부(181)는 핸드오프를 위한 채널을 다시 선택하여야 하며, 종래 기술에서는 무선랜 존에 배치된 모든 액세스 포인트를 대상으로 하여 채널을 다시 스캔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채널 스캔부(181)가 메모리부(160)의 채널 정보 저장부(162)에 기 저장된 채널 내역 정보를 확인하며(S209), 무선랜 존에 배치된 모든 액세스 포인트를 대상으로 하여 채널을 다시 스캔하는 것이 아니라, 기 저장된 채널 내역 정보에 포함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채널을 다시 스캔한다(S211). 이 때, 다시 스캔된 채널에 대한 채널 내역 정보를 채널 정보 저장부(162)에 저장하여 이후의 채널 스캔 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의 무선 접속 제어부(182)는 채널 스캔부(181)에 다시 스캔된 채널 중에서 핸드오프 조건, 예컨대 RSSI의 세기가 일정 기준 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S213).
여기서, 무선 접속 제어부(182)는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면 해당 채널을 선택하며, 근거리 통신부(112)가 선택된 채널을 통해 핸드오프하도록, 즉 해당 채널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무선 접속 제어부(182)는 다시 스캔된 채널들의 RSSI 세기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액세스 포인트 및 채널을 택일할 수 있다.
그러면, 근거리 통신부(112)는 무선 접속 제어부(182)의 제어에 따라 다시 선택된 채널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수행하며, 무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S217).
여기서, 주변에 여러 개의 액세스 포인트가 있고, 2.4GHz와 5GHz를 모두 지원하는 듀얼밴드인 경우에 2.4GHz의 경우는 1번 채널부터 13번 채널까지 13개의 채널이 있으며, 5GHz의 경우는 36번 채널부터 161번 채널까지 19개의 채널이 있다. 하나의 채널을 스캔하는 데에 소요되는 채널스캔시간을 τ하고, 단계 S203에서 저장된 채널의 개수를 α라고 할 경우에,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오프 처리에 따른 접속 시간은 τ×32의 시간이 소요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오프 처리에 따른 접속 시간이 τ×α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예컨대, 하나의 채널을 스캔하는 데에 소요되는 채널스캔시간(τ)을 200msec라고, 단계 S203에서 저장된 채널의 개수(α)가 8개라고 하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핸드오프 처리에 따른 접속 시간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4.8sec만큼 감소된다.
Figure 112013107115777-pat00001
한편, 단계 S213에서 스캔된 채널 중에서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전체 채널 중에서 단계 S203에서 저장된 채널 내역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다시 부분 채널 스캔을 하며, 다시 스캔된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로 채널을 변경하는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채널 정보 저장부(162)의 채널 내역 정보에 포함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한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우선적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하며, 시도된 핸드오프가 실패하면 일부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한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차선적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하는 것이다(S215, S217).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한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우선적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하며, 시도된 핸드오프가 실패하면 채널 정보 저장부(162)의 채널 내역 정보에 포함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차선적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할 수도 있다.
예컨대, 1차 채널 스캔에 의해 기 저장된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이용 중인 채널만을 대상으로 하여 2차 채널 스캔을 수행하며, 2차 스캔된 채널 중에서 무선 접속에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로 바꿔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하지만, 동일한 채널에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 저장된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 채널들을 대상으로 하여 3차 채널 스캔을 수행하며, 3차 스캔된 채널 중에서 무선 접속에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로 바꿔서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오프를 수행할 때에 미리 저장된 서비스 가능 채널에 대한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하여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일부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대역의 전체 채널을 스캔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채널의 스캔 시간이 절약되며, 그 만큼 핸드오프 시에 접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측면에서도 핸드오프 또는 핸드오프 조건이 충족될 때마다 기존보다 빠른 접속을 할 수 있기에, 원활한 무선랜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근거리 무선 접속의 채널을 변경할 때에 모든 대역의 전체 채널을 스캔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채널의 스캔 시간이 절약되며, 그 만큼 핸드오프 시에 접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측면에서도 핸드오프 또는 핸드오프 조건이 충족될 때마다 기존보다 빠른 접속을 할 수 있기에, 원활한 무선랜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랜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 등과 같이 통신 가능한 각종 단말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단말 장치 110 : 무선 통신부
112 : 근거리 통신부 120 : 마이크로 폰
130 : 카메라 모듈부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부
161 : 운영체제 프로그램 162 : 채널 정보 저장부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81 : 채널 스캔부 182 : 무선 접속 제어부

Claims (6)

  1.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접속을 위한 채널을 1차 스캔하는 단계;
    상기 1차 스캔 결과에 따라 서비스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가능한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상태가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이용 중인 채널만을 대상으로 하여 2차 스캔하는 단계;
    상기 2차 스캔의 결과에 따라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1차 시도하는 단계;
    상기 1차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3차 스캔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3차 스캔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일부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2차 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시도된 핸드오프가 실패하면 상기 일부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한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차선적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
  3. 삭제
  4. 전체 채널 중에서 서비스 가능한 채널을 통해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접속을 위한 채널을 스캔하는 채널 스캔부;
    상기 전체 채널 중에서 서비스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내역 정보가 저장되는 채널 정보 저장부; 및
    무선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접속 제어부는,
    무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상태가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이용 중인 채널만을 대상으로 하여 2차 스캔하도록 상기 채널 스캔부를 제어하며, 상기 2차 스캔의 결과에 따라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1차 시도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1차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채널 내역 정보에 의거한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3차 채널 스캔을 수행하도록 상기 채널 스캔부를 제어하며, 상기 일부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3차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일부 채널 중의 한 채널을 통해 변경된 상기 무선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 접속하는 핸드오프를 2차 시도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 제어부는,
    상기 2차 시도된 핸드오프가 실패하면 상기 일부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한 채널 스캔의 결과에 따라 차선적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삭제
KR1020130143738A 2013-11-25 2013-11-25 단말 장치 및 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 KR102119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738A KR102119181B1 (ko) 2013-11-25 2013-11-25 단말 장치 및 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738A KR102119181B1 (ko) 2013-11-25 2013-11-25 단말 장치 및 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952A KR20150059952A (ko) 2015-06-03
KR102119181B1 true KR102119181B1 (ko) 2020-06-04

Family

ID=5350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738A KR102119181B1 (ko) 2013-11-25 2013-11-25 단말 장치 및 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1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757B1 (ko) 2007-07-26 2009-04-07 엘지노텔 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의 이웃 AP(NeighborhoodAccess Point)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016436B1 (ko) * 2009-04-15 2011-02-2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전력 소비 최소화를 위한 무선랜 검색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952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094B1 (ko)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60373B1 (ko)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방법 및 장치
US7532903B2 (en) Method for performing TRS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521924A (zh) 一种无线局域网中的切换方法和设备
JP4977858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KR102506609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7846723B (zh) 无线局域网扫描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7820303B (zh) 移动终端无线局域网扫描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
CN107548129B (zh) 无线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36088B (zh) 小区重选方法、基站、用户终端及存储介质
US9591537B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offs between public and private networks
CN110740454B (zh) 一种非独立组网驻留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6096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arget in device-to-device direct communication
CN114007248B (zh) Wi-Fi漫游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10027042A (ko) 단말기 및 단말기 제어 방법
CN114009129A (zh) 一种初始部分带宽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721135B1 (ko) 능동적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및 그의 동작방법,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방법, 엑세스 포인트 서버 및 그의 동작방법
CN113545133A (zh) 初始接入方法、初始接入装置及存储介质
US11218940B2 (en) Cell reselec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119181B1 (ko) 단말 장치 및 그 근거리 무선 접속 핸드오프 방법
CN107360599B (zh) 智能wifi联网方法及移动终端
CN112822732A (zh) 一种小区重选实现方法、系统、用户设备和存储介质
CN106797550B (zh) 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方法以及存储介质
EP4277333A1 (en) Beam scann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30269773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