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339B1 - 무전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여 자화율이 향상된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전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여 자화율이 향상된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339B1
KR102109339B1 KR1020170173449A KR20170173449A KR102109339B1 KR 102109339 B1 KR102109339 B1 KR 102109339B1 KR 1020170173449 A KR1020170173449 A KR 1020170173449A KR 20170173449 A KR20170173449 A KR 20170173449A KR 102109339 B1 KR102109339 B1 KR 102109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plating
sizing
manufacturing
p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242A (ko
Inventor
이종길
허수형
박민영
이승준
윤형식
한송희
Original Assignee
(주)비에스엠신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스엠신소재 filed Critical (주)비에스엠신소재
Priority to KR102017017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3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48Coating with two or more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25/52Coating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42Coating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C03C25/46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66Chemical treatment, e.g. leaching, acid or alkali treatment
    • C03C25/68Chemical treatment, e.g. leaching, acid or alkali treatment by etc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여 자화율이 향상된 고전도성 유리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섬유 표면의 사이징(sizing)을 제거하는 단계; (b)사이징이 제거된 섬유 표면을 에칭(etching)하는 단계; (c)상기 에칭된 섬유 표면에 팔라듐을 흡착시켜 팔라듐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d)상기 형성된 팔라듐 촉매층 상부에 Ni도금하는 단계; 및 (e)상기 Ni도금한 섬유에 Fe-Co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 표면을 에칭함으로써 복합소재 제조시 섬유와 금속소재간의 밀착력을 열처리를 통하지 않고 확보할 수 있고, 유사한 방법으로 유리섬유뿐만 아니라 탄소섬유나 아라미드 섬유 도금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전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여 자화율이 향상된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ighly conductive fiber with improved magnetic susceptibility using electroless-electrolytic plating method}
본 발명은 무전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여 자화율이 향상된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를 Ni 무전해도금 후 자성체로 전해도금하여 높은 자화율을 가지는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전자파의 유해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전자파란 전자자기파로서 전기나 자기의 흐름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 에너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파는 각종연구기관에서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각종 신체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파 차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이나 도전성 도료 등을 도포하는 방법, 물질자체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다. 도전성이나 자기성을 가지는 물질들이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해주기 때문이다.
상기한 방법들 중 물질자체에 전도성이나 자기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탄소섬유나 유리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탄소섬유는 유리섬유에 비해 경제성이 떨어지는 반면, 유리섬유에는 전도성이나 자기성을 부여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리섬유는 규산염이 주성분인 유리를 가공,용융하여 섬유로 제작한 것으로 단열재나 절연재로 사용되고 있다. 유리섬유에 환원제를 이용하여 무전해도금방식으로 합금하는 방법이 보고되었다(공개특허 제10-2010-0033625호). 하지만 상기 방식으로는 도금시간이 느리고 복잡한 구성에 의해 관리범위가 넓으며 복합소재로써의 밀착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전해도금한 유리섬유에 열처리 진행시 도금색상이 변할 수 있고 금속층의 크랙이 발생할 소지가 있어 실질적으로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36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섬유를 무전해 도금함으로써 전기전도도를 확보하고 이어서 자성체 전해도금으로 자기성(magnetism)을 확보함으로써, 도금시간을 단축하고 생산량을 증대시켜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함에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부품으로 사용되는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제조시 전기전도도 및 전자파차폐기능이 우수한 유리섬유를 제조하여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섬유 표면의 사이징(sizing)을 제거하는 단계; (b) 사이징이 제거된 섬유 표면을 에칭(etching)하는 단계; (c) 상기 에칭된 섬유 표면에 팔라듐을 흡착시켜 팔라듐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형성된 팔라듐 촉매층 상부에 Cu 혹은 Ni도금하는 단계; 및 (e) 상기 Ni도금한 섬유에 Fe-Co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섬유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는 유리섬유 혹은 탄소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단계는 섬유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담지하여 사이징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단계는 사이징이 제거된 섬유를 불소화합물 및 황산수소 나트륨이 혼합된 용액에 담지시켜 에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단계는 에칭된 섬유를 황산팔라듐, 수산화나트륨 및 붕산이 혼합된 수용액에서 팔라듐을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단계는 Fe-Co도금층에서 Co : Fe 는 중량비 5 : 5 내지 9 : 1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 표면을 에칭함으로써 복합소재 제조시 열처리를 하지 않고도 섬유와 금속소재간의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고, 유사한 방법으로 유리섬유뿐만 아니라 탄소섬유나 아라미드 섬유 도금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효과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섬유들은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므로 복합소재로서 우수한 전자파 차단효율을 가진다.
도 1은 Ni/Fe-Co 도금 유리섬유의 SEM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Ni/Fe-Co 도금 유리섬유의 자기 이력 곡선 (Hysteresis loop)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Ni/Fe-Co 도금 탄소섬유의 SEM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Cu/Fe-Co 도금 탄소섬유의 SEM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각 섬유들의 자기 이력 곡선 (Hysteresis loop)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Ni/Fe-Co 도금 유리섬유 30 wt%와 Ni/Fe-Co 도금 탄소섬유 20 wt%의 전자차폐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Ni/Fe-Co 도금 유리섬유 20 wt% 및 30 wt%의 전자차폐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섬유 표면의 사이징(sizing)을 제거하는 단계; (b) 사이징이 제거된 섬유 표면을 에칭(etching)하는 단계; (c) 상기 에칭된 섬유 표면에 팔라듐을 흡착시켜 팔라듐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형성된 팔라듐 촉매층 상부에 Ni도금하는 단계; 및 (e) 상기 Ni도금한 섬유에 Fe-Co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는 탄소섬유 혹은 유리섬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a) 단계는 섬유를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담지하여 사이징을 제거할 수 있다. 섬유 표면의 오염물 및 사이징을 제거함으로써 친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추후 진행되는 도금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를 10 내지 15%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2 내지 5분간 담지시킴으로써 사이징을 제거할 수 있다. 온도는 50 내지 60℃일 수 있다. 섬유는 알카리계열에 취약하므로 단시간에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유리하며 담지시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굴곡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상기 (b)단계는 사이징이 제거된 섬유를 불소화합물 및 황산수소 나트륨이 혼합된 용액에 담지시켜 에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에 도금시키는 금속층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이징이 제거된 섬유를 불소화합물 0.2 내지 0.5 %와 황산수소 나트륨(SODIUM BISULFATE, NaHSO4) 2 내지 5 %를 함유한 수용액에서 2 내지 10분간 에칭(etching)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소화합물은 플루오르화 나트륨(Sodium Monofluoride, NaF) 및 플루오르화 암모늄(Ammonium Fluoride, NH4F)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온도는 20 내지 60 ℃일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는 황산팔라듐(Palladium(Ⅱ)sulfate, PdSO4), 수산화나트륨(NaOH) 및 붕산(H3BO3)이 혼합된 수용액에서 상기 에칭된 섬유에 팔라듐 촉매층을 형성시킨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액 1L 대비 황산팔라듐 0.2 내지 0.5 g, 수산화나트륨 5 내지 10 g 및 붕산 5 내지 10 g를 함유한 40 내지 50℃의 수용액에 에칭된 섬유를 3 내지 5분간 담지시켜 팔라듐 이온을 흡착시킬 수 있다. 상기 붕산은 완충제의 역할을 하는바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종래의 산성 Colloid 촉매와는 달리 (c)단계의 수용액은 무전해 도금에 방해가 되는 주석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팔라듐이온 흡착이 보다 용이하다. 팔라듐 촉매층으로 인해 유리섬유에 대한 금속층의 밀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별도의 활성화(Activation)공정이 필요치 않아 공정단축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비용감축의 효과가 있다.
상기 (d)단계는 섬유에 전기전도성 부여를 위한 무전해도금 단계이다. 구리 또는 니켈로 무전해 도금을 진행하여 필요로 하는 전기전도성을 확보하는 단계로써 도금시간을 조절함으로서 도금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Cu 무전해 도금은 E.D.T.A를 착화제로 쓰는 도금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Ni무전해도금은 차아인산 나트륨(Sodium Hypophosphite NaH2PO2ㆍH2O)를 환원제로 쓰는 도금방법으로 진행하였다. Ni무전해 도금시 NiP의 형태로 도금되어 동일한 시간에 빠른 도금두께의 상승속도를 보이나 전기전도도가 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게는 Cu로 무전해 도금을 진행한다.
상기 (e)단계는 상기 Ni 도금한 섬유에 Fe-Co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는 섬유의 전자파 흡수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성체 Fe-Co 전해도금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Fe-Co 도금층에서 Co : Fe의 중량비는 5:5 내지 9:1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3 내지 9:1이다. 수용액은 수용액 1L 대비 황산코발트 7수화물(Cobalt sulfate heptahydrate, CoSo42O) 30 내지 100 g, 염화철(Irion chloride tetrahydrate, FeCl22O) 3 내지 10 g,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 30 내지 50 g 및 붕산(boric acid, H3BO3) 30 내지 50 g을 포함한다. pH는 3 내지 4일 수 있으며, 온도는 45 내지 55 ℃일 수 있다. 이 때 양극전류밀도는 3 내지 5A/dm2일 수 있으며 Co-Fe의 도금층을 분당 0.2미크론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합금비율은 염화철의 함량으로 조절 가능하며 광택제를 첨가하여 균질한 도금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광택제는 Sodium Dodecyl Sulfate일 수 있다. (e)단계를 통해 자화율(magnetic susceptibility)이 높은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금방법으로 무전해도금과 전해도금의 연속공정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며 섬유 표면에 니켈, 철-코발트를 도금시킴으로써 기존의 강화플라스틱 복합소재 제작 시 섬유와 도금층이 제품 성형단계에서 박리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복합재료 성형 시에도 같은 전도도를 유지하고 자성체의 특성상 전자파 흡수 능력이 있어 종래의 제품과는 달리 전기전도도를 높이기 위하여 도전성 filer, 또는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를 추가하는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복합재료의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인 기계적 물성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율이 향상된 섬유는 전자파 흡수기능과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기 때문에 전자파 차단용 소재 혹은 전자파 흡수소재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섬유 도금 사(絲, fiber)인바 직물(fabrics)로 제작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직조, 뜨임(wet-laid), 뜨개질, 자수(stitches)가 가능하고, 여러 패턴의 직물로 제작할 수 있다. 유리섬유, 탄소섬유, 고분자 섬유, 금속섬유와 같은 이종 섬유와 복합화하여 일정한 패턴이 있는 직물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작된 직물을 이용하여 고분자와 복합재를 제조하거나 기존 제품의 표면에 부착하여 전자기파의 차단이나 흡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파의 차단 흡수기능을 이용하여 전자파가 발생하는 전기적 구동장치, 전자부품 케이스, 모터 케이스, 전자파 간섭 차단용 필름, 방위산업용 전자파 차단섬유에 응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전자파 흡수기능으로 위치추적용 레이더 시스템(rador system)의 탐지를 도울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투기의 외피에 부착하여 스텔스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전자기파 폭탄의 전자파 방호용 직물, 군용 전자장치 보호직물로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무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 제품에 상기 직물을 열경화성 수지로 부착시킬 경우 제품의 인장강도, 압축강도, 충격강도, 내열성 향상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금속제품을 본 발명 유리섬유의 복합소재로 제작시 비중차이로 인한 경량화의 장점도 수반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Ni/FeCO 도금 유리섬유 제조방법
1단계: 유리섬유 표면의 사이징을 제거
유리섬유를 50-60℃의 10-15%의 NaOH 수용액에 2-5분간 처리한다.
2단계: 유리섬유와 도금층간의 계면결합력을 높이는 플루오르화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암모늄을 활용한 에칭
사이징을 제거한 유리섬유를 플루오르화 나트륨(SODIUM MONOFLUORIDE, NaF) 또는 플루오르화 암모늄(AMMONIUM FLUORIDE, NH4F) 0.2-0.5중량%와 황산수소 나트륨(SODIUM BISULFATE, NaHSO4) 2-5중량% 함유한 20-60 ℃수용액에서 2-10 분간 처리한다.
3단계: 알카리 베이스의 팔라듐촉매공정
수용액 1L 대비 황산팔라듐(Palladium(Ⅱ)sulfate) 0.2-0.5g, 수산화나트륨(NaOH) 5-10g, 붕산(H3BO3) 5-10g를 함유한 40-50℃의 수용액에서 3-5분간 팔라듐촉매를 유리섬유에 흡착시킨다.
4단계: 유리섬유의 전도성 확보를 위한 Ni 무전해도금
무전해 도금은 구리로도 진행할 수 있으나 전자파흡수를 위한 강자성도금에 유리하도록 니켈도금을 하여 필요로 하는 전도도를 확보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환원제인 차아인산나트륨을 이용한 Ni무전해 도금방법을 활용하였다.
5단계: 유리섬유의 전자파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자성체 Fe-Co 전해도금
수용액 1L 대비 황산코발트 7수화물(Cobalt sulfate heptahydrate, CoSO42O) 30-100 g, 염화철(Irion chloride tetrahydrate, FeCl22O) 3-10 g,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 30-50 g, 붕산(boric acid, H3BO3) 30-50 g를 함유한 액온 45-55℃, pH 3-4의 수용액에서 1 A/dm2의 전류를 행하여 Co:Fe 9:1의 도금층을 분당 0.2 미크론(micron, ㎛) 정도로 취한다. 6.5V 전압하에서 음극전류밀도 1A/dm2, 양극전류밀도 3-5A/dm2로 도금 시 수용액 1L당 코발트이온 17g, 철이온 1.5g 일 때 분당 0.2미크론 두께의 도금층을 얻을 수 있었으며 도금층 EDS분석을 통하여 9:1의 합금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극은 초기에 Fe판을 이용하였으나 자연산화에 의한 Fe함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비율조정이 쉽지 않아 이후에 Co비철로 바꿔 진행하고 염화철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9:1-7:3까지 진행하였다. 합금비율은 염화철의 중량비로 조절이 가능하고 광택제(SODIUM DOCECYL SULFATE)의 첨가로 조질이 균일한 도금층을 얻을 수 있으며 자성체의 고전도성섬유(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등)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본 개발에서는 오웬스 코닝(Owens Corning)사의 SE-1200 Grade를 사용하였으며 산, 알카리에 취약한 관계로 2400-4800TAX를 이용하였다. SE1200은 범용 Grade로 섬유 표면 사이징제는 에폭시(Epoxy)이다. 공정속도는 각각 50cm/min 내지 100cm/min으로 하여 연속도금 공정을 진행하였다.
측정예 1. Ni/Fe-Co도금 유리섬유 단면 측정
도 1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Ni/Fe-Co 도금 유리섬유의 도금 상태를 SEM이미지로 도시한 것이다. 섬유의 내부까지 고르게 도금이 되어 섬유표면에 도금층의 박리현상 없이 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단면을 통해 관찰한 도금 두께는 0.45 내지 0.55 ㎛이다.
측정예 2. Ni/Fe-Co도금 유리섬유 전기적 특성 측정
도금 유리섬유의 전기전도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저항계인 HIOKI 3541 Resistance Hitester를 사용하여 도금 유리섬유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 8 Ω/m의 결과를 얻었다. 이를 도금 유리섬유의 Filament 수와 단면적의 넓이를 고려하여 비저항과 전기전도도로 환산하였다. 하기 [표 1]에 Ni/Fe-Co 도금 유리섬유의 저항, 비저항 및 전기전도도를 표기하였다.
저항 (Ω/m) 8 Ω/m
7.26 * 10-4 Ω·
비저항 (저항*(단면적/길이))
1.38 * 103 S/cm
전기전도도 (1/비저항)
실시예 2. Ni/Fe-CO 도금 탄소섬유 제조방법
효성의 PAN계 연속탄소섬유 H2550-12K를 도금을 위한 섬유로 사용하였다. 탄소섬유 표면의 사이징제는 Epoxy이며 사이징제의 함량은 1%이고, 탄소섬유 6개 Bobbin을 연속적으로 도금할 수 있는 공정으로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때 도금공정 속도는 50cm/min ~ 100cm/min으로 진행하였다.
도금 공정은 상기 유리섬유의 도금에서의 도금액 조성 및 처리 온도와 거의 유사하게 진행하였으나 사이징제의 제거 (Desizing)을 위한 탈지공정은 유리섬유와 달리 황산 (H2SO4) 수용액에서 탄소섬유를 전해 탈지하였다. 이후 무전해 도금 및 전해 도금, 그리고 사이징 공정은 유리섬유의 도금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측정예 3. Ni/Fe-Co도금 탄소섬유 단면 측정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 탄소섬유의 연속 도금공정을 통해 확보한 Ni/FeCo 도금 탄소섬유의 도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표면관찰을 수행하였다. SEM으로 섬유의 표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까지 균일하게 도금이 된 것을 확인하였다. 파단면을 통해 관찰한 도금 두께의 경우 0.35 ~ 0.45㎛ 범위였으며, 도금층과 섬유 표면 사이의 계면도 박리 없이 밀착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정예 4. Ni/Fe-Co도금 탄소섬유 전기적 특성 측정
저항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도금 탄소섬유의 저항은 4Ω/m 이며, 이를 도금 탄소섬유의 Filament 수와 단면적의 넓이를 고려하여 비저항과 전기전도도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저항 (Ω/m) 4 Ω/m
비저항 (저항*(단면적/길이)) 2.895 * 10-4 Ω·
전기전도도 (1/비저항) 3.454 * 103 S/cm
실시예3. Cu/Fe-CO 도금 탄소섬유 제조방법
도금섬유의 전기전도도 향상을 위하여 Ni 무전해 도금을 전기전도도가 뛰어난 Cu 무전해 도금으로 변경하여 50cm/min ~ 100cm/min의 공정속도로 도금하였다. Cu 무전해 도금의 금속염은 3g/L의 Cu 이온을 사용하였으며 환원제로는 3g/L의 HCHO를 사용하였다. 이 외에 도금에 사용된 탄소섬유의 종류와 전처리 공정, 사이징 공정 모두 앞선 Ni/FeCo 도금 공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측정예 5. Cu/Fe-Co도금 탄소섬유 단면 측정
도 4에 Cu/Fe-Co 도금 탄소섬유의 도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SEM을 통한 표면관찰 결과를 도시하였다. SEM으로 섬유의 파단면을 관찰한 결과 Ni/Fe-Co 도금 탄소섬유와 거의 비슷한 0.35 ~ 0.45㎛의 두께를 확인하였다. 반면 표면관찰에서는 Ni/Fe-Co 도금 탄소섬유에 비해 더 균일한 도금 표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예 6. Cu/Fe-Co도금 탄소섬유 전기적 특성 측정
저항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Cu/FeCo 도금 탄소섬유의 저항은 0.84Ω/m 이며, 이를 도금 탄소섬유의 Filament 수와 단면적의 넓이를 고려하여 비저항과 전기전도도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저항 (Ω/m) 0.84 Ω/m
비저항 (저항*(단면적/길이)) 5.780 * 10-5 Ω·
전기전도도 (1/비저항) 1.73 * 104 S/cm
측정예 7. 도금 섬유 자기적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의 도금섬유들 각각의 자기적 특성 평가를 위해 VSM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진동형시료자력계)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얻은 각 샘플의 자기 이력 곡선 (Hysteresis loop)을 도 5에 도시하였다. 일반적으로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은 전자파 차단 효율에 비례하는바 기존 섬유의 투자율에 비해 본 발명의 섬유들은 높은 투자율을 가지므로 전자파 차단재로 적합하다. 각각의 VSM 특성은 아래 표 5와 같다.
최대 투자율 보자력 [G] 포화자화 [emu/g]
Ni/FeCo 탄소섬유 0.0582 167.73 33.008
Cu/FeCo 탄소섬유 0.1208 157.54 49.387
Ni/FeCo 유리섬유 0.0585 89.834 13.112
측정예 8. 도금 섬유 전자파 차폐 특성 측정
도금섬유의 전자파 차폐 특성 평가를 위하여 IKEGAI PCM30-38-2V 1SF Extruder를 이용하여 압출 공정을 진행하였다. Base Resin은 PolyPropylen으로 선정하여 복합소재 Pellet을 제작 하였으며 전자파 차폐 시편은 ASTM D4935 규격에 따라 제작 하였고 전자파 차폐 특성 평가는 EMTI 전자파기술원에서 측정 하였다.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이 Ni/Fe-Co 유리섬유 20 wt% 내지 30 wt%의 전자파차폐 특성이 우수하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a) 섬유 표면의 사이징(sizing)을 제거하는 단계;
    (b) 사이징이 제거된 섬유 표면을 금속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에칭(etching)하는 단계;
    (c) 상기 에칭된 섬유 표면에 팔라듐을 흡착시켜 팔라듐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형성된 팔라듐 촉매층 상부에 비전해성 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Cu 또는 Ni 도금하는 단계; 및
    (e) 상기 Cu 또는 Ni 도금한 섬유에 전해성 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Fe-Co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섬유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섬유는 유리섬유 혹은 탄소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섬유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담지하여 사이징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사이징이 제거된 섬유를 불소화합물 및 황산수소 나트륨이 혼합된 용액에 담지시켜 에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에칭된 섬유를 황산팔라듐, 수산화나트륨 및 붕산이 혼합된 수용액에서 팔라듐을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의 Fe-Co도금층에서 Co : Fe 는 중량비 5 : 5 내지 9 : 1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섬유 제조 방법.
KR1020170173449A 2017-12-15 2017-12-15 무전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여 자화율이 향상된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KR102109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49A KR102109339B1 (ko) 2017-12-15 2017-12-15 무전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여 자화율이 향상된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49A KR102109339B1 (ko) 2017-12-15 2017-12-15 무전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여 자화율이 향상된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242A KR20190072242A (ko) 2019-06-25
KR102109339B1 true KR102109339B1 (ko) 2020-05-12

Family

ID=6706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449A KR102109339B1 (ko) 2017-12-15 2017-12-15 무전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여 자화율이 향상된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3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811B1 (ko) * 2020-07-23 2022-09-30 (주)한국몰드김제 전도성 금속 소재가 2중 도금된 유리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6833A (ja) * 2000-05-09 2001-11-16 Ebara Udylite Kk 触媒化処理の前処理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ガラスエッチング処理液
JP2008288575A (ja) * 2007-05-17 2008-11-27 Samsung Sdi Co Ltd エッチング液、及びこれを用いた薄膜トランジスタを含む電子素子の製造方法
KR101582659B1 (ko) * 2014-10-23 2016-01-08 한국기계연구원 카테콜 폴리머를 이용하여 유리 섬유 표면에 금속을 코팅시키는 방법 및 이에 따라 금속이 코팅된 유리 섬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625A (ko) 2008-09-22 2010-03-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니켈 무전해 도금에 의한 고전도성 유리섬유의 제조방법
KR101420915B1 (ko) * 2012-05-09 2014-07-16 권만천 무전해 도금법에 의한 전자파 차폐용 도전성 섬유의 제조방법
JP6272673B2 (ja) * 2013-10-30 2018-01-31 ローム・アンド・ハース電子材料株式会社 無電解めっき用触媒液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6833A (ja) * 2000-05-09 2001-11-16 Ebara Udylite Kk 触媒化処理の前処理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ガラスエッチング処理液
JP2008288575A (ja) * 2007-05-17 2008-11-27 Samsung Sdi Co Ltd エッチング液、及びこれを用いた薄膜トランジスタを含む電子素子の製造方法
KR101582659B1 (ko) * 2014-10-23 2016-01-08 한국기계연구원 카테콜 폴리머를 이용하여 유리 섬유 표면에 금속을 코팅시키는 방법 및 이에 따라 금속이 코팅된 유리 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242A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279B1 (ko) 전자파 차폐 및 흡수용 부직포 또는 부직포 복합재
Park et al. Microwave absorbing hybrid composites containing Ni–Fe coated carbon nanofibers prepared by electroless plating
US10385208B2 (en) Preparation method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 composite material using copper- and nickel-plated carbon fiber prepared by electroless and electrolytic continuous processes, and electromagnetic wave shield composite material
KR101604858B1 (ko) 무전해 및 전해 도금의 연속 공정을 이용한 부직포의 도금방법
US4808481A (en) Injection molding granules comprising copper coated fibers
JP7270579B2 (ja) ミクロ粗面化した電着銅箔及び銅張積層板
KR20110078265A (ko)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Shao et al. Durable electroless Ni and Ni-PB plating on aromatic polysulfonamide (PSA) fibers with different performances via chlorine-aided silver activation strategy
CN110983764A (zh) 一种具有复合金属镀层结构的导电芳香族聚酰胺纤维
KR102109339B1 (ko) 무전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여 자화율이 향상된 고전도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US10826190B2 (en) 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structures including metal-coated fib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Fatema et al. Iodine-aided palladium-free catalyzation process for durable electroless nickel plating on Kevlar® fiber
AU609425B2 (en) Copper coated fibers
KR101811995B1 (ko) 금속도금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직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강화복합재용 프리프레그
US20200198198A1 (en) Process for plastic overmolding on a metal surface and plastic-metal hybride part
KR101811994B1 (ko) 전자파 차폐용 금속도금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 및 그 제조방법
CN105133301B (zh) 一种镀镍芳香族聚酰胺纤维的制备方法
KR101811993B1 (ko) 전자파 차폐용 금속도금 유리섬유 smc 및 그 제조방법
Wang et al. Influence of carbon fiber nickel electroplating on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amide 6 composites
KR102298078B1 (ko) 전자파 차폐용 금속 도금 탄소매트의 제조방법
US20200107479A1 (en) Metal magnetic film and magnetic sheet
WO2018228982A1 (en) Process for plastic overmolding on a metal surface and plastic-metal hybride part
Skopintsev et al. Metal-plated carbon and basalt fabrics for shielding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Bai et al. Highly Conducting Surface-Silverized Aromatic Polysulfonamide (PSA) Fibers with Excellent Performance Prepared by Nano-Electroplating
JPH04286194A (ja) 電磁波シールド用金属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