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484B1 -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484B1
KR102117484B1 KR1020140072806A KR20140072806A KR102117484B1 KR 102117484 B1 KR102117484 B1 KR 102117484B1 KR 1020140072806 A KR1020140072806 A KR 1020140072806A KR 20140072806 A KR20140072806 A KR 20140072806A KR 102117484 B1 KR102117484 B1 KR 102117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device
unit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113A (ko
Inventor
윤철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484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는, 미리 설정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 1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n≥3)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송신하되 상기 제 1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가 순차적으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장치 {COMMUNICATION DEVICES}
본 발명은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 통신 기술중 하나인 LTE(Long Time Evolution) 서비스를 지원하며. 나아가, 근거리 통신용인 wifi 및 bluetooth의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등의 통신장치는, 다양한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통신장치는 다양한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회로를 각각 구동함에 있어서 전류의 소비가 많고 회로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또한, 유사한 주파수 대역간의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일 예로 LTE band 40 또는 41의 경우 2.4GHz의 주파수대역을 지원하며, wifi, bluetooth 또한 2.4GHz의 주파수대역을 지원하고 있어 이러한 유사 주파수 대역 신호들을 상호간 간섭 없이 송신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대역이 인접한 영역의 무선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호간 간섭 없이 무선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Bulk Acoustic Filter 등의 고가의 필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주파수대역신호들을 간섭 없이 송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 소형화, 코스트 절감 등까지도 가능하게 하는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미리 설정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되, 제 1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할 때에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구성이 제공되는 통신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통신장치는, 고가의 필터 없이도 각 주파수대역신호간 간섭 없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통신장치는, 하나의 전력증폭부로 각 주파수대역신호를 증폭할 수 있어, 회로의 소형화 및 코스트 절감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시간당 스위치의 모드를 나타낸 파형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시간당 스위치의 모드를 나타낸 파형도.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음성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및 영상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장치(100)는 음성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통화 채널 등을 기지국과 형성하여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장치(100)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n≥2)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가 송신 또는 수신하는 주파수대역신호는 LTE band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무선신호, bluetooth를 지원하는 주파수대역신호, wifi를 지원하는 주파수대역신호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주파수대역을 갖는 무선신호이면 어떠한 종류의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시분할듀플렉싱(TDD : Time Division Duplexing. 이하 'TDD'라 칭하기로 한다.)방식에 의하여 제 1 주파수대역신호 통신(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TDD 방식은 시간을 사용하는 듀플렉싱 방식으로서,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주파수는 동일하기 때문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업링크 시구간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시구간을 미리 구분하여 놓고, 상기 업링크 시구간에서는 업링크신호만을 송신하고, 다운링크 시구간에서는 다운링크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다. LTE(Long Time Evolution)가 지원하는 band 33 ~ band 44의 경우 무선통신장치는 TDD방식에 의하여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제 1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하는 시구간과 제 1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하는 시구간을 분리하여 송신 및 수신을 반복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라 통신장치(100)의 각 구성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1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송신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타이밍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신호생성부(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신제어부(110)는, 타이밍신호생성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 1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n≥3)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송신제어부(110)는,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 1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할 때에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제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부(SW1)와 스위치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스위치부(SW1)는, 다수개의 송신스위치 및 제어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입력되는 제 1 송신스위치(Tx_1), 제 2 주파수대역신호가 입력되는 제 2 송신스위치(Tx_2), …, 제 n 주파수대역신호가 입력되는 제 n 송신스위치(Tx_n)를 포함할 수 있다.(n≥3)
또한 제 1 스위치부(SW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 1 스위치부(SW1)는 스위치제어부(111)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가 송신부(120)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스위치부(SW1)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이 송신되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제어부(111)는, 타이밍신호생성부(101)의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 1 스위치부(SW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예시적 동작에 대한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송신제어부(110)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타이밍 신호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 상호간 간섭 없이 송신할 수 있다.
특히, 상호간 인접한 주파수대역을 갖는 복수개의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 할 경우에, 고가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호간 간섭 없이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120)와 수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신부(120)는, 송신제어부(110)와 연결되어, 제 1 스위치부(SW1) 로부터 전달받은 제 1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증폭부(121) 및 이득제어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주파수대역신호를 정확히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대역통과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증폭부(121)는, 제 1 증폭기(PA1) 및 제 2 증폭기(PA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파수대역신호가 기지국까지 전송될 수 있도록, 제 1 스위치부(SW1)로부터 전달받은 주파수대역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득제어부(122)는, 전력증폭부(121)의 증폭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득제어부(122)는, 타이밍신호생성부(101)의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송신될 때에 제 2 증폭기(PA2)가 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송신제어부(110)구성 및 이득제어부(122)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하나의 전력증폭부 구성을 이용하여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의 개수만큼의 전력증폭부가 필요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회로의 간소화 및 코스트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신부(130)는, 안테나 등의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주파수대역신호를 통신장치(100)에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30)는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n≥3)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3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잡음증폭기(13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저잡음증폭기(131)는, 주파수대역신호에서의 노이즈가 증폭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신호가 증폭 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타이밍신호생성부(101)의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부(120) 및 상기 수신부(13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스위치부(SW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스위치부(SW2)는,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의 송신경로를 위한 송신모드스위치(Tx) 및 수신경로를 위한 수신모드스위치(Rx)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타이밍신호생성부(101)에 의한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송신제어부(110)는,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 2 스위치부(SW2)의 수신모드스위치(Rx)를 턴-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신제어부(110)는,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수신될 때에 상기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 2 스위치부(SW2)의 송신모드 스위치(Tx)를 턴-온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예시적 동작에 대한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통신장치(100)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주파수대역신호의 예시적인 송수신동작모드를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각 시구간이 일정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시 구간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제 1 주파수대역신호 송신모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t0~t1, t3~t4, t6~t7구간에서는, 제 1 주파수대역신호만이 송신되도록 제 1 스위치부(SW1)의 제 1 송신스위치(Tx_1)는 턴-온 되고, 제 2 송신스위치(Tx_2) 및 제 3 송신스위치(Tx_3)은 턴-오프 될 수 있다.
한편 이 구간에서는 제 2 내지 제 3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부(SW2)의 수신모드스위치(Rx)는 턴-온 될 수 있다.
<제 2 주파수대역신호 송신모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t1~t2, t4~t5구간에서는, 제 2 주파수대역신호만이 송신되도록 제 1 스위치부(SW1)의 제 2 송신스위치(Tx_2)는 턴- 온 되고, 제 1 송신스위치(Tx_1) 및 제 3 송신스위치(Tx_3)는 턴-오프 될 수 있다.
한편 이 구간에서는 제 2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부(SW2)의 송신모드스위치(Tx)는 턴-온 될 수 있다.
<제 3 주파수대역신호 송신모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t2~t3, t5~t6구간에서는, 제 3 주파수대역신호만이 송신되도록 제 1 스위치부(SW1)의 제 3 송신스위치(Tx_3)는 턴-온 되고, 제 1 송신스위치(Tx_1) 및 제 2 송신스위치(Tx_2)는 턴-오프 될 수 있다.
한편 이 구간에서는 제 3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부(SW2)의 송신모드스위치(Tx)는 턴-온 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의 통신장치(10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제어부(110)는, 타이밍신호생성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 1 내지 제 2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송신제어부(110)는,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 1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할 때에 제 2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제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부(SW1)와 스위치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스위치부(SW1)는, 두개의 스위치 및 제어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입력되는 제 1 송신스위치(Tx_1), 제 2 주파수대역신호가 입력되는 제 2 송신스위치(Tx_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20)와 연결되는 하나의 출력단자 및 제 1 스위치부(SW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 1 스위치부(SW1)는 스위치제어부(111)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두개의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가 송신부(120)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스위치부(SW1)는 제 1 내지 제 2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이 송신되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제어부(111)는, 타이밍신호생성부(101)의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 1 스위치부(SW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예시적 동작에 대한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송신제어부(110)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타이밍 신호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 상호간 간섭 없이 송신할 수 있다.
특히, 상호간 인접한 주파수대역을 갖는 복수개의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 할 경우에, 고가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호간 간섭 없이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120)와 수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신부(120)는, 송신제어부(110)와 연결되어, 제 1 스위치부(SW1)의 출력단자로부터 전달받은 제 1 내지 제 2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증폭부(121) 및 이득제어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주파수대역신호를 정확히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대역통과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증폭부(121)는, 제 1 증폭기(PA1) 및 제 2 증폭기(PA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파수대역신호가 기지국까지 전송될 수 있도록, 제 1 스위치부(SW1)로부터 전달받은 주파수대역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득제어부(122)는, 전력증폭부(121)의 증폭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득제어부(122)는, 타이밍신호생성부(101)의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 2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될 때에 제 2 증폭기(PA2)가 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송신제어부(110)구성 및 이득제어부(122)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하나의 전력증폭부 구성을 이용하여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의 개수만큼의 전력증폭부가 필요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회로의 간소화 및 코스트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신부(130)는, 안테나 등의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주파수대역신호를 통신장치(100)에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30)는 제 2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3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잡음증폭기(13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저잡음증폭기(131)는, 주파수대역신호에서의 노이즈가 증폭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신호가 증폭 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타이밍신호생성부(101)의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부(120) 및 상기 수신부(13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스위치부(SW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스위치부(SW2)는, 제 2 주파수대역신호의 송신경로를 위한 송신모드스위치(Tx) 및 수신경로를 위한 송신모드스위치(Rx)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타이밍신호생성부(101)에 의한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주파수대역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송신제어부(110)는,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 2 스위치부(SW2)의 수신모드스위치(Rx)를 턴-온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신제어부(110)는,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수신될 때에 상기 제 2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 2 스위치부(SW2)의 송신모드스위치(Tx)를 턴-온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예시적 동작에 대한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통신장치(100)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2 주파수대역신호의 예시적인 송수신동작모드를 도 3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각 시구간이 일정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시 구간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제 1 주파수대역신호 송신모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t0~t1, t2~t3, t4~t5구간에서는, 제 1 주파수대역신호만이 송신되도록 제 1 스위치부(SW1)의 제 1 송신스위치(Tx_1)는 턴-온 되고, 제 2 송신스위치(Tx_2)는 턴-오프 될 수 있다. 한편 이 구간에서는 제 2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부(SW2)의 수신모드스위치(Rx)는 턴 온 될 수 있다.
<제 2 주파수대역신호 송신모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t1~t2, t3~t4, t5~t6구간에서는, 제 2 주파수대역신호만이 송신되도록 제 1 스위치부(SW1)의 제 2 송신스위치(Tx_2)는 턴-온 되고, 제 1 송신스위치(Tx_1)는 턴-오프 될 수 있다. 한편 이 구간에서는 제 2 주파수대역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부(SW2)의 송신모드스위치(Tx)는 턴-온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어 "제어부"의 명시적 이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제한 없이, 마이크로 프로세서(MC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 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또는 ‘연결하는’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통신장치 110 : 송신제어부
111 : 스위치제어부 120 : 송신부
121 : 전력증폭부 122 : 이득 제어부
130 : 수신부

Claims (18)

  1. 미리 설정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 1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n≥3)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송신하되 상기 제 1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가 순차적으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송신하는 송신부;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스위치부;
    를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송신하도록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부; 및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대역신호는 시분할방식에 의하여 통신되는 통신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증폭하여 이를 송신하는 전력증폭부; 및
    상기 전력증폭부의 증폭비율을 제어하는 이득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스위치부를 상기 송신부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통신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스위치부를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통신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증폭부는,
    제 1 증폭기 및 제 2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득제어부는,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내지 제 n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증폭기가 OFF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0. 미리 설정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제 1 내지 제 2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송신하되 상기 제 1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 제 2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2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송신하는 송신부;
    복수의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스위치부;
    를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2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송신하도록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부; 및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치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대역신호를 시분할방식에 의하여 통신하는 통신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주파수대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2 주파수대역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증폭하여 이를 송신하는 전력증폭부; 및
    상기 전력증폭부의 증폭비율을 제어하는 이득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스위치부를 상기 송신부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통신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스위치부를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증폭부는,
    제 1 증폭기 및 제 2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득제어부는,
    상기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주파수대역신호가 송신될 때에 상기 제 2 증폭기가 OFF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140072806A 2014-06-16 2014-06-16 통신장치 KR102117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806A KR102117484B1 (ko) 2014-06-16 2014-06-16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806A KR102117484B1 (ko) 2014-06-16 2014-06-16 통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113A KR20150144113A (ko) 2015-12-24
KR102117484B1 true KR102117484B1 (ko) 2020-06-01

Family

ID=5508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806A KR102117484B1 (ko) 2014-06-16 2014-06-16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4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311B1 (ko) * 2000-07-20 2002-03-08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출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3005663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랜/블루투스/지피에스 싱글 안테나 타입 콤보모듈
KR101915526B1 (ko) * 2012-04-17 2018-1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113A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341B2 (en) Independent band detection for network protection
US10873387B2 (en) Signal booster with spectrally adjacent bands
US8797927B2 (en) RF circuit system and method of increasing the isolation between two wireless communications standards within an RF circuit system
US10630371B2 (en) Signal booster with spectrally adjacent bands
US91849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ime-division signals and frequency-division signals
US10659142B1 (en) Independent band detection for network protection
US20180323860A1 (en) Signal booster system with automatic gain control
US11102801B2 (en) Location based access to selected communication bands
US20180139626A1 (en) Signal booster for boosting signals in contiguous bands
EP3567749A1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repeater system
JP2013005442A (ja) デュアルモード移動通信端末
CN109964420A (zh) 台式信号增强器
KR102117484B1 (ko) 통신장치
CA3052454C (en) Signal booster with spectrally adjacent bands
EP3035653A1 (en) Communication device
EP3577794A1 (en) Band-specific detection in a signal boo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