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758B1 -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및 패킷분석장치 - Google Patents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및 패킷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758B1
KR102110758B1 KR1020180128340A KR20180128340A KR102110758B1 KR 102110758 B1 KR102110758 B1 KR 102110758B1 KR 1020180128340 A KR1020180128340 A KR 1020180128340A KR 20180128340 A KR20180128340 A KR 20180128340A KR 102110758 B1 KR102110758 B1 KR 102110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acket
host name
dn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759A (ko
Inventor
심재희
김정훈
한상권
Original Assignee
(주)엔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텔스 filed Critical (주)엔텔스
Priority to KR1020180128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7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2Capturing of monitoring data
    • H04L61/15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은 패킷분석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타깃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상기 패킷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호스트 네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DNS(Domain Name System)에 상기 호스트 네임에 대한 IP를 질의하는 단계,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상기 IP가 과금 대상이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 및 트래픽 사용량을 과금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상기 타깃 패킷을 라우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및 패킷분석장치{CHARGING METHOD FOR EACH SERVICE BASED ON HOST NAME OF DNS AND PACKET INSPECTION APPARATUS}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서비스별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스마트기기를 사용하여 콘텐츠 제공자(CP; Contents Provider)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많아지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CDN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콘텐츠 제공자의 웹 서버에 집중되어 있는 콘텐츠 내지 서비스 요청이 많은 콘텐츠를 다수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상호 접속점(PoP: Point of Presence)에 분산 배치하고, 사용자 요구가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 가까운 캐시 장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2942호
망 사업자는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을 고정 IP/포트 정보를 참고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나 CDN 경우 IP가 유동적이기 때문에 고정된 IP/포트를 이용한 종래 방법으로는 서비스별 과금이 어렵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패킷 분석을 이용하여 CDN 환경에서도 서비스별 과금이 가능한 방법 내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은 패킷분석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타깃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상기 패킷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호스트 네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DNS(Domain Name System)에 상기 호스트 네임에 대한 IP를 질의하는 단계,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상기 IP가 과금 대상이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 및 트래픽 사용량을 과금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상기 타깃 패킷을 라우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패킷분석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타깃 패킷을 수신하고, DNS(Domain Name System)와 정보를 주고 받고,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과금 정보를 과금시스템에 송신하는 통신 장치, 상기 타깃 패킷에 대한 패킷 분석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상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타깃 패킷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호스트 네임을 추출하고, 추출한 호스트 네임에 대한 IP를 DNS에 쿼리하여 획득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트래픽 사용량을 포함하는 상기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연산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패킷 분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여 콘텐츠가 직접 제공되는 객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서비스별 과금 정산이 가능하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공정한 과금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CDN 서비스 시스템의 예이다.
도 2는 패킷분석에 기반한 과금 시스템에 대한 예이다.
도 3은 패킷분석에 기반한 과금 시스템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4는 패킷분석에 기반한 과금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한 순서도의 예이다.
도 5는 패킷분석에 기반한 과금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예이다.
도 6은 패킷분석장치의 구성에 대한 예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사용하는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일정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주체를 의미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포털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특정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한 시스템을 구축한 주체이다. 서비스 제공자는 콘텐츠 제작자, 콘텐츠 중계업자, 콘텐츠 퍼블리셔 등과 같은 주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 서비스 내지 콘텐츠 서비스는 사용자가 전달하는 패킷을 분석하여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를 생성한다. 서비스에 대한 과금 대상은 다양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서비스를 받은 사용자 개인에 대한 과금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망 사업자가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과금을 하기 위한 것이다. 망 사업자는 이동통신망과 같은 무선 통신망 사업자 및 랜(LAN)과 같은 유선 통신망 사업자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서비스 제공자는 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일정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망 사업자는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공정한 과금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망 사업자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가 차지한 트래픽 량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서비스 제공자(서비스)를 기준으로 과금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과금을 이하 서비스(별) 과금이라고 명명한다.
도 1은 종래 CDN 서비스 시스템(100)의 예이다. CDN 서비스 시스템(100)은 CDN1(151), CDN2(152) 및 서비스 서버(180)를 포함한다.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CDN을 도시하였고, 두 개의 사용자 단말(10 및 20)을 도시하였다. 서비스 서버(180)는 서비스 대상인 특정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CDN1(151) 및 CDN2(152)는 서비스 서버(180)가 제공하는 특정 콘텐츠 또는 특정 콘텐츠 중 요구 빈도가 높은 일부 콘텐츠를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서버(180)로 일정한 콘텐츠를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10)이 요청한 콘텐츠는 CDN1(151)이 저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콘텐츠 요청 패킷은 서비스 서버(180)까지 가지 않고, CDN1(151)으로 전달된다. 자세한 CDN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CDN1(151)은 저장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0)은 서비스 서버(180)로 일정한 콘텐츠를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20)이 요청한 콘텐츠는 CDN2(152)가 저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콘텐츠 요청 패킷은 서비스 서버(180)까지 가지 않고, CDN2(152)로 전달된다. CDN2(152)는 저장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CDN 서비스 시스템(100)은 서비스 서버(180) 또는 CDN1(151)/ CDN2(152)을 통해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공받는 콘텐츠의 전달 소스가 고정적이지 않다.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 또는 CDN 중 어느 하나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나아가 CDN은 복수의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객체를 특정하기 어렵다. 예컨대, 서비스 서버(180), CDN1(151) 및 CDN2(152)가 각각 IP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IP로 서비스 제공자를 특정하기 어렵다.
도 2는 패킷분석에 기반한 과금 시스템(200)에 대한 예이다. 과금 시스템(200)은 이동통신망에 대한 과금 시스템에 대한 예이다. 과금 시스템(200)은 패킷분석장치(210), 과금시스템(220), 라우터(230) 및 DNS(Domain Name System, 240)을 포함한다. DNS(240)는 과금 시스템(20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지만, 과금 시스템(200)과 관계없는 별도의 구성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이동통신망(50)을 통해 특정 콘텐츠를 요청한다. 도 2는 이동통신망(50)에 포함되는 구성 중 일부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이동통신망(50)에서 패킷을 외부로 전달하는 구성은 게이트웨이(55)이다. 게이트웨이(55)는 3G 네트워크인 경우 GGSN(GPRS support node)이고, 4G 네트워크인 경우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에 해당한다.
패킷분석장치(2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한다. 도 2에서 패킷분석장치(210)를 DPI(Deep Packet Inspection)라고 도시하였다. DPI는 패킷을 네트워크 계층의 7계층(Layer 7)까지 분석할 수 있다. 한편 패킷분석장치는 이동통신 코어망에 속하는 TDF(Traffic Detection Function)일 수도 있다. 이하 분석 대상인 패킷을 타깃 패킷이라고 명명한다.
패킷분석장치(210)는 타깃 패킷을 분석하여 서비스 대상의 호스트 네임을 추출한다. 호스트 네임은 기본적으로 전세계 표준 통신 규약에 따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는 명칭이 동일하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이 요청한 특정 콘텐츠가 서로 다른 서버에서 제공하더라도, 동일한 서비스에 대한 호스트 네임은 동일하다.
패킷분석장치(210)는 추출한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과금 대상인지 판단한다. 패킷분석장치(210)는 과금 대상을 알려주는 테이블과 같은 정보를 사전에 보유할 수 있다. 또는 패킷분석장치(210)는 과금 대상 정보를 저장한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접근하여 과금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현재 요청받은 서비스의 호스트 네임이 과금 대상인 경우, 패킷분석장치(210)는 호스트 네임을 DNS(240)에 전달하여 IP를 질의한다. 이 경우 DNS(240)는 CDN의 IP가 아닌 해당 콘텐츠를 본래 제공하는 구성(서비스 서버 등)에 대한 IP를 패킷분석장치(210)에 전달한다.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DNS(240)로부터 획득한 IP를 서비스 IP라고 명명한다. 이제 패킷분석장치(210)는 서비스 IP를 기준으로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과금 시스템(220)에 전달한다.
과금 정보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과금 정보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사용량(트래픽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과금 정보는 해당 트래픽을 사용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를 식별하는 정보(식별자)이다.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는 서비스의 식별자, 호스트 네임, 호스트 네임의 식별자 및 서비스 IP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과금 시스템(220)은 패킷분석장치(210)로부터 수신한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별로 과금 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동통신망 경우 과금 시스템(220)은 OFCS(OFfline Charging System) 또는 OCS(Online Charg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OFCS를 예로 도시하였다.
패킷분석장치(210)는 타깃 패킷을 라우터(230)에 전달한다. 패킷분석장치(210)는 사용자 단말(10)이 요청한 서비스가 과금 대상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결국 패킷을 라우터(230)에 전달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는 서비스 서버 또는 CDN을 통해 요청한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도 3은 패킷분석에 기반한 과금 시스템(300)에 대한 다른 예이다. 과금 시스템(300)은 유선망에 대한 과금 시스템에 대한 예이다. 과금 시스템(300)은 패킷분석장치(310), 과금시스템(320), 라우터(330) 및 DNS(340)을 포함한다. DNS(340)는 과금 시스템(30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지만, 과금 시스템(200)과 관계없는 별도의 구성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유선망(60)을 통해 특정 콘텐츠를 요청한다. 유선망(60)은 통신사업자가 유선 기반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이다. 과금 시스템(300)은 유선망(60)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도 있고, 유선망(60)과 관계없는 별도의 구성일 수도 있다. 도 3은 과금 시스템(300)의 핵심 구성이 유선망(60)에 포함된 예를 도시하였다.
패킷분석장치(3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한다. 도 3에서 패킷분석장치(310)를 DPI(Deep Packet Inspection)라고 도시하였다. DPI는 패킷을 네트워크 계층의 7계층(Layer 7)까지 분석할 수 있다. 패킷분석장치(310)는 타깃 패킷을 분석하여 서비스 대상의 호스트 네임을 추출한다.
패킷분석장치(310)는 추출한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과금 대상인지 판단한다. 패킷분석장치(310)는 과금 대상을 알려주는 테이블과 같은 정보를 사전에 보유할 수 있다. 또는 패킷분석장치(310)는 과금 대상 정보를 저장한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접근하여 과금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현재 요청받은 서비스의 호스트 네임이 과금 대상인 경우, 패킷분석장치(310)는 호스트 네임을 DNS(340)에 전달하여 IP를 질의한다. 이 경우 DNS(340)는 CDN의 IP가 아닌 해당 콘텐츠를 본래 제공하는 구성(서비스 서버 등)에 대한 IP를 패킷분석장치(310)에 전달한다.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DNS(340)로부터 획득한 IP를 서비스 IP라고 명명한다. 이제 패킷분석장치(310)는 서비스 IP를 기준으로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과금 시스템(220)에 전달한다.
과금 정보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과금 정보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사용량(트래픽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과금 정보는 해당 트래픽을 사용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를 식별하는 정보(식별자)이다.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는 서비스의 식별자, 호스트 네임, 호스트 네임의 식별자 및 서비스 IP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과금 시스템(320)은 패킷분석장치(310)로부터 수신한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별로 과금 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패킷분석장치(310)는 타깃 패킷을 라우터(330)에 전달한다. 패킷분석장치(310)는 사용자 단말(10)이 요청한 서비스가 과금 대상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결국 패킷을 라우터(330)에 전달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는 서비스 서버 또는 CDN을 통해 요청한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도 4는 패킷분석에 기반한 과금 정보 생성 방법(400)에 대한 순서도의 예이다. 도 4는 도 2 내지 도 3의 패킷분석장치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패킷분석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한다(410). 패킷분석장치는 모든 사용자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패킷분석장치는 수신한 패킷을 분석한다(420). 패킷분석장치는 패킷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네임을 추출한다(430).
패킷분석장치는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현재 요청받은 서비스가 과금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440). 과금 대상이 아닌 경우 패킷분석장치는 패킷을 라우터로 전송한다(460).
과금 대상인 경우, 패킷분석장치는 과금 정보를 과금 시스템에 전송한다(450). 이를 위해 패킷분석장치는 DNS에 호스트 네임에 대한 IP를 질의하고, 해당 IP에 대한 과금 정보를 생성한다. 과금 정보는 트래픽 사용량 및 과금 대상 서비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과금 대상 서비스를 식별하는 정보는 서비스의 식별자, 호스트 네임, 호스트 네임의 식별자 및 서비스 IP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패킷분석장치는 사용자가 전달한 패킷을 라우터에 전송한다(460).
도 5는 패킷분석에 기반한 과금 및 서비스 제공 방법(500)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예이다. 도 4는 도 2 내지 도 3의 패킷분석장치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사용자 단말(10/20)은 일정한 콘텐츠를 요청하는 타깃 패킷을 송신한다(501). 타깃 패킷은 특정 콘텐츠를 제공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패킷분석장치(210/310)는 사용자 단말(10/20)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한다. 패킷분석장치(210/310)는 타깃 패킷을 분석하여 서비스 대상의 호스트 네임을 추출한다(511). 호스트 네임은 기본적으로 전세계 표준 통신 규약에 따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는 명칭이 동일하다.
패킷분석장치(210/310)는 추출한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과금 대상인지 판단한다(521).
현재 요청받은 서비스의 호스트 네임이 과금 대상인 경우, 패킷분석장치(210/310)는 호스트 네임을 DNS(240/340)에 전달하여 IP를 질의한다(531). 이 경우 DNS(240/340)는 CDN의 IP가 아닌 해당 콘텐츠를 본래 제공하는 구성(서비스 서버 등)에 대한 IP를 패킷분석장치(210/310)에 전달한다(532). 이를 통해 패킷분석장치(210/310)는 현재 일정한 콘텐츠를 요청한 서비스에 대하여 특정할 수 있다. 패킷분석장치(210/310)는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제공자 IP를 매칭한 테이블을 사전에 보유할 수 있다. 패킷분석장치(210/310)는 테이블을 기준으로 서비스 제공자를 특정할 수 있다.
이후 패킷분석장치(210/310)는 타깃 패킷을 라우터에 전달한다. 라우터는 타깃 패킷을 CDN에 전달한다. 이릍 통해 사용자 단말(10/20)은 특정 콘텐츠를 CDN에 요청하게 된다(541). 패킷분석장치(210)는 사용자 단말(10)이 요청한 서비스가 과금 대상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결국 패킷을 라우터(230)에 전달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는 서비스 서버 또는 CDN을 통해 요청한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CDN은 요청받은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20)에 전달한다(542).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 단말(10/20)과 CDN 사이의 패킷 전송이 종료(서비스 종료)된다.
패킷분석장치(210/310)는 사용자 단말(10/20)의 서비스 제공에 사용된 트래픽 양을 산정한다. 트래픽 사용량은 패킷분석장치(210/310)가 접근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관리할 수도 있다.
패킷분석장치(210/310)는 서비스 IP별로 트래픽 사용량을 기준으로 과금 정보를 생성한다(551). 패킷분석장치(210/310)는 생성한 과금 정보를 과금 시스템(220/320)에 전달한다(561). 과금 정보는 해당 서비스의 트래픽 사용량 및 해당 서비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과금 시스템(220/320)에 전달한다.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는 서비스의 식별자, 호스트 네임, 호스트 네임의 식별자 및 서비스 IP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과금 시스템(220/320)은 패킷분석장치(210/310)로부터 수신한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별로 과금 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한다(571).
도 6은 패킷분석장치(600)의 구성에 대한 예이다. 패킷분석장치(600)는 저장 장치(610), 메모리(620), 연산장치(630), 인터페이스 장치(640) 및 통신 장치(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510)는 타깃 패킷에 대한 패킷 분석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타깃 패킷 분석 프로그램은 DPI 분석으로 타깃 패킷을 7 계층(Layer 7) 데이터까지 분석할 수 있다. 타깃 패킷 분석 프로그램은 패킷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의 호스트 네임을 추출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패킷분석장치(600)가 수신한 패킷, 패킷 분석 과정에서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640)는 개발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일정한 명령을 입력받는 장치이다. 인터페이스 장치(640)는 외부 입력장치로부터 일정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640)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외부 저장 장치로부터 타깃 패킷 분석 프로그램, 데이터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 장치(6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일정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통신 장치(650)는 외부 객체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통신 장치(650)는 생성한 과금 정보를 과금 시스템에 송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650)는 호스트 네임을 DNS에 송신하고, DNS로부터 호스트 네임에 대한 IP를 수신할 수 있다.
연산 장치(630)는 저장장치(61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킷을 분석하고,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호스트 네임을 추출한다. 연산 장치(630)는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과금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과금 대상인 경우 연산 장치(630)는 호스트 네임 기준으로 획득한 IP와 트래픽량으로 과금 정보를 생성한다. 과금정보는 트래픽 사용량,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 및 트래픽 사용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는 서비스의 식별자, 호스트 네임, 호스트 네임의 식별자 및 서비스 IP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연산 장치(630)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일정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AP, 프로그램이 임베디드된 칩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별 과금 정보 생성 방법 내지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례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전술한 기술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기술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례는 모두 전술한 기술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 20 : 사용자 단말
50 : 이동통신망
60 : 유선망
55 : 게이트웨이
100 : CDN 서비스 시스템
151, 152 : CDN
180 : 서비스 서버
200 : 과금 시스템
210 : 패킷분석장치
220 : 과금시스템
230 : 라우터
240 : DNS
300 : 과금 시스템
310 : 패킷분석장치
320 : 과금시스템
330 : 라우터
340 : DNS
600 : 패킷분석장치
610 : 저장장치
620 : 메모리
630 : 연산장치
640 : 인터페이스 장치
650 : 통신장치

Claims (12)

  1. 패킷분석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타깃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상기 타깃 패킷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호스트 네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DNS(Domain Name System)에 상기 호스트 네임에 대한 IP를 질의하는 단계;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상기 IP가 과금 대상이면 상기 호스트 네임으로 쿼리된 상기 IP 기준으로 결정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 및 트래픽 사용량을 과금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분석장치가 상기 타깃 패킷을 라우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깃 패킷은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고, 상기 타깃 패킷은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에 전달되는 패킷이고, 상기 CDN은 유동 IP 주소를 갖고, 상기 패킷분석장치는 TDF(Traffic Detection Function)이고,
    상기 IP는 상기 콘텐츠를 최초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서버의 IP이고, 상기 CDN은 상기 서비스 서버와는 다른 IP를 갖는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분석 장치는 DPI(Deep Packet Inspection) 분석으로 상기 타깃 패킷을 7 계층(Layer 7) 데이터까지 분석하는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시스템은 OFCS(OFfline Charging System) 및 OCS(Online Charg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인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는 상기 서비스의 식별자, 상기 호스트 네임, 상기 호스트 네임의 식별자 및 상기 I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시스템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IP별로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7.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타깃 패킷을 수신하고, DNS(Domain Name System)와 정보를 주고 받고,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과금 정보를 과금시스템에 송신하는 통신 장치;
    상기 타깃 패킷에 대한 패킷 분석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상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타깃 패킷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호스트 네임을 추출하고, 추출한 호스트 네임에 대한 IP를 DNS에 쿼리하여 획득한 후 상기 호스트 네임으로 쿼리된 상기 IP 기준으로 결정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트래픽 사용량을 포함하는 상기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연산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타깃 패킷은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고, 상기 타깃 패킷은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에 전달되는 패킷이고,
    상기 IP는 상기 콘텐츠를 최초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서버의 IP이고, 상기 CDN은 유동 IP 주소를 갖고, 상기 CDN은 상기 서비스 서버와는 다른 IP를 갖는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패킷분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DPI(Deep Packet Inspection) 분석으로 상기 타깃 패킷을 7 계층(Layer 7) 데이터까지 분석하는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패킷분석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시스템은 OFCS(OFfline Charging System) 및 OCS(Online Charg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인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패킷분석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자는 상기 서비스의 식별자, 상기 호스트 네임, 상기 호스트 네임의 식별자 및 상기 I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패킷분석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별로 생성되는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패킷분석장치.
  12. 컴퓨터에서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80128340A 2018-10-25 2018-10-25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및 패킷분석장치 KR102110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40A KR102110758B1 (ko) 2018-10-25 2018-10-25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및 패킷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40A KR102110758B1 (ko) 2018-10-25 2018-10-25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및 패킷분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759A KR20200046759A (ko) 2020-05-07
KR102110758B1 true KR102110758B1 (ko) 2020-05-14

Family

ID=7073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340A KR102110758B1 (ko) 2018-10-25 2018-10-25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및 패킷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7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56683A1 (en) * 2010-12-09 2015-09-10 Alla Goldner Method, system, and device of cellular traffic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846B1 (ko) * 2009-07-31 2015-08-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패킷 과금 처리 시스템 및 방법
BR112014028697A2 (pt) * 2012-05-18 2017-06-27 Aquto Corp despesa e fatura para conteúdo, serviços e acesso
KR20150042942A (ko) 2013-10-14 2015-04-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의 과금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56683A1 (en) * 2010-12-09 2015-09-10 Alla Goldner Method, system, and device of cellular traffic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759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6949B2 (en)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a captive portal with a router
JP5209114B2 (ja) ドメインネームサーバを使用するサービス仲介
JP5349589B2 (ja) 動的支払方法及び装置
US100753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harging control to a sponsored data application
CN110300133B (zh) 跨域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259425A (zh) 攻击请求的确定方法、装置及服务器
US9426049B1 (en) Domain name resolution
CN103139137B (zh) 网络服务提供方法及装置
CN105790960B (zh) 流量识别方法和系统、流量网关
US2014001651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anguage
US20170134177A1 (en) Charging method and device, access device,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12825524A (zh) 网络服务节点的确定方法、装置和系统
CN109309907B (zh) 用于流量计费的方法、装置及其相关设备
KR102482444B1 (ko) 광고차단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10758B1 (ko) Dns의 호스트 네임을 기준으로 서비스별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 및 패킷분석장치
US10051461B2 (en) Enhanced dynamic feature support in wireless diameter-based networks
CN104468857B (zh) 一种对应关系的获取方法及系统
US20120226552A1 (en) Mediatio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relevant advertisements
CN105792265B (zh) 恶意流量检测方法和系统、监控平台
KR20190092441A (ko) M2m iot 서비스 계층에서 유연한 과금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들
CN108260225B (zh) 数据关联方法和装置
US201403723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 big data information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CN109818916B (zh) Ssl/tls代理及其协商方法、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40027527A (ko) 선불 및 한도 가입자를 위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97559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aware charging and control in a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