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137B1 -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137B1
KR102108137B1 KR1020200003515A KR20200003515A KR102108137B1 KR 102108137 B1 KR102108137 B1 KR 102108137B1 KR 1020200003515 A KR1020200003515 A KR 1020200003515A KR 20200003515 A KR20200003515 A KR 20200003515A KR 102108137 B1 KR102108137 B1 KR 10210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plate
reference point
surveying
surv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구
조영민
김태석
박종민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량장치의 측량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측량장치에 부대되는 측량용 타켓의 구조를 개량하여 측량불량이나 측량불가의 문제를 극복하고 높은 정확도를 갖는 측량작업이 가능하게 한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성체가 내장된 부착판을 측량 대상물에 인접하게 부착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반사부재의 지침부는 다양한 각도로 절곡되는 연결부재에 의해서 측량 대상물에 쉽게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반사판 혹은 지침부가 슬라이딩 작동되므로 각종 장애물에 의해 반사판이 엄폐되지 않아 보다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므로 측량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또한 측량을 위해 측량용 타켓 설치시 제1,2각도조절빔을 정위치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어 흔들림을 방지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정확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Geodetic survey system based on a reference point survey}
본 발명은 측지측량 기술 분야 중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량장치의 휴대 이동의 용이성과, 고정 편의성, 부착 안정성을 확보하여 측량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측량장치에 부대되는 측량용 타켓의 구조를 개량하여 측량불량이나 측량불가의 문제를 극복하고 높은 정확도를 갖는 측량작업이 가능하게 한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지측량(geodesic surveying)이란 한 국가의 기본지형도의 기준점 좌표를 결정하는 측량을 말하며, 삼각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삼각측량, 수준점의 표고를 결정하는 수준측량, 그에 부수하는 천문, 기선(基線), 검조(檢潮) 등의 여러 관측들이 포함된다.
이때, 삼각측량은 최근 광파측거의(光波測距儀)에 의한 삼변측량(三邊測量)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또 지구의 형(形)이나 지오이드의 기복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중력측량이나 위성측지법, 여기에 지자기편각(地磁氣偏角)을 부여하는 것으로 자기측량 등을 추가하는 것도 있다.
한편, 기준점 측량(leveling, plane survey)은 3차원 좌표에서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에 있는 여러 점들 사이의 고저차 또는 표고를 관측한다.
이때, 기준점 측량의 기준은 평균해수면(지오이드)이며, 수준측량의 결과는 지도제작, 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정보로, 도로, 철도, 운하의 설계, 계획된 높이의 건설구조물 설치, 배수특성조사, 지도제작 등의 분야에서 기준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등록특허 제0784251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측량 작업시 측량장치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목적으로 구비되어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측량용 타켓이 측량 대상물을 지시하는 지침부를 가지고 있지 않아 보다 정확한 측량이 어렵고, 또 측량 대상물이 엄폐되어 있을 경우 측량이 불가능한 상황도 발생하는 등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84251호(2007.12.04.) 측지측량에서 등거리 관측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측량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조적 개선이 필요성 때문에 창출된 것으로, 측량장치의 측량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측량장치에 부대되는 측량용 타켓의 구조를 개량하여 측량불량이나 측량불가의 문제를 극복하고 높은 정확도를 갖는 측량작업이 가능하게 한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격에서 정확한 거리산출을 위한 레이저 거리측정기, 대상물과 시준선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초준렌즈, 기포관이 허용 반지름 안에 들어올 때 자동으로 기포관을 표정하는 자동수준장치, 적정거리를 관측자에게 표시해주는 액정표시장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연결케이블, 관측을 위한 접안렌즈, 거리데이터를 계산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장치 및 거리계산과 속성정보처리를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표척에 대응하여 관측 값을 얻기 위한 시준선장치 및 원거리 대상물을 가까이 보기 위한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량장치는 출사된 레이저를 반사시켜 정확한 위치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측량용 타켓을 포함하되,
상기 측량용 타켓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부재; 일단부의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측량 대상물을 지시하는 지침부와, 상기 지침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고 측량 기준점이 표시되어 있는 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빔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각도 조절되되 끝단에 볼하우징이 각각 구비된 제1,2각도조절빔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 상기 제1각도조절빔의 볼하우징에 사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 조인트 결합되며 내부에 자성체가 구비된 부착판; 및 상기 제2각도조절빔의 볼하우징에 사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 조인트 결합되며 상측에는 상기 지침부를 결합하기 위해 상측으로 절개된 결합공이 구비됨과 동시에 결합공을 압착하여 결합된 지침부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가 구비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판을 수납 고정하여 비자성체의 피설치체(SET)에도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400)는 부착판(120)이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수납대(410)와, 상기 수납대(410)의 하단면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판(420)과, 상기 수납대(410)의 하다면과 상기 연장판(420)의 표면에 고정된 고무판(430)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대(410)의 전면에는 구멍이 상하로 뚫려 있는 삽입안내구(440)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안내구(440)에는 ∩형상의 말굽바(450)가 끼워지고, 상기 말굽바(450)의 양단에는 합성수지로 된 한 쌍의 끼움파이프(460)가 끼워지며, 상기 끼움파이프(460)들은 고정판편(470)에 의해 상호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편(470)의 중심에는 나사봉(480)이 관통된 상태로 나사체결되며, 상기 나사봉(480)의 단부에는 고무로 된 밀착편(490)이 고정되어 상기 나사봉(480)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판편(470)에 나사고정되어 있는 나사봉(480)이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진되면서 밀착편(490)이 피설치체(SET)의 일측면에 밀착되거나 분리되고, 상기 끼움파이프(460)의 둘레에는 고무자석(M)이 더 설치되어 말굽바(450)와 흡착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량장치의 측량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측량장치에 부대되는 측량용 타켓의 구조를 개량하여 측량불량이나 측량불가의 문제를 극복하고 높은 정확도를 갖는 측량작업이 가능하게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타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작동을 보인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며, "나"는 반사부재의 결합 횡단면도이고, "다"는 반사부재의 작동을 보인 횡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의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횡단면도이며, "다"는 작동을 보인 횡단면도.
도 6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타켓이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타켓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켓 고정부재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국가수준 기준점과 관련된 사항은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은 레이저빔의 되반사를 위한 측량용 타켓을 포함하는데, 상기 측량용 타켓은 크게 연결부재(100) 및 상기 연결부재(100)에 결합되어 있는 반사부재(2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지대(110), 부착판(120) 및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대(110)는 빔고정노브(118)에 의해 결합되어 각도 조절되되 끝단에 볼하우징(116a,116b)이 각각 구비된 제1,2각도조절빔(112,11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하우징(116b)은 후술할 결합부재(130)의 볼(132)이 삽착될 수 있는 반구형 형상의 삽착홈(117)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삽착홈(117)에 후술할 결합부재(130)의 볼(132)이 조인트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2각도조절빔(112,114)에 각각 구비된 볼하우징(116a,116b)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기에서는 제2각도조절빔(114)에 구비된 볼하우징(116b)을 대표적으로 확대도시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부착판(120)은 상기 제1각도조절빔(112)의 볼하우징(116a)에 사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122) 조인트 결합되는 것으로, 금속성분으로 이루어진 곳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자성체(1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제2각도조절빔(114)의 볼하우징(116b)에 사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132) 조인트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에는 후술할 반사부재(200)의 지침부(210)를 결합하기 위해 상측으로 절개된 결합공(134)이 구비됨과 동시에 결합공(134)을 압착하여 결합된 지침부(21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136)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재(100)는 도 3과 같이 작동된다.
즉, 도 3을 참조로 하면, 우선 지지대(110)의 제2각도조절빔(114)은 상기 도 2와 달리 빔고정노브(118)를 축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각도 조절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빔고정노브(118)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제1,2각도조절빔(112,114)에 대한 결속력을 완화시키게 되면 두 각도조절빔(112,114)은 자유스럽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각도 조절이 완료되고 나면 빔고정노브(118)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속하게 되면 고정되므로 손쉽게 도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각도조절빔(112)의 하측에 구비된 볼하우징(116a)에 볼(122) 조인트 결합된 부착판(120)과 제2각도조절빔(114)의 상측에 구비된 볼하우징(116b)에 볼(132) 조인트 결합된 결합부재(130) 역시 도 2와는 다른 각도로 조절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각도조절빔(112,114)의 볼하우징(116a,116b)에 각각 결합된 부착판(120)과 결합부재(130)는 볼(122,132) 조인트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대(110)와 달리 사방(전/후/좌/우측)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130)의 결합공(134)으로는 후술할 반사부재(200)의 지침부(210)가 결합되는데, 이 결합 작동 역시 간단하다. 즉, 결합공(134)의 상측에 구비된 체결볼트(136)를 일측으로 돌려 결합공(134)에 대한 압착력을 완화시킨 후 지침부(210)를 삽입한 뒤 체결볼트(136)를 반대로 돌려 결합공(134)을 압착하게 되면 결합 완료된다.
이렇듯, 상기 연결부재(100)는 제1,2각도조절빔(112,114)으로 구성된 지지대(110)는 물론이고 상기 제1,2각도조절빔(112,114)에 볼(122,132) 조인트 결합된 부착판(120)과 결합부재(130)가 각각 각도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대(110) 대신에 미도시 하였지만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된 연결봉을 사용하고, 그 상하부에 결합부재(130) 및 부착판(120)을 각각 구비시켜 유연하게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너무나 명백하다.
그럼,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사부재(200)는 도 4의 "가"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의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재(100)의 결합부재(130)에 결합되어 측량 대상물을 지시하는 지침부(210)와, 상기 지침부(21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량 기준점(231)이 전면에 표시되어 있는 반사판(2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반사판(230) 전면에 표시된 기준점(231)은 측량자가 위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세 점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사판(230)은 프레임(220)에 고정 부착되는 것보다 장애물을 피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즉, 상기 프레임(220)의 상하측에는 레일턱(222a,222b)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판(230)의 후면에는 상기 레일턱(222a,222b)으로 삽입되는 대칭된 한 쌍의 레일홈(232)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반사판(230)이 일정 간격 즉, 단계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20)의 전면에는 탄성부재(226)에 탄성 지지된 제1볼(224)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판(230)의 후면에는 상기 제1볼(224)이 삽착되는 복수개의 삽착홈(234)을 간헐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일측에 뒤집어서 도시된 반사판 참조).
또한, 상기 프레임(220)의 후면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제1고정볼트(228)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반사판(230)을 구속하여 무단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0)의 후면에는 상기 지침부(210)와 동일 방향으로 길게 뻗은 보조결합대(2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보조결합대(240)는 상기 연결부재(100)의 결합부재(130)에 지침부(210) 대신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침부(210)를 측량 대상물에 더욱 근접시키고자 할 때 혹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지침부(210) 대신에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게 구현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사부재(200)의 반사판(230)은 "다"와 같이 슬라이딩 작동된다.
즉, 프레임(22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결합되어 반사판(230)을 구속하고 있는 제1고정볼트(228)를 먼저 회전시켜 구속을 해제하고, 반사판(230)을 도면상 왼쪽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반사판(230) 후면에 형성된 삽착홈(234)이 프레임(220)의 전면에 구비된 제1볼(224)에 삽착되므로 단계적으로 슬라이딩될 것이다.
결국, 상기 반사판(230)이 프레임(220)을 매개로 좌우 슬라이딩되므로 장애물을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반사판(230)이 장애물에 의해 엄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사판이 슬라이딩 되는 전술한 구성외의 다른 방법도 있다.
즉,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의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횡단면도이며, "다"는 작동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5의 "가"와 "나"를 참조로 하면, 다른 실시예의 반사부재(200') 역시 크게 지침부(210), 프레임(220) 및 반사판(230)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반사부재(200)와 같은 구성이나 지침부(210)가 프레임(220)의 일단에 형성된 슬라이드공(229a)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지침부(210)의 무단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220)의 일측에 제2고정볼트(229d)를 구비하여 지침부(210)를 구속하도록 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한편, 상기 지침부(210)의 슬라이딩시 단계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공(229a) 내부에는 탄성부재(229c)에 의해 탄성 지지된 제2볼(229b)이 구비되고, 상기 지침부(2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2볼(229b)에 삽착되는 복수개의 환홈(212)이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반사부재(200')는 "다"와 같이 작동된다.
즉, 프레임(220)의 일측에 체결되어 있는 제2고정볼트(229d)를 회전시켜 지침부(21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 뒤 지침부(21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침부(210)의 외주연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환홈(212)이 슬라이딩공 내부에 있는 제2볼(229b)에 삽착되면서 슬라이딩되므로 단계적으로 슬라이딩됨은 물론이고 나아가 슬라이딩된 거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지침부(210)를 슬라이딩 되게 구현하면 반사부재(200') 전체의 길이 변화를 초래하게 되므로 반사판(230)이 장애물에 의해 엄폐될 경우 길이를 조절하여 엄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측량용 타켓에 대한 사용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타켓이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타켓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의 "가"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측량용 타켓은 측량자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측량 대상물(300)까지의 높이나 거리를 측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연결부재(100)의 하측에 구비된 부착판(120)을 매개로 측량대상물(300)에 인접한 곳에 구비된 금속판에 측량용 타켓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는 연결부재(100)의 제1,2각도조절빔(112,114) 혹은 상기 제1,2각도조절빔(112,114)에 볼(122,132) 조인트 결합된 부분을 절곡하거나 회동시켜 반사부재(200)의 지침부(210)가 측량 대상물(300)을 지시하도록 하여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그런 뒤, 측량자는 측량장치(310)로부터 레이저(320)를 발산시키되 레이저(320)가 반사판(230)의 기준점(231)에 도착하도록 발산시켜 정확한 높이 혹은 거리를 측량하게 된다.
만약, 상기와 같은 측량시 반사판(230)이 파선으로 도시된 장애물(330)에 의해 엄폐되었다고 가정하면, "나"와 같이 반사판(230)을 슬라이딩시켜 장애물(330)에 의해 엄폐되지 않도록 하면 손쉽게 측량이 가능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판(230)을 구속하고 있는 제1고정볼트(228)를 회전시켜 반사판(23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 뒤 반사판(230)이 장애물(330)에 가려지지 않도록 슬라이딩시켜 제1고정볼트(228)를 다시 반대로 회전시켜 반사판(230)을 구속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여기서는 미도시 하였지만 지침부(210)를 슬라이딩시켜 반사판(230)이 장애물(330)을 피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음은 너무나 명백하다.
그리고, 도 7을 참조로 하면, 연결부재(100)의 결합부재(130)에 지침부(210) 대신 보조결합대(240)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측량자가 현장에서 필요시 선택하게 되는 것으로, 지침부(210)를 측량 대상물에 더욱 근접시키거나 지침부(210)가 장애물에 부딪히게 될 경우 이를 피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측량용 타켓에 의하면, 자성체(124)가 내장된 부착판(120)을 측량 대상물(300)에 인접하게 부착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반사부재(200)의 지침부(210)는 다양한 각도로 절곡되는 연결부재(100)에 의해서 측량 대상물(300)에 쉽게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반사판(120) 혹은 지침부(210)가 슬라이딩 작동되므로 각종 장애물에 의해 반사판(230)이 엄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므로 측량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도 8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고정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자성체(124)를 포함하는 부착판(120)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자석이 붙지 않는 피설치체(SET)에는 부착판(120)을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된다.
예컨대, 피설치체(SET)가 자석이 붙는 물체일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콘크리트나 혹은 미장된 시멘트몰탈, 플라스틱, 세라믹 등과 같을 경우에는 부착판(120)을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8과 같은 고정부재(400)를 구비하여 부착판(120)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피설치체(SET)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부착판(120)이 유동되지 않게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수납대(41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수납대(4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고 하면을 밀폐된 상부개방형 박스타입의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대(410)의 하단면 일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판(420)이 일체로 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수납대(410)의 하단면과 연장판(420)은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ㄱ' 형상 혹은 '역ㄱ' 형상을 갖게 된다.
이것은 피설치체(SET)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 일측면에 견착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접지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덧붙여, 상기 수납대(410)의 하다면과 상기 연장판(420)의 표면에는 고무판(430)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고무판(430)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지만, 피설치체(SET)와의 접지면에서 높은 마찰력을 제공하여 수납대(410)가 피설치체(SET)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수납대(410)의 하단폭이 피설치체(SET)의 상단폭보다 넓을 경우에는 수납대(410)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납대(410)의 전면에 구멍이 상하로 뚫려 있는 삽입안내구(440)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안내구(440)에는 ∩형상의 말굽바(450)가 끼워지며, 상기 말굽바(450)의 양단에는 합성수지로 된 한 쌍의 끼움파이프(460)가 끼워지고, 상기 끼움파이프(460)들은 고정판편(470)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편(470)의 중심에는 나사봉(480)이 관통된 상태로 나사체결되고, 상기 나사봉(480)의 단부에는 고무로 된 밀착편(490)이 고정되어 상기 나사봉(480)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판편(470)에 나사고정되어 있는 나사봉(480)이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진되면서 밀착편(490)이 피설치체(SET)의 일측면에 밀착지지되거나 혹은 분리해제 된다.
이때, 상기 나사봉(480)의 단면에는 공구홈이 형성되어 있어 드라이버류의 공구를 대고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끼움파이프(460)의 둘레에는 고무자석(M)이 설치되어 말굽바(450)와 흡착력을 유도함으로써 끼움파이프(46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400)를 쉽고 빠르게 비자성체인 피설치체(SET)에 설치할 수 있고, 이것이 설치되면 부착판(120)을 고정부재(400)의 수납대(410)에 삽입시켜 설치함으로써 쉽고 빠른 설치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 9의 예시와 같이, 피설치체(SET)의 폭이 수납대(410)의 폭보다 더 클 경우에는 밀착편(490)을 조여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고정수단을 요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밀착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선택사항이다.
도 9에 따르면, 상기 밀착부재(500)는 수납대(410)의 바닥면(412)을 뚫고 체결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체결부(510)와, 상기 삽입체결부(510)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반구형상을 갖는 고무흡착판(520)과, 상기 삽입체결부(510)에 내장된 체크밸브(5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체크밸브(530)는 소형이며, 상방향으로만 공기가 유출되고, 그 반대로는 폐쇄되는 일방향 댐퍼이다.
또한, 상기 피설치체(SET)의 상단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거칠때에는 매끄러운 표면을 주기 위해 'ㄱ' 형상의 레벨링부재(6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벨링부재(500)는 연장편(420)과 반대쪽에서 피설치체(SET)에 견착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렇게 구성되면, 수납대(410)를 올려 놓고 누르게 되면 고무흡착판(520) 내부의 공기가 체크밸브(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부에는 음압이 생겨 피설치체(SET)의 상단면에 흡착된 상태로 부착되므로 밀착편(490)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100 : 연결부재 110 : 지지대
120 : 부착판 130 : 결합부재
200 : 반사부재 210 : 지침부
220 : 프레임 230 : 반사판
300 : 측량 대상물

Claims (1)

  1. 원격에서 정확한 거리산출을 위한 레이저 거리측정기, 대상물과 시준선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초준렌즈, 기포관이 허용 반지름 안에 들어올 때 자동으로 기포관을 표정하는 자동수준장치, 적정거리를 관측자에게 표시해주는 액정표시장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연결케이블, 관측을 위한 접안렌즈, 거리데이터를 계산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장치 및 거리계산과 속성정보처리를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표척에 대응하여 관측 값을 얻기 위한 시준선장치 및 원거리 대상물을 가까이 보기 위한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은 출사된 레이저를 반사시켜 정확한 위치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측량용 타켓을 포함하되,
    상기 측량용 타켓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부재; 일단부의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측량 대상물을 지시하는 지침부와, 상기 지침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고 측량 기준점이 표시되어 있는 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빔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각도 조절되되 끝단에 볼하우징이 각각 구비된 제1,2각도조절빔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 상기 제1각도조절빔의 볼하우징에 사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 조인트 결합되며 내부에 자성체가 구비된 부착판; 및 상기 제2각도조절빔의 볼하우징에 사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 조인트 결합되며 상측에는 상기 지침부를 결합하기 위해 상측으로 절개된 결합공이 구비됨과 동시에 결합공을 압착하여 결합된 지침부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가 구비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판을 수납 고정하여 비자성체의 피설치체(SET)에도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400)는 부착판(120)이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수납대(410)와, 상기 수납대(410)의 하단면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판(420)과, 상기 수납대(410)의 하다면과 상기 연장판(420)의 표면에 고정된 고무판(430)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대(410)의 전면에는 구멍이 상하로 뚫려 있는 삽입안내구(440)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안내구(440)에는 ∩형상의 말굽바(450)가 끼워지고, 상기 말굽바(450)의 양단에는 합성수지로 된 한 쌍의 끼움파이프(460)가 끼워지며, 상기 끼움파이프(460)들은 고정판편(470)에 의해 상호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편(470)의 중심에는 나사봉(480)이 관통된 상태로 나사체결되며, 상기 나사봉(480)의 단부에는 고무로 된 밀착편(490)이 고정되어 상기 나사봉(480)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판편(470)에 나사고정되어 있는 나사봉(480)이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진되면서 밀착편(490)이 피설치체(SET)의 일측면에 밀착되거나 분리되고, 상기 끼움파이프(460)의 둘레에는 고무자석(M)이 더 설치되어 말굽바(450)와 흡착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
KR1020200003515A 2020-01-10 2020-01-10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 KR102108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515A KR102108137B1 (ko) 2020-01-10 2020-01-10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515A KR102108137B1 (ko) 2020-01-10 2020-01-10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137B1 true KR102108137B1 (ko) 2020-05-28

Family

ID=7092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515A KR102108137B1 (ko) 2020-01-10 2020-01-10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1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6732B2 (ja) * 2002-11-21 2007-06-06 株式会社ジェノバ 測量システム
KR100784251B1 (ko) 2006-10-31 2007-12-11 (주)아세아항측 측지측량에서 등거리 관측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측량방법
US20090082992A1 (en) * 2007-09-24 2009-03-26 Leica Geosystems Ag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s of points to be measured
CN105242315A (zh) * 2015-10-20 2016-01-13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一种地质构造成像的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6732B2 (ja) * 2002-11-21 2007-06-06 株式会社ジェノバ 測量システム
KR100784251B1 (ko) 2006-10-31 2007-12-11 (주)아세아항측 측지측량에서 등거리 관측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측량방법
US20090082992A1 (en) * 2007-09-24 2009-03-26 Leica Geosystems Ag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s of points to be measured
CN105242315A (zh) * 2015-10-20 2016-01-13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一种地质构造成像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06706B2 (en) Target object used for retroflexion of optical radiation
US6453568B1 (en) Laser protractor
US7611105B1 (en) Corner prism pole and stand
US20160377431A1 (en) Survey device
US6470579B2 (en) Position and angle indicating tool
US10060742B2 (en) Forensic mapping instrument
JPH04220514A (ja) 所定の地面測点に対して測地器具を求心するための装置
KR100928662B1 (ko) 다용도 측량기
CA2623979C (en) Two-sided reflector and two-sided target object
US8230609B1 (en) Survey pole positioning system
US6640453B2 (en) Clinometer
US7243434B1 (en) Laser theodolite and kit for converting a new or pre-existing theodolite into a laser theodolite
KR102108137B1 (ko) 기준점 측량에 따른 측지측량 시스템
KR102102798B1 (ko) 기준점 측지측량 장비의 수평 시스템
US5701679A (en) Prism support
AU7145000A (en) Guiding accessories for power tools
KR101256631B1 (ko) 측지측량에서 등거리 관측을 이용한 국가수준 기준점 측량장치
US20070064217A1 (en) Theodolite with a laser indicator
US5309645A (en) Combination plumb or level and height setting instruments
US3475101A (en) Optical plumb including means to level
KR101652291B1 (ko) 지도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지측량장치
KR102224678B1 (ko) 활용도가 높은 수준측량용 측량기구
JP3046585B2 (ja) 水準器及び管材の配設方法
JP3211118U (ja) ハンドル
US4364175A (en) Grade L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