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288B1 -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livering voice using mobile deiv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livering voice using mobile deiv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288B1
KR102115288B1 KR1020180042619A KR20180042619A KR102115288B1 KR 102115288 B1 KR102115288 B1 KR 102115288B1 KR 1020180042619 A KR1020180042619 A KR 1020180042619A KR 20180042619 A KR20180042619 A KR 20180042619A KR 102115288 B1 KR102115288 B1 KR 10211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essage
information
input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9317A (en
Inventor
윤세휘
Original Assignee
(주)주신솔루션
윤세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신솔루션, 윤세휘 filed Critical (주)주신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42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288B1/en
Publication of KR2019011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3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52
    • H04M1/725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메신저 앱 및 메신저 앱과 근거리 통신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음성 전달장치를 포함하는 음성 전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과 음성 전달장치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메신저 앱에 수신된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음성 전달장치에 수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음성 전달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수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음성 전달장치의 제어명령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고 선택된 수신정보가 음성통화 요청메시지의 수신정보인 경우, 음성 전달장치가 메신저 앱을 통해 제1음성신호 및 제2음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여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및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고 선택된 수신정보가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인 경우, 음성 전달장치가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isclosed is a voice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 messenger app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voice transmission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voice signa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 messenger app,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control method of the voice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voice transmission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generating voice call request messages or received information of voice messages received in a messenger app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oice transmission. Transmitting the reception information to the device, displaying the recep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determining the control command input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reception information is input, and the selected reception information is voice In the case of receiving information of a call request message, a voice transmission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 first voice signal and a second voice signal in real time through a messenger app to proceed with a voice call and a selection command to select received information is input and selected reception When the information is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the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es receiving the first voice signal of the voice message and outputting it as sound.

Figure R1020180042619
Figure R1020180042619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음성 전달시스템 및 제어방법{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LIVERING VOICE USING MOBILE DEIVCE}Voice delivery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LIVERING VOICE USING MOBILE DEIVCE}

이하의 설명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음성 전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voice transmiss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이동통신 단말의 보급률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은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은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 서비스 또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 기기로 변모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크기는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as the penetration r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rapidly incre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now become a necessity of life for modern people.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transformed into a functional multimedia communication device by being able to provide various data transmission services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s well as its own voice call service. Therefore, the size of the display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radually increasing.

또한,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은 통화 및 메시지 송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기존의 PC에서만 가능하던 메신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에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하, 메신저 앱이라 한다.)을 설치하여 메신저 앱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게 되었다.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erform not only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ll and a message, but also a messenger function that was possible only in a conventional PC. Therefore, the user installed a messenger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essenger app)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end and receive messages with other users through the messenger app.

이러한, 메신저 앱은 사용자들 간의 채팅메시지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는 데 메신저 앱의 이용자 수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메신저 앱은 기존의 문자메시지뿐만 아니라 사진, 동영상 및 음성메시지 등의 송수신도 가능하도록 점차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문자메시지를 보내기 어려운 상황이나 감정을 정확히 전달하고 싶거나 주변상황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문자메시지에 비해 음성메시지가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음성메시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As such, the messenger app delivers chat messages between users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s the number of users of the messenger app gradually increases, the messenger app gradually transmits and receives pictures, videos, and voice messages as well as existing text messages. Is developing. Recently, interest in voice messages is increasing because voice messages are more effective than text messages when it is difficult to send a text message or want to accurately convey emotions or to check the surroundings.

음성메시지는 타이핑이 필요 없기 때문에 문자메시지에 비해 간편하지만, 여전히 음성메시지를 청취하거나 생성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조작해야만 했다. 이 경우, 양손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에는 메시지를 확인 또는 생성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을 조작하기 어려웠고, 또한 한 손으로 무리하게 이동통신 단말을 조작하다 떨어뜨려 파손되는 등 문제가 종종 발생하곤 했다. 또한, 운전 중에 이동통신 단말을 조작하다가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조작하지 못하는 경우, 간편하게 음성메시지를 청취하거나 송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Voice messages are simpler than text messages because they do not require typing, but still have to manipulate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listen to or create voice messages. In this case, it was difficult to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check or generate a message in a situation in which both hands were not used, and problems such as dropping and break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one hand forcibly occurred frequently. In addition, a problem such as a traffic accident may occur while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driving. Therefore, when the user cannot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urgent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easily listen to or transmit a voice message.

실시 예의 목적은,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음성 전달장치를 구비하여, 메신저 앱에 전달된 메시지를 음성 전달장치를 통해 간편히 청취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메신저 앱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음성통화가 가능한 음성 전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voice delivery devic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 user can operate a plurality of buttons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so that a message delivered to a messenger app can be easily heard through a voice delivery device or a user's voice It is to provide a voice delivery system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recording and delivering a message to a messenger app and enabling voice communication.

또한, 이동통신 단말과 별도로 구비되는 음성 전달장치와 메신저 앱을 근거리통신망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활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음성통화가 가능한 음성 전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voice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ssenger app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a data communication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or to perform voice calls. .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Disclosed is a control method of a vo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과 음성 전달장치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메신저 앱에 수신된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전달장치에 상기 수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전달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수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전달장치의 제어명령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고 선택된 수신정보가 상기 음성통화 요청메시지의 수신정보인 경우, 상기 음성 전달장치가 상기 메신저 앱을 통해 제1음성신호 및 제2음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여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고 선택된 수신정보가 상기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인 경우, 상기 음성 전달장치가 상기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voice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voice transmission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generating voice call request messages or voice message reception information received in a messenger app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determining the control command input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the selection command to select the received information If the received and selected received information is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the first voice signal and the second voice signal in real time through the messenger app to proceed with the voice call.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information is input and the selected reception information is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the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may include receiving the first voice signal of the voice message and outputting the sound as sound.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신정보는 상기 음성통화의 요청메시지 또는 상기 음성메시지가 수신된 메신저 앱 상의 채팅방의 정보, 상기 채팅방의 참여자 정보, 상기 채팅방에 수신된 음성메시지의 개수정보, 상기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상기 음성메시지의 수신시간 정보, 상기 음성메시지의 재생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received information is the request message of the voice call or the information of the chat room on the messenger app on which the voice message was received, the participant information of the chat room, the number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received in the chat room, and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reception time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and reproduction time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may be included.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 이후에 입력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전달장치의 음성입력모듈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제2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음성의 입력 중에 상기 입력명령의 재입력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명령이 재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의 입력을 중지하고 상기 제2음성신호를 상기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when an input command is input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put of the control command, receiving a user's voice from the voice input module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to generate a second voice signal, input of the voice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a re-input of the input command, and when the input command is re-entered, stopping input of the voice and converting the second voice signal into the voice message.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이후에, 송신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송신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신저 앱에서 상기 변환된 음성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수신정보에 대응되는 채팅방으로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after the step of converting to the voice message, inputting a transmission command, if a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 relaying the converted voice message from the messenger app to a chat roo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cep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 이후에, 변경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신저 앱에서 수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put of the control command, when the change command is input, the messenger ap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hanging the received information.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메신저 앱에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가 신규메시지인지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prior to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messenger app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the voice message is a new message.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신저 앱에 신규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 앱에 신규 음성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신규 음성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신저 앱에서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control command is not inpu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aiting to receive a new message to the messenger app, and after the step of waiting to receive a new voice message to the messenger app, the new voice message When is received, the step of generating reception information in the messenger app may be repeated.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A vo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음성 전달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과 근거리 통신하여서, 음성통화 또는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 및 상기 음성통화의 요청메시지 또는 상기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수신하고 제2음성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과, 상기 수신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1음성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 및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제2음성신호로 생성하는 음성입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별도로 구비되는 음성 전달장치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되고, 메신저 서버의 채팅방에서 상기 음성통화의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음성 전달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1음성신호 및 상기 제2음성신호를 상기 음성 전달장치에 송수신하여 상기 음성통화를 진행하거나 상기 음성메시지를 중계하는 메신저 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oice transmission system communicate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hort distance, and receives a first voice signal of a voice call or voice message and request information of the voice call or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and transmits a second voice signal. , A display module for visually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a voic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first voice signal as sound, and a voice input module for receiving the user's voice and generating the second voice signal, and moving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request message or the voice message of the voice call is received in the chat room of the messenger server, generate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It may include a messenger app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first voice signal and the second voice signal to and from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to perform the voice call or relay the voice message.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음성 전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may include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nd at least one button provided on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수신정보를 변경하는 변경명령, 상기 수신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음성통화를 진행하거나 상기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선택명령, 상기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제2음성신호로 생성하도록 상기 음성입력모듈을 작동시키는 입력명령 또는 상기 제2음성신호로 생성된 음성메시지를 상기 채팅방으로 중계하도록 송신하는 송신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control command is a change command for changing the receiv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proceed with the voice call or outputting the voice message, receiving the voic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n input command to operate the voice input module to generate a 2 voice signal or a transmission command to transmit a voice message generated by the second voice signal to the chat room.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신저 앱은 상기 메신저 서버에 상기 음성통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중계하는 서버중계부, 상기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수신정보 생성부, 상기 음성 전달장치에 수신정보 또는 제1음성신호를 송신하거나 제2음성신호를 수신받는 장치연결부 및 상기 제2음성신호를 음성메시지 형태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messenger app is a server relay unit for relaying the voice call,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a voice message to the messenger server, a receiv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the receiving information, receiving information or receiving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tting device. It may include a device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st voice signal or receiving the second voice signal, and a message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econd voice signal into a voice message format.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신저 앱은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이 더 가능하고, 상기 메시지 변환부는 문자메시지의 수신 시,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messenger app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xt messages, and the message converting unit may convert the received text message into a voice message when receiving the text message.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신저 앱은 기등록된 회원정보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위치정보 확인창을 생성하는 위치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messenger app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pre-registered member information.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는 상기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송신한 위치의 메시지 위치정보를 더 생성하고, 상기 수신정보 생성부는 상기 메시지 위치정보를 상기 수신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may further generate messa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voice message is transmitted, and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may include the messag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reception information.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음성 전달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언어를 설정하는 언어설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 앱은 상기 음성 전달장치의 설정언어와 동일한 언어로 상기 음성메시지를 번역하는 번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language setting module for setting a language visu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nd the messenger app translates the voice message in the same language as the setting language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lation unit.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음성 전달장치를 구비하여, 메신저 앱에 전달된 메시지를 음성 전달장치를 통해 간편히 청취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메신저 앱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음성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buttons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is provided with a voice transmission devic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 user can operate with one hand, so that a message delivered to a messenger app can be easily heard through a voice delivery device or a user's voice It can be recorded and delivered to a messenger app, and a voice call may be possible.

또한, 이동통신 단말과 별도로 구비되는 음성 전달장치와 메신저 앱을 근거리통신망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활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음성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necting a voice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ssenger app to a local area network, a dat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or make voice call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음성 전달시스템은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앱의 채팅방 목록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앱의 채팅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앱의 위치정보 확인창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voice transmiss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o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oice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oice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information displayed on a voice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t room list page of the messenger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t room of a messenger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of the messenger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o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o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o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terfere with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omponents included in any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 in other embodiments. Unless there is an objection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described in any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e overlapped range.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an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명세서에서, 정면이라 함은 도 2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7)이 구비되는 면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음성 전달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In the specification, the front means a surfac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07 is provided in FIG. 2. Hereinafter, a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10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음성통화는 채팅방 참여자를 채팅방에서 상호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채팅방 참여자의 음성을 디지털화한 음성신호를 주고받아 다시 소리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음성메시지 요청메시지는 음성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또한, 음성메시지는 채팅방에서 중계되는 채팅방 참여자의 음성이 녹음된 메시지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voice call means connecting a chat room participant to each other in real time in a chat room, exchanging voices of digitized voice signals of a chat room participant, converting it back to sound, and talking in real time. In addition, a voice message request message means an event requesting a voice call connection. In addition, the voice message means a message in which the voice of a chat room participant relayed in the chat room is recorded.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성신호를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음성신호는 메신저 앱에 수신된 음성통화 또는 음성메시지에서 음성 전달장치(10)의 음성출력모듈(109)을 통해 출력될 소리를 디지털화한 음성신호를 의미하며, 제2음성신호는 음성 전달장치(10)의 음성입력모듈(113)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디지털화 한 음성신호를 의미한다.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is specification, a voice signal is divided into a first voice signal and a second voice signal. The first voice signal means a voice signal digitized to be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module 109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n a voice call or a voice message received in the messenger app, and the second voice signal is voice transmission It means a voice signal digitizing the user's voice input from the voice input module 113 of the device 10.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음성 전달시스템은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voice transmiss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음성 전달시스템(1)은 음성 전달장치(10) 및 메신저 앱(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voice delivery system 1 may include a voice delivery device 10 and a messenger app 20.

음성 전달장치(10)는 이동통신 단말(T)과 별도로 구비되고, 이동통신 단말(T)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T)에 구비된 메신저 앱(20)과 연결된다. 메신저 앱(20)과 연결된 음성 전달장치(10)는 메신저 앱(20)에서 음성통화 또는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생성한 제2음성신호를 메신저 앱(20)에 전달하여, 메신저 앱(20)에서 음성통화를 진행하거나, 음성메시지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T2)과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전달장치(10)는 데이터 통신망(D)에 직접적으로 접속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망(D)을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에 가입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데이터 통신망(D)에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모듈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be connected to the messenger app 20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connected to the messenger app 20 receives and outputs a first voice signal of a voice call or voice message from the messenger app 20, or receives a second voice signal generated by receiving a user's voice. By transmitting to the app 20, a voice call may be performed in the messenger app 20, or a voice message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2. Sinc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does not directly connect to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D, there is no need to subscribe to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that provides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D, and a separate access to a separate data communication network D is provided. The module of may not be required.

음성 전달장치(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구비되어서, 사용자가 버튼 조작을 통해 메신저 앱(20)에 수신된 제1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청취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제2입력신호로 메신저 앱(20)을 통해 채팅방으로 송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음성 전달장치(1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T)을 조작하지 못하는 상황 즉, 운전 중이나 손에 짐이 있는 경우 등에 간편한 조작으로 음성통화를 진행하거나, 음성메시지를 청취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button, so that the user receives and listens to the first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messenger app 20 through button manipulation, or receives the user's voice and receives it as the second input signal. It is possible to transmit to the chat room through the messenger app 20.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may perform a voice call, listen to a voice message, or perform a voice call by a simple operation, such as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cannot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at is, while driving or when there is a load in the hand. It is possible to record and transmit voic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메신저 앱(20)은 이동통신 단말(T)에 구비되어 데이터 통신망(D)을 통해 메신저 서버에 연결되어 채팅방을 통해 메시지 또는 음성통화를 중계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앱의 메시지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음성메시지, 문자메시지, 사진, 동영상, 문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messenger app 20 i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is connected to a messenger server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D to relay a message or voice call through a chat room. Here, the message of the messenger app may be any one or more of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a voice message, a text message, a picture, a video, and a document.

메신저 앱은 이동통신 단말(T1)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인 단말 저장모듈(T14)에 설치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 및/또는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의 형태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 메신저 앱(20)은 이동통신 단말(T)의 데이터 통신모듈(T12)을 이용하여 메신저 서버(3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messenger app may be operated as a software module in the form of a mobile application and/or a web application installed on a terminal storage module T14 which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1. have. The messenger app 20 may be connected to the messenger server 30 using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T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메신저 앱(20)은 메신저 서버(30)로부터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수신하면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생성하고, 수신정보 및 제1음성신호를 이동통신 단말(T)의 단말 근거리 통신모듈(T11)을 통해 음성 전달장치(10)에 전달한다. 또한, 메신저 앱(20)은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제2음성신호로 수신하여 음성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메신저 서버로 중계가 가능하다.When receiving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a voice message from the messenger server 30, the messenger app 20 generates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and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first voic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terminal transmits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11). In addition, the messenger app 20 can receive the user's voice input from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as a second voice signal, convert it into a voice message form, and relay it to the messenger server.

메신저 서버(30)는 메신저 앱(20)을 사용하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T) 간에 음성통화 또는 메시지를 중계한다. 예를 들어, 메신저 서버(30)는 각 사용자에 대해서 로그인 처리를 수행하고, 로그인에 성공한 각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messenger server 30 relays voice calls or messages between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 using the messenger app 20. For example, the messenger server 30 performs a login process for each user, and provides a messenger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each user who has successfully logged in.

여기서, 메신저 서비스는 둘 이상의 사용자가 각자의 이동통신 단말(T)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문자 또는 음성 대화를 나누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일대일 채팅 및 그룹 채팅을 지원한다.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 및/또는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의 형태의 메신저 앱(20)으로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messenger service refers to having two or more users having a text or voice conversation in real time using thei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 and supports one-to-one chat and group chat. The messenger service may be provided as a messenger app 20 in the form of a mobile application and/or a web application.

또한, 메신저 서버(30)는 사용자가 개설한 각 채팅방의 세션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메신저 서버(30)는 채팅방에 참가한 채팅방 참가자에게 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채널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 채팅방의 구성원들 간에 송수신 되는 메시지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ssenger server 30 manages the session of each chat room opened by the user. Specifically, the messenger server 30 allocates a channel to a chat room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the chat room, and maintains the assigned channel. In addition,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members of each chat room can be stored and managed.

한편, 이동통신 단말(T)은 3G, 4G, WIFI, LAN 등의 데이터 통신모듈(T12)을 통해 데이터 통신망(D)에 접속할 수 있으며,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인 단말 저장모듈(4)에 메신저 앱(20)이 설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랩탑, PDA 등의 모든 수단이 가능하다. 이 중, 이동통신 단말(T)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can access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D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module T12 such as 3G, 4G, WIFI, LAN, etc., and a messenger app on the terminal storage module 4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y means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PC, laptop, PDA, etc. 20 can be installed. Among the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s preferably a smartphone that can be easily carried by the user.

여기서, 데이터 통신망은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로 음성 통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는 WIFI, 3G, 4G, LAN 등으로 연결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B-ISDN(Broadband ISDN) 또는 이더넷(Ethernet)과 같은 버스 구조 방식의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a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connected to WIFI, 3G, 4G, LAN, etc., which can suppor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calls, voice call request messages, or voice messages with Internet protocol technology. ), a bus-structu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ISDN (Broadband ISDN) or Ethernet.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o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oice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oice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This is a view showing information displayed on a voice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음성 전달장치(10)는 하우징(101), 하우징 커버(102), 회로기판(104), 제어모듈(105), 근거리 통신모듈(106), 디스플레이 모듈(107), 음성출력모듈(109), 선택부(111), 변경부(112), 음성입력모듈(113), 입력부(114), 송신부(115), 취소부(116), 헤드셋 연결모듈(117), 오디오 모듈(118), 출력 크기변경부(119), 전원부(120), 진동모듈(121), 광원모듈(122), 전원모듈(124), 언어 설정모듈(125), 저장모듈(126) 및 USB 연결모듈(127) 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5,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ncludes a housing 101, a housing cover 102, a circuit board 104, a control module 105,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6, a display module 107 ), voice output module 109, selector 111, changer 112, voice input module 113, input unit 114, transmitter 115, cancel unit 116, headset connection module 117 , Audio module 118, output size change unit 119, power unit 120, vibration module 121, light source module 122, power module 124, language setting module 125, storage module 126 And it may include a USB connection module (127).

하우징(101)은 음성 전달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101)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구비된 각 구성요소들을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 하우징(101)의 배면에는 하우징 커버(102)가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housing 101 forms the appearance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housing 101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protects each component provided therein from external influences. The housing cover 10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1.

하우징 커버(102)는 하우징(101)의 배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1) 및 하우징 커버(102)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01) 및 하우징 커버(102)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조작하기 용이한 형태 및 크기면 가능할 수 있다. The housing cover 10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1. For example, the housing 101 and the housing cover 102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using 101 and the housing cover 102 may be any shape and size that is easy for a user to operate with one hand.

하우징(101) 및 하우징 커버(102)의 결합체는 일측모서리에 걸이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걸이홈(103)은 하우징(101) 및 하우징 커버(102)의 상측의 모서리를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 걸이홈(103)은 걸이부재(미도시)가 결합된다. 걸이부재는 사용자가 목에 걸거나, 손목에 걸 수 있는 끈, 줄 또는 와이어 일수 있다. 걸이홈(103)은 걸이부재를 관통 결합하여, 사용자가 음성 전달장치(10)를 목, 손목, 허리춤 등에 소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The combination of the housing 101 and the housing cover 102 may be formed with a hook groove 103 on one side edge. The hook groove 103 may be shaped to penetrate the upper edge of the housing 101 and the housing cover 102. The hook groove 103 is coupled to a hook member (not shown). The hook member may be a string, string, or wire that a user can hang on a neck or on a wrist. The hook groove 103 may be coupled through a hook member so that a user can carry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on a neck, wrist, waist dance, or the like.

회로기판(104)은 음성 전달장치(10)의 구성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회로기판(104)은 하우징(101)의 내부에 구비된다.The circuit board 104 electrically connects the components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circuit board 104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1.

제어모듈(105)은 음성 전달장치(1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05)은 회로기판(104)상에 구비되는 제어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모듈(105)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회로기판(104)과 연결되어 각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위치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제어모듈(105)은 선택부(111), 변경부(112), 입력부(114), 송신부(115), 취소부(116), 출력 크기변경부(119) 및 전원부(120)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각각의 모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components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05 may be a control processor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104. The position of the control module 105 is not limited, and it is possible to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04 and any position surface capable of controlling each module.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selection unit 111, the change unit 112, the input unit 114, the transmission unit 115, the cancellation unit 116, the output size change unit 119 and the power supply unit 120 Commands can be inpu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module.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모듈(105)은 제어명령에 국한되어 각각의 모듈을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 설정된 제어구성에 따라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 앱(20)에 음성메시지 또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가 임의의 채팅방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메신저 앱(20)은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생성하여 음성 전달장치(10)로 송신한다. 이 때, 제어모듈(105)은 수신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아이콘 또는 알림창 형태의 알람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module 105 is limited to control commands, and may control not only the respective modules, but also control components according to a preset control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a voice message or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is received in the messenger app 20 through an arbitrary chat room, the messenger app 20 generates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voice message reception information to generate a voice delivery device ( 10).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105 may receive and display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107, and control the display module 107 to generate an alarm in the form of an icon or a notification window.

여기서, 수신정보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가 수신된 메신저 앱(20) 상의 채팅방의 정보, 채팅방에 수신된 음성메시지의 개수정보,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의 수신시간 정보, 음성메시지의 재생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채팅방 정보는 메신저 앱(20) 상에 개설된 채팅방의 이름, 참여자 또는 그룹의 정보를 포함한다. 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is the information of the chat room on the messenger app 20 on which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the voice message was received, the number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received in the chat room, the reception time information of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the voice message, and the voice messag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play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hat room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of the chat room, a participant, or a group established on the messenger app 20.

근거리 통신모듈(106)은 이동통신 단말(T)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모듈(106)은 회로기판(104)에 구비되는 안테나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106)은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MB, 지그비 또는 NFC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T)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6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6 may be an antenna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104.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6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low-power Bluetooth, RFID, infrared communication, UMB, ZigBee, or NFC.

근거리 통신모듈(106)은 이동통신 단말(T)과 연결되어 수신정보 또는 음성통화 또는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모듈(106)은 후술하는 음성입력모듈(113)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어 생성된 제2음성신호를 메신저 앱(20) 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메신저 앱(20)으로 전달된 음성신호는 음성메시지로 변환되어 채팅방을 통해 메신저 서버에 전달되어 채팅방 참여자의 이동통신 단말(T)로 전달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6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o receive reception information or a first voice signal of a voice call or voice message.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6 may transmit the second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odule 1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messenger app 20. The voice signal delivered to the messenger app 20 may be converted into a voice message and transmitted to the messenger server through the chat room to be deliver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of the chat room participants.

디스플레이 모듈(107)은 하우징(101)의 외부 일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07)은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가 하우징(101)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1)은 디스플레이 모듈(107)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에 디스플레이 모듈(107)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액정(10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07 is provided to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1. The display module 107 may be able to visually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 Here, the housing 101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display module 107, and a protective liquid crystal 108 for protecting the display module 107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opening.

보호액정(108)은 하우징(101)의 외부 일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7)을 외부의 충격 또는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 보호액정(108)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형태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7)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정보가 투과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liquid crystal 108 is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1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 107 from external impact or external influence. The protective liquid crystal 108 is provided in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m so that information visu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can be transmitted.

디스플레이 모듈(107)은 수신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되는 수신정보는 후술하는 변경부(112)의 조작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7)은 수신정보 중 어느 하나의 채팅방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후술하는 변경부(112)의 조작으로 표시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7)은 수신정보에 해당하는 정보 중 복수의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7)은 채팅방 정보와 채팅방정보에 해당하는 음성메시지 개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07 visually displays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recep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can be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change unit 112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107 may visually display only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reception information, and change th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change unit 112 to be described later. The display module 107 may display a plurality of information together amo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display module 107 may display chat room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voice messages corresponding to the chat room information.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7)은 통신연결상태, 알람발생여부, 소리크기, 헤드셋 연결여부, 신규메시지 수신여부, 전원모듈의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아이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7)은 음성 전달장치(1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설정페이지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정페이지는 변경부(112) 또는 선택부(111)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페이지는 음성 전달장치(10)의 언어설정, 화면 밝기, 이동통신 단말(T)과의 연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페이지는 저장모듈(126)에 기 저장되고, 변경부(112) 또는 선택부(111)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되어 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module 107 may display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whether an alarm is generated, sound volume, whether a headset is connected, whether a new message is received, and status information of a power module. Also, the display module 107 may display a setting page capable of changing the settings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setting pag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by the operation of the changer 112 or the selector 111. Here, the setting page may be able to select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language setting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screen brightness, and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setting page may be pre-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26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by the operation of the changer 112 or the selector 111 to be selectable.

음성출력모듈(109)은 수신된 제1음성신호를 소리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출력모듈(109)은 스피커일 수 있다. 음성출력모듈(109)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음성출력모듈(109)은 신규메시지 도착 시에 알람을 소리형태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voice output module 109 may output the received first voice signal in sound form. For example, the voice output module 109 may be a speaker. The audio output module 109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voice output module 109 can also output an alarm in the form of a sound when a new message arrives.

여기서, 음성 전달장치(10)는 음성출력모듈(109)을 보호하고, 소리의 방향을 안내하는 캐비티 케이스(110)를 더 구비한다. 캐비티 케이스(110)는 음성출력모듈(109)이 배치되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음성출력모듈(109)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further includes a cavity case 110 that protects the voice output module 109 and guides the direction of sound. The cavity case 110 may have a surface in which the audio output module 109 is disposed concave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audio output module 109.

캐비티 케이스(110)는 음성출력모듈(109)의 소리가 출력되는 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저면에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 케이스(110)는 연통홀(110a)의 둘레를 따라 격벽(110b)이 돌출 형성되어서, 격벽(110b) 방향으로 소리의 진행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격벽(110b)의 내부 단면은 연통홀(110a)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 케이스(110)는 소리를 내부 공간에서 공명시키고, 공명된 소리의 방향을 격벽(110b) 쪽으로 안내함으로써, 격벽(110b)이 소리를 안내하여 하우징(101)의 외부로 소리가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01)은 캐비티 케이스(110)의 격벽(110b)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슬롯형태의 홀이 구비되어서 하우징(101)의 외부로 소리가 전달된다. The cavity case 110 may form an inner spac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surface on which the sound of the audio output module 109 is output, and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on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the cavity case 110 has a partition wall 110b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mmunication hole 110a, and can guide the direction of sound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10b. Here, the inner cross-s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10b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110a. The cavity case 110 resonates the sound in the interior space, and guides the direction of the resonant sound toward the partition wall 110b, so that the partition wall 110b guides the sound so that the sound is clearly out of the housing 101. Can be delivered. At this time, the housing 10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ot-shaped holes to correspond to the partition wall 110b of the cavity case 110, so that sound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

선택부(111)는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선택부(111)는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된 수신정보 중 채팅방 정보, 음성통화 요청메시지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The selection unit 111 generates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receiv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lection unit 111 may generate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chat room information and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among recep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여기서,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모듈(105)은 수신정보에 대응하는 음성통화를 진행하거나, 수신정보에 대응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모듈(109) 및 음성입력모듈(113)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when a selec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voice output module 109 and the voice input module 113 to proceed with a voice cal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or to output a voi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can do.

예를 들어, 제어모듈(105)은 선택된 수신정보가 음성통화 요청메시지에 해당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실시간으로 제1음성신호 및 제2음성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메신저 앱(20)과 연동시킨다. 여기서, 제어모듈(105)은 제1음성신호가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음성출력모듈(109)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음성이 실시간으로 입력되도록 음성입력모듈(113)을 제어하여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모듈(105)은 후술하는 입력부(114)의 입력명령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selected recep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first voice signal and the second voice signal in real time. Interlock with. Here,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voice output module 109 so that the first voice signal is output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voice input module 113 so that the user's voice is input in real time, so that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Controls to enable voice call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module 105 may also control the user's voice to be input when an input command of the input unit 114 to be described later is input.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모듈(105)은 선택된 수신정보에 대응하는 음성메시지를 음성출력모듈(109)을 통해 소리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모듈(105)은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된 수신정보에서 각각의 음성메시지 재생시간, 수신시간 등의 정보를 나열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module 105 may control to output a voi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ception information in a sound form through the voice output module 109.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selec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display module 107 to list information such as the playback time and reception time of each voice message from the displayed reception information. It may also be possible.

변경부(112)는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되는 수신정보를 변경하는 변경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변경부(112)는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되는 수신정보를 변경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변경부(11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신저 앱(20)에서 수신되는 수신정보를 변경하는 변경명령을 생성한다. The change unit 112 generates a change command for changing the receiv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For example, the changer 112 can be operated by the user to change the receiv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The change unit 112 generates a change command to change the receiv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ssenger app 20 by the user's manipulation.

변경부(112)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수신정보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변경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부(112)는 제1변경부(112a) 및 제2변경부(112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변경부(112a) 및 제2변경부(112b)는 상호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전달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변경부(112a) 또는 제2변경부(112b)의 조작을 통해 변경명령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되는 수신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정보는 제1변경부(112a)를 통해 수신정보가 변경되었을 때, 제2변경부(112b)를 통해 이전에 표시된 수신정보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hanger 112 may be provided in a pair, and generate change commands for sequentially changing receiv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hanger 112 may include a first changer 112a and a second changer 112b. The first change unit 112a and the second change unit 112b may be provided at mutually adjacent positions, and may b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as shown in FIG. 2. A change command is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first change unit 112a or the second change unit 112b to change the receiv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Here, when the received information is changed through the first changing unit 112a,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displaye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changing unit 112b.

여기서, 제어모듈(105)은 변경명령이 입력되면, 메신저 앱(20)에 변경명령을 송신한다. 앱 제어부(210)는 장치연결부(206)를 통해 변경명령을 전달받아서 수신정보 관리부(205)에서 수신정보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변경된 수신정보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음성 전달장치(10)에 전달된다. 제어모듈(105)은 변경된 수신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Here, when a change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module 105 sends a change command to the messenger app 20. The app control unit 210 receives the change command through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and controls the receive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to change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changed recep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o display the changed recep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107.

여기서, 선택부(111)의 조작을 통해 변경된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수신정보에 해당하는 음성메시지를 음성출력모듈(109)에서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음성통화를 할 수 있다. Here,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changed receptio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unit 111, a voi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information may be sequentially output by the voice output module 109 or a voice call may be made.

예를 들어, 제어모듈(105)은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명령을 후술하는 앱 제어부(210)에 전달하여 수신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에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음성 전달장치(10)에 전달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모듈(105)은 메신저 앱(20)에서 통해 수신된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를 음성출력모듈(109)에서 소리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For example, when the selec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module 105 transmits the selection command to the app control unit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ontrols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o receive the voice message received in the chat room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can do. Thereafter,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first voice signal of the voic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messenger app 20 to be output as sound from the voice output module 109.

여기서, 제어모듈(105)은 제1음성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선택신호를 재수신하면, 근거리 통신모듈(106) 및 음성출력모듈(109)을 제어하여 제1음성신호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Here, if the control module 105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again while the first voice signal is being output,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6 and the voice output module 109 to temporarily stop the output of the first voice signal. It may be possible.

또한, 제어모듈(105)은 음성메시지가 출력되는 도중에 변경명령이 입력되면,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다른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도록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메시지는 수신시간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순차적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105)은 출력되는 음성메시지에 해당하는 재생시간 또는 수신시간 등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7)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a change command is input while a voice message is being output, the control module 105 may be able to control to change to output another voice message corresponding to chat room information. Here, the voice messages may be sequentially output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reception time. Here, the control module 105 may control the display module 107 to visuall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a playback time or a reception time corresponding to an output voice message.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모듈(105)은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음성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지 않고, 각각의 수신정보에서 각각의 음성메시지의 재생시간, 수신시간 등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7)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변경부(112) 및 선택부(111)의 조작으로 재생시간, 수신시간 등의 정보를 나열하여 표시된 각각의 음성메시지를 변경하여 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모듈(105)은 선택부(111)를 통해 음성메시지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재입력되면, 선택된 음성메시지를 음성출력모듈(109)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module 105 does not output a voice message as a sound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received information is input, and the reproduction time and reception time of each voice message in each received information. The display module 107 may be controlled to visuall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In this case, the user may be able to select and change each displayed voice message by listing information such as a playback time and a reception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changer 112 and the selector 111. At this time, when th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 voice message is re-entered through the selector 111, the control module 105 may control the selected voice message to be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module 109.

한편, 제어모듈(105)은 새로운 음성메시지 또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알람을 생성하고 알람이 음성출력모듈(109)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05)은 메신저 앱에 새로운 음성메시지 또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신저 앱(20)에서 수신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하고, 알람을 생성하여 음성출력모듈(109)에서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105)은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된 새로운 음성메시지 또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를 선택하여, 음성통화를 진행하거나, 음성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채팅방에 새로운 음성메시지 또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음성 전달장치(10)는 선택부(111)의 조작에 따라 곧바로 새로운 음성메시지 또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를 선택하여, 음성메시지를 청취하거나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new voice message or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is received, the control module 105 may generate an alarm and control the alarm to be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module 109. For example, when a new voice message or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is received in the messenger app, the control module 105 receives the received information from the messenger app 20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odule 107, and generates an alarm to generate a voice. The output module 109 can be controlled to output an alarm. Here, when the selec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module 105 may select a new voice message or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to perform a voice call or control to output a voice message as sound. have. In other words, when a new voice message or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is received in the chat room,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mmediately selects a new voice message or voice call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lector 111, and the voice message Listening or voice communication can be provided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음성입력모듈(113)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음성입력모듈(113)은 마이크일 수 있다. 음성입력모듈(113)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2음성신호를 생성한다. The voice input module 113 inputs the user's voice. For example, the voice input module 113 may be a microphone. The voice input module 113 receives a user's voice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to generate a second voice signal.

입력부(114)는 음성입력모듈(113)을 구동하는 음성입력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14)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입력모듈을 작동시키는 음성입력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114)는 눌렀을 때 마다 음성입력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부(114)는 누르고 있을 때 음성입력명령을 유지하고, 입력부(114)를 놨을 때 음성입력명령을 중지하도록 음성입력명령이 재생성 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14 generates a voice input command that drives the voice input module 113.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4 may generate a voice input command that operates a voice input module for inputting a user's voice. The input unit 114 may generate a voice input command each time it is press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put unit 114 may maintain a voice input command when it is pressed, and may regenerate the voice input command to stop the voice input command when the input unit 114 is released.

제어모듈(105)은 음성입력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도록 음성입력모듈(113)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은 제2음성신호로 생성되어 실시간으로 메신저 앱(20)에 송신된다. 앱 제어부(210)는 음성입력명령을 수신하면, 제2음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음성메시지 변환부(207)에 전달한다. When the voice input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oice input module 113 to receive the user's voice. Here, the input user's voice is generated as a second voice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messenger app 20 in real time. Upon receiving the voice input command, the app control unit 210 receives the second voice signal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voice message conversion unit 207.

이 후, 제어모듈(105)은 음성입력모듈(113)의 구동 중에 음성입력명령이 더 발생하는 경우, 음성입력모듈(113)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메신저 앱(20)에 송신을 중지한다. 이 때, 제어모듈(105)은 재입력된 음성입력명령을 앱 제어부(210)에 전달하고 앱 제어부(210)는 음성메시지 변환부(207)에서 제2음성신호를 음성메시지형태로 변환한다. Thereafter, when the voice input command further occurs while the voice input module 113 is being driven,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o stop the voice input module 113 and stops transmitting to the messenger app 20.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105 transmits the re-entered voice input command to the app control unit 210, and the app control unit 210 converts the second voice signal into a voice message form by the voice message conversion unit 207.

송신부(115)는 변환된 제2음성신호의 음성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T1)에 송신하는 송신명령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모듈(105)은 송신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된 수신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에 사용자의 음성이 변환된 음성메시지를 전달하여 전송하도록 송신명령을 메신저 앱(20)에 전달한다. 앱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된 수신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에 사용자의 음성이 변환된 음성메시지를 전송한다. The transmission unit 115 generates a transmission command for transmitting the voice message of the converted second voic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1. Here, when a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module 105 transmits a transmission message to the chat room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and transmits a transmission message to the messenger app 20 to transmit the voice message. To deliver. The app control unit 210 transmits a voice message in which the user's voice is converted to a chat room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취소부(116)는 음성의 입력 또는 송신을 취소하는 취소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취소부(116)는 취소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모듈(105)에 전달한다. 제어모듈(105)은 취소명령에 따라, 현재 진행되는 모든 동작을 취소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05)은 취소명령에 따라 음성메시지의 출력, 음성의 입력 또는 음성통화를 중지할 수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05)은 디스플레이 모듈(107)을 제어하여 수신정보의 선택 또는 음성메시지의 선택을 취소하여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화면 또는 설정화면으로 되돌아 오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ancel unit 116 generates a cancel command to cancel input or transmission of voice. For example, the cancel unit 116 generates a cancel comman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module 105. The control module 105 cancels all operations currently in progress according to a cancel command.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05 may stop the output of the voice message, the input of the voice, or the voice call according to the cancel command.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5 may control the display module 107 to cancel the selection of the reception information or the selection of the voice message to return to the screen or the setting screen for selecting the reception information.

한편, 헤드셋 연결모듈(117)은 헤드셋을 연결하는 단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셋 연결모듈(117)은 헤드셋에 구비된 플러그에 연결되는 2.5TS잭, 3.5 TS잭, 3.5 TRS잭, 5.5 TRS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폰 플러그 잭일 수 있다. 헤드셋 연결모듈(117)은 헤드셋이 음성입력모듈(113) 및 음성출력모듈(109)을 대체할 수 있도록 헤드셋을 연결한다. Meanwhile, the headset connection module 117 may be a terminal for connecting a headset. For example, the headset connection module 117 may be a phone plug jack including any one of a 2.5 TS jack, a 3.5 TS jack, a 3.5 TRS jack, and a 5.5 TRS jack connected to a plug provided in the headset. The headset connection module 117 connects the headset so that the headset can replace the voice input module 113 and the voice output module 109.

오디오 모듈(118)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모듈(118)은 음성출력모듈(109), 음성입력모듈(113) 및 헤드셋 연결모듈(117)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모듈(118)은 증폭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소리와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제1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거나, 제2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입력할 수 있다.The audio module 118 may convert sound and electric signals in both directions. For example, the audio module 118 may convert sound information input or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module 109, the voice input module 113, and the headset connection module 117. In addition, the audio module 118 may include an amplifier (not shown), amplify sound and electric signals, amplify and output the first voice signal, or amplify and input the second voice signal.

출력 크기변경부(119)는 음성메시지의 출력 또는 입력 시, 음성메시지의 소리를 증폭하도록 출력 크기변경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출력 크기변경부(119)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서, 일 출력 크기변경부(119a)는 증폭기능의 크기변경명령을 생성하고, 타 출력 크기변경부(119b)는 감소 기능의 크기변경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The output size changing unit 119 generates an output size change command to amplify the sound of the voice message when the voice message is output or input. For example, the output size changing unit 119 is provided in a pair, so that one output size changing unit 119a generates a size change command of the amplifier function, and the other output size changing unit 119b is the size of the reduction function. You can create a change order.

출력 크기변경부(119)는 제1음성신호의 출력 시, 소리를 증폭하거나, 감소하도록 출력 크기변경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출력 크기변경부(119)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서, 일 출력 크기변경부(119a)는 증폭기능의 크기변경명령을 생성하고, 타 출력 크기변경부(119b)는 감소 기능의 크기변경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모듈(105)은 크기변경명령에 따라 오디오 모듈(118)을 제어하여 출력 시, 음성출력모듈(109) 또는 헤드셋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05)은 감소 기능의 크기변경명령을 최소 소리크기로 설정된 상태에서 다시 발생하는 경우에, 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진동모드로 설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진동모드의 설정은 소리로 수신정보의 도착 알람을 출력하지 않고, 후술하는 진동모듈(121)만을 작동시키는 설정을 의미한다. When outputting the first audio signal, the output size changing unit 119 generates an output size change command to amplify or reduce the sound. For example, the output size changing unit 119 is provided in a pair, so that one output size changing unit 119a generates a size change command of the amplifier function, and the other output size changing unit 119b is the size of the reduction function. You can create a change order.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audio module 118 according to the size change command, and when outputting, the control module 105 may adjust the volum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module 109 or the headset speaker.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5 may be set so that the sound is not output when the size change command of the reduction function occurs again in the state set to the minimum sound level, or it can be set to the vibration mode. Here, the setting of the vibration mode means a setting that operates only the vibration module 1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out outputting an arrival alarm of reception information by sound.

전원부(120)는 전원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120)는 버튼으로 구비되어서, 전원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전원부(120)에서 전원제어명령을 생성하면, 제어모듈(105)은 전원제어신호를 수신하여서 음성 전달장치(10)의 전원을 온(on), 오프(off)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20 generates a power control command.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20 is provided as a button to generate a power control command. When the power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power control command, the control module 105 receives the power control signal to turn on and off the power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진동모듈(121)은 진동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진동모듈(121)은 모터(121a) 및 모터(121a)의 축에 구비된 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회전자(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모듈(121)은 모터(121a)가 구동하여 회전자(121b)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진동으로 음성 전달장치(10)를 진동시킬 수 있다. The vibration module 121 generates vibration. For example, the vibration module 121 may include a motor 121a and a rotor 121b having an asymmetric shape provided on the shaft of the motor 121a. The vibration module 121 may vibrat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with vibrations generated when the motor 121a is driven to rotate the rotor 121b.

제어모듈(105)은 메신저 앱(20)에 신규 음성메시지 또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진동모듈(121)을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음성 전달장치(10)에 진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음성 전달장치(10)의 사용자는 진동을 통해 수신정보가 전달되었음을 확인이 가능하여 소리를 통해 알람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음성메시지 또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a new voice message or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is received by the messenger app 20, the control module 105 may control the vibration module 121 to operate to form vibrations in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user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can confirm that the received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through vibration, so that even if an alarm does not occur through sound, whether the voice message or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is received can be confirmed.

광원모듈(122)은 신규 음성메시지 또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으로 발광한다. 예를 들어, 광원모듈(122)은 LED등의 광원을 구비하여서, 알람정보에 따라 광원모듈(122)을 발광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가 가능하다. 광원모듈(122)은 회로기판(104)의 걸이홈(103) 쪽에 구비된다. The light source module 122 emits light in at least one color when a new voice message or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module 122 i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such as an LED, so that the light source module 122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alarm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The light source module 122 is provided on the hook groove 103 side of the circuit board 104.

여기서, 음성 전달장치(10)는 도광부재(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광부재(123)는 광원모듈(122)의 빛을 확산한다. 예를 들어, 도광부재(123)는 광원모듈(122)로부터 점차 단면이 커지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도광부재(123)는 하우징(101)의 걸이홈(103) 쪽 면 즉 상면에 관통 결합된다. 광원모듈(122)에서 빛을 발생하면, 도광부재(123)는 광을 확산시켜 하우징(101)의 상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음성 전달장치(10)를 목에 걸었을 때, 도광부재(123)는 광을 확산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조사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새로운 음성메시지 또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모듈(122)은 소리 또는 진동으로 알람을 발생할 수 없는 경우에, 빛으로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모듈(122)은 수신정보가 음성통화에 해당할 경우와, 수신정보가 음성메시지에 해당할 경우, 각기 다른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광원모듈(122)이 복수의 색으로 변화하며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하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Her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light guide member 123. The light guide member 123 diffuses light of the light source module 122. For example, the light guide member 123 is provided in a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in cross section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122. In addition, the light guide member 123 is coupl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1, the side of the hook groove 103, that is, the upper surface. When light is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122, the light guide member 123 diffuses the light and displays 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1. When the user hangs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on the neck, the light guide member 123 diffuses the light and irradiates the face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reception of a new voice message or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When the light source module 122 cannot generate an alarm due to sound or vibration, the light source module 122 may recognize the user with light. Also, the light source module 122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when the received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voice call and when the received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voice message.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module 122 changes in a plurality of colors and emits light, thereby increasing the speed perceived by the user.

한편, 알람은 새로운 음성메시지 또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원모듈(124)의 잔량부족, 음성 전달장치(10)의 고장발생 등의 음성 전달장치(10)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광원모듈(122)이 각각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7)을 확인하지 않고도 광원모듈(122)의 색상확인을 통해 장치의 상태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larm is not limited to occurring when a new voice message or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is received, and the voice delivery device 10 such as insufficient power of the power module 124 and failure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 May indicate an alarm indicating status information. At this time, when the light source modules 122 emit light in different colors, the user may be able to check the status of the device by checking the color of the light source module 122 without checking the display module 107.

전원모듈(124)은 음성 전달장치(10)를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모듈(124)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The power module 124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For example, the power module 124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한편, 진동모듈(121) 및 전원모듈(124)은 하우징 커버(102)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커버(102)는 복수의 돌기(102a)를 형성하여, 진동모듈(121) 및 전원모듈(124)을 회로기판(104)과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시킨다. 하우징 커버(102)는 진동모듈(121) 및 전원모듈(124)을 회로기판(104)과 이격시킴으로써, 진동모듈(121)의 진동과, 진동모듈(121) 및 전원모듈(124)에서 발생하는 열이 회로기판(104)에 전달되지 않아 회로기판(10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vibration module 121 and the power module 124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cover 102. Here, the housing cover 102 form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02a), to separate the vibration module 121 and the power module 124 so as not to contact the circuit board 104. The housing cover 102 separates the vibration module 121 and the power module 124 from the circuit board 104, thereby generating vibrations of the vibration module 121 and vibration modules 121 and the power module 124. Since heat is not transferred to the circuit board 104, damage to the circuit board 104 can be prevented.

언어 설정모듈(125)은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되는 언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 설정모듈(125)은 복수의 언어정보를 저장하고, 복수의 언어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언어정보를 출력언어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7)에서 표시되는 언어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The language setting module 125 may set a langu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For example, the language setting module 125 may store a plurality of language information and se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anguage information as an output language to change the langu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have.

저장모듈(126)은 설정페이지, 제어명령에 따른 기 설정된 동작이 저장되고, 메신저 앱(20)에서 수신되거나 음성입력모듈(113)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일 수 있다. 저장모듈(126)에 저장된 음성은 사용자가 설정페이지를 통해 삭제가 가능할 수 있다. The storage module 126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a preset page, a preset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nd temporarily store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essenger app 20 or input from the voice input module 113. have. The voic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26 may be dele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tting page.

또한, 저장모듈(126)은 수신정보를 임시로 저장이 가능할 수 있다. 저장모듈(126)은 음성 전달장치(10)의 오프 또는 이동통신 단말(T1)과의 연결이 해제되면 수신정보를 삭제하여 저장모듈(126)의 저장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Also, the storage module 126 may temporarily store received information. The storage module 126 may be able to secure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module 126 by dele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when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s turned off or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1 is released.

USB 연결모듈(127)은 데이터케이블이 연결되어, PC, 랩탑,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연결하거나, USB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저장모듈(126)에 저장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USB 연결모듈(127)은 근거리 통신모듈(106)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도 스마트폰과 케이블을 통해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USB 연결모듈(127)은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모듈(124)을 충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USB 연결모듈(127)은 USB 단자, 마이크로 5핀 단자, C타입 케이블 단자 등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모든 단자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The USB connection module 127 is connected to a data cable to connect to a PC, laptop, smartphone, tablet PC, etc., or a USB storage device is conn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26. The USB connection module 127 may be connected through a smart phone and a cable even w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6 does not operate. In addition, the USB connection module 127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o charge the power module 124. The USB connection module 127 may be any terminal type capable of charging and data transmission, such as a USB terminal, a micro 5-pin terminal, and a C-type cable terminal.

한편, 선택부(111), 변경부(112), 입력부(114), 송신부(115), 취소부(116), 출력 크기변경부(119) 및 전원부(120)는 각각 별도의 버튼으로 구비되어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버튼은 하우징(101)의 전면 및 측면에 사용자가 한손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한손으로 각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음성 전달장치(10)를 제어할 수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T1)의 단말 디스플레이 모듈(T13)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거나 이동통신 단말(T1)을 조작하지 않고도 새로운 음성메시지 청취하거나 음성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으며 음성통화 요청메시지를 선택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버튼은 택스위치 및 하우징(101)을 관통 결합하여서 택스위치를 조작 가능한 스위치 커버로 구성되어서 사용자가 한번의 누름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lection unit 111, the changing unit 112, the input unit 114, the transmitting unit 115, the canceling unit 116, the output size changing unit 119, and the power unit 120 are each provided as separate buttons. Control commands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each button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01 in a position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with one hand. The user can control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by operating each button with one han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terminal display module T1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1 or operate the new voice without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1. You can listen to the message or create and send a voice message, and select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to enable voice communication. Each button is configured to be a switch cover capable of manipulating the tack switch by penetrating the tack switch and the housing 101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it with a single push.

하지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선택부(111), 변경부(112), 입력부(114), 송신부(115), 취소부(116), 출력 크기변경부(119) 및 전원부(12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비되어, 버튼을 조작하는 조작의 조합으로 선택부(111), 변경부(112), 입력부(114), 송신부(115), 취소부(116), 출력 크기변경부(119) 및 전원부(120)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elector 111, the changing unit 112, the input unit 114, the transmitting unit 115, the canceling unit 116, the output size changing unit 119 and the power supply unit 120 are 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buttons, and the selection unit 111, the changing unit 112, the input unit 114, the transmitting unit 115, the canceling unit 116, and the output size changing unit 119 as a combination of operations for operating the button. ) And the power supply unit 120 may also be operated.

이러한, 음성 전달장치(10)는 사용자가 각각의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버튼을 한손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이동통신 단말(T1)의 잠금 화면을 해제하지 않고도 음성통화 또는 음성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may allow a user to operate a button for generating each control command with one hand, so that a voice call or a voice message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out unlocking the lock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1. have.

메신저 앱(20)은 이동통신 단말(T)의 단말 저장모듈(T14)에 저장되어 구비되고, 이동통신 단말(T)의 데이터 통신모듈(T12)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망(D)을 통해 메신저 서버(30)와 연결되어 채팅방을 통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T) 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또한, 메신저 앱(20)은 음성 전달장치(1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서 음성 전달장치(10)에 음성통화 또는 음성메시지를 중계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앱(20)은 이동통신 단말(T)에 구비된 단말 근거리 통신모듈(T11)을 통해 음성 전달장치(10)와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메신저 앱(20)은 서버중계부(201), 정보관리부(202), 정보표시부(203), 수신정보 생성부(204), 수신정보 관리부(205), 장치연결부(206), 메시지 변환부(207), 번역부(208), 위치정보 관리부(209) 및 앱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ssenger app 20 is stored and provided in the terminal storage module T1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the messenger server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D using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T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t is connected to (30)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 through a chat room. In addition, the messenger app 20 may be connected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to relay a voice call or a voice message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Here, the messenger app 20 may communicate in short distance with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rough the terminal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11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messenger app 20 includes a server relay unit 201,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an information display unit 203, a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a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a device connection unit 206, and a message conversion unit ( 207), a translation unit 208,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9 and an app control unit 210.

서버중계부(201)는 이동통신 단말의 데이터 통신모듈(T12)을 통해 메신저 서버(30)에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메신저 서버(30)에서 송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서버중계부(201)는 메신저 서버(30)에 개설된 채팅방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중계부(201)는 메신저 앱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중계부(201)는 메신저 서버(30)에서 채팅방을 통해 송신되는 메시지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서버중계부(201)에서 판별하는 메시지의 종류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문자메시지, 사진, 동영상, 문서 또는 음성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relay unit 201 transmits a message to the messenger server 3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T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receives a message sent from the messenger server 30. For example, the server relay unit 201 may receive a message in a chat room opened in the messenger server 30. In addition, the server relay unit 201 may transmit a message input by the user through a messenger app. In addition, the server relay unit 201 may determine the type of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essenger server 30 through the chat room. The types of messages determined by the server relay unit 201 may include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a text message, a picture, a video, a document, or a voice message.

또한, 서버중계부(201)는 메신저 서버(30)와 연동되어 다른 사용자 단말과 제1음성신호 및 제2음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앱(20)은 이동통신 단말(T)의 스피커 또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제1음성신호 및 제2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신저 앱(20)은 음성 전달장치(10)에 제1음성신호를 송신하거나, 음성 전달장치(10)에 입력된 제2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통화를 중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erver relay unit 201 may interwork with the messenger server 30 to transmit and receive a first voice signal and a second voice signal in real time with other user terminals to enable voice communication. Here, the messenger app 20 can output or input the first voice signal and the second voice signal using the speaker or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n addition, the messenger app 20 may transmit the first voice signal to the voice delivery device 10 or relay the voice call by receiving the second voice signal input to the voice delivery device 10.

정보관리부(202)는 로그인정보, 회원정보 또는 채팅방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관리부(202)는 설정 페이지를 생성하고, 설정 페이지에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서버중계부(201)를 통해 메신저 서버(30)에 전달하여 메신저 서버(3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정보관리부(202)는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여 메신저 서버(30)에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may set and store login information, member information, or chat room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may generate a setting page and deliver the login information entered in the setting page to the messenger server 30 through the server relay unit 201 to log in to the messenger server 30. .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may store login information and maintain a login status in the messenger server 30.

또한, 정보관리부(202)는 메신저 서버(30)에 로그인한 다른 회원의 회원정보를 등록하여, 회원정보 페이지에서 로그인한 사용자가 등록한 다른 회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회원정보 페이지에 대한 접근은 사용자가 설정 페이지를 스와이프하거나, 별도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may register the member information of another member logged into the messenger server 30, and check the information of other members registered by the logged-in user on the member information page. Access to the member information page may be accessed by the user swiping the setting page or selecting a separate icon.

또한, 정보관리부(202)는 채팅방을 새로 개설하도록 메신저 서버(30)에 채팅방 개설요청을 생성하거나, 개설된 채팅방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채팅방 개설요청은 회원정보 페이지에서 회원을 선택하여 생성하거나, 채팅목록 페이지에서 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may be able to create a chat room opening request on the messenger server 30 to open a new chat room, or to manage information of the opened chat room. The request to open a chat room may be created by selecting a member on the member information page, or may be selected on the chat list page.

여기서, 회원정보는 정보관리부에 사용자가 기 등록한 다른 이동통신 단말(T)에서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를 의미하며, 또한, 채팅방 정보는 메신저 서버(30)에서 개설되어 메신저 앱(20)을 통해 표시되는 채팅방의 정보를 의미한다. Here, the member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of a user logged in at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user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chat room information is opened in the messenger server 30 and displayed through the messenger app 20 Means the information of the chat room.

정보표시부(203)는 정보관리부(202)에 저장된 로그인정보, 회원정보 또는 채팅방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T)의 단말 디스플레이 모듈(T13)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표시부(20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방 정보를 정렬하여 채팅방목록 페이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표시부(203)는 채팅방 정보를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 순서로 정렬하거나, 사용자가 채팅방 및 메시지를 열람하여 확인하지 않은 신규 메시지를 수신한 채팅방 정보가 상위에 개시되도록 정렬이 가능하다.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03 may visually display the login information, member information, or chat room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on the terminal display module T1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For example,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03 may arrange chat room information as shown in FIG. 6 to visually display a chat room list page. Here,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03 can sort the chat room information in the order of the most recently received message, or the chat room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by viewing the chat room and the message and receiving a new message that has not been confirmed can be sorted so as to start.

또한, 정보표시부(203)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T)의 단말 디스플레이 모듈(T13)을 스와이프하거나 선택함으로써 채팅방 정보 페이지의 채팅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방에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채팅창을 단말 디스플레이 모듈(T13)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03, the user by swiping or selecting the terminal display module (T1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o select any one of the chat rooms on the chat room information page to receive in the chat room as shown in FIG. It may also be possible to visually display the chat window displaying the displayed message on the terminal display module T13.

또한, 정보표시부(203)는 정보관리부(202)에서 생성한 회원정보 페이지를 단말 디스플레이 모듈(T13)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도 있다. Also,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03 may be able to visually display the member information page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2 on the terminal display module T13.

수신정보 생성부(204)는 수신된 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수신정보 생성부는 서버중계부(201)에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서버중계부에 수신된 메시지와 채팅방 정보를 매칭하고, 메시지의 수신시간 또는 재생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generates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message. For example, when a message is received by the server relay unit 201,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matches the message received by the server relay unit with the chat room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ception time or a playback time of the messag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수신정보 생성부(204)가 생성하는 수신정보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가 수신된 채팅방의 정보, 채팅방에 수신된 음성메시지의 개수정보,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의 수신시간 정보, 음성메시지의 재생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채팅방 정보는 채팅방의 이름, 참여자 또는 그룹의 정보를 포함한다.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includes information on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information on a chat room in which a voice message has been receive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voice messages received in the chat room, information on the time of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a voice message, and voic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reproduction time information of the message. In addition, the chat room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of the chat room, participant or group information.

수신정보 생성부(204)는 음성 전달장치(10)가 연결된 시점에 사용자가 채팅방을 열람하거나 메시지 선택하여 청취하지 않은 메시지를 신규 메시지로 판별하여 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수신정보 생성부(204)는 각각의 채팅방 정보마다 각각 수신정보를 생성한다. 수신정보 생성부(204)는 이미 청취하거나 확인한 메시지에 대해 수신정보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수신정보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may generate reception information of a message by determining a message that has not been listened to as a new message when a user browses a chat room or selects a message when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s connected. At this time,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generates reception information for each chat room information.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may prevent generation of unnecessary reception information by not generating reception information for a message that has already been listened to or confirmed.

또한, 수신정보 생성부(204)는 음성 전달장치와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수신정보를 생성하여 곧바로 음성 전달장치(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음성 전달장치(10)를 통해 신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while the connection with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is maintained,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may generate the reception information and immediately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n this case, the user can confirm that a new message has been received through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수신정보 관리부(205)는 음성 전달장치(10)에 송신하는 수신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수신정보 관리부(205)는 수신정보 생성부(204)에서 각각의 채팅방 정보마다 생성한 각각의 수신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고, 음성 전달장치(10)에 어느 하나의 수신정보만을 전달하고,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수신정보의 변경명령이 발생할 경우, 수신정보를 변경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수신정보 관리부(205)는 정보표시부(203)와 동일한 순서의 상위 채팅방의 수신정보를 먼저 음성 전달장치(1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temporarily stores recep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For example, th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temporarily stores each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ed for each chat room information in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and delivers only one reception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When the command for chang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ccurs in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received information is changed and transmitted. Here, th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may first deliver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upper chat room in the same order a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03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수신정보 관리부(205)는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청취 또는 확인된 메시지를 판별하여 수신정보의 삭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신정보 관리부(205)는 음성메시지 중 소리로 출력이 완료된 메시지에 대한 수신정보를 삭제한다. 여기서, 수신정보 관리부(205)는 수신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음성메시지 즉, 하나의 채팅방에 수신된 복수의 음성메시지 중 어느 하나만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청취된 경우에는 수신정보 중 음성메시지의 개수정보를 변경하고 수신정보는 유지할 수 있다. Th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may delete the received information by determining a message that has been listened to or confirmed by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For example, th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deletes reception information for a message whose output is completed as a sound among voice messages. Here, th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if only one of a plurality of voice message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that is, one of the plurality of voice messages received in one chat room, is received by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of the received voice message The number information can be changed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can be maintained.

장치연결부(206)는 음성 전달장치(10)와 메신저 앱(20)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장치연결부(206)는 단말 근거리 통신모듈(T11)을 이용하여 메신저 앱(20)과 음성 전달장치(10)를 연결한다. 장치연결부(206)는 음성 전달장치(10)에 수신정보를 송신하거나,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선택된 수신정보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장치연결부(206)에서 음성 전달장치(10)에 전달되는 메시지는 음성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말 근거리 통신모듈(T11)은 음성 전달장치(10)의 근거리 통신모듈(106)과 동일한 통신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connects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and the messenger app 20. For example,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connects the messenger app 20 and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using the terminal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11.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transmits the reception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or transmits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s preferably a voice message. Here, the terminal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11 may use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a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6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또한, 장치연결부(206)는 음성 전달장치(1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거나,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may receive a user's voice through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or receive a control command.

메시지 변환부(207)는 장치연결부(206)에 전달된 사용자의 음성의 제2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메시지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변환부(207)는 사용자의 음성을 컴퓨터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 하 데이터 파일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The message conversion unit 207 may receive the second voice signal of the user's voice deliver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and convert it into a voice message format. For example, the message conversion unit 207 may digitize and convert a user's voice into a data file format to be processed by a computer.

여기서, 메시지 변환부(207)는 데이터 파일형태로 변환된 메시지의 파일크기를 줄이기 위해 MP3, AC3, AAC, OGG, WMA, FLAC, DTS등의 데이터 파일형태로 압축하여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변환부(207)는 서버중계부(201)로부터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디코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Here, the message converter 207 may compress and encode data files in the form of MP3, AC3, AAC, OGG, WMA, FLAC, DTS, etc. in order to reduce the file size of the message converted into a data file format. Also, the message conversion unit 207 may be capable of decoding the voice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er relay unit 201.

또한, 메시지 변환부(207)는 서버중계부(201)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 형태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변환부(207)는 문자메시지를 TTS(Text to Speak)로 음성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음성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T)에서 소리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 전달장치(10)로 전달하여 소리로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전달장치(10)로 문자메시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청취가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sage conversion unit 207 may be capable of converting a text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er relay unit 201 into a voice message format. For example, the message conversion unit 207 may convert a text message into a voice message using Text to Speak (TTS). The converted voice message may be output as soun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or transmitted to the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10 to be output as soun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by listening to the text message with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without visually confirming the text message.

번역부(208)는 수신된 메시지를 번역하여 번역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연결부(206)는 음성 전달장치(10)와 연결 시, 음성 전달장치(10)의 설정언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번역부(208)는 서버중계부(201)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전달받아 메시지 작성된 언어를 판단한다. 번역부(208)는 메시지 상의 단어나 발음 등을 인식하여 메시지를 작성한 언어를 판단할 수 있다. The translation unit 208 may translate the received message to generate a translation message. For example,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may receive setting language information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when connected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translation unit 208 receives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er relay unit 201 and determines the language in which the message is written. The translation unit 208 may recognize a word or pronunciation on the message and determine the language in which the message is written.

이후, 번역부(208)는 수신된 메시지의 작성언어와 음성 전달장치(10)의 설정언어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성 전달장치(10)의 설정언어정보와 동일한 언어로 음성메시지를 번역할 수 있다. 번역된 메시지는 음성 전달장치(10)로 전달되거나, 이동통신 단말에서 소리로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translation unit 208 translates the voice message in the same language as the set language information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f the written language of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set language information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do not match. Can. The translated message may be delivered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or may be output as soun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메시지의 작성언어를 판단과 메시지의 번역은 인공신경망 기계번역 기술 등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a know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 translation technolog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language of the message and to translate the message,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위치정보 관리부(209)는 이동통신 단말(T)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위치정보를 메신저 서버(30)를 통해 기등록된 회원정보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T)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관리부(209)는 메신저 앱(20)을 통해 기등록한 회원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요청하면, 회원정보에 해당하는 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 관리부(209)는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도형태의 위치정보 확인창을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T)의 단말 디스플레이 모듈(T13)에 표시할 수 있다. 위치정보 확인창에는 기등록한 회원정보가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는데 회원정보의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 확인창에 대한 접근은 사용자가 그룹채팅창에서 스와이프 하거나 별도의 메뉴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9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share the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corresponding to pre-registered member information through the messenger server 30. . In additio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9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re-registered member information through the messenger app 20, it may receive and display lo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member information.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9 may generate a map-typ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as shown in FIG. 8 and display it on the terminal display module T1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n th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pre-registered member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a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quested by selecting the icon of the member information. Here, the access to th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may be accessible by the user swiping in the group chat window or selecting a separate menu icon.

또한, 위치정보 관리부(209)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위치정보 확인창에서 메시지를 선택함으로 메시지를 송신한 메시지 위치정보를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 관리부(209)는 메시지 위치정보를 수신정보 생성부(204)에 전달하여 수신정보에 포함하여 음성 전달장치(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모듈(105)은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는 지도에서의 위치를 나타낸 것뿐 아니라 문자로 변환된 주소형태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Also,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9 may generate message location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a message. The user may be able to check the message location information that sent the message by selecting the message in th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9 may transmit the messag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and include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05 may further display lo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107.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address converted into text as well as indicating the location on the map.

여기서, 위치정보 관리부(209)는 이동통신 단말(T)의 위치모듈(T15)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모듈(T15)은 GPS, GLONASS 또는 베이더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9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location module T15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location module T15 may include GPS, GLONASS, or Beidou.

앱 제어부(210)는 장치연결부(206)에서 수신된 음성 전달장치(10)의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수신정보의 변경, 수신정보의 송신, 음성메시지의 송신, 사용자의 음성입력 및 음성메시지 변환을 할 수 있도록 메신저 앱(2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여기서, 음성 전달장치(10)의 제어명령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수신정보를 변경하는 변경명령, 수신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음성통화를 진행하거나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선택명령,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제2음성신호로 생성하도록 음성입력모듈을 작동시키는 입력명령 또는 제2음성신호로 생성된 음성메시지를 채팅방으로 중계하도록 송신하는 송신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The app control unit 210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received from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changes the received information,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ransmits the voice message, converts the user's voice input and voice message Each component of the messenger app 20 is controlled so as to be able to do so. Here, the control command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s a change command for changing the receiv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proceed with the voice call 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and receiving the voice.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an input command for operating the voice input module to generate a 2 voice signal or a transmission command for transmitting a voice message generated by the second voice signal to be relayed to a chat room.

예를 들어, 앱 제어부(210)는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음성통화 요청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서버중계부(201)와 장치연결부(206)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음성 전달장치(10)와 채팅방을 연결하여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앱 제어부(210)는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장치연결부(206)를 제어하여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를 음성 전달장치(10)에 전달하여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음성메시지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is input from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app control unit 210 interlocks the server relay unit 201 and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in real time. Voi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y connecting the delivery device 10 and the chat room. In addition, when th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is input, the app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to transmit the first voice signal of the voice message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so that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output of the voice message in (10) is possible.

이하에서는 도9 내지 도 11 참조하여, 상기에 설명한 음성 전달시스템(1)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voice transmission system 1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o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음성 전달시스템(1)의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T)과 음성 전달장치(10)를 연결하는 단계(S401), 신규 메시지 수신을 판별하는 단계(S402),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3), 음성 전달장치(10)에 수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404),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S405), 수신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단계(S406), 제어명령의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S407), 음성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는 단계(S408),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단계(S416) 및 메신저 앱(20)에 신규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409)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9, the control method of the voice transmission system 1 is a step (S401) of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determining the reception of a new message (S402),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ng (S403),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S404), generating an alarm in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S405), and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S406), determining the input of the control command (S407), outputting a voice message as sound (S408), proceeding with a voice call (S416) and waiting for the reception of a new message to the messenger app 20 It includes a step (S409).

이동통신 단말(T)과 음성 전달장치(10)를 연결하는 단계(S401)에서는 이동통신 단말(T)과 음성 전달장치(10)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T)과 음성 전달장치(10)는 페어링하여 블루투스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음성 전달장치(10)는 이동통신 단말(T)에 구비된 메신저 앱(20)과 연동될 수 있다. 음성 전달장치(10)는 이동통신 단말(T)과 연결 시, 메신저 앱(20)에 설정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전달장치(10)는 메신저 앱(20)에 언어설정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In step S401 of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are connected by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may be paired and connected via Bluetooth. At this tim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messenger app 20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may transmit setting information to the messenger app 20 when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For exampl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may transmi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to the messenger app 20.

신규 음성메시지를 판별하는 단계(S402)서는 수신정보 생성부(204)가 메시지 중 이동통신 단말(T) 또는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출력 또는 확인되지 않은 메시지를 신규 메시지로 판별한다. In step S402 of determining a new voice message, the receiv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determines a message that is not output or confi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or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as a new message.

이 후,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3)에서 수신정보 생성부(204)가 신규 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수신정보 생성부(204)는 메신저 앱(20)에 메신저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신규 메시지에 대한 수신정보를 생성한다. 수신정보 생성부(204)는 이동통신 단말(T)과 음성 전달장치(10)에 연결되었을 때 수신정보를 생성하거나, 새로운 메시지가 메신저 서버(30)로부터 메신저 앱(20)으로 수신되었을 때 수신정보를 생성한다. 수신정보 생성부(204)는 생성된 수신정보를 수신정보 관리부(205)에 전달하고, 수신정보 관리부(205)는 수신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여기서, 수신정보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일 수 있다. Thereafter, in step S403 of generating reception information,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generates reception information of a new message. For example,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generates reception information for a new message received from the messenger server 30 in the messenger app 20.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generates reception information when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or receives when a new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essenger server 30 to the messenger app 20 Generate information.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4 transfers the generated reception information to th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and th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temporarily stores the reception information. 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information of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a voice message.

음성 전달장치(10)에 수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404)에서는 수신정보 관리부(205)는 임시로 저장된 수신정보 중 어느 하나를 음성 전달장치(10)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정보 관리부(205)는 임시로 저장된 수신정보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에 해당하는 수신정보를 우선순으로 음성 전달장치(10)에 송신한다. In the step (S404)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receive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transmits any one of the temporarily stored received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For example, th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transmits the rece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st recently received message among the temporarily stored reception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10 in order of priority.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S405)에서는 수신정보가 메신저 앱(20)에서 음성 전달장치(10)에 수신되면 제어모듈(105)이 알람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05)은 음성출력모듈(109)을 제어하여 소리형태의 알람을 발생하거나, 진동모듈(121)을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광원모듈(122)을 제어하여 빛으로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05)은 음성출력모듈(109), 진동모듈(121) 또는 광원모듈(122)을 제어하여, 둘 이상의 모듈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In step S405 of generating an alarm in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when the received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n the messenger app 20, the control module 105 generates an alarm.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audio output module 109 to generate an alarm in the form of a sound, controls the vibration module 121 to generate vibration, or controls the light source module 122 to light. As a result, an alarm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5 may control the voice output module 109, the vibration module 121, or the light source module 122 to generate an alarm in two or more modules.

수신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하는 단계(S406)에서는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수신된 수신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05)은 음성 전달장치(10)에 수신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수신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In step S406 of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107, the receiv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For example, when the recep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o display the recep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107 visually.

제어명령의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S407)에서는 제어모듈(105)이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판별한다. 제어명령의 입력의 판별은 선택명령, 변경명령, 입력명령 또는 취소명령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이 판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메신저 앱은 신규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409)로 진입한다. In step S407 of determining the input of the control command, the control module 105 determines the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As for the input of the control command, any one of a selection command, a change command, an input command, or a cancel command can be determined. Here, when the control command is not input, the messenger app enters the step of waiting for reception of a new message (S409).

음성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는 단계(S408)에서는 제어명령으로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모듈(105)은 선택명령을 메신저 앱(20)에 전달하고, 메신저 앱(20)에서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를 수신하도록 근거리 통신모듈(106)을 제어한다. 메신저 앱(20)에서 선택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 모듈(107)에 표시된 수신정보에 해당하는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를 소리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모듈(109)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outputting a voice message as sound (S408),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reception information of a voice message is input as a control command, the control module 105 transmits the selection command to the messenger app 20, and the messenger app In (2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6 is controlled to receive the first voice signal of the voice message. When the first voice signal of the voi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7 is received at the time when the sel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messenger app 20, the first voice signal of the voice message is converted into a sound form and output. The audio output module 109 can be controlled to do so.

여기서, 음성 전달장치(10)는 음성메시지가 출력되는 동안에 선택명령이 더 발생하는 경우에 음성메시지의 출력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전달장치(10)는 선택명령이 다시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시 정지된 음성메시지를 다시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may pause the output of the voice message when a selection command is generated while the voice message is being output. In addition, when the selection command occurs again, the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10 may output the paused voice message again.

또한, 음성 전달장치(10)는 음성메시지가 출력되는 동안에 변경명령이 더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전 선택된 수신정보와 동일한 채팅방에서 다른 음성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모듈(105)은 변경명령을 입력받아 메신저 앱(20)에 전달하여 앱 제어부(210)는 변경명령에 따라 다른 음성메시지를 음성 전달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음성 전달장치(10)는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모듈(109)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change command is further generated while the voice message is being output,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may output another voice message in the same chat room as the previously selected recep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05 receives the change command and transmits it to the messenger app 20 so that the app control unit 210 can transmit another voice message to the voice delivery device 10 according to the change command.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may control the voice output module 109 to output the received voice message.

음성출력이 완료된 후에 제어명령의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S407)로 다시 돌아가, 제어명령의 입력을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메신저 앱은 신규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409)로 진입한다. After the voice output is comple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07 to determine the input of the control command, and the input of the control command can be determined. Here, when the control command is not input, the messenger app enters the step of waiting for reception of a new message (S409).

메신저 앱(20)에 신규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409)에서는 음성 전달장치(10)는 제어명령의 입력이 없는 경우, 메신저 서버(30)로부터 메신저 앱(20)으로 신규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In the step of waiting to receive a new message in the messenger app 20 (S409), when there is no input of a control command,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receives a new message from the messenger server 30 to the messenger app 20. Wait until.

메신저 앱(20)에 신규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409) 이후에, 신규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신저 앱(20)에서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3)로 돌아가 제어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After the step of waiting to receive a new message in the messenger app 20 (S409), if a new message is received, the messenger app 20 may return to step S403 of generating received information to repeat the control process. .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단계(S416)는 제어명령으로 음성통화 요청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된 경우, 앱 제어부(210)는 채팅방 참여자의 이동통신 단말(T)을 상호 실시간으로 음성신호를 연동하도록 메신저 서버(30)요청하고, 메신저 서버(30)는 채팅방 참여자의 이동통신 단말(T)을 채팅방 상에서 동기화하여 제1음성신호 및 제2음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In step S416 of performing a voice call,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reception information of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is input as a control command, the app control unit 210 voic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of the chat room participants in real time. Request the messenger server 30 to interlock the signal, and the messenger server 30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of the chat room participants to synchronize on the chat room to transmit and receive the first voice signal and the second voice signal in real time. .

여기서, 앱 제어부(210)는 메신저 서버(30)에서 서버중계부(201)를 통해 채팅방에 수신되는 제1음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장치연결부(206)로 중계하여 음성 전달장치(10)에 전달한다. 또한, 앱 제어부(210)는 음성 전달장치(10)에서 메신저 앱(20)에 수신되는 제2음성신호를 서버 중계부(201)를 통해 메신저 서버(30)의 채팅방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여 음성통화를 진행한다. Here, the app control unit 210 relays the first voice signal received in the chat room from the messenger server 30 through the server relay unit 201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206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 In addition, the app control unit 210 controls to transmit the second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o the messenger app 20 in real time through the server relay unit 201 to the chat room of the messenger server 30. Proceed with voice calls.

여기서, 제어모듈(105)은 근거리통신모듈, 음성출력모듈 및 음성입력모듈을 제어하여 메신저 앱(20)에 수신되는 제1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2음성신호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메신저 앱(20)에 전달한다. 이러한, 음성 전달장치(10)는 이동통신 단말(T)의 별도의 조작없이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module 105 control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voice output module, and voice input module to receive the first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messenger app 20, and generates the second voice signal to generate a real-time messenger app ( 20).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may perform voice communication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음성 전달시스템(1)의 제어방법은 수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S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voice delivery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hanging received information (S410).

수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S410)는 제어명령의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S407)에서 변경명령이 입력된 경우, 메신저 앱(20)에서 수신정보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05)은 변경부(112)의 조작으로 변경명령이 입력된 경우, 메신저 앱(20)에 변경명령을 전달한다. 앱 제어부(210)는 변경명령을 전달받아 수신정보 관리부(205)에서 음성 전달장치(10)에 송신될 수신정보를 변경한다. In step S410 of changing the received information, when the change command is input in step S407 of determining the input of the control command, the messenger app 20 changes the receiv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05 transmits a change command to the messenger app 20 when a change command is input through operation of the change unit 112. The app control unit 210 receives the change command and changes the recep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in th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5.

이후, 음성 전달시스템(1)의 제어방법은 음성 전달장치(10)에 수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404)로 돌아가 제어과정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Thereafter, the control method of the voice transmission system 1 returns to step S404 of transmitting the reception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and repeats the control process.

한편, 음성 전달시스템(1)의 제어방법은 음성입력모듈(113)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단계(S411), 입력명령의 재입력을 판별하는 단계(S412), 음성을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S413), 송신명령을 입력하는 단계(S414) 및 사용자의 음성을 채팅방으로 중계하는 단계(S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voice transmission system 1 is a step of inputting a user's voice in the voice input module 113 (S411), a step of determining a re-entry of the input command (S412), and converting the voice into a voice message. Step S413, a step of inputting a transmission command (S414) and a step of relaying the user's voice to the chat room (S415) may be further included.

음성입력모듈(113)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단계(S411)는 제어명령의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S407)에서 입력명령이 입력된 경우, 음성 전달장치(10)의 음성입력모듈(113)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제2음성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05)은 입력부(114)의 조작으로 입력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제2음성신호를 생성하도록 음성입력모듈(113)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05)은 입력명령을 앱 제어부(210)에 전달하고, 제2음성신호를 메시지 변환부(207)에 전달되도록 근거리 통신모듈(106)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voice input module 113, the step of inputting the user's voice (S411) is when the input command is input in step S407 of determining the input of the control command, the voice input module 113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user's voice is input to generate a second voice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05 may control the voice input module 113 to generate a second voice signal by inputting a user's voice when an input command is input through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14.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5 may contro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06 to transmit an input command to the app control unit 210 and transmit a second voice signal to the message conversion unit 207.

입력명령의 재입력을 판별하는 단계(S412)에서는 음성입력명령의 재입력을 판별한다. 여기서, 음성입력명령이 재입력되면 제2음성신호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S413)로 진입한다. 또한, 음성입력명령이 재입력 되지않은 경우에는 음성입력모듈(113)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단계(S411)를 유지한다. In step S412 of determining re-entry of the input command, re-entry of the voice input command is determined. Here, when the voice input command is re-entered, the second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 voice message (S413). In addition, if the voice input command is not re-entered, the voice input module 113 maintains the step of inputting the user's voice (S411).

음성을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S413)에서는 입력명령이 재입력된 경우, 음성의 입력을 중지하고, 제2음성신호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05)은 음성입력이 재입력된 경우, 음성입력명령을 앱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앱 제어부(210)는 메시지 변환부(207)에 전달된 제2음성신호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도록 메시지 변환부(207)를 제어한다. In step S413 of converting a voice into a voice message, when the input command is re-entered, the input of the voice is stopped, and the second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 voice message. For example, when the voice input is re-entered, the control module 105 transmits a voice input command to the app control unit 210. The app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message conversion unit 207 to convert the second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message conversion unit 207 into a voice message.

송신명령을 입력하는 단계(S414)는 송신부(15)에서 송신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In step S414 of inputting a transmission command, a transmission command may be input from the transmission unit 15.

사용자의 음성을 채팅방으로 중계하는 단계(S415)는 메신저 앱(20)에서 음성메시지로 변환된 제2음성신호를 채팅방으로 중계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05)은 송신명령을 입력받아 앱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앱 제어부(210)는 송신명령에 따라 음성메시지로 변환된 제2음성신호를 음성 전달장치(10)에서 선택된 수신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에 송신하도록 중계할 수 있다. In step S415 of relaying the user's voice to the chat room, the second voice signal converted into a voice message in the messenger app 20 is relayed to the chat room.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05 receives a transmission command and transmits it to the app control unit 210. The app control unit 210 may relay the second voice signal converted into a voice messag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chat room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o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0를 참조하면, 음성 전달시스템(1)의 제어방법은 신규 메시지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S421) 및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S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control method of the voice delivery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type of a new message (S421) and converting a text message to a voice message (S422).

신규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421)는 서버중계부(201)가 수신된 메시지의 종류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신규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서버중계부(201)는 수신된 신규 메시지가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음성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인지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421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new message, the server relay unit 201 determines the type of the received message. For exampl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new message, the server relay unit 201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new message is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a voice message, or a text message.

여기서, 신규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421)는 신규 메시지가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로 판단되는 경우,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3)로 넘어간다. 또한, 신규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421)는 신규메시지가 문자메시지인 경우에는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S422)로 넘어간다. 그리고, 신규 메시지가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음성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메신저 앱(20)에 신규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409)로 넘어갈 수 있다. Her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new message (S421) proceeds to the step of generating reception information (S40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ew message is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a voice message. In addition, the step (S421)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new message goes to step (S422) of converting the text message into a voice message when the new message is a text message. In addition, when the new message is not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a voice message, or a text message,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409 of waiting for reception of the new message in the messenger app 20.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S422)는 신규 메시지가 문자메시지인 경우,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 변환부(207)에 전달하여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In step S422 of converting a text message to a voice message, when the new message is a text message, the text message can be converted to a voice message by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to the voice message converter 207.

이 후, 메신저 앱(20)에서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3)에서 음성메시지로 변환된 문자메시지의 수신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으며, 음성출력모듈(109)에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408)에서 문자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Thereafter, in the step S403 of generating reception information in the messenger app 20,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text message converted to the voice message may be further generated, and the voice output module 109 outputs the voice message ( In S408), it may be possible to output a text message as sound.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o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음성 전달시스템(1)의 제어방법은 신규 메시지의 언어를 판별하는 단계(S431) 및 신규 메시지의 언어를 번역하여 번역된 음성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control method of the voice delivery system 1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a language of the new message (S431) and generating a translated voice message by translating the language of the new message (S432). Can.

신규 메시지의 언어를 판별하는 단계(S431)에서는 번역부(208)가 신규 메시지를 전달받아 메시지를 작성한 언어를 판별한다. 번역부(208)는 메시지 상의 단어나 발음 등을 인식하고 이를 조합하여 작성한 언어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431 of determining the language of the new message, the translation unit 208 receives the new message and determines the language in which the message is written. The translation unit 208 may recognize words or pronunciations on the message, and determine a written language by combining them.

신규 메시지의 언어를 번역하여 번역된 음성메시지를 생성단계(S432)는 번역부(208)가 메시지의 판단된 언어와 음성 전달장치(10)의 설정언어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성 전달장치(10)의 설정언어와 동일한 언어로 음성메시지를 번역할 수 있다.Translating the language of the new message to generate the translated voice message (S432), if the translation unit 208 does not match the determined language of the message and the set language information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10,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 The voice message can be translated into the same language as the setting language of 10).

이 후, 음성출력모듈(109)에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08)에서 번역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Thereafter, in step S08 of outputting the voice message from the voice output module 109, the translated voice message may be output.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음성 전달장치를 구비하여, 메신저 앱에 전달된 메시지를 음성 전달장치를 통해 간편히 청취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메신저 앱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음성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buttons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is provided with a voice transmission devic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 user can operate with one hand, so that a message delivered to a messenger app can be easily heard through a voice delivery device or a user's voice It can be recorded and delivered to a messenger app, and a voice call may be possible.

또한, 이동통신 단말과 별도로 구비되는 음성 전달장치와 메신저 앱을 근거리통신망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의 데이터 통신모듈을 활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음성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necting a voice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ssenger app to a local area network, a dat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or make voice calls.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the structure, device, etc. described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may be used.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Claims (15)

이동통신 단말과 음성 전달장치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의 연결시점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메신저 앱에 수신된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가 신규메시지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신규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전달장치에 상기 수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전달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수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전달장치의 제어명령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고 선택된 수신정보가 상기 음성통화 요청메시지의 수신정보인 경우, 상기 음성 전달장치가 상기 메신저 앱을 통해 제1음성신호 및 제2음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여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수신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고 선택된 수신정보가 상기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인 경우, 상기 음성 전달장치가 상기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단계;
입력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전달장치의 음성입력모듈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제2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음성의 입력 중에 상기 입력명령의 재입력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명령이 재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의 입력을 중지하고 상기 제2음성신호를 압축하여 인코딩한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여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정보는 상기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송신한 위치의 메시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음성메시지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Determining whether a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a voice message received in the messenger app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new message at the time of connection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Generating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new message;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a display module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Determining a control command input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s input and the selected received information is received information of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 first voice signal and a second voice signal in real time through the messenger app. Conducting a voice call;
When th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s input and the selected received information is received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receiving the first voice signal of the voice message and outputting the sound as sound;
When an input command is input, receiving a user's voice from a voice input module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and generating a second voice signal;
Determining a re-input of the input command during the input of the voice; And
When the input command is re-entered, stopping input of the voice, converting the second voice signal into a data file encoded and converted into a voice message;
Includ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s a control method of a voice message delivery system including the messa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voice message is transm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정보는,
상기 음성통화의 요청메시지 또는 상기 음성메시지가 수신된 메신저 앱 상의 채팅방의 정보, 상기 채팅방의 참여자 정보, 상기 채팅방에 수신된 음성메시지의 개수정보, 상기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상기 음성메시지의 수신시간 정보, 상기 음성메시지의 재생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음성메시지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ed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of the voice call or information of a chat room on the messenger app where the voice message was received, participant information of the chat room, number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received in the chat room, and reception time information of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the voice message , Control method of a voice message delivery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production time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이후에,
송신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송신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신저 앱에서 상기 변환된 음성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수신정보에 대응되는 채팅방으로 중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converting to the voice message,
Inputting a transmission command;
If a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 relaying the converted voice message from the messenger app to a chat roo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ception information;
Control method of a voice delivery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 이후에,
변경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신저 앱에서 수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put of the control command,
If a change command is input, changing received information in the messenger app;
Control method of a voice transmis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신저 앱에 신규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 앱에 신규 음성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신규 음성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신저 앱에서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음성 전달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If the control command is not input, waiting for reception of a new message to the messenger app;
Further comprising,
After the step of waiting for the reception of a new voice message to the messenger app,
When the new voice message is received, the control method of the voice delivery system repeating the step of generating received information in the messenger app.
이동통신 단말과 근거리 통신하여서, 음성통화 또는 음성메시지의 제1음성신호 및 상기 음성통화의 요청메시지 또는 상기 음성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수신하고 제2음성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과, 상기 수신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1음성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 및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제2음성신호로 생성하는 음성입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별도로 구비되는 음성 전달장치;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되고, 메신저 서버의 채팅방에서 상기 음성통화의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음성 전달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1음성신호 및 상기 제2음성신호를 상기 음성 전달장치에 송수신하여 상기 음성통화를 진행하거나 상기 음성메시지를 중계하는 메신저 앱;
을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 앱은
상기 메신저 서버에 상기 음성통화,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중계하는 서버중계부;
상기 수신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음성 전달장치와 상기 메신저 앱이 연결된 시점에서 신규메시지를 판별하여 상기 신규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생성하는 수신정보 생성부;
상기 음성 전달장치에 수신정보 또는 제1음성신호를 송신하거나 제2음성신호를 수신받는 장치연결부;
상기 제2음성신호를 압축하여 인코딩한 데이터파일로 생성하여 음성메시지 형태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부; 및
기등록된 회원정보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위치정보 확인창을 생성하는 위치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는 상기 음성통화 요청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송신한 위치의 메시지 위치정보를 더 생성하고,
상기 수신정보 생성부는 상기 메시지 위치정보를 상기 수신정보에 포함시키는 음성 전달시스템.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a first voice signal of a voice call or a voice message and request information of the voice call or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voice message and transmitting a second voice signal,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a display module for visually displaying, a voic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first voice signal as sound, and a voice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and generating the second voice signal,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And
It i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request message or the voice message of the voice call is received in the chat room of the messenger server, the received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and the first voice signal and the second voice signal are generated. A messenger app that transmits and receives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to proceed with the voice call or relay the voice message;
Including,
The messenger app
A server relay unit relaying the voice call,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the voice message to the messenger server;
A receiv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the receiving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new message at the time when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and the messenger app are connected to generate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new message;
A device connection unit that transmits reception information or a first voice signal to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or receives a second voice signal;
A message conversion unit compressing the second audio signal and generating it into an encoded data file to convert it into a voice message format; And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generating a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window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pre-registered member information;
And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urther generates messa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voice call request message or voice message is transmitted,
The rece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includes the messag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reception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전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을 포함하는 음성 전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nd
At least one button provided in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Voice delivery system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수신정보를 변경하는 변경명령, 상기 수신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음성통화를 진행하거나 상기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선택명령, 상기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제2음성신호로 생성하도록 상기 음성입력모듈을 작동시키는 입력명령 또는 상기 제2음성신호로 생성된 음성메시지를 상기 채팅방으로 중계하도록 송신하는 송신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음성 전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command,
A change command for changing the receiv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proceed with the voice call or outputting the voice message, and receiving the voice to generate the voice as the second voice signal Voice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an input command to operate the input module or a transmission command to transmit a voice message generated by the second voice signal to the chat room.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앱은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이 더 가능하고,
상기 메시지 변환부는 문자메시지의 수신 시,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하는 음성 전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messenger app is more capable of sending and receiving text messages,
The message conversion unit, when receiving a text message, a voice transmission system that converts the received text message to a voice mess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전달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언어를 설정하는 언어설정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 앱은,
상기 음성 전달장치의 설정언어와 동일한 언어로 상기 음성메시지를 번역하는 번역부;
를 더 포함하는 음성 전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A language setting module for setting a language visu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Further comprising,
The messenger app,
A translation unit that translates the voice message in the same language as the set language of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Voice delivery system further comprising a.
KR1020180042619A 2018-04-12 2018-04-12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livering voice using mobile deivce KR1021152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19A KR102115288B1 (en) 2018-04-12 2018-04-12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livering voice using mobile deiv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19A KR102115288B1 (en) 2018-04-12 2018-04-12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livering voice using mobile deiv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17A KR20190119317A (en) 2019-10-22
KR102115288B1 true KR102115288B1 (en) 2020-06-23

Family

ID=6842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619A KR102115288B1 (en) 2018-04-12 2018-04-12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livering voice using mobile deiv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2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15B1 (en) * 2022-02-25 2023-10-19 김형국 Voice share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of smart phone and marke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369B1 (en) * 2017-02-09 2018-01-19 김성곤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Of Smartphone To A Heads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031A (en) * 2002-01-22 2003-07-28 (주)신종 A real-time message exchanging system
KR20040044595A (en) * 2002-11-21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receiving message of mobile phon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KR100784664B1 (en) * 2006-05-29 2007-12-12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messen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369B1 (en) * 2017-02-09 2018-01-19 김성곤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Of Smartphone To A Head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17A (en)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4206B1 (en) Output management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JP36515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6052018A1 (en)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home appliance, remote control device, and robot
TW201608395A (en) In-call translation
JP2008099330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portable telephone set
CN104219644A (en) Emergency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JP4897032B2 (en) Reception terminal device, transmiss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nformation reception program, information transmiss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8524894A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ndustrial communication device and industrial communication device
JP4444169B2 (en) Transmission terminal apparatus, reception terminal apparatus, server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information transmission program, information recep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115288B1 (e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livering voice using mobile deivce
JP2005326987A (en) Audio signal transmission system, audio signal transmission method, server, network terminal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002611B1 (en) Asynchronous audio messaging
JP2012006753A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for elevator
KR102129994B1 (en) Apparatus for delivering voice using mobile deivce
US20230239406A1 (en) Communication system
WO2023216119A1 (en) Audio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5554297A (en) Information remi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KR20180105595A (en) Method and system for chatting on mobile deivce using external device
US20160316054A1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JP6787078B2 (en) Communication equipment, methods and programs
KR102075750B1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using character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030091834A (en) Mobile Phone Having The Converting Function Between Voice Data And Letter Data And The Method Of Converting Between Voice Data And Letter Data
CN210041861U (en) Group instant messaging device and system
JP2010041452A (en) Content watch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and content watching system
US20210058348A1 (en) Group instant messaging device, system and instant messa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