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688B1 - System for notifying user's belongings using camera and smart floo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notifying user's belongings using camera and smart floo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688B1
KR102107688B1 KR1020130098359A KR20130098359A KR102107688B1 KR 102107688 B1 KR102107688 B1 KR 102107688B1 KR 1020130098359 A KR1020130098359 A KR 1020130098359A KR 20130098359 A KR20130098359 A KR 20130098359A KR 102107688 B1 KR102107688 B1 KR 102107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elongings
information
weight
belo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3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1247A (en
Inventor
김완주
송지완
김현숙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9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688B1/en
Publication of KR2015002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2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마루가 감지한 사용자와 소지품에 대해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지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소지품의 변경 정보를 안내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및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은,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의 접촉 영역 및 무게를 포함하는 객체 데이터를 감지하는 스마트 마루부;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면,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객체 위치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객체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하는 홈 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마루의 영역을 출입하는 사용자에게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안내해 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user's belongings guiding system and a user's belongings guiding method for identifying belongings by using video data of a camera for users and belongings sensed by a smart floor, and guiding chang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belongings. The user's belonging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floor unit for sensing object data including a contact area and a weight of an object using a pressure sensor; A camera unit that photographs an object; And a home gateway unit that receives the object data from the smart floor unit, receives the image data at the object location through the camera unit,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object data and changes in the image data to identify the user's belong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uide the changed belonging information to a user accessing the area of the smart floor.

Figure R1020130098359
Figure R1020130098359

Description

스마트 마루와 카메라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및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System for notifying user's belongings using camera and smart floor and method thereof}System for notifying user's belongings using camera and smart flo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마루와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소지품을 알려주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및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s belongings guid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s belongings guidance system and a user's belongings guiding method for informing a user's belongings us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mart floor and a camera.

스마트 마루 또는 디지털 마루는 센서를 가지며, 센서를 통해 마루 위의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 마루가 바닥면에 시공되면, 마루 위에 사용자 또는 물체에 대한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중량, 이동 위치 등을 식별할 수 있다.The smart floor or digital floor has a sensor, and a sensor can recognize an object on the floor. When the smart floor is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a user can identify a weight, a moving position, etc. by detecting a pressure change on a floor or a user.

스마트 마루의 기술과 관련하여 아래의 등록특허는 다기능 디지털 바닥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디지털 바닥 시스템은 RFID 태그를 소지한 사용자의 RFID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여 위치 이동 및 행동을 인식한다. 그리고 디지털 바닥 시스템은 식별된 사용자와 인식된 행동을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여 주변 전자 기기를 제어한다. The following patents related to the technology of smart flooring disclose a multifunctional digital floo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digital floor system identifies the user using the RFID signal of the user who has the RFID tag, and detects the user's weight to recognize location movement and behavior. In addition, the digital floor system controls the surrounding electronic devices by processing the identified user and the recognized behavior as control commands.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바닥 시스템은 사용자와 사용자의 행동을 식별하는데 그치며,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하지는 못한다.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하려면, 사용자가 소지품을 소지한 상태에서 바닥면에 소지품을 내려놓을 때, 스마트 마루가 사용자 무게의 감소를 인지함과 동시에 소지품이 놓여진 위치에서 소지품 무게의 증가를 인지하고, 소지품을 내려놓기 전후의 총 중량이 서로 같은지 비교하는 기능이 추가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상기 기능이 추가되더라도 스마트 마루는 소지품의 존재만을 인식할 뿐이며 어떤 물건인지는 식별이 불가능하다.Here, the digital floor system is only to identify the user and the user's behavior, and does not identify the user's belongings. To identify the user's belongings, when the user puts the belongings on the floor with the belongings in place, the smart floor recognizes the decrease in the user's weight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s the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belongings at the location where the belongings are placed, and the belongings The ability to compare whether the total weights before and after laying down are the same should be added. However, even if the above function is added, the smart floor only recognizes the existence of belongings and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what the object is.

한국등록특허 10-1150522Korean Registered Patent 10-11505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인식 하에 창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마루에서 사용자의 무게 변화량에 따른 소지품을 감지하고, 무게 변화가 감지된 위치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소지품 정보를 식별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및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under the recognition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user's belongings that detect the belongings according to the amount of weight change of the user on the smart floor and identify the belonging information by using the image where the weight change is detec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uide system and a method for guiding a user's belonging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별된 사용자 및 소지품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소지 패턴 정보로 저장하고, 출입 사용자의 소지품을 기 저장된 소지 패턴 정보의 소지품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변경된 소지품을 안내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user and belongings and store them as the user's possession pattern information, and compare the belongings of the access user with the belongings of the previously stored possession pattern information to guide the changed belongings to the user. .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마루와 카메라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은,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의 접촉 영역 및 무게를 포함하는 객체 데이터를 감지하는 스마트 마루부; 상기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상기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객체 위치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객체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하는 홈 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한다.A user's belonging guide system using a smart floor and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smart floor unit for sensing object data including a contact area and weight of an object using a pressure sensor;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image of the object; And a home gateway unit that receives the image data of the object location through the camera unit when the object data is received from the smart floor unit,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object data and changes in the image data to identify the user's belongings.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실시간으로 감지된 객체의 접촉 영역, 무게, 각각의 변화량 및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객체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gateway unit, the user's belong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the object data including the contact area, weight, each change amount and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in real time from the smart floor.

여기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사용자 객체의 객체 데이터를 사용자 식별 정보로서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실시간으로 식별한다.Here, the home gateway unit stores object data of the user object a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hen receiving object data from the smart floor unit, compar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the user in real time.

나아가,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객체의 접촉 영역, 무게 및 영상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소지품을 식별한다.Furthermore, the home gateway unit identifies a user and belongings using at least one of an object contact area, weight, and image data.

또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신규로 생성된 객체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식별되면, 사용자가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객체 데이터가 소멸된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나간 것으로 판단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identified from the newly generated object data, the home gateway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entered,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exited when the identified object data of the user is destroyed.

여기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무게가 증가된 제 1객체의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고, 증가된 제 1객체의 무게만큼 사용자 객체의 무게가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 1객체를 소지품으로 내려놓은 상태로 판단한다.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부가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제 2객체의 무게 감소를 감지하고, 감소된 제 2객체의 무게만큼 사용자 객체의 무게가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 2객체를 소지품으로 든 상태로 판단한다.Here, the home gateway unit receives the object data of the first object whose weight has increased from the smart floor unit, and when the weight of the user object decreases by the weight of the increased first object, the user has the first object as belongings. It is judged to be put down. In addition, when the home gateway unit detects the weight reduction of the second object from the smart floor, and when the weight of the user object increases by the weight of the reduced second object,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second object is in possess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객체 데이터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객체의 위치를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하여 객체의 영상을 요청하고, 무게가 변화되기 전, 후의 영상 데이터가 비교되어 분석된 변경된 영상 데이터를 소지품 식별 정보로 저장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gateway unit detects a change in weight of the object data, requests the image of the object by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object to the camera unit, and the image data before and after the weight is changed. Is stor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nged image data as belon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식별된 사용자의 소지품을 사용자, 출입 구분 및 시간의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하고, 동일하다고 판단된 사용자, 출입 구분, 시간대 및 소지품의 정보가 저장될 때마다 빈도수를 증가하여 저장한다.Here, the home gateway unit stores the identified user's belongings in associ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ccess classification and time, and increases the frequency every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access classification, time zone and belongings determined to be the same is stored. To save.

또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사용자가 들어오거나 나가는 경우, 대응하는 출입 구분 및 시간대의 소지품 정보를 조회하고, 저장된 소지품 정보와 차이가 있는 소지품의 변경 정보를 안내한다.In addition, the home gateway unit, when the user enters or exits, inquires the belong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ccess category and time zone, and guides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s that is different from the stored belonging information.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은 출력 단말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가 상기 출력 단말부로 상기 소지품의 변경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출력 단말부로 소지품의 변경 정보가 출력된다.Preferably, the user's belonging guide system further includes an output terminal unit, and when the home gateway unit transmits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s to the output terminal uni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s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unit.

여기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사용자가 나갈 때 소지한 소지품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들어오면 나갈 때 소지한 소지품 정보와 들어올 때 소지한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소지품의 변경 정보를 안내한다.Here, the home gateway unit stores information of belongings carried by the user when the user leaves, and compares information of belongings possessed by the user when the user enters with information about the belongings possessed when the user enters and guides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s.

더욱이,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우산, 모자, 선글래스를 포함하는 날씨와 관련되는 소지품 정보를 안내한다.Moreover, the home gateway unit receives and stores weather information, and guides belonging information related to weather, including an umbrella, a hat, and sunglas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은, 마루면 위의 사용자에 대해 접촉 영역 및 무게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관리부; 마루면 위의 객체에 대해 접촉 영역 및 무게를 포함하는 객체 데이터를 전송받는 객체 데이터 수신부; 수신된 객체 데이터를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 상기 객체 데이터의 무게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품을 들었는지 또는 소지품을 내려놓았는지 판단하는 사용자 행동 판단부; 무게가 변화된 객체의 위치를 전송하여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변화가 비교 분석되어 검출된 사용자의 소지품을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사용자 소지품 식별부; 식별된 소지품 정보를 사용자, 출입 구분 및 시간의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사용자 소지 패턴 관리부; 및 식별된 소지품의 사용자, 출입 구분 및 시간의 정보에 대응되는 소지품 정보를 조회하고, 식별된 소지품 정보와 조회된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지정된 출력 단말로 전송하는 변경 소지품 제공부를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belonging guidance system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and stores a contact area and weight for a user on the floor surface; An object dat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object data including a contact area and weight with respect to an object on the floor surface; A user identification unit that identifies the user by comparing the received object data with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user behavio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 user lifts a belonging or puts the belonging down using a change in weight of the object data; A user belongings identification unit for requesting image data by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whose weight has changed, and real-time identification of the user's belongings dete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nge of the image data; A user possession pattern management unit that stores the identified belonging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information of a user, access classification and time; And a modified belongings providing unit for inquiring the belonging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identified belonging, access classification, and time, and comparing the identified belonging information with the inquired belonging information to transmit the changed belonging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output terminal. Home gateway device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마루와 카메라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은,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하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실행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에 있어서, (a)스마트 마루로부터 객체의 접촉 영역 및 무게를 포함하는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객체 데이터 수신 단계; (b)카메라로 상기 객체의 영상을 요청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객체 영상 수신 단계; (c)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변화가 발생하는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하는 사용자 소지품 식별 단계; (d)식별된 소지품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소지품 정보를 조회하고, 식별된 소지품 정보와 조회된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된 소지품을 판단하는 변경 소지품 판단 단계; 및 (e)사용자 안내를 위해 지정된 단말로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전송하는 변경 소지품 안내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guiding a user's belongings using a smart floor and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method for guiding a user's belongings executed by a home gateway device that identifies a user's belongings, from (a) a smart floor. An object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object data including the contact area and weight of the object; (b) an object image receiving step of requesting an image of the object with a camera and receiving image data; (c) a user belongings identification step of analyzing the image data to identify the user's belongings where an image change occurs; (d) a change belongings determining step of inquiring the user's belonging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belongings information and comparing the identified belongings information with the inquired belongings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changed belongings; And (e) a change belonging guide step of transmitting the changed belonging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terminal for user guidan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마루를 통해 사용자와 물품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카메라의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하고, 사용자의 습관적인 소지품과 다를 경우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user and the goods through the smart floor, the user's belongings are identified by using the image of the camera, and when the user's habitual belongings are different from the user's habitual belongings,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is guided to the user Convenience servic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빠트린 소지품, 추가로 든 소지품 및 입장시와 퇴장시에 차이가 나는 소지품을 안내하고, 날씨에 따라 날씨 관련 소지품을 미리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be able to guide belongings missed, additional belongings, and personal belongings having a difference at the time of entry and exit, and weather-related belongings in advance according to the weathe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가 저장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입장 및 퇴장하는 상황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s belong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internal structural diagram of a home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user's belonging data stored by a home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emplary views of a situation in which a user enters and ex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for guiding a user's belong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explains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s belonging guidan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지품 안내 시스템(1)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축되며, 마루면 위의 객체의 무게와 접촉 영역을 감지하는 스마트 마루(2), 스마트 마루(2)와 카메라(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소지품을 식별하는 홈 게이트웨이(3) 및 스마트 마루(2)의 영역을 촬영하여 객체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카메라(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elongings guidan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based o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includes a smart floor 2, a smart floor 2, which detects the weight and contact area of an object on the floor surface. It comprises a camera (4) that transmits the image data of the object by photographing the area of the home floor (3) and the smart floor (2) to identify users and belongings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4).

본 발명에서의 상기 유, 무선 네트워크는 대표적으로 와이파이망, 인터넷과 같은 유, 무선 공중망이나 전용망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망을 포괄한다.The wired and wireless networks in the present invention typically cover all communication network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using various protocols such as a Wi-Fi network, a wired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wireless public network or a dedicated network.

상기 스마트 마루(2)는 바닥면에 시공되는 바닥재로서 복수개의 압력 센서를 통해 마루면 위에 접촉하는 객체의 접촉 영역, 무게 및 위치 정보를 객체 데이터로서 감지한다. 여기서, 접촉 영역은 접촉 면적 또는 접촉 모양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객체는 고정체(예 : 물건) 또는 이동체(예 : 사람)일 수 있다. 이동체가 마루면에서 이동할 경우, 스마트 마루(2)는 감지된 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 방향 및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마루(2)의 영역으로 들어오면(예 : 입장), 사용자의 객체 데이터가 생성되어 감지가 진행되고, 사용자가 스마트 마루(2)의 영역에서 나가면(예 : 퇴장), 사용자의 객체 데이터 감지는 종료된다. 스마트 마루(2)는 마루면의 영역에서 감지된 상기 객체 데이터를 홈 게이트웨이(3)로 전송한다.The smart floor 2 is a flooring material that is constructed on the floor surface and detects contact area, weight,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contacting the floor surface as object data through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Here, the contact area is a concept including a contact area or a contact shape. The object may be a stationary body (eg, an object) or a moving object (eg, a person). When the moving object moves on the floor surface, the smart floor 2 may track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path using the detected object data. When the user enters the area of the smart floor 2 (eg, entry), the user's object data is generated and detection proceeds. When the user exits the area of the smart floor 2 (eg, exits), the user's object Data detection ends. The smart floor 2 transmits the object data detected in the floor area to the home gateway 3.

상기 홈 게이트웨이(3)는 스마트 마루(2)로부터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이다. 홈 게이트웨이(3)는 프로세서, 입력 장치, 화면 출력 장치, 음성 출력 장치, 기억 장치 및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3)는 가정 또는 건물 내 설치된 다른 오토메이션 장비(예 : 출입 시스템, 영상 시스템, 전력 시스템, 가스 시스템 등)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출력 및 명령 처리를 제어하여도 무방하다.The home gateway 3 is a terminal device that receives object data from the smart floor 2. The home gateway 3 may include a processor, an input device, a screen output device, an audio output device, a storage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The home gateway 3 may be connected to other automation equipment installed in a home or building (for example, an access system, a video system, a power system, a gas system, etc.) to control input / output and command processing of data.

여기서, 상기 객체 데이터의 변화는 스마트 마루(2) 또는 홈 게이트웨이(3)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마루(2)는 변화량이 포함된 객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홈 게이트웨이(3)는 현재 수신된 객체 데이터가 증가된 데이터인지 아니면 감소된 데이터인지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홈 게이트웨이(3)는 객체 데이터를 수신한 후 해당 위치의 직전 수신값과 비교하여 객체 데이터의 증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change of the object data may be detected by the smart floor 2 or the home gateway 3. For example, the smart floor 2 may transmit object data including a change amount. Then, the home gateway 3 may identify whether the currently received object data is increased data or reduced data. Alternatively, after receiving the object data, the home gateway 3 may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data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comparing the received value immediately before the corresponding location.

또한, 홈 게이트웨이(3)는 출입 시스템으로부터 입장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스마트 마루(2)로부터 신규 객체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사용자의 입장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입장 후 사용자가 소지품을 내려놓을 때마다 홈 게이트웨이(3)는 스마트 마루(2)로부터 무게가 감소되는 객체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3)는 출입 시스템으로부터 퇴장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스마트 마루(2)로부터 소멸된 객체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사용자의 퇴장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퇴장을 준비하는 사용자가 소지품을 들을 때마다 홈 게이트웨이(3)는 무게가 증가되는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나가면 해당 위치에서 객체 데이터의 소멸값을 수신한다. 따라서, 홈 게이트웨이(3)는 스마트 마루(2)로부터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무게가 증가할 경우, 홈 게이트웨이(3)는 사용자가 물건을 들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식별된 사용자의 무게가 감소할 경우, 홈 게이트웨이(3)는 사용자가 물건을 내려놓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me gateway 3 receives the entry information from the access system or receives new object data from the smart floor 2,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user's entry. After the user enters the home gateway 3, whenever the user puts down his belongings, the home gateway 3 receives object data whose weight is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home gateway 3 receives the exit information from the access system or the object data that is destroyed from the smart floor 2,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user's exit. Whenever a user preparing for exit hears belongings, the home gateway 3 receives the object data whose weight is increased, and when the user leaves, the home gateway 3 receives the object data's disappearance value. Accordingly, the home gateway 3 receives object data from the smart floor 2, and when the weight of the identified user increases, the home gateway 3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lifted the object.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ight of the identified user decreases, the home gateway 3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put down the object.

상기 카메라(4)는 스마트 마루(2)의 상부 공간을 촬영하기 위해 적어도 한군데 이상 설치된 촬영 장비로서 내장된 통신 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홈 게이트웨이(3)로 전송한다.The camera 4 transmits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built-in communication device to the home gateway 3 as at least one photographing equipment installed to photograph the upper space of the smart floor 2.

여기서, 홈 게이트웨이(3)는 상기 객체 데이터의 무게 변화를 이용하여 소지품의 존재 유무를 파악할 수 있으나 소지품이 무엇인지는 파악할 수 없다. 하지만, 객체 데이터가 변화된 시점 전, 후의 영상 데이터가 비교되면, 홈 게이트웨이(3)는 소지품의 식별 및 사용자가 소지품을 들었는지 사용자의 소지 행동을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4)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시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게 증감이 발생된 시간 전, 후의 영상 데이터가 비교 분석되면, 차이가 나는 영상 객체가 소지품으로 식별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이용한 소지품의 식별은 영상 시스템 또는 홈 게이트웨이(3)가 처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지품이 식별되면, 홈 게이트웨이(3)는 식별된 소지품 정보를 기 저장된 사용자의 소지품 정보와 비교하여 변경된 소지품을 판단하고, 변경된 소지품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사용자는 홈 게이트웨이(3)가 안내한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확인하여 빠트린 물건을 챙길 수 있다.Here, the home gateway 3 can grasp the presence or absence of belongings using the change in weight of the object data, but cannot determine what the belongings are. However, if the image data before and after the point in time when the object data is changed is compared, the home gateway 3 can identify the belongings and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carried the belongings or not. When the image data before and after the time when the weight increase or decrease occurs using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4, a difference image object may be identified as belongings. Identification of belongings using comparative analysis of image data can be handled by the imaging system or the home gateway (3). When at least one belonging is identified, the home gateway 3 compares the identified belonging information with the pre-stored user's belonging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changed belongings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changed belongings. Then, the user can check the changed belonging information guided by the home gateway 3 and pack the missing i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3)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2 is a schematic internal structural diagram of a home gateway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홈 게이트웨이(3)는 사용자의 객체 데이터를 등록받는 사용자 식별 정보 관리부(31), 스마트 마루(2)로부터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객체 데이터 수신부(32), 수신된 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33), 사용자의 출입 여부 및 소지품을 들었는지 또는 내려놓았는지 판단하는 사용자 행동 판단부(34),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지품을 식별하는 사용자 소지품 식별부(35), 사용자의 출입 정보 및 소지품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소지 패턴 관리부(36) 및 사용자의 출입시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제공하는 변경 소지품 제공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ome gateway 3 identifies the user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 that registers the user's object data, the object data receiving unit 32 that receives object data from the smart floor 2, and the received object data. User identification unit 33, user behavior determining unit 34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entered or not, or whether the belongings are lifted or put down, a user belongings identification unit 35 for analyzing belongings by analyzing the user's image data, the user It comprises a user possession pattern management unit (36) for collecting and storing access information and belonging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change belonging provider (37) for providing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user enters and exits.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관리부(31)는 스마트 마루(2)로부터 사용자의 접촉 영역 및 무게를 등록받고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로 DB에 저장한다.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 관리부(3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목록의 객체 데이터를 전송받고 DB에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 receives the user's contact area and weight from the smart floor 2 and stores it in the DB a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user. Alternatively,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 may receive the object data of the user list input from the user and store it in the DB.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 관리부(31)는 소지품을 들지 않은 사용자가 마루면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 및 무게를 사용자의 객체 데이터로 등록받아 사용자 객체의 사용자 식별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영역은 면적 또는 모양일 수 있고 신발을 신은 상태 또는 신발을 벗은 상태일 수 있다.He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 may register a contact area and weight of a user who does not carry belongings to the floor surface as user object data and store the user area a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bject. The contact area may be an area or shape, and may be worn with shoes or naked.

상기 객체 데이터 수신부(32)는 스마트 마루(2)로부터 객체 데이터를 수신한다. 사용자 객체는 스마트 마루(2)의 압력 센서의 신호값을 변경시킨다. 객체 데이터 수신부(32)는 스마트 마루(2)로부터 객체 데이터의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객체 데이터를 수신한다. 객체 데이터의 변화값은 값의 생성, 소멸 및 증감을 포함한다.The object data receiving unit 32 receives object data from the smart floor 2. The user object changes the signal value of the pressure sensor of the smart floor 2. The object data receiving unit 32 receives the object data whenever a change in object data occurs from the smart floor 2. The change value of the object data includes creation, destruction and increase / decrease of the value.

상기 사용자 식별부(33)는 수신된 객체 데이터를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데이터의 사용자를 식별한다. 상기 비교 처리 및 판단 처리 과정에서는 소정의 오차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The user identification unit 33 compares the received object data with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the user of the data determined to be the same. In the comparison and judgment process, a predetermined error may be applied.

여기서, 사용자가 스마트 마루(2)의 영역에 들어와서 적어도 하나의 소지품을 내려놓는 상황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수신된 객체 데이터 및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일치도는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소지품을 들고 스마트 마루(2)의 영역에서 나가는 상황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일치도가 감소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확한 사용자 식별을 위해 사용자 식별부(33)는 카메라(4)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여도 무방하다.Here,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enters the area of the smart floor 2 and puts down at least one belonging,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received object data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rease over time. And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leaves at least one belonging and leaves the area of the smart floor 2, the coincidence may decrease as time passes. Alternatively,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33 may identify the user by analyz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4 for accurate user identification.

상기 사용자 행동 판단부(34)는 사용자가 물품을 드는 행동인지 또는 물품을 내려놓는 행동인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물품을 드는 행동은 사용자의 퇴장을 예상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장시 물품을 내려놓는 행동을 예상할 수 있다.The user behavior determining unit 34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lifting the product or putting down the product. The behavior of the user lifting the article can predict the user's exit, and the behavior of putting the article down when the user enters.

여기서, 사용자 행동 판단부(34)는 감지된 사용자 객체의 위치에서 무게가 증가함과 동시에 다른 위치에서 제 1객체의 무게가 소멸 또는 감소될 경우, 사용자가 다른 위치의 제 1객체를 소지품으로 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객체의 위치에서 무게가 감소함과 동시에 다른 위치에서 제 1객체의 무게가 증가하거나 또는 신규로 인식될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 1객체를 소지품으로 내려놓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user action determining unit 34 increases the weight at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user object and simultaneously loses or decreases the weight of the first object at another location, and the user lifts the first object at another location as belongings. You can judge that. In addition, when the weight of the first object is increased or newly recognized in another location while the weight is decreased at the location of the user object, the user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object is put down as belongings.

상기 사용자 소지품 식별부(35)는 객체 데이터의 수신을 통해 객체 데이터의 변화를 감지하면, 해당 위치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변경된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한다.When the user's belongings identification unit 35 detects a change in the object data through the reception of the object data, the user's belongings a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aptured image data.

여기서, 영상 시스템이 영상 비교 분석을 처리하는 경우라 가정하면, 영상 시스템이 사용자 소지품 식별부(35)에 의해 요청된 객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카메라(4)를 제어하고, 해당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요청된 시간 전, 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소지품을 식별한다. 그러면, 영상 시스템은 식별된 소지품의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소지품 식별부(35)로 응답한다. 물론, 사용자 소지품 식별부(35)가 상기 영상 비교 분석을 처리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 소지품 식별부(35)가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시스템으로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된 상기 기간 정보의 전, 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소지품의 영상을 식별한다.Here, assuming that the image system is processing the image comparison analysis, the image system controls the camera 4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object requested by the user belongings identification unit 35, monitors the location and shoots Among the image data, the belongings a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image data before and after the requested time. Then, the image system responds to the user belongings identification unit 35 with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belongings. Of course, the user belongings identification unit 35 may perform the image comparison analysis. For example, the user belongings identification unit 35 requests image data from the image system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image data before and after the response period information to identify the image of the belongings. .

상기 사용자 소지 패턴 관리부(36)는 식별된 소지품 정보를 사용자, 출입 구분 및 시간의 정보와 대응시켜 DB에 저장한다. 그러면, DB에는 사용자가 소지품을 들고나간 정보 및 사용자가 들어와서 소지품을 내려놓은 정보가 사용자 행동의 소지 패턴으로 저장된다.The user possession pattern management unit 36 stores the identified belonging information in the DB in correspondence with information of the user, access classification and time. Then, in the DB, information that the user carried the belongings and information that the user came in and put the belongings down are stored as a pattern of possession of the user action.

여기서, 사용자 소지 패턴 관리부(36)는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데이터를 중복적으로 저장하는 대신에 빈도수를 증가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장 또는 가정에 있다고 할 경우,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에서 나갈 때 들은 소지품 정보 및 사용자가 들어올 때 들은 소지품 정보는 DB를 통해 데이터의 카운트 수가 증가되면서 저장한다. 당연히, 최고 빈도수의 소지품 정보는 해당 사용자가 해당 시간대에서 규칙적으로 소지하는 소지품 정보임을 의미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매일 1회씩 규칙적인 시간대에서 운동을 나가서 들어온다고 가정할 경우, 운동을 나갈 때 챙기는 소지품 정보 및 운동을 끝마치고 들어올 때 소지한 소지품 정보는 매일 카운트 수가 증가됨은 물론이다.Here, the user possession pattern management unit 36 stores the data that is determined to be the same instead of repeatedly storing the data by increasing the frequency. For example, if the user is at work or at home, th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s heard when the user leaves the specific time zone and th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s heard when the user enters are stor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data counts through the DB. Naturally, the belonging information of the highest frequency means that the corresponding user is belonging information regularly in the corresponding time zone. Furthermore, assuming that the user comes in and out of the exercise at regular times once a day, the number of daily information on the belongings to be taken when leaving the exercise and the belongings to be held when entering the exercise are increased daily.

상기 변경 소지품 제공부(37)는 스마트 마루(2) 및 카메라(4)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식별하면, 식별된 소지품 정보를 DB에 저장된 상기 소지 패턴의 소지품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빠트린 소지품 또는 더 추가하여 소지한 소지품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When the changed belongings providing unit 37 identifies the changed belongings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data analysis of the smart floor 2 and the camera 4, the identified belongings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belongings information of the possession pattern stored in the DB It is possible to gu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f belongings that the user has missed or by adding more.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운동을 하러 나갔다가 들어오는 사용자에 대해 운동 가방 및 물병이 소지품 정보로 저장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물병의 소지를 빠트린 채 나갈 채비를 하면, 상기 소지품 식별부(35)는 가방만을 소지품으로 식별한다. 이후, 변경 소지품 제공부(37)가 현재 식별된 가방에 대해 대응하는 사용자, 시간대, 외출에 대응하는 소지품 정보를 조회하여 가방 및 물병을 조회하면, 물병에 차이가 있음을 판단하여 출력 단말로 물병을 빠트린 소지품의 정보로 안내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n exercise bag and a water bottle are stored as belonging information for a user who regularly goes out to exercise and comes in. At this time, if the user prepares to go out while missing the possession of the water bottle, the belongings identification unit 35 identifies only the bag as a belongings. Subsequently, if the changed belongings providing unit 37 inquires for the baggage and the water bottle by inquiring the corresponding user, time zone, and ou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going bag,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ater bottle, and the water bottle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It can guide you to the information of your belongings.

여기서, 상기 출력 단말은 출입구에 설치된 오토메이션 단말 또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예 : 스마트 단말, 스마트 패드 등)일 수 있다. 출력 단말은 화면, 음성 출력이 가능하고 유,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Here, the output terminal may be an automation terminal installed in a doorway or a user mobile terminal (eg, a smart terminal, a smart pad, etc.). The output terminal is a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 screen and voice, and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물론, 변경 소지품 제공부(37)는 사용자가 추가로 소지하는 단말에 대해서도 추가 소지의 소지품 정보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추가 소지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추가 소지품을 소지하는 것이기에 사용자가 환경 설정에서 미소지의 소지품만을 안내받는 것으로 설정한 경우, 추가 소지의 안내는 생략될 수 있다.Of course, the change belongings providing unit 37 can guide the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possessions to the terminal additionally possessed by the user. Here, the additional possession of the user is intentionally the user possesses the additional belongings, and thus, if the user sets the preferences to be guided only by the small belongings in the environment setting, the guidance of the additional possessions may be omitted.

다른 예로서, 가정에서는 외출 또는 출근시의 소지품이 귀가시의 소지품과 일치되어야 한다는 조건에 따라서, 귀가시의 소지품과 외출 또는 출근시의 소지품을 비교하여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사용자가 집으로 귀가할 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직장에서는 출근 및 퇴근할 때의 소지품이 일치한다는 조건에 따라 직장에서 퇴근할 때에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보안 정책이 적용된 직장에서는 퇴근시의 소지품이 출근시의 소지품보다 많은 경우, 추가 소지된 소지품을 로그로 기록하고 안내를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home, when the user returns home the changed belongings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belongings at home and the belongings at home or out,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that the belongings at home or work must match the belongings at home. I can guide you. In addition, in the workplace, it is possible to guide information on the belongings changed at the time of leaving the workplace according to the condition that the belongings at the time of commuting to and from work match. In the workplace where the security policy is applied, if there are more belongings at work than those at work, additional possessions can be recorded in a log and guided.

한편, 홈 게이트웨이(3)는 날씨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홈 게이트웨이(3)는 강수 확률에 따라 비오는 날씨에는 우산을 챙겨서 나가라고 추가적으로 안내할 수 있고, 나갈 때 소지한 우산이 들어올 때는 없다고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3)는 자외선 지수가 높은 날씨에는 선글래스, 양산, 모자, 선크림 등의 외출용 소지품을 추가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me gateway 3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Then, the home gateway 3 may additionally guide the umbrella to go out in rainy weather depending on the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and may guide that the umbrella you have is not in when you go out. In addition, the home gateway 3 may additionally guide belongings for going out, such as sunglass, sunshade, hat, and sunscreen, when the UV index is high.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3)가 저장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데이터의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of user's belonging data stored by the home gateway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홈 게이트웨이(3)는 입/출입시마다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하여 상기 빈도수의 증가 방식으로 소지품 정보를 DB에 저장한다. 소지품 정보는 사용자별, 출입 구분별(예 : 입장 및 퇴장), 시간대(예 : 월, 주, 일, 시간별 등)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지품 객체를 포함한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3)는 사용자로부터 DB에 저장된 소지품 정보를 편집받을 수 있고, 소지품 정보를 매뉴얼 방식으로 등록받을 수 있다.The home gateway 3 identifies the user's belongings at each entry / exit, and stores the belongings information in the DB in the manner of increasing the frequency. The belonging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belongings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user, access division (eg, entry and exit), and time zone (eg, month, week, day, hour, etc.). In addition, the home gateway 3 may be able to edit the belong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from the user, and register the belonging information in a manual manner.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입장 및 퇴장하는 상황의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가 직장에 출근하고 퇴근하는 것으로 가정한다.4 and 5 are exemplary views of a situation in which a user enters and ex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 user goes to work and leaves work.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직장의 출입문으로 입장하는 경우, 홈 게이트웨이(3)는 출입문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출근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마루(2)는 출근한 사용자 객체를 새로운 객체로 감지하여 사용자의 출근을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 마루(2)는 출근한 사용자의 발 모양, 면적 등을 감지하고 무게를 감지하고, 감지를 통해 신규 생성된 객체 데이터를 홈 게이트웨이(3)로 전송한다. 홈 게이트웨이(3)는 수신된 객체 데이터를 DB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이후, 사용자가 물건을 내려놓으면, 스마트 마루(2)는 사용자의 변화된 객체 데이터를 홈 게이트웨이(3)로 전송한다. 그러면, 홈 게이트웨이(3)는 수신된 객체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4)로 영상 데이터 비교를 요청한다. 카메라(4)는 객체 데이터가 생성된 시점 전, 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식별된 소지품 정보를 홈 게이트웨이(3)로 응답한다. 그러면, 홈 게이트웨이(3)는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소지품 정보를 빈도수 증가 방식을 이용하여 DB에 저장한다. 물론, 동일하다고 판단되지 않은 소지품 정보는 DB에 추가된다.Referring to FIG. 4, when a user enters the entrance of a workplace, the home gateway 3 may recognize the user's attendance through a door sensor. In addition, the smart floor 2 may recognize the user's attendance by detecting a user object that has entered the office as a new object. The smart floor 2 detects the shape, area, etc. of the foot of the user who went to work, detects the weight, and transmits the newly generated object data to the home gateway 3 through the detection. The home gateway 3 identifies the user determined to be the same by comparing the received object data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Then, when the user puts down the object, the smart floor 2 transmits the changed object data of the user to the home gateway 3. Then, the home gateway 3 requests comparison of the image data to the camera 4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object data. The camera 4 compares the image data before and after the point in time when the object data is generated, and responds with the identified belonging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3. Then, the home gateway 3 stores belonging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the same in the DB using a frequency increase method. Of course, belonging information not judged to be the same is added to the DB.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퇴근을 위해 물건을 드는 경우, 스마트 마루(2)는 객체의 무게 증가를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 마루(2)가 사용자의 발 모양/면적 및 무게를 감지하면, 감지된 객체 데이터를 홈 게이트웨이(3)로 전송한다. 홈 게이트웨이(3)는 수신된 객체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4)로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객체 데이터를 DB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홈 게이트웨이(3)가 카메라(4)로부터 영상 데이터의 비교에 의해 식별된 소지품 정보를 수신하면, 식별된 소지품 정보를 DB에 저장된 사용자, 퇴근 구분, 퇴근 시간에 대응하는 소지품 정보와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소지품 정보를 출력 단말을 통해 안내한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3)는 현재 식별된 소지품 정보를 상기 빈도수 증가 방식을 이용하여 DB에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user lifts an object for work, the smart floor 2 may detect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object. When the smart floor 2 detects the user's foot shape / area and weight, it transmits the sensed object data to the home gateway 3. The home gateway 3 requests image data from the camera 4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object data, and compares the object data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to identify a user determined to be the same. When the home gateway 3 receives the belonging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comparison of the video data from the camera 4,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ed belonging information and the belong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work classification, and work time stored in the DB is different. I guide my belonging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terminal. In addition, the home gateway 3 stores the currently identified belonging information in the DB using the frequency increase metho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6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for guiding a user's belong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홈 게이트웨이(3)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가정 또는 건물에서 대응되는 구성원의 식별 정보를 DB에 저장한다(S31). 그러면, DB에는 각각의 구성원에 대해 접촉 영역 및 무게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The home gateway 3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mber in the home or building at the request of the user in the DB (S31). T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act area and weight for each member is stored in the DB.

이후, 스마트 마루(2)가 마루면 위에서 객체의 변화를 감지하면, 홈 게이트웨이(3)는 스마트 마루(2)로부터 무게의 변화가 발생하는 객체 데이터를 수신한다(S32).Then, when the smart floor 2 detects a change in the object on the floor, the home gateway 3 receives object data in which a change in weight occurs from the smart floor 2 (S32).

그러면, 홈 게이트웨이(3)는 수신된 객체 데이터와 DB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S33).Then, the home gateway 3 identifies the user by comparing the received object data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S33).

무게의 변화를 일으킨 사용자가 식별되면, 홈 게이트웨이(3)는 사용자 객체의 무게 증가일 경우, 사용자가 소지품을 든 행동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객체의 무게 감소일 경우, 사용자가 소지품을 내려놓은 행동으로 판단한다(S34).When the user who caused the change in weight is identified, the home gateway 3 determines that the user is carrying the belongings when the weight of the user object is increased, and if the user decreases the weight of the user object, the user puts the belongings down. It is judged (S34).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3)는 객체 데이터의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영상 시스템으로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받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지품 정보를 식별한다(S35). 여기서, 영상 분석 결과는 사용자가 들거나 또는 내려놓은 사용자 행동의 영상 정보로서, 상기 영상 정보는 개별 소지품이 무엇인지 확인해 준다.Then, the home gateway 3 transmits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data to request image data from the image system, and identifies belonging information using the received image data (S35). Here, the result of the video analysis is video information of a user's action lifted or put down by the user, and the video information confirms what an individual belonging is.

소지품 정보가 식별되면, 홈 게이트웨이(3)는 식별된 소지품 정보를 사용자, 출입 구분, 시간 등의 정보와 대응시켜 DB에 저장한다(S36). 여기서,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소지품 정보가 저장될 경우, 기 저장된 소지품 정보의 카운트가 증가된다. 물론, 사용자가 자신의 습관에 따라 소지품 정보를 홈 게이트웨이(3)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belonging information is identified, the home gateway 3 stores the identified belonging information in the DB in correspondence with information such as a user, access classification, and time (S36). Here, when the belonging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the same is stored, the count of the pre-stored belonging information is increas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register belon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his / her habits using the input device of the home gateway 3.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3)는 식별된 소지품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출입 구분 및 시간대를 이용하여 DB에 저장된 소지품 정보를 조회하고, 식별된 소지품 정보와 조회된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출력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S37). 여기서, 사용자는 입장과 퇴장시의 소지품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일치하지 않는 소지품을 안내할 것을 홈 게이트웨이(3)에 등록해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home gateway 3 inquires the belong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using the user, the access category and the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belonging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identified belonging information with the inquired belonging information to output the changed belonging information terminal It is transmitted to guide the user (S37). Here, the user may register in the home gateway 3 to guide the mismatched belongings when the belongings at the time of entry and exit do not match.

이와 같은 처리로 인해, 홈 게이트웨이(3)는 사용자의 외출, 출입 시 소지하는 물품의 정보를 DB에 리스트화한다. 사용자가 무슨 이유로 외출을 하는지를 홈 게이트웨이(3)는 판단할 수 없지만, 사용자가 특정 시간(예 : 계절, 요일, 시간대)에 특정 물품을 소지하는 상황이 감지되면, 홈 게이트웨이(3)는 대응하는 소지품 정보를 DB로부터 조회하여 기 저장된 소지품 정보와 다른 소지품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Due to such processing, the home gateway 3 lists the information of the goods carried when the user goes out or enters the database. The home gateway 3 cannot determine for what reason the user is going out, but if the user detects a situation with a specific item at a specific time (eg, season, day of the week, time zone), the home gateway 3 responds Inquire the belonging information from the DB and inform the user of the pre-stored belonging information and other belongings.

상술한 실시예에서, "~부"라는 용어는 스마트 마루와 카메라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및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의 하드웨어적 구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통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의 구성부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부는 하드웨어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라는 용어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erm "~ part" is not used as a term for a hardware classification of a user's belonging guidance system and a user's belonging guidance method using a smart floor and a camera.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or a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onents. Further, the configuration unit may mean a hardware configuration unit, but may also mean a software configuration uni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y the term "~ part".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scope.

1 : 소지품 안내 시스템 2 : 스마트 마루
3 : 홈 게이트웨이 4 : 카메라
1: belongings guidance system 2: smart floor
3: Home Gateway 4: Camera

Claims (22)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의 접촉 영역 및 무게를 포함하는 객체 데이터를 감지하는 스마트 마루부;
상기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상기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객체 위치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객체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하는 홈 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객체 데이터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객체의 위치를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하여 객체의 영상을 요청하고, 무게가 변화되기 전, 후의 영상 데이터가 비교되어 분석된 변경된 영상 데이터를 소지품 식별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A smart floor unit for sensing object data including a contact area and a weight of the object using a pressure sensor;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image of the object; And
When receiving the object data from the smart floor, and receiving the image data of the object position through the camera unit, and includes a home gateway unit for identifying the user's belonging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bject data and the change in the image data ,
The home gateway unit,
Detects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object data, transmit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object to the camera unit, requests an image of the object, compares the analyzed image data before and after the weight is changed, and analyzes and analyzes the changed image data as belon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s belongings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실시간으로 감지된 객체의 접촉 영역, 무게, 각각의 변화량 및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객체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ome gateway unit,
A user's belong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data including the contact area, weight, and each change amount and location of the object detected in real time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 flo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ome gateway unit,
When stor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iving object data from the smart floor, the user's belong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identified in real time in comparison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객체의 접촉 영역, 무게 및 영상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소지품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ome gateway unit,
A user's belongings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by identifying a user and belongings using at least one of an object's contact area, weight, and image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신규로 생성된 객체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식별되면, 사용자가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객체 데이터가 소멸된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나간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ome gateway unit,
When the user is identified from the newly created object data,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user's belongings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identified user's object data receives information that has been destroyed,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lef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무게가 증가된 제 1객체의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고, 증가된 제 1객체의 무게만큼 사용자 객체의 무게가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 1객체를 소지품으로 내려놓은 상태로 판단하고,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제 2객체의 무게 감소를 감지하고, 감소된 제 2객체의 무게만큼 사용자 객체의 무게가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 2객체를 소지품으로 든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ome gateway unit,
When receiving the object data of the first object whose weight is increased from the smart floor, and when the weight of the user object is reduced by the weight of the first object,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first object is put down as belongings,
When the weight of the second object is sensed by the smart floor and the weight of the user object increases by the reduced weight of the second object,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second object is in possession. Inventory information system.
삭제delete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식별된 사용자의 소지품을 사용자, 출입 구분 및 시간의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하고, 동일하다고 판단된 사용자, 출입 구분, 시간대 및 소지품의 정보가 저장될 때마다 빈도수를 증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home gateway unit,
A user characterized by storing the belongings of the identified us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ccess classification and time, and increasing and storing the frequency of each time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ccess classification, time zone and belongings determined to be the same is stored. Belongings guidance system.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사용자가 들어오거나 나가는 경우, 대응하는 출입 구분 및 시간대의 소지품 정보를 조회하고, 저장된 소지품 정보와 차이가 있는 소지품의 변경 정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home gateway unit,
When a user enters or exits, the user's belong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by inquiring the corresponding access category and time zone belonging information, and guiding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tored belonging information.
제 9항에 있어서,
출력 단말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가 상기 출력 단말부로 상기 소지품의 변경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출력 단말부로 소지품의 변경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home gateway unit further includes an output terminal unit and transmits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s to the output terminal unit, the user's belong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s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uni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사용자가 출입시마다 사용자의 소지품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들어올 때 소지한 소지품 정보와 들어올 때 소지한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소지품의 변경 정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home gateway unit,
The user's belong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stores information of the user's belongings every time the user enters and compar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s belongings when the user enters th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s when the user enter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부는,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우산, 모자, 선글래스를 포함하는 날씨와 관련되는 소지품 정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home gateway unit,
A user's belong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and stores weather information, and guides belong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weather including umbrella, hat, and sunglass.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루면 위의 사용자에 대해 접촉 영역 및 무게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관리부;
마루면 위의 객체에 대해 접촉 영역 및 무게를 포함하는 객체 데이터를 전송받는 객체 데이터 수신부;
수신된 객체 데이터를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
상기 객체 데이터의 무게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품을 들었는지 또는 소지품을 내려놓았는지 판단하는 사용자 행동 판단부;
무게가 변화된 객체의 위치를 전송하여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변화가 비교 분석되어 검출된 사용자의 소지품을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사용자 소지품 식별부;
식별된 소지품 정보를 사용자, 출입 구분 및 시간의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사용자 소지 패턴 관리부; 및
식별된 소지품 정보의 사용자, 출입 구분 및 시간의 정보에 대응되는 소지품 정보를 조회하고, 식별된 소지품 정보와 조회된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지정된 출력 단말로 전송하는 변경 소지품 제공부
를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소지품 식별부는,
상기 무게가 변화된 객체의 위치를 카메라부로 전송하여 객체의 영상을 요청하고, 무게가 변화되기 전, 후의 영상 데이터가 비교되어 분석된 변경된 영상 데이터를 소지품 식별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시스템.
A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registers and stores a contact area and weight for a user on a smart floor including a pressure sensor;
An object dat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object data including a contact area and weight with respect to an object on the floor surface;
A user identification unit that identifies the user by comparing the received object data with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user behavio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 user lifts a belonging or puts the belonging down using a change in weight of the object data;
A user belongings identification unit for requesting image data by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whose weight has changed, and real-time identification of the user's belongings dete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nge of the image data;
A user possession pattern management unit that stores the identified belonging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information of a user, access classification and time; And
Changed belongings providing unit that inquires the belonging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ccess classification and time of the identified belongings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identified belongings information with the inquired belonging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hanged belongings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output terminal
Home gateway device comprising a,
The user belongings identification unit,
The user's belong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object whose weight has been changed is transmitted to the camera unit to request an image of the object, and the image data before and after the weight is changed is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analyzed image data is stored as belon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Guidance system.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하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실행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에 있어서,
(a)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루로부터 객체의 접촉 영역 및 무게를 포함하는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객체 데이터 수신 단계;
(b)카메라로 상기 객체의 영상을 요청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객체 영상 수신 단계;
(c)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변화가 발생하는 사용자의 소지품을 식별하는 사용자 소지품 식별 단계;
(d)식별된 소지품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소지품 정보를 조회하고, 식별된 소지품 정보와 조회된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된 소지품을 판단하는 변경 소지품 판단 단계; 및
(e)사용자 안내를 위해 지정된 단말로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전송하는 변경 소지품 안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영상 수신 단계는,
무게가 변화된 객체의 위치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여 객체의 영상을 요청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소지품 식별 단계는,
무게가 변화되기 전, 후의 영상 데이터가 비교되어 분석된 변경된 영상 데이터를 소지품 식별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
A method for guiding a user's belongings executed by a home gateway device that identifies the user's belongings,
(A) object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object data including the contact area and weight of the object from the smart floor including a pressure sensor;
(b) an object image receiving step of requesting an image of the object with a camera and receiving image data;
(c) a user belongings identification step of analyzing the image data to identify the user's belongings where an image change occurs;
(d) a change belongings determining step of inquiring the user's belonging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belongings information and comparing the identified belongings information with the inquired belongings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changed belongings; And
(e) including a step of guiding the changed belongings to transmit the changed belongings information to a designated terminal for user guidance,
The object image receiving step,
The position of the object whose weight has been changed is transmitted to the camera to request an image of the object to receive image data,
The user belonging identification step,
A method of guiding a user's belong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data before and after the weight is changed is compared and stored as the analy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에,
상기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스마트 마루로부터 사용자의 접촉 영역 및 무게를 등록받아 사용자 식별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Before step (a),
The home gateway devic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gistering the user's contact area and weight from the smart floor and storing it a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스마트 마루로부터 수신한 상기 객체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Step (a) is,
The home gateway device is a step of comparing the object data received from the smart floor and pre-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a matching user.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는 단계로서,
신규로 생성된 객체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식별되면, 사용자가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들어온 사용자를 인식한 상태에서 제 1객체의 무게 증가를 감지하고, 증가된 제 1객체의 무게만큼 사용자 객체의 무게가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 1객체를 소지품으로 내려놓은 행동으로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 객체와 제 2객체를 인식한 상태에서 제 2객체의 무게 감소를 감지하고, 감소된 제 2객체의 무게만큼 사용자 객체의 무게가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지품을 든 행동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스마트 마루부로부터 식별된 사용자의 객체 데이터가 소멸된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나간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In step (a), the home gateway device determines a user's behavior,
If a user is identified from the newly generated object data,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entered;
Detecting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first object while recognizing an incoming user, and when the weight of the user object decreases by the weight of the increased first object, determining by the user that the first object is put as belongings;
Detecting a weight reduction of the second object while recognizing the user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nd when the weight of the user object increases by the weight of the reduced second object, determining by the user the behavior of carrying the belongings; And
When receiving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s object data identified from the smart floor is destroy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left.
제 14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식별된 사용자의 소지품을 사용자, 출입 구분 및 시간의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하고, 동일하다고 판단된 사용자, 출입 구분, 시간대 및 소지품의 정보가 저장될 때마다 빈도수를 증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7,
After step (c),
The home gateway device stores the belongings of the identified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ccess classification, and time, and increases and stores the frequency of each time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ccess classification, time zone, and belongings determined to be the same is stored. A method of guiding a user's belongings, further comprising a step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현재 식별된 사용자의 제 1소지품 정보에 대해 대응하는 사용자, 출입 구분 및 시간대의 기저장된 제 2소지품 정보를 조회하고, 제 1소지품 정보와 제 2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된 소지품을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step (d),
The home gateway device queries the user's first belonging information for the currently identified user, searches the pre-stored second belonging information for the user, access category, and time, and compares the first belonging information with the second belonging information to check the changed belongings. A method of guiding a user's belong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determining step.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들어올때 소지한 소지품 정보와 나갈때 소지한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변경된 소지품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d),
The home gateway devic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user's access information, and comparing the belonging information held when the user enters with the belonging information held when the user exits, and determining the changed belonging information. Way.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지정된 사용자 단말 또는 홈 자동화 단말로 소지품의 변경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 또는 홈 자동화 단말로부터 소지품의 변경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e),
The home gateway device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s to the designated user terminal or home automation terminal, and the step of outputting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belongings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home automation terminal.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장치가 저장된 날씨 정보를 조회하여 우산, 모자, 선글래스를 포함하는 날씨와 관련되는 소지품 정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소지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e),
A method for guiding a user's belong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me gateway device inquires stored weather information and gu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weather including an umbrella, a hat, and sunglasses.
KR1020130098359A 2013-08-20 2013-08-20 System for notifying user's belongings using camera and smart floor and method thereof KR102107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359A KR102107688B1 (en) 2013-08-20 2013-08-20 System for notifying user's belongings using camera and smart floo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359A KR102107688B1 (en) 2013-08-20 2013-08-20 System for notifying user's belongings using camera and smart floo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247A KR20150021247A (en) 2015-03-02
KR102107688B1 true KR102107688B1 (en) 2020-05-07

Family

ID=5301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359A KR102107688B1 (en) 2013-08-20 2013-08-20 System for notifying user's belongings using camera and smart floo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68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2934A (en) 2008-03-26 2009-10-15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Imaging table, method of correcting imaging table, and imaging apparatus
US20100194525A1 (en) * 2009-02-05 2010-08-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tion Securing Premises Using Surfaced-Based Computing Technolog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522B1 (en) 2009-06-05 2012-05-31 한국과학기술원 Multifunctional digital floor system and control method in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2934A (en) 2008-03-26 2009-10-15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Imaging table, method of correcting imaging table, and imaging apparatus
US20100194525A1 (en) * 2009-02-05 2010-08-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tion Securing Premises Using Surfaced-Based Computing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247A (en)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468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using biometrics combined with tag authentication
KR102192882B1 (en) Settlement method, entrance control method and device
US107696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alculating customer traffic volume
CN106934787B (en) Intelligent access control method, system, server and equipment
WO2014085658A2 (en) A method of dynamically adjusting an authentication sensor
KR101944965B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card, and method thereof
KR102544391B1 (en) A method of automatically detecting event of object using wearable device and a management server operating the same
US9710978B1 (en) Access control system using optical communication protocol
CN107071710B (en) Door entering and exiting voice intelligent playing system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US20170161564A1 (en) Queue Monitoring Based on Imprint Profiles
JPWO2013157265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receiving device, image transmitt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receiving sid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transmitting method
KR20190098926A (en) Robot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providing of the robot
CN107590475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fingerprint recognition
KR20170019573A (en) Smart parking system
KR101964374B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391656B1 (en) A wearable device that performs event detection using a camera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728158B1 (en) Fire safety management and security agency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WO20150162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107688B1 (en) System for notifying user's belongings using camera and smart floor and method thereof
KR102234164B1 (en) Drinking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ing contact type drinking measurement sensor and the method of preventing drinking accident using the same
KR101388236B1 (en) Face recognition system using camera glasses
KR20160057751A (en) Supervisory system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ip camera module
CN201392537Y (en) Body capacitance and handwriting recognition combined biometric recognition device
KR101557156B1 (en) Management of gates using FRID system
JP2013242831A (en) Room entry/exi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