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737B1 - Pen lead holding appartus - Google Patents

Pen lead holding appar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737B1
KR102118737B1 KR1020180063489A KR20180063489A KR102118737B1 KR 102118737 B1 KR102118737 B1 KR 102118737B1 KR 1020180063489 A KR1020180063489 A KR 1020180063489A KR 20180063489 A KR20180063489 A KR 20180063489A KR 102118737 B1 KR102118737 B1 KR 10211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hold
pen core
holder
n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7382A (en
Inventor
안은영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737B1/en
Publication of KR20190137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3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펜심 홀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전자펜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펜심을 홀드하는 홀더부 및 상기 펜심 교체시 상기 홀더부에 홀드된 펜심을 릴리스하도록 상기 홀더부를 동작시키는 릴리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홀더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펜심이 관통해서 내측 후단부까지 삽입되는 홀드 바디와 상기 홀드 바디 내부에 설치되고 탄성을 이용해서 상기 펜심의 양측면을 홀드해서 상기 펜심을 고정하고, 상기 펜심의 교체 시 상기 릴리스부에 의해 상기 펜심을 릴리스하는 한 쌍의 홀드 포인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펜심을 적절한 압력으로 홀드해서 필기감을 향상시키고, 필압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으며, 홀더부에 홀드된 펜심을 릴리스시켜 펜심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Regarding a pen nim holding device and an electronic pen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a holder unit installed inside a housing forming an outer shape and holding a nim, and a release unit for operating the holder unit to release a pen nim held in the holder unit when the nim is replaced And, the holder portion is installed in a holder install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pen core penetrates therein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rear end,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old body and is held inside the pen body to hold both sides of the pen core using elasticity. Fixing the pen nib and provid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air of hold points for releasing the nib by the release unit when the nib is replaced, holding the pen nim at an appropriate pressure to improve handwriting and quickly sense pen pressur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pen nib by releasing the nib held in the holder portion.

Description

펜심 홀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전자펜{PEN LEAD HOLDING APPARTUS}Pen lead hold device and electronic pen applied thereto{PEN LEAD HOLDING APPARTUS}

본 발명은 펜심 홀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전자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펜심이 홀더의 전방벽을 관통해서 후방벽까지 삽입되어 고정되고 릴리스 버튼을 이용해서 펜심을 홀더로부터 릴리스시켜 교체할 수 있는 펜심 홀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전자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 nim holding device and an electronic pen to which the pen nim is applied, and more particularly, the nim penetrating through the front wall of the holder to the rear wall is fixed, and the pen nim can be released from the holder and replaced using a release button. It relates to a pen nim hold device and an electronic pen to which it is applied.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가 대중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전자펜 형태의 입력장치가 개발되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s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re popularly used, various types of electronic pen type input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various fields.

상기 전자펜 중에서 실제의 볼펜 심을 적용하는 전자펜의 경우,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나 숫자 또는 그림을 도트 코드가 인쇄된 종이와 같은 표면 위에 쓰도록 하여, 일판 펜으로 쓰던 방식과 유사함에 따라, 사용시 커다란 어려움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mong the electronic pens,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pen to which an actual ballpoint pen core is applied, a letter, a number, or a picture to be input is written on a surface such as a paper on which a dot code is printed, and according to the method similar to the method used with a pen, it is larg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nter desired data quickly and accurately without difficulty.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펜의 펜심 체결구조를 보인 개략도이다. 1 and 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en core fastening structure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펜 내부에 바(bar) 형태의 펜심(1)이 구비되고, 펜심(1)의 선단부는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며, 펜심(1)의 타단부는 펜심(1)이 하우징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펜홀더(2)에 끼워지는 체결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provided with a bar-shaped pen tip 1 inside the electronic pen, and the tip of the pen tip 1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and the pen tip 1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pen core 1 has a fastening structure that is fitted to the pen holder 2 so as not to escape outside the housing.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펜의 펜홀더(2) 후방에는 펜심(1)이 눌리는 힘을 펜홀더(2)를 통해 전달받아 필압(handwriting pressure)을 감지하는 압력센서(3)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pressure sensor 3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en holder 2 of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to detect the handwriting pressure by receiving the force pressed by the pen core 1 through the pen holder 2.

여기서, 펜홀더(2)가 펜심(1)을 통해 전달되는 필압을 압력센서(3)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제펜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도면 미도시)의 내면과 펜홀더(2)의 외면 사이에 소정 공간을 마련해서 상기 하우징과 펜홀더(2)가 분리되어야 한다. Her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not show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en holder 2, so that the pen holder 2 can transmit the pen pressure transmitted through the pen core 1 to the pressure sensor 3, In order to provide a predetermined space, the housing and the pen holder 2 should be separated.

그러나 상기 공간이 펜홀더(2)가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할 정도로 타이트하게 형성되는 경우, 압력센서(3)가 필압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space is formed so tight that the pen holder 2 cannot move fre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ssure sensor 3 cannot sense the pen pressure.

반면, 상기 공간이 너무 커서 헐거우면 펜심(1)이 펜홀더(2)와 함께 상하로 움직여서 필기감이 저하되고, 필기 도중에 펜홀더(2)가 압력센서(3)에 붙었다 떨어졌다를 반복하여 접촉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pace is too large and loose, the pen nib 1 moves up and down with the pen holder 2 to deteriorate the writing feeling, and the pen holder 2 sticks to the pressure sensor 3 during writing, and repeatedly makes noise during contact. There was a problem that occur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펜심(1)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을 적용해서 스프링(4)으로 펜심(1)을 고정하면서 펜심(1)의 선단부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조를 적용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5)을 이용해서 압력센서(3)에 밀착 고정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related art, a structure in which the tip portion of the pen core 1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while the pen core 1 is fixed with the spring 4 by applying the spring 4 elastically supporting the pen core 1 Apply, and is fixed to the pressure sensor 3 using a magnet 5 as shown in FIG.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홀더(2)는 펜심(1)을 고정하고, 필기 시에 펜심(1)을 통해 전달되는 힘을 압력센서(3)에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펜심(1)의 끝단과 결합하는 구조만을 가지며, 특히 도 2에서는 자력으로 펜홀더(2)를 압력센서(3) 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펜홀더(2)의 후단부에 자성체(6)를 설치하고, 압력센서(3)의 후측에 자석(5)을 설치하였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pen holder 2 fixes the pen core 1 and directly transmits the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pen core 1 to the pressure sensor 3 when writing. Only having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tip of the pen core (1), in particular in FIG. 2, in order to close the pen holder (2) with a magnetic force to the pressure sensor (3) side, the magnetic body (6)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en holder (2), A magnet 5 was installed on the back side of the pressure sensor 3.

대한민국 특허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44379호(2001년 10월 29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4379 (announced on October 29, 200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360477호(2003년 3월 6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360477 (announced on March 6, 2003)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96376호(2014년 5월 19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96376 (announced on May 19, 2014)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펜심 체결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스프링(4)을 이용해서 펜심(1)을 후방으로 밀어줌에 따라 압력센서(3)에 펜홀더(2)가 밀착되나, 펜심(1)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the pen core fastening structure shown in FIG. 1, the pen holder 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 sensor 3 by pushing the pen core 1 backward using a spring 4, but the pen core 1 It is not suitable to make a structure that can replace.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펜심(1) 체결 구조는 모두 펜심(1) 교체시 펜홀더(2)로부터 펜심(1)을 배출시키기 위해, 펜심(1)의 선단부, 즉 펜촉 부분을 손이나 집게와 같은 도구로 잡은 상태에서 뽑아내야 한다. In addition, all of the fastening structures of the pen nibs 1 shown in FIGS. 1 and 2 are used to discharge the pen nibs 1 from the pen holder 2 when the pen nibs 1 are replaced. It must be pulled out while being held with a tool such as tongs.

따라서 자석(5)을 이용하여 펜홀더(2)를 압력센서(3)에 밀착시키는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자석(5)과 자성체(6)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으로 인해 과도한 기본압력이 펜홀더(2)와 압력센서(3) 사이에 발생하지 않도록 자력을 적절하게 조절함에 따라, 제조 과정에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when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en holder 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 sensor 3 using the magnet 5, the excessive basic pressure is caused by the magnetic force acting between the magnet 5 and the magnetic body 6, and the pen holder 2 ) And the pressure sensor 3 are properly adjusted so that they do not occu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ability is deteriora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그리고 전자펜에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영구자석 조립시 작업자의 오조립 등으로 인해 영구자석의 극성이 반대로 조립되는 경우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a permanent magnet in the electronic pen, various problems may occur, such as a case where the polarity of the permanent magnet is reversed due to mis-assembly of the operator when assembling the permanent magnet.

또한, 전자펜에 전자석을 적용하는 경우, 전자펜의 조립, 생산 단계에서 작업시간 및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magnet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pen,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decreases as the working time and cost are unnecessarily increased in the assembly and production stages of the electronic pe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펜심에 가해지는 필압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펜심 홀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전자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pen pressure applied to the pen nib, and to provide a pen nim hold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writing feeling and an electronic pen applied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펜심을 홀더에 관통 설치해서 고정하고, 릴리스 버튼을 이용해서 펜심을 홀더로부터 릴리스시켜 교체할 수 있는 펜심 홀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전자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n nim holding device and an electronic pen to which the pen nim is installed and fixed through the holder, and the nim can be replaced by releasing the nim from the holder using a release butt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펜심 홀드 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펜심을 홀드하는 홀더부 및 상기 펜심 교체시 상기 홀더부에 홀드된 펜심을 릴리스하도록 상기 홀더부를 동작시키는 릴리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홀더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펜심이 관통해서 내측 후단부까지 삽입되는 홀드 바디와 상기 홀드 바디 내부에 설치되고 탄성을 이용해서 상기 펜심의 양측면을 홀드해서 상기 펜심을 고정하고, 상기 펜심의 교체 시 상기 릴리스부에 의해 상기 펜심을 릴리스하는 한 쌍의 홀드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en nim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forming an outer shape and holds the pen nim, and the holder so as to release the pen nim held in the holder when the nim is replaced It includes a release portion for operating the portion, the holder portion is installed in a holder install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pen core penetrates therein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rear end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hold body is installed and uses the pen using elasticit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hold points for holding the both sides of the shim to fix the nib, and releasing the nib by the release unit when replacing the nib.

상기 펜심의 후방에는 필기시 펜심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홀드 바디의 전단부와 홀더 설치공간의 전면벽 사이에는 상기 홀더부 및 홀더부에 홀드된 펜심을 상기 압력센서를 향해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시업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en nim during writing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pen nim, and the pen nim held in the holder and the hold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hold body and the front wall of the holder installation spac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up spring is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press toward.

상기 홀드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홀드 포인트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홀드 바디의 전단부는 상기 푸시업 스프링의 후단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푸시업 스프링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ide of the hold body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pair of hold points are installed, and the front end of the hold body is a protrusion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ush-up spring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push-up spring.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상기 한 쌍의 홀드 포인트는 각각 반원 또는 호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각 홀드 포인트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중앙부는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pair of hold points is provided with a half-circle or arc-shaped leaf spring, and the central portions protruding convexly from each hold point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릴리스부는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홀드 포인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펜심을 릴리스하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홀더부의 홀드 바디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펜심 교체시 한 쌍의 홀드 포인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펜심을 릴리스시키는 삽입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가압 조작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lease portion includes a button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hold points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to release the pen tip, and the button is provided on a flange portion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of the holder portion, and a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ding and inserted between a pair of hold points when the pen core is replaced, and an insert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pen core and a protrud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operated by pressing from a user.

상기 삽입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단면은 상기 펜심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ertion portion is tapered to de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lower end,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concavely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 cor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펜심 홀드 장치가 적용된 전자펜은 펜심 홀드 장치를 포함하여 한 쌍의 홀드 포인트가 적용된 홀더부를 이용해서 하우징에 관통 삽입된 펜심의 양측면을 홀드하고, 상기 펜심 교체시 릴리스부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홀드 포인트를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시켜 상기 펜심을 릴리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onic pen to which the pen nim hol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both sides of the pen nim inserted through the housing using a holder unit to which a pair of hold points including the nim hold device is applied. Hold and release the pen core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pair of hold points on both sides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the release portion when the pen core is replac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심 홀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전자펜에 의하면, 홀더부에 마련된 한 쌍의 홀드포인트를 이용해서 펜심을 적절한 압력으로 홀드함에 따라, 필기감을 향상시키고, 필압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en nim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lectronic pen applied thereto, the pen nim is held at an appropriate pressure using a pair of hold points provided in the holder, thereby improving the writing feeling and quickly detecting the pen pressur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o is obtain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릴리스버튼을 이용해서 홀더부에 홀드된 펜심을 릴리스시켜 잉크가 묻어있는 펜촉 부분을 건드리지 않고 펜심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replace the pen nib without touching the nib portion with ink is obtained by releasing the nib held in the holder using the release button.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펜의 펜심 체결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펜심 홀드 장치가 적용된 전자펜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펜심 홀드 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홀더부의 확대도,
1 and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en core fastening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lectronic pen to which a pen core hold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n nim hold device shown in Figure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4,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holder shown in Figure 3,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펜심 홀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en core hold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 예에서는 펜심 등을 이용해서 실제 잉크가 쓰여지는 전자펜에 적용되는 펜심 홀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펜심이 적용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In this embodiment, a configuration of a pen nim holding device applied to an electronic pen in which actual ink is written using a pen nim, etc. i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to which the nim is applied. Be careful.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펜심 홀드 장치가 적용된 전자펜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펜심 홀드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lectronic pen to which the pen nim hold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nim hold device shown in FIG. 3.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Hereinafter,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left','right','front','rear','upper' and'downward' are defined to indicate each direction based on the state shown in each drawing.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펜심 홀드 장치(10)가 적용된 전자펜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20),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부가 하우징(20)의 외부로 돌출되는 펜심(30),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고 펜심(30)을 홀드하는 홀더부(40) 및 펜심(30) 교체시 홀더부(40)에 홀드된 펜심(30)을 릴리스하도록 홀더부(40)를 동작시키는 릴리스부(50)를 포함한다.The electronic pen to which the pen core hold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installed in the housing 20 and the housing 20 to form an outer shape, as shown in FIGS. The pen core 3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 the holder part 4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0 and holding the pen core 30, and the pen core held in the holder part 40 when replacing the pen core 30 It includes a release portion 50 for operating the holder portion 40 to release the (30).

하우징(20)은 대략 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20)의 내부에는 펜심(30)이 설치되는 펜심 설치공간(21) 및 펜심 설치공간(21)과 연결되고 홀더부(40)가 설치되는 홀더 설치공간(22)이 마련될 수 있다. The housing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en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pen core installation space 21 and the pen core installation space 21 in which the pen core 30 is installed, and the holder portion 4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0. A holder installation space 22 may be provided.

펜심 설치공간(21)은 하우징(10)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고, 펜심 설치공간(21)의 후단에는 압력센서(6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pen core installation space 21 is formed to extend in a lengthwise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10 to the rear, and a pressure sensor 60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en core installation space 21.

홀더 설치공간(22)은 하우징(10)의 중앙부에 펜심 설치공간(21)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holder installation space 22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pen core installation space 21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10.

여기서, 홀더 설치공간(22)은 홀드부(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펜심 설치공간(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holder installation space 22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pen core installation space 21 so that the hold portion 30 can be installed.

펜심(30)은 하우징(20)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공(23)를 통해 펜심 설치공간(21) 내부로 삽입되고, 펜심(30)의 선단부, 즉 펜촉 부분은 관통공(23)을 통해 하우징(2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pen core 30 is inserted into the pen core installation space 21 through the through hole 23 formed at the tip of the housing 20, and the tip portion of the pen core 30, that is, the nib portion, is housed through the through hole 23. It can be installed to protrude in front of (20).

홀더부(40)는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펜심(30)을 홀드하고, 릴리스부(50)의 동작에 의해 홀드된 펜심(30)을 릴리스하는 기능을 한다. The holder portion 40 functions to hold the pen core 30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and release the held pen core 30 by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portion 50.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홀더부(4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홀더부의 확대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A-A'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holder portion shown in FIG.

홀더부(40)는 하우징(20)의 홀더 설치공간(22)에 설치되고 내부에 펜심(30)이 관통 설치되는 홀드 바디(41)와 홀드 바디(41) 내부에 설치되고 탄성을 이용해서 펜심(30)의 양측면을 홀드하는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part 40 is installed in the holder installation space 22 of the housing 2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old body 41 and the hold body 41 through which the pen nim 30 is installed, and the pen nim is used by using elasticity. It may include a pair of hold points 42 to hold both sides of the (30).

홀드 바디(41)의 전단부와 홀더 설치공간(22)의 전면벽 사이에는 홀더부(40) 및 홀더부(40)에 홀드된 펜심(30)을 압력센서(60)를 향해 후측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시업 스프링(43)이 설치될 수 있다.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hold body 41 and the front wall of the holder installation space 22, the pen 40 held in the holder 40 and the holder 40 is pressed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pressure sensor 60. A push-up spring 43 providing elastic force may be installed.

홀드 바디(41)는 대략 사각 통체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홀드 바디(41)의 내부에는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가 설치되는 설치공간(44)이 마련될 수 있다. The hold body 4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ylindrical or cylindrical shape, and an installation space 44 in which a pair of hold points 42 are install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ld body 41.

홀드 바디(41)의 전단부에는 푸시업 스프링(43)의 후단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푸시업 스프링(43)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ush-up spring 43 may b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hold body 41 so as to be inserted into a rear end of the push-up spring 43.

홀드 바디(41)의 후단부에는 펜심(30)에 가해지는 압력을 압력센서(60)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해 돌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돌출 정도는 압력센서(60)의 스페이서, 필름 등의 재료와 구조상 눌려져야 하는 깊이를 고려해서 설정할 수 있다. To the rear end of the hold body 41 to smoothly transmi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en core 30 to the pressure sensor 60, a protrusion may be protruded toward the rear.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a material such as a spacer and a film of the pressure sensor 60 and a depth to be pressed due to the structure.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는 펜심(30)의 대략 중앙부를 일정 압력으로 홀드하는 기능을 한다.The pair of hold points 42 function to hold the central portion of the pen core 30 at a constant pressure.

이를 위해,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는 각각 대략 반원 또는 호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각 홀드 포인트(42)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중앙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air of hold points 42 are provided with plate springs of approximately semicircular or arc shapes,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portions protruding convexly at each hold point 42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즉, 홀더부(40)의 홀드 바디(41) 내부에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를 설치하면, 각 홀드 포인트(42)의 중앙부가 서로 접촉되거나 약간 이격되게 배치된다.That is, when a pair of hold points 42 are installed inside the hold body 41 of the holder part 40, the center parts of each hold point 42 are plac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slightly spaced apart.

여기서, 하우징(20) 내부에 펜심(30)을 삽입하면, 각 홀드 포인트(42)가 펜심(30)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펜심(30)은 홀더부(40)의 내측 끝까지 이동해서 설치된다. Here, when the pen core 3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0, each hold point 42 is opened on both sides by the pen core 30, and the pen core 30 is installed to move to the inner end of the holder portion 40. .

그래서 각 홀드 포인트(42)는 중앙부가 펜심(30)의 양측면에 밀착되면서 펜심(30)을 홀드할 수 있다.Thus, each hold point 42 can hold the pen core 30 while the central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pen core 30.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는 사용자에 의해 릴리스부(50)의 버튼(51)이 눌려지면, 버튼(51)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버튼(51)의 하단부가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 사이로 삽입됨에 따라,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펜심(30)을 릴리스할 수 있다. The pair of hold points 4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utton 51 of the release unit 50 is pressed by the user, the button 51 moves down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button 51 holds a pair. As it is inserted between the points 42,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pen nib 30 while opening on both sides.

이를 위해,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는 펜심(30)에 가해지는 압력을 압력센서(60)에 전달하고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펜심(30)을 홀드하고, 버튼(51)의 삽입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실제 실험 결과에 따라 설정된 탄성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air of hold points 42 hold the pen core 30 at a preset pressure so as to transmi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en core 30 to the pressure sensor 60 and improve the writing feeling, and the button ( It can be made to have the elasticity set according to the actual experimental results to be spread on both sides by the insertion of 51).

여기서,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가 홀더부(40)의 홀드 바디(41)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드 바디(41)의 전면벽과 후면벽에는 각각 홀드 바디(41)의 중앙부를 향해 한 쌍의 이탈방지돌기(4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Here, in order to prevent the pair of hold points 42 from escaping out of the hold body 41 of the holder 40, as shown in FIG. 6,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hold body 41 are A pair of anti-separation protrusions 45 may be protruded toward the center of each hold body 41.

그래서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홀드 바디(41)의 양측벽과 이탈방지돌기(45)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Therefor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pair of hold points 42 ar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both side walls of the hold body 41 and 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s 45 to prevent departure.

여기서, 홀드 바디(41)의 후면벽에 형성된 한 쌍의 이탈방지돌기(45)는 펜심(30)을 홀드 바디(41)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펜심(30)이 용이하게 후면벽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Here, the pair of anti-separation protrusions 45 formed on the rear wall of the hold body 41 is easily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wall of the pen core 30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pen core 30 into the hold body 41. It can be guided to be fixed.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홀드 포인트(42)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펜심(30)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 points 42 are provided as a pair and described as being symmetr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en core 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펜심(30)의 일측에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홀드 포인트(42)를 설치하거나, 각 홀드 포인트(42)를 판 스프링 이외에 코일 스프링이나 고무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탄성부재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e or three or more hold points 42 on one side of the pen core 30, or elasticity of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such as coil springs or rubber springs, in addition to the plate springs for each hold point 42 It can be changed to apply th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를 각각 홀드 바디(41)에 일측이 연결되도록 사출 성형해서 홀드 바디(41)와 일체로 제조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to manufacture integrally with the hold body 41 by injection molding a pair of hold points 42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hold body 41, respectively.

릴리스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 사이에 삽입되어 펜심(30)을 릴리스하는 버튼(51)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release unit 50 may include a button 51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hold points 42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to release the pen tip 30.

버튼(51)은 홀드 바디(41)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부(52), 플랜지부(52)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고 펜심(30) 교체시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 사이에 삽입되어 펜심(30)을 릴리스시키는 삽입부(53) 및 플랜지부(52)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가압 조작되는 조작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tton 5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52 and the flange portion 52 that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hold body 41 and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hold points 42 when replacing the pen core 30. It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53 for releasing the pen core 30 and an operation portion 54 protruding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52 and pressurized by a user.

플랜지부(52)는 홀드 바디(41)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홀드 바디(4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The flange portion 52 may be formed on a larger area than the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 body 41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 body 41.

삽입부(53)는 평상시에는 홀드 바디(41)의 개구부를 통해 홀드 바디(41)의 상면을 관통해서 홀드 바디(4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삽입부(53)는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의 탄성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insertion portion 53 is normall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ld body 41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 body 41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ld body 41. Here, the insertion portion 53 maintains a state moved up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pair of hold points 42.

그리고 삽입부(53)는 펜심(30) 교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조작부(54)가 가압 조작되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를 양측으로 벌려서 펜심(30)을 릴리스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manipulation unit 54 is pressed from the user to replace the pen core 30, the insertion unit 53 releases the pen core 30 by spreading a pair of hold points 42 on both sides while moving downward.

이를 위해, 삽입부(53)는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삽입부(53)의 하단면은 펜심(30)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insertion portion 53 is tapered so as to de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bottom,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53 may be concavely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 core 30. have.

다시 도 3 및 도 4에서, 압력센서(60)는 펜심(30)을 감싼 홀더부(40)의 후단에 접촉되게 설치되고, 필기 도중에 펜심(30)이 눌려지는 힘을 홀드 바디(40)의 후단부, 즉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전자펜의 제어부(도면 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3 and 4 again, the pressure sensor 60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holder 40 surrounding the pen core 30, and the force of the pen core 30 being pressed during writing is performed by the hold body 40. The det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electronic pen by sensing the rear end portion, that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홀더부에 마련된 한 쌍의 홀드포인트를 이용해서 펜심을 적절한 압력으로 홀드함에 따라, 필기감을 향상시키고, 필압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en nib is held at an appropriate pressure using a pair of hold points provided in the holder, the writing feeling can be improved and the pen pressure can be accurately sensed.

그리고 본 발명은 릴리스버튼을 이용해서 홀더부에 홀드된 펜심을 릴리스시켜 펜심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place the pen core by releasing the pen core held in the holder using the release button.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펜심 홀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전자펜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a coupling relationship and an operation method of a pen core hold device and an electronic pen applied theret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작업자는 전자펜의 하우징(20) 내부에 홀더부(40)와 압력센서(50)를 설치한다.First, the operator installs the holder portion 40 and the pressure sensor 50 inside the electronic pen housing 20.

이를 위해, 하우징(20)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서 서로 결합되어 대략 펜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housing 20 may be assembled in a substantially pen shape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때, 홀더부(40)의 홀드 바디(41) 내부에는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가 설치된 상태이다. At this time, a pair of hold points 42 are installed inside the hold body 41 of the holder 40.

이어서, 작업자는 하우징(20)의 선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3)을 통해 펜심(30)의 후단이 홀드 바디(41)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를 관통해서 홀드 바디(41)의 내측 끝단부, 즉 후면벽에 접촉될 때까지 펜심(30)을 삽입한다. Subsequently, the operator through the through hole 23 formed in the distal end of the housing 20, the rear end of the pen core 30 penetrates a pair of hold points 42 installed inside the hold body 41 to hold the body 41. Insert the pen core 30 until it contacts the inner end of the ie, the back wall.

이때, 펜심(30)이 홀더부(40)에 삽입되면,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는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펜심(30)의 양측면을 홀드하고, 펜심(30)이 홀드 바디(41)의 내측 끝단부에 도달하면 더 이상 펜심(30)이 진행하지 못하게 되고, 펜심(30)은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에 의해 고정된다.At this time, when the pen core 3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portion 40, the pair of hold points 42 are elastically deformed to open on both sides, hold both sides of the pen core 30, and the pen core 30 holds the body ( When the inner end of 41) is reached, the pen tip 30 can no longer proceed, and the pen tip 30 is fixed by a pair of hold points 42.

그래서 전자펜을 이용한 필기 시, 펜심(30)은 홀더부(40)에 의해 홀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필기 동작을 수행하고, 압력센서(60)는 펜심(30)이 눌러지는 압력을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전자펜의 제어부로 전달한다. Therefore, when writing using an electronic pen, the pen nib 30 performs a writing operation by a user's manipulation in a state held by the holder 40, and the pressure sensor 60 applies pressure to the pen nim 30. It senses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of the electronic pe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홀더부의 전단에 마련된 푸시업 스프링과 한 쌍의 홀드 포인트를 이용해서 펜심을 홀딩하여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압력센서를 이용해서 필압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writing feeling by holding the pen nib using a push-up spring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holder and a pair of hold points, and can quickly sense the pen pressure using a pressure sensor.

한편, 작업자는 하우징(20)의 상단에 릴리스부(50)를 결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or couples the release portion 50 to the top of the housing 20.

이때, 릴리스부(50)의 버튼(51)에 마련된 플랜지부(52)는 하우징(20)의 상단에 결합되어 홀더부(40)의 홀드 바디(41) 상면에 안착되고, 플랜지부(52)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삽입부(53)는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 상단에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flange portion 52 provided on the button 51 of the release portion 5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20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 body 41 of the holder portion 40, the flange portion 52 The insertion portion 53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pair of hold points 42.

사용자가 펜심(30)을 교체하기 위해 플랜지부(52)의 상면에 형성된 조작부(54)를 가압하면, 삽입부(53)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 사이에 삽입되고, 한 쌍의 홀드 포인트(42)는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펜심(30)을 릴리스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portion 5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52 to replace the pen core 30, the insertion portion 53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hold points 42 while moving downward, The pair of hold points 42 are elastically deformed to spread on both sides, releasing the pen core 3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릴리스부의 버튼을 조작해서 한 쌍의 홀드 포인트를 양측으로 벌어지게 해서 펜심을 릴리스함으로써, 집게와 같은 도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펜심을 하우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서 교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 nib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and replaced without the need to use tools such as forceps, by releasing the nib by opening the pair of hold points on both sides by operating the buttons of the release unit.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홀더부에 마련된 한 쌍의 홀드포인트를 이용해서 펜심을 적절한 압력으로 홀드함에 따라, 필기감을 향상시키고, 필압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writing feeling and quickly sense the pen pressure by holding the pen nib at an appropriate pressure using a pair of hold points provided in the holder.

그리고 본 발명은 릴리스버튼을 이용해서 홀더부에 홀드된 펜심을 릴리스시켜 잉크가 묻어있는 펜촉 부분을 건드리지 않고 펜심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ease the pen nib held in the holder by using the release butt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pen nib without touching the nib portion with ink.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thereof.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펜심 등을 이용해서 실제 잉크가 쓰여지는 전자펜에 적용되는 펜심 홀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펜심이 적용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pen nim holding device applied to the electronic pen in which the actual ink is written using a pen nim, etc. wa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to which the nim is applied. Can be changed.

본 발명은 펜심을 적절한 압력으로 홀드하고 푸시업 스프링으로 홀드 바디를 압력센서에 밀착시켜 필기감을 향상시키고, 필압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으며, 홀더부에 홀드된 펜심을 간편하게 릴리스시켜 펜심을 용이하게 교체하는 펜심 홀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전자펜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holds the pen nib at an appropriate pressure, and a push-up spring brings the hold body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 sensor to improve the writing feeling, can quickly sense the pen pressure, and easily releases the nib held on the holder to easily replace the pen nim It is applied to the pen nim hold device and the electronic pen technology to which it is applied.

10: 펜심 홀드 장치 20: 하우징
21: 펜심 설치공간 22: 홀더 설치공간
23: 관통공 30: 펜심
40: 홀더부 41: 홀드 바디
42: 홀드 포인트 43: 푸시업 스프링
44: 설치공간 45: 이탈방지돌기
50: 릴리스부 51: 버튼
52: 플랜지부 53: 삽입부
54: 조작부 60: 압력센서
10: pen nim hold device 20: housing
21: Pen core installation space 22: Holder installation space
23: through hole 30: pen core
40: holder 41: hold body
42: Hold point 43: Push-up spring
44: installation space 45: departure prevention projections
50: release section 51: button
52: flange portion 53: insertion portion
54: control unit 60: pressure sensor

Claims (7)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펜심을 홀드하는 홀더부 및
상기 펜심 교체시 상기 홀더부에 홀드된 펜심을 릴리스하도록 상기 홀더부를 동작시키는 릴리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홀더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펜심이 관통해서 내측 후단부까지 삽입되는 홀드 바디와
상기 홀드 바디 내부에 설치되고 탄성을 이용해서 상기 펜심의 양측면을 홀드해서 상기 펜심을 고정하고, 상기 펜심의 교체 시 상기 릴리스부에 의해 상기 펜심을 릴리스하는 한 쌍의 홀드 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릴리스부는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홀드 포인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펜심을 릴리스하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펜심 교체시 릴리스부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홀드 포인트를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시켜 상기 펜심을 릴리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심 홀드 장치.
It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forming the outer shape and holds the pen nib and
When replacing the pen core includes a release portion for operating the holder portion to release the pen core held in the holder portion,
The holder portion is installed in a holder install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pen core penetrates therein and is inserted into an inner rear end portion.
It is installed inside the hold body and holds both sides of the pen core by using elasticity to fix the pen core, and includes a pair of hold points for releasing the pen core by the release unit when replacing the pen core,
The release unit includes a button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hold points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to release the pen nib,
A pen nim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hold points are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spread on both sides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the release portion when the pen nim is repla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심의 후방에는 필기시 펜심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홀드 바디의 전단부와 홀더 설치공간의 전면벽 사이에는 상기 홀더부 및 홀더부에 홀드된 펜심을 상기 압력센서를 향해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시업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심 홀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pen core to sen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en core during writing.
A pen-up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ush-up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hold body and the front wall of the holder installation space to provide elastic force to press the pen core held in the holder portion and the holder toward the pressure sensor.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홀드 포인트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홀드 바디의 전단부에는 상기 푸시업 스프링의 후단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푸시업 스프링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심 홀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pair of hold points are installed is provided inside the hold body,
A pen core hol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push-up spring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hold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a rear end of the push-up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홀드 포인트는 각각 반원 또는 호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각 홀드 포인트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중앙부는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심 홀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air of hold points is provided with a semi-circular or arc-shaped leaf spring,
The pen core hol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protruding convexly from each hold point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홀더부의 홀드 바디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펜심 교체시 한 쌍의 홀드 포인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펜심을 릴리스시키는 삽입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가압 조작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심 홀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utton is a flange portion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of the holder,
An insertion part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inserted between a pair of hold points when the pen core is replaced, and releasing the pen core;
Pen nim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ration portion that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is pressed by the us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단면은 상기 펜심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심 홀드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taper so that the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bott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a pen cor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concave to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펜심 홀드 장치를 포함하여
한 쌍의 홀드 포인트가 적용된 홀더부를 이용해서 하우징에 관통 삽입된 펜심의 양측면을 홀드하고,
상기 펜심 교체시 릴리스부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홀드 포인트를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시켜 상기 펜심을 릴리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심 홀드 장치가 적용된 전자펜.
Claims 1 to 6 comprising the pen nim hold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Hold the both sides of the pen nim inserted through the housing using a holder portion applied with a pair of hold points,
An electronic pen with a pen core hol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n core is released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pair of hold points on both sides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the release portion when the pen core is replaced.
KR1020180063489A 2018-06-01 2018-06-01 Pen lead holding appartus KR102118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489A KR102118737B1 (en) 2018-06-01 2018-06-01 Pen lead holding appar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489A KR102118737B1 (en) 2018-06-01 2018-06-01 Pen lead holding appar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382A KR20190137382A (en) 2019-12-11
KR102118737B1 true KR102118737B1 (en) 2020-06-03

Family

ID=6900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489A KR102118737B1 (en) 2018-06-01 2018-06-01 Pen lead holding appar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7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7049A (en) * 2021-07-11 2021-09-17 连伟健 Digital pen with writing posture correction function and holding posture detection method
CN116048287B (en) * 2022-07-11 2023-10-24 荣耀终端有限公司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477B1 (en) 1995-11-11 2003-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Wireless electronic pen
KR200244379Y1 (en) 2001-06-04 2001-10-29 주식회사 위즈클론 Electronic pen for graphic tablet
US7567241B2 (en) * 2004-08-03 2009-07-2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Stylus with customizable appearance
KR101396376B1 (en) 2013-02-27 2014-05-19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Pen core fastening structure of electronic pen
KR101596029B1 (en) * 2013-10-13 2016-02-19 (주)포브코리아 Ear pick emitted sequentially disposable swa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382A (en)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737B1 (en) Pen lead holding appartus
WO1995026019A1 (en) Wireless stylus and disposable stylus cartridge therefor for use with a pen computing device
JP2016026930A (en) Writing instrument
US10180738B2 (en) Electronic assembly
JP6038235B2 (en) Writing instrument cap and writing instrument
EP0114105B1 (en) Apparatus for storing felt pens for use with an electronic board
JP5890706B2 (en) Touch pen
CN113207303A (en) Braille input device
KR101614575B1 (en) Ball pen combind with a touch pen
JP2023084636A (en) golf ball stamp
US20130183641A1 (en) Braille reading-writing device
JP2016010884A (en) Cap for pencil
EP3312019A1 (en) Pen cartridge
EP1418061A1 (en) A writing instrument
CN209869821U (en) Valve type marking pen
KR101539396B1 (en) Ball pen
KR20200018830A (en) Pen lead holding appartus with release function and electric pen using the same
CN212541283U (en) Core puller
KR200244379Y1 (en) Electronic pen for graphic tablet
KR200208277Y1 (en) Count ball point pen
KR101396751B1 (en) A capacitive sensing touch pen
JP6644389B1 (en) Seal adapter
KR200352395Y1 (en) A magnet write type display system
JP2014127153A (en) Input pen
JP2020080032A (en) st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