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972B1 - Height adjustable shoes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able sho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5972B1 KR102115972B1 KR1020190008171A KR20190008171A KR102115972B1 KR 102115972 B1 KR102115972 B1 KR 102115972B1 KR 1020190008171 A KR1020190008171 A KR 1020190008171A KR 20190008171 A KR20190008171 A KR 20190008171A KR 102115972 B1 KR102115972 B1 KR 102115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height
- body portion
- shoe body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높이 깔창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키를 높일 수 있는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footwear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ight-adjustable footwear that allows a user to increase the height as needed without using a height-height insole.
일반적으로 신장이 작거나 자신의 키를 더 크게 보이고 싶어하는 경우, 사람들은 신발 내부의 발뒤꿈치 부분이 통상의 신발보다 높게 형성되어 외부에서는 일반 신발과 비슷한 굽을 가진 것으로 보이지만 신발을 신는 사람의 키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키 높이 신발을 착용한다.In general, if the height is small or if you want to show your height, people tend to have a heel inside the shoe that is higher than normal shoes, so it seems to have a heel similar to normal shoes from the outside, but the height of the person wearing the shoe is increased. Wear tall height shoes that work.
초기에 별도의 키 높이 패드를 신발 깔창의 발꿈치 부분에 삽입하는 타입이 있었지만, 최근 깔창(인솔) 자체를 키 높이 깔창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itially, there was a type of inserting a separate key height pad into the heel part of a shoe insole, but recently it is common to manufacture the insole itself as a key height insole.
즉, 깔창의 발뒤꿈치 부분은 두껍게 성형하여 깔창으로 깔게 되면 키 높이 효과를 누릴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heel portion of the insole is thickly molded, so that the height of the insole can be enjoyed.
하지만, 종래의 키 높이 깔창은 신발 내부에 안치되는 통상의 깔창과 함께 사용되므로, 착용자가 2개의 깔창(통상의 깔창과 키 높이 깔창)을 사용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키 높이 깔창은 착용자의 발뒤꿈치만을 지지하여 들어올리므로 발바닥의 아치 부분이 깔창에 용이하게 지지되지 않아 보행이 매우 불편하고 착용감이 낮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key height insole is used together with a normal insole placed inside the shoe, there is a hassle that the wearer has to use and manage two insoles (normal insole and key height insole), as well as a conventional key. Since the high insole supports only the heel of the wearer, the arch portion of the sole is not easily supported by the insol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lking is very uncomfortable and the fit is low.
즉, 깔창이 높아지는 만큼 신발 뒤꿈치 위로 발목이 올라와 신발이 쉽게 벗겨져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발목과 다리를 긴장하고 생활하다 보면 다리도 쉽게 피곤해진다.That is, as the insole increases, the ankle rises over the heel of the shoe, and the shoe may easily peel off and the stability may deteriorate. To prevent this, if you relax and live your ankles and legs, your legs will easily become t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키높이 깔창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키를 높일 수 있는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adjustable shoe that allows the user to increase the height as needed without using a height-height ins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높이를 조절하고 높이 조절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adjustable shoe so that the height can be simply adjusted by a user's button manipulation and stably maintained in a height-adjusted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발 뒤꿈치 위로 발목이 올라오지 않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adjustable shoe so as to provide a comfortable and stable fit by adjusting the height so that the ankle does not rise above the heel of the shoe.
실시예들 중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은 바닥에 지지되는 신발 베이스부,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상기 신발 베이스부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아져 높이 조절이 되도록 유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신발 본체부, 상기 신발 본체부가 정상 높이로 유지되도록 상기 신발 본체부의 유동을 잠그고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만 상기 신발 본체부의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및 상기 신발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신발 본체부가 높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 유지되도록 상기 신발 본체부를 지지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만 상기 신발 본체부의 지지를 해제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height-adjustable shoe supports the shoe base portion supported on the floor, the wearer's foot, and is fluidly coupled to the shoe base portion up and down, and its rear end portion is higher than the front end portion to flow to adjust the height. The shoe body portion elastically biased in the direction, locking the flow of the shoe body portion so that the shoe body portion is maintained at a normal height, and a locking portion for unlocking the shoe body portion only when the user selects, and a hinge portion of the shoe base portion 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shoe body portion so that the shoe body portion remains fixed in a height-adjusted state, and releasing support of the shoe body portion only when the user selects it.
상기 신발 본체부는 일단이 상기 신발 베이스부와 결합핀에 의해서 결합되고 결합핀 외면을 감싸면서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신발 베이스부와 일정한 각도로 벌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The shoe body portion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shoe base portion and the shoe base portion are joined by a coupling pin and are opened at a constant angle with the shoe base portion by a torsion spring mounted while surrounding the coupling pin outer surface.
상기 토션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신발 본체부에 체결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신발 베이스부에 체결 지지되어 상기 신발 본체부가 상하 유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탄성 가압할 수 있다.The torsion spring may be elastically pressurized such that one end is fastened and supported by the sho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and supported by the shoe base portion so that the shoe body portion is elastically biased in a vertically flowing direction.
상기 록킹부는 상기 신발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크(hook), 상기 신발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인 경우에 상기 후크에 걸리는 후크 리시버(hook receiver), 및 상기 후크가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리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body portion and is a hook that is movable between a locked position and a released position, a hook receiv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base and hooked on the hook when the hook is in the locked position. ), And a rear spring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hook to move between the locked position and the released position.
상기 후크를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푸쉬 조작에 의해 상기 리어 스프링을 작동시키는 높이 조절 작동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move the hook to one of the locked position and the released position, a height adjustment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rear spring by a user's push oper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신발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신발 본체부의 높이 가변에 따라 상기 신발 본체부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일측에 고정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가 상기 고정 요홈에 삽탑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is hinged to one end of the shoe base part and the other end is movable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 body par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hoe body part,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ody and forms a fixed groove on one side. The support may include a guide groove tha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so as to be able to be inserted.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the specific embodiment does not mean that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should be included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are included,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은 키높이 깔창을 사용하지 않고도 굽 높은 신발을 신지 않아도 신발 자체로 키높이 기능을 할 수 있어 키가 커 보이고 싶은 사용자의 신체적 혹은 미적 욕구을 충족시킬 수 있다.The height-adjustable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the physical or aesthetic needs of a user who wants to look tall because the shoes themselves can function as tall without wearing high-heeled shoes without using a tall ins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은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신발 굽의 높이를 조절하고 높이 조절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신발 굽이 고정 유지될 수 있다.The height-adjustable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shoe heel by a user's button operation, and the shoe heel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stable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은 신발 뒤꿈치 위로 발목이 올라오지 않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height-adjustable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fortable and stable fit by adjusting the height so that the ankle does not rise above the heel of the shoe.
도 1a-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의 높이 조절 전후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신발의 높이 조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신발의 높이 조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신발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도 4에 있는 신발의 높이 조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의 예시 도면이다.1A-1B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appearance before and after height adjustment of a height-adjustabl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shoe in FIG.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shoe i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shoe in FIG. 3.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shoe in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a height-adjustabl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In addition,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an effec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us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the lik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pre-excluding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dentifi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tat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a 및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의 높이 조절 전후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1A and 1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appearance before and after height adjustment of a height-adjustabl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신발(100)은 신발 본체부(110)와, 신발 본체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신발 바닥을 형성하는 신발 베이스부(120), 및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을 포함할 수 있다.1A and 1B, the
신발 본체부(110)는 구두는 물론 운동화나 그 밖에 다양한 종류나 용도의 신발에 해당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 본체부(110)는 착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신발창 중 안창(Insole)과 중창(Middle sole)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신발 베이스부(120)는 바닥에 지지되는 신발창 맨 아랫부분에 해당하는 밑창(Outsole)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조작 용이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은 신발 본체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푸쉬 버튼(push button)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은 신발 본체부(110)의 중창 후미에 배치할 수 있다.The height
일 실시예에서, 신발(100)은 신발 본체부(110)가 신발 베이스부(120)에 강제된 상태에서 도 1a와 같이 정상적인 높이를 유지하고 강제 해제되어 신발 본체부(110)가 열리면서 도 1b와 같이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 조작에 따라 신발 본체부(110)가 신발 베이스부(120)에 강제되거나 강제 해제되게 된다. 신발(100)은 도 1b와 같이 높이가 높아진 상태에서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을 누르고 착용자의 다리가 지면에 닿는 힘에 의해 신발 본체부(110)가 닫혀지고 신발 베이스부(120)에 강제되어 다시 도 1a와 같이 정상적인 높이로 복귀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the
도 2는 도 1에 있는 신발(100)의 높이 조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신발(100)은 신발 본체부(110), 신발 베이스부(120),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 록킹부(140) 및 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신발 본체부(110)는 신발 베이스부(120)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아져 높이 조절이 되도록 유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 본체부(110)는 전단부가 신발 베이스부(120)와 결합핀(111)에 의해서 후단부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결합핀(111) 외면을 감싸면서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113)에 의하여 신발 베이스부(120)와 일정한 각도로 벌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토션 스프링(113)은 일단이 신발 본체부(110)에 체결 지지되고 타단이 신발 베이스부(120)에 체결 지지되어 신발 본체부(110)가 상하 유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탄성 가압할 수 있다.The
신발 베이스부(120)는 신발 본체부(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The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은 신발(100)의 높이 조절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착용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신발 본체부(110) 하부의 후미에 배치될 수 있다.The height
록킹부(140)는 신발 본체부(110)가 정상 높이로 유지되도록 신발 본체부(110)의 유동을 잠그고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만 신발 본체부(11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록킹부(140)는 신발 본체부(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크(hook)(141), 신발 베이스부(120)의 상부에 마련되고 후크(141)가 잠금 위치인 경우에 후크(141)에 걸리는 후크 리시버(hook receiver)(143), 및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에 의해 작동되고 후크(141)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리어 스프링(145)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지지부(150)는 신발 본체부(110)가 높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 유지되도록 일정 각도로 벌어진 신발 본체부(110)와 신발 베이스부(120)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50)는 일단이 신발 베이스부(120)에 힌지(153) 결합되고 타단이 신발 본체부(110)의 높이 가변에 따라 신발 본체부(110)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대(151)와, 신발 본체부(1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지지대(15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5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55)은 일측에 고정 요홈(155a)을 형성하여 이동하는 지지대(151)가 요홈(155a)에 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게 한다.The
도 3은 도 2에 있는 신발(100)의 높이 조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신발(100) 뒤꿈치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을 눌러 높이 조절 작동을 선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user may select a height adjustment operation by pressing a height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은 사용자의 버튼 누름 조작에 의해 록킹부(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height
록킹부(140)는 평상시에는 신발 본체부(110)가 정상 높이로 유지되도록 신발 본체부(110)의 유동을 잠그고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이 작동되면 신발 본체부(110)의 잠금을 해제하여 높이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록킹부(140)는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이 눌러질 때마다 잠금 및 잠금 해제를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록킹부(140)는 리어 스프링(145)을 통해 후크(141)에 탄성 가압하여 후크 리시버(143)에 걸려 잠금 위치에 있는 후크(141)를 후크 리시버(143)로부터 풀어 해제 위치로 후크(141)를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록킹부(140)는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의 누름압에 의해 리어 스프링(145)에 탄성력이 작용하여 후크(141)를 밀게 되고 이때 후크(141)가 후크 리시버(143)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록킹부(140)가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서 신발 베이스부(120)에 결합핀(111)을 통해 결합된 신발 본체부(110)가 상부를 향해 유동되게 된다. 이때, 토션 스프링(113)에 의해 신발 본체부(110)는 일정 각도로 벌어지게 되어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아져 신발(10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여기에서, 신발 본체부(110)의 벌어지는 각도는 신발(100)의 조절 가능한 높이를 결정하게 되고 이는 착용자의 안정적인 보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he locking
지지부(150)는 록킹부(140)가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신발 베이스부(120)에 힌지(153)를 통해 결합된 지지대(151)가 회전하여 가이드홈(155)을 따라 신발 본체부(110)의 하부면을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홈(155)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 요홈(155a)의 위치에 오게 되면 지지대(151)가 고정 요홈(155a)에 끼워져 신발 본체부(110)와 신발 베이스부(120) 사이의 간격을 고정 유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지지부(150)는 신발(100) 착용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된 신발(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키가 커 보이는 키 높이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신발 본체부(110)가 벌어지면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져 신발(100)의 뒷꿈치 부분도 올라가게 됨으로 발목이 올라오지 않아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The
다음으로, 신발(100)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에서 정상 높이로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다시 한번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을 눌러 높이 조절 작동을 선택할 수 있다. Next, when the height of the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은 사용자의 버튼 누름 조작에 의해 록킹부(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height
록킹부(140)는 높이 조절 작동버튼(130)의 누름압에 의해 리어 스프링(145)을 작동시켜 후크(141)를 잠금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다리가 지면을 향해 가하는 힘에 의해 지지부(150)의 고정 요홈(155a)에 끼워진 지지대(151)가 고정 요홈(155a)으로부터 이탈되어 가이드홈(155)을 따라 신발 본체부(110)의 하부면을 이동하고 신발 본체부(110)는 신발 베이스부(120)를 향해 유동되게 된다.The
신발 본체부(110)가 신발 베이스부(120)를 향해 유동되어 록킹부(140)의 후크(141)가 잠금 위치에 오게 되면 후크(141)가 후크 리시버(143)에 걸려 신발 본체부(110)는 잠금 상태가 되어 정상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도 4는 도 2에 있는 신발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shoe in FIG. 2.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150)는 대략 사각형태의 지지대(151)와 가이드홈(155)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대(151)의 일단은 신발 베이스부(120)의 상부에 힌지(153)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대(151)의 타단은 신발 본체부(110)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되고 단부에 고정 요홈(155a)에 삽탈 가능하도록 원형바 형상의 고정핀(151a)이 개재되어 있다. 가이드홈(155)은 신발 본체부(110)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일측에 고정 요홈(155a)이 형성되어 가이드홈(155)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대(151)의 고정핀(151a)이 요홈(155a)에 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도 5는 도 4에 있는 신발의 높이 조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shoe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록킹부(140)의 후크(141)가 잠금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 신발 본체부(110)가 상부를 향하여 유동할 때에 지지부(150)의 지지대(151)도 연동되어 신발 본체부(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55)을 따라 이동된다. 신발 본체부(110)는 일정 각도로 벌어지면서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지지대(151)는 가이드홈(155)의 일측에 형성된 요홈(155a)에 끼워지면서 이동을 멈추게 되고 신발 본체부(110)도 더 이상 유동되지 않고 높이가 고정 유지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홈(155)에 요홈을 복수개 이상 형성할 경우 신발 본체부(110)의 벌어지는 각도를 단계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신발(100) 높이를 단계적으로 높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height-adjustabl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에 보여진 바와 같이,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은 신발 베이스부로부터 신발 본체부를 벌려주고 그 사이를 고정 지지하여 신발 속에 키높이 깔창을 넣지 않아도 그리고 굽이 높은 신발을 신지 않아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신발의 높이를 조절하여 키 높이 효과를 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height-adjustable shoes open the shoe body from the shoe base and fix the support therebetween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without putting a tall insole in the shoe and wearing high-heeled shoes You can adjust the height effec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00: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
110: 신발 본체부
111: 결합핀 113: 토션 스프링
120: 신발 베이스부
130: 높이 조절 작동버튼
140: 록킹부 141: 후크
143: 후크 리시버 145: 리어 스프링
150: 지지부 151: 지지대
151a: 고정핀 153: 힌지
155: 가이드홈 155a: 고정 요홈100: height adjustable shoes
110: shoe body
111: engaging pin 113: torsion spring
120: shoe base
130: height adjustment operation button
140: locking portion 141: hook
143: hook receiver 145: rear spring
150: support 151: support
151a: fixing pin 153: hinge
155: guide
Claims (6)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상기 신발 베이스부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아져 높이 조절이 되도록 유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신발 본체부;
상기 신발 본체부가 정상 높이로 유지되도록 상기 신발 본체부의 유동을 잠그고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만 상기 신발 본체부의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및
상기 신발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신발 본체부가 높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 유지되도록 상기 신발 본체부를 지지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만 상기 신발 본체부의 지지를 해제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발 본체부는
일단이 상기 신발 베이스부와 결합핀에 의해서 결합되고 결합핀 외면을 감싸면서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신발 베이스부와 일정한 각도로 벌어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
A shoe base portion supported on the floor;
A shoe body portion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to support a wearer's foot and to be able to flow up and down in the shoe base and flow so that its rear end portion is higher than the front end portion to adjust height;
A locking portion that locks the flow of the shoe body portion so that the shoe body portion is maintained at a normal height and unlocks the shoe body portion only when the user selects it; And
It is hinged to the shoe base portion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hoe body portion so as to remain fixed in a height-adjusted state, and releasing the support of the shoe body portion only when the user selects it,
The shoe body portion
The height-adjustable sho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joined by the shoe base portion and a coupling pin and is opened at a constant angle with the shoe base portion by a torsion spring mounted while surrounding the coupling pin outer surface.
일단이 상기 신발 본체부에 체결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신발 베이스부에 체결 지지되어 상기 신발 본체부가 상하 유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
The torsion spring of claim 1,
A height-adjustable sho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fastened and supported by the sho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and supported by the shoe base portion so as to elastically bias the shoe body portion in an upward and downward flow direction.
상기 신발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크(hook), 상기 신발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인 경우에 상기 후크에 걸리는 후크 리시버(hook receiver), 및 상기 후크가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리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portion
A hook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body portion and movable between a locked position and a released position, a hook receiv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base, and hooked on the hook when the hook is in a locked position, and And a rear spring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hook to move between the locked position and the released position.
상기 후크를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푸쉬 조작에 의해 상기 리어 스프링을 작동시키는 높이 조절 작동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
The method of claim 4,
And a height adjustment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rear spring by a user's push operation to move the hook to one of the locked position and the released position.
일단이 상기 신발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신발 본체부의 높이 가변에 따라 상기 신발 본체부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일측에 고정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가 상기 고정 요홈에 삽탑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One end is hinged to the shoe base and the other end is movable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 body according to the variable height of the shoe body,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support and forms a fixed groove on one side so that the support is A height-adjustable shoe comprising a guide groove that is inserted into the fixed groove to enable a shov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8171A KR102115972B1 (en) | 2019-01-22 | 2019-01-22 | Height adjustable sho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8171A KR102115972B1 (en) | 2019-01-22 | 2019-01-22 | Height adjustable sho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5972B1 true KR102115972B1 (en) | 2020-05-27 |
Family
ID=7091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8171A KR102115972B1 (en) | 2019-01-22 | 2019-01-22 | Height adjustable sho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597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86402A1 (en) * | 2021-03-03 | 2022-09-09 | 배효만 | Transformable shoes |
KR102540719B1 (en) * | 2022-02-22 | 2023-06-05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Shoes that can adjust the slope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2314Y1 (en) * | 1992-11-09 | 1996-03-20 | 우은하 | Footwear with heel adjustable as to height |
KR970005823U (en) | 1995-07-11 | 1997-02-21 | 제일합섬 주식회사 | Sliding structure of Can Travers device |
CN2456507Y (en) * | 2000-12-27 | 2001-10-31 | 尤风河 | High heel shoes capable of regulating height |
KR200265394Y1 (en) * | 2001-10-26 | 2002-02-21 | (주)포스텍 | A multi-slope regulatable shoes |
KR20060038876A (en) * | 2004-11-01 | 2006-05-04 | 유광석 | High heel shoe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el |
US20100146817A1 (en) * | 2008-12-17 | 2010-06-17 | Crisp Enterprises, Inc. | Footwear Having Adjustable-Height Heel and Method Therefor |
KR101204292B1 (en) * | 2012-05-29 | 2012-11-26 | 박근식 | Shoes for walking on a slope |
KR101396758B1 (en) * | 2012-11-28 | 2014-05-19 | 임성섭 | Adjustable height type shoe |
CN105394883A (en) * | 2015-11-30 | 2016-03-16 | 黄晓 | High-heeled shoe with height-adjustable heel |
KR20160001397U (en) * | 2014-10-20 | 2016-04-29 | 지밍 조우 | Inner height increasing insole |
KR101868089B1 (en) * | 2017-12-11 | 2018-06-18 | 최한나 | Withdraw type shoes structure for height controllable |
-
2019
- 2019-01-22 KR KR1020190008171A patent/KR10211597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2314Y1 (en) * | 1992-11-09 | 1996-03-20 | 우은하 | Footwear with heel adjustable as to height |
KR970005823U (en) | 1995-07-11 | 1997-02-21 | 제일합섬 주식회사 | Sliding structure of Can Travers device |
CN2456507Y (en) * | 2000-12-27 | 2001-10-31 | 尤风河 | High heel shoes capable of regulating height |
KR200265394Y1 (en) * | 2001-10-26 | 2002-02-21 | (주)포스텍 | A multi-slope regulatable shoes |
KR20060038876A (en) * | 2004-11-01 | 2006-05-04 | 유광석 | High heel shoe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el |
US20100146817A1 (en) * | 2008-12-17 | 2010-06-17 | Crisp Enterprises, Inc. | Footwear Having Adjustable-Height Heel and Method Therefor |
KR101204292B1 (en) * | 2012-05-29 | 2012-11-26 | 박근식 | Shoes for walking on a slope |
KR101396758B1 (en) * | 2012-11-28 | 2014-05-19 | 임성섭 | Adjustable height type shoe |
KR20160001397U (en) * | 2014-10-20 | 2016-04-29 | 지밍 조우 | Inner height increasing insole |
CN105394883A (en) * | 2015-11-30 | 2016-03-16 | 黄晓 | High-heeled shoe with height-adjustable heel |
KR101868089B1 (en) * | 2017-12-11 | 2018-06-18 | 최한나 | Withdraw type shoes structure for height controllab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86402A1 (en) * | 2021-03-03 | 2022-09-09 | 배효만 | Transformable shoes |
KR102540719B1 (en) * | 2022-02-22 | 2023-06-05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Shoes that can adjust the slop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58972B2 (en) | Footwear article with collar elevator | |
US10912348B2 (en) | Easy access articles of footwear | |
KR102632146B1 (en) | Articles of footwear with colored elevators | |
US11154115B2 (en) | Articles of footwear transitional between a foot insertion or removal configuration and a foot supporting configuration | |
US3464126A (en) | Shoe with a hinged mechanically adjustable heel | |
JP2021058670A (en) | Adaptable shoe | |
US20120055048A1 (en) | Heel for a shoe | |
US20130312285A1 (en) | Convertible, Removable and Replaceable Heel Transformation Device, Mechanism and Methods | |
US20150047223A1 (en) | Shoe with Hinged Sole | |
KR102115972B1 (en) | Height adjustable shoes | |
US20100146817A1 (en) | Footwear Having Adjustable-Height Heel and Method Therefor | |
JP2010523174A (en) | Sho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configuration | |
WO2013088113A2 (en) | Multiple use footwear | |
CN115397279A (en) | Shoes with changeable heels | |
US20160183625A1 (en) | Women's shoes that interchange from high heel form to flat form | |
KR101240927B1 (en) | Sectional high-heeled shoes | |
KR20160001397U (en) | Inner height increasing insole | |
KR100954343B1 (en) | Shoes for controlling the height having mult-fuction | |
US20140331522A1 (en) | Shoe having stool function | |
KR102055057B1 (en) | Height adjustable shoe heel, shoe equipped with the same, the using method thereof | |
KR101840945B1 (en) | Height adjustable shoe heel, shoe equipped with the same, the using method thereof | |
KR101288183B1 (en) | Shoes capable of adjusting height | |
KR101489735B1 (en) | Fashionable cushion accessory for high heel shoes | |
GB2592876A (en) | Shoes with detachable and interchangeable attachments | |
US20220279897A1 (en) | Height adjusting and stabilizing assembly for footwe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