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393B1 - 번역용 헤드키트 - Google Patents

번역용 헤드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393B1
KR102113393B1 KR1020180059319A KR20180059319A KR102113393B1 KR 102113393 B1 KR102113393 B1 KR 102113393B1 KR 1020180059319 A KR1020180059319 A KR 1020180059319A KR 20180059319 A KR20180059319 A KR 20180059319A KR 102113393 B1 KR102113393 B1 KR 102113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acter
hologram
interference light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112A (ko
Inventor
이기헌
Original Assignee
이기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헌 filed Critical 이기헌
Priority to KR102018005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39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74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holograph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음성신호를 문자화한 다음,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로 번역하여 문자 형태로 표시 홀로그램에 표시하기 위한 번역용 헤드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번역용 헤드키트는 착용자의 머리에 지지되는 프레임유닛과, 프레임유닛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간섭광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간섭광 프로젝터와, 간섭광 프로젝터에서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유닛에 결합되고 간섭광 홀로그램과 합쳐져서 표시 홀로그램을 형성되도록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기준광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기준광 프로젝터와, 입력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를 제1문자로 문자화하고, 제1문자를 번역하여 제2문자로 문자화하는 번역유닛;을 포함하고,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간섭광 프로젝터와 기준광 프로젝터에 각각 전송된다.

Description

번역용 헤드키트{HEAD KIT FOR TRANSLATION}
본 발명은 번역용 헤드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음성신호를 문자화한 다음,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로 번역하여 문자 형태로 표시 홀로그램에 표시하기 위한 번역용 헤드키트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통역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일개 국어의 음성신호를 디지털 문자로 전환 한후 상대국 문자로 변환하여 다시 상대국 음성으로 나타나게 하여 사용되는 장치이다. 또한, 인터넷이나 기타의 통신 등에서 디지털 전환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문자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문자를 인식 장치로 언어화하여 개인 핸드폰이나 pc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국제 회의장 등에서 쓰이는 쌍방향 동시 통역기는 일개국의 언어를 사람이나 디지탈 통역기가 동시 다개국어로 통역을 하여 수신자들에게 통역이 된다. 또한, 어학 실습기 등에서 문자를 음성 언어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76105호 (발명의 명칭 : 휴대용 통역기, 2001. 08. 1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음성신호를 문자화한 다음,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로 번역하여 문자 형태로 표시 홀로그램에 표시하기 위한 번역용 헤드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착용자의 머리에 지지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간섭광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간섭광 프로젝터; 상기 간섭광 프로젝터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간섭광 홀로그램과 합쳐져서 표시 홀로그램을 형성되도록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기준광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기준광 프로젝터; 입력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를 제1문자로 문자화하고, 상기 제1문자를 번역하여 제2문자로 문자화하는 번역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간섭광 프로젝터와 상기 기준광 프로젝터에 각각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번역유닛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가 저장되는 음성인식부; 상기 입력음성신호를 음성변환신호로 변환하는 음성변환부; 상기 음성변환신호를 상기 제1문자로 문자화하는 제1문자화부; 및 상기 제1문자를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로 번역하여 상기 제2문자로 문자화하는 제2문자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상기 제2문자의 변환에 따른 번역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번역유닛은, 상기 제2문자를 문자변환신호로 변환하는 문자변환부; 및 상기 문자변환신호를 상기 번역음성신호로 음성화하는 음성화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상기 입력음성신호와 상기 제1문자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음성신호가 다시 입력되도록 상기 음성인식부와 상기 음성변환부와 상기 제1문자화부의 초기화를 위한 초기화신호를 생성하는 취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번역유닛은, 상기 초기화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인식부와 상기 음성변환부와 상기 제1문자화부를 초기화시키는 번역초기화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다른 번역유닛이 상기 번역유닛과 무선 접속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력음성신호가 다른 번역유닛에 전달되도록 하는 모드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번역유닛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무선 접속 가능한 다른 번역유닛을 확인하는 연동확인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간섭광 프로젝터와 상기 기준광 프로젝터는, 상기 표시 홀로그램에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가 모두 표시되는 경우, 착용자를 기준으로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에 따라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간섭광 프로젝터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을 나타내는 수학식을 수학적인 연산을 통해 간섭광 데이터를 획득하는 간섭광연산부; 상기 간섭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간섭광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간섭광발생부; 및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간섭광연산부와 상기 간섭광발생부를 제어하는 간섭광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간섭광제어부는, 상기 표시 홀로그램에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가 모두 표시되는 경우, 착용자를 기준으로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에 따라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의 위치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기준광 프로젝터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을 나타내는 수학식을 수학적인 연산을 통해 간섭광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준광연산부; 상기 기준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기준광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기준광발생부; 및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광연산부와 상기 기준광발생부를 제어하는 기준광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준광제어부는, 상기 표시 홀로그램에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가 모두 표시되는 경우, 착용자를 기준으로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에 따라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의 위치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상기 간섭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변경시키는 간섭광구동부와, 상기 간섭광구동부와 연계하여 상기 기준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변경시키는 기준광구동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구동유닛; 및 상기 프로젝터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상대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표시 홀로그램을 유지시키는 구동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제어유닛은, 착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향감지센서부; 상기 방향감지센서부에서 감지한 방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간섭광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간섭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조절하는 제1구동제어부; 및 상기 방향감지센서부에서 감지한 방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준광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기준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조절하는 제2구동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상대방에 대하여 상기 표시 홀로그램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표시 홀로그램을 세팅하는 초기세팅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초기세팅유닛은,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따른 기준 또는 상대방의 얼굴에 따른 기준을 설정하는 문자기준표시부를 상기 표시 홀로그램 상에 표시하는 문자기준부; 상기 문자기준표시부를 상대방의 얼굴과 매칭시키는 시선방향매칭부; 및 상대방의 얼굴과 매칭된 상기 문자기준표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초기세팅유닛은, 상기 표시 홀로그램의 크기 설정을 위한 크기기준표시부를 상기 표시 홀로그램에 표시하는 크기기준부; 및 상기 크기기준표시부 사이에 상대방의 얼굴이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표시 홀로그램의 크기를 결정하는 크기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제어유닛은, 착용자와 상대방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기세팅유닛은, 상기 거리감시센서부에서 감지한 거리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표시 홀로그램의 크기를 결정하는 홀로그램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에 따르면, 입력음성신호를 문자화한 다음,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로 번역하여 문자 형태로 표시 홀로그램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폭부를 통해 사람의 목소리 파장 영역을 증폭시키고, 입력음성신호의 문자화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번역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입력음성신호를 제2문자로 안정되게 문자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출력부를 통해 제2문자를 음성 지원할 수 있고,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소부를 통해 입력음성신호의 문자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제1문자의 오류를 검증할 수 있으며, 다시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에서 오류 부분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전환부를 통해 상호 인접한 둘 이상의 번역유닛을 상호 연동시킬 수 있고, 착용자의 입력음성신호를 다른 번역유닛에 직접 전달할 수 있으며, 간섭광 프로젝터와 기준광 프로젝터가 접속되지 않은 다른 번역유닛에서도 번역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섭광 프로젝터와 기준광 프로젝터에서 각각 간섭광 홀로그램과 기준광 홀로그램을 안정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섭광제어부와 기준광제어부를 통해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위치 및 배열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 홀로그램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표시 홀로그램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위치 및 크기 그리고 표시 홀로그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대방을 기준으로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위치를 착용자가 조절할 수 있고, 착용자의 위치에 따라 제1문자와 제2문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착용자에게 원하는 언어의 제1문자와 제2문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 및 상대방이 각각 제1문자와 제2문자를 시청함에 있어서, 각각의 문자 해석을 간편하게 하고, 착용자와 상대방 사이에서 시야를 방해받지 않으면서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착용자의 시선 방향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간섭광 프로젝터와 기준광 프로젝터의 움직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 미착용자뿐만 아니라 안경 착용자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헤드키트와 안경 사이의 탈부착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에서 간섭광 프로젝터와 기준광 프로젝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에서 표시 홀로그램의 표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a)는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상대방의 정면을 향할 때를 나타내고, (b)는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착용자의 우측을 향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에서 표시 홀로그램의 표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써, (a)는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상대방의 정면을 향할 때를 나타내고, (b)는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착용자의 우측을 향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프레임유닛(10)과,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와, 마이크(81)와, 번역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유닛(10)은 착용자의 머리에 지지된다. 프레임유닛(10)은 착용자의 귀와 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림 지지되는 안경형유닛과, 착용자의 안경에 걸림 지지되는 안경보조형유닛과,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지지하는 밴드형유닛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유닛(10)은 도 1과 같이 안경형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안경형유닛은 착용자의 얼굴 전면에 배치되는 지지틀부(11)를 포함하고, 착용자의 귀에 대응하여 지지틀부(11)의 일단부 또는 지지틀부(1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귀걸이부(12)와, 착용자의 코에 대응하여 지지틀부(11)에 구비되는 코걸이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경형유닛은 착용자의 안경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경결합부(14)를 더 포함함으로써, 안경형유닛을 착용자의 안경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안경형유닛은 착용자의 눈에 대응하여 지지틀부(11)에 구비되는 보호렌즈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안경보조형유닛에는 착용자의 안경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경결합부(14)를 더 포함함으로써, 안경보조형유닛을 착용자의 안경에 설치할 수 있다.
간섭광 프로젝터(20)는 프레임유닛(10)에 결합된다. 간섭광 프로젝터(20)는 지지틀부(11)의 양단부, 지지틀부(11)의 중앙 영역, 귀걸이부(12), 코걸이부(13) 중 어느 하나에 간섭광구동부(41)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간섭광 프로젝터(20)는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간섭광 홀로그램을 형성한다. 그러면, 착용자의 얼굴 전방에서는 간섭광 홀로그램과 기준광 홀로그램이 합쳐져서 표시 홀로그램(H)을 형성하게 된다. 표시 홀로그램(H)에는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한다.
간섭광 프로젝터(20)는 표시 홀로그램(H)에 제1문자와 제2문자가 모두 표시되는 경우, 착용자를 기준으로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에 따라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간섭광 프로젝터(20)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되는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을 나타내는 수학식을 수학적인 연산을 통해 간섭광 데이터를 획득하는 간섭광연산부(22)와, 간섭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간섭광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간섭광발생부(23)와,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간섭광연산부(22)와 간섭광발생부(23)를 제어하는 간섭광제어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광 프로젝터(20)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되는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간섭광문자저장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섭광 프로젝터(20)는 간섭광연산부(22)에서 획득한 간섭광 데이터가 저장되는 간섭광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섭광연산부(22) 또는 간섭광발생부(23)에는 레이저 조사를 위해 간섭광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간섭광변환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간섭광발생부(23)는 변환된 데이터에 의해 안정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간섭광제어부(24)는 표시 홀로그램(H)에 제1문자와 제2문자가 모두 표시되는 경우, 착용자를 기준으로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에 따라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위치를 설정한다. 다른 표현으로, 간섭광제어부(24)는 착용자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언어에 대응되는 문자가 표시 홀로그램(H)의 상부에 표시되고, 상대방의 언어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 홀로그램(H)의 하부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간섭광제어부(24)는 상대방의 언어에 대응되는 문자에 대해 상대방이 볼 수 있도록 좌우가 반전되어 표시 홀로그램(H)에 표시되도록 한다.
일예로, 착용자가 한국인이고, 상대방이 외국인인 경우, 제1문자는 국어로써, 표시 홀로그램(H)의 상부에서 제1문자표시부(C1)에 표시되고, 제2문자는 외국어로써, 좌우가 반전된 상태로 표시 홀로그램(H)의 하부에서 제2문자표시부(C2)에 표시된다.
간섭광제어부(24)는 간섭광구동부(41)의 동작에 연계하여 간섭광연산부(22)와 간섭광발생부(23)를 제어하므로,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위치시킬 수 있고,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준광 프로젝터(30)는 간섭광 프로젝터(20)에서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유닛(10)에 결합된다. 기준광 프로젝터(30)는 지지틀부(11)의 양단부, 지지틀부(11)의 중앙 영역, 귀걸이부(12), 코걸이부(13) 중 어느 하나에 기준광구동부(42)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기준광 프로젝터(30)는 착용자의 얼굴 전방에서 기준광 홀로그램을 형성한다. 그러면, 착용자의 얼굴 전방에서는 간섭광 홀로그램과 기준광 홀로그램이 합쳐져서 표시 홀로그램(H)을 형성하게 된다. 표시 홀로그램(H)에는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한다.
기준광 프로젝터(30)는 간섭광 프로젝터(30)와 마찬가지로 표시 홀로그램(H)에 제1문자와 제2문자가 모두 표시되는 경우, 착용자를 기준으로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에 따라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기준광 프로젝터(30)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되는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을 나타내는 수학식을 수학적인 연산을 통해 기준광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준광연산부(32)와, 기준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기준광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기준광발생부(33)와,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기준광연산부(32)와 기준광발생부(33)를 제어하는 기준광제어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광 프로젝터(30)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되는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기준광문자저장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광문자저장부(31)는 간섭광문자저장부(21)와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문자저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기준광 프로젝터(30)는 기준광연산부(32)에서 획득한 기준광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준광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광연산부(32) 또는 기준광발생부(33)에는 레이저 조사를 위해 기준광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기준광변환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기준광발생부(33)는 변환된 데이터에 의해 안정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기준광제어부(34)는 표시 홀로그램(H)에 제1문자와 제2문자가 모두 표시되는 경우, 착용자를 기준으로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에 따라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위치를 설정한다. 다른 표현으로, 기준광제어부(34)는 착용자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언어에 대응되는 문자가 표시 홀로그램(H)의 상부에 표시되고, 상대방의 언어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 홀로그램(H)의 하부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기준광제어부(34)는 상대방의 언어에 대응되는 문자에 대해 상대방이 볼 수 있도록 좌우가 반전되어 표시 홀로그램(H)에 표시되도록 한다.
일예로, 착용자가 한국인이고, 상대방이 외국인인 경우, 제1문자는 국어로써, 표시 홀로그램(H)의 상부에서 제1문자표시부(C1)에 표시되고, 제2문자는 외국어로써, 좌우가 반전된 상태로 표시 홀로그램(H)의 하부에서 제2문자표시부(C2)에 표시된다.
기준광제어부(34)는 기준광구동부(42)의 동작에 연계하여 기준광연산부(32)와 기준광발생부(33)를 제어하므로,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위치시킬 수 있고,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이크(81)는 입력음성신호가 입력된다. 마이크(81)는 프레임유닛(10) 또는 번역유닛(70)에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81)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프레임유닛(10) 또는 번역유닛(70)에 접속될 수 있다.
마이크(81)에는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입력증폭부(84)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증폭부(84)는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 중 사람의 목소리 파장 영역을 증폭시킬 수 있다
마이크(81)에는 입력증폭부(84)를 통해 증폭된 입력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하울링을 제거하기 위한 하울링 제거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마이크(81)에는 하울링 제거기(미도시)의 출력신호 또는 입력증폭부(8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에코 제어를 하는 에코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마이크(81)에는 입력증폭부(84)의 출력신호를 하울링 제거기(미도시)로 입력시키거나 또는 하울링 제거기(미도시)를 거치지 않고 다음단으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하울링제거 온/오프부(미도시)와, 하울링 제거기(미도시)의 출력신호 또는 하울링제거 온/오프부(미도시)를 통해 바이패스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에코제어부(미도시)에 입력시키거나 또는 바이패스시키는 에코 온/오프부(미도시)와, 입력증폭부(84)의 마이크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마이크 볼륨 조절부(미도시)와, 에코제어부(미도시)의 에코 강도를 조절하는 에코강도 조절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번역유닛(70)은 마이크(81)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를 제1문자로 문자화하고, 제1문자를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로 번역하여 제2문자로 문자화한다.
그러면,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에 각각 전송된다.
번역유닛(70)은 마이크(81)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가 저장되는 음성인식부(71)와, 입력음성신호를 음성변환신호로 변환하는 음성변환부(72)와, 음성변환신호를 제1문자로 문자화하는 제1문자화부(73)와, 제1문자를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로 번역하여 제2문자로 문자화하는 제2문자화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번역유닛(70)은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유닛문자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번역유닛(70)은 제2문자를 문자변환신호로 변환하는 문자변환부(77)와, 문자변환신호를 번역음성신호로 음성화하는 음성화부(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번역음성신호는 유닛문자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번역유닛(70)은 초기화신호에 따라 음성인식부(71)와 음성변환부(72)와 제1문자화부(73)를 초기화시키는 번역초기화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번역초기화부(75)는 유닛문자저장부(미도시)도 초기화시킬 수 있다.
번역유닛(70)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무선 접속 가능한 다른 번역유닛을 확인하는 연동확인부(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번역유닛(70)은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와 마이크(81) 및 다른 번역유닛 사이에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번역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번역통신부(미도시)는 마이크(81)에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문자와 제2문자를 각각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에 전송하며, 후술하는 취소부(90a)의 동작에 따라 초기화신호를 수신하고, 후술하는 모드전환부(90b)의 동작에 따라 입력음성신호를 다른 번역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번역유닛(70)은 스마트단말(90)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제2문자의 변환에 따른 번역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음성출력부(82, 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82, 83)는 프레임유닛(10) 또는 번역유닛(70)에 구비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82, 83)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프레임유닛(10) 또는 번역유닛(70)에 접속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82, 83)는 착용자 또는 상대방의 귀에 결합되는 이어폰(82)과, 착용자로부터 상대방을 향해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83)로 구분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82, 83)에는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조절부(85)가 포함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82, 83)에는 입력되는 번역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출력증폭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출력증폭부(미도시)는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 중 사람의 목소리 파장 영역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음성출력부(82, 83)에는 출력증폭부(미도시)를 통해 증폭된 입력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하울링을 제거하기 위한 하울링 제거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82, 83)에는 하울링 제거기(미도시)의 출력신호 또는 출력증폭부(미도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에코 제어를 하는 에코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82, 83)에는 출력증폭부(미도시)의 출력신호를 하울링 제거기(미도시)로 입력시키거나 또는 하울링 제거기(미도시)를 거치지 않고 다음단으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하울링제거 온/오프부(미도시)와, 하울링 제거기(미도시)의 출력신호 또는 하울링제거 온/오프부(미도시)를 통해 바이패스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에코제어부(미도시)에 입력시키거나 또는 바이패스시키는 에코 온/오프부(미도시)와, 에코제어부(미도시)의 에코 강도를 조절하는 에코강도 조절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입력음성신호와 제1문자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입력음성신호가 다시 입력되도록 음성인식부(71)와 음성변환부(72)와 제1문자화부(73)의 초기화를 위한 초기화신호를 생성하는 취소부(9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취소부(90a)를 통해 생성된 초기화신호는 번역유닛(70)으로 전송되고, 번역초기화부(75)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다른 번역유닛이 착용자의 번역유닛(70)과 무선 접속되는 경우, 마이크(81)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가 다른 번역유닛에 전달되도록 하는 모드전환부(9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드전환부(90b)가 동작되는 상태에서는 입력음성신호가 다른 번역유닛으로 전달되고, 다른 번역유닛에 접속된 음성출력부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프로젝터 구동유닛(40)과, 구동제어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구동유닛(40)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를 회전시킨다. 프로젝터 구동유닛(40)은 간섭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변경시키는 간섭광구동부(41)와, 간섭광구동부(41)와 연계하여 기준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변경시키는 기준광구동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광구동부(41)는 간섭광 프로젝터를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고, 여기서, 간섭광구동부(41)의 세부 구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기준광구동부(42)는 기준광 프로젝터를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고, 여기서, 기준광구동부(42)의 세부 구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구동제어유닛(50)은 프로젝터 구동유닛(40)을 제어하여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상대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표시 홀로그램(H)을 유지시킨다.
구동제어유닛(50)은 착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향감지센서부(51)와, 방향감지센서부(51)에서 감지한 방향정보를 바탕으로 간섭광구동부(41)의 동작을 제어하여 간섭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조절하는 제1구동제어부(55)와, 방향감지센서부(51)에서 감지한 방향정보를 바탕으로 기준광구동부(42)의 동작을 제어하여 기준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조절하는 제2구동제어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감지센서부(51)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모션 센서, 지자기 센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정보는 착용자가 움직일 때, 시계열 순으로 변화하는 회전각도의 변화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착용자가 고개를 돌리거나 자세를 바꾸는 경우라도, 미리 설정된 위치에 표시 홀로그램 및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므로, 상대방의 전방에서 표시 홀로그램(H)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대방은 전방의 표시 홀로그램(H)을 통해 안정되게 번역된 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구동제어유닛(50)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컨텐츠통신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통신부(53)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 bee)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제어유닛(50)은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와 프로젝터 구동유닛(40)과 컨텐츠통신부(53)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전원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제어유닛(50)은 표시 홀로그램(H)의 정위치를 위해 착용자의 움직임과 방향감지센서부(51)에서 감지하는 방향정보 사이의 오차를 보정하는 제어보정부(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보정부(57)는 시계열 순으로 측정되는 방향정보들 중에서 현재 측정되는 제1방향정보와, 현재보다 한 단계 전에 측정되는 제2방향정보와, 현재보다 두 단계 전에 측정되는 제3방향정보를 이용한다. 제어보정부(57)는 방향정보들을 시계열 순으로 저장한 다음, 제2방향정보와 제3방향정보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여 제1차이값을 산출하고, 제1방향정보와 제2방향정보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여 제2차이값을 산출한다.
이때, 제2차이값이 제1차이값보다 크거나 같은 상태일 경우, 제2방향정보에 대응하는 회전각도에 기설정된 보정값을 더해서 간섭광구동부(41)와 기준광구동부(42)를 제어함으로써,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의 회전각도를 증가시킨다. 여기서, 기설정된 보정값은 제2차이값과 제1차이값의 차이에 비례하여 값이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오차 보정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차이값이 제1차이값보다 작은 상태일 경우, 제2방향정보에 대응하는 회전각도에 기설정된 보정값을 적용하지 않고, 제2방향정보에 대응하는 회전각도로 간섭광구동부(41)와 기준광구동부(42)를 제어함으로써,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보정부(57)는 제2차이값을 제1차이값에 저장하고, 제2방향정보를 제3방향정보에 저장하며, 제1방향정보를 제2방향정보에 저장함으로써, 다음 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보정부(57)에서 각 방향정보는 X축, Y축, Z축 중 일부 또는 전체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제어유닛(50)은 착용자와 상대방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부(52)를 더 포함함으로써, 거리감지센서부(52)에서 감지한 거리정보를 바탕으로 거리정보에 비례하여 표시 홀로그램(H)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표시 홀로그램(H) 상에서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의 크기를 작게 하고, 표시 홀로그램(H)이 상대방과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부(52)는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수발광 센서,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정보는 착용자와 상대방 사이의 거리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는 상대방에 대하여 표시 홀로그램(H)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표시 홀로그램(H)을 세팅하는 초기세팅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세팅유닛(60)은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따른 기준 또는 상대방의 얼굴에 따른 기준을 설정하는 문자기준표시부(M)를 표시 홀로그램(H) 상에 표시하는 문자기준부(61)와, 문자기준표시부(M)를 상대방의 얼굴과 매칭시키는 시선방향매칭부(62)와, 상대방의 얼굴과 매칭된 문자기준표시부(M)를 기준으로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표시 홀로그램(H) 상에서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초기세팅유닛(60)은 표시 홀로그램(H)의 크기 설정을 위한 크기기준표시부(MS1, MS2, MS3, MS4)를 표시 홀로그램(H) 상에 표시하는 크기기준부(67)와, 크기기준표시부(MS1, MS2, MS3, MS4) 사이에 상대방의 얼굴이 포함되도록 하여 표시 홀로그램(H)의 크기를 결정하는 크기결정부(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표시 홀로그램(H)의 크기가 조절됨은 물론 표시 홀로그램(H) 상에서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표시 홀로그램(H)에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될 때,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크기기준표시부(MS1, MS2, MS3, MS4)에 의해 제한된 영역에 표시되므로, 상대방이 간편하게 제2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세팅유닛(60)은 거리감지센서부(52)에서 감지한 거리정보를 바탕으로 표시 홀로그램(H)의 크기를 결정하는 홀로그램결정부(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표시 홀로그램(H)의 크기가 조절됨은 물론 표시 홀로그램(H) 상에서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표시 홀로그램(H)에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될 때,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크기기준표시부(MS1, MS2, MS3, MS4)에 의해 제한된 영역에 표시되므로, 상대방이 간편하게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세팅유닛(60)은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사용되는 언어를 결정하는 언어결정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세팅유닛(60)은 컨텐츠통신부(53)를 매개로 유무선 통신을 통해 구동제어유닛(50)과 접속될 수 있다. 초기세팅유닛(60)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컨텐츠통신부(53)와 접속되는 세팅통신부(6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세팅유닛(60)은 문자기준부(61)와, 시선방향매칭부(62)와, 위치결정부(63)와, 크기기준부(67)와, 크기결정부(68)와, 홀로그램결정부(69)와, 언어결정부(66)와, 세팅통신부(601)에 전원을 공급하는 세팅전원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세팅유닛(60)은 문자기준부(61)와, 시선방향매칭부(62)와, 위치결정부(63)와, 크기기준부(67)와, 크기결정부(68)와, 홀로그램결정부(69)와, 언어결정부(66)와, 세팅통신부(601)와, 세팅전원부(64)의 동작을 선택하는 세팅스위치부(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세팅유닛(60)은 스마트단말(90)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용 헤드키트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번역의 표시]
먼저, 마이크(81)에 입력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입력음성신호는 음성인식부(71)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입력음성신호는 음성변환부(72)를 통해 음성변환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음성변환신호는 제1문자화부(73)를 통해 제1문자로 문자화된다. 제1문자는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에 각각 전달되어 표시 홀로그램(H)에 표시되거나 별도의 화면에 표시됨으로써, 착용자는 입력음성신호에 대한 제1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입력음성신호에 대응하여 제1문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취소부(90a)를 동작시켜 초기화신호를 번역유닛(70)에 전송한다. 초기화신호는 번역초기화부(75)를 동작시켜 번역유닛(70)을 초기화하고, 다시 마이크(81)를 통해 입력음성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음성신호에 대응하여 제1문자가 정상으로 확인되면, 제1문자는 제2문자화부(74)를 통해 제2문자로 문자화된다. 제2문자는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에 각각 전달되어 표시 홀로그램(H)에 표시됨으로써, 상대방이 제2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문자와 제2문자는 표시 홀로그램(H)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문자는 문자변환부(77)를 통해 문자변환신호로 변환된다. 문자변환신호는 음성화부(78)를 통해 번역음성신호로 음성화된다.
그리고 번역음성신호는 음성출력부(82, 83)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상대방이 소리를 통해 제2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마이크(81)를 통해 착용자의 입력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술한 과정을 거쳐 번역음성신호로 음성화되고, 번역음성신호는 음성출력부 중 스피커(83)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상대방이 소리를 통해 번역된 착용자의 언어 및 제2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이크(81)를 통해 상대방의 입력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술한 과정을 거쳐 번역음성신호로 음성화되고, 번역음성신호는 음성출력부 중 이어폰(82)을 통해 출력됨으로써, 착용자가 소리를 통해 번역된 상대방의 언어 및 제2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음성신호는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 및 착용자의 언어가 기설정됨에 따라 번역유닛(70)에서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가 착용자의 언어인지 상대방의 언어인지 구분할 수 있고, 음성출력부 중 이어폰(82)과 스피커(83)를 선택할 수 있다.
<제1문자와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결정>
구동제어유닛(50)과 초기세팅유닛(60)이 접속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전방으로 표시 홀로그램(H)이 생성된다. 이때, 문자기준부(61)에 의해 표시 홀로그램(H)의 중앙에 문자기준표시부(M)가 표시된다. 그리고 착용자는 문자기준표시부(M)를 상대방의 얼굴에 배치한 다음, 세팅스위치부(65)를 조작하거나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시선방향매칭부(62)에 의해 상대방의 얼굴과 표시 홀로그램(H)이 매칭된다. 마지막으로 문자기준표시부(M)를 기준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의 위치를 선택한 다음, 세팅스위치부(65)를 조작하거나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문자위치결정부(63)에 의해 문자기준표시부(M)를 기준으로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의 위치의 위치가 결정된다. 여기서,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의 위치 선택은 착용자의 시선 방향을 변경하거나 세팅스위치부(65)의 조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표시 홀로그램(H)의 크기 결정>
첫째, 구동제어유닛(50)과 초기세팅유닛(60)이 접속된 상태에서 문자기준부(67)에 의해 표시 홀로그램(H)에 크기기준표시부(MS1, MS2, MS3, MS4)가 표시된다. 크기기준표시부(MS1, MS2, MS3, MS4)는 표시 홀로그램(H)의 모서리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크기기준표시부(MS1, MS2, MS3, MS4)는 표시 홀로그램(H)의 네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두 모서리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표시 홀로그램(H)에는 제1표시부(MS1)와 제3표시부(MS3)가 표시되거나, 추가로 제2표시부(MS2)와 제4표시부(MS4)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 홀로그램(H)에는 제2표시부(MS2)와 제4표시부(MS4)가 표시되거나, 추가로 제1표시부(MS1)와 제3표시부(MS3)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는 크기기준표시부(MS1, MS2, MS3, MS4)를 상대방의 얼굴에 배치한 다음, 각각의 배치 상태에서 세팅스위치부(65)를 조작하거나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크기결정부(68)에 의해 크기기준표시부(MS1, MS2, MS3, MS4)와 표시 홀로그램(H)의 모서리가 매칭된다. 그리고 크기결정부(68)는 크기기준표시부(MS1, MS2, MS3, MS4)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표시 홀로그램(H)의 크기를 조절함은 물론 표시 홀로그램(H)에서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크기기준표시부(MS1, MS2, MS3, MS4)는 표시 홀로그램(H)의 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둘째, 구동제어유닛(50)과 초기세팅유닛(60)이 접속된 상태에서 거리감지센서부(52)가 착용자와 상대방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면, 홀로그램결정부(69)는 거리감지센서부(52)가 감지한 거리정보를 바탕으로 거리에 비례하여 표시 홀로그램(H)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표시 홀로그램(H) 상에서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얼굴 전방에서 표시 홀로그램(H)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표시 홀로그램(H) 및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의 정위치>
착용자가 고개를 돌리거나 자세를 바꾸는 경우, 표시 홀로그램(H) 및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상대방과 마주보는 상태에서 표시 홀로그램(H)의 상부에는 제1문자표시부(C1)가 위치하고, 표시 홀로그램(H)의 하부에는 제2문자표시부(C2)가 위치하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우측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방향감지센서부(51)의 동작에 따라 간섭광구동부(41)와 기준광구동부(42)의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가 움직이고, 표시 홀로그램(H) 및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는 초기 상태와 같이 상대방의 전방에 그대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착용자의 시점에서 보면, 초기 상태에서 표시 홀로그램(H) 및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는 착용자의 정면에 배치되었다가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우측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표시 홀로그램(H) 및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는 착용자의 좌측에 배치된다. 이때, 제어보정부(57)는 착용자의 움직임과 방향감지센서부(51)에서 감지하는 방향정보 사이의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표시 홀로그램(H) 및 제1문자표시부(C1)와 제2문자표시부(C2)는 미리 설정된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번역용 헤드키트에 따르면, 입력음성신호를 문자화한 다음,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로 번역하여 문자 형태로 표시 홀로그램(H)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증폭부를 통해 사람의 목소리 파장 영역을 증폭시키고, 입력음성신호의 문자화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번역유닛(7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입력음성신호를 제2문자로 안정되게 문자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음성출력부(82, 83)를 통해 제2문자를 음성 지원할 수 있고,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취소부(90a)를 통해 입력음성신호의 문자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제1문자의 오류를 검증할 수 있으며, 다시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에서 오류 부분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모드전환부(90b)를 통해 상호 인접한 둘 이상의 번역유닛을 상호 연동시킬 수 있고, 착용자의 입력음성신호를 다른 번역유닛에 직접 전달할 수 있으며,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가 접속되지 않은 다른 번역유닛에서도 번역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에서 각각 간섭광 홀로그램과 기준광 홀로그램을 안정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간섭광제어부(24)와 기준광제어부(34)를 통해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위치 및 배열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 홀로그램(H)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표시 홀로그램(H)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위치 및 크기 그리고 표시 홀로그램(H)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대방을 기준으로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위치를 착용자가 조절할 수 있고, 착용자의 위치에 따라 제1문자와 제2문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착용자에게 원하는 언어의 제1문자와 제2문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 및 상대방이 각각 제1문자와 제2문자를 시청함에 있어서, 각각의 문자 해석을 간편하게 하고, 착용자와 상대방 사이에서 시야를 방해받지 않으면서 제1문자와 제2문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착용자의 시선 방향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간섭광 프로젝터(20)와 기준광 프로젝터(30)의 움직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안경 미착용자뿐만 아니라 안경 착용자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헤드키트와 안경 사이의 탈부착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프레임유닛 11: 지지틀부 12: 귀걸이부
13: 코걸이부 14: 안경결합부 15: 보호렌즈부
20: 간섭광 프로젝터 21: 간섭광문자저장부 22: 간섭광연산부
23: 간섭광발생부 24: 간섭광제어부 25: 간섭광바디부
30: 기준광 프로젝터 31: 기준광문자저장부 32: 기준광연산부
33: 기준광발생부 34: 기준광제어부 35: 기준광바디부
40: 프로젝터 구동유닛 41: 간섭광구동부 42: 기준광구동부
50: 구동제어유닛 51: 방향감지센서부 52: 거리감지센서부
53: 컨텐츠통신부 54: 구동전원부 55: 제1구동제어부
56: 제2구동제어부 57: 제어보정부 60: 초기세팅유닛
601: 세팅통신부 61: 문자기준부 62: 시선방향매칭부
63: 위치결정부 64: 세팅전원부 65: 세팅스위치부
66: 언어결정부 67: 크기기준부 68: 크기결정부
69: 홀로그램결정부 70: 번역유닛 71: 음성인식부
72: 음성변환부 73: 제1문자화부 74: 제2문자화부
75: 번역초기화부 76: 연동확인부 77: 문자변환부
78: 음성화부 81: 마이크 82: 이어폰
83: 스피커 84: 입력증폭부 85: 볼륨조절부
90: 스마트단말 90a: 취소부 90b: 모드전환부
H: 표시 홀로그램 M: 문자기준표시부 MS1: 제1표시부
MS2: 제2표시부 MS3: 제3표시부 MS4: 제4표시부
C1: 제1문자표시부 C2: 제2문자표시부

Claims (8)

  1. 착용자의 머리에 지지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간섭광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간섭광 프로젝터;
    상기 간섭광 프로젝터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간섭광 홀로그램과 합쳐져서 표시 홀로그램을 형성되도록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기준광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기준광 프로젝터;
    상기 간섭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변경시키는 간섭광구동부와, 상기 간섭광구동부와 연계하여 상기 기준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변경시키는 기준광구동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구동유닛;
    상기 프로젝터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착용자의 시선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상대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표시 홀로그램을 유지시키는 구동제어유닛;
    입력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를 제1문자로 문자화하고, 상기 제1문자를 번역하여 제2문자로 문자화하는 번역유닛;
    상기 제2문자의 변환에 따른 번역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음성출력부; 및
    다른 번역유닛이 상기 번역유닛과 무선 접속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력음성신호가 다른 번역유닛에 전달되도록 하는 모드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간섭광 프로젝터와 상기 기준광 프로젝터에 각각 전송되며,
    상기 번역유닛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음성신호가 저장되는 음성인식부;
    상기 입력음성신호를 음성변환신호로 변환하는 음성변환부;
    상기 음성변환신호를 상기 제1문자로 문자화하는 제1문자화부;
    상기 제1문자를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로 번역하여 상기 제2문자로 문자화하는 제2문자화부;
    상기 제2문자를 문자변환신호로 변환하는 문자변환부;
    상기 문자변환신호를 상기 번역음성신호로 음성화하는 음성화부; 및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무선 접속 가능한 다른 번역유닛을 확인하는 연동확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광 프로젝터와 상기 기준광 프로젝터는,
    상기 표시 홀로그램에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가 모두 표시되는 경우,
    착용자를 기준으로 번역하고자 하는 언어에 따라 상기 제1문자와 상기 제2문자의 위치를 설정하되, 상기 제1문자 및 제2문자 중 하나는 상대방이 볼 수 있도록 좌우가 반전되어 상기 표시 홀로그램에 표시되며,
    상기 구동제어유닛은,
    착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향감지센서부; 상기 표시 홀로그램의 정위치를 위해 착용자의 움직임과 상기 방향감지센서부에서 감지하는 방향정보 사이의 오차를 보정하는 제어보정부; 상기 방향감지센서부에서 감지한 방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간섭광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간섭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조절하는 제1구동제어부; 및 상기 방향감지센서부에서 감지한 방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준광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기준광 홀로그램의 주사 방향을 조절하는 제2구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보정부는 시계열 순으로 측정되는 방향정보들 중에서 현재 측정되는 제1방향정보와, 현재 보다 한 단계 전에 측정되는 제2방향정보와, 현재 보다 두 단계 전에 측정되는 제3방향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방향정보와 제3방향정보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여 제1차이값을 산출하고, 제1방향정보와 제2방향정보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여 제2차이값을 산출하며,
    상기 제2차이값이 제1차이값보다 크거나 같은 상태일 경우, 제2방향정보에 대응하는 회전각도에 기설정된 보정값을 더해서 간섭광구동부와 기준광구동부를 제어하여 간섭광 프로젝터와 기준광 프로젝터의 회전 각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차이값이 제1차이값보다 작은 상태일 경우, 제2방향정보에 대응하는 회전각도에 기설정된 보정값을 적용하지 않고, 제2방향정보에 대응하는 회전각도로 간섭광구동부와 기준광구동부를 제어하여 간섭광 프로젝터와 기준광 프로젝터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제어보정부는 제2차이값을 제1차이값에 저장하고, 제2방향정보를 제3방향정보에 저장하며, 제1방향정보를 제2방향정보에 저장하여 다음 단계에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역용 헤드키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음성신호와 상기 제1문자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음성신호가 다시 입력되도록 상기 음성인식부와 상기 음성변환부와 상기 제1문자화부의 초기화를 위한 초기화신호를 생성하는 취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번역유닛은,
    상기 초기화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인식부와 상기 음성변환부와 상기 제1문자화부를 초기화시키는 번역초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역용 헤드키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대방에 대하여 상기 표시 홀로그램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표시 홀로그램을 세팅하는 초기세팅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역용 헤드키트.
KR1020180059319A 2018-05-24 2018-05-24 번역용 헤드키트 KR102113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19A KR102113393B1 (ko) 2018-05-24 2018-05-24 번역용 헤드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19A KR102113393B1 (ko) 2018-05-24 2018-05-24 번역용 헤드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112A KR20190134112A (ko) 2019-12-04
KR102113393B1 true KR102113393B1 (ko) 2020-05-20

Family

ID=6900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319A KR102113393B1 (ko) 2018-05-24 2018-05-24 번역용 헤드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3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105A (ko) 2000-01-25 2001-08-11 권현옥 휴대용 통역기
KR100558910B1 (ko) * 2003-08-13 2006-03-10 (주)에이치인포메이션 멀티미디어 메시지 컨텐츠 작성/전송 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
KR102108500B1 (ko) * 2013-02-22 2020-05-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번역 기반 통신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204919B1 (ko) * 2014-06-14 2021-01-18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가상 및 증강 현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101620197B1 (ko) * 2014-10-02 2016-05-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홀로그램 3차원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112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6219B2 (ja) 眼鏡型表示装置及び翻訳システム
US20200365066A1 (en) Augmented reality eyebox fitting optimization for individuals
US9159299B2 (en) Compensated method of displaying based on a visual adjustment factor
US11068668B2 (en) Natural language translation in augmented reality(AR)
US7173765B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9753287B2 (en) Spectacle with invisible optics
JP2008176681A (ja) 眼鏡型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
US20170303052A1 (en) Wearable auditory feedback device
US20140236594A1 (en) Assistive device for converting an audio signal into a visual representation
CN108196629A (zh) 显示设备
US12032155B2 (en) Method and head-mounted unit for assisting a hearing-impaired user
KR20150057048A (ko) 시력 기반의 가상화면을 이용한 안경 장치
KR20220066911A (ko) 오디오 콘텐트를 제공할 때 촉각 콘텐트의 레벨을 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1289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JP2018513656A (ja) 画像強調可能な眼鏡構造
CN115151858A (zh) 可集成于眼镜框的助听系统
US20190080630A1 (en) Medical grade wearable eyeglasses with holographic voice and sign language recognition duo interpreters and response with microphone/speakers using programming software, optional customization via smartphone device or private webpage
KR102113393B1 (ko) 번역용 헤드키트
EP3881561B1 (en) Optical microphone for eyewear devices
KR20150061909A (ko) 청각 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US2022023064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receiving information from external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3852890A (zh) 头戴式电子设备和音频处理方法
JP6766403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220062546A (ko) 촉각 콘텐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207976793U (zh) 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