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719B1 - Method for calculating golf play difficult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alculating golf play difficult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719B1
KR102109719B1 KR1020180144279A KR20180144279A KR102109719B1 KR 102109719 B1 KR102109719 B1 KR 102109719B1 KR 1020180144279 A KR1020180144279 A KR 1020180144279A KR 20180144279 A KR20180144279 A KR 20180144279A KR 102109719 B1 KR102109719 B1 KR 102109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iculty
shot
course
hole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8363A (en
Inventor
박주연
이광준
최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Publication of KR20190058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7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5Golf club selection aids informing player of his average or expected shot distance for each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09B19/0038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은 골프 시뮬레이터(GOLF SIMULATOR)에 등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스트로크(STROKE)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체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당 득실 정보를 기반으로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verage stroke information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registered in a GOLF SIMULATOR; Calculating valid gain information of the entire players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 golf play difficulty level based on the valid gain information.

Description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FOR CALCULATING GOLF PLAY DIFFICULT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METHOD FOR CALCULATING GOLF PLAY DIFFICULT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을 이용하여 코스, 홀, 샷 각각에 대한 난이도를 산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calculating the difficulty of golf play, and in particular, to a technique for calculating the difficulty for each course, hole, and shot using the valid gains and losses of all player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스크린 골프와 같이 가상의 환경에서 골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골프 시뮬레이터의 경우, 여러 개의 코스들을 등록해두고 플레이어의 실력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스 난이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해당 코스를 플레이 한 플레이어들의 경기 기록을 이용하는 것으로, 많은 플레이어들의 경기기록이 좋지 않으면 어려운 코스라고 판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golf simulator that can enjoy a golf game in a virtual environment such as screen golf, several courses can be register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player's ability. In general,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ourse difficulty is to use the game records of players who have played the course, and it can be judged that it is a difficult course if many players have poor game records.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된 난이도는 평균적인 수치일 뿐, 골프 게임 내의 다양한 상황과 환경을 반영한 난이도라고 볼 수 없다. 또한, 플레이어 별로 플레이 유형의 강점과 약점이 존재하므로 평균적인 수치로 산출된 난이도가 모든 플레이어들에게 적합한 난이도라고 판단하기도 어렵다.However, the difficulty calculated in this way is only an average value and cannot be regarded as a difficulty reflecting various situations and environments in a golf game. In addition, since each player ha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lay type, it is difficult to judge that the difficulty calculated by the average number is a difficulty suitable for all players.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7-0079809호, 2017년 7월 10일 공개(명칭: 스크린골프 장치 및 스크린골프 시스템)Published Korean Patent No. 10-2017-0079809, published on July 10, 2017 (name: Screen Golf Device and Screen Golf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을 이용하여 산출된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ed using players' valid and profitable result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적인 수치들을 기반으로 코스, 홀, 샷 각각에 대해 보다 신뢰도 높은 난이도를 부여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re reliable difficulty for each course, hole, and shot based on independent value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어가 자신에게 적합한 유형의 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플레이어의 유형을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결정된 골프 플레이 난이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golf play difficulty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a criterion for classifying the type of player so that the player can select a course of the type suitable for hi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은 골프 시뮬레이터(GOLF SIMULATOR)에 등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스트로크(STROKE)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체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당 득실 정보를 기반으로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generating average stroke information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registered in a GOLF SIMULATOR; Calculating valid gain information of the entire players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 golf play difficulty level based on the valid gain information.

이 때,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코스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코스 난이도를 산출하고, 홀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홀 난이도를 산출하고, 샷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샷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ifficulty of golf play, the course difficulty i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for each course, the hole difficulty i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for each hole, and the shot difficulty i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for each shot. have.

이 때, 골프 플레이 난이도는 상기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업데이트 가능한 상대적 난이도에 상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olf play difficulty may correspond to a relative difficulty that can be updated as the play information of the entire players is updated.

이 때, 코스 난이도는 해당 코스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코스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되고, 상기 홀 난이도는 해당 홀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홀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되고, 상기 샷 난이도는 해당 샷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샷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rse difficul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section of the course difficulty section in which the valid gain of the corresponding cours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course difficulty level, and the hole difficulty level is determined in which section of the hole difficulty section in which the valid gain of the corresponding hol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ction It is determined correspondingly, and the shot difficul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of the predetermined shot difficulty periods in which a valid gain of the sho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hot difficulty period.

이 때,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은 상기 골프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코스 난이도에 상응하는 코스 핸디캡 순위, 상기 홀 난이도에 상응하는 홀 핸디캡 순위 및 상기 샷 난이도에 상응하는 샷 핸디캡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cours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course difficulty, the hol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hole difficulty, and the shot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shot difficulty based on the golf simulator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이 때, 코스 핸디캡 순위는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코스들 중 코스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되고, 상기 홀 핸디캡 순위는 코스를 구성하는 9홀 또는 18홀 중 홀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되고, 상기 샷 핸디캡 순위는 상기 전체 코스들 중 샷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rse handicap ranking is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course validity among the entire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and the hole handicap ranking is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hole validity among the 9 holes or 18 holes constituting the course. In addition, the shot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shot validity among the entire courses.

이 때, 샷 난이도는 상기 골프 시뮬레이터에 의한 추천 클럽과 지형 조건을 더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t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recommended club and terrain conditions by the golf simulator.

이 때,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코스 별 타당 득실 및 상기 홀 별 타당 득실을 각각 샷의 종류 별로 분류한 결과를 기반으로 샷의 종류 별 코스 난이도 및 샷의 종류 별 홀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golf play difficulty is to calculate the cours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and the hol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based on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valid gain for each course and the valid gain for each hole for each type of shot. You can.

이 때, 타당 득실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공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1 평균 스트로크 및 샷을 소모한 이후에 이동된 공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2 평균 스트로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당 득실 정보는 상기 제1 평균 스트로크에서 소모된 샷과 상기 제2 평균 스트로크를 뺀 값에 상응하는 매 샷 별 타당 득실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calculating valid gain information obtains the first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ball position and the second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d ball position after consuming the shot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And the valid gain information may include a valid gain for each shot corresponding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average stroke and the shot consumed from the first average stroke.

이 때, 평균 스트로크 정보는 홀 컵까지 남은 직선거리, 샷의 종류 및 지형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a categor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straight distance remaining to the hole cup, a type of shot, and a type of terrai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터는,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스트로크(STROKE)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체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타당 득실 정보를 기반으로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 및 상기 타당 득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olf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verage stroke (STROKE) information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calculates valid gain information of the entire players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A processor for calculating a golf play difficulty based on the valid gain information;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and the valid gain information.

이 때, 프로세서는 코스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코스 난이도를 산출하고, 홀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홀 난이도를 산출하고, 샷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샷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may calculate a course difficulty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for each course, calculate a hole difficulty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for each hole, and calculate a shot difficulty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for each shot.

이 때, 골프 플레이 난이도는 상기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업데이트 가능한 상대적 난이도에 상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olf play difficulty may correspond to a relative difficulty that can be updated as the play information of the entire players is updated.

이 때, 코스 난이도는 해당 코스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코스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되고, 상기 홀 난이도는 해당 홀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홀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되고, 상기 샷 난이도는 해당 샷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샷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rse difficul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section of the course difficulty section in which the valid gain of the corresponding cours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course difficulty level, and the hole difficulty level is determined in which section of the hole difficulty section in which the valid gain of the corresponding hol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ction It is determined correspondingly, and the shot difficul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of the predetermined shot difficulty periods in which a valid gain of the sho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hot difficulty period.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골프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코스 난이도에 상응하는 코스 핸디캡 순위, 상기 홀 난이도에 상응하는 홀 핸디캡 순위 및 상기 샷 난이도에 상응하는 샷 핸디캡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may display at least one of a cours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course difficulty, a hol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hole difficulty, and a shot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shot difficulty based on the golf simulator.

이 때, 코스 핸디캡 순위는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코스들 중 코스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되고, 상기 홀 핸디캡 순위는 코스를 구성하는 9홀 또는 18홀 중 홀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되고, 상기 샷 핸디캡 순위는 상기 전체 코스들 중 샷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rse handicap ranking is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course validity among the entire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and the hole handicap ranking is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hole validity among the 9 holes or 18 holes constituting the course. In addition, the shot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shot validity among the entire courses.

이 때, 샷 난이도는 상기 골프 시뮬레이터에 의한 추천 클럽과 지형 조건을 더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t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recommended club and terrain conditions by the golf simulator.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코스 별 타당 득실 및 상기 홀 별 타당 득실을 각각 샷의 종류 별로 분류한 결과를 기반으로 샷의 종류 별 코스 난이도 및 샷의 종류 별 홀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may calculate a cours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and a hol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based on a result of classifying the valid gain for each course and the valid gain for each hole for each type of shot.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공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1 평균 스트로크 및 샷을 소모한 이후에 이동된 공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2 평균 스트로크를 획득하고, 상기 타당 득실 정보는 상기 제1 평균 스트로크에서 소모된 샷과 상기 제2 평균 스트로크를 뺀 값에 상응하는 매 샷 별 타당 득실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acquires the first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ball position and the second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d ball position after consuming the shot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and the valid gain information May include a valid gain for each shot corresponding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average stroke and the shot consumed from the first average stroke.

이 때, 평균 스트로크 정보는 홀 컵까지 남은 직선거리, 샷의 종류 및 지형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a categor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straight distance remaining to the hole cup, a type of shot, and a type of terrain.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을 이용하여 산출된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ed by using players' validity and loss.

또한, 본 발명은 독립적인 수치들을 기반으로 코스, 홀, 샷 각각에 대해 보다 신뢰도 높은 난이도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ive a more reliable difficulty for each course, hole, and shot based on independent values.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어가 자신에게 적합한 유형의 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플레이어의 유형을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결정된 골프 플레이 난이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golf play difficulty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a criterion for classifying the type of the player so that the player can select the type of course suitable for the p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스 난이도 구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 난이도 구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중 홀 핸디캡 순위를 산출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샷 난이도를 산출하기 위한 지형 조건 별 점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샷 난이도 구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중 샷 핸디캡 순위를 산출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코스 정보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홀 난이도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샷 난이도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타당 득실을 산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operation flowchart showing 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urse difficulty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ole difficulty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operation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hole handicap rank among the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ore for each terrain condition for calculating the shot difficul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hot difficulty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operation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shot handicap rank among the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urse information output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hole difficulty output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7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shot difficulty output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olf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for calculating a valid g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f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ere, repeated descriptions, well-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a more clear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1 is an operation flowchart showing 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은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한다(S110).Referring to FIG. 1, a method for calculating a golf play difficul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verage stroke information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registered in a golf simulator (S110).

이 때, 골프 시뮬레이터는 플레이어가 선택한 코스에 상응하게 가상의 골프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즉, 플레이어로 등록한 사용자가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골프 코스를 선택하여 골프 게임을 즐길 수 있다.At this time, the golf simulator may correspond to a device that provides a virtual golf game corresponding to a course selected by the player. That is, a user registered as a player can select a golf course registered in a golf simulator and enjoy a golf game.

이 때, 골프 시뮬레이터는 플레이어가 18홀 또는 9홀에 상응하는 라운드를 완료할 때마다 플레이어 별 플레이 정보를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 기록은 코스 별 기록, 홀 별 기록, 샷 별 기록, 플레이어 개인의 전체 플레이에 대한 기록 등 플레이어가 골프 게임을 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olf simulator may record and store play information for each player whenever the player completes a round corresponding to 18 holes or 9 holes. For example, the play record may store information about various situations that occur while the player plays a golf game, such as a record for each course, a record for each hole, a record for each shot, and a record for each player's entire play.

이 때, 평균 스트로크 정보는 홀 컵까지 남은 직선거리, 샷의 종류 및 지형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a categor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straight distance remaining to the hole cup, a type of shot, and a type of terrain.

예를 들어, 전체 플레이어들을 대상으로 공의 위치에서 홀 컵까지 남은 직선거리가 100m일 경우의 샷에 대한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하여 100m에 대한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for 100m may be generated by synthesizing stroke records for shots when the straight distance remaining from the ball's position to the hole cup is 100m for all players.

다른 예를 들어, 전체 플레이어들을 대상으로 티 샷일 경우의 샷에 대한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하여 티 샷에 대한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average stroke information for a tee shot may be generated by synthesizing stroke records for a shot in the case of a tee shot for all players.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체 플레이어들을 대상으로 페어웨이(Fairway)이면서 홀 컵까지 남은 직선거리가 150m일 경우의 샷에 대한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하여 페어웨이 지형에 대한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for the fairway terrain may be generated by synthesizing the stroke records for shots when the distance to the hole cup is 150 m, which is a fairway for all players.

이 때, 샷의 종류는 티 샷(off the tee), 접근 샷(approach the green), 숏 게임(around the green) 및 퍼팅(putt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ype of sho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e shot (off the tee), an approach shot (approach the green), a short game (around the green), and putting (putting).

이 때, 티 샷은 파 3 홀의 경우를 제외하고 홀의 첫 번째 샷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e shot may mean the first shot of the hole, except for the par 3 hole.

이 때, 접근 샷은 파 3 홀의 첫 번째 샷과 파 3 이상인 홀의 두 번째부터의 샷 중 홀 컵과의 직선 거리가 30m 이상인 경우의 샷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pproach shot may refer to a shot in a case in which a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hole cup and the hole cup is 30 m or more among the first shot of the par 3 hole and the second shot of the par 3 or more hole.

이 때, 숏 게임은 파 3 홀의 첫 번째 샷과 파 3 이상인 홀의 두 번째부터의 샷 중 홀 컵과의 직선 거리가 30m 이하인 경우의 샷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ort game may refer to a shot in a case where a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hole cup and the hole cup is 30 m or less among the first shot of the par 3 hole and the second shot of the hole having the par 3 or higher.

이 때, 퍼팅은 공의 위치가 그린일 경우의 샷을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putting may mean a shot when the position of the ball is green.

따라서, 평균 스트로크 정보는 전체 플레이어들을 대상으로 티 샷일 경우의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한 정보, 접근 샷일 경우의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한 정보, 숏 게임일 경우의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한 정보, 퍼팅일 경우의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is the total information of the strokes in the case of a tee shot,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in the strokes in the case of an approach shot, the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short game, and the stroke in the case of putting. Records may include aggregate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은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 정보를 산출한다(S120).In addition, the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valid gain information of all players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S120).

이 때,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곡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1 평균 스트로크 및 샷을 소모한 이후에 이동된 공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2 평균 스트로크를 획득할 수 있다. At this time,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the first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ong position and the second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d ball position after consuming the shot may be obtained.

이 때, 타당 득실 정보는 제1 평균 스트로크에서 소모된 샷과 제2 평균 스트로크를 뺀 값에 상응하는 매 샷 별 타당 득실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alid gain information may include a valid gain for each shot corresponding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average stroke and the shot consumed from the first average stroke.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여 홀 컵까지 남은 거리를 기반으로 플레이어의 타당 득실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9, a process of calculating a player's valid gain based on the distance remaining to the hole cup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티 샷에 해당하는 첫 번째 샷(1910)은 홀 컵으로부터 직선 거리가 440m이고,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제1 평균 스트로크가 4.62라고 가정할 수 있다. 즉, 제1 평균 스트로크는 해당 코스, 해당 홀과 관계없이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 중에서 남은 거리가 440m일 때의 스트로크 점수로 집계할 수 있다. First, it can be assumed that the first shot 1910 corresponding to the tee shot has a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hole cup of 440 m, and the first average stroke obtained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is 4.62. That is, the first average stroke may be counted as a stroke scor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is 440m among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regardless of the corresponding course and corresponding hole.

이 후, 플레이어가 첫 번째 샷(1910)을 소모하여 이동된 공의 위치가 홀 컵으로부터 직선거리 220m인 지점이고,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 중에서 남은 거리가 220m일 때의 스트로크 점수로 집계된 제2 평균 스트로크가 3.35라고 가정한다면, 첫 번째 샷(1910)의 타당 득실은 4.62-3.35-1=0.27에 상응하게 산출될 수 있다. 즉, 플레이어는 첫 번째 샷(1910)을 통해 +0.27만큼의 스트로크 점수를 얻은 상황일 수 있다.Thereafter, the position where the ball moved by the player consuming the first shot 1910 is the straight distance 220m from the hole cup, and the second counted as the stroke scor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is 220m among the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Assuming that the average stroke is 3.35, the valid gain and loss of the first shot 1910 can be calculated corresponding to 4.62-3.35-1 = 0.27. That is, the player may have a situation in which a stroke score of +0.27 is obtained through the first shot 1910.

이 후, 플레이어가 두 번째 샷(1920)을 소모하여 이동된 공의 위치가 홀 컵으로부터 직선거리 130m인 지점이고,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 중에서 남은 거리가 130m일 때의 스트로크 점수로 집계된 제2 평균 스트로크가 2.74라고 가정한다면, 두 번째 샷(1920)의 타당 득실은 3.35-2.74-1=-0.39에 상응하게 산출될 수 있다. 즉, 플레이어는 두 번째 샷(1920)을 통해 -0.39만큼의 스트로크 점수를 잃은 상황일 수 있다.Thereafter, the position of the ball moved by the player consuming the second shot 1920 is a straight distance 130m from the hole cup, and the second counted as the stroke scor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among the player's play information is 130m Assuming that the average stroke is 2.74, a valid gain for the second shot 1920 can be calculated corresponding to 3.35-2.74-1 = -0.39. That is, the player may have lost a stroke score of -0.39 through the second shot 1920.

이 후, 플레이어가 세 번째 샷(1930)을 소모하여 이동된 공의 위치가 홀 컵으로부터 직선거리 15m인 지점이고,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 중에서 남은 거리가 15m일 때의 스트로크 점수로 집계된 제2 평균 스트로크가 1.58이라고 가정한다면, 세 번째 샷(1930)의 타당 득실은 2,74-1.58-1=0.16에 상응하게 산출될 수 있다. 즉, 플레이어는 세 번째 샷(1930)을 통해 +0.16만큼의 스트로크 점수를 얻은 상황일 수 있다.Thereafter, the position of the ball moved by the player consuming the third shot 1930 is a point with a straight line distance of 15m from the hole cup, and the second counted as the stroke scor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among the player's play information is 15m. Assuming that the average stroke is 1.58, a valid gain for the third shot 1930 may be calculated corresponding to 2,74-1.58-1 = 0.16. That is, the player may have a situation in which a stroke score of +0.16 is obtained through the third shot 1930.

이 후, 플레이어가 네 번째 샷(1940)을 소모하여 그린에서 홀 컵에 홀 인하였다고 가정하면, 네 번째 샷(1940)의 타당 득실은 1.58-1=0.58에 상응하게 산출될 수 있다. 즉, 홀인은 남은 거리가 0m인 상황이므로 제2 평균 스트로크가 0이라고 가정하고 타당 득실을 산출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suming that the player has consumed the fourth shot 1940 to hole in the hole cup on the green, the valid gain or loss of the fourth shot 1940 may be calculated corresponding to 1.58-1 = 0.58. That is, since the hole-in is a situation in which the remaining distance is 0 m,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valid gain by assuming that the second average stroke is 0.

이와 같이 하나의 홀에 대한 타당 득실을 산출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18홀까지 게임을 완료하면 플레이어에 대한 라운드 평균 타당 득실을 도출할 수도 있다. 또한, 플레이어가 라운드를 완료함에 따라 수집되는 타당 득실에 대한 정보는 전체 플레이어들에 기반한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갱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Likewis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valid gain for a single hole, and when the player completes the game up to 18 holes, a round average valid gain for the player may be derived.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valid gains collected as the player completes the round may be used to update average stroke information based on all player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은 타당 득실 정보를 기반으로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한다(S130).In addition, the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golf play difficulty based on valid gain information (S130).

이 때, 골프 플레이 난이도는 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코스 상에서의 상대적인 난이도뿐만 아니라 코스 내의 각 홀 또는 각 샷에 대한 난이도 수준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골프 시뮬레이터 환경에서 가상의 골프 경기를 진행하는데 있어, 플레이어가 코스를 선택하거나 홀을 공략하는 경우에 플레이하기 어렵고 쉬움을 인지할 수 있도록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제공한다.In this case, the golf play difficulty may be a concept including all levels of difficulty for each hole or each shot in the course as well as relative difficulty on all courses provided through the golf simulato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laying a virtual golf game in a golf simulator environment, it provides a golf play difficulty so that a player can recognize difficulty and difficulty in playing when selecting a course or attacking a hole.

이 때, 골프 플레이 난이도는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업데이트 가능한 상대적 난이도에 상응할 수 있다. 즉, 골프 플레이 난이도는 전체 플레이어들이 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해 골프 게임을 플레이 한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플레이 정보가 축적됨에 따라 골프 플레이 난이도 또한 업데이트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olf play difficulty may correspond to a relative difficulty that can be updated as the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is updated. That is, since the golf play difficulty is calculated based on the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playing the golf game through the golf simulator, the golf play difficulty may also be updated as the play information is continuously accumulated.

이 때, 코스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코스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rse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or loss for each course.

이 때, 코스 난이도는 해당 코스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코스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rse difficul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of the course difficulty sections in which a valid gain or loss of the corresponding cours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course difficulty section.

예를 들어,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45개의 코스들 중 하나인 A 코스의 타당 득실이 0.88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코스 난이도 구간(200)을 적용하여 코스 난이도를 산출하는 경우, A 코스의 타당 득실은 0.76~0.99의 범주에 포함되므로 A 코스의 난이도는 쉬움에 상응할 수 있다. 즉, 타당 득실의 값이 작을수록 플레이어들이 해당 코스를 플레이하면서 얻는 타당 이득이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타당 득실이 작은 범주일수록 어려운 코스에 해당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can be assumed that the validity of the A course, which is one of 45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is 0.88. In this case, when calculating the course difficulty by applying the course difficulty section 200 shown in FIG. 2, the valid gains of the A course are included in the range of 0.76 to 0.99, so the difficulty of the A course may correspond to ease. That is,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valid gain, the smaller the valid gain that players get while playing the corresponding course, so the smaller the valid gain can be, the more difficult the course can be.

이 때, 코스 난이도 구간의 범주는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었을 경우에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골프 시뮬레이터는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지 않은 코스에 대해서는 코스 난이도를 제공하지 않고, 해당 코스의 난이도를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 집계 중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ategory of the course difficulty section may be set when play information over a predetermined minimum game is aggregated. Therefore, the golf simulator does not provide course difficulty for a course in which play information beyond a predetermined minimum match is not aggregated, and may indicate that data is being aggregated to calculate the difficulty of the corresponding course.

이와 같은 코스 난이도는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다가 기설정된 유지 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누적된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The difficulty of the course may be displayed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players accumulated during the preset maintenance period when the preset difficulty period is ended after being displayed for the predetermined maintenance period.

이 때, 홀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홀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e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and loss for each hole.

이 때, 홀 난이도는 해당 홀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홀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e difficulty leve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section of the hole difficulty section in which the valid gain of the hol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hole difficulty section.

예를 들어,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코스 B는 18홀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에서 7번홀의 타당 득실이 0.33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홀 난이도 구간(300)을 적용하여 홀 난이도를 산출하는 경우, 코스 B의 7번홀의 타당 득실은 0.55~0.26의 범주에 포함되므로, 코스 B 7번홀의 난이도는 어려움에 상응할 수 있다. For example, course B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is composed of 18 holes, and among these, it can be assumed that the valid gain of hole 7 is 0.33. At this time, when calculating the hole difficulty by applying the hole difficulty section 300 shown in FIG. 3, since the valid gains and losses of hole 7 of course B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0.55 to 0.26, the difficulty of course B hole 7 is difficult It may correspond to.

이 때, 홀 난이도 구간의 범주도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었을 경우에 설정될 수 있고,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지 않은 홀에 대해서는 홀 난이도를 제공하지 않고, 해당 홀의 난이도를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 집계 중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ategory of the hole difficulty section may also be set when play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minimum game or more is aggregated, and hole difficulty is not provided for a hole in which play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minimum game or more is not aggregated, and the difficulty of the hole It may indicate that data is being aggregated to calculate.

이와 같은 홀 난이도 역시 코스 난이도와 마찬가지로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다가 기설정된 유지 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누적된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Like the course difficulty, the hole difficulty level is also displayed during a predetermined maintenance period and may be updated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players accumulated during the predetermined maintenance period when the preset maintenance period ends.

이 때, 샷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샷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t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and loss for each shot.

이 때, 샷 난이도는 해당 샷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샷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t difficul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of the predetermined shot difficulty periods in which the valid gain or loss of the sho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hot difficulty period.

이 때, 샷 난이도는 골프 시뮬레이터에 의한 추천 클럽과 지형 조건을 더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t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recommended club and terrain conditions by the golf simulator.

예를 들어,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코스 C의 1번홀에서의 벙커샷에 대한 타당 득실이 -0.11에 상응하고, 해당 벙커샷을 통해 이동된 공이 러프 지형에 위치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지형별 점수(500)와 도 6에 도시된 샷 난이도 구간(600)을 적용하면 벙커샷에 대한 최종적인 타당 득실은 -0.11 + 1 = 0.89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샷 난이도를 산출하는 경우, 코스 C의 1번홀 벙커샷의 타당 득실은 0.99~0.76의 범주에 포함되므로 쉬움에 상응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can be assumed that a valid gain for a bunker shot in hole 1 of course C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corresponds to -0.11, and the ball moved through the bunker shot is located in the rough terrain. At this time, if the score 500 for each terrain shown in FIG. 5 and the shot difficulty section 600 shown in FIG. 6 are applied, the final valid gain for the bunker shot may correspond to -0.11 + 1 = 0.89. Therefore, when calculating the shot difficul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valid gain or loss of the bunker shot of hole 1 of course C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0.99 to 0.76, which may correspond to ease.

이 때, 지형별 점수(500)에서 페어웨이나 러프 지형은 플레이어에게 유리한 지형이므로 타당 이득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양수값을 부여할 수 있고, 벙커, 해저드 및 OB 지형은 플레이어에게 불리한 지형이므로 타당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음수값을 부여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core 500 for each terrain, since the fairway or the rough terrain is advantageous to the player, it can be regarded as having a valid gain, and a positive value can be assigned. It can be considered and assigned a negative value.

또한, 샷 난이도를 산출할 때 적용된 지형별 점수는 샷 별 타당 득실을 종합하여 산출되는 홀 별 타당 득실과 코스 별 타당 득실에도 적용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홀 난이도와 코스 난이도 또한 지형별 점수(500)가 적용되어 산출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ore for each terrain applied when calculating the shot difficulty can be considered to be applied to the valid gain for each hole and the valid gain for each course calculated by synthesizing the valid gain for each shot, the hole difficulty and the course difficulty are also scored for each terrain (500) It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이 때, 샷 난이도 구간의 범주도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었을 경우에 설정될 수 있고,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지 않은 샷에 대해서는 샷 난이도를 제공하지 않고, 해당 샷의 난이도를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 집계 중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ategory of the shot difficulty section may also be set when play information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match is aggregated, and shot difficulty is not provided for a shot in which play information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match is not aggregated. It may also indicate that data is being aggregated to calculate the difficulty.

이와 같은 샷 난이도도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다가 기설정된 유지 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누적된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The shot difficulty may also be displayed during a preset maintenance period and then updated based on the player's play information accumulated during the preset maintenance perio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된 샷 난이도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샷 난이도 정보(1200)에 상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 The shot difficulty calcul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200 as illustrated in FIG. 12.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1200)는 티 샷의 상황에서 추천 클럽이 Driver일 경우의 샷 난이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200 illustrated in FIG. 12 may indicate a shot difficulty when the recommended club is a driver in a tee shot situation.

또한, 도 13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1300)는 러프 지형의 우드 샷 상황에서 추천 클럽이 W3일 경우의 샷 난이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Also,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300 illustrated in FIG. 13 may indicate a shot difficulty when the recommended club is W3 in a wood shot situation in a rough terrain.

또한, 도 14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1400)는 페어웨이 지형의 아이언 샷 상황에서 추천 클럽이 I7일 경우의 샷 난이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Also,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400 illustrated in FIG. 14 may indicate the shot difficulty when the recommended club is I7 in the iron shot situation of the fairway terrain.

또한, 도 15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1500)는 페어웨이 지형의 웨지 샷 상황에서 추천 클럽이 PW일 경우의 샷 난이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500 illustrated in FIG. 15 may indicate the shot difficulty when the recommended club is PW in the wedge shot situation of the fairway terrain.

또한, 도 16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1600)는 그린 지형의 퍼팅 상황에서 추천 클럽이 P일 경우의 샷 난이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600 illustrated in FIG. 16 may indicate a shot difficulty when the recommended club is P in the putting situation of the green terrain.

또한, 도 17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7600)는 아직 데이터가 충분히 집계되지 않아서 해당 샷 난이도 제공을 위한 데이터 집계중임을 표시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7600 illustrated in FIG. 17 may indicate that data is being aggregated for providing the shot difficulty because the data has not yet been sufficiently aggregated.

이 때, 골프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코스 난이도에 상응하는 코스 핸디캡 순위, 홀 난이도에 상응하는 홀 핸디캡 순위 및 샷 난이도에 상응하는 샷 핸디캡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t this time, based on the golf simulator, at least one of a cours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course difficulty, a hol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hole difficulty, and a shot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shot difficulty may be displayed.

이 때, 핸디캡 순위란,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골프 플레이 난이도에 따라, 난이도가 어려운 순서대로 부여된 랭킹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45개의 코스들 중 A 코스가 13번째로 어려운 코스라고 가정할 경우, A 코스의 코스 핸디캡 순위는 13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난이도가 어려운 순서는 타당 득실을 기반으로 나열될 수 있다. 즉, 타당 득실이 낮을수록 핸디캡 순위가 높게 부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andicap ranking may mean ranking information given in a difficult order according to the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ed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 course is the 13th most difficult course among 45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the course handicap ranking of the A course may correspond to 13. At this time, the order in which difficulty is difficult may be listed based on valid gains. That is, the lower the validity gain, the higher the handicap ranking can be given.

이 때, 코스 핸디캡 순위는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코스들 중 코스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rse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course validity among all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따라서, 골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는 플레이어들은 코스 핸디캡 순위만으로도 전체 코스들에 대한 현재 코스의 상대적 난이도를 예상할 수 있다.Therefore, players using the golf simulator can predict the relative difficulty of the current course with respect to the entire course only with the course handicap ranking.

또한, 코스 핸디캡 순위는, 코스 별 기준 파에서 코스 별로 기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스코어의 평균을 뺀 수치로 산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urse handicap ranking may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average of the play scores of all players recorded for each course from the reference par for each course.

예를 들어, 기준 파가 72인 코스에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스코어 평균이 70.5라고 가정한다면, 해당 코스의 코스 핸디캡 수치는 1.5에 상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코스들의 코스 핸디캡 수치를 산출한 뒤, 값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여 코스 핸디캡 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 때, 이 때, 결과 값이 낮을수록 어려운 코스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verage play score of all players in a course with a reference par of 72 is 70.5, the course handicap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urse may correspond to 1.5. In this way, after calculating the course handicap values of all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the course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by arranging the values in the order of lowest value. At this time, at this time, the lower the result value, the more difficult the course can be considered.

이 때, 홀 핸디캡 순위는 코스를 구성하는 9홀 또는 18홀 중 홀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e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hole validity among the 9 holes or 18 holes constituting the course.

예를 들어, 18홀인 코스의 경우, 가장 어려운 홀의 홀 핸디캡 순위는 1에 상응할 수 있고, 가장 쉬운 홀의 홀 핸디캡 순위는 18에 상응할 수 있다.For example, for a course with 18 holes, the hole handicap rank of the most difficult hole may correspond to 1, and the hole handicap rank of the easiest hole may correspond to 18.

따라서, 골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는 플레이어들은 홀 핸디캡 순위를 고려하여 라운드를 완료하기 위한 자신만의 전략을 구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핸디캡 순위가 높은 홀에서는 비교적 안전한 전략으로 샷을 소모한다면, 홀 핸디캡 순위가 낮은 홀에서는 과감하게 샷을 소모하는 전략을 구상할 수 있다.Therefore, players using the golf simulator can devise their own strategy for completing the round considering the hole handicap ranking. For example, if a hole is consumed as a relatively safe strategy in a hole with a high handicap ranking, a strategy for boldly consuming a shot in a hole with a low handicap ranking can be envisioned.

또한, 홀 핸디캡 순위는, 홀 별 기준 파에서 홀 별로 기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스코어의 평균을 뺀 수치로 산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hole handicap ranking may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average of the play scores of all players recorded for each hole from the reference wave for each hole.

예를 들어, 기준 파가 4인 홀에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스코어 평균이 3.71이라고 가정한다면, 해당 홀의 홀 핸디캡 수치는 0.29에 상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코스를 구성하는 전체 홀들의 홀 핸디캡 수치를 산출한 뒤, 값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여 홀 핸디캡 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 때, 이 때, 결과 값이 낮을수록 어려운 홀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verage play score of all players in a hole having a reference par of 4 is 3.71, the hole handicap value of the hole may correspond to 0.29. In this way, after calculating the hole handicap values of all the holes constituting the course, the hole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by arranging the values in the order of the lowest value. At this time, at this time, it can be regarded as a difficult hole as the result value is lower.

다른 예를 들어, 18홀로 구성된 A 코스의 1번 홀에서는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이 이글 스코어를 기록했고, 동일한 A 코스의 2번 홀에서는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이 더블파 스코어를 기록했다고 가정한다면, 1번 홀의 홀 핸디캡 순위는 18에 가깝게 표기될 수 있고, 2번 홀의 홀 핸디캡 순위는 1에 가깝게 표기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assuming that most players scored Eagle scores in hole 1 of course A, which consists of 18 holes, and most players recorded double par scores in hole 2 of course A, hole 1 The handicap ranking may be marked close to 18, and the hole handicap ranking of hole 2 may be marked close to 1.

이 때, 홀 핸디캡 순위는 코스 별 홀 개수에 따라 9개 또는 18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9개의 홀로 구성된 코스는 1에서 9까지의 홀 핸디캡 순위가 존재할 수 있고, 18개 홀로 구성된 코스는 1에서 18까지의 홀 핸디캡 순위가 존재할 수 있다. 또는, 27개 홀로 구성된 코스의 경우에는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플레이어가 9개의 홀씩 분리된 2개의 코스를 지정할 수 있으므로, 18개 홀로 구성된 코스와 마찬가지로 1에서 18까지의 홀 핸디캡 순위가 존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e handicap ranking can be represented by 9 or 18 hol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holes per course. For example, a course composed of 9 holes may have a hole handicap ranking of 1 to 9, and a course composed of 18 holes may have a hole handicap ranking of 1 to 18.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 course composed of 27 holes, since the player can designate two courses separated by 9 holes before starting the game, there may be a hole handicap ranking from 1 to 18 similar to the course composed of 18 holes.

이 때, 도 4를 참조하여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코스에 대한 홀 핸디캡 순위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hole handicap ranking for the course selected by the player with reference to FIG. 4 will be described.

먼저, 플레이어가 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해 골프 게임을 진행할 코스를 선택하면(S410), 골프 시뮬레이터는 선택된 코스에서 집계된 누적 데이터를 체크할 수 있다(S420). 이 후,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5).First, when a player selects a course to play a golf game through a golf simulator (S410), the golf simulator can check the accumulated data aggregated in the selected course (S420). Thereaft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ccumulated data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S425).

단계(S425)의 판단결과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면 타당 득실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S430), 선택된 코스에 대한 홀 핸디캡 순위를 출력할 수 있다(S440).If the accumulated data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25, a statistical analysis of valid gain and loss may be performed (S430), and the hole handicap ranking for the selected course may be output (S440).

또한, 단계(S425)의 판단결과,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해 해당 홀의 데이터를 집계중임을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할 수 있다(S450). 이 후, 플레이어가 해당 홀에 대한 플레이를 완료한 경우, 플레이 정보를 해당 홀의 데이터로 누적하여 집계할 수 있다(S460).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25, if the accumulated data does not exceed a preset reference amount, the golf simulator may display and guide that the hole data is being aggregated (S450). Thereafter, when the player completes the play for the hole, the play information may be accumulated and accumulated as data of the hole (S46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된 홀 핸디캡 순위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코스 정보 출력 화면(800)에서 해당 코스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hole handicap ranking calcul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may be used to describe the corresponding course on the course information output screen 800 as illustrated in FIG. 8.

또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홀의 개수 별로 홀 핸디 정보(900, 1000)에 상응하게 제공될 수도 있으며, 만약 홀 데이터가 집계중인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홀 핸디 정보(1100)와 같이 집계 중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Also, as illustrated in FIGS. 9 to 10, hole handy information 900 and 1000 may be provided for each number of holes. If hole data is being aggregated, hole handy information 1100 shown in FIG. 11 may be provided. It can also be marked as being aggregated.

이 때, 누적 데이터가 충분히 집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기준량은 자유롭게 설정 변경이 가능하지만, 보다 정확한 핸디캡 순위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소 5회 이하로는 설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t reference amoun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ccumulated data is sufficiently aggregated can be freely changed, but in order to provide a more accurate handicap ranking, it can be set to at least 5 times or less.

이 때, 샷 핸디캡 순위는 전체 코스들 중 샷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t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shot validity among the entire courses.

예를 들어, 골프 시뮬레이터에 총 45개의 코스들이 등록되어 있고, 이 중에서 A 코스에서의 티 샷의 타당 득실 평균이 45개의 코스들 중 5번째로 낮은 수치라고 가정한다면, A 코스에서의 티 샷에 대한 샷 핸디캡 순위는 5에 상응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total of 45 courses are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and the valid average of the tee shots in the A course is the fifth lowest among 45 courses, the tee shots in the A course A shot handicap ranking for 5 may correspond to 5.

이와 같은 샷 핸디캡 순위는 플레이어가 매 샷을 진행할 때마다 해당 샷에 대한 난이도를 즉각적으로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Such a shot handicap ranking can help the player to immediately recognize the difficulty of the shot every time it progresses.

이 때, 도 7을 참조하여 샷 핸디캡 순위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shot handicap ranking with reference to FIG. 7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플레이어가 라운드를 시작하면(S710), 골프 시뮬레이터는 라운드가 시작됨에 따라 진행해야 할 샷에서 집계된 누적 데이터를 체크할 수 있다(S720). First, when the player starts the round (S710), the golf simulator may check the accumulated data from the shot to be progressed as the round starts (S720).

이 후,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725).Thereaft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ccumulated data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S725).

단계(S725)의 판단결과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면 타당 득실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S730) 샷 핸디캡 순위를 출력할 수 있다(S740).If the accumulated data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25, a statistical analysis of valid gain and loss may be performed (S730), and the shot handicap ranking may be output (S740).

또한, 단계(S725)의 판단결과,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해 해당 샷의 데이터를 집계중임을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할 수 있다(S750). 이 후, 플레이어가 해당 라운드에 대한 플레이를 완료한 경우,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샷 데이터를 누적하여 집계할 수 있다(S760).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25, if the accumulated data does not exceed a preset reference amount,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shot may be displayed and guided through the golf simulator (S750). Thereafter, when the player has completed play for the round, shot data may be accumulated and aggregated based on the play information (S760).

이 때, 코스 별 타당 득실 및 홀 별 타당 득실을 각각 샷의 종류 별로 분류한 결과를 기반으로 샷의 종류 별 코스 난이도 및 샷의 종류 별 홀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based on the results of classifying the valid gains for each course and the valid gains for each hole for each type of shot, the cours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and the hol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may be calculated.

예를 들어, 샷의 종류 별 코스 난이도를 기반으로,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코스들 중 티 샷이 어려운 순서대로 코스 핸디캡 순위를 제공하거나, 벙커샷이 어려운 순서대로 코스 핸디캡 순위를 제공할 수도 있다.For example, based on the cours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the course handicap ranking may be provided in the order in which the tee shots are difficult among the entire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or the course handicap ranking in the order in which the bunker shots are difficult. .

다른 예를 들어, 샷의 종류 별 홀 난이도를 기반으로, 플레이어가 선택한 코스에 포함된 전체 홀 중 퍼팅이 어려운 순서대로 홀 핸디캡 순위를 제공하거나 또는 숏게임이 어려운 순서대로 홀 핸디캡 순위를 제공할 수도 있다.For another example, based on the hol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the hole handicap ranking may be provided in the order in which putting is difficult among all holes included in the course selected by the player, or the hole handicap ranking may be provided in the order in which the short game is difficult. have.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다양한 기준에 따른 난이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플레이어가 필요로 하거나 알고자 하는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olf play difficulty that the player needs or wants to know by providing the difficulty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as described above.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은 상술한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별도의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above-described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process in a separate storage module.

이와 같은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을 이용하여 산출된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제공할 수 있다.By using such 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ed by using players' valid and profitable results.

또한, 독립적인 수치들을 기반으로 코스, 홀, 샷 각각에 대해 보다 신뢰도 높은 난이도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 more reliable difficulty level can be given to each course, hole, and shot based on independent values.

또한, 플레이어가 자신에게 적합한 유형의 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플레이어의 유형을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결정된 골프 플레이 난이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golf play difficulty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a criterion for classifying a player's type so that the player can select a type of course suitable for him.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olf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터는 통신부(1810), 프로세서(1820) 및 메모리(18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8, a golf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810, a processor 1820, and a memory 1830.

통신부(18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810)는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810 serves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calculating golf play difficult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network.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8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from a storage device such as a database.

프로세서(1820)는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한다.The processor 1820 generates average stroke information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이 때, 골프 시뮬레이터는 플레이어가 선택한 코스에 상응하게 가상의 골프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즉, 플레이어로 등록한 사용자가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골프 코스를 선택하여 골프 게임을 즐길 수 있다.At this time, the golf simulator may correspond to a device that provides a virtual golf game corresponding to a course selected by the player. That is, a user registered as a player can select a golf course registered in a golf simulator and enjoy a golf game.

이 때, 골프 시뮬레이터는 플레이어가 18홀 또는 9홀에 상응하는 라운드를 완료할 때마다 플레이어 별 플레이 정보를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 기록은 코스 별 기록, 홀 별 기록, 샷 별 기록, 플레이어 개인의 전체 플레이에 대한 기록 등 플레이어가 골프 게임을 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olf simulator may record and store play information for each player whenever the player completes a round corresponding to 18 holes or 9 holes. For example, the play record may store information about various situations that occur while the player plays a golf game, such as a record for each course, a record for each hole, a record for each shot, and a record for each player's entire play.

이 때, 평균 스트로크 정보는 홀 컵까지 남은 직선거리, 샷의 종류 및 지형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a categor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straight distance remaining to the hole cup, a type of shot, and a type of terrain.

예를 들어, 전체 플레이어들을 대상으로 공의 위치에서 홀 컵까지 남은 직선거리가 100m일 경우의 샷에 대한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하여 100m에 대한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for 100m may be generated by synthesizing stroke records for shots when the straight distance remaining from the ball's position to the hole cup is 100m for all players.

다른 예를 들어, 전체 플레이어들을 대상으로 티 샷일 경우의 샷에 대한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하여 티 샷에 대한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average stroke information for a tee shot may be generated by synthesizing stroke records for a shot in the case of a tee shot for all players.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체 플레이어들을 대상으로 페어웨이(Fairway)이면서 홀 컵까지 남은 직선거리가 150m일 경우의 샷에 대한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하여 페어웨이 지형에 대한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for the fairway terrain may be generated by synthesizing the stroke records for shots when the distance to the hole cup is 150 m, which is a fairway for all players.

이 때, 샷의 종류는 티 샷(off the tee), 접근 샷(approach the green), 숏 게임(around the green) 및 퍼팅(putt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ype of sho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e shot (off the tee), an approach shot (approach the green), a short game (around the green), and putting (putting).

이 때, 티 샷은 파 3 홀의 경우를 제외하고 홀의 첫 번째 샷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e shot may mean the first shot of the hole, except for the par 3 hole.

이 때, 접근 샷은 파 3 홀의 첫 번째 샷과 파 3 이상인 홀의 두 번째부터의 샷 중 홀 컵과의 직선 거리가 30m 이상인 경우의 샷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pproach shot may refer to a shot in a case in which a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hole cup and the hole cup is 30 m or more among the first shot of the par 3 hole and the second shot of the par 3 or more hole.

이 때, 숏 게임은 파 3 홀의 첫 번째 샷과 파 3 이상인 홀의 두 번째부터의 샷 중 홀 컵과의 직선 거리가 30m 이하인 경우의 샷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ort game may refer to a shot in a case where a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hole cup and the hole cup is 30 m or less among the first shot of the par 3 hole and the second shot of the hole having the par 3 or higher.

이 때, 퍼팅은 공의 위치가 그린일 경우의 샷을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putting may mean a shot when the position of the ball is green.

따라서, 평균 스트로크 정보는 전체 플레이어들을 대상으로 티 샷일 경우의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한 정보, 접근 샷일 경우의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한 정보, 숏 게임일 경우의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한 정보, 퍼팅일 경우의 스트로크 기록을 종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is the total information of the strokes in the case of a tee shot,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in the strokes in the case of an approach shot, the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short game, and the stroke in the case of putting. Records may include aggregated information.

또한, 프로세서(1820)는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 정보를 산출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820 calculates valid gain information of all players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이 때,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곡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1 평균 스트로크 및 샷을 소모한 이후에 이동된 공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2 평균 스트로크를 획득할 수 있다. At this time,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the first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ong position and the second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d ball position after consuming the shot may be obtained.

이 때, 타당 득실 정보는 제1 평균 스트로크에서 소모된 샷과 제2 평균 스트로크를 뺀 값에 상응하는 매 샷 별 타당 득실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alid gain information may include a valid gain for each shot corresponding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average stroke and the shot consumed from the first average stroke.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여 홀 컵까지 남은 거리를 기반으로 플레이어의 타당 득실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9, a process of calculating a player's valid gain based on the distance remaining to the hole cup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티 샷에 해당하는 첫 번째 샷(1910)은 홀 컵으로부터 직선 거리가 440m이고,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제1 평균 스트로크가 4.62라고 가정할 수 있다. 즉, 제1 평균 스트로크는 해당 코스, 해당 홀과 관계없이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 중에서 남은 거리가 440m일 때의 스트로크 점수로 집계할 수 있다. First, it can be assumed that the first shot 1910 corresponding to the tee shot has a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hole cup of 440 m, and the first average stroke obtained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is 4.62. That is, the first average stroke may be counted as a stroke scor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is 440m among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regardless of the corresponding course and corresponding hole.

이 후, 플레이어가 첫 번째 샷(1910)을 소모하여 이동된 공의 위치가 홀 컵으로부터 직선거리 220m인 지점이고,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 중에서 남은 거리가 220m일 때의 스트로크 점수로 집계된 제2 평균 스트로크가 3.35라고 가정한다면, 첫 번째 샷(1910)의 타당 득실은 4.62-3.35-1=0.27에 상응하게 산출될 수 있다. 즉, 플레이어는 첫 번째 샷(1910)을 통해 +0.27만큼의 스트로크 점수를 얻은 상황일 수 있다.Thereafter, the position where the ball moved by the player consuming the first shot 1910 is the straight distance 220m from the hole cup, and the second counted as the stroke scor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is 220m among the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Assuming that the average stroke is 3.35, the valid gain and loss of the first shot 1910 can be calculated corresponding to 4.62-3.35-1 = 0.27. That is, the player may have a situation in which a stroke score of +0.27 is obtained through the first shot 1910.

이 후, 플레이어가 두 번째 샷(1920)을 소모하여 이동된 공의 위치가 홀 컵으로부터 직선거리 130m인 지점이고,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 중에서 남은 거리가 130m일 때의 스트로크 점수로 집계된 제2 평균 스트로크가 2.74라고 가정한다면, 두 번째 샷(1920)의 타당 득실은 3.35-2.74-1=-0.39에 상응하게 산출될 수 있다. 즉, 플레이어는 두 번째 샷(1920)을 통해 -0.39만큼의 스트로크 점수를 잃은 상황일 수 있다.Thereafter, the position of the ball moved by the player consuming the second shot 1920 is a straight distance 130m from the hole cup, and the second counted as the stroke scor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among the player's play information is 130m Assuming that the average stroke is 2.74, a valid gain for the second shot 1920 can be calculated corresponding to 3.35-2.74-1 = -0.39. That is, the player may have lost a stroke score of -0.39 through the second shot 1920.

이 후, 플레이어가 세 번째 샷(1930)을 소모하여 이동된 공의 위치가 홀 컵으로부터 직선거리 15m인 지점이고,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 중에서 남은 거리가 15m일 때의 스트로크 점수로 집계된 제2 평균 스트로크가 1.58이라고 가정한다면, 세 번째 샷(1930)의 타당 득실은 2,74-1.58-1=0.16에 상응하게 산출될 수 있다. 즉, 플레이어는 세 번째 샷(1930)을 통해 +0.16만큼의 스트로크 점수를 얻은 상황일 수 있다.Thereafter, the position of the ball moved by the player consuming the third shot 1930 is a point with a straight line distance of 15m from the hole cup, and the second counted as the stroke score when the remaining distance among the player's play information is 15m. Assuming that the average stroke is 1.58, a valid gain for the third shot 1930 may be calculated corresponding to 2,74-1.58-1 = 0.16. That is, the player may have a situation in which a stroke score of +0.16 is obtained through the third shot 1930.

이 후, 플레이어가 네 번째 샷(1940)을 소모하여 그린에서 홀 컵에 홀 인하였다고 가정하면, 네 번째 샷(1940)의 타당 득실은 1.58-1=0.58에 상응하게 산출될 수 있다. 즉, 홀인은 남은 거리가 0m인 상황이므로 제2 평균 스트로크가 0이라고 가정하고 타당 득실을 산출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suming that the player has consumed the fourth shot 1940 to hole in the hole cup on the green, the valid gain or loss of the fourth shot 1940 may be calculated corresponding to 1.58-1 = 0.58. That is, since the hole-in is a situation in which the remaining distance is 0 m,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valid gain by assuming that the second average stroke is 0.

이와 같이 하나의 홀에 대한 타당 득실을 산출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18홀까지 게임을 완료하면 플레이어에 대한 라운드 평균 타당 득실을 도출할 수도 있다. 또한, 플레이어가 라운드를 완료함에 따라 수집되는 타당 득실에 대한 정보는 전체 플레이어들에 기반한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갱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Likewis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valid gain for a single hole, and when the player completes the game up to 18 holes, a round average valid gain for the player may be derived.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valid gains collected as the player completes the round may be used to update average stroke information based on all players.

또한, 프로세서(1820)는 타당 득실 정보를 기반으로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820 calculates the difficulty of golf play based on valid gain information.

이 때, 골프 플레이 난이도는 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코스 상에서의 상대적인 난이도뿐만 아니라 코스 내의 각 홀 또는 각 샷에 대한 난이도 수준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골프 시뮬레이터 환경에서 가상의 골프 경기를 진행하는데 있어, 플레이어가 코스를 선택하거나 홀을 공략하는 경우에 플레이하기 어렵고 쉬움을 인지할 수 있도록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제공한다.In this case, the golf play difficulty may be a concept including all levels of difficulty for each hole or each shot in the course as well as relative difficulty on all courses provided through the golf simulato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laying a virtual golf game in a golf simulator environment, it provides a golf play difficulty so that a player can recognize difficulty and difficulty in playing when selecting a course or attacking a hole.

이 때, 골프 플레이 난이도는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업데이트 가능한 상대적 난이도에 상응할 수 있다. 즉, 골프 플레이 난이도는 전체 플레이어들이 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해 골프 게임을 플레이 한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플레이 정보가 축적됨에 따라 골프 플레이 난이도 또한 업데이트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olf play difficulty may correspond to a relative difficulty that can be updated as the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is updated. That is, since the golf play difficulty is calculated based on the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playing the golf game through the golf simulator, the golf play difficulty may also be updated as the play information is continuously accumulated.

이 때, 코스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코스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rse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or loss for each course.

이 때, 코스 난이도는 해당 코스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코스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rse difficul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of the course difficulty sections in which a valid gain or loss of the corresponding cours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course difficulty section.

예를 들어,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45개의 코스들 중 하나인 A 코스의 타당 득실이 0.88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코스 난이도 구간(200)을 적용하여 코스 난이도를 산출하는 경우, A 코스의 타당 득실은 0.76~0.99의 범주에 포함되므로 A 코스의 난이도는 쉬움에 상응할 수 있다. 즉, 타당 득실의 값이 작을수록 플레이어들이 해당 코스를 플레이하면서 얻는 타당 이득이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타당 득실이 작은 범주일수록 어려운 코스에 해당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can be assumed that the validity of the A course, which is one of 45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is 0.88. In this case, when calculating the course difficulty by applying the course difficulty section 200 shown in FIG. 2, the valid gains of the A course are included in the range of 0.76 to 0.99, so the difficulty of the A course may correspond to ease. That is,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valid gain, the smaller the valid gain that players get while playing the corresponding course, so the smaller the valid gain can be, the more difficult the course can be.

이 때, 코스 난이도 구간의 범주는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었을 경우에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골프 시뮬레이터는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지 않은 코스에 대해서는 코스 난이도를 제공하지 않고, 해당 코스의 난이도를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 집계 중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ategory of the course difficulty section may be set when play information over a predetermined minimum game is aggregated. Therefore, the golf simulator does not provide course difficulty for a course in which play information beyond a predetermined minimum match is not aggregated, and may indicate that data is being aggregated to calculate the difficulty of the corresponding course.

이와 같은 코스 난이도는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다가 기설정된 유지 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누적된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The difficulty of the course may be displayed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players accumulated during the preset maintenance period when the preset difficulty period is ended after being displayed for the predetermined maintenance period.

이 때, 홀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홀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e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and loss for each hole.

이 때, 홀 난이도는 해당 홀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홀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e difficulty leve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section of the hole difficulty section in which the valid gain of the hol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hole difficulty section.

예를 들어,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코스 B는 18홀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에서 7번홀의 타당 득실이 0.33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홀 난이도 구간(300)을 적용하여 홀 난이도를 산출하는 경우, 코스 B의 7번홀의 타당 득실은 0.55~0.26의 범주에 포함되므로, 코스 B 7번홀의 난이도는 어려움에 상응할 수 있다. For example, course B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is composed of 18 holes, and among these, it can be assumed that the valid gain of hole 7 is 0.33. At this time, when calculating the hole difficulty by applying the hole difficulty section 300 shown in FIG. 3, since the valid gains and losses of hole 7 of course B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0.55 to 0.26, the difficulty of course B hole 7 is difficult It may correspond to.

이 때, 홀 난이도 구간의 범주도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었을 경우에 설정될 수 있고,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지 않은 홀에 대해서는 홀 난이도를 제공하지 않고, 해당 홀의 난이도를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 집계 중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ategory of the hole difficulty section may also be set when play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minimum game or more is aggregated, and hole difficulty is not provided for a hole in which play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minimum game or more is not aggregated, and the difficulty of the hole It may indicate that data is being aggregated to calculate.

이와 같은 홀 난이도 역시 코스 난이도와 마찬가지로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다가 기설정된 유지 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누적된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Like the course difficulty, the hole difficulty level is also displayed during a predetermined maintenance period and may be updated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players accumulated during the predetermined maintenance period when the preset maintenance period ends.

이 때, 샷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샷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t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and loss for each shot.

이 때, 샷 난이도는 해당 샷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샷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t difficul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of the predetermined shot difficulty periods in which the valid gain or loss of the sho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hot difficulty period.

이 때, 샷 난이도는 골프 시뮬레이터에 의한 추천 클럽과 지형 조건을 더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t difficulty may be calcula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recommended club and terrain conditions by the golf simulator.

예를 들어,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코스 C의 1번홀에서의 벙커샷에 대한 타당 득실이 -0.11에 상응하고, 해당 벙커샷을 통해 이동된 공이 러프 지형에 위치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지형별 점수(500)와 도 6에 도시된 샷 난이도 구간(600)을 적용하면 벙커샷에 대한 최종적인 타당 득실은 -0.11 + 1 = 0.89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샷 난이도를 산출하는 경우, 코스 C의 1번홀 벙커샷의 타당 득실은 0.99~0.76의 범주에 포함되므로 쉬움에 상응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can be assumed that a valid gain for a bunker shot in hole 1 of course C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corresponds to -0.11, and the ball moved through the bunker shot is located in the rough terrain. At this time, if the score 500 for each terrain shown in FIG. 5 and the shot difficulty section 600 shown in FIG. 6 are applied, the final valid gain for the bunker shot may correspond to -0.11 + 1 = 0.89. Therefore, when calculating the shot difficul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valid gain or loss of the bunker shot of hole 1 of course C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0.99 to 0.76, which may correspond to ease.

이 때, 지형별 점수(500)에서 페어웨이나 러프 지형은 플레이어에게 유리한 지형이므로 타당 이득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양수값을 부여할 수 있고, 벙커, 해저드 및 OB 지형은 플레이어에게 불리한 지형이므로 타당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음수값을 부여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core 500 for each terrain, since the fairway or the rough terrain is advantageous to the player, it can be regarded as having a valid gain, and a positive value can be assigned. It can be considered and assigned a negative value.

또한, 샷 난이도를 산출할 때 적용된 지형별 점수는 샷 별 타당 득실을 종합하여 산출되는 홀 별 타당 득실과 코스 별 타당 득실에도 적용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홀 난이도와 코스 난이도 또한 지형별 점수(500)가 적용되어 산출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ore for each terrain applied when calculating the shot difficulty can be considered to be applied to the valid gain for each hole and the valid gain for each course calculated by synthesizing the valid gain for each shot, the hole difficulty and the course difficulty are also scored for each terrain (500) It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이 때, 샷 난이도 구간의 범주도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었을 경우에 설정될 수 있고, 기설정된 최소 경기 이상의 플레이 정보가 집계되지 않은 샷에 대해서는 샷 난이도를 제공하지 않고, 해당 샷의 난이도를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 집계 중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ategory of the shot difficulty section may also be set when play information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match is aggregated, and shot difficulty is not provided for a shot in which play information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match is not aggregated. It may also indicate that data is being aggregated to calculate the difficulty.

이와 같은 샷 난이도도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었다가 기설정된 유지 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기설정된 유지 기간 동안 누적된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The shot difficulty may also be displayed during a preset maintenance period and then updated based on the player's play information accumulated during the preset maintenance perio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된 샷 난이도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샷 난이도 정보(1200)에 상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 The shot difficulty calcul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200 as illustrated in FIG. 12.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1200)는 티 샷의 상황에서 추천 클럽이 Driver일 경우의 샷 난이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200 illustrated in FIG. 12 may indicate a shot difficulty when the recommended club is a driver in a tee shot situation.

또한, 도 13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1300)는 러프 지형의 우드 샷 상황에서 추천 클럽이 W3일 경우의 샷 난이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Also,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300 illustrated in FIG. 13 may indicate a shot difficulty when the recommended club is W3 in a wood shot situation in a rough terrain.

또한, 도 14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1400)는 페어웨이 지형의 아이언 샷 상황에서 추천 클럽이 I7일 경우의 샷 난이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Also,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400 illustrated in FIG. 14 may indicate the shot difficulty when the recommended club is I7 in the iron shot situation of the fairway terrain.

또한, 도 15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1500)는 페어웨이 지형의 웨지 샷 상황에서 추천 클럽이 PW일 경우의 샷 난이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500 illustrated in FIG. 15 may indicate the shot difficulty when the recommended club is PW in the wedge shot situation of the fairway terrain.

또한, 도 16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1600)는 그린 지형의 퍼팅 상황에서 추천 클럽이 P일 경우의 샷 난이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600 illustrated in FIG. 16 may indicate a shot difficulty when the recommended club is P in the putting situation of the green terrain.

또한, 도 17에 도시된 샷 난이도 정보(7600)는 아직 데이터가 충분히 집계되지 않아서 해당 샷 난이도 제공을 위한 데이터 집계중임을 표시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t difficulty information 7600 illustrated in FIG. 17 may indicate that data is being aggregated for providing the shot difficulty because the data has not yet been sufficiently aggregated.

이 때, 골프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코스 난이도에 상응하는 코스 핸디캡 순위, 홀 난이도에 상응하는 홀 핸디캡 순위 및 샷 난이도에 상응하는 샷 핸디캡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t this time, based on the golf simulator, at least one of a cours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course difficulty, a hol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hole difficulty, and a shot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shot difficulty may be displayed.

이 때, 핸디캡 순위란,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골프 플레이 난이도에 따라, 난이도가 어려운 순서대로 부여된 랭킹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45개의 코스들 중 A 코스가 13번째로 어려운 코스라고 가정할 경우, A 코스의 코스 핸디캡 순위는 13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난이도가 어려운 순서는 타당 득실을 기반으로 나열될 수 있다. 즉, 타당 득실이 낮을수록 핸디캡 순위가 높게 부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andicap ranking may mean ranking information given in a difficult order according to the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ed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 course is the 13th most difficult course among 45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the course handicap ranking of the A course may correspond to 13. At this time, the order in which difficulty is difficult may be listed based on valid gains. That is, the lower the validity gain, the higher the handicap ranking can be given.

이 때, 코스 핸디캡 순위는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코스들 중 코스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rse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course validity among all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따라서, 골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는 플레이어들은 코스 핸디캡 순위만으로도 전체 코스들에 대한 현재 코스의 상대적 난이도를 예상할 수 있다.Therefore, players using the golf simulator can predict the relative difficulty of the current course with respect to the entire course only with the course handicap ranking.

또한, 코스 핸디캡 순위는, 코스 별 기준 파에서 코스 별로 기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스코어의 평균을 뺀 수치로 산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urse handicap ranking may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average of the play scores of all players recorded for each course from the reference par for each course.

예를 들어, 기준 파가 72인 코스에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스코어 평균이 70.5라고 가정한다면, 해당 코스의 코스 핸디캡 수치는 1.5에 상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코스들의 코스 핸디캡 수치를 산출한 뒤, 값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여 코스 핸디캡 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 때, 이 때, 결과 값이 낮을수록 어려운 코스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verage play score of all players in a course with a reference par of 72 is 70.5, the course handicap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urse may correspond to 1.5. In this way, after calculating the course handicap values of all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the course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by arranging the values in the order of lowest value. At this time, at this time, the lower the result value, the more difficult the course can be considered.

이 때, 홀 핸디캡 순위는 코스를 구성하는 9홀 또는 18홀 중 홀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e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hole validity among the 9 holes or 18 holes constituting the course.

예를 들어, 18홀인 코스의 경우, 가장 어려운 홀의 홀 핸디캡 순위는 1에 상응할 수 있고, 가장 쉬운 홀의 홀 핸디캡 순위는 18에 상응할 수 있다.For example, for a course with 18 holes, the hole handicap rank of the most difficult hole may correspond to 1, and the hole handicap rank of the easiest hole may correspond to 18.

따라서, 골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는 플레이어들은 홀 핸디캡 순위를 고려하여 라운드를 완료하기 위한 자신만의 전략을 구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핸디캡 순위가 높은 홀에서는 비교적 안전한 전략으로 샷을 소모한다면, 홀 핸디캡 순위가 낮은 홀에서는 과감하게 샷을 소모하는 전략을 구상할 수 있다.Therefore, players using the golf simulator can devise their own strategy for completing the round considering the hole handicap ranking. For example, if a hole is consumed as a relatively safe strategy in a hole with a high handicap ranking, a strategy for boldly consuming a shot in a hole with a low handicap ranking can be envisioned.

또한, 홀 핸디캡 순위는, 홀 별 기준 파에서 홀 별로 기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스코어의 평균을 뺀 수치로 산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hole handicap ranking may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average of the play scores of all players recorded for each hole from the reference wave for each hole.

예를 들어, 기준 파가 4인 홀에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스코어 평균이 3.71이라고 가정한다면, 해당 홀의 홀 핸디캡 수치는 0.29에 상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코스를 구성하는 전체 홀들의 홀 핸디캡 수치를 산출한 뒤, 값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여 홀 핸디캡 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 때, 이 때, 결과 값이 낮을수록 어려운 홀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verage play score of all players in a hole having a reference par of 4 is 3.71, the hole handicap value of the hole may correspond to 0.29. In this way, after calculating the hole handicap values of all the holes constituting the course, the hole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by arranging the values in the order of the lowest value. At this time, at this time, it can be regarded as a difficult hole as the result value is lower.

다른 예를 들어, 18홀로 구성된 A 코스의 1번 홀에서는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이 이글 스코어를 기록했고, 동일한 A 코스의 2번 홀에서는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이 더블파 스코어를 기록했다고 가정한다면, 1번 홀의 홀 핸디캡 순위는 18에 가깝게 표기될 수 있고, 2번 홀의 홀 핸디캡 순위는 1에 가깝게 표기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assuming that most players scored Eagle scores in hole 1 of course A, which consists of 18 holes, and most players recorded double par scores in hole 2 of course A, hole 1 The handicap ranking may be marked close to 18, and the hole handicap ranking of hole 2 may be marked close to 1.

이 때, 홀 핸디캡 순위는 코스 별 홀 개수에 따라 9개 또는 18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9개의 홀로 구성된 코스는 1에서 9까지의 홀 핸디캡 순위가 존재할 수 있고, 18개 홀로 구성된 코스는 1에서 18까지의 홀 핸디캡 순위가 존재할 수 있다. 또는, 27개 홀로 구성된 코스의 경우에는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플레이어가 9개의 홀씩 분리된 2개의 코스를 지정할 수 있으므로, 18개 홀로 구성된 코스와 마찬가지로 1에서 18까지의 홀 핸디캡 순위가 존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e handicap ranking can be represented by 9 or 18 hol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holes per course. For example, a course composed of 9 holes may have a hole handicap ranking of 1 to 9, and a course composed of 18 holes may have a hole handicap ranking of 1 to 18.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 course composed of 27 holes, since the player can designate two courses separated by 9 holes before starting the game, there may be a hole handicap ranking from 1 to 18 similar to the course composed of 18 holes.

이 때, 도 4를 참조하여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코스에 대한 홀 핸디캡 순위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hole handicap ranking for the course selected by the player with reference to FIG. 4 will be described.

먼저, 플레이어가 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해 골프 게임을 진행할 코스를 선택하면(S410), 골프 시뮬레이터는 선택된 코스에서 집계된 누적 데이터를 체크할 수 있다(S420). 이 후,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5).First, when a player selects a course to play a golf game through a golf simulator (S410), the golf simulator can check the accumulated data aggregated in the selected course (S420). Thereaft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ccumulated data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S425).

단계(S425)의 판단결과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면 타당 득실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S430), 선택된 코스에 대한 홀 핸디캡 순위를 출력할 수 있다(S440).If the accumulated data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25, a statistical analysis of valid gain and loss may be performed (S430), and the hole handicap ranking for the selected course may be output (S440).

또한, 단계(S425)의 판단결과,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해 해당 홀의 데이터를 집계중임을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할 수 있다(S450). 이 후, 플레이어가 해당 홀에 대한 플레이를 완료한 경우, 플레이 정보를 해당 홀의 데이터로 누적하여 집계할 수 있다(S460).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25, if the accumulated data does not exceed a preset reference amount, the golf simulator may display and guide that the hole data is being aggregated (S450). Thereafter, when the player completes the play for the hole, the play information may be accumulated and accumulated as data of the hole (S46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된 홀 핸디캡 순위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코스 정보 출력 화면(800)에서 해당 코스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hole handicap ranking calcul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may be used to describe the corresponding course on the course information output screen 800 as illustrated in FIG. 8.

또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홀의 개수 별로 홀 핸디 정보(900, 1000)에 상응하게 제공될 수도 있으며, 만약 홀 데이터가 집계중인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홀 핸디 정보(1100)와 같이 집계 중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Also, as illustrated in FIGS. 9 to 10, hole handy information 900 and 1000 may be provided for each number of holes. If hole data is being aggregated, hole handy information 1100 shown in FIG. 11 may be provided. It can also be marked as being aggregated.

이 때, 누적 데이터가 충분히 집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기준량은 자유롭게 설정 변경이 가능하지만, 보다 정확한 핸디캡 순위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소 5회 이하로는 설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t reference amoun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ccumulated data is sufficiently aggregated can be freely changed, but in order to provide a more accurate handicap ranking, it can be set to at least 5 times or less.

이 때, 샷 핸디캡 순위는 전체 코스들 중 샷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t handicap ranking may be given in the order of lowest shot validity among the entire courses.

예를 들어, 골프 시뮬레이터에 총 45개의 코스들이 등록되어 있고, 이 중에서 A 코스에서의 티 샷의 타당 득실 평균이 45개의 코스들 중 5번째로 낮은 수치라고 가정한다면, A 코스에서의 티 샷에 대한 샷 핸디캡 순위는 5에 상응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total of 45 courses are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and the valid average of the tee shots in the A course is the fifth lowest among 45 courses, the tee shots in the A course A shot handicap ranking for 5 may correspond to 5.

이와 같은 샷 핸디캡 순위는 플레이어가 매 샷을 진행할 때마다 해당 샷에 대한 난이도를 즉각적으로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Such a shot handicap ranking can help the player to immediately recognize the difficulty of the shot every time it progresses.

이 때, 도 7을 참조하여 샷 핸디캡 순위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shot handicap ranking with reference to FIG. 7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플레이어가 라운드를 시작하면(S710), 골프 시뮬레이터는 라운드가 시작됨에 따라 진행해야 할 샷에서 집계된 누적 데이터를 체크할 수 있다(S720). First, when the player starts the round (S710), the golf simulator may check the accumulated data from the shot to be progressed as the round starts (S720).

이 후,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725).Thereaft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ccumulated data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S725).

단계(S725)의 판단결과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면 타당 득실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S730) 샷 핸디캡 순위를 출력할 수 있다(S740).If the accumulated data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25, a statistical analysis of valid gain and loss may be performed (S730), and the shot handicap ranking may be output (S740).

또한, 단계(S725)의 판단결과, 누적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해 해당 샷의 데이터를 집계중임을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할 수 있다(S750). 이 후, 플레이어가 해당 라운드에 대한 플레이를 완료한 경우,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샷 데이터를 누적하여 집계할 수 있다(S760).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25, if the accumulated data does not exceed a preset reference amount,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shot may be displayed and guided through the golf simulator (S750). Thereafter, when the player has completed play for the round, shot data may be accumulated and aggregated based on the play information (S760).

이 때, 코스 별 타당 득실 및 홀 별 타당 득실을 각각 샷의 종류 별로 분류한 결과를 기반으로 샷의 종류 별 코스 난이도 및 샷의 종류 별 홀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based on the results of classifying the valid gains for each course and the valid gains for each hole for each type of shot, the cours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and the hol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may be calculated.

예를 들어, 샷의 종류 별 코스 난이도를 기반으로,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코스들 중 티 샷이 어려운 순서대로 코스 핸디캡 순위를 제공하거나, 벙커샷이 어려운 순서대로 코스 핸디캡 순위를 제공할 수도 있다.For example, based on the cours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the course handicap ranking may be provided in the order in which the tee shots are difficult among the entire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or the course handicap ranking in the order in which the bunker shots are difficult. .

다른 예를 들어, 샷의 종류 별 홀 난이도를 기반으로, 플레이어가 선택한 코스에 포함된 전체 홀 중 퍼팅이 어려운 순서대로 홀 핸디캡 순위를 제공하거나 또는 숏게임이 어려운 순서대로 홀 핸디캡 순위를 제공할 수도 있다.For another example, based on the hol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the hole handicap ranking may be provided in the order in which putting is difficult among all holes included in the course selected by the player, or the hole handicap ranking may be provided in the order in which the short game is difficult. have.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다양한 기준에 따른 난이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플레이어가 필요로 하거나 알고자 하는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olf play difficulty that the player needs or wants to know by providing the difficulty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as described above.

메모리(1830)는 평균 스트로크 정보 및 타당 득실 정보를 저장한다.The memory 1830 stores average stroke information and valid gain information.

또한, 메모리(18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mory 1830 stores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ourse of calculating the difficulty of golf 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830)는 골프 시뮬레이터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을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183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mory 1830 may be configured independently of the golf simulator to support a function for calculating golf play difficulty. At this time, the memory 1830 may operate as a separate mass storage, and may include a control functi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한편, 골프 시뮬레이터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을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golf simulator is equipped with a memory and can store information in the device. In one implementation, the memory is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one implementation, the memory may be a volatile memory unit, and in other implementations, the memory may be a non-volatile memory unit. 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is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various different implementations, the storage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hard disk device, an optical disk device, or some other mass storage device.

이와 같은 골프 시뮬레이터를 통해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을 이용하여 산출된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such a golf simula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ed by using players' validity and loss.

또한, 독립적인 수치들을 기반으로 코스, 홀, 샷 각각에 대해 보다 신뢰도 높은 난이도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 more reliable difficulty level can be given to each course, hole, and shot based on independent values.

또한, 플레이어가 자신에게 적합한 유형의 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플레이어의 유형을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결정된 골프 플레이 난이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golf play difficulty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a criterion for classifying a player's type so that the player can select a type of course suitable for him.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bov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200: 코스 난이도 구간 300: 홀 난이도 구간
500: 지형별 점수 600: 샷 난이도 구간
800: 코스 정보 출력 화면 900~1100: 홀 핸디캡 순위
1200~1700: 샷 난이도 정보 1810: 통신부
1820: 프로세서 1830: 메모리
1900: 남은거리 1910: 첫 번째 샷
1920: 두번째 샷 1930: 세번째 샷
1940: 네번째 샷
200: Course difficulty section 300: Hall difficulty section
500: Terrain score 600: Shot difficulty section
800: Course information output screen 900 ~ 1100: Hole handicap ranking
1200 ~ 1700: Shot difficulty information 1810: Communication
1820: processor 1830: memory
1900: Remaining distance 1910: First shot
1920: second shot 1930: third shot
1940: fourth shot

Claims (20)

골프 시뮬레이터(GOLF SIMULATOR)에 등록된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스트로크(STROKE)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체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당 득실 정보를 기반으로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타당 득실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공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1 평균 스트로크 및 상기 현재 공의 위치에서 샷을 소모한 이후에 이동된 공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2 평균 스트로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당 득실 정보는
상기 제1 평균 스트로크에서 소모된 샷과 상기 제2 평균 스트로크를 뺀 값에 상응하는 매 샷 별 타당 득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Generating average stroke information based on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registered in a golf simulator (GOLF SIMULATOR);
Calculating valid gain information of the entire players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And
Calculating the difficulty of golf play based on the valid gain information
Includ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valid profit and loss information is
Obtaining a first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rent ball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and a second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ll moved after consuming the shot at the current ball position; ,
The above valid information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lid score for each shot corresponding to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average stroke and the shot consumed in the first average strok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코스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코스 난이도를 산출하고, 홀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홀 난이도를 산출하고, 샷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샷 난이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ifficulty of the golf play is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course difficulty in consideration of the valid gain for each course, calculating the hole difficulty in consideration of the valid gain for each hole, and calculating the shot difficulty in consideration of the valid gain for each sho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프 플레이 난이도는
상기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업데이트 가능한 상대적 난이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olf play difficulty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relative difficulty that can be updated as the play information of all the players is updat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스 난이도는 해당 코스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코스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되고, 상기 홀 난이도는 해당 홀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홀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되고, 상기 샷 난이도는 해당 샷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샷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urse difficulty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which section of the course difficulty section in which the valid gain of the corresponding cours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course difficulty level, and the hole difficulty level corresponds to which section of the hole difficulty section in which the valid gain of the corresponding hol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ction It is determined, and the shot difficulty is 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which section of the shot difficulty section for the validity of the shot is se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은
상기 골프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코스 난이도에 상응하는 코스 핸디캡 순위, 상기 홀 난이도에 상응하는 홀 핸디캡 순위 및 상기 샷 난이도에 상응하는 샷 핸디캡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cours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course difficulty, a hol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hole difficulty, and a shot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shot difficulty based on the golf simulator. How to calculate the difficulty of playing golf.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코스 핸디캡 순위는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코스들 중 코스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되고, 상기 홀 핸디캡 순위는 코스를 구성하는 9홀 또는 18홀 중 홀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되고, 상기 샷 핸디캡 순위는 상기 전체 코스들 중 샷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course handicap ranking is given in order of lowest course validity among all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and the hole handicap ranking is given in order of lowest hole validity among 9 holes or 18 holes constituting the course, and the The shot handicap ranking is a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ts are given in descending order of shot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샷 난이도는
상기 골프 시뮬레이터에 의한 추천 클럽과 지형 조건을 더 고려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above shot difficulty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recommended club and terrain conditions by the golf simulat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코스 별 타당 득실 및 상기 홀 별 타당 득실을 각각 샷의 종류 별로 분류한 결과를 기반으로 샷의 종류 별 코스 난이도 및 샷의 종류 별 홀 난이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ifficulty of the golf play is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cours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and the hol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based on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valid gain for each course and the valid gain for each hole for each type of sho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는
홀 컵까지 남은 직선거리, 샷의 종류 및 지형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플레이 난이도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Golf play difficulty calcu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ed based on the categor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traight distance remaining to the hole cup, the type of shot and the type of terrain.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스트로크(STROKE)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체 플레이어들의 타당 득실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타당 득실 정보를 기반으로 골프 플레이 난이도를 산출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 및 상기 타당 득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공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1 평균 스트로크 및 상기 현재 공의 위치에서 샷을 소모한 이후에 이동된 공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2 평균 스트로크를 획득하고,
상기 타당 득실 정보는
상기 제1 평균 스트로크에서 소모된 샷과 상기 제2 평균 스트로크를 뺀 값에 상응하는 매 샷 별 타당 득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터.
Processor that generates average stroke (STROKE) information based on the play information of all players, calculates valid gain information of the entire players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and calculates golf play difficulty based on the valid gain information ; And
Memory for storing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and the valid gain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cessor
Based on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obtain a first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ball position and a second average stroke corresponding to the moved ball position after consuming the shot at the current ball position,
The above valid information
And a valid gain for each shot corresponding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average stroke and the shot consumed from the first average strok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코스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코스 난이도를 산출하고, 홀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홀 난이도를 산출하고, 샷 별 타당 득실을 고려하여 샷 난이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processor
Golf simulator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course difficulty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for each course, calculating a hole difficulty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for each hole, and calculating a shot difficulty in consideration of a valid gain for each sho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골프 플레이 난이도는
상기 전체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업데이트 가능한 상대적 난이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golf play difficulty
Golf simulator, characterized in that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difficulty that can be updated as the play information of all the players is updat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코스 난이도는 해당 코스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코스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되고, 상기 홀 난이도는 해당 홀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홀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되고, 상기 샷 난이도는 해당 샷의 타당 득실이 기설정된 샷 난이도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상응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course difficulty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which section of the course difficulty section in which the valid gain of the corresponding cours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course difficulty level, and the hole difficulty level corresponds to which section of the hole difficulty section in which the valid gain of the corresponding hol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ction It is determined, and the shot difficulty is a golf sim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idity of the shot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which section of the predetermined shot difficulty sec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골프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코스 난이도에 상응하는 코스 핸디캡 순위, 상기 홀 난이도에 상응하는 홀 핸디캡 순위 및 상기 샷 난이도에 상응하는 샷 핸디캡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processor
Golf simulator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cours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course difficulty, a hole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hole difficulty, and a shot handicap ranking corresponding to the shot difficulty based on the golf simulator.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코스 핸디캡 순위는 골프 시뮬레이터에 등록된 전체 코스들 중 코스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되고, 상기 홀 핸디캡 순위는 코스를 구성하는 9홀 또는 18홀 중 홀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되고, 상기 샷 핸디캡 순위는 상기 전체 코스들 중 샷 타당 득실이 낮은 순서대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The course handicap ranking is given in order of lowest course validity among all courses registered in the golf simulator, and the hole handicap ranking is given in order of lowest hole validity among 9 holes or 18 holes constituting the course, the Shot handicap ranking is a golf sim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ts are given in the order of lower scores among the entire course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샷 난이도는
상기 골프 시뮬레이터에 의한 추천 클럽과 지형 조건을 더 고려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he above shot difficulty
Golf simulator,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recommended club and terrain conditions by the golf simulato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스 별 타당 득실 및 상기 홀 별 타당 득실을 각각 샷의 종류 별로 분류한 결과를 기반으로 샷의 종류 별 코스 난이도 및 샷의 종류 별 홀 난이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processor
Golf simulator for calculating the cours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and the hole difficulty for each type of shot based on a result of classifying the valid gain for each course and the valid gain for each hole for each type of shot.
삭제delet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평균 스트로크 정보는
홀 컵까지 남은 직선거리, 샷의 종류 및 지형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average stroke information
Golf simulator,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ed based on the categor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traight distance remaining to the hole cup, the type of shot and the type of terrain.
KR1020180144279A 2017-11-21 2018-11-21 Method for calculating golf play difficult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10971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517 2017-11-21
KR20170155517 2017-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363A KR20190058363A (en) 2019-05-29
KR102109719B1 true KR102109719B1 (en) 2020-05-12

Family

ID=6667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279A KR102109719B1 (en) 2017-11-21 2018-11-21 Method for calculating golf play difficult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7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371B1 (en) * 2021-03-26 2023-07-05 주식회사 에스지엠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practice mode and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319B1 (en) * 2012-05-10 2013-07-04 (주) 골프존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golf simulation measuring golf ability of the user
JP2014512219A (en) * 2011-04-05 2014-05-22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System for analyzing golf data
US20150231476A1 (en) * 2009-06-15 2015-08-20 Schalk J. Leonard Golf Stroke Trai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809A (en)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삼정텍 Apparatus for screen golf and system for screen gol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1476A1 (en) * 2009-06-15 2015-08-20 Schalk J. Leonard Golf Stroke Training Device
JP2014512219A (en) * 2011-04-05 2014-05-22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System for analyzing golf data
KR101282319B1 (en) * 2012-05-10 2013-07-04 (주) 골프존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golf simulation measuring golf ability of the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363A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233B1 (en) Golf Guide System
US20110190078A1 (en) Active Play Interactive Game System
JP5686449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529380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golf club recommendation
US201202956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JP71942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Golf Shot for a User
KR101019862B1 (en)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8435140B1 (en) Method of fitting a golf club to a golfer
KR101019803B1 (en) Apparatus for virtual golf simul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109719B1 (en) Method for calculating golf play difficult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3005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golf information
KR100972828B1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user history information
KR102224182B1 (en) User terminal and golf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180837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230040319A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golf system
KR102109718B1 (en) Method for providing golf play service based on golf play typ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520108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30134921A (en) Distance measuring and scoring management system using gps of golf
KR102109717B1 (en) Method for calculating stroke gain using golf simulato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739279B1 (en) Method for providing golf information
KR1014496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on screen golf
KR102442476B1 (en)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golf play information
KR102459669B1 (en) Golf cours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quest
WO2005118082A1 (en) Dynamic golf club selection system
KR102372299B1 (en) An outdoor golf practice method in which a golf course is displayed, and a portable device/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