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495B1 - Device for preventing mouth breathing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eventing mouth breat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495B1
KR102117495B1 KR1020170114361A KR20170114361A KR102117495B1 KR 102117495 B1 KR102117495 B1 KR 102117495B1 KR 1020170114361 A KR1020170114361 A KR 1020170114361A KR 20170114361 A KR20170114361 A KR 20170114361A KR 102117495 B1 KR102117495 B1 KR 102117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mandibular
belt portion
preventing
oral brea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7509A (en
Inventor
박영현
최현진
박준영
박준원
Original Assignee
파사메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사메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사메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495B1/en
Priority to PCT/KR2018/010208 priority patent/WO2019050232A1/en
Publication of KR20190027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5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4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면 착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중에 착용자의 구강 호흡을 방지하면서도 턱 관절의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에 의하면, 착용자의 수면 중 구강 호흡을 방지함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악 기저부에 당기는 힘을 작용하여 턱 융기나 턱 결절로부터 턱관절에 미치는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장시간 착용의 경우에도 턱관절 등의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를 하악 전방 이동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하악 전방 이동 장치를 착용하는 착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치료 효과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e-wearing mechanism for preventing snoring of the wear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that can prevent the disorder of the jaw joint while preventing the wearer's mouth breathing during sleep.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by preventing oral breathing during sleep of the wearer. In addition, by applying a pulling force to the base of the mandible, the pressure on the jaw joint from the jaw ridge or chin nodule can be reduced,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obstacles such as the jaw joint even in long-time wearing. Particularly, when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gether with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by preventing the wearer wearing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from unconsciously opening the mouth, the snoring can further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There is a purpose.

Description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 {DEVICE FOR PREVENTING MOUTH BREATHING}Equipment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DEVICE FOR PREVENTING MOUTH BREATHING}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면 착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중에 착용자의 구강 호흡을 방지하면서도 턱 관절의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e-wearing mechanism for preventing snoring of the wear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that can prevent the disorder of the jaw joint while preventing the wearer's mouth breathing during sleep.

사람이 수면 상태에 들어가면 신체의 근육이 이완되는데, 특히 구강 내의 혀(Tongue)나 목젖(Uvula), 연구개(Soft palate), 편도(Tonsil) 등이 이완되면서 기도를 압박하는 경우에는 기도가 좁아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좁아진 기도를 통과하면서 흐름이 빨라지게 되고 그 결과 주변의 연조직(Soft tissue)을 진동시켜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코골이(Snoring)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코골이 현상이 심해지면 수면 중에 기도가 폐쇄되어 일시적으로 호흡을 하지 못하는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ing Apnea; OSA)을 수반하게 된다. 수면 무호흡증은 단위 시간당 수면 무호흡(Apnea: 10초 이상 입과 코에서 공기의 흐름이 멈춘 경우)과 저호흡(Hyponea)을 합친 회수(Apnea Hyponea Index; AHI)가 시간당 5회 이상일 경우를 말하는데, 저산소혈증(Hypoxaemia), 혈액 중 이산화탄소 증가, 뇌졸중, 고혈압, 심박동이상, 돌연사 등의 원인이 되며 당뇨병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뿐만 아니라,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은 숙면을 방해하여 낮 시간에 만성적인 졸음 상태를 유발하며 만성피로를 야기하여 사람의 업무 능력을 떨어뜨리게 된다.When a person enters a sleep state, the muscles of the body relax, especially when the tongue, uvula, soft palate, tonsil, etc. in the oral cavity are relaxed, and the airway is narrowed when the airway is compressed. Lose. In this state, the air sucked in passes through the narrowed airway, and the flow becomes faster. As a result, a snoring phenomenon occurs by vibrating soft tissue around to generate noise. When this snoring is severe, the airway is closed during sleep, which is accompanied by obstructive sleeping apnea (OSA), which is unable to breathe temporarily. Sleep apnea refers to sleep apnea per unit time (Apnea: when air flow in the mouth and nose has stopped for more than 10 seconds) and Hypneaa (Apnea Hyponea Index; AHI) is 5 or more times per hour. Hypoxemia, increased carbon dioxide in the blood, stroke, hypertension, heart rate abnormalities, sudden death, etc., are reported to be closely related to diabetes. In addition, snoring and sleep apnea interfere with sound sleep, causing chronic drowsiness during the day and causing chronic fatigue, which degrades a person's ability to work.

따라서,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치료 방법이 예전부터 연구되어 오고 있는데, 치료 방법은 크게 외과적 치료와 비외과적 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외과적 치료 방법은 수술을 통하여 기도의 폐쇄 부위를 넓혀 주는 방법인데, 수술에 따른 위험부담이 있고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가능성 및 재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수술을 하고 나면 되돌릴 수 없는 비가역적 치료라는 단점이 있다. 비외과적 치료 방법으로서는 약물 요법과 같은 화학적 방법과 양압기(CPAP)나 하악 전방 이동 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나 코골이 방지용 밴드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Therefore, treatment methods for snoring and sleep apnea have been studied in the past, and treatment method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urgical treatment and non-surgical treatment. Surgical treatment is a method of widening the airway obstruction area through surgery. There is a risk associated with surgery, and there is a problem of frequent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after surgery, especially after surgery. It has the disadvantage of irreversible treatment. Non-surgical treatment methods include chemical methods such as drug therapy and methods such as a positive pressure device (CPAP),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 or a device such as an anti-snoring band.

양압기는 일종의 산소 호흡기와 같은 장비로서, 기도 안으로 강제로 공기를 불어넣어 폐쇄된 기도를 확장시키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양압기는 효능 면에서 탁월하지만 초기 구입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하는 과정에 심한 불편감을 야기하며 이동 중에 휴대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A positive pressure device is a type of oxygen respirator, a method of treatment that expands a closed airway by forcing air into the airway. However, the positive pressure machine is excellent in terms of efficacy, but has a disadvantage of high initial purchase cost and severe discomfort in the process of mounting on the user's face and inconvenient to carry on the go.

하악 전방 이동 장치는 구강 내에 착용하는 기구로서, 사용자의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악에 부착된 혀가 전방으로 당겨 나오게 하고, 그 결과 혀 뒤쪽 주변의 늘어진 연조직이 펴지면서 기도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하악 전방 이동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기도가 확보되면 흡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기도 내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주변 연조직이 진동되지 않게 되어 코고는 소리가 소멸된다. 이러한 하악 전방 이동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공보 제 10-1301525 호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 일체형 하악 전진 코골이 방지 구강장치), 및 등록특허공보 제 10-1463021 호 (구강장치)를 등록받은 바가 있다. 이와 같이, 기도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이 정상적으로 원활하게 증가되어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도 가능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하악 전방 이동 장치는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게 맞춤 제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고가이며, 사용자가 구강에 착용하는 경우에 그 동안 비정상적으로 의지해 오던 구강 호흡이 차단되는데 따른 불편함으로 인해 수면 중에서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게 되고, 그 결과 코골이 치료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is a device worn in the oral cavity, which is a method of securing the airway while the tongue attached to the mandible is pulled forward by moving the user's mandible forward, and as a result, the stretched soft tissue around the back of the tongue is opened. When the airway is secured by the user wearing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the inhaled air naturally flows into the airway, so that the surrounding soft tissue does not vibrate and the snoring disappears. With regard to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the present inventor has registered Patent No. 10-1301525 (integration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integral mandibular advance snoring oral device that allows a small range of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the jaw joint), and Patent No. 10 -1463021 (oral device) has been registered. As such, the amount of air entering the airways is normally smoothly increased to enable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However,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is expensive to manufacture because it needs to be tailored to the user's oral structure, and when the user wears it on the oral cavity, the mouth breathing, which has been relied on abnormally during that time, is blocked. There is a possibility of unconsciously opening your mouth during sleep, and as a result, snoring can halve the therapeutic effect.

이에 반해서, 코골이 방지용 밴드는 사용자가 수면 중에 입을 벌리고 호흡하는 구강 호흡이 코골이 발생의 원인 중 하나라는 사실을 감안하여, 수면 중에 사용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구강 호흡을 하지 못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하악(Lower Jaw)을 강제로 잡아 당기는 구조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band for preventing snoring considers the fact that oral breathing, where the user opens his mouth while breathing during sleep, is one of the causes of snoring, and the elastic band prevents the user from breathing while the mouth is open during sleep. It consists of forcibly pulling the lower jaw of the user.

수면 중 구강 호흡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20285 호 (코골이 방지용 턱 당김 밴드)와, 등록특허공보 제 10-1608871 호 (수면중 코호흡을 유도하기 위한 입벌림 방지구) 등을 들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20285 호 (코골이 방지용 턱 당김 밴드)는 밴드의 가운데를 턱에 걸어서 위쪽으로 잡아당겨서 머리의 상부에 벨크로 (Velcro; 찍찍이)를 이용하여 밴드의 양쪽 끝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등록특허공보 제 10-1608871 호 (수면중 코호흡을 유도하기 위한 입벌림 방지구)는 밴드 귀걸이부 양단부에 신축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코골이 방지용 밴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A사에서 출시한 제품의 사시도이고, (b)는 이를 착용한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다. Prior arts related to a mechanism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during sleep include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0285 (Jaw pull band for preventing snoring) and Patent Publication No. 10-1608871 (Induce nasal breathing during sleep) For opening mouth).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0285 (chin snoring band for preventing snoring) hangs the center of the band on the chin and pulls it upwards to fix both ends of the band using Velcro on the upper part of the head. Is made of, and Patent Publication No. 10-1608871 (open mouth to prevent nasal breathing during sleep) discloses a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an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elasticity at both ends of the band earrings. Figure 1 shows such a conventional snoring prevention band,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duct released by company A, (b) is an example of a screen when wearing i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코골이 방지용 밴드와 같이, 하악의 턱 융기(Mental Protuberrant) 또는 턱 결절(Mental Tubercle) 부분을 강제로 당기는 경우에는 수면 중에 착용자의 구강 호흡을 감소시킬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턱관절 디스크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면서 측두근을 포함하여 흉쇄 유돌근, 승모근, 저작근 같은 인접 근육계에 통증을 유발하고 턱관절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도 2는 종래의 코골이 방지용 밴드를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두개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관절(Temporo Mandibular Joint; TMJ) 은 턱뼈와 머리뼈를 연결하는 관절의 역할을 하며, 근육과, 디스크, 턱뼈가 함께 어우러져 운동을 하는데, 이 중에 일부 기관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측두 하악 장애(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However, like the conventional band for preventing snoring, if the mandible protuberrant or the male tubercle part is forcibly pulled, the wearer's mouth breathing may be reduced during sleep, but the jaw joint Overloading the disk can cause pain in adjacent muscle systems such as the sternocleidomastoid, trapezius, and masticus muscles, including the temporal muscles, and may cause jaw joint disorder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ffect on the wearer's skull when wearing a conventional snoring prevention band. As shown in Fig. 2, the chin joint (Temporo Mandibular Joint; TMJ) acts as a joint connecting the jawbone and headbone, and the muscles, discs, and jawbones work together, and some of these organs have obstacles When it occurs, it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

등록특허공보 제 10-1301525 호 (2013.09.02)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01525 (2013.09.02) 등록특허공보 제 10-1463021 호 (2014.11.18)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63021 (2014.11.1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20285 호 (2006.06.29)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0285 (2006.06.29) 등록특허공보 제 10-1608871 호 (2016.04.04)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08871 (2016.04.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하악 기저부를 상방으로 압착함으로써 수면 중 구강 호흡을 방지하여 코골이를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자의 턱관절 장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는 하악 전방 이동 장치를 구강에 착용하는 착용자로 하여금, 불편을 최소화하면서도 착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코골이 치료 효과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mpressing the wearer's mandibular base up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snoring by preventing oral breathing during sleep, and oral breathing to prevent the wearer's jaw joint disorder in adva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reventive mechanism. Particularly,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wearer who wears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to the oral cavity to prevent the wearer from unconsciously opening his mouth while minimizing discomfort, thereby increasing the snoring treatment effect.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는 두개골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착용자의 정수리 영역에 걸쳐서 감싸도록 위치하는 두상 벨트부와, 상기 착용자의 하악 기저부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하악을 위쪽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작용하는 하악 벨트부와, 상기 두상 벨트부 및 상기 하악 벨트부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앞쪽 이마와 뒤쪽 두개골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에워쌀 수 있도록 원형으로 배치되는 머리띠 벨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악 벨트부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착용자의 수면 중 구강 호흡을 억제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oral respi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head portion of the wearer's mandibular base, and the head belt portion positioned to wrap over the parietal region of the wearer so as not to flow downward or forward of the skull. A mandibular belt portion acting on the force of pulling the wearer's mandible upward, and connected to the head belt portion and the mandibular belt portion,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surround the wearer's front forehead and rear skull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a headband belt portion, the mandibular belt portion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to suppress oral breathing during the wearer's sleep.

상기 정수리 영역은 두정골과 전두골이 만나는 관상 봉합 영역일 수 있다.The parietal region may be a coronal suture region where the parietal bone and the frontal bone meet.

하악 벨트부는 자연스러운 착용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턱 융기 또는 턱 결절 부분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ndibular belt por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 is not located in the wearer's jaw ridge or jaw nodule portion in a natural wearing state.

상기 두상 벨트부, 상기 하악 벨트부, 및 상기 머리띠 벨트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d belt portion, the mandibular belt portion, and the headband belt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두상 벨트부, 상기 하악 벨트부, 및 상기 머리띠 벨트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head belt portion, the mandibular belt portion, and the headband belt portion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structure.

상기 탈착 가능한 구조는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tachable structure may be made of Velcro.

상기 신축성 소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The elastic material may be made of silicone or rubber.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에 의하면, 착용자의 수면 중 구강 호흡을 방지함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악 기저부에 당기는 힘을 작용하여 턱 융기나 턱 결절로부터 턱관절에 미치는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장시간 착용의 경우에도 턱관절 등의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를 하악 전방 이동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하악 전방 이동 장치를 착용하는 착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치료 효과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by preventing oral breathing during sleep of the wearer. In addition, by applying a pulling force to the base of the mandible, the pressure on the jaw joint from the jaw ridge or chin nodule can be reduced,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obstacles such as the jaw joint even in long-time wearing. In addition, when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gether with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by preventing the wearer wearing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unconsciously opening the mouth, the snoring can further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There is a purpose.

도 1은 종래의 코골이 방지용 밴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A사에서 출시한 제품의 사시도이고, (b)는 이를 착용한 경우의 화면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코골이 방지용 밴드를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두개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를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두개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를 착용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전면도이고 (b)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를 하악 전방 이동 장치와 함께 착용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snoring prevention band,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duct released by company A, (b) is an example of a screen when wearing i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ffect on the wearer's skull when wearing a conventional snoring prevention ban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preventing oral bre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ffect on the wearer's skull when wearing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mouth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and (b) is a side view,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or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with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한 성격,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그 밖의 다른 특정한 성격이나,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only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embodies a specific personality, domai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personality, domai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component, and And/or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groups.

또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부", "위", "아래", "하부", "좌측" 및 "우측"의 방위는 도면에 예시된 각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뜻은 없다. 더욱이, "제1", "제2", "제3", "제4" 등의 용어는 다양한 요소, 영역 또는 부분을 기술하기 위해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지만, 이들 요소, 영역 또는 부분이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하나의 요소, 영역 또는 부분을 다른 요소, 영역 또는 부분과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1 요소, 영역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내용에서 벗어나는 일 없이 제2 요소, 영역 또는 부분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the orientations of "top", "top", "bottom", "bottom", "left" and "right" indic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positions of each element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invention. Moreover, the terms "first", "second", "third", "fourth", etc. are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regions or parts, but these elements, regions or parts are I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region or part from another element, region or part. Accordingly, the first element, region or part described below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region or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though not defined differently,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thos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dictionary-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related technical documents and currently disclosed contents,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very official meanings unless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는 두상 벨트부(110)와 하악 벨트부(120), 머리띠 벨트부(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the or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head belt portion 110, a mandibular belt portion 120, a headband belt portion 130.

두상 벨트부(110)는 착용자 두개골 상부의 일정 영역에 밀착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압박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두상 벨트부(110)는 두개골 상부에서 앞쪽이나 뒤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전두골(frontal bone)과 두정골(parietal bone)의 접합 부분에 해당하는 관상 봉합(coronal suture) 부분에 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d belt portion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a certain region of the upper part of the wearer's skull and serves to transmit pressur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head belt portion 11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coronal suture portion corresponding to a joint portion between the frontal bone and the parietal bone so as not to flow downward or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kull.

하악 벨트부(120)는 착용자의 하악(Lower Jaw) 중에서 하악 기저부에 위치하며, 상기 두상 벨트부(110)와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압박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하악 벨트부(120)는 착용자의 턱 관절이 관절 원판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턱 융기와 턱 결절 부분에 위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ndibular belt portion 120 is located at the base of the mandibular lower jaw of the wearer, and is connected to the head belt portion 110 and serves to transmit pressure in an upward direction. The mandibular belt portion 120 is preferably such that the wearer's chin joint is not positioned in the chin ridge and chin nodules so as not to apply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the joint disc.

머리띠 벨트부(130)는 착용자의 앞쪽 이마와 뒤쪽 두개골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에워쌀 수 있도록 머리띠 형상의 원형으로 구성하되, 위쪽 방향으로는 상기 두상 벨트부(110)와 연결되고 아래쪽 방향으로는 상기 하악 벨트부(13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Headband belt portion 130 is composed of a circular shape of the headband so as to surround the wearer's front forehead and rear skull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upper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head belt portion 110, the downward direction is the Can be connected to the mandibular belt portion 130, respectively.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를 구성하는 두상 벨트부(110)와 하악 벨트부(120), 머리띠 벨트부(130)는 모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각각 독립된 형태로 구성하고 벨크로와 같은 접합부(140)를 이용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하악 벨트부(120)의 일부 영역과 두상 벨트부(110)의 일부 영역에 탈착 가능한 접합부(140)를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두상 벨트부(110)와 하악 벨트부(120)를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에 는 두상 벨트부(110)와 머리띠 벨트부(130)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도시하였지만, 이들 두상 벨트부(110)와 머리띠 벨트부(130)를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의 구성 요소를 탈착 가능하도록 접합부를 구비하는 경우, 착용자는 상호 결합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머리 크기나 형태에 맞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조절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The head belt portion 110, the mandibular belt portion 120, and the headband belt portion 130 constituting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n integral type, or may be configured in a separate form, respectively, and Velcro and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using the same bonding portion 140. In FIG. 3, a part 140 of the mandibular belt part 120 and a part 140 of the head belt part 110 a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joint 140, and the head belt part 110 and the mandibular belt part 120 are combined through this. It is shown. In addition, although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ead belt portion 110 and the headband belt portion 130 are integrally formed, these head belt portions 110 and the headband belt portion 13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Will be able to.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ponents of the or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detachable portions so that they can be detached, the wearer can adjust the areas to be mutually coupled, and thus can be adjusted to fit the size or shape of the wearer's hea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는 착용자가 수면 중에 입을 벌리고 구강 호흡을 하려는 경우에, 착용자의 하악을 위쪽 방향으로 당겨서 입을 닫고 구강 호흡을 하지 않도록 적절한 힘을 착용자의 구강에 가하여야 하므로 신축성 있는 재질의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전체적인 재질은 신축성을 필요로 하지만 각 구성요소 간의 접합이나 외부 장식, 기타 용도를 위하여 전체 영역 중 일부의 영역은 그 목적에 맞게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다른 재질이 일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 because the wearer opens his mouth during sleep and wants to breathe the mouth, pulling the lower jaw of the wearer upward to close the mouth and applying appropriate force to the mouth to prevent breathing. It can be made of silicone or rubber material. However, the overall material needs elasticity, but some areas of the entire area may be used for some purposes, such as plastics or metals, depending on the purpose.

특히,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는 착용자의 구강에 착용하는 하악 전방 이동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악 전방 이동 장치를 착용하는 착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치료 효과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or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worn on the wearer's mouth, in this case, by preventing the wearer wearing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to open the mouth unconsciously, Snoring can further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도 4는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를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두개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는 착용자의 두개골을 중심으로 두상 벨트부(110)는 착용자 두개골 상부를 일정 영역에 걸쳐서 감싸도록 위치되고, 하악 벨트부(120)는 착용자의 하악 중에서 하악 기저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머리띠 벨트부(130)는 착용자의 앞쪽 이마와 뒤쪽 두개골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에워쌀 수 있도록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ffect on the wearer's skull when wearing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the or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entered around the wearer's skull, the head belt part 110 is position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wearer's skull over a certain area, and the mandibular belt part 120 is It is arranged to be located at the base of the mandible among the wearer's mandible, and the headband belt unit 130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surround the wearer's front forehead and back skull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두상 벨트부(110)는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가 착용자의 두개골 정수리 부근에서 전두골 앞쪽 또는 두정골 뒤쪽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두상 벨트부(110)는 전두골과 두정골이 닿아있는 관상 봉합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두상 벨트부(110)가 관상 봉합 라인을 중심으로 두정골의 뒤쪽 방향 또는 전두골의 앞쪽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을 두상 벨트존으로 지칭할 수 있을 것이다.The head belt part 110 serves to support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oral respi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tably positioned without flowing down to the front or front of the frontal bone near the crown of the wearer. To this end, the head belt portion 110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oronal suture area in contact with the frontal bone and parietal bone. As described above, the region in which the head belt portion 110 can be stably positioned without flowing down the frontal or frontal direction of the parietal bone around the coronal suture line may be referred to as a head belt zone.

하악 벨트부(120)는 착용자가 수면 중에도 구강 호흡을 하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하악을 위쪽 방향으로 당겨서 입을 벌리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착용자의 하악 중에서 턱 융기 또는 턱 결절 부분을 관절 원판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턱 관절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하악 벨트부(120)는 하악 기저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턱 융기 또는 턱 결절 부분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악 벨트부(120)가 턱 융기 또는 턱 결절 부분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하악 기저부에 위치하는 제한 위치를 하악 벨트라인으로 지칭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악 벨트 라인은 하악 기저부와 턱 융기/턱 결절이 구분되는 라인으로 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자가 힘을 가해서 하악 벨트부(120)를 강제로 턱 융기 또는 턱 결절 부분으로 당겨서 위치시킬 수는 있겠지만, 착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악 벨트부(120)가 자연스럽게 착용자의 하악에 위치하는 영역은 하악 벨트라인을 넘지 않도록 구성될 것이다.The mandibular belt portion 120 is a portion that prevents the wearer from pulling the mandibular upwards to open the mouth in order to induce the wearer not to breathe while sleeping. However, in the case of pulling the jaw ridge or chin nodules from the wearer's mandible in the direction of the joint disc, it may cause the wearer's jaw joint disorder, so that the mandibular belt part 120 is located at the base of the mandible and is placed on the chin ridge or chin nodul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o that it is not located. In this way, the mandibular belt portion 120 may be referred to as a mandibular beltline, a limited position located at the base of the mandible without being located at the chin ridge or chin nodules. The mandibular belt line can be seen as a line where the mandibular base and the jaw ridge/chin nodule are distinguished. Of course, since the or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wearer may apply force to pull the mandibular belt portion 120 into the jaw ridge or chin nodule part, but The area in which the mandibular belt portion 120 is naturally located in the mandibular mandure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 does not apply force will be configured so as not to exceed the mandibular belt line.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에서 두상 벨트부(110)와 하악 벨트부(120)의 배치를 살펴보면, 두상 벨트부(110)는 착용자의 두개골 정수리 부근, 즉 관상 봉합 영역에 위치되고 하악 벨트부(120)는 하악 기저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관상 봉합 영역은 수평 선상에서 두개골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고, 하악 기저부는 하악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 턱 융기 및 턱 결절에서 약간 들어온 위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수직 선상에서 볼 때 두상 벨트부(110)의 연장선과 하악 벨트부(120)는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일정 간격의 차이를 가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옆에서 볼 때 두상 벨트부(110)와 하악 벨트부(120)는 연장선이 서로 겹치지 않고, 약간 어긋난 위치에 배열되는 구조가 될 것이다.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head belt part 110 and the mandibular belt part 120 in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oral respi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belt part 110 is located near the crown of the wearer's skull, that is, in the coronal suture area and is mandibular. The belt portion 120 is located at the base of the mandible. At this time, the coronal suture area is located near the center of the skull on a horizontal line, and the mandibular base corresponds to a position slightly raised from the jaw ridge and chin nodule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mandible. The extension line of 110) and the mandibular belt part 120 will not be located on a straight line and will have a difference in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head belt portion 110 and the mandibular belt portion 120 will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xtension lines do not overlap each other and are arranged at slightly displaced positions.

머리띠 벨트부(130)는 상기 두상 벨트부(110)와 하악 벨트부(120)가 착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착용자의 머리 앞쪽이나 뒤쪽으로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머리띠 벨트부(130) 역시 착용자의 머리 앞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착용자의 눈썹 위쪽 부분에 일정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dband belt part 130 supports the head belt part 110 and the mandibular belt part 120 to be stably located on the wearer's head, and prevents the mouth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100 from flowing down or in front of the wearer's head. Plays a role. The headband belt portion 130 is also preferably formed in a certain area in the upper part of the wearer's eyebrows so as not to slide toward the front of the wearer's head.

이러한 구조로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를 구성하는 경우, 착용자가 수면 중에 입을 벌려 구강 호흡을 하려고 할 때 착용자의 하악 기저부를 위쪽으로 당겨서 구상 호흡을 억제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턱 관절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착용자가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를 하악 전방 이동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수면 중에 착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치료 효과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device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with such a structure, when the wearer tries to breathe with his mouth wide open during sleep, the upward movement of the wearer's mandibular base is suppressed to suppress snoring because the wearer's snoring is prevente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isability. In addition, when the wearer uses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by preventing the wearer from unconsciously opening his mouth during sleep, the snoring treatment effect may be further increas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를 착용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전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의 하악 벨트부(120)는 하악 벨트라인을 기준으로 하악 기저부에서 위쪽 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턱 융기 또는 턱 결절 부분에 직접적인 압력을 가하지 않게 되고 턱 관절의 장애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상 벨트부(110)는 두정골과 전두골이 접합되는 관상 봉합 부근의 두상 벨트존에 위치하기 때문에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가 두개골 앞쪽 또는 뒤쪽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머리띠 벨트부(130)는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착용자의 눈썹 위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머리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를 구성하는 두상 벨트부(110)와 하악 벨트부(120), 머리띠 벨트부(130)는 모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벨크로와 같은 접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igure 5 shows a state in the case of wearing a device for preventing oral bre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and (b) is a side view. Referring to FIG. 5, the mandibular belt portion 120 of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pull upward from the base of the mandible based on the mandibular belt line, so that the wearer's jaw ridge or jaw nodule par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mpairment of the jaw joint without applying direct pressure to it. Since the head belt part 110 is located in the head belt zone near the coronal suture where the parietal bone and the frontal bone are joined,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oral respiration can be stably fixed without flowing down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of the skull. Since the headband belt part 130 has a certain thickness and is located above the eyebrows of the wearer, it can be more stably fixed to the wearer's head. As described above, the head belt portion 110, the mandibular belt portion 120, and the headband belt portion 130 constituting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such as Velcro.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enable bonding using bonding mean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를 하악 전방 이동 장치와 함께 착용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착용자는 치아의 상악와 하악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 하악 전방 이동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를 추가로 착용할 수 있다. 하악 전방 이동 장치(200)는 착용자의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그 결과 혀 뒤쪽 주변의 늘어진 연조직이 펴지면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하악 전방 이동 장치(200)를 착용함으로써 기도가 확보되면 흡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기도 내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주변 연조직이 진동되지 않게 되어 코고는 소리가 소멸될 수 있다. 이 때, 하악 전방 이동 장치(200)는 착용자가 구강에 착용함으로써 느껴지는 불편함으로 인해, 수면 중에서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게 되어 코골이 치료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를 착용함으로써, 수면 중에 착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는 것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or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with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Referring to FIG. 6, the wearer may additionally wear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wearing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200 in the oral cavity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tooth.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200 may move the wearer's mandibular forward, and as a result, the stretched soft tissue around the back of the tongue may be opened to secure the airway. Therefore, when the airway is secured by the wearer wearing the mandibular anterior moving device 200, the inhaled air naturally flows into the airway so that the surrounding soft tissue does not vibrate and the snoring sound can be eliminated. At this time,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200 may unconsciously open the mouth during sleep due to the discomfort felt by the wearer wearing it on the oral cavity, thereby halv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snoring. By wearing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arer from unconsciously opening his mouth during sleep.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하악 기저부를 위쪽 방향으로 당겨서 사용자가 수면 중에 악관절의 이완상태에서 입이 저절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악 전방 이동 장치의 착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100)는 신축성이 있는 벨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면 중 또는 가수면 중인 착용자가 의도적으로 입을 벌리는 경우에는 큰 저항 없이 입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하악 기저부에 위치하여 당기는 힘을 전달하기 때문에, 턱 융기 또는 턱 결절 부분에 직접적인 압력을 가하지 않고 그 결과 턱 관절의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를 장기간 착용하더라도 턱 관절이 손상되거나 턱 관절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earer wears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dibular anterior is prevented by pulling the mandibular base in an upward direction so that the user does not open the mouth spontaneously in the relaxed stat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uring sleep. The wearing effect of the mobile device can be improved. Moreover, since the mouth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tretchable belt, when a wearer who is sleeping or sleeping is intentionally opening his mouth, the mouth is opened without great resistance,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I can do it. At this time, since it is located at the base of the lower jaw and transmits the pulling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jaw joint from occurring as a result without applying direct pressure to the jaw ridge or the jaw tubercle. Therefore, even i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oral respi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jaw joint from being damaged or a disorder in the jaw join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코골이 방지용 밴드
100: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 110: 두상 벨트부
120: 하악 벨트부 130: 머리띠 벨트부
140: 접합부 200: 하악 전방 이동 장치
10: snoring prevention band
100: oral breath prevention apparatus 110: head belt part
120: mandibular belt portion 130: headband belt portion
140: junction 200: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Claims (7)

착용자의 전두골과 두정골의 접합 부분에 해당하는 관상 봉합 부분에 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두골 앞쪽 또는 상기 두정골 뒤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아래쪽 방향으로 압박을 전달하는 두상 벨트부;
상기 착용자의 턱 융기나 턱 결절 부분이 아닌 하악 기저부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하악을 위쪽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작용시켜, 상기 착용자가 수면 중에도 구강 호흡을 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하악 벨트부; 및
상기 두상 벨트부 및 상기 하악 벨트부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앞쪽 이마와 뒤쪽 두개골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에워쌀 수 있도록 원형으로 배치되는 머리띠 벨트부
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두상 벨트부의 일측 가장자리의 연장선과
상기 연장선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하악 벨트부의 일측 가장자리의 연장선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상기 하악 벨트부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착용자의 수면 중 구강 호흡을 억제하도록 하는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
A head belt part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coronal suture portion corresponding to a joint portion of the frontal bone and parietal bone of the wearer so as not to flow down the front of the frontal bone or the back of the parietal bone, and transmitting pressure in a downward direction;
A mandibular belt portion located at the base of the mandible rather than the chin ridge or chin nodules of the wearer to exert a force to pull the wearer's mandible upwards to induce the wearer not to breathe while sleeping; And
A headband belt part connected to the head belt part and the mandibular belt part and arranged in a circle so as to surround the wearer's front forehead and rear skull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The extension line of one edge of the head belt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xtension line of one edge of the mandibular belt part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extension line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mandibular belt par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prevent oral breathing during the wearer's sleep to suppress oral breathing.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상 벨트부, 상기 하악 벨트부, 및 상기 머리띠 벨트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shaped belt portion, the mandibular belt portion, and the headband belt portion is a device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integrally 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상 벨트부, 상기 하악 벨트부, 및 상기 머리띠 벨트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head belt portion, the mandibular belt portion, and the headband belt portion is a device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made of a removable structur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구조는 벨크로로 이루어지는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
The method of claim 5,
The removable structure is a device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made of velcro.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소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인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material is a device for preventing oral breathing made of silicone or rubber.
KR1020170114361A 2017-09-07 2017-09-07 Device for preventing mouth breathing KR102117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61A KR102117495B1 (en) 2017-09-07 2017-09-07 Device for preventing mouth breathing
PCT/KR2018/010208 WO2019050232A1 (en) 2017-09-07 2018-09-03 Apparatus for preventing mouth brea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61A KR102117495B1 (en) 2017-09-07 2017-09-07 Device for preventing mouth breat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09A KR20190027509A (en) 2019-03-15
KR102117495B1 true KR102117495B1 (en) 2020-06-04

Family

ID=6563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361A KR102117495B1 (en) 2017-09-07 2017-09-07 Device for preventing mouth breath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7495B1 (en)
WO (1) WO201905023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554A (en) * 2020-01-03 2020-05-19 曹贵波 Breathing correction device
US20220323249A1 (en) * 2021-04-08 2022-10-13 Jose Eduardo Lindley Device for preventing drooling
CN114224592B (en) * 2021-12-09 2022-11-04 四川大学 Mandibular advancement snore preventing device with intelligent automatic adjustment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771A (en) * 2001-03-16 2002-09-24 Masashige Koyanagi Implement for reducing snore and preventing apneusis during sleeping
US7124758B1 (en) 2006-01-31 2006-10-24 Simon Jacob Frank Device for treat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JP2017094040A (en) 2015-11-18 2017-06-01 Ikk株式会社 Jaw fixing bel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9210U (en) * 1992-04-03 1992-10-21 冯秀英 Pressure stabilizing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US5361416A (en) * 1993-11-16 1994-11-08 Petrie Steven C Headcover and chin strap for treating sleep apnea
JP2606811B2 (en) * 1993-11-16 1997-05-07 アダプトゲン製薬株式会社 Snoring prevention equipment
US5893365A (en) * 1997-07-28 1999-04-13 Anderson; Clarence D. Applian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KR200420285Y1 (en) 2006-04-19 2006-06-29 김성식 Snoring Jaw Pull Band
CN108325042A (en) * 2011-08-22 2018-07-27 瑞思迈有限公司 The ultrasonic bonding of fabric for sleep apnea therapy
KR101463021B1 (en) 2013-12-10 2014-11-18 최현진 Oral appliance
KR101301525B1 (en) 2013-01-23 2013-09-02 최현진 Oral monobloc mad to prevent snoring with freedom of minor tmj and mandibular movements
KR101608871B1 (en) 2014-06-12 2016-04-04 (주)새롬현대 Preventing opening mouth to induce nasal breathing during slee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771A (en) * 2001-03-16 2002-09-24 Masashige Koyanagi Implement for reducing snore and preventing apneusis during sleeping
US7124758B1 (en) 2006-01-31 2006-10-24 Simon Jacob Frank Device for treat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JP2017094040A (en) 2015-11-18 2017-06-01 Ikk株式会社 Jaw fixing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0232A1 (en) 2019-03-14
KR20190027509A (en)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380B2 (en) Oral appliances
US6766802B1 (en) Sleep appliance
US7225811B2 (en) Headgear apparatus
US73313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evention of snoring and sleep apnea
US20110114100A1 (en) P3 Personal Power and Performance Mouthpiece
US20070181135A1 (en) Adjustable headgear assembly for sleep apnea patients
KR101782093B1 (en)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US20110277774A1 (en) Combination intra oral and extra oral sleep apnea appliance
US20120160249A1 (en) Tongue advancement device for reducing obstructive sleep apnea condition
WO2010050246A1 (en) Tongue position controller
CA2764277C (en) Jaw thrust appliance
JP5361991B2 (en) Snoring prevention device
WO1994020051A1 (en) Anti-snore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801733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evention of snoring and sleep apnea
KR102117495B1 (en) Device for preventing mouth breathing
JP2013198723A (en) Upper airway-opening auxiliary implement
US20200323677A1 (en) Mandibular reposition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H10508762A (en) Intraoral device for adjusting jaw position
US20190125573A1 (en) Oral appliance
KR101301525B1 (en) Oral monobloc mad to prevent snoring with freedom of minor tmj and mandibular movements
ES2897678T3 (en) A respiratory treatment system for sleep disorders
US201702813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nasal dilation by applying force to a target cheek area without mandibular displacement
TWM603345U (en) Mandible displacement adjusting device
TWI726787B (en) Mandible adjustment device
JP7432978B2 (en) Mandibular adjus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