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416B1 -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416B1
KR102110416B1 KR1020190086872A KR20190086872A KR102110416B1 KR 102110416 B1 KR102110416 B1 KR 102110416B1 KR 1020190086872 A KR1020190086872 A KR 1020190086872A KR 20190086872 A KR20190086872 A KR 20190086872A KR 102110416 B1 KR102110416 B1 KR 102110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iezoelectric layer
ultra
glass
acoustic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8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진
라용호
김선욱
전대우
김진호
황종희
임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86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4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4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01L41/1871
    • H01L41/1873
    • H01L41/1876
    • H01L41/1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10N30/8536Alkaline earth metal based oxides, e.g. barium titan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10N30/8542Alkali metal based oxides, e.g. lithium, sodium or potassium niob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10N30/8548Lead based oxides
    • H10N30/8554Lead zirconium titanate bas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Abstract

Disclosed are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between an ultra-thin plate glass and a piezoelectric element by directly deposit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on the ultra-thin plate glass, thereby maximizing piezoelectric efficiency as well as exhibiting excellent durability and flexible properties. The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ltra-thin glass having a thickness of 100 um or less; the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the piezoelectric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Description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박판 유리 상에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으로 구성된 압전 소자를 직접 증착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해, 초박판 유리와 압전 소자 간이 일체화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압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구성 및 플렉서블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 piezoelectric element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directly on ultrathin glass, to form an ultrathin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not only can maximize the piezoelectric efficiency as it has an integrated structure between the glass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but also can exhibit excellent durability and flexible characteristics.

스피커(speaker)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음파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장치이다.A speaker is a device that receives electrical signals and converts them into sound waves for output.

스피커에는 그 작동원리에 따라 동전형 스피커(dynamic speaker), 정전형 스피커(electrostatic speaker), 압전형 스피커(crystal speaker)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러한 스피커들은 모두 전기적 신호에 따라 진동판이 기계적으로 진동하면서 주위의 공기를 진동시킴으로써 소리를 출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speakers, such as a dynamic speaker, an electrostatic speaker, and a crystal speaker, depending on the operation principle. All of these speakers have a characteristic of outputting sound by vibrating the surrounding air while the diaphragm mechanically vibrates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한편, 최근에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를 이용하여 직접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투명 음향 스피커를 제조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research into manufacturing transparent acoustic speakers capable of directly generating sounds using transparent glas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8968호(2011.12.01.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투명하고 지향성 있는 셀룰로오스 압전종이 스피커가 기재되어 있다.As a related prior docu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28968 (published on December 1, 2011) discloses a transparent and directional cellulose piezoelectric paper speaker.

본 발명의 목적은 초박판 유리 상에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으로 구성된 압전 소자를 직접 증착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해, 초박판 유리와 압전 소자 간이 일체화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압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구성 및 플렉서블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rectly form a piezoelectric element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on an ultra-thin plate glass to form a piezoelectric efficiency by having an integrated structure between the ultra-thin plate glass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It is to provide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that can not only maximize, but also exhibit excellent durability and flexible characteristic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는 100㎛ 이하의 두께를 갖는 초박판 유리; 상기 초박판 유리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압전층; 및 상기 압전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ultra-thin glass having a thickness of 100㎛ or less;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A piezoelectric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상기 초박판 유리는 5㎛ ~ 10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ltra-thin glass is preferably having a thickness of 5㎛ ~ 100㎛.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은 페이스트(Ag past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IO(Gallium Indium Oxide), GZO(Gallium Zinc Oxide) 및 FTO(Fluorine Tin Oxid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s Ag Nanowire, Ag paste,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Gallium Indium Oxide (GIO), Gallium (GZO) Zinc Oxide) and FTO (Fluorine Tin Oxide).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50nm ~ 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has a thickness of 50 nm to 50 μm.

또한, 상기 압전층은 PZT(Lead zirconate titanate), AlN, (Pb, Sm)TiO3, 쿼츠(Quartz), PMN(Pb(MgNb)O3)-PT(PbTiO3),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및 PVDF-TrFe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압전 물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layer includes lead zirconate titanate (PZT), AlN, (Pb, Sm) TiO 3 , quartz, PMN (Pb (MgNb) O 3 ) -PT (PbTiO 3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and It is formed of one or more piezoelectric materials selected from PVDF-TrFe.

상기 압전층은 500nm ~ 1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iezoelectric layer has a thickness of 500 nm to 1 mm.

여기서, 상기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은 상기 초박판 유리 상에 직접 증착에 의해 형성되어, 일체형 구조를 갖는다.Here,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by vapor deposition directly on the ultra-thin plate glass, and have an integral structure.

또한, 상기 제1 전극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에 접속된 제1 전극 단자; 상기 제2 전극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 단자; 및 상기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electrode terminal formed on on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and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electrod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이때,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압전층을 사이에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은 제1 전극 및 압전층의 측면과, 상기 제2 전극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in a zigzag form with a piezoelectric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

여기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압전층의 합산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insulating layer may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iezoelectric layer.

상기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압전 소자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압전 소자는 평면 상으로 볼 때, 플레이트 패턴, 줄무늬 패턴 및 크로스 격자형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A piezoelectric element is configured by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Here,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have any one of a plate pattern, a stripe pattern, and a cross lattice pattern when viewed in a plan vie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제조 방법은 100㎛ 이하의 두께를 갖는 초박판 유리 상에 제1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여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 상에 압전 물질을 증착하여 압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압전층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 상에 제2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여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first electrode by depositing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ultra-thin glass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or less; Forming a piezoelectric layer by depositing a piezoelectric material on the ultra-thin plate glass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is formed;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by depositing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the ultra-thin plate glass on which the piezoelectric layer is formed.

상기 제1 및 제2 투명 도전물질 각각은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은 페이스트(Ag past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IO(Gallium Indium Oxide), GZO(Gallium Zinc Oxide) 및 FTO(Fluorine Tin Oxid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is silver nanowire, silver paste,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gallium indium oxide (GIO), gallium in zinc (GZO) Zinc Oxide) and FTO (Fluorine Tin Oxide).

이때, 상기 압전층은 PZT(Lead zirconate titanate), AlN, (Pb, Sm)TiO3, 쿼츠(Quartz), PMN(Pb(MgNb)O3)-PT(PbTiO3),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및 PVDF-TrFe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압전 물질을 스퍼터링 증착 방식으로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iezoelectric layer includes lead zirconate titanate (PZT), AlN, (Pb, Sm) TiO 3 , quartz, PMN (Pb (MgNb) O 3 ) -PT (PbTiO 3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and One or more piezoelectric materials selected from PVDF-TrFe may be deposited by sputtering deposition.

또한, 상기 제2 전극 형성 단계 이후, 상기 제1 전극 및 압전층의 측면과, 상기 제2 전극의 하면과 접촉되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에 금속 물질을 증착하여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각각 접속된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forming an insulating layer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iezoelectric layer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nd forming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y depositing a metal material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은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 모두가 초박판 유리 상에 직접 증착에 의해 형성되어, 일체형 구조를 갖는다.In the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all formed by vapor deposition directly on ultra-thin glass, and thus have an integral structure.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은 초박판 유리 상에 직접 증착된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변위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초박판 유리가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하는 원리로 작동하게 된다.As a result, the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operate on the principle that the ultra-thin glass vibrates and generates sound by generating displacement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deposited directly on the ultra-thin glass.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압전 소자를 접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초박판 유리 상에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으로 구성되는 압전 소자를 직접 증착하여 일체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초박판 유리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우수한 내구성 확보가 가능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re not a method of bonding a piezoelectric element using an adhesive, but a piezoelectric element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on ultra-thin glass. By directly depositing to form an integral structure, it can be stably bonded to ultra-thin glass, thereby ensuring excellent durability.

이에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은 초박판 유리의 적용으로 높은 투과율 및 우수한 플렉서블 특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동 효율이 우수하여 압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적인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re not only capable of securing high transmittance and excellent flexibl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pplication of ultra-thin glass, but also have excellent vibration efficiency to maximize the piezoelectric effect. Ha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0 are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a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100)는 초박판 유리(110), 제1 전극(120), 압전층(130) 및 제2 전극(1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100)는 제1 전극 단자(150), 제2 전극 단자(160) 및 절연층(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ltra-thin glass 110, a first electrode 120, a piezoelectric layer 130, and a second electrode 140 ). In addition, the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lectrode terminal 150, a second electrode terminal 160, and an insulating layer 170.

초박판 유리(110)는 일면 및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초박판 유리(11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높은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초박판 유리(110)는 고릴라 유리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투명 유리 재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ultra-thin glass 110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not only secure a high transmittance by using the ultra-thin glass 110, but also to exhibit flexible characteristics. Gorilla glass may be used as the ultra-thin glass 110, but this is exemplary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이를 위해, 초박판 유리(110)는 100㎛ 이하의 두께, 보다 구체적으로는 5㎛ ~ 10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로는 20 ~ 40㎛의 두께를 제시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ultra-thin glass 11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00 µm or less, more specifically 5 µm to 100 µm, and the most preferable range may be 20 to 40 µm.

초박판 유리(110)의 두께가 5㎛ 미만일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얇아 강도 및 강성 확보가 어려워 내구성 확보가 어려우며, 초박판 유리(110) 상에서 수행되는 증착 공정시 핸들링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초박판 유리(110)의 두께가 10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두께 설계로 인하여 진동 효율이 저하되며, 플렉서블한 특성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110 is less than 5 μm, the thickness is too thin,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strength and rigidity and thus it is difficult to secure durability, and handling may be difficult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per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110. Convers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110 exceeds 100 μm, vibration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an excessive thickness design, and difficulty in implementing flexible characteristics may follow.

제1 전극(120)은 초박판 유리(11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전극(120)은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식으로 초박판 유리 상에 투명 도전물질을 직접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전극(120)은 초박판 유리(110) 상에 직접 증착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초박판 유리(110)와 일체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110. 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by directly depositing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ultra-thin glass by sputtering using a deposition mask. In this way, 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110 by a direct deposition method, and thus may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ultra-thin glass 110.

이러한 제1 전극(120)은 투과율이 우수한 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120)은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은 페이스트(Ag past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IO(Gallium Indium Oxide), GZO(Gallium Zinc Oxide) 및 FTO(Fluorine Tin Oxid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having excellent transmittance. 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120 is silver nanowire (Ag Nanowire), silver paste (Ag paste),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GIO (Gallium Indium Oxide), GZO (Gallium Zinc) Oxide) and FTO (Fluorine Tin Oxide).

제1 전극(120)은 50nm ~ 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500nm ~ 10㎛의 두께를 제시할 수 있다. 제1 전극(120)의 두께가 50nm 미만일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얇아 전극 단락 등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전극(120)의 두께가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ode 120 has a thickness of 50 nm to 50 μm, and a thickness of 500 nm to 10 μm may be suggested as a more preferable range.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20 is less than 50 nm,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20 is too thin, which may cause defects such as short circuit of the electrode. Convers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20 exceeds 50 μm, it is not economical because it may act as a factor that increases only the manufacturing cost without further effect increase.

압전층(130)은 제1 전극(12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압전층(130)은, 제1 전극(120)과 마찬가지로,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식으로 제1 전극(120)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110) 상에 압전 물질을 직접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압전층(130)은 제1 전극(120)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110) 상에 직접 증착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초박판 유리(110)와 일체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piezoelectric layer 13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20. The piezoelectric layer 130, like 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by directly depositing a piezoelectric material on the ultra-thin glass 1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by sputtering using a deposition mask. . As such, the piezoelectric layer 130 is 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1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by a direct deposition method, and thus may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ultra-thin glass 110.

이러한 압전층(130)은 압전 물질,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결정 압전 물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압전층(130)은 PZT(Lead zirconate titanate), AlN, (Pb, Sm)TiO3, 쿼츠(Quartz), PMN(Pb(MgNb)O3)-PT(PbTiO3),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및 PVDF-TrF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layer 130 is formed of a piezoelectric material, more preferably a single crystal piezoelectric material. Specifically, the piezoelectric layer 130 includes lead zirconate titanate (PZT), AlN, (Pb, Sm) TiO 3 , quartz, PMN (Pb (MgNb) O 3 ) -PT (PbTiO 3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and PVDF-TrFe.

압전층(130)은 500nm ~ 1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50㎛ ~ 500㎛의 두께를 제시할 수 있다. 압전층(130)의 두께가 500nm 미만일 경우에는 그 두께가 너무 얇은 관계로 압전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압전층(130)의 두께가 1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없이 두께만을 증가시켜 플렉서블한 특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iezoelectric layer 130 has a thickness of 500 nm to 1 mm, and a more preferable range may present a thickness of 50 μm to 500 μm. When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0 is less than 500 nm, it may be difficult to properly exhibit piezoelectric performance because the thickness is too thin. Convers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0 exceeds 1 mm,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can act as a factor that inhibits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by increasing only the thickness without further effect.

제2 전극(140)은 압전층(13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전극(140)은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식으로 제1 전극(120) 및 압전층(130)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110) 상에 투명 도전물질을 직접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전극(140)은 초박판 유리(110) 상에 직접 증착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초박판 유리(110)와 일체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40 is form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130. The second electrode 140 is formed by directly depositing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the ultra-thin glass 1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30 are formed by sputtering using a deposition mask. In this way, the second electrode 140 is 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110 by a direct deposition method, and thus may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ultra-thin glass 110.

여기서, 제1 전극(120), 압전층(130) 및 제2 전극(140)을 포함하여 압전 소자(P)를 구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P)는 초박판 유리(11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전 영역에 직접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 소자(P)는, 평면 상으로 볼 때, 플레이트 형상(plate shape)을 가질 수 있다. Here, the piezoelectric element P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electrode 120, the piezoelectric layer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As illustrated in FIG. 3, the piezoelectric element P may be directly deposited on all regions except the edge of the ultra-thin glass 110 to be formed. Accordingly, the piezoelectric element P may have a plate shape when viewed in a plan view.

이러한 제2 전극(140)은 투과율이 우수한 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140)은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은 페이스트(Ag past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IO(Gallium Indium Oxide), GZO(Gallium Zinc Oxide) 및 FTO(Fluorine Tin Oxid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40 is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having excellent transmittance. Specifically, the second electrode 140 is silver nanowire (Ag Nanowire), silver paste (Ag paste),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GIO (Gallium Indium Oxide), GZO (Gallium Zinc) Oxide) and FTO (Fluorine Tin Oxide).

제2 전극(140)은 50nm ~ 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500nm ~ 10㎛의 두께를 제시할 수 있다. 제2 전극(140)의 두께가 50nm 미만일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얇아 전극 단락 등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전극(140)의 두께가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electrode 140 has a thickness of 50 nm to 50 μm, and a thickness of 500 nm to 10 μm may be suggested as a more preferable range.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140 is less than 50 nm,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140 is too thin, which may cause defects such as short circuit of the electrode.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140 exceeds 50 μm, it is not economical because it may act as a factor that increases only the manufacturing cost without further effect increase.

제1 전극 단자(150)는 제1 전극(12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제1 전극(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2 전극 단자(160)는 제2 전극(140)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제2 전극(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first electrode terminal 150 is formed on on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1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0.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60 is formed on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electrode 1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40.

이때, 제1 및 제2 전극 단자(150, 160) 각각은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식으로 제1 전극(120) 및 제2 전극(140) 상에 금속 물질을 직접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 단자(150, 160) 각각은 제1 층 및 제2 층이 차례로 적층된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전극 단자(150, 160)의 제1 층 각각은 니켈(Ni)이 이용될 수 있고, 제2 층 각각은 금(Au) 또는 팔라듐(Pd)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극 단자(150, 160)의 제1 층 각각은 10 ~ 1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2 층 각각은 50 ~ 5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0 and 160 may be formed by directly depositing a metal material on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by sputtering using a deposition mask.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0 and 160 may be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In this case, nickel (Ni) may be used for each of the first layer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0 and 160, and gold (Au) or palladium (Pd) may be used for each of the second layers, I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each of the first layer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0 and 160 may have a thickness of 10 to 100 nm, and each of the second layers may have a thickness of 50 to 500 nm.

절연층(170)은 제1 전극(120), 압전층(130) 및 제2 전극(140) 사이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층(170)은 제2 전극 단자(160)와 중첩된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 전극 단자(160)의 형성시, 압전층(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전극(140)의 타측 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절연층(170)은 제2 전극 단자(150)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연층(170)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증착 방법으로 측면 증착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17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0, the piezoelectric layer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More specifically, the insulating layer 170 is preferably disposed below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60,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0 when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60. This is to stably support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electrode 140. The insulating layer 17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width to that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50. Here, the insulating layer 170 may be formed by performing side deposition using a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deposition method.

절연층(170)은 고투과도를 갖는 절연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절연 특성을 갖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절연층(170)은 SiOx, SiNx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170 is preferably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high transmittance, bu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has insulating properties.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170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SiOx, SiNx, and the like.

이때, 제1 전극(120), 압전층(130) 및 제2 전극(140)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120, the piezoelectric layer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may be formed with the same area.

이와 달리, 제1 전극(120), 압전층(130) 및 제2 전극(140)은 서로 상이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전극(120), 압전층(130) 및 제2 전극(140)이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가질 시, 제1 전극(120)과 제2 전극(140)은 압전층(130)을 사이에 두고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연층(170)은 제1 전극(120) 및 압전층(130)의 측면과 더불어 제2 전극(140)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절연층(170)은 제1 전극(120) 및 압전층(130)의 합산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the first electrode 120, the piezoelectric layer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areas. When the first electrode 120, the piezoelectric layer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have different areas,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sandwich the piezoelectric layer 130 therebetween.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zigzag form. Here, the insulating layer 170 is formed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40 together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3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ing layer 170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30.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Meanwhile,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P)는 초박형 유리(110) 상에 직접 증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압전 소자(P)는 평면 상으로 볼 때, 줄무늬 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압전 소자(P)가 세로 방향으로 설계된 줄무늬 패턴 형상을 갖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가로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설계된 줄무늬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4, the piezoelectric element P is formed by depositing directly on the ultra-thin glass 110.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piezoelectric element P may be formed in a stripe pattern shape. Here, although the piezoelectric element P is shown to have a stripe pattern shape des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exemplary and may have a stripe pattern desig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diagonal direction.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P)는 평면 상으로 볼 때, 크로스 격자형 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압전 소자(P)는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the piezoelectric element P may be formed in a cross lattice pattern when viewed in a plan view. 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element P may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n oval shape.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는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 모두가 초박판 유리 상에 직접 증착에 의해 형성되어, 일체형 구조를 갖는다.In the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all formed by evaporation directly on ultra-thin glass, and thus have an integral structure.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는 초박판 유리 상에 직접 증착된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변위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초박판 유리가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하는 원리로 작동하게 된다.As a result, the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on the principle that the ultra-thin glass vibrates and generates sound by generating displacement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deposited directly on the ultra-thin glass.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압전 소자를 접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초박판 유리 상에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으로 구성되는 압전 소자를 직접 증착하여 일체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초박판 유리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우수한 내구성 확보가 가능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method of bonding a piezoelectric element using an adhesive, but a piezoelectric element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on ultra-thin glass. By directly depositing and forming to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it can be stably bonded to ultra-thin glass to ensure excellent durability.

이에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는 초박판 유리의 적용으로 높은 투과율 및 우수한 플렉서블 특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동 효율이 우수하여 압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적인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apable of securing high transmittance and excellent flexibl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pplication of ultra-thin glass, but also has excellent vibration efficiency to maximize the piezoelectric effect. It has an advantag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6 to 10 are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식으로 초박판 유리(110) 상에 제1 투명 도전물질을 직접 증착하여 제1 전극(120)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6, 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by directly depositing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the ultra-thin glass 110 by sputtering using a deposition mask.

이때, 제1 투명 도전 물질은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은 페이스트(Ag past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IO(Gallium Indium Oxide), GZO(Gallium Zinc Oxide) 및 FTO(Fluorine Tin Oxid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s silver nanowire (Ag Nanowire), silver paste (Ag paste),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GIO (Gallium Indium Oxide), GZO (Gallium Zinc Oxide) And FTO (Fluorine Tin Oxide).

여기서, 초박판 유리(110)는 일면 및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초박판 유리(11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높은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초박판 유리(110)는 고릴라 유리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투명 유리 재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ultra-thin glass 110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not only secure a high transmittance by using the ultra-thin glass 110, but also to exhibit flexible characteristics. Gorilla glass may be used as the ultra-thin glass 110, but this is exemplary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이를 위해, 초박판 유리(110)는 100㎛ 이하의 두께, 보다 구체적으로는 5㎛ ~ 10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로는 20 ~ 40㎛의 두께를 제시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ultra-thin glass 11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00 µm or less, more specifically 5 µm to 100 µm, and the most preferable range may be 20 to 40 µm.

초박판 유리(110)의 두께가 5㎛ 미만일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얇아 강도 및 강성 확보가 어려워 내구성 확보가 어려우며, 초박판 유리(110) 상에서 수행되는 증착 공정시 핸들링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초박판 유리(110)의 두께가 10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두께 설계로 인하여 진동 효율이 저하되며, 플렉서블한 특성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110 is less than 5 μm, the thickness is too thin,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strength and rigidity and thus it is difficult to secure durability, and handling may be difficult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per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110. Convers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110 exceeds 100 μm, vibration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an excessive thickness design, and difficulty in implementing flexible characteristics may follow.

본 단계에서, 제1 전극(120)은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식으로 초박판 유리(110) 상에 투명 도전물질을 직접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전극(120)은 초박판 유리(110) 상에 직접 증착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초박판 유리(110)와 일체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is step, 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by directly depositing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the ultra-thin glass 110 by sputtering using a deposition mask. In this way, 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110 by a direct deposition method, and thus may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ultra-thin glass 110.

제1 전극(120)은 50nm ~ 5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500nm ~ 10㎛의 두께를 제시할 수 있다. 제1 전극(120)의 두께가 50nm 미만일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얇아 전극 단락 등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전극(120)의 두께가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The first electrode 120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50 nm to 50 μm, and a thickness of 500 nm to 10 μm may be suggested as a more preferable range.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20 is less than 50 nm,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20 is too thin, which may cause defects such as short circuit of the electrode. Convers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20 exceeds 50 μm, it is not economical because it may act as a factor that increases only the manufacturing cost without further effect increase.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20)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110) 상에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식으로 압전 물질을 증착하여 압전층(13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piezoelectric material 130 is formed by depositing a piezoelectric material on the ultra-thin glass 1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by a sputtering method using a deposition mask.

이때, 압전 물질로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 AlN, (Pb, Sm)TiO3, 쿼츠(Quartz), PMN(Pb(MgNb)O3)-PT(PbTiO3),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및 PVDF-TrF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iezoelectric materials include lead zirconate titanate (PZT), AlN, (Pb, Sm) TiO 3 , quartz, PMN (Pb (MgNb) O 3 ) -PT (PbTiO 3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PVDF-TrFe.

본 단계에서, 압전층(130)은, 제1 전극(120)과 마찬가지로,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식으로 제1 전극(120)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110) 상에 압전 물질을 직접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압전층(130)은 제1 전극(120)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110) 상에 직접 증착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초박판 유리(110)와 일체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is step, the piezoelectric layer 130, like the first electrode 120, directly deposits the piezoelectric material on the ultrathin glass 1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by sputtering using a deposition mask. Is formed by. In this way, the piezoelectric layer 130 is 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1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20 is formed by a direct deposition method, and thus may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ultra-thin glass 110.

이러한 압전층(130)은 500nm ~ 1m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50㎛ ~ 500㎛의 두께를 제시할 수 있다. 압전층(130)의 두께가 500nm 미만일 경우에는 그 두께가 너무 얇은 관계로 압전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압전층(130)의 두께가 1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없이 두께만을 증가시켜 플렉서블한 특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The piezoelectric layer 130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500 nm to 1 mm, and a more preferable range may be 50 µm to 500 µm. When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0 is less than 500 nm, it may be difficult to properly exhibit piezoelectric performance because the thickness is too thin. Convers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0 exceeds 1 mm,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can act as a factor that inhibits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by increasing only the thickness without further effec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층(130)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110) 상에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식으로 제2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여 제2 전극(140)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8, a second electrode 140 is formed by depositing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a super-thin plate glass 110 on which the piezoelectric layer 130 is formed by sputtering using a deposition mask.

이때, 제2 투명 도전물질은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은 페이스트(Ag past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IO(Gallium Indium Oxide), GZO(Gallium Zinc Oxide) 및 FTO(Fluorine Tin Oxid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s silver nanowire (Ag Nanowire), silver paste (Ag paste),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GIO (Gallium Indium Oxide), GZO (Gallium Zinc Oxide) And FTO (Fluorine Tin Oxide).

본 단계에서, 제2 전극(140)은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식으로 제1 전극(120) 및 압전층(130)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110) 상에 제2 투명 도전물질을 직접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전극(140)은 초박판 유리(110) 상에 직접 증착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초박판 유리(110)와 일체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is step, the second electrode 140 is directly deposited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the ultrathin glass 1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30 are formed by sputtering using a deposition mask. Is formed by. As such, the second electrode 140 is 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110 by a direct deposition method, and thus may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ultra-thin glass 110.

여기서, 제1 전극(120), 압전층(130) 및 제2 전극(140)을 포함하여 압전 소자(P)를 구성한다. 이러한 압전 소자(P)는, 평면 상으로 볼 때, 플레이트 패턴(plate pattern) 형상, 줄무늬 패턴(stripe pattern) 및 크로스 격자형 패턴(cross grid shape pattern)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piezoelectric element P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electrode 120, the piezoelectric layer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piezoelectric element P may have any one of a plate pattern shape, a stripe pattern, and a cross grid shape pattern.

이러한 제2 전극(140)은 50nm ~ 5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500nm ~ 10㎛의 두께를 제시할 수 있다. 제2 전극(140)의 두께가 50nm 미만일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얇아 전극 단락 등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전극(140)의 두께가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The second electrode 140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50 nm to 50 μm, and a more preferred range may present a thickness of 500 nm to 10 μm.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140 is less than 50 nm,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140 is too thin, which may cause defects such as short circuit of the electrode.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140 exceeds 50 μm, it is not economical because it can act as a factor that increases only the manufacturing cost without further effect increase.

다음으로, 제1 전극(120) 및 압전층(130)의 측면과 더불어 제2 전극(140)의 하면과 접촉되는 절연층(170)을 형성한다.Next, an insulating layer 170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40 is formed along wi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30.

본 단계에서, 절연층(170)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증착 방법으로 측면 증착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step, the insulating layer 170 may be formed by performing side deposition using a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deposition method.

절연층(170)은 고투과도를 갖는 절연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절연 특성을 갖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절연층(170)은 SiOx, SiNx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170 is preferably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high transmittance, bu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has insulating properties.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170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SiOx, SiNx, and the lik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20) 및 제2 전극(140) 상에 금속 물질을 증착하여 제1 전극(120) 및 제2 전극(140)에 각각 접속된 제1 전극 단자(150) 및 제2 전극 단자(160)를 형성한다.As illustrated in FIG. 10, a first electrode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by depositing a metal material on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 150)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60 are formed.

본 단계에서, 제1 및 제2 전극 단자(150, 160) 각각은 증착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식으로 제1 전극(120) 및 제2 전극(140) 상에 금속 물질을 직접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step,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0 and 160 is formed by directly depositing a metal material on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by sputtering using a deposition mask. Can be.

이에 따라, 제1 전극 단자(150)는 제1 전극(12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제1 전극(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2 전극 단자(160)는 제2 전극(140)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제2 전극(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150 is formed on on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1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0.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60 is formed on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electrode 1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40.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 단자(150, 160) 각각은 제1 층 및 제2 층이 차례로 적층된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전극 단자(150, 160)의 제1 층 각각은 니켈(Ni)이 이용될 수 있고, 제2 층 각각은 금(Au) 또는 팔라듐(Pd)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극 단자(150, 160)의 제1 층 각각은 10 ~ 1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2 층 각각은 50 ~ 5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0 and 160 may be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In this case, nickel (Ni) may be used for each of the first layer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0 and 160, and gold (Au) or palladium (Pd) may be used for each of the second layers, I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each of the first layer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0 and 160 may have a thickness of 10 to 100 nm, and each of the second layers may have a thickness of 50 to 500 nm.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제조 방법이 종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nished.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제조 방법은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 모두가 초박판 유리 상에 직접 증착에 의해 형성되어, 일체형 구조를 갖는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by direct deposition on ultra-thin glass, and thus have an integral structure.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제조 방법은 초박판 유리 상에 직접 증착된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변위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초박판 유리가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하는 원리로 작동하게 된다.As a result,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on the principle that the ultrathin glass vibrates and generates sound by generating displacement by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deposited directly on the ultrathin glass Is do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압전 소자를 접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초박판 유리 상에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으로 구성되는 압전 소자를 직접 증착하여 일체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초박판 유리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우수한 내구성 확보가 가능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method of bonding a piezoelectric element using an adhesive, but is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on ultra-thin glass. By directly deposit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to be formed so as to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it can be stably bonded to ultra-thin glass to ensure excellent durability.

이에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는 초박판 유리의 적용으로 높은 투과율 및 우수한 플렉서블 특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동 효율이 우수하여 압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적인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secure high transmittance and excellent flexible characteristics by applying ultra-thin glass, but also have excellent vibration efficiency to maximize the piezoelectric effect. Has the structural advantage to be ab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inly described, bu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at the level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said to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judged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100 :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110 : 초박판 유리
120 : 제1 전극 130 : 압전층
140 : 제2 전극 150 : 제1 전극 단자
160 : 제2 전극 단자 170 : 절연층
P : 압전 소자
100: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110: ultra-thin glass
120: first electrode 130: piezoelectric layer
140: second electrode 150: first electrode terminal
160: second electrode terminal 170: insulating layer
P: Piezoelectric element

Claims (16)

100㎛ 이하의 두께를 갖는 초박판 유리;
상기 초박판 유리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압전층; 및
상기 압전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압전 소자를 구성하며,
상기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는 상기 초박판 유리 상에 직접 증착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초박판 유리에 직접 접촉하여 결합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것에 의해, 내구성을 개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Ultra thin glass having a thickness of 100 µm or less;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ultrathin glass;
A piezoelectric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A piezoelectric element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onfigured,
The piezoelectric element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by vapor deposition directly on the ultra-thin glass,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by having an integral structure that is directly contacted and bonded to the ultra-thin glass.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박판 유리는
5㎛ ~ 10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According to claim 1,
The ultra-thin glass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hickness of 5㎛ ~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은 페이스트(Ag past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IO(Gallium Indium Oxide), GZO(Gallium Zinc Oxide) 및 FTO(Fluorine Tin Oxid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mong Ag Nanowire, Ag paste,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Gallium Indium Oxide (GIO), Gallium Zinc Oxide (GZO) and Fluorine Tin Oxide (FTO)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50nm ~ 5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hickness of 50nm ~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은
PZT(Lead zirconate titanate), AlN, (Pb, Sm)TiO3, 쿼츠(Quartz), PMN(Pb(MgNb)O3)-PT(PbTiO3),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및 PVDF-TrFe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압전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According to claim 1,
The piezoelectric layer
1 selected from lead zirconate titanate (PZT), AlN, (Pb, Sm) TiO 3 , quartz, PMN (Pb (MgNb) O 3 ) -PT (PbTiO 3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and PVDF-TrFe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more than one kind of piezoelectr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은
500nm ~ 1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According to claim 1,
The piezoelectric layer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hickness of 500nm ~ 1m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에 접속된 제1 전극 단자;
상기 제2 전극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 단자; 및
상기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electrode terminal formed on on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and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electrod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furth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압전층을 사이에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은 제1 전극 및 압전층의 측면과, 상기 제2 전극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in a zigzag form with a piezoelectric layer therebetween,
The insulating layer is a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as to contact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압전층의 합산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9,
The insulating layer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combined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iezoelectric lay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는
평면 상으로 볼 때, 플레이트 패턴, 줄무늬 패턴 및 크로스 격자형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According to claim 1,
The piezoelectric element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having a shape of any one of a plate pattern, a stripe pattern, and a cross lattice pattern when viewed in a plan view.
100㎛ 이하의 두께를 갖는 초박판 유리 상에 제1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여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 상에 압전 물질을 증착하여 압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압전층이 형성된 초박판 유리 상에 제2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여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압전 소자를 구성하며,
상기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는 상기 초박판 유리 상에 직접 증착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초박판 유리에 직접 접촉하여 결합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것에 의해, 내구성을 개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제조 방법.
Forming a first electrode by depositing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ultrathin glass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or less;
Forming a piezoelectric layer by depositing a piezoelectric material on the ultra-thin plate glass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is formed; And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a second electrode by depositing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the ultra-thin plate glass on which the piezoelectric layer is formed;
A piezoelectric element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onfigured,
The piezoelectric element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by vapor deposition directly on the ultra-thin glass,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by having an integral structure that is directly contacted and bonded to the ultra-thin gla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투명 도전물질 각각은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은 페이스트(Ag past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IO(Gallium Indium Oxide), GZO(Gallium Zinc Oxide) 및 FTO(Fluorine Tin Oxid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Among Ag Nanowire, Ag paste,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Gallium Indium Oxide (GIO), Gallium Zinc Oxide (GZO) and Fluorine Tin Oxide (FTO)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은
PZT(Lead zirconate titanate), AlN, (Pb, Sm)TiO3, 쿼츠(Quartz), PMN(Pb(MgNb)O3)-PT(PbTiO3),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및 PVDF-TrFe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압전 물질을 스퍼터링 증착 방식으로 증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piezoelectric layer
1 selected from lead zirconate titanate (PZT), AlN, (Pb, Sm) TiO 3 , quartz, PMN (Pb (MgNb) O 3 ) -PT (PbTiO 3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and PVDF-TrF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glass vibrating acoustic speaker, comprising depositing at least one piezoelectric material by sputter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형성 단계 이후,
상기 제1 전극 및 압전층의 측면과, 상기 제2 전극의 하면과 접촉되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에 금속 물질을 증착하여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각각 접속된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리 진동 음향 스피커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fter the second electrode forming step,
Forming an insulating layer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iezoelectric layer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nd
Depositing a metal material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form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KR1020190086872A 2019-07-18 2019-07-18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110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72A KR102110416B1 (en) 2019-07-18 2019-07-18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72A KR102110416B1 (en) 2019-07-18 2019-07-18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416B1 true KR102110416B1 (en) 2020-05-13

Family

ID=7072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872A KR102110416B1 (en) 2019-07-18 2019-07-18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41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98A (en) * 1990-04-18 1992-01-07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Transparent speaker
JP5898384B2 (en) * 2014-02-24 2016-04-06 京セラ株式会社 Sound generator, sound generator, portab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98A (en) * 1990-04-18 1992-01-07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Transparent speaker
JP5898384B2 (en) * 2014-02-24 2016-04-06 京セラ株式会社 Sound generator, sound generator, portab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7332B2 (en) Piezoelectric acoustic transduc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31575B1 (en) Piezoelectric element micro speaker using MEM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11405455B (en) Sound product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0134188B (en) Self-sounding display device
KR100931578B1 (en) Piezoelectric element microphone, speaker, microphone-speaker integrate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10297758A1 (en) Display module and mobile terminal
CN110187538B (en) Display device
CN104272482B (en) Transparent substrates including the insulation glassing and substrate of the substrate or the use of glassing including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JP6908322B2 (en) Piezoelectric element
CN109167585B (en)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ilter
US11437560B2 (en) Multilayer piezoelectric element, piezoelectric vibr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2110416B1 (en) Flexible glass vibration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4720784A (en) Vibration sens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3945292B2 (en) Diaphragm type transducer
CN110504943B (en) Interdigital transducer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00596A (en) piezoelectric device and piezoelectric speaker using the same
JP6908324B2 (en) Piezoelectric element
US9252711B2 (en)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CN115332435A (en) PMUT device containing bipolar piezoelectric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22048382A1 (en) Mems structure
CN212324361U (en) MEMS structure
CN114222231A (en) Bimorph piezoelectric type MEMS microphone based on clamped beam structure
CN110213704B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123650B1 (en) Directional transparent acoustic spea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6466106B1 (en) Piezoelectric filter device with a ground electrode that is not center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