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575B1 - Cell frame structure - Google Patents

Cell fram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575B1
KR102108575B1 KR1020130094561A KR20130094561A KR102108575B1 KR 102108575 B1 KR102108575 B1 KR 102108575B1 KR 1020130094561 A KR1020130094561 A KR 1020130094561A KR 20130094561 A KR20130094561 A KR 20130094561A KR 102108575 B1 KR102108575 B1 KR 102108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ttery cell
pouch
unit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8089A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575B1/en
Priority to CN201410161903.8A priority patent/CN104347825B/en
Publication of KR2015001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0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는 일측에 한 쌍의 전극리드가 형성되는 파우치형 전지셀과, 파우치형 전지셀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결합함으로써 파우치형 전지셀을 수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파우치형 전지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단위프레임과, 제1 단위프레임이 파우치형 전지셀을 기준으로 180°회전 대칭된 형태를 가지며 제1 단위프레임과 결합하는 제2 단위프레임을 포함한다.A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is disclosed. A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for storing a pouch-shaped battery cell by mutually bonding a pouch-shaped battery cell on which a pair of electrode leads are formed on one side and a pouch-shaped battery cell, respectively. The frame includes a first unit fram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and a second unit frame having a symmetrical shape rotated 180 ° relative to the pouch-type battery cell and coupled with the first unit frame. It includes a unit frame.

Description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CELL FRAME STRUCTURE}Battery cell frame structure {CELL 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전지셀을 내부에 수용하는 전지셀 프레임이 복수개 결합되는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 frames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s are combined.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각종 전자기기의 사용이 활성화되면서 구동 전원으로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에는 다른 이차전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s a driving power source as the use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is activat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is relatively high and rapid charging is possible compared to other secondary batteries. Therefore, it is most widely used.

이와 같은 이차전지는 다수의 전지 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 방식으로 연결시킨 셀 모듈 어셈블리(CMA, Cell Module Assembly)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관한 종래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Such a secondary battery is generally made of a cell module assembly (CMA, Cell Modul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and a conventional structure is illustrated in FIG. 1.

도 1은 종래 셀 모듈 어셈블리(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ell module assembly 10.

도 1을 참조하면, 셀 모듈 어셈블리(10)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배터리 셀(11)과, 배터리 셀(11)을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12) 및 상부 케이스(13)를 포함한다(도 1에서는 배터리 셀(11)이 직렬 연결되어 있음). Referring to FIG. 1, the cell module assembly 10 includes a battery cell 11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a lower case 12 and an upper case 13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11 (FIG. In 1, the battery cells 11 are connected in series).

배터리 셀(11)은 양극 기능을 하는 단위 셀(unit cell)과 음극 기능을 하는 단위 셀을 한 쌍으로 하는 단위 모듈 복수개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하부 케이스(12)는 상향 개방 구조로 형성되어 배터리 셀(11) 양 측면의 일부 및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3)는 하향 개방 구조로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12)에 삽입된 배터리 셀(11) 양 측면 일부 및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The battery cell 11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modules having a pair of a unit cell functioning as an anode and a unit cell functioning as a cathode. The lower case 12 is formed in an upward opening structure to cover a portion and a low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battery cell 11, and the upper case 13 is formed in a downward opening structure and inserted into the lower case 12 The cells 11 are formed to cover a part of both side surfaces and an upper surface.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셀(1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ttery cell 11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셀(11)은 복수개의 단위 모듈(11a 내지 11d)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직렬 연결). 상기 단위 모듈(11a 내지 11d)은 한 쌍의 단위 셀(+,-)을 구비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우측 단위 셀을 양극 단위 셀(+), 좌측 단위 셀을 음극 단위 셀(-)이라 칭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battery cell 11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modules 11a to 11d (serial connection). The unit modules 11a to 11d include a pair of unit cells (+,-), and for convenience, the right unit cell is referred to as an anode unit cell (+) and the left unit cell is referred to as a cathode unit cell (-). do.

하나의 단위 모듈(11b)의 양극 단위 셀(+)은 인접한 단위 모듈(11c)의 음극 단위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상기 연결은 양극/음극 단위 셀을 서로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모듈(11b,11c)들 단부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리드선 형태의 용접부(L)가 형성된다. 그리고 최외곽에 위치하는 단위 모듈(11a,11d)의 단위 셀(+,-)은 외부 기기(미도시)와 베터리 셀(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부(11e)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부(11e)는 버스바(bus bar, 미도시)와 용접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anode unit cell (+) of one unit module 11b shoul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thode unit cell (-) of the adjacent unit module 11c, and the connection is made by welding the anode / cathode unit cells to each other.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end portions of the unit modules 11b and 11c are formed with a welding portion L in the form of a lead wire connecting them. In addition, the terminal cells 11e are formed in the unit cells 11a and 11d of the outermost unit so that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nd the battery cell 1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terminal portion 11e is formed to be welded with a bus bar (not shown) to protrude to the outside.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셀 모듈 어셈블리(10)에서는 배터리 셀(11)이 복수개의 단위 셀들이 서로 용접되어 결합되는 형태를 가지는 바, 제조하는 것 자체가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접합강도 관리 등 유지보수를 위해 관리해야 하는 부분이 매우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보다 간단한 구조의 전지셀 조립구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cell module assembly 1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ttery cell 11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welded to each other, it is not easy to manufacture itself, and also for maintenance such as joint strength managemen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was a lot to manage.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simpler battery cell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다 간단하게 전지셀을 조립할 수 있으며, 중량 절감 및 직접적인 방열효과에 의해 전지셀을 냉각 가능한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capable of assembling the battery cells more simply, and cooling the battery cells by weight reduction and direct heat dissipation effe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한 쌍의 전극리드가 형성되는 파우치형 전지셀과,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을 수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단위프레임과, 상기 제1 단위프레임이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을 기준으로 180°회전 대칭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단위프레임과 결합하는 제2 단위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electrode lead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respectively, and a frame for receiving the pouch-shaped battery cells by mutually coupling, , The frame has a first unit fram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and the first unit frame has a symmetrical shape rotated 180 ° relative to the pouch-type battery cell and is coupled to the first unit frame A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unit fram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프레임은 일면 일측부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 및 제2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어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long as the frame is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based on the center of the frame.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may include coupling protrusions formed below the center of the frame.

이 때,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결합돌기를 이루는 한 쌍의 결합돌기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interval between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constituting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한편, 상기 프레임은 일면 타측부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rame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frame.

또한, 상기 프레임 일면 일측부 상단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tepped surface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rame, and a coupling hole may be formed at the stepped surface.

또한, 상기 프레임 일면 일측부 하단에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rame.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결합홀에 삽입 결합하고, 상기 제1,2 프레임들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2 결합돌기가 서로 180°회전 대칭된 형태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coupled to the first frame, the protrusion of the first fra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second frame, the first, second fram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eld may be fitted in a symmetrical shape by rotating each other 180 °.

이 때, 상기 제1 프레임에 수용된 파우치형 전지셀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수용된 파우치형 전지셀은 180°회전 대칭된 형태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accommodated in the first frame and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accommodated in the second frame may be 180 ° rotationally symmetrical.

한편, 상기 전극리드는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프레임의 양극은 우측으로 포밍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압착되고, 음극은 좌측으로 포밍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 압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ode lead may include an anode and a cathode, and the anod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may be formed to the right to be compressed to one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cathode may be formed to the left to be compress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rame.

또한, 상기 제1,2 프레임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구조체를 파지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구조체의 양면 측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끼움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may be continuously combined to form a single structure, and may be further arranged to hold the structure, bu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fitt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ucture. .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일 형상의 단일프레임 두 개를 회전대칭시켜 결합하고 내부에 전지셀을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부품 형성으로도 다수개의 전지셀을 적층 조립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even with minimal component formation by combining two single frames of the same shape by rotational symmetry and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s therein.

또한, 단일프레임 두 개로 형성되는 프레임 복수개가 서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4셀, 8셀, 12셀 등 필요로 하는 전압에 따라 모듈을 별도로 재설계하는 일이 없이 전지셀의 확장 구조체를 조립 가능하다. In addition, by allowing a plurality of frames formed of two single frame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extended structure of the battery cell without redesigning the module according to the required voltage such as 4 cells, 8 cells, 12 cells.

또한, 프레임 복수개의 결합시에 전극이 압착되므로 접촉저항을 낮추어 전류 평형이 맞춤되고, 발열량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셀간 접촉저항에 의한 임피던스 감소, 충전/방전 출력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s are squeezed when a plurality of frames are coupled, the contact resistance is lowered, the current balance is tailored,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s reduced, as well as the impedance reduction due to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cells and the improvement of the charge / discharge output performance.

도 1은 종래 셀 모듈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단위프레임의 앞면 좌측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두 개의 프레임이 결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두 개의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표시된 Ⅶ의 확대도이다.
도 8은 프레임에서 전극리드가 포밍되는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ell module assembly.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battery cell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front left side of the first unit frame shown in FIG. 3 from the front.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two frames are combined.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frames shown in FIG. 5 are combined.
7 is an enlarged view of VII shown in FIG. 6.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de lead is formed in a fram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mb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는 파우치형 전지셀(10)과, 파우치형 전지셀(10)을 수납하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includes a pouch-shaped battery cell 10 and a frame 100 for storing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10.

파우치형 전지셀(10)은 파우치형의 케이스 내부에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미도시)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양극 및 음극 탭들이 한 쌍의 전극리드(11)와 연결되어 파우치형 전지셀(10)의 일측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파우치형 전지셀(10)의 세부 구성은 공지된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극리드(11)는 양극(11a)과 음극(1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pouch-type battery cell 10 has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made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disposed therebetween inside a pouch-shaped case,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tabs have a pair of electrode leads 11 ) And is formed to be exposed on one side of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10. 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10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known content,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electrode lead 11 may be divided into an anode 11a and a cathode 11b.

프레임(100)은 제1 단위프레임(110)과 제2 단위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제1 단위프레임(110)은 파우치형 전지셀(1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2 단위프레임(120)은 파우치형 전지셀(20)의 타면에 배치된다. 도 3에서는 제1 단위프레임(110)이 파우치형 전지셀(10)의 앞면에 배치되고, 제2 단위프레임(120)이 파우치형 전지셀(10)의 뒷면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The frame 100 includes a first unit frame 110 and a second unit frame 120. The first unit frame 11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uch type battery cell 10, and the second unit frame 120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uch type battery cell 20. In FIG. 3, the first unit frame 11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uch type battery cell 10, and the second unit frame 120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pouch type battery cell 10.

제1,2 단위프레임(110,120)은 상호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파우치형 전지셀(20)을 수납한다. 제1,2 단위프레임(110,120)의 상호 결합은 볼팅 또는 접착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단위프레임(110,120)은 하나의 프레임(100)을 이루고, 이와 같은 프레임(100)들이 복수 개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00)들의 결합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and second unit frames 110 and 120 are mutually coupled to accommodate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20 therein. The mutual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frames 110 and 120 may be performed through a method such as bolting or adhesion. The first and second unit frames 110 and 120 constitute one frame 100, and a plurality of such frames 100 may be combined. The combination of the frames 1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제1,2 단위프레임(110,120)은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다만, 제1,2 단위프레임(110,120)의 결합에 있어, 제2 단위프레임(120)은 제1 단위프레임(110)이 파우치형 전지셀(10)을 기준으로 180° 회전 대칭된 형태로 배치된다. 즉, 제1,2 단위프레임(110)은 서로 파우치형 전지셀(10)을 기준으로 180° 회전 대칭된 형태로 상호 결합한다. 따라서 동일한 형태의 프레임 부품 두 개를 서로 180° 회전 대칭하여 하나의 파우치형 전지셀(10)를 내부에 수납하는 프레임(100)을 이룰 수 있으므로, 최소 단위의 부품 형성으로 전지셀 구조체를 조립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unit frames 110 and 120 have the same shape. However, i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frames 110 and 120, the second unit frame 120 i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unit frame 110 is 180 ° rotation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ouch type battery cell 10 do.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unit frames 110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180 ° rotationally symmetrical form based on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10. Therefore, since two frame parts of the same shape are rotated symmetrically 180 ° to each other to form a frame 100 for storing one pouch-shaped battery cell 10 therein, the battery cell structure can be assembled by forming a minimum number of parts. have.

제1,2 단위프레임(110,120)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바, 이하에서는 제1 단위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기 형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제1 단위프레임(110)의 형태를 180° 회전 대칭시키면 제2 단위프레임(120)의 형태가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단위프레임(110)의 각 구성들은 도면부호가 11로 시작하고, 제2 단위프레임(120)의 동일 구성들은 도면부호가 12로 시작하도록 표기하였음을 밝혀둔다. The first and second unit frames 110 and 120 have the same shape. Hereinafter, the shape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irst unit frame 110. When the shape of the first unit frame 110 to be described below is rotated symmetrically by 180 °, the shape of the second unit frame 120 is obtain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revealed that each component of the first unit frame 110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1, and identical components of the second unit frame 120 ar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

제1 단위프레임(110)은 플레이트(plate) 형태이고, 면 전체에 걸쳐 하나 이상의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단위프레임(110)은 창틀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도 3에서는 제1 단위프레임(110)에 두 개의 개구부(111)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개구부(111)는 도 3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unit frame 110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one or more openings 111 are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Therefore, the first unit frame 110 has a shape similar to a window frame. In FIG. 3, a case where two openings 111 are formed in the first unit frame 110 is illustrated, but the opening 111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ose shown in FIG. 3.

개구부(111)가 존재하므로 제1 단위프레임(110)의 중량이 절감될 수 있으며, 수납되는 파우치형 전지셀(10)이 개구부(111)를 통해 직접 방열될 수 있어 효율적이다. Since the opening 111 is present, the weight of the first unit frame 110 can be reduced, and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10 to be stored can be radiated directly through the opening 111, which is efficient.

제1 단위프레임(110)의 일면 일측부에는 제1 결합돌기(112) 및 제2 결합돌기(113)이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제1 단위프레임(110)의 앞면의 좌측부에 제1 결합돌기(112) 및 제2 결합돌기(113)이 형성되어 있다. A first coupling protrusion 112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113 are formed on one sid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unit frame 110. In FIG. 3,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12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13 ar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unit frame 110.

제1 단위프레임(110)의 일면 타측부에는 결합홈(114)이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제1 단위프레임(110)의 앞면의 우측부에 결합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14)은 제1 단위프레임(110)의 높이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확대도 참조).A coupling groove 11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unit frame 110. In FIG. 3, a coupling groove 114 is formed at a right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unit frame 110. Coupling groove 114 is formed in a long shap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unit frame 110, it may be formed to have a depth of a predetermined size (see enlargement).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단위프레임(110)의 앞면 좌측부(도 3에서 Ⅳ로 표기됨)를 정면에서 도시하고 있다. FIG. 4 shows the front left portion (indicated by IV in FIG. 3) of the first unit frame 110 shown in FIG. 3 from the front.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위프레임(110)의 중앙에는 c로 표기된 가상선이 도시되어 있다. 제1 결합돌기(112)는 상기 가상선 상부에 형성되고, 제2 결합돌기(113)는 상기 가상선 하부에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 a virtual line denoted by c is shown at the center of the first unit frame 110.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112 is formed on the upper virtual line,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113 is formed on the lower virtual line.

제1 결합돌기(112) 및 제2 결합돌기(113)는 동일한 형태의 결합돌기(a)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돌기(a)는 제1 단위프레임(110)의 높이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며, 제1 단위프레임(110)의 앞면 방향으로 소정 크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112 and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113 are provided with the same type of engaging projection (a). The engaging projection (a) is formed in a long shap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unit frame 110,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siz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irst unit frame 110.

제1 결합돌기(112)는 이와 같은 형태의 결합돌기(a) 한 쌍이 소정 간격(d)을 두어 배치되는 형태이다. 즉, 제1 결합돌기(112)는 결합돌기(a) 두 개를 구비한다.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12 is a type in which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a) of this type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d). That is,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12 includes two coupling protrusions (a).

제2 결합돌기(113)는 같은 형태의 결합돌기(a) 하나가 배치되는 형태이다. 이 때, 제2 결합돌기(113)는 제1 결합돌기(112)에서 한 쌍의 결합돌기(a)가 이루는 간격(d)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인접하는 프레임(100)들이 결합할 때에 하나의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2 결합돌기(113)가 다른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112)의 상기 간격(d)에 끼움 결합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13 is a type in which one coupling protrusion (a) of the same type is disposed. At this time,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1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ap d formed by the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a) i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12. The reason for the 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s that when the adjacent frames 100 are joine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13 formed in one frame 100 and the spacing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112 formed in the other frame 100 ( This is because it fits into 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제1 단위프레임(110)의 일면 일측부 상단에는 단턱(115)이 형성되고, 단턱(115)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결합홀(115a)이 형성된다. 도 4에서는 제1 단위프레임(110)의 우측부 상단에 단턱(115) 및 결합홀(115a)이 형성되어 있다. A stepped side 115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unit frame 110, and a coupling hole 115a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stepped side 115. In FIG. 4, a stepped jaw 115 and a coupling hole 115a are formed at an upper right portion of the first unit frame 110.

제1 단위프레임(110)의 일면 일측부 하단에는 돌기부(116)가 형성된다. 도 4에서는 제1 단위프레임(110)의 우측부 하단에 돌기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16)는 제1 단위프레임(110)의 앞면 방향으로 소정 크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16a)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A protrusion 116 is formed at a bottom of one sid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unit frame 110. In FIG. 4, a protrusion 116 is formed at a lower right side of the first unit frame 110. The protrusion 116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support portion 116a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siz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irst unit frame 110.

돌기부(116)의 크기(직경, 높이)는 결합홀(115a)의 크기에 대응한다. 이는 인접하는 프레임(100)들이 결합할 때에 하나의 프레임(100)에 형성된 돌기부(116)가 다른 프레임(100)에 형성된 결합홀(115a)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size (diameter, height) of the protrusion 116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coupling hole 115a. This is because when the adjacent frames 100 are combined, the protrusions 116 formed in one frame 100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115a formed in the other frame 10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도 5는 두 개의 프레임(A,B)이 결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two frames A and B are combined.

도 5를 참조하면,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는 상기에서 설명한 프레임(100)들이 복수 개 결합될 수 있다. 각 프레임(100)은 제1 단위프레임(110) 및 제2 단위프레임(120)을 포함하고, 내부에 파우치형 전지셀(10)을 수납한다(도 3 참조). 이하에서는 이러한 프레임(100) 두 개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5에서는 하나의 프레임(100)을 A(제1 프레임)라고 표기하고(도 5의 우측 프레임), A와 결합하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100)을 B(제2 프레임)라고 표기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a plurality of frames 100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Each frame 100 includes a first unit frame 110 and a second unit frame 120, and stores a pouch-shaped battery cell 10 therein (see FIG. 3). Hereinafter, the combination of the two frames 100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FIG. 5, one frame 100 is indicated as A (first frame) (the right frame in FIG. 5), and the other frame 100 coupled with A is B (second frame). It will be marked as.

A와 B가 결합하기 위해서는 A의 제2 단위프레임(120)과, B의 제1 단위프레임(110)이 결합한다(제1,2 단위프레임은 도 3, 도 4 참조). 따라서 도 5에서는 A의 제2 단위프레임(120)과, B의 제1 단위프레임(110)만을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In order to combine A and B, the second unit frame 120 of A and the first unit frame 110 of B are combined (see FIGS. 3 and 4 for the first and second unit frames). Therefore, in FIG. 5, it is revealed that only the second unit frame 120 of A and the first unit frame 110 of B are illustrated.

구체적으로는 A의 제2 단위프레임(120)에 존재하는 돌기부(126)가 B의 제1 단위프레임(110)에 존재하는 결합홀(115a)에 삽입된다(A,B의 상부). 그리고 B의 제1 단위프레임(110)에 존재하는 돌기부(116)가 A의 제2 단위프레임(120)에 존재하는 결합홀(125a)에 삽입된다(A,B의 하부). 따라서 A와 B는 일측부에서 힌지(hinge)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있어 A의 제2 단위프레임(120)에 존재하는 지지부(126a)는 B의 제1 단위프레임(110)에 존재하는 단턱(115)에 수용되고, B의 제1 단위프레임(110)에 존재하는 지지부(116a)는 B의 제1 단위프레임(110)에 존재하는 단턱(125)에 수용된다. Specifically, the protrusion 126 existing in the second unit frame 120 of A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5a existing in the first unit frame 110 of B (the upper portion of A and B). Then, the protrusion 116 existing in the first unit frame 110 of B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25a existing in the second unit frame 120 of A (the lower part of A and B). Therefore, A and B can be hinged at one side. In the coupling, the support part 126a existing in the second unit frame 120 of A is accommodated in the stepped 115 existing in the first unit frame 110 of B, and the first unit frame 110 of B The support 116a present in the housing is accommodated in the stepped 125 present in the first unit frame 110 of B.

A의 제2 단위프레임(120)은 B의 제1 단위프레임(110)과 180° 회전 대칭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A의 제2 단위프레임(120)에는 위에서부터 제2 결합돌기(123), 제1 결합돌기(122) 순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B의 제1 단위프레임(110)에는 위에서부터 제1 결합돌기(112), 제2 결합돌기(113)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unit frame 120 of A has a 180 °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with the first unit frame 110 of B. Accordingly, the second unit frame 120 of A is form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3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2 from the top,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from the top of the first unit frame 110 of B is formed. (112),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113) is formed in this order.

이 때, 상술한 것과 같이 제2 결합돌기(113,123)는 제1 결합돌기(112,122)에 형성된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A의 제2 단위프레임(120)에 형성된 제2 결합돌기(123)는 B의 제1 단위프레임(110)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112)에 존재하는 간격에 끼움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B의 제1 단위프레임(110)에 형성된 제2 결합돌기(113)는 A의 제1 단위프레임(110)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122)에 존재하는 간격에 끼움 체결된다. 따라서 A,B의 결합시에 상술한 제1,2 결합돌기(112,122,113,123)들의 끼움 체결에 의해 A,B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13 and 123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gap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112 and 122. Therefore,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23 formed on the second unit frame 120 of A are fitted to the gaps existing i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112 formed on the first unit frame 110 of B. Likewise,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13 formed in the first unit frame 110 of B are fastened at intervals existing i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122 formed in the first unit frame 110 of A. Therefore, when the A, B is coupled, the tight coupling of the A, B is possible by fasten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12, 122, 113, and 123 described above.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두 개의 프레임(A,B)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표시된 Ⅶ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8은 프레임(B)에서 전극리드(11)가 포밍되는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wo frames (A, B) shown in FIG. 5 are combined,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표시된 shown in FIG. 6. And Figure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lectrode lead 11 is formed in the frame (B).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두 개의 프레임 A, B가 결합된다는 의미는 각 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된 파우치형 전지셀(10) 두 개가 직렬 연결됨을 의미한다. 상기 전지셀들의 직렬 연결을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파우치형 전지셀(10)에 형성된 전극리드(11, 도 3 참조)들을 포밍하여 프레임의 일면 또는 타면에 압착시키는 방식을 적용한다. 6 to 8, the two frames A and B means that the two pouch-shaped battery cells 10 stored in the interior of each frame are connected in series. For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battery cells,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forming the electrode leads 11 (refer to FIG. 3) formed in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10 and compressing them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frame is applied.

이를 위해서 A에 수용된 파우치형 전지셀(10)과 B에 수용된 파우치형 전지셀(10)이 서로 180°회전 대칭된 형태일 수 있다. To this end, the pouch-shaped battery cells 10 accommodated in A and the pouch-shaped battery cells 10 accommodated in B may be 180 ° symmetrically rotated with each other.

파우치형 전지셀(10)에는 양극, 음극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전극리드(11)가 존재한다. 편의상 양극을 11a로 표시하고, 음극을 11b로 표시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A에서는 양극(11a)이 A의 앞면으로 포밍되고, 음극(11b)은 A의 뒷면으로 포밍된다. 이 때, A의 파우치형 전지셀(10)과 B의 파우치형 전지셀(10)이 직렬 연결되기 위해서는 A의 음극(11b)이 B의 양극(11a)과 연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B의 파우치형 전지셀(10)이 A의 파우치형 전지셀(10)과는 회전 대칭된 형태로 B에 수납되어야 한다. 그래야 도 7에서처럼 B의 양극(11a)이 B의 앞면으로 포밍되고, 음극(11b)이 B의 뒷면으로 포밍되어 A,B의 파우치형 전지셀(10)이 직렬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pouch-shaped battery cell 10 has electrode leads 11 formed to exten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respectively. For convenience, the anode will be indicated as 11a, and the cathode will be indicated as 11b. As shown in Fig. 7, in A, the anode 11a is formed to the front side of A, and the cathode 11b is formed to the back side of A.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pouch-type battery cell 10 of A and the pouch-type battery cell 10 of B to be connected in series, the negative electrode 11b of A must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11a of B, and for this, the pouch of B The type battery cell 10 should be accommodated in B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form with the pouch type battery cell 10 of A. This is because the positive electrode 11a of B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B, and the negative electrode 11b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B, so that the pouch-type battery cells 10 of A and B can be connected in series.

양극(11a) 및 음극(11b)의 포밍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서는 도 7의 프레임 B에서 양극(11a)이 포밍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B에 수용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10)에 형성된 전극리드는 제1,2 단위프레임(110,120) 사이 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양극(11a)의 경우에는 B의 앞면으로 포밍시킨다. B의 앞면에는 제2 결합돌기(113)이 형성되어 있고, 양극(11a)은 포밍되어 제2 결합돌기(113)를 압착하는 형태가 된다(도 8b 참조).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전극들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프레임 앞면 또는 뒷면으로 포밍되어 제1 결합돌기(112,122) 또는 제2 결합돌기(113,123)를 압착하는 형태가 된다. The forming of the anode 11a and the cathode 11b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8. In FIG. 8, the anode 11a is formed in the frame B of FIG. 7. The electrode leads formed in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10 accommodated in B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nit frames 110 and 120.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anode 11a, it is formed to the front side of B.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113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B, and the positive electrode 11a is formed to form a crimp for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113 (see FIG. 8B). The other electrodes not shown in FIG. 8 are also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ront or back of the frame to form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112 and 122 or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13 and 123.

이 때, 상술하였듯이 두 개의 프레임(A,B)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하면, 상기 프레임(A,B)들에 각각 형성된 제1,2 결합돌기(112,122,113,123)가 서로 180°회전 대칭된 형태로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제1 결합돌기(112,122) 또는 제2 결합돌기(113,123)를 압착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전극들은 서로 대칭되는 제1 결합돌기(112,122) 또는 제2 결합돌기(113,123)에 의해 압박된다. 즉, 프레임 복수개의 결합시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전극들이 압착되므로 접촉저항을 낮추어 전류 평형이 맞춤되고, 발열량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셀간 접촉저항에 의한 임피던스 감소, 충전/방전 출력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wo frames (A, B)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12, 122, 113, 123)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ames (A, B) are rotated symmetrically by 180 ° to each other. It is combined into a fitted form. Therefore, the electrodes provided in the form of pressing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112 and 122 or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13 and 123 are pressed by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112 and 122 or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13 and 123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That is, when combining a plurality of frames, since the electrodes are compress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resistance is lowered to adjust the current balance,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s reduced, as well as the impedance reduction due to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cells and the improvement of the charge / discharge output performance. Have an advantage

도 9는 복수개의 프레임(A 내지 H)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 to H) are combined.

도 9를 참조하면,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는 상기에서 설명한 프레임(100)들이 복수 개 결합될 수 있다. 각 프레임(100)은 제1 단위프레임(110) 및 제2 단위프레임(120)을 포함하고, 내부에 파우치형 전지셀(10)을 수납한다(도 3 참조). 도 9에서는 도 3의 프레임(100) 일곱 개(A 내지 H)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를 도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9, a plurality of frames 100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in the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Each frame 100 includes a first unit frame 110 and a second unit frame 120, and stores a pouch-shaped battery cell 10 therein (see FIG. 3). FIG. 9 illustrates a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formed by connecting seven frames (A to H) of FIG. 3 to each other.

각각의 프레임(100)들은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4셀, 8셀, 12셀 등 필요로 하는 전압에 따라 모듈을 별도로 재설계하는 일이 없이 전지셀의 확장 구조체를 도 9에서와 같이 조립 가능하다. 각각의 프레임(100)들이 결합하는 방식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Each frame 100 has the same shap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extended structure of the battery cell as shown in FIG. 9 without separately redesigning the module according to the required voltage, such as 4 cells, 8 cells, 12 cells. Since the method of combining each frame 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5,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를 후방에서 파지하도록 배치되는 고정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자 형태를 갖는 고정클립일 수 있고, 상기 구조체를 후방에서 파지하도록 배치되되 구조체의 양면 측부에 형성된 결합홈(114,124)에 끼움 체결될 수 있다. 결합홈(114)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단위프레임(110)의 앞면 우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제2 단위프레임의 경우에는 뒷면 좌측부).Meanwhile, the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200 disposed to grip the structure from the rear. The fixing member 200 may be a fixing clip having a ?? shape, and is arranged to grip the structure from the rear, but can be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s 114 and 12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ucture. The coupling groove 114 may be formed on the right front side of the first unit frame 110 as shown in FIG. 3 (in the case of the second unit frame, the rear left si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일 형상의 단일프레임 두 개를 회전대칭시켜 결합하고 내부에 전지셀을 수용한 후에, 이와 같은 프레임을 복수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지셀의 확장 구조체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 개별 프레임의 결합시 전극이 압박되는 바, 접촉저항을 낮추어 전류 평형 맞춤, 발열량 저감, 임피던스 감소, 출력성능 향상 등의 효과가 발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 the expansion structure of the battery cell by configuring two or more single frames of the same shape to be rotationally symmetrical, and then receiving the battery cells therein, so that a plurality of such frames can be combin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ssembled. In addition, when the individual frames are combined, the electrodes are pressed, so that the contact resistance is lowered to balance the current, reduce the amount of heat, reduce the impedance, and improve the output performanc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like, and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파우치형 전지셀 11: 전극리드
11a: 양극 11b: 음극
100: 프레임 110: 제1 단위프레임
120: 제2 단위프레임 111,121: 개구부
112,122: 제1 결합돌기 113,123: 제2 결합돌기
114,124: 결합홈 115,125: 단턱
115a,125a: 결합홀 116,126: 돌기부
116a,126a: 지지부
10: pouch type battery cell 11: electrode lead
11a: anode 11b: cathode
100: frame 110: first unit frame
120: second unit frame 111,121: opening
112,122: first engaging projection 113,123: second engaging projection
114,124: Combined groove 115,125: Stepped
115a, 125a: Coupling hole 116,126: Protrusion
116a, 126a: support

Claims (11)

일측에 한 쌍의 전극리드가 형성되는 파우치형 전지셀과,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을 수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단위프레임과, 상기 제1 단위프레임이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을 기준으로 180°회전 대칭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단위프레임과 결합하는 제2 단위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일면 일측부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 및 제2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어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결합돌기를 이루는 한 쌍의 결합돌기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일면 일측부 상단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일면 일측부 하단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결합홀에 삽입 결합하고, 상기 제1,2 프레임들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2 결합돌기가 서로 180°회전 대칭된 형태로 끼움 결합하여, 복수개의 프레임 결합 시, 상기 제1,2 결합돌기에 의해, 전극들이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접촉저항을 낮추어 발열량이 저감되고, 셀간 접촉저항에 의한 임피던스 감소 및 충전/방전 출력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
A pouch-shaped battery cell in which a pair of electrode leads are formed on one side,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each including a frame for receiving the pouch-shaped battery cells,
The frame includes a first unit fram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and the first unit frame having a symmetrical shape rotated 180 ° relative to the pouch-type battery cell and coupled with the first unit frame. Includes 2 unit frames,
The frame has a first engaging projection and a second engaging projec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part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frame,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has a engaging projec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enter of the frame,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forming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A short jaw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rame, and a coupling hole is formed at the short jaw.
A protrus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one surface of the frame,
The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combined with the first frame,
In the frame,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frame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of the second frame,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symmetrically rotated 180 ° from each other. By fitting into a plurality of frames, b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the electrodes are compressed, thereby lowering the contact resistance to reduce the heat generation amount, reducing the impedance due to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cells, and charging / discharging output performance.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improv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면 타측부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는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is a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 수용된 파우치형 전지셀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수용된 파우치형 전지셀은 180°회전 대칭된 형태인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accommodated in the first frame and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accommodated in the second frame are 180 ° rotationally symmetrical battery cell frame structure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는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프레임의 양극은 우측으로 포밍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압착되고, 음극은 좌측으로 포밍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 압착되는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electrode lead includes an anode and a cathode,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compressed to one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formed to the left and press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ram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2 프레임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구조체를 파지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구조체의 양면 측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움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지셀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A battery cell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continuously joined to form a structure, and arranged to grip the structure, but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fitted into a coupl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ucture.
KR1020130094561A 2013-08-09 2013-08-09 Cell frame structure KR102108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561A KR102108575B1 (en) 2013-08-09 2013-08-09 Cell frame structure
CN201410161903.8A CN104347825B (en) 2013-08-09 2014-04-22 Cell unit frame stuctural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561A KR102108575B1 (en) 2013-08-09 2013-08-09 Cell fram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089A KR20150018089A (en) 2015-02-23
KR102108575B1 true KR102108575B1 (en) 2020-05-07

Family

ID=5250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561A KR102108575B1 (en) 2013-08-09 2013-08-09 Cell frame structu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8575B1 (en)
CN (1) CN10434782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5198B2 (en) * 2015-10-07 2017-09-05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5476A (en) 2011-08-25 2012-01-11 石家庄杰泰特电子科技有限公司 Battery
KR101323875B1 (en) 2012-02-23 2013-10-30 세방전지(주) Battery cell case assembly using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1101A (en) * 1997-06-02 1999-11-09 Gnb Technologies, Inc. Modular cell tray assembly for sealed lead-acid cells
KR101042132B1 (en) * 2005-03-23 2011-06-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Case for high powe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KR100921346B1 (en) * 2006-09-25 2009-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Mid-Large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JP5497318B2 (en) * 2009-03-27 2014-05-21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Battery package,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9337456B2 (en) * 2009-04-20 2016-05-10 Lg Chem, Ltd. Frame member, frame assembly and battery cell assembly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116778B1 (en) * 2010-02-05 2012-03-05 주식회사 엠플러스 Soaking pallet for secondary battery
KR101174045B1 (en) * 2010-09-29 2012-08-16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305229B1 (en) * 2010-12-28 2013-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Unit Module Having External Covering Member and Heat Dissipation Member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1305218B1 (en) * 2010-12-28 2013-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Having Fixing Member and Coupling Member,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TWI424603B (en) * 2011-06-13 2014-01-21 Chroma Ate Inc Tray
KR101284950B1 (en) * 2011-07-11 2013-07-10 세방전지(주) Battery case with connecting structure of insert type
KR101275487B1 (en) * 2011-09-19 2013-06-17 세방전지(주) Battery unit cell comprised in inserted case and battery module assembled at least on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5476A (en) 2011-08-25 2012-01-11 石家庄杰泰特电子科技有限公司 Battery
KR101323875B1 (en) 2012-02-23 2013-10-30 세방전지(주) Battery cell case assembly using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7825A (en) 2015-02-11
CN104347825B (en) 2017-04-12
KR20150018089A (en)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875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688489B1 (en) Battery module
JP4923314B1 (en) Battery block and battery module
JP7048838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with busbar
KR101250197B1 (en) Battery Pack of Novel Structure
JP5601739B2 (en) High power and large capacity battery pack
US20140295235A1 (en) Battery module
KR20190071454A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US8846221B2 (en) Battery pack
WO201207339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KR101441900B1 (en) A battery pack
US20210218098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uch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uch Battery Pack
KR101979371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3780153B1 (en) Battery module
KR20200069720A (en) Battery module including insert injection molded busbar
KR102235650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939832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casing
KR20200000181A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KR20150035205A (en) Secondary battery
KR20120123945A (en) Battery module
KR20180047407A (en) Battery pack
EP3783693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battery pack
KR102321794B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connector having bidirectional coupling structure
KR20210036902A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108575B1 (en) Cell fram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