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011B1 - 전송 블록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송 블록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011B1
KR102108011B1 KR1020170177813A KR20170177813A KR102108011B1 KR 102108011 B1 KR102108011 B1 KR 102108011B1 KR 1020170177813 A KR1020170177813 A KR 1020170177813A KR 20170177813 A KR20170177813 A KR 20170177813A KR 102108011 B1 KR102108011 B1 KR 10210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block
code
block groups
blocks
block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577A (ko
Inventor
박규진
김기태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US15/939,64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287752A1/en
Priority to CN201810271091.0A priority patent/CN108712735B/zh
Publication of KR2018011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이하, "NR[New Radio]"라고 함)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전송 블록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일 예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 및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송 블록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transmitting a data by configuring transport block and Apparatuses thereof}
본 개시는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이하, "NR[New Radio]"라고 함)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전송 블록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을 위한 프레임 구조, 채널 코딩 및 변조, 파형 및 다중 접속 방식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NR은 LTE/LTE-Advanced에 대비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고,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 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LTE/LTE-Advanced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한정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전술한 다양한 시나리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고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기술과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가 요구된다. 특히, eMBB 및 URLLC와 같이 대용량 데이터 전송과 낮은 레이턴시를 요구하는 시나리오를 위해서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 속도가 높아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전송 블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절차 및 HARQ 피드백 동작에 대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된다.
전술한 배경에서, 본 개시는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의 HARQ 피드백과 재전송 동작을 보다 짧은 시간 단위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전송 블록을 구성하는 코드 블록 및 코드 블록 그룹 단위로 HARQ 피드백 및 재전송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송 블록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일 실시예는,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 및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 및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제어부 및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제어부 및 단말로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 및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송 블록 단위가 아닌 보다 짧은 시간 단위를 통한 HARQ 피드백 및 재전송 동작을 수행되도록 하여 낮은 레이턴시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사용하는 경우에서 OFDM 심볼의 정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TDD 방식과 FDD 방식의 혼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OFDM-TDMA, OFDM-F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NOMA는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와 LDS(Low Density Spreading)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TE-Advanced, IMT-2020으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 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 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또는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또는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Release-14에서 정의된 further Enhanced MTC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단말은 셀룰러 IoT를 위한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NB-IoT 기술의 목적은 향상된 인도어(Indoor) 커버리지, 대규모의 저속 단말에 대한 지원, 저지연민감도, 초저가 단말 비용, 낮은 전력 소모, 그리고 최적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한다.
3GPP에서 최근 논의 중인 NR(New Radio)에서 대표적인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가 제기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럭,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NR(New Radio)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 NR(New Radio)를 위한 프레임 구조, 채널 코딩 및 변조, 파형 및 다중 접속 스킴(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 modulation, waveform & multiple access scheme)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NR은 LTE/LTE-Advanced 대비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요구(requirement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특히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TC)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었으며,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별 요구(requirements)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LTE-Advanced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3GPP에서 논의 중인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 mMTC, URLLC가 고려되고 있다.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s), 레이턴시(latency), 커버리지(coverage) 등에 대한 요구(requirements)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 요구(requirements)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뉴머롤러지(numerology)(e.g. subcarrier spacing, subframe, TTI, etc.)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다중화(multiplexing)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 subcarrier spacing)값을 갖는 뉴머롤러지(numerology)에 대해 하나의 NR 캐리어(carrier)를 통해 TDM, FDM 또는 TDM/FDM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하는 방법 및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의 스케줄링 단위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간 유닛(time unit)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NR에서는 시간 도메인 구조(time domain structure)의 한 종류로서 서브프레임(subframe)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졌으며, 해당 서브프레임 지속기간(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 위한 레퍼런스 뉴머롤러지(reference numerology)로서 LTE와 동일한 15kHz SCS(Sub-Carrier Spacing) 기반 normal CP overhead의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단일한 서브프레임 지속기간을 정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NR에서 서브프레임은 1ms의 지속기간(time duration)을 가진다. 단, LTE와 달리 NR의 서브프레임은 절대적인 레퍼런스 지속기간(reference time duration)으로서, 실제 상/하향 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의 기반의 되는 시간 유닛(time unit)으로서 슬롯(slot) 및 미니 슬롯(mini-slot)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y값은 뉴머롤러지에 관계없이 y=14의 값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슬롯의 전송 지시(transmission direction)에 따라 모든 심볼이 하향 링크 전송(D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모든 심볼이 상향 링크 전송(U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하향 링크 부분(DL portion) + (gap) + 상향 링크 부분(UL portion)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뉴머롤러지(numerology)(또는 SCS)에서 해당 슬롯보다 적은 수의 심볼로 구성된 미니 슬롯이 정의되어 이를 기반으로 상/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짧은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간격(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되거나, 또는 슬롯 병합(slot aggregation)을 통해 상/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긴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간격(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URLLC와 같이 지연 크리티컬(latency critical)한 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의 경우, 15kHz와 같이 SCS값이 작은 뉴머롤러지 기반의 프레임 구조에서 정의된 0.5ms(7 symbols) 또는 1ms(14 symbols) 기반의 슬롯 단위로 스케줄링이 이루어질 경우, 지연 시간 요구 사항(latency requirement)를 만족시키기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해당 슬롯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미니-슬롯(mini-slot)을 정의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당 URLLC와 같은 지연 크리티컬(latency critical)한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NR 캐리어 내에서 서로 다른 SCS값을 갖는 뉴머롤러지를 TDM 방식 또는 FDM 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함으로써, 각각의 뉴머롤러지 별로 정의된 슬롯(또는 미니-슬롯) 길이를 기반으로 지연 시간 요구 사항(latency requirement)에 맞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SCS가 60kHz인 경우, SCS 15kHz인 경우보다 심볼 길이가 1/4정도로 줄어들기 때문에 동일하게 7개의 OFDM 심볼로 하나의 슬롯을 구성할 경우, 해당 15kHz 기반의 슬롯 길이는 0.5ms이 되는 반면, 60kHz 기반의 슬롯 길이는 약 0.125ms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NR에서는 서로 다른 SCS 또는 서로 다른 TTI 길이를 정의함으로써, URLLC와 eMBB 각각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전송 블록 구성
LTE 시스템의 경우, 임의의 DL/UL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SCH/PUSCH 자원 할당 시, 해당 PDSCH/PUSCH를 통해 전송이 이루어지는 TBS(Transport Block Size)는 MCS와 RB(Resource Block) 할당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해당 TBS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면, 해당 TB는 인코딩(encoding)을 위한 최대 코드 블록 사이즈(maximum CB(Code Block) size)에 따라 복수의 CB으로 분할(segmentation)이 이루어지게 되며, 해당 CB 단위로 CRC를 붙여서(attach) 인코딩되고, CB 간 인터리빙(interleaving)되어 할당된 PDSCH/PUSCH 자원에 대한 맵핑(mapping)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임의의 PDSCH/PUSCH에 대한 HARQ ACK/NACK 피드백 및 그에 따른 재전송(retransmission) 동작은 전송 블록(TB) 단위로 이루어지게 된다.
NR에서는 eMBB의 경우, LTE 대비 보다 큰 TBS에 대한 지원이 요구되기 때문에 최대 CB 사이즈 정의에 따라 하나의 TB를 구성하는 CB의 개수가 급격하게 늘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TB에 대한 HARQ ACK/NACK 피드백 및 재전송 단위를 조금 더 세분화할 필요성이 크며, 하나 이상의 CB를 묶어서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을 구성하여 해당 CBG 기반의 HARQ ACK/NACK 피드백 및 재전송 혹은 CB 단위의 HARQ ACK/NACK 피드백 및 재전송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개시는 단말 및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모든 이동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단말, 기지국, 코어망 개체(MME)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LTE 기술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뿐만 아니라 차세대 이동통신(5G 이동통신, New-RAT) 단말, 기지국, 코어망 개체(AMF: Access and Mobility Function)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기지국은 LTE/E-UTRAN의 eNB를 나타낼 수도 있고, CU(Central Unit)와 DU(Distributed Unit)가 분리된 5G 무선망에서 기지국(CU, DU, 또는 CU와 DU가 하나의 논리적인 개체로 구현된 개체), gNB를 나타낼 수도 있다.
한편, NR의 사용 시나리오에서 URLLC는 고신뢰, 저지연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크지는 않지만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지연이 발생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자율 주행 차량과 같이 데이터 송수신의 지연이 커지면 교통 사고로 인한 인적/물적 손해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 URLLC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다.
eMBB는 초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며 대량의 데이터가 송수신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3D 동영상, UHD 서비스와 같이 단위 시간당 대량의 데이터가 전송될 필요가 있는 경우 eMBB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다.
mMTC는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크지 않고 지연 발생이 문제되지 않으나, 저전력 소모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스마트 시티(Smart City) 구축을 위해 설치한 센서 장비들의 경우 탑재된 배터리로 가능한 오랜 시간 동안 동작해야 하므로 mMTC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10).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정보는 단말이 전송 블록을 복수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을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전송 블록에 포함될 수 있는 코드 블록 그룹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정보는 단말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 특정하게 또는 셀 특정하게 수신될 수 있다.
단말은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설정된 하나의 전송 블록을 N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개수는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및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와 전송 블록이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 선정하고, 선정된 값 이하로 코드 블록 그룹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가 3개로 설정되어 수신되고, 분할된 코드 블록 개수가 10개인 경우, 단말은 코드 블록 그룹 개수를 3이하의 자연수 중 하나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코드 블록 그룹 개수는 1, 2, 3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으로 코드 블록 그룹 개수가 결정되면, 단말은 분할된 코드 블록 개수(N)를 결정된 코드 블록 그룹 개수(M)으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각 코드 블록 그룹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코드 블록 그룹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개수를 결정하는 일 예로,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기준으로 첫 K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드 블록 N이 10개이고 코드 블록 그룹 M이 3개로 결정되면, 단말은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를 기준으로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는 4개의 코드 블록이 포함되도록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는 ceil(N/M)의 수식에 의해서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코드 블록 그룹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개수를 결정하는 다른 예로,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버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드 블록 N이 10개이고 코드 블록 그룹 M이 3개로 결정되면, 단말은 전술한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를 기준으로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M-K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는 3개의 코드 블록이 포함되도록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은 floor(N/M)의 수식에 의해서 결정된 값일 수 있다.
한편, 위의 실시예들에서의 K는 코드 블록의 개수 N을 코드 블록 그룹의 개수 M으로 나눈 나머지 값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N이 10이고, M이 3인 경우에 K는 1로 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코드 블록이 10개이고 코드 블록 그룹이 3개인 경우에 단말은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기준으로 1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는 4개의 코드 블록이 포함되고, 나머지 2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는 3개의 코드 블록이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0에는 4개의 코드 블록이 포함되고,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1과 2에는 각 3개의 코드 블록이 포함되도록 그룹핑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각 코드 블록 그룹에 포함될 코드 블록의 개수가 결정되면, 어느 코드 블록을 어느 코드 블록 그룹에 포함하여 그룹핑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및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에 기초하여 N개의 코드 블록을 M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를 기준으로 할당하여 그룹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개의 코드 블록이 3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핑되는 경우, 단말은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로 순차적으로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을 포함하여 그룹핑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CB#0에서 CB#3까지의 코드 블록 인덱스는 코드 블록 그룹 #0에 포함되어 그룹핑되고, CB#4에서 CB#6까지의 코드 블록 인덱스는 코드 블록 그룹 #1에 포함되어 그룹핑되며, CB#7에서 CB#9까지의 코드 블록 인덱스는 코드 블록 그룹 #2에 포함되어 그룹핑된다.
이상에서의 동작을 통해서 단말은 전송 블록은 복수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코드 블록을 전술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각 코드 블록 그룹에 그룹핑할 수 있다.
단말은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단말은 각 코드 블록에 CRC를 attach하고,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전송 블록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코드 블록 그룹 단위로 HARQ 동작 및 재전송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전송 블록이 시간축으로 길게 형성되더라도 코드 블록 그룹 단위로 HARQ 동작 및 재전송 동작이 수행되어 빠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기지국이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동작을 기지국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400). 기지국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결정되는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정보는 단말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410).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개수를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및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설정된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와 전송 블록이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 선정하고, 선정된 값 이하로 코드 블록 그룹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가 3개로 설정되고, 분할된 코드 블록 개수가 10개인 경우, 기지국은 코드 블록 그룹 개수를 3이하의 자연수 중 하나로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코드 블록 그룹 개수는 1, 2, 3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으로 코드 블록 그룹 개수가 결정되면, 기지국은 분할된 코드 블록 개수(N)를 결정된 코드 블록 그룹 개수(M)으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각 코드 블록 그룹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기준으로 첫 K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드 블록 N이 10개이고 코드 블록 그룹 M이 3개로 결정되면, 기지국은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를 기준으로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는 4개의 코드 블록이 포함되도록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는 ceil(N/M)의 수식에 의해서 결정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버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드 블록 N이 10개이고 코드 블록 그룹 M이 3개로 결정되면, 기지국은 전술한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를 기준으로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M-K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는 3개의 코드 블록이 포함되도록 그룹핑할 수 있다. 즉, 3은 floor(N/M)의 수식에 의해서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K는 코드 블록의 개수 N을 코드 블록 그룹의 개수 M으로 나눈 나머지 값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N이 10이고, M이 3인 경우에 K는 1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및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에 기초하여 N개의 코드 블록을 M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를 기준으로 할당하여 그룹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개의 코드 블록이 3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핑되는 경우, 기지국은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로 순차적으로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을 포함하여 그룹핑한다. 즉, 도 3과 같이 코드 블록은 인덱스 순으로 각 코드 블록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420). 기지국은 각 코드 블록이 전술한 기준으로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핑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단말 또는 기지국이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여 전송하는데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단말 및 기지국의 각 동작 단계 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코드 블록 그룹(CBG)의 개수를 구성하는 실시예
임의의 전송 블록를 구성하는 CBG 개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를 통해 동적으로 시그널링되거나, 묵시적(implicit)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단말을 위한 CBG의 개수는 PDSCH 혹은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DCI에 포함되어 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PDSCH 혹은 PUSCH를 통해 전송되는 TBS 크기의 함수로서 결정되거나, 혹은 TBS와 최대 코드 블록 사이즈(maximum CB size)에 의해 결정되는 CB 개수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임의의 슬롯(slot)을 구성하는 미니 슬롯(mini-slot) 혹은 미니 슬롯 그룹(mini-slot group)의 개수에 따라 해당 CBG의 사이즈가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각각의 단말 별로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준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전술한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DCI를 통한 L1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는 CBG 개수와 임의의 PDSCH 혹은 PUSCH를 통해 전송되는 TB를 구성하는 CB 개수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는 CBG의 개수(예를 들어, 최대 CBG 개수)와 실제 해당 TB를 구성하는 CB의 개수 중 작거나 같은 값을 기반으로 해당 TB를 구성하는 CBG가 결정될 수 있다. 즉, 기지국에서는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을 통해 각각의 단말 별로 하나의 PDSCH 혹은 PUSCH 전송 시, 해당 PDSCH 혹은 PUSCH를 통해 전송되는 하나의 TB에 대해 구성될 수 있는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를 지시해줄 수 있다. 이 경우, 실제 구성되는 CBG의 개수는 해당 TB를 구성하는 CB의 개수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중 작거나 같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파라미터와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등 L1 제어 시그널링(L1 control signaling)을 통해 전송되는 파라미터의 조합을 통해 임의의 TB에 대한 CBG 개수 및 구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임의의 단말을 위한 CBG 기준 전송 또는 재전송 동작 설정 시, 해당 단말을 위한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에 포함될 CBG 지시 정보 영역의 크기(즉, 해당 CBG 지시 정보 영역을 구성하는 비트의 수(number of bits))를 설정하도록 정의하고, 해당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를 통해 할당된 PDSCH 혹은 PUSCH를 통해 송수신되는 TB에 대한 CBG의 개수는 해당 CBG 지시 정보 영역을 통해 설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임의의 단말에 대한 CBG 기반의 PDSCH 혹은 PUSCH 전송 또는 재전송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단말을 위한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를 통해 구성되는 상기의 CBG 지시 정보 영역은 해당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를 통해 할당된 PDSCH 혹은 PUSCH 전송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CBG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맵(bitmap) 정보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은 임의의 단말을 위한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에 포함될 해당 CBG 지시를 위한 비트맵 정보 영역의 사이즈(즉, 해당 CBG 지시를 위한 비트맵 정보 영역을 구성하는 number of bits)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해당 단말을 위한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에 포함되는 CBG 지시 정보 영역의 비트맵 사이즈가 결정된다. 단, 기지국에 의해 임의의 단말의 PDSCH에 대한 CBG 기반 전송 또는 재전송 동작이 설정될 경우, 해당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는 CBG 지시 정보 영역의 비트맵 사이즈에 따라 해당 단말의 PUCCH 혹은 PUSCH를 통한 HARQ ACK/NACK 피드백 정보의 사이즈(예를 들어, number of HARQ ACK/NACK feedback bits)도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임의의 단말에 대한 CBG 기반의 PDSCH 혹은 PUSCH 전송 또는 재전송이 설정되고, 해당 단말을 위한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의 CBG 지시 정보 영역의 사이즈가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경우, 해당 단말을 위한 PDSCH 혹은 PUSCH 전송 시, 해당 PDSCH 혹은 PUSCH를 통해 전송되는 TB를 구성하는 CBG의 개수는 해당 PDSCH 혹은 PUSCH의 초기 전송(initial transmission)을 위한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의 상기 CBG 지시 정보 영역을 통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에 포함된 CBG 지시 정보 영역이 해당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를 통해 할당된 PDSCH 혹은 PUSCH를 통해 전송되는 CBG 지시를 위한 비트맵 형태로 구성될 경우, 임의의 TB 전송을 위한 초기(initial) PDSCH 혹은 초기(initial) PUSCH 자원 할당 시, 해당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에 포함된 상기의 비트맵 기반 CBG 지시 정보 영역을 통해 해당 TB를 구성하는 CBG의 개수가 암묵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에서 해당 CBG 지시를 위한 비트맵 정보 영역을 구성함에 있어서, 해당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에 의해 할당된 PDSCH 혹은 PUSCH를 통해 전송되는 CBG를 '1'로 지시하고, 전송되지 않는 CBG에 대해서는 '0'으로 지시하도록 정의된 경우, 임의의 TB 전송을 위한 initial PDSCH 혹은 PUSCH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의 상기 CBG 지시를 위한 비트맵을 구성함에 있어서, 해당 TB를 위한 CBG의 개수만큼 상기 CBG 지시를 위한 비트맵의 비트들(bits)을 LSB 혹은 MSB부터 '1'로 구성하고, 나머지 bit(s)는 '0'으로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서 하나의 전송 블록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코드 블록 그룹핑 방법
코드 블록 그룹의 개수가 결정되면, 코드 블록을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핑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그룹핑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송 블록을 분할하는 순서에 따라 실시예를 구분하고, 각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한 코드 블록 그룹핑 실시예를 설명한다.
코드 블록 그룹(CBG)을 우선적으로 분할하는 방법
임의의 TB에 대해 CGB 레벨로 1차적인 분할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해당 CBG 내에서 CB에 대한 분할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다양한 방법에 따라 CBG의 개수가 설정되면, 해당 TB은 해당 CBG의 개수에 따라 evenly divided 혹은 almost evenly divided된 각각의 CBG가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임의의 PDSCH 혹은 PUSCH의 TB에 대해 evenly 혹은 almost evenly divided된 CBG가 구성되면, 각각의 CBG 내에서 최대 코드 블록 사이즈(maximum CB size)에 따라 독립적으로 CB가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CBG 레벨로 독립적인 CB 구성이 이루어지면, 각각의 CBG 내에서 CB 간 인터리빙(interleaving)이 되어 혹은 인터리빙(interleaving) 없이 할당된 PDSCH 혹은 PUSCH 자원 내에 매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혹은 인터리빙(interleaving) 여부가 기지국에 의해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혹은 L1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코드 블록(CB)을 우선적으로 분할하는 방안
임의의 PDSCH 혹은 PUSCH를 통해 전송이 이루어지는 임의의 TB는 최대 코드 블록 사이즈(maximum CB size)에 따라 evenly divided 혹은 almost evenly divided된 CB(들)로 일차적으로 분할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분할된 CB(들)은 설정된 CBG 개수에 따라 각각 순차적으로 CBG에 매핑되어 그룹핑될 수 있다.
일 예로, 임의의 TB에 대해 CB #0 ~ CB #(N-1)까지 N개의 CB가 구성되고, 해당 TB를 위해 M개의 CBG가 설정된 경우, 각각의 CBG #0 부터 CBG #(M-1)에 포함되는 CB을 구성함에 있어서, 아래의 수학식 1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임의의 CBG # m (단, m=0,…, M-1)은 수학식 1을 만족하는 CB #n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17128080012-pat00001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 정수를 의미한다. 즉, X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중 최대 정수(예를 들어, floor 함수)를 의미한다. 단, 수학식 1에 따르면, 각각 CBG를 구성하는 CB를 결정함에 있어서, CB #0 ~ #(N-1)까지 증가순(increasing order)으로 하나의 CB를 각각의 CBG #0 ~ #(M-1)까지 주기적(cyclic)하게 매핑하는 방식으로서, 해당 수학식의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CB 인덱스(index)의 증가순(increasing order)으로 각각의 CBG에 순차적으로 CB를 매핑하는 모든 경우는 본 실시예에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N=10이고, M=3인 경우, CBG #0 ={CB #0, 3, 6, 9}, CBG #1={CB #1, 4, 7}, CBG #2={CB #2, 5, 8}로 각각의 CB 들이 인덱스의 증가순으로 각각의 CBG에 순차/순환적으로 매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M개의 CBG를 구성함에 있어서, 첫 K개의 CBG는 ceil (N/M)개의 CB(s)로 구성되고, 나머지 (M-K)개의 CBG는 floor (N/M)개의 CB(s)로 구성된다. 단, 이 경우 상기 K = N mod M으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체 M개의 CBG 중 첫 K개의 CBG는 CB #0 ~ CB #(K·ceil (N/M)-1)까지 총 K·ceil (N/M)개의 CB들에 대해 각각 순차적으로 ceil (N/M)의 CB(s)들을 묶어 구성하고, 나머지 (M-K)개의 CBG는 CB #(K·ceil (N/M)) ~ CB #(N-1)까지 총 (M-K)·floor (N/M)개의 CB들에 대해 각각 순차적으로 floor (N/M)개의 CB(s)들을 묶어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N=10, M=3인 경우, CBG #0 ={CB #0, 1, 2, 3}, CBG #1={CB #4, 5, 6}, CBG #2={CB #7,8,9}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임의의 CBG를 구성하는 CB를 매핑하는 방법에 있어서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즉, 임의의 CBG # m (단, m=0,…, M-1)은 수학식 2를 만족하는 CB #n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17128080012-pat00002
단, 수학식 2에 따르면, 각각의 CBG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속적인 [N/M]개의 CB들로 각각의 CBG를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마지막 CBG는 남는 CB들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즉, CB #0 ~ #[N/M]-1까지 [N/M]개의 CB들로 CBG #0를 구성하고, CB #[N/M] ~ #2[N/M]-1까지 후속 [N/M]개의 CB들로 CBG #1을 구성하는 형태로, CBG #(M-2)까지 각각 연속적인 [N/M]개의 CB들로 CBG를 구성하고 마지막 CBG #(M-1)은 remaining CB들로 구성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전술한 수학식 1 및 2의 역순의 형태로(즉, 가장 높은CBG index부터 순차적으로) CB들을 구성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도 PDSCH/PUSCH 자원 매핑을 위한 CB 간 인터리빙(interleaving)은 CBG 단위로 혹은 TB 단위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인터리빙 적용 없이 집중형 매핑(localized mapping)이 적용될 수 있다. 혹은 해당 인터리빙 적용 여부 및 CBG 기반 혹은 TB 기반 인터리빙 모드가 기지국에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혹은 L1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PDSCH / PUSCH 자원 매핑 방법
코드 블록 그룹 특정한 자원 매핑( CBG -specific resource mapping) 실시예
전송할 TB를 할당된 PDSCH/PUSCH 자원에 매핑하는 방법으로서, 해당 TB를 구성하는 CBG 별로 자원 매핑(resource mapping) 및 비율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해당 PDSCH 혹은 PUSCH 자원 매핑은 각각의 CBG 개수에 따라 할당된(allocated) PDSCH 혹은 PUSCH 자원을 분할하고, 해당 분할된 PDSCH 혹은 PUSCH 자원 내에서 각각의 CBG 별로 자원 매핑(resource mapping) 및 비율 매칭(rate matching)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자원 분할은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PDSCH 혹은 PUSCH 전송이 이루어지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대해, CBG 개수에 따라 evenly 혹은 almost evenly divided 된 심볼(또는 심볼 그룹, 미니 슬롯, 미니 슬롯 그룹, 슬롯, 슬롯 그룹) 단위로 자원 매핑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자원 분할은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해당 CBG의 개수에 따라 할당된 PRB(Physical Resource Block) 자원을 evenly 혹은 almost evenly divided된 서브 밴드(sub-band)로 분할하여, 해당 서브 밴드 내에서 각각의 CBG 별로 자원 매핑 및 비율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분할된 영역(region) 내에서 각각의 CBG 별 자원 매핑은 주파수 우선 방식(frequency first manner) 혹은 시간 우선 방식(time first manner)으로 매핑될 수 있다. 단, 추가적으로 주파수 우선 방식(frequency first manner) 혹은 시간 우선 방식(time first manner) 매핑에 대해 기지국이 L1 제어 신호(예를 들어,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DCI)나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할 수도 있다.
전송 블록 특정한 자원 매핑(TB-specific resource mapping) 실시예
TB 단위로 할당된 PDSCH 혹은 PUSCH를 구성하는 전송 자원에 대한 자원 매핑(resource mapping) 및 비율 매칭(rate match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임의의 TB를 구성하는 CB 혹은 CBG의 개수에 관계없이 해당 TB 전송을 위해 할당된 PDSCH/PUSCH 자원에 대해 일관된 자원 매핑(resource mapping) 및 비율 매칭(rate match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술한 CBG 그룹핑 방법 및 자원 매핑/비율 매칭 방법에 대해 기지국이 단말 별로 적용할 CBG 그룹핑 방법 혹은 자원 매핑/비율 매칭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CBG 그룹핑 방법과 자원 매핑/비율 매칭 방법은 별도의 정보 영역을 통해 독립적으로 설정되거나, 혹은 하나의 정보 영역 jointly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설정은 단말 특정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준 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되어 전송되거나, 혹은 L1 제어 신호(예를 들어, DL assignment DCI 혹은 UL grant DCI)를 통해 동적으로 설정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단계별 실시예는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전부 또는 일부가 상호 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500)은 기지국으로부터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530)와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제어부(510) 및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520)는 단말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 특정하게 또는 셀 특정하게 수신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수신부(5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제어부(510)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설정된 하나의 전송 블록을 N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개수는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및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와 전송 블록이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 선정하고, 선정된 값 이하로 코드 블록 그룹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510)는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으로 코드 블록 그룹 개수가 결정되면, 제어부(510)는 분할된 코드 블록 개수(N)를 결정된 코드 블록 그룹 개수(M)으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각 코드 블록 그룹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10)는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기준으로 첫 K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에 대해서,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처리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에 대해서,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버림처리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실시예들에서의 K는 코드 블록의 개수 N을 코드 블록 그룹의 개수 M으로 나눈 나머지 값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N이 10이고, M이 3인 경우에 K는 1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각 코드 블록 그룹에 포함될 코드 블록의 개수가 결정되면, 어느 코드 블록을 어느 코드 블록 그룹에 포함하여 그룹핑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10)는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및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에 기초하여 N개의 코드 블록을 M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를 기준으로 할당하여 그룹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개의 코드 블록이 3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핑되는 경우, 제어부(510)는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로 순차적으로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을 포함하여 그룹핑한다.
이 외에도 제어부(510)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에 따라 전송 블록을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530)는 각 코드 블록에 CRC를 attach하고,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전송 블록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 외에도 송신부(5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600)은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제어부(610) 및 단말로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 및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10)는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개수를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및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10)는 설정된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와 전송 블록이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 선정하고, 선정된 값 이하로 코드 블록 그룹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가 3개로 설정되고, 분할된 코드 블록 개수가 10개인 경우, 제어부(610)는 코드 블록 그룹 개수를 3이하의 자연수 중 하나로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코드 블록 그룹 개수는 1, 2, 3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10)는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으로 코드 블록 그룹 개수가 결정되면, 제어부(610)는 분할된 코드 블록 개수(N)를 결정된 코드 블록 그룹 개수(M)으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각 코드 블록 그룹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기준으로 첫 K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코드 블록 개수를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버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K는 코드 블록의 개수 N을 코드 블록 그룹의 개수 M으로 나눈 나머지 값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한, 제어부(610)는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및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에 기초하여 N개의 코드 블록을 M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를 기준으로 할당하여 그룹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개의 코드 블록이 3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핑되는 경우, 기지국은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로 순차적으로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을 포함하여 그룹핑한다.
이 외에도 제어부(610)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에 따라 전송 블록을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송신부(620)는 각 코드 블록이 전술한 기준으로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핑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620)는 단말로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를 단말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송신부(620)와 수신부(630)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개시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개수는,
    상기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및 상기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정보는,
    단말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기준으로 첫 K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상기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버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되며,
    상기 K는 상기 N을 상기 M으로 나눈 나머지 값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는,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및 상기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코드 블록을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를 기준으로 할당하여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개수는,
    상기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및 상기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정보는,
    단말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기준으로 첫 K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상기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버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되며,
    상기 K는 상기 N을 상기 M으로 나눈 나머지 값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는,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및 상기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코드 블록을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를 기준으로 할당하여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개수는,
    상기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및 상기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정보는,
    단말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삭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기준으로 첫 K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상기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버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되며,
    상기 K는 상기 N을 상기 M으로 나눈 나머지 값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및 상기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코드 블록을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를 기준으로 할당하여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전송 블록을 N(N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코드 블록을 M(M은 자연수)개의 코드 블록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코드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제어부; 및
    단말로 최대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개수 정보 및 상기 코드 블록 그룹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개수는,
    상기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및 상기 N개의 코드 블록 개수 중 작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기지국.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코드 블록 그룹 개수 정보는,
    단말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셀 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1. 삭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기준으로 첫 K개의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올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 중 상기 K개의 코드 블록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코드 블록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는, 상기 코드 블록 개수를 상기 코드 블록 그룹 개수로 나눈 값을 버림처리한 값으로 결정되며,
    상기 K는 상기 N을 상기 M으로 나눈 나머지 값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및 상기 코드 블록 그룹 별 코드 블록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코드 블록을 상기 M개의 코드 블록 그룹에 코드 블록 인덱스 순서를 기준으로 할당하여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70177813A 2017-03-29 2017-12-22 전송 블록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08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39,646 US20180287752A1 (en) 2017-03-29 2018-03-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transport block to transmit data
CN201810271091.0A CN108712735B (zh) 2017-03-29 2018-03-29 用于配置传输块以发送数据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907 2017-03-29
KR20170039907 2017-03-29
KR1020170082407 2017-06-29
KR20170082407 2017-06-29
KR1020170106109A KR20180111443A (ko) 2017-03-29 2017-08-22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전송 블록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0170106109 2017-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577A KR20180110577A (ko) 2018-10-10
KR102108011B1 true KR102108011B1 (ko) 2020-05-08

Family

ID=638650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109A KR20180111443A (ko) 2017-03-29 2017-08-22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전송 블록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0170177813A KR102108011B1 (ko) 2017-03-29 2017-12-22 전송 블록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109A KR20180111443A (ko) 2017-03-29 2017-08-22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전송 블록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1114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6002B2 (en) * 2019-02-14 2021-09-07 Qualcomm Incorporated Gap configuration for multiple transport block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1-1704463
R1-1705087, Code Block Segmentation, 3GPP TSG RAN WG1 Meeting#88bis, 3GPP 서버공개일(2017.03.25.) 1부.*
R1-1705401, Overview of CBG-based retransmission in NR, 3GPP TSG RAN WG1 Meeting#88bis, 3GPP 서버공개일(2017.03.2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577A (ko) 2018-10-10
KR20180111443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00212B (zh) 发送和接收新无线电的harq ack/nack信息的装置和方法
CN108696943B (zh) 用于新无线电的发送和接收数据信道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装置
US109250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signal and downlink data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CN108633071B (zh) 监视、发送和接收下行链路先占指示信息的方法及装置
CN108633073B (zh) 在新无线电网络中使用位图来发送和接收下行链路先占指示信息的方法及其装置
CN108633072B (zh) 监视、发送和接收下行链路先占指示信息的方法及其装置
CN109586883B (zh) 用于新无线电的上行链路控制信道资源分配的装置和方法
US202103518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KR102129362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선점 지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30803B1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201802877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transport block to transmit data
KR102057127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02319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harq ack/nack 피드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27755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30999B1 (ko)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00483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선점 지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2101687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KR102162591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 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712735B (zh) 用于配置传输块以发送数据的方法和设备
KR102117968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송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호핑 방법 및 그 장치
KR102117970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선점 지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305472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dmrs와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08011B1 (ko) 전송 블록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8758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28262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