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433B1 -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 Google Patents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433B1
KR102110433B1 KR1020200016944A KR20200016944A KR102110433B1 KR 102110433 B1 KR102110433 B1 KR 102110433B1 KR 1020200016944 A KR1020200016944 A KR 1020200016944A KR 20200016944 A KR20200016944 A KR 20200016944A KR 102110433 B1 KR102110433 B1 KR 10211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electronic pen
weight
parts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경
안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엔지 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엔지 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엔지 이엔티
Priority to KR102020001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045Blackboards with magnetic 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18Diamagnetic or paramagnetic materials, i.e. materials with low susceptibility and no hystere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은 특정 색상으로 표시된 색상 표식과 영구자석을 구비한 전자펜; 상기 전자펜의 터치 조작으로 판서를 표시하는 스크린보드; 상기 스크린보드의 하단에서 상기 전자펜을 거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자펜의 거치 여부에 따라 발생되는 자성 변화로 활성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거치대; 상기 전자펜과 스크린보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구동모듈과, 상기 활성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전자펜의 색상 표식의 색상으로 상기 스크린보드에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하는 색상 결정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Electronic blackboard with a rests based on magnetic control}
본 발명은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내부에 영구자석을 구비한 전자펜이 거치대에서 이격되면서 발생하는 자성 변화를 이용하여 스크린보드에 판서될 전자펜의 색상을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는, 자석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전자칠판이란 기존의 아날로그 칠판과 프로젝터를 대신할 기기로 대형 디스플레이의 터치센서를 이용해 다양한 판서 기능과 문서 및 인터넷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이며, 이러한 전자칠판은 최근 많은 기업과 학교 등의 교육 시설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칠판은 빔 프로젝터, 노트북 등 복잡한 연결과 준비 등에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며, 빠르고 간편하게 수업, 회의 등의 자료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르고 효과적이며 쾌적한 교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전자칠판에서 필기 수단은 전자펜으로서, 전자펜이 전자칠판의 화이트보드에 접촉한 상태를 인식하여 화이트보드에 특정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펜의 색상은 전자펜의 조작이나 화이트보드의 메뉴 조작에 의해 변경할 수 있는데 전자칠판에서 강의 도중 전자펜이나 화이트보드를 조작하여 전자펜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이 생각보다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전자칠판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378318호(발명의 명칭 :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판서를 위한 적외선을 송출하는 전자펜;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송출된 적외선에 의한 판서 내용을 포함한 강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상기 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강의 영상을 수신하되, 상기 전자펜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실행하여 출력하는 메인PC; 및 상기 메인PC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을 투사하는 빔 프로젝터;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PC는 판서에 필요한 툴을 제공하는 판서툴 제공부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강의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전자펜에 의한 이벤트 발생시 발생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와, 상기 이벤트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벤트를 실행하는 이벤트 실행부와, 상기 이벤트 실행부에서 실행된 이벤트가 표시된 강의 영상을 빔프로젝터에 그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카메라와 전자펜만을 이용하여 전자칠판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지만, 전자펜의 판서될 색상을 손쉽게 결정하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판서 색상을 교체할 때 번거로울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마치 여러 색상으로 이루어진 분필을 이용하는 실제 칠판을 사용하듯이 전자펜의 색상을 보다 편리하게 결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전자칠판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영구자석을 구비한 전자펜의 거치대 거치 여부에 따라 자성 변화로 인해 생성되는 활성신호가 생성되며, 이에 따라 스크린보드에 판서될 색상을 결정할 수 있는 전자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색상 표식을 구비한 상태로서 복수 개로 구성되는 전자펜을 가지며 활성신호를 복수 개로 전달받을 경우 마지막 활성신호를 발생시킨 상기 전자펜의 색상으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할 수 있는 전자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위치가 자성체로 이루어진 지지판에 지지되고, 마지막 활성신호가 인접한 2개의 상기 지지판에서 동시 발생된 경우 활성신호를 발생한 상기 스위치의 개수가 많은 지지판 측 전자펜의 색상 표식의 색상으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할 수 있는 전자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지지 바로부터 상기 프레임에 이르도록 기립된 자성 차단벽을 구비하는 전자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은 특정 색상으로 표시된 색상 표식과 영구자석을 구비한 전자펜; 상기 전자펜의 터치 조작으로 판서를 표시하는 스크린보드; 상기 스크린보드의 하단에서 상기 전자펜을 거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자펜의 거치 여부에 따라 발생되는 자성 변화로 활성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거치대; 상기 전자펜과 스크린보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구동모듈과, 상기 활성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전자펜의 색상 표식의 색상으로 상기 스크린보드에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하는 색상 결정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중공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중공에 고정 안착되는 지지 바(support bar) 및, 상기 지지 바에 결합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서 상기 지지 바를 따라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 연장된 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전자펜은, 서로 다른 상기 색상 표식을 구비한 상태로서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는,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전자펜의 개수에 대응된 개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색상 결정모듈은, 상기 활성신호를 복수 개로 전달받을 경우 마지막 활성신호를 발생시킨 상기 전자펜의 색상 표식의 색상으로 상기 스크린보드에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에 의하면,
1) 내부에 영구자석을 구비한 전자펜의 거치대 거치 여부에 따라 자성 변화로 인해 생성되는 활성신호가 생성되며, 이에 따라 스크린보드에 판서될 색상을 결정할 수 있고,
2) 색상 표식을 구비한 상태로서 복수 개로 구성되는 전자펜을 가지며 활성신호를 복수 개로 전달받을 경우 마지막 활성신호를 발생시킨 상기 전자펜의 색상으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할 수 있으며,
3) 스위치가 자성체로 이루어진 지지판에 지지되고, 마지막 활성신호가 인접한 2개의 상기 지지판에서 동시 발생된 경우 활성신호를 발생한 상기 스위치의 개수가 많은 지지판 측 전자펜의 색상 표식의 색상으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지지 바로부터 상기 프레임에 이르도록 기립된 자성 차단벽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칠판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전자칠판에 빔 프로젝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거치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대에 복수 개의 전자펜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거치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칠판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전자칠판에 빔 프로젝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칠판(1)은 전자펜(10), 스크린보드(20), 거치대(30), 메인 컨트롤 유닛(MCU, 100)을 포함한다.
전자펜(10)은 특정 색상으로 표시된 색상 표식(11)과 영구자석을 구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자칠판(1) 상의 판서 입력을 위한 필기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자펜(10)은 압력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센서 방식, 광 인식 방식 등을 통해 후술할 스크린보드(20)에 판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자칠판의 판서 인식 방식에 따라 전자펜(10)의 내부에는 위치 센서, 접촉 감지 센서, 압력 센서, 초음파 발생부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전자펜(10)은 판서를 위해 스크린보드(20)에 접촉되는 촉과 내부에 영구자석을 구비하기 위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자펜(10)의 형상과 재질에는 구체적인 제한을 두지 않으나 기본적으로 긴 원통형의 몸통부와 원뿔 형상의 촉을 가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세라믹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펜(10)은 단일 색상으로 구성되어 하나가 존재할 수 있지만, 각각 검정, 빨강, 파랑, 녹색 등의 색상 표식(11)을 포함하는 전자펜(10)이 복수 개로 존재하여 이 복수 개의 전자펜을 이용하여 판서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색상 표식(11)은 펜촉, 펜의 몸통 색, 펜의 말단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스크린보드(20)는 상기 전자펜(10)의 터치 조작으로 판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LCD, PDP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감지 센서를 설치하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 프로젝터(3)를 통해 빔을 방사하여 빔 프로젝터(3)에서 발생한 영상, 이미지나 텍스트를 표시하는 스크린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전자펜(10)은 빔 프로젝터(3)를 통해 표시된 이미지 등에 첨삭을 부가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칠판(1)이 빔 프로젝터(3)를 통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때에는 빔 프로젝터(3)에서 이미지 등을 송출하기 위해 이미지, 영상 등을 재생하는 장치, 예를 들어 CPU(4)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크린보드(20)는 다양한 재질 및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에를 들어 가로 2.4M * 세로 1.2M, 가로 3.6M, 세로 1.2M 등의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정리하면, 스크린보드(20)는 압력의 변화, 스크린 표면의 전류 흐름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을 통해 전자펜(10)의 터치를 감지하거나 빔 프로젝터(3)와 함께 판서 내지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스크린보드(20)의 일 측, 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 부위에는 전자펜(10) 판서의 굵기 조절, 브러쉬 모양 설정, 도구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아이콘(2)이 배치되어 효율적으로 판서 기능을 보조하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전자펜(10)을 굵기 조절 아이콘에 접촉하였을 때 해당 전자펜(10)의 판서 굵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의 크기, 형상, 기능은 특정 용도와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거치대(30)는 스크린보드(20)의 하단에서 전자펜(10)을 거치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실제 칠판에서 사용하지 않는 분필을 거치하는 지지판과 같이 현재 사용하지 않는 전자펜(10)을 거치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거치대(30)는 전자펜(10)의 거치 여부에 따라, 보다 정확히는 전자펜(10)이 거치대(30)에 접촉하고 있다가 접촉이 해제되었을 때 발생되는 자성 변화로 활성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33)를 구비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거치대(30)는 전자펜(10)을 안정감 있게 거치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를 가진 상태로 도 1 내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보드(20)의 가로 길이에 상응하거나 좀 더 짧은 너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치대(30)의 상면에는 전자펜(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전자펜(10)의 체적에 맞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거치대(3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가벼운 중량을 가지면서 안정감 있게 스크린보드(20)의 하단에 고정되어 전자펜(1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펜(10)이 거치대(30)에 거치될 경우 전자펜(10) 내부의 영구자석으로 인한 자성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자성 변화를 활성신호로 생성하는 스위치(33)를 구비할 수 있도록 거치대(30)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33)는 자성의 감지 여부에 따라 활성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자성 또는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아두이노 리드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성이나 자력 변화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33)는 자성을 감지한 상태에서는 대기(stand-by) 상태를 취하다가 이 자성이 사라진 경우에 신호, 즉 활성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스위치(33)의 기능을 영구자석을 구비한 전자펜(10)과 함께 설명하면, 거치대(30)에 전자펜(10)이 놓일 경우, 즉 거치될 경우 스위치는 전자펜(10)의 영구자석에 의해 자성을 감지하여 대기 상태를 취한다. 이후, 예를 들어 강사가 전자펜(10)을 사용하여 판서를 하기 위해 거치대(30)에 놓인 전자펜을 들어 올릴 경우와 같이 전자펜(10)이 거치대(30)에서 이격될 경우, 대기상태에 있던 전자펜(10)에서 활성신호를 생성하여 이 활성신호를 후술할 색상 결정모듈(120)에 전송한다.
즉, 스위치(33)는 전자펜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자성을 감지하여 이 자성 감지 여부에 의해 해당 전자펜(10)의 색상을 결정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활성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10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메인 컨트롤 유닛(MCU, 100)은 전자펜(10)과 스크린보드(20)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구동모듈(110)과, 스위치(33)에서 생성한 활성신호를 전송받아 전자펜(10)의 색상 표식의 색상으로 스크린보드(20)에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하는 색상 결정모듈(120)을 포함한다.
메인 컨트롤 유닛(100)은 본 발명의 전자칠판(1)의 중앙처리장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전자펜(10)과 스크린보드(20) 내에 존재하는 센서들의 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처리할 수 있다. 즉, 메인 컨트롤 유닛(100)은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100)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구동모듈(110)은 전자펜(1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스크린보드(20) 또는 원격으로 인식하는 것은 물론 스크린보드(20)의 표시 제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공지된 전자칠판의 메인 컨트롤 유닛(MCU)의 세부 역할 및 기능과 같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색상 결정모듈(120)은 전자펜(10)이 거치대(30)에 탈착될 때 발생하는 자성 변화에 의한 활성신호에 따라 스크린보드(20)에 판서될 색상을 결정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앞서 언급하였듯이 전자펜(10)이 거치대(30)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거치대(30)의 스위치(33)가 대기 상태를 취하고, 전자펜(10)이 거치대(30)에서 떨어지면 거치대(30)의 스위치(33)가 on 처리, 즉 활성신호를 생성하는데 이 활성신호를 스위치(33)로부터 전송받아 거치대에서 이격된 전자펜(10)의 색상, 즉 스크린보드(20)에 판서할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30)에 파란 색상 표식(11)이 형성된 전자펜(10)을 들어 올리면 파란 색상으로 스크린보드(20)에 판서되는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즉, 스위치(33)의 활성신호는 고유의 색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미리 지정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색상 결정모듈(120)은 거치대의 특정 위치 별로 특정 색상을 지정하여 이를 저장하고 있고, 각각의 특정 위치에서 활성신호가 전송될 때 해당 활성신호의 지정된 색상으로 전자펜(10)이 스크린보드(20)에 접촉 시 판서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 구성 및 기능에 따르면, 전자펜(10)에 구비된 버튼을 일일이 조작하거나 스크린보드(20)의 색상 변경 아이콘을 전자펜으로 누른 다음 전자펜(10)의 색상을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면서 마치 실제 분필을 집어 들어 판서를 진행하는 실제 칠판과 같은 방법으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는 익숙함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거치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거치대(30)는 프레임(31), 지지 바(support bar, 32), 스위치(33), 케이블(34)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31)은 중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거치대의 하단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구조체로서, 이 중공 내에 지지 바(32), 스위치(33), 케이블(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31) 내부의 스위치(33)에서 전자(10)펜 내부의 영구자석의 자성을 원활하게 감지하기 위해서 프레임(31)의 재질은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레임(31)의 상면에 전자펜(10)이 거치되는데, 앞서 언급하였듯이 프레임(31)의 상면은 반드시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전자펜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다양한 굴곡을 구비한 입체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 바(support bar, 32)는 상기 중공의 바닥면에 고정 안착되는 것으로서, 스위치(33)의 지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때, 지지 바(32)는 알루미늄이나 철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스위치(33)가 상술한 활성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전자적 기반을 제공하는 역할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바(32)는 스위치(33)의 전자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 나아가 띠 타입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PCB)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스위치(33)는 상기 지지 바(32)에 결합되어 상술한 활성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데, 지지 바(32) 상에 스위치(33)가 단순하게 지지 결합될 수 있지만 프레임(31) 내 중공의 공간을 절약하거나 보다 안정적인 스위치(33)의 고정을 위해지지 바(32)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 스위치(33)가 삽입되어 지지 바(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스위치(33)는 전자펜(10)의 각각 고유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상태에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스위치(33) 역시 지지 바(32)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전자펜(10)의 개수에 상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33)가 지지 바(32)에서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자펜(10)의 탈착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각각의 복수 개 스위치(33)가 충분한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자성 감지에 혼선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34)은 상기 스위치(33)에서 상기 지지 바(32)를 따라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00)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위치(33)에서 메인 컨트롤 유닛(100)으로 케이블(3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스위치(33)에서 발생하는 활성 신호를 케이블(34)을 따라 메인 컨트롤 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지지 바(32)가 인쇄회로기판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이 지지 바(32) 내에 스위치(33) 별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장된 도선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34)은 지지 바(32)의 기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전자펜(100)은 서로 다른 색상 표식(11)을 구비한 상태로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스위치(33) 역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전자펜(10)의 개수에 대응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전자칠판(1)에 판서할 수 있는 색상은 단일 색상이 아닌 복수 개의 색상이 될 수 있으며, 각 색상에 상응하는 전자펜(10)이 복수 개로 존재하여 거치대에서 고유의 색상 결정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정, 파랑, 빨강, 지우개(전에 판서한 내용을 지우는 기능을 수행한다)의 색으로 판서를 진행할 수 있다고 할 때, 이러한 색의 색상 표식(11)을 구비한 전자펜(10)이 4개 존재하며, 이에 대응된 스위치(33)가 4개, 즉 지지 바(32)의 일 단에서 타 단까지 검정, 파랑, 빨강으로 지정된 색상 영역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지우개는 색상은 아니지만 특정 색상으로 표시된 판서를 지우는 것으로 정의되어 이 역시 지지 바(32)에서 고유의 영역을 담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색상 결정모듈(120)은 상기 활성신호를 복수 개로 전달받을 경우, 예를 들어 강사가 검정 색상 표식의 전자펜(10)을 들었다가 다시 빨강 색상 표식의 전자펜을 들었을 경우 마지막 활성신호를 발생시킨 전자펜(10)의 색상 표식(11)의 색상, 즉 상술한 예에서는 빨강색으로 스크린보드(20)에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거치대(30) 상에서 전자펜(10)의 복수 회수의 접촉 및 접촉 해제 과정으로 인해 활성신호를 복수 개 전달받았을 때, 마지막으로 거치대(30)에서 들어 올린 전자펜의 색상으로 판서를 진행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검정색을 담당하는 전자펜(10)을 들어 올려 판서를 진행하던 중 파란색을 담당하는 전자펜(10)을 들어 올리면 이 파란색을 담당하는 전자펜(10)을 통해 파란색으로 판서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검정색으로 다시 판서를 진행하고 싶다면 두 전자펜(10)을 모두 거치대(30) 위에 올려둔 후 검정색 전자펜(10)을 다시 들어 올려 해당 전자펜(10)으로 판서를 진행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대에 복수 개의 전자펜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나아가, 프레임(31)에서 상기 전자펜(10)이 접촉되는 거치 면에는 상기 스위치(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자펜(10)의 색상 표식(11)과 동일한 색상이 표시된 색상 인식 표지(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자칠판(1)에 판서되는 판서 색상은 사실상 어떤 전자펜(10)을 들어 올리는지 보다는 어떤 스위치(33)에서 활성신호가 발생하였는지에 의해 결정되므로,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며 전자펜(10)이 올바른 위치에 안착되기 위해서는 스위치(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색상 인식 표지(12)를 형성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해당 색상 표식(11)을 가지고 있는 전자펜(10)이 거치대(30)에서 올바른 위치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 표식(11)을 가지는 전자펜(10)을 들어 올렸을 때 다른 색상의 판서가 진행되는 상황을 방지해주어 전자칠판의 사용자들의 혼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거치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스위치(33)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지지판(35)에 지지된 상태로 지지 바(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35)은 스위치(33)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체는 자기를 띠는 물질로서, 여기서 자기란 자기장을 발생시켜서 쇠 조각을 끌어당기는 자기력을 작용하는 성질 또는 현상이다. 구체적으로, 자성체에는 외부 자기장이 없어도 자성을 띠는 영구자석, 외부 자기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기화하는 물질인 상자성(paramagnetic)체와 외부 자기장과 반대 방향으로 자기화하는 물질인 반자성(diamagnetic)체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상자성 물질로는 나트륨 등 알칼리 금속과 알루미늄, 백금 등의 금속, 그리고 공기 등이 있다. 반면 구리와 비스무스 등은 반자성 물질이다.
이때, 각 스위치(33)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구분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100)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지지판(35) 당 한 전자펜(10)에 대응하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스위치(33)가 지지되며 각 지지판(35)은 일정한 거리를 두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자성체로 이루어진 지지판(35)에 스위치(33)를 지지시킴으로써 영구자석을 구비한 전자펜(10)에서 스위치(33)로 제공하는 자성을 스위치(33)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지지판(35)으로 확장시켜 결과적으로 거치대(30) 상에서 전자펜(10)의 탈착되는 과정에서의 자성 변화를 스위치(33)에서 더욱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다.
만일 전자펜(10)이 많은 개수로 제공되어 이를 위해 지지 바(32)에서 스위치(33)의 개수 역시 전자펜(10)의 개수만큼 증가될 때 각 스위치(32) 간 거리가 좁아져 어느 하나의 전자펜(10)을 거치대 상에 안착시킨 다음 들어 올렸을 때 의도치 않게 그 주변의 두 개의 스위치(33) 모두에서 활성신호가 동시에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색상 결정모듈(120)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을 결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판(35) 별로 스위치(33)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스위치(33)는 전술한 스위치보다 작은 체적으로 이루어져 지지판에 고른 분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하나의 지지판(35) 별로 복수 개의 스위치(33)가 구비되는 경우 동일값을 가지는 활성신호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색상 결정모듈(120)은 상기 마지막 활성신호가 인접한 2개의 상기 지지판(35)에서 동시 발생된 경우 각각의 상기 지지판(35)에서 활성신호를 발생한 상기 스위치(33)의 개수가 많은 지지판(35) 측 상기 전자펜(10)의 색상 표식(11)의 색상으로 스크린보드(20)에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파란색 판서 활성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33)가 10개로 구비된 제 1 지지판(35)과 빨간색 판서 활성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33)가 역시 10개로 구비된 지지판(35)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인접해 있을 때, 전자펜(10)이 두 지지판(35)에 걸쳐 애매하게 거치되어 있다가 들어 올리면 두 지지판(35) 내 스위치(33)의 활성신호가 동시에 발생된다. 이때, 제 1 지지판(35)의 10개의 스위치(33) 중에서 3개, 제 2 지지판(35)의 10개의 스위치(33) 중에서 7개에서 각각 활성신호가 발생되었다고 할 때, 빨간색을 담당하는 제 2 지지판(35)의 스위치(33)에서 더 많은 활성신호가 발생되었으므로 빨간색으로 판서를 진행할 수 있다. 즉, 해당 전자펜(10)이 빨간색 영역과 파란색 영역에 걸친 상태에서 들어 올린 경우에 상기 예의 경우 해당 전자펜(10)이 빨간색 영역 쪽에 보다 치우쳐 있다는 것으로 받아들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위치가 파란색 영역이 아닌 빨간색 영역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자펜(10)의 개수가 많아져 스위치(33) 및 지지판(35)의 간격이 좁아질 경우 중첩된 영역에 위치한 전자펜의 색상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와 같이 위치(33) 사이에는 상기 지지 바(32)로부터 상기 프레임(31)에 이르도록 기립된 것으로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를 포함하는 자성 차단벽(3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현실적으로 자성을 완전히 차단시키는 것은 어렵지만, 반사, 투과, 흡수 등의 형태를 통해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스위치(33)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성 변화를 독립적으로 유지시켜 활성신호 혼선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33) 사이에 이러한 자성 차단벽(36)을 구비함으로써 거치대(3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여 안정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인접한 스위치(33)에까지 자성을 전달하여 활성신호가 동시 발생되는 혼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자성 차단벽(36)은 제 1 물질 제조 단계, 제 2 물질 제조 단계, 제 3 물질 제조 단계, 제 4 물질 제조 단계, 제 5 물질 제조 단계, 제 6 물질 제조 단계, 제 7 물질 제조 단계, 자성 차단벽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제 1 물질 제조 단계는 45 내지 55wt% 황산수용액 80 내지 95중량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한 뒤 40 내지 60℃에서 40 내지 80분 동안 가열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탄소나노튜브는 유연성이 좋아서 휘어졌다가 원상복구 되기 쉽고, 낮은 중량 밀도를 가지는 물질로서 기계적, 전기적 그리고 열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며, 이로 인해 나노복합 재료 제조 분야에서 기존의 첨가제를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물질로 여겨지고 있고, 기계적인 특성으로는 철보다 강하며, 알루미늄보다 가볍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는 전도성 물질로서 자기장을 반사하여 투과되지 않고 차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황산수용액은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을 위한 용매로서 상술한 과정을 통해 탄소나노튜브가 산 처리 될 수 있다.
다음, 제 2 물질 제조 단계는 제 1 물질을 여과하여 잔여물을 70 내지 9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진공에서 가열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며, 제 3 물질 제조 단계는 물 80 내지 95중량부, 제 2 물질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3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산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과량의 물에 분산시키는 과정이다.
이후, 제 4 물질 제조 단계는 에탄올 85 내지 99중량부,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E) 1 내지 10중량부, 제 3 물질 1 내지 10중량부,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한 뒤 90 내지 11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 4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며, 제 5 물질 제조 단계는 제 4 물질을 여과한 뒤 잔여물을 물 및 에탄올을 통해 2 내지 4회 세척한 후 70 내지 9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 5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술한 두 과정은 탄소나노튜브를 관능기화 시키는 과정이며, 이때 제 4 물질의 혼합 시 하이트로퀴논을 가장 마지막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옥타데실아민과 하이트로퀴논은 산 처리된 탄소나노튜브와 반응하여 탄소나노튜브를 관능기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자기장 차폐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후, 제 6 물질 제조 단계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벤젠 80 내지 90중량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0 내지 50℃의 온도로 40 내지 80분 동안 가열하여 제 6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며, 제 7 물질 제조 단계는 적하 깔때기를 통해 제 6 물질을 50 내지 70분 동안 적하시켜 적하 용액을 수득한 뒤 과량의 메탄올에 적하 용액을 침적시켜 침적 용액을 제조하고 침적 용액을 여과한 뒤 잔여물을 30 내지 50℃에서 8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 7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MMA(methylmethacrylate)단량체를 주원료로 하는 아크릴 수지로서 투명성, 내후성, 착색성, 탄성력 및 내약품성이 뛰어나 자동차, 전기. 전자의 부품소재 및 건축자재 등으로 각광받고 있는 소재이다. 이러한 폴리메틸 메타그릴레이트는 내수성, 내알칼리성, 무기염의 수용액과 대부분의 묽은 산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며 자성 차단벽(36)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이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의 차폐 효과로 인하여 가수분해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기존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보다 내충격성이 강화될 수 있으며 기계적 성능이 상화되어 자성 차단벽(36)의 거치대(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성 차단벽 완성 단계는 클로로폼(Chloroform) 70 내지 85중량부, 제 5 물질 1 내지 15중량부, 제 7 물질 1 내지 15중량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 Fluoride)를 포함하는 보조 물질 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한 뒤 40 내지 60℃에서 4 내지 8시간 동안 가열하고 2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하여 자성 차단벽(36)을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가열 과정 후에 틀에 주입하여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일정한 형상을 갖춘 자성 차단벽(36)으로 완성되거나, 그대로 건조시킨 뒤 이를 일정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자성 차단벽(36)으로 완성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물질은 자기장 차폐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가지는 물질로서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자성 차단벽(36)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거치대(30) 내의 중공에서 거치대(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효율적으로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어 활성 신호 오류 발생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보조 물질은 1차 물질 제조 단계, 2차 물질 제조 단계, 보조 물질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물질 제조 단계는 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 30 내지 45중량부, 아세톤 25 내지 40중량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 Fluoride) 10 내지 35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는 용해된 후 복합방사, 부직포방사, 직접방사 등의 방법을 통해 섬유의 형태로 방사될 수 있는 고분자로서 후술할 과정을 통해 섬유의 형태로 방사되어 자성 차단벽(36)의 인장 강도 및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하여, N-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아세톤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용해를 위한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2차 물질 제조 단계는 1차 물질 85 내지 99중량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1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한 뒤 90 내지 110℃의 온도로 4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탄소나노튜브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자기장을 반사하여 차폐할 수 있는 물질로서 상술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로부터 방사될 섬유에 차폐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조 물질 완성 단계는 2차 물질을 8 내지 12kV의 전압으로 0.8 내지 1.2mL/h의 속도로 방사한 후 분쇄하여 보조 물질을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섬유 형상의 보조 물질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방사를 진행하게 되면 너무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섬유가 방사되므로 상술한 전압 조건에서 방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 거리는 5 내지 35cm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보조 물질은 자기장 차폐 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섬유 형상을 가지게 되어 상술한 자성 차단벽(36)에 포함되어 자성 차단벽(36)의 자기장 차폐 성능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인장 강도 및 기계적 성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전자칠판 2: 아이콘
3: 빔 프로젝터 4: CPU
10: 전자펜 11: 색상 표식
12: 색상 인식 표지 20: 스크린보드
30: 거치대 31: 프레임
32:지지 바 33: 스위치
34: 케이블 35: 지지판
36: 자성 차단벽
100: 메인 컨트롤 유닛 110: 메인 구동모듈
120: 색상 결정모듈

Claims (10)

  1. 자석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으로서,
    특정 색상으로 표시된 색상 표식과 영구자석을 구비한 전자펜;
    상기 전자펜의 터치 조작으로 판서를 표시하는 스크린보드;
    상기 스크린보드의 하단에서 상기 전자펜을 거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자펜의 거치 여부에 따라 발생되는 자성 변화로 활성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거치대;
    상기 전자펜과 스크린보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구동모듈과, 상기 활성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전자펜의 색상 표식의 색상으로 상기 스크린보드에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하는 색상 결정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중공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중공에 고정 안착되는 지지 바(support bar) 및, 상기 지지 바에 결합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서 상기 지지 바를 따라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 연장된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펜은, 서로 다른 상기 색상 표식을 구비한 상태로서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는,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전자펜의 개수에 대응된 개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색상 결정모듈은, 상기 활성신호를 복수 개로 전달받을 경우 마지막 활성신호를 발생시킨 상기 전자펜의 색상 표식의 색상으로 상기 스크린보드에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하며,
    상기 스위치 사이에는,
    상기 지지 바로부터 상기 프레임에 이르도록 기립된 것으로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를 포함하는 자성 차단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전자펜이 접촉되는 거치 면에는,
    상기 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자펜의 색상 표식과 동일한 색상이 표시된 색상 인식 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지지판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지지 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지지판 별로 복수 개로 지지되고,
    상기 색상 결정모듈은,
    상기 마지막 활성신호가 인접한 2개의 상기 지지판에서 동시 발생된 경우 각각의 상기 지지판에서 활성신호를 발생한 상기 스위치의 개수가 많은 지지판 측 상기 전자펜의 색상 표식의 색상으로 상기 스크린보드에서 판서될 색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차단벽은,
    45 내지 55wt% 황산수용액 80 내지 95중량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한 뒤 40 내지 60℃에서 40 내지 80분 동안 가열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제 1 물질 제조 단계;
    상기 제 1 물질을 여과하여 잔여물을 70 내지 9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진공에서 가열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제 2 물질 제조 단계;
    물 80 내지 95중량부, 제 2 물질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3 물질을 제조하는, 제 3 물질 제조 단계;
    에탄올 85 내지 99중량부,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E) 1 내지 10중량부, 상기 제 3 물질 1 내지 10중량부,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한 뒤 90 내지 11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 4 물질을 제조하는, 제 4 물질 제조 단계;
    상기 제 4 물질을 여과한 뒤 잔여물을 물 및 에탄올을 통해 2 내지 4회 세척한 후 70 내지 9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 5 물질을 제조하는, 제 5 물질 제조 단계;
    질소 분위기 하에서 벤젠 80 내지 90중량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0 내지 50℃의 온도로 40 내지 80분 동안 가열하여 제 6 물질을 제조하는, 제 6 물질 제조 단계;
    적하 깔때기를 통해 상기 제 6 물질을 50 내지 70분 동안 적하시켜 적하 용액을 수득한 뒤 과량의 메탄올에 상기 적하 용액을 침적시켜 침적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침적 용액을 여과한 뒤 잔여물을 30 내지 50℃에서 8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 7 물질을 제조하는, 제 7 용액 제조 단계;
    클로로폼(Chloroform) 70 내지 85중량부, 상기 제 5 물질 1 내지 15중량부, 상기 제 7 물질 1 내지 15중량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 Fluoride)을 포함하는 보조 물질 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한 뒤 40 내지 60℃에서 4 내지 8시간 동안 가열하고 2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하여 자성 차단벽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물질은,
    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 30 내지 45중량부, 아세톤 25 내지 40중량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 Fluoride) 10 내지 35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1차 물질 제조 단계;
    상기 1차 물질 85 내지 99중량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1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한 뒤 90 내지 110℃의 온도로 4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2차 물질 제조 단계;
    상기 2차 물질을 8 내지 12kV의 전압으로 0.8 내지 1.2mL/h의 속도로 방사한 후 분쇄하여 보조 물질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16944A 2020-02-12 2020-02-12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KR102110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944A KR102110433B1 (ko) 2020-02-12 2020-02-12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944A KR102110433B1 (ko) 2020-02-12 2020-02-12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433B1 true KR102110433B1 (ko) 2020-05-13

Family

ID=7073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944A KR102110433B1 (ko) 2020-02-12 2020-02-12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4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99U (ko) 2020-07-14 2022-01-21 김진 밴딩 조절 기능이 구비된 자력 교구 장치
CN114435007A (zh) * 2022-03-23 2022-05-06 吴艳红 一种智能型计算机技术展示装置
KR102599667B1 (ko) 2023-05-17 2023-11-08 (주)씨브이티일렉트로닉스코리아 전자펜을 포함하는 거치형 전자칠판시스템
KR102599665B1 (ko) 2023-05-17 2023-11-08 (주)씨브이티일렉트로닉스코리아 벽걸이형 전자칠판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736A (ja) * 1999-08-18 2001-02-27 Brother Ind Ltd 座標読取装置用の筆記装置
KR20100111530A (ko) *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모든넷 전자칠판의 입력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007248B1 (ko) * 2010-09-10 2011-01-10 김철곤 전자칠판과 화이트보드의 자동 변환 및, 화면 흐림현상이 방지되는 멀티 전자칠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736A (ja) * 1999-08-18 2001-02-27 Brother Ind Ltd 座標読取装置用の筆記装置
KR20100111530A (ko) *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모든넷 전자칠판의 입력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007248B1 (ko) * 2010-09-10 2011-01-10 김철곤 전자칠판과 화이트보드의 자동 변환 및, 화면 흐림현상이 방지되는 멀티 전자칠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99U (ko) 2020-07-14 2022-01-21 김진 밴딩 조절 기능이 구비된 자력 교구 장치
CN114435007A (zh) * 2022-03-23 2022-05-06 吴艳红 一种智能型计算机技术展示装置
KR102599667B1 (ko) 2023-05-17 2023-11-08 (주)씨브이티일렉트로닉스코리아 전자펜을 포함하는 거치형 전자칠판시스템
KR102599665B1 (ko) 2023-05-17 2023-11-08 (주)씨브이티일렉트로닉스코리아 벽걸이형 전자칠판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433B1 (ko) 자력 제어 기반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CN101901049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程序
US5511983A (en) Graphic image generating apparatus with automatic demonstration image generating program
JP3999958B2 (ja) 電子ペーパファイル
TW201140396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electronic pen
US9898108B2 (en) Image erasing device for electronic chalkboard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chalkboard system
WO2013161246A1 (ja)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
US20080084394A1 (en)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CN101359272A (zh) 显示装置和显示方法
CN103309468A (zh) 多功能无线真彩色电子笔
CN108334213A (zh) 电容触控笔
CN205247332U (zh) 一种书写笔配件和书写系统
KR102130650B1 (ko) 전자필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US20080018622A1 (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inputting method therefor
JP7009705B2 (ja) プログラミング教育用教材
CN202976029U (zh) 一种触控显示屏及触控显示装置
KR20160092511A (ko) 자기장을 이용한 입력 장치,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자기장을 이용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206907255U (zh) 一种英语教学自动读写发声装置
CN206388350U (zh) 书法教学仪
JP2010191776A (ja) ストローク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08217A (ko) 정보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CN1244673A (zh) 光标形状随指示器位置变化而改变的数字转换器系统
CN207571754U (zh) 一种手持式超高频读写机
CN202904497U (zh) 可改变笔触软硬度的笔形输入设备
CN203574771U (zh) 触摸式电视电脑组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