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161B1 - 통신장치, 통신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통신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161B1
KR102115161B1 KR1020160110412A KR20160110412A KR102115161B1 KR 102115161 B1 KR102115161 B1 KR 102115161B1 KR 1020160110412 A KR1020160110412 A KR 1020160110412A KR 20160110412 A KR20160110412 A KR 20160110412A KR 102115161 B1 KR102115161 B1 KR 102115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na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nan cl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845A (ko
Inventor
카즈타카 우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장치는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참조하고, 통신장치가 통신 상대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으면, 통신장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탐색하지 않거나, 및/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로 전환하지 않는다. 통신 상대와의 데이터 통신이 발생하고 있지 않으면, 통신장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탐색하고, 검출된 무선 네트워크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장치, 통신방법 및 기록매체{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통신장치가 참가할 무선 네트워크를 바꾸어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US2015/036540에는, 통신장치에게, 이용 가능한 서비스(기능)와 다양한 정보를 저소비 전력으로 검출 가능하게 하는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NAN)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NAN에서는, 무선 네트워크(NAN 클러스터)가 형성되고,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서비스와 다양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서비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상대 장치를 통신장치가 검출한 경우, 이 통신장치는 특정한 상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장치를 이용하는 유저는, 상대 장치가 제공하는 원하는 서비스의 이용이나, 원하는 정보의 취득을 행할 수 있다.
NAN는, NAN 클러스터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클러스터 그레이드(cluster grade: CG)를 정의하고 있다. NAN에서는, NAN 클러스터 내부의 통신장치가 보다 CG를 갖는 다른 NAN 클러스터를 검출한 경우, 통신장치가 더 높은 CG를 갖는 검출된 NAN 클러스터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CG가 낮은 NAN 클러스터가 소멸하고, CG가 높은 NAN 클러스터는 유지되므로, 과도한 수의 NAN 클러스터가 존재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특정한 상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동안, 통신장치가 보다 CG가 높은 NAN 클러스터를 검출하고, 검출한 NAN 클러스터로 전환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이 데이터 통신 도중에 끊어져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특정한 통신 상대와 데이터 통신을 현재 행하고 있는 경우에, 데이터 통신이 끊어져 버리는 리스크를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통신장치는,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동안 제2 무선 네트워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특정한 통신 상대와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와,
특정한 통신 상대와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고 있다고 상기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도록 무선 네트워크를 전환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특정한 통신 상대와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고 않고 있다고 상기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도록 무선 네트워크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마스터 장치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의 우선도보다도,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의 제2 마스터 장치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의 우선도가 높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국면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통신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통신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통신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통신장치가 실현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통신장치가 실현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6은 통신장치가 실현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통신장치 101, 102 및 103은,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N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네트워크(NAN 클러스터)에 참가하여, 무선통신을 행한다.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각 통신장치는 NAN 규격에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을 행한다.
무선 네트워크 111 및 112는, NAN에 준거한 무선 네트워크이다. 이하, 무선 네트워크 111을 클러스터 X로 칭하고, 무선 네트워크 112를 클러스터 Y로 칭한다. 클러스터 X 및 Y는, 주파수 채널로서 2.4GHz대에 있어서의 채널 6을 이용한다.
통신장치 101 및 102는 클러스터 X에 참가한다. 또한, 통신장치 101 및 103은 클러스터 Y에 참가한다.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에 참가하면,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에 있어서 정해진 디스커버리 윈도우(discovery window: DW) 내에서, 통신장치 101은 통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내에서 NAN에 준거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DW 내에서, 클러스터 내부의 각 장치는 어웨이크(awake) 상태로 되어 무선통신을 행한다. 한편, DW 외에서는 각각의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가 슬립(sleep) 상태가 되어, 무선통신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각 장치는 적은 전력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1개의 DW의 길이는 16 타임 유닛(time unit)(TU)이며, DW의 주기 간격은 512TU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1TU는 약 1밀리초이다. 또한, "통지 신호"라는 용어는, NAN 규격에 정의되고, 클러스터 내에 있어서 다른 통신장치와 동기를 취하기 위한 동기신호인 동기 비컨(synchronization beacon: sync beacon)을 말한다. 통신장치 101은 각 DW에 있어서 동기 비컨을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각 클러스터에 참가한 통신장치 102 및 103은 각각 NAN 규격에 준거한 NANB Master로서 동작한다. 각각의 Master는, NAN 규격에 있어서 정의되고, 다른 통신장치가 클러스터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검출 신호인 디스커버리 비컨(discovery beacon)을 100TU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클러스터 내부의 각 통신장치는, Master, Non-Master Sync 및 Non-Master Non-Sync 역할 중 한개로 동작한다.
Master로서 동작하는 장치는 DW를 식별하고 sync beacon을 송신한다. 또한, Master로서 동작하는 장치는, NAN 클러스트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이며 해당 클러스터 내부에 있지 않은 장치가 해당 NAN 클러스터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스커버리 비컨을 송신한다. 1개의 클러스터에 있어서, 적어도 1대의 장치는 Master로서 동작한다.
Non-Master Sync으로서 동작하는 단말은, sync beacon을 송신하지만, 디스커버리 비컨은 송신하지 않는다. Non-Master Non-Sync으로서 동작하는 단말은, sync beacon도 디스커버리 비컨도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각 클러스터는, NAN 규격에 정해지고 각 장치가 참가해야 할 클러스터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값인 클러스터 그레이드(CG)의 설정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스터 Y의 CG가 클러스터 X의 CG보다 높다. 즉, 클러스터 X와 Y의 양쪽을 검출한 장치는, 클러스터 Y에 우선적으로 참가한다.
도 2는 통신장치 101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통신장치 102 및 103의 하드웨어 구성은 통신장치 101과 유사한 하드웨어 구성을 갖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기억부(201)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각종 동작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이때, 기억부(201)로서, ROM, RAM 등의 메모리 이외에,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ROM(CD-ROM), 콤팩트 디스크 레코더블(CD-R), 자기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등의 기억매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기억부(201)가 복수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부(202)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MPU) 등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기억부(20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통신장치 101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202)는, 기억부(201)에 기억된 프로그램과 운영체계(OS)와의 협동에 의해 통신장치 101 전체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202)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 등의 복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통신장치 101 전체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202)는, 기능부(203)를 제어하여, 촬상, 인쇄, 투영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기능부(203)는, 통신장치 101이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다. 예를 들면, 통신장치 101이 카메라일 경우, 기능부(203)는 촬상부이며, 촬상처리를 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통신장치 101이 프린터일 경우, 기능부(203)는 인쇄부이며, 인쇄 처리를 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통신장치 101이 프로젝터일 경우, 기능부(203)는 투영부이며, 투영 처리를 행한다. 기능부(203)가 처리하는 데이터는, 기억부(20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이어도 되고, 후술하는 통신부 206을 거쳐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을 거쳐 취득한 데이터이어도 된다.
입력부(204)는, 각종 유저 조작의 접수를 행한다. 출력부(205)는, 유저에 대하여 각종 출력을 출력한다. 출력부(205)에 의한 출력은, 화면 상에의 표시, 스피커에 의한 음성출력, 진동 출력 등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한다. 터치패널 등의 1개의 모듈로 입력부(204)와 출력부(205)를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부(206)는, NAN에 준거한 무선통신의 제어와, 인터넷 프로토콜(IP) 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통신부(206)는 안테나(207)를 제어해서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무선통신을 행한다. 통신장치 101은 통신부(206)를 거쳐, 통신장치 101의 기능 정보와, 화상 데이터, 문서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도록 통신장치 102 등의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한다.
도 3에, 통신장치 101의 제어부(202)에 의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을 나타낸다. 제어부(202)는 기억부(20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을 실현한다. 도 3에 나타낸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을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 예를 들면, 소정의 컴파일러를 사용함으로써 각 기능 블록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위에 전용 회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용 회로를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 모듈로서 사용하면 된다. 또한, FPGA의 경우에서와 같이 게이트 어레이 회로를 형성하고, 하드웨어로서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무선부(301)는, 통신부(206) 등을 제어하여, 통신장치 102 및 103 등의 다른 통신장치와 IEEE 802.11 무선통신을 행한다. NAN 제어부(302)는, 검출부(311), 관리부(312) 및 동기부(313)를 제어하여, NAN 기능 전체를 제어한다. 검출부(311)는, NAN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통신장치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NAN 클러스터를 검출한다.
관리부(312)는, 검출한 NAN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한다. 네트워크 정보는, 예를 들면, 검출한 클러스터에 있어서의 DW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time synchronization function(TSF)와 CG 정보를 말한다. 이들 네트워크 정보는, 검출 신호인 디스커버리 비컨에 포함된다.
동기부(313)는, 검출한 NAN 클러스터에 참가하기 위한 참가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동기부(313)는, 관리부(312)에 의해 관리된 TSF에 근거하여, DW에 있어서 통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도 4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통신장치 101에 있어서 NAN 기능을 기동한 경우에, 기억부(20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제어부(202)가 판독하여,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처리를 실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NAN 기능을 기동하는 유저 지시에 응답하여 NAN 기능을 기동한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은 한정적인 구성은 아니고, 특정한 어플리케이션(게임,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 등)의 기동에 연동하여, NAN 기능을 기동해도 된다. 또한, 특정한 시간에 NAN 기능을 기동하거나, 통신장치 101이 특정한 장소에 있는 경우에, NAN 기능을 기동해도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흐름도의 적어도 일부를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흐름도를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할 경우, 예를 들면, 소정의 컴파일러를 사용함으로써, 각 스텝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위에 자동적으로 전용 회로를 생성하면 된다. 또한, FPGA의 경우에서와 같이 게이트 어레이 회로를 형성하여, 흐름도를 하드웨어 형태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주문형 반도체(ASIC)를 사용하여 흐름도를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우선, 스텝 S401에서, 통신장치 101은 주위에 존재하는 클러스터의 탐색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장치 101은, 통신장치 102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클러스터 X를 검출한다. 이 단계에서는, 통신장치 101은 통신장치 103으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수신하지 않으므로, 클러스터 Y는 검출하지 않는다.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X를 검출하면, 통신장치 101은 수신한 검출 신호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취득하고, 이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스텝 S402에서, 통신장치 101은 취득한 네트워크 정보에 근거하여 클러스터 X에 참가하고, 클러스터 X에 있어서 정해진 DW에 있어서 통지 신호를 송신한다(S402).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장치 101은 동기 비컨을 브로드캐스트한다(동보송신).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X에 참가하면, 스텝 S403에서, 통신장치 101은 NAN 규격에 준거한 무선통신(NAN 통신)을 행한다. NAN 통신에서는, 자 장치의 기능(대응하는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신호인 퍼블리시(publish)를 송수신한다. 이 퍼블리시 대신에 또는 이에 덧붙여, NAN 클러스터에 있는 다른 통신장치의 기능을 탐색하기 위한 탐색 신호인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를 송수신해도 된다. 이들 퍼블리시나 서브스크라이브는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송수신된다.
탐색 이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스텝 S404에서, 통신장치 101은 재차, 주위에 존재하는 클러스터의 탐색을 행한다. 이 탐색은, 디스커버리 윈도우 내부 또는 외부에서, 검출 신호인 디스커버리 비컨을 대기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가 아니라, 소정량의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 재탐색을 행해도 된다. 또한, 유저의 지시에 응답하여 재탐색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에 응답하여 재탐색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탐색의 결과, 통신장치 101은 통신장치 102와 103 각각으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클러스터 X 및 Y를 검출한다. 재탐색의 결과로써 복수의 다른 클러스터(클러스터 X와는 다른 클러스터)가 검출된 경우, "클러스터 Y"는, 복수의 다른 클러스터 중에서 가장 CG이 높은 클러스터를 가리킨다.
스텝 S405에서, 재탐색의 결과,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와는 다른 또 다른 클러스터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다른 클러스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5에서 NO), 스텝 S403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클러스터로서 클러스터 Y가 검출되므로, 스텝 S40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다른 클러스터를 검출한 경우(스텝 S405에서 YES), 스텝 S406에서, 통신장치 101은 검출한 다른 클러스터의 CG가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의 CG보다 높은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우선도가 더 높은 무선 네트워크의 판정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러스터 X의 CG보다도 클러스터 Y의 CG가 더 높은 것으로 판정된다. 즉,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X가 아니라 클러스터 Y에 우선적으로 참가해야 한다는 것이 판정된다.
판정의 결과, 검출한 클러스터의 CG가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의 CG보다도 낮은 경우(스텝 S407에서 NO), 스텝 S403으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한편, 검출한 클러스터의 CG가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의 CG보다도 높은 경우(스텝 S407에서 YES), 스텝 S408에서, 통신장치 101은 통신장치 10이 참가한 클러스터에 있어서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이란, 유저 혹은 어플리케이션이 지정한 상대 장치와의 유니캐스트 혹은 멀티캐스트 통신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전체와 통신하는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이것은, 통신장치 101이 상대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기능)의 정보를 상대 장치로부터의 퍼블리시로부터 취득하고, 상대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기능)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을 클러스터 X에서 행하고 있는 경우이다.
또한, 예를 들면, 상대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기능)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을 클러스터에서의 통신 프로토콜과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클러스터 X에 있어서, 통신장치 101이 통신장치 102와 이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한 다른 무선 네트워크로 이행하기 위한 니고시에이션(negotiation)을 행한다. 니고시에이션에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어느쪽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이 행해지고, 형성될 무선 네트워크의 파라미터가 공유된다. 이러한 니고시에이션을 위한 통신도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Wi-Fi Direct에 준거한 무선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는 전술한 무선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고, IEEE 802.11 시리즈에 정의된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나 애드혹(adhoc) 모드,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한 무선 네트워크이어도 된다.
판정의 결과,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지 않고 있다고 통신장치 101이 판정한 경우(스텝 S408에서 NO), 스텝 S409에서, 통신장치 101은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를 이탈한다. 즉,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X에 있어서 정해진 DW와의 동기화를 중단하고, 해당 DW에 있어서의 통지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 S410에서,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Y에 참가한다. 즉,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X로부터 클러스터 Y로 참가할 무선 네트워크를 전환한다. 그후, 스텝 S403으로 처리를 되돌려,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Y에서의 통신을 개시한다.
한편,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고 있다고 통신장치 101이 판정한 경우(스텝 S408에서 YES), 통신장치 101은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를 이탈하지 않는다. 즉,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X에의 참가를 계속한다. 그리고, 스텝 412에서,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X에 있어서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계속한다. 그후,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이 완료하면(스텝 S413에서 YES), 스텝 S414에서, 통신장치 101은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를 이탈한다. 그리고, 스텝 S415에서,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Y에 참가한다. 즉,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X로부터 클러스터 Y로 참가할 무선 네트워크를 전환한다. 그후, 스텝 S403으로 처리를 되돌려,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Y에서의 통신을 개시한다.
여기에서,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이 완료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상대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기능)의 이용을 정지한 경우, 또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형성이 완료한 경우를 말한다.
이에 따라, 통신장치 101이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클러스터 X를 이탈하지 않으므로, 해당 통신을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계속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이 완료한 경우에는, 통신장치 101이 우선도가 높은 클러스터에 참가하도록 클러스터를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다.
도 5에,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X에 있으며, 클러스터 Y를 새롭게 검출하는 경우의 시퀀스 차트를 나타낸다. 통신장치 101은, 현재, 통신장치 102가 제공하는 서비스(기능)를 이용하기 위해, 통신장치 102와 Wi-Fi Direct에 준거한 무선 네트워크를 새롭게 형성하기 위한 니고시에이션을 실행중인 상태에 있다. 즉, 통신장치 101은 현재, 특정한 상대 장치로서 통신장치 102를 특정하는, 특정한 상대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있다.
스텝 S501에서,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X에서 정해진 DW 내에 있어서 동기신호인 동기 비컨을 송수신한다. 또한, 스텝 S502에서, 통신장치 101은 DW 내부의 통신장치 102인 특정한 상대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무선 네트워크를 새롭게 형성하기 위한 니고시에이션을 행한다.
1개의 DW 내에서 니고시에이션이 완료하지 않는 경우, 통신장치 101은 다음의 DW 내에 있어서도 니고시에이션을 계속한다. 이것 대신에, 또는, 이에 덧붙여, 통신장치 101은, 1개의 DW 내에서 니고시에이션이 완료하지 않는 경우에, DW 외에서 니고시에이션을 계속해도 된다. DW 외에서 니고시에이션을 계속하는 경우, 통신장치 101은 일시적으로 슬립 상태로부터 어웨이크 상태로 이행한 후, 니고시에이션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DW 내에서 니고시에이션이 완료하지 않고, 다음의 DW 내에 있어서도 계속된다.
스텝 S503에서는, 니고시에이션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통신장치 101은 탐색 처리를 행하여, 클러스터 Y로부터의 검출 신호인 디스커버리 비컨을 수신하고, 클러스터 Y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러스터 Y의 CG은 클러스터 X의 CG보다 높으므로,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Y에 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타이밍에서 클러스터 X로부터 클러스터 Y로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를 전환하면, 통신장치 102와의 통신이 끊어져 버린다. 그 결과, 통신장치 102가 제공하는 서비스(기능)를 이용하기 위한 Wi-Fi Direct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아, 유저의 편리성이 저하해 버린다.
따라서, 스텝 S504에서, 통신장치 101은 니고시에이션을 실행중인 동안 참가할 클러스터를 클러스터 X로부터 클러스터 Y로 전환하지 않는다. 즉, 클러스터의 전환을 억제한다.
그리고, 스텝 S505에서, 통신장치 101은 다음의 DW 내에 있어서 동기신호를 송신하고, 스텝 S506에서, 통신장치 101은 통신장치 102와의 니고시에이션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DW 내에 있어서 니고시에이션이 완료하고, 스텝 S507에서, 통신장치 101과 102는 Wi-Fi Direct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그리고, 스텝 S508에서, 통신장치 101은 니고시에이션의 완료에 응답하여 클러스터 X를 이탈한다. 그리고, 스텝 S509에서,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Y에 참가한다. 그후,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Y에 있어서 NAN 통신을 행한다.
이렇게, 통신장치 101이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클러스터 X를 이탈하지 않으므로, 상기 통신을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계속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이 완료한 경우에는, 통신장치가 신속하게 우선도가 높은 클러스터로 참가할 클러스터를 전환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통신장치 101이 니고시에이션의 완료에 응답하여 클러스터 X를 이탈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적인 구성은 아니며, 니고시에이션이 완료한 상태에서 재차 검출 신호를 수신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통신장치 101이 참가할 클러스터를 전환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도, 상기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스텝 S411에 있어서, 클러스터를 전환할 것인지 아닌지를 유저에게 문의해도 된다. 유저가 클러스터를 전환하지 않는 것을 선택한 경우, 통신장치 101은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를 이탈하지 않고, 스텝 S412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유저가 클러스터를 전환할 것을 선택한 경우, 통신장치 101은 실행중인 니고시에이션을 중지하고, 스텝 S414로 처리를 진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도, 상기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장치 101이 도 4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중에, 유저의 지시에 응답하여 NAN 데이터 통신을 종료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도 4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유저의 지시 대신에, 또는, 이에 덧붙여,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소정 시간의 경과, 통신장치 101의 소정의 장소에서의 이탈, 또는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진 이벤트에 응답하여, NAN 데이터 통신을 종료해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는 NAN 무선 네트워크들 사이에 행해진 전환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NAN 무선 네트워크들 사이에 행해진 전환 뿐만 아니라, IEEE 802.11 시리즈, Bluetooth(등록상표), 제4 또는 제5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4G, 5G), 롱 텀 에볼루션(LTE)(3.9G) 등에 준거한 무선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행해진 전환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통신장치 101이 복수의 클러스터에 병행하여 참가가능한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통신장치 101이 복수의 클러스터에 병행하여 참가가능한 경우에는, 스텝 S408 이후의 처리 대신에,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즉, 클러스터 Y를 검출한 경우, 통신장치 101이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X와 Y의 양쪽에 참가한다. 이 경우, 클러스터 X에 있어서의 통신 상대 장치와의 통신의 완료에 응답하여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X를 이탈해도 된다.
이에 따라,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X를 이탈하지 않으므로, 통신장치 101이 현재 특정한 통신 상대와 통신을 행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통신을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계속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탐색 처리를 행해서 CG가 높은 다른 클러스터가 검출된 경우에, 특정한 통신 상대와의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였다. 실시형태 2에서는, 특정한 통신 상대와의 통신을 행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 탐색 처리를 행한다.
통신장치 101 내지 103의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 블록도는 실시형태 1과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통신장치 101에 있어서 NAN 기능을 기동한 경우에, 기억부(20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제어부(202)가 판독하여,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처리를 실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NAN 기능을 기동하는 유저 지시에 응답하여 NAN 기능을 기동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은 한정적인 구성은 아미며, 특정한 어플리케이션(게임,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 등)의 기동과 연동해서 NAN 기능이 기동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특정한 시간에 NAN 기능을 기동하거나, 통신장치 101이 특정한 장소에 있는 경우에 기동하도록 해도 된다.
도 4와 유사한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 스텝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스텝 S401에서, 통신장치 101은 주위에 존재하는 클러스터의 탐색을 행한다. 스텝 S402에서,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X를 검출하고, 클러스터 X에 참가한다.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X에 참가하면, 스텝 S403에서, 통신장치 101은 NAN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탐색 이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스텝 S601에서, 통신장치 101은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소정 시간의 경과 대신에, 소정량의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 해당 판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유저의 지시에 응답하여 해당 판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에 응답하여 해당 판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판정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처리는 스텝 S408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601에서 YES), 스텝 S403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한편,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601에서 NO), 스텝 S602에서, 통신장치 101은 재차, 주위에 존재하는 클러스터의 탐색 처리를 행한다. 이 탐색 처리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처리는 스텝 S404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탐색 처리의 결과로써 다른 클러스터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603에서 NO), 스텝 S403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한편, 다른 클러스터가 검출된 경우(스텝 S603에서 YES), 스텝 S406에서, 통신장치 101은 검출한 다른 클러스터의 CG가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의 CG보다도 높은지를 판정한다. 통신장치 101이 복수의 다른 클러스터들을 검출한 경우에, 통신장치 101은 검출된 복수의 다른 클러스터들 중에서 한 개로서 검출된 복수의 다른 클러스터들 중에서 가장 높은 CG를 갖는 클러스터의 CG가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트의 CG보다 높은지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검출한 다른 클러스터의 CG가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의 CG보다도 낮은 경우(스텝 S407에서 NO), 스텝 S403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한편, 검출한 다른 클러스터의 CG가 통신장치 101이 참가한 클러스터의 CG보다도 높을 경우(스텝 S407에서 YES), 스텝 S409에서,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X를 이탈한다. 그리고, 스텝 S410에서,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Y에 참가한다. 즉, 통신장치 101은, 클러스터 X로부터 클러스터 Y로 참가할 무선 네트워크를 전환한다. 그후, 스텝 S403로 처리를 되돌려, 통신장치 101이 클러스터 Y에서의 통신을 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S601에 있어서, 통신장치 101이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지 않고 있는 것이 판정되므로, 클러스터 X로부터 클러스터 Y로 참가할 무선 네트워크를 전환해도, 통신이 끊어지는 것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것과 같이, 통신장치 101이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검출하기 위한 탐색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우선도가 높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가 존재할 경우에도, 해당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검출하지 않으므로, 통신장치가 무선 네트워크를 전환하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장치는 클러스터 X를 이탈하지 않으므로, 통신을 끊어지지 않고 계속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상대 장치와의 통신이 완료한 경우에는, 통신장치가 신속하게 우선도가 높은 클러스터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거쳐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ASIC)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정한 통신 상대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는 동안, 우선도가 높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가 존재할 경우에도, 무선 네트워크가 전환되지 않으므로, 데이터 통신중에 데이터 통신이 끊어져 버리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20)

  1. 디스커버리 비컨을 수신함에 의해, 통신장치가 참가하는 제1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클러스터와는 다른 NAN 클러스터의 탐색을 행하도록 구성된 탐색부와,
    상기 탐색에 의해,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그레이드보다도 높은 클러스터 그레이드를 갖는 제2 NAN 클러스터가 검출된 경우,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탐색과는 다른 무선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통신 상대와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고 상기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 상기 제2 NAN 클러스터의 검출에 따라,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의 참가를 정지하고, 상기 제2 NAN 클러스터에 참가하도록 구성된 전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고 상기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 상기 탐색에 의해 상기 제2 NAN 클러스터가 검출된 경우에도,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의 참가를 계속하는, 통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통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더 구비한 통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NAN)에서 정의된 디스커버리 윈도우 내에 있어서 상기 통지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신호는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NAN)에서 정의된 동기 비컨인 통신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NAN 프로토콜과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도록 구성된 참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해 수행되는 통신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는,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NAN)에서 정의된 디스커버리 비컨을, 상기 제2 NAN 클러스터에 참가한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2 NAN 클러스터를 검출하는 통신장치.
  9. 디스커버리 비컨을 수신함에 의해, 통신장치가 참가하는 제1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클러스터와는 다른 NAN 클러스터의 탐색을 행하도록 구성된 탐색부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탐색과는 다른 무선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통신 상대와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와,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그레이드보다도 높은 클러스터 그레이드를 갖는 제2 NAN 클러스터를 상기 탐색부가 검출한 경우, 상기 제1 NAN 클러스터로부터 상기 제2 NAN 클러스터에 참가하도록 클러스터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부와,
    1)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고 상기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 상기 탐색부에 의한 탐색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2)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고 상기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 상기 탐색부에 의한 탐색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통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더 구비한 통신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NAN)에서 정의된 디스커버리 윈도우 내에 있어서 상기 통지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신호는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NAN)에서 정의된 동기 비컨인 통신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NAN 프로토콜과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도록 구성된 참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해 수행되는 통신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는,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NAN)에서 정의된 디스커버리 비컨을, 상기 제2 NAN 클러스터에 참가한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2 NAN 클러스터를 검출하는 통신장치.
  17. 디스커버리 비컨을 수신함에 의해, 통신장치가 참가하는 제1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클러스터와는 다른 NAN 클러스터의 탐색을 행하는 탐색단계와,
    상기 탐색에 의해,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그레이드보다도 높은 클러스터 그레이드를 갖는 제2 NAN 클러스터가 검출된 경우,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탐색과는 다른 무선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통신 상대와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고 상기 판정단계에서 판정한 경우, 상기 제2 NAN 클러스터의 검출에 따라,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의 참가를 정지하고, 상기 제2 NAN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전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고 상기 판정단계에서 판정한 경우, 상기 탐색에 의해 상기 제2 NAN 클러스터가 검출된 경우에도,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의 참가를 계속하는, 통신방법.
  18. 디스커버리 비컨을 수신함에 의해, 통신장치가 참가하는 제1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클러스터와는 다른 NAN 클러스터의 탐색을 행하는 탐색단계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탐색과는 다른 무선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통신 상대와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그레이드보다도 높은 클러스터 그레이드를 갖는 제2 NAN 클러스터를 상기 탐색단계에서 검출한 경우, 상기 제1 NAN 클러스터로부터 상기 제2 NAN 클러스터에 참가하도록 클러스터로 전환하는 전환단계와,
    1)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고 상기 판정단계에서 판정한 경우, 상기 탐색단계에 의한 탐색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2)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고 상기 판정단계에서 판정한 경우, 상기 탐색단계에 의한 탐색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방법.
  19. 컴퓨터에 통신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기억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통신방법은,
    디스커버리 비컨을 수신함에 의해, 통신장치가 참가하는 제1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클러스터와는 다른 NAN 클러스터의 탐색을 행하는 탐색단계와,
    상기 탐색에 의해,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그레이드보다도 높은 클러스터 그레이드를 갖는 제2 NAN 클러스터가 검출된 경우,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탐색과는 다른 무선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통신 상대와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고 상기 판정단계에서 판정한 경우, 상기 제2 NAN 클러스터의 검출에 따라,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의 참가를 정지하고, 상기 제2 NAN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전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고 상기 판정단계에서 판정한 경우, 상기 탐색에 의해 상기 제2 NAN 클러스터가 검출된 경우에도,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의 참가를 계속하는, 기억매체.
  20. 컴퓨터에 통신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기억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통신방법은,
    디스커버리 비컨을 수신함에 의해, 통신장치가 참가하는 제1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클러스터와는 다른 NAN 클러스터의 탐색을 행하는 탐색단계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탐색과는 다른 무선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통신 상대와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그레이드보다도 높은 클러스터 그레이드를 갖는 제2 NAN 클러스터를 상기 탐색단계에서 검출한 경우, 상기 제1 NAN 클러스터로부터 상기 제2 NAN 클러스터에 참가하도록 클러스터로 전환하는 전환단계와,
    1)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고 상기 판정단계에서 판정한 경우, 상기 탐색단계에 의한 탐색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2) 상기 제1 NAN 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고 상기 판정단계에서 판정한 경우, 상기 탐색단계에 의한 탐색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KR1020160110412A 2015-09-04 2016-08-30 통신장치, 통신방법 및 기록매체 KR102115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5012 2015-09-04
JP2015175012A JP6566796B2 (ja) 2015-09-04 2015-09-04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845A KR20170028845A (ko) 2017-03-14
KR102115161B1 true KR102115161B1 (ko) 2020-05-26

Family

ID=5818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412A KR102115161B1 (ko) 2015-09-04 2016-08-30 통신장치, 통신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117153B2 (ko)
JP (1) JP6566796B2 (ko)
KR (1) KR102115161B1 (ko)
CN (1) CN1065074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0364B2 (ja) * 2017-10-31 202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4302A1 (en) * 2005-06-09 2012-01-19 Beom Joon Kim Method of performing actions related to handover by a mobile station that is in power saving mode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50036540A1 (en) * 2013-08-05 2015-02-0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op count usage in cluster selection
US20150098388A1 (en) * 2013-08-13 2015-04-09 Huawei Device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joining neighbor awareness network device clus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692A (ko) * 2004-05-07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면모드 수행 및 제어방법
JP5415222B2 (ja) * 2009-10-14 2014-02-1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10201335A1 (en) * 2010-02-12 2011-08-18 David Garrett Method and system for a location-based vertical handoff over heterogeneous mobile environments
TWI475911B (zh) * 2012-10-05 2015-03-01 Wistron Corp 網路搜尋方法及使用此方法的行動電子裝置
EP2914047B1 (en) * 2012-10-29 2020-04-22 LG Electronics Inc. Wi-fi direct service method using nfc and device therefor
US9258193B2 (en) * 2014-01-14 2016-02-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network cluster discovery and concurrency mana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4302A1 (en) * 2005-06-09 2012-01-19 Beom Joon Kim Method of performing actions related to handover by a mobile station that is in power saving mode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50036540A1 (en) * 2013-08-05 2015-02-0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op count usage in cluster selection
US20150098388A1 (en) * 2013-08-13 2015-04-09 Huawei Device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joining neighbor awareness network device clu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66796B2 (ja) 2019-08-28
CN106507420A (zh) 2017-03-15
KR20170028845A (ko) 2017-03-14
US20180368045A1 (en) 2018-12-20
US20170070938A1 (en) 2017-03-09
JP2017050826A (ja) 2017-03-09
CN106507420B (zh) 2020-05-19
US10595259B2 (en) 2020-03-17
US10117153B2 (en)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8260B1 (en) Power saving of proxy mobile devices in neighbor aware network nan
EP3148231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recognizing another communication apparatus
US1085621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11102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2021032908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114076B1 (ko) 통신 장치,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115161B1 (ko) 통신장치, 통신방법 및 기록매체
US1072167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646458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337703B (zh) 通信装置、其控制方法和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305819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16897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