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030B1 - Audio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udio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030B1
KR102113030B1 KR1020180089376A KR20180089376A KR102113030B1 KR 102113030 B1 KR102113030 B1 KR 102113030B1 KR 1020180089376 A KR1020180089376 A KR 1020180089376A KR 20180089376 A KR20180089376 A KR 20180089376A KR 102113030 B1 KR102113030 B1 KR 102113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ound
uni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3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4023A (en
Inventor
손황수
박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마이터스
(주)아이언디바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마이터스, (주)아이언디바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마이터스
Priority to KR102018008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030B1/en
Priority to PCT/KR2018/010428 priority patent/WO2020027364A1/en
Publication of KR2020001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0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는 센서부,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상단 영역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음향 출력부 및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입출력부,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하단 영역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음향 출력부 및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2 음향 입출력부, 및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각 음향 출력부 및 각 음향 입력부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nsor unit for sensing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by the user, is formed in a predefined upper reg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es sound to the user A first sound input / output unit including a first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d a first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sound input from a user is formed in a predefined lower reg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provided for outputting sound to the user. 2 A second audio input / output unit including a sound output unit and a second audio input unit for receiving sound from a user, and a movement sensed by the sensor unit in a normal mode in which a communication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A control unit for variably determining a main sound output unit and a main sound input unit used to provide a call function among each sound output unit and each sound input unit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put and output unit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Figure 112018075815650-pat00001
Figure 112018075815650-pat00001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UDIO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AUDIO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에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oustic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화상통화 및 음성통화가 가능하고, 오디오 기능 및 카메라 기능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나아가, Bezel-Less Design 등의 적용으로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은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로 방향(즉, 길이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와이드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이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that enable video calls and voice calls and provide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audio functions and camera functions has become common. Furthermore, the display screen applied to smartphones is becoming larger with the application of Bezel-Less Design, etc., and accordingly, the function of providing a wide image exte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e, a lengthwise or horizontal direction) to a user is a smartphone Is being applied to.

현재, 영상을 가로 방향으로 확장한 와이드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이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으나, 스마트폰이 세로 방향(즉,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는 일방향으로 고정된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스마트폰의 스피커는 상단 영역에 고정되고 마이크는 하단 영역에 고정되게 된다.Currently, a function of providing a wide image in which a video is expa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applied to a smartphone, but a fixed image in one direction is provided to a user while the smartphone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e, a vertical direction). Along with this, the speaker of the smartphone is fixed to the upper area and the microphone is fixed to the lower area.

현재 스마트폰은 상하가 잘 구분되기 어려운 외형 및 디자인이 적용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상하 반대로 잡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의 스피커 및 마이크는 각각 스마트폰의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에 고정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상하 반대로 잡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을 다시 상하 반대로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Currently, the appearance and design of the smart phone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so that the user frequently holds the smart phone upside down. In this case, as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of the smartphone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smartphone, respectively,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who holds the smartphone upside down or upside down must hold the smartphone upside down again.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1918호(2017.12.01.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1918 (released on December 01, 201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을 잡는 방향에 무관하게 이동 통신 단말의 스피커 및 마이크의 정상 동작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peaker and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hol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By doing so, it is to provide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o improve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상단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입출력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하단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2 음향 입출력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상기 각 음향 출력부 및 상기 각 음향 입력부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ensor unit that senses a dir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by a user, and is formed in a predefined upper reg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sound to the user A first sound input and output unit including a first sound output unit for receiving sound and a first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user, formed in a predefined lower reg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sound to the user A second sound input and output unit including a second sound output unit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user and a second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and in a normal mode in which a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Normal Mode), the sensor uni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used to provide a call function among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sound input unit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put and output units And a control unit for variably determining the sound input uni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 the normal mode,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 of the main sound output unit to determine complementa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sound input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put units is determined complementaril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상단 영역 및 상기 하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1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the upper region and the lower region are respectively the first direction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ound output unit and the The second sound input unit is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a case where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vertically spaced from the user's face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virtual reference line indicating the dire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angle, the operations of the first sound output unit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are activated to respectively activat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s the main sound inpu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하단 영역 및 상기 상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2 방향인 경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the lower region and the upper region are respectively the second direction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and the The first sound input unit is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a case where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vertically spaced from the user's face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virtual reference line indicating the dire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angle, the operations of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are activated to respectively activat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s the main sound inpu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apart from the user's face exceeds the reference angle, the first and the first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by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sound input unit included in the sound input / output unit located closer to the user's face among the two sound input / output units.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3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컨텐츠 출력 기능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to the user, and the control unit comprises the first to third sound in a multimedia mode in which a content output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by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output uni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트위터(Tweeter)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되고, 상기 제3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서브 우퍼(Subwoofe)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are implemented as a piezo speaker operating as a tweeter in the multimedia mode, and the third sound output unit is a subwoofer in the multimedia mod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mplemented as a dynamic speaker that operat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센서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제공 기능에 따른 모드(Mode)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상기 각 음향 출력부 및 상기 각 음향 입력부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operating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sensing a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by the user, and a control unit in a mode according to a func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ing (Mode), and when th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normal mode that provides a call functio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variably determining a main sound output unit and a main sound input unit used to provide a call function among the sound output units and the sound input units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put and output units. Is don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에 구비된 스피커 및 마이크의 동작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통화 기능 및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사용할 시 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 function and a multimedia function to the user by a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and microphon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by the user, When the user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as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노멀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ngle formed by a virtual reference lin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in a normal mode in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in a multimedia mode in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coustic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노멀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ample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ngle formed by a virtual reference lin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acoustic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in the normal mode in the sound device of the terminal,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in a multimedia mode in the sound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는 키입력부(100), 센서부(200), 제1 음향 입출력부(300), 제2 음향 입출력부(400), 제3 음향 출력부(500), 디스플레이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100, a sensor unit 200, a first audio input / output unit 300, and a second audio input / output unit 400. , A third sound output unit 500, a display unit 600 and a control unit 700.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즉, 디스플레이부(600)가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부분을 전면부로 표기하고, 전면부의 반대측 부분을 후면부로 표기하며, 이동 통신 단말의 두께를 형성하는 좌우면 부분, 상면 부분 및 하면 부분을 각각 좌우 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로 표기한다.The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fined as follows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display unit 600 is provided to indicate a portion providing an image to a user as a front portion, a portion opposite to the front portion is marked as a rear portion, and a left and right portio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forming a thick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denoted as left and right side parts, top surfaces, and bottom surfaces, respectively.

이동 통신 단말의 전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이 기 정의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후술할 것과 같이 상단 영역(TOP)에는 제1 음향 입출력부(300)가 형성되고, 하단 영역(BOTTOM)에는 제2 음향 입출력부(4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의 면적은 이동 통신 단말의 설계 스펙 및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an upper area (TOP) and a lower area (BOTTOM) may be predefined and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later, the first acoustic input / output unit 300 may be formed in the upper region TOP, and the second acoustic input / output unit 400 may be formed in the lower region BOTTOM. The area of the upper area (TOP) and the lower area (BOTTOM) may be various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design specifications and desig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술한 이동 통신 단말의 구조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acoustic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키입력부(1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면부, 후면부, 좌우 측면부,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버튼은 이동 통신 단말의 전원 버튼, 음량 조절 버튼 또는 소정의 기능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00)는 이동 통신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터치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후술하는 제어부(700)로 전달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00 may include one or more buttons that are provided by a user, and are operated by a user, provided on the front, rear, left, right, side, top, or botto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ach button is a power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may be implemented as a volume control button or a predetermined function button.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touch input unit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unit 700 described below by recognizing a user's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 To enab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센서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여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기 위해, 3축에 대한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이동 통신 단말의 기울기 또는 회전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 방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3축에 대한 지자기를 센싱하는 지자기 센서, 이동 통신 단말의 속도 변화나 가해지는 힘의 세기를 센싱하는 가속 센서, 또는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물체의 접근을 센싱하는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00 may sense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by the use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700. In order to sense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nsor unit 200 measures the rotational speed about the 3 axes to detect the inclination or ro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gyro sensor, and geomagnetic for 3 axes to obtain orienta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geomagnetic sensor for sensing, an acceleration sensor for sensing the speed chan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strength of the applied force, or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an object approach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 음향 입출력부(3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상단 영역(TOP)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음향 입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상단 영역(TOP)의 중앙에 제1 음향 출력부(310)가 형성되고, 상단 영역(TOP)의 우측 하단에 제1 음향 입력부(320)가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제1 음향 입력부(320)는 도 2의 Top Edge View를 통해 도시된 것과 같이 상면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는 각각 통상의 스피커(Speaker) 및 마이크(MIC)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input / output unit 300 is formed in a predefined upper area (TO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for outputting sound to the user and a first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user It may include an acoustic input unit 320.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area TOP,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is formed in the lower right of the upper area TOP. Meanwhile,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may b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as shown through the Top Edge View of FIG. 2.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may be embodied as a conventional speaker and a microphone (MIC), respectively.

제2 음향 입출력부(4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음향 입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하단 영역(BOTTOM)의 중앙에 제2 음향 출력부(410)가 형성되고, 하단 영역(BOTTOM)의 우측 상단에 제2 음향 입력부(420)가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제2 음향 입력부(420)는 도 2의 Bottom Edge View를 통해 도시된 것과 같이 하면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2 음향 입출력부(400)는 디스플레이부(600)를 중심으로 제1 음향 입출력부(300)와 대칭적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는 각각 통상의 스피커(Speaker) 및 마이크(MIC)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sound input / output unit 400 is formed in a predefined bottom area (BOTTO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for outputting sound to the user and a second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user It may include an acoustic input unit 420.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area BOTTOM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is formed at the upper right of the lower area BOTTOM.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may b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surface as shown through the Bottom Edge View of FIG. 2. The second audio input / output unit 400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first audio input / output unit 300 centering on the display unit 600.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may be embodied as ordinary speakers and microphones, respectively.

제3 음향 출력부(5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단 영역(BOTTOM)의 좌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The third sound output unit 50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bottom area BOTTOM as shown in FIG. 2 to output sound to a user.

한편, 후술할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310, 410)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될 수 있고, 제3 음향 출력부(500)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310 and 4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piezo speaker, and the third sound output unit 500 may be a dynamic speaker. Can be implemented as

디스플레이부(600)는 액정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터치 패드가 일체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에게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60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a liquid crystal display (OLED) and a touch pad are integrally formed, and an image is displayed to a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0. Can print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에 포함된 각 음향 출력부(310, 410) 및 각 음향 입력부(320, 420)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컨텐츠 출력 기능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에서,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310, 410, 500)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the normal mode in which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7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audio input / output units 300,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200.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used for providing a call function among the sound output units 310 and 410 and the sound input units 320 and 420 included in the 400 may be variably determin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700 may activate operations of the first to third sound output units 310, 410, and 500 in a multimedia mode in which a content output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먼저, 노멀 모드에서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가 결정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rst,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in the normal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술한 것과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은 상하가 잘 구분되기 어려운 외형 및 디자인이 적용되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상하 반대로 잡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때 이동 통신 단말의 스피커 및 마이크는 각각 이동 통신 단말의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에 고정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을 상하 반대로 잡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을 다시 상하 반대로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As described abo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s frequently applied to an external shape and design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so that the user frequently hol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pside down, and the speaker and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respectively As it is fixed in the upper area (TOP) and the lower area (BOTTO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who hol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pside down is required to hol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pside down again.

이에, 본 실시예의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에 포함된 각 음향 출력부(310, 410) 및 각 음향 입력부(320, 420)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즉, 통화 중인 사용자에게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즉, 통화 중인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first and second soun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200 in the normal mode (Normal Mode) in which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he main sound output unit used to provide a call function among each of the sound output units 310 and 410 and each of the sound input units 320 and 420 included in the input and output units 300 and 400 (that is, a call counterpart to a user in a call) The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and the main audio input unit (that is, an audio input unit for receiving a voice of a user in a call) may be variably determined.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노멀 모드에서,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310, 410) 중 메인 음향 출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고,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320, 420) 중 메인 음향 입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노멀 모드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는 모드를 의미하며, 후술하는 멀티미디어 모드와 구분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디폴트(default) 모드를 의미한다.Specifically, in the normal mode, the control unit 700 complements the main sound output unit among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310 and 410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200. The main sound input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put units 320 and 420 may be complementarily determined. The normal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a normal operation in which a communication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is performed, and a default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 multimedia mode described later.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700)는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1 방향인 경우,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엄밀한 연직 방향이 아닌,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이 상대적인 상하 방향에 위치한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정상 방향으로 잡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200 is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region TOP and the lower region BOTTOM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rations of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may be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first direction means that the upper area (TOP) and the lower area (BOTTOM) are located in a relative up-down direction, not a strict vertical direction, and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normal direction.

즉, 노멀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는(예: 통화 중인 사용자에게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는 상단 영역(TOP)에 형성된 제1 음향 출력부(310)가 되어야 하고,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는(예: 통화 중인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는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된 제2 음향 입력부(420)가 되어야 하므로,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That is, in the normal mode,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the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sound to the user (for example, outputs the caller's voice to the user in the call) is the first formed in the upper area (TOP) It should be the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sound input unit that receives sound from a user (for example, the voice of a user in a call) must be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formed in the bottom area (BOTTOM). The 700 may activate the operations of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이때,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제1 음향 입력부(320)는 주변의 노이즈(잡음)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된 제2 음향 입력부(42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동시에, 제1 음향 입력부(320)를 활성화시켜 주변 노이즈를 입력받은 후,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및 주변 노이즈를 분리하고 노이즈 제거 처리를 수행하여 주변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만이 통화 상대자의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 통신 단말에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320, 420) 이외의 제3 내지 제N 음향 입력부(N은 3 이상의 자연수)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70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제1, 제3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0 may deactivate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may be activated to remove noise (noise) around. That is, the control unit 700 activates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determined as the main sound input unit to receive a user's voice, and activates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to receive ambient noise, and then receives the user. By separating the voice and ambient noise and removing the noise by performing noise removal processing, only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to which the ambient noise is not applied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er. Furthermor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third to Nth sound input units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ot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put units 320 and 420, in which case the control unit The 700 may activate all or part of the first, third to Nth sound input units to remove ambient noise.

한편,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즉,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이고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된 경우(이하 제1 조건), 또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이고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이하 제2 조건)에 해당하면),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700 is a case where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user's face a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indicating the vertical direction Only when the angle (acute angle)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angle (that is,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acts the user's 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condition), or When the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face and the angle (acute angle)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ang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condition), The operations of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may be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제1 조건은,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이동 통신 단말을 잡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안면(귀 부분)에 접촉하여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The first condition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case in which a user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first direction makes a normal voice call by conta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face (ear par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0 may activate the operations of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또한, 제2 조건은,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이동 통신 단말을 잡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기준 각도(θ) 이하인 경우(예: α1에 해당하는 범위,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메인 음향 출력부는 상단 영역(TOP)에 형성된 제1 음향 출력부(310)가 되어야 하고, 메인 음향 입력부는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된 제2 음향 입력부(420)가 되어야 하므로,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dition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user hol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first direction while making a video call while viewing a video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angle θ (eg, a range corresponding to α1, a specific example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ser may display an image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Considering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video call while watching, it is necessary to variably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in which case the main sound output unit is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formed in the upper region (TOP) Since the main sound input unit should be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formed in the lower region (BOTTOM),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It can be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의 경우에도 전술한 것과 같이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제1 음향 입력부(320)(또는, 제1, 제3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변의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700 may deactivate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or, first, third to third) All or part of the N sound input unit) may be activated to remove ambient noise.

한편, 제어부(700)는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하단 영역(BOTTOM) 및 상단 영역(TOP)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2 방향인 경우,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반대 방향으로 잡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200 is the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area (BOTTOM) and the upper area (TOP)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rol unit 700 outputs the second sound. The operations of the unit 4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may be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second direction is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direction and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opposite direction.

즉, 노멀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는(예: 통화 중인 사용자에게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메인 음향 출력부는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된 제2 음향 출력부(410)가 되어야 하고,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는(예: 통화 중인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메인 음향 입력부는 상단 영역(TOP)에 형성된 제1 음향 입력부(320)가 되어야 하므로,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That is, in the normal mode,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the main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sound to the user (for example, outputs the caller's voice to the user on the call) is formed in the lower area (BOTTOM). 2 It should be the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that receives sound from a user (for example, the voice of a user in a call) must be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formed in the top area (TOP). , The control unit 700 may activate the operations of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이때,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제2 음향 입력부(420)는 주변의 노이즈(잡음)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된 제1 음향 입력부(32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동시에, 제2 음향 입력부(420)를 활성화시켜 주변 노이즈를 입력받은 후,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및 주변 노이즈를 분리하고 노이즈 제거 처리를 수행하여 주변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만이 통화 상대자의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 통신 단말에는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320, 420) 이외의 제3 내지 제N 음향 입력부를 더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70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제2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0 may deactivate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may be activated to remove surrounding noise (noise). That is, the control unit 700 activates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determined as the main sound input unit to receive a user's voice, and activates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to receive ambient noise, and then receives the input user. By separating the voice and ambient noise and removing the noise by performing noise removal processing, only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to which the ambient noise is not applied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er. 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third to Nth sound input units ot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put units 320 and 420, in which case the control unit 700 is peripheral In order to remove noise, all or part of the second to Nth sound input units may be activated.

한편,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즉,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이고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된 경우(이하 제3 조건), 또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이고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이하 제4 조건)에 해당하면),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700 is a case where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user's face a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indicating the vertical direction Only when the angle (acute angle)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angle (that is,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acts the user's 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ird condition), or the movement When the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face,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ute angl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angle (hereinafter, if the fourth condition), The operations of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may be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제3 조건은, 예를 들어 제2 방향으로 이동 통신 단말을 잡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안면(귀 부분)에 접촉하여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The third condition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case in which a user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econd direction makes a normal voice call by conta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face (ear par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0 may activate the operations of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또한, 제4 조건은, 예를 들어 제2 방향으로 이동 통신 단말을 잡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기준 각도(θ) 이하인 경우(예: α2에 해당하는 범위에 해당하는 범위,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메인 음향 출력부는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된 제2 음향 출력부(410)가 되어야 하고, 메인 음향 입력부는 상단 영역(TOP)에 형성된 제1 음향 입력부(320)가 되어야 하므로,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Further, the fourth condition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case in which a user hol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econd direction makes a video call while viewing a video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angle θ (for example, a range corresponding to a range corresponding to α2, a specific example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ser displays the display unit 600. Considering that a video call can be made while viewing the video of the other party, it is necessary to variably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in which case the main sound output unit is the second sound output formed in the lower region (BOTTOM) Since the unit 410 should be the main sound input unit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formed in the upper region TOP, the control unit 700 includes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 Can be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제3 조건 및 제4 조건의 경우에도 전술한 것과 같이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를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입력부(420)(또는, 제2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변의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third condition and the fourth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700 may deactivate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or the second to Nth sound input units) (All or part of) can be activated to remove ambient noise.

한편,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 중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 음향 입출력부(300) 또는 제2 음향 입출력부(4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700 is a cas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angle (acute angle)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face is a reference When the angle is exceeded, the main sound is activated by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sound input unit included in the sound input / output unit located closer to the user's face among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put / output units 300 and 400, respectively. It can be determined as an output unit and a main sound input unit.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user hol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laces the first audio input / output unit 300 or the second audio input / output unit 400 near the mouth to perform a voice call with the other party May correspond to

즉, 제어부(7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기준 각도(θ)를 초과하는 경우(β1 ~ β4에 해당하는 범위,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 음향 입출력부(300) 또는 제2 음향 입출력부(4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700)는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 중 사용자의 안면(예: 입)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angle (acute angle) formed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ceeds the reference angle θ, as shown in FIG. 3 (the range corresponding to β1 to β4, specific example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considering that the user can place the first audio input / output unit 300 or the second audio input / output unit 400 near the mouth while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ain sound It is necessary to variably determine the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an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0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put / output units 300 and 400 located closer to the user's face (eg, mouth). By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sound input unit included in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위의 경우,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안면과 더 멀리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음향 입력부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control unit 700 may deactivate the sound output unit included in the sound input / output unit located farther from the user's face, and activate the sound input unit to remove ambient noise.

제어부(700)는 센서부(200)의 센싱 데이터(즉, 이동 통신 단말의 기울기, 회전, 방위 정보, 속도 변화, 근접 여부 등)를 활용하여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기준 각도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어 제어부(7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may measure the angle formed by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the sensing data of the sensor unit 200 (that is, the tilt, rotation, orientation information, speed change, proximity, et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acoustic input / output unit located closer to the user's face. Meanwhile, the reference angle may be variously designed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and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700.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설명한다.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fa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이 기준 상태, 즉 전면부가 우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각 범위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As illustrated in FIG. 3, assum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otates clockwise / counterclockwise in a reference state,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faces to the right,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each range is as follows.

α1: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이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2 음향 출력부(410)의 동작 비활성화, 제1 음향 입력부(3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제1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α1: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tivat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is determined as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The operation of 410 is deactivated,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is activated to remove ambient noise (for example, the user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3 hol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When making a video call while viewing the other person's video)

α2: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이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1 음향 출력부(310)의 동작 비활성화, 제2 음향 입력부(4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좌측에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제2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α2: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tivat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is determined as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the first sound output unit Deactivation of the operation of 310,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is activated to remove ambient noise (for example, the user on the left side of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holding the other 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When making a video call while watching video)

β1: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 제2 음향 입출력부(400)에 포함된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가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1 음향 출력부(310)의 동작 비활성화, 제1 음향 입력부(3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2 음향 입출력부(4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β1: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included in the second sound input / output unit 400 are activated to respectively activat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Determined as an input unit, deactiv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is activated to remove ambient noise (eg, a user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FIG. 3 grab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second audio input / output unit 400 is placed close to the mouth in a state to perform a voice call with the other party)

β2: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 제1 음향 입출력부(300)에 포함된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가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2 음향 출력부(410)의 동작 비활성화, 제2 음향 입력부(4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 음향 입출력부(3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β2: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included in the first sound input / output unit 300 are activated, so that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are respectively Determined as an input unit, deactiv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activation of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to remove ambient noise (eg, a user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FIG. 3 grab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first audio input / output unit 300 is positioned close to the mouth in a state to perform a voice call with the other party)

β3: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 제1 음향 입출력부(300)에 포함된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가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2 음향 출력부(410)의 동작 비활성화, 제2 음향 입력부(4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 음향 입출력부(3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β3: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included in the first sound input / output unit 300 are activated, so that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are respectively Determined as an input unit, deactiv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activation of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to remove ambient noise (eg, a user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FIG. 3 grab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first audio input / output unit 300 is positioned close to the mouth in a state to perform a voice call with the other party)

β4: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 제2 음향 입출력부(400)에 포함된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가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1 음향 출력부(310)의 동작 비활성화, 제1 음향 입력부(3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2 음향 입출력부(4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β4: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included in the second sound input / output unit 400 are activated to activat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respectively. Determined as an input unit, deactiv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is activated to remove ambient noise (eg, a user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FIG. 3 grab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second audio input / output unit 400 is placed close to the mouth in a state to perform a voice call with the other party)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그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에 포함된 각 음향 출력부(310, 410) 및 각 음향 입력부(320, 420)의 동작이 능동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ound output units 310 and 410 and the sound input units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put and output units 300 and 400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user's face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improved by a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320 and 420.

나아가, 제어부(700)는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상하 반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상단 영역(TOP)으로부터 하단 영역(BOTTOM)으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영상의 상하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하단 영역(BOTTOM)으로부터 상단 영역(TOP)으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영상의 상하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up and down inversion of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200. That is,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the control unit 700 may set the top and bottom of the image in a direction leading from the top area (TOP) to the bottom area (BOTTOM)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If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the image may be set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from the bottom area (BOTTOM) to the top area (TOP) and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이에 따라,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가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능동적으로 결정되고,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도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능동적으로 상하 반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are ac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is also actively reversed upside dow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mproved.

도 4(a)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인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반대 방향으로 잡은 경우, 즉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종래에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가 고정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잡아야 하는 불편의성이 존재하였으며,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도 상하 반전이 제어되지 않고 고정된 방향으로 제공되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를 때,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라 하더라도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가 능동적으로 변경되고, 나아가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도 상하 반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4 (a) show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user hol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4 (a), that is,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conventional sound output unit as shown in FIG. 4 (b) Since the main audio input unit was fixed,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hol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was not controlled upside down and the limit provided in the fixed direction was limited. Exist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are actively changed as shown in FIG. 4 (c), and further, the display unit 600 Since the image output through is also inverted up and down, the user's ease of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improv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3 음향 출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제3 음향 출력부(500)가 하단 영역(BOTTOM)의 좌측에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컨텐츠 출력 기능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에서,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310, 410, 500)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sound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ound output unit 500 for outputting sound to a user as shown in FIGS. 1 and 2.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third sound output unit 50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area BOTTOM. Accordingly, the controller 700 may activate operations of the first to third sound output units 310, 410, and 500 in a multimedia mode in which a content output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여기서, 멀티미디어 모드는 컨텐츠(영화 영상, 음악, 게임 등)를 출력하는 기능이 제공되는 모드를 의미하며, 키입력부(1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의 노멀 모드 및 멀티미디어 모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의 노멀 모드 상태에서, 영화를 감상하거나, 음악을 듣거나, 게임을 하고자 하는 경우 키입력부(10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를 멀티미디어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영상, 음악 또는 게임 실행 시 멀티미디어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향상된 청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310, 410, 500)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Here, the multimedia mode means a mode in which a function for outputting content (movie images, music, games, etc.) is provided, and switching between the normal mode and the multimedia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er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100 This can be done.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watch a movie, listen to music, or play a game in the normal mod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can switch th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ultimedia mode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0 (video , A configuration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o a multimedia mode when music or a game is executed may be employ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700 may provide first to third sound output units 310 and 410 to provide an improved hearing effect in the multimedia mode. 500) can be activated.

이때,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310, 410)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트위터(Tweeter)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되고, 제3 음향 출력부(500)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서브 우퍼(Subwoofe)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310 and 410 are implemented as a piezo speaker operating as a tweeter in the multimedia mode, and the third sound output unit 500 is a subwoofer in the multimedia mode. It may be implemented as a dynamic speaker operating as (Subwoofe).

즉, 트위터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는 저역 음역대에서 단점이 존재하므로, 제3 음향 출력부(500)를 서브 우퍼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을 Professional Audio 기기로 활용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piezo speaker operating as a tweeter has a disadvantage in a low-end sound range, the third audio output unit 500 is implemented as a dynamic speaker operating as a subwoofer,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ultimedia mode is a professional audio. It can be used as a device.

도 5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이 가로 방향(즉, 길이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며, 통상적인 와이드 영상 제공 기능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확장한 와이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제공되며,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310, 410), 즉 두 개의 피에조 스피커가 좌우 트위터로 동작하고,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된 제3 음향 출력부(500), 즉 다이나믹 스피커가 서브 우퍼로 동작하게 되어,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을 Portable Professional Stereo Amplifier로 활용할 수 있다.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e, the length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multimedia mode, and the wide imag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 typical wide image providing function is the display unit 600.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310 and 410 formed in the upper region TOP and the lower region BOTTOM, respectively, that is, two piezo speakers operate as left and right tweeters, and the lower region BOTTOM The third sound output unit 500 formed on the dynamic speaker operates as a subwoofer,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used as a Portable Professional Stereo Amplifier in the multimedia mod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센서부(200)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한다(S100).Referring to FIG. 6, when describ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acoustic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by the user of the sensor unit 200 is sensed (S100).

이어서,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제공 기능에 따른 모드(Mode)를 판단한다(S200). S200 단계에서 제어부(700)는 키입력부(1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노멀 모드인지, 또는 멀티미디어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a mode according to a func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0). In step S200,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whether th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normal mode or the multimedia mode through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100.

S200 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노멀 모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00)는 S100 단계에서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에 포함된 각 음향 출력부(310, 410) 및 각 음향 입력부(320, 420)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한다(S30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0 that th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normal mode for providing a call function, the controller 700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in step S100, the first and second audio input and output unit 300 ,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used for providing a call function among the sound output units 310 and 410 and each of the sound input units 320 and 420 included in the 400 are variably determined (S300).

S300 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1 방향인 경우,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한다.In step S300,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region (TOP) and the lower region (BOTTOM)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rol unit 700 includes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second sound.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420 is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이때,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0 is a case where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face a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indicating the vertical direction Only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angle, the operations of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are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위의 경우,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제1 음향 입력부(320)(또는, 제1, 제3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변의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control unit 700 may deactivate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surrounds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or all or part of the first, third to Nth sound input units). It can be activated to remove noise.

또한, S300 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하단 영역(BOTTOM) 및 상단 영역(TOP)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2 방향인 경우,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한다.In addition, in step S300,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area (BOTTOM) and the upper area (TOP) a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rol unit 700 includes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second 1 The operation of the sound input unit 320 is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이때,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0 is a case where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user's face a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indicating the vertical direction Only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angle, the operations of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10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320 are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위의 경우,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제2 음향 입력부(420)(또는, 제2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변의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control unit 700 may deactivate the first sound output unit 310 and remove the surrounding noise from the second sound input unit 420 (or all or part of the second to Nth sound input units). For activation.

또한, S300 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 중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한다.In addition, in step S300, the controller 700 is a cas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face is When the reference angle is exceeded, the main sound is activated by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sound input unit including the sound input / output unit located closer to the user's face among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put / output units 300 and 400, respectively. It is decided by the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위의 경우,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안면과 더 멀리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음향 입력부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control unit 700 may deactivate the sound output unit included in the sound input / output unit located farther from the user's face, and activate the sound input unit to remove ambient noise.

한편, S200 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컨텐츠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00)는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310, 410, 500)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S400).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310, 410)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트위터(Tweeter)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되고, 제3 음향 출력부(500)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서브 우퍼(Subwoofe)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본 실시예의 이동 통신 단말은 Professional Audio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00 that th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ultimedia mode providing a content output function, the controller 700 activates the operations of the first to third sound output units 310, 410, 500. (S40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310 and 4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implemented as a piezo speaker operating as a tweeter in a multimedia mode, and the third sound output unit 500 is In a multimedia mode, it can be implemented as a dynamic speaker operating as a subwoofer, and accordingly, in the multimedia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is embodiment can operate as a professional audio devic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에 구비된 스피커 및 마이크의 동작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통화 기능 및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사용할 시 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call function and a multimedia function to the user by a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and microphon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by the us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When using can improve the ease of us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키입력부
200: 센서부
300: 제1 음향 입출력부
310: 제1 음향 출력부
320: 제1 음향 입력부
400: 제2 음향 입출력부
410: 제2 음향 출력부
420: 제2 음향 입력부
500: 제3 음향 출력부
600: 디스플레이부
700: 제어부
TOP: 상단 영역
BOTTOM: 하단 영역
100: key input unit
200: sensor unit
300: first audio input and output unit
310: first sound output unit
320: first audio input unit
400: second audio input and output unit
410: second sound output
420: second sound input
500: third audio output
600: display unit
700: control
TOP: Top area
BOTTOM: Bottom area

Claims (18)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상단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입출력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하단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2 음향 입출력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상기 각 음향 출력부 및 상기 각 음향 입력부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A sensor unit for sensing a dir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by a user;
A first audio input / output unit formed in a predefined upper reg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ing a first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to the user and a first audio input unit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user;
A second audio input / output unit formed in a predefined lower reg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ing a second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to the user and a second audio input unit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user; And
In the normal mode in which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each of the sound output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audio input and output unit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A control unit for variably determining a main sound output unit and a main sound input unit used for providing a call function among the sound units and the sound input units;
Including,
The control unit, in the normal mode, the angl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indicating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face When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angle, the main sound output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is complementari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An acoustic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acoustic input unit is determined complementarily among the first and second acoustic input uni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상단 영역 및 상기 하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1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is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region and the lower region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the first sound output unit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audio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dicate the vertical direction away from the user's face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angle, the first sound output unit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are activated to activat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Sound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하단 영역 및 상기 상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2 방향인 경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is a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region and the upper region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audio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ructed to indicate the vertical direction away from the user's face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angle,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are activated to activat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Sound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or 6,
The control unit, if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from the user's face exceeds the reference angle, the first and second audio input and output units Among them,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sound input unit included in the sound input / output unit located closer to the user's face are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3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컨텐츠 출력 기능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to the user;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in a multimedia mode in which a content output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activat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to third sound output uni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트위터(Tweeter)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되고, 상기 제3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서브 우퍼(Subwoofe)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are implemented as a piezo speaker operating as a tweeter in the multimedia mode, and the third sound output unit is a dynamic speaker operating as a subwoofer in the multimedia mode. (Dynamic Speaker) sound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상단 영역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입출력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하단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2 음향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센서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제공 기능에 따른 모드(Mode)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상기 각 음향 출력부 및 상기 각 음향 입력부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A first audio input / output unit formed in a predefined upper reg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ing a first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to a user and a first audio input unit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user; And a second sound input / output unit formed in a predefined lower reg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to the user, and a second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user. A method of operating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ensor unit, sensing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determining the mode (Mode) according to the provis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normal mode providing a call functio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the first and second audio input and output unit Variably determining a main sound output unit and a main sound input unit used for providing a call function among each of the sound output units and each of the sound input units included in the;
Including,
In the variably determining step, the control unit,
In the normal mode, the virtual communication line indicating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face and the angle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reset criterion. When the angl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the main sound output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is determined to be complementary, and the first and first A method of operating an audio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audio input unit is determined complementarily among the two audio input units.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상단 영역 및 상기 하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1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variably determining step, the control uni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is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region and the lower region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ound output unit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are activated. To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variably determining step, the control uni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direction, the virtual communication line indicati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face and the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angle,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und output unit and the second sound input unit is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Method of operating the sound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하단 영역 및 상기 상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2 방향인 경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variably determining step, the control uni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is a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region and the upper region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are activated. To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variably determining step, the control uni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direction, the virtual reference line indicating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face and the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angl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and the first sound input unit is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Method of operating the sound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or 15,
In the variably determining step, the control unit,
If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ceeds the reference angle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from the user's face, the user of the first and second audio input / output units A method of operating a sound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sound input unit included in the sound input / output unit located closer to the face are activated to determine the main sound output unit and the main sound input unit, respectivel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3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컨텐츠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ound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third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to the user;
If th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ultimedia mode (Multimedia Mode) providing a content output function, the control unit,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to third sound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Method of operation of a sound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트위터(Tweeter)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되고, 상기 제3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서브 우퍼(Subwoofe)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are implemented as a piezo speaker operating as a tweeter in the multimedia mode, and the third sound output unit is a dynamic speaker operating as a subwoofer in the multimedia mode. (Dynamic Speaker) operating method of the sound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KR1020180089376A 2018-07-31 2018-07-31 Audio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13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376A KR102113030B1 (en) 2018-07-31 2018-07-31 Audio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CT/KR2018/010428 WO2020027364A1 (en) 2018-07-31 2018-09-06 Audio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376A KR102113030B1 (en) 2018-07-31 2018-07-31 Audio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023A KR20200014023A (en) 2020-02-10
KR102113030B1 true KR102113030B1 (en) 2020-05-21

Family

ID=6923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376A KR102113030B1 (en) 2018-07-31 2018-07-31 Audio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3030B1 (en)
WO (1) WO202002736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934B1 (en) * 2020-11-06 2023-01-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offloading task in distributed edge computing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243B1 (en) * 2005-12-20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a speak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10065052A (en) * 2009-12-09 2011-06-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26802B1 (en) * 2011-11-11 2019-09-30 (주)트리플코어스코리아 Mobile communication terminaal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mode
KR20160060231A (en) * 2014-11-19 2016-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20180010866A (en) * 2016-07-22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023A (en) 2020-02-10
WO2020027364A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5905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1034149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9154182A1 (en) Method for setting volume of application program, and mobile terminal
US8634872B2 (en) Mobile terminal for distinguishing an ear during a call and method thereof
WO2019233325A1 (en) Notific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70001125A (en) Headset and controlling mrthod thereof
KR102552874B1 (en) Mobile terminal and sound output control method
WO2021204045A1 (en) Audio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90394323A1 (en) User Peripheral
WO2013121631A1 (en) Mobile phone
JP4798218B2 (en) Telephone device
CN110764730A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audio data
TWI590640B (en) Voice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80288214A1 (en) Method for outputting multimedia data and control device thereof
WO2021136141A1 (en) Playback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21129835A1 (en) Volum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1238844A1 (en) Audio out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1216991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13030B1 (en) Audio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1208893A1 (en) Audio output mode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6408032B2 (en) Mobile device with a centrally located earpiece
WO2021197311A1 (en) Volume adjustment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21031715A1 (en)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8804071B (en) Receiver driv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170840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outputting vo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