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784B1 -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장애시 데이터 손실방지가 가능한 데이터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장애시 데이터 손실방지가 가능한 데이터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784B1
KR102113784B1 KR1020160183046A KR20160183046A KR102113784B1 KR 102113784 B1 KR102113784 B1 KR 102113784B1 KR 1020160183046 A KR1020160183046 A KR 1020160183046A KR 20160183046 A KR20160183046 A KR 20160183046A KR 102113784 B1 KR102113784 B1 KR 10211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unit
gateway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058A (ko
Inventor
김종탁
판희준
박성훈
백진동
김상수
장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이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이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이치씨
Priority to KR102016018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7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0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인체의 상태 및 인체의 활동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게이트 웨이; 및 상기 게이트 웨이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 수집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웨이부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각 스마트 기기에 대응하는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단위별로 구분자를 부여하는 제1 저장부;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단위별 데이터들의 구분자를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송하지 않은 제1 상태 및 상기 데이터 수집수버로 전송한 제2 상태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는, 상기 게이트 웨이로부터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전송받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게이트 웨이의 통신 두절 시 상기 게이트 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구분자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업데이트 및 무결성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장애시 데이터 손실방지가 가능한 데이터 관리시스템{Date management system for preventing from data loss in BLE}
본 발명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장애시 데이터 손실방지가 가능한 데이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 등으로부터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규약을 통한 데이터 전송 중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게이트 웨이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웰빙 시대에 접어들면서 헬스 케어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고 있다. 각 지역에는 산책길이 늘어나고, 이를 이용한 간편한 걷기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헬스장을 통해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운동선수는 물론 아마추어들도 해당 운동을 즐기기에 적절한 맞춤헬스를 선호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다. 또한, 비만인 사람들은 체중감소를 위해 맞춤운동을 선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국가차원은 물론 개인차원에서도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운동방법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운동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의 운동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활성화에 따라 관련 어플리케이션(이하, "App"라 함)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건강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로는, 가슴부착 분리형 무선심박장치, 단체용 무선 심박계 시스템 등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가슴에 부착되는 심박센서에 의존하여 심박을 측정한다. 이러한 신체의 상태 또는 운동 상태 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들을 개인 건강 기기(PHD, personal health device)라고 한다. 이러한 개인 건강 기기들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제공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 건강 기기들 및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스마트 밴드 등의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BLE, Bluetooth low energy)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과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개인 건강 기기들의 데이터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기타 다양한 장치로 전송되어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 건강 기기들과 스마트폰과의 블루투스 통신이 두절된 경우에는 스마트폰과 각종 서버들간의 데이터 전송과정에서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 건강 기기 및 스마트 밴드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 간의 블루투스 통신이 두절된 경우라도 게이트 웨이로부터 전송되고 타 서버들이 수신하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인체의 상태 및 인체의 활동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게이트 웨이; 및 상기 게이트 웨이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 수집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웨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각 스마트 기기에 대응하는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단위별로 구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전송단위별 데이터들의 구분자를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송하지 않은 제1 상태 및 상기 데이터 수집수버로 전송한 제2 상태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이 두절된 경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는,
상기 게이트 웨이로부터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전송받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게이트 웨이의 통신 두절 시 상기 게이트 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구분자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확인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신부는 수신된 상기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를 제2 상태로 전환시키고 동시에 상기 게이트 웨이에 해당 전송단위별 데이터에 대한 수신여부를 응답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2 수신부로부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전송한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를 제2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게이트 웨이 간에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기술(BLE)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저장부는 상기 제1 저장부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내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이 성공한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를 제2 상태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기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전송단위별 데이터 중 구분자가 제1 상태인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주기적으로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전송단위별 데이터 중 구분자가 제1 상태인 전송단위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게이트 웨이에 데이터 재전송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의 재전송 요청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식별번호 및 상기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시퀀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웨이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분자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함으로써 스마트 기기와 게이트 웨이 간의 블루투스 통신이 두절된 경우라도 게이트 웨이와 데이터 수집서버 간의 통신 중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적용가능한 서비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웨이 및 데이터 수집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구성부들 간의 데이터 전송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스마트 기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 건강 기기(PHD, personal health device) 및 스마트 밴드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정의한다. 개인 건강 기기란 심전도 측정기, 혈당측정기, 체온계, 체중계, 활동량측정기, 심박측정기 등 인체의 상태나 인체의 활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스마트 밴드는 범용적으로 활용가능한 스마트 워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관리시스템이 적용가능한 서비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인체의 상태 또는 활동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데이터 베이스화를 한 후 다양하게 활용하는 서비스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건강기기(100)로부터 심전도, 혈당, 체온, 체중 및 활동량/심박 등을 측정한 후 이를 스마트폰(200) 등으로 전송하면, 이를 데이터 수집서버(300)가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분석 통계과정을 통하여 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부합하는 형식으로 가공하여 다시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여 해당 스마트폰의 사용자, 예를 들면 환자에게 건강 관리에 관한 콘텐츠나 해당 콘텐츠에 참여를 독려하는 콘텐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400)는 가공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를 보호자(5) 등에게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관리시스템은 개인건강기기(100)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마트폰(200), 즉 게이트 웨이와 데이터 수집서버(300)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웨이 및 데이터 수집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스마트 기기(100)와 게이트 웨이(200) 간에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이외에 게이트 웨이(200), 데이터 수집서버(300), 서비스 제공서버(400) 간에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로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다양한 버전의 블루투스 방식 등이 포함되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100)로는 개인건강기기와 스마트 밴드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관리 시스템은 인체의 상태 및 인체의 활동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게이트 웨이(200) 및 데이터 수집서버(300)를 포함한다.
게이트 웨이(200)는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였다가 데이터 수집서버(300)로 전송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게이트 웨이(200)는 전용의 기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스마트폰 내에서 스마트 기기(100)의 제조사들이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수집서버(300)는 게이트 웨이(2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게이트 웨이(200)와의 약속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전송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웨이(200)는 제1 수신부(210), 제1 저장부(220) 및 전송부(240)를 포함한다.
제1 수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스마트 기기(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기술에 따른 프로토콜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단위별로 구분하여 전송한다. 이 때 전송되는 전송단위별 데이터는 일반적인 패킷 단위로 구분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목적에 따라 패킷 방식과는 다른 단위 및 형식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저장부(220)는 제1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데이터를 전송한 각 스마트 기기에 대응하는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단위별로 구분자를 부여하여 저장한다.
제1 저장부(220)는 스마트폰의 앱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며, 이 경우 제1 저장부(220)는 별도로 앱 내 데이터베이스(230)를 구비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저장부(220)는 전송단위별 데이터들의 구분자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저장부(220)는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송하지 않은 제1 상태 및 상기 데이터 수집수버로 전송한 제2 상태로 구분하는 구분자를 각 전송단위별 데이터에 저장할 수 있다.
전송부(240)는 제1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전송부(240)는 스마트 기기(100)와의 통신이 두절된 경우 설정된 시간 간격, 예를 들면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하여 제1 저장부(220)의 앱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서버(300)로 전송한다.
한편, 전송부는 데이터 수집서버(300)의 제2 수신부(310)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응답이 전송되는 경우 전송한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를 제2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다.
데이터 수집서버(300)는 제2 수신부(310), 데이터베이스(350) 및 처리부(320)를 포함한다.
제2 수신부(310)는 게이트 웨이(200)로부터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제2 수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다. 데이터 베이스(350)에는 앞서 설명한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형식과 동일하게 또는 이를 모두 포함하는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신부(310)는 수신된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를 제2 상태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구분자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 경우 게이트 웨이(200)에 해당 전송단위별 데이터에 대한 수신여부를 응답하여 구분자가 제2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처리부(320)는 스마트 기기(100)와 게이트 웨이의 통신이 두절된 경우 게이트 웨이(200)로부터 미리 설정되 스케쥴에 따라 또는 일정한 주기로 전송되는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가 제1 상태인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구분자가 제2 상태인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처리부(320)는 기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베이스(350)에 저장된 전송단위별 데이터 중 구분자가 제1 상태인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처리부(320)는 데이터 베이스(350)에 저장된 전송단위별 데이터 중 구분자가 제1 상태인 전송단위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게이트 웨이(200)에 데이터 재전송 요청을 할 수 있다. 이 때 처리부(320)의 재전송 요청은 스마트 기기의 식별번호 및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시퀀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데이터 전송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구성부들 간의 데이터 전송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전송단위별로 분할되어 게이트 웨이(200)로 전송된다. 이 때 각 전송단위별 데이터는 스마트 기기의 식별정보와 분할된 데이터의 시퀀스 정보가 측정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다.
게이트 웨이(200)는 각 전송단위별 데이터에 구분자를 추가하여 저장하게 된다. 구분자는 게이트 웨이(200)가 전송하지 않은 전송단위별 데이터나 전송에 실패한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제1 상태로 구분하고, 게이트 웨이(200)가 데이터 수집서버(300)로 전송에 성공한 전송단위별 데이터,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서버(300)로부터 수신확인된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를 제2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100)와 게이트 웨이(200) 간의 데이터 통신이 두절된 경우에는 데이터 수집서버(300)로의 전송이 완료되지 못하는 전송단위별 데이터(예를 들면 시퀀스 3)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데이터 수집서버(300)가 시퀀스 3의 데이터를 수집한 경우 이에 대한 수신확인 신호를 게이트웨이(200)에 전송함으로써 게이트웨이(200)와 데이터 수집서버(300) 양측에서의 구분자를 제2 상태(Y)로 모두 변환 시킴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 확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데이터가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음의 두 가지 과정을 통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완할 수 있다.
첫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 웨이(200)가 스마트 기기(100)와의 통신이 두절된 경우 설정된 시간 간격, 예를 들면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하여 앱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때 데이터 수집서버(300)는 구분자가 제1 상태인 전송단위별 데이터는 데이터 수집서버(300) 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제2 상태인 경우 이를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와 비교를 하면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완하게 된다.
둘째, 데이터 수집서버(300)는 기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전송단위별 데이터 중 구분자가 제1 상태인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 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전송단위별 데이터 중 구분자가 제1 상태인 전송단위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게이트 웨이(200)에 데이터 재전송 요청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의 전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누락 또는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스마트 기기
200: 게이트 웨이
300: 데이터 수집서버
350: 데이터 베이스
400: 서비스 제공서버

Claims (10)

  1. 인체의 상태 및 인체의 활동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게이트 웨이; 및
    상기 게이트 웨이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 수집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웨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각 스마트 기기에 대응하는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단위별로 구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전송단위별 데이터들의 구분자를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송하지 않은 제1 상태 및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송한 제2 상태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이 두절된 경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는,
    상기 게이트 웨이로부터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전송받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게이트 웨이의 통신 두절 시 상기 게이트 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구분자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확인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는 수신된 상기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를 제2 상태로 전환시키고 동시에 상기 게이트 웨이에 해당 전송단위별 데이터에 대한 수신여부를 응답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2 수신부로부터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전송한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를 제2 상태로 전환시키는 데이터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게이트 웨이 간에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기술(BLE)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는 상기 제1 저장부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내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비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이 성공한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를 제2 상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기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전송단위별 데이터 중 구분자가 제1 상태인 전송단위별 데이터를 확인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주기적으로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구분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전송단위별 데이터 중 구분자가 제1 상태인 전송단위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게이트 웨이에 데이터 재전송 요청을 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의 재전송 요청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식별번호 및 상기 전송단위별 데이터의 시퀀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관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웨이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데이터관리시스템.
KR1020160183046A 2016-12-29 2016-12-29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장애시 데이터 손실방지가 가능한 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211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46A KR102113784B1 (ko) 2016-12-29 2016-12-29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장애시 데이터 손실방지가 가능한 데이터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46A KR102113784B1 (ko) 2016-12-29 2016-12-29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장애시 데이터 손실방지가 가능한 데이터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58A KR20180078058A (ko) 2018-07-09
KR102113784B1 true KR102113784B1 (ko) 2020-06-02

Family

ID=6291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046A KR102113784B1 (ko) 2016-12-29 2016-12-29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장애시 데이터 손실방지가 가능한 데이터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7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922B1 (ko) 2019-01-14 2019-06-17 하이볼 주식회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동시 지원하는 야구 경기 기록 입력 및 분석 시스템
KR20230134694A (ko) 2022-03-15 2023-09-22 메타솔루컴 주식회사 Ble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715B1 (ko) * 2011-05-30 2013-05-20 유니포스테크 (주)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40379368A1 (en) * 2011-12-28 2014-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ersonal health
KR20150095269A (ko) * 2014-02-13 2015-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제어기능을 가지는 usn 센서 접속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생애주기의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60130622A (ko) * 2015-05-04 2016-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전력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의 명령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58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ew et al. Iot based real-time remote patient monitoring system
US8653965B1 (en) Human health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Sendra et al. Smart system for children's chronic illness monitoring
RU2577328C2 (ru) Беспроводной релейный модуль с функцией экстренного вызова
Costa et al. Integration of wearable solutions in aal environments with mobility support
US9047648B1 (en) Measurement, collection, reporting and processing of health condition data
Drăgulinescu et al. LoRa-based medical IoT system architecture and testbed
CN203122372U (zh) 基于Android技术和物联网的实时健康监测及智能预警系统
Albaeazanchi et al. Identification key scheme to enhance network performance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
Deshpande et al. Iot based real time ecg monitoring system using cypress wiced
CN104042196A (zh) 实时健康监测及智能预警系统与方法
CN104639655A (zh) 一种基于移动网关的健康体征监测数据收集方法
KR102113784B1 (ko)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장애시 데이터 손실방지가 가능한 데이터 관리시스템
US931912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5871711B (zh) 一种全自动通信监护系统及方法
KR20120138313A (ko) 응급상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u-헬스 장치
US108877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Lee et al.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iability of low‐rate wireless u‐healthcare monitoring applications
Lima et al. Simulation of iso/ieee 11073 personal health devices in wbans
CN105743991A (zh) 可穿戴设备信息存储处理方法
Tahir et al. Fog-based healthcare architecture for wearable body area network
Adam et al. Sensor enhanced health information systems: issues and challenges
KR101322485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팔 운동 측정 시스템
KR20180075854A (ko)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Kafi et al. CCS_WHMS: a congestion control scheme for wearable health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