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610B1 -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610B1
KR102109610B1 KR1020130129615A KR20130129615A KR102109610B1 KR 102109610 B1 KR102109610 B1 KR 102109610B1 KR 1020130129615 A KR1020130129615 A KR 1020130129615A KR 20130129615 A KR20130129615 A KR 20130129615A KR 102109610 B1 KR102109610 B1 KR 10210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keep
terminal device
alive message
al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287A (ko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6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망과 같이 네트워크 상태가 변화될 수 있는 통신망을 기반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애 요소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장치가 통화 제어 장치와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연결 종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호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하고, 이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운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를 고려하여 호 처리 절차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단말 장치{Terminal Equipment and Call service system based Internet Protocol}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애 요소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인터넷과 같이 IP 주소를 사용하는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음성 및 영상을 디지털 패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술로서, 통상 '인터넷 전화'라고 불린다. 이러한 인터넷 전화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통화자 간에 음성 및 통화 영상을 주고받음으로써, 인터넷과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최근 이동통신망 기술 및 이동통신 단말의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서, 상기 VoIP 기술은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에까지 적용되기에 이르렀으며, 이렇게 이동 단말에 적용되는 VoIP 기술은 mVoIP(Mobile VoIP)라 한다.
mVoIP는 기존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이동통신표준에 따라서 통화를 위한 단말 장치 간을 연결하는 이동 전화와는 달리, Wi-Fi망, 3G 망과 같은 무선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하여 음성 및 영상을 패킷 형태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mVoIP는 IP 망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통상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 따라서 음성 또는 호 처리 메시지와 관련된 패킷을 전송하며,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통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세션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통화를 성립하기 위해서는 단말 장치의 등록(Register) 과정을 거쳐 발신자 및 수신자 간의 위치를 판단하고, 통화 능력을 교환한 후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통화 종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단말이 살아있음을 등록갱신(reregister) 과정을 통해 호를 유지해 주어야 하며, 이를 통해 통화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SIP에서는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에 대해서는 적절한 처리 방법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특히, mVoIP의 경우 다양한 환경 요인으로 인해 네트워크 상태가 변화될 수 있는 무선망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애 시의 적절한 처리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5283호, 2009년 04월 21일 등록 (명칭: 이동 VoIP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호 연결 방법)
이에, 본 발명은 무선망과 같이 네트워크 상태가 변화될 수 있는 통신망을 기반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애 요소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화 제어 장치와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연결 종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호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하고, 이러한 운영 조건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운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통화를 위한 호 제어 메시지 및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해 통화 제어 장치와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연결 종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호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하고, 운영 조건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화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통화 제어 장치와 연동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연결 종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호 처리를 수행하는 시그널링 처리 모듈; 및 시그널링 처리 모듈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따라서,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하고, 가변된 운영 조건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화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은 미 접속, 접속 중, 접속 에러, 접속 완료 중 하나 이상의 상태 값을 포함하는 통신망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통신망 연결 상태가 접속 완료인 경우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은 운영 조건에서 설정된 재전송 횟수 및 만료 시간을 초과한 경우, 시그널링 처리 모듈에 통신망 장애를 통지하고, 시그널링 처리 모듈은, 통신망 장애 통지 시 호 처리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시그널링 처리 모듈은, 호 처리를 종료한 후, 통신망 장애에 따른 호 처리 종료 안내 메시지를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단말 장치 간의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연결 종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호 처리를 수행하는 통화 제어 장치; 및 통화 제어 장치와 호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킵 얼라이브(Keep alive)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하고, 가변된 운영 조건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화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통화 제어 장치와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연결 종료를 위해 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가,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하는 단계; 및 가변된 운영 조건에 따라서, 단말 장치가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화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가 미 접속, 접속 중, 접속 에러, 접속 완료 중 하나 이상의 상태 값을 포함하는 통신망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확인 결과, 통신망 연결 상태가 접속 완료인 경우, 신호 강도 및 베어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제어 방법은, 운영 조건에서 설정된 재전송 횟수 및 만료 시간을 초과한 경우, 통신망 장애로 판단하여, 호 처리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운영 조건을 가변하는 단계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베어러 변경 시 기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키고, 이후 상기 신호 강도에 비례하여 감소시키거나,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를, 베어러 변경 시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키고, 이후 신호 강도에 반비례하여 증가시키거나, 킵 얼라이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대기 만료 시간을, 베어러 변경 시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키고, 이후 신호 강도에 반비례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제어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현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P 주소를 기반으로 구축된 통신망을 통해서 단말 장치 간에 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여, 미디어 세션을 연결하고, 연결된 미디어 세션을 통해서 음성 또는 영상에 대응하는 패킷을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단말 장치가 호 제어 및 세션 제어를 수행하는 통화 제어 장치와의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서 네트워크 장애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호 처리를 종료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 장치에서 연결되어 있는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상황에 맞추어 적절하게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운영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무선망의 다양한 상황에 맞춰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장애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해 각 사용자(발신자 및 착신자)가 이용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100), 통화 제어 장치(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100)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해 발신자 및 착신자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서, 통신망(300)에 접속되어 통화 제어 장치(200) 및 다른 단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음성 및/또는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100)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100)는 통화 제어 장치(200)와 연동하여 호 처리 및 미디어 세션 연결을 수행하고, 음성 및/또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패킷으로 송수신하도록 구현된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 장치(100)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통화 제어 장치(200)로 킵 얼라이브(Keep alive) 메시지를 전송하여, 접속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통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네트워크 장애로 인한 접속 해제로 판단하여, 수행 중인 호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에,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상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용 조건을 가변하며, 이렇게 가변된 운용 조건에 맞추어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그 응답에 따라서 네트워크 장애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용 조건은,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재전송 횟수 및 응답 대기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에,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전송 주기, 재전송 횟수 및 응답 대기 만료 시간 중 어느 하나를 가변하고, 이렇게 가변되는 전송 주기, 재전송 횟수 및 응답 대기 만료 시간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기능을 운용하여, 네트워크 장애를 검출한다.
이때 통화 제어 장치(200)는 다수의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이러한 등록된 다수의 단말 장치(100) 간에 통화 연결 및 종료를 위한 호 제어 메시지를 중계하며, 그에 따른 다수의 단말 장치(100) 각각의 통화 서비스 상태를 관리한다. 특히, 통화 제어 장치(200)는 등록된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서 상기 등록된 단말 장치(100)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며, 킵 얼라이브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장애로 판단하여 상기 접속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호 제어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망(300)은,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100)와 통화 제어 장치(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 매체로서, 유선망 또는 무선망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통신망(300)은, Wi-Fi망, 2G 혹은 3G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무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망을 통해서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단말 장치(100)와 통화 제어 장치(200)의 연동을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통화 제어 장치(200)와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연결 종료를 위해 호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착신 및 발신에 대한 호 처리 및 미디어 세션 연결 및 해제를 수행한다. 이때, 호 처리는 SIP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통화 제어 장치(200)에 접속하여 등록 메시지(SIP Registration)를 전송함으로써, 위치를 등록하고, 통화 능력을 교환한다. 이후, 사용자가 발신 요청 시, 단말 장치(100)는 착신자 정보(착신자 아이디, 착신자 식별 정보, 착신자 전화번호 등)와 함께 통화 연결 요청(SIP INVITE)를 통화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 요청에 대한 응답을 대기한다. 반대로 통화 제어 장치(200)로부터 착신측으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SIP INVITE)이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착신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수락하는 경우, 수락 응답 메시지를 통화 제어 장치(200)를 통해서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단말 장치(100)는, 통화 제어 장치(200)를 통해서 발신 요청(SIP INVITE)에 대한 수락을 의미하는 응답 메시지(SIP 180 ringing)를 송신하거나 수신한 후, 상호 간에 음성 및/또는 영상에 대응하는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세션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 및/또는 영상을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서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서 상대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음성 및/또는 영상으로 재생하여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단말 장치(100)는 통화 중에 발신자 혹은 착신자의 요청에 따라서, 통화 종료 요청(SIP BYE)이 상기 통화 제어 장치(200)를 통해 상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이후 통화 종료 요청에 대한 응답(SIP 200 OK)을 수신한 후, 상기 미디어 세션을 해제한다.
아울러, 단말 장치(100)는,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종료 중 하나를 위한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혹은 주기적으로 통신망(300)과 연결된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한다. 아울러, 상기 단말 장치(100)는,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종료 중 하나를 위한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운영 조건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화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상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는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통화 제어 장치(20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장치(100) 별로 각각의 무선 접속 상태, 즉,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에 따라서 전송 주기,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 만료 시간이 가변되어 적용되며, 그에 따라서, 단말 장치(100) 혹은 상황 별로 네트워크 장애를 인지하는 시점에 차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베어러 변경시나 신호강도가 약전계 상태인 경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짧게 하거나, 재전송 횟수 및 대기 만료 시간을 늘림으로써, 일시적인 베어러 변경 혹은 신호 강도 약화로 인해 불필요하게 통화 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기능을 유연하게 구동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통화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한 단말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참고로, 도 2는 하드웨어 구조를 기반으로 나타낸 단말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와, 입력부(120)와, 표시부(130)와, 오디오 처리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이 기능적으로 연동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10)는, 통신망(300)에 접속하여, 상기 통신망(300)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통신망(300)의 구조 및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그 구성 및 동작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1G, 2G, 3G 방식 등 다양한 이동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 또는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망(300)이 이동통신망이나 Wi-Fi망과 같은 무선망을 포함하는 경우, 통신부(110)는 상기 통신망(300)으로부터 무선 채널을 할당 받고, 상기 할당 받은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망(300)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통신부(110)는 IP 기반의 통신망(300)을 통해서 임의의 IP 주소(고정 IP 혹은 사설 IP)를 할당 받고, 상기 할당 받은 IP 주소에 근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통신망(300)에 접속된 상태에서 통신부(110)는, 상기 통신망(300)을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아울러, 호 처리를 통해 연결된 미디어 세션을 통해서 사용자의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대방의 통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데이터는, 음성 통화인 경우, 음성 데이터를 의미하며, 영상 통화인 경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 장치(100)에 대한 혹은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특정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 장치(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 키 및 기능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모션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가 터치스크린으로 제작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되는 소프트 키 및 사이드 키나 별도의 핫 키, 단축 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통화를 요청하거나, 요청된 통화를 수락하거나, 통화 종료를 요청하는 등 통화 서비스와 관련된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서 발신을 지시하고 착신을 수락 또는 거절하고, 통화중 종료를 지시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표시하거나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 수단으로서,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통화 기능 실행 시, 발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착신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통화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조회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1)는 제조 형태에 따라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40)는 마이크 및 스피커 등의 가청음 인식 수단이나 가청음 출력 수단에 연결되어, 인식된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제공하거나, 제어부(16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특히, 상기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서비스 중에 제어부(160)에 의해 처리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및 동작 결과로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기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OS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를 위한 OPEN API와 플랫폼을 제공하는 개방형 OS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OS의 운영 환경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기본적으로,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OS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할 수 있는 실행 환경을 구축하고, 구축된 실행 환경을 통해서 사용자의 요청 혹은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 혹은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인터넷 기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에 있어서, 제어부(160)의 기능을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계층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통신 처리 모듈(161)와,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와, 미디어 처리 모듈(163)와,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164), 시그널 API 모듈(165)와, 미디어 API 모듈(166)와, 통화 어플리케이션(167)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처리 모듈(161)은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 대응하는 구성으로서, 통신부(110)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예를 들어, TCP/UDP 표준에 따라서 송수신 데이터를 처리한다. 특히, 상기 통신 처리 모듈(161)은 TCP 표준에 따라서 수신된 데이터 중 호 제어 메시지는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로 전달하고, UDP 표준에 따른 음성이나 영상에 대한 통화 데이터는 미디어 처리 모듈(163)로 전달한다. 아울러, 통신 처리 모듈(161)은 상기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로부터 입력된 호 제어 메시지 또는 미디어 처리 모듈(163)로부터 입력된 통화 데이터를 TCP 패킷에 실어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한다.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은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는 상기 통신 처리 모듈(161)를 통해서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 통화 연결 수락, 통화 종료 등을 위한 SIP 기반의 호 제어 메시지(INVITE, 200 OK, 200 Ringing 등)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는, 통신 처리 모듈(161)을 통해서 수신된 호 제어 메시지가 통화 연결 요청인 경우, 착신 요청이 왔음을 시그널 API 모듈(165)를 통해서 통화 어플리케이션(167)에 알리고, 역으로 시그널 API 모듈(165)를 통해서 통화 어플리케이션(167)으로부터 사용자의 발신 요청이 전달되면, 지정된 상대 단말 장치로의 통화 연결 요청(예를 들어, SIP INVITE)를 생성하여 통신 처리 모듈(161)를 통해 전송한다. 아울러,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에 따라서 단말 장치(100)와 상대 단말 장치와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미디어 세션을 연결한다. 더하여, 미디어 세션이 연결되면 미디어 처리 모듈(163)로 구동을 지시한다. 또한,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는 통화 수행 중에, 통화 어플리케이션(167)으로부터 혹은 통신 처리 모듈(161)를 통해 통화 종료가 요청되거나 미디어 세션이 끊어진 경우, 통화 종료 처리를 수행한다.
미디어 처리 모듈(163)는 상기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의 구동 지시에 따라서, 상기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에 의하여 연결된 미디어 세션을 통해 송수신된 통화 데이터를 대한 부호화/복호화 및 보안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와 상대방 간의 영상 및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미디어 처리 모듈(163)는 영상 통화 중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미디어 처리 기능과, 영상 통화 중 발생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미디어 처리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이크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대한 잡음 제거, 이득 제어 등의 신호 처리 후, 부호화하여 통신 처리 모듈(161)을 통해서 상대방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반대로, 통신 처리 모듈(161)을 통해서 수신된 부호화된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카메라로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후,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통신 처리 모듈(161)를 통해서 상대방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역으로 통신 처리 모듈(161)를 통해서 수신된 상대방의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표시부(130)로 출력한다.
그리고,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164)은,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에 의해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종료를 위한 호 처리 절차가 진행중인 동안, 킵 얼라이브 기능을 운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164)는 상기 호 처리 절차가 진행 중인 동안,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그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용 조건을 가변한다. 아울러, 상기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164)는 상기 운용 조건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화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며, 이에 대한 통화 제어 장치(200)로부터의 응답에 따라서 네트워크 장애 여부를 판단하여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에 알린다.
이렇게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164)에 의해 네트워크 장애를 확인한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은 현재 진행중인 호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아울러, 시그널 API 모듈(165) 및 미디어 API 모듈(166)는 각각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와 미디어 처리 모듈(163)와 통화 어플리케이션(167) 간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서, 시그널 API 모듈(165)는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로부터 확인된 통화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통화 어플리케이션(167)으로 제공하고, 통화 어플리케이션(167)으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혹은 요청)을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로 전달하며, 미디어 API 모듈(166)는 통화 어플리케이션(167)로부터 전달된 미디어(음성 및 영상)과 관련된 제어 명령(혹은 요청)을 미디어 처리 모듈(163)로 전달한다.
통화 어플리케이션(167)은 영상 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통화 연결 요청, 착신 요청에 대한 수락 혹은 거절, 통화 영상의 출력, 이외 통화 중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167)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시그널 API 모듈(165) 및 미디어 API 모듈(166)를 통해서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 및 미디어 처리 모듈(163)를 제어한다.
여기서,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 미디어 처리 모듈(163),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164) 및 통화 어플리케이션(167)은 각각 독립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API 모듈(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서 연동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면서, 네트워크 장애 요인을 효율적으로 검출하여 호 처리 절차에 반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말 장치(100)의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제어 방법을 도 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를 통해서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종료를 위한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05). 상술한 호 처리 절차는, 통상의 호 처리 절차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105 단계의 호 처리 절차는, 통신망(300)에 접속한 후, 접속된 통신망(300)을 통해서 통화 제어 장치(200)와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까지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등록 절차의 수행 시, 단말 장치(100)는 경우에 따라서 통신망(30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300)에 대한 접속 절차를 먼저 수행한 후, 접속된 통신망(300)을 통해서 통화 제어 장치(200)와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100)는, 호 처리 절차가 진행 중인 동안,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164)을 통해서 통신망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110). 여기서, 통신망 연결 상태는, 통신망(300)에 대한 접속과 관련된 상태로서, 미 접속, 접속 중, 접속 에러, 접속 완료 중 하나 이상의 상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0)에 대한 접속은, 단말 장치(100)의 초기 구동 시 이루어질 수 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즉,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가 활성화될 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S11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단말 장치(100)가 통신망(300)에 대한 접속 절차를 진행 중이거나, 네트워크 장애로 인하여 통신망(300)에 대한 접속 에러가 발생하거나 접속이 끊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한 접속 완료 상태가 아닌 경우, 단말 장치(100)는 킵 얼라이브 기능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망(300)에 대한 접속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S115).
반대로, 상술한 상태에서 정상적인 접속 절차가 수행되어, 통신망(300)과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이면, 단말 장치(100)는 접속 완료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혹은 지속적으로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상태를 모니터링한다(S120). 상기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상태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부(110) 혹은 전송 계층의 통신 처리 모듈(161)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상기 확인한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한다(S125). 여기서, 상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은, 킵 얼라이브 기능의 수행과 관련된 기준 정보로서, 구체적으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장치(100)는 상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베어러 변경 시 기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키고, 이후 상기 신호 강도에 비례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상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를, 베어러 변경 시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키고, 이후 상기 신호 강도에 반비례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대기 만료 시간을, 베어러 변경 시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키고, 이후 상기 신호 강도에 반비례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단말 장치(100)의 베어러 변경 시, 혹은 신호 강도가 약전계로 감소되는 경우, 일시적인 네트워크 장애로 인해 킵 얼라이브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늦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할 수 있도록 운용조건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단말 장치(100)는, 상기 가변된 운영 조건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 혹은 재전송한다(S130). 여기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은, 상기 설정된 전송 주기 마다 이루어지게 되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은, 전송된 킵 얼라이브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상기 대기 만료 시간까지 없는 경우 상기 설정된 재전송 횟수만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재전송한 후, 상기 단말 장치(100)는 상기 운용 조건에 설정된 만료 시간 이내에 상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 확인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통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확인한다(S135, S140).
상기 확인 결과, 만료 시간 이내에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한 통화 제어 장치(200)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네트워크 장애 없이 정상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호 처리 절차를 계속 진행한다.
반대로, 상기 확인 결과, 만료 시간 이내에 통화 제어 장치(200)가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네트워크 장애로 단말 장치(100)까지 전달되지 못한 경우, 단말 장치(100)는 상기 운용 조건에 설정된 재전송 횟수를 초과하였는 지를 판단한다(S145).
여기서 재전송 횟수를 초과하지 않았으면, 단말 장치(100)는 다시 S130 단계로 되돌아가,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반대로, 운용 조건에 설정된 재전송 횟수만큼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였으나, 여전히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S145), 단말 장치(100)의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164)는 네트워크 장애로 판단하여,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로 네트워크 장애를 통지하며, 이에 시그널링 처리 모듈(162)은 수행중인 호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S150). 즉,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종료와 관련된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호 제어 메시지와 관련 없이 네트워크 장애로 인해 통화 서비스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종료와 관련된 호 처리 절차를 중단한다. 이때, 상기 단말 장치(100)는 표시부(130)를 통해서 네트워크 장애로 인해 통화 서비스가 중단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호 제어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즉,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킵 얼라이브 기능을 적용한 호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와 통화 제어 장치(200)는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종료를 위한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S205).
상기와 같이 호 처리 절차가 수행되는 동안,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300)과 연결된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한다(S210). 즉, 상기 단말 장치(100)는 상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베어러 변경 시 기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키고, 이후 상기 신호 강도에 비례하여 감소시키고, 상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를, 베어러 변경 시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키고, 이후 상기 신호 강도에 반비례하여 증가시키며, 킵 얼라이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대기 만료 시간을, 베어러 변경 시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키고, 이후 상기 신호 강도에 반비례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S210 단계는, 호 처리 절차가 주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100)는, 상기 가변된 운영 조건에 따라서, 즉, 현재 설정된 전송 주기(T2)에 맞추어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215).
상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는 통신망(300)을 통해서 통화 제어 장치(200)로 전송되는데, 상기와 같이 전송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통화 제어 장치(200)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확인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220).
따라서, 통신망(300)이 정상 상태인 경우, 단말 장치(100)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후, 운용 조건에 설정된 만료 시간(T1)이 경과하기 전에, 통화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도 통신망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인지하여 S205 단계에서의 호 처리 절차를 계속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100)는, 응답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으므로, 앞서 S215 단계에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운용 조건에 설정된 전송 주기(T2)가 도달되면, 다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화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225). 상기 전송 주기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기준으로 확인할 수 도 있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확인할 수 도 있다.
그런데 여기서, 통신망(300)에 통신 장비의 에러 혹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킵 얼라이브 메시지가 통화 제어 장치(200)로 전달되지 않거나, 통화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시지가 단말 장치(100)로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 장치(100)는 S225 단계에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한 후, 운용 조건에 설정된 만료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통화 제어 장치(2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단말 장치(100)는 운용 조건에 설정된 재전송 횟수만큼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통화 제어 장치(200)로 재전송한다(S230, S235).
상기와 같이 재전송된 킵 얼라이브 메시지에 대해서도 만료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고, 재전송 횟수도 초과한 경우, 단말 장치(100)는 상기 S205에서 수행된 호 처리를 종료한다(S240). 예를 들어, 통화 연결 절차를 수행 중인 경우, 통화 연결 절차를 중단하고, 통화 중인 경우, 접속된 미디어 세션을 해제하고 통화 연결을 종료한다. 이때 호 처리의 종료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통화 제어 장치(200)에서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킵 얼라이브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으로, 단말 장치(100)에 대한 호 처리를 종료하여, 통화 연결 서비스를 중단한다(S245).
상술한 과정에 있어서, 상기 만료 시간(T1), 전송 주기(T2) 및 재전송 횟수는 단말 장치(100)의 베어러 변경이나 신호 강도에 따라서 가변 된다. 따라서, 베어러 변경이나 신호 강도가 강전계인 경우에는, 보다 신속하게 네트워크 장애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시키면서 통화를 중단할 수 있으며, 반대로, 베어러 변경이나 신호 강도가 약전계인 경우 가능한 단말 장치(100)의 접속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통화 서비스의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200)나 단말 장치(10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통화 제어 장치(200)나 단말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통신망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P 주소를 기반으로 구축된 통신망을 통해서 단말 장치 간에 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하여, 미디어 세션을 연결하고, 연결된 미디어 세션을 통해서 음성 또는 영상에 대응하는 패킷을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단말 장치가 호 제어 및 세션 제어를 수행하는 통화 제어 장치와의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서 네트워크 장애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호 처리를 종료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 장치에서 연결되어 있는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상황에 맞추어 적절하게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운영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무선망의 다양한 상황에 맞춰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장애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100: 단말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오디오처리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 200: 통화 제어 장치
300: 통신망

Claims (13)

  1.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통화를 위한 호 제어 메시지 및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 제어 장치와 호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킵 얼라이브(Keep alive)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하고, 가변된 운영 조건에 따라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화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베어러 변경 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기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킨 다음 신호 강도에 비례하여 감소시키고,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를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킨 다음 신호 강도에 반비례하여 증가시키며,
    킵 얼라이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대기 만료 시간을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킨 다음 신호 강도에 반비례하여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 제어 장치와 연동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연결 종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호 처리를 수행하는 시그널링 처리 모듈; 및
    상기 시그널링 처리 모듈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하고, 가변된 운영 조건에 따라서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화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은
    미 접속, 접속 중, 접속 에러, 접속 완료 중 하나 이상의 상태 값을 포함하는 통신망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통신망 연결 상태가 접속 완료인 경우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킵 얼라이브 제어 모듈은, 상기 운영 조건에서 설정된 재전송 횟수 및 만료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시그널링 처리 모듈에 통신망 장애를 통지하고,
    상기 시그널링 처리 모듈은, 통신망 장애 통지 시 상기 호 처리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5. 삭제
  6.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단말 장치 간의 통화 연결, 통화 중, 통화 연결 종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호 처리를 수행하는 통화 제어 장치; 및
    상기 통화 제어 장치와 호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및 베어러 변경 여부에 따라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응답 대기에 대한 만료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킵 얼라이브(Keep alive) 메시지의 운영 조건을 가변하고, 가변된 운영 조건에 따라 킵 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화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장치는 베어러 변경 시,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기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킨 다음 신호 강도에 비례하여 감소시키고,
    킵 얼라이브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를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킨 다음 신호 강도에 반비례하여 증가시키며,
    킵 얼라이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대기 만료 시간을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킨 다음 신호 강도에 반비례하여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29615A 2013-10-29 2013-10-29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단말 장치 KR102109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15A KR102109610B1 (ko) 2013-10-29 2013-10-29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15A KR102109610B1 (ko) 2013-10-29 2013-10-29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287A KR20150049287A (ko) 2015-05-08
KR102109610B1 true KR102109610B1 (ko) 2020-05-12

Family

ID=5338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615A KR102109610B1 (ko) 2013-10-29 2013-10-29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1810A (zh) * 2017-04-28 2017-06-30 杭州迪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接口调用方法和装置
KR20180123391A (ko) 2017-05-08 2018-11-16 (주)에프씨아이 접속확인 패킷 전송 제어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1204A1 (en) * 2004-06-18 2005-12-22 Karol Mark J Rapid fault detection and recovery for internet protocol telephony
US20060165067A1 (en) * 2004-12-07 2006-07-27 Kabushiki Kaisha Toshiba Network telephone system and main apparatus and telephone terminals used in the network telephon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1193B1 (en) * 1999-12-08 2012-04-17 Rockstar Bidco Lp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keep-alive messag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895283B1 (ko) 2007-11-27 2009-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VoIP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호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1204A1 (en) * 2004-06-18 2005-12-22 Karol Mark J Rapid fault detection and recovery for internet protocol telephony
US20060165067A1 (en) * 2004-12-07 2006-07-27 Kabushiki Kaisha Toshiba Network telephone system and main apparatus and telephone terminals used in the network telephon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287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77423B (zh) 丢包重传的方法及装置
US116015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rveillance cameras
US8599834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manual ring-down communication line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US200800134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ivable Failover in Communication System
JP6285027B2 (ja) ビデオ電話におけるビデオ中断インジケーション
JP4973172B2 (ja) 呼管理システムおよびメッセージ処理サーバシステム
KR102109610B1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단말 장치
CN112311802B (zh) 信息传输方法和信息传输装置
KR102109608B1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및 그의 에코 제거 방법
WO2015017179A1 (en) Method for responding to push notification based communication request
KR102109609B1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및 그의 착신 알람 제공 방법, 그리고 그의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화 서비스 시스템
KR102067657B1 (ko) m-VoIP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m-VoIP의 호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667149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program
CN108616558B (zh) 建立通话的方法、装置及用户设备
JP4723676B2 (ja) セッション状態の通知に係る通信方法、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0163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p communication completion to a mobile device
KR102574576B1 (ko) 단말의 호 연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KR102515476B1 (ko) 영상 통화를 위한 코덱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단말 장치
JP2008546223A (ja) 信号を検出して携帯デバイスの呼び出しモードを変更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712452B2 (en) Enterprise seamless mobility
KR102067658B1 (ko) m-VoIP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m-VoIP 호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4561791B2 (ja) Sipサーバ、その制御方法、およびip電話システム
KR100551701B1 (ko) VoIP 서비스를 위한 SIP 사용자 에이전트
WO2016202032A1 (zh) 一种刷新画面的方法和装置
US98134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multiple concurrent session initiation protocol trans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