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248B1 - Apparatus for fixing cab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xing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248B1
KR102115248B1 KR1020180047520A KR20180047520A KR102115248B1 KR 102115248 B1 KR102115248 B1 KR 102115248B1 KR 1020180047520 A KR1020180047520 A KR 1020180047520A KR 20180047520 A KR20180047520 A KR 20180047520A KR 102115248 B1 KR102115248 B1 KR 102115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ixing device
lower case
cros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23613A (en
Inventor
조홍석
김옥현
김정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47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248B1/en
Publication of KR2019012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6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구 내에서 초고압 지중 케이블을 보다 손쉽게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삽입 유닛의 상부에는 회전되도록 형성된 레버가 조립된다. 또한, 상기 레버를 가압 하강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압착시키고, 상기 삽입 유닛 및 레버는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체결부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fixing device for more easily fixing the ultra-high voltage underground cable in a power supply in a one-touch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case formed to accommodate the cable, the upper case is disposed on the lower case, the upper case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ase, the lower case seating is disposed under the lower case and a slit is formed on the upper case Includes wealth. In addition, an insertion unit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 penetrate the lower cas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and a lever formed to rotate are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unit. In addition, the lever is pressed down to compress the upper case, and the insertion unit and lever are formed to fix the upper case, the lower case, and the lower case fastening portion.

Description

케이블 고정 장치 {Apparatus for fixing cable}Cable fixing device {Apparatus for fix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구 내에서 초고압 지중 케이블을 보다 손쉽게 체결하여 지중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fixing device capable of fixing an underground cable by more easily fastening an ultra-high voltage underground cable in a power sphere.

전력구 내에서 초고압 지중 케이블(이하, 케이블)을 포설할 때, 하나 이상의 케이블이 함께 포설된다. 이에, 안전상의 문제로 케이블들이 서로 엉키지 않게 케이블을 고정하여 왔다.When laying an ultra-high voltage underground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ble) in an electric power sphere, one or more cables are laid together. For this reason, cables have been fixed so that cables are not entangled with each other for safety reasons.

기존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방법에는 케이블 고정용 상 하부 받침대 사이에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배치한 후 볼트, 너트 및 와샤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고정하였다. 초고압 케이블을 배치 및 고정하는 작업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작업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다양한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 너트 및 와샤를 설치하는 작업이 수행되어 왔다.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피로도가 축적되고, 작업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fixing the cable, the cable was plac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edestals for fixing the cable, and then the cable was fixed using bolts, nuts, and washers. Considering the safety of workers in the work of arranging and fixing the ultra-high voltage cables, work has been performed to install bolts, nuts, and washers using various tools while wearing work gloves. Therefore, the worker has a problem in that the fatigue is accumulated as the work of fixing the cable progresses, and the work efficiency is deteriorated due to the long working tim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고정 장치의 설치에 볼트, 너트 및 와샤와 작업용 공구없이 손쉬운 방법으로 견고하게 케이블을 체결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에 대하여 제시한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able fixing device capable of fastening a cable in a simple manner without a bolt, nut, and washer and a work tool for installation of the cable fixing devic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지중 케이블 고정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able fixing device capable of quickly performing an underground cable fixing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작업자의 작업 상의 실수로 지중 케이블 고정 장치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able fix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loosening of the fastening of the underground cable fixing device by an operator's work.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삽입 유닛의 상부에는 회전되도록 형성된 레버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를 가압 하강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압착시키고, 상기 삽입 유닛 및 레버는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체결부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The cabl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case formed to accommodate a cable, disposed on the lower case, an upper case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ase,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nd a slit on the upper 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case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addition, the lower cas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unit is formed extending in one direction so as to penetrate the seating portion and the lever formed to be rotated is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unit.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and lowering the lever to compress the upper case, and the insertion unit and the lever are formed to fix the upper case, the lower case and the lower case fastening pa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접촉면 및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low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contact surface formed to accommodate a cable at the top and at least one first opening penetrat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하부 접촉면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는 제1 곡선부 및 제2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contact surface,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is formed in a closed figure, and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is a first straight portion and a second facing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traight portion, and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are connected by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상기 제1 곡선부와 제2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losed fig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has a different aspect ratio, and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is vertical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horter than the distan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and the upper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lower sec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하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 접촉면,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에 배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개구 및 측부에 상기 제2 개구가 배치된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가압 하강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압착시키되, 상기 레버가 하강되어 상기 오목부로 삽입되며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case, the upper contact surface formed to accommodate the cable at the bottom,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n the top, a flat portion formed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disposed on the flat portion, It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opening penetrat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a recess rec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opening is disposed on the side, and the lever is pressed down to compress the upper case, and the lever is lowered to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recess and concealed.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가 결합되되, 상기 상부 접촉면은 상기 하부 접촉면에 연장되어 다각형, 원형 및 다각형 또는 원형의 일부가 복합된 형태의 닫힌 도형의 제3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3 개구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re combined, and the upper contact surface extends to the lower contact surface to form a third opening of a closed figure of a polygon, a circular shape, or a portion of a circular shape or a complex shape of the complex, The third ope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is accommodated to pass through.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의 내주면에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opening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는 제3 곡선부 및 제4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opening is dispos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first opening,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opening,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into a closed figure ,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is provided with a third straight portion and a fourth straight por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and the fourth straight portion are connected by the third curved portion and the fourth curved portion.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3 직선부와 제4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3 곡선부와 제4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losed fig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has a different aspect ratio, an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straight portion and the fourth straight portion i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curved portion and the fourth curve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a shorter on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and the upper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lower sec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의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와 오버랩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제1 개구의 최하단을 이루는 상기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의 수직 거리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lit of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overlap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nd the width of the slit is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forming the bottom of the first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ertical distance of the negativ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레버가 조립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unit, the cylinder-shaped body portion, the fix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includes an assembly portion formed so that the lever can be assembled and detached It is characterized b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상기 슬릿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 유닛의 상기 조립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상기 평면부에 안착되고, 상기 조립부가 상기 평면부에 안착되어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평면부까지의 수직거리 높이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first opening, the second opening and the slit, the assembly portion of the insertion unit is seat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upper case, the assembly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being seated and projected on the flat portion is low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height from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upper case to the flat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5 직선부 및 제6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5 직선부와 제6 직선부는 제5 곡선부 및 제6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cross section of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fth straight portion and a sixth straight por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fifth straight portion and the sixth straight portion are connected by the fifth curved portion and the sixth curve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의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5 직선부와 제6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고, 상기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큰것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spect ratio of the closed fig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fixing portion is different, an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straight portion and the sixth straight portion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curved portion and the sixth curve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curved portion and the sixth curved portion i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sli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의 몸체부 및 고정부는 상기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슬릿에 삽입되고 소정각도 회전되어, 상기 고정부의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와 상기 슬릿의 폭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of the insertion unit are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the second opening and the slit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curved portion and the sixth curved portion of the fixed portion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as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is fixed by the difference in width of the slit.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레버를 하강시켜 상부 케이스에 압착되어 삽입 유닛에 의하여 고정되는 원터치 방식으로 케이블을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지중 케이블 고정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여, 지중 케이블의 고정에 소비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abl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a cable fixing operation in a one-touch manner, which is fixed by an insertion unit by being pressed against an upper case by lowering a lev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spent fixing the underground cable by quickly performing the underground cable fixing operation.

또한 하강된 레버는 레버 삽입부로 삽입되어 은폐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상의 실수로 레버의 가압이 해제되어 지중 케이블 고정 장치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ed lever is inserted into the lever insertion portion and is conceale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lever is released by mistake in the work of the operator, thereby preventing the fastening of the underground cable fixing device from being rel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하면에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ach component of the cable fixing device shown in FIG. 1.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cable fixing device shown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cable fixing device shown in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ble fixing device shown in FIG. 4 when viewed from the bottom.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cable fixing device shown in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ar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obscur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표현을 포함한다.A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one or more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작동 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나아가,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작동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하면에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cable fixing device 100 shown in FIG. 1. In addi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ach component of the cable fixing device 100 shown in FIG. 1. Furthermor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cable fixing device 100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at a lower surface of the cable fixing device 100 shown in FIG. 4.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5, each component of the cabl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pling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 장치(100)는 케이블(1)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110), 하부 케이스(110)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케이스(120), 하부 케이스(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슬릿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를 포함한다. 나아가, 하부 케이스(110), 상부 케이스(120)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를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유닛(140) 및 레버(150)로 형성된다. 레버(150)는 삽입 유닛(140)의 상부에 조립가능하고,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레버(150)는 가압 하강되어 상부 케이스(120)를 압착시킨다. 이에, 삽입 유닛(140) 및 레버(150)에 의하여 상부 케이스(120), 하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이 고정될 수 있다.Cabl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case 110 formed to accommodate the cable (1), disposed on the lower case 110, upper case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ase 110 ( 120), a lower case seating portion 130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10 and a sli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Further, it is formed of an insertion unit 140 and a lever 150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 penetrate the lower case 110, the upper case 120, and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130. The lever 150 is assembled to the top of the insertion unit 140 and is formed to rotate. The lever 150 is lowered under pressure to compress the upper case 120. Accordingly, the upper case 120, the low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seating part 130 may be fixed by the insertion unit 140 and the lever 150.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2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하부 접촉면(111) 및 제1 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케이블(1)을 수용할 수 있는 하부 접촉면(11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case 1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ase 120, and may include a lower contact surface 111 and a first opening 112. A lower contact surface 111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able 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10.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20)와 결합하기 위하여 양쪽 끝단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개구(112)를 가진다. 제1 개구(112)는 하부 접촉면(111)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The lower case 110 has one or more first openings 112 penetrating from top to bottom at both ends to couple with the top case 120. The first opening 112 is disposed in an area not overlapping the lower contact surface 111.

제1 개구(112)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 직선부(112a) 및 제2 직선부(112b)를 구비한다. 제1 직선부(112a)와 제2 직선부(112b)는 제1 곡선부(112c) 및 제2 곡선부(112d)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112 is formed in a closed figure, and includes first straight portions 112a and second straight portions 112b facing each other.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2a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b may be connected by the first curved portion 112c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12d.

나아가, 제1 개구(112)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직선부(112a)와 제2 직선부(112b)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1 곡선부(112c)와 제2 곡선부(112d)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losed fig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112 may have different aspect ratios. In detail,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2a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b is short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 112c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12d.

제1 개구(112)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112)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는 제1 개구(112)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112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In addition,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112 may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and in this case, the upper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112 may have a larger section than the lower section.

또한, 하부 케이스(110)의 양측면에는 후술될 레버(150)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부(113)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cess portions 113 formed to seat the lever 1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case 110.

한편, 상부 케이스(120)는 상부 접촉면(121), 돌출부(122), 평면부(123), 제2 제2 제2 개구(124) 및 오목부(125)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upper case 120 includes an upper contact surface 121, a protruding portion 122, a planar portion 123, a second second second opening 124 and a concave portion 125.

상부 케이스(120)의 하부에는 케이블(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 접촉면(12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20)가 결합되었을 경우, 상부 접촉면(121)은 하부 접촉면(111)에 연장되어 다각형, 원형 및 다각형 또는 원형의 일부가 복합된 형태의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는 제3 개구(160)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개구(160)에는 케이블(1)이 관통되게 수용될 수 있다.An upper contact surface 121 formed to accommodate the cable 1 may be formed under the upper case 120. When the upper case 120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110, the upper contact surface 121 extends to the lower contact surface 111 to form a closed shape of a polygon, a circular shape, or a portion of a circular or polygonal complex. Three openings 160 may be formed. The cable 1 may be accommodated in the third opening 160.

제3 개구(160)의 내주면에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20)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제3 개구(160)에 케이블(1)이 수용될 때, 케이블(1)과 상기 탄성부재가 상호 접촉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opening 16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not shown). Accordingly, when the cable 1 is accommodated in the third opening 160 formed by the upper case 120 being coupled to the lower case 110, the cable 1 and the elastic memb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have.

돌출부(122)는 상부 케이스(12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23)는 돌출부(122)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23)에는 상부 케이스(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기둥형 제2 개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25)는 상부 케이스(120)의 측면에서 제2 개구(124)가 배치된 방향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top of the upper case 120. The flat portion 123 may be formed to extend below the protruding portion 122. One or more pillar-shaped second openings 124 penetrat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ase 120 to the lower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lat portion 123. In addition, the recess 125 may be rec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opening 124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pper case 120.

제2 개구(124)는 전술된 하부 케이스(120)의 제1 개구(112)와 오버랩되게 형성된다. 제2 개구(124)는 하부 케이스(120)의 제1 개구(112)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0)의 제2 개구(124)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3 직선부(124a) 및 제4 직선부(124b)를 구비한다. 제3 직선부(124a)와 제4 직선부(124b)는 제3 곡선부(124c) 및 제4 곡선부(124d)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124 is formed to overlap the first opening 112 of the lower case 120 described above. The second opening 12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opening 112 of the lower case 120.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24 of the upper case 120 is formed in a closed shape, and includes third straight portions 124a and fourth straight portions 124b facing each other. The third straight portion 124a and the fourth straight portion 124b may be connected by the third curved portion 124c and the fourth curved portion 124d.

나아가, 제2 개구(124)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3 직선부(124a)와 제4 직선부(124b)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3 곡선부(124c)와 제4 곡선부(124d)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closed fig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24 may have different aspect ratios. In detail,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straight portion 124a and the fourth straight portion 124b is short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curved portion 124c and the fourth curved portion 124d.

제2 개구(124)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124)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는 제2 개구(124)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24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In addition,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24 may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and in this case, the upper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24 may have a larger section than the lower section.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 상에는 전술된 하부 케이스(110), 케이블(1), 상부 케이스(120)가 차례로 적층되고,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2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는 도시와 같이 플레이트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lower case seating part 130, the above-described lower case 110, cable 1, and upper case 120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lower case 110 may be coup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upper case 120. .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s illustrated. Furthermore,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or circular pipe shape.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의 상부에는 슬릿(131)이 형성된다. 슬릿(131)은 전술된 하부 케이스(110)의 제1 개구(112) 및 제2 개구(124)와 오버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슬릿(131)의 폭은 슬릿(131)에 오버랩되는 제1 개구(112)의 최하단을 이루는 상기 제1 직선부(112a) 및 제2 직선부(112b)의 수직 거리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A slit 131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130. The slit 131 may be formed to overlap the first opening 112 and the second opening 124 of the lower case 110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slit 131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ertical distance of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2a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b forming the bottom of the first opening 112 overlapping the slit 131. Can be.

삽입 유닛(140)은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141)와, 하단에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142) 및 상단의 레버(150)와 서로 조립되는 조립부(143)를 포함한다. 삽입 유닛(140)과 레버(150)는 강성을 가지는 소재라면 그 소재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폴리케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소재에서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며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The insertion unit 14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portion 141, a fixing portion 142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bottom, and an assembly portion 143 assembled with the lever 150 at the top. The insertion unit 140 and the lever 150 are not limited in their material as long as they are rigid materials, but may preferably be formed of polyketone materials among engineering plastic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consumed by the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nd have sufficient rigidity.

삽입 유닛(140)의 몸체부(141)와 고정부(142)는 상부 케이스(120)의 제1 개구(112), 하부 케이스(110)의 제2 개구(124)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의 슬릿(131)을 관통하며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body portion 141 and the fixing portion 142 of the insertion unit 140 include a first opening 112 of the upper case 120, a second opening 124 of the lower case 110 and a lower case seating portion 130. ) Penetrates the slit 131 and is form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나아가, 조립부(143)는 레버(150)가 조립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립부(143)는 도시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레버(150)가 조립될 수 있다. 조립부(143)는 상부 케이스(120)의 평면부(122)에 안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assembly portion 143 may be formed so that the lever 150 can be assembled and detached. The assembly unit 143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the lever 150 may be assembled. The assembly portion 143 may be seated on the flat portion 122 of the upper case 120.

상세하게, 조립부(143)가 평면부(122)에 안착되어 돌출되는 높이는 돌출부(121)에서 평면부(122)까지의 수직거리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립부(143)의 높이가 돌출부(122)에서 평면부(123)까지의 높이 차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조립부(143) 및 레버(150)에 의한 돌출이 최소화 될 수 있다.In detail, the height at which the assembly portion 143 is seated on the flat portion 122 and protrudes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protrusion 121 to the flat portion 122. Since the height of the assembly portion 143 is formed smaller than the height difference from the protrusion portion 122 to the flat portion 123, protrusion by the assembly portion 143 and the lever 150 can be minimized.

한편, 고정부(142)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5 직선부(142a) 및 제6 직선부(142b)를 구비하고, 제5 직선부(142a)와 제6 직선부(142b)는 제5 곡선부(142c) 및 제6 곡선부(142d)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 section of the fixing portion 142 is provided with a fifth straight portion 142a and a sixth straight portion 142b facing each other, and the fifth straight portion 142a and the sixth straight portion 142b are fifth. It may be connected by the curved portion 142c and the sixth curved portion 142d.

고정부(142)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고, 제5 직선부(142a)와 제6 직선부(142b)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5 곡선부(142c) 및 제6 곡선부(142d)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덧붙여, 제5 곡선부(142c) 및 제6 곡선부(142d) 사이의 수직거리는 슬릿(131)의 폭보다 클 수 있다.The closed fig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fixing part 142 has a different aspect ratio, an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straight part 142a and the sixth straight part 142b is the fifth curved part 142c and the sixth curved part ( 142d) may be short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In additio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curved portion 142c and the sixth curved portion 142d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lit 131.

이에, 삽입 유닛(140)의 몸체부(141) 및 고정부(142)는 제1 개구(112), 제2 개구(124) 및 슬릿(131)에 삽입되고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소정각도는 바람직하게 90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body portion 141 and the fixing portion 142 of the insertion unit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112, the second opening 124 and the slit 131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preferably 90 degrees.

고정부(142)의 제5 곡선부(142c)와 제6 곡선부(142d) 사이의 수직거리와 슬릿(131)의 폭의 차이에 의하여 삽입후 소정각도 회전되었을 때, 하부 케이스(110), 상부 케이스(120)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를 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case 11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fter insertion due to a difference i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curved portion 142c and the sixth curved portion 142d of the fixing portion 142 and the width of the slit 131. The upper case 120 and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130 may be fixed.

이하에서는, 삽입 유닛(140)과 레버(150)에 의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체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astening of the cable fixing device 100 by the insertion unit 140 and the lever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 상에 하부 케이스(110)를 적층하고 하부 접촉면(111)에 케이블(1)을 배치한다. 다음으로 상부 케이스(120)를 하부 케이스(110)에 적층하여 케이블(1)을 수용하는 제3 개구(160)를 형성한다. 이어서, 삽입 유닛(140)의 조립부(143)에 레버(150)를 조립하고, 상부 케이스(120)의 제2 개구(124), 하부 케이스(110)의 제1 개구(112) 및 슬릿(131)을 관통되도록 삽입 유닛(140)의 몸체부(141)과 고정부(142)를 삽입한다. 고정부(142)가 슬릿(131)으로 삽입되면, 레버(150)는 평면부(123)에 접촉될 수 있다. 평면부(123)에 접촉된 레버(150)를 소정각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삽입 유닛(140)이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다. 즉, 고정부(142)의 제5 곡선부(142c)와 제6 곡선부(142d) 사이의 수직거리와 슬릿(131)의 폭보다 넓게되어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레버(150)를 아래 방향으로 눌러 가압한다. 즉, 레버(150)는 가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강하므로 상부 케이스(120)에 압착되어 삽입 유닛(140)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덧붙여, 하강된 레버(150)는 오목부(125) 로 삽입되어 은폐될 수 있다.First, the lower case 110 is stacked on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130 and the cable 1 is disposed on the lower contact surface 111. Next, the upper case 120 is stacked on the lower case 110 to form a third opening 160 accommodating the cable 1. Subsequently, the lever 150 is assembled to the assembly portion 143 of the insertion unit 140, the second opening 124 of the upper case 120, the first opening 112 and the slit of the lower case 110 ( The body portion 141 and the fixing portion 142 of the insertion unit 140 are inserted to penetrate the 131). When the fixing part 142 is inserted into the slit 131, the lever 150 may contact the flat part 123. By rotating the lever 150 contacting the flat portion 123 in a predetermined angle direction, the insertion unit 140 can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curved portion 142c and the sixth curved portion 142d of the fixing portion 142 and the width of the slit 131 may be wider to be physically fixed. Furthermore, the lever 150 is pressed downward to press it. That is, since the lever 150 is rotated and lower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pressed, it can be compressed by the upper case 120 and fixed by the insertion unit 140. In addition, the lowered lever 15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ss 125 to be conceale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작동 관계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의 (a)를 참조하면,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레버(150)가 하강하며 압착되어 케이블(1)을 체결한 것을 도시하는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의 (b)를 참조하면,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레버(150)가 압착되지 않은 열림상태를 도시한다.3 to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cable fixing device 100 shown in Figure 1 in various directions. 3 to 5(a), the lever 150 of the cable fixing device 100 is lowered and compressed to show that the cable 1 is fastened. 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to 5(b), the lever 150 of the cable fixing device 100 is shown 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lever 150 is not compressed.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 장치(100)는 레버(150)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케이블(1)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케이블의 고정에 소비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able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fix the cable 1 in a one-touch manner using the lever 150.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time and cost of fixing the cable.

또한, 레버(150)를 아래 방향으로 눌러 가압하여 오목부(125) 로 레버를 삽입하였을 때, 조립부(143)의 높이가 돌출부(122) 에서 평면부(123)까지의 높이 차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조립부(143) 및 레버(150)에 의한 돌출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체결 시, 레버(150)는 오목부(125)로 은폐되므로, 케이블을 고정한 후 작업자가 추가적인 작업을 진행을 할 때, 작업 상의 실수로 레버(150)의 가압이 해제되어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ever 150 is pressed downward to insert the lever into the concave portion 125, the height of the assembly portion 143 is smaller than the height difference from the protrusion 122 to the flat portion 123. Therefore, the protrusion by the assembly part 143 and the lever 150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when the cable fixing device 100 is fastened, the lever 150 is concealed by the concave portion 125, and when the worker proceeds with additional work after fixing the cable, the lever 150 is accidentally pressed on the work. This is released to prevent the fastening of the cable fixing device 100 from being released.

또한, 이하 설명되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In addition, in other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the previous example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작동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fix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cable fixing device 200 shown in FIG. 6.

이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each component of the cable fix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 장치(200)는 케이블(1)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210), 하부 케이스(210)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2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케이스(220), 하부 케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슬릿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안착부(230)를 포함한다. 나아가, 하부 케이스(210), 상부 케이스(220)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230)를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유닛(240) 및 레버(250)로 형성된다. 레버(250)는 삽입 유닛(240)의 상부에 조립가능하고,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레버(250)는 가압 하강되어 상부 케이스(220)를 압착시킨다. 이에, 삽입 유닛(240) 및 레버(250)에 의하여 상부 케이스(220), 하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230)이 고정될 수 있다.Cable fix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lower case 210, the lower case 210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cable (1), the upper case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ase 210 ( 220), a lower case seating portion 230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210 and a sli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Further, it is formed of an insertion unit 240 and a lever 250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 penetrate the lower case 210, the upper case 220, and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230. The lever 250 is assembled to the top of the insertion unit 240 and is formed to rotate. The lever 250 is lowered under pressure to compress the upper case 220. Accordingly, the upper case 220, the lower case 210, and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230 may be fixed by the insertion unit 240 and the lever 250.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오목부(225)는 전술된 도 1 내지 도 5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오목부(1225)는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정면에서 제2 개구(224)가 배치된 방향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The concave portion 225 of the cable fixing device 200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S. 1 to 5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recess 1225 may be rec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opening 224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able fixing device 200.

이에,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체결 시, 레버(250)는 전면에 배치된 오목부(225)로 은폐되므로, 측부에 별도의 장치가 배치되거나, 케이블 고정 장치(200)가 서로 좁은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도 레버(250)를 가압 시에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able fixing device 200 is fastened, the lever 250 is concealed by the concave portion 225 disposed on the front side, so that a separate device is disposed on the side, or the cable fixing device 20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ven when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can be minimized when the lever 250 is pressed.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invention.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restrictively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9)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안착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접촉면; 및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하부 접촉면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는 제1 곡선부 및 제2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삽입 유닛은,
상부에 회전되도록 형성된 레버가 조립되며, 상기 레버를 가압 하강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압착시키고,
상기 삽입 유닛 및 레버는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하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 접촉면;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에 배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가 배치된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가압 하강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압착시키되, 상기 레버가 하강되어 상기 오목부로 삽입되며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A lower case formed to receive the cable;
An upper case disposed on the lower case and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ase;
A lower case seating par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nd having a slit formed thereon; And
It includes an insertion unit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 penetrate the lower cas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The lower case,
A lower contact surface formed to accommodate the cable at the top; And
At least one first opening penetrating from top to bottom,
The first opening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contact surface,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is formed in a closed figure,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has a first straight portion and a second straight portion facing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are connected by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The insertion unit,
A lever formed to be rotated on the upper side is assembled, and the lever is pressed down to compress the upper case,
The insertion unit and the lever are formed to fix the upper case, the lower case and the lower case seat,
The upper case,
An upper contact surface formed to accommodate the cable at the bottom;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part;
A flat portion formed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One or more second openings disposed in the flat portion and penetrating from top to bottom; And
And a recess rec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opening is disposed.
The cabl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r is pressed down and pressed to the upper case, and the lever is lowered and inserted into the recess and concea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상기 제1 곡선부와 제2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losed fig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has a different aspect ratio,
A cabl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is short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abl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first opening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Cabl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pening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lower cross-sectional are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가 결합되되,
상기 상부 접촉면은 상기 하부 접촉면에 연장되어 다각형, 원형 및 다각형 또는 원형의 일부가 복합된 형태의 닫힌 도형의 제3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3 개구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re combined,
The upper contact surface extends to the lower contact surface to form a third opening of a closed figure in the form of a polygon, a circle, and a part of a polygon or a portion of a circle,
Cabl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accommodated so that the cable through the third open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의 내주면에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Cable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는 제3 곡선부 및 제4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opening is dispos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first opening,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opening,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as a closed figure,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has a third straight portion and a fourth straight por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third and fourth straight portions are connected by a third curved portion and a fourth curved portion. Fixing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3 직선부와 제4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3 곡선부와 제4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closed fig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has a different aspect ratio,
A cabl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straight portion and the fourth straight portion is short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curved portion and the fourth curved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Cabl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는 케이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Cabl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opening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lower cross-sectional area.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의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와 오버랩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제1 개구의 최하단을 이루는 상기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의 수직 거리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3,
The slit of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overlap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The width of the sl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ertical distance of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forming the bottom of the first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fixing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레버가 조립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insertion unit,
Cylindrical body parts;
A fixing part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And
Cable fixing device including an assemb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lever can be assembled and detach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상기 슬릿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 유닛의 상기 조립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상기 평면부에 안착되고, 상기 조립부가 상기 평면부에 안착되어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평면부까지의 수직거리 높이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first opening, the second opening and the slit,
The assembling portion of the insertion unit is seated on the flat portion of the upper case, and the height at which the assembling portion is seated on the flat portion and protrudes is lower than a vertical distance height from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upper case to the flat portion. Cable fixing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5 직선부 및 제6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5 직선부와 제6 직선부는 제5 곡선부 및 제6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A cross section of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fth straight part and a sixth straight part facing each other, and the fifth straight part and the sixth straight part are connected by a fifth curved part and a sixth curved part.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의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5 직선부와 제6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고,
상기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큰것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aspect ratio of the closed fig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fixing part is differen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straight portion and the sixth straight portion is short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curved portion and the sixth curved portion,
Cabl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curved portion and the sixth curved por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l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의 몸체부 및 고정부는 상기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슬릿에 삽입되고 소정각도 회전되어, 상기 고정부의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와 상기 슬릿의 폭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of the insertion unit are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the second opening, and the slit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determine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fth and sixth curved portions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slit. Cabl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lower cas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seating portion by a difference.
KR1020180047520A 2018-04-24 2018-04-24 Apparatus for fixing cable KR102115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520A KR102115248B1 (en) 2018-04-24 2018-04-24 Apparatus for fixing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520A KR102115248B1 (en) 2018-04-24 2018-04-24 Apparatus for fixing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613A KR20190123613A (en) 2019-11-01
KR102115248B1 true KR102115248B1 (en) 2020-06-05

Family

ID=6853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520A KR102115248B1 (en) 2018-04-24 2018-04-24 Apparatus for fixing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2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319B1 (en) * 2020-02-04 2020-12-16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Installation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communication cable
KR102137234B1 (en) * 2020-04-24 2020-07-23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Communication cable multi-fixing device
CN115085113B (en) * 2022-08-23 2022-11-08 山东博诚电气有限公司 External prot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high-voltage-resistant cab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5396A (en) * 2006-09-22 2008-04-03 Mirai Ind Co Ltd Insert
KR101303094B1 (en) * 2012-06-01 2013-09-06 삼성파워텍주식회사 Cable clea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74B1 (en) * 2007-12-03 2010-10-26 (주)신영아트테크 Partition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5396A (en) * 2006-09-22 2008-04-03 Mirai Ind Co Ltd Insert
KR101303094B1 (en) * 2012-06-01 2013-09-06 삼성파워텍주식회사 Cable clea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613A (en)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248B1 (en) Apparatus for fixing cable
US8434248B2 (en) Excavation retention assembly
CN101821067B (en) Attaching arrangement for hand-held motor-driven tools and the hand-held motor-driven tools
US7788830B2 (en) Excavation retention assembly
CA2690857C (en) Wear lining element and an arrangement for the attachment of such
TWM449183U (en) Sheet-to-sheet quick positioning device
KR20080000616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a wear part to the support thereof on material-handling devices on heavy-construction machinery
US20140223785A1 (en) Mechanical system comprising a device for connection between a wearing part and the support thereof, heavy-construction machine bucke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id system
US20140245645A1 (en) Mechanical system comprising a device for connection between a wearing part and the support thereof, heavy-construction machine bucke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id system
UA126230C2 (en) Wear member for earth working equipment
US9153905B2 (en) Locking device for a plug-and-socket connector housing
CN102155587A (en) Cable clamp
US11305413B2 (en) Hook holder for a machine tool
CN101466904A (en) Device for fixing objects to ceiling
KR20170018804A (en) A locking device for a wear member of an earth moving machine
KR20190094220A (en) Fastener assembly
US8807901B1 (en) Universal hammerless pin assembly
UA122660C2 (en) Connector to facilitate lifting of wear parts
JP5207438B2 (en) Automotive mat fixing device
US20210239151A1 (en) Lock washer and fastening structure
CN103624752A (en) System with at least one handle means and at least one fastening device
KR20080107830A (en) Valve locking apparatus
KR101841194B1 (en) Handle for reducing vibration of hammer drill
JP6760438B1 (en) Hydraulic piping clamp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ry
KR102617066B1 (en) Connector and its separation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