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61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618B1
KR102109618B1 KR1020130111929A KR20130111929A KR102109618B1 KR 102109618 B1 KR102109618 B1 KR 102109618B1 KR 1020130111929 A KR1020130111929 A KR 1020130111929A KR 20130111929 A KR20130111929 A KR 20130111929A KR 102109618 B1 KR102109618 B1 KR 102109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application program
terminal
stat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2429A (en
Inventor
이영재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30111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618B1/en
Publication of KR2015003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4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설정 관리를 위한 단말기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제스처 감지부, 단말기의 특정 기능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감지하는 단말 상태 감지부 및 감지된 제스처에 따라 단말기의 특정 기능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에 필요한 단말기의 기능을 확인하는 응용프로그램 관리부 및 기능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for sett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stu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gesture input, a terminal status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a specific function setting of the terminal, and activation / setting of a specific function setting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gesture. It includes a terminal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deactivation state, and may further include an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for checking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unction list.

Figure R1020130111929
Figure R1020130111929

Description

단말기 및 단말기의 설정 관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DEVICE}Terminal and terminal setting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의 설정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an interface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n interface for providing convenience for setting of a mobile terminal.

모바일 단말은 하드웨어의 발전과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화자 간의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본적인 전화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 관련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는 MP3나 동영상을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감상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차 내비게이션으로 이용하거나, 다양한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hardware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 mobile terminal can function as a basic telephon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call data between speakers, and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to users through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For example, through an MP3 player or a video player related application, a user can watch an MP3 or video using a mobile terminal, and use the navigation application as a car navigation system or enjoy various games.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은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전체화면으로 구동되거나 부분화면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화면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에서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실행중에 모바일 단말의 기능을 설정(또는 설정 변경)하기 위해서는 설정 메뉴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필요로 하는 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에서 빠져 나오거나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중지한 후 설정 메뉴 인터페이스로 진입하여야 한다. 한편, 설정의 편의성을 위해 하드웨어 키 조합으로 단축키(Hot Key)를 제공하고 있지만, 일부 기능(예를 들어 볼륨)에 제한되는 등 확장성에 제약이 있다.The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may be driven in a full screen or a partial screen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application program, and may be execut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screen. In general, in order to set (or change settings) a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while an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a setting menu interface must be executed to activate or deactivate a required function. After exiting the program screen or temporarily stopping the running application, you must enter the setting menu interface. 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setting, a hot key is provided as a hardware key combination, but scalability is limited, such as being limited to some functions (for example, volume).

현재 모바일 단말은 WIFI, GPS, NFC 및 자동 화면 회전 기능 등과 같은 특정 기능을 전력소모나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기능의 일부 또는 전체를 꺼놓은 비활성화 상태에서 특정 기능이 필요할 때만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특정 기능의 일부를 비활성화시킨 상태에 따라 동작의 제약을 받는 즉,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또는 사용 중 해당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빠져나와 설정 메뉴 인터페이스로 진입한 후 직접 수동으로 설정 메뉴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기능을 다시 활성화시켜야 한다. 특히, 갤러리와 같이 화면이 전체 화면(Full Screen)으로 출력되는 응용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에서 빠져나간 후 설정을 다시 해주어야 한다. 또한,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하여도, 일단 활성화시킨 특정 기능은 응용프로그램 종료 후에서도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다시 수동으로 꺼주는 과정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Currently, a mobile terminal often activates a function only when a specific function is needed in a deactivated state in which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are turned off for power consumption or ease of use of certain functions such as WIFI, GPS, NFC, and automatic screen rotation. In this way, if a part of a specific function is deactivated depending on the state of deactivation, that is, when the function is required while the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or used, the user exits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nd enters the setting menu interface. You must manually re-enable the feature through the settings menu interfa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program in which the screen is output in full screen, such as a gallery, the user must reset the settings after exiting the application program screen. In addition, even when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since the specific function once activated remains in the active state even after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there is a inconvenience in that a process of manually turning off the function again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 2012-0007853은 이벤트가 감지되면, 가로보기 모드에서 메시지 보관함 간 이동 및 세로보기 모드 변경 후 가로보기 모드로 복귀를 포함하는 설정된 이벤트를 발생하는 기술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벤트에 의해 모바일 단말을 제어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나, 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각각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에 대응하지 않으며, 모바일 단말이 구비하고 있는 다수의 기능과 비교 확인하지 않는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07853 describes a technique for generating a set event including moving between message archives in landscape view mode and changing to portrait view mode and returning to landscape view mode when an event is detected. Although it includes a technique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by an event, it does not correspond to a function required by each of two or more application programs, and is not compared with a plurality of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한국공개특허 2012-0007853Korea Patent Publication 2012-000785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개별적인 설정 없이, 다수의 응용프로그램 각각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에 대응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이 구비한 다수의 기능과 필요로 하는 기능을 서로 비교 확인하여 대응시켜 응용프로그램 기능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설정 관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rrespond to a function required by each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without individually sett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plurality of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a required function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confirm. This is to provide convenience of application program functions and to provide automatic configuration management technology that can improve us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설정 관리를 위한 단말기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제스처 감지부, 단말기의 특정 기능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감지하는 단말 상태 감지부 및 감지된 제스처에 따라 단말기의 특정 기능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에 필요한 단말기의 기능을 확인하는 응용프로그램 관리부 및 기능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 감지부는 단말기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 장치를 통해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장치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근접 감지 센서, 카메라,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및 음성 인식 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for sett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stu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gesture input, a terminal status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a specific function setting of the terminal, and activation / setting of a specific function setting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gesture. It includes a terminal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deactivation state, and may further include an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for checking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unction list. The gesture detection unit may detect a gesture input through one or more sensor devices provided in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sensor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amera, a touch screen interface, and a voice recognition device.

응용프로그램 관리부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상태를 감시하며, 사용자의 설정 값, 속성 정보 및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에 필요한 단말기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응용프로그램 관리부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종료 여부 및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지 여부를 감시한다.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monitors the status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nd can check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from at least one of a user's setting value, attribute information, and authority information. Then,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monitors whether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and whether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running in the foreground.

단말 제어부는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에 필요한 단말기의 기능에 대하여 기능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면, 기능 설정의 변경된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원래대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는 단말기의 기능 설정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거나,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 실행으로 전환되면, 기능 설정의 변경된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원래대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에 필요한 단말기의 기능은 자동 화면회전 기능, 무선통신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및 GPS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may change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function setting for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and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the changed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function setting may be changed to the original state. And, the terminal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change the function settings of the terminal to the active state. In addition,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or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switched to background execution in the foreground, the terminal control unit may switch the changed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function setting to the original state. Further,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utomatic screen rotation func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 GPS function.

본 발명에서 제스처 입력은 단말기에 대한 물리적인 입력,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입력, 동작 입력 및 음성 입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단말기의 표면을 소정의 횟수 두드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스처 감지부는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입력을 위한 입력 방식 및 입력 방식에 따른 세부적인 제스처를 수신받아 제스처 입력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sture inpu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hysical input to a terminal, a touch screen interface input, a motion input and a voice input, and is characterized by tapping the surface of the terminal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addition, the gesture detection unit may receive a detailed gesture according to an input method and input method for gesture input from a user and set gesture input.

만약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에 필요한 단말기의 기능이 복수인 경우, 응용프로그램 관리부는 각 기능을 확인하고, 단말 제어부는 확인된 각 기능에 대한 기능 리스트를 출력한다.If there are a plurality of functions of the terminal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checks each function, and the terminal control unit outputs a function list for each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단말기의 설정 관리 방법은 먼저,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단말기의 특정 기능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감지된 제스처에 따라 단말기의 특정 기능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입력을 위한 입력 방법 및 상기 입력 방법에 따른 세부적인 제스처 입력을 입력받아 상기 제스처 입력을 설정하는 과정과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에 필요한 단말기의 기능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상태를 감시하는 과정과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상태가 변경되면, 기능 설정의 변경된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원래대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anaging the setting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etects the gesture input, and when the gesture input is detected, checks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specific function setting of the terminal. Then,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specific function setting of the termi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cted gesture. 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 of setting the gesture input by receiving an input method for a gesture input from a user and a detailed gesture input according to the input method, and a function of a terminal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Can be. In addition, the process of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nd when the status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changed,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 of switching the changed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us of the function setting to the original state.

기능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은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에 필요한 단말기의 기능에 대하여 기능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은 단말기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 장치를 통해기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function setting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function setting for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In the process of sensing the gesture input, the gesture input may be detected through one or more sensor devices provided in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단말기의 설정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먼저,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고, 단말기의 자동 화면회전 기능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제스처에 따라 단말기의 자동 화면회전 기능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한다. 각각의 과정은 특정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중에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거나,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 실행으로 상태가 변경된 경우 자동 화면회전 기능의 변경된 활설화/비활성화 상태를 원래대로 전환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aging a terminal setting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etects a gesture input and detects an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automatic screen rotation function setting of the terminal. Then,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automatic screen rotation function setting of the termi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cted gesture. Each process can be performed only during the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In addition,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or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running in the foreground is changed to background execution, the changed active / disabled state of the automatic screen rotation function may be switched to the original state.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 및 자동 설정 관리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개별 응용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제스처 입력을 따로 설정할 필요없이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요구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응용프로그램 실행중에 필요한 요구 기능을 켜기 위해 설정 메뉴를 호출하여 해당 요구 기능을 일일이 활성화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면, 활성화된 요구 기능이 다시 비활성화되어, 해당 기능을 직접 비활성화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항상 요구 기능이 비활성화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막아 모바일 단말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rough the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device and the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ctivates the request function requir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set the gesture input for each individual application program. can do.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ctivating the required function individually by calling the setting menu to turn on the required function while the application is running. In addition, when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the activated request function is deactivated again, thereby eliminating the hassle of directly disabling the function, and since the request function is always disable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prevented and power efficiency of the mobile terminal is prevented. Can increa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 관리를 위한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관리를 위한 단말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의 자동회전 기능을 사용하는 이미지 뷰어 응용프로그램에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가 탑재된 모바일 단말의 웹 브라우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단말기의 설정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rminal for sett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 terminal for setting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an image viewer application program using an automatic rotation function of an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web browser of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settings of a terminal according to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에서의 기능 및 효과를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업계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명시된 경우에는 명시된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경우,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and effect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or industry customs. Therefore, the meanings of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hen specifically specifi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ed definition, and if not specifically,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 관리를 위한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rminal for sett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설정 관리를 위한 단말기는 제스처 감지부(110),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 단말 상태 감지부(130) 및 단말 제어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terminal for sett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sture detection unit 110, an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a terminal status detection unit 130, and a terminal control unit 140.

제스처 감지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또는 입력)되는 소정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한다.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스처(Gesture)를 모바일 단말에 입력한다.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스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의 특정 영역을 연속 2회 두드리는 동작을 소정의 제스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을 흔들거나, 모바일 단말을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거나,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플리킹 또는 스크롤하는 등의 동작을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구현 가능한 제스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gesture detector 110 detects a predetermined gesture input received (or input) from a user.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gesture to the mobile terminal 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is running. The predetermined gesture may be set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user request. For example, an operation of tapping a specific area of the mobile terminal twice consecutively may be set as a predetermined gesture, shaking the mobile terminal, tilting the mobile terminal in a specific direction, flicking or scrolling the display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etc. It may include all the gestur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operation of.

그리고, 제스처 감지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입력에 대한 입력 방식 및 세부적인 제스처 입력(제스처의 종류 또는 형태)을 수신받아 제스처 입력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제스처 입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에 대한 물리적인 입력,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터치 입력, 카메라 또는 근접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한 동작 입력 및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스처 입력에 대한 입력 방식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입력 방식을 이용한 세부적인 제스처 입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스처 입력을 위한 입력 방식으로 물리적인 입력을 선택하고, 세부적인 제스처 입력으로 모바일 단말의 외부를 두 번 두드리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제스처 입력을 위한 입력 방식으로 음성 입력을 선택하고, 세부적인 제스처 입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 명령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스처 감지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입력을 위한 입력 방식을 수신받고, 수신받은 입력 방식에 따른 세부적인 제스처 입력을 수신받아, 제스처 입력을 설정할 수 있다. 제스처 감지부(110)에서 설정되는 제스처 입력은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리적인 입력, 음성 입력 및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입력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로 구현 가능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sture detector 110 may set a gesture input by receiving an input method for a gesture input and a detailed gesture input (a type or form of gesture) from a user. Gesture input by the user may include physical input to a mobile terminal, touch input using a touch screen interface, motion input using a camera or proximity sensor, and voice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et an input method for gesture input, and set a detailed gesture input using the set input method.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a physical input as an input method for gesture input, and tap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twice with detailed gesture input. Alternatively, the user may select a voice input as an input method for gesture input, and set a voice command desired by the user with detailed gesture input. As such, the gesture detector 110 may receive an input method for gesture input from a user, receive detailed gesture input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method, and set a gesture input. The gesture input set by the gesture detector 11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and may include input that can be implemented by a mobile terminal including physical input, voice input, and touch screen interface input.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는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여러 센서 장치들을 통해 측정되고,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여러 센서 장치에 의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스처 감지부(110)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센서 장치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 제스처 감지부(110)는 제스처 감지를 위한 센서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센서 장치들과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은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근접 감지 센서 및 조도센서(Light Sensor)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단말을 2회 두드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통해 모바일 단말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로부터 2회 두드리는 제스처가 입력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스처 입력은 모바일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두드림이나 흔듬과 같은 물리적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은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와 같은 음성 센서 장치를 통해 수집된 음성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스처 입력은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물리 버튼을 통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스처 입력은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와 같은 장치를 통해 수집된 동작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 감지부(110)는 이와 같은 제스처 입력이 감지 결과를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에 전달한다.The gesture input from the user is measured through various sensor device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gesture detector 110 can detect the gesture input based on the sensor data measured by the various sensor device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 Alternatively, the gesture input may be detected using sensor data collected through a separate sensor device.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esture detection unit 110 may include sensor devices for gesture detection, or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sensor devices. The mobile terminal can detect a gesture input from a user through a gyro sensor, an accelerometer, a geo-magnetic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 light sensor. For example, when a gesture of tapping the mobile terminal twice from the user is input,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s detected through the gyro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gesture of tapping twice from the user is detected. can do. That is, the gesture input may include physical input such as tapping or shaking of the user on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gesture input input from the user may include voice input collected through a voice sensor device such as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gesture input may include a predetermined touch input or drag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interface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may include input through a physical butto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gesture input may include motion input collected through a device such as a camera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gesture detection unit 110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gesture input to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제스처 감지부(110)로부터 제스처 입력 감지 결과가 수신되면, 현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을 감지한다.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은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여러 가지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뷰어 응용프로그램이나 이미지 출력 프로그램(예를 들어 갤러리)은 모바일 단말이 놓여있는 방향에 따라 화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자동화면 회전 기능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응용프로그램은 GPS를 필요로 하거나, 음악 스트리밍 응용프로그램은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기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현재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요구 기능이 무엇인지를 감지한다.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은 응용프로그램마다 미리 결정/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각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기능이 설정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은 응용프로그램의 속성 정보 또는 권한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속성 정보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OS의 경우 메니페스트(manifest)일 수 있다. 또한, 응용프로그램의 권한 정보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OS의 경우 퍼미션(permission) 정보일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 중 최상위, 즉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 관리부가 실행중인 전체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을 감지할 수도 있다. When the gesture input detection result is received from the gesture detection unit 110,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detects a request function of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program. The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may require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each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an image viewer application or an image output program (for example, a gallery) may require an automatic surface rotation function to rotate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and the navigation application needs GPS. Or, a music streaming application may require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Therefore,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detects what a required function is requir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currently being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request func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determined / set in advance for each application program, and the request function for each application program may be set by the user.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confirmed through attribute information or authority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for example, a manifest in the case of the Android OS. Further, the permiss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for example, permission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ndroid OS.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20 detects a request function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highest level, that is, in the foreground, among the running applica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ntir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is running. It can also detect the requir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응용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 특정한 기능 또는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에 구현된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program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functions implemented in a mobile terminal, as well as all kinds of programs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by a user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or a specific task.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요구 기능을 감지하여, 감지된 응용프로그램 요구 기능 정보를 단말 상태 감지부(140)로 전달한다.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detects a request function requir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nd transmits the detected application program request func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tate detection unit 140.

그리고,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가 변경되면, 응용프로그램 종료 사실을 단말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 제어부(140)에 의해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요구 기능이 활성화된다. 하지만, 활성화된 기능은 사용자가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해 놓은 기능이기 때문에,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면, 단말 제어부(140)는 해당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다시 전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 종료 후, 해당 기능을 직접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미처 비활성화하지 못한 기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 중 최상위, 즉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 관리부가 실행중인 전체 응용프로그램의 상태를 감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continuously monitors the status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nd when the execution status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changed, the application termin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quest function requir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by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is activated. However, since the activated function is a function set by the user in an inactive state,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switches the function back to the inactive state. Through this, the user has no hassle of switch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the inactive state directly after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and can prevent a problem that may occur due to a function that has not been deactivated.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20 is preferable to monitor the status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top level, that is, in the foreground, among the running applica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ntire application being executed by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You can also monitor the status of the program.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최상위, 즉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중인 상태로 전환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단말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중인 상태로 전환된 경우, 단말 제어부(140)는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원래대로(예를 들어 비활성화 상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백그라운드(background) 실행으로 전환되었던 응용프로그램이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실행으로 다시 전환된 경우, 단말 제어부(140)는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이전 상태(예를 들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단말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detects whether the application program running in the highest level, that is, the foreground, has been switched to the running state in the background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It might be. In this case, when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foreground is switched to the running state in the background,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resets the 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eg, deactivated) State) can be switched. At this time,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that has been switched to the background execution is switched back to the foreground execu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sets the 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to a previous state (for example, an inactive state). You can switch 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may detect an application program running in the foreground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즉,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 변화를 감시하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하거나, 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가 포어그라운드에서 백그라운드로 전환됨에 따라 요구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응용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에서 포어그라운드로 다시 전환되는 경우, 비활성화된 요구 기능을 다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에 따른 요구 기능의 활성화 여부는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하다.단말 상태 감지부(130)는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로부터 응용프로그램 요구 기능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응용프로그램 요구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의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감지한다. 모바일 단말은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기능,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통신 관련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GPS, 음성인식 기능 및 자동화면 회전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 모두를 항상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은 모바일 단말의 전력을 소모하거나,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의 낭비를 불러올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의 전력 효율을 높이거나 사용의 편의성 등의 목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각각의 기능은 개별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 상태 감지부(130)는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로부터 수신된 응용프로그램 요구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이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단말 상태 감지부(130)는 확인된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기능 활성화 상태 정보를 단말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That is,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monitors a change in the execution state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nd changes the 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 function as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ends or the execu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program changes from the foreground to the background. You can revert to the previous state. In addition,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switched from the background to the foreground again, the deactivated request function may be switched back to the activated state. Whether the request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freely set.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request fun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the terminal state detection unit 130 receives the received application program function information Based on this, the activation state of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is detected.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communication-related functions such a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GPS,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utomatic face rotation function. can do. In this way, all of the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set to the active state and used. However, such various functions may consum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or cause unnecessary waste of data communication, and may cause inconvenience in use depending on the user. Accordingly, each function may be individually activated or deactivated by a user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power efficiency of the mobile terminal or convenience of use. The terminal state detection unit 130 detects whether the function requested by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or deactivated based on the application request fun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Then, the terminal status detecting unit 130 transmits the function activ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he identified function is activated to the terminal controller 140.

단말 제어부(140)는 단말 상태 감지부(130)로부터 수신된 기능 활성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이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여러 기능은 전력 효율 및 사용의 편의성 등의 이유로 개별 사용자마다 활성화 상태가 다르다. 사용자에 따라서, 모든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해 놓거나, 상당수의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해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거나,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단말 제어부(140)는 수신된 기능 활성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여러 기능 중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request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is in the activated state based on the function activation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state detection unit 130.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have different activation states for individual users for reasons such as power efficiency and ease of use. Depending on the user, all functions may be set to an active state, or a number of functions may be set to an inactive state. Therefore, in order for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to operate normally or to provide an effective service to the user, the function requir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must be activat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a function requir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is activated amo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function activation state information.

만약,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여러 기능 중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단말 제어부(140)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을 활성화한다. 한편, 단말 제어부(140)에 의해 활성화된 기능은 사용자가 해당 기능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해 놓았던 기능이기 때문에,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해당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행중인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면, 단말 제어부(140)는 해당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다시 전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 종료 후, 해당 기능을 직접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미처 비활성화하지 못한 기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If a function requir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is deactivated amo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activates a function requir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unction activated by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is a function in which the user set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an inactive state, when the execu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ends, the user must switch the function back to the inactive state.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is terminat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switch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back to the inactive state. Through this, the user has no hassle of switch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the inactive state directly after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and can prevent a problem that may occur due to a function that has not been deactivated.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단말 제어부(140)는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지는 않았지만 백그라운드(background) 실행으로 전환된 경우에도,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원래의 설정대로(예를 들어 비활성화 상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가 백그라운드(background) 실행에서 다시 포어그라운드 실행(foreground) 실행으로 전환된 경우, 단말 제어부(140)는 별도의 제스처 입력이 없어도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의해 전환된 상태로(예를 들어 활성화 상태) 다시 전환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원래의 설정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이 있으면 요구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전환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erminal controller 140 does not terminate the application program running in the foreground (foreground), but when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even when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the background (background) execution ,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o the original setting (for example, the inactive state). In addition, when the execu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switched from the background execution to the foreground execution again,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displays the 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even without a separate gesture input. It is also possible to switch back to the switched state (eg, activated state) by the user's gesture input. Of course, in this case, the 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ay be maintained in the original setting state, and if the user's gesture input is present, the 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ed function may be switched.

실시예에 따라, 단말 제어부(140)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 중 비활성화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지만 않고, 활성화된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즉, 단말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따라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에 대해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스위칭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may not switch the deactivated function among the requested functions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to the activated state, but may also switch the activated function to the deactivated state. That is,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may switch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for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input.

본 발명에 따른 설정 관리를 위한 단말기는 제스처 감지부(110),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 단말 상태 감지부(130) 및 단말 제어부(140)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단말 제어부(140)로부터 수신된 기능 리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요구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기능 리스트를 모바일 단말에 표시한다. 실시예에 따라,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이 복수인 경우, 또는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 단말 제어부(140)는 요구 기능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제어부(140)는 단말 상태 감지부(130)로부터 전송된 기능 활성화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요구 기능 리스트에 각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예를 들어 활성화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복수인 경우, 단말 제어부(140)는 요구 기능 리스트를 실행중인 각 응용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요구 기능 리스트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변경한 정보에 따라 각 요구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경우, 단말 제어부(140)는 종료된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에 대하여 전환된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원래대로 변경할 수 있다.A terminal for sett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sture detection unit 110, an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a terminal status detection unit 130, and a terminal control unit 140, and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150 Can be.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a function list, which is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a plurality of requested functions, on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function list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request functions of an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are executed, or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re being execut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a list of request functions on the display unit 150. At this time,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may use the function activation stat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tatus sensing unit 130 to display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us (eg, activation status) of each function in the requested function list.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unning application programs,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the requested function list separately for each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may change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 function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may switch each request function to an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according to information changed by the user can do. In addition,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may change the activated / deactivated state switched to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terminated application program.

한편, 실행중인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이 특정 기능을 공통적으로 요구 기능으로 하는 경우, 실행중인 복수의 응용프로그램 중 일부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더라도 해당 기능을 요구 기능으로 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중이라면, 단말 제어부(140)는 해당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원래의 상태로 변경하지 않고, 전환된 상태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 A, 응용프로그램 B, 응용프로그램 C, 응용프로그램 D, 4개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중이고, 응용프로그램 A와 응용프로그램 B가 공통적으로 기능 X를 요구 기능으로 하여 기능 X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응용프로그램 A가 종료되었으나 응용프로그램 B가 여전히 실행 중이라면, 단말 제어부(140)는 기능 X를 원래 설정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a plurality of running application programs have a specific function as a request function in common, if some applications among the plurality of running application programs are terminated, the terminal control unit ( 140) may maintain the inverted state without changing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the original state. For example, application A, application B, application C, application D, and 4 applications are running, and application A and application B have function X as the required function in common, and function X is activated. In the switched state, if the application program A is terminated but the application program B is still running,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may maintain the function X in the activated state without switching to the originally set inactive state.

상기 실시예는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경우 외에도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실행과 백그라운드(background) 실행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예시와 같은 경우, 응용프로그램 A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다가 백그라운드(background) 실행으로 전환된 경우, 단말 제어부(140)는 기능 X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원래의 설정대로(얘를 들어 비활성화)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 기능 X를 요구 기능으로 하는 응용프로그램 B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실행으로 함께 전환되었다면 응용프로그램 B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 기능 X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원래의 설정대로 전환하지 않고 변경되었던 상태로(예를 들어 활성화)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the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the above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execu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program is switched to foreground execution and background execution.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above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A is executed in the foreground and then switched to background execu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sets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function X to the original setting. It is desirable to switch (inactive for example). However, in this case, if the application B having the function X as the required function was switched to the foreground execution,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function X was changed without switching to the original setting for ease of use of the application B. It can be kept in a state (eg, activa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관리를 위한 단말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 terminal for setting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관리를 위한 단말기 는 먼저, 제스처 감지부(11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한다(201).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스처(Gesture)를 모바일 단말에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스처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모바일 단말의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의 특정 영역을 연속 2회 두드리는 동작을 소정의 제스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을 흔들거나, 모바일 단말을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소정의 제스처로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terminal for setting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etects a gesture input input from a user by the gesture detector 110 (201). The user may input or select a predetermined gesture in the mobile terminal 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is running. The predetermined gesture may be set by a user or a manufacturer of a mobile terminal, and may be set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user request. For example, an operation of tapping a specific area of the mobile terminal twice consecutively may be set as a predetermined gesture, and an operation of shaking the mobile terminal or tilting the mobile terminal in a specific direction may be set as a predetermined gesture.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는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여러 센서 장치들을 통해 측정되고,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여러 센서 장치에 의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스처 감지부(110)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근접 감지 센서 및 조도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단말을 2회 두드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계를 통해 모바일 단말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로부터 2회 두드리는 제스처가 입력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스처 감지부(110)는 자동 설정 기능 시작을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에 알린다(202).The gesture input from the user is measured through various sensor device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gesture detector 110 can detect the gesture input based on the sensor data measured by the various sensor device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 The mobile terminal may detect a gesture input from a user through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For example, when a gesture of tapping the mobile terminal twice from the user is input,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s detected through a gyro sensor and an accelerometer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to detect that a gesture of tapping twice from the user is input. Can be. When a gesture input from the user is detected, the gesture detection unit 110 notifies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20 that the automatic setting function starts (202).

제스처 감지부(110)에 의해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어 자동 설정 기능이 시작되면,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현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을 감지한다(203).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은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여러 가지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뷰어 응용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이 가로 방향으로 놓여있는지 또는 세로 방향으로 놓여있는지에 따라 이미지 화면의 방향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지 뷰어 응용프로그램이 이미지 화면을 모바일 단말이 놓여있는 방향에 맞추어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의 자동화면 회전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When a gesture input is detected by the gesture detection unit 110 and the automatic setting function is started, the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20 detects a request function of the currently executing application (203). The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may require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each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the image viewer application may adjust the direction of the image screen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in order for the image viewer application to rotate the image screen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the automatic face rotation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must be activated.

그리고, 내비게이션 응용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GPS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현재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요구 기능이 무엇인지를 감지한다. 또한, 응용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WIFI 기능, 블루투스 기능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과 같은 통신 기능을 필요로 하거나, 음성 인식 기능과 같은 기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그 외,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요구 기능을 감지하여, 감지된 응용프로그램 요구 기능 정보를 단말 상태 감지부(140)로 전달한다(204).In addition, the navigation application program must have the GPS functio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ctivated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refore,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detects what a required function is requir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currently being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application program,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WIFI function, a Bluetooth function, and a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may be required, or a function such as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may be required. 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detects a request function requir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nd transmits the detected application program request func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tate detection unit 140 (204).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로부터 응용프로그램 요구 기능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 상태 감지부(130)는 수신된 응용프로그램 요구 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의 기능 활성화 상태를 감지한다(205). 모바일 단말은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기능,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통신 관련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GPS, 음성인식 기능 및 자동화면 회전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 모두를 항상 활성화상태로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은 모바일 단말의 전력을 소모하거나,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의 낭비를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의 전력 효율을 높이거나 사용의 편의성 등의 목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각각의 기능을 개별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 상태 감지부(130)는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로부터 수신된 응용프로그램 요구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기능이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단말 상태 감지부(130)는 확인된 기능의 활성화 상태 감지 여부를 포함하는 기능 활성화 상태 정보를 단말 제어부(140)로 전달한다(206).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request fun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the terminal state detection unit 130 detects the function activ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pplication program request function information (205).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related functions such a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GPS,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utomatic surface rotation function. Can be. In this way, all of the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always be set to the active state and used. However, various functions such as this may consum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or waste unnecessary data communication. Accordingly, each function may be individually activated or deactivated by a user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power efficiency of the mobile terminal or convenience of use. The terminal status detection unit 130 checks what function is request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the application request fun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ecked function is activated or deactivated Detects. Then, the terminal state detection unit 130 transmits the function activati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he activated state of the identified function is detected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206).

단말 상태 감지부(130)로부터 기능 활성화 상태 정보를 수신한 단말 제어부(140)는 수신된 기능 활성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이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207). 만약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라면, 단말 제어부(140)는 요구 기능을 활성화한다(208). 종래에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이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설명 메뉴를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시켜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는 단말 제어부(1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요구 기능을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장치를 통해 동영상을 감상할 때, 모바일 단말의 자동회전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자동회전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면 GPS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동영상 스트리밍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면 WIFI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function activ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tatus sensing unit 130,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request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is in the activation status based on the received function activation status information (207). If the function request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inactive,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activates the request function (208).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activate a function required by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the user had to activate the function through a description menu. However, the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activates the request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For example, when watching a video through a video playback device, if the auto-rotation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disabled, the auto-rotation function can be activated, and when the navigation application is launched, the GPS function is activated or the video streaming application When the program runs, you can activate the WIFI function.

단말 제어부(140)에 의해 요구 기능이 활성화되면,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209). 그리고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하면, 응용프로그램 종료 사실을 단말 제어부(140)로 알린다(210). 단말 제어부(140)는 응용프로그램 관리부(120)로부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하면, 208 단계에서 활성화한 요구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한다(211). 208 단계에서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 요구 기능 정보 및 기능 활성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했다. 하지만, 활성화된 기능은 사용자가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해 놓은 기능이기 때문에,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면, 단말 제어부(140)는 해당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다시 전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 종료 후, 해당 기능을 직접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미처 비활성화하지 못한 기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When the request function is activated by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continuously monitors the status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209). Then,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is notified of the termin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210).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running from the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120 is terminat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sets the requested function activated in step 208 back to the inactive state (211). In step 208, the function request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switched to the activated state based on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request function information and the function activation state information. However, since the activated function is a function set by the user in an inactive state,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switches the function back to the inactive state. Through this, the user has no hassle of switch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the inactive state directly after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and can prevent a problem that may occur due to a function that has not been deactivated.

단말 제어부(140)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된 경우뿐만 아니라,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포어그라운드에서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될 시, 활성화한 요구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용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에서 다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면, 단말 제어부(140)는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하고,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요구 기능을 다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 변화에 따른 요구 기능 활성화 상태 전환 여부를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may set the activated request function to the deactivated state again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is switched from the foreground to the background state as well as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is terminated. In this case,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switched back to the foreground state in the background,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confirms that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is switched to the foreground state, and switches the request function switched to the deactivated state back to the activated state. Can be. Whether to switch the 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ed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xecu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의 자동회전 기능을 사용하는 이미지 뷰어 응용프로그램에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A to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an image viewer application program using an automatic rotation function of an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가 탑재된 모바일 단말이 세로 방향으로 놓여있는 경우 이미지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whe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a vertical direction.

도 3a를 참조하면, 세로 방향으로 놓여있는 모바일 단말(310)에서 이미지 뷰어(Image Viewer)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의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면, 이미지 화면(311)은 모바일 단말(310)의 화면 상의 소정의 지점에서 표시된다. 이미지 파일은 촬영 방향이나 촬영 방법에 따라 세로 해상도보다 가로 해상도가 더 긴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놓여 있는 모바일 단말(310)에서는 가로 해상도가 세로 해상도보다 더 긴 이미지 파일을 이미지 뷰어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이미지 화면(311)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when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played by running an image viewer application on a mobile terminal 310 plac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image screen 311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310. It is displayed at a certain point. The image file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horizontal resolution is longer than the vertical resolution according to a shooting direction or a shooting method. Therefore, when the mobile terminal 310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hecks an image file having a horizontal resolution longer than the vertical resolution through an image viewer application, it may have a relatively small size image screen 311.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가 탑재된 모바일 단말을 가로 방향으로 놓은 경우 제스처 입력 이전의 이미지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before gesture input whe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a horizontal direction.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20)은 이미지 뷰어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소정의 이미지가 재생되는 세로 방향 모바일 단말(310)을 좌측으로 90도 회전시켜 가로 방향으로 눕힌 상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은 자동회전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모바일 단말이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바뀌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화면을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시켜, 가로 방향으로 놓여있는 모바일 단말(320)에 최적화된 상태로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다. 하지만, 자동회전 기능은 응용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사용에 불편함을 끼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자동회전 기능을 불필요하게 여겨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해 놓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20)에서 이미지 화면(321)은 세로 방향 모바일 단말(310)의 이미지 화면(311)이 좌측방향으로 90도 기울어진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이미지를 감상할 수 없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미지 화면(321)을 가로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별도의 설정 메뉴를 불러와서 자동회전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해야 했다.3A and 3B, the horizontal mobile terminal 320 rotates the vertical mobile terminal 310 in which a predetermined image is played through the image viewer application by 90 degrees to the left, and shows a state in which it is lai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In general,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n auto-rotation function,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from a vertical direction to a horizontal direction, it detects this and automatically rotates the screen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mage can be viewed in an optimized state for the mobile terminal 320. However, the automatic rotation function may cause inconvenience to us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pplication program, and depending on the user, the automatic rotation function may be unnecessary and may be set to an inactive state. In this case, the image screen 321 in the horizontal mobile terminal 320 maintains the form in which the image screen 311 of the vertical mobile terminal 310 is inclined 90 degrees to the left, so that the image can be viewed normally. Can't. Conventionally, in order to switch the image screen 3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such a situation, a separate setting menu must be called to switch the automatic rotation function to an activated state.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가 탑재된 모바일 단말에 제스처 입력을 입력한 상태의 이미지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in a state in which gesture input is input to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tting and mana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스처 입력을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30)에 입력하면,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센서 장치가 제스처 입력을 측정하고,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에 의해 제스처 입력이 감지된다. 사용자에 의한 제스처 입력은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30)의 옆 면을 두 번 두드리는 동작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30)의 옆 부분을 손가락으로 두 번 두드림으로써, 제스처 입력을 모바일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제스처 입력을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30)의 옆 면을 두 번 두드리는 동작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30)의 옆 면이 아닌 뒷면을 두드리는 동작을 제스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두드리는 횟수를 조정하거나, 모바일 단말을 흔드는 동작 또는 음성 명령과 같이 모바일 단말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C, when a user inputs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gesture input to the horizontal mobile terminal 330, a sensor device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measures the gesture input and automatically manages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Gesture input is detected by the device.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may be an operation of tapping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3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wice. The user may transmit a gesture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by tapping the side part of the horizontal mobile terminal 330 with a finger twice. The gesture input is not limited to an operation of tapping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3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wice. The gesture of tapping the back side of the horizontal mobile terminal 330 rather than the side surface may be set as a gesture input, and may include various gestures applicable to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djusting the number of tapping or shaking the mobile terminal or voice commands. Can be.

그리고, 이미지 뷰어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30)에 구비된 여러 가지 기능 중에서 대응하는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감지한다. 이미지 뷰어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인 자동회전 기능은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30)에서는 비활성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는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30)에 구비된 기능 중에서 자동회전 기능을 활성화한다. 자동회전 기능이 활성화되면,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30)의 이미지 화면(331)은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로 방향 해상도가 세로 방향 해상도보다 큰 이미지의 경우, 가로 방향 모바일 단말(330)에서 더욱 큰 이미지 화면(331)을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뷰어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거나,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가 포어그라운드에서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면,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는 자동회전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한다.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된 응용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에서 다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자동회전 기능을 다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The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function required by the image viewer application, the activ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detected amo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horizontal mobile terminal 330. The automatic rotation function, which is a function required by the image viewer application, is inactive in the horizontal mobile terminal 330. Therefore, the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the automatic rotation function among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horizontal mobile terminal 330. When the automatic rotation function is activated, the image screen 331 of the horizontal mobile terminal 330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ase of an image in which the horizontal resolution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resolution, a larger image screen 331 may be viewed in the horizontal mobile terminal 330. Then, when the image viewer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or the execu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program is switched from the foreground to the background state, the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sets the auto-rotation function back to the inactive state. When the application switched to the background state is switched from the background to the foreground state again, the auto-rotation function set to the inactive state may be switched back to the activated stat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장치가 탑재된 모바일 단말의 웹 브라우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web browser of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의 웹브라우저(Web Browser)는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시, 모바일 단말의 설정에 따라 모바일 버전의 웹페이지(410)에 우선적으로 접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웹사이트(Web Site) 중에서 일부 웹사이트는 일반적인 PC 버전의 웹페이지(430)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를 위해 모바일 버전의 웹 페이지(410)를 함께 제공한다. 모바일 버전의 웹 페이지(410)는 작은 화면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웹 페이지의 구성을 간략화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은 PC 버전의 웹페이지(430)가 아닌 모바일 버전의 웹페이지(410)로 우선적으로 접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버전의 웹페이지(410)가 아닌 PC 버전의 웹페이지(430)에 접속하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제스처 입력을 통해 모바일 버전의 웹페이지(410)에 접속하도록 된 설정을 PC 버전의 웹페이지(430)로 접속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PC 버전의 웹페이지(430)로 바로 접속할 수 있으며, 웹브라우저가 종료되거나, 포어그라운드에서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면, 이전과 동일하게 모바일 버전 웹페이지(410)부터 접속되도록 다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a web browser of a mobile terminal accesses a specific web page, a web version 410 of the mobile version may be preferentially access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mobile terminal. Among a number of websites on the Internet, some websites provide a web page 410 of a mobile version for users accessing through a mobile terminal, as well as a web page 430 of a general PC version. do. The mobile version of the web page 410 is a simplified configuration of the web page to be convenient to use through a mobile terminal having a small screen. Therefore, the general mobile terminal may be set to preferentially access the web page 410 of the mobile version rather than the web page 430 of the PC version. However, in some cases, the user may attempt to access the PC version of the web page 430 rather than the mobile version of the web page 410. In this case, the user may switch to access the mobile version of the web page 410 through the gesture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to access the PC version of the web page 430. Through this, the user can directly access the PC version of the web page 430 as needed, and when the web browser is terminated or switched to the background state in the foreground, the mobile version of the web page 410 is accessed as before. Can be set agai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단말기의 설정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settings of a terminal according to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단말기의 설정 관리 방법은 먼저, 응용프로그램이 실행중에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입력을 감지한다(501).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스처를 모바일 단말에 입력한다.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스처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모바일 단말의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스처는 특정한 동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의 특정 영역을 연속 2회 두드리는 동작, 모바일 단말을 흔드는 동작 및 모바일 단말을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과 같이 모바일 단말을 통해 취할 수 있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method for managing a terminal setting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etects a gesture input from a user 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is running (501).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gesture to the mobile terminal 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is running. The predetermined gesture may be set by a user or a manufacturer of a mobile terminal, and may be set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user request. The predetermined predetermined gestur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peration, for example, through a mobile terminal, such as an operation of tapping a specific area of the mobile terminal twice in succession, an operation of shaking the mobile terminal, and an operation of tilting the mobile terminal in a specific direction. It can include actions you can take.

또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스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직접 동작을 취하는 제스처뿐만 아니라, 음성 인식을 통한 음성 명령이나,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 설정된 소정의 터치 동작을 입력하거나, 소정의 무늬를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는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여러 센서 장치들을 통해 측정되고, 센서 장치를 통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계, 지자기 센서, 조도센서, 음성 센서 및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predetermined gesture is not only a gesture that directly performs an oper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but also a voice command through voice recognition or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ouch operation through a touch screen interface or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touch screen interface. It can be set as input through. The gesture input from the user is measured through various sensor device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gesture input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sensor data measured through the sensor device. The mobile terminal can detect a gesture input from a user through a gyro sensor, accelerometer, geomagnetic sensor, illuminance sensor, voice sensor, and touch screen interface.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현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요구 기능을 확인한다(502).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은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여러 가지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이 가로 방향으로 놓여있는지 또는 세로 방향으로 놓여있는지에 따라 이미지 화면의 방향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지 뷰어 응용프로그램이 이미지 화면을 모바일 단말이 놓여있는 방향에 맞추어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의 자동화면 회전 기능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내비게이션 응용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GPS 기능을 필요로 한다.또한, 응용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WIFI 기능, 블루투스 기능 및 NFC 기능과 같은 통신 기능을 필요로 하거나, 음성 인식 기능과 같은 기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그 외,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요구 기능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When a gesture input is detected, a request function required by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checked (502). The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may require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each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the direction of the image screen may be adjust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in order for the image viewer application to rotate the image screen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an automatic surface rotation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required. In addition, the navigation application program requires a GPS functio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lso, depending on the type of application,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WIFI, Bluetooth and NFC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Or may require a function such as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Therefore, it is checked what request function is requir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은 응용프로그램마다 미리 결정/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각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기능이 설정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은 응용프로그램의 속성 정보 또는 권한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을 확인하는 과정은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 중 최상위, 즉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 관리부가 실행중인 전체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을 감지할 수도 있다. The request func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determined / set in advance for each application program, and the request function for each application program may be set by the user.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confirmed through attribute information or authority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it is desirable to detect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highest running application program, that is,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foregr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also detect the requir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이 확인되면,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 중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감지한다(503). 모바일 단말은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기능,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NFC 등과 같은 통신 관련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GPS, 음성인식 기능 및 자동화면 회전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은 모바일 단말의 전력을 소모하거나,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의 낭비를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의 전력 효율을 높이거나 사용의 편의성 등의 목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각각의 기능이 개별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 중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요구 기능이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요구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504). 만약, 모바일 단말의 여러 기능 중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 요구 기능이 활성화 상태라면,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방법을 종료한다.When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confirmed, the activation state of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503).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communication-related functions such a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NFC, etc., and may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GPS,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utomation surface rotation function. However, various functions such as this may consum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or waste unnecessary data communication. Accordingly, each function may be individually set to an activated or deactivated state by a user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power efficiency of the mobile terminal or convenience of use. According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quested function requir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is among the plurality of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quested function is inactive (504). If, among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the running application request function is activated,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is terminated.

만약,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요구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라면,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 중에서 해당 요구 기능을 활성화한다(505). 종래에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이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설명 메뉴를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시켜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방법에서는 비활성화 상태인 요구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장치를 통해 동영상을 감상할 때, 모바일 단말의 자동회전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제스처 입력을 통해 자동회전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중이면, 제스처 입력을 통해 GPS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동영상 스트리밍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면 WIFI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If the requested function requir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inactive, the corresponding requested function is activa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505).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activate a function required by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the user had to activate the function through a description menu. However, in the automatic setting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quest function in the inactive state is automatically activated. For example, when watching a video through a video playback device, if the auto-rotation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disabled, the auto-rotation function can be activated through gesture input, and if the navigation application is running, gesture input You can activate the GPS function through or activate the WIFI function when the video streaming application is launched.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요구 기능이 활성화되면,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506)하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가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07). 그리고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가 변화하면, 505 단계에서 활성화한 요구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한다(508). 505 단계에서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 요구 기능 정보 및 기능 활성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해당 요구 기능은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어 있던 기능이기 때문에,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면,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해당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다시 전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 종료 후, 해당 기능을 직접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미처 비활성화하지 못한 기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When the request function requir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activated, the status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continuously monitored (506),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unning status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has changed (507). Then, when the execution state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changes, the requested function activated in step 505 is changed back to the inactive state (508). In step 505, the function requested by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switched to the activated state based on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request function information and the function activation state information. Since the request function is a function that has been set in an inactive state, it is not necessary to keep it in an active state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Therefore, the function is switched back to the inactive state. Through this, the user has no hassle of switch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the inactive state directly after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and can prevent a problem that may occur due to a function that has not been deactivated.

상술한 507 단계 및 508 단계에서는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된 경우, 요구 기능을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요구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전환하는 것은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된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포어그라운드에서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요구 기능을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응용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어 요구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다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면 요구 기능을 재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에 따른 요구 기능의 활성화 여부는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하다.상술한 504 단계 내지 508 단계에서는 비활성화된 요구 기능을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상태에 기초하여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요구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활성화 되어 있는 요구 기능을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Steps 507 and 508 described above deal with switching the requested function from the activated state to the deactivated state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However, switching the 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 func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in which the running application is terminated, and the request function is switched from the active state to the inactive state even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is switched from the foreground to the background state. can do. In addition,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switched to the background state and the request function is switched to the inactive state,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switched back to the foreground state, the request function can be reactivated. Whether or not the requested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freely set. Steps 504 to 508 described above describe changing the deactivated request function to the activated state based on the execu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progra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in which the requested function is switched from the deactivated state to the activated state, and may include switching the activated requested function to the deactivated state according to a user's gesture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자동 설정 관리 방법에서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501 단계 이전에, 제스처 입력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제스처 입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에 대한 물리적인 입력,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스처 입력에 대한 입력 방식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입력 방식을 이용한 세부적인 제스처 입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스처 입력을 위한 입력 방식으로 물리적인 입력을 선택하고, 세부적인 제스처 입력으로 모바일 단말의 외부를 두 번 두드리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제스처 입력을 위한 입력 방식으로 음성 입력을 선택하고, 세부적인 제스처 입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 명령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방식을 선택받고, 선택된 입력 방식에 따른 세부적인 제스처 입력을 수신받아, 제스처 입력을 설정할 수 있다.In a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and mana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step 501 of detecting a gesture input, a process of setting the gesture input may be further included. Gesture input by a user may include physical input to a mobile terminal, touch input using a touch screen interface, and voice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et an input method for gesture input, and set a detailed gesture input using the set input method.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a physical input as an input method for gesture input, and tap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twice with detailed gesture input. Alternatively, the user may select a voice input as an input method for gesture input, and set a voice command desired by the user with detailed gesture input. In this way, an input method for inputting a gesture is selected from a user, and detailed gesture input according to the selected input method is received, and gesture input can be set.

501 단계 내지 508 단계에 기재된 설정 관리 방법은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을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활성화된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설정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따라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에 대해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스위칭할 수도 있다.The setting management method described in steps 501 to 508 includes switching a request function of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from an inactive state to an activated state according to a user's gesture inpu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ctivated function may be switched to an inactive state. That is, the sett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witch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for the requested function of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input.

또한, 실시예에 따라,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이 복수인 경우, 또는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 요구 기능의 리스트를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능 활성화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요구 기능 리스트에 각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예를 들어 활성화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복수인 경우, 요구 기능 리스트를 실행중인 각 응용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요구 기능 리스트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requested functions of an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are executed, or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re executed, a list of requested function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t this time, by using the function activation state information,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each function (for example, activ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requested function list.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unning application programs, the requested function list may be displayed separately for each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may change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ed function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한편, 실행중인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이 특정 기능을 공통적으로 요구 기능으로 하는 경우, 실행중인 복수의 응용프로그램 중 일부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더라도 해당 기능을 요구 기능으로 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중이라면, 해당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원래의 상태로 변경하지 않고, 전환된 상태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a plurality of running application programs have a specific function as a request function in common, even if some of the plurality of running application programs are terminated, if an application using the function as a request function is running,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executed. The activated / deactivated state may be maintained in a switched state without changing to the original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단말기의 설정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로부터 요구 기능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될 때, 단말의 현재 방향을 확인하여 조건에 합당하지 않으면 수신된 제스처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되면,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향이 가로 방향인지 세로 방향인지 감지하여, 감지된 제스처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향을 변경한다. 만약 단말기의 방향과 화면 표시 방향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화면 표시 방향을 변경하고, 반면에, 단말기의 방향과 화면 표시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수신된 제스처 입력을 무시한다.
As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aging a terminal setting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gesture input for activating / deactivating a requested function is received from a user,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is checked to satisfy the condition Otherwise, the received gesture input can be ignored. First, when a gesture input from a user is sensed, it is detected whether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terminal is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nd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cted gesture. If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do not match,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is changed. On the other hand, if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creen display direction match, the received gesture input is ignored.

상술한 내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또는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the above, can be created with a computer program. And the code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the created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r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110: 제스처 감지부
120: 응용프로그램 관리부
130: 단말 상태 감지부
140: 단말 제어부
150: 디스플레이부
110: gesture detection unit
120: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30: terminal state detection unit
140: terminal control unit
150: display unit

Claims (28)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제스처 감지부;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을 확인하는 응용프로그램 관리부;
단말기에서 상기 요구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감지하는 단말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요구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감지된 제스처에 따라 상기 요구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요구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 gesture detector for detecting gesture input;
An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unit that checks a requested function of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 terminal state detection unit detecting an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e of the requested function in a terminal; And
A terminal control unit switching the requesting function to an active state according to the detected gesture when the requesting function is inactive, and switching the requesting function to an inactive state when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program is changed;
Terminal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감지부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 장치를 통해 상기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gesture detection unit,
A terminal characterized by sensing the gesture input through one or more sensor devices provided in the termi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근접 감지 센서, 카메라,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및 음성 인식 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2,
The sensor devic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amera, a touch screen interface, and a voice recogni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기능을 확인하고, 단말기에서 상기 요구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요구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감지된 제스처에 따라 상기 요구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요구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입력에 따른 단말기의 설정 관리 방법.
Detecting a gesture input;
Checking a request function of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and checking activation / deactivation status of the request function in a terminal;
If the requested function is inactive, switching the requested function to an activated state according to the detected gesture; And
When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program is changed, switching the requested function to an inactive state
Method for managing the settings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8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입력을 위한 입력 방법 및 상기 입력 방법에 따른 세부적인 제스처 입력을 입력받아 상기 제스처 입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입력에 따른 단말기의 설정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method for managing a setting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n input method for gesture input from a user and a detailed gesture input according to the input method and setting the gesture inp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11929A 2013-09-17 2013-09-1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device KR102109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929A KR102109618B1 (en) 2013-09-17 2013-09-1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929A KR102109618B1 (en) 2013-09-17 2013-09-1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429A KR20150032429A (en) 2015-03-26
KR102109618B1 true KR102109618B1 (en) 2020-05-13

Family

ID=5302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929A KR102109618B1 (en) 2013-09-17 2013-09-1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6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043B1 (en) 2017-11-08 2022-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7638B (en) 2010-07-07 2012-10-31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Stereo display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ereo display tracking method
KR101322952B1 (en) * 2012-02-24 2013-10-29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and method that manage processing of motion realization in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429A (en)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9942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vice coordination
KR101580300B1 (en) User termincal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cal device thereof
EP2487555B1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based on multiple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EP3041201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104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pu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1533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US91295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etting value
JP6139397B2 (en) Mouse function providing method and terminal embodying the same
KR101983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ketpad using a variety of gestures
US20110148789A1 (en) Mobile device having projector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20274588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KR1018551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option in a user device
KR20160123620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20120134765A (en) Method for displyaing home-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KR20140082411A (en)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for applications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8170361B (en) Application running state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60202869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444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mobile device based on an orientation-based usage context
US9984232B2 (en) Method of operating security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30804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5064680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thereof
JP2017117108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JP6900552B2 (en) How to limit the use of the application, and the terminal
KR1021096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device
CN111240571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to automatically rotate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