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003B1 -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003B1
KR102115003B1 KR1020190059912A KR20190059912A KR102115003B1 KR 102115003 B1 KR102115003 B1 KR 102115003B1 KR 1020190059912 A KR1020190059912 A KR 1020190059912A KR 20190059912 A KR20190059912 A KR 20190059912A KR 102115003 B1 KR102115003 B1 KR 102115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vector
candidate
candidate prediction
predic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426A (ko
Inventor
임성창
김휘용
이진호
최진수
김재곤
김진웅
이상용
박운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5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6Motion estimation with initialisation of the vector search, e.g. estimating a good candidate to initiate a sear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04N19/517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 H04N19/52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by predictiv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으로부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시 발생하는 복잡도를 줄이고 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METHODS OF MOTION VECTOR PREDICTOR DERIVATION AND APPARATUSES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HD(High Definition) 영상 및 U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에 대한 수요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이 될수록 기존의 영상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무선 광대역 회선과 같은 매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존의 저장 매체를 이용해 저장하는 경우, 전송 비용과 저장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화 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효율의 영상 압축 기술들이 활용될 수 있다.
영상 압축 기술로 현재 픽쳐의 이전 또는 이후 픽쳐로부터 현재 픽쳐에 포함된 화소값을 예측하는 화면 간 예측 기술, 현재 픽쳐 내의 화소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픽쳐에 포함된 화소값을 예측하는 화면 내 예측 기술, 출현 빈도가 높은 값에 짧은 부호를 할당하고 출현 빈도가 낮은 값에 긴 부호를 할당하는 엔트로피 부호화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고 이러한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해 영상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전송 또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부호화/복호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 부호화/복호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구성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구성 방법은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으로부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상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으로부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기초로,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기초로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의 유도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구성 방법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구성 방법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인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 또는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 또는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영 벡터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만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되도록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일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1 블록 또는 제2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상기 제2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에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산출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는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3 블록, 제4 블록 또는 제5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상기 제2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산출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예측 대상 블록에 대한 화면 간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측 움직임 벡터에 대한 정보를 복호화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와 상기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으로부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생성하는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상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의 유도 과정을 수행하여 결정되고,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제거하여 재구성되는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인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 또는 제거하여 재구성되는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영 벡터가 추가되어 재구성되고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만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되도록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일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제거되어 재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으로부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의 유도 과정을수행하여상기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인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 또는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 또는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영 벡터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수보다 큰 경우,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만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되도록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일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1 블록 또는 제2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상기 제2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에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움직임 벡터는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같은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2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가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다르고,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같은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3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가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같고,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다른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4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다른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는,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3 블록, 제4 블록 또는 제5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상기 제5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상기 제2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움직임 벡터는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같은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2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가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다르고,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같은 제3 블록, 상기 제4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3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가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같고,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다른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4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다른 제3 블록, 상기 제4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복호화를 위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으로부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의 유도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인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 또는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 또는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영 벡터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수보다 큰 경우,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만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되도록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일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1 블록 또는 제2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상기 제2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에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산출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1 움직임 벡터는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같은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2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가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다르고,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같은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3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가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같고,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다른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4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다른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는,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3 블록, 제4 블록 또는 제5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상기 제1 움직임 벡터, 상기 제2 움직임 벡터 또는 상기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 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에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산출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1 움직임 벡터는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같은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2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가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다르고,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같은 제3 블록, 상기 제4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3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가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같고,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다른 상기 제3 블록, 상기 제4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제4 움직임 벡터는 상기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상기 참조 영상이 상기 예측 대상 블록과 다른 제3 블록, 상기 제4블록 또는 상기 제5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움직임 벡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벡터 리스트 구성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에 따르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고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최적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시 발생하는 복잡도를 줄이고 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및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와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와의 관계를 통해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움직임 벡터 산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측 움직임 벡터 산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동일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 및 제거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최종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움직임 예측부(111), 움직임 보상부(112), 인트라 예측부(120), 스위치(115), 감산기(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40), 엔트로피 부호화부(150), 역양자화부(160), 역변환부(170), 가산기(175), 필터부(180) 및 참조 픽쳐 버퍼(190)를 포함한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영상에 대해 인트라(intra) 모드 또는 인터(inter) 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하고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스위치(115)가 인트라로 전환되고, 인터 모드인 경우 스위치(115)가 인터로 전환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영상의 입력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산출한 후, 입력 블록과 예측 블록의 차분(residual)을 부호화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120)는 현재 블록 주변의 이미 부호화된 블록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산출할 수 있다.
인터 모드인 경우, 움직임 예측부(111)는, 움직임 예측 과정에서 참조 픽쳐 버퍼(19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에서 입력 블록과 가장 매치가 잘 되는 영역을 찾아 움직임 벡터를 구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부(112)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산출할 수 있다.
움직임 예측부(111)에서는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 및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술하고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예측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감산기(125)는 입력 블록과 산출된 예측 블록의 차분에 의해 잔차 블록(residual block)을 산출할 수 있다. 변환부(130)는 잔차 블록에 대해 변환(transform)을 수행하여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 계수는 잔차 블록 및/또는 잔차 신호에 대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산출된 계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변환 계수에 양자화가 적용되어 산출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transform coefficient level)도 변환 계수로 불릴 수 있다.
양자화부(140)는 입력된 변환 계수를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level)을 출력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양자화부(140)에서 산출된 값들 또는 부호화 과정에서 산출된 부호화 파라미터 값 등을 기초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여 비트스트림(bit stream)을 출력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가 적용되는 경우, 높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symbol)에 적은 수의 비트가 할당되고 낮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에 많은 수의 비트가 할당되어 심볼이 표현됨으로써, 부호화 대상 심볼들에 대한 비트열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엔트로피 부호화를 통해서 영상 부호화의 압축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엔트로피 부호화를 위해 지수 골룸(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과 같은 부호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에서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예측 대상 블록에 대한 화면 간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측 움직임 벡터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는 인터 예측 부호화, 즉 화면 간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므로, 현재 부호화된 영상은 참조 영상으로 사용되기 위해 복호화되어 저장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160)에서 역양자화되고 역변환부(170)에서 역변환된다. 역양자화, 역변환된 계수는 가산기(175)를 통해 예측 블록과 더해지고 복원 블록(Reconstructed Block)이 산출된다.
복원 블록은 필터부(180)를 거치고, 필터부(180)는 디블록킹 필터(deblocking filter), SAO(Sample Adaptive Offset), ALF(Adaptive Loop Fil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복원 블록 또는 복원 픽쳐에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180)를 거친 복원 블록은 참조 픽쳐 버퍼(19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인트라 예측부(240), 움직임 보상부(250), 가산기(255), 필터부(260) 및 참조 픽쳐 버퍼(270)를 포함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부호화기에서 출력된 비트스트림을 입력 받아 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로 복호화를 수행하고 재구성된 영상, 즉 복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스위치가 인트라로 전환되고, 인터 모드인 경우 스위치가 인터로 전환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입력 받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원된 잔차 블록(reconstructed residual block)을 얻고 예측 블록을 산출한 후 복원된 잔차 블록과 예측 블록을 더하여 재구성된 블록, 즉 복원 블록을 산출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확률 분포에 따라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양자화된 계수(quantized coefficient) 형태의 심볼을 포함한 심볼들을 산출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은 상술한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과 유사하다.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높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에 적은 수의 비트가 할당되고 낮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에 많은 수의 비트가 할당되어 심볼이 표현됨으로써, 각 심볼들에 대한 비트열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을 통해서 영상 복호화의 압축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예측 대상 블록에 대한 화면 간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측 움직임 벡터에 대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220)에서 역양자화되고 역변환부(230)에서 역변환되며, 양자화된 계수가 역양자화/역변환 된 결과, 복원된 잔차 블록이 산출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240)는 현재 블록 주변의 이미 복호화된 블록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산출할 수 있다. 인터 모드인 경우, 움직임 보상부(250)는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쳐 버퍼(27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산출할 수 있다.
인터 모드일 경우, 상기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하고 이러한 실시예를 수행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는 복호화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복원된 잔차 블록과 예측 블록은 가산기(255)를 통해 더해지고, 더해진 블록은 필터부(260)를 거칠 수 있다. 필터부(260)는 디블록킹 필터, SAO, AL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복원 블록 또는 복원 픽쳐에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260)는 재구성된 영상, 즉 복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복원 영상은 참조 픽쳐 버퍼(270)에 저장되어 인터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복호화 장치의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는 보간(interpolation) 영상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과 차신호를 예측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차신호란 원본 영상과 예측 영상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본 발명에서 “차신호”는 문맥에 따라 “차분 신호”, “잔여 블록” 또는 “차분 블록”으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사상, 본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코딩 유닛(Coding Unit)을 부호화 단위라는 용어로 사용하지만, 부호화 뿐만 아니라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위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유닛 혹은 블록은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의 단위를 의미하며,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시 부호화 혹은 복호화 단위라 함은, 하나의 영상을 세분화 된 유닛으로 분할하여 부호화 혹은 복호화 할 때 그 분할된 단위를 말하므로, 매크로 블록, 부호화 유닛 (CU: Coding Unit), 예측 유닛 (PU: Prediction Unit), 변환 유닛(TU: Transform Unit), 변환 블록(transform block) 등으로 부를 수 있다. 하나의 블록은 크기가 더 작은 하위 블록으로 더 분할될 수 있다. 예측 유닛이란 예측/보상 수행 시의 기본 블록이며, 예측 유닛은 분할되어 다수의 파티션(Partition)이 될 수도 있다. 다수의 파티션 역시 예측 수행 시의 기본 블록이 되며, 예측 유닛이 분할된 파티션도 예측 유닛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술할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영상 복호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서 전술한 영상 부호화기 및 영상 복호화기에 포함된 각 구성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성부의 의미는 하드웨어적인 의미 뿐만 아니라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 단위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및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예측 대상 블록의 좌측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의 위치를 (xP, yP)라고 하고 에측 대상 블록의 너비를 nPSW, 예측 대상 블록의 높이를 nPSH라는 변수로 정의한다. MinPuSize는 가장 작은 예측 블록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측 대상 블록의 공간적 주변 예측 블록은 (xP-1, yP+nPSH)에 존재하는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을 좌측 제1 블록(A0 블록, 300), (xP-1, yP+nPSH-MinPuSize)에 존재하는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을 좌측 제2 블록(A1 블록, 310)이라는 용어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또한, (xP+nPSW, yP-1)에 위치하는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을 상단 제1 블록(B0 블록, 320), (xP+nPSW-MinPuSize, yP-1)에 위치하는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을 상단 제2 블록(B1 블록, 330), (xP-MinPuSize, yP-1)에 위치하는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을 상단 제3 블록(B2 블록, 340)이라는 용어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은 좌측 제1 블록(A0, 300), 좌측 제2 블록(A1, 310), 상단 제1 블록(B0, 320), 상단 제2 블록(B1, 330), 상단 제3 블록(B2, 34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은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데, 좌측 제1 블록(300) 및 좌측 제2 블록(310)을 포함하는 그룹을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상단 제1 블록(320), 상단 제2 블록(330), 상단 제3 블록(340)을 포함하는 그룹을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이라는 용어로 정의할 수 있다.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350)는 현재 예측 대상 블록을 포함하는 픽쳐 내의 픽셀 위치 (xP, yP)를 기초로 현재 예측 블록의 콜 픽쳐(Colocated Picture)에서 (xP+nPSW, yP+nPSH) 위치의 픽셀을 포함하는 예측 블록이거나 (xP+nPSW, yP+nPSH) 위치의 픽셀을 포함하는 예측 블록이 가용하지 않은 경우, (xP+(nPSW>>1), yP+(nPSH>>1)) 위치의 픽셀을 포함하는 예측 블록이 될 수 있다. 콜 픽쳐에서 (xP+nPSW, yP+nPSH) 위치의 픽셀을 포함하는 예측 블록을 제1 콜 블록(Colocated Block)이라고 하고 콜 픽쳐에서 (xP+(nPSW>>1), yP+(nPSH>>1)) 위치의 픽셀을 포함하는 예측 블록을 제2 콜 블록이라고 할 수 있다.
도 3에서 개시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위치 및 개수와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위치 및 개수는 임의적인 것으로써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위치 및 개수와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위치 및 개수는 변할 수 있고 또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시 우선적으로 스캔되는 예측 블록의 순서도 변할 수 있다. 즉,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시 사용되는 후보 예측 블록의 위치, 개수, 스캔 순서, 후보 예측 그룹 등은 하나의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변할 수 있다. 이때,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Candidate Predicted Motion Vector List)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리스트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와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와의 관계를 통해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측 대상 블록과 동일한 참조 프레임 및 동일한 참조 픽쳐 리스트로부터 산출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제1 움직임 벡터(400)라고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측 대상 블록(450)의 참조 픽쳐가 j 픽쳐이고 j 픽쳐가 포함된 참조 픽쳐 리스트가 L0 리스트라고 가정한다면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470)의 벡터(400)가 가리키는 참조 픽쳐가 j 픽쳐이고 j 픽쳐가 포함된 참조 픽쳐 리스트가 L0 리스트이므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470)의 움직임 벡터와 예측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는 동일한 참조 픽쳐 및 동일한 참조 픽쳐 리스트를 가진다. 이렇듯 예측 대상 블록과 동일한 참조 프레임과 동일한 리스트로부터 산출된 움직임 벡터를 제1 움직임 벡터(400)라고 정의한다.
예측 대상 블록(450)과 동일한 참조 프레임을 가지되 서로 다른 참조 픽쳐 리스트로부터 산출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470)의 움직임 벡터를 제2 움직임 벡터(410)라고 한다. 예측 대상 블록(450)의 참조 픽쳐가 j 픽쳐이고 j 픽쳐가 포함된 참조 픽쳐 리스트가 L0 리스트라고 가정한다면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470)의 벡터가 가리키는 참조 픽쳐가 j 픽쳐이고 j 픽쳐가 포함된 참조 픽쳐 리스트가 L1 리스트이므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410)와 예측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는 동일한 참조 픽쳐를 가지나 서로 다른 참조 픽쳐 리스트를 가진다. 이렇듯 예측 대상 블록과 동일한 참조 프레임이지만 서로 다른 리스트로부터 산출된 움직임 벡터를 제2 움직임 벡터(410)라고 정의한다.
예측 대상 블록과 서로 다른 참조 프레임을 가지되 동일한 참조 픽쳐 리스트로부터 산출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제3 움직임 벡터(420)라고 한다. 예측 대상 블록(450)의 참조 픽쳐가 j 픽쳐이고 j 픽쳐가 포함된 참조 픽쳐 리스트가 L0 리스트라고 가정한다면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470)의 벡터(420)가 가리키는 참조 픽쳐가 i 픽쳐이고 i 픽쳐가 포함된 참조 픽쳐 리스트가 L0 리스트이므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와 예측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는 서로 다른 참조 픽쳐를 가지나 동일한 참조 픽쳐 리스트를 가진다. 이렇듯 예측 대상 블록(450)과 서로 다른 참조 프레임이지만 동일한 리스트로부터 산출된 움직임 벡터를 제3 움직임 벡터(420)라고 정의한다. 제3 움직임 벡터(420)의 경우, 예측 대상 블록과 참조 픽쳐가 서로 다르므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사용시 예측 대상 블록의 참조 픽쳐를 기준으로 스케일링(Scaling)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예측 대상 블록(450)과 서로 다른 참조 프레임을 가지고 서로 다른 참조 픽쳐 리스트로부터 산출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470)의 움직임 벡터를 제4 움직임 벡터(430)라고 한다. 예측 대상 블록(450)의 참조 픽쳐가 j 픽쳐이고 j 픽쳐가 포함된 참조 픽쳐 리스트가 L0 리스트라고 가정한다면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470)의 벡터(430)가 가리키는 참조 픽쳐가 m 픽쳐이고 m 픽쳐가 포함된 참조 픽쳐 리스트가 L1 리스트이므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와 예측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는 서로 다른 참조 픽쳐 및 서로 다른 참조 픽쳐 리스트를 가진다. 이렇듯 예측 대상 블록과 서로 다른 참조 프레임 및 서로 다른 참조 픽쳐 리스트로부터 산출된 움직임 벡터를 제4 움직임 벡터(430)라고 정의한다. 제4 움직임 벡터(430) 또한 예측 대상 블록(450)과 참조 픽쳐가 서로 다르므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사용시 예측 대상 블록의 참조 픽쳐를 기준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는 예측 대상 블록의 참조 프레임 및 참조 픽쳐 리스트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움직임 벡터 내지 제4 움직임 벡터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움직임 벡터 및 제2 움직임 벡터의 경우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벡터로서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는 넌-스케일링(Non-Scaling) 움직임 벡터라고 정의하고 제3 움직임 벡터 및 제4 움직임 벡터의 경우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벡터로서 스케일링(Scaling) 움직임 벡터라는 용어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제1 움직임 벡터 내지 제4 움직임 벡터로 분류하는 방법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할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 중 어떠한 움직임 벡터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써 우선적으로 사용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움직임 벡터 내지 제4 움직임 벡터와 같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최적의 움직임 벡터로 선택된 움직임 벡터를 예측 움직임 벡터라는 용어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산출 방법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함에 있어서 유도 과정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데 있어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각각 하나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고,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하나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는 경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동작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과정이 병렬적으로 수행된다는 것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과정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단계 S500),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단계 S520),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단계 S540)가 병렬적으로 수행된다.
도 5에서 병렬적으로 수행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한 단계는 임의적인 것으로서 병렬적으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된다는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제거되고,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되는 단계와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되는 단계만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에서는
A)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는 예측 움직임 벡터인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만을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하는 방법.
B)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은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하는 방법
을 통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좌측 제1 블록에서 좌측 제2 블록 순서로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다(단계 S60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움직임 벡터 및 제2 움직임 벡터는 예측 대상 블록과 동일한 참조 픽쳐 인덱스를 가지고 있고 스케일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의미한다.
단계 S600에서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순서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 좌측 제1 블록에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좌측 제1 블록에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
(2) 좌측 제1 블록에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좌측 제2 블록에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좌측 제2 블록에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
(3) 좌측 제2 블록에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좌측 제1 블록 및 좌측 제2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600에서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아래와 같은 순서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 좌측 제1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좌측 제1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
(2) 좌측 제1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좌측 제2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여부를 판단하고, 좌측 제2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
(3) 좌측 제2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좌측 제1 블록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좌측 제1 블록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
(4) 좌측 제1 블록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좌측 제2 블록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좌측 제2 블록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
위와 같은 순서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의 예시로서 다른 순서를 통해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600을 통해 판단된 결과,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좌측 제1 블록 및 좌측 제2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통해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가용성 정보(예를 들어, availableFlagLXY)를 1로 설정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다. 1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존재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임의의 이진수로 다른 이진 부호를 통해 동일한 의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정의 정보의 내용을 표시하는 1 및 0의 이진수는 임의적인 것으로 다른 이진 부호화 방법 또는 다른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산출된 부호를 기초로 해당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단계 S600을 통해 산출된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좌측 제1 블록 및 좌측 제2 블록에서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다(단계 S610).
예를 들어, 단계 S610에서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통해서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 좌측 제1 블록에서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 후 좌측 제1 블록에서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를 스케일링 하지 않고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함.
(2) 좌측 제1 블록에서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좌측 제2 블록에서 제3 움직임 벡터 내지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여 좌측 제2 블록에서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를 스케일링 하지 않고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함.
즉,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좌측 제1 블록 및 좌측 제2 블록)에서 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되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은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610인 좌측 제1 블록 및 좌측 제2 블록에서 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전술한 좌측 제1 블록 및 좌측 제2 블록에서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1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단계 S600 또는 단계 S600 내지 단계 S610을 통해서 조건을 만족하는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가용성 정보를 1로 설정하고, 이후의 움직임 벡터 존재 여부 판단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될 수 있다.
상단 제1 블록, 상단 제2 블록, 상단 제3 블록의 순서로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다(단계 S620).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S6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S600 또는 단계 S61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600에서 전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단계 S620에서는 상단 제1 블록에서 상단 제3 블록 순서로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단 제1 블록에서 상단 제3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단 제1 블록에서 상단 제3 블록 순서로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단 제1 블록에서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음으로 상단 제2 블록에서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단 제3 블록에서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통해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620의 판단 절차는 단계 S600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판단 절차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단계 S620의 순차적인 판단 절차를 기초로 상단 제1 블록 내지 상단 제3 블록에 조건에 맞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그 이후의 판단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산출된 움직임 벡터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가용성 정보를 1로 설정해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600과 동일하게 단계 S620을 통해 상단 제1 블록 내지 상단 제3 블록에 넌-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인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않는 경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단계 S620을 통해 상단 제1 블록, 상단 제2 블록, 상단 제3 블록에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않는 경우, 상단 제1 블록, 상단 제2 블록, 상단 제3 블록에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및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다(단계 S630).
단계 S620을 통해 상단 제1 블록에서 상단 제3 블록 순서로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 결과 조건에 맞는 벡터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 단계 S630을 통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630을 통해 상단 제1 블록, 상단 제2 블록 및 상단 제3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벡터에 대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고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은 제3 움직임 벡터 및 제4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단 제1 블록, 상단 제2 블록 및 상단 제3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과 같이 다양한 판단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620 및 단계 S630을 통해 조건을 만족하는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하나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콜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40).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640은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S600 또는 S610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S620 또는 S630과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콜 블록과 제2 콜 블록으로 나뉠 수 있으며 제1 콜 블록의 가용성 여부를 판단한 후 제1 콜 블록이 가용하지 않은 경우 제2 콜 블록이 콜 블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이 포함되는 콜 픽쳐는 소정의 정보에 따라 현재 픽쳐의 참조 픽쳐 리스트 내의 참조 픽쳐 중 하나의 픽쳐가 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이 포함되는 콜 픽쳐를 산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참조 픽쳐 리스트를 사용하는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은 소정의 플래그 정보에 따라 우선적으로 하나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움직임 벡터만을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픽쳐와 현재 픽쳐의 참조 픽쳐 사이의 거리와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이 포함된 픽쳐와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참조 픽쳐 사이의 거리가 다른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에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콜 블록)에 대해서도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구현이 필요한 경우,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거나 플래그 정보를 통해 콜 블록의 움직임 벡터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통해서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 대한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될 수 있는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 가용성 정보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가용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병렬적으로 수행함으로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함에 있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때 발생하는 종속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병렬적으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가용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가용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만을 병렬적으로 판단하고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가용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는 종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처럼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함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그룹에서만 병렬적으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의 과정을 거쳐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또는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산출될 수 있는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가용성 정보 플래그(availableFlagLXY 또는 availableFlagCol)를 이용하여 가용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함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포함된 블록의 개수 및 위치,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포함된 블록의 개수 및 위치,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개수 및 위치는 임의적인 것으로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포함되는 블록의 개수 및 위치는 변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과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할 때 다른 후보 예측 블록에서 산출된 움직임 벡터에 스케일링이 수행되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병렬적으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좌측 제1 블록, 좌측 제2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한다.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기 위하여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700).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계 S600에서 전술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기 위하여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710).
단계 S700을 통한 판단 결과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는 단계 S610에서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단계 S710에서는 단계 S610과 달리 스케일링을 수행한 후 산출된 제3 움직임 벡터 및 제4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상단 제1 블록, 상단 제2 블록, 상단 제3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한다.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기 위하여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720).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계 S620에서 전술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기 위하여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730).
단계 S720을 통한 판단 결과 넌-스케일링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는 단계 S630에서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단계 S730에서는 단계 S630과 달리 스케일링을 수행한 후 산출된 제3 움직임 벡터 및 제4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산출된 제3 움직임 벡터 및 제4 움직임 벡터에 대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할지 여부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해 스케일링을 수행하였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콜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740).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740은 전술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S700 또는 S710과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S720 또는 S730과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콜 블록과 제2 콜 블록과 같이 복수의 후보 예측 블록으로 나뉠 수 있으며 만약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하나의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된다면 제1 콜 블록의 가용성 여부를 판단한 후 제1 콜 블록이 가용하지 않은 경우 제2 콜 블록이 콜 블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에 대해서도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스케일링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콜 블록)에 대해서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구현이 필요한 경우,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거나 플래그 정보를 통해 콜 블록의 움직임 벡터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통해서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 대한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위의 과정을 거쳐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또는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산출될 수 있는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가용성 정보 플래그(availableFlagLXY 또는 availableFlagCol)를 이용하여 가용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과 마찬가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함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포함된 블록의 개수 및 위치,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포함된 블록의 개수 및 위치,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의 개수 및 위치는 임의적인 것으로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포함되는 블록의 개수 및 위치는 변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도 7과 같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모두에 대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또는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서만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대해서만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대해서만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경우 도 7과 유사하나 도 7의 단계 S730에서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기 위하여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에 대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고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은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대해서만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 S710에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기 위하여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스케일링 움직임 벡터(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에 대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고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은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스케일링 여부를 나타내는 소정의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에 대하여 1회의 스케일링만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한번의 스케일링이 수행된 경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는 스케일링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고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스케일링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스케일링을 사용하도록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일링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에서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를 기초로 현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최대가 아닌 경우 추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추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하는 방법을 이용해서 움직임 벡터 예측 시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또는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00).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수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수와 같은 경우 상기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만을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시켜 예측 대상 블록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수는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및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에서 중복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제거하고 남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수를 말한다.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수보다 작은 경우 추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한다(단계 S810).
추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방법, 오프셋을 사용하는 방법, 통계적 결과를 사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후보 예측 움지김 벡터 산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상세히 개시한다.
산출된 추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움직임 벡터와 중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20).
산출된 추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움직임 벡터와 중복되는 경우 새로운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한다(단계 S810).
산출된 추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움직임 벡터와 중복되지 않는 경우 산출된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시킨다(단계 S830).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단계 S810에서 전술한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방법 중 스케일링을 이용한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900)를 2 개의 움직임 벡터(참조 픽쳐 리스트 L0에 포함된 n-1 픽쳐를 참조하는 움직임 벡터(920) 및 참조 픽쳐 리스트 L1에 포함된 n+1 픽쳐를 참조하는 움직임 벡터(940))를 기초로 화면 간 예측을 수행하는 예측 블록으로 가정할 수 있다.
예측 대상 블록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함에 있어 상단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 중 참조 픽쳐 리스트 L0의 n-1 픽쳐를 참조하는 움직임 벡터(920)는 중복성 제거를 위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제거되고 나머지 참조 픽쳐 리스트 L1의 n+1 픽쳐를 참조하는 움직임 벡터(940)만을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된다고 가정하는 경우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아직 사용하지 않은 참조 픽쳐 리스트 L1을 참조하는 움직임 벡터(940)를 스케일링하여 유도된 움직임 벡터를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참조 픽쳐 리스트 L1 방향의 n+1 픽쳐를 참조하는 움직임 벡터를 현재 예측 블록의 L0 리스트에 포함된 참조 픽쳐 n-1와 참조 픽쳐 리스트 L1 방향의 n+1 픽쳐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산출된 움직임 벡터를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벡터를 반대 방향 스케일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라는 용어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ref_list[X], X=0 혹은 1을 참조하는 예측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된 경우, ref_list[1-X]을 참조하는 움직임 벡터를 예측 블록의 참조 픽쳐를 기준으로 스케일링하여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유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오프셋을 기초로 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내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하나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mvp_x, mvp_y}일 경우, 움직임 벡터의 X 성분과 Y성분에 각각의 오프셋 α, β를 더하여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mvp_x+α, mvp_y+β}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오프셋 값은 픽쳐 단위, 슬라이스 단위, LCU (largest coding unit) 단위, CU 단위, PU 단위로 전송될 수 있다.
오프셋 값은 부호화/복호화된 움직임 벡터 차분(MVD: motion vector difference) 값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특정한 영상 단위를 기준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MVD 값에 높은 우선 순위를 할당하여 오프셋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많이 발생한 MVD 값의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가지는 리스트를 산출할 수 있고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 리스트 안에서 우선 순위 순서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내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에 오프셋을 더하여 새로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슬라이스에 포함된 예측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발생 빈도 순서로 정렬하고, 정렬된 움직임 벡터값 중 적어도 하나의 벡터값을 예측 대상 블록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소정의 한계값을 설정하여 발생 여부 및 빈도수를 체크하는 움직임 벡터값을 일정한 수로 제한할 수 있다.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함에 있어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미 부호화 및 복호화된 슬라이스에서 가장 발생 빈도수가 많았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값을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부호화/복호화 대상 픽쳐 혹은 슬라이스에서 부호화/복호화된 픽쳐 혹은 슬라이스의 움직임 벡터를 참조하는 것은 비트스트림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정상적으로 참조할 수 없으므로 발생 빈도수가 높은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트스트림 내의 상위 레벨 구문 요소(picture parameter set, adaptive parameter set, slice header 등)에서 부호화/복호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예측 움직임 벡터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최적의 움직임 벡터로 선택된 움직임 벡터를 정의하는 용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예측 대상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영 벡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구문 요소 정보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구문 요소 정보를 통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영 벡터라는 정보가 전송된 경우, 예측 대상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로 어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정보 및 인덱스 정보를 추가적으로 부호화 및 복호화하지 않음으로서 부호화 및 복호화 과정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영 벡터는 벡터의 x성분과 y성분의 값이 모두 0으로 구성된 (0,0) 벡터를 의미한다.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영 벡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00).
소정의 구문 요소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예측 대상 블록에 사용되는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영 벡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영 벡터인 경우, 구문 요소인 영 벡터 결정 플래그(zero_mvp_flag)를 1로 설정하고(단계 S1010)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영 벡터가 아닌 경우, 구문 요소인 영 벡터 결정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S1020).
구문 요소인 영 벡터 결정 플래그(zero_mvp_flag)는 현재 예측 블록에서 사용되는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영 벡터라는 것을 표시하는 플래그의 예시이다. 예측 대상 블록에서 사용되는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영 벡터라는 정보는 플래그 정보가 아닌 다른 형태의 구문 요소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영 벡터가 아닌 경우, 예측 움직임 벡터의 인덱스 정보를 부호화한다(단계 S1030).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영 벡터가 아닌 경우, 도 3 내지 도 8에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산출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기초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어떠한 벡터가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부호화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에서는 도 10에서 전술한 예측 움직임 벡터의 부호화 방법에 기초한 복호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영 벡터 결정 플래그 정보를 복호화하여 플래그값이 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00).
전술한 바와 같이 예측 대상 블록에서 사용되는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영 벡터라는 정보는 플래그 정보가 아닌 다른 정보와 결합된 구문 요소 정보 또는 다른 형태의 구문 요소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플래그값이 1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임의적인 것으로 플래그의 정의에 따라 플래그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 벡터 결정 플래그 정보가 1인 경우, 예측 대상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영 벡터로 결정한다(단계 S1110).
영 벡터 결정 플래그 정보가 0인 경우, 예측 대상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해 인덱스 정보를 복호화한다(단계 S1120).
영 벡터 결정 플래그값이 0과 1인 것은 예측 대상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영 벡터인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임의로 설정된 값이다.
영 벡터 결정 플래그 정보가 0인 경우, 예측 대상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인덱스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된 인덱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예측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한다.
표 1은 영 벡터 결정 플래그가 포함된 신택스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 1>
Figure 112019052399147-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영 벡터 결정 플래그가 1인지 여부에 따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인덱스 정보를 복호화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서 복호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하는 과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움직임 벡터 산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한다(단계 S1200).
예를 들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방법과 같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고 각각 하나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된다고 가정하면,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되어 예측 대상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일정한 개수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만을 포함할 수 있는 경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일정한 개수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추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예를 들어, 영 벡터, 스케일링 벡터 등)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보다 더 큰 수가 존재한다면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일부를 제거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예측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유도한다(단계 S12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움직임 벡터 산출 방법에서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에 관한 인덱스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자체에서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기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에 관한 인덱스 정보를 복호화기로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덱스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필요한 비트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부호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자체에서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를 의미한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크기가 0인 경우, 영 벡터를 예측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하고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는 추가로 복호화하지 않을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1인 경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존재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1개이므로 리스트에 존재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예측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크기가 0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는 추가로 복호화하지 않을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2인 경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부/복호화 대상 슬라이스 내에서 발생 빈도수가 더 많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예측 대상 블록을 복호화하기 위한 예측 움직임 벡터로 유도할 수 있다. 다수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할 경우, 발생 빈도 순서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정렬한 뒤 높은 발생 빈도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예측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로 유도할 수 있다. 이때,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발생 빈도수 계산의 복잡도를 감소하기 위해 N 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에 대해서만 발생 빈도수를 계산할 수 있다(N은 자연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2인 경우,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아래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x 방향 및 y 방향의 절대값 크기의 합을 비교하여 절대값의 합이 작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예측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52399147-pat00002
<수학식 2>
Figure 112019052399147-pat00003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2인 경우,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아래의 수학식 3을 사용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9052399147-pat00004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각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예측 움직임 벡터의 x 방향 성분을 두 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x 방향 성분들의 평균값으로 사용하고, 예측 움직임 벡터의 y 방향 성분을 두 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y 방향 성분의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2인 경우,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아래의 수학식 4를 사용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9052399147-pat00005
수학식 4를 참조하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각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예측 움직임 벡터의 x 방향 성분을 두 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x 방향 성분들과 영 벡터의 중간값(Median Value)을 사용하고, 예측 움직임 벡터의 y 방향 성분을 두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y 방향 성분들과 영 벡터의 중간값을 사용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2인 경우,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아래의 수학식 5를 사용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9052399147-pat00006
수학식 5를 참조하면, 움직임 벡터의 각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예측 움직임 벡터의 x 방향 성분을 두 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x 방향 성분들과 영 벡터의 평균값을 사용하고, 예측 움직임 벡터의 y 방향 성분을 두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y 방향 성분들과 영 벡터의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2인 경우,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전술한 통계적 방법에서 사용하는 발생 빈도수를 계산함에 있어 사용되는 N 개의 움직임 벡터와 빈도수 계산의 대상이 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내의 2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인덱스 정보를 기초로 발생 빈도가 높은 인덱스 정보를 예측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들에서 색인(Index) 0에 존재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된 경우, 색인 0값에 존재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3인 경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존재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3개이므로 이 중 하나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 6은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수학식이다.
<수학식 6>
Figure 112019052399147-pat00007
수학식 6을 참조하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해서, 3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x 방향 성분 중 중간값에 해당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3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y 방향 성분 중 중간값에 해당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기초로 예측 대상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3인 경우,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아래의 수학식 7을 사용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19052399147-pat00008
수학식 7을 참조하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해서, 3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x 방향 성분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3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y 방향 성분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기초로 예측 대상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3 개 존재하는 경우에도 후보 예측 움직임 리스트에서 하나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함에 있어서 인덱스 정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측 움직임 벡터 산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N개이고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먼저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고 다음으로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N개로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크기와 동일한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되는 단계 및 추가적으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필요한 움직임 벡터가 이미 산출된 경우 불필요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단계를 수행하지 않음으로서 부호화 및 복호화 단계에서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산출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300).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예측 움직임 벡터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산출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N개보다 작다면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시간적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거나 또는 추가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N개의 예측 움직임 벡터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산출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N개보다 크거나 혹은 같다면, 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시간적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거나 추가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지 않고도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할 수 있다(단계 S1320).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산출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N개보다 작은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또는 추가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한다(단계 S1310). 이때, 추가 예측 움직임 벡터는 영 벡터일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산출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통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산출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보다 큰 경우, 시간적 예측 움직임 벡터 또는 추가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S1310를 통해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산출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또는 추가 예측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한다(단계 S1320).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한다(단계 S1400).
예측 대상 블록의 공간적인 주변에 위치한 부호화/복호화된 블록(또는 주변 예측 블록)으로부터 복수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유도할 수 있다.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availableFlagLXN) 및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mvLX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가리킬 수 있다. 즉,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모두 포함하는 정보의 단위를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라고 하거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또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중 하나를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예측 대상 블록 X의 상단에 인접한 블록인 B1, 예측 대상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블록인 A1, 예측 대상 블록의 우측 상단 코너에 위치한 블록인 B0, 예측 대상 블록의 좌측 상단 코너에 위치한 블록인 B2, 예측 대상 블록의 좌측 하단 코너에 위치한 블록 A0에 해당하는 블록에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여, 예측 대상 블록에 대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블록 A0, A1, B0, B1 및 B2 블록(이하,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이라고 함)에서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에 대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최대 2 개가 산출될 수 있다. 이하, A0, A1, B0, B1 및 B2 블록을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이라고 하고 A0, A1 블록을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 B0, B1 및 B2 블록을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이라고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은 하나의 예시로서 다른 위치의 블록으로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을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위치에 존재하는 블록들로 구성된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때,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된 경우 availableFlagLXY가 1로 설정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availableFlagLXY에서 LX는 참조 영상 리스트 L0와 L1 중 예측 대상 블록이 어떤 참조 영상 리스트를 참조하는지에 대해서 나타내며, LX는 L0 혹은 L1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availableFlagLXY에서 Y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된 위치를 나타내며, 도 2에서와 같이 A0 혹은 A1 위치의 블록으로부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었으면 Y는 A가 되며, B0, B1, 혹은 B2 위치의 블록으로부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었으면 Y는 B가 될 수 있다. 이때, 참조 영상 리스트(Reference Picture List)는 화면 간 예측 혹은 움직임 보상에 사용되는 참조 영상이 포함된 리스트를 의미한다. 참조 영상 리스트의 종류는 LC (List Combined), L0 (List 0), L1 (List 1)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참조 영상(Reference Picture)은 화면 간 예측 혹은 움직임 보상을 위해서 특정 블록이 참조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0 또는 A1 위치의 블록에서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될 수 있고, B0, B1, 혹은 B2 위치의 블록에서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예측 대상 블록이 참조 영상 리스트 L0를 참조하며, A0 위치의 블록에서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고 B1 위치의 블록에서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었다면, availableFlagL0A는 1로 설정하며 availableFlagL0B도 1로 설정한다. 즉, availableFlagLXY는 예측 대상 블록이 참조 영상 리스트 LX를 참조할 경우, 소정의 위치의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낸다.
전술한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유도될 수 있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아래와 같이 4개의 움직임 벡터로 분류할 수 있다.
(1) 제1 움직임 벡터 : 소정의 위치에 블록이 존재하고, 해당 블록이 화면 내 부호화되지 않고, 해당 블록의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참조 영상이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참조 영상과 같을 경우, 해당 블록으로부터 유도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2) 제2 움직임 벡터 : 소정의 위치에 블록이 존재하고, 해당 블록이 화면 내 부호화되지 않고, 해당 블록의 참조 영상 리스트가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참조 영상 리스트와 다르지만 해당 블록과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이 서로 같은 참조 영상을 참조할 경우, 해당 블록으로부터 유도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2) 제3 움직임 벡터 : 소정의 위치에 블록이 존재하고, 해당 블록이 화면 내 부호화되지 않고, 해당 블록의 참조 영상 리스트가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참조 영상 리스트와 같지만 해당 블록의 참조 영상이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참조 영상과 다를 경우, 해당 블록의 움직임 벡터에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4) 제4 움직임 벡터 : 소정의 위치에 블록이 존재하고, 해당 블록이 화면내 부호화되지 않고, 해당 블록의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참조 영상이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참조 영상 리스트 및 참조 영상과 다를 경우, 해당 블록의 움직임 벡터에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위와 같이 분류된 4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아래의 순서에 따라 탐색할 수 있다.
(1)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
1) A0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2) A1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3) A0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4) A1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위의 1)에서 4)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해당 블록에 조건을 만족하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조건을 만족하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존재하는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고, 다음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을 만족하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2) 내지 4)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3) 및 4)를 통해 조건을 만족하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인 경우, 스케일링을 통해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스케일링 수행 여부를 표시하는 플래그 정보를 사용하여 스케일링이 사용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블록 A0가 가용하고 블록 A0가 화면 내 예측 모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블록 A1이 가용하고 블록 A1이 화면 내 예측 모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스케일링 여부 표시 플래그를 1로 설정하고, A0 블록 및 A1 블록이 가용하지 않거나 화면 내 예측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수 없는 경우 스케일링 여부 표시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여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서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되고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아래는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2)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
1) B0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2) B1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3) B2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4) B0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5) B1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6) B2 블록에 제3 움직임 벡터 또는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때와 마찬가지로 위의 1)에서 6)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해당 블록에 조건을 만족하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조건을 만족하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존재하는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고, 다음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최대 N개까지 유도할 수 있다. 이때, N는 양의 정수일 수 있고 일례로 N은 2일 수 있다.
유도된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예를 들어,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단계 S1400에서 유도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할지 말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유도된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할 수 있는지,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된 경우 유도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availableFlagLXA와 availableFlagLXB가 모두 1이고 mvLXA가 mvLXB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availableFlagLXA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고 availableFlagLXB는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가능한 경우, availableFlagLXA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mvLXA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서 availableFlagLXA가 가용한 경우 산출될 수 있고 mvLXB는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로서 availableFlagLXB가 가용한 경우 산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vailableFlagLXA를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라는 용어로 availableFlagLXB를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라는 용어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mvLXA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mvLXB는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라는 용어로 정의할 수 있다.
availableFlagLXA와 availableFlagLXB가 모두 1이고 mvLXA가 mvLXB와 동일하지 않고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최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가 2 개라고 가정하는 경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들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유도가 필요 없으므로 콜 블록(시간적 후보 예측 블록)으로부터 유도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인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지 여부를 표시하는 플래그 정보인 availableFlagLXCol를 0으로 설정하고 이하 설명할 단계 S1430에서와 같이 유도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만으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한다. 즉,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지 않으므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과정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vailableFlagLXA와 availableFlagLXB가 모두 1인 경우 선택적으로 mvLXA가 mvLXB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두가지 판단 조건을 사용하여 1) availableFlagLXA와 availableFlagLXB가 모두 1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2) availableFlagLXA와 availableFlagLXB가 모두 1인 경우 mvLXA가 mvLXB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2개 유도되지 않거나, 혹은 유도된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서로 같은 경우, 콜 블록으로부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한다(단계 S1420).
즉, 단계 S1420에서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vailableFlagLXA와 availableFlagLXB가 모두 1이 아니거나, 혹은 mvLXA가 mvLXB와 동일한 경우, 콜 블록으로부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한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2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포함되어야한다고 가정하면, availableFlagLXA와 availableFlagLXB가 모두 1이 아니거나, 혹은 mvLXA가 mvLXB와 동일한 경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2개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콜 블록으로부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여야 한다.
아래의 표 2 및 표 3은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된 결과에 따라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유도 과정 수행 여부를 나타낸 것이다.
<표 2>
Figure 112019052399147-pat00009
<표 3>
Figure 112019052399147-pat00010
표 2 및 표 3을 참조하면,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한 경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availableFlagLXY와 유도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동일성 여부에 따라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과정은 4 가지 경우로 나뉠 수 있다. 이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availableFlagLXY에 따른 4 가지의 경우에 대하여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에 대해 설명한다.
(1) 1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는 경우로서 availableFlagLXA는 1이며 availableFlagLXB는 0인 경우 또는 availableFlagLXA는 0이며 availableFlagLXB는 1인 경우이다. 첫번째 경우는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만 유도되기 때문에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들의 동일성을 판단할 수 없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수가 2개인 경우, 추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해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면 availableFlagLXCol을 1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availableFlagLXCol을 0으로 설정한다.
(2)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는 경우로서 availableFlagLXA 및 availableFlagLXB가 1인 경우이다. 유도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값을 가지면, 동일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하나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제거된다. 남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한 개이기 때문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수가 2개인 경우 추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해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는 경우 availableFlagLXCol을 1로 설정하고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지 않는 경우 availableFlagLXCol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3)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는 경우로서 availableFlagLXA 및 availableFlagLXB가 1인 경우이다. 유도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값이 동일하지 않다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수가 2개인 경우 추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해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가용성을 나타내는 availableFlagLXCol을 0으로 설정한다. 이때,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가용성 정보인 availableFlagLXCol가 소정의 값인 0이면,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지 않거나, 혹은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4)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지 않는 경우로서 availableFlagLXA 및 availableFlagLXB가 0인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과정을 수행하여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즉,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들어갈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가 2개이고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가 두개(availableFlagLXA, availableFlagLXB)가 모두 1이고 산출된 두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지 않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로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모두 사용하여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유도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였으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관련 정보로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고 유도된 두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경우,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가 어떤 값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유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예측 대상 블록(1500)의 콜 픽쳐에 존재하는 콜 블록(1520)으로부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예측 대상 블록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점이 (xP, yP), 예측 대상 블록의 너비값을 nPSW, 예측 대상 블록의 높이값을 nPSH라고 할 경우, 제1 콜 블록(1540)은 콜 픽쳐에 위치한 점(xP+nPSW, yP+nPSH)을 포함하는 블록, 제2 콜 블록(1560)은 콜 픽쳐에 위치한 점(xP+(nPSW>>1), yP+(nPSH>>1))을 포함한 블록이 될 수 있다. 제1 콜 블록에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지 못한 경우(예를 들어, 제1 콜 블록이 화면 내 예측 부호화된 경우), 제2 콜 블록에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될 수 있다. 산출되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는 제한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1개의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만이 산출되도록 하는 경우, 제1 콜 블록에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산출된다면, 제2 콜 블록에서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지 않을 수 있다.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경우, 예측 대상 블록이 포함된 픽쳐와 예측 대상 블록의 참조 픽쳐 사이의 거리와 콜 블록이 포함된 픽쳐와 콜 블록의 참조 픽쳐 사이의 거리 관계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값을 스케일링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availableFlagLXCol의 값이 결정된다. availableFlagLXCol에서 LX는 참조 영상 리스트 L0와 L1 중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이 어떤 참조 영상 리스트를 참조하는지에 대해 나타내며, LX는 L0 또는 L1으로 대체될 수 있다.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된 경우, availableFlagLXCol을 1로 설정하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지 않은 경우 availableFlagLXCol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이 참조 영상 리스트 L0를 참조하며, 도 15의 H 위치 블록으로부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었다면 availableFlagL0Col을 1로 설정하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지 않았다면 availableFlagL0Col을 0으로 설정한다.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한다(단계 S1430).
유도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된 순서대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availableFlagLXA, availableFlagLXB, 그리고 availableFlagLXCol의 값에 따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vailableFlagLXA는 1이며 availableFlagLXB는 0이며 그리고 availableFlagLXCol은 1일 경우,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mvLXA와 하나의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mvLXCol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한다. 또 다른 예로, availableFlagLXA는 1이며 availableFlagLXB는 1이며 그리고 availableFlagLXCol은 0일 경우,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들 mvLXA와 mvLXB을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또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판단하지 않고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또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유도되는 경우 바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는 소정의 크기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크기는 3일 수 있으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가장 먼저 추가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색인 값 0을 가지며, 가장 나중에 추가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색인 값 2를 가질 수 있다.
즉,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인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영 벡터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상기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수만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되도록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일부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제거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A1 블록으로부터 스케일링되지 않은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1, 0)가 유도되었고, B1 블록으로부터 스케일링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2,0)가 유도되었고, H 블록으로부터 스케일링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4, 1)가 유도되었다면,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들은 유도된 순서대로 우측의 표와 같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된다. 이때, A1 위치의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색인 값은 0, B1의 위치의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색인 값은 1, H의 위치의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색인 값은 2일 수 있다.
만약 표 3의 3번 경우와 같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2이고 유도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2개이고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2개가 서로 다른 경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2이므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따로 유도할 필요 없이 유도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에 순차적으로 인덱스를 부여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동일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제거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재구성한다(단계 S1440).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동일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동일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하나를 제거함으로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재구성한다.
예를 들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제거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동일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인덱스 0 및 인덱스 1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벡터인 경우, 이 중 작은 인덱스값을 가진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만을 남기고 나머지 동일한 값을 가진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제거할 수 있다. 제거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인덱스값보다 큰 인덱스값을 가진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인덱스값을 제거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만큼 변화시킨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 및 제거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를 조정한다(단계 S1450).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하거나 혹은 제거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P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내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 Q를 최종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라고 한다면, P의 크기와 Q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P가 Q 보다 작은 경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할 수 있고, P가 Q보다 큰 경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 및 제거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예를 들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가 2라고 가정하는 경우, 도 18의 상단을 참조하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한 개이므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영 벡터 (0,0)를 추가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8의 하단을 참조하면,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3개이므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중 인덱스값이 가장 큰 하나의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제거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로부터 최종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한다(단계 S1460).
전술한 단계 S1400으로부터 S1460을 통해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와 부호화기에서 전송된 최종 예측 움직임 벡터의 인덱스 정보를 기초로 움직임 보상에 사용할 최종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최종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부호화기에서 인덱스 1에 해당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최종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하였다는 정보를 전송한 경우 산출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인덱스 1에 해당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인 (-3,6)을 최종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0에서는 도 14 내지 도 19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도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서로 다른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지 않고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서로 동일한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한다.
1)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A0, A1)에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와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B0, B1, B2)에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가 모두 존재하고
2)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유도된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그룹에서 유도된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00).
단계 S2000은 전술한 단계 S1410과 동일하게 가용성 정보를 기초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하고 유도된 2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가용성 정보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제1 움직임 벡터 내지 제4 움직임 벡터는 전술한 도 4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1)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1 블록(A0) 또는 제2 블록(A1)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1 블록(A0) 또는 제2 블록(A1)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제1 블록(A0)과 제2 블록(A1)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3)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1 블록(A0) 또는 제2 블록(A1)에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제1 블록(A0)과 제2 블록(A1)에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4)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1 블록(A0) 또는 제2 블록(A1)에 제1 움직임 벡터, 제2 움직임 벡터 또는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제1 블록(A0)과 제2 블록(A1)에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1 블록(A0)와 제2 블록(A1)이 존재하지 않거나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1 블록(A0)와 제2 블록(A1)이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한 블록인 경우, 소정의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1 블록(A0)와 제2 블록(A1)이 존재하지 않거나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1 블록(A0)와 제2 블록(A1)이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한 블록이고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서 제3 블록, 제4 블록 또는 제5 블록에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서 유도된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를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가용성 정보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1)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3 블록(B0), 제4 블록(B1) 또는 제5 블록(B2)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3 블록(B0), 제4 블록(B1) 또는 제5 블록(B2)에 제1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제3 블록(B0), 제4 블록(B1) 또는 제5 블록(B2)에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3)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3 블록(B0), 제4 블록(B1) 또는 제5 블록(B2)에 제1 움직임 벡터 또는 제2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제3 블록(B0), 제4 블록(B1) 또는 제5 블록(B2)에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4)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에 포함된 제3 블록(B0), 제4 블록(B1) 또는 제5 블록(B2)에 제1 움직임 벡터, 제2 움직임 벡터 또는 제3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블록 그룹의 제3 블록(B0), 제4 블록(B1) 또는 제5 블록(B2)에 제4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단계 S2000에서 개시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한다(단계 S2010).
전술한 단계 S2000에서 개시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서로 다른 두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지만, 전술한 단계 S2000에서 개시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하나 이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하거나, 두개의 동일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존재한다. 따라서, 전술한 단계 S2000에서 개시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유도할 수 있다.
단계 S2000에서 개시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S2020).
단계 S2000에서 개시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를 0으로 설정한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산출한다(단계 S2030).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인덱싱되어 산출될 수 있다.
1)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2)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3)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동일한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제거한다(단계 S2040).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값과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값이 동일한 경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값을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서 제거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추가 및 제거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크기를 조정한다(단계 S2050).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2보다 작은 경우, 영 벡터와 같은 추가의 벡터를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고,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2보다 큰 경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의 인덱스 0 및 인덱스 1을 제외한 나머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제거할 수 있다.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로부터 최종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한다(단계 S2060).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하나를 예측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예측값인 최종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영상 부호화 및 영상 복호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서 전술한 각 영상 부호화기 및 영상 복호화기 장치의 각 구성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1 : 움직임 예측부
120 : 인트라 예측부
130 : 변환부
140 : 양자화부
150 : 엔트로피 부호화부

Claims (19)

  1. 삭제
  2.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들로부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 및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인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상기 예측 대상 블록의 복호화의 이전에 사용된 다른 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인 영상 복호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6.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들로부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 및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인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상기 예측 대상 블록의 복호화의 이전에 사용된 다른 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인 영상 복호화 방법.
  7. 삭제
  8.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들로부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 및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인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상기 예측 대상 블록의 부호화의 이전에 사용된 다른 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인 영상 부호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2.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들로부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 및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인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상기 예측 대상 블록의 부호화의 이전에 사용된 다른 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인 영상 부호화 방법.
  13. 제12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14. 삭제
  15. 영상의 복호화를 위한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중 예측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을 위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가리키는 인덱스 정보
    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들로부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가 결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가 결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 및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가 구성되고,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결정되고,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결정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모두 가용하고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가 유도되고,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는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가용성 정보 및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인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수보다 작은지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추가되고,
    상기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상기 예측 대상 블록의 복호화의 이전에 사용된 다른 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및 상기 인덱스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예측 대상 블록에 대한 상기 예측이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1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제2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는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가용한 경우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영상의 복호화를 위한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중 예측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을 위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를 가리키는 인덱스 정보
    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 대상 블록의 주변 예측 블록들로부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가 결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를 기초로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가 결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 및 상기 시간적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가 구성되고,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의 최대 개수인 최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수보다 작은지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에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가 추가되고,
    상기 추가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는 상기 예측 대상 블록의 복호화의 이전에 사용된 다른 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이고,
    상기 후보 예측 움직임 벡터 리스트 및 상기 인덱스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예측 대상 블록에 대한 상기 예측이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059912A 2011-09-16 2019-05-22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115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3564 2011-09-16
KR1020110093564 2011-09-16
KR1020110106108 2011-10-17
KR20110106108 2011-10-17
KR1020120005916A KR20130030181A (ko) 2011-09-16 2012-01-18 움직임 벡터 예측기를 이용한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120005916 2012-01-1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808A Division KR101983124B1 (ko) 2011-09-16 2018-07-11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872A Division KR102244085B1 (ko) 2011-09-16 2020-05-19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426A KR20190058426A (ko) 2019-05-29
KR102115003B1 true KR102115003B1 (ko) 2020-05-25

Family

ID=48179853

Famil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916A KR20130030181A (ko) 2011-09-16 2012-01-18 움직임 벡터 예측기를 이용한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120102214A KR101419011B1 (ko) 2011-09-16 2012-09-14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30105561A KR101879446B1 (ko) 2011-09-16 2013-09-03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30105562A KR101879447B1 (ko) 2011-09-16 2013-09-03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30105559A KR101419012B1 (ko) 2011-09-16 2013-09-03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80080801A KR101973487B1 (ko) 2011-09-16 2018-07-11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80080804A KR101983123B1 (ko) 2011-09-16 2018-07-11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80080808A KR101983124B1 (ko) 2011-09-16 2018-07-11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90059912A KR102115003B1 (ko) 2011-09-16 2019-05-22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200059872A KR102244085B1 (ko) 2011-09-16 2020-05-19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210050657A KR102357774B1 (ko) 2011-09-16 2021-04-19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220011342A KR102482553B1 (ko) 2011-09-16 2022-01-26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220183937A KR102594969B1 (ko) 2011-09-16 2022-12-26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230142692A KR20230150929A (ko) 2011-09-16 2023-10-24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916A KR20130030181A (ko) 2011-09-16 2012-01-18 움직임 벡터 예측기를 이용한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120102214A KR101419011B1 (ko) 2011-09-16 2012-09-14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30105561A KR101879446B1 (ko) 2011-09-16 2013-09-03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30105562A KR101879447B1 (ko) 2011-09-16 2013-09-03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30105559A KR101419012B1 (ko) 2011-09-16 2013-09-03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80080801A KR101973487B1 (ko) 2011-09-16 2018-07-11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80080804A KR101983123B1 (ko) 2011-09-16 2018-07-11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180080808A KR101983124B1 (ko) 2011-09-16 2018-07-11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872A KR102244085B1 (ko) 2011-09-16 2020-05-19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210050657A KR102357774B1 (ko) 2011-09-16 2021-04-19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220011342A KR102482553B1 (ko) 2011-09-16 2022-01-26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220183937A KR102594969B1 (ko) 2011-09-16 2022-12-26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0230142692A KR20230150929A (ko) 2011-09-16 2023-10-24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8) US9451281B2 (ko)
EP (4) EP2757784A4 (ko)
JP (9) JP6046142B2 (ko)
KR (14) KR20130030181A (ko)
CN (6) CN108377395B (ko)
BR (2) BR122014015724B1 (ko)
CA (8) CA3114709C (ko)
DK (1) DK3258692T3 (ko)
PL (1) PL3637774T3 (ko)
WO (1) WO20130393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1458B (zh) * 2010-12-14 2020-01-03 M&K控股株式会社 用于编码运动画面的设备
AU2011362447B2 (en) * 2011-03-14 2015-09-24 Hfi Innov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riving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KR20130030181A (ko) 2011-09-16 2013-03-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움직임 벡터 예측기를 이용한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40121315A (ko) 2013-04-04 2014-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참조 픽처 리스트를 이용한 다 계층 기반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02716A (ko) * 2013-04-11 2016-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313765B2 (en) 2015-09-04 2019-06-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lective communication of a vector graphics format version of a video content item
MX2019007219A (es) 2016-12-22 2019-09-05 Kt Corp Metodo y aparato para procesar señales de video.
KR102574479B1 (ko) * 2017-09-13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본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부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WO2019147067A1 (ko) 2018-01-26 2019-08-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간적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및 영상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91217A (ko) 2018-01-26 2019-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간적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및 영상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240528B2 (en) 2018-01-30 2022-02-01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otion vector prediction for video coding using motion vector predictor origins
CN112204966A (zh) * 2018-03-27 2021-01-08 株式会社Kt 视频信号处理方法和装置
WO2020005046A1 (ko) * 2018-06-30 2020-01-02 김기백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12703731A (zh) * 2018-07-27 2021-04-23 三星电子株式会社 基于子块对图像进行编码的方法和装置以及对图像进行解码的方法和装置
CA3107531A1 (en) * 2018-07-31 2020-02-06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merge with motion vector difference for video coding
WO2020031912A1 (ja) 2018-08-06 2020-02-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表示システム及び車両
US11019357B2 (en) * 2018-08-07 2021-05-25 Qualcomm Incorporated Motion vector predictor list generation
US10958932B2 (en) 2018-09-12 2021-03-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prediction coding of video data using generated motion vector predictor list including non-adjacent blocks
KR20210074280A (ko) * 2018-09-21 2021-06-21 브이아이디 스케일, 인크. 아핀 모델 기반 비디오 코딩에 대한 아핀 모션 추정
US10893291B2 (en) * 2018-09-28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Ultimate motion vector expression with adaptive directional information set
US11284066B2 (en) * 2018-10-10 2022-03-22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 block copy in intra-inter blending mode and triangle prediction unit mode
CN111131830B (zh) 2018-10-31 2024-04-1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重叠块运动补偿的改进
CN117560503A (zh) * 2019-01-13 2024-02-13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重叠块运动补偿和其他工具之间的协调
US10904553B2 (en) * 2019-01-22 2021-01-26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MX2021014880A (es) * 2019-06-13 2022-01-18 Beijing Dajia Internet Information Tech Co Ltd Prediccion de vector de movimiento para codificacion de video.
CN113727119B (zh) * 2020-05-20 2023-03-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帧间预测方法、编码器、解码器以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231A (en) * 1992-10-13 1998-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motion vector decision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 image stabilizer system
EP1128678A1 (en) * 2000-02-24 2001-08-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JP4114859B2 (ja) 2002-01-09 2008-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符号化方法および動きベクトル復号化方法
KR100492127B1 (ko) * 2002-02-23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형 움직임 추정장치 및 추정 방법
WO2004040915A1 (ja) * 2002-11-01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動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動画像復号化方法
CN1723477A (zh) * 2002-12-11 2006-01-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视频编码方法和相应的计算机程序
JP5025645B2 (ja) 2005-06-23 2012-09-12 トライデント マイクロ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き推定方法
JP2010509799A (ja) * 2006-11-03 2010-03-2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映像の予測符号化方法及び装置、その復号化方法及び装置
KR101366241B1 (ko) * 2007-03-28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835342B1 (ko) * 2007-10-16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5194833B2 (ja) * 2008-01-23 2013-05-08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9115901A2 (en) * 2008-03-19 2009-09-24 Nokia Corporation Combined motion vector and reference index prediction for video coding
JP5406465B2 (ja) * 2008-04-24 2014-02-05 株式会社Nttドコモ 画像予測符号化装置、画像予測符号化方法、画像予測符号化プログラム、画像予測復号装置、画像予測復号方法及び画像予測復号プログラム
JP4697275B2 (ja) * 2008-07-30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686393B (zh) * 2008-09-28 2012-10-17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用于模板匹配的快速运动搜索方法及装置
KR101377527B1 (ko) * 2008-10-14 2014-03-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수 개의 참조 픽처의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20100166073A1 (en) 2008-12-31 2010-07-01 Advanced Micro Devices, Inc. Multiple-Candidate Motion Estimation With Advanced Spatial Filtering of Differential Motion Vectors
WO2010131903A2 (en) * 2009-05-12 2010-11-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KR20110008653A (ko) * 2009-07-20 201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벡터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1752418B1 (ko) * 2010-04-09 201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8824558B2 (en) * 2010-11-23 2014-09-0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spatial motion vector prediction
CN106231339B (zh) * 2011-01-07 2019-07-09 Lg电子株式会社 视频编码和解码的装置
HUE056367T2 (hu) 2011-03-21 2022-02-28 Lg Electronics Inc Eljárás mozgásvektor elõrejelzõk kiválasztására
US9247249B2 (en) * 2011-04-2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Motion vector prediction in video coding
ES2779226T3 (es) * 2011-05-31 2020-08-14 Sun Patent Trust Procedimiento de descodificación de vídeo y dispositivo de descodificación de vídeo
EP3182703A1 (en) * 2011-06-14 2017-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motion inform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same
WO2013001818A1 (ja) 2011-06-30 2013-01-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復号装置
KR20130030181A (ko) * 2011-09-16 2013-03-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움직임 벡터 예측기를 이용한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anle Chen & Tammy Lee, "MVP index parsing with fixed number of candidates", JCTVC-6th meeting, 14-22 July, 2011, JCTVC-F4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94168B2 (en) 2019-01-29
US10750202B2 (en) 2020-08-18
JP2018152905A (ja) 2018-09-27
KR20210046621A (ko) 2021-04-28
US20190110067A1 (en) 2019-04-11
EP3258692B1 (en) 2019-12-04
CA2994615A1 (en) 2013-03-21
KR101879447B1 (ko) 2018-07-17
CN108366266B (zh) 2022-08-05
EP2757784A2 (en) 2014-07-23
JP2016174428A (ja) 2016-09-29
KR20230008661A (ko) 2023-01-16
CN108377395A (zh) 2018-08-07
CA2994619A1 (en) 2013-03-21
CA2994615C (en) 2021-04-06
CN108377395B (zh) 2022-08-09
CA2994621C (en) 2020-07-14
JP2024026898A (ja) 2024-02-28
KR20180083288A (ko) 2018-07-20
CN108391138A (zh) 2018-08-10
JP6855413B2 (ja) 2021-04-07
KR20180083289A (ko) 2018-07-20
CA3114709C (en) 2023-11-07
US20190110068A1 (en) 2019-04-11
CA3114709A1 (en) 2013-03-21
EP3258692A1 (en) 2017-12-20
CN108366269B (zh) 2022-08-09
CA2994623C (en) 2021-01-26
KR20180083287A (ko) 2018-07-20
JP2018152904A (ja) 2018-09-27
KR101419012B1 (ko) 2014-07-14
KR101973487B1 (ko) 2019-04-29
KR20200057692A (ko) 2020-05-26
JP2014526838A (ja) 2014-10-06
US10743022B2 (en) 2020-08-11
US10708615B2 (en) 2020-07-07
JP2018152903A (ja) 2018-09-27
JP2018152902A (ja) 2018-09-27
BR122014015724B1 (pt) 2022-05-24
EP3637774A1 (en) 2020-04-15
US10194167B2 (en) 2019-01-29
CN108366266A (zh) 2018-08-03
US20240098302A1 (en) 2024-03-21
CA2994621A1 (en) 2013-03-21
KR101983123B1 (ko) 2019-05-30
WO2013039356A2 (ko) 2013-03-21
KR20130113400A (ko) 2013-10-15
BR112014006320B1 (pt) 2022-05-24
CN103988509A (zh) 2014-08-13
US20160360229A1 (en) 2016-12-08
KR101983124B1 (ko) 2019-05-29
PL3637774T3 (pl) 2024-05-20
JP2018152901A (ja) 2018-09-27
KR102244085B1 (ko) 2021-04-23
JP6855412B2 (ja) 2021-04-07
US20140348241A1 (en) 2014-11-27
JP6416156B2 (ja) 2018-10-31
KR101419011B1 (ko) 2014-07-14
CN103988509B (zh) 2018-03-23
KR102594969B1 (ko) 2023-10-30
WO2013039356A3 (ko) 2013-05-16
CA2994619C (en) 2021-05-25
JP6046142B2 (ja) 2016-12-14
EP4336831A3 (en) 2024-03-27
KR102357774B1 (ko) 2022-02-08
KR20220017460A (ko) 2022-02-11
CN108391138B (zh) 2022-05-31
CA2994625C (en) 2020-12-15
KR20130110122A (ko) 2013-10-08
CA2849004A1 (en) 2013-03-21
JP2021036718A (ja) 2021-03-04
EP2757784A4 (en) 2015-08-26
CN108391124B (zh) 2022-09-02
KR20130030232A (ko) 2013-03-26
CA2994625A1 (en) 2013-03-21
US20190110066A1 (en) 2019-04-11
JP6855411B2 (ja) 2021-04-07
US11871031B2 (en) 2024-01-09
CA2994623A1 (en) 2013-03-21
US9451281B2 (en) 2016-09-20
CN108391124A (zh) 2018-08-10
DK3258692T3 (da) 2020-01-27
KR101879446B1 (ko) 2018-07-17
KR20130111501A (ko) 2013-10-10
CA3214829A1 (en) 2013-03-21
KR20230150929A (ko) 2023-10-31
BR112014006320A2 (pt) 2017-04-11
EP4336831A2 (en) 2024-03-13
CA2849004C (en) 2018-03-27
EP3637774B1 (en) 2023-11-22
JP6855414B2 (ja) 2021-04-07
CN108366269A (zh) 2018-08-03
KR102482553B1 (ko) 2022-12-30
KR20130030181A (ko) 2013-03-26
US20200344490A1 (en) 2020-10-29
KR20190058426A (ko) 2019-05-29
US20160366436A1 (en)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003B1 (ko) 예측 움직임 벡터 유도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