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764B1 - FINE DUST REMOVAL SYSTEM and FINE DUCT REMOVAL MODULE SYSTEM - Google Patents

FINE DUST REMOVAL SYSTEM and FINE DUCT REMOVAL MODUL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764B1
KR102115764B1 KR1020180134211A KR20180134211A KR102115764B1 KR 102115764 B1 KR102115764 B1 KR 102115764B1 KR 1020180134211 A KR1020180134211 A KR 1020180134211A KR 20180134211 A KR20180134211 A KR 20180134211A KR 102115764 B1 KR102115764 B1 KR 102115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ing water
water
air
collecting tank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1192A (en
Inventor
장춘만
유영석
이상문
지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764B1/en
Publication of KR2020005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1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7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F24F2003/1653
    • F24F2003/1657
    • F24F2003/166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식재가 가능한 식생층, 상기 식생층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층을 지지하며 상기 식생층에서 1차 필터링된 외부공기와 외부유수를 2차 필터링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다공성 지지층, 상기 다공성 지지층에 접하는 부분은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지지층으로부터 전달되는 2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취합하여 3차 필터링 및 저장하기 위한 취합조, 및 상기 취합조에 저장된 3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 각각을 4차 필터링하여 예정된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송필터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removal system, a vegetation layer capable of plant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vegetation layer to support the vegetation layer, and to pass through externally filtered external air and external water flowing through the vegetation layer by secondary filtering Porous support layer for,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porous support layer is opened and the rest part is formed in a closed structure and the collecting tank for tertiary filtering and storage by collecting secondar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delivered from the porous support layer, and the collecting Provided is a fine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a transfer filter for transferring each of the tertiar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stored in a tank to a predetermined space by quaternary filtering.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모듈 시스템{FINE DUST REMOVAL SYSTEM and FINE DUCT REMOVAL MODULE SYSTEM}Fine dust removal system, and fine dust removal module system using the same {FINE DUST REMOVAL SYSTEM and FINE DUCT REMOVAL MODULE SYSTEM}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미세먼지를 포함한 외부공기를 시스템 내부로 유입시켜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청정공기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removal system, and relates to a fine dust removal system capable of removing fine dust by introducing external air including fine dust into the system and producing clean air.

미세먼지(微細-, Particulate Matter, PM) 또는 분진(粉塵)이란 아황산 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 탄소 등을 포함하는 대기오염 물질로서 자동차, 공장 등에서 발생한다. 미세먼지는 글자 그대로 대기 중 장기간 떠다니는 미세먼지를 의미하며 통상 입자 크기가 10μm 이하로 "PM10"이라고 표현한다. 그 중 입자 크기가 2.5μm 이하인 경우는 "PM2.5"라고 표현하며 "초미세먼지" 또는 "극미세먼지"라고도 부른다. Particulate Matter (PM) or dust is an air pollutant containing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s, lead, ozone, and carbon monoxide, and is generated in automobiles and factories. Fine dust literally means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for a long time, and is usually expressed as "PM10" with a particle size of 10 μm or less. Among them, when the particle size is 2.5 μm or less, it is expressed as “PM2.5” and is also referred to as “ultrafine dust” or “ultrafine dust”.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은 크게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적인 요인에는 토양 입자, 해염(소금) 입자, 꽃가루, 균류의 포자, 박테리아, 화산재 등에 의하여 미세먼지가 발생하며, 인위적인 요인에는 일반 가정집, 공장, 발전소, 농장, 사업장, 도로 등에서 인간의 여러 활동 등에 의하여 미세먼지가 발생한다.The causes of fine dus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natural factors and artificial factors. Fine particles are generated by natural factors such as soil particles, sea salt (salt) particles, pollen, fungal spores, bacteria, and volcanic ash, and artificial factors include various human activities in general homes, factories, power plants, farms, workplaces, and roads. Fine dust is generated by the back.

미세먼지인 PM10에는 자연의 토양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지만 PM2.5의 경우 주로 다양한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1차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서 물리 및 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긴 2차 오염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 PM2.5는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암모니아,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전구물질이 대기 중에서 질산염, 황산염, 암모늄, 비휘발성 유기물, 유기탄소 등으로 바뀐 물질들이다. PM2.5의 대기 중 체류시간은 약 7일로, 바람을 타고 장거리를 이동하여 주변국까지 영향을 끼친다. PM10, which is a fine dust, contains natural soil components, but in the case of PM2.5, primary pollutants emitted from various pollutants mainly consist of secondary pollutants caused by physical and chemical reactions in the atmosphere. In other words, PM2.5 is a substance in which precursors such as nitrogen oxides, sulfur oxides, ammonia,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have been converted to nitrates, sulfates, ammonium, nonvolatile organics, and organic carbon in the atmosphere. PM2.5's waiting time in the air is about 7 days, and it travels long distances by wind to affect neighboring countries.

대기오염 물질이자 유해물질인 미세먼지는 빛을 산란시켜 대기를 혼탁하게 만들고, 식물의 잎 표면에 쌓여 신진대사를 방해하며, 건축물이나 동상 등의 설치물에 쌓여 부식을 유발하기도 한다. 인간에 있어서 미세먼지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호흡기와 폐 질환을 비롯하여 피부 및 안구 질환 등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미세먼지는 일반먼지와 달리 호흡기관에서 걸러지지 않고 신체에 축적되며 PM2.5의 경우 폐포나 혈관으로 침투가 가능하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도 일으킬 수 있다. Fine dust, an air pollutant and harmful substance, scatters light to make the atmosphere turbid, accumulates on the leaf surface of plants, interferes with metabolism, and accumulates in installations such as buildings and statues to cause corrosion. The most serious problem of fine dust in humans is that it causes skin and eye diseases as well as respiratory and lung diseases. Unlike normal dust, fine dust is not filtered by the respiratory tract and accumulates in the body. PM2.5 can also penetrate into the alveoli or blood vessels, which can cause cardiovascular disease.

194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도노라에서 20명이 사망한 사건과, 1952년 약 4,00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런던 스모그는 미세먼지가 인간에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지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세계보건기구(WHO) 산하의 국제암연구소(IARC)는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한 바 있다.London Smog, which killed 20 people in Donora, Pennsylvania in 1948, and 4,000 deaths in 1952, is a prime example of how microdust affects humans. Through these examples, the International Cancer Institute (IARC) unde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classified fine dust as a primary carcinogen.

이렇듯 미세먼지는 주위환경이나 인간에게 여러 가지 해를 끼치며, 이러한 상황에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은 개별 국가적인 차원을 넘어 범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fine dust causes various harms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human beings. In this situation, efforts to remove fine dust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at a national level, rather than an individual national level.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미세먼지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추가적인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친환경적인 구성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fine dust removal system capable of removing fine dust us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onfiguration so that no additional contamination occurs in removing fine dust. .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 및 유수를 순차적으로 다단 필터링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곳으로 전달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removal system capable of sequentially delivering multi-stage filtering of air and running water including fine dust to a place in nee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공기와 유수를 필요로 하는 공간과 함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공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removal system capable of realizing a space for removing fine dust together with a space requiring air and running water as one system.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식재가 가능한 식생층; 상기 식생층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층을 지지하며 상기 식생층에서 1차 필터링된 외부공기와 외부유수를 2차 필터링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다공성 지지층; 상기 다공성 지지층에 접하는 부분은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지지층으로부터 전달되는 2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취합하여 3차 필터링 및 저장하기 위한 취합조; 및 상기 취합조에 저장된 3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 각각을 4차 필터링하여 예정된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송필터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getation layer capable of planting; A porous support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vegetation layer to support the vegetation layer and to pass through the first filtered external air and external flow through the vegetation layer by secondary filtering; A collecting tank for collecting and filtering the secondar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delivered from the porous supporting layer by terminating and filtering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orous supporting layer; And a transfer filter for fourthly filtering each of the tertiar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and delivering them to a predetermined spa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층은, 효모,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사상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생물 필터타입과, 일라이트, 바이오 차,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물 필터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support layer, at least one of a microbial filter type including at least one of yeast, yeast, photosynthetic bacteria, actinomycetes, and filamentous fungi, and at least one of illite, bio tea, and zeolite. It is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취합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취합조에 취합된 공기와 유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y disposed inside the collecting tank, and further comprising a purifier for purifying air and running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취합조의 하부관에 삽입되어 상기 취합조에 취합된 상기 유수의 배출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밸브; 및 상기 취합조의 상부관에 삽입되어 상기 취합조에 취합된 상기 공기의 배출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필터는, 상기 제1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유수를 살균하고 상기 식생층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살균부; 및 상기 제2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를 살균하고 예정된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살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erted into the lower pipe of the collecting tank, the first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running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And a second valve inserted into an upper tube of the collecting tank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ai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is discharged, and the transfer filter is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to sterilize the running water and vegetation. A first sterilization unit for delivery to the layer; And a second sterilizing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to sterilize the air and deliver the air to a predetermined spa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살균부는, 상기 제1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유수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유수를 살균하기 위한 유수 살균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a pump for moving the flow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val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unning water sterilizer for sterilizing the running water delivered by the pum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살균부는, 상기 제2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공기 살균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rilizing unit includes: a fan for moving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val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 air sterilizer for sterilizing the air delivered by the fa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취합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취합조에 저류된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제공되는 상기 유수의 유량 정보에 따라 상기 취합조에 저류된 유수를 별도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for detecting a flow rate disposed in the collecting tank and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torage tank for separately storing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according to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running water provided by the sens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상기 취합조에 저류된 유수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유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tank includes a pump for moving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running water delivered by the pum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필터 및 상기 저장조로 이동하는 유수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the water flowing to the transfer filter and the storage tan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생층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식생층의 식재를 위한 상기 유수를 배출하는 제1 물 배출관; 및 상기 다공성 지지층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공성 지지층의 청소를 위한 상기 유수를 배출하는 제2 물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disposed on the vegetation layer, a first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running water for planting of the vegetation layer; And a second water discharge pipe disposed inside the porous support layer and discharging the running water for cleaning the porous support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리 시스템은, 식재 동작 모드에서 상기 취합조 또는 상기 저장조의 유수를 상기 제1 물 배출관을 통해 상기 식생층으로 공급하고, 청소 동작 모드에서 상기 취합조 또는 상기 저장조의 유수를 상기 제2 물 배출관을 통해 상기 다공성 지지층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ystem supplies the running water of the collecting tank or the storage tank in the planting operation mode to the vegetation layer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flowing water of the collecting tank or the storage tank in the cleaning operation mode is the It is preferable to supply it to the porous support layer through a second water discharge pipe.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식재가 가능한 식생층, 상기 식생층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층을 지지하며 상기 식생층에서 1차 필터링된 외부공기와 외부유수를 2차 필터링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다공성 지지층, 상기 다공성 지지층에 접하는 부분은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지지층으로부터 전달되는 2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취합하여 3차 필터링 및 저장하기 위한 취합조, 및 상기 취합조에 저장된 3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 각각을 4차 필터링하여 예정된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송필터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 모듈 시스템; 및 상기 이송필터를 통해 상기 4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제공받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 모듈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getation layer capable of plant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vegetation layer to support the vegetation layer and primary filtered external air from the vegetation layer And a porous support layer for secondary filtering through the external flow,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porous support layer is opened and the other part is formed in a closed structure, and the secondary filtered air and the water flowing from the porous support layer are collected to perform third filtering. And a dust collecting module system including a collecting tank for storing, and a transfer filter for fourthly filtering each of the tertiar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to deliver to a predetermined space; And a structure that receives the fourth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through the transport filt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필터는 상기 취합조에서 전달되는 상기 유수 및 공기를 UV 램프를 이용하여 살균하기 위한 유수 살균기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4차 필터링된 공기에 전하를 가하여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집진장치; 및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배치되며 태양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여 상기 집진장치에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filter includes an oil and water sterilizer for sterilizing the oil and air delivered from the collecting tank using a UV lamp,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ructure to apply electric charge to the fourth filtered air.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filtering fine dust; And it is prefer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ructure to include a solar panel for producing energy through the sunlight to supply to the dust collect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4차 필터링된 유수를 상기 태양광 패널 상면에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관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hotovoltaic panel, and further comprising a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fourth filtered filtered water to the top surface of the photovoltaic panel.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fine dus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식생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와 유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친환경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며 공기 및 유수의 재활용률을 높이고 대기 및 수질의 오염도를 낮추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ystem that does not generate additional pollution by removing fine dust using vegetation and recycling air and running water from which the fine dust has been removed, and increases the recycling rate of air and running water and lowers the degree of pollution of air and water. It has the effect.

본 발명은 공기와 유수를 필요로 하는 공간과 함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공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하여 해당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install the system by implementing a space for removing fine dust together with a space requiring air and running water as one system.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의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적용한 미세먼지 제거 모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ne dus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ine dust removal module system to which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of FIG. 1 is applied.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In addition,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an effec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us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the lik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pre-excluding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dentifi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tat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ne dus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식재가 가능한 식생층(100); 상기 식생층(10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층(100)을 지지하며 상기 식생층(100)에서 1차 필터링된 외부공기와 외부유수를 2차 필터링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다공성 지지층(200); 상기 다공성 지지층(200)에 접하는 부분은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지지층(200)으로부터 전달되는 2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취합하여 3차 필터링 및 저장하기 위한 취합조(300); 및 상기 취합조(300)에 저장된 3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 각각을 4차 필터링하여 예정된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송필터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is a vegetation layer 100 that can be planted; A porous support layer 200 formed on one side of the vegetation layer 100 to support the vegetation layer 100 and secondarily filtering external air and external water flowing through the vegetation layer 100 to pass through the filter;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is opened and the other part is formed in a closed structure, and a collecting tank 300 for tertiary filtering and storage by collecting secondar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delivered from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 And a transfer filter for fourthly filtering each of the tertiar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to deliver them to a predetermined space.

우선, 식생층(100)은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토양이 이에 해당하며, 외부공기와 외부유수는 식생층(100)으로부터 1차적으로 필터링된다.First, the vegetation layer 100 is a structure for planting plants, and general soil corresponds to this, and external air and external water are primarily filtered from the vegetation layer 100.

식생층(100)에 식재되는 식물은 공기정화 능력이 우수한 스파티필름, 에피프렘넘, 싱고니움, 녹죽, 접란, 아이비, 스킨답서스, 파키라 등이 될 수 있으며, 식생층(100)은 코이어펠트, 코코피트, 하이드로볼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layer 100 can be spatium film, epipremnum, singonium, green bamboo, eggplant, ivy, skin dabs, pakira, etc., which have excellent air purification ability, and the vegetation layer 100 is a coir felt, It is possible to form with coco feet, hydroball, or the like.

그래서 공기 중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식생층(100)에 식재된 식물의 호흡작용에 의하여 흡수 및 제거되며, 미세먼지의 경우 식생층(100)을 구성하는 토양에 의하여 흡수 및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So,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the air are absorbed and removed by the respiration action of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layer 100, and in the case of fine dust, it can be absorbed and removed by the soil constituting the vegetation layer 100. .

이러한 오염물질에 대한 흡수 및 제거는 식생의 뿌리부분에서 활발히 일어나는데, 따라서 식생층(100)에는 세균, 방성균, 균류, 조류 등을 포함하는 토양미생물을 첨가하는 경우 미세먼지에 대한 정화작용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것이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Absorption and removal of these contaminants occurs actively in the root part of the vegetation, and thus, when soil microbes including bacteria, antiseptics, fungi, algae, etc. are added to the vegetation layer 100, the purifying action for fine dust is further activated. It was confirmed by experiment.

실험에는 토양미생물인 사상균으로는 아스퍼길러스(Aspergillus), 트리코테르마(Trichoderma), 효모(Yeast) 등이 사용되었으며, 방선균에는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액티노마이세트스(Actinomycetes), 셀룰로모나스(Cellulomonas) 등이 사용되었으며, 세균(Bacteria)에는 바실러스(Bacillus), 슈도모나스(Pseudomonas), 광합성균(Photosynthetic bacteria) 등이 사용되었다.In the experiment, Aspergillus, Trichoderma, Yeast, etc. were used as the soil microbial fungi, and Streptomyces, Actinomycetes, Cellulul, etc. Cellulomonas was used, and Bacillus, Bacillus, Pseudomonas, and Photosynthetic bacteria were used.

식생층(100)에는 점적관수를 위한 제1 물 배출관(G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물 배출관(G1)은 이후 설명될 취합조(300)에 연결되어 식재에 필요한 청정의 유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vegetation layer 100 may be formed with a first water discharge pipe G1 for drip irrigation,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G1 is connected to a collection tank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supply clean running water required for planting. It is possible to do.

다음으로, 다공성 지지층(200)은 식생층(1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식생층(100)을 취합조(300) 상부에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식생층(100)에서 1차 필터링된 외부공기와 외부유수를 2차 필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Next,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is formed on one side lower part of the vegetation layer 100 to support the vegetation layer 10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on tank 300, and the primary filtered primary air from the vegetation layer 100 And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external flow second.

다공성 지지층(200)은 식생층(100)에서 전달되는 공기와 유수를 이후단에 형성되는 취합조(300)로 전달하기 위하여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ous support layer 200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orous structure in order to transfer air and running water delivered from the vegetation layer 100 to the collection tank 300 formed at a subsequent stage.

다공성 지지층(200)은 효모,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사상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생물 필터타입과, 일라이트, 바이오 차,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물 필터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다공성 지지층(200)을 미생물 필터타입과 광물 필터타입을 혼합한 타입을 구성하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The porous support layer 200 may be composed of a microbial filter type including at least one of yeast, yeast, photosynthetic bacteria, actinomycetes, and filamentous fungi, and a mineral filter type including at least one of illite, bio tea, and zeolite.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gured to constitute a type in which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is a mixture of a microbial filter type and a mineral filter type.

다음으로, 취합조(300)는 다공성 지지층(2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며 다공성 지지층(200)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와 유수를 취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공성 지지층(200)에서 2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3차 필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Next, the collecting tank 300 is formed under one side of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and is configured for collecting air and water flowing from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Secondl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in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third order.

취합조(300)는 다공성 지지층(200)에 접하는 부분은 개방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밀폐형 구조를 가지며, 개방된 영역은 설계에 따라 일부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취합조(300)는 다공성 지지층(200)으로부터 2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전달받아 취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취합조(300)의 상부에는 다공성 지지층(200)에서 전달되는 공기가 취합되고, 취합조(300)의 하부에는 다공성 지지층(200)에서 전달되는 유수가 취합된다.The collecting tank 300 has a part in contact with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and the rest of the parts have a hermetic structure, and the open area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partially opened according to design. Therefore, the collecting tank 300 can receive and collect secondar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from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so that the air delivered from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is collec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ng tank 300. In the lower part of the collecting tank 300, the flowing water delivered from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is collected.

취합조(300)의 내부에는 저류된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부 센서(310)와 하부 센서(320)가 구성되며, 상부 센서(310)는 취합조(300)에 저류된 유수가 예정된 유량 이상으로 저류됨을 감지하기 위하여 하부 센서(320)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 센서(320)는 취합조(300)에 저류된 유수가 예정된 유량 이하로 저류됨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부 센서(310)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이후 다시 설명하겠지만, 상부 센서(310)와 하부 센서(320)에서 감지된 유량에 대한 정보는 저장조(600)로 전송되어 저장조(600)의 운행 정보로 사용된다.Inside the collecting tank 300, an upper sensor 310 and a lower sensor 320 for measuring the stored flow rate are configured, and the upper sensor 310 flows more than a predetermined flow rate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It is formed above the lower sensor 320 to detect that it is stored, and the lower sensor 320 is formed below the upper sensor 310 to detect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is stored below a predetermined flow rate. do.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formation on the flow rates detected by the upper sensor 310 and the lower sensor 320 is transmitted to the storage tank 600 and used a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torage tank 600.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취합조(300) 내부에는 취합된 공기와 유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취합조(300)는 취합된 공기와 유수를 3차적으로 다시 한번 필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정화기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정화기와 유수를 정화하기 위한 유수 정화기로 구분되어 각각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tank 300 may further include a purifier for purifying the collected air and running water, and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collecting tank 300 thirdly collects the collected air and running water again. It is possible to filter once. Here, the purifiers are preferably divided into air purifiers for purifying air and oil purifiers for purifying the running water, and are installed at respective positions.

취합조(300)의 하부에는 하부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관에는 제1 밸브(VV1)가 삽입되어 취합조(300)에 취합된 유수의 배출여부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취합조(300)의 상부에는 상부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관에는 제2 밸브(VV2)가 삽입되어 취합조(300)에 취합된 공기의 배출여부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A lower pip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tank 300, and a first valve VV1 is inserted into the lower pipe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flowing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is discharged. In addition, an upper pip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ng tank 300, and a second valve VV2 is inserted into the upper pipe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ai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is dischar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취합조(300)에서 3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4차 필터링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공간까지 전달하는 이송필터(400, 50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수를 필터링하여 해당 공간으로 전달하는 구성을 "제1 살균부"라 칭하고 "400"의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공기를 전달하는 구성을 "제2 살균부"라 칭하고 "500"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The fine dus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port filters 400 and 500 for filtering the air and running water that have been filtered 3 times in the collecting tank 300 to the space that needs them.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the configuration for filtering the flowing water and delivering it to the corresponding space is referred to as a "first sterilization unit", and a reference numeral of "400" is assigned, and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ir is referred to as a "second sterilization unit" and " A reference numeral of 500 "will be assigned.

우선, 제1 살균부(400)는 제1 밸브(VV1)에 연결되어 취합조(300)에서 배출되는 유수를 살균하고 이를 식생층(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펌프(410)와 유수 살균기(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펌프(410)는 제1 밸브(VV1)를 통해 배출되는 유수를 유수 살균기(42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유수 살균기(420)는 펌프(410)에 의해 전달되는 유수를 살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후 유수 살균기(420)에서 필터링된 유수는 제1 물 배출관(G1)을 통해 식생층(100)으로 전달되어 공급되며, 식생층(100)은 이렇게 필터링된 청정의 유수를 제공받아 식재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VV1) as a configuration for sterilizing the runn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collecting tank 300 and delivering it to the vegetation layer 100, the pump 410 and the running water sterilizer 420. Here, the pump 410 is configured to move the flow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valve (VV1)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sterilizer 420, and the water sterilizer 420 sterilizes the water flowing by the pump 410 It is a configuration for. Afterwards,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lowing water sterilizer 420 is supplied to the vegetation layer 100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G1, and the vegetation layer 100 receives the filtered clean water and uses it for planting. It is possible.

그리고 제2 살균부(500)는 제2 밸브(VV2)에 연결되어 취합조(3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하고 이를 필요로하는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팬(510)과 공기 살균기(5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팬(510)은 제2 밸브(VV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공기 살균기(52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공기 살균기(520)는 팬(510)에 의해 전달되는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후 공기 살균기(520)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이를 필요로 하는 공간(W)으로 전달 및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VV2) as a configuration for steriliz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llecting tank 300 and delivering it to the space in need thereof, the fan 510 and the air sterilizer 520 ). Here, the fan 510 is configured to mov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valve VV2 in the direction of the air sterilizer 520, and the air sterilizer 520 sterilizes the air delivered by the fan 510. It is a configuration for. Thereafter, the filtered air from the air sterilizer 520 can be delivered and supplied to the space W in need thereof.

여기서, 유수 살균기(420)와 공기 살균기(520)는 UV 램프를 이용한 살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water sterilizer 420 and the air sterilizer 520 may be configured as a sterilizing device using a UV lamp.

마지막으로, 저장조(600)는 취합조(300)에 저류된 유수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취합조(300)에 저류된 유수를 저장조(60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610)와, 펌프(610)에 의해 전달되는 유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620)를 포함한다.Finally, the storage tank 600 is a configuration for storing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the pump 610 for moving the flow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tank 600, and the pump ( It includes a water tank 620 for storing the running water delivered by 610).

저장조(600)는 위에서 설명한 상부 센서(310)와 하부 센서(320)로부터 전달되는 유량 정보에 따라 취합조(300)에 저류된 유수를 별도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취합조(300)에 저류된 유수가 너무 많은 경우 이를 감지하여 취합조(300)에 저류된 유수를 저장조(600)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취합조(300)에 저류된 유수가 너무 적은 경우 저장조(600)에 저장된 유수 또는 추가적으로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여 식재에 필요한 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torage tank 600 may separately store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on tank 300 according to the flow r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pper sensor 310 and the lower sensor 320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store the flow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to the storage tank 600 when there is too much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In addition, when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is too small,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water required for planting by supplying water from the storage tank 600 or additionally water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이송필터 즉, 제1 살균부(400)와 제2 살균부(500), 그리고 저장조(600)는 하나의 관리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이 관리 시스템은 제1 살균부(400)를 제어하여 예정된 시간에 취합조(300) 또는 저장조(600)에 취합된 유수를 식생층(100)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2 살균부(500)를 제어하여 취합조(300)에 취합된 공기를 예정된 공간(W)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저장조(600)를 제어하여 취합조(300)에 저류된 유량에 따라 이를 저장조(600)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ransfer filter described above, that is,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400,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500, and the storage tank 600 in one management system (not shown). In other words, this management system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400 to deliver the flowing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on tank 300 or the storage tank 600 at a predetermined time to the vegetation layer 100,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ai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to the predetermined space W by controlling the unit 500,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orage tank 600 to control the storage tank 600 according to the flow rate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600).

한편,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다공성 지지층(200)은 광물 필터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광물 필터타입의 경우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다공성 지지층(200)의 사용기간을 늘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관리 시스템은 동작 모드에 따라 취합조(300) 또는 저장조(600)의 유수를 식생층(100) 또는 다공성 지지층(200)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 를 통해 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orm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in a mineral filter type,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mineral filter type, it is possible to periodically clean to increase the period of use of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ystem is capable of transferring the running water of the collection tank 300 or the storage tank 600 to the vegetation layer 100 or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made through FIG. 2. do.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를 참조하면, 식생층(100) 상부에는 식생층(100)의 식재를 위하여 유수를 배출하는 제1 물 배출관(G1)이 배치되며, 다공성 지지층(200) 내부에는 다공성 지지층(200)을 청소하기 위하여 유수를 배출하는 제2 물 배출관(G2)이 배치된다. 제1 물 배출관(G1) 및 제2 물 배출관(G2)을 통해 배출되는 유수는 관리 시스템에 의해서 제어되며 이 유수는 취합조(300) 또는 저장조(600)에서 제공된다.Referring to FIG. 2, a first water discharge pipe G1 for discharging flowing water for planting the vegetation layer 100 is disposed on the vegetation layer 100, and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is disposed inside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A second water discharge pipe (G2) for discharging running water is disposed for cleaning. The flow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G1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G2 is controlled by the management system, and the flowing water is provided in the collecting tank 300 or the storage tank 600.

여기서, 제2 물 배출관(G2)은 제1 물 배출관(G1)에서 분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취합조(300) 또는 저장조(600)에 별도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G2) may have a structure distributed from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G1),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that is separately connected to the collection tank 300 or the storage tank (600).

관리 시스템은 크게 식재 동작 모드와 청소 모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각각의 동작 모드는 아래와 같다.The management system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anting operation mode and a cleaning mode, and each operation mode is as follows.

식생층(100)의 경우 식재를 위하여 예정된 시간에 물을 공급해 주어야만 하는데 관리 시스템은 식재 동작 모드시 취합조(300) 또는 저장조(600)의 유수를 제1 물 배출관(G1)을 통해 식생층(100)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재활용된 청정의 유수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식재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vegetation layer 100, water must be supplied at a predetermined time for planting, but the management system supplies the flowing water of the collection tank 300 or the storage tank 600 in the planting operation mode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G1. 100),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co-friendly planting environment using recycled clean running water.

이어서, 다공성 지지층(200)이 광물 필터타입으로 형성되는 경우 주기적인 청소를 통해 사용기간을 늘려주는 것이 가능한데 관리 시스템은 청소 동작 모드시 취합조(300) 또는 저장조(600)의 유수를 제2 물 배출관(G2)을 통해 다공성 지지층(200)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재활용된 청정의 유수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청소 및 관리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Subsequently, when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is formed of a mineral filter typ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eriod of use through periodic cleaning, but the management system may supply the second water to the collection tank 300 or the storage tank 600 in the cleaning operation mode. By supplying the porous support layer 200 through the discharge pipe G2,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nvironment-friendly cleaning and management environment using recycled clean running water.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오염된 외부공기와 외부유수를 1차, 2차, 3차, 4차 순차적으로 다단 필터링하는 친환경적인 구성을 제공하며, 여기서 필터링되는 청정의 공기와 유수를 필요로 하는 공간에 제공해 줌으로써 공기 및 유수의 재활용률을 높이고 대기 및 수질의 오염도를 낮추어 주는 것이 가능하다.After all,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co-friendly configuration for multi-stage filtering of contaminated external air and external flow water in the 1st, 2nd, 3rd, and 4th ord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cycling rate of air and running water and lower the pollution degree of air and water by providing air and running water to the space where they are needed.

도 3 은 도 1 의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적용한 미세먼지 제거 모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ine dust removal module system to which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of FIG. 1 is applied.

이하 설명에 앞서, 미세먼지 제거 모듈 시스템은 도 1 의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4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조물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조물은 개인 및 공공 기관에서 설치한 구조물을 의미하며 그 중 공공 화장실이 그 일례가 될 수 있다.Prior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ne dust removal module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space with the fourth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provided in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of FIG. 1. Here, a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space means a structure installed by an individual or a public institution, and among them, a public toilet may be an example.

도 3 을 참조하면, 미세먼지 제거 모듈 시스템은 도 1 의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00)과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조물인 공공 화장실(2000)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00)의 일부 구성인 식생층(100, 도 1 참조)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ne dust removal module system includes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1000 of FIG. 1 and a public toilet 2000 which is a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vegetation layer 100 (see FIG. 1) which is a part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1000 is illustrated.

한편, 공공 화장실(2000)은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본체(2100)와, 본체(210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집진장치(2200), 및 본체(210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태양광 패널(2300)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ublic toilet 20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100, the dust collecting device 22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0, and the main body 2100 is provided with an interior space for people to enter. It includes a solar panel 2300.

우선, 집진장치(2200)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00)의 일부 구성에 해당하는 제2 살균부(500)에서 4차 필터링된 공기에 전하를 가하여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구성이다. 집진장치(2200)와 제2 살균부(500)는 공기 배출관(G3)을 통해 연결되며, 제2 살균부(500)에서 4차 필터링된 공기는 공기 배출관(G3)을 통해 집진장치(2200)로 전달되고 집진장치(2200)에서 필터링된 청정의 공기는 공공 화장실(200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the dust collecting device 2200 is configured to filter the fine dust by applying electric charge to the fourth filtered air in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500 corresponding to some components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1000. The dust collecting device 2200 and the second sterilizing part 500 are connected through an air discharge pipe G3, and the air filtered fourth in the second sterilizing portion 500 is collect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ipe G3. Clean air that is delivered to and filtered by the dust collector 2200 can be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public toilet 2000.

다음으로, 태양광 패널(2300)은 태양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여 집진장치(2200)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태양광 패널(2300)의 상측에는 태양광 패널(2300)의 상면으로 유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물 배출관(G1)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 물 배출관(G1)은 제1 살균부(40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제1 살균부(400)에서 4차 필터링된 유수는 제1 물 배출관(G1)을 통해 태양광 패널(2300) 상면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컨대 청소 동작 모드시 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Next, the solar panel 2300 is configured to supply energy to the dust collector 2200 by producing energy through sunlight. A first water discharge pipe G1 for discharging running wat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olar panel 23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olar panel 2300. Here,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G1) is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400, the fourth filtered water from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400, the solar panel 2300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G1) )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o the top surfa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it in the cleaning operation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모듈 시스템은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00)에서 생성된 청정의 공기와 유수를 공공 화장실(2000)에 이용해 줌으로써 친환경적인 에너지 생산과 동시에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ne dust removal modu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clean air and running water generated in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1000 in a public toilet 2000 to produce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and efficiently use it. It is possible to create.

한편,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00)과 공공 화장실(2000)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공공 화장실(2000)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00)까지 하나의 모듈로 함께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조체에 친환경적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줄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곧 설치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Meanwhile,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1000 and the public toilet 2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one system. That is, in installing the public toilet 2000,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1000 together as one module.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o install a fine dust removal system having an eco-friendly structure in a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space, which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installatio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a part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식생층(100) 200 : 다공성 지지층
300 : 취합조 400 : 제1 살균부
500 : 제2 살균부 600 : 저장조
100: vegetation layer (100) 200: porous support layer
300: collection tank 400: first sterilization unit
500: second sterilization unit 600: storage tank

Claims (14)

식재가 가능한 식생층;
상기 식생층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층을 지지하며 상기 식생층에서 1차 필터링된 외부공기와 외부유수를 2차 필터링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다공성 지지층;
상기 다공성 지지층에 접하는 부분은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지지층으로부터 전달되는 2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취합하여 3차 필터링 및 저장하기 위한 취합조;
상기 취합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취합조에 저류된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에서 제공되는 상기 유수의 유량 정보에 따라 상기 취합조에 저류된 유수를 별도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
상기 취합조에 저장된 3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 각각을 4차 필터링하여 예정된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송필터;
상기 식생층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식생층의 식재를 위한 상기 유수를 배출하는 제1 물 배출관;
상기 다공성 지지층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공성 지지층의 청소를 위한 상기 유수를 배출하는 제2 물 배출관; 및
상기 이송필터 및 상기 저장조로 이동하는 유수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지지층은, 효모,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사상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생물 필터 타입이고;
상기 취합조의 하부관에 삽입되어 상기 취합조에 취합된 상기 유수의 배출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밸브, 및 상기 취합조의 상부관에 삽입되어 상기 취합조에 취합된 상기 공기의 배출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밸브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필터는, 상기 제1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유수를 살균하여 식생층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살균부, 및 상기 제2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를 살균하고 예정된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살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살균부는, 상기 제1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유수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 및 UV 램프를 이용한 살균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전달되는 유수를 살균하기 위한 유수 살균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살균부는, 상기 제2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팬, 및 UV 램프를 이용한 살균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팬에 의해 전달되는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공기 살균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저장조는, 상기 취합조에 저류된 유수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유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시스템은, 식재 동작 모드에서 상기 취합조의 유수 살균기에서 필터링되고 살균된 청정의 유수 또는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유수를 상기 제1 물 배출관을 통해 상기 식생층으로 공급하고, 청소 동작 모드에서 상기 취합조의 유수 살균기에서 필터링되고 살균된 청정의 유수 또는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유수를 상기 제2 물 배출관을 통해 상기 다공성 지지층으로 공급하여 살균된 청정의 유수 또는 저장된 유수를 이용하여 다공성 지지층을 청소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Vegetation layer capable of planting;
A porous support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vegetation layer to support the vegetation layer and to pass through the first filtered external air and external flow through the vegetation layer by secondary filtering;
A collecting tank for collecting and filtering the secondar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delivered from the porous supporting layer and tertiary filtering and storing;
A sensor disposed inside the collecting tank and detecting a flow rate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A storage tank for separately storing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according to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running water provided by the sensor;
A transfer filter for fourthly filtering each of the tertiar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to deliver them to a predetermined space;
A first water discharge pipe disposed on the vegetation layer to discharge the running water for planting the vegetation layer;
A second water discharge pipe disposed inside the porous support layer and discharging the running water for cleaning the porous support layer; And
And a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to the storage filter and the storage tank;
The porous support layer is a microbial filter typ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yeast, yeast, photosynthetic bacteria, actinomycetes, and filamentous fungi;
A first valve for inserting into the lower pipe of the collecting tank and adjusting the discharge of the running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and a first valve for inserting into the upper pipe of the collecting tank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ai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2 more valves are installed;
The transfer filter is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a first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the running water and transferring it to the vegetation layer, and a second sterilization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to sterilize the air and deliver it to a predetermined space. Includes wealth;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includes a pump for moving the flow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val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sterilizing device using a UV lamp to include a running water sterilizer for sterilizing the flowing water delivered by the pump Doing;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includes a fan for moving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val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 air sterilizer configured to sterilize the air delivered by the fan by a sterilizer using a UV lamp Doing;
The storage tank includes a pump for moving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running water delivered by the pump;
In the planting operation mode, the management system supplies filtered and sterilized clean running water or runn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vegetation layer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in the planting operation mode, and in the cleaning operation mode of the collection tank. Filtered and sterilized clean water or flow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porous support layer through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to clean the porous support layer using sterilized clean running water or stored running water. Fine dust removal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합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취합조에 취합된 공기와 유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inside the collecting tank,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urifier for purifying the air and running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에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제공하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식재가 가능한 식생층, 상기 식생층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층을 지지하며 상기 식생층에서 1차 필터링된 외부공기와 외부유수를 2차 필터링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다공성 지지층, 상기 다공성 지지층에 접하는 부분은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지지층으로부터 전달되는 2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를 취합하여 3차 필터링 및 저장하기 위한 취합조, 상기 취합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취합조에 저류된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에서 제공되는 상기 유수의 유량 정보에 따라 상기 취합조에 저류된 유수를 별도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 상기 취합조에 저장된 3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 각각을 4차 필터링하여 예정된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송필터, 상기 식생층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식생층의 식재를 위한 상기 유수를 배출하는 제1 물 배출관, 상기 다공성 지지층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공성 지지층의 청소를 위한 상기 유수를 배출하는 제2 물 배출관, 및 상기 이송필터 및 상기 저장조로 이동하는 유수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공성 지지층은, 효모,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사상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생물 필터 타입이고;
상기 취합조의 하부관에 삽입되어 상기 취합조에 취합된 상기 유수의 배출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밸브, 및 상기 취합조의 상부관에 삽입되어 상기 취합조에 취합된 상기 공기의 배출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밸브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필터는, 상기 제1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유수를 살균하여 식생층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살균부; 및 상기 제2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를 살균하고 예정된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살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살균부는, 상기 제1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유수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 및 UV 램프를 이용한 살균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전달되는 유수를 살균하기 위한 유수 살균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살균부는, 상기 제2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공기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팬, 및 UV 램프를 이용한 살균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팬에 의해 전달되는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공기 살균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저장조는, 상기 취합조에 저류된 유수를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유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시스템은, 식재 동작 모드에서 상기 취합조의 유수 살균기에서 필터링되고 살균된 청정의 유수 또는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유수를 상기 제1 물 배출관을 통해 상기 식생층으로 공급하고, 청소 동작 모드에서 상기 취합조의 유수 살균기에서 필터링되고 살균된 청정의 유수 또는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유수를 상기 제2 물 배출관을 통해 상기 다공성 지지층으로 공급하여 살균된 청정의 유수 또는 저장된 유수를 이용하여 다공성 지지층을 청소하게 되고;
상기 이송필터를 통해 상기 4차 필터링된 공기와 유수가 상기 구조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모듈 시스템.
A structure having an interior space, and a fine dust removal system providing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to the structure;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a vegetation layer capable of plant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vegetation layer to support the vegetation layer, and a porous support layer for secondarily filtering external air and external water flowing through the vegetation layer to pass through it,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porous support layer is opened and the other part is formed in a closed structure, and is collected inside the collecting tank for tertiary filtering and storage by collecting secondary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delivered from the porous supporting layer, and disposed inside the collecting tank. A sensor for sensing the flow rate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a storage tank for separately storing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according to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running water provided from the sensor, and each of the third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A transfer filter for fourth filtering and transfer to a predetermined space, a first water discharge pipe disposed on the vegetation layer and discharging the running water for planting of the vegetation layer, disposed inside the porous support layer, of the porous support layer It comprises a second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running water for cleaning, and a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the flowing water to the transfer filter and the storage tank;
The porous support layer is a microbial filter typ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yeast, yeast, photosynthetic bacteria, actinomycetes, and filamentous fungi;
A first valve for inserting into the lower pipe of the collecting tank and adjusting the discharge of the running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and a first valve for inserting into the upper pipe of the collecting tank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ai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2 more valves are installed;
The transfer filter is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a first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the flowing water and transferring it to the vegetation layer; And a second sterilizing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to sterilize the air and deliver the air to a predetermined space;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includes a pump for moving the flow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val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sterilizing device using a UV lamp to include a running water sterilizer for sterilizing the flowing water delivered by the pump Doing;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includes a fan for moving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val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 air sterilizer configured to sterilize the air delivered by the fan by a sterilizer using a UV lamp Doing;
The storage tank includes a pump for moving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running water delivered by the pump;
In the planting operation mode, the management system supplies filtered and sterilized clean running water or runn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vegetation layer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in the planting operation mode, and in the cleaning operation mode of the collection tank. Supplying the filtered and sterilized clean running water or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porous support layer through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to clean the porous support layer using sterilized clean running water or stored running water;
Fine dust removal modu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filtered air and running water through the transfer filter is provided to the structu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4차 필터링된 공기에 전하를 가하여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집진장치; 및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배치되며 태양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여 상기 집진장치에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모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A dust collecting devi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ructure to filter fine dust by applying charge to the fourth filtered air; And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ructure and comprises a photovoltaic panel for producing energy through the sunlight to supply to the dust collector module syste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4차 필터링된 유수를 상기 태양광 패널 상면에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 모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olar panel, the fine dust removal module system further comprises a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fourth filtered filtered wat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olar panel.
KR1020180134211A 2018-11-05 2018-11-05 FINE DUST REMOVAL SYSTEM and FINE DUCT REMOVAL MODULE SYSTEM KR1021157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211A KR102115764B1 (en) 2018-11-05 2018-11-05 FINE DUST REMOVAL SYSTEM and FINE DUCT REMOVAL MODUL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211A KR102115764B1 (en) 2018-11-05 2018-11-05 FINE DUST REMOVAL SYSTEM and FINE DUCT REMOVAL MODUL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192A KR20200051192A (en) 2020-05-13
KR102115764B1 true KR102115764B1 (en) 2020-05-27

Family

ID=70730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211A KR102115764B1 (en) 2018-11-05 2018-11-05 FINE DUST REMOVAL SYSTEM and FINE DUCT REMOVAL MODUL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76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701B1 (en) 2020-06-24 2021-06-09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system with microalgae
KR102364640B1 (en) 2021-05-13 2022-02-18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microalgae
KR102641890B1 (en) 2023-09-04 2024-03-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ctive Soil Filter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Purif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439U1 (en) * 2020-10-10 2020-12-15 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Ваганов A device for cleaning and disinfecting air and improving the microclimate of the room
WO2022075891A1 (en) * 2020-10-10 2022-04-14 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ВАГАНОВ Device for purifying and disinfecting air and improving the microclimate in an indoor space
RU2755444C1 (en) * 2020-11-27 2021-09-1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АНТ - СПЭЙС СИСТЕМС"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space and device for its implemen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32B1 (en) * 2012-11-30 2014-09-05 주식회사 에코빅 Air cleaning apparatus
KR101471881B1 (en) * 2014-07-16 2014-12-10 노완상 An eco-friendly smoking booth for ventilation and steri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6496B2 (en) * 1998-05-11 2005-02-02 山根 幸治 Air purification equipment and purified air suppl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32B1 (en) * 2012-11-30 2014-09-05 주식회사 에코빅 Air cleaning apparatus
KR101471881B1 (en) * 2014-07-16 2014-12-10 노완상 An eco-friendly smoking booth for ventilation and steriliz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701B1 (en) 2020-06-24 2021-06-09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system with microalgae
KR102364640B1 (en) 2021-05-13 2022-02-18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microalgae
KR102641890B1 (en) 2023-09-04 2024-03-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ctive Soil Filter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Pur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192A (en)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764B1 (en) FINE DUST REMOVAL SYSTEM and FINE DUCT REMOVAL MODULE SYSTEM
US8454729B2 (en) Micro-irrig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lant-based cleaning of indoor air and filter bed bioregeneration
KR102096168B1 (en) Air purifying Industrial Vertical Garden
JP7297864B2 (en) Biological system and method for air purification
KR102303369B1 (en) Buildings, hospitals, schools, military barracks, factories, animal sheds, farms cultivating plants, offices, underground parking lots, subways, dust-generating factories, dust-generating dust removal function, disgusting odor, and light-related harmful substances A nature-friendly, eco-friendly multifunctional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reates a pleasant environment by exhibiting the function of removing material molecules and fine dust, sterilizing bacteria and viruses, controlling humidity, and generating oxygen and anions.
KR20180038091A (en) Bus shelt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102275945B1 (en) Buildings, hospitals, schools, military barracks, factories, animal sheds, farms cultivating plants, offices, underground parking lots, subways with light-weight harmful substances molecules and fine dust removal function, bacteria and viruses An eco-friendly, multi-functional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reates a pleasant environment by exhibiting sterilization, humidity control, and oxygen and anion generation functions.
CN104019499B (en) Air purifier with humidifying and sterilizing performance
CN214199082U (en) Indoor air purification and humidity regulation and control coupling device
KR102286123B1 (en) Tower-shaped fine dust, odor removal and virus sterilization system
CN101927025B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KR102547440B1 (en) Schools, military units, subways, underground parking lots, plant breeding houses, livestock breeding grounds, earthworm breeding grounds, livestock manure or food waste drying areas, A nature-friendly and eco-friendly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ollects and purifies polluted air with a light specific gravity generated inside a building where multiple people reside, and an eco-friendly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using this system
KR100477300B1 (en) Air purifier with moisture generator to control humidity
KR100923424B1 (en) Water supplying apparatus having solar energy module
Aydogan Building-integrated active modular phytoremediation system
CN208071505U (en) Mineral water disinfection and purification system
JP2019103796A (en) Deodorizing apparatus for septic tank and method for deodorizing septic tank
CN102552962A (en) Combined air purification equipment
RU104460U1 (en) PHOTOCATALYTIC FILTER AIR CLEANER
Montaluisa-Mantilla et al. Botanical filters for the abatement of indoor air pollutants
KR102602932B1 (en) Fine dust reduction type air purification plant cultivation system
Arora et al. Design, Fabrication, and Testing of a Solar Powered Air Purifier with UV Sterilization Capability
KR102602933B1 (en) A three-dimensional smart planter system that reduces fine dust
CN104785053A (en) Ambient air cleaning device
JP2000296310A (en) Embeded type biological deodoriz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