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861B1 -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3861B1 KR102113861B1 KR1020200006007A KR20200006007A KR102113861B1 KR 102113861 B1 KR102113861 B1 KR 102113861B1 KR 1020200006007 A KR1020200006007 A KR 1020200006007A KR 20200006007 A KR20200006007 A KR 20200006007A KR 102113861 B1 KR102113861 B1 KR 1021138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truction
- door
- noise
- automatic door
- distribution cen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4 evalu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4 anti-oxid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5—Land develop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방법은, 물류센터가 시공될 건축대지에 관하여 건축요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건축대지 및 상기 물류센터에 관하여 금융요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건축요소 정보 및 상기 금융요소 정보에 기초로 설계 가치공학 데이터와 설계 분야별 전문가 정보가 저장된 시공프로젝트DB를 이용하여 물류컨설팅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물류컨설팅 평가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센터의 시공 전, 전문가가 사전 검토한 물류컨설팅이 접목함으로써 물류센터의 입지, 용도에 따른 내부 구성, 물류의 동선, 하중에 따른 바닥 설계,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시공 등을 고려한 최적의 물류센터를 시공할 수 있는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 방법 에 관한 것이다.
부동산 개발 및 물류센터 등의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물류의 동선, 주변 환경, 법규 정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제반 여건을 충분히 고려하는 것 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제반 여건을 고려하는 정도 또는 방법에 따라 그 건물의 형태는 다양하게 모델링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건축 계획 데이터와 법규 데이터를 연계하여 프로젝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로젝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축 부지를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건축 부지 상에 단지 배치안을 생성하고, 생성된 배치안에 대한 환경적 요소 분석을 통해 최적의 배치안을 도출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단순히 환경적인 요소 또는 건물을 설계하기 위한 법규적인 요소만을 고려하여 건물을 모델링하고 있으므로, 그 물류센터와 같이 특수목적 건물의 경우, 건물이 대지 상에 어떻게 지어지고, 어떤 형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따라 건물의 가치가 극명하게 갈리는 점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물류센터의 시공 전, 전문가가 사전 검토한 물류컨설팅이 접목함으로써 물류센터의 입지, 용도에 따른 내부 구성, 물류의 동선, 하중에 따른 바닥 설계,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시공 등을 고려한 최적의 물류센터를 시공할 수 있는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 방법은, 설계 가치공학 데이터와 설계 분야별 전문가 정보가 저장된 시공프로젝트 DB를 이용하는 물류컨설팅 평가단계; 및 상기 물류컨설팅 평가단계 후 클라이언트가 공급업체 및 시공업체의 선정을 의뢰하는 경우 상기 시공프로젝트 DB를 이용하여 통해 적합한 공급업체 및 시공업체를 검색하여 추천하는 업체 추천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업체 및 상기 시공업체는 클라이언트와 직접 상담을 시작하여 견적서를 제출하고 컨설팅을 진행하면서 협의를 통해 공급계약 또는 시공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는 계약 체결단계; 상기 시공계약에 따라 상기 시공업체가 물류센터를 시공하는 물류센터 시공단계; 소음저감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물류센터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공사소음을 저감시키는 공사소음 저감단계; 상기 물류센터 시공에 대한 감리가 요청되는 경우, 감리업체를 선정하여 상기 물류센터 시공 중에 감리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감리업무 수행단계; 관공서에 상기 물류센터 시공에 관한 인허가를 취득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인허가 취득단계; 및 상기 시공 및 상기 감리 진행과정을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류컨설팅 평가단계는, 시공프로젝트 생성부가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가치공학워크숍 시공프로젝트를 생성하는 시공프로젝트 생성단계; 시공프로젝트 준비부가 관리자가 설정한 설계 분야에 따라 상기 시공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전문가 정보를 기반으로 시공프로젝트 팀을 구성하는 팀 구성단계; 상기 시공프로젝트 준비부가 상기 설계 가치공학 데이터로부터 다수개의 성능속성 평가 항목을 추출하여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체크 리스트 생성과정, 및 상기 시공프로젝트 준비부가 상기 체크 리스트에 상응하는 답변 점수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답변 점수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제한된 숫자의 성능속성 항목을 추출하는 성능속성 항목 추출과정이 포함된 품질모델 항목 선정단계; 비용 모델링부가 상기 설계 가치공학 데이터로부터 관리자가 설정한 설계 분야의 원안설계를 추출하는 원안설계 추출과정과, 고비용 공종부터 가치공학워크숍을 통한 아이디어 창출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비용 모델링부가 상기 원안설계의 공종별 공사비 중 상위 10% 내지 30%의 차지하는 고비용 공종을 선별하는 고비용 공종 선별과정과, 상기 비용 모델링부가 상기 고비용 공종을 상기 시공프로젝트 팀을 구성한 전문가로부터 아이디어를 수집할 가치공학대상으로 선정하는 아이디어 대상 선정과정과, 시공프로젝트 분석부가 상기 시공프로젝트 팀을 구성한 전문가로부터 아이디어가 수집됨에 따라 상기 아이디어에 대한 핵심 성능속성 항목별 점수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성능속성 항목에 대한 평가 리스트를 생성하는 평가 리스트 생성과정, 및 상기 평가 리스트에 상응하는 응답 점수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시공프로젝트 분석부가 상기 응답 점수 데이터를 분석하여 아이디어의 반영 유무를 결정하는 아이디어 평가과정이 포함된 개략 평가단계; 및 시공프로젝트 평가부가 개략 평가단계를 통해 선정된 우수 아이디어에 대한 아이디어 평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아이디어 평가 리스트에 상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안개발에 포함될 최종 아이디어를 선정하는 메인 평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디어 대상 선정과정은 상기 고비용 공종의 공사비에 대한 값어치가 상기 시공프로젝트 팀을 구성한 전문가로부터 입력되면, 가치공학 타게팅부가 상기 공사비를 값어치로 나누어 공사비와 대비된 값어치의 비교비율을 산정하며, 상기 가치공학 타게팅부가 상기 비교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프로젝트 팀을 구성한 전문가로부터 아이디어를 수집할 가치공학대상으로 선정하고, 상기 소음저감시스템은, 상기 물류센터 주위를 둘러싸는 복수의 패널; 상기 패널 설치되어 상기 공사소음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마이크장치; 상기 패널에 설치되며 제 1 상쇄음을 소음원을 향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스피커부; 상기 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피커부의 작동 후에도 잔존하는 제 1 잔여소음을 상쇄시키는 잔여소음 저감장치; 상기 스피커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쇄 후의 제 2 잔여소음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마이크장치; 및 상기 제 1 마이크장치 또는 상기 제 2 마이크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소음 데이터를 분석 및 전송하고, 상기 제1 마이크장치 또는 상기 제 2 마이크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소음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소음과 반대 위상을 갖는 상쇄음을 송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메인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모듈은, 공사현장에서 생성된 기 생성된 소음데이터, 상기 제1마이크장치로부터 수집된 소음데이터를 학습하여 진단하는 인공지능을 포함하여,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방사하는 제 1 상쇄음의 위상을 결정하고, 상기 메인제어모듈은, 상기 제 2 마이크장치로부터 수집된 상기 제 2 잔여소음을 분석하여, 설정된 수치 이상의 소음이 측정되는 경우, 기 수행되고 있던 프로세스를 보정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며, 상기 잔여소음 저감장치는, 상기 패널의 상부에 결합되고 지면과 마주보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는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면의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음원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감쇄시키는 제 2 상쇄음를 방사하는 복수의 제 1 저감스피커들을 포함하는 능동소음제어부;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 1 저감스피커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 상쇄음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면에 결합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반사면들의 하단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저감스피커들과 상기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저감스피커들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면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측면들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 및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들을 연결하는 제 3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부면, 상기 상부면 및 상기 측면들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의 일부를 채우는 흡음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에는 상기 소음을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능동소음제어부는 상기 제 1 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저감스피커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저감스피커들은 상기 방음벽 패널을 넘어 진행하는 잔류 소음을 감쇄 또는 마스킹하는 제 3 상쇄음를 방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컨설팅이 접목된 물류센터 시공방법은 물류센터가 시공될 건축대지에 관하여 건축요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건축대지 및 상기 물류센터에 관하여 금융요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상기 건축요소 정보 및 상기 금융요소 정보에 기초로 설계 가치공학 데이터와 설계 분야별 전문가 정보가 저장된 시공프로젝트 DB를 이용하여 물류컨설팅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물류컨설팅 평가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축요소 정보, 상기 금융요소 및 상기 물류컨설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 대지에 배치 가능한 건물 외곽 형태, 상기 건물 외곽 형태에 적용 가능한 건물 코어 구조, 상기 건물 코어 구조 내 사용 용도에 따른 면적 분배 및 상기 면적 분배에 따른 상기 건물의 층별 평면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관한 설계 모델을 계층적으로 생성하는 모델 생성단계; 상기 모델 생성단계 후 클라이언트가 공급업체 및 시공업체의 선정을 의뢰하는 경우 상기 시공프로젝트 DB를 이용하여 통해 적합한 공급업체 및 시공업체를 검색하여 추천하는 업체 추천단계; 상기 공급업체 및 상기 시공업체는 클라이언트와 직접 상담을 시작하여 견적서를 제출하고 컨설팅을 진행하면서 협의를 통해 공급계약 또는 시공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는 계약 체결단계; 상기 시공계약에 따라 상기 시공업체가 물류센터를 시공하는 물류센터 시공단계; 상기 물류센터 시공에 대한 감리가 요청되는 경우, 감리업체를 선정하여 상기 물류센터 시공 중에 감리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감리업무 수행단계; 관공서에 상기 물류센터 시공에 관한 인허가를 취득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인허가 취득단계; 상기 시공 및 상기 감리 진행과정을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제공 단계; 상기 시공 및 상기 감리가 완료되면, 상기 물류센터의 매각 또는 리스 정보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가치실현단계; 및 상기 시공 및 상기 감리가 완료되면, 유지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물류센터를 유지 및 관리하는 유지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관리지스템은 상기 물류센터의 출입구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측정부; 상기 중량측정부가 감지한 차량의 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출입구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자동문;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문의 개폐 시 상기 자동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 및 상기 중량측정부 및 상기 자동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측정부에서 측정된 차량의 무게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자동문을 열지 않아, 차량 하중에 의한 상기 물류센터의 바닥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하중이 초과된 차량을 기 설정된 장소로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게 하며,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상기 자동문의 개폐방향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도어실; 상기 자동문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도록 하단이 연장된 슈 플레이트; 상기 자동문의 외측말단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외측 고정 브라켓; 및 상기 도어실의 전면부 말단에 결합되는 실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슈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장방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중앙고정편; 상기 중앙고정편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몸체의 양측단 하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드홈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측단고정편; 상기 중앙고정편 및 측단고정편 사이에 형성되고, 도어슈가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편; 및 상기 결합편에 결합되고 슬라이드홈 내에 삽입되어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슈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고정 브라켓은, 상기 자동문의 외측말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서 외측말단부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돌출부의 말단에서 도어의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 고정 브라켓은, 상기 자동문의 전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자동문과 평행하게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기 자동문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실 고정 브라켓의 걸림턱이 외측 고정 브라켓의 걸림돌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도어의 상하 흔들림에 의한 도어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모델 생성단계는, 1차 설계 모델에 대하여 산출되는 가치 평가 점수를 참조하여 상기 1차 설계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1차 설계 모델에 기초하여 2차 설계 모델을 생성하고, 사용자 요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건축 요소에 관한 정보 및 금융 요소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가치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설계 모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설계 모델이 수정되면, 상기 수정된 설계 모델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설계 모델이 종속적으로 재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부동산 개발 및 물류센터의 시공 전, 전문가가 사전 검토한 부동산 개발 및 물류센터 시공에 관한 컨설팅이 접목됨으로써 물류센터의 입지, 용도에 따른 내부 구성, 물류의 동선, 하중에 따른 바닥 설계,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시공 등을 고려한 최적의 물류센터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류컨설팅이 접목된 물류센터 시공을 통해, 원가절감과 일정관리를 통한 건축비용 상승 방지 및 공사 기일 맞춤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소음 저감장치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유지관리지스템을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소음 저감장치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유지관리지스템을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부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물류컨설팅 평가단계(S11)에서, 시공프로젝트DB는 설계 가치공학 데이터와 설계 분야별 전문가 정보가 저장된 시공프로젝트 DB를 이용하여, 물류센터의 입지, 용도에 따른 내부 구성, 물류가 움직이는 동선, 하중에 따른 바닥 설계,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시공(물류센터 천장) 등 최적의 물류센터 시공을 위한 전문가들의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문가가 사전 검토한 물류컨설팅이 접목된 올인원 물류센터를 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류컨설팅 평가단계(S11)는, 시공프로젝트DB의 시공프로젝트 생성부가 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가치공학워크숍 물류센터 관련 시공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하여, 시공프로젝트 준비부가 관리자가 설계 분야에 따라 상기 시공프로젝트 DB에 저장된 전문가 정보를 기반으로 물류센터 전문 시공프로젝트 팀을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하여, 시공프로젝트 준비부가 설계 가치공학 데이터로부터 다수개의 성능속성 평가 항목을 추출하여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물류센터 시공관련 체크 리스트 생성과정, 및 상기 시공프로젝트 준비부가 상기 체크 리스트에 상응하는 답변 점수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답변 점수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제한된 숫자의 성능속성 항목을 추출하는 성능속성 항목 추출과정이 포함된 품질모델 항목 선정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하여, 비용 모델링부가 상기 설계 가치공학 데이터로부터 관리자가 설정한 물류센터 설계 분야의 원안설계를 추출하는 원안설계 추출과정과, 고비용 공종부터 가치공학워크숍을 통한 아이디어 창출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비용 모델링부가 상기 원안설계의 공종별 공사비 중 상위 10% 내지 30%의 차지하는 고비용 공종을 선별하는 고비용 공종 선별과정과, 상기 비용 모델링부가 상기 고비용 공종을 상기 시공프로젝트 팀을 구성한 전문가로부터 물류센터 설계 및 시공 관련 아이디어를 수집할 가치공학대상으로 선정하는 아이디어 대상 선정과정과, 시공프로젝트 분석부가 상기 시공프로젝트 팀을 구성한 전문가로부터 아이디어가 수집됨에 따라 상기 아이디어에 대한 핵심 성능속성 항목별 점수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성능속성 항목에 대한 평가 리스트를 생성하는 평가 리스트 생성과정, 및 상기 평가 리스트에 상응하는 응답 점수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시공프로젝트 분석부가 상기 응답 점수 데이터를 분석하여 아이디어의 반영 유무를 결정하는 아이디어 평가과정이 포함된 개략 평가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하여, 시공프로젝트 평가부가 개략 평가단계를 통해 선정된 우수 아이디어에 대한 아이디어 평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아이디어 평가 리스트에 상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안개발에 포함될 최종 아이디어를 선정하는 메인 평가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이디어 대상 선정과정은 상기 고비용 공종의 공사비에 대한 값어치가 상기 시공프로젝트 팀을 구성한 전문가로부터 입력되면, 가치공학 타게팅부가 상기 공사비를 값어치로 나누어 공사비와 대비된 값어치의 비교비율을 산정하며, 상기 가치공학 타게팅부가 상기 비교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프로젝트 팀을 구성한 전문가로부터 아이디어를 수집할 가치공학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업체 추천단계(S12)에서, 물류컨설팅 평가단계(S11) 후 시공프로젝트DB가 공급업체 및 시공업체의 선정을 의뢰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시공프로젝트DB는 적합한 공급업체 및 시공업체를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계약 체결단계(S13)에서, 시공프로젝트DB는 공급업체 및 시공업체가 시공프로젝트DB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직접 상담을 시작하여 견적서를 제출하고 컨설팅을 진행하면서 협의를 통해 공급계약 또는 시공계약을 체결할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시공프로젝트DB는 시공계약에 따라 상기 시공업체의 물류센터 시공을 관리한다(S14).
공사소음 저감단계(S15)에서, 시공프로젝트DB는 소음저감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물류센터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공사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감리업무 수행단계(S16)에서, 시공프로젝트DB는 상기 물류센터 시공에 대한 감리가 요청되는 경우, 감리업체를 선정하여 상기 물류센터 시공 중에 감리업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2에서 후술할 물류센터 시공 관련 건축요소정보 획득단계, 금융요소정보 획득단계, 유지관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건축요소 정보 획득단계(S21)에서, 시공프로젝트DB는 물류센터가 시공될 건축대지에 관하여 건축요소 정보를 획득한다. 건축 대지에 대한 건축 요소에 관한 정보에는, 건축 대지 및 그 건축 대지와 인접한 대지에 관한 대지 정보(예를 들면, 면적, 지적도, 건축 계획, 도로 현황, 대지 사용 용도 등), 해당 건축 대지에 건물을 짓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법규 정보(예를 들면, 건축법, 주차장법, 주택법 등), 해당 건축 대지가 위치한 지역의 환경 정보(예를 들면, 시간별 태양의 고도각, 건물 등 주변 환경에 의한 조망 범위, 기후, 날씨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해당 건축 대지에 건물을 짓는 사용자의 요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요구 정보에는, 사용자의 위험 감수 성향, 사용자의 건물 사용 선호 용도 (예를 들면, 분양 및 임대 선호도), 남향 또는 조망 선호도, 대지 활용도와 쾌적성 사이의 우선 순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요구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며, 해당 건축 대지와 연관된 설문/질의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금융요소 정보 획득단계(S22)에서, 시공프로젝트DB는 건축대지 및 물류센터에 관하여 금융요소 정보를 획득한다. 건축 대지에 대한 금융 요소에 관한 정보에는, 해당 건축 대지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 부동산의 임대료, 매매금 또는 전세금에 관한 정보, 해당 건축 대지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 부동산의 실거래가 및 도시별 평균 부동산 시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산출된 해당 건축 대지의 예상 매도 가격 또는 임대료 등의 부동산 시장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물류컨설팅 평가단계(S23)에서, 시공프로젝트DB는 획득된 상기 건축요소 정보 및 상기 금융요소 정보에 기초로 설계 가치공학 데이터와 설계 분야별 전문가 정보가 저장된 시공프로젝트 DB를 이용하여 물류컨설팅 평가정보를 생성한다. 물류컨설팅 평가단계는 도 1의 설명된 바에 추가하여 획득한 건축요소 정보 및 금융요소 정보에 대한 컨설팅 및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선호한다고 표시한 건축요소 정보 및 금융요소 정보에 대한 전문가의 컨설팅 내용도 포함될 수 있다.
모델 생성단계(S24)에서, 시공프로젝트DB는 상기 건축요소 정보, 상기 금융요소 및 상기 물류컨설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 대지에 배치 가능한 건물 외곽 형태, 상기 건물 외곽 형태에 적용 가능한 건물 코어 구조, 상기 건물 코어 구조 내 사용 용도에 따른 면적 분배 및 상기 면적 분배에 따른 상기 건물의 층별 평면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관한 설계 모델을 계층적으로 생성한다. 모델 생성단계는, 1차 설계 모델에 대하여 산출되는 가치 평가 점수를 참조하여 상기 1차 설계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1차 설계 모델에 기초하여 2차 설계 모델을 생성하고, 사용자 요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건축 요소에 관한 정보 및 금융 요소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가치 평가 점수를 산출한다. 설계 모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설계 모델이 수정되면, 상기 수정된 설계 모델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설계 모델이 종속적으로 재생성된다.
업체 추천단계(S25)에서, 시공프로젝트DB는 모델 생성단계(S24) 후 클라이언트가 공급업체 및 시공업체의 선정을 의뢰하는 경우 적합한 공급업체 및 시공업체를 검색하여 추천한다.
계약 체결단계(S26)에서, 시공프로젝트DB는 공급업체 및 시공업체는 클라이언트와 직접 상담을 시작하여 견적서를 제출하고 컨설팅을 진행하면서 협의를 통해 공급계약 또는 시공계약을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가치실현단계(S31)에서, 시공프로젝트DB는 상기 시공 및 상기 감리가 완료되면, 상기 물류센터의 매각 또는 리스 정보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유지관리단계(S32)에서, 물류센터에 관한 시공 및 감리가 완료되면, 시공프로젝트DB는 유지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물류센터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시공프로젝트DB는 도 1에서 상술한, 소음저감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물류센터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공사소음을 저감시키는 공사소음 저감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시스템(10)은 패널(11), 제 1 마이크장치(12), 메인제어모듈(13), 스피커부(14), 잔여소음 저감장치(400), 제 2 마이크장치(15) 및 관제서버(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고정수단(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11)은 물류센터 주위를 둘러싸며, 물류센터 시공 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패널(11)로 형성될 수 있다. 패널(11)은 투명창, 금속재질, 흡음재질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마이크장치(12)는 패널(11)에 설치되어 물류센터 시공 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여 메인제어모듈(13)로 전송한다. 시공현장의 소음환경에 따라 제 1 마이크장치(12)가 설치되는 구조 및 제 1 마이크장치(12)의 설치 각도 등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마이크장치(12)는 패널(11)에 내장되거나 일부가 밖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출몰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1 마이크장치(12)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제어모듈(13)은 제 1 마이크장치(12) 또는 제 2 마이크장치(15)에서 측정된 소음 데이터를 분석 및 후술할 관제서버(16)에 전송할 수 있다. 동시에 메인제어모듈(13)은 제1 마이크장치(12) 또는 제 2 마이크장치(15)에서 측정된 소음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음과 반대 위상을 갖는 상쇄음을 송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부(14)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널(11)에 포함된 제 1 마이크장치(12), 스피커부(14), 잔여소음 저감장치(400) 및 제 2 마이크장치(15)을 그룹화할 수 있으며, 개별그룹마다 메인제어모듈(13)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메인제어모듈(13)은 관제서버(16)에 의해 중앙 통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제어모듈(13)은 제 1 마이크장치(12)로부터 수집되는 소음데이터로부터 물류센터 공사현장의 소음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스피커부(14)의 제 1 상쇄음 방출 시간, 주기, 위치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 1 마이크장치(12)로부터 수집된 소음데이터로부터 물류센터 공사현장의 소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에 측정된 공사현장 소음에 따라 소음데이터를 미리 제공받아 메인제어모듈(13)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스피커부(14)는 패널(11)에 내장되어 메인제어모듈(13)의 제어에 의해 제 1 상쇄음을 차량의 정면부를 향하여 송출할 수 있다. 스피커부(14)는 패널(11)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메인제어모듈(13)의 제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쇄음을 방출하는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스피커부(14)는, 복수의 스피커로 형성되는 스피커모듈(14-1, 14-2)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모듈(14-1, 14-2)은 패널(11) 각각의 상부에 내장되는 상부스피커모듈(14-1)과 하부에 내장되는 하부스피커모듈(14-2)로 이루어지며, 상부스피커모듈(14-1)과 하부스피커모듈(14-2)은 물류센터 시공현장을 향하여 제 1 상쇄음을 각각 송출함으로써 바닥면 상부에 상쇄음파막(A)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부(14)는 스피커모듈(14-1, 14-2)의 상부 및 하부에 승하강모듈을 더 포함하여 패널(11)의 상하 방향으로 수직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11)은 스피커부(14)의 수직이동 방향을 따라 패널(11)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는 슬라이딩 개구영역을 형성될 수 있다.
잔여소음 저감장치(400)는 패널(11)의 상부에 결합되며, 스피커부(14)의 작동 후에도 잔존하는 제 1 잔여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다. 즉 잔여소음 저감장치(400)는 스피커부(14)에 의해 감쇄된 소음을 한번 더 확인 및 감쇄하는 장치로서, 본 소음저감시스템의 신뢰도를 더욱 높이는 구성이다.
제 2 마이크장치(15)는 스피커부(14)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쇄 후의 제 2 잔여소음을 측정한다. 제 2 마이크장치(15)는 소음저감시스템 (10)의 소음 감쇄 효과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구성으로서, 제 2 마이크장치(15)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본 발명의 소음저감시스템(10) 작동을 수정하거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마이크장치(15)는 고정수단(500)에 의해 패널(11)과 결합될 수 있다. 고정수단(500)을 통해 제 2 마이크장치(15)를 패널(11)에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여 제 2 마이크장치(15)가 넘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관제서버(16)는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제어모듈(13)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제 1 마이크장치(12), 개별 스피커부(14) 및 개별 제 2 마이크장치(15)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개별 상태를 UI(USER INTERFACE)를 통해 그래픽형태로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또는 기 설정된 입력된 명령신호에 따라 메인제어모듈(13)에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관제서버(16)는 메인제어모듈(13)에게 자신이 관할하는 개별그룹에 설치된 제 1 마이크 장치(12), 스피커부(14), 잔여소음 저감장치(400), 제 2 마이크장치(15)의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한 후 관제서버(16)로 전송하게 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개별 그룹 내에 설치된 제 1 마이크 장치(120), 스피커부(14), 잔여소음 저감장치(400), 제 2 마이크장치(15)의 이상유무를 3가지 유형의 LED를 통해 표시하는 개별그룹이상유무 표시과정을 거친 후, 개별그룹이상유무 표시과정 후에 관제서버(16)가 다수개의 메인제어모듈(13)로부터 실시간 수집된 개별그룹의 현재 제 1 마이크장치(12) 또는 제 2 마이크장치(15)에서 수집된 소음데이터값과 스피커부(14)의 상쇄음 데이터신호를 분석처리한 후 모니터링화면에 UI을 통해 전체 소음저감시스템 및 개별화된 소음저감시스템의 변동상태를 그래픽형태로 구현하는 전체상황 모니터링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상황 모니터링과정에는 전체 개별그룹의 변동상태를 임계치/상한/하한값을 설정하여 색깔로 구분 표시하여 그래픽형태로 구현한 모니터링화면에서 그 색깔의 위치로 마우스를 이동할 경우 그 색깔이 지칭하는 개별그룹의 실시간 소음데이터 값 또는 상쇄음 값을 표시해주는 데이터값 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상황 모니터링과정에는 특정 개별 그룹에 이상신호가 발생될 경우 이를 관제서버(16)에서 해당 개별그룹을 관할하는 메인제어모듈(13)로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고 메인제어모듈(13)가 관제서버(16)의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해당 개별그룹의 제 1 마이크 장치(12), 스피커부(14), 잔여소음 저감장치(400), 제 2 마이크장치(15)를 강제로 오프/온 시키는 강제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관제서버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기 설정된 명령신호에 따라 제 1 마이크 장치(12), 스피커부(14), 잔여소음 저감장치(400), 제 2 마이크장치(15)을 작동을 재설정하는 정정제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제어모듈(13)는 물류센터 공사현장의 기 생성된 소음데이터, 상기 제1마이크장치(12)로부터 수집된 소음데이터 신호, 차량 주행 데이터 및 건설기계 소음데이터, 공사현장 내 소음 발생 데이터를 학습하여 진단하는 인공지능을 포함하여,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방사하는 제 1 상쇄음의 위상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생성된 소음데이터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소음저감시스템(10)이 설치되는 공사현장의 소음에 대한 통계적 수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주행 데이터란, 각종 차량이 일정 범위의 속도로 운행 시 발생하는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공사현장 내 소음 발생 데이터는 공사현장 내의 제한속도, 커브 또는 직선 등에 관한 정보 및 기타 자재이동 소음, 건설작업소음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메인제어모듈(13)는 인공지능을 포함함으로써, 시간의 변화 및 차량의 변화, 도로 주행 조건 데이터에 사용자의 개입없이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음저감시스템(10)을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메인제어모듈(13)는 제 2 마이크장치(15)로부터 수집된 제 2 잔여소음을 분석하여, 설정된 수치 이상의 소음이 측정되는 경우, 기 수행되고 있던 프로세스를 보정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부(14) 및 잔여소음 저감장치(400)가 작동하였는데도, 일정 크기 이상의 소음이 계속 제 2 마이크장치(15)에 의해 측정되는 경우, 소음저감시스템(10)의 프로세스에 오류가 발생하였거나 소음저감시스템(10)의 구성요소들이 파손 또는 고장난 경우일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메인제어모듈(13)은 스피커모듈(14-1, 14-2)를 회전시키거나 각도 등을 변화시키거나, 스피커모듈(14-1, 14-2)이 방출하는 상쇄음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에게 소음저감시스템(10)에 이상이 있음을 휴대단말기나 디스플레이부 등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소음 저감장치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소음 저감장치(400)는 몸체부(410), 가이드부(420) 및 능동소음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10)는 하부면(411), 상부면(412) 및 측면들(4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410)는 다면체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면(411)은 패널(11)의 상부에 결합된다. 하부면(411)은 지면에 평행하고 편평한 평면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부면(411)은 지면에 경사진 면과 지면에 편평한 면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례로,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하부면(411)의 테두리는 제1 모서리(411a), 제2 모서리(411b) 및 제1 및 제2 모서리(411a, 411b)를 연결하는 제3 모서리드들(411c)로 이루어지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모서리(411a)는 제1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2 모서리(411b)는 제1 모서리(411a)에 대향한다. 하부면(411)은 결합부(440)를 통하여 패널(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440)는 하부면(411) 중 제1
모서리(4110)에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고, 패널(11)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홈은 하부면(411)의 제1 모서리(411a)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440)는 하부면(411)과 결합하고 제1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된 제1 결합판(441)과 제1 결합판(441)의 모서리들 중 제1 방향(y)으로 연장된 두 개의 마주보는 모서리들로부터 지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두 개의 제2 결합판들(442)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440)는 하부로 개방된 결합홈을 구비하고, 'ㄷ'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부면(412)은 하부면(411)에 대향한다. 위에서 내려다본 상부면(412)의 테두리는 하부면(411)의 제1 모서리(411a)와 대응하는 제4 모서리(412a), 하부면(411)의 제2 모서리(411b)와 대응하는 제5 모서리(410b) 및 제4및 제5 모서리(412a, 412b)를 연결하는 제6 모서리들(412c)로 이루어진 다각형 형상으로 가질 수 있다. 상부면(412)은 하부면(411)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한 경사면과 하부면(411)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이후 설명될 몸체부(410)의 내부 공간(414)에 대응하는 상부면(412) 부분은 하부면(41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후 설명될 가이드부(420)가 배치될 상부면(412) 부분은 하부면(411)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면(412)의 경사면은 편평한 평면일 수도 있고, 위로 볼록한 곡면일 수도 있다.
측면들(413)은 상부면(412)과 하부면(411)을 연결한다. 예를 들면, 측면들(130)은 하부면(411)의 제1 모서리(411a)와 이에 대응하는 상부면(412)의 제4 모서리(412a)를 연결하는 제1 측면, 하부면(411)의 제2 모서리(411b)와 상부면(412)의 제5 모서리(412b)를 연결하는 제2 측면 및 하부면(411)의 제3 모서리들(411c)과 상부면(412)의 제6 모서리들(412c)을 각각 연결하는 제3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10)는 하부면(411), 상부면(412) 및 측면들(413)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414)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410)는 상부판, 하부판 및 상부판과 하부판의 대응하는 모서리들을 연결하는 측벽판들로 구성되고, 몸체부(410)의 내부 공간(414)을 상부판, 하부판 및 측벽판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판의 상면은 몸체부(410)의 상부면(412)이 되고, 하부판의 하면은 몸체부(410)의 하부면(411)이 되며, 측벽판들의 외부면들은 몸체부(410)의 측면들(413)이 된다.
몸체부(410)가 내부 공간(414)을 구비하는 경우, 몸체부(410)의 상부면(412), 즉, 상부판에는 다수의 소음 흡입구(4121)가 형성된다. 소음 흡입구(4121)의 크기는 소음의 파장에 의해 정하여지고, 몸체부(410)가 공명기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음 흡입구(4121)의 크기는 소음의 파장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11) 상부를 넘어가는 소음 중 일부가 소음 흡입구들(4121)을 통하여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면, 공명 주파수 부근의 음파는 위상이 반대로 변이되어 외부로 방출되고, 외부로 방출된 음파는 패널(11)를 넘어가는 소음과 만나 소멸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그 결과, 공명 주파수 부근의 주파수를 갖는 소음이 공명기로 작용하는 몸체부(410)에 의해 소멸될 수 있다.
제2 스피커들(43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2 저감스피커들(432)은 제1 저감스피커들(431)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피커들(432)은 소음원에 의해 발생된 소음 중 몸체부(410) 및 제1 상쇄음에 의해 소멸되지 않고 패널(11)을 넘어 수음점 방향으로 진행하는 잔류소음을 감쇄시키는 제2 상쇄음를 상기 수음점 방향으로 방사한다. 제2 저감스피커들(432)은 약 0.5m 내지 약 1.5m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제1 저감스피커들(431)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저감스피커들(432)을 통해 제 3 상쇄음를 방사하기 위하여, 능동소음제어부(430)는 잔류소음을 수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 3 마이크장치(미도시) 및 제 3 마이크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소음신호를 기초로 잔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 3 상쇄음를 생성하는 제2 신호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저감스피커들(432)은 잔류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하여 미리 저장된 백색소음을 방사할 수도 있다.
잔여소음 저감장치(400)에 따르면, 공명기로 작용하는 몸체부(410)에 의해 회절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저주파 대역의 소음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1 저감스피커들(431)에 의해 방사되는 제 2 상쇄음 및 제2 저감스피커들(432)에 의해 방사되는 제 3 상쇄음를 이용하여 패널(11)을 넘어 회절하는 소음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다.
고정수단(500)은 제 2 마이크장치(15)를 패널(11)과 연결 및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고정수단(500)을 통해 제 2 마이크장치(15)를 패널(11)에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여 제 2 마이크장치(15)가 넘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500)은, 제1 고정봉(510), 제2 고정봉(520), 높이조절구(530) 및 고정구(54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봉(510)은 후술되는 제2 고정봉(520)과 결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고정봉(5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 모양인 관체로 이루어지면서 일단에는 걸이부재(511)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막음부재(512)가 설치된다.
이때 걸이부재(511)는 후술되는 높이조절구(530)가 끼움 조립되도록 소정 폭의 끼움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막음부재(512)는 제1 고정봉(510)이 후술되는 스프링설치부(522)의 탄성스프링(522A)과 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제2 고정봉(520)은 제1 고정봉(510)의 타단이 슬라이딩 인입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에 의해 전체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고정봉(520)은 일단에는 제1 고정봉(510)이 삽입되기 위한 스프링설치부(522)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1 고정봉(510)과 동일한 구조의 걸이부재(521)가 설치된다. 이때 제2 고정봉(520)의 일단은 스프링설치부(522)와 제1 고정봉(510)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설치부(522)는 내부에 탄성스프링(522A)이 삽입 설치되고, 이에 의해 제1 고정봉(510)이 탄성스프링(522A)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제2 고정봉(520)의 구성에 의해 제1, 2 고정봉(510, 520)이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스프링(522A)에 의해 제1, 2 고정봉(510, 520)이 적절하게 탄성 지지되면서 후술되는 고정구(540)를 따라 상하로 설치 높이 조절된다.
높이조절구(530)는 제1, 2 고정봉(510, 520)에 설치된 걸이부재(511, 52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후술되는 고정구(54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위치 고정홈(54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제1, 2 고정봉(510, 52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높이조절구(530)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메인바디(531)와, 메인바디(531)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면서 제1, 2 고정봉(510, 520)의 걸이부재(511, 521)가 끼움 고정되는 끼움공(532) 및 메인바디(531)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돌기(533)를 포함한다.
이때 끼움공(532)은 "C"자 모양이 되도록 끼움공(532)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절개부(532A)가 일측에 형성되고, 경사돌기(533)의 선단에는 원통 모양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가이드돌기(534)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534)의 상, 하측에는 걸림돌기(534A)가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돌기(534A)에 의해 높이조절구(530)가 고정구(540)에 삽입될 때, 걸림돌기의 위치와 후술되는 고정구(540)의 승강안내판(542, 542')에 형성된 장공(542A)의 위치를 맞추어 삽입한 다음, 제1, 2 고정봉(510, 520)을 대략 90°로 회전시켜 사용되고, 이에 의해 고정구(540)로부터 높이조절구(530)가 임의로 위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구(530)의 구성에 의해 제1, 2 고정봉(510, 520)에 설치된 걸이부재(511, 521)에 높이조절구(530)가 쉽고 강건하게 조립되고, 이에 더해 경사돌기(533)와 가이드돌기(534)에 의해 후술되는 고정구(540)를 따라 제1, 2 고정봉(510, 520)의 설치 높이가 안정적으로 조절된다.
고정구(540)는 양측면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높이조절구(530)가 삽입되어 제1, 2 고정봉(510, 520)이 상하로 높이 조절됨과 동시에 높이 조절된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구(540)는 상하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 하측에 나사 구멍이 형성된 고정부(541A)가 구비되는 고정구본체(541)와, 고정구본체(541)의 일측면에 형성되면서 높이조절구(530)가 삽입 안내되는 장공(542A)이 형성된 승강안내판(542, 542') 및 승강안내판(542, 542')의 장공(542A)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는 위치 고정홈(543)을 포함한다. 이때 위치 고정홈(543)은 높이조절구(530)의 경사돌기(533)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승강안내판(542, 542')의 후방 쪽에는 높이조절구(530)의 가이드돌기(534)가 상하로 이동될 때, 상하 수직 방향만으로 이동이 안내되도록 소정 간격의 가이드홀(544)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보면, 내부에 설치된 고정구(540) 사이로 상호 조립된 제1, 2 고정봉(510, 520)의 길이를 최대로 수축시킨 상태에서 일단의 높이조절구(530)를 일측 고정구(540)의 장공(542A)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다른 쪽의 높이조절구(530)가 또 다른 고정구(540)의 장공에 삽입되도록 제1, 2 고정봉(510, 520)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축시킨 제1, 2 고정봉(510, 520)을 놓으면, 압축된 탄성스프링(522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2 고정봉(510, 520)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양측 고정구(540) 사이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1, 2 고정봉(510, 520)의 설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 고정봉(510, 520)의 길이를 다시 수축시킨 상태에서 장공(542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제1, 2 고정봉(510, 520)을 위치 이동시켜 적절한 높이의 위치 고정홈(543)에 경사돌기(533)가 위치되도록 조절하고, 이 상태에서 수축시킨 제1, 2 고정봉(510, 520)을 놓으면 탄성스프링(522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양측 높이조절구(530)의 경사돌기(533)가 양측 고정구(540)의 위치 고정홈에 맞닿도록 삽입되면서 제1, 2 고정봉(510, 520)의 높이가 고정된다.
이때 제1, 2 고정봉에는 제1, 2 고정봉(510, 520)이 임의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2 고정봉(510, 520)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스프링설치부(522)에 구비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옷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제1, 2 고정봉(510, 520)이 임의로 수축되지 않으면서 설치된 제1, 2 고정봉(510, 520)의 높이가 유지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유지관리지스템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시스템(20)은 중량측정부(600), 디스플레이부(700), 자동문(710), 이탈방지장치(8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600)는 물류센터의 출입구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차량 등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0)는 중량측정부(600)가 감지한 차량의 무게를 표시할 수 있다. 자동문(710)은 출입구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다. 이탈방지장치(800)는 출입구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자동문(710)의 개폐 시 상기 자동문(7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잇다. 제어부(미도시)는 중량측정부(600) 및 자동문(7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중량측정부(600)에서 측정된 차량의 무게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자동문(710)을 열지 않아, 차량 하중에 의한 상기 물류센터의 바닥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부(700)에 하중이 초과된 차량을 기 설정된 장소로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800)는 출입구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자동문(710)의 개폐방향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도어실(810) 및 자동문(7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슬라이드홈(8101)에 삽입되도록 하단이 연장된 슈 플레이트(811)를포함한다. 슈 플레이트(811)는 장방형의 몸체(8111), 몸체(8111)의 하단에서 상기 슬라이드홈(810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중앙고정편(8112), 상기 중앙고정편(8112)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몸체(8111)의 양측단 하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드홈(10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측단고정편(8113), 상기 중앙고정편(8112) 및 측단고정편(8113) 사이에 형성되고, 도어슈(812)가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편(8114) 및 결합편(8114)에 결합되고 슬라이드홈(8101) 내에 삽입되어 자동문(7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슈(812)를 포함한다.
도어실(810)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를 압출 또는 절곡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한 통상의 것으로, 자동문(710)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하측으로 함입된 슬라이드홈(8101)을 구비한다.
슈 플레이트(811)는 자동문(710) 좌우측 도어(711,712)에 각각 하나씩 설치됨으로써 자동문(71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에 자동문(710)에 하나에 두세 개의 도어슈를 각각 별개로 설치해야 했던 불편함을 보완하여 좌우측 도어(711,712) 각각에 하나의 슈 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자동문(71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슈 플레이트(811)를 구성하는 몸체(8111), 중앙고정편(8112), 측단고정편(8113) 및 결합편(8114)은 하나로 이어진 구조를 가지며, 장방형의 금속판에서 결합편(8114)의 좌우측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테인리스스틸의 재질로 하는 경우 산화방지 및 탄력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어슈(812)는 결합편(81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홈(8101)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자동문(710)이 열림과 닫힘에 의하여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때 슬라이드홈(8101) 내에서 도어실(810)과 가급적 마찰하지 않으면서도 자동문(710)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어슈(812)와 도어실(810)과의 간격은 0.5mm 내지 1.0mm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슈(812)는 연질의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표면이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테프론이나 우레탄 수지 등의 매끄럽고 내마모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윤활제를 코팅하는 것이 좋다.
몸체(8111)에는 자동문(710) 볼트(85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체결홀(8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체결홀(8115)는 몸체(811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 내지 5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의 견고함과 효율성의 관점에서 2 내지 4개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체결홀(8115)은 상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으로 구성함으로써 자동문(710)에 형성된 체결홀(도시하지 않음)과의 간격이나 크기가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정교한 작업 없이도 자동문(7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중앙고정편(8112)은 몸체(8111)로부터 슬라이드홈(8101)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자동문(710)의 열림과 닫힘에 의하여 슬라이드홈(8101)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며, 도어슈(812)가 낡거나 파손되어 도어 이탈 방지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자동문(710)이 이탈이 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측단고정편(8113)은 몸체(8111)의 좌우측 양 말단 부분에 형성되어 슬라이드홈(8101)의 내부까지 연장된 것으로서, 중앙고정편(8112)와 같이 자동문(710)의 열림과 닫힘에 의하여 슬라이드홈(8101)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며, 도어슈(812)가 낡거나 파손되어 도어 이탈 방지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자동문(710)가 이탈이 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측단고정편(8113)에는 나사못을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홀(81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못을 측단고정편(8113)에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도 상기 나사못이 슬라이드홈(8101)에 걸려서 자동문(710)가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결합편(8114)은 상기 측단고정편(8113)과 중앙고정편(8112) 사이에 형성되며, 한쪽에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도어슈(812)와의 결합의 견고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편(8114) 2개에 하나의 도어슈(812)가 결합하며, 좌우에 하나씩 총 2개의 도어슈(812)가 슈 플레이트(81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편(8114)에는 도어슈(812)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8117)과 홈부(8118)가 형성되어 있어, 연질의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슈(812)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체결홈(8117) 및 홈부(8118)의 위치와 크기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도어슈(812)에 형성됨으로써 결합과정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체결홈(8117)과 홈부(8118)에 탄력적으로 걸쳐짐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슈 플레이트(811)는 종래에는 도어슈(812) 하나에만 도어 이탈 방지를 의존했던 것과는 달리, 중앙고정편(8112) 및 측단고정편(8113)에 의해서도 2중 3중으로 도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측단고정편(8113)에 나사못을 결합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도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8111)는 도어실(810)의 슬라이드홈(8101)의 상부의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몸체(8111)는 슬라이드홈(8101)의 상부의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몸체(8111)를 자동문(710)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고, 다시 슬라이드홈(8101)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앙고정편(8112), 측단고정편(8113) 및 도어슈(812)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드홈(810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몸체(8111)를 자동문(710)의 저면에서 비스듬하게 절곡되고, 슬라이드홈(101)의 상부에서 슬라이드홈(101)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800)는 자동문(710)의 외측말단부(12)의 하부에 결합되는 외측 고정 브라켓(830), 및 도어실(810)의 전면부(8102) 말단에 결합되는 실 고정 브라켓(8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외측 고정 브라켓(830) 및 실 고정 브라켓(840)은 자동문(710)의 양 외측 말단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자동문(710)의 상하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도어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외측말단부(12)는 자동문(710)이 열리는 방향의 말단을 의미하며, 말단이 수직으로 두 번 절곡되어 절곡면이 도어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그 절곡면을 의미한다.
상기 외측 고정 브라켓(830)은 자동문(710)의 외측말단부(12)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부(8301), 결합부(8301)의 하단에서 외측말단부(12)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8302) 및 돌출부(8302)의 말단에서 자동문(710)의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걸림돌기(8303)를 포함한다.
결합부(8301)는 자동문(710)의 외측말단부(12)와 볼트 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홀(8304)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홀(8304)는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형성되는 것이 결합의 견고성과 효율성의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연장부(8302)는 결합부(8301)의 하단에서 자동문(710)과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걸림돌기(8303)가 상기 걸림턱(8403)과 닿을 수 있도록 적당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8303)는 연장부(8302)의 말단에서 자동문(710)의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돌기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걸림턱(8403)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걸림돌기(8303)는 도어가 상하 방향의 흔들림을 받았을 때에 걸림턱(8403)에 걸리게 되어 자동문(710)이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실 고정 브라켓(840)은 도어실(810)의 전면부(8102)에 설치된다. 상기 도어실(810)의 전면부(8102)는 자동문(710)을 바라보았을 때 도어실(810)에서 가장 가깝게 위치한 면을 의미한다.
결합부(8401)는 체결홀(840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8404)을 다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8401)는 2개의 체결홀(8404)을 포함하는 것이 결합의 견고함과 효율성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지지부(402)는 상기 결합부 (401)의 상단에서 도어(10)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지지부(402)의 상단에는 도어(10)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걸림턱(403)이 형성된다. 만약 도어실(810)의 전면부(8102)의 상단에 돌출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8402)는 결합부(8401)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돌출부 바깥으로 연장된 이후, 다시 자동문(710)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402)는 걸림턱(8403)이 걸림돌기(830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8403)은 걸림돌기(8303)의 상부에 위치하며, 자동문(710)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일 경우 걸림돌기(8303)가 걸림턱(8403)에 걸림으로써 도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종래의 경우 자동문(710)이 앞뒤로 흔들리는 경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만을 가지고 있어 자동문(710)의 상하 움직임에는 취약하였으나, 본 발명의 외측 고정 브라켓(830) 및 실 고정 브라켓(840)은 자동문(710)의 상하 움직임에 의한 이탈 또한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부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중량측정부(600)는 하우징부재(610), 변형부재(620), 가이드부재(630), 승강부재(640), 연산부재(650) 및 표시부재(6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량측정부(600)는 출입구 전면의 지면에 형성되며, 출입구를 지나다니는 차량 등의 무게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무게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하우징부재(610)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612)이 형성되고, 변형부재(620)는 하우징부재(610)의 설치공간(61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승강부재(640)는 변형부재(620)를 승강시키고, 위치를 유지시키게 되며, 연산부재(650)는 변형부재(620)의 변형 신호를 송신 받아 지나가는 차량의 무게를 연산하게 된다. 제어부재(650)에서 연산된 무게는 표시부재(660)에 의해 표시됨에 따라 차량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부재(640)는 일 실시 예로, 회전봉(642)과 링크암(644)으로 구성된다. 회전봉(642)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우징부재(6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링크암(644)은 하우징부재(610)의 설치공간(612)에 구비되어 회전봉(642)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변형부재(620)를 승강시킨 후 승강된 위치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봉(642)은 작업자가 회전시키거나 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된다. 그리고 하우징부재(610)의 설치공간(612)과 변형부재(620) 사이에 가이드부재(630)가 더 구비되어 승강되는 변형부재(620)를 기울어짐 없이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승강부재(640)는 일 실시 예이며, 유압이나 공압 등의 압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수의 기어가 치합되어 변형부재(620)를 승강시킬 수 있다면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방법
10: 소음저감시스템
11: 패널
12: 제 1 마이크장치
13: 메인제어모듈
14: 스피커부
15: 제 2 마이크장치
16: 관제서버
400: 소음저감장치
500: 고정수단
600: 중량측정부
800: 이탈방지장치
10: 소음저감시스템
11: 패널
12: 제 1 마이크장치
13: 메인제어모듈
14: 스피커부
15: 제 2 마이크장치
16: 관제서버
400: 소음저감장치
500: 고정수단
600: 중량측정부
800: 이탈방지장치
Claims (2)
- 시공프로젝트DB가 물류센터가 시공될 건축대지에 관하여 건축요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시공프로젝트DB가 상기 건축대지 및 상기 물류센터에 관하여 금융요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건축요소정보 및 상기 금융요소정보에 기초로, 상기 시공프로젝트DB에 저장된 설계 가치공학 데이터와 설계 분야별 전문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공프로젝트DB가 물류컨설팅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물류컨설팅 평가단계;
상기 건축요소정보, 상기 금융요소정보 및 상기 물류컨설팅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공프로젝트DB가 상기 건축대지에 배치 가능한 건물 외곽 형태, 건물 외곽 형태에 적용 가능한 건물 코어 구조, 건물 코어 구조 내 사용 용도에 따른 면적 분배 및 상기 면적 분배에 따른 건물의 층별 평면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관한 설계 모델을 계층적으로 생성하는 모델 생성단계;
상기 모델 생성단계 후, 상기 시공프로젝트DB가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공급업체 및 시공업체를 검색하여 추천하는 업체 추천단계;
상기 시공프로젝트DB가 소음저감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물류센터 시공현장에서 발생하는 공사소음을 저감시키는 공사소음 저감단계;
상기 시공프로젝트DB가 완성된 상기 물류센터의 매각 또는 리스 정보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가치실현단계; 및
상기 시공프로젝트DB가 유지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물류센터를 유지 및 관리하는 유지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관리시스템은
상기 물류센터의 출입구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측정부; 상기 중량측정부가 감지한 차량의 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출입구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자동문;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문의 개폐 시 상기 자동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 및 상기 중량측정부 및 상기 자동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측정부에서 측정된 차량의 무게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자동문을 열지 않아, 차량 하중에 의한 상기 물류센터의 바닥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하중이 초과된 차량을 기 설정된 장소로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게 하며,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상기 자동문의 개폐방향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도어실; 상기 자동문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도록 하단이 연장된 슈 플레이트; 상기 자동문의 외측말단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외측 고정 브라켓; 및 상기 도어실의 전면부 말단에 결합되는 실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슈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장방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중앙고정편; 상기 중앙고정편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몸체의 양측단 하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드홈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측단고정편; 상기 중앙고정편 및 측단고정편 사이에 형성되고, 도어슈가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편; 및 상기 결합편에 결합되고 슬라이드홈 내에 삽입되어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슈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고정 브라켓은,
상기 자동문의 외측말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서 외측말단부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서 도어의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 고정 브라켓은,
상기 자동문의 전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자동문과 평행하게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기 자동문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실 고정 브라켓의 걸림턱이 외측 고정 브라켓의 걸림돌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도어의 상하 흔들림에 의한 도어 이탈을 방지하는,
상기 모델 생성단계는,
상기 시공프로젝트DB가 1차 설계 모델에 대하여 산출되는 가치 평가 점수를 참조하여 상기 1차 설계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1차 설계 모델에 기초하여 2차 설계 모델을 생성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건축요소정보 및 상기 금융요소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가치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소음저감시스템은, 상기 물류센터 주위를 둘러싸는 복수의 패널; 상기 패널 설치되어 상기 공사소음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마이크장치; 상기 패널에 설치되며 제 1 상쇄음을 소음원을 향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스피커부; 상기 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피커부의 작동 후에도 잔존하는 제 1 잔여소음을 상쇄시키는 잔여소음 저감장치; 상기 스피커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쇄 후의 제 2 잔여소음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마이크장치; 및 상기 제 1 마이크장치 또는 상기 제 2 마이크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소음 데이터를 분석 및 전송하고, 상기 제1 마이크장치 또는 상기 제 2 마이크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소음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소음과 반대 위상을 갖는 상쇄음을 송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메인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모듈은, 공사현장에서 생성된 기 생성된 소음데이터, 상기 제1마이크장치로부터 수집된 소음데이터를 학습하여 진단하는 인공지능을 포함하여, 상기 인공지능을 이용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방사하는 제 1 상쇄음의 위상을 결정하는,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007A KR102113861B1 (ko) | 2020-01-16 | 2020-01-16 |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007A KR102113861B1 (ko) | 2020-01-16 | 2020-01-16 |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3861B1 true KR102113861B1 (ko) | 2020-06-02 |
Family
ID=7109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6007A KR102113861B1 (ko) | 2020-01-16 | 2020-01-16 |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386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2994A (ko) * | 2020-09-28 | 2022-04-05 | 위티(주) | 기계학습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2539A (ko) * | 2001-12-21 | 2003-06-27 | (주)티엘코리아 | 고객 맞춤형 종합물류서비스 장치 및 방법 |
KR20170025095A (ko) | 2015-08-27 | 2017-03-08 | 허철균 | 상황 인지 기반 양방향 안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
KR101760389B1 (ko) * | 2017-02-24 | 2017-07-21 | 스페이스워크 주식회사 | 가치 평가를 이용하여 건물 모델을 설계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KR102042048B1 (ko) * | 2018-06-05 | 2019-11-08 | (주)에스텍씨엔씨 | 설계 가치공학의 아이디어 평가방법 및 평가시스템 |
-
2020
- 2020-01-16 KR KR1020200006007A patent/KR1021138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2539A (ko) * | 2001-12-21 | 2003-06-27 | (주)티엘코리아 | 고객 맞춤형 종합물류서비스 장치 및 방법 |
KR20170025095A (ko) | 2015-08-27 | 2017-03-08 | 허철균 | 상황 인지 기반 양방향 안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
KR101760389B1 (ko) * | 2017-02-24 | 2017-07-21 | 스페이스워크 주식회사 | 가치 평가를 이용하여 건물 모델을 설계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KR102042048B1 (ko) * | 2018-06-05 | 2019-11-08 | (주)에스텍씨엔씨 | 설계 가치공학의 아이디어 평가방법 및 평가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2994A (ko) * | 2020-09-28 | 2022-04-05 | 위티(주) | 기계학습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2617630B1 (ko) * | 2020-09-28 | 2023-12-27 | 위티(주) | 기계학습 기반의 주택 매물을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23502B2 (en) | Impact sensing usable with fleet management system | |
US20230350424A1 (en) | Fleet management system | |
US956889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sensor to configur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 |
US20080243912A1 (en) | Method of providing business intelligence | |
KR102113861B1 (ko) | 원스톱 부동산 개발 및 시공 컨설팅서비스 제공방법 | |
KR102113857B1 (ko) | 물류컨설팅이 접목된 물류센터 시공방법 | |
AU2017201403B2 (en) | Fleet management system | |
Shahnazaryan | Integrated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Traversing Affordances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 |
Huizinga | Optimized Environmental Stress Screening of US Army Electronic Hardware | |
Steneker et al. | CASE STUDY OF A RAPID ASSESSMENT OF SEISMIC UPGRADE VIABILITY USING PERFORMANCE BASED EARTHQUAKE ENGINEE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