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775B1 - USB terminal storage structure and USB cable neckla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USB terminal storage structure and USB cable neckla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775B1
KR102118775B1 KR1020170118398A KR20170118398A KR102118775B1 KR 102118775 B1 KR102118775 B1 KR 102118775B1 KR 1020170118398 A KR1020170118398 A KR 1020170118398A KR 20170118398 A KR20170118398 A KR 20170118398A KR 102118775 B1 KR102118775 B1 KR 102118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ccommodating
usb
main body
usb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0861A (en
Inventor
구희재
Original Assignee
구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희재 filed Critical 구희재
Priority to KR102017011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775B1/en
Publication of KR2019003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8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7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B 케이블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USB 단자 수용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단자 수용 구조체는, USB 케이블의 배선의 양 단부에 배치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본체 및 덮개를 포함하는 USB 단자 수용 구조체로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된 배선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1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된 배선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의 입구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의 입구가 위치하는 외측면과 반대편 외측면에 배치되어 액세서리가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덮개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와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의 복수의 결합 홈에 삽입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that can safely and conveniently store and carry a USB cable.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wiring of the USB cable, and is a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including a body and a cover, wherein The body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first terminal and a wi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inserted into at least one first groove of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second terminal and a wi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inserted into at least one second groove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main body. Is an outer connection part which is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pposite to an outer surface on which an entrance of a space accommodating the wiring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entrance of a space accommodating the wiring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re located, to which an accessory can be connected. Further comprising,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to stably engage with the cover, and the cover i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of the main body as being coupl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t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Description

USB 단자 수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USB 케이블 목걸이{USB terminal storage structure and USB cable necklace having the same}USB terminal storage structure and USB cable neckla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USB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USB 단자 수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USB 케이블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B terminal accommodation structure and a USB cable necklace having the same.

USB 케이블은 케이블의 양측에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으며, 휴대폰을 충전기에 연결하여 충전하거나 또는 PC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USB 케이블은 휴대폰과는 별도로 보관하거나 휴대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있다.The USB cable is provided with connectors on both sides of the cable, and is a device that charges a mobile phone by connecting it to a charger or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y connecting to a PC. This USB cable has a hassle because it must be stored or carried separately from the mobile phone.

등록특허공보 제10-0479908호에는,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목걸이형 USB 케이블 스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목걸이형 USB케이블 스트랩은, USB 케이블과 스트랩 부재와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상기 USB 케이블의 양 단부의 접속 단자들은 단자 보관용 케이스에 수용되고, 스트랩 재료의 양 단부는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자 보관용 케이스 또는 뚜껑에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Patent Publication No. 10-0479908 discloses a necklace-type USB cable strap for convenient storage and carrying. The necklace-type USB cable strap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SB cable and the strap member, the connection terminals at both ends of the USB cable are accommodated in a terminal storage case, and both ends of the strap material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portion, the The connection portion has a shape connected to the terminal storage case or the lid.

이러한 목걸이형 USB케이블 스트랩은 케이블을 스트랩 부재와 일체화하여 형성된 구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스트랩 부재가 없는 통상적인 USB 케이블 자체로는 스트랩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목걸이형 USB케이블 스트랩은 스트랩 부재의 양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별도의 연결 부재에 의해 전자 제품에 연결되고, USB 케이블의 양 단부의 접속 단자들을 수용하는 단자 보관용 케이스나 뚜껑은 연결부에만 연결되고 전자 제품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USB 케이블을 스트랩으로 이용하거나 접속 단자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트랩을 전자 제품으로부터 분리하고 스트랩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의 접속 단자들을 단자 보관용 케이스나 뚜껑으로부터 해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necklace-type USB cable strap has a structure formed by integrating the cable with the strap mem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USB cable without such a strap member cannot be used as a strap. In addition, the necklace-type USB cable strap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by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strap member, the terminal storage case or lid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terminals of both ends of the USB cable is a connection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ecause it is only connected to and no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In addition, in order to use a USB cable as a strap or a connec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ap must be separated from the electronic product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cable integrally formed on the strap must be released from the terminal storage case or lid. have.

등록특허공보 제10-0479908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479908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USB 케이블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USB 단자 수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that can safely and conveniently store and carry a USB cabl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USB 케이블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USB 케이블 목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B cable necklace that can safely and conveniently store and carry a USB cable.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USB 단자 수용 구조체는, USB 케이블의 배선의 양 단부에 배치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본체 및 덮개를 포함하는 USB 단자 수용 구조체로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된 배선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1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된 배선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의 입구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의 입구가 위치하는 외측면과 반대편 외측면에 배치되어 액세서리가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덮개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와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의 복수의 결합 홈에 삽입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한다.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wiring of the USB cable, and includes a main body and a cover USB A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wherein the main body accommodates the first terminal and a wi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includes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first groove of the first terminal. 1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second terminal and a wi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inserted into at least one second groove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main body. Is an outer connection part which is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pposite to an outer surface on which an entrance of a space accommodating the wiring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entrance of a space accommodating the wiring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re located, to which an accessory can be connected. Further comprising,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to stably engage with the cover, and the cover i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of the main body as being coupl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t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홈 중 하나에 삽입되거나, 또는 두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홈 모두에 삽입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trusion may be configured as one and inserted into one of the first grooves, or composed of two and inserted into both of the first grooves.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제2 홈 중 하나에 삽입되거나, 또는 두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2 홈 모두에 삽입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configured as one and inserted into one of the second grooves, or composed of two and inserted into both of the second grooves.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disposed on the sidewall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USB 케이블 목걸이는, USB 케이블과 USB 단자 수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USB 케이블 목걸이로서, 상기 USB 케이블은, 배선과, 상기 배선의 양 단부에 배치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USB 단자 수용 구조체는, 상기 USB 케이블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본체 및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된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1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된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의 입구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의 입구가 위치하는 외측면과 반대편 외측면에 배치되어 액세서리가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덮개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와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의 복수의 결합 홈에 삽입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한다.The USB cable neckla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USB cable necklace including a USB cable and a USB terminal accommodation structure, wherein the USB cable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wiring and the wir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USB cable, and includes a main body and a cover, and the main body is the first terminal And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wi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inserted into at least one first groove of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second terminal and the wi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inserted into at least one second groove of the second terminal, wherein The main body is disposed on an outer side opposite to an outer surface on which an entrance of a space accommodating the wiring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entrance of a space accommodating the wiring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re located on an outer side opposite to an external connection portion to which accessories can be connected. Further comprising,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to stably engage the cover, and the cover is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of the body It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rang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USB 단자 수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USB 케이블 목걸이는, USB 단자 수용 구조체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USB 케이블 자체를 목걸이로 활용할 수 있고, USB케이블을 본체에 결합된 외부 연결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카드지갑 등에 편리하게 연결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SB 케이블을 활용한 목걸이형 카드지갑은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의 카드지갑과 케이블을 제작해 사용자 개개인의 개성에 맞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에 자신이 사용하던 케이블이나 지갑을 재활용할 수 있다.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and the USB cable neckla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he conventional USB cable itself as a necklace by using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and the USB cable is connected by an external connection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It can be conveniently connected or disconnected directly to card wallets, etc. As described above, the necklace-type card wallet using a USB cable can be used by making card wallets and cables of various materials and design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of each user. You can recycle your existing cables or wallets.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예시적으로 기재되었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케이블 목걸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SB 케이블 목걸이를 구성하는 USB 케이블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SB 케이블 목걸이를 구성하는 USB 단자 수용 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케이블 목걸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케이블 목걸이를 구성하는 USB 단자 수용 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SB cable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SB cable constituting a USB cable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SB terminal receiving structure constituting a USB cable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SB cable neck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SB terminal receiving structure constituting a USB cable neck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측부" 등의 용어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기재된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present disclosur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 the same elements. Furthermore, various elements and areas in the drawings are schematically drawn. Therefor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ra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erms such as “upper”, “lower”, and “side” in this specification are described as relative concep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USB 케이블 목걸이(1)는,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SB 케이블(100) 및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The USB cable neckla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SB cable 100 and the USB terminal accommodation structure 200 as illustrated in FIG. 1 by way of example.

USB 케이블(100)은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USB 케이블(100)은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목걸이로서 그 자체로 패션 용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USB 케이블(100)이 결합된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에 카드지갑 또는 다양한 액세서리를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패션을 연출할 수도 있다. 나아가,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에 의해 결합된 USB 케이블(100)은 그 길이를 손목이나 발목에 채울 수 있을 정도로 짧게 한 경우에는 팔찌나 발찌로도 활용할 수 있다. USB 케이블(100)은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와 분리되었을 때에는 충전기와 전자장치 또는 서로 다른 전자장치나 서로 다른 충전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USB cable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SB terminal receiving structure 200. When the USB cable 100 is coupled to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200, it can be used as a fashion article itself as a necklace. In addition, various fashions may be produced by connecting a card wallet or various accessories to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200 to which the USB cable 100 is coupled. Furthermore, when the USB cable 100 coupled by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200 is short enough to fill the wrist or ankle, it can also be used as a bracelet or anklet. When the USB cable 100 is separated from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200, it can be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a charger and an electronic device or different electronic devices or different rechargeable batteries to each other.

USB 케이블(100)은, 예시적으로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단자(110), 제2 단자(120) 및 배선(130)을 포함한다.The USB cable 100 illustratively includes a first terminal 110, a second terminal 120, and a wiring 130, as shown in FIG. 2.

제1 단자(110)는 하나의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에 연결되는 단부로서,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2) 및 제1 삽입부(112)와 배선(130)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110)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USB A형 메일(male)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단자(110)는 다양한 USB 단자가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10 is an end connected to one charger or electronic device, and includes a first inserting part 112 inserted into the charger or electronic device, and a first inserting part 112 and a wiring 130. 1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114. The first terminal 110 may be, for example, a conventional USB A-type ma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USB terminals may be applied to the first terminal 110.

제1 삽입부(112)는 내부에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12)는 USB 케이블(100)을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에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홈(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116)은 USB 케이블(100)을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에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 삽입부(112)의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나타나 있는 제1 홈(116)은 제1 삽입부(112)의 제1 상면에 한 쌍의 홈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제1 홈(116)은 제1 삽입부(112)의 제1 상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1 하면에 한 쌍의 홈으로 더 배열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홈(116)은 제1 삽입부(112)의 제1 좌측면과 제1 우측면에 각각 한 개씩 배열될 수도 있다.The first insertion unit 112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unit (not show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harger or electronic device. The first insertion unit 112 may include a first groove 116 for stably connecting the USB cable 100 to a charger or an electronic device. The first groove 116 may be disposed in an appropriate number in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to stably connect the USB cable 100 to the charger or electronic device. Illustratively, the first groove 116 shown in FIG. 2 is arranged as a pair of grooves on the first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but the first groove 116 is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It may be further arranged as a pair of grooves on the first lower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upper surface of the. Furthermore, one first groove 116 may be arranged on the first left side and the first right sid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respectively.

제1 연결부(114)는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에 삽입되지 않도록 도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삽입부(112)보다 더 넓은 폭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연결부(114)는 제1 삽입부(112)와 같거나 그보다 더 좁은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14)는 배선(130)보다는 더 넓은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4 maintains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as illustrated in FIG. 2 so as not to be inserted into the charger or the electronic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4 may have the same width as or less tha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4 has a wider width than the wiring 130.

제2 단자(120)는 다른 하나의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에 연결되는 단부로서,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122) 및 제2 삽입부(122)와 배선(130)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자(120)는 아이폰에 접속가능한 라이트닝 단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USB 단자가 적용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120 is an end connected to another charger or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s the second insertion unit 122 and the second insertion unit 122 and the wiring 130 inserted into the charger or electronic device. A second connection part 124 may be included. The second terminal 120 may be a lightning terminal connectable to an iPh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USB terminals may be applied.

제2 삽입부(122)는 외측면에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부(128)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속부(128)는 제2 삽입부(122)의 외측면 중 제2 상면과 제2 하면에 모두 배치될 수 있고 제2 상면과 제2 하면 중 어느 한 곳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삽입부(122)는 USB 케이블(100)을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에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홈(1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126)은 USB 케이블(100)을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에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2 삽입부(122)의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나타나 있는 제2 홈(126)은 제2 삽입부(122)의 제2 우측면에 배열되어 있으나, 제2 홈(126)은 제2 삽입부(122)의 제2 우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2 좌측면에 더 배열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홈(126)은 제2 삽입부(122)의 제2 상면과 제2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열될 수도 있다.The second insertion part 122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on part 128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harger or an electronic device on the outer surfac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8 may be disposed on both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low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or may be disposed on any one of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lower surface. The second insertion part 122 may include a second groove 126 for stably connecting the USB cable 100 to a charger or an electronic device. The second groove 126 may be disposed in an appropriate number in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to stably connect the USB cable 100 to the charger or electronic device. Illustratively, the second groove 126 shown in FIG. 2 is arranged on the second right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but the second groove 126 of the second right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It may be further arranged on the second left side on the other side. Furthermore, the second groove 126 may be arranged on at least one of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lower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제2 연결부(124)는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에 삽입되지 않도록 도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삽입부(122)보다 더 넓은 폭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연결부(124)는 제2 삽입부(122)와 같거나 그보다 더 좁은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24)는 배선(130)보다는 더 넓은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4 maintains a wider width than the second insertion part 122 as exemplarily shown in FIG. 2 so as not to be inserted into the charger or the electronic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4 may have the same width as or less tha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4 has a wider width than the wiring 130.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는 USB 케이블(100)을 결합시켜 목걸이나 팔찌 또는 발찌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는, 예시적으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210) 및 덮개(240)를 포함한다.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200 is to form a necklace, bracelet, or anklet by combining the USB cable 100.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200 illustratively includes a main body 210 and a cover 240, as shown in FIG. 3.

본체(210)는 USB 케이블(100)의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제1 수용부(220) 및 제2 수용부(230)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210 accommodates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of the USB cable 100, and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220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230.

제1 수용부(220)는 USB 케이블(100)의 제1 단자(11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제1 단자(11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20 accommodates the first terminal 110 of the USB cable 100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110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제1 수용부(220)는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삽입부공간(221)과, 제1 단자(110)의 제1 연결부(114)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연결부공간(2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20 includes a first inserting part space 221 in which the first inserting part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can be accommodated, and a first connecting part 114 of the first terminal 110. I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space 222 that can be accommodated.

제1 삽입부공간(221)은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삽입부공간(221)은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의 제1 홈(11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돌출부(222)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222)는 제1 삽입부공간(221)에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가 결합되었을 때에 제1 삽입부(112)의 제1 홈(116)에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돌출부(222)는, 예시적으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나 있는 제1 삽입부(112)의 한 쌍의 제1 홈(116)에 대응되도록 제1 삽입부공간(221)의 바닥에 한 쌍의 돌기들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돌출부(222)는 하나의 돌기로 이루어져 제1 삽입부(112)의 한 쌍의 제1 홈(116) 중 하나에만 삽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돌출부(222)에 의해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가 안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USB 케이블(100)의 제1 단자(110)가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에 카드지갑 또는 다양한 액세서리가 결합되더라도 USB 케이블(100)이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e first insertion portion space 221 is preferably formed of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space 221 is a first groov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in order to stably couple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 116)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projection (222). The first protrusion 222 corresponds to the first groove 116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whe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is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space 221. It is preferably made to have a position, size and shape. 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222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the first insertion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first groove 116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shown in FIG. A pair of protrusions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space 22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rotrusion 222 may be inserted into only one of the pair of first grooves 116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made of one protrusio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is stably coupled by the first protrusion 222 so that the first terminal 110 of the USB cable 100 is stable to the USB terminal receiving structure 200. Can be combined with. Therefore, even if a card wallet or various accessories are coupled to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200, the USB cable 100 can be stably coupl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200.

제1 연결부공간(222)은 제1 단자(110)의 제1 연결부(114)의 외형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space 222 is preferably made of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4 of the first terminal 110.

한편, 제1 수용부(220)는 제1 단자(110)의 제1 연결부(114)에 연결된 배선(130)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1 배선공간(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공간(223)은 제1 연결부(114)에 연결된 배선(130) 부분의 외형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배선공간(223)이 이루어지면, 제1 배선공간(223)의 폭은 제1 연결부공간(222)의 폭보다 작게 된다. 이 경우 제1 연결부공간(222)에 수용된 제1 단자(110)의 제1 연결부(114)는 제1 배선공간(223)의 좁은 폭을 형성하는 부분에 걸리게 되어서 안정적으로 제1 연결부(114)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iring space 223 in which a portion of the wiring 13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114 of the first terminal 110 can be accommodated. The first wiring space 223 is preferably made of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ion of the wiring 13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4. When the first wiring space 223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first wiring space 223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connection space 222.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4 of the first terminal 110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space 222 is caught in a portion forming a narrow width of the first wiring space 223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4 is stably Can be combined.

제2 수용부(230)는 USB 케이블(100)의 제2 단자(12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제2 단자(12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30 accommodates the second terminal 120 of the USB cable 100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120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제2 수용부(230)는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삽입부공간(231)과, 제2 단자(120)의 제2 연결부(124)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연결부공간(2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30 includes a second inserting part space 231 in which the second inserting part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can be accommodated,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124 of the second terminal 120. I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space 232 that can be accommodated.

제2 삽입부공간(231)은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삽입부공간(231)은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의 제2 홈(12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돌출부(232)를 포함한다. 제2 돌출부(232)는 제2 삽입부공간(231)에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가 결합되었을 때에 제2 삽입부(122)의 제2 홈(126)에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2 돌출부(232)는, 예시적으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나 있는 제2 삽입부(122)의 한 쌍의 제2 홈(126)에 대응되도록 제2 삽입부공간(23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한 개씩 한 쌍의 돌기들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돌출부(232)는 하나의 돌기로 이루어져 제2 삽입부(122)의 한 쌍의 제2 홈(126) 중 하나에만 삽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돌출부(232)에 의해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가 안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USB 케이블(100)의 제2 단자(120)가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에 카드지갑 또는 다양한 액세서리가 결합되더라도 USB 케이블(100)이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insertion portion space 231 is preferably made of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space 231 is a second groove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in order to stably couple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 126)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projection (232). The second protrusion 232 corresponds to the second groove 126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whe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is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space 231. It is preferably made to have a position, size and shape. 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232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second groove 126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shown in FIG. One pair of protrusions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ace 23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protrusion 232 may be inserted into only one of the pair of second grooves 126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which consists of one protrusio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is stably coupled by the second protrusion 232 so that the second terminal 120 of the USB cable 100 is stable to the USB terminal receiving structure 200 Can be combined with. Therefore, even if a card wallet or various accessories are coupled to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200, the USB cable 100 can be stably coupl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200.

제2 연결부공간(232)은 제2 단자(120)의 제2 연결부(124)의 외형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space 232 is preferably made of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4 of the second terminal 120.

한편, 제2 수용부(230)는 제2 단자(120)의 제2 연결부(124)에 연결된 배선(130)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2 배선공간(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선공간(233)은 제2 연결부(124)에 연결된 배선(130) 부분의 외형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 배선공간(233)이 이루어지면, 제2 배선공간(233)의 폭은 제2 연결부공간(232)의 폭보다 작게 된다. 이 경우 제2 연결부공간(232)에 수용된 제2 단자(120)의 제2 연결부(124)는 제2 배선공간(233)의 좁은 폭을 형성하는 부분에 걸리게 되어서 안정적으로 제2 연결부(124)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iring space 233 in which a portion of the wiring 130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4 of the second terminal 120 can be accommodated. The second wiring space 233 is preferably made of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part of the wiring 130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4. When the second wiring space 233 is formed in this way, the width of the second wiring space 233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connection space 232. In this cas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4 of the second terminal 120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space 232 is caught in a portion forming a narrow width of the second wiring space 233,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4 is stably Can be combined.

또한, 본체(210)는 덮개(240)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 홈(2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212)은 덮개(240)에 형성된 결합 돌기(242)와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결합 홈(212)들은 덮개(240)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나, 예시적으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수용부(220)와 제2 수용부(230)가 형성되지 않은 소정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본체(210)는 덮개(240)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체(210)에 결합 홈(212)들 대신에 결합 돌기들을 형성하고 덮개(240)에는 이와 대응되는 결합 홈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 홈(212)에 의하여 본체(210)는 덮개(240)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본체(210)로부터 덮개(240)를 쉽게 분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12 to stably couple with the cover 240. The engaging groove 212 is preferably made of a position,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jection 242 formed on the cover 240.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12 may be arranged in various positions to stably couple with the cover 240, but as illustrated in FIG. 3, for example, the first accommodation along the edge of the body 210 The part 22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30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where they are not formed. The main body 210 may have various other structures to stably couple with the cover 240. For example, coupl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main body 210 instead of coupling grooves 212, and coupling grooves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formed on the cover 240. The main body 210 can be stably engaged with the cover 240 by the coupling groove 212, and the cover 24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10.

그밖에 본체(210)는 카드지갑 등이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연결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연결부(250)는,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210)에서 제1 배선공간(223)과 제2 배선공간(233)의 입구와 반대편 외측면에 배치되어 카드지갑 등이 연결될 수 있는 고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외부 연결부(250)는 본체(210)에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240)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10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connection portion 250 to which a card wallet or the like can be connected. For example,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250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main wiring 210 in the first wiring space 223 and the second wiring space 233 inlet and the outer side opposite to the It may be arranged and formed in a ring-like shape to which card wallets and the like can be connected. However,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250 is not formed only on the main body 210, but may also be formed on the cover 240.

덮개(240)는 본체(210)와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덮개(240)는 USB 케이블(100)의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수용한 본체(210)와 결합하게 되면, USB 케이블(100)과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로 이루어진 USB 케이블 목걸이(1)를 형성할 수 있다. 덮개(240)가 USB 케이블(100)의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210)와 결합하게 되면, USB 단자 수용 구조체(200)만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덮개(240)가 USB 케이블(100)의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수용한 본체(210)와 결합되었다가 분리되면, USB 케이블(100)을 본체(210)로부터 분리하여 충전기 또는 전자장치와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cover 240 is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210. When the cover 24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accommodating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of the USB cable 100, the USB cable 100 and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200 The formed USB cable necklace 1 can be formed. When the cover 24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in a state that does not accommodate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of the USB cable 100, a structure consisting of only the USB terminal receiving structure 200 is formed. Can form. When the cover 24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accommodating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of the USB cable 100 and then separated, the USB cable 10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10 Therefore, it can be used to connect to a charger or an electronic device.

덮개(240)는 본체(210)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덮개(240)는, 예시적으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210)의 복수의 결합 홈(212)들에 삽입되도록 위치한 복수의 결합 돌기(24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돌기(242)들이 본체(210)의 결합 홈(212)들에 끼워져서 결합함에 따라 덮개(240)는 본체(210)에 결합하게 되고, 이와 같이 결합된 결합 돌기(242)들을 결합 홈(212)들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덮개(240)를 본체(2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덮개(240)가 본체(210)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본체(210)에 복수의 결합 돌기들이 배치되고, 덮개(240)에 본체(210)의 복수의 결합 돌기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결합 홈들이 배치됨으로써, 덮개(240)의 복수의 결합 돌기들을 본체(210)의 복수의 결합 돌기들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덮개(240)는 본체(210)에 회동할 있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덮개(240)는 힌지 부재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체(210)의 가장자리에 회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덮개(240)와 본체(210)에는 각각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덮개(240)가 본체(210)에 부착되어 있어서 덮개(240)가 본체(210)와 분리되어 분실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고 덮개(240)와 본체(21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서로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어서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The cover 24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so as to be separated. For example, the cover 2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242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212 of the main body 2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cover 24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as these coupling protrusions 242 ar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212 of the main body 210, and thus the coupling protrusions 242 combined are coupled grooves As it is separated from the 212, the cover 24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10. However, the method in which the cover 240 is coupl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2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re may be various other methods. For example,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disposed on the main body 210, and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of the main body 210 are disposed on the cover 240, so that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of the cover 240 are disposed. It may be combined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of the body 210. In addition, the cover 240 may be coupled to rotate on the main body 210. For example, the cover 240 is attached to be able to rotate to the edge of the main body 210 by a configuration such as a hinge member, and the cover 240 and the main body 210 are respectively coupl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groov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over 24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210 so that the cover 24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10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being lost, and is formed on the cover 240 and the main body 210, respectively. The engagement protrusion and the engagement groove are facilit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engagement protrusion and the engagement groove correspon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USB 케이블 목걸이(2)는, 예시적으로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SB 케이블(100) 및 USB 단자 수용 구조체(400)를 포함한다.The USB cable neckla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SB cable 100 and the USB terminal receiving structure 400, as illustrated in FIG. 4 by way of example.

여기서, USB 케이블(10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USB 케이블(100)과 동일하며, USB 단자 수용 구조체(400)는 본체(410)로 이루어져 있다.Here, the USB cable 100 is the same as the USB cable 1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400 is composed of a body 410.

본체(410)는, 예시적으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SB 케이블(100)의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제1 수용부(420) 및 제2 수용부(430)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410, as illustrated in FIG. 5 for example, accommodates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of the USB cable 100, a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420 and the second It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430.

제1 수용부(420)는 USB 케이블(100)의 제1 단자(11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제1 단자(11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수용부(420)는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삽입부공간(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부공간(421)은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삽입부공간(421)은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의 제1 홈(11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돌출부(422)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422)는 제1 삽입부공간(421)에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가 결합되었을 때에 제1 삽입부(112)의 제1 홈(116)에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돌출부(422)는, 예시적으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나 있는 제1 삽입부(112)의 한 쌍의 제1 홈(116)에 대응되도록 제1 삽입부공간(421)의 바닥에 한 쌍의 돌기들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삽입부(112)를 제1 삽입부공간(421)으로 삽입하여 힘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제1 삽입부(112)는 제1 삽입부공간(421)으로 미끄러지면서 제1 삽입부(112)의 제1 홈(116)에 제1 삽입부공간(421)의 제1 돌출부(422)가 수용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돌출부(422)는 제1 삽입부(112)를 제1 삽입부공간(421)으로 밀어 넣을 때에 만나는 부분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420 accommodates the first terminal 110 of the USB cable 100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110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420 may include a first inserting part space 421 in which the first inserting part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can be accommodated. The first insertion portion space 421 is preferably made of a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space 421 is a first groov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in order to stably couple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 116)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projection (422). The first protrusion 422 corresponds to the first groove 116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whe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is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space 421. It is preferably made to have a position, size and shape. 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422 i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first insertion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first grooves 116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shown in FIG. 2 A pair of protrusions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space 421. When the user inserts the first inserting part 112 into the first inserting part space 421 and applies a force, the first inserting part 112 slides into the first inserting part space 421 and the first inserting part The first protrusion 422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space 421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groove 116 of 112. In order to facilitate this operation, the first protrusion 422 preferably has a rounded corner of the part where it meets whe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is push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space 421.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돌출부(422)는 하나의 돌기로 이루어져 제1 삽입부(112)의 한 쌍의 제1 홈(116) 중 하나에만 삽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돌출부(422)에 의해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가 안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USB 케이블(100)의 제1 단자(110)가 USB 단자 수용 구조체(4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USB 단자 수용 구조체(400)에 카드지갑 또는 다양한 액세서리가 결합되더라도 USB 케이블(100)이 USB 단자 수용 구조체(4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422 may be inserted into only one of the pair of first grooves 116 of the first inserting portion 112 made of one protrusio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12 of the first terminal 110 is stably coupled by the first protrusion 422 so that the first terminal 110 of the USB cable 100 is stable to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400. Can be combined with. Therefore, even if a card wallet or various accessories are coupled to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400, the USB cable 100 can be stably coupl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400.

제2 수용부(430)는 USB 케이블(100)의 제2 단자(12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제2 단자(12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제2 수용부(430)는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삽입부공간(4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부공간(431)은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삽입부공간(431)은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의 제2 홈(12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돌출부(432)를 포함한다. 제2 돌출부(432)는 제2 삽입부공간(431)에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가 결합되었을 때에 제2 삽입부(122)의 제2 홈(126)에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2 돌출부(432)는, 예시적으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나 있는 제2 삽입부(122)의 한 쌍의 제2 홈(126)에 대응되도록 제2 삽입부공간(43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한 개씩 한 쌍의 돌기들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삽입부(122)를 제2 삽입부공간(431)으로 삽입하여 힘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제2 삽입부(122)는 제2 삽입부공간(431)으로 미끄러지면서 제2 삽입부(122)의 제2 홈(126)에 제2 삽입부공간(431)의 제2 돌출부(432)가 수용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2 돌출부(432)는 제2 삽입부(122)를 제2 삽입부공간(431)으로 밀어 넣을 때에 만나는 부분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430 accommodates the second terminal 120 of the USB cable 100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120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430 may include a second inserting part space 431 in which the second inserting part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can be accommodate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space 431 is preferably made of a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space 431 is a second groove of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in order to stably couple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 126)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projection (432). The second protrusion 432 corresponds to the second groove 126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whe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is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space 431. It is preferably made to have a position, size and shape. 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432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5,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second groove 126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shown in FIG. The space 431 may be disposed as a pair of protrusions, one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ace. When the user inserts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space 431 and pushes it with force,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slides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space 431 while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The second protrusion 432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space 431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groove 126 of 122. In order to facilitate this effect, the second protrusion 432 preferably has a rounded corner of the part where it meets when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22 is pushed into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space 431.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돌출부(432)는 하나의 돌기로 이루어져 제2 삽입부(122)의 한 쌍의 제2 홈(126) 중 하나에만 삽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돌출부(432)에 의해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가 안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USB 케이블(100)의 제2 단자(120)가 USB 단자 수용 구조체(4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USB 단자 수용 구조체(400)에 카드지갑 또는 다양한 액세서리가 결합되더라도 USB 케이블(100)이 USB 단자 수용 구조체(4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protrusion 432 may be inserted into only one of the pair of second grooves 126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which consists of one protrusio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of the second terminal 120 is stably coupled by the second protrusion 432 so that the second terminal 120 of the USB cable 100 is stable to the USB terminal receiving structure 400 Can be combined with. Therefore, even if a card wallet or various accessories are coupled to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400, the USB cable 100 can be stably coupl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400.

본 실시예의 USB 단자 수용 구조체(400)는 덮개가 없이 본체(400)로 이루어져 있고 USB 케이블(100)의 제1 단자(110)의 제1 삽입부(112)와 제2 단자(120)의 제2 삽입부(122)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부공간(421)과 제2 삽입부공간(431)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USB 케이블(100)의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본체(400)에 결합하는 것과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덮개를 구비하여 본체와 결합하는 구조로도 할 수 있다.The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400 of this embodiment is made of a body 400 without a cover and is made of a first insertion portion 112 and a second terminal 120 of the first terminal 110 of the USB cable 100. 2 Since the insertion section 122 is composed of a first insertion section space 421 and a second insertion section space 431 into which the insertion section 122 can be inserted,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of the USB cable 100 ) Has a working effect that becomes very easy to separate from the coupling to the body 4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3, a cover may be provided to engage the main bod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USB 케이블에 관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ield of USB cables.

1: USB 케이블 목걸이, 100: USB 케이블, 110: 제1 단자, 112: 제1 삽입부, 114: 제1 연결부, 116: 제1 홈, 120: 제2 단자, 122: 제2 삽입부, 124: 제2 연결부, 126: 제2 홈, 128: 제2 접속부, 130: 배선, 200, 400: USB 단자 수용 구조체, 210, 410: 본체, 212: 결합 홈, 220, 420: 제1 수용부, 222, 422: 제1 돌출부, 230, 430: 제2 수용부, 232, 432: 제2 돌출부, 240: 덮개, 242: 결합 돌기, 250: 외부 연결부1: USB cable necklace, 100: USB cable, 110: first terminal, 112: first insertion portion, 114: first connection portion, 116: first groove, 120: second terminal, 122: second insertion portion, 124 : 2nd connection part, 126: 2nd groove, 128: 2nd connection part, 130: wiring, 200, 400: USB terminal accommodation structure, 210, 410: main body, 212: coupling groove, 220, 420: 1st accommodation part, 222, 422: first projection, 230, 430: second receiving portion, 232, 432: second projection, 240: cover, 242: engaging projection, 250: external connection

Claims (6)

USB 케이블의 배선의 양 단부에 배치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본체 및 덮개를 포함하는 USB 단자 수용 구조체로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된 배선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1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된 배선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수용부의 배선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의 입구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배선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의 입구가 위치하는 외측면과 반대편 외측면에 배치되어 액세서리가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덮개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와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의 복수의 결합 홈에 삽입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USB 단자 수용 구조체.
A USB terminal accommodating structur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wiring of the USB cable, and comprising a body and a cover,
The main body,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first terminal and a wir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which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first groove of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second terminal and a wi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inserted into at least one second groove of the second terminal,
The main body is disposed on an outer side opposite to an outer surface on which an entrance of a space accommodating a wiring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entrance of a space accommodating a wiring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re located on an outer side opposite to an external connection portion to which accessories can be connected. More included,
The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to stably couple with the cover,
The cover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of the main body as being coupl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USB terminal receiving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측벽에 배치되는, USB 단자 수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rotrusion is disposed o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USB terminal receiving structure.
USB 케이블과 USB 단자 수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USB 케이블 목걸이로서,
상기 USB 케이블은, 배선과, 상기 배선의 양 단부에 배치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USB 단자 수용 구조체는, 상기 USB 케이블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본체 및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된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1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된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2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의 입구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상기 배선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의 입구가 위치하는 외측면과 반대편 외측면에 배치되어 액세서리가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덮개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와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의 복수의 결합 홈에 삽입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USB 케이블 목걸이.
A USB cable necklace comprising a USB cable and a USB terminal housing structure,
The USB cable includes a wiring and first and second terminal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wiring,
The USB terminal receiving structure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USB cable, and includes a body and a cover,
The main body,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wir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which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first groove of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second terminal and the wi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inserted into at least one second groove of the second terminal,
The main body is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pposite to an outer surface on which an entrance of a space accommodating the wiring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entrance of a space accommodating the wiring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re located on an outer side opposite the accessory, so that an accessory can be connecte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The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to stably couple with the cover,
The cover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of the main body as being coupl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USB cable necklace.
KR1020170118398A 2017-09-15 2017-09-15 USB terminal storage structure and USB cable necklace having the same KR1021187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98A KR102118775B1 (en) 2017-09-15 2017-09-15 USB terminal storage structure and USB cable neckla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98A KR102118775B1 (en) 2017-09-15 2017-09-15 USB terminal storage structure and USB cable neckla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61A KR20190030861A (en) 2019-03-25
KR102118775B1 true KR102118775B1 (en) 2020-06-03

Family

ID=6590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398A KR102118775B1 (en) 2017-09-15 2017-09-15 USB terminal storage structure and USB cable neckla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7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914B1 (en) * 2020-10-28 2021-05-18 주식회사 큐엘앤컴퍼니 A employee identity card with universal serial bus memory attache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908B1 (en) * 2003-07-22 2005-03-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USB Cable Strap For Use In Digital Camera and Digital Camera Therewith
KR20120073075A (en) * 2010-12-24 2012-07-04 권오일 Cap structure of usb memory
KR20160067723A (en) * 2015-10-01 2016-06-14 (주)아이테오솔루션즈 Locking device of USB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61A (en)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6498B (en) Mobile power capable of carrying charging adapter and supporting recognition of two-dimensional barcode
US9189023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380457A1 (en) Charger for mobile device
US20170126048A1 (en) Portable multi-function wireless charging accessory
US20140035511A1 (en)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CN101568233B (en) Electronic equipment
US11750020B2 (en) Portable charger
US20160172883A1 (en) Electronics Case with Incorporated Connector
US727887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US20140094054A1 (en) Credit card shaped charging and data cable
KR102118775B1 (en) USB terminal storage structure and USB cable necklace having the same
KR200469127Y1 (en) case for mobile phone
US20180042350A1 (en) Casing for a handheld device
KR200467206Y1 (en) Carrying case for mobile device with attachable connection cable
USH2226H1 (en) Mouse cable management
GB2521818A (en) Connector for an electrical device
EP2407971A1 (en) Portable multimedia player
KR200436136Y1 (en) Usb device
KR20180017565A (en) Multi-function auxiliary battery
US20180081850A1 (en) Transmission device having data storage function and capable of being in a folded state by magnetic force
KR200491158Y1 (en) Cable for Data and Charging Combined Strap of Portable Terminal
CN208539196U (en) A kind of inserted USB interface box and the luggage with USB interface
US20160359348A1 (en) Novelty Charger Device
KR101331165B1 (en) Portable device with gender
US20200153258A1 (en) Power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