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255B1 - Photovoltaic system with adaptable means to uneven settlement - Google Patents

Photovoltaic system with adaptable means to uneven sett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255B1
KR102114255B1 KR1020180097487A KR20180097487A KR102114255B1 KR 102114255 B1 KR102114255 B1 KR 102114255B1 KR 1020180097487 A KR1020180097487 A KR 1020180097487A KR 20180097487 A KR20180097487 A KR 20180097487A KR 102114255 B1 KR102114255 B1 KR 10211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tubular
tubular weight
weight
weigh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1745A (en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프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프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프에너지
Priority to KR102018009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255B1/en
Publication of KR20200021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7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2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지 등의 대상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에 세워지는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기초부 상에 상기 태양광 패널의 적어도 일 배열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기초부에 자중이 작용할 수 있게 설치되는 관상 중량체를 포함하는,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ortion installed on the target ground, such as a landfill; A plurality of struts erected on the foundation; A solar panel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ost; And a tubular weight body formed to extend along at least one arrangement of the photovoltaic panels on the base portion and installed to allow self-weight to act on the base portion. It is about.

Description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PHOTOVOLTAIC SYSTEM WITH ADAPTABLE MEANS TO UNEVEN SETTLEMENT}Photovoltaic system with ADAPTABLE MEANS TO UNEVEN SETTLEMENT for photovoltaic settlement in landfills

본 발명은 매립지 등의 연약지반에서 발생되는 부등침하에 대응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uneven settlement occurring in soft ground such as a landfill.

현대 사회는 다양한 전자 제품 및 설비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해당 제품 및 설비는 동력원이 전기이므로, 해당 전기에 대한 생산 및 보급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The modern society is composed of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nd equipment. Since the power source of this product and equipment is electricity, the importance of production and supply for the electricity is increasing day by day.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재료를 소비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화력 발전 및 원자력 발전과, 자연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풍력 발전, 태양전 발전, 수력 발전, 파력 발전 등이 있다.General methods of producing electrical energy include thermal power generation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that consume power to generate electricity, and wind power generation, solar power generation,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and wave power generation, which convert natur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이 중 생산단가 등의 생산 효율성을 고려하는 경우, 원자력 발전이 가능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 방법이다. 하지만, 최근 일본에서 발생된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같은 문제점과 핵폐기물의 처리 등의 이유에 의해 탈원전에 대한 국제적인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Among these, when considering production efficiency such as production cost, nuclear power generation is an efficient energy production method. However, international demand for de-nuclearization continues due to problems such as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in Japan recently, and reasons for the disposal of nuclear waste.

따라서, 아직은 생산 효율이 원자력 발전에 비해 높지 않은 친환경 발전 방법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Accordingly,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eco-friendly power generation methods in which production efficiency is not high compared to nuclear power generation.

친환경 발전은, 자연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방법으로 태양광 발전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As for the eco-friendly power generatio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known as a power generation method that converts natural energy into electric energy.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 패널을 통해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기술이다. 패널 한 장당 발전 효율이 높지 않기 때문에 많은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응되는 수의 패널을 설치해야하므로, 넓은 설치 면적이 요구된다. Solar power generation is a power generation technology that converts solar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hrough a solar panel. Sinc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per panel is not high, in order to produce a lot of power, a corresponding number of panels must be installed, so a large installation area is required.

우리나라는 국토의 대다수가 산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반 평지의 경우 높은 토지 비용이 발생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태양광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 선택이 요구된다.In Korea, the majority of the country is formed of mountains, and in the case of general flat land, high land cost is required, so it is required to select a place to install sunlight more efficientl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쓰레기를 매립하는 매립장을 태양광 발전 입지로 선정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selecting a landfill site for landfilling waste a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ite is being considered.

매립장은, 소각이 어려운 쓰레기를 땅속에 매립하여 부패시키는 장소로, 쓰레기 부패에 따른 오염에 따라 다른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The landfill site is a place where waste that is difficult to be incinerated is buried in the ground and decays, and has not been utilized for other purposes due to pollution caused by decay of garbage.

따라서, 매립장에 태양광 발전을 설치하는 경우, 활용도가 전무했던 매립장의 용도를 다양화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친환경인 신재생 에너지까지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Therefore, when installing solar power in a landfill, it may be possible to secure not only diversified uses of landfill, but also eco-friendly renewable energy.

하지만, 매립장은 내부에서 쓰레기가 부패되고 있으므로, 해당 부패나 빗물의 유입에 의해 매립장의 일부가 침하되는 부등침하의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매립장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해당 부등침하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인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However, since the waste is decaying inside the landfill, there may be a problem of unequal settlement in which part of the landfill is settled due to the decay or inflow of rainwater. Therefore, when a photovoltaic device is installed in a landfill, it is essential that a method to cope with the inequality settl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연약지반에서 발생되는 부등침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voltaic device capable of preparing for a subsidence settlement such as a landfill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photovoltaic device that may be caused by the subsidence settled on the soft ground.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매립지 등의 대상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에 세워지는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기초부 상에 상기 태양광 패널의 적어도 일 배열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기초부에 자중이 작용할 수 있게 설치되는 관상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A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capable of preparing for uneven settlement of landfills,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base unit installed on a target ground such as landfills; A plurality of struts erected on the foundation; A solar panel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ost; And it is formed to extend along at least one arrangement of the photovoltaic panel on the base portion, it may include a tubular weight that is installed to the self-weight on the base portion.

여기서, 상기 기초부는 상기 태양광 패널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속된 줄기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ase portion may be formed in a continuous stem-like shape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olar panel.

여기서, 상기 기초부는 상기 태양광 패널의 배열방향을 복수 개가 이격된 점기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ase portion may be formed in a point-based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he array directions of the solar panels are spaced apart.

여기서, 상기 관상 중량체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밀폐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tubular weight may be formed in a closed form so that water can be stored.

여기서, 상기 관상 중량체는, 상기 태양광 패널의 배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관상 중량체 및 제2 관상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ubular weight body may include a first tubular weight body and a second tubular weight body disposed in parallel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olar panel.

여기서, 물이 상기 제1 관상 중량체로부터 상기 제2 관상 중량체로 흐를 수 있도록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 connection part may be further included to allow water to flow from the first tubular weight to the second tubular weight.

여기서, 상기 제1 관상 중량체의 높이가 상기 제2 관상 중량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height of the first tubular weight may be higher than the second tubular weight.

여기서, 상기 관상 중량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adjustment unit form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ubular weight.

여기서, 상기 태양과 패널에 떨어지는 우수 또는 냉각수를 수집하여 상기 관상 중량체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우수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rainwater collection unit formed to collect rainwater or cooling water falling on the sun and the panel and guide it to the tubular weight.

여기서, 상기 관상 중량체에 저장된 우수를 순환시키는 우수 순환부; 및 상기 우수 순환부를 통해 순환된 우수를 상기 태양광 패널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ainwater circulation unit for circulating the rainwater stored in the tubular body; And an injection unit spraying rainwater circulated through the rainwater circulation unit to the solar panel.

여기서, 상기 우수 수집부에 설치되어 초기 우수를 배출시키는 초기 우수 배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initial rainwater exclusion unit installed in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to discharge the initial rainwater.

여기서, 상기 기초부는, 상기 지주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되는 앵커부; 및 상기 관상 중량체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브래킷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ase portion, the anchor portion is formed to be able to secure the post; And a bracket portion formed to fix the tubular weight bod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하면 서로 연결된 복수의 기초에 대하여 자중 및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hotovoltaic device capable of preparing for uneven settlement such as a landfil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self-weight and support for a plurality of founda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낙수되는 우수를 수집하여 활용함으로써, 우수에 의한 매립지의 침출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ollecting and utilizing rainwater that fall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leachate from the landfill due to rainwater.

또한, 수집된 우수를 저장하여 자중을 발생시키므로,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llected rainwater is stored to generate a self-weight, it is possible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또한, 태양광 패널에 의해 그림자가 발생되는 영역을 통해 우수를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우수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storing rainwater through an area where shadows are generated by the solar panel, cooling efficiency of the stored rainwater can be increased.

또한, 저장된 우수를 순환시켜 태양광 패널에 분사함으로써, 패널에 대한 세척 및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irculating the stored rainwater and spraying it on the solar pane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eaning and cooling efficiency for the panel.

도 1은, 매립지에 설치된 줄기초 구조의 태양광 발전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점기초 구조의 태양광 발전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관상 중량체(381, 383)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부(470)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581)이 구비된 관상 중량체(5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고정대(681)가 구비된 관상 중량체(6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관상 중량체(7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결합부(870)에 의해 지주(831)에 결합되는 관상 중량체(881, 88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100 having a stem structure installed in a landfill.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olar power generator 100 'having a point-based struct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photovolta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hotovoltaic device 300 equipped with a pair of tubular weights 381 and 38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hotovoltaic device 400 having a position adjusting unit 47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tubular weight body 580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58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tubular weight 680 with a weight holder 68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rotatable tubular weight 7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ubular weight (881, 883) coupled to the support 831 by a weight body coupling portion 87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photovoltaic device capable of preparing for uneven settlement such as a landfi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매립지에 설치된 줄기초(110) 구조의 태양광 발전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점기초(110') 구조의 태양광 발전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hotovoltaic device 100 of the stem grass 110 structure installed in a landfill,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hotovoltaic device 100 'of the point base 110' structure Is a conceptual diagram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지(L)는 쓰레기(G)와 같은 폐기물을 매립하는 장소이다. 다시말해, 매립지(L)는 일반적으로 소각되지 않는 쓰레기(G)를 땅속에 묻어서 자연 부패시키는 장소이다. 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landfill (L) is a place for landfilling waste such as garbage (G). In other words, the landfill (L) is a place that naturally decays by burying garbage (G) that is not generally incinerated.

이와 같은 매립지(L)는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쓰레기(G) 때문에 매립지(L) 이외의 용도로 활용될 수 없다. 따라서, 해당 부지에 대한 활용도가 매립지(L)에 한정되는 문제가 존재했다.Such a landfill L cannot be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the landfill L because of the garbage G embedded therein.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of the site is limited to the landfill (L).

이러한 매립지(L)에 태양광 발전장치(100)를 설치함으로써, 부지의 활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대면적을 요구하는 태양광 설비의 설치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By installing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100 in such a landfill (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ite and at the same time meet the installation requirements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requiring a large area.

태양광 발전장치(100)는, 태양광 패널(150) 당 발전 효율이 높지 않아 높은 용량의 전력 확보를 위해서는 다수의 패널(150)을 설치할 수 있는 넓은 면적이 요구된다.The photovoltaic device 100 does not have high power generation efficiency per photovoltaic panel 150, and thus requires a large area to install a plurality of panels 150 in order to secure high-capacity power.

따라서, 매립지(L)와 같이 대체로 넓은 면적을 갖고 있으며, 활용 빈도가 낮은 부지는 생산성을 고려할 경우 최적의 장소가 될 수 있다.Therefore, a site having a large area, such as a landfill (L), and having a low frequency of utilization may be an optimal place when productivity is considered.

하지만, 매립지(L) 내부에는 쓰레기(G)가 존재하고, 부패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해당 부패에 따른 침출수에 의해 매립지(L)의 일부 침하인 부등침하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garbage G exists inside the landfill L and corruption is in progress, uneven settlement, which is a partial settlement of the landfill L, may occur due to leachate caused by the corruption.

태양광 발전장치(100)는 다수의 태양광 패널(15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일부 영역에서 부등침하가 발생되면, 해당 영역의 태양광 패널(150)뿐 아니라 이와 연결되는 다른 태양광 패널(150)에도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Since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hotovoltaic panels 150 are continuously arranged, when an uneven settlement occurs in some areas, the photovoltaic panel 150 of the corresponding area as well as other photovoltaic devices connected thereto Damage may also occur in the panel 150.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관상 중량체(180)를 태양광 발전장치(100) 기초부(110)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embodiment of FIGS. 1 and 2, the tubular weight body 180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base 110 of the photovoltaic device 100.

다시말해, 태양광 발전장치(100)는, 매립지(L)와 같은 연약지반의 대상 지면(S)에 콘크리트와 같은 재질로 기초부(11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에는 기초부(110)로, 태양광 패널(150)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속된 줄기초 형태를 적용하고, 도 2에서는 태양광 패널(150)의 배열방향과 복수 개가 이격된 점기초 형태로 기초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hotovoltaic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base 110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ncrete on the target ground S of soft ground, such as a landfill L. In FIG. 1, a continuous stem-like shape is applied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hotovoltaic panel 150 to the foundation 110, and in FIG. 2, a point-based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arrangement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the photovoltaic panels 150 are spaced apart The base portion 110 ′ may be formed.

이러한 기초부(110, 110') 상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지주(130)가 세워지고, 지주(130) 상에는 태양광 패널(150)이 복수로 결합되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struts 1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built on the foundations 110 and 110 ', and a plurality of solar panels 150 are combined on the struts 130 to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이때, 줄기초나 점기초에 상관없이 각 기초부(110, 110') 상에는 태양광 패널(150)의 적어도 일 배열을 따라 연장되게 관상 중량체(18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ubular weight body 180 may be extended to extend along at least one arrangement of the solar panel 150 on each of the foundations 110 and 110 ′ regardless of the stem or the point base.

관상 중량체(180)는, 그 내부에 우수, 지하수, 냉각수, 및 세척수와 같은 중량체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관상 중량체(180)에 중량체가 수용되는 경우, 그 무게만큼 각 기초부(110, 110')에 자중을 작용할 수 있다. The tubular weight body 180 may accommodate weight bodies such as rainwater, groundwater, cooling water, and washing water therein. Therefore, when a weight body is accommodated in the tubular weight body 180, a self-weight can be applied to each of the base parts 110 and 110 'by the weight.

또한, 관상 중량체(180)는 기초부(110)와 복수의 영역에서 결합됨에 따라, 기초부(110)가 위치한 매립지(L) 일 영역에서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영역과 결합된 관상 중량체(180)의 지지력에 의해 태양광 설비의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tubular weight body 180 is coupled in a plurality of regions with the base portion 110, even if an uneven settlement occurs in one region of the landfill L where the base portion 110 is located, the tubular weight combined with the other region By the support force of the sieve 180 it is possible to prevent uneven settlement of the solar installation.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장치(100)에 의하면, 관상 중량체(180)에 의해 기초부(110)에 대한 자중을 발생시켜 풍하중에 대항함은 물론, 부등침하에 의한 기초부(110)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hotovoltaic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the self-weight of the base portion 110 is generated by the tubular weight body 180 to fight the wind load, as well as to prevent the settlement of the base portion 110 due to uneven settlement. Can be prevented.

이상은 관상 중량체를 구비한 태양광 설비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도 3에서는 상술한 태양광 설치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with a tubular weight has been briefly described. In Figure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solar install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photovolta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 및 타 실시예에 관상 중량체(180)에 저장되는 우수(W, 이하 생략)가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관상 중량체(180)에 저장되거나, 분사부(210)에 의해 분사되는 물질은 우수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수돗물, 지하수, 및 첨가제가 포함된 세척수 등의 다양한 액상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superiority (W, hereinafter omitted) stored in the tubular weight body 180 is described in this and other examples. However, the material stored in the tubular weight body 180 or sprayed by the spraying unit 210 is not limited to stormwater, and may include various liquid materials such as tap water, ground water, and washing water containing additives.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장치(100)는 기초부(110), 지주(130), 패널 지지부(140), 태양광 패널(150), 우수 수집부(160), 초기 우수 배제부(170), 관상 중량체(180), 우수 순환부(190), 및 분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photovoltaic device 100 includes a base portion 110, a pillar 130, a panel support portion 140, a solar panel 150, a rainwater collection portion 160, and an initial rainwater exclusion portion 170 ), A tubular weight body 180, a rainwater circulation unit 190, and an injection unit 210.

기초부(110)는, 매립지(L) 등의 대상 지면(S)에 설치되어 지주(13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매립지(L)뿐 아니라, 지반이 연약한 다양한 연약지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초부(110)는, 기초 몰탈(111), 앵커부(113), 및 브래킷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11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pillar 130 by being installed on a target ground S such as a landfill L. In addition to landfill (L),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soft grounds with soft ground. To this end, the foundation 110 may include a foundation mortar 111, an anchor portion 113, and a bracket portion 115.

기초 몰탈(111)은, 콘크리트와 같이 재질로 양생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150)의 일 배열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속성 여부에 따라 줄기초 또는 점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 기초 몰탈(111)은 매립지의 대상 지면(S)에 일부 삽입되고, 나머지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ase mortar 111 may be formed by curing with a material such as concrete,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one arrangement of the solar panel 150 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continuity, it may be formed as a stem or a point base. The base mortar 111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arget ground S of the landfill, and the rest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앵커부(113)는, 후술하는 지주(130)를 기초 몰탈(111)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일부는 기초 몰탈(111)에 삽입되어 같이 양생되고, 일부는 기초 몰탈(111) 상에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L' 형상 앵커부(113)가 기초 몰탈(111)에 삽입되어 지주(130)에 결합될 수 있다.The anchor portion 113 is a means for fixing the pos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basic mortar 111, some of which are inserted into the basic mortar 111 to be cured together, and some to be exposed on the basic mortar 111. Can be.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L' shaped anchor portions 113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may be inserted into the foundation mortar 111 and coupled to the support 130.

브래킷부(115)는, 후술하는 관상 중량체(180)가 기초 몰탈(111) 상에 배치되는 경우, 이를 기초 몰탈(111)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브래킷부(115)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관상 중량체(180)를 삽입한체로 기초 몰탈(111)에 결합될 수 있다.The bracket 115 is a means for fixing the tubular weight 1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foundation mortar 111 when it is disposed on the foundation mortar 111. To this end, the bracket portion 115 is formed in a '∩' shape and may be coupled to the base mortar 111 by inserting a tubular weight body 180 therein.

지주(130)는, 기초부(110) 상에 세워져서 후술하는 패널 지지부(1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주(130)는 메인 지주(131) 및 지주 연결대(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llar 130 can be built on the foundation 110 to support the panel support 140 described later. To this end, the pillar 130 may include a main pillar 131 and a pillar connecting rod 133.

메인 지주(131)는, 일단이 기초부(110)의 앵커부(113)와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 지주(131)는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메인 지주(131)는 서로 결합되는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회전되어 높이 조절되거나, 복수의 관통홀과 탄성 버튼이 각 지주(130)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끼움 및 분리되는 방식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main post 131 may be installed such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anchor portion 113 of the base portion 110 and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prop 131 may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For example, the main post 13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upled to each other to be rotated and adjusted to each other, or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elastic button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each post 130 so that the heights can be adjusted to fit and separate from each other. Can be.

메인 지주(131)는, 기초부(110)의 반대측에 위치한 타단을 통해 후술하는 패널 지지부(140)와 결합하여 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지주(131)와 패널 지지부(140)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각도 조절부가 구비되어 패널 지지부(140)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The main post 131 may b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panel support 140 described later through the other end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110. At this time, an angle adjustment unit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post 131 and the panel support 140 to adjust the angle of the panel support 140.

지주 연결대(133)는, 메인 지주(131)와 다른 위치에서 패널 지지부(14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로 구성되어 일단은 지주(130)와 연결되고, 타단은 패널 지지부(140)와 결합되어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인 지주 연결대(133) 각각은 메인 지주(131)의 동일한 부위에 각 일단이 결합되고, 각 타단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패널 지지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지주 연결대(133)는 다른 지주 연결대(133)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이들의 결합에 의해 패널 지지부(140)가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trut connecting rod 133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panel support 140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main strut 131,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nds connected to the strut 1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anel support 140. Can be combined and supported. Each of the plurality of strut connecting rods 133 has one end coupled to the same portion of the main strut 131, and each other end can be combined with the panel support 140 at different positions. At this time, any one of the support connecting rod 133 is formed longer than the other support connecting rod 133, the panel support 140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by their combination.

패널 지지부(140)는, 태양광 패널(150)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 지지대(141) 및 제2 지지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support 14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141 and a second support 143 as a means for supporting the solar panel 150.

제1 지지대(141)는, 메인 지주(131) 및 지주 연결대(133)와 각각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141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by being coupled to the main post 131 and the post connection 133, respectively.

제2 지지대(143)는, 제1 지지대(141) 상에서 태양광 패널(150)의 배열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143 may be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solar panel 150 on the first support 141.

제1 지지대(141) 및 제2 지지대(143)는 태양광 패널(150)에 대응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대(141) 및 제2 지지대(143)는 서로 교차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141 and the second support 143 may be configured in a plurality corresponding to the solar panel 150. Therefore, the first support 141 and the second support 143 may be combined in a state of crossing each other.

태양광 패널(150)은, 패널 지지부(140) 상에 설치되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패널 지지부(140)가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태양광 패널(150) 역시 패널 지지부(140)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solar panel 150 is installed on the panel support 140 to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t this time, as the panel support 140 is installed obliquely in one direction, the solar panel 150 may also be arranged obliquely along the panel support 140.

우수 수집부(160)는, 태양광 패널(150)을 따라 낙수되는 우수를 수집하여 이를 관상 중량체(180)에 안내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우수 수집부(160)는 빗물받이(161) 및 우수 안내관(163)을 포함할 수 있다.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160 is a means for collecting rainwater falling along the solar panel 150 and guiding it to the tubular weight 180. To this end,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160 may include a rain gutter 161 and a rainwater guide tube 163.

빗물받이(161)는, 태양광 패널(150)의 하부측을 따라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150)을 따라 낙수되는 우수와 같은 액상 물질을 수집할 수 있다. Rain gutter 161 is installed along the lower side of the solar panel 150, it is possible to collect a liquid material such as rainwater falling along the solar panel 150.

우수 안내관(163)은, 빗물받이(161)에서 수집된 우수를 관상 중량체(180)로 안내하는 관일 수 있다. 따라서, 우수 안내관(163)은 일단이 빗물받이(161)에 연통되고, 타단은 관상 중량체(180)에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rainwater guide tube 163 may be a tube that guides rainwater collected from the rain gutter 161 to the tubular weight 180. Therefore, the rainwater guide pipe 163 may be installed such that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rain gutter 161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tubular weight 180.

초기 우수 배제부(170)는, 우수 수집부(160)에서 수집되는 우수 중 초기 우수를 배제하기 위한 수단이다. 강우 시 또는 태양광 패널(150)에 대한 세척으로 우수 수집부(160)에 초기에 수집되는 우수는 다량의 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초기 우수를 재순환하여 이용하는 것은 오히려 설비의 오염을 유발하여 설비 전체의 효율성을 저하시킬수 있다. 따라서, 초기 우수 배제부(170)는, 빗물받이(161) 또는 우수 안내관(1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초기 우수를 관상 중량체(180)가 아닌 다른 경로 배출시킬 수 있다. The initial rainwater exclusion unit 170 is a means for excluding the initial rainwater from among the rainwater collected by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160. The rainwater collected initially in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160 during rain or by washing on the solar panel 150 may include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Therefore, recycling and using the initial rainwater may cause pollution of the facility,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facility. Accordingly, the initial rainwater exclusion unit 17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rain gutter 161 or the rainwater guide pipe 163 to discharge the initial rainwater through a path other than the tubular weight 180.

예컨데, 초기 우수 배제부(170)는 우수 안내관(163)에서 선택적을 개방되는 밸브 및 외부 연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강우 센서와 같은 센서부에 의해 강우 정보가 감지되면, 설정된 기준 시간 정보까지 우수 안내관(163)과 상기 외부 연결관과 연통되도록 밸브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기준 시간 정보는 초기 우수로 판단하는 시간에 관한 정보로, 해당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밸브를 제어하여 와부 연결관과의 연결을 폐쇄하고 기본 경로로 우수를 안내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initial rainwater exclusion unit 170 may be formed of a valve and an external connection pipe that are selectively opened in the rainwater guide pipe 163. Accordingly, when rain information is detected by a sensor unit such as a rain sens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may be controlled to communicate with the rain guide tube 163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until the set reference time information. The reference time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garding the time determined as the initial rainwater, and when the time has elapsed, the valve may be controlled again to close the connection with the vortex connector and guide rainwater to the basic route.

관상 중량체(180)는, 기초부(110) 상에 결합된체로 내부에 물과 같은 우수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상 중량체(180)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관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저장된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구는 우수 안내관(163)과 연통되고, 배출구는 후술하는 우수 순환관(191)과 연통될 수 있다.The tubular weight body 180 is a body coupled on the base portion 110 and may be a means for storing rainwater such as water therein. To this end, the tubular weight body 180 may be formed of a tubular body having a closed interior space, and may include an inlet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and an outlet through which stored rainwater is discharged. The inlet por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ainwater guide pipe 163, and the outlet port can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rainwater circulation pipe 19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관상 중량체(180)는 기초부(110) 상에서 태양광 패널(150)의 적어도 일 배열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말해, 태양광 패널(150)이 복수로 연속되는 경우, 그 하부에 위치하는 기초부(110)상에서 대응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관상 중량체(180)는 브래킷부(115)에 의해 기초 몰탈(111)에 고정될 수 있다. The tubular weight body 180 may be disposed to extend along at least one arrangement of the solar panel 150 on the base portion 110. In other words, when a plurality of solar panels 150 are continuous, the solar panel 150 may be extended correspondingly on the base portion 110 located below. At this time, the tubular weight body 180 may be fixed to the base mortar 111 by the bracket portion 115.

우수 순환부(190)는, 관상 중량체(180)에 저장된 우수를 분사부(210)로 순환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수 순환부(190)는 우수 순환관(191) 및 펌프(193)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inwater circulation unit 190 may be a means for circulating the rainwater stored in the tubular weight body 180 to the injection unit 210. To this end, the rainwater circulation unit 190 may include a rainwater circulation pipe 191 and a pump 193.

우수 순환관(191)은, 일단이 관상 중량체(180)의 배출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분사부(210)와 연통되는 관체일 수 있다.The rainwater circulation pipe 191 may be a pipe body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an outlet of the tubular weight body 180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jection unit 210.

펌프(193)는, 우수 순환관(191)의 일측에 설치되어 관상 중량체(18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분사부(210)로 강제 순환시킬 수 있다.The pump 19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ainwater circulation pipe 191 to forcibly circulate the rainwater discharged from the tubular weight body 180 into the injection unit 210.

분사부(210)는, 우수 순환부(190)를 통해 순환되는 우수를 태양광 패널(150)로 분사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사부(210)는, 우수 순환관(191)과 연통되어 공급되는 우수를 분사 노즐로 분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부(210)가 태양광 패널(150)의 상부측을 따라 설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태양광 패널(150)과 이격된 별도의 매립지(L)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injection unit 210 may be a means for spraying rainwater circulated through the rainwater circulation unit 190 to the solar panel 150. To this end, the injection unit 210 may communicate with the storm circulation pipe 191 to spray stormwater supplied with the spray nozzle. In this embodiment, the injection unit 210 is install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olar panel 1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on a separate landfill L spaced apart from the solar panel 150.

또한, 분사부(210)는 그 내부에 회전부를 구비하여 공급되는 우수를 와류로 변환시킨 후 이를 분사 노즐로 분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unit 21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portion therein to convert the supplied rainwater into a vortex and then spray it with an injection nozzle.

뿐만아니라, 분사 노즐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로 구성되며, 수동 조작 또는 자동 제어에 따라 분사 노즐의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nozz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injection nozzl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manual operation or automatic control.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photovoltaic device 100 is as follows.

먼저, 강우가 발생되는 경우 우수 중 일부는 태양광 패널(150)에 낙수될 수 있다. 태양광 패널(150)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 해당 경사 방향을 따라 우수가 이동될 수 있다.First, when rain occurs, some of the rainwater may fall to the solar panel 150. Since the solar panel 150 is arrang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rainwater may be moved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태양광 패널(150)의 하부측에는 빗물받이(161)가 설치되어 있어, 낙수되는 우수는 빗물받이(161)에 수집될 수 있다.A rainwater drain 161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olar panel 150, so that rainwater that is falling can be collected in the rainwater drain 161.

수집된 우수는, 우수 안내관(163)을 따라 관상 중량체(18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최기 우수의 경우, 초기 우수 배제부(170)에 의해 다른 경로로 배출되고 청정 우수만 관상 중량체(180)로 이동될 수 있다.The collected rainwater may be moved to the tubular weight body 180 along the rainwater guide tube 163.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longest rainwater, it is discharged to another path by the initial rainwater exclusion unit 170 and only clean rainwater can be moved to the tubular weight body 180.

관상 중량체(180)는, 태양광 패널(150)의 배열을 따라 연장장된 장형의 파이프 구조이므로 이동되는 우수가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관상 중량체(180)는 태양광 패널(150) 하부에 위치하므로, 태양광 패널(150)에 의해 발생되는 그림자에 의해 저장되는 우수를 냉각시킬수 있다. Since the tubular weight 180 is an elongated pipe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solar panel 150, the moving rainwater can be sequentially stored. At this time, since the tubular weight 180 is located under the solar panel 150, it is possible to cool the rainwater stored by the shadow generated by the solar panel 150.

관상 중량체(180)는, 우수의 저장에 따라 전체 중량이 증가함으로써 해당 중량을 통해 기초부(110)에 대한 자중을 작용할 수 있다. The tubular weight body 180 may act as a self-weight for the foundation 110 through the corresponding weight by increasing the total weight according to the storage of rainwater.

우수는 소정 높이 이상 저장되면, 관상 중량체(180)의 배출구를 향해 우수 순환관(191)으로 배출될 수 있다. 우수 순환관(191)으로 배출되는 우수는 펌프(193)의 동작에 따라 분사부(210)로 순환되어 태양광 패널(150)을 향해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rainwater is stored over a predetermined heigh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rainwater circulation pipe 191 toward the discharge port of the tubular weight body 180. Rainwater discharged to the rainwater circulation pipe 191 may be circulated to the injection unit 2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mp 193 and discharged toward the solar panel 150.

여기서, 펌프(193) 및 분사부(210)의 동작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데, 동작 시간을 설정하고, 해당 동작 시간에 따라 펌프(193) 및 분사부(210)가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of the pump 193 and the injection unit 210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example, the operation time is set, and the pump 193 and the injection unit 210 may be automatically driv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장치(100)에 의하면 우수를 순환하여 태양광 패널(150)에 대한 세척 및 냉각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초부(110)를 따라 설치되는 관상 중량체(180)를 통해 태양광 발전장치(100)에 대한 자중을 작용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관상 중량체(180)가 기초부(110)에 각각 결합됨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매립지(L)의 침하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다른 영역에 위치하는 관상 중량체(180)와 기초부(110)의 결합에 의해, 태양광 발전장치(100)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hotovoltaic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circulate rainwater to wash and cool the photovoltaic panel 150. In addition, the self-weight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100 may be applied through the tubular weight body 180 installed along the foundation 110. In addition, the tubular weight 180 and the foundation 110 located in different areas even when the settlement of the landfill L at a specific location occurs as the tubular weight 180 is coupled to the foundation 110, respectively. ), It is possible to prevent settlement of the photovoltaic device 100.

이상은, 태양광 발전장치의 상세 구조 및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한 쌍의 관상 중량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photovoltaic device have been described. 4 to 6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pair of tubular weights.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관상 중량체(381, 383)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photovoltaic device 300 equipped with a pair of tubular weights 381 and 38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장치(300)는 도 3의 태양광 발전장치(도 3, 100)와 대체로 유사하나 관상 중량체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The photovoltaic device 300 of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photovoltaic device (FIG. 3, 100) of FIG. 3, but has some differences in the tubular weight.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장치(300)는 제1 관상 중량체(381), 제2 관상 중량체(383), 및 연결부(385)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photovoltaic device 300 may include a first tubular weight 381, a second tubular weight 383, and a connecting portion 385.

제1 관상 중량체(381) 및 제2 관상 중량체(383)는 태양광 패널의 배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tubular weight 381 and the second tubular weight 383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array direction of the solar panel.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칭되도록 지주의 양측면 영역에 제1 관상 중량체(381) 및 제2 관상 중량체(383)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관상 중량체(381, 383)는 브래킷부(315)를 통해 기초부(31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ubular weight body 381 and the second tubular weight body 383 may be disposed on both side regions of the pillar so as to be symmetric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each of the tubular weights 381 and 383 may b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310 through the bracket portion 315, respectively.

연결부(385)는, 제1 관상 중량체(381) 및 제2 관상 중량체(383)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따라서, 제1 관상 중량체(381)에 저장된 물(우수)가 연결부(385)를 따라 제2 관상 중량체(383)로 이동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385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tubular weight 381 and the second tubular weight 383. Therefore, water (excellent) stored in the first tubular weight 381 is connected 385. ) To the second tubular weight 383.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상 중량체(381)의 유입구(381-1), 연결부(385), 제2 관상 중량체(383)의 배출구(383-1)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말해, 제1 관상 중량체(381)의 유입구(381-1)는 상술한 3개의 구성 중 가장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연결부(385)는 제1 관상 중량체(381)의 유입구(381-1)와 제2 관상 중량체(383)의 배출구(383-1) 사이의 높이에 형성되고, 배출구(383-1)는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따라, 제1 관상 중량체(381)에 유입되는 물이 높이 차에 의해 자동으로 제2 관상 중량체(383) 및 우수 순환관(391)으로 순차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the inlet 381 of the first tubular weight 381, the connecting portion 385, the outlet 383-1 of the second tubular weight 383 to different heights Can be deployed. In other words, the inlet 381 of the first tubular weight 381 is formed to have the highest height among the three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and the connecting portion 385 is the inlet 381 of the first tubular weight 381 -1) is formed at a height between the outlet 383-1 of the second tubular weight 383, and the outlet 383-1 may be formed at the lowest position. Accordingly,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tubular weight 381 may be sequentially moved to the second tubular weight 383 and the rainwater circulation pipe 391 automatically due to a height difference.

또한, 도 6에서처럼 제1 관상 중량체(381)는 앞단을 유입구(381-1)가 형성되어 우수 안내관(363)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85)는 제1 관상 중량체(381) 및 제2 관상 중량체(383)의 후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관상 중량체(383)의 배출구(383-1)는 제2 관상 중량체(383)의 앞단에 설치되어 우수 순환관(391)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first tubular weight 381 may be connected to the storm guide tube 363 by forming an inlet 381-1 at the front end thereof. The connecting portion 385 may connect the rear ends of the first tubular weight 381 and the second tubular weight 383 to each other. The outlet 383-1 of the second tubular weight 383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ubular weight 383 to be connected to the rainwater circulation pipe 391.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우수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우수는 제1 관상 중량체(381)의 앞단으로 유입되고 내부 공간을 통해 이동한 뒤 후단을 통해 제2 관상 중량체(383)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관상 중량체(383)로 이동된 우수는, 제2 관상 중량체(383)의 후단에서 앞단으로 이동되어 배출구(383-1)를 통해 우수 순환관(391)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tubular weight body 381 and moved through the inner space and then moved to the second tubular weight body 383 through the rear end. . The rainwater moved to the second tubular weight 383 may have a path that is moved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ubular weight 383 and moved to the rainwater circulation pipe 391 through the outlet 383-1. have.

이상은 한 쌍의 관상 중량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7에서는 위치 조절부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for a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pair of tubular weights. In FIG. 7, a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position adjusting unit will be described.

도 7은,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부(470)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hotovoltaic device 400 having a position adjusting unit 47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장치(400)는 도 4 내지 도 6의 태양광 발전장치(도4, 300)와 대체로 동일하나 제1 관상 중량체(481)가 제2 관상 중량체(483) 보다 더 높게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As shown, the photovoltaic device 400 of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hotovoltaic device of FIGS. 4 to 6 (FIGS. 4 and 300), but the first tubular weight 481 is the second tubular weigh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is placed higher than (483).

제1 관상 중량체(481)는 기초 몰탈(411)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2 관상 중량체(483)는 기초 몰탈(4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높이차를 갖는 배치 구조에 따라 제1 관상 중량체(481)에서 제2 관상 중량체(483)로 우수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관상 중량체(481)가 소정 높이에서 위치하기 위해, 제1 관상 중량체(481)와 기초 몰탈(411) 사이에는 위치 조절부(470)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ubular weight 48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from the base mortar 411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second tubular weight 483 may be disposed on the base mortar 411.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having the height difference, the movement of rainwater from the first tubular weight 481 to the second tubular weight 483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At this time, in order to position the first tubular weight 481 at a predetermined height, a position adjusting unit 4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tubular weight 481 and the foundation mortar 411.

위치 조절부(470)는, 고정형 조절부 또는 가변형 조절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ment unit 470 may be configured as a fixed adjustment unit or a variable adjustment unit.

고정형 조절부는, 소정 두께갖는 블록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해당 블록은 기초 몰탈(411)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제1 관상 중량체(481)와 접촉하는 면은 제1 관상 중량체(481)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xed adjustment unit may be configured with a block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block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to be coupled to the base mortar 411,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tubular weight 481 conca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tubular weight 481 Additions may be formed.

가변형 조절부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작에 따라 승하강될 수 있는 구성으로 선택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variable adjustment unit,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height-adjustable in a configuration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manipulation.

이외에도 기초 몰탈(411)과 제1 관상 중량체(481)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된 상태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means in which the height can be adjusted can be applied while being fixed between the base mortar 411 and the first tubular weight 481.

이상은, 높이차를 갖는 관상 중량체를 구비한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8에서는 관통홀을 구비한 관상 중량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having a tubular weight body having a height difference has been described above. In FIG. 8, a tubular weight body having a through hole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581)이 구비된 관상 중량체(5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tubular weight body 580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58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 중량체(580)는 중량체 관통홀(581)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tubular weight body 580 may include a weight body through hole 581.

중량체 관통홀(581)은, 지주(531)가 삽입될 수 있는 통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중량체 관통홀(581)은 관상 중량체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581)은 우수가 저장되는 내부 공간과 차단될 수 있다.The weight through-hole 581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ost 531 can be inserted. To this end, the weight body through hole 581 may be formed to penetrat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ubular weight body. At this time, the through-hole 581 may be blocked from the internal space in which rainwater is stored.

이와 같은 중량체 관통홀(581)은, 기초 몰탈(511)에 설치되는 앵커부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vy body through-hole 581 may be formed in plural to correspond to the anchor portion installed in the base mortar 511.

이에 따라, 관상 중량체(580)는 앵커부(513)와 중량체 관통홀(581)이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중량체 관통홀(581)에 지주를 삽입하고, 지주(531)와 앵커부(513)를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ubular weight body 58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anchor portion 513 and the weight body through hole 581 correspond. Thereafter, a pos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581 of the weight body, and the post 531 and the anchor portion 513 can be coupled.

이러한 경우, 관상 중량체(580)는 지주(531) 및 앵커부(513)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기초 몰탈(5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ubular weight body 580 may be disposed on the foundation mortar 511 in a state fixed by the post 531 and the anchor portion 513.

이상은, 중량체 관통홀을 구비하는 관상 중량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9에서는, 중량체 고정대를 구비하는 관상 중량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tubular weight body provided with the weight body through-hole was demonstrated. In FIG. 9, a tubular weight body provided with a weight body holder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고정대(681)가 구비된 관상 중량체(6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tubular weight 680 is provided with a weight holder 68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관상 중량체(680)는 중량체 고정대(681)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As shown, the tubular weight 680 of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weight body holder (681).

중량체 고정대(681), 관상 중량체(680)의 하부 일측 및 타측에서 서로 대칭되게 돌출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량 고정대(681)의 형상은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돌출된 구조에 의해 관상 중량체(680)가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It can be formed in a pair that protrudes symmetrically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eight holder 681, the tubular weight 680. The shape of the weight holder 681 is not limited, and various structures in which the tubular weight 680 can be fixed by a protruding structure may be applied.

한 쌍인 중량체 고정대(681)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상 중량체(680)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pair of weight body holders 68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nd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tubular weight body 680.

이러한 중량체 고정대(681)는, 일면과 타면이 관통되는 손잡이홀(68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상 중량체(680)의 이동 시, 사용자는 손잡이홀(683)을 잡고 이동시킬 수 있다.The weight holder 681 may have a handle hole 683 through whic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pass. Therefore, when the tubular weight 680 is moved, the user can grasp and move the handle hole 683.

이상은, 중량체 고정대를 구비하는 관상 중량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10에서는 회전 가능한 관상 중량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tubular weight body provided with the weight body holder was demonstrated. In FIG. 10, a rotatable tubular body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관상 중량체(7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rotatable tubular weight body 7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관상 중량체(780)는 일부 구간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As shown, the tubular weight body 780 of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some sections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이를 위해 관상 중량체(780)는 고정 중량체(781) 및 회전 중량체(783)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ubular weight body 780 may include a fixed weight body 781 and a rotating weight body 783.

고정 중량체(781)는, 앞서 설명한 기존 관상 중량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상 중량체일 수 있다.The fixed weight body 781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ventional tubular weight body described above. It may be a tubular weight extending in one direction.

회전 중량체(783)는, 고정 중량체(78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 중량체일 수 있다. The rotating weight body 783 may be a tubular weight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weight body 781.

구체적으로 고정 중량체(781) 및 회전 중량체(783)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교대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중량체(781) - 회전 중량체(783) - 고정 중량체(781) - 회전 중량체(783)...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xed weight 781 and the rotating weight 783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each and alternately coupled to each other. Fixed weight 781-rotating weight 782-fixed weight 781-rotating weight 783 ... can be combined in this order.

회전 중량체(783)는 중심부가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일단 및 타단이 인접한 고정 중량체(78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 중량체의 결합부위는 우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실링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The rotating weight body 783 is formed such that the center portion is bent,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adjacent fixed weight bodies 781, respectively. The coupling portion of each weight body may include a sealing structure to prevent water leakage.

이와 같은 관상 중량체(780)의 설치 및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tubular weight 780 is as follows.

기초 몰탈(711) 상에, 고정 중량체(781) 및 회전 중량체(783)를 교대로 연속 결합될 수 있다. 지주(731)는 고정 중량체(781)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중량체(783)가 위치하는 영역에는 지주(731)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중량체(783)의 회전 시, 주위 설비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basic mortar 711, the fixed weight 781 and the rotating weight 783 may be alternately continuously coupled. Post 731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ixed weight (781). The pillar 731 may not be positioned in the region where the rotating weight body 783 is located. Therefore, when the rotating weight body 783 rotates, collision with surrounding equipment can be prevented.

이렇게 설치되는 관상 중량체(780)는 상술한 구성들에 의해 우수가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후, 기초 몰탈(711)의 특정 위치에 침하가 발생되면, 해당 위치에 자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 중량체(783)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tubular weight 780 installed in this way may be supplied and stored in rainwater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Thereafter, when settlement occurs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base mortar 711, the rotating weight 783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to disperse the self-weight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다시말해, 회전 중량체(783)는 회전 조작에 따라 기초 몰탈(711)에 작용하는 자중의 방향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otating weight body 783 can change the direction of its own weight acting on the foundation mortar 711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이상은, 회전 가능한 관상 중량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11에서는 중량체 결합부에 의해 지지되는 관상 중량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rotatable tubular weight body was demonstrated. In Fig. 11, a tubular weight body supported by the weight body coupl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결합부(870)에 의해 지주(831)에 결합되는 관상 중량체(881, 88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ubular weight (881, 883) coupled to the support 831 by a weight body coupling portion 87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중량체 결합부(87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As shown,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weight body coupling portion 870.

중량체 결합부(870)는, 관상 중량체(881, 883)를 지지한체로 지주(83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량체 결합부(870)는 결합 하우징(871), 결합홀(873), 및 볼트(87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결합 구조를 위해 지주(831)에는 복수의 지주홀(83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weight body coupling portion 87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831 as a body supporting the tubular weight bodies 881 and 883. To this end, the weight coupling portion 870 may include a coupling housing 871, a coupling hole 873, and a bolt 875. In addition, a plurality of strut holes 831-1 may be formed through the strut 831 for the coupling structure.

결합 하우징(871)은, 바 형상으로 연장되고 일측 또는 양측으로 지주(831)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관상 중량체(881, 883)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에 오목부가 구비된 구조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coupling housing 871 may be formed in a concave portion extending in a bar shape and accommodating the post 831 on one side or both sides. In this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recess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to accommodate a pair of tubular weights 881 and 883, respectivel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결합홀(873)은, 결합 하우징(871)의 바 형상 구조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hole 873 may be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positions in the bar-shaped structure of the coupling housing 871.

볼트(875)는, 결합홀(873)과 지주홀(831-1)을 동시에 관통하여, 중량체 결합부(870)를 지주(831)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bolt 875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873 and the holding hole 831-1 at the same time, and the weight coupling portion 870 can be coupled to the holding 831.

이와 같은 중량체 결합부(870)의 이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using the weight coupling unit 870 is as follows.

먼저, 지주(831)에는 복수의 지주홀(831-1)이 서로 다른 위치에 다수 형성될 수 있다.First,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831-1 may b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support 831.

이후, 중량체 결합부(870)를 사용자가 의도하는 형상에 따라 지주(831)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방식은, 중량체 결합부(870)의 결합홀(873)과 지주홀(831-1)을 일치시킨 후 볼트(875) 결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지주(831)와 중량체 결합부(870)의 결합이 완료되면, 중량체 결합부(870)의 오목부에 제1 관상 중량체(881) 및 제2 관상 중량체(883)를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weight body coupling portion 870 may be coupled to the post 831 according to a shape intended by the user. Coupling method, after matching the coupling hole 873 and the holding hole (831-1) of the weight coupling portion 870 can be coupled to the bolt (875). Thus, when the coupling of the support 831 and the weight body engaging portion 870 is completed, the first tubular weight body 881 and the second tubular weight body 883 are receiv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weight body bonding portion 870, Can be fixed.

이때, 침하와 같은 환경 요소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관상 중량체(881, 883)의 위치를 변하시키고자 하는 경우, 볼트(875) 결합을 해제하고, 중량체 결합부(870)의 위치(높이, 각도)를 조정하여 재결합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f you wan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tubular weights (881, 883)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tention o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ubsidence, release the bolt 875 coupling, the position (height of the weight coupling portion 870 , Angle).

이에 따라, 중량체 결합부(870)에 의해 관상 중량체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tubular weight body can be freely changed by the weight body coupling portion 870.

각 실시예에서 상술한 태양광 발전장치 및 관상 중량체에 의하면, 물을 저장하여 기초부에 자중을 작용하고, 연속 연결 구조로 부등침하 시 일부 설비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세부적인 구성들을 통해 다양한 기능성 효과를 창출하여 운용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hotovoltaic device and tubular weight in each embodiment, the water is stored to act a self-weight on the basic part, and the continuous connection structure can prevent the settlement of some facilities during uneven settlement. In addition, various functional effects can be created through detailed configurations to further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상기와 같은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hotovoltaic device capable of preparing for uneven settlement such as a landfil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is selectively combined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100: 태양광 발전장치 180: 관상 중량체
110: 기초부 190: 우수 순환부
130: 지주 210: 분사부
140: 패널 지지부 L: 매립지
150: 태양광 패널 G: 쓰레기
160: 우수 수집부 S: 대상 지면
170: 초기 우수 배제부 W: 우수
100: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180: tubular weight
110: basic part 190: excellent circulation part
130: prop 210: spray
140: panel support L: landfill
150: solar panel G: garbage
160: rainwater collection unit S: target space
170: Initial excellent exclusion part W: Excellent

Claims (12)

매립지의 대상 지면 상에, 복수 개가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배열된 점기초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방향으로 연속적인 줄기초 형태로 형성된, 기초부;
상기 기초부에 중심 영역에 세워지며 상기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 및
상기 기초부 상에 복수의 브래킷부에 의해 상기 기초부에 고정되고, 상기 대상 지면의 부등침하시 상기 기초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부의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어 상기 기초부에 자중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태양광 패널의 풍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는, 관상 중량체;를포함하고,
상기 관상 중량체는,
상기 관상 중량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위치 조절부;
상기 태양광 패널의 배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상기 복수의 지주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 관상 중량체 및 제2 관상 중량체; 및
상기 제1 관상 중량체 및 상기 제2 관상 중량체를 연통하여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상 중량체의 높이가 상기 제2 관상 중량체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제1 관상 중량체에 수용되는 상기 물이 상기 제2 관상 중량체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On the target land of the landfill, a plurality of pieces are spaced apart and formed in a point-based form arranged in one direction, or formed in a continuous stem-like form in the direction;
A plurality of struts erected in a central region on the foundation and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A plurality of solar panel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 And
The base portion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by a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so as to support the base portion during inequality of the target ground. It includes a tubular body, which is stored and installed to support the wind load of the solar panel by applying a self-weight to the foundation.
The tubular weight,
A position adjuster form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ubular weight;
A first tubular weight body and a second tubular weight body dispos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based on the plurality of pillars in parallel along the array direction of the solar panel; And
I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first tubular weight and the second tubular weight in communication;
The height of the first tubular weight body is higher than the second tubular weight body so that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first tubular weight body flows to the second tubular weight body. Photovoltaic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과 패널에 떨어지는 우수 또는 냉각수를 수집하여 상기 관상 중량체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우수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capable of preparing for subsidence settlement of a landfill, etc., further comprising a rainwater collection unit formed to collect rainwater or cooling water falling on the sun and the panel and guide the tubular weigh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중량체에 저장된 우수를 순환시키는 우수 순환부; 및
상기 우수 순환부를 통해 순환된 우수를 상기 태양광 패널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9,
Rainwater circulation unit for circulating rainwater stored in the tubular weight; And
A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capable of preparing for uneven settlement of landfills, etc., further comprising an injection unit spraying rainwater circulated through the rainwater circulation unit to the solar pane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수집부에 설치되어 초기 우수를 배출시키는 초기 우수 배제부를 더 포함하는,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 photovoltaic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and further includes an initial rainwater exclusion unit for discharging the initial rainwater, which can prepare for uneven settlement of landfi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상기 지주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되는 앵커부를 더 포함하는, 매립지 등의 부등침하 대비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n anchor portion formed to be able to secure the holding, a photovoltaic device capable of preparing for uneven settlement of landfills.
KR1020180097487A 2018-08-21 2018-08-21 Photovoltaic system with adaptable means to uneven settlement KR102114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87A KR102114255B1 (en) 2018-08-21 2018-08-21 Photovoltaic system with adaptable means to uneven sett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87A KR102114255B1 (en) 2018-08-21 2018-08-21 Photovoltaic system with adaptable means to uneven sett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45A KR20200021745A (en) 2020-03-02
KR102114255B1 true KR102114255B1 (en) 2020-05-22

Family

ID=6980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487A KR102114255B1 (en) 2018-08-21 2018-08-21 Photovoltaic system with adaptable means to uneven settl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2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662A (en) 2021-08-27 2023-03-07 한국전력공사 Photovoltaic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371B1 (en) * 2020-09-11 2021-06-16 박영수 Solar panel assembly for discharging rainwater easily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N112191588B (en) * 2020-09-18 2021-12-21 程瑶 Cleaning machine and cleaning method matched with solar power generation panel in production process
KR102468463B1 (en) * 2021-11-23 2022-11-18 (주)제이에스파워 Agricultural solar system capable of storing electrical energy
CN115355127A (en) * 2022-07-22 2022-11-18 常州工学院 Photovoltaic station rainwater recycl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7199A (en) 2009-08-27 2011-03-10 Takenaka Komuten Co Ltd Solar-panel supporting structure preventing differential settlement and method of preventing the differential settlement
JP5645970B2 (en) * 2010-11-30 2014-12-24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Solar power panel mounting base
JP2016077119A (en) * 2014-10-09 2016-05-12 株式会社近畿北都住設 Construction metho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construction metho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anel placement fram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anel placement frame
JP2017189760A (en) 2016-04-12 2017-10-19 孝一 中川 Rain water sprinkl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478A (en) * 2008-06-02 2009-12-07 유형주 Cooling apparatus for solar cell plate
KR20110050078A (en) * 2009-11-06 2011-05-13 (주)지티씨코퍼레이션 A base concrete for posts of solar panel and its construting procedure
KR101692373B1 (en) * 2014-02-26 2017-01-03 주식회사 티앤씨 코리아 Rainwater harvesting apparatus
KR20150118212A (en) * 2014-04-11 2015-10-22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Cleanning and cooling deivce for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7199A (en) 2009-08-27 2011-03-10 Takenaka Komuten Co Ltd Solar-panel supporting structure preventing differential settlement and method of preventing the differential settlement
JP5645970B2 (en) * 2010-11-30 2014-12-24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Solar power panel mounting base
JP2016077119A (en) * 2014-10-09 2016-05-12 株式会社近畿北都住設 Construction metho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construction metho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anel placement fram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anel placement frame
JP2017189760A (en) 2016-04-12 2017-10-19 孝一 中川 Rain water sprinkle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662A (en) 2021-08-27 2023-03-07 한국전력공사 Photovoltaic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45A (en)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255B1 (en) Photovoltaic system with adaptable means to uneven settlement
KR101018475B1 (en) Water storage tank having solar voltaic generator
KR101355662B1 (en) Structure body of solar cell module for the water surface
CN101287873B (en) Waste water electrical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845757B1 (en) Solar condensing module system for utilizing reflected light
CN102704368B (en) Hot-air circulating two-layered snow melting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accumulated snow
KR102093501B1 (en)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having a cooling system using the difference of water level
KR101153365B1 (en) Rovingness solar photovoltaic system
KR20200009934A (en) Solar Panel Fixing System
CN107401253A (en) A kind of building roof for collecting rainwater energy-conserving and environment-protective
TWM624383U (en) Photoelectric type permeable pavement and water storing underground automation system
CN102277863A (en) Method for circularly generating power with seawater and comprehensively utilizing seawater under action of artificial sea level fall
KR20200031552A (en)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and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CN105790682A (en) Water-surface floating-typ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20005310U (en) flexible Apparatus for collecting rainfall using solar batteryplate
KR102043189B1 (en) High Efficiency Solar Power Generator
CN216765464U (en) Photoelectric type permeable pavement structure
CN206308915U (en) A kind of roof greening rainwater collection irrigation device based on sponge the idea of the city
KR20180130119A (en) Circular solar panel cleaning apparatus with excellent cleaning efficiency
CN206227222U (en) A kind of water conservancy irrigation device for side slope
KR20180127022A (en) Fine Dust Reducing Type Solar Power Generator
CN112554273A (en) Ecological rainwater colle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0263088U (en) High steep slope suspension type rainwater cyclic utilization afforestation structure
KR20180058986A (en) A post support for an apparatus solar condensing
CN214303143U (en) Leisure landscape courtyard platform and building group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