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121B1 - Navig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Navig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121B1
KR102107121B1 KR1020140024356A KR20140024356A KR102107121B1 KR 102107121 B1 KR102107121 B1 KR 102107121B1 KR 1020140024356 A KR1020140024356 A KR 1020140024356A KR 20140024356 A KR20140024356 A KR 20140024356A KR 102107121 B1 KR102107121 B1 KR 102107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pp
route guidance
information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2463A (en
Inventor
민정동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4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121B1/en
Publication of KR2015010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4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앱(APP)에 관련된 정보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APP)의 경로 안내 정보,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실행된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두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erein the navigation device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to receive information or data related to an application app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unit from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route guidance app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or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is displayed, and a control unit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Accordingly, a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Figure R1020140024356
Figure R1020140024356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NAVIG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Navigation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NAVIG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를 연동하여 동작시킬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화면을 자동으로 전환하거나 분할하여 안전 운전에 관련된 경로 안내 화면을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navigation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are operated in cooperation, the screen of the navigation device is automatically switched or divid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displaying a route guidance screen related to safe driving.

최근 자동차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예 : 스마트폰)를 활용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러링(Mirroring) 기술이 있다. 상기 미러링 기술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자동차의 모니터(예 : 내비게이션 장치)에 그대로 띄워 표시하는 기술이다. Recently, various technologies using mobile terminals (eg, smartphones) have been developed in automobiles. For example, there is a mirroring technique. The mirroring technology is a technology in which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as it is on a vehicle monitor (for example, a navigation device).

상기 미러링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자동차의 모니터(미도시)가 연결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있는 모든 기능을 상기 자동차의 모니터를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도 상기 자동차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수행되는 문자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날씨 확인, 경로 안내,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과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상기 자동차의 모니터를 통해 이용할 수 있게 된다.When a mobile terminal and a vehicle monitor (not shown) are connected through the mirroring, all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vehicle monitor, and a video 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also monitors the vehicle. Can be displayed through. 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and applications such as text messages, social network service (SNS), weather check, route guidance, internet search, and games perform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can all be used through the monitor of the vehicle.

상기와 같은 미러링 기술을 이용하여 풀(Full) 미러링, 앱(APP) 미러링 등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자동차의 모니터에 동일하게 표시하고 원격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의 작은 화면에 표시되는 동일한 정보를 자동차 모니터의 큰 화면을 통해 표시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본래 자동차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던 안전 운전을 위한 정보(예 : 내비게이션 정보 등)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using the mirroring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display the mobile terminal's screen, such as full mirroring and app mirroring, on the car's monitor in the same way and remotely control it, so that the user displays it on the small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t had the advantage of displaying the same information on the large screen of the car monitor,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perform information for driving safely (eg, navigation information, etc.) originally displayed on the car monitor.

예컨대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경로 안내를 수행하여 상기 자동차의 모니터를 통해 경로 안내 정보를 표시하던 중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다른 기능(예 : 전화 수신, 문자/SNS 수신 등)을 수행할 경우, 상기 자동차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되던 경로 안내 정보의 표시도 중단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고 상황에 따라서는 안전 운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while performing route guidan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rough the monitor of the vehicle, when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another function (eg, receiving a phone call, receiving a text / SNS, etc.), Since the display of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monitor is also interrupted, the user's convenience is reduced,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may affect safe driving.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66259호(2009.06.23.공개, 이동통신단말수단과의 연동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콘텐츠 제공서비스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66259 (published on June 23, 2009, a navigation content providing service system using interwork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a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내비게이션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를 연동하여 동작시킬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화면을 자동으로 전환하거나 분할하여 안전 운전에 관련된 경로 안내 화면을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navigation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are operated in cooperation, the screen of the navigation device is automatically switched or divid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o safely dri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vig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displaying a route guidance screen related t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앱(APP)에 관련된 정보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APP)의 경로 안내 정보,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실행된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두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to receive information or data related to an application app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one of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a route guidance app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or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a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앱이 경로 안내 앱(APP)인 경우,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일 측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경로 안내 앱이 종료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 앱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실행된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일 측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pplication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is a route guidance app (APP), the control unit receiv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or divides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When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when the route guidance app is terminated or another application app is executed on the mobile terminal,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is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or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is divided and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one display area.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 중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앱이나 기능 정보를 감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ata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desired data amo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llowing the control unit to detect app or function information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extracted data.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경로 안내에 관련된 목적지 정보",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앱(APP)이나 기능 실행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related to route guidance" and "app (app) performed on the mobile terminal or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 정보, 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들 중 추출된"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가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sets a route using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or "destin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APP)"의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할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route guidance app (APP)” executed on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s it on the entire display area, the navigation function is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It is characterized by running in the backgroun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각 표시 영역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경로 안내 정보 및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실행된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정보를 각기 표시할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어느 일 측 표시 영역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일 측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표시 영역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여 확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n each display area in advance. When a display area on one side is selected in a set man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lected one-side display area is switched to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area and enlarg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APP)"의 "경로 안내 정보",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 method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route guidance app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or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s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데이터 추출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들 중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앱이나 기능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는, "경로 안내에 관련된 목적지 정보",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앱(APP)이나 기능 실행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extracting the desired data from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data extraction unit; And detecting, by the controller, the app or function information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extracted data.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destination information related to route guidance" and "mobi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pp (APP) or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performed on the termi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를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if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area, the control unit itself may be opera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avigation function to be executed is executed in the backgroun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각 표시 영역에 상기 두 경로 안내 정보를 각기 표시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어느 일 측 표시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일 측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표시 영역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여 확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dividing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on each of the display areas, one of When the side display area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may convert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lected one side display area to an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area and enlarge the displa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이 종료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 앱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실행된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 전체나 분할된 표시 영역 중 어느 일 측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route guidance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is terminated or another application app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trols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is displayed on either one of the entire display area or the divide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를 연동하여 동작시킬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화면을 전환하거나 분할하여 안전 운전에 관련된 경로 안내 정보를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안전 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avigation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are operated in cooperation,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related to safe driving can be continuously displayed by switching or dividing a screen of th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t improves the user's convenience and helps to drive saf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체 화면에서 표시하던 정보를 분할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경로 안내 정보를 분할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displayed on a full screen on a divided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in a divided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navig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통신부(110), 데이터 추출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navig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data extraction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nd a memory 150 ).

상기 통신부(110)는 무선(또는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예 : 스마트폰)(10)와 통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선 방식은 USB(Universal Serial Bus), 직렬, 또는 병렬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유선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다만 상술한 무선/유선 통신 방식은 일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일 뿐 통신 방식을 한정시키기 위하여 기재된 것은 아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eg, a smart phone) 10 connected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Here, the wireless method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at least one of Wi-Fi, Bluetoo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or infrared. In addition, the wired method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t least one of a universal serial bus (USB), serial, or parallel lines. However, the above-described wireless / wired communication method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described to limit the communication method.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데이터(예 : 미러링 데이터, 테더링 데이터, 제어신호 등)를 송수신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10)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서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 양측(예 : 통신부, 모바일 단말기)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예 : 미러링 APP, 테더링 APP 등)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은 이미 제품(또는 액세서리)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을 구매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eg, mirroring data, tethering data, control signals, etc.) to an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using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mobile terminal 1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each other (eg, communication unit,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eg, mirroring APP, tethering APP, etc.) It is pre-installed. At this time, since the application (APP)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purchased and used as a product (or accessory), a description of the applic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omitted in this embodiment.

상기 데이터 추출부(12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들 중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또는 정보)들을 추출한다.The data extraction unit 120 extracts data (or information) necessary to perfor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예컨대 상기 데이터 추출부(12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들 중 "경로 안내에 관련된 목적지 정보",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앱(APP)(또는 기능) 실행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 For example, the data extracting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related to route guidance" and "app (or APP) (or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performed on a mobile terminal" amo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To extract.

가령,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경로 안내 앱(APP)(또는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실행된 "앱(APP) 정보"와 상기 앱(APP)에서 경로 안내를 위해 설정된 "목적지 정보"가 추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만약 새로운 앱(APP)(또는 기능)이 추가로 실행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추가로 실행된 "앱(APP) 정보"가 추출되는 것이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route guidance app (APP) (or navigation app)”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 for the route guidance in the executed “app (APP) information” and the app (APP) The set "destin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In addition, if it is assumed that a new app (APP) (or function) is additionally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 the additionally executed "app (APP) information" is extracted.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전자지도(또는 기본 맵)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장치(100)에 자체적으로 내장된 "내비게이션 기능(또는 경로 안내 기능)"을 실행한다. The controller 130 executes a "navigation function (or route guidance function)" built into the navigation device 100 by using an electronic map (or a basic map) stored in the memory 150.

이때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에서 이용하는 전자지도(또는 기본 맵)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에서 이용되는 맵(모바일 맵)과 동일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nic map (or the basic map) used in the navigation function may be the same as the map (mobile map) used in the "route guidance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기능(경로 안내 기능)을 위한 목적지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은 정보, 혹은 상기 데이터 추출부(120)를 통해 추출된 "목적지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제어부(130)는 이를 이용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의 목적지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or the navigation function (route guidance function) executed in the navigation device 100 may be information directly input from a user or "destination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data extraction unit 120, The controller 130 can automatically set the destinat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using this.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screen display of the display unit 140.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의 실행 화면으로서 영역 전체에 표시되는 정보를 다른 정보로 전환하거나(즉, 표시 영역 전체를 다른 정보로 전환하여 표시하거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각 표시 영역에 지정된 정보를 각기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convert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to other information (that is, displays the entire display area by switching to other information) or displays the execution screen of the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set option. By dividing an area, information specified in each display area can be displayed separately.

가령,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표시 영역 전체에 기본 맵(내비게이션 장치에 내장된 맵)을 표시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모바일 맵(즉, 모바일 단말기의 경로 안내 앱에서 실행되는 맵)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일 측 표시 영역에는 기본 맵을 표시하고 다른 일 측 표시 영역에는 모바일 맵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 basic map (a map embedded in a navigation device) is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140 or a mobile map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ie, a map executed in a route guidance app of the mobile terminal) ), Or by dividing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140, a basic map may be displayed on one display area and a mobile map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display area.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화면전환 또는 화면분할 시 곧바로 기본 맵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0)의 자체에 내장된 "내비게이션 기능(또는 경로 안내 기능)"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항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미리 선택된 옵션에 따라, 자동차의 모니터(미도시)에 기본 맵(내비게이션 장치에 표시되는 지도), 또는 모바일 맵(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을 통해 표시되는 지도)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navigation function (or route guidance function)" built into the navigation device 100 itself as a background in order to display the basic map immediately upon screen switching or screen division. It can be executed at all time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30, depending on a pre-selected option, is displayed on the monitor (not shown) of the vehicle as a basic map (a map displayed on the navigation device) or a mobile map (a route guidance app executed on the mobile terminal). Map).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을 통해 표시되는 지도(모바일 맵)를 전송받아 자동차의 모니터에 전체 화면(표시 영역 전체)(200)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모바일 맵을 전송받지 못할 경우(예 : 통신 연결이 차단된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경로 안내 앱이 종료된 경우 등)에는 내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실행되는 기본 맵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전체 화면(또는 표시 영역 전체)(200)으로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controller 130 receives a map (mobile map) displayed through the “route guidance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 and receives a full screen (display area) on the monitor of the vehicle. 200). In addition, if the mobile map is no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for example,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blocked, the mobile terminal's route guidance app is terminated, etc.), the navigation device 100 executes itself. The map may be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or the entire display area) 200 of the display unit 140.

그런데 상기와 같이 모바일 맵을 자동차의 모니터에 전체 화면(표시 영역 전체)(200)으로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만약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다른 앱(또는 기능)(예 : 전화 수신, SNS대화, 문자메시지 송수신, 멀티미디어 재생 등)을 실행하여 모바일 맵을 화면에 표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자동으로 화면의 표시 영역을 두 개의 표시 영역(210, 220)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However, in the state that the mobile map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car as a full screen (the entire display area) 200, if the mobile terminal 10 is another app (or function) (for example, receiving a call, SNS conversation , When a situation in which the mobile map cannot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executing tex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multimedia playback, etc.), the controller 130 automatically divides the display area of the screen into two display areas 210 and 220. It might be.

그리고 상기 분할된 두 개의 표시 영역(210, 220) 중 일 측 표시 영역(210)에는 내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실행되는 기본 맵을 표시하고, 다른 일 측 표시 영역(220)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미리 선택된 옵션(예 : 기본 맵 또는 모바일 맵 중 하나를 전체 화면 혹은 분할 화면으로 표시하는 옵션)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기본 맵, 또는 모바일 맵 중 하나를 표시하여 지속적인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basic map that is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100 is displayed on one display area 210 of the two divided display areas 210 and 220, and the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other display area 220. A screen transmitted from (10) can be displayed. That is, according to a pre-selected option (for example, an option of displaying one of the base map or the mobile map as a full screen or a split screen),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display unit 140 as either a base map or a mobile map. Is to enable continuous route guidance.

물론 상기 분할된 각 표시 영역(210, 2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맵과 모바일 맵을 모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자동차의 모니터를 듀얼 모니터(Dual Monitor)로 사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경로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일 측 표시 영역(210)에는 현재 위치에 대한 지도 정보를 표시하고, 다른 일 측 표시 영역(220)에는 교통상황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Of course, 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divided display areas 210 and 220 may display both a basic map and a mobile map. That is, different types of route guidanc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using the monitor of the vehicle as a dual monitor. For example, one side display area 210 displays map information for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other side display area 220 displays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표시 영역(210, 220)에 각기 표시된 정보들(예 : 기본 맵, 모바일 맵, 전화 수신, SNS대화, 문자메시지 송수신, 멀티미디어 재생, 블랙박스 영상 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체 화면(즉, 전체 표시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as shown in Figure 3,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each of the divided display area (210, 220) (for example, basic map, mobile map, call reception, SNS conversation, text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ultimedia Play, black box video, etc.) can be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ie, the entire display area).

예컨대 사용자가 일 측 표시 영역(210)을 기 설정된 방식(예 : 더블 터치, 터치 & 드래그 등)으로 선택할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일 측 표시 영역(210)에 표시된 정보(예 : 기본 맵)를 전체 화면으로 확대하여 표시한다. 물론 다른 일 측 표시 영역(220)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전체 화면으로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one side display area 210 in a preset manner (eg, double touch, touch & drag, etc.),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one side display area 210 (eg, basic Map) is displayed on an enlarged screen. Of course, even when the other one of the display areas 220 is selected, the same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연결된 통신이 차단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의 경로 안내 앱이 종료된 경우, 상기 분할된 표시 영역(210, 220) 중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표시하던 일 측 표시 영역(220)을 자동으로 종료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실행되는 기본 맵을 전체 화면(즉, 전체 표시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 is blocked or the route guidance app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terminated, 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the mobile terminal 10 among the divided display areas 210 and 220. ), The display area 220 on which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was displayed is automatically terminated, and the basic map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100 by itself is switched to the full screen (ie, the entire display area) and displayed. have.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자동차의 모니터로서, 차량에 장착된 전자 기기들(예 : 카오디오, 에어컨, 내비게이션, TV, 카메라 등)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해당 기능의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140, as a monitor of a car,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nic devices mounted on a vehicle (eg, car audio, air conditioner, navigation, TV, camera, etc.), or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function. Display.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기능 설정을 위한 입력 수단(예 :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Also, the display unit 140 may include input means (eg, a touch screen, a touch pad, etc.) for setting the func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화면을 분할(표시 영역 분할)할 수 있으며, 각 표시 영역에 각기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어느 일 측 표시 영역에 표시되던 정보를 전체 화면(표시 영역 전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can divide the screen (divided display area), can display different information in each display area, on either side of the display area The displayed information can also be displayed by switching to the entire screen (the entire display area).

상기 메모리(15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memory 150 stores various applications and data,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ternal memory or an external memory.

예컨대 상기 메모리(150)는, 차량에 장착된 전자 기기의 구동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통신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예 : 미러링 APP, 테더링 APP 등),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예 : 기본 맵) 또는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예 : 목적지 정보, 앱 실행 정보 등)를 저장한다.For example, the memory 150 may include an application related to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mounted in a vehicle, an applic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eg, a mirroring APP, a tethering APP, etc.), an application related to a navigation function, and execution of each application. It stores necessary data (eg basic map) or data received from each application (eg destination information, app execution information, etc.).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naviga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통신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또는 미러링 데이터, 테더링 데이터 등)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S101).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data (or mirroring data, tethering data, etc.)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hen, the received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101).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감지한다(S102).Then,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an app (APP) running on the mobile terminal 10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S102).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는 데이터 추출부(120)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들 중"앱(APP)(또는 기능) 실행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앱(APP)(또는 기능)"이 무엇인지 감지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extracts "app (app) (or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amo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through the data extraction unit 120 and executes it in the mobile terminal 10 Detects what the "app (or function)" is.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경로 안내 앱"이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경로 안내 앱"에 설정된 "경로 안내 정보(즉, 목적지 정보)"를 수신(또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서 경로 안내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에 동기화 시킨다(S103).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when the "route guidance app" is executed on the mobile terminal 10,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ie, destination information)" set in the "route guidance app" ( Alternatively,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data. Then,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synchronized with the navigation function performed by the navigation device 100 itself (S103).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는 내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에 설정할 목적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에 설정된 "경로 안내 정보(즉, 목적지 정보)"와 동일하게 설정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sets a destination to be set in a navigation function performed by the navigation device 100 itself as a “route guidance information (ie, destination information)” set in the “route guidance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 Set the same as.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동기화된 경로 안내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내비게이션 기능(내비게이션 장치에 포함된 자체적인 기능)을 실행한다(S104).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synchronized route guide information as a destination to execute a navigation function (a self function included in the navigation device) (S104).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을 항시 백그라운드 방식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30)는, 미리 선택된 옵션에 따라, 기본 맵 또는 모바일 맵 중 하나(즉, 경로를 안내하는 화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반드시 표시할 수 있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맵이 전체 화면(즉, 표시 영역 전체)으로 표시되어 있다고 가정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always execute the navigation function in a background manner regardless of whether a navigation function performed by the navigation device 1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In addi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controller 130 may necessarily display one of the basic map or the mobile map (ie, a screen for guiding a route) on the display unit 140 according to a preselected option. . For convenience,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map is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ie, the entire display area).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이미 실행되고 있던 경로 안내 앱(APP)이 종료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다른 새로운 앱(또는 기능)이 추가로 실행되는 것을 감지한다(S105).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detects that the route guidance app (APP) that has already been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 is terminated, or another new app (or function) is additionally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 It detects (S105).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데이터 추출부(120)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들 중"앱(APP)(또는 기능) 실행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새로 실행되는 앱(APP)(또는 기능)이 무엇인지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extracts "app (app) (or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from amo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through the data extraction unit 120 in the mobile terminal 10 It can detect what a newly launched app (APP) (or function) is.

만약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새로 실행되는 앱(APP)으로 인하여 화면이 전환되면(즉, 경로 안내 앱 화면이 표시되지 않고 다른 앱 화면이 표시될 경우) 안전 운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If the screen is switched due to the newly executed app (APP) in the mobile terminal 10 (that is, when a path guide app screen is not displayed and another app screen is displayed), it may affect safe driving.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미리 선택된 옵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어느 일 측 표시 영역에 기본 맵 내비게이션 화면(즉,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기본 맵을 이용해 수행되는 경로 안내 화면)을 표시하거나, 표시 영역 전체(즉, 전화 화면)에 상기 기본 맵 내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한다(S106).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0, according to a pre-selected option, divides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140 to a default map navigation screen (ie, a path performed by using the default map of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on a display area of one side. Guide screen), or the basic map naviga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area (ie, the phone screen) (S106).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즉,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어 전송되는 앱 정보)에 따라 적어도 어느 일 측(예 : 내비게이션 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경로 안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함으로써 경로 안내의 지속성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 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on at least one side (for example, a navigation device 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that is, app information executed and transmitted on the mobile terminal). The displayed route guid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route guidance so as to help the user's convenience and safe driving.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pertains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모바일 단말기 100 : 내비게이션 장치
110 : 통신부 120 : 데이터 추출부
130 :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메모리
10: mobile terminal 100: navigation device
110: communication unit 120: data extraction unit
130: control unit 140: display unit
150: memory

Claims (12)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앱(APP)에 관련된 정보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APP)의 경로 안내 정보,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실행된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두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APP)"의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할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to receive information or data related to an application app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one of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a route guidance app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or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a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includes,
The control unit,
When receiv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route guidance app (APP)" executed on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it on the entire display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is executed in the background. Navig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앱이 경로 안내 앱(APP)인 경우,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일 측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경로 안내 앱이 종료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 앱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실행된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일 측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application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is a route guide app (APP), the route guid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or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is divided and displayed on one side display area,
When the route guidance app is terminated or another application app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is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or by dividing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A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o be displayed on a side display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 중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앱이나 기능 정보를 감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ata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desired data from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detects an app or function information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extracted dat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경로 안내에 관련된 목적지 정보",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앱(APP)이나 기능 실행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 naviga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related to route guidance" and "app (app) performed on a mobile terminal or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 정보, 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들 중 추출된"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가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navigation function,
A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sets a route us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or "destin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각 표시 영역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경로 안내 정보 및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실행된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정보를 각기 표시할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어느 일 측 표시 영역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일 측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표시 영역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여 확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to display route guid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n each display area, respectively.
A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one side display area is selected in a preset manne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lected one side display area is enlarged by switching to a full screen display area.
통신부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APP)"의 "경로 안내 정보",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두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를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by the control unit, amo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route guidance app (APP)" executed on the mobile terminal, or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teps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In the step of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if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entire display area, the control unit performs a navigation function that is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A control method of a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ecuted in the backgroun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데이터 추출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들 중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앱이나 기능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는, "경로 안내에 관련된 목적지 정보",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앱(APP)이나 기능 실행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Extracting desired data from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data extra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using the extracted data to detect the app or function information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related to route guidance" and "app (app) performed on a mobile terminal or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두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각 표시 영역에 상기 두 경로 안내 정보를 각기 표시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어느 일 측 표시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일 측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표시 영역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여 확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of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dividing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on each display area, respectively
When a display area on one side is selected by a us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navigation device to enlarge and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lected one-side display area by switching to a full screen display area.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두 경로 안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경로 안내 앱이 종료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 앱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자체적으로 실행된 내비게이션 기능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 전체나 분할된 표시 영역 중 어느 일 측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in the displaying of at least one of the two route guidance information on a display unit, when the route guidance app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is terminated or another application app is executed,
The control method of the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path guidance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function execu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tself on either one of the entire display area or the divide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KR1020140024356A 2014-02-28 2014-02-28 Navig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07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356A KR102107121B1 (en) 2014-02-28 2014-02-28 Navig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356A KR102107121B1 (en) 2014-02-28 2014-02-28 Navig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63A KR20150102463A (en) 2015-09-07
KR102107121B1 true KR102107121B1 (en) 2020-05-06

Family

ID=5424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356A KR102107121B1 (en) 2014-02-28 2014-02-28 Navig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1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178B1 (en) * 2015-11-12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Navigation device and pa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CN110749334B (en) * 2018-07-24 2023-10-13 阿尔派株式会社 In-vehicle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in-vehicle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0672A (en) * 2008-12-01 2010-06-10 Fujitsu Ten Ltd In-vehicle system
JP2012149998A (en) * 2011-01-19 2012-08-09 Alpine Electronics Inc On-vehicle device system and on-vehicle device as well as mobile terminal used therein
JP2013171514A (en) * 2012-02-22 2013-09-02 Clarion Co Ltd On-vehicle machine and display control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0672A (en) * 2008-12-01 2010-06-10 Fujitsu Ten Ltd In-vehicle system
JP2012149998A (en) * 2011-01-19 2012-08-09 Alpine Electronics Inc On-vehicle device system and on-vehicle device as well as mobile terminal used therein
JP2013171514A (en) * 2012-02-22 2013-09-02 Clarion Co Ltd On-vehicle machine and display control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63A (en)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5976A (en) Control method, apparatus, system and device for smart home device
KR1021348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irroring service
US9426656B2 (en) On-vehicle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40038710A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of a dispay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pparatuses
US20160124882A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Operation-Mode Selection Program
KR102003546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uthenticating a connection between a user device and a streaming media content device
US10509554B2 (en) Method for outputting target content and terminal therefor
JP2015162795A (en) On-vehicle device and on-vehicle information system
KR102107121B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91973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udio content to a vehicle radio system using a smartphone
KR101685060B1 (en) Audio video navigation devide in a vehicle, and avn auxilia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2960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vn apparatus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EP3190774B1 (en) Interface shar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20160124982A (en) HUD navigatio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02448892U (en) Vehicle-mounted mobile intelligent terminal
KR101181737B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3475788A (en) Method and system for rapidly sharing files among mobile equipment
EP2939404B1 (en) Obtaining on-line service
KR20130028504A (en) Auxiliary display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a smart phone and smart phone having a function of surpporting a auxiliary displaying apparatus
JP2013085144A (en) Contro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11234218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on-vehicle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vehicle
KR101462912B1 (en) Service link method of AVN apparatuses in cars to use applications for smart phones use and a AVN apparatus performing it
KR10151301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navigation device
JP2015104098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2621410B1 (en) Method for visualization of IoT connection information in autonomous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