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552B1 -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 - Google Patents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7552B1 KR102117552B1 KR1020190149250A KR20190149250A KR102117552B1 KR 102117552 B1 KR102117552 B1 KR 102117552B1 KR 1020190149250 A KR1020190149250 A KR 1020190149250A KR 20190149250 A KR20190149250 A KR 20190149250A KR 102117552 B1 KR102117552 B1 KR 1021175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ft ground
- cement
- weight
- low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09K17/42—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 C09K17/44—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the inorganic compound being ce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04—Bentonite, e.g. montmorillon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61—Ashes from fluidised bed furna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4—Slags from the production of specific metals other than iron or of specific alloys, e.g. ferrochrome sla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0—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in the an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10—Accelerators; Activators
- C04B2103/14—Hardening accelera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20—Retard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3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soil stabil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10—Compositions or ingredien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bsence or the very low content of a specific materi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분탄 보일러 플라이애시 10 내지 25 중량%;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 7 내지 25 중량%; 제지슬러지 소각재 10 내지 25 중량%; 고로슬래그, 페로니켈 슬래그, 석탄가스화 복합슬래그 및 이들의 혼합 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슬래그 5 내지 35 중량%; 석고 5 내지 10 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CSA계 시멘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시멘트 5 내지 30 중량%; 벤토나이트 1 내지 7 중량%; 지연제 0.01 내지 0.2 중량%; 경화 촉진제 0.01 내지 0.2 중량%; 및 혼화제 0.01 내지 0.2 중량%;를 포함하여, 산업계에서 발생되는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을 활용하고 시멘트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인 동시에 개선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업계에서 발생되는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을 활용하고 시멘트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인 동시에 개선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 강화를 위한 고화재는 시멘트계 재료를 바인더로 사용하는데, 수분함유율이 높은 연약지반의 고화는 목표강도수준의 확보를 위해 많은 양의 바인더 사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약지반 강화에 사용되는 시멘트계 고화재는 1975년대로 일본의 시멘트 회사에서 지반개량용, 강호수 퇴적물이나 오니의 고화용, 산업페기물 처리용 등 여러 종류의 고화용 특수 시멘트를 개발하여 시판하였다. 이와 같은, 특수 시멘트는 경제적인 고화처리를 위해 유효성분을 첨가하거나 조성을 조정한 시멘트 클링커를 사용하였으며, 분말도를 조정하는 등 여러 가지 변형을 주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시멘트를 모체로 하기 때문에 통칭해서 시멘트계 고화재로 불리게 되었다. 또한, 생석회를 모재로 하는 경우엔 석회계 고화재, 생석회와 시멘트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생석회(CaO) 복합 고화재 라고도 일컫는다.
최근에는 고함수 및 유기질 토양 등에 일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로는 지반개량이 어려운 것을 개선하기 위해 포졸란(pozzolan) 물질, 무수석고,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계(calcium sulfoaluminate system) 화합물 등을 혼합하여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강도증진 및 팽창저감 효과를 발휘하여 보다 지반 개량에 효과적인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6222호에서는 연약지반 개량용 기능성 고화재를 제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60~65중량%의 포틀랜드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석탄회 미분말, 화산재, 왕겨재, 규조토, 실리카흄 및 제올라이트 중의 하나인 10~15중량%의 포졸란물질과, CSA(Calcium Sulfo-Aluminate)와 석고 또는 CSA와 알루미나시멘트 중의 하나인 10~15중량%의 조강제와, 멜라민계, 나프탈렌계, 카르복실계 분산제 중의 하나인 10~15중량%의 분산제로 구성되고, 4,000cm2/g의 분말도를 가진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시멘트를 모체로 사용한 것으로, 이러한 시멘트는 천연 석회석을 소성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제조과정에서 CO2를 다량으로 배출하고, 그 성분상에는 환경에 유해한 6가 크롬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시멘트를 다량 사용할 경우에는 지반의 강알칼리 및 6가 크롬에 의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고 수화반응 진행 시 과도한 체적 수축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시멘트의 수화반응으로 인해 생성된 수산화칼슘(CaOH)2)이 연약층의 pH에 영향을 주어 2차적인 고화에 영향을 주거나 지반수의 pH가 높여 환경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시멘트 대신 슬래그를 대량 치환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초기강도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강도와 내구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이 경우 초기강도 개선을 위해 알칼리 자극제나 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토양과 혼합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유동성이 저하되어 작업이 어렵게 되므로 촉진제 사용에도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초기강도 향상, 과다한 물 혼합에도 경화 후 물리성능 확보, 주변 잔존수와의 접촉으로 인한 환경(토양, 수질)오염 최소화 등에 유리한 새로운 고화소재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산업계에서 발생되는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을 활용하고 시멘트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시멘트의 소성에 따른 CO2 발생량을 대폭 저감하고, 중금속 용출을 극소화하여 친환경적인 동시에 개선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미분탄 보일러 플라이애시 10 내지 25 중량%;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 7 내지 25 중량%; 제지슬러지 소각재 10 내지 25 중량%; 고로슬래그, 페로니켈 슬래그, 석탄가스화 복합슬래그 및 이들의 혼합 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슬래그 5 내지 35 중량%; 석고 5 내지 10 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CSA계 시멘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시멘트 5 내지 30 중량%; 벤토나이트 1 내지 7 중량%; 지연제 0.01 내지 0.2 중량%; 경화 촉진제 0.01 내지 0.2 중량%; 및 혼화제 0.01 내지 0.2 중량%;를 포함하는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SO3의 함량이 4.0 내지 8.5 중량%이고, CaO의 함량이 23 내지 55 중량%인 것이고; 상기 슬래그는 고로슬래그, 페로니켈 슬래그 및 석탄가스화 복합슬래그 2: 1: 1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연제는 무수 구연산, 함수 구연산, 붕산, 타르타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경화촉진제는 리튬카보네이트, 탄산나트륨, 포름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지연제 및 경화촉진제는 1차 혼합한 후,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실리케이트, 소듐실리케이트 및 칼슘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실리케이트 혼합물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CaCl2ㆍ6H2O, Na2SO4ㆍ10H2O, Na2HPO4ㆍ12H2O, CaBr2ㆍ6H2O, ZnSO4ㆍ7H2O, Fe(NO3)2ㆍ6H2O, Ba(OH)2ㆍ8H2O, Sr(OH)2ㆍ8H2O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서 산화성 물질을 방출하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주석, 황화아연, 산화텅스텐, 영가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0.5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티탄산바륨칼슘(BaCaTiO3)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연약지반의 토양과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을 굴착 및 혼합하여 연약지반을 강화하는 연약지반 처리공법에 있어서, 상기 연약지반 토양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10 내지 50 중량부 및 물 3 내지 30 중량부를 굴착 및 혼합하여, 연약지반을 강화하는 연약지반 처리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산업계에서 발생되는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을 활용하고 시멘트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시멘트의 소성에 따른 CO2 발생량을 대폭 저감하고, 중금속 용출을 극소화하여 친환경성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유동성 및 토양과의 혼합성, 압축강도발현이 우수하여 기계부하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로써,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연약지반 처리공법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5에 따른 고화토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교예 3에 따른 고화토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교예 3에 따른 고화토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미분탄 보일러 플라이애시 10 내지 25 중량%;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 7 내지 25 중량%; 제지슬러지 소각재 10 내지 25 중량%; 고로슬래그, 페로니켈 슬래그, 석탄가스화 복합슬래그 및 이들의 혼합 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슬래그 5 내지 35 중량%; 석고 5 내지 10 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CSA계 시멘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시멘트 5 내지 30 중량%; 벤토나이트 1 내지 7 중량%; 지연제 0.01 내지 0.2 중량%; 경화 촉진제 0.01 내지 0.2 중량%; 및 혼화제 0.01 내지 0.2 중량%;를 포함하는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산업계에서 발생되는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을 활용함으로써, 시멘트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시멘트의 소성에 따른 CO2 발생량을 대폭 저감하고, 중금속 용출을 극소화하여 친환경성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사용되는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은 산화칼슘을 다량 함유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산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흡수, 발열 및 팽창하여 수산화칼슘이 된다. 이에 대한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CaO+ H2O → Ca(OH)2+156 mol-1
위와 같이 산화칼슘이 다량 함유된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은 흡수, 발열 및 팽창 특성이 있어 콘크리트 혼화재료로는 활용이 불가능하며, 한국산업규격(KS)에서도 산화칼슘 함량이 높은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에 대한 규격이 제정되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산화칼슘이 다량 함유된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은 위의 반응으로 수산화칼슘이 생성되면서 강화시키고자 하는 연약지반 토양의 수분이 저감되어 조기강도를 확보하는데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위의 반응으로 발생되는 열이 연약지반 토양의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으로서, 미분탄 보일러 플라이애시;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 제지슬러지 소각재; 고로슬래그, 페로니켈 슬래그, 석탄가스화 복합슬래그 및 이들의 혼합 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슬래그를 활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에, 석고;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CSA계 시멘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시멘트; 벤토나이트; 지연제; 경화 촉진제; 및 혼화제와 함께 혼합되어, 유동성 및 토양과의 혼합성, 압축강도발현이 매우 우수하여 기계부하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이 뛰어난 효과를 더욱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연약지반 처리공법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먼저, 미분탄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화력발전소 미분탄 보일러(Pulverized Combustion)에서 배출되는 석탄 연소 부산물 중 약 80%를 차지하고 있는 플라이애시로서, 본 발명에서는 1300 내지 1800 ℃의 고온에서 연소하고, 별도의 탈황장치를 구비한 화력발전소 미분탄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석탄 연소 부산물 중 굴뚝을 통해 확산되는 미립자를 전기집진지로 포집하여 하부 호퍼(hopper)에 모이는 플라이애시를 활용한다. 이로써, 산업계에서 발생되는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을 적극 활용하여 시멘트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시멘트의 소성에 따른 CO2 발생량을 대폭 저감하고, 중금속 용출을 극소화하여 친환경성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미분탄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고온에서 연소될 때 유리질(비결정질) 성분이 생성되어 포졸란 반응성을 나타내고, 입자가 구형이기 때문에 유동성이 개선되어 작업성을 개선하고, 연약지반의 강도 및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팽창, 풍화, 균열 등의 문제점을 매우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미분탄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CaO의 함량이 2 내지 20 중량%이고, 4000 cm2/g 내지 5000 cm2/g의 분말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미분탄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상기한 개선 효과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10 내지 25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서 공기와 석회를 동시에 주입하여 지속적으로 열을 순환시키면서, 석탄, 페트로코크스, 바이오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연료를 750 내지 950 ℃의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완전 연소하는 공정을 통해 배출되는 플라이애시이다. 이러한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다량의 CaO, CaSO4, SO3, f-CaO가 함유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SO3의 함량이 4.0 중량% 이상이고, CaO의 함량이 23 중량% 이상인 것을 사용하여, 기존 시멘트계 고화재와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고가의 생석회나 천연 무수석고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충분한 상호작용으로 연약지반의 강도 및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SO3의 함량이 4.0 내지 8.5 중량%이고, CaO의 함량이 23 내지 55 중량%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4000 cm2/g 내지 5000 cm2/g의 분말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 및 물과 충분한 혼합 및 상호작용으로, 조강효과 및 수축저감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상기한 효과 및 작업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7 내지 25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연약지반의 강도 및 내구성능을 고려하여, 7 내지 14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제지공정에서 단계별로 발생되는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제지슬러지는 모두 소각처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처리해야할 양이 상당히 많고, 이러한 슬러지의 소각처리시 발생하는 제지슬러지 소각재는 국내 산업에서 발생하는 산업부산물로서 연간 80만톤 이상에 달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은 탈수하여 소각한 후 그 소각재(paper ash: PA)는 매립하여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제지슬러지 소각재를 매립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매립지 확보 문제, 침출수 등에 의한 이차적인 오염 문제 등으로 인하여 이의 재활용 방안의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제지슬러지 소각재는 종이제조공정 중 펄프의 사용량을 줄이고 종이의 품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충진제(Filler)로 석회석 미분말을 사용하게 되는데 잉여 석회석 미분말이 슬러지형태로 배출된 것을 보일러에서 소각하는 과정에서 석회석이 탈탄산된 산화칼슘의 함량이 높은 소각재가 발생하게 되어, 고가의 생석회나 천연 무수석고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량의 SiO2, Al2O3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충분한 상호작용으로 연약지반의 강도 및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제지슬러지 소각재는 SiO2의 함량이 40 내지 60 중량%이고, Al2O3의 함량이 25 내지 45 중량%이고, CaO의 함량이 1 내지 15 중량%이고, 3000 cm2/g 내지 5000 cm2/g의 분말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제지슬러지 소각재는 상기한 개선 효과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10 내지 25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슬래그는 무수석고(CaSO4)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으로서, 무수석고(CaSO4) 성분은 다량의 에트링자이트(Ettringite)의 침상결정을 생성하는데 기여한다. 여기서 에트링자이트는 다량의 물을 결합수로써 흡수하여 함수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고화토 내 토립자의 이동을 구속하여 고화되기 쉬운 상태를 만드는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함수비가 높거나 유기질이 많은 토양에서도 연약지반을 강화하기 위한 고화재로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슬래그의 주성분이 CaO, SiO2, Al2O3로 이루어져 있고, 에트링자이트 수화물의 주성분이 CaO, SO3, Al2O3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에트링자이트 수화물의 생성량을 늘리기 위해 부족한 Al2O3 성분을 상기 슬래그가 보충해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즉, 상기 미분탄 보일러 플라이애시 및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는 Al2O3 성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슬래그가 상기 제지슬러지 소각재와 함께 Al2O3 성분을 보충하여 에트링자이트 수화물의 생성량을 늘림으로써 연약지반의 함수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고화토 내 토립자의 이동을 구속하여 연약지반의 압축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슬래그로는 철강 속의 불순물과 코크스의 재, 석회석이 반응하여 생긴 용융물인 고로슬래그, 페로니켈 슬래그, 석탄가스화 복합슬래그 및 이들의 혼합 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슬래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래그는 SiO2의 함량이 40 내지 60 중량%이고, Al2O3의 함량이 1 내지 30 중량%이고, CaO의 함량이 20 내지 50 중량%이고, 3000 cm2/g 내지 5000 cm2/g의 분말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래그는 고로슬래그, 페로니켈 슬래그 및 석탄가스화 복합슬래그 2: 1: 1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함수비를 보다 획기적으로 낮추어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슬래그는 상기한 개선 효과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5 내지 35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실리케이트, 소듐실리케이트 및 칼슘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실리케이트 혼합물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여, 연약지반의 토양과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을 굴착 및 혼합할 때,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의 연약지반의 토양으로의 침투효과를 증진시키고, 시공 후 알칼리의 용출을 최소화하여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약지반의 강화처리가 완료된 지반의 수축이 거의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압축강도도 높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은 압축 강도가 잘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실리케이트 혼합물은 실리케이트, 소듐실리케이트 및 칼슘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2: 2: 1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급냉시켜, 2000 cm2/g 내지 3500 cm2/g의 분말도로 분말화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미분탄 보일러 플라이애시 및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의 부족한 Al2O3 성분을 상기 슬래그 및 제지슬러지 소각재가 보충하는 것을 상기 실리케이트 혼합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도와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석고는 고함수 토양에서 초기 수분탈수와 강알칼리 자극제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의 유동성 향상 및 압축강도 발현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석고는 SO3의 함량이 1 내지 30 중량%이고, CaO의 함량이 50 내지 90 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석고는 천연 무수석고, 페트로코크스 탈황석고, 불산 부산석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석고는 상기한 개선 효과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5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시멘트는 최소한의 양으로, 물과 반응에 의해 Ca(OH)2의 생성량을 증진시키고, 생성된 Ca(OH)2가 상기 순환자원(산업 부산물)들의 자극제 역할을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고화재의 양생 시 속경성 특성을 부여하고, 에트링자이트의 생성량 증가와 장기 강도 발현을 개선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시멘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CSA계 시멘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00 cm2/g 내지 5,000 cm2/g의 분말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시멘트는 상기한 개선 효과 및 친환경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5 내지 30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벤토나이트는 수분보유(고정) 특성이 우수하여, 최소한의 양으로도 윤활성, 미장성, 응집성, 재료의 분리방지효과 및 증점효과를 부여하여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연약지반 강화 처리된 지반의 수축에 의한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벤토나이트는 나트륨벤토나이트, 칼슘벤토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벤토나이트는 상기한 개선 효과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1 내지 7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CaCl2ㆍ6H2O, Na2SO4ㆍ10H2O, Na2HPO4ㆍ12H2O, CaBr2ㆍ6H2O, ZnSO4ㆍ7H2O, Fe(NO3)2ㆍ6H2O, Ba(OH)2ㆍ8H2O, Sr(OH)2ㆍ8H2O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여, 상기 벤토나이트의 수분보유(고정) 특성을 더욱 개선시킴으로써, 상기 고가의 벤토나이트의 사용을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윤활성, 미장성, 응집성, 재료의 분리방지효과 및 증점효과를 부여하여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연약지반 강화 처리된 지반의 수축에 의한 균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CaCl2ㆍ6H2O, Na2SO4ㆍ10H2O, Na2HPO4ㆍ12H2O, CaBr2ㆍ6H2O, ZnSO4ㆍ7H2O, Fe(NO3)2ㆍ6H2O, Ba(OH)2ㆍ8H2O, Sr(OH)2ㆍ8H2O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함으로써, 잠열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바, 연약지반 강화 처리된 지반에서의 열섬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Na2HPO4ㆍ12H2O, CaBr2ㆍ6H2O, ZnSO4ㆍ7H2O, Fe(NO3)2ㆍ6H2O, Ba(OH)2ㆍ8H2O, Sr(OH)2ㆍ8H2O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특히 Na2HPO4ㆍ12H2O 및 Ba(OH)2ㆍ8H2O을 1: 1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연제는 일정 시간 동안 작업성을 확보하고, 급격하게 경화되는 것을 지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경화 촉진제는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이 물과 접촉한 경우, 반응 속도가 빨라지게 함으로써, 압축강도를 수시간 내에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지연제 및 경화촉진제는 1차 혼합한 후,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2차 혼합하여, 보다 용이하게 작업성 및 압축강도를 원하는 시간내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지연제는 무수 구연산, 함수 구연산, 붕산, 타르타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경화촉진제는 리튬카보네이트, 탄산나트륨, 포름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제는 상기한 개선 효과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0.01 내지 0.2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경화 촉진제는 상기한 개선 효과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0.01 내지 0.2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연제 및 경화촉진제를 1차 혼합할 때,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서 산화성 물질을 방출하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주석, 황화아연, 산화텅스텐, 영가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욱 함께 혼합하여, 용이하게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의 적합한 점도와 경도를 부여할 수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약지반의 표면경화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표면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가전자대에서 여기되어 전도대로 여기된 전자들이 가전자대의 정공에 이른 시간 내에 재결합되는 것을 억제하여 광화학 반응의 활성점을 최대로 지속시킴으로써 적은 양의 자외선 에너지량에서 광화학 반응이 충분함은 물론 금속이온에 의한 악취물질의 분해와 미생물의 살균메커니즘에 의해 더욱 우수한 탈취효과, 방호효과 및 살균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서 산화성 물질을 방출하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주석, 황화아연, 산화텅스텐, 영가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은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0.5 내지 5 중량%로 더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산화아연; 또는 산화아연 및 산화철이 1:1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연약지반의 강도 및 내구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여, 용이한 점도 조절, 접착강도 및 내화학성을 매우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재료분리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티탄산바륨칼슘(BaCaTiO3)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여, 작업성 및 압축강도를 원하는 시간내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티탄산바륨칼슘은 평균 입경이 0.019 내지 0.025 ㎛이고, 비표면적이 30 내지 100 m2/g이고, (Ba+Ca)/Ti 몰비가 0.994 내지 1.004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티탄산바륨칼슘(BaCaTiO3)의 함량이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많으면, 너무 많으면,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고, 상기한 함량 범위보다 너무 적으면, 상기한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는 유동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액상 또는 분말형 유동화 혼화제; 수중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중 불분리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혼화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동화 혼화제로는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아민계, 리그닌계, 폴리 카르본산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수중 불분리제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HE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에틸 하이드록시틸 셀룰로오즈(EHEC), 폴리 아크릴계, 다당체(POLY SACCARIDE), 하이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HEMC), 폴리 에틸렌 옥시드(PEO)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혼화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0.01 내지 0.2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는 바, 상기 혼화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점성이 과도해져 작업성이 저하되고, 시멘트의 침강이 이루어지지 않아 연약지반의 강도가 크게 감소하게 되고,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제성 면에서도 불리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혼화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약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산업계에서 발생되는 순환자원(산업 부산물)을 활용하고 시멘트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시멘트의 소성에 따른 CO2 발생량을 대폭 저감하고, 중금속 용출을 극소화하여 친환경성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유동성 및 토양과의 혼합성, 압축강도발현이 우수하여 기계부하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로써,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연약지반 처리공법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연약지반의 토양과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을 굴착 및 혼합하여 연약지반을 강화하는 연약지반 처리공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약지반 처리공법은 상기 연약지반 토양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10 내지 50 중량부 및 물 3 내지 30 중량부를 굴착 및 혼합하여, 연약지반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연약지반 토양으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예를들면 점성토, 사질토, 이암층, 실트층, 유기질토 및 이들의 혼합 토양에 매우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처리공법은 특별한 제한을 받지 아니하며, 상기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연약지반을 강화시키는 공법이 본 발명의 연약지반 처리공법에 해당된다.
이러한 연약지반 처리공법의 예를 들면, 연약지반의 표층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을 혼합하여 안정처리하고 중장비의 트래피커빌리티 확보, 저성토 기초, 도로노상부의 개량 등을 하는 표층혼합처리공법;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을 원위치 지반에 첨가하여 원위치에서 혼합하여 연약 지반을 주상, 괴상 또는 전면적으로 개량하려고 하는 심층혼합처리공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심층혼합처리공법은 1976년경부터 일본 운수성 항만기술연구소에 의해서 개발연구가 추진되었으며, 1970년대 중반에는 고화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DLM(deep mixing method) 공법, 슬러리계 기계교반혼합처리공법 CDM(cement deep mixing)등의 명칭으로 실용화되었다. 또한 DLM공법과 동시에 스웨덴에서는 Lime Column공법이 개발되었으며 이 공법은 고화재 조성물을 고압공기로 압송하여 지중에 공급하고 교반혼합하는 것으로서 현재도 일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심층혼합처리공법은 고화재 조성물의 차이, 고화재 조성물의 공급방법의 차이, 또는 혼합방법의 차이에 의해서 매우 많은 종류가 있으며 편의상 기계적 혼합처리방식으로 통합할 수 있다. 한편 기계적 혼합처리방식과 달리 약액주입공법을 발전시킨 분사혼합처리방식은 고압의 고화재 조성물을 분사하면서 분사공을 회전하여 제트에 의한 흙과 고화재 조성물의 혼합을 기대하는 공법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비교예 1]
천연토사(사질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0 중량부를 투입한 후 건식혼합을 실시하였다. 이후 30 중량부의 물을 추가 투입하여 다시 습식혼합한 후, 균질하게 혼합하여 고화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고화토를 Ø5cm×10cm 크기의 원형 몰드에 충진하여 압축강도 측정용 공시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2 내지 3]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에 따라, 각각의 원료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및 비교용 고화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천연토사(사질토)에, 상기 제조된 각각의 고화재 조성물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함량에 따라, 투입한 후 건식혼합을 실시하였다. 이후 하기 표 2에 나타낸 함량의 물을 추가 투입하여 다시 습식혼합한 후, 균질하게 혼합하여 고화토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조된 고화토 중 실시예 5 및 비교예 3에 따른 고화토의 이미지를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5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을 사용한 고화토의 경우, 고화토가 매우 잘 뭉쳐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3에 따른 비교용 고화재 조성물을 사용한 고화토의 경우에는 고화토가 거의 뭉쳐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2 내지 3에서 제조된 고화토를 Ø5cm×10cm 크기의 원형 몰드에 충진하여 압축강도 측정용 공시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공시체에 대하여, 압축강도 및 중금속 용출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때, 상기 압축강도 평가는 상기 각각의 공시체들을 20℃ 항온항습기에서 양생하여 재령 3일, 7일, 28일에, KS F 2343 일축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중금속 용출 여부의 평가는 상기 28일 압축강도 측정 후 일부를 채취하여, 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 따른 중금속 용출시험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각각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는 모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2와 거의 동등 수준 또는 그 이상의 초기 압축강도 및 장기 압축강도를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성능 발휘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3은 초기 압축강도 및 장기 압축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의 구성성분 및 함량 범위 내로 제조되는 경우에만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성능 발휘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허용기준치에는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6가 크롬의 경우 기준치의 50%를 상회하는 양이 용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두 6가 크롬 뿐만 아니라 모든 중금속이 불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 미분탄 보일러 플라이애시 10 내지 25 중량%;
SO3의 함량이 4.0 내지 8.5 중량%이고, CaO의 함량이 23 내지 55 중량%인 유동층 보일러 플라이애시 7 내지 25 중량%;
SiO2의 함량이 40 내지 60 중량%이고, Al2O3의 함량이 25 내지 45 중량%이고, CaO의 함량이 1 내지 15 중량%이고, 3000 cm2/g 내지 5000 cm2/g의 분말도를 갖는 제지슬러지 소각재 10 내지 25 중량%;
고로슬래그, 페로니켈 슬래그, 석탄가스화 복합슬래그를 2: 1: 1 중량비율로 포함하고, SiO2의 함량이 40 내지 60 중량%이고, Al2O3의 함량이 1 내지 30 중량%이고, CaO의 함량이 20 내지 50 중량%이고, 3000 cm2/g 내지 5000 cm2/g의 분말도를 갖는 슬래그 5 내지 35 중량%;
석고 5 내지 10 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CSA계 시멘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시멘트 5 내지 30 중량%;
벤토나이트 1 내지 7 중량%;
지연제 0.01 내지 0.2 중량%;
경화 촉진제 0.01 내지 0.2 중량%; 및
혼화제 0.01 내지 0.2 중량%;를 포함하는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실리케이트, 소듐실리케이트 및 칼슘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실리케이트 혼합물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실리케이트 혼합물은 실리케이트, 소듐실리케이트 및 칼슘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2: 2: 1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급냉시켜, 2000 cm2/g 내지 3500 cm2/g의 분말도로 분말화한 것이고;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잠열 효과를 부여하여, 연약지반 강화 처리된 지반에서의 열섬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Na2HPO4ㆍ12H2O 및 Ba(OH)2ㆍ8H2O을 1: 1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서 산화성 물질을 방출하는 산화아연 및 산화철이 1:1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 0.5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제는 무수 구연산, 함수 구연산, 붕산, 타르타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경화촉진제는 리튬카보네이트, 탄산나트륨, 포름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지연제 및 경화촉진제는 1차 혼합한 후,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은 티탄산바륨칼슘(BaCaTiO3) 0.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 연약지반의 토양과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을 굴착 및 혼합하여 연약지반을 강화하는 연약지반 처리공법에 있어서,
상기 연약지반 토양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 1항, 제 3항, 제 5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10 내지 50 중량부 및 물 3 내지 30 중량부를 굴착 및 혼합하여, 연약지반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처리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9250A KR102117552B1 (ko) | 2019-11-20 | 2019-11-20 |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9250A KR102117552B1 (ko) | 2019-11-20 | 2019-11-20 |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7552B1 true KR102117552B1 (ko) | 2020-06-02 |
Family
ID=7109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9250A KR102117552B1 (ko) | 2019-11-20 | 2019-11-20 |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7552B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50412A (zh) * | 2020-11-02 | 2021-01-22 |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 一种高粘性渣土固化用作回填料的方法 |
KR102301617B1 (ko) * | 2021-02-09 | 2021-09-14 | 주식회사 에이지 | 강관다단 그라우팅 공법용 속경성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관다단 그라우팅 공법 |
CN113387655A (zh) * | 2021-07-08 | 2021-09-14 | 上海环境卫生工程设计院有限公司 | 一种水泥基固化材料及其应用、建筑装修垃圾渣粉固化方法 |
KR20220029839A (ko) * | 2020-08-31 | 2022-03-10 | 지오프로 주식회사 | 친환경 지반주입 보강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20220048607A (ko) * | 2020-10-13 | 2022-04-20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제철부산물 활용 기반 친환경 phc파일 주면 고정액 조성물 |
WO2022104406A1 (en) * | 2020-11-20 | 2022-05-27 | James Gordon Harris | Method of maintaining an unpaved road |
KR102415848B1 (ko) * | 2021-08-09 | 2022-07-13 | 주식회사 신창이엔씨 |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그라우트 조성물 |
CN114873939A (zh) * | 2022-06-10 | 2022-08-09 | 上海宝宁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污泥焚烧灰渣资源化制配混凝土掺合料的设备及方法 |
CN115710112A (zh) * | 2022-11-23 | 2023-02-24 | 中建商品混凝土有限公司 | 一种疏浚淤泥复合固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6553852A (zh) * | 2023-04-10 | 2023-08-08 | 上海复洁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缓凝增强剂、道路用缓凝水泥及其制备方法 |
KR20240021557A (ko) | 2022-08-10 | 2024-02-19 | 주식회사 지안산업 | 연약 지반 보강용 고화재 조성물 |
KR20240057807A (ko) | 2022-10-25 | 2024-05-0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대입경 암성토에 주입되는 공극채움재를 이용한 성토노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6222B1 (ko) | 2007-09-06 | 2008-12-29 | 주식회사 동아지질 | 연약지반 개량용 기능성 고화재 |
KR20160122578A (ko) * | 2015-04-14 | 2016-10-24 | (주)세종이엔씨 | 유동층 보일러 고알칼리 플라이애시를 이용한 scw 공법용 밀크주입재 및 이를 이용한 scw 공법 |
KR101840470B1 (ko) * | 2016-10-20 | 2018-05-04 | 주식회사 지안산업 | 중금속 용출이 없는 친환경 지반 그라우트재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그라우팅 공법 |
KR101873880B1 (ko) * | 2018-03-23 | 2018-07-03 | 주식회사 디비캠 | 친환경 속경성 시멘트 조성물 및 단면 보수공법 |
-
2019
- 2019-11-20 KR KR1020190149250A patent/KR1021175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6222B1 (ko) | 2007-09-06 | 2008-12-29 | 주식회사 동아지질 | 연약지반 개량용 기능성 고화재 |
KR20160122578A (ko) * | 2015-04-14 | 2016-10-24 | (주)세종이엔씨 | 유동층 보일러 고알칼리 플라이애시를 이용한 scw 공법용 밀크주입재 및 이를 이용한 scw 공법 |
KR101840470B1 (ko) * | 2016-10-20 | 2018-05-04 | 주식회사 지안산업 | 중금속 용출이 없는 친환경 지반 그라우트재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그라우팅 공법 |
KR101873880B1 (ko) * | 2018-03-23 | 2018-07-03 | 주식회사 디비캠 | 친환경 속경성 시멘트 조성물 및 단면 보수공법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9839A (ko) * | 2020-08-31 | 2022-03-10 | 지오프로 주식회사 | 친환경 지반주입 보강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2457167B1 (ko) * | 2020-08-31 | 2022-10-21 | 지오프로 주식회사 | 친환경 지반주입 보강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2483753B1 (ko) | 2020-10-13 | 2022-12-30 | (주)포스코건설 | 제철부산물 활용 기반 친환경 phc파일 주면 고정액 조성물 |
KR20220048607A (ko) * | 2020-10-13 | 2022-04-20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제철부산물 활용 기반 친환경 phc파일 주면 고정액 조성물 |
CN112250412A (zh) * | 2020-11-02 | 2021-01-22 |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 一种高粘性渣土固化用作回填料的方法 |
WO2022104406A1 (en) * | 2020-11-20 | 2022-05-27 | James Gordon Harris | Method of maintaining an unpaved road |
KR102301617B1 (ko) * | 2021-02-09 | 2021-09-14 | 주식회사 에이지 | 강관다단 그라우팅 공법용 속경성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관다단 그라우팅 공법 |
CN113387655A (zh) * | 2021-07-08 | 2021-09-14 | 上海环境卫生工程设计院有限公司 | 一种水泥基固化材料及其应用、建筑装修垃圾渣粉固化方法 |
KR102415848B1 (ko) * | 2021-08-09 | 2022-07-13 | 주식회사 신창이엔씨 |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그라우트 조성물 |
CN114873939A (zh) * | 2022-06-10 | 2022-08-09 | 上海宝宁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污泥焚烧灰渣资源化制配混凝土掺合料的设备及方法 |
KR20240021557A (ko) | 2022-08-10 | 2024-02-19 | 주식회사 지안산업 | 연약 지반 보강용 고화재 조성물 |
KR20240057807A (ko) | 2022-10-25 | 2024-05-0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대입경 암성토에 주입되는 공극채움재를 이용한 성토노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CN115710112A (zh) * | 2022-11-23 | 2023-02-24 | 中建商品混凝土有限公司 | 一种疏浚淤泥复合固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5710112B (zh) * | 2022-11-23 | 2023-08-22 | 中建商品混凝土有限公司 | 一种疏浚淤泥复合固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6553852A (zh) * | 2023-04-10 | 2023-08-08 | 上海复洁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缓凝增强剂、道路用缓凝水泥及其制备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7552B1 (ko) | 저시멘트계 연약지반 강화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 | |
KR101840470B1 (ko) | 중금속 용출이 없는 친환경 지반 그라우트재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그라우팅 공법 | |
KR102141914B1 (ko) | 연약지반 강화용 친환경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연약지반 강화공법 | |
KR102125577B1 (ko) | 순환 유동층 보일러 버텀애시를 자극제로 이용한 결합재 조성물 | |
KR101174617B1 (ko) | 무시멘트계 지반경화 안정처리재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 복토재 | |
CZ292875B6 (cs) | Geopolymerní pojivo na bázi popílků | |
KR102133152B1 (ko) | 비산재 및/또는 그 밖의 분진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연약지반 토목용 고화제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564560B1 (ko) | 친환경 중성 지반 개량용 고화제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 |
KR102133153B1 (ko) | 비산재 및/또는 그 밖의 분진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주원료로 하는 연약지반 토질개량용 고화제 및 그 제조 방법 | |
Payá et al. | Sewage sludge ash | |
KR20180109377A (ko) | 6가 크롬 용출이 없는 친환경 연약지반 표층혼합처리 및 흙포장 공법 | |
JP2014094877A (ja) | 土工資材組成物及び該組成物におけるフッ素溶出量を低減する方法 | |
KR102377413B1 (ko) | 친환경 고강도 토양고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180027888A (ko) | 중금속 용출이 없는 친환경 연약지반 표층혼합처리 및 흙포장 공법 | |
KR20130020538A (ko) | 지반보강용 고화재 | |
KR20180051840A (ko) | 시멘트를 함유하지 않은 무독성 지반 주입재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방 | |
KR20180134811A (ko) | 중금속 용출이 없는 친환경 연약지반 표층혼합처리 및 흙포장 공법 | |
KR102272190B1 (ko) | Phc 말뚝 시공용 주면 고정재 | |
KR20180028048A (ko) | 중금속 용출이 없는 친환경 지반 그라우팅 공법 | |
KR102369849B1 (ko) | 연약지반 급속 처리방법 | |
KR20160122578A (ko) | 유동층 보일러 고알칼리 플라이애시를 이용한 scw 공법용 밀크주입재 및 이를 이용한 scw 공법 | |
KR102510283B1 (ko) | 순환자원을 다량 이용한 고유동성 phc 말뚝 시공용 주면 고정재 | |
KR20150114771A (ko) |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연약지반용 고화재 조성물 | |
KR20210047480A (ko) | 고함수 상태의 오염 준설토 급속 처리용 고화재 조성물 | |
KR101917820B1 (ko) | 6가 크롬 용출이 없는 시멘트 대체용 결합재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