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426B1 -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426B1
KR102107426B1 KR1020200018473A KR20200018473A KR102107426B1 KR 102107426 B1 KR102107426 B1 KR 102107426B1 KR 1020200018473 A KR1020200018473 A KR 1020200018473A KR 20200018473 A KR20200018473 A KR 20200018473A KR 102107426 B1 KR102107426 B1 KR 102107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nsor
communication unit
control unit
g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알테크널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알테크널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알테크널러지
Priority to KR102020001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4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GPS;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GPS, 복수의 센서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상기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에 비례하여 상기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운송수단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1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센서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ICT tracking system possible to secure real-time visibility}
본 발명은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감지(Radio Frequency Sensing)는 소형 반도체 칩을 이용해 사물의 상태정보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로서, 각종 물품에 소형 무선 상태감지장치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 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시스템이다.
무선신호판독 및 해독기능이 있는 무선수신 리더기와 고유 정보를 내장한 무선감지장치, 운용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된 무선 센서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는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무선감지장치를 식별함으로써 정보를 처리한다.
이러한 USN는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다.
이 같은 장점 때문에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 평가 받으며, 활용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저주파 대역의 전파식별 시스템(30 kHz ~ 500 kHz)은 1.8m 이하의 짧은 거리에서 사용되며, 고주파 대역의 전자식별 시스템(850 MHz ~ 950 MHz 또는 2.4 GHz ~ 2.5 GHz)은 27m 이상의 먼 거리에서 전송이 가능하다.
즉, USN은 무선신호 리더기에 안테나를 연결하여 수십 미터 이내에 있는 무선상태감지센서의 정보를 인식하여 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USN를 이용하여 상태감지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 기술은 물품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무선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이 정보를 읽음으로써 물품의 존재여부 또는 위치까지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물품 상태를 센싱하는 감지장치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USN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유용하게 물품을 관리할 수 있어서 물품 관리에 USN 기술이 많이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물품을 관리하는 기술의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23008(2009.03.04.공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및 스마트 컨테이너 장치"](이하 선행기술 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컨테이너 내부 환경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모듈과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컨테이너 내부 보관 물품의 위치 이탈 및 파손 등의 컨테이너 내부 상태를 감시하는 것으로서,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되어 컨테이너 내부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결과를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 컨테이너 장치로 전달하는 센서모듈; 컨테이너 외부 벽면 또는 벽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수신한 내부 상태 데이타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무선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 또는 위성통신망을 통해 위치 데이타와 내부 상태 데이타 및 컨테이너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환경 데이타를 서버측으로 전달하는 스마트 컨테이너 장치; 및 상기 스마트 컨테이너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위치 데이타와 환경데이타에 근거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서버로 구성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센서모듈(또는 상태감지장치)을 직접 물품에 부착하지 않고 컨테이너 내부 벽면 등에 장착한다. 일반적으로 직접 물품에 부착하여 물품을 식별하고 물품의 상태정보를 얻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RFID 태그 기술이 이용된다. RFID태그는 통상 수동형으로 직접 전원(또는 배터리)을 가지고 있지 않고 외부 RFID리더기가 송출하는 RF신호를 전원으로 하여 가동된다.
따라서 직접 물품에 센서모듈(또는 상태감지장치)을 장착하여 물품관리에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태감지장치의 배터리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무선감지장치를 통해 자산관리를 하게 되면, 모든 자산에 무선감지장치를 부착하므로 배터리 교체 작업도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하기 때문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의 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한 기술의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92073(2007.09.12.공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전력 절약 방법"](이하 선행기술 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통신을 위한 액티브 모드 이외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슬립 모드를 작동시켜 무선 통신 장치의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초기에 장치가 배치되면, 슬립 확률을 초기화하는 단계, 통신을 위한 상기 액티브 모드를 작동시키는 단계, 액티브 모드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액티브 모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송수신될 패킷이 없으면, 슬립 모드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슬립 확률에 기초하여 슬립 모드로부터의 해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는 센서네트워크에서의 배터리 절약방법으로서, 주로 위치나 이동을 감지하는 자산관리를 위한 센서네트워크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자산관리를 위한 무선센서네트워크(USN)에 적합한 상태감지장치의 배터리 관리 기술이 절실하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23008(2009.03.04.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92073(2007.09.12.공개)
본 발명은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 중 소리센서만이 동작하여 객체의 제 1 정보를 센싱하고, 발생된 소리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센서가 객체와 관련된 추가적인 제 2 정보를 센싱하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기초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복수의 센서 모두가 객체와 관련된 제 3 정보를 센싱하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면, 이동에 비례하여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기에 획득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1 주기를 미리 정해진 제 2 주기로 늘리고, 제 2 주기가 적용되는 상태에서 이동이 감지되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2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로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GPS의 전원을 오프(OFF)하고, 통신부가 통신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며, 정밀한 위치 정보가 필요한 경우, GPS를 다시 온(ON)하여 활용하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식별 통신부를 부착하고, 통신부와 식별 통신부 간의 페어링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컨터이너 간의 매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된 팔레트의 가속도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가속도값이 검출된 시점에서 팔레트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판단하고, 센싱된 충격량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팔레트가 낙하된 것으로 판단한 후, 해당 팔레트와 관련된 지게차의 위치정보, 충격이 가해진 시간정보 및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지게차의 영상정보가 서버로 전송됨으로써, 비행기 적재 또는 하역시 발생하는 제품 손상의 책임소재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운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운송 장치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복수의 객체를 제 1 그룹으로 지정하고, 서버가 제 1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운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복수인 제 1 단말이, 운송 장치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제 1 객체에 대해 관심 객체로 지정하고, 서버가 제 1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제 1 단말에 함께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GPS;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GPS, 복수의 센서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상기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에 비례하여 상기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운송수단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1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센서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GPS;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GPS, 복수의 센서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에 획득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운송수단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1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센서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제 1 주기로 획득하는 GPS;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GPS, 복수의 센서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1 주기를 미리 정해진 제 2 주기로 늘리고, 상기 제 2 주기가 적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2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로 줄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운송수단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1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센서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운송수단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및 상기 통신부의 전원을 오프(OFF)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수단에 적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역되고, 상기 GPS가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및 상기 통신부의 전원을 온(ON)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서는 소리 센서이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소리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에 포함된 소리의 출력값이 미리 지정된 수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센서가 추가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충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온도 정보,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습도 정보 및 상기 충격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충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미리 지정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의 센싱 주기 및 상기 통신부의 통신 주기를 늘리고, 상기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에 비례하여 상기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에 획득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의 센싱 주기 및 상기 통신부의 통신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의 센싱 주기 및 상기 통신부의 통신 주기를 상기 제 2 주기로 늘리고, 상기 제 2 주기가 적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 센싱과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과 관련된 제 2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하여 하역, 보관 및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받침대인 팔레트(Pallet)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인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은, 전술한 장치; 상기 장치로부터 GPS가 주기적으로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센서가 센싱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웹(Web)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인 방법은, GPS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제 1 단계; 복수의 센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제 2 단계; 통신부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제어부가 상기 GPS, 복수의 센서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는 제 1-1 단계; 상기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동에 비례하여 상기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는 제 1-3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운송수단에 적재되는 제 2-1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1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센서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2-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인 방법은, GPS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제 1 단계; 복수의 센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제 2 단계; 통신부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제어부가 상기 GPS, 복수의 센서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기에 획득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는 제 1-1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운송수단에 적재되는 제 2-1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1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센서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2-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인 방법은, GPS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제 1 단계; 복수의 센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제 2 단계; 통신부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제어부가 상기 GPS, 복수의 센서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1 주기를 미리 정해진 제 2 주기로 늘리는 제 1-1 단계; 상기 제 2 주기가 적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2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로 다시 줄이는 제 1-3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운송수단에 적재되는 제 2-1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1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센서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2-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 중 소리센서만이 동작하여 객체의 제 1 정보를 센싱하고, 발생된 소리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센서가 객체와 관련된 추가적인 제 2 정보를 센싱하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기초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복수의 센서 모두가 객체와 관련된 제 3 정보를 센싱하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면, 이동에 비례하여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기에 획득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1 주기를 미리 정해진 제 2 주기로 늘리고, 제 2 주기가 적용되는 상태에서 이동이 감지되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2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로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GPS의 전원을 오프(OFF)하고, 통신부가 통신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며, 정밀한 위치 정보가 필요한 경우, GPS를 다시 온(ON)하여 활용하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식별 통신부를 부착하고, 통신부와 식별 통신부 간의 페어링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컨터이너 간의 매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된 팔레트의 가속도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가속도값이 검출된 시점에서 팔레트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판단하고, 센싱된 충격량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팔레트가 낙하된 것으로 판단한 후, 해당 팔레트와 관련된 지게차의 위치정보, 충격이 가해진 시간정보 및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지게차의 영상정보가 서버로 전송됨으로써, 비행기 적재 또는 하역시 발생하는 제품 손상의 책임소재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운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운송 장치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복수의 객체를 제 1 그룹으로 지정하고, 서버가 제 1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운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복수인 제 1 단말이, 운송 장치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제 1 객체에 대해 관심 객체로 지정하고, 서버가 제 1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제 1 단말에 함께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안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ICT 트래킹 기기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제 서버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립모드 운용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립모드 운용방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립모드 운용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립모드 운용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립모드 운용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객체와 컨테이너 간의 매칭을 확인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특정 이벤트에 대응한 정보 전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행기 적재 또는 하역시 발생하는 제품 손상의 책임소재를 판단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그룹핑 서비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종래기술 및 종래기술의 문제점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10-0812769에 따른 "RF를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실시간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기술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화물의 정보를 생성, 추적 및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화물에 부착된 센서와 태그를 이용하여 보안감시 및 관리정보를 중계장치에서 생성된 위치정보와 함께 전송하고, 무선통신으로 화물이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그 위치를 추적하여, 화물의 안정적 수송과 컨테이너 내부 환경의 실시간 감시, 보안 및 방범의 기능을 수행하는 RF를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실시간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도 1에 따른 시스템은 보안 및 방범관련 각종 센서를 연결하고 고유정보와 관리 프로세서를 내장한 무선단말장치,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수신기능과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기능 및 상용통신망을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모듈(CDMA, GSM, 위성통신용 등)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중계장치(차량, 화물용 기차, 화물용 선박 등의 중계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운영하는 USN 기술이다.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은 각종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시스템이며, 물류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에 태그(Tag)를 부착하여 각종 물류정보의 흐름을 파악하는 기술보다 상위의 기술이다.
도 1의 시스템에서 이용하고 있는 RFID는 고유정보를 내장한 태그, 리더(Reader),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되어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물리적 접촉 없이 자기적 또는 전기적 필드를 이용하여 식별함으로써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당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실시간 관리 시스템은 항만에 야적되거나 차량, 선박 등에 의해 수송되는 컨테이너에 부착되어 해당 컨테이너의 관리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컨테이너용 태그(Tag)(무선단말장치)(10);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차량이나 선박 등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용 태그(무선단말장치)로부터 수신 받은 컨테이너 관리 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으로 로컬서버 또는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중계장치(Reader)(20);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수신 받아 수집된 각 컨테이너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와 동작상태 및 이벤트 발생 결과 등을 출력하는 관리서버(30)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컨테이너(팔레트)에 포함된 추적 장치를 배터리로 운용해야 하는데, GPS를 통한 위치 파악, 센서를 통한 상태 파악 및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의 전력 소모가 심해 장기간 팔레트를 운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에 의해 일부 추적 장치가 오동작하고,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이 존재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미리 계획된 탑재가 맞는지 제품과 팔레트 간의 적합한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특정 이벤트 발생시 정보의 전달, 정보의 손실 방지 및 사용자와 관리자 측으로 해당 사실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팔레트가 배송되는 과정에서, 제품에 대한 보안이 유지되었는지 여부와 배송 히스토리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센싱된 모든 정보를 통신하고 있는데, 불필요한 정보 전송을 줄이고, 필요한 정보를 통신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였다.
또한, 제품 배송 과정 중 비행기 등에 적재되거나 하역하는 경우에 가장 많은 손상이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신속한 파악과 책임소재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비행기까지 도착하는 안내 및 비행기에서 하역된 이후, 사용자까지 배송되는 안내 과정에서의 실시간 정보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제품과 사용자 간의 1:1로 정보 매칭을 하는 것 이외에 그룹 단위의 사용자 또는 객체에 대한 정보 매칭을 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 중 소리센서만이 동작하여 객체의 제 1 정보를 센싱하고, 발생된 소리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센서가 객체와 관련된 추가적인 제 2 정보를 센싱하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기초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복수의 센서 모두가 객체와 관련된 제 3 정보를 센싱하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면, 이동에 비례하여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기에 획득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1 주기를 미리 정해진 제 2 주기로 늘리고, 제 2 주기가 적용되는 상태에서 이동이 감지되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2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로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GPS의 전원을 오프(OFF)하고, 통신부가 통신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며, 정밀한 위치 정보가 필요한 경우, GPS를 다시 온(ON)하여 활용하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식별 통신부를 부착하고, 통신부와 식별 통신부 간의 페어링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컨터이너 간의 매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된 팔레트의 가속도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가속도값이 검출된 시점에서 팔레트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판단하고, 센싱된 충격량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팔레트가 낙하된 것으로 판단한 후, 해당 팔레트와 관련된 지게차의 위치정보, 충격이 가해진 시간정보 및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지게차의 영상정보가 서버로 전송됨으로써, 비행기 적재 또는 하역시 발생하는 제품 손상의 책임소재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운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운송 장치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복수의 객체를 제 1 그룹으로 지정하고, 서버가 제 1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운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복수인 제 1 단말이, 운송 장치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제 1 객체에 대해 관심 객체로 지정하고, 서버가 제 1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제 1 단말에 함께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관제 서버(200), ICT 트래킹 기기(300) 및 팔레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00)은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제 서버(200)는, ICT 트래킹 기기(300)로부터 GPS가 주기적으로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센서가 센싱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관제 서버(200)는 웹(Web)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팔레트(Pallet, 40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하여 하역, 보관 및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받침대로서, 컨테이너(container)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된다.
또한, ICT 트래킹 기기(300)는, 상기 팔레트(Pallet, 400)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ICT 트래킹 기기(300)는, 대표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GPS,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GPS, 복수의 센서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CT 트래킹 기기(300), 관제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100)은 서로 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용될 수 있는 상기 무선 통신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특징을 서술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시스템(1)에 적용되는 ICT 트래킹 기기(300), 관제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CT 트래킹 기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ICT 트래킹 기기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ICT 트래킹 기기(300)은 무선 통신부(310), GPS(320), 출력부(330), 배터리(340), 제어부(350), 메모리(360), 센서부(3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와 통신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원거리 통신 기술로,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320)는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이다.
또한, 출력부(3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331), 음향 출력 모듈(332), 알람부(33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1)는 ICT 트래킹 기기(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3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32)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32)은 ICT 트래킹 기기(3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33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33)는 ICT 트래킹 기기(3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ICT 트래킹 기기(3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33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31)나 음성 출력 모듈(33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331,332)은 알람부(33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34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충전된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메모리(3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370)는, 소리 센서(371), 자이로 센서(372), 온도 센서(373), 습도 센서(374), 충격 센서(375), 배터리 잔량 감지 센서(376), GPS 수신 감도 센서(377), 통신 감도 센서(378) 및 제어부(CPU) 클럭 센서(37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리 센서(371)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자이로 센서(gyro sensor, gyroscope, 372)는, 기본적으로 회전하는 물체의 역학운동을 이용한 개념으로 위치 측정과 방향 설정 등에 활용되는 기술이다.
또한,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373)는, 온도의 변화에 응답하는 센서로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온도관리를 자동화하는데 이용된다.
온도센서(373)란 열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내는 센서로 일반적으로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나누어지는데, 접촉식은 실제 측정대상에 직접 접촉시켜서 온도값을 측정하는 방식이며 비접촉식은 물체로부터 방사되는 열선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습도 센서(humidity sensor, 374)는, 대기 중의 수증기로 인하여 유기 고분자나 세라믹의 저항 값 유전율 등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습도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센서이다.
또한, 충격 센서(375)는, 주변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배터리 잔량 감지 센서(376)는, 충전된 배터리(340)의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GPS 수신 감도 센서(377)는, GPS와 위성 간의 통신에 있어 수신 감도를 센싱하는 센서이다.
또한, 통신 감도 센서(378)는 무선 통신부(310) 동작에 있어, 통신 퀄리티, 감도 등을 센싱하는 센서이다.
또한, 제어부(CPU) 클럭 센서(379)는, 특정 태스크(task)에 대해 제어부(CPU)가 이용하는 클럭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50)는, 통상적으로 ICT 트래킹 기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제어부(35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제어부(350)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관제 서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제 서버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전원 공급부(230), 제어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와 통신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원거리 통신 기술로,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3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 모듈(252), 알람부(253), 햅틱부(254), 프로젝터부(2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서버(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서버(2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253)는 서버(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서버(2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51)나 음성 출력 모듈(2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2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2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2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2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255)은, 서버(2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24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제어부(24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제어부(240)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의 개폐 상태, 단말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의 방위, 단말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이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단말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단말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단말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방법
이하에서는, 전술한 ICT 트래킹 기기(300), 관제 서버(200), 사용자 단말(100) 등의 구체적인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실시간 가시성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ICT 트래킹 기기(30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하고 있는 팔레트(40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ICT 트래킹 기기(300)의 GPS(32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S1)가 진행된다.
또한, ICT 트래킹 기기(300)의 복수의 센서(3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2).
이후, GPS(320)가 획득한 위치 정보를 통신부(310)로 전달하고(S3), 복수의 센서(370)가 획득한 상태 정보를 통신부(310)로 전달하는 과정(S4)이 수행된다,
통신부(31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수집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제 서버(200)로 전달하고(S5), 관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을 두고 있는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S6).
팔레트(400)에 포함된 ICT 트래킹 기기(300)는 충전된 배터리(340)로 운용해야 하는데, 전술한 과정 중 S1 단계 내지 S4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GPS를 통한 위치 파악, 센서를 통한 상태 파악 및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의 전력 소모가 심해 장기간 ICT 트래킹 기기(300)를 운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정 조건 하에서, GPS(320), 센서(370) 및 통신부(310)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 진입시키고, 또 다른 조건 하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는 방법을 적용한다(S7).
S7 단계에 적용되는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는 항을 바꾸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다음으로, ICT 트래킹 기기(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한 팔레트(400)가 비행기에 적재되는 과정이 진행된다(S8).
비행기 등의 운송수단에 팔레트(400)가 적재되어 이동되는 경우, GPS(320)의 위치정보 파악 동작과 통신부(310)의 통신 동작은 불필요한 단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GPS(320)를 오프(OFF) 시키고(S9), 통신부(310)도 오프(OFF) 시키게 된다(S11).
이 중 복수의 센서(370)의 동작만을 온(ON)하여 팔레트(400)에 적재된 객체들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센서(370)가 반복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팔레트(400)의 배송이 장기간 이루어지거나 지연되는 경우, 전력 소모가 심해 장기간 ICT 트래킹 기기(300)를 운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또 다시 발생한다.
따라서 비행기에 팔레트(400)가 탑재된 상태에서는, GPS(320) 및 통신부(310)가 오프(OFF)되어 있는 바 복수의 센서(370)의 동작에 대해서만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가 적용될 수 있다(S12).
S12 단계의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도 S7 단계의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와 마찬가지로 항을 바꾸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이후, 비행기 등의 운송수단으로부터 ICT 트래킹 기기(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한 팔레트(400)가 하역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13).
이 경우, 지상으로 내려온 GPS(320)는 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S14),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GPS(320)는 다시 온(ON)된다(S15).
또한, GPS(320)의 온(ON)에 대응하여, 제어부(350)는 통신부(310)도 온(ON) 시킨다(S16).
이때, 비행기에 탑재되어 있는 동안 복수의 센서(370)가 센싱한 객체 관련 상태 정보를 통신부(310)로 전달하고(S17), 통신부(31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수집된 상태 정보를 관제 서버(200)로 전달하고(S18), 관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을 두고 있는 객체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S19).
이후, ICT 트래킹 기기(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한 팔레트(400)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과정까지 S1 단계 내지 S6 단계에 각각 대응되는 S20 단계 내지 S25 단계가 다시 수핸된다.
즉, ICT 트래킹 기기(300)의 GPS(32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S20), ICT 트래킹 기기(300)의 복수의 센서(3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21)가 잰행된다.
이후, GPS(320)가 획득한 위치 정보를 통신부(310)로 전달하고(S22), 복수의 센서(370)가 획득한 상태 정보를 통신부(310)로 전달하는 과정(S23)이 수행된다,
통신부(31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수집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관제 서버(200)로 전달하고(S24), 관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을 두고 있는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S25).
또한, 비행기 등의 운송수단에 적재되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하역하여 사용자에게 배송되는 과정에서도, 팔레트(400)에 포함된 ICT 트래킹 기기(300)는 충전된 배터리(340)로 운용해야 하는데, 전술한 과정 중 S20 단계 내지 S25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GPS를 통한 위치 파악, 센서를 통한 상태 파악 및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의 전력 소모가 심해 장기간 ICT 트래킹 기기(300)를 운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정 조건 하에서, GPS(320), 센서(370) 및 통신부(310)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 진입시키고, 또 다른 조건 하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는 방법을 적용한다(S26).
S7 단계, S12 단계와 마찬가지로, S26 단계에 적용되는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는 항을 바꾸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기초로 설명한 본 발명의 프로세스 상에서, S7 단계, S12 단계 및 S26 단계에 적용될 수 있는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슬립 모드 운용방법 (1)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립모드 운용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 운용 방법은, S7 단계와 S26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GPS(32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S31) 단계가 진행되고, S31 단계는 도 7의 S1 단계 또는 S20 단계에 대응된다.
또한, 복수의 센서(37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S32)가 진행되고, S32 단계는 도 7의 S2 단계 또는 S21 단계에 대응된다.
또한, 통신부(310)가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가 진행되고(S33), S33 단계는 도 7의 S5 단계 또는 S24 단계에 대응된다.
이후,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단계(S34)가 진행된다.
이 경우, 제어부(35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GPS(320)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는 단계(S35)가 진행된다.
따라서 GPS(320)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남에 따라 배터리(34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S36), 제어부(350)는 이동에 비례하여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게 된다(S37).
도 8에서는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를 GPS(320)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복수의 센서부(370) 및 통신부(310)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370)의 센싱 주기 및 상기 통신부(370)의 통신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350)는 상기 이동에 비례하여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를 줄일 수 있다.
슬립 모드 운용방법 (2)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립모드 운용방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 운용 방법은, S7 단계와 S26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가장 먼저, GPS(32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S31) 단계가 진행되고, S31 단계는 도 7의 S1 단계 또는 S20 단계에 대응된다.
또한, 복수의 센서(37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S32)가 진행되고, S32 단계는 도 7의 S2 단계 또는 S21 단계에 대응된다.
또한, 통신부(310)가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가 진행되고(S33), S33 단계는 도 7의 S5 단계 또는 S24 단계에 대응된다.
이후,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의 방법으로서, 주기에 획득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단계(S41)가 진행된다.
이 경우, 제어부(350)은 GPS(320)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게 된다(S42).
따라서 GPS(320)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남에 따라 배터리(34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후,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S43), 제어부(350)는 다시 GPS(320)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게 된다(S44).
도 9에서는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를 GPS(320)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복수의 센서부(370) 및 통신부(310)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상기 주기에 획득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복수의 센서(370)의 센싱 주기 및 통신부(310)의 통신 주기를 늘릴 수 있다.
슬립 모드 운용방법 (3)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립모드 운용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 운용 방법은, S7 단계와 S26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GPS(32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S31) 단계가 진행되고, S31 단계는 도 7의 S1 단계 또는 S20 단계에 대응된다.
또한, 복수의 센서(37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S32)가 진행되고, S32 단계는 도 7의 S2 단계 또는 S21 단계에 대응된다.
또한, 통신부(310)가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가 진행되고(S33), S33 단계는 도 7의 S5 단계 또는 S24 단계에 대응된다.
이후,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단계(S51)가 진행된다.
이 경우, 제어부(350)가 GPS(320)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1 주기를 미리 정해진 제 2 주기로 늘리게 된다(S52).
따라서 GPS(320)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제 2 주기로 늘어남에 따라 배터리(34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2 주기가 적용되는 상태에서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S53), 제어부(350)는 GPS(320)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2 주기를 제 1 주기로 다시 줄이게 된다(S54).
도 10에서는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를 GPS(320)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복수의 센서부(370) 및 통신부(310)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센서(370)의 센싱 주기 및 통신부(310)의 통신 주기를 제 2 주기로 늘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주기가 적용되는 상태에서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 센싱과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제 2 주기를 제 1 주기로 줄일 수 있다.
슬립 모드 운용방법 (4)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립모드 운용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 운용 방법은, S12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GPS(32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S31) 단계가 진행되고, S31 단계는 도 7의 S1 단계에 대응된다.
이후, ICT 트래킹 기기(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한 팔레트(400)가 비행기에 적재되는 과정이 진행되고(S8), 비행기 등의 운송수단에 팔레트(400)가 적재되어 이동되는 경우, GPS(320)의 위치정보 파악 동작과 통신부(310)의 통신 동작은 불필요한 단계가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GPS(320)를 오프(OFF) 시키고(S9), 통신부(310)도 오프(OFF) 시키게 된다(S11).
이 중 복수의 센서(370)의 동작만을 온(ON)하여 팔레트(400)에 적재된 객체들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센서(370)가 반복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팔레트(400)의 배송이 장기간 이루어지거나 지연되는 경우, 전력 소모가 심해 장기간 ICT 트래킹 기기(300)를 운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또 다시 발생한다.
따라서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 운용 방법이 S12 단계로서 적용되고, 도 11은 해당 S12 단계의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 운용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먼저, 복수의 센서(370) 중 소리센서(371)만이 동작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제 1 정보를 센싱하게 된다(S61).
따라서 복수의 센서(370) 중 소리센서(371)만을 운용함으로써, 배터리(34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350)는 제 1 정보를 기초로, 발생된 소리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62).
만약,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의 소리인 경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추가적인 제 2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63).
여기서, 제 2 센서는, 온도 센서(373), 습도 센서(374) 및 충격 센서(37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정보는, 온도 센서(373)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온도 정보, 습도 센서(374)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습도 정보 및 충격 센서(375)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충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하고(S64),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복수의 센서(370) 모두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제 3 정보를 센싱하도록 제어한다(S65).
이후, 비행기 등의 운송수단으로부터 ICT 트래킹 기기(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한 팔레트(400)가 하역되면(S13), 비행기에 탑재되어 있는 동안 복수의 센서(370)가 센싱한 제 1 정보,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통신부(310)로 전달하고(S17), 통신부(31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수집된 상태 정보를 관제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S66, S18).
슬립 모드 운용방법 (5)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립모드 운용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 운용 방법은, S7 단계, S12 단계 및 S26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가장 먼저, GPS(32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S31) 단계가 진행되고, S31 단계는 도 7의 S1 단계 또는 S20 단계에 대응된다.
또한, 복수의 센서(37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S32)가 진행되고, S32 단계는 도 7의 S2 단계 또는 S21 단계에 대응된다.
또한, 통신부(310)가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가 진행되고(S33), S33 단계는 도 7의 S5 단계 또는 S24 단계에 대응된다.
이후,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의 방법으로서, GPS(320), 복수의 센서(370) 및 통신부(310) 중 적어도 일부가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71).
이때, GPS(320), 복수의 센서(370) 및 통신부(310) 중 적어도 일부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였다가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S72).
한편, 액티브 모드에서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제어부(350)는 GPS(320) 및 복수의 센서(370)가 수집한 정보를 통신부(310)가 외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S73), GPS(320), 복수의 센서(370) 및 통신부(310)를 오프(OFF) 모드로 진입시킨다(S83).
따라서 슬립/액티브 모드(sleep/active mode)를 통해 배터리(34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 시키고, 배터리(340)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는 수집된 정보를 우선적으로 전송하여 손실을 막고, GPS(320), 복수의 센서(370) 및 통신부(310)를 오프(OFF)시킴으로써, 배터리(340)의 추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통신한 셀룰러 타워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ICT 트래킹 기기(300)의 배터리(340)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파악함에 있어, GPS(320)를 이용하지 않고, 가입자 식별 모듈(SIM)이 통신한 셀룰러 타워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GPS(32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S31) 단계가 진행된다.
또한, 복수의 센서(370)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S32)가 진행된다.
또한, 통신부(310)가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33).
이후,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정밀한 위치 정보가 필요하지 않고, 대략적인 위치 정보만일 필요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파악함에 있어, GPS(320)를 이용하지 않고, 가입자 식별 모듈(SIM)이 통신한 셀룰러 타워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위치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ICT 트래킹 기기(300)의 배터리(34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미리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제어부(350)가 GPS(320)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단계(S81)가 진행된다.
이후, 제어부(350)는 통신부(310)가 통신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입자 식별 모듈(SIM)이 통신한 셀룰러 타워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ICT 트래킹 기기(3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때, GPS(320)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SIM의 통신 내용(식별자)을 가지고 위치를 판별하는 것이 전력을 덜 소모하게 된다.
또한, 통신부(310)가 통신한 기지국이 3개 이상 되는 경우, 3개 이상의 셀룰러 타워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삼각법에 따라 좀 더 정확하게 ICT 트래킹 기기(3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탑재된 복수의 객체들 간의 상대적 흔들림을 비교하여, 임계치를 넘어가는 객체에 대해서는 즉각적으로 서버(200)로 위험 상황 임을 전달하는 방법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후, 정밀한 위치 정보가 필요한 경우, 제어부(350)가 GPS(320)의 전원을 온(ON)하여, GPS(320)를 통한 위치 정보 획득이 수행된다(S83).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1)
본 발명에 따른 ICT 트래킹 기기(300)의 센서부(370)는 제어부(CPU) 클럭 센서(379)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CPU) 클럭 센서(379)가 센싱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350)의 클록 회로를 조절함으로써, 배터리(340)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CPU) 클럭 센서(379)가 센싱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한 결과, 적은 로드(load)가 요구되는 TASK에는 클록회로를 조절하여, 배터리(340)가 저전력을 소모하도록 하고, 많은 계산이 요구되는 heavy한 TASK에는 높은 전력을 CPU가 소모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340)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2)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통신부(310)가 서버(200)로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수집된 모든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수집된 센싱 데이터의 load를 줄이기 위해, 텍스트화 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센서부(370)를 통해 획득된 복수의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컨텐츠로 구성된 복수의 정보 중 텍스트화 된 정보만을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로드(load)를 줄이고, 배터리(34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후, 중요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획득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컨텐츠로 구성된 복수의 정보 모두가 서버(200)로 전달될 수 있다.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3)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340)의 전력 레벨을 높고 낮음의 2단계로만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로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단계로 구분된 경우, 제 1 단계의 높은 레벨에서는 제 1 슬립 모드를 운용할 수 있고, 제 2 단계의 중간 레벨에서는 제 1 슬립 모드보다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구성요소가 더 많은 제 2 슬립 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3 단계의 하위 레벨에서는 제 2 슬립모드보다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구성요소가 더 많은 제 3 슬립 모드를 운용하거나 구성요소들을 오프(OFF) 시키는 방법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팔레트 간의 근거리 통신을 적용하는 방법
종래기술에서는 특정 이벤트에 의해 일부 추적 장치(300)가 오동작하고,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이 존재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팔레트 간의 근거리 통신을 적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팔레트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ICT 트래킹 기기(300) 간의 근거리 통신을 추가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일부 ICT 트래킹 기기(300) 의 고장으로 수집된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막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ICT 트래킹 기기(300) 각각에 포함된 통신부(310)는 수집된 정보를 서버(20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통신부(310)의 기능에서 더 나아가 복수의 통신부(310) 간 이종의 근거리 통신을 추가 수행하는 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즉, 일부 ICT 트래킹 기기(300) 의 고장으로 인해, 해당 ICT 트래킹 기기(300)가 수집한 정보가 손실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ICT 트래킹 기기(300)로부터 주변 ICT 트래킹 기기(300)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전달 받아 서버(200)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ICT 트래킹 기기(300) 중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마더 기기를 지정하고, 특정 조건 하에서 정보 수집 및 통신을 마더 기기가 담당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마더 기기로 지정된 ICT 트래킹 기기(300)의 구성은 내구성, 안정성 등이 다른 ICT 트래킹 기기(300)보다 강하도록 최초부터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품과 팔레트 간의 매칭 확인 및 보안유지 방법
종래에는 팔레트(400)가 배송되는 과정에서, 제품에 대한 보안이 유지되었는지 여부와 배송 히스토리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센서(370)가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시간, 장소, 승인된 사람에 의해, 배송 중 팔레트(400)가 오픈(open)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미리 계획된 탑재가 맞는지 제품과 팔레트 간의 적합한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객체와 컨테이너(팔레트, 400) 간의 매칭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객체와 컨테이너(팔레트, 400) 간의 매칭을 확인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장 먼저, 팔레트(400) 내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식별 통신부를 부착하는 단계(S91)가 진행된다.
식별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스티커 형태로 얇게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표면에 붙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ICT 트래킹 기기(300)의 통신부(310)와 식별 통신부 간의 페어링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컨테이너(팔레트, 400) 간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92).
즉, 식별 통신부에 부여된 식별자(identifier)와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컨테이너(팔레트, 400) 간의 매칭이 잘못된 경우, 통신부(310)는 해당 사실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등으로 전송하게 된다(S93).
따라서 객체와 팔레트(400) 간의 매칭 여부를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잘못된 패키징 및 배송의 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에 대응한 정보 전달 방법
종래기술은 특정 이벤트 발생시 정보의 전달, 정보의 손실 방지 및 사용자와 관리자 측으로 해당 사실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5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특정 이벤트에 대응한 정보 전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팔레트(400) 또는 ICT 트래킹 기기(300)의 오류, 온도나 습도, 압력 등의 이상발생, 배터리의 방전 우려 등의 이벤트 발생 시에는 통신부(310)가 해당 결과를 즉시 서버(200) 또는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01).
이때, 통신부(310)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전송되지 않은 내용을 메모리(360)에 누적하여 저장하였다가, 통신 재개 시, 즉시 서버(200) 또는 단말(100)로 우선 전송할 수 있다(S102).
또한, 우선적으로 보고되는 이상상태 정보는 수신 즉시,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S103).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정보 프레임을 구분하여 통신하는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에 적용되는 정보 프레임을 위치 등록 프레임, 일반 데이터 프레임, 위험 상황을 알리는 프레임으로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즉, 정보가 위치 등록 프레임, 일반 데이터 프레임 또는 위험 상황 프레임 중 어떠한 프레임에 실려있는지를 기초로 빠르게 이벤트를 파악하여 대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불필요한 정보 전송을 줄이고,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제품의 적재 또는 하역시 발생하는 제품 손상의 책임소재 판단 방법
제품 배송 과정 중 비행기 등에 적재되거나 하역하는 경우에 가장 많은 손상이 발생하는데, 종래에는 이에 대한 신속한 파악과 책임소재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고,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행기 적재 또는 하역시 발생하는 제품 손상의 책임소재를 판단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ICT 트래킹 기기(300)의 자이로 센서(372)가 센싱한 팔레트(400)의 가속도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는 단계(S111)가 진행된다.
이 경우, 제어부(350)는, 가속도값이 검출된 시점에서 팔레트(40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충격 센서(375)를 통해 판단하게 된다(S112).
만약, 센싱된 충격량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350)는 팔레트(400)가 낙하된 것으로 판단하고(S113), 해당 팔레트(400)와 관련된 지게차의 위치정보, 충격이 가해진 시간정보 및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지게차의 영상정보가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요청한다(S114).
따라서 서버(200)에서는 자이로 센서(372)가 센싱한 팔레트(400)의 가속도값, 팔레트(400)에 가해지는 충격량값, 해당 팔레트(400)와 관련된 지게차의 위치정보, 충격이 가해진 시간정보 및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지게차의 영상정보 등을 기초로, 비행기 적재 또는 하역시 발생하는 제품 손상의 책임소재를 손쉽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S115).
실시간 도착 안내 및 그룹핑 안내 서비스
종래기술은 비행기까지 도착하는 안내 및 비행기에서 하역된 이후, 사용자까지 배송되는 안내 과정에서의 실시간 정보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행기에 적재되기 위해 이동하거나 비행기로부터 하역되어 고객으로 전달 시, 현재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도착 시간 등의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제품과 사용자 간의 1:1로 정보 매칭을 하는 것 이외에 그룹 단위의 사용자 또는 객체에 대한 정보 매칭을 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고,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그룹핑 서비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의 방법은 도 7의 S6 단계, S19 단계 또는 S25 단계에 대응되는 것이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서버(200)가 팔레트(400) 내의 ICT 트래킹 기기(300) 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21)가 진행된다.
이때, 팔레트(400) 내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복수의 객체를 사용자가 단말(100)을 통해 제 1 그룹으로 지정할 수 있고(S122), 이 경우, 서버(200)가 제 1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123).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서버(200)가 팔레트(400) 내의 ICT 트래킹 기기(300) 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21)가 진행된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복수인 제 1 단말이, 팔레트(400) 내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제 1 객체에 대해 관심 객체로 지정할 수 있고(S131), 이 경우, 서버(200)는 제 1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제 1 단말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S132).
본 발명에 따른 효과
본 발명은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 중 소리센서만이 동작하여 객체의 제 1 정보를 센싱하고, 발생된 소리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센서가 객체와 관련된 추가적인 제 2 정보를 센싱하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기초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복수의 센서 모두가 객체와 관련된 제 3 정보를 센싱하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면, 이동에 비례하여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기에 획득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1 주기를 미리 정해진 제 2 주기로 늘리고, 제 2 주기가 적용되는 상태에서 이동이 감지되면,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2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로 줄이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GPS의 전원을 오프(OFF)하고, 통신부가 통신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며, 정밀한 위치 정보가 필요한 경우, GPS를 다시 온(ON)하여 활용하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식별 통신부를 부착하고, 통신부와 식별 통신부 간의 페어링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컨터이너 간의 매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된 팔레트의 가속도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가속도값이 검출된 시점에서 팔레트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판단하고, 센싱된 충격량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팔레트가 낙하된 것으로 판단한 후, 해당 팔레트와 관련된 지게차의 위치정보, 충격이 가해진 시간정보 및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지게차의 영상정보가 서버로 전송됨으로써, 비행기 적재 또는 하역시 발생하는 제품 손상의 책임소재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운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운송 장치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복수의 객체를 제 1 그룹으로 지정하고, 서버가 제 1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운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복수인 제 1 단말이, 운송 장치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제 1 객체에 대해 관심 객체로 지정하고, 서버가 제 1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제 1 단말에 함께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안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

  1. ICT 트래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ICT 트래킹 시스템은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하고,
    상기 ICT 트래킹 시스템은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GPS;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GPS, 복수의 센서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상기 위치 정보 획득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에 비례하여 상기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줄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운송수단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1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센서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상태 정보에 포함된 값이 미리 지정된 수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센서가 추가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의 센싱 주기 및 상기 통신부의 통신 주기를 늘리고,
    상기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에 비례하여 상기 센싱 주기 및 통신 주기를 줄이며,

    미리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의 전원을 오프(OFF)하고,
    상기 통신부가 통신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통신부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 identity mod, SIM)을 이용하고,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통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3개 이상의 기지국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도출된 3개 이상의 포인트를 기초로, 삼각측량법(triangulation method)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텍스트화 시켜 로드(load)를 줄인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부착된 식별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 간의 페어링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상기 컨테이너 간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운송수단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및 상기 통신부의 전원을 오프(OFF) 하고,
    상기 운송수단에 적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역되고, 상기 GPS가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및 상기 통신부의 전원을 온(ON) 하며,

    상기 제 1 센서는 소리 센서이고,
    상기 제 1 상태 정보는,
    상기 소리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정보이며,

    상기 제 1 정보에 포함된 소리의 출력값이 상기 미리 지정된 수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센서가 추가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 2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충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온도 정보,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습도 정보 및 상기 충격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충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미리 지정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텍스트 정보가 아닌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상기 외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가속도 값을 획득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이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장치의 가속도 값이 미리 지정된 가속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에 가해시는 충격량을 상기 충격 센서가 센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충격 센서를 통해 센싱된 충격량이 미리 지정된 충격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충격이 가해진 시간 정보 및 상기 시간에 상기 장치와 관련하여 촬영된 영상 정보를 추가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하여 하역, 보관 및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받침대인 팔레트(Pallet)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GPS가 주기적으로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센서가 센싱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팔레트(Pallet)가 미리 지정된 시간 및 장소에 오픈(open)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웹(Web)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복수의 제 1 객체를 제 1 그룹으로 지정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된 제 1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2. ICT 트래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ICT 트래킹 시스템은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하고,
    상기 ICT 트래킹 시스템은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GPS;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GPS, 복수의 센서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에 획득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주기를 늘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운송수단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1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센서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상태 정보에 포함된 값이 미리 지정된 수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센서가 추가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에 획득된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의 센싱 주기 및 상기 통신부의 통신 주기를 늘리며,

    미리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의 전원을 오프(OFF)하고,
    상기 통신부가 통신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통신부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 identity mod, SIM)을 이용하고,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통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3개 이상의 기지국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도출된 3개 이상의 포인트를 기초로, 삼각측량법(triangulation method)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텍스트화 시켜 로드(load)를 줄인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부착된 식별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 간의 페어링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상기 컨테이너 간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운송수단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및 상기 통신부의 전원을 오프(OFF) 하고,
    상기 운송수단에 적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역되고, 상기 GPS가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및 상기 통신부의 전원을 온(ON) 하며,

    상기 제 1 센서는 소리 센서이고,
    상기 제 1 상태 정보는,
    상기 소리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정보이며,

    상기 제 1 정보에 포함된 소리의 출력값이 상기 미리 지정된 수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센서가 추가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 2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충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온도 정보,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습도 정보 및 상기 충격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충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미리 지정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텍스트 정보가 아닌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상기 외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가속도 값을 획득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이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장치의 가속도 값이 미리 지정된 가속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에 가해시는 충격량을 상기 충격 센서가 센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충격 센서를 통해 센싱된 충격량이 미리 지정된 충격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충격이 가해진 시간 정보 및 상기 시간에 상기 장치와 관련하여 촬영된 영상 정보를 추가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하여 하역, 보관 및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받침대인 팔레트(Pallet)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GPS가 주기적으로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센서가 센싱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팔레트(Pallet)가 미리 지정된 시간 및 장소에 오픈(open)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웹(Web)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복수의 제 1 객체를 제 1 그룹으로 지정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된 제 1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ICT 트래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ICT 트래킹 시스템은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하고,
    상기 ICT 트래킹 시스템은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제 1 주기로 획득하는 GPS;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GPS, 복수의 센서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1 주기를 미리 정해진 제 2 주기로 늘리고,
    상기 제 2 주기가 적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GPS의 위치 정보 획득과 관련된 제 2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로 줄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운송수단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1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센서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상태 정보에 포함된 값이 미리 지정된 수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센서가 추가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의 센싱 주기 및 상기 통신부의 통신 주기를 상기 제 2 주기로 늘리고,
    상기 제 2 주기가 적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 및 상기 통신부와 관련된 상기 제 2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로 다시 줄이며,

    미리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의 전원을 오프(OFF)하고,
    상기 통신부가 통신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통신부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 identity mod, SIM)을 이용하고,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통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3개 이상의 기지국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도출된 3개 이상의 포인트를 기초로, 삼각측량법(triangulation method)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텍스트화 시켜 로드(load)를 줄인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부착된 식별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 간의 페어링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상기 컨테이너 간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운송수단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및 상기 통신부의 전원을 오프(OFF) 하고,
    상기 운송수단에 적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역되고, 상기 GPS가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및 상기 통신부의 전원을 온(ON) 하며,

    상기 제 1 센서는 소리 센서이고,
    상기 제 1 상태 정보는,
    상기 소리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정보이며,

    상기 제 1 정보에 포함된 소리의 출력값이 상기 미리 지정된 수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지정된 제 2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센서가 추가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 2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충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온도 정보,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습도 정보 및 상기 충격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관련 충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미리 지정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텍스트 정보가 아닌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상기 외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가속도 값을 획득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이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상기 장치의 가속도 값이 미리 지정된 가속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에 가해시는 충격량을 상기 충격 센서가 센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충격 센서를 통해 센싱된 충격량이 미리 지정된 충격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충격이 가해진 시간 정보 및 상기 시간에 상기 장치와 관련하여 촬영된 영상 정보를 추가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용하여 하역, 보관 및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받침대인 팔레트(Pallet)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GPS가 주기적으로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센서가 센싱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팔레트(Pallet)가 미리 지정된 시간 및 장소에 오픈(open)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웹(Web)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복수의 제 1 객체를 제 1 그룹으로 지정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된 제 1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KR1020200018473A 2020-02-14 2020-02-14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KR10210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473A KR102107426B1 (ko) 2020-02-14 2020-02-14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473A KR102107426B1 (ko) 2020-02-14 2020-02-14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401 Division 2019-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426B1 true KR102107426B1 (ko) 2020-05-26

Family

ID=7091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473A KR102107426B1 (ko) 2020-02-14 2020-02-14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1249A1 (en) * 2020-09-30 2022-03-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delivery tracking, route planning, and rat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073A (ko) 2006-03-07 200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전력 절약 방법
KR20090023008A (ko) 2007-08-27 2009-03-04 (주)프리비아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및스마트 컨테이너 장치
KR101531702B1 (ko) * 2012-03-21 2015-06-26 (주)아이티헬스 물류운영시스템의 배송이력정보 관리장치
KR101887944B1 (ko) * 2016-03-30 2018-08-13 이용우 이동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분실 방지 장치
KR20190036756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아모센스 운송 데이터 로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운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073A (ko) 2006-03-07 200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전력 절약 방법
KR20090023008A (ko) 2007-08-27 2009-03-04 (주)프리비아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및스마트 컨테이너 장치
KR101531702B1 (ko) * 2012-03-21 2015-06-26 (주)아이티헬스 물류운영시스템의 배송이력정보 관리장치
KR101887944B1 (ko) * 2016-03-30 2018-08-13 이용우 이동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분실 방지 장치
KR20190036756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아모센스 운송 데이터 로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운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1249A1 (en) * 2020-09-30 2022-03-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delivery tracking, route planning, and ra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5303B2 (en) Electronic device, accessor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US10121028B2 (en) Asset ta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1017604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7916025B2 (en) Intelligent luggage tag
JP2020023358A (ja) コンテナ内に配置されるスキャンセンサノードを使用して物流コンテナ内の空間を自動的に定量化するための装置、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及び方法
US201100375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goods in mobile terminal
US10645556B2 (en) Wireless data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US201603072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arget article information
US200700018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to an electronic device
US86542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in service zone
US20140266612A1 (en) Passive near field id for correlating asset with mobile tracker
US7602290B2 (en) Method of providing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to mobile st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US11170342B1 (en) Item identification and guidance system and method
KR1018086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107426B1 (ko)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US20130219157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26198B1 (ko) 신호 강도 대역에 기반한 장치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70244822A1 (en) Accessor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678772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소화물 운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물 운송서비스의 제공방법
CN214955304U (zh) 提醒装置及提醒装置管理系统
KR20220041999A (ko) 필수의료품 운송 관련, 실시간 가시성의 확보가 가능한 ict 트래킹 시스템
KR201300439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66225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11348058B1 (en) Beacon-based delivery confirmation
CN113935669A (zh) 物品管理方法、装置、系统及提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