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429B1 -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 - Google Patents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429B1
KR102116429B1 KR1020180073921A KR20180073921A KR102116429B1 KR 102116429 B1 KR102116429 B1 KR 102116429B1 KR 1020180073921 A KR1020180073921 A KR 1020180073921A KR 20180073921 A KR20180073921 A KR 20180073921A KR 102116429 B1 KR102116429 B1 KR 102116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ma
layer
sleep
adhesive layer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226A (ko
Inventor
이유라
송혜나
이재원
경종수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4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접착시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층의 상부에 아로마 성분을 포함하는 아로마층과 접착층에 대한 상기 아로마층을 이탈을 방지시키는 표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성을 하는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Sleep inducing patch with aromatherapy}
본 발명은 피부에 접착시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층의 상부에 아로마 성분을 포함하는 아로마층과 접착층에 대한 상기 아로마층을 이탈을 방지시키는 표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성을 하는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에 관한 분야이다.
스탠포드 대학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울증을 보정한 후에도 수면장애에 의해 우울증과 자살시도가 재발한다고 하는데, 상기와 같이 숙면은 사람의 건강유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숙면은 우울증과 같은 증세를 예방하고, 정신활동을 맑게하여 개인의 능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일상생활 및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아울러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숙면의 효과가 널리 알려져 원활한 숙면을 유도를 위한 다양한 제품이 제시되고 있고, 아로마와 같은 천연성분을 포함하는 수면유도용 제품이 다수 제시되고 있다.
즉, 최근에 제시되는 수면유도용 제품은 천연성분을 포함하는 이불, 베개와 같은 침구류, 침대 및 안대와 같은 종류의 것이 있고, 상기와 같은 제품은 대부분 고가의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은 수면유도용 제품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2055호는 수면안대에 관한 것으로서, 정련한 원단을 황토수에 침지시켜 황토를 염색한 황토염색 직물을 재봉하여 충전물을 충전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두 눈을 가릴 수 있는 크기의 안대부와 상기 안대부의 양측에 형성된 귀부로 구획되어 있는 안대커버; 및 상기 안대부에 충전되는 결명자와, 상기 귀부에 충전되고, 5mm 내지 30mm 크기로 분쇄한 30 내지 60 중량%의 구절초, 및 10 내지 40 중량%의 삼백초, 3-15 중량 %의 천궁, 및 3-15 중량 %의 당귀를 함유하는 아로마테라피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충전물; 을 포함하는 구성을 하였다.
또한 상기 구성의 수면안대는 아로마테라피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켰으나, 사용자가 안대 형태의 제품을 얼굴에 착용한 상태로 수면을 취해야 하기 때문에, 크기가 큰 안대 형태의 수면유도용 제품으로 인한 이물감으로 숙면이 오히려 방해될 우려가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2055호(2007.04.2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6586호(2013.11.15.)
본 발명은 수면유도용 제품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수면유도용 제품은 단순히 안대 형태의 것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안대 형태의 제품을 얼굴에 착용한 상태로 수면을 취해야 하기 때문에, 크기가 큰 안대 형태의 수면유도용 제품으로 인한 이물감으로 숙면이 오히려 방해될 우려가 있었고;
아로마 향을 발산시키는 발향기를 이용한 수면유도용 제품의 경우에는, 고가의 발향기를 구매하고, 유지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서,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아로마층 및; 상기 아로마층의 상부를 덮으며 테두리부가 상기 접착층 상부면의 테두리부(2)와 접착되며, 상기 아로마층과 외부를 통기시키는 복수 개의 발향구가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는 사용자가 얼굴의 일정 부분에 패치를 간단하게 붙이는 방식으로 수면유도용 제품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 및 크기가 큰 수면유도용 제품으로 인한 이물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아로마의 발향을 위한 별도의 발향기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발향기 구매비용 문제 및 발향기 유지관리를 위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본 발명은 피부에 접착시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층(10); 상기 접착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아로마층(20) 및; 상기 아로마층(20)의 상부를 덮으며 테두리부(11)가 상기 접착층(10) 상부면의 테두리부(31)와 접착되며, 상기 아로마층(20)과 외부를 통기시키는 복수 개의 발향구(32)가 형성되는 표면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이하, ‘수면유도용 패치’라 칭함.)는 아로마를 포함하는 패치를 수면 전에 피부에 부착시켜 수면시에 아로마의 발향에 의하여 숙면을 유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사용자는 코 주변 또는 얼굴의 일정 부분에 수면유도용 패치를 붙여 아로마의 냄새가 용이하게 코로 흡입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면유도용 패치는 평면 상태를 가지되,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외주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수면유도용 패치는 거시적으로 접착층(10), 아로마층(20) 및 표면층(30)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순차으로 적층되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10)은 수용유도용 패치를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시키는 구성으로서, ⅰ) 면직물, 천연수지 직물, 합성수지 직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평면 상태의 직물의 하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 또는 ⅱ) 평면 상태로 이루어진 하이드로콜로이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된 접착물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ⅰ)의 경우에는 상기 접착층(10)은, 일정의 외주 형태를 가지는 직물의 하부면에 피부손상이 없도록 하는 재질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접착제가 피부에 접착됨으로써 수면유도용 패치가 사용자의 피부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ⅱ)의 경우에는 상기 접착층(10)은, 접착층(10)에 별도의 직물이 포함되지 않고, 접착층(10) 자체가 마치 겔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되, 일정의 접착력을 가지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가 피부에 접착됨으로써 수면유도용 패치가 사용자의 피부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아로마층(20)은 상기 접착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수면유도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아로마층(20)은 상기 접착층(10)과 동일한 형태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접착층(10)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접착층(10)과 유상한 형태와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접착츠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로마층(20)에 포함되는 아로마는 향기가 나는 꽃 또는 허브에서 추출된 오일형태의 물질로서, 향기 성분 속에는 테르펜 계열의 다양한 물질, 불포화지방산 및 미네랄 등이 풍부하여, 인체 흡수 시 피부, 신경계, 호흡기계 등의 안정 유도함으로써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아로마층(20)은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라고 알려진 치료 요법에 의하여 사용자의 숙면을 유도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즉, 아로마테라피의 '아로마'란 좋은 향기를 의미하고 '테라피'란 치료법을 뜻하는 의미로써, 아로마테라피란 후각, 촉각을 이용하여 천연향을 사용자의 체내로 흡수하여 마음을 건강하게 치료하는 요법이다.
또한 상기 아로마는 단일 종류의 식물에서 추출된 아로마 오일을 이용할 수도 있고, 여러 종류의 식물에서 각각 추출된 아로마 오일을 적절하게 혼합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아로마층(20)은 상기 구성의 아로마를 포함하는 구성이면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는, 상기 아로마층(20)은 소이왁스 5~45중량%, 샤쉐스톤 30~80중량% 및 아로마 오일 1~25중량%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아로마층(20)에 포함되는 소이왁스(Soy wax)는 콩을 주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왁스로서, 천연성분인 콩을 주원료로 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아로마테라피의 주된 효능을 발휘하는 아로마 오일을 흡수한 후 서서히 발향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소이왁스는 아로마층(20)을 형성시키는 혼합물에 5~45중량%의 조성비를 유지하며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소이왁스가 5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소이왁스에 의한 아로마 오일의 흡향성이 미흡해지고, 소이왁스가 45중량%를 초과하면 소이왁스의 조성이 과다하여 수면 중에 아로마층(20)에 가해지는 장시간의 체온에 의하여 소이왁스의 유동성이 지나치게 커짐으로써 아로마층(20)이 접착층(10)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소이왁스는 상기의 범위 내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샤쉐스톤(Sachet stone)은 질석 또는 운석에 열을 가하여 마치 팝콘처럼 부풀려진 상태를 가지도록 만들어진 물질로서, 많은 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아로마 오일을 기공에 침투시키고, 침투된 아로마 오일이 서서히 발향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샤쉐스톤은 일반적으로 방향제의 모체로 사용되어 일정의 향기를 내는 방향물질을 기공에 침투시킨 후 상기 방향물질이 서서히 발향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로마 오일이 침투되는 모체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샤쉐스톤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아로마층(20)이 지나치게 두꺼워지지 않도록 일정의 입자크기를 가지도록 파쇄된 것을 이용하여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샤쉐스톤은 아로마층(20)을 형성시키는 혼합물에 30~80중량%의 조성비를 유지하며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샤쉐스톤이 30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샤쉐스톤에 의한 아로마 오일의 흡향성이 미흡해지고, 샤쉐스톤이 80중량%를 초과하면 아로마 오일 대비 샤쉐스톤의 조성이 과다하여 접착층(10)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샤웨스톤은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아로마 오일은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아로마의 효과를 발휘하는 구성으로서, 구성의 목적과 효과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의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다만 상기 아로마 오일은 아로마층(20)을 형성시키는 혼합물에 1~25중량%으로 조성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아로마 오일이 1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아로마 오일의 조성이 미흡하여 아로마 오일에 의한 발향성이 떨어지고 그로 인한 수면유도 효과가 미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아로마 오일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아로마 오일의 조성이 과다하여 발향성이 지나치게 커져 사용자의 숙면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는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수면 시간 이후에도 아로마층(20)이 계속적으로 발향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아로마 오일은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구성의 아로마층(20)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ⅲ) 상기 소이왁스, 샤쉐스톤 및 아로마 오일을 단순히 교반 혼합하여 만들어진 혼합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ⅳ) 소이왁스에 일정의 열을 가하여(50~65℃) 소이왁스를 용융시킨 후 상기 샤쉐스톤 및 아로마 오일을 용융된 소이왁스에 첨가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으며, ⅴ) 소이왁스에 일정의 열을 가하여(50~65℃) 소이왁스를 용융시킨 후 상기 샤쉐스톤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샤쉐스톤 입자가 소이왁스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일정의 형태로 몰딩되도록 한 후, 몰딩물에 상기 아로마 오일을 떨어뜨림으로써 아로마 오일이 몰딩물에 침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30)은 상기 아로마층(20)의 상부를 덮으며 테두리부(11)가 상기 접착층(10) 상부면의 테두리부(31)와 접착되며, 상기 아로마층(20)과 외부를 통기시키는 복수 개의 발향구(32)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아로마층(20)이 접착층(10)의 상부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아로마층(20)을 파지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표면층(30)은 인체에 무해한 면직물, 천연수지 직물, 합성수지 직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평면 상태의 직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아로마층(20)보다는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아로마층(20)을 상부를 덮으며 테두리부(11)가 상기 접착층(10) 상부면의 테두리부(31)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면층(30)의 테두리부(11)와 접착층(10)의 테두리부(31)의 접착력을 상기 접착층(10)의 접착력에 의하여 이루질 수도 있고, 별도의 접착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표면층(3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발향구(32)는 상기 아로마층(20)과 외부를 통기시키는 구성으로서, 아로마층(20)이 표면층(30)의 외부로는 이탈되지 않으나 아로마 향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통기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접착층(10)의 하부면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접착층(10)의 하부면에는 알로에, 감태 또는 티트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성분을 포함하는 천연성분층(40)이 더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상기 천연성분층(40)에 의한 사용자의 피부질 개선 효과를 더 실현시킬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수면유도용 패치를 붙인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 되면, 상기 천연성분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도 동시에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천연성분층(40)이 접착층(10)의 하부면에 더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천연성분층(40)의 외주는 상기 접착층(10)의 외주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져 접착층(10)의 하부 테두리부(31)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하고, 천연성분층(40)의 하부면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수면유도용 패치에 천연성분층(40)이 더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 중 피부트러블이 생긴 일정 부분에 수면유도용 패치를 붙임으로써 아로마테라피에 의한 숙면유도 효과와 천연성분층(40)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접착층(10)의 하부면에 이형지가 더 접착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이형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면유도용 패치가 보관 또는 유통되는 동안에 접착층(10)이 포장지에 접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면유도용 패치는 단일 개의 수면유도용 패치 또는 복수 개의 수면유도용 패치가 포장지에 의하여 포장된 후 보관 및 유동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접착층
11 : 테두리부
20 : 아로마층
30 : 표면층
31 : 테두리부
32 : 발향구
40 : 천연성분층

Claims (4)

  1.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층(10);
    상기 접착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아로마층(20) 및;
    상기 아로마층(20)의 상부를 덮으며 테두리부(11)가 상기 접착층(10) 상부면의 테두리부(31)와 접착되며, 상기 아로마층(20)과 외부를 통기시키는 복수 개의 발향구(32)가 형성되는 표면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착층(10)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아로마층(20)은,
    소이왁스 5~45중량%, 샤쉐스톤 30~80중량% 및 아로마 오일 1~2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착층(10)의 하부면에는,
    알로에, 감태 또는 티트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성분을 포함하는 천연성분층(40)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착층(10)의 하부면에는,
    이형지가 더 접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73921A 2018-06-27 2018-06-27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 KR102116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21A KR102116429B1 (ko) 2018-06-27 2018-06-27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21A KR102116429B1 (ko) 2018-06-27 2018-06-27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26A KR20200001226A (ko) 2020-01-06
KR102116429B1 true KR102116429B1 (ko) 2020-05-28

Family

ID=6915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921A KR102116429B1 (ko) 2018-06-27 2018-06-27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4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55B1 (ko) 2006-04-21 2007-05-02 박희연 수면안대
KR100982716B1 (ko) * 2008-08-04 2010-09-16 니라팜 주식회사 아로마테라피 패치
KR20100100144A (ko) * 2009-03-05 2010-09-15 케이제이아이 공업주식회사 라벤더오일 분말이 포함된 목초액 혼합분말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목초수액패치
KR101284441B1 (ko) * 2011-08-19 2013-07-09 (주) 에듀이모션 발향조절 멤브레인
KR20130006586U (ko) 2012-05-07 2013-11-15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수면 마스크
KR200478101Y1 (ko) * 2014-02-12 2015-08-28 김인주 피부 부착형 패드
KR20170140971A (ko) * 2016-06-14 2017-12-22 손대길 아로마 테라피 향을 함유한 수면안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26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80C (zh) 鼻部保温罩
US6936269B2 (en) Insect repellent substrate for headwear
WO2016019762A1 (zh) 一种自发热保温膜及由其制备的面膜和眼膜
CN104382429A (zh) 一种保健席及其加工工艺
CN101322608A (zh) 中药枕
KR101757732B1 (ko) 훈증 및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핫팩
KR102116429B1 (ko)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
TWM314573U (en) Improved structure for Chinese medicine pillow
CN102860719B (zh) 一种驱蚊席子
CN202286407U (zh) 一种防治过敏性哮喘的口罩
KR200474979Y1 (ko) 피톤치드 베개
CN215435359U (zh) 一种中草药缓释驱蚊凉感手环
KR20060125973A (ko) 수면촉진 숨쉬는 베개용볼 및 베개 제작방법
JP2002370974A (ja) 徐放性抗アレルギー剤、徐放性抗アレルギー製剤及び該抗アレルギー剤を用いた日常衛生用品
KR20110051699A (ko) 찜질팩 기능을 갖는 봉제완구
CN203576150U (zh) 一种莞香枕头
CN102247084A (zh) 一种柠檬香茶叶保健枕
DE10158286B4 (de) Wirkstoffspeicherndes Schichtmaterial
CN100469281C (zh) 保健药枕
KR20050033337A (ko) 한방 건강베개
KR200323870Y1 (ko) 안면용 방향 맛사지팩
CN210642770U (zh) 一种按摩除臭鞋垫
CN216221996U (zh) 一种熏香保健眼鼻罩
KR101417510B1 (ko) 피톤치드 인형
KR100607373B1 (ko) 한방향 건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