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388B1 - 골프클럽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골프클럽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388B1
KR102118388B1 KR1020190089716A KR20190089716A KR102118388B1 KR 102118388 B1 KR102118388 B1 KR 102118388B1 KR 1020190089716 A KR1020190089716 A KR 1020190089716A KR 20190089716 A KR20190089716 A KR 20190089716A KR 102118388 B1 KR102118388 B1 KR 10211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golf club
ground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979A (ko
Inventor
최영식
Original Assignee
최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식 filed Critical 최영식
Priority to KR102019008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3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10Stands for golf clubs, e.g. for use on the course ; Golf club holders, racks or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63B2207/0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골프클럽 거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 거치장치는, 골프클럽의 헤드를 지지하여 상기 골프클럽을 세워 임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헤드의 저면이 안착되기 위한 헤드 지지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면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는 상기 헤드 지지부에 안착되는 상기 헤드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되는 몸체; 및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에서 직하방으로 구비되는 지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면 고정부가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를 상기 헤드 지지부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으로 고정하여 상기 골프클럽을 임시로 세워 보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클럽 거치장치{STAND FOR GOLF CLUB}
본 발명은 골프클럽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된 후 골프클럽의 헤드를 지지하여 골프클럽의 직립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골프클럽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클럽은,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것으로, 공을 타격하는 타구면인 헤드(Head)부분과 막대부분인 샤프트(SHaft) 부분으로 나뉘어 지고, 헤드의 모양과 재질에 따라 우드(Wood), 아이언(Iron), 퍼터(Putter)등 세가지로 구분하며, 각기 다른 용도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우드는 골프공을 될수록 멀리 보내기 위한 클럽이고 아이언은 알맞는 거리에 따라 골라 쓰는 클럽이며, 퍼터는 스코어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클럽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린 위에 있는 골프공을 홀에 넣기 위한 클럽이다.
이와 같은 골프클럽은 골프백에 수납한 후 사용자가 휴대하여 경기에 임하거나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 연습을 하게 된다.
그러나, 경기나 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사용했던 골프클럽을 다시 골프백에 수납하고 다시 다른 골프클럽을 꺼내어 사용하게 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91335호(공고일 : 2012.10.16)에는 휴대용 골프클럽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 골프클럽 거치대는, 횡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된 3단의 돌출편(11, 11', 11")이 몸체(10) 전면에 마련되고, 상기 몸체(10) 배면에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막히며 양측에 걸림턱(12a)이 형성된 삽입홈(12)이 마련되며,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3단으로 마련된 돌출편(11, 11', 11") 중에서 1단돌출편(11)과 2단돌출편(11') 사이와 2단돌출편(11')과 3단돌출편(11") 사이 각각에 힌지(11a) 결합에 의해 회전되면서 중간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되는 굴곡부(21)가 형성된 지지바(2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10)의 삽입홈(12) 내에 탈착구(31) 또는 삼각대(32)가 장착된 분리 가능한 삽입편(30)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거치대에 의하면, 골프 연습 및 경기 중에서 골프클럽을 임시 보관할 때 골프클럽이 세워진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헤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시 사용할 골프클럽을 골프팩에 넣어 수납하고 다시 꺼내는 등의 불필요한 행위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거치대는, 여러 개의 골프클럽을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부피가 커짐으로써 휴대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치대는 자립이 곤란하여 별도의 삼각대를 결합시켜 사용하거나 골프백에 결합시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91335호(공고일 : 2012.10.16)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클럽의 헤드를 지지하여 골프클럽의 직립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골프클럽을 세워 임시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골프클럽의 헤드를 지지하여 상기 골프클럽을 세워 임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헤드의 저면이 안착되기 위한 헤드 지지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면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는 상기 헤드 지지부에 안착되는 상기 헤드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되는 몸체; 및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에서 직하방으로 구비되는 지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면 고정부가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를 상기 헤드 지지부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으로 고정하여 상기 골프클럽을 임시로 세워 보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거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일단이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면 한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반대쪽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 지지부 상면과의 사이에 상기 헤드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 지지부를 형성하는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일단이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면 한쪽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타단은 선택적으로 수평 회전하여 상기 헤드 지지부에 안착된 상기 헤드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헤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분할 구성되되, 일단이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면 한쪽에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일단이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면 반대쪽에 결합되는 제2 부재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2 부재의 서로 겹치는 각 단부영역은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삽입 지지부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의 상면에 헤드 지지부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지면에 삽입되는 지면 고정부가 형성됨으로써, 몸체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 지지부에 골프클럽의 헤드를 안착 고정시켜 골프클럽을 수직으로 세워 임시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골프 연습장이나 그린에서 골프클럽을 임시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저하게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골프클럽 거치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탈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5b,5c는 도 4에 도시된 지면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이탈방지수단을 이루는 이탈방지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골프클럽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 거치장치(100)는, 골프 연습장이나 골프장에서 골프클럽(200)의 헤드(210)를 지지하여 골프클럽(200)을 세워 임시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헤드(210)와 결합되어 헤드(210)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헤드 지지부(122)가 상면에 형성된 몸체(120)를 포함한다. 지면에 밀착되거나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몸체(120)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면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골프클럽 거치장치(100)는, 지면 고정부(130)의 삽입부재(132)가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 지지부(122)에 골프클럽(200)의 헤드(210)를 고정 시킴으로써 골프클럽(200)을 임시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 거치장치(100)는, 헤드(210)의 저면이 안착되기 위한 헤드 지지부(122)가 상면에 형성되고, 헤드 지지부(122)의 상면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는 헤드 지지부(122)에 안착되는 헤드(210)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헤드 지지부(122)의 상면 한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반대쪽에 결합되어 헤드 지지부(122) 상면과의 사이에 헤드(210)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 지지부(280A)를 형성하는 이탈방지부재(280)를 갖는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되는 몸체(120)와,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몸체(120)의 저면에서 직하방으로 구비되는 지면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몸체(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나비를 포함한 다양한 곤충, 동물, 사물들 또는 다양한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골프클럽 거치장치(100)는, 지면 고정부(130)의 삽입부재(132)가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210)를 헤드 지지부(122)에 안착시키면서 헤드(210)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헤드(210)의 일부를 삽입 지지부(280A)에 삽입하면, 헤드(210)가 고정되므로 골프클럽(200)은 직립(세워짐)하게 되기 때문에 골프클럽(200)을 임시로 세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이탈방지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은, 일단이 헤드 지지부(122)의 상면 한쪽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타단은 선택적으로 수평 회전하여 헤드 지지부(122)에 안착된 헤드(21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헤드(2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29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헤드(210)가 헤드 지지부(1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탈방지편(290)을 헤드(210) 쪽으로 회전시켜 헤드(21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헤드(210)가 몸체(12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골프클럽(200)은 세워진 상태로 임시로 보관될 수 있게 된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 거치장치는, 헤드(210)와 결합되어 헤드(210)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헤드 지지부(122)가 상면에 형성된 몸체(100)와, 지면에 밀착되거나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몸체(100)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면 고정부(130)를 포함하고, 헤드 지지부(122)는, 헤드(210)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헤드(210)의 외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헤드(210)를 고정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은 일단이 몸체(120)의 상면 한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반대쪽에 결합되어 헤드 지지부(122) 상면과의 사이에 헤드(210)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 지지부(322)를 형성하는 이탈방지부재(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재(320)에 의해 삽입 지지부(322)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몸체(120)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210)의 일부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삽입 지지부(322)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헤드(2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재(320)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직물 또는 고무재질의 밴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이 없는 경질의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이탈방지편(290)이나 이탈방지부재(320)는 다양한 캐릭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5a,5b,5c는 도 4에 도시된 지면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a,5b,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고정부(130)를 이루는 삽입부재(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가 뾰족한 원형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지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면방향으로의 저항이 발생되도록 원형, 원호형, "+"형,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평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삽입부재(132)가 원호형, "+"형, 다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지면에 삽입되었을 때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는 몸체(120)가 안정적으로 지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특히 헤드 지지부(122)에 헤드(210)가 결합되었을 때 골프클럽(200)이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탈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몸체(120)의 상면 즉, 헤드 지지부(122)의 한쪽에 헤드(21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헤드 삽입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헤드 삽입부를 헤드 지지부(122)의 상면 한쪽에 형성함으로써 몸체(120)에 별도의 부품을 부착하지 않아도 헤드(210)의 일부를 삽입하여 헤드(2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이탈방지수단을 이루는 이탈방지부재(320,28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이탈방지부재(320,280)의 다른 예는, 헤드(210)의 일부가 삽입되었을 때 이를 지지하기 위한 삽입 지지부(322,280A)를 형성하는 이탈방지부재(320,280)가 분할 구성되는 것이다. 즉, 분할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부재(320,280)는, 일단이 헤드 지지부(122)의 상면 한쪽에 결합되는 제1 부재(A)와, 일단이 헤드 지지부(122)의 상면 반대쪽에 결합되는 제2 부재(B)로 분할 구성되고, 제1,2 부재(A,B)의 서로 겹치는 각 단부영역은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결합수단(C)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헤드(210)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 지지부(280A)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이탈방지부재(280)의 각 일단이 헤드 지지부(122)의 상면 양쪽(또는 안착돌부가 구비된 경우에는 몸체의 양쪽에 형성된 각 안착돌부)에 나사, 볼트, 접착제 또는 리벳 등에 의해 고정되고, 각 단부영역에는 전술한 결합수단(C)이 구비되기 때문에, 결합수단(C)을 이용하여 각 단부영역을 결합하는 부위를 달리 함으로써 이탈방지부재(320,280)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 지지부(322,280A)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지지부(322,280A)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헤드(210)가 적용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골프클럽 거치장치
120 : 몸체 122 : 헤드 지지부
127 : 결합단 128 : 공구 결합돌기
130 : 지면 고정부 132 : 삽입부재
200 : 골프클럽 210 : 헤드
280 : 이탈방지부재 280A : 삽입 지지부
290 : 이탈방지편

Claims (7)

  1. 삭제
  2. 골프클럽의 헤드를 지지하여 상기 골프클럽을 세워 임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헤드와 결합되어 상기 헤드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헤드 지지부가 상면에 형성된 몸체; 및 지면에 밀착되거나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헤드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헤드의 외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 지지부에는,
    상기 헤드 지지부에 상기 헤드가 안착되었을 때 상기 헤드가 상기 헤드 지지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일단이 상기 몸체의 상면 한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반대쪽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 지지부 상면과의 사이에 상기 헤드의 일부가 수평 이동하여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 지지부를 형성하는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분할 구성되되, 일단이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면 한쪽에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일단이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면 반대쪽에 결합되는 제2 부재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2 부재의 서로 겹치는 각 단부영역은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삽입 지지부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거치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을 갖는 밴드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거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고정부는,
    지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저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끼움 또는 체결되어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삽입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지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저항이 발생되도록 원형, 원호형, "+"형,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평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 거치장치.
KR1020190089716A 2019-07-24 2019-07-24 골프클럽 거치장치 KR10211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716A KR102118388B1 (ko) 2019-07-24 2019-07-24 골프클럽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716A KR102118388B1 (ko) 2019-07-24 2019-07-24 골프클럽 거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119A Division KR102040806B1 (ko) 2018-07-17 2018-07-17 골프클럽 거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439A Division KR102118383B1 (ko) 2019-10-02 2019-10-02 골프클럽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979A KR20200008979A (ko) 2020-01-29
KR102118388B1 true KR102118388B1 (ko) 2020-06-03

Family

ID=6932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716A KR102118388B1 (ko) 2019-07-24 2019-07-24 골프클럽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38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646A (en) 1974-01-18 1975-02-18 William Kenningale Nevard Golf club carrier
US4805911A (en) 1987-07-01 1989-02-21 Ferlazzo Anthony P Golf club stand hidable in handle
US4953867A (en) 1988-10-31 1990-09-04 Rigsby Bill B Golfer's training aid
US20100130301A1 (en) 2008-11-25 2010-05-27 Melissa Olson Stand for golf clubs
US7841951B1 (en) 2007-12-23 2010-11-30 Schiltz Terry W Golf club support requiring no bending or stooping and method of merchandising
US20160038807A1 (en) 2013-11-06 2016-02-11 PutterUp, LLC Combined golf club head cover and stand
US20160184675A1 (en) 2012-06-05 2016-06-30 Sykes Incorporated Llc Golf caddy
KR101659061B1 (ko) 2016-05-09 2016-09-22 김용상 골프 타격방향 제시용 레이저 포인터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740A (ja) * 1997-06-23 1999-01-19 Taylor Made Golf Co Inc パターファミリー選択用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およびパター選択方法
US5782443A (en) * 1997-08-15 1998-07-21 La Fontaine; Judd Stand for supporting a golf club in a highly visible position when not in use
KR20040026023A (ko) * 2002-09-17 2004-03-27 (주)리더테크 골프 티
KR20120082679A (ko) * 2011-01-14 2012-07-24 양회창 골프클럽 지지 및 골프백 수납 장치
KR101191335B1 (ko) 2011-03-29 2012-10-16 강민수 휴대용 골프 클럽 거치대
KR20140100687A (ko) * 2013-02-07 2014-08-18 강광현 퍼팅라인 조절 및 퍼팅거리 조절기능을 가지는 퍼터
KR101828465B1 (ko) * 2016-07-27 2018-03-29 최용식 연습용 골프 퍼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646A (en) 1974-01-18 1975-02-18 William Kenningale Nevard Golf club carrier
US4805911A (en) 1987-07-01 1989-02-21 Ferlazzo Anthony P Golf club stand hidable in handle
US4953867A (en) 1988-10-31 1990-09-04 Rigsby Bill B Golfer's training aid
US7841951B1 (en) 2007-12-23 2010-11-30 Schiltz Terry W Golf club support requiring no bending or stooping and method of merchandising
US20100130301A1 (en) 2008-11-25 2010-05-27 Melissa Olson Stand for golf clubs
US20160184675A1 (en) 2012-06-05 2016-06-30 Sykes Incorporated Llc Golf caddy
US20160038807A1 (en) 2013-11-06 2016-02-11 PutterUp, LLC Combined golf club head cover and stand
KR101659061B1 (ko) 2016-05-09 2016-09-22 김용상 골프 타격방향 제시용 레이저 포인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979A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416B2 (en) Golf range tee
US6159108A (en) Golf ball placement device
US5417334A (en) Golf club rack
US7686702B2 (en) Golf ball restraining apparatus
US7645202B2 (en) Golf tee
US6312345B1 (en) Golf practice platform for a variety of golf shots
US10183207B2 (en) Interchangeable sports ball kicking training apparatus
US6428422B1 (en) Golf club holder
KR102118388B1 (ko) 골프클럽 거치장치
KR102118383B1 (ko) 골프클럽 거치장치
KR101931575B1 (ko) 다양한 높이로 골프공을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골프티
US5810299A (en) Golf bag support stand
US20180169493A1 (en) Practice hitting tee
KR101612731B1 (ko) 골프 연습기
US6964618B2 (en) Golf club shaft support
KR101845207B1 (ko) 수직 보정이 용이한 골프티
US20110034267A1 (en) Combination putter and chipper golf club
US7384353B2 (en) High performance flexible golf ball tee apparatus
US5320355A (en) Putting guide
KR101320547B1 (ko) 회전형 골프클럽 및 골프백 보관 장치
KR102040814B1 (ko) 골프클럽 거치장치
US6991557B2 (en) Golf ball retrieval and ball mark repair tool
KR102040806B1 (ko) 골프클럽 거치장치
KR102040816B1 (ko) 골프클럽 거치장치
US6171201B1 (en) Golf swing align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