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412B1 -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자원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자원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412B1
KR102118412B1 KR1020130145622A KR20130145622A KR102118412B1 KR 102118412 B1 KR102118412 B1 KR 102118412B1 KR 1020130145622 A KR1020130145622 A KR 1020130145622A KR 20130145622 A KR20130145622 A KR 20130145622A KR 102118412 B1 KR102118412 B1 KR 102118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ority
terminal
resource
information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462A (ko
Inventor
노상민
곽용준
지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412B1/ko
Priority to US15/039,981 priority patent/US10321470B2/en
Priority to PCT/KR2014/011477 priority patent/WO2015080486A1/ko
Publication of KR2015006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은,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채널 센싱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이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이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낮은 경우,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산 자원 할당 방식의 D2D 통신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channel sensing 신호를 우선권 정보 전송에 이용함으로써 무선 자원 점유를 위해 부가적인 제어 채널 및 신호 도입 시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자원 운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s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위한 자원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무선 자원 점유 절차와 이를 위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동기 셀룰러 이동 통신 표준 단체인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기존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 통신뿐 아니라 단말 또는 기기 간의 무선 통신, 즉 기기 대 기기(D2D: Device-to-Device) 통신을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규격에서 지원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3GPP에서 D2D 통신에 요구되는 주요 기능 중 하나는 공공 안전(Public Safety) 서비스 지원이다. 즉, 네트워크의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비상 사태(예를 들면, 자연 재해 등) 시에도 경찰관 그룹, 소방관 그룹 및/또는 정부 요원 그룹의 각 그룹 내 또는 그룹 간 LTE 기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비상 사태 시에는 멤버 간 일 대 일 단일 통신보다는 상기 특정 그룹 내 또는 전체 그룹에 대한 일 대 다 통신, 즉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통신 방식이 효율적이다. 3GPP 역시 현재 Rel-12(Release-12) 단계에서 broadcast 통신을 D2D 통신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에 합의한 상태이다.
D2D 통신에서 전송 단말이 사용하는 무선 자원은 다음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중앙 자원 할당 방법으로써, 전송 단말은 자신이 사용할 무선 자원을 특정 자원 할당 주체로부터 할당 받을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자원 할당 주체는 셀룰러 통신의 기지국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을 때는 특정 단말이 상기 자원 할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상적으로는 상기 자원 할당 단말의 영역 내 각 단말의 무선 자원을 스케줄링 해줌으로써 무선 자원의 충돌 없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중앙 할당 방법의 경우, 상기 특정 자원 할당 단말이 선택되는 방법을 별도로 결정해야 하며, 자원 할당을 수행하게 되는 단말은 기지국과 같은 기능을 지원해야 하므로 단말 복잡도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제어 채널의 정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단말 다수가 인접하는 경우, 인접 영역 내 단말들의 자원 할당 충돌 방지를 위해 자원 할당 단말 간 조율 정보가 필요하다. 기지국의 경우는 유선 망을 이용하여 조율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나, 상기 자원 할당 단말 간의 조율 정보 교환을 위해서는 별도의 물리 채널 또는 신호를 정의해야 한다.
두 번째는 분산 자원 할당 방법으로써, 전송 단말은 자신이 사용할 무선 자원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전송 단말이 무선 자원을 선택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CSMA/CA(Channel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송 단말은 D2D 통신을 위해 설정된 무선 자원 영역에 대해 채널 센싱(channel sensing)을 수행하여, 현재 해당 무선 자원이 다른 단말의 D2D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해당 무선 자원이 다른 단말에 의해 점유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전송 단말은 해당 무선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 계속 channel sensing을 수행하여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을 검색한다. 만일 해당 무선 자원이 비어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전송 단말은 해당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자원을 사용 중인 전송 단말은 channel sensing을 수행하는 다른 단말들에게 자원 사용 중임을 알리기 위한 channel sensing 신호를 필수적으로 전송해야 한다. Channel sensing 신호는 랜덤 엑세스 프리엠블(Random access preamble) 또는 기준 신호(RS: Reference Signal) 등과 유사한 시퀀스 기반 신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분산 자원 할당 방법의 경우 channel sensing을 수행한 다수의 전송 단말이 특정 무선 자원이 비어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동시에 각자의 신호를 전송하는 자원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 반면, 기지국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자원 할당 단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단말 복잡도에 대한 부담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앙 자원 할당 방법에서 전술한 자원 할당 및 자원 할당 단말 간 조율 정보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channel sensing 신호를 통해 최소한의 시그널링(signaling) 만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특히 전술한 전송 단말 간 자원 충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랜덤 백오프(random back-off)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random back-off란 channel sensing 수행 후 무선 자원이 비어 있다고 판단되면 단말마다 랜덤(random)하게 선택된 백오프(back-off) 시간 동안 channel sensing을 계속 수행한다. 그 결과 다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channel sensing 신호가 검출되지 않아 해당 무선 자원이 비어있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전송을 시작하고, 그렇지 않다면 back-off를 중단한다.
상술한 분산 자원 할당 방식의 D2D 통신 환경에서 효율적 자원 운용을 위한 단말의 무선 자원 점유 절차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한정된 D2D 무선 자원이 모두 사용 되어 가용 무선 자원을 더 확보할 수 없는 경우, 현재 D2D 무선 자원을 사용 중인 단말이 계속 해당 무선 자원을 점유하게 되면 D2D 사용자 간 무선 자원 사용에 대한 공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 또는 비상 사태 시 명령권 자 또는 긴급 상황에 처한 대원 등이 시급히 D2D 무선 자원을 확보하여 통신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자원 사용을 위해 상기 단말의 무선 자원 점유 절차에 요구되는 시그널링(signaling) 도입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불필요한 오버헤드(overhead)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signaling의 도입 없이 효율적으로 단말의 D2D 무선 자원 점유를 지원할 수 있는 절차와 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은,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채널 센싱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이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이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낮은 경우,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자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은 단말마다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은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은,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최우선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은,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채널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이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이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높은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랜덤한 시간 동안 채널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자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송신 단말은, 다른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채널 센싱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이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이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낮은 경우,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수신 단말은, 다른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채널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이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이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높은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랜덤한 시간 동안 채널 센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무선 자원 점유 절차 및 무선 자원 점유 신호 전송 방법을 통하여 분산 자원 할당 방식의 D2D 통신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channel sensing 신호를 우선권 정보 전송에 이용함으로써 무선 자원 점유를 위해 부가적인 제어 채널 및 신호 도입 시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선권 설정 방식을 통하여 D2D 통신 목적에 적합한 D2D 단말 간 무선 자원 점유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단말의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channel sensing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별도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도 무선 자원 점유를 할 수 있어, 부가적인 제어 채널 및 신호 도입에 의한 오버헤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hannel sensing 신호 설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2D 송신 단말의 동작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2D 수신 단말의 동작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2D 송신 및 수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 LTE 표준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채널 센싱(channel sensing) 신호 설계 및 전송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channel sensing 신호는 시퀀스 형태를 갖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시퀀스 코릴레이션(correlation)을 취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channel sensing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channel sensing 신호 생성 시 다음의 실시 예와 같은 방법을 통해 우선권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우선권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수의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시퀀스 집합을 설정하고 상기 시퀀스 집합 내의 각 시퀀스를 하나의 우선권 정보 값과 사상(mapping)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수신 단말은 검출한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가 설정된 시퀀스 집합 내의 어떤 시퀀스인지 판단함으로써 해당 시퀀스가 나타내는 우선권 정보 값을 인식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시퀀스 생성 시 사용하는 생성 함수의 입력 변수에 우선권 정보에 대응되는 변수를 도입하는 것이다. 여기서 편의상 LTE 상향링크 복조 기준 신호(DM 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생성 수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음 [수학식 1]은 LTE 상향링크 DM RS 생성 수식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3108545540-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3108545540-pat00002
은 DM RS 시퀀스로써 순환 천이 값
Figure 112013108545540-pat00003
를 갖는 베이스(base) 시퀀스
Figure 112013108545540-pat00004
를 의미한다.
Figure 112013108545540-pat00005
는 DM RS 시퀀스의 길이로써 주파수 상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의 배수로 정의된다. 이 때 한 RB는 12개의 부 반송파로 정의되며, 부 반송파 간격은 15kHz이므로 한 RB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크기는 180kHz가 된다. LTE에서 자원 할당의 기본 단위는 이 RB를 사용한다. 상기
Figure 112013108545540-pat00006
값은 상향링크 채널 대역폭을 넘는 길이를 가질 수 없다. Base 시퀀스인
Figure 112013108545540-pat00007
는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지는데, u는 0부터 29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그룹 인덱스이며 v는 그룹 내의 base 시퀀스 인덱스이다. 여기서 v 값은 DM RS 시퀀스 길이, 즉 주파수 상 크기에 따라 그룹 당 v=0 또는 v=0, 1 의 base 시퀀스가 존재한다. 이들 base 시퀀스는 ZC(Zadoff-Chu) 시퀀스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우선권 정보에 대응되는 변수로는 전술한 순환 천이 값
Figure 112013108545540-pat00008
, base 시퀀스 그룹 인덱스 u 값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우선권 정보가 '0' 또는 '1'의 두 가지 상태 값을 가질 수 있다면 순환 천이 값
Figure 112013108545540-pat00009
은 '0'에 대응되고
Figure 112013108545540-pat00010
은 '1'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0이 아닌 순환 천이 값 범위 내 특정 순환 천이 값이다. 또는 base 시퀀스 그룹 인덱스 u=0을 '0'에 대응시키고 u=15을 '1'에 대응 시킬 수 있다. 또는 이를 확장하여 가능한 순환 천이 값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 해당하면 '0', 다른 그룹에 해당하면 '1'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base 시퀀스 그룹 인덱스 u값에 대해서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을 '0'과 '1'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두 변수의 조합으로 우선권 정보 상태 값을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예에서는 두 가지 우선권 정보 상태 값을 가정했지만, 그 보다 많은 우선권 정보 상태 값을 표현하는데 전술한 입력 변수들을 사용하도록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DM RS 외에도 LTE의 랜덤 엑세스 프리엠블(random access preamble) 시퀀스 생성 수식을 예로 들 수 있다. 다음 [수학식 2]는 random access preamble 시퀀스 생성 식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3108545540-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13108545540-pat00012
은 u번째 root ZC 시퀀스를 의미하며,
Figure 112013108545540-pat00013
는 해당 ZC 시퀀스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Figure 112013108545540-pat00014
는 순환 천이 값을 나타낸다. 상술한 DM RS 시퀀스의 경우와 유사한 방법으로, root ZC 시퀀스 인덱스 u, 순환 천이 값
Figure 112013108545540-pat00015
, 또는 이들의 조합을 우선권 정보에 대응되는 변수로 이용하여, 우선권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수신 단말은 channel sensing 신호 검출 시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 가능한 시퀀스들에 대해 correlation을 취하고, 그 중 가장 큰 correlation 값을 갖는 시퀀스에 대응하는 우선권 정보 상태 값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방식으로 우선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술한 시퀀스 생성 함수들에 대하여 수신 단말의 channel sensing 신호 검출 복잡도가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입력 변수들이 가질 수 있는 값을 우선권 정보 상태 표현을 위해 필요한 개수만큼으로 제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우선권 정보의 값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원칙에 따라 우선권의 높고 낮은 단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선권 정보가 '0', '1', '2'의 세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면, '0'이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갖고 '1'이 중간 우선권, '2'가 가장 낮은 우선권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의 순서로 우선권의 높고 낮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분산 자원 할당 방식의 D2D 통신을 위한 channel sensing 신호에 전송 단말의 우선권(priority)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우선권 정보를 기초로 단말이 전송할 channel sensing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channel sensing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수신 단말이 상기 channel sensing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전송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현재 전송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인식한 수신 단말이 자신의 우선권과 인식한 우선권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자신의 데이터 전송을 지연하고 channel sensing을 수행하거나 자원 양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 뒤 일정 시간 channel sensing을 수행하는 단계 및 channel sensing으로 가용 자원 확인 후 자신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channel sensing 신호를 이용하여 우선권을 알려주는 수단으로써 channel sensing 신호의 시퀀스, 주파수 자원 및 시간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원 양보 요청 후 단말이 해당 자원에 대해 channel sensing을 수행하는 시간에 대해서는 미리 결정한 값을 적용하거나 시스템 상에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우선권 설정에 있어서 사용자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단말에 고유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경찰관 그룹 중 명령권자의 단말이 일반 대원의 단말보다 높은 우선권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우선권 설정에 있어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우선권을 부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음성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이 일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보다 높은 우선권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우선권 설정에 있어서 전술한 사용자에 따른 우선권과 서비스에 따른 우선권 중 어떤 것이 선행할지 원칙을 미리 결정하고 해당 법칙에 따라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우선권 설정에 있어서 특정 데이터에 대해서는 전술한 사용자에 따른 우선권, 서비스에 따른 우선권 및 이들 두 우선권 간 선행 등의 원칙 적용 예외로써 최상위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hannel sensing 신호 설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프레임 구조는 LTE의 상향링크의 경우를 가정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서브프레임(100)은 1ms 시간 길이를 가지며 두 개의 슬롯, 즉, 슬롯 0(101)과 슬롯 1(102)로 구분된다. 각 슬롯은 7개의 SC-FDMA(Single Carrier -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103)로 구성된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최초 SC-FDMA 심볼과 마지막 SC-FDMA 심볼은 보호구간(GP: Guard Period)으로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이는 D2D 통신 시 반이중(half-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단말의 송신/수신 동작 전환을 위한 보호 구간을 설정한 것이다. 그리고, 각 슬롯 중앙의 SC-FDMA 심볼에는 단말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에 걸쳐 복조를 위한 기준 신호, 즉 DM 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가 전송된다.
도 1의 (a)에 도시된 첫 번째 예는 DM RS와 다른 별도의 preamble 또는 RS 구조의 channel sensing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hannel sensing 신호(104)는 슬롯 0의 보호 구간 바로 다음 SC-FDMA 심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두 번째 예에서는, DM RS와 다른 별도의 preamble 또는 RS 구조의 channel sensing 신호를 사용하되, channel sensing 신호(105)를 슬롯 0의 보호 구간과 DM RS 사이 두 개의 SC-FDMA 심볼에 걸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hannel sensing 신호(105)는 각 SC-FDMA 심볼 별로 독립적인 preamble 또는 RS 시퀀스를 갖도록 설계되거나 하나의 preamble 또는 RS 시퀀스가 두 SC-FDMA 심볼에 걸쳐 전송될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상기 두 번째 예는 다수의 우선권 정보를 channel sensing 신호에 포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SC-FDMA 심볼의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는 현재 함께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에 기반한 우선권을 알려주는데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SC-FDMA 심볼의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는 현재 전송 단말의 사용자에 기반한 우선권을 알려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두 SC-FDMA 심볼에 걸친 길이의 한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를 이용하여 시퀀스 생성 시 순환 천이 값 등의 변수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타입과 사용자의 조합과 대응되는 우선권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의 (b)에서는 channel sensing 신호 구간을 두 개의 SC-FDMA 심볼에 걸쳐 구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channel sensing 신호 구간이 반드시 두 개의 SC-FDMA 심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다수의 SC-FDMA 심볼을 통하여 다양한 우선권 정보 조합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의 (c)에 도시된 세 번째 예는 channel sensing 신호 (106)가 DM RS로 사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hannel sensing 신호(106)는 슬롯 0과 슬롯 1의 중앙에 위치하는 DM RS 시퀀스가 된다. 수신 단말은 channel sensing 신호 검출 시 사용 가능한 DM RS 시퀀스에 대해 correlation을 취하고 그 중 가장 큰 correlation 값을 갖는 시퀀스에 대응하는 우선권 정보 상태 값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시에, 해당 시퀀스를 기준으로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수신 신호 복조에 사용한다. 또 다른 예로 슬롯 0의 DM RS와 슬롯 1의 DM RS의 시퀀스를 각기 다른 우선권 정보를 알려주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세 번째 예의 경우 수신 단말의 디코딩 성능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Channel sensing 신호의 SC-FDMA 심볼 위치와 수는 상기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실시 예에 따라 슬롯 0과 슬롯 1의 어떠한 위치로도 전송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예와 다른 방법으로 실시 예에 따라, channel sensing 신호의 시간 및 주파수 위치를 우선권 정보에 따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수신 단에서 검출한 channel sensing 신호의 서브프레임 내 SC-FDMA 심볼 위치 또는 channel sensing 신호가 차지하는 RB 영역 위치를 기반으로 수신 단말은 이에 대응되는 우선권 정보를 간접적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선권 정보가 두 가지 값(즉, 두 가지 우선권 단계)을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한 경우, 한 가지 우선권 정보 값은 channel sensing 신호가 도 1의 (a)에 도시된 첫 번째 예의 channel sensing 신호와 동일한 SC-FDMA 심볼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한 가지 우선권 정보 값은 channel sensing 신호가 도 1의 (a)에 도시된 첫 번째 예의 슬롯 0 DM RS 바로 앞 SC-FDMA 심볼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슬롯 0 DM RS의 앞 두 SC-FDMA 심볼이 channel sensing 신호 검출 가능 구간으로 활용되며, 해당 구간 자원에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세 단말 A(250), 단말 B(260) 및 단말 C(270)(도면 상 UE A, UE B, UE C에 각각 대응)가 D2D 통신에 참여하고 있으며, 각 단말은 모두 전송할 데이터가 있고, 현재 단말 A(250)가 데이터를 전송 중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각 단말의 데이터 전송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D2D 통신을 위해 설정된 주파수 영역 전체로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마지막으로, 단말 A(250), 단말 B(260), 단말 C(270) 중에서 단말 C(270)의 우선권이 가장 높으며, 단말 B(260)의 우선권이 가장 낮다고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200 단계에서 단말 A(250)는 자신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하는 channel sensing 신호와 데이터를 단말 B(260) 및 단말 C(27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에 가정한 바와 같이, 단말 A(250)로 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 B(260)와 단말 C(270)는 각자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있다. 그러므로, 단말 B(260)와 단말 C(270)는 가용 자원을 찾기 위해 channel sensing도 수행한다. 이 때, 단말 B(260)와 단말 C(270)는 200 단계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A(250)의 channel sensing 신호로부터 단말 A(250)의 우선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201 단계 및 202 단계에서 각각 단말 B(260)와 단말 C(270)는 각자 자신의 우선권과 단말 A(250)의 우선권을 비교할 수 있다. 이렇게 channel sensing 신호를 통해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도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고, 각각의 단말들(즉, 단말 B 및 단말 C)은 현재 전송 단말(즉, 단말 A)의 우선권과 자신의 우선권을 비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선권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단말 B(260)의 경우 현재 D2D 무선 자원을 점유하고 있는 단말 A(260) 보다 우선권이 낮으므로, 203 단계에서 단말 B(260)는 자신의 데이터 전송을 미루고 channel sensing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 C(270)의 경우 현재 D2D 무선 자원을 점유하고 있는 단말 A(250) 보다 우선권이 높으므로, 204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자원을 통해 현재 전송 단말(즉, 단말 A(250))이 사용하고 있는 자원을 비워줄 것을 요청하는 자원 양보 요청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205 단계에서 단말 C(270)는 단말 A(250) 및 단말 B(260)에게 단말 A(250)가 현재 점유하여 사용하고 있는 자원의 양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신호를 미리 설정된 자원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 C(270)의 자원 양보 요청 신호는, 상기 단말 C(270)의 우선권 정보와 함께 단말 C(270)의 channel sensing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자원은 자원 양보 요청 신호 전송 용도로 사용되며, 모든 D2D 단말들이 모니터링 해야 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자원은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서브프레임 전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서브프레임 내 channel sensing 신호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 영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서브프레임 내 시간/주파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모든 D2D 단말들은 상기 미리 설정된 자원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자원에 channel sensing 신호로써 자원 양보 요청 신호가 감지되면, 단말들은 별도의 식별 정보 없이도 자원 양보 요청 신호가 전송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은 상기 미리 설정된 자원 양보 요청 자원에 자신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하는 channel sensing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현재 전송 단말을 포함한 주변 단말들에게 자신이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고 현재 전송 단말이 사용하는 자원을 양보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별도의 시그널링을 도입하지 않고, 기존의 channel sensing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 C(270)의 자원 양보 요청 정보를 단말들(250, 26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현재 데이터 전송 중인 단말 A(250)와 단말 A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 중인 단말 B(260) 모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자원을 모니터링하고, 단말 C(270)로부터의 channel sensing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206 단계 및 207 단계에서 각각 단말 B(260)과 단말 A(250)는 자원 양보를 요청한 단말 C(270)의 우선권을 인식하고, 자신의 우선권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단말 B(260)의 경우 단말 C(270)보다 자신의 우선권이 더 낮으므로, 208 단계에서 channel sensing을 계속 수행하며 자신의 데이터를 전송할 자원을 물색할 수 있다.
한편, 단말 A(250)의 경우 자신의 우선권이 자원 양보를 요청한 단말 C(270)의 우선권보다 더 낮으므로, 209 단계에서 단말 A(250)는 현재 전송을 중지하고 해당 자원을 비움으로써 단말 C(270)에게 해당 자원을 양보할 수 있다.
이후 단말 C(270)는 210 단계에서 단말 C(270)가 단말 A(250)에게 양보를 요청한 해당 자원에 대해 channel sensing 시점마다 단말에게 random하게 주어지는 시간 구간,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channel sensing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C(270)는 해당 자원이 가용 하다고 판단되면 211 단계에서 자신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일 해당 자원이 가용하지 않다면 단말 C(270)는 바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다음 번 자원 양보 요청 자원에 다시 자원 양보 요청 정보를 포함한 channel sensing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도시되지 않았지만, 만일 단말 A(250)보다 단말 C(270)의 우선권이 낮다고 가정하면, 단말 A(250)는 단말 C(270)로 부터의 자원 양보 요청에도 불구하고 해당 자원을 점유하며 자신의 데이터 전송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C(270)는 자원 양보 요청 후, 210 단계에서 channel sensing 수행 시 단말 A(250)로부터 전송되는 channel sensing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자원이 가용하지 않으므로 단말 C(270)는 자신의 데이터 전송을 보류하고 channel sensing 및 자원 양보 요청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단말 C(270)로부터 자원 양보 요청 정보가 포함된 channel sensing 신호를 수신한 단말 A(250)는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단말 C(270)에게 전송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경우에, 우선 순위가 높은 단말 C(270)의 자원 양보 요청에 대하여 단말 A(250)가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자원 양보 응답 메시지 또는 자원 양보 거절 메시지 등의 응답 메시지를 별도로 단말 C(270)에게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단말 C(270)가 210 단계에서 channel sensing을 수행하여, 자신이 자원 양보를 요청한 자원이 가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서 D2D 단말 간 자원 점유의 공정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각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연속적으로 자원을 점유하는 최대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특정 단말이 무제한으로 자원을 점유하는 폐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부터 분산 자원 할당 방식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channel sensing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 간 자원 점유 조율을 위한 별도의 채널 설계 및 단말 간 피드백 없이 최소의 시그널링으로 D2D 단말 간 자원 점유 수행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2D 송신 단말의 동작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의 데이터 전송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은 300 단계에서 channel sensing을 수행하여 가용 자원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301 단계에서 가용 자원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송신 단말은 302 단계로 이동하여 송신 단말 자신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하는 channel sensing 신호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일 301 단계에서 판단 결과 가용 자원이 없다고 판단되면, 송신 단말은 300 단계로 되돌아가 channel sensing을 계속 수행한다.
도 3의 (b)를 참고하면, 송신 단말이 자원을 점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원 양보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자원을 점유하고 데이터를 전송 중인 송신 단말은 303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자원 양보 요청용 자원에서 다른 단말의 channel sensing 신호, 즉 자원 양보 요청 신호 검출을 시도하고 검출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자원 양보 요청용 자원은 도 2와 관련된 부분에서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만일 303 단계에서 자원 양보 요청이 검출되었다면, 송신 단말은 304 단계로 진행하여 검출된 자원 양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자원 양보 요청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송신 단말 자신의 우선권이 해당 자원 양보 요청 단말의 우선권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송신 단말의 우선권이 자원 양보 요청 단말의 우선권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송신 단말은 305 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단말 자신의 데이터 전송을 종료하고 자원을 양보할 수 있다. 이때, 송신 단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원 양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별도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자원 양보 요청 신호를 송신한 단말기에게 전송을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송신 단말의 우선권이 자원 양보 요청 단말의 우선권보다 낮지 않다고 판단되면, 송신 단말은 306 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단말 자신의 데이터를 계속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만일 303 단계에서 자원 양보 요청이 검출되지 않았다면, 송신 단말은 306 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단말 자신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단말의 우선권은 예를 들면, 해당 단말의 사용자 권한에 기반하여 미리 해당 단말 고유의 우선권이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권한의 예로써 경찰관, 소방관, 정부 요원과 같은 특정 사용자 그룹 내의 명령권자가 사용하는 단말에는 기본적으로 가장 높은 우선권이 설정되고, 그보다 하위 직위의 명령권자가 사용하는 단말은 그 다음으로 높은 우선권, 그리고 일반 요원의 단말에 가장 낮은 우선권이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송신 단말의 우선권은 해당 단말이 전송하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전술한 우선권 설정 방법처럼 각 단말이 고유의 우선권 단계를 갖는 것이 아니라, 전송하는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에 따라 각 단말의 우선권이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타입은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에 기반한 우선권 설정의 예로써, 음성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이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보다 높은 우선권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긴급한 현장에서 신속히 소통이 필요할 경우, 데이터 서비스 보다 음성 서비스가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이와 반대로 우선권을 부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한편, 우선권은 상술한 경우 이외에도 다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송신 단말이 자신의 우선권을 최우선으로 설정하고, 최우선 우선권 정보를 channel sensing 신호에 포함시켜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신 단말의 최우선 우선권 정보를 수신한 수신 단말은 자신의 우선권 정보와 송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비교할 필요 없이, 바로 송신 단말의 우선권이 자신의 우선권보다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최우선 우선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수신 단말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2D 수신 단말의 동작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수신 단말의 데이터 수신 동작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수신 단말은 400 단계에서 channel sensing을 수행한 뒤, 401 단계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현재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수신 단말은 402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현재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수신 단말은 400 단계로 진행하여 channel sens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의 존재 시에만 수신 단말이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디코딩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방법에서 400 단계 및 401 단계를 생략하고, 수신 단말이 402 단계로 바로 진행하여 수신 신호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수신 단말의 동작 절차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전송 단말 존재 여부와 상관 없이 수신 단말이 항상 디코딩을 수행하게 되어 불필요한 디코딩 동작이 일어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수신 단말의 데이터 전송 동작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수신 단말은 403 단계에서 channel sensing을 수행하고, 404 단계에서 가용 자원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404 단계에서 가용 자원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신 단말은 405 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의 데이터와 channel sensing 신호를 해당 가용 자원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404 단계에서 만일 가용 자원이 없다고 판단되면, 수신 단말은 406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수신 신호에 대한 데이터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은 406 단계에서 다른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channel sensing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407 단계에서 수신 단말은 상기 406 단계에서 검출한 송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 자신의 우선권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수신 단말 자신의 우선권이 송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수신 단말은 408 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자원 양보 요청용 자원에서 수신 단말 자신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하는 channel sensing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수신 단말은 403 단계로 되돌아가 channel sensing을 수행하여, 408 단계에서 전송한 자원 양보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자원이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404 단계에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407 단계에서 판단 결과, 만일 수신 단말 자신의 우선권이 송신 단말의 우선권보다 더 높지 않다면, 수신 단말은 408 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403 단계로 되돌아가 channel sensing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설정 원칙에 따른 우선권들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선권 설정 방법은 사용자 권한, 서비스 타입 등 다수의 원칙 하에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권한에 따라서 명령권자 및 일반 대원, 두 단계의 우선권이 설정되고 서비스 타입에 따라서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 두 단계의 우선권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 또는 시퀀스 생성 함수의 입력 변수 등을 통해 상기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에 의하여 설정된 다수의 우선권 정보를 다른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상기 서로 다른 두 원칙에 의해 설정된 우선권 중 어떤 것이 선행할 것인지 미리 결정하여 단말에 hardcoded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서비스 타입에 따른 우선권이 사용자 권한에 따른 우선권에 선행하도록 미리 결정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록 사용자 권한에 따르면 우선권이 낮은 단말이더라도 서비스 타입에서 우선권이 높다면 자원 점유에 있어서 높은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비록 일반 대원이라 하더라도 현장에서 급박한 상황 전개 시 음성으로 신속히 상황 보고를 하기 위해 명령권 자에 우선하여 자원을 점유할 수 있도록 허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 예는 반드시 전술한 방법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설정 원칙에 의한 우선권들이 두 가지 이상 존재할 경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선행 우선권 순위를 미리 결정하고 hardcoded 방식으로 이들을 적용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 특정 데이터에 대해서는 예외 우선권을 부여하여 전술한 우선권 순위 결정 원칙을 무시하고 타 우선권에 항상 선행하도록 최우선 우선권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정 데이터는 서비스 타입이나 사용자 권한과는 별도로 매우 긴급한 위험 요소나 상황 전개를 구성원들에게 공유해야 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단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상기 예외 최우선 우선권을 설정할 수 있으며,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 중 상기 예외 최우선 우선권에 대응되는 시퀀스가 상기 특정 데이터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예외 최우선 우선권을 가진 단말은 현재 전송 중이 단말의 channel sensing 신호로부터 어떤 단계의 우선권이 검출되는가에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자원 양보 요청용 자원을 통해 자신의 channel sensing 신호를 전송하여 자원 양보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전송 중인 단말은 상기 예외 최우선 우선권에 대응되는 시퀀스가 미리 설정된 자원 양보 요청용 자원에서 검출되면 자신의 우선권과 비교를 생략하고 무조건 현재 전송을 종료한 뒤 자원을 양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2D 송신 및 수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송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수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은 제어 부(500) 및 통신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 단말의 제어 부(500)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송신 단말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송신 단말의 제어 부(500)는 현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우선권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부(500)는 상기 우선권 정보를 channel sensing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통신부(502)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신 단말은 channel sensing 신호 생성 부(5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hannel sensing 신호 생성 부(501)는 상기 제어 부(500)의 제어 하에 우선권 정보를 기반으로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송신 단말이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최우선 우선권을 갖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 부(501)는 상기 송신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최우선 우선권을 갖는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부(501)는 상기 최우선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channel sensing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단말의 통신부(502)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502)는 생성된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를 데이터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502)는 실시 예에 따라, D2D 전송 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전송 부(502)는 생성된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를 channel sensing 신호 전송 자원에 실어 데이터 채널과 함께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고하면, 수신 단말은 제어 부(505) 및 통신부(503, 50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D2D 수신 부(503) 및 D2D 전송 부(50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 단말의 제어 부(505)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수신 단말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부(505)는 상기 D2D 수신 부(503)를 제어하여 송신 단말이 전송한 D2D 신호를 수신하여, channel sensing 신호를 분리하고, channel sensing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송신 단말의 우선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부(505)는 수신 단말 자신의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를 생성하고, D2D 전송 부(507)는 생성된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hannel sensing 신호는 송신 단말에게 전송 자원 양보를 요청하는 자원 양보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 단말의 통신부(503, 507)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503, 507)는 송신 단말이 전송한 D2D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생성된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를 channel sensing 신호 전송 자원에 실어 상기 데이터 채널과 함께 다중화 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신 단말은 상기 제어 부(505)와 별도로, channel sensing 신호 검출 부(504) 및 channel sensing 신호 생성 부 (5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 단말의 D2D 수신 부(503)는 상기 송신 단말이 전송한 D2D 신호를 수신하여 channel sensing 신호를 분리한다. Channel sensing 신호 검출 부(504)는 상기 channel sensing 신호를 검출을 수행하고 그 결과로 획득한 우선권 정보를 제어 부(505)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channel sensing 신호는 현재 데이터 전송 중인 단말로부터 수신한 것이거나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양보 요청용 자원을 통해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제어 부(505)는 수신 단말 자신의 우선권 정보를 기반으로 channel sensing 신호 생성 부(506)에서 상기 우선권 정보를 포함하는 channel sensing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수신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최우선 우선권을 갖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 부(505)는 상기 수신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최우선 우선권을 갖는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부(505)는 상기 최우선 우선권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부(505)는 수신된 channel sensing 신호의 우선권 정보 및 channel sensing 신호가 수신된 자원을 기반으로, D2D 전송 부(507)의 데이터 전송 및 자원 양보 요청 신호 전송 동작을 제어한다. D2D 전송 부(507)는 상기 제어 부(505)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channel sensing 신호 시퀀스를 channel sensing 신호 전송 자원에 실어 데이터 채널과 함께 다중화 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부(505)는 channel sensing 결과에 기반하여 D2D 수신 부(503)의 데이터 디코딩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 예는 3GPP LTE 상향링크 기반 전송 방식이 적용된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전송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50: 단말 A 260: 단말 B
270: 단말 C 500: 제어부
502: 통신부 505: 제어부
503, 507: 통신부

Claims (20)

  1. 송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 및 데이터에 관한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에 관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가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가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감지 신호는 제 1 심볼의 제 1 시퀀스 및 제 2 심볼의 제 2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심볼 및 상기 제 2 심볼은 동일한 시간 영역의 슬롯에 있고,
    상기 제 1 시퀀스는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시퀀스는 송신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는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최우선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
  6. 수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 정보에 관한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가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가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 정보에 관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랜덤한 시간 동안 채널 감지를 수행하고,
    상기 채널 감지 신호는 제 1 심볼의 제 1 시퀀스 및 제 2 심볼의 제 2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심볼 및 상기 제 2 심볼은 동일한 시간 영역의 슬롯에 있고,
    상기 제 1 시퀀스는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시퀀스는 송신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는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
  9. 삭제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최우선 우선 순위를 갖는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단말의 단말 간 통신 방법.



  11.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송신 단말에 있어서,
    다른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 및 데이터에 관한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감지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에 관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가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지를 판단하고,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가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감지 신호는 제 1 심볼의 제 1 시퀀스 및 제 2 심볼의 제 2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심볼 및 상기 제 2 심볼은 동일한 시간 영역의 슬롯에 있고,
    상기 제 1 시퀀스는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시퀀스는 송신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단말.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단말.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는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단말.
  14. 삭제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최우선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단말.
  16.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수신 단말에 있어서,
    다른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 정보에 관한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가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가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 정보에 관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랜덤한 시간 동안 채널 감지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감지 신호는 제 1 심볼의 제 1 시퀀스 및 제 2 심볼의 제 2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심볼 및 상기 제 2 심볼은 동일한 시간 영역의 슬롯에 있고,
    상기 제 1 시퀀스는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시퀀스는 송신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단말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자원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단말.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의 우선 순위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의 우선 순위는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단말.
  19. 삭제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최우선 우선 순위를 갖는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 자원 양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단말.

KR1020130145622A 2013-11-27 2013-11-27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자원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118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622A KR102118412B1 (ko) 2013-11-27 2013-11-27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자원 운용 방법 및 장치
US15/039,981 US10321470B2 (en) 2013-11-27 2014-11-27 Method and apparatus for employing resource for device-to-device (D2D) wireless communication
PCT/KR2014/011477 WO2015080486A1 (ko) 2013-11-27 2014-11-27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자원 운용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622A KR102118412B1 (ko) 2013-11-27 2013-11-27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자원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462A KR20150061462A (ko) 2015-06-04
KR102118412B1 true KR102118412B1 (ko) 2020-06-03

Family

ID=5319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622A KR102118412B1 (ko) 2013-11-27 2013-11-27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자원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21470B2 (ko)
KR (1) KR102118412B1 (ko)
WO (1) WO2015080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1707B1 (en) * 2014-02-28 2022-03-30 Sony Group Corporation Terminal devices, methods and circuitries for the terminal devices to transmit or receive user plane data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10757664B2 (en) * 2015-05-14 2020-08-25 Apple Inc. Contention free physical uplink shared control channel (PUSCH) transmission using listen before talk
CN106686738A (zh) * 2015-11-05 2017-05-17 索尼公司 基站侧和用户设备侧的装置及方法、无线通信系统
WO2018023511A1 (en) * 2016-08-03 2018-02-08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Device-to-device transmission
US20180041863A1 (en) * 2016-08-05 2018-02-08 Zte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selection using sensing operation for vehicle-to-pedestrian communication
EP4255053A3 (en) 2016-08-09 2023-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hannel transmission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2355797B1 (ko) 2016-08-09 2022-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264595B2 (en) * 2016-12-21 2019-04-16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priority based silencing techniques for interference mitigation
EP3603227B1 (en) 2017-03-22 2023-06-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ynamic interference management in nr dynamic tdd systems
US10798734B2 (en) * 2017-03-28 2020-10-06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Technology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transmitting RACH preambl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171759B2 (en) * 2018-04-13 2021-11-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interference detection and management using ACK/NACK signals
US11638297B2 (en) * 2019-05-10 2023-04-25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network resource reservation
KR102329755B1 (ko) * 2020-04-10 2021-11-23 국방과학연구소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노드 단말 및 자원 재할당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7569A1 (en) * 2010-06-23 2011-12-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Network Coordination
US20130148566A1 (en) * 2010-09-14 2013-06-13 Nokia Corporation D2d communication procedures: beaconing; broadcast; conflict resolu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72256B (zh) * 2007-03-23 2011-07-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业务处理方法和系统、策略控制和计费规则功能实体
US9614641B2 (en) * 2010-05-12 2017-04-04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coordination for peer-to-peer groups through distributed negotiation
JP2013034165A (ja) 2011-06-27 2013-02-14 Ntt Docomo Inc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局
WO2013002688A1 (en) 2011-06-29 2013-01-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 user equipment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KR101857019B1 (ko) * 2011-08-29 201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 방법 및 장치
KR102036778B1 (ko) 2012-04-20 2019-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d2d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30122572A (ko) 2012-04-30 2013-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
KR102049047B1 (ko) * 2012-09-11 2020-0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간 직접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WO2015002432A1 (ko) * 2013-07-01 2015-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전송 방법 및 전송 장치
US10039135B2 (en) * 2013-11-01 2018-07-31 Huawei Device (Dongguan) Co., Ltd. Communication access method and user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7569A1 (en) * 2010-06-23 2011-12-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Network Coordination
US20130148566A1 (en) * 2010-09-14 2013-06-13 Nokia Corporation D2d communication procedures: beaconing; broadcast; conflict resol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21470B2 (en) 2019-06-11
WO2015080486A1 (ko) 2015-06-04
US20180199351A1 (en) 2018-07-12
KR20150061462A (ko)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412B1 (ko)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을 위한 자원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9417777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在选择时段中选择排除与在感测时段期间执行了传输的子帧有关的子帧之外的子帧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终端
KR102193118B1 (ko)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15061B1 (ko) 복수의 스케줄링 요청 트리거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796986B (zh) 一种d2d通信方法及设备
KR102032884B1 (ko)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134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시간 기준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7667564B (zh) 优先化消息的传输
EP3627939A1 (en)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access network device
KR102094190B1 (ko) 기기간 통신의 자원할당을 위한 분산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N10645318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210120605A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CN107006000B (zh) 用于传输消息的方法和用户设备
EP3001755B1 (en) Uplink resource alloc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s between user equipment within groups
EP27313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of uplink short latency communications
EP3767869B1 (en) Methods for efficient signaling in v2x communications
CN106332032B (zh) 车联网业务的处理方法及装置
EP3503640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KR20190107118A (ko) 사용되지 않은 장기간 ul 할당의 사용
WO2017133013A1 (zh) 一种传输控制信令的方法及设备
EP3484204B1 (en) Resource reserv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225585A (zh) 无线通信方法、无线通信设备和处理器可读存储介质
CN111432498B (zh) 一种车联网通信资源复用方法、装置和系统
CN108668373B (zh) 资源选择方法及装置
KR102359111B1 (ko)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 신호를 검출 및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