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341B1 - 파력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파력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341B1
KR102110341B1 KR1020190017238A KR20190017238A KR102110341B1 KR 102110341 B1 KR102110341 B1 KR 102110341B1 KR 1020190017238 A KR1020190017238 A KR 1020190017238A KR 20190017238 A KR20190017238 A KR 20190017238A KR 102110341 B1 KR102110341 B1 KR 102110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rotating
housing
water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진
정신택
Original Assignee
(주)해안해양기술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안해양기술,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해안해양기술
Priority to KR102019001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2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to produce a flow of air, e.g. to drive an air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02E10/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파력 발전 장치가 개시된다. 파력 발전 장치는 일부분이 물에 잠기는 부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고, 일부분이 물에 잠기도록 상기 부표를 관통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회전날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회전날개; 제1 회전날개와 제2 회전날개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제2 회전날개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 및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력 발전 장치{WAVE POWER GENERATING APPATUS}
본 발명은 파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표 형식이고, 파도 주기에 따라 공진을 증폭시켜 발전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라 대기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에 직면하고 있고, 발전 설비의 운전에 따른 비용 증가로 인하여 화석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의 새로운 에너지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태양광, 연료전지, 풍력, 조력 등 다양한 대체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설비 등이 실제로 설치되어 운전되고 있다.
태양광이나 풍력 등의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설비는 종래의 화석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설비에 비하여, 오염 물질 배출이 전혀 없어 친환경적이지만, 설비의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고, 태양광이 지속되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특정지역에만 제한적으로 설치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친환경적인 대체 에너지의 다른 예로서, 바다의 해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조력 발전 장치 및 파도를 이용한 파력 발전 장치를 들 수 있다.
특히, 파력 발전 장치는 파도의 유동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고, 이러한 발전기의 회전 운동을 통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설비로서, 파도 에너지의 출력 변동을 감안한 대규모 발전플랜트를 해상에 시공하는 문제를 개선하는 등 파력자원이 풍부한 해양 국가 등에서 파력 에너지의 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주변 환경, 기후 등에 따라 파도의 주기가 변동이 심하며, 파력 발전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따라 파력 발전량 또한 변동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파력 발전 기술들 중 파력을 통한 회전력을 균일하게 하려는 기술 등이 공개된 바 있지만, 파도의 주기에 따른 공진을 이용하여 파력 발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1457호(공개일 2013.04.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기의 흐름 변화와 물의 속도 변화를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하고, 공진을 통한 진폭을 통해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파력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는 일부분이 물에 잠기는 부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고, 일부분이 물에 잠기도록 상기 부표를 관통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회전날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회전날개; 제1 회전날개와 제2 회전날개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제2 회전날개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 및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의 대기압을 측정하는 제2 압력센서; 및 상기 제1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과 상기 제2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 흐름 변화를 연산하고, 상기 공기 흐름 변화에 따라 상기 스커트가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물의 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물의 속도 변화에 따라 상기 스커트가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의 대기압을 측정하는 제2 압력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물의 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제1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과 상기 제2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 흐름 변화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기 공기 흐름 변화와 상기 물의 속도 변화를 비교하여 보다 큰 변화에 따라 상기 스커트가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스커트의 외주면은 상기 부표의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되어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스커트는 상기 부표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파도에 의한 공기의 흐름과 물의 흐름을 통해 발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파도의 주기에 따라 공진을 증폭시켜 파력 발전의 발전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흐름 변화에 따라 스커트가 연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의 속도 변화에 따라 스커트가 연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흐름 변화와 물의 속도 변화를 비교하여 스커트가 연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흐름 변화에 따라 스커트가 연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의 속도 변화에 따라 스커트가 연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흐름 변화와 물의 속도 변화를 비교하여 스커트가 연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1000)는 부표(110), 하우징(120), 제1 회전날개(130), 제2 회전날개(140), 회전축(150), 발전기(160), 스커트(170), 제1 압력센서(180), 제2 압력센서(190), 제어부(200), 가속도 센서(210) 및 배터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파력 발전 장치(1000)는 등부표 타입일 수 있다.
부표(110)는 일부분이 물에 잠기며, 일 예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부표(110)의 형상은 원기둥 외에 원뿔 형상, 오뚝이 형상 등이 될 수 있으나 부표(110)의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부표(110)는 외력에 의해서 쉽게 넘어지지 않고 중심을 잡을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든지 가능하고, 파도에 의해서 쉽게 부서지지 않는 재료면 어떠한 재료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일 예로 부표(110)는 내부가 공기가 찬 형태로 이루어질 있으나, 부표(110)의 재질이 스티로폼과 같이 부력을 받아 물에 뜰 수 있는 재질이라면 내부가 찬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하우징(12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고, 일부분이 물에 잠기도록 부표(110)를 관통할 수 있다. 하우징(120)의 형상은 변형이 가능하며,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을 통해 물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파도에 의하여 하우징(120)이 바닷물에 잠기는 깊이가 달라지며, 이러한 깊이 차에 의한 물의 흐름 변화를 통해 파력 발전이 가능하다.
제1 회전날개(130)는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제2 회전날개(140)는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날개(130)는 하우징(120) 내부 공간을 따라 물이 상승 또는 하강시 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120)의 상단부 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내부 공간에서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가 달라지고 이러한 부피 변화에 따른 공기 흐름 변화에 의하여 제1 회전날개(130)는 회전이 가능하다.
제2 회전날개(140)는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을 따라 물이 상승 또는 하강시 물과 접촉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도록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물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하여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을 따라 물의 이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물의 이동에 따른 흐름에 따라 제2 회전날개(140)는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공기 흐름 변화와 물의 흐름에 따라 각각 제1 회전날개(130)과 제2 회전날개(140)가 회전하고 하나의 날개만을 사용할 때에 비하여 회전력이 증가되므로 발전량 또한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회전축(150)은 제1 회전날개(130)와 제2 회전날개(140)를 각각 관통하여, 제1 회전날개(130)와 제2 회전날개(14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발전기(160)는 회전축(140)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고, 회전동력에 의해서 발전기(160)의 모터를 돌려 발전기(160)에 전기가 생성되게 된다. 일 예로 발전기(160)는 외부에서 오는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통상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발전기(160)를 통해 생성된 전기는 배터리(220)에 충전되거나, 파력 발전 장치(1000)에 설치된 램프(미도시)에 공급될 수 있다.
스커트(170)는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의 A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170)의 외주면이 부표(110)의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되어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스커트(170)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1의 B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170)는 부표(1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커트(170)는 파도의 주기에 따른 공진을 증폭시키는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이다. 스커트(17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진 증폭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력 발전 장치(1000)가 파도에 의한 상승 또는 하강의 폭을 증가되기 때문에 발전량이 증가될 수 있다.
스커트(170)가 연장되는 길이에 따라 공진 증폭의 정도가 변경될 수 있고, 스커트(170)가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파도 조건(파도의 주기가 다른 경우 등)에도 공진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 내부 공간의 공기 흐름 변화에 따라 스커트(170)가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제1 압력센서(180)는 하우징(12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하우징(120) 내부 공간의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고, 제2 압력센서(190)는 하우징(120)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하우징(120) 외부의 대기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압력센서(180)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과 제2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180)의 차이를 이용하여 하우징(120) 내부 공간의 공기 흐름 변화를 연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압력센서(180)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에 따른 공기의 흐름에 기초하여, 제2 압력센서(190)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에 대응하는 공기의 흐름을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연산된 공기 흐름 변화에 따라 스커트(170)가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흐름의 변화가 클수록 스커트(170)가 연장되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 내부 공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물의 속도 변화에 따라 스커트(170)가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가속도 센서(210)는 하우징(120) 내부 공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물의 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파도의 주기에 따라 파력 발전 장치(100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가속도 센서(210)는 하우징(120) 내부 공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물의 속도 변화 예측이 가능하다.
이러한 물의 속도 변화에 따라 제어부(200)는 스커트(170)가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물의 속도 변화가 클수록 스커트(170)가 연장되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스커트(170)가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공기 흐름 변화와 상기 물의 속도 변화 중 보다 큰 변화를 갖는 것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제1 압력센서(180), 제2 압력센서(190), 가속도 센서(210)를 모두 이용하여 스커트(170)가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공기 흐름 변화와 상기 물의 속도 변화를 이용하여 스커트(170)가 연장되는 길이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200)는 제1 압력센서(180)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과 제2 압력센서(190)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 흐름 변화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기 공기 흐름 변화와 상기 물의 속도 변화를 비교하여 보다 큰 변화에 따라 스커트(170)가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압력센서(180)와 제2 압력센서(190)를 이용하여 연산하는 공기 흐름 변화와 가속도 센서(21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물의 속도 변화는 서로 오차가 있을 수 있다. 파도의 영향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러한 공기 흐름 변화와 물의 속도 변화는 보다 큰 변화값이 실제 파도에 의하여 발생하는 변화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은 보다 큰 변화를 이용하여 스커트(170)가 부표(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파력 발전 장치 110: 부표
120: 하우징 130: 제1 회전날개
140: 제2 회전날개 150: 회전축
160: 발전기 170: 스커트
180: 제1 압력센서 190: 제2 압력센서
200: 제어부 210: 가속도 센서
220: 배터리

Claims (6)

  1. 삭제
  2. 일부분이 물에 잠기는 부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고, 일부분이 물에 잠기도록 상기 부표를 관통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회전날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회전날개;
    제1 회전날개와 제2 회전날개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제2 회전날개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커트;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의 대기압을 측정하는 제2 압력센서; 및
    상기 제1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과 상기 제2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 흐름 변화를 연산하고,
    상기 공기 흐름 변화에 따라 상기 스커트가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력 발전 장치.
  3. 일부분이 물에 잠기는 부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고, 일부분이 물에 잠기도록 상기 부표를 관통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회전날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회전날개;
    제1 회전날개와 제2 회전날개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제2 회전날개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커트;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물의 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물의 속도 변화에 따라 상기 스커트가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력 발전 장치.
  4. 일부분이 물에 잠기는 부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고, 일부분이 물에 잠기도록 상기 부표를 관통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회전날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회전날개;
    제1 회전날개와 제2 회전날개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제2 회전날개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커트;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의 대기압을 측정하는 제2 압력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물의 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제1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과 상기 제2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 흐름 변화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기 공기 흐름 변화와 상기 물의 속도 변화를 비교하여 보다 큰 변화에 따라 상기 스커트가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력 발전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외주면은 상기 부표의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되어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된, 파력 발전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상기 부표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부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된, 파력 발전 장치.
KR1020190017238A 2019-02-14 2019-02-14 파력 발전 장치 KR102110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238A KR102110341B1 (ko) 2019-02-14 2019-02-14 파력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238A KR102110341B1 (ko) 2019-02-14 2019-02-14 파력 발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341B1 true KR102110341B1 (ko) 2020-05-13

Family

ID=7072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238A KR102110341B1 (ko) 2019-02-14 2019-02-14 파력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3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0893A (en) * 1994-04-08 1998-06-23 Youlton; Rodney Graham Wave energy device
US20090041575A1 (en) * 2005-03-02 2009-02-12 Morch Paul K Driving Apparatus for a Wave Power Device
KR20130041457A (ko) 2011-10-17 2013-04-25 석승호 부표의 에너지 축적을 이용한 파력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0893A (en) * 1994-04-08 1998-06-23 Youlton; Rodney Graham Wave energy device
US20090041575A1 (en) * 2005-03-02 2009-02-12 Morch Paul K Driving Apparatus for a Wave Power Device
KR20130041457A (ko) 2011-10-17 2013-04-25 석승호 부표의 에너지 축적을 이용한 파력 발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kao et al. Air turbines for wave energy conversion
US20160169208A1 (en) Air-cushioned small hydraulic power generating device
US20090102199A1 (en) Wave Energy Generator
KR101504866B1 (ko) 파력 발전 장치
Satriawan et al. Unlimited energy source: a review of ocean wave energy utilization and its impact on the environment
Galloway Performance quantification of tidal turbines subjected to dynamic loading
KR102110341B1 (ko) 파력 발전 장치
Alam et al. A low cut-in speed marine current turbine
Shahsavarifard et al. Performance gain of a horizontal axis hydrokinetic turbine using shroud
Zuan et al. A study of float wave energy converter (FWEC) model
KR102087997B1 (ko) 부유식 발전장치
KR102101833B1 (ko) 조류 또는 해류와 수압의 차이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KR101999063B1 (ko) 부유식 발전장치
Ermakov et al. Analytical study of pre-stall hydrofoil experimental data for a cyclorotor-based wave energy converter
Oh et al. Inlet geometry effect of wave energy conversion system
KR102645867B1 (ko) 해저 에너지 저장 시스템
Pattanaik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ower module during demonstration of wave-powered navigational buoy
Suyanto et al. Experimental Study of the Influence Wave Period on the Performance Darrieus Turbine with Modification of the Blade Angle
US11976623B2 (en) Energy converting apparatus, energy converting system including s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Narayan et al. Experimental studies on a pendulor wave energy extractor in a wave channel
Saha et al. Investigation of wave characteristics with rotor type water wave generator
Park et al. Experimental Test of 3kW Cylindrical Wave Energy System with Horizontal Rotation
KR102039312B1 (ko)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ubo et al. Development of blade for floating type current turbine system
Tutar et al. Experimental study on performance assessment of Savonius rotor type wave energy converter in an experimental wave flu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